KR20240078303A - 연료 잔량을 모니터링하여 소비 상황을 예측하는 관리 장치 및 그 방법들 - Google Patents

연료 잔량을 모니터링하여 소비 상황을 예측하는 관리 장치 및 그 방법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78303A
KR20240078303A KR1020230098986A KR20230098986A KR20240078303A KR 20240078303 A KR20240078303 A KR 20240078303A KR 1020230098986 A KR1020230098986 A KR 1020230098986A KR 20230098986 A KR20230098986 A KR 20230098986A KR 20240078303 A KR20240078303 A KR 202400783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remaining amount
time
fuel tank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8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철
이광주
Original Assignee
미래아이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아이티(주) filed Critical 미래아이티(주)
Publication of KR20240078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7830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14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ement of pres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5Needs-based resource requirements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10/00Economic sectors
    • G16Y10/35Utilities, e.g. electricity, gas or water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10Detection; Monitoring

Abstract

연료 탱크의 연료를 모니터링하는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이 개시된다. 관리 장치는 연료 탱크의 센서로부터 연료의 잔량에 대한 센싱 값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와 연료 잔량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연료 잔량에 대한 센싱 값을 기초로 사용자의 소비자 패턴 정보를 산출하고 자동 주문 정보를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연료 잔량을 모니터링하여 소비 상황을 예측하는 관리 장치 및 그 방법들{Management device and method for predicting consumption conditions by monitoring fuel remaining capacity}
본 발명은 연료 잔량을 모니터링하여 자동으로 주문하는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에 대한 것이다.
공장이나 병원과 같은 대형 시설을 비롯하여 일반 가정에서도 가스나 기름 등의 연료를 연료 탱크에 저장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연료가 소모되는 시점에서 사용자가 미리 연료를 추가로 공급해줄 것을 요청하여야 한다. 하지만, 사용자가 연료 잔량을 미리 알고 추가 주문을 하는 것은 결코 용이하지 않은 일이다. 따라서, 연료 공급 업체에서 연료 탱크마다 센서를 부착하여 잔량을 체크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동일한 잔량이라고 하더라도, 소비자에 따라서 잔량을 완전히 소모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달라질 수 있다. 연료 공급 업체에서는 한번에 최대한 많은 양을 공급함으로써 연료 배달 횟수를 줄이는 것이 유리하다. 연료가 완전히 떨어지기 전에 공급을 해야 하는 것은 필수 사항이므로, 적절한 시점에 효율적으로 연료를 공급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필요성에 따라 안출한 것으로서, 연료의 잔량을 고려하여 적절한 시기에 자동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연료 탱크의 연료를 관리하는 관리 장치는, 상기 연료 탱크의 연료 잔량을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센싱 값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 상기 연료 탱크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소비 패턴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 상기 센싱 값에 기초하여 상기 잔량을 산출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소비 패턴 정보와 연료 공급에 소요되는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잔량에 대응되는 연료 공급 시점을 산출하여 연료 주문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연료 주문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료 탱크에 저장된 연료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방법은, 상기 연료의 잔량을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센싱 값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센싱 값에 기초하여 상기 잔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연료 탱크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해 기 저장된 소비 패턴 정보와 상기 연료 탱크로 연료를 공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잔량에 대응되는 연료 공급 시점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연료 공급 시점을 기준으로 연료 주문 정보를 생성하여 외부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 장치의 소프트웨어 모듈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료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주문 정보 생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개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개시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개시된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유닛'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유닛' 혹은 복수의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유닛'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유닛으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관리 시스템은 연료 탱크(10), 단말 장치(30), 관리 장치(100)를 포함한다.
연료 탱크(10)에는 기체 또는 액체 형태의 연료가 저장될 수 있으며, 연료 탱크(10)의 내부나 바닥면, 옆면 등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20)가 부착될 수 있다.
센서(20)는 연료 탱크(10)에 저장된 연료의 잔량을 감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센서(20)는 감지 결과를 관리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20)는 압력 센서, 차압 센서, 레벨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압력 센서로 구현될 경우, 센서(20)는 일정 시간 간격(분, 시, 일 단위 등)으로 연료탱크(1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일 예로, 가스가 저장된 연료 탱크(10)의 경우, 충전된 가스가 줄어듦에 따라서 기체 압력의 변화가 있을 수 있다. 센서(20)는 변화된 압력에 대응되는 전기 신호를 전기통신회선을 통해 관리 장치(100)로 전송한다. 관리 장치(100)는 수신된 센싱 값에 기초하여 일정 시간마다 측정된 연료의 잔량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2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른 예로, 액체가 저장된 연료 탱크(10)의 경우, 액체가 줄어들면서 탱크(10) 내부에 액체의 수위에 변화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액체의 수위를 측정하는 센서(20)에서 변화된 수위에 대응되는 전기 신호를 관리 장치(100)로 전송하면, 관리 장치(100)는 수신된 센싱 값에 기초하여 각 시점마다 측정된 연료의 잔량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연료 탱크(10)에 저장된 연료가 액체인 경우에 센서(20)는 기체 압력 감지 센서(제 1센서) 및 액체 압력 감지 센서(제2 센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관리 장치(100)는 연료 탱크(10) 내의 기체의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제1 센서의 제1 센싱 값과, 액체의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제2 센서의 제2 센싱 값에 기초하여, 기체와 액체의 차압을 계산할 수 있다. 관리 장치(100)는 그 차압에 대한 값에 기초하여 일정 시점에서의 잔량을 산출할 수 있고, 그러한 잔량에 대한 정보는 관리 장치(100)에 저장될 수 있다.
즉, 연료 탱크(10)의 상부에 기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1 센서가 위치하고, 연료 탱크(10)의 하부에 액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2 센서가 위치하게 되어 각각의 센서에서 기체와 액체의 압력을 측정한 뒤 그 차압에 해당하는 값을 통해 연료 탱크(10) 내부에 남아있는 연료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센서와 제2 센서를 통해 측정된 기체와 액체의 압력에 기초하여 잔여 연료량을 산출함으로써 하나의 센서로 연료 탱크(10) 내의 연료의 잔량을 측정하는 경우보다 오차범위가 줄어들어 추가적인 보정 과정 없이도 잔량에 대해 비교적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연료 탱크(10)가 밀폐형인 경우에도 액체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
관리 장치(100)는 센서(20)로부터 수신되는 센싱 값에 기초하여, 여러 시점의 잔량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 형태로 저장한 후, 누적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연료 탱크(1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소비 패턴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성격이나 하는 일에 따라 연료 사용량 등이 다를 수 있다. 또한, 평일과 휴일의 연료 사용량도 다를 수 있고, 낮과 밤의 연료 사용량, 계절별 연료 사용량 등으로 다양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잔량이 남았다고 하더라도 사용자의 소비 패턴에 따라 잔량 전부를 소모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다를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사용자의 소비 패턴에 대한 정보를 미리 누적적으로 저장하면서 수시로 업데이트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다.
특정 시점에 측정된 연료의 잔량이 임계치에 해당하는 경우, 관리 장치(100)는 생성된 소비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연료 탱크(10)에 연료를 보급하는 시기를 결정한다.
일 예로, A라는 사람이 평일에는 50리터, 휴일에는 10리터만큼 연료를 사용한다고 가정할 때, 잔량이 100리터로 센싱될 경우, 그 시점이 월요일이면 수요일 정도에 전체 연료가 소진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만약, 연료 공급 업체에서 해당 연료 탱크(10)의 위치까지 연료를 배달하여 공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2일이라면, 관리 장치(100)는 연료 공급 업체의 단말 장치(30)로 즉각 주문 정보를 전송하여 연료의 공급을 요청할 수 있다.
한편, 잔량 100리터가 센싱된 시점이 금요일이라면 그 다음주 화요일 정도에 전체 연료가 소진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이 경우, 일요일 정도에 단말 장치(30)로 주문 정보를 전송하여 연료의 공급을 요청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문을 처리하는 경우, 공급 업체에서는 최소한의 횟수로 최대의 연료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비용 및 시간 면에서 이익을 얻게 된다.
한편, 연료 공급을 주문하는 시점은 잔량이 전부 소비될 때 까지를 기준으로 하지 않고, 실시 예에 따라서는 최소한의 잔량(임계치)이 남아 있을 때를 기준으로 정할 수 있다.
즉, 잔량 100리터가 센싱된 경우, 최소 잔량이 20리터로 설정되어 있으면, 80리터를 소비할 때까지 소요되는 일수와 연료 공급에 소요되는 일수를 고려하여 연료 주문 시기를 결정한다.
이와 같이 판단된 공급 시점을 기초로 자동으로 생성된 주문 정보가 공급 업체의 단말 장치(30)로 전송되면 공급 업체는 전송된 주문 정보에 따라 사용자에게 연료 공급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소비 패턴 정보 산정 및 자동 주문 정보 생성에 대하여는 도 2 내지 도 4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따르면 상기 관리 장치(100)는 인터페이스(110), 프로세서(120), 저장부(130)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110)는 각종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및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구성이다. 인터페이스(110)는 키보드나 마우스, 마이크 등과 같은 입력 수단이나 디스플레이 장치, 스피커 등과 같은 출력 수단과 연결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USB 메모리 등과 같은 외부 저장 수단과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인터페이스(110)는 연료 탱크(10)의 센서(20)가 측정한 센싱 값에 해당하는 전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장치(100)의 프로세서(120)는 인터페이스(110)를 통해서 주문 정보를 공급 업체의 단말 장치(30)로 전송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10)가 통신 인터페이스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유선, 무선 중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유선과 무선을 모두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DMA, WCDMA, WIFI, BLUETOOTH, WIBRO, 무선공유기 등과 같은 통신 장치로 구현되어 통신망을 통해 공급 업체의 단말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저장부(130)는 관리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구성이다. 저장부(120)에는 인터페이스(110)가 연료 탱크(10)의 센서(20)로부터 수신한 여러 시점의 센싱 값들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30)는 프로세서(120)에서 생성된 사용자의 소비 패턴 정보 또는 자동으로 생성된 주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센싱 값을 모니터링하여 사용자의 소비 패턴에 대한 정보를 계산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소비 패턴 정보는 계절, 날씨, 시간대, 날짜, 업종, 나이대, 성별 등과 같은 다양한 조건들의 결합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겨울과 같은 추운 날씨에 고령의 나이대에 해당하는 사용자일 때는 연료 소비가 많을 수 있는 반면, 여름과 같은 더운 날씨에 젊은 나이 등일 때에는 연료 소비가 상대적으로 적을 수 있다. 또한, 가스를 이용하여 음식을 조리하는 식당업이나 대중 목욕탕 등의 업종의 경우에는 일반 사무직 회사나 가정집에 비해 연료 소비가 훨씬 더 많을 수 있다. 또한, 가정 집의 경우, 평일보다 휴일에 가족 구성원들이 많이 모이기 때문에 연료 소비량이 더 많을 수 있는 반면에 회사의 경우 평일에 사람들이 많기 때문에 휴일보다 평일에 연료 소비량이 더 많을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술한 다양한 조건들과 함께 연료 소비량 변화를 모니터링하여 사용자의 소비 패턴 정보를 생성하고 수시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는 이와 같은 정보가 미리 기록된 외부 기기(예를 들어, 서버 장치)로부터 해당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가장 최근에 저장된 연료에 대한 센싱 값이 임계치에 해당하는 경우, 해당 센싱 값이 나타내는 연료의 잔량을 소모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계산하고, 공급 업체로부터 사용자에게 연료가 공급되는 데 걸리는 시간과 비교하여 가장 적정한 시점에 연료가 공급되도록 자동으로 주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연료가 공급되는 데에 걸리는 시간에 대한 데이터 값은 프로세서에 미리 설정해 두거나 계절의 변화 등 경우에 따라 설정된 값을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주문 정보는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공급 업체의 단말 장치(30)로 전송 될 수 있다. 이러한 주문 전송 과정은 관리 장치(1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의해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 장치(100)의 소프트웨어 모듈 구조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에 따르면, 저장부(130)에는 통신 모듈(1301), 잔량 모니터링 및 소비 패턴 정보 산정 모듈(1302), 자동 주문 생성 모듈(1303) 및 이상 패턴 감지 모듈(1304) 등과 같은 소프트웨어 모듈이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각 소프트웨어 모듈을 실행시켜 해당 모듈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다. 각 모듈 별 동작은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통신 모듈(1301)은 외부 장치들과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모듈이다. 통신모듈(1301)은 연료 탱크(10)의 센서(20)로부터 수신한 전기 신호를 관리 장치(100)의 인터페이스(110)를 거쳐 전송 받을 수 있다. 전송된 신호는 잔량 모니터링 및 소비 패턴 정보 산정 모듈(1302)로 전달된다.
또한, 이상 패턴 감지 모듈(1304)로부터의 신호와 자동 주문 생성 모듈(1303)에서 생성된 주문 정보에 해당하는 신호를 외부로 송신하는 동작도 수행할 수 있다.
잔량 모니터링 및 소비 패턴 정보 산정 모듈(1302)은 잔량에 대한 센싱 값을 기초로 연료 탱크(10) 내의 연료 변동량을 시간의 경과에 따라 체크 및 기록하고 데이터화하여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여기서 연료 변동량이란 측정 시점의 연료 탱크(10) 내의 연료 잔량과 측정 직전 시점의 연료 탱크(10) 내의 연료 잔량의 차이에 해당하는 양을 의미한다.
한편, 잔량 모니터링 및 소비 패턴 정보 산정 모듈(1302)은 저장부(130)에 누적적으로 저장된 연료 탱크(10) 내의 잔여 연료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소비 패턴 정보를 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여러 시점에서의 잔여 연료량을 비교하여 그 차이에 대한 값을 통해 특정 단위 시간당 연료 소비량을 계산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해당 특정 단위 시간의 평균 연료 소비량인 사용자의 소비 패턴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겨울철 평일 낮 시간에 1시간당 소요되는 양(A1), 겨울철 평일 저녁 시간에 1시간당 소요되는 양(A2), 겨울철 평일 밤 시간에 1시간당 소요되는 양(A3), 겨울철 휴일 낮 시간에 1시간당 소요되는 양(B1), 겨울철 휴일 저녁 시간에 1시간당 소요되는 양(B2), 겨울철 휴일 밤 시간에 1시간당 소요되는 양(B3) 등과 같이 다양한 조건에 따른 연료 소비량을 미리 파악하여 저장부(130)에 저장해 둘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 시간 단위를 1시간 단위로 예시하였으나 이는 분 단위, 일 단위, 월 단위, 계절 단위 등과 같이 다양할 수 있다.
자동 주문 생성 모듈(1303)은 잔량 모니터링 및 소비 패턴 정보 산정 모듈(1302)에서 산출된 특정 단위 시간의 평균 연료 소비량에 해당하는 소비 패턴 정보를 기초로 적정한 연료 공급 일자를 산정한다. 구체적으로, 공급 업체가 사용자의 연료 탱크(10)가 위치한 곳에 연료 공급 차량을 이용하여 연료를 공급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과 연료 탱크(10) 내의 잔여 연료를 소비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비교하여 연료 공급에 소요되는 시간이 잔여 연료를 소비하는데 소요되는 시간보다 같아지는 시점을 기준으로 연료 공급 일자를 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연료 공급에 소요되는 시간은 공급 업체가 프로세서(120)에 미리 설정해 두거나 계절의 변화 등 경우에 따라 설정된 값을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잔여 연료를 소비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연료 탱크(10) 내의 잔여 연료량을 사용자의 소비 패턴 정보에 해당하는 특정 단위 시간의 평균 연료 소비량으로 나누어 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산정된 적정한 연료 공급 일자를 기초로 하여 주문 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주문 정보는 통신 모듈(1301)에 의해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공급 업체의 단말 장치(30)로 전송된다.
공급 업체는 주문 정보가 수신되면 연료 탱크(10)에 남아있는 잔여 연료가 모두 소모되기 전에 연료를 공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연료의 부재로 인해 겪을 수 있는 사업 상 또는 생활 상 문제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고, 공급 업체는 연료 탱크(10) 내의 잔여 연료량이 충분함에도 소량의 연료를 공급하기 위해 관련된 경비의 불필요한 낭비를 막을 수 있다.
이상 패턴 감지 모듈(1304)은 잔량 모니터링 및 소비 패턴 정보 산정 모듈(1302)에서 산정된 사용자의 소비 패턴 정보인 특정 단위 시간에서 사용자의 평균 연료 소비량보다 실제 연료 사용량이 임계치 이상으로 갑작스럽게 초과하는 경우, 알림 메시지에 해당하는 전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알림 메시지에 대한 전기 신호는 통신모듈(1301)과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의 평균 연료 소비량이 1시간 동안 1L인 소비 패턴 하에, 실제 연료 소비량이 1시간 동안 2L로 산정되는 경우, 1L에 해당하는 연료의 누출이 의심된다는 내용의 알림 메시지에 대한 전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단말기는 휴대폰, 태블릿PC, 데스크탑, 노트북 중 하나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실제 사용된 연료량 이상의 양에 대한 불필요한 연료 소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연료의 누출로 발생할 수 있는 사고 위험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료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따르면, 관리 장치(100)는 연료 잔량에 대한 센싱 값을 외부 센서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S410).
관리 장치(100)는 센싱 값이 나타내는 연료의 잔량을 산출한다(S420).
그리고, 산출된 연료의 잔량에 대한 정보와 저장된 사용자의 소비 패턴 정보와 연료 공급에 소요되는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잔량에 대응되는 연료 공급 시점을 산출한다(S430).
이와 같이 산출된 연료 공급 시점을 기준으로 연료에 대한 주문 정보를 생성하여 공급 업체의 단말 장치(30)로 전송한다(S440).
도 5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주문 정보 생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따르면, 관리 장치(100)는 잔여 연료량에 대한 센싱 값을 수신하여(S510) 연료의 잔량을 산출한다(S520).
이 때, 산출된 연료의 잔량이 임계치에 도달하는 경우 주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에 진입하고, 산출된 연료의 잔량이 임계치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 다시 잔여 연료량에 대한 센싱 값을 수신한다(S530).
여기서 임계치는 연료 탱크(10) 전체 용량의 10% 내지 20% 범위에서 공급 업체가 미리 설정해 두거나 상술한 다양한 조건에 따라 설정 값을 변경할 수 있다.
주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에 진입하는 경우, 연료의 잔량이 임계치에 도달한 시점으로부터 후속되는 시간의 특정 조건에서 연료 탱크(10) 내의 잔여 연료량을 소비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계산한다(S540).
이와 같이 계산된 잔여 연료량 소모 예정시간이 연료 공급에 소요되는 시간과 같아지는 시점을 적정 공급일로 산정하여 추가 연료 공급을 의뢰하는 주문 정보를 생성하여 공급 업체로 전송한다(S550, S560).
만약, 잔여 연료량 소모 예정시간이 연료 공급에 소요되는 시간 미만인 경우에는 다시 잔량 소모 예정시간을 계산하는 단계로 돌아간다(S550).
여기서 적정 공급일은 연료 탱크(10) 내의 잔여 연료량을 소비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연료 공급에 소요되는 시간과 같아지는 시점을 기준으로 1일 전으로 산정될 수 있다.
또한, 공급이 필요한 연료량은 연료 탱크(10)의 전체 용량에서 적정 공급일에 측정된 잔여 연료량을 제외한 양일 수 있다.
한편, 후속되는 시간의 특정 조건은 여름, 겨울 등의 계절적인 요소와 학교, 병원 등의 사용자의 특징적인 요소가 될 수 있으며, 각 요소들이 결합될 수 도 있다.
여기서 계절적인 요소는 현재의 시간을 기초로 하여 봄, 여름, 가을, 겨울 중 하나로 특정될 수 있고, 사용자의 특징적인 요소는 연료를 사용하는 장소 또는 사용자의 사업 형태에 따라 가정, 학교, 병원, 회사, 공장, 충전소 중 하나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시간에 대한 특정 조건은 공급 업체 또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 두거나 시간의 경과에 따라 설정된 값을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연료를 보관하는 연료 탱크(10) 내 연료의 잔량을 측정할 뿐만 아니라, 잔여 연료량에 대한 사용자의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측정된 센싱 값을 기초로 생성된 소비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적정한 공급 시기에 연료가 공급되도록 자동으로 주문함으로써 연료 탱크(10) 내의 연료가 전부 소모되기 전에 공급 업체로부터 추가적인 연료의 공급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상술한 관리 방법들은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배포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연료 탱크(10)에 저장된 연료의 잔량을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20)로부터 센싱 값을 수신하는 단계, 센싱 값에 기초하여 잔량을 산출하는 단계, 연료 탱크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해 기 저장된 소비 패턴 정보와 상기 연료 탱크로 연료를 공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잔량에 대응되는 연료 공급 시점을 산출하는 단계 및 연료 공급 시점을 기준으로 연료 주문 정보를 생성하여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 코드가 기록 매체에 저장된 상태로 배포되거나, 온라인 상에서 배포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된 기록 매체가 탑재된 장치는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기록 매체는, ROM, RAM, 메모리 칩, 메모리 카드, 외장형 하드, 하드,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가 될 수 있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전술한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개량, 변경 및 수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는 점이 명백하게 이해되어야 한다.
10 : 연료탱크
20 : 센서
30 : 단말 장치
100 : 관리 장치
110 : 인터페이스
120 : 프로세서
130 : 저장부
1301 : 통신 모듈
1302 : 잔량 모니터링 및 소비 패턴 정보 산출 모듈
1303 : 자동 주문 생성 모듈
1304 : 이상 패턴 감지 모듈

Claims (10)

  1. 연료 탱크의 연료를 관리하는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료 탱크의 연료 잔량을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센싱 값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
    상기 연료 탱크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소비 패턴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
    상기 센싱 값에 기초하여 상기 잔량을 산출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소비 패턴 정보와 연료 공급에 소요되는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잔량에 대응되는 연료 공급 시점을 산출하여 연료 주문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연료 주문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연료 탱크 내의 기체의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제1 센서의 제1 센싱 값과,
    상기 연료 탱크 내의 액체의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제2 센서의 제2 센싱 값에 기초하여, 상기 기체와 상기 액체의 차압을 계산하여 잔량을 산출하는, 관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소비 패턴 정보는,
    특정 시간 조건에서의 단위 시간당 소비량을 포함하는, 관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연료 탱크의 잔량이 임계치에 도달하면,
    상기 임계치 도달 시점을 기준으로 후속되는 시간 조건에서의 단위 시간당 소비량을 이용하여 상기 잔량을 소모하는데 사용되는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잔량을 소모하는데 사용되는 시간으로부터 상기 연료 공급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산하여 상기 연료 공급 시점을 산출하고,
    상기 연료 공급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연료 탱크의 전체 용량에서 잔량을 제외한 양의 연료에 대한 연료 주문 정보를 생성하는, 관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소비 패턴 정보 및 실제 소비량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가 기 설정된 임계 조건을 초과하면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는, 관리 장치.
  6. 연료 탱크에 저장된 연료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료의 잔량을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센싱 값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센싱 값에 기초하여 상기 잔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연료 탱크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해 기 저장된 소비 패턴 정보와 상기 연료 탱크로 연료를 공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잔량에 대응되는 연료 공급 시점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연료 공급 시점을 기준으로 연료 주문 정보를 생성하여 외부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잔량을 산출하는 단계는,
    기체의 압력을 감지하는 제1 단계;
    액체의 압력을 감지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기체와 액체의 차압을 계산하여 잔량을 산출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관리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비 패턴 정보는,
    특정 시간 조건에서의 단위 시간당 소비량을 포함하는, 관리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공급 시점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연료 탱크의 잔량이 임계치에 도달하면,
    상기 임계치 도달 시점을 기준으로 후속되는 시간 조건에서의 단위 시간당 소비량을 이용하여 상기 잔량을 소모하는데 사용되는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잔량을 소모하는데 사용되는 시간으로부터 상기 연료 공급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산하여, 상기 연료 공급 시점을 산출하고,
    상기 연료 공급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연료 탱크의 전체 용량에서 잔량을 제외한 양의 연료에 대한 연료 주문 정보를 생성하는, 관리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소비 패턴 정보 및 실제 소비량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가 기 설정된 임계 조건을 초과하면,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는, 관리 방법.
KR1020230098986A 2022-11-24 2023-07-28 연료 잔량을 모니터링하여 소비 상황을 예측하는 관리 장치 및 그 방법들 KR202400783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9157 2022-11-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8303A true KR20240078303A (ko) 2024-06-03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31149B2 (en) Collecting and transmitting utility meter data
US10762584B2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nd managing intelligent water points in resource constrained regions
US11973831B2 (en) Disaggregation of gas load to determine gas appliance performance
US20110050395A1 (en) Utility monitoring system
US11971285B2 (en) Detection of low gas pressure without pressure sensors
US20230273053A1 (en) Disaggregation of Gas Load to Determine Meter or Service Under-Sizing
JP2013521558A (ja) 水道施設網内のリソースをモニタリング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60110736A1 (en) Advisor and notification to reduce bill shock
US2019008645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resource utilization improvements
US10145869B2 (en) Remote leak and failure detection of electrical water heaters through temperature and power monitoring
JP2013186621A (ja) 水使用状況監視システム
CN105183627A (zh) 一种服务器性能预测的方法及系统
KR20240078303A (ko) 연료 잔량을 모니터링하여 소비 상황을 예측하는 관리 장치 및 그 방법들
CN107767292B (zh) 智能供水管理系统及其方法
US20120109716A1 (en) Analyzing utility consumption
JP2014078228A (ja) エンドユーザベースのバックアップ管理
JP2019185630A (ja) 配達支援システム
JP2002108987A (ja) ガス供給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ガス供給システムの運転方法及びガス供給システム
KR101679818B1 (ko) 고객관리 통합형 배달대행 시스템
CN110796793A (zh) 一种蒸汽流量监控热网系统以及蒸汽流量的监控方法
KR20160040401A (ko) 홈 네트워크 기반의 에너지 사용량 모니터링 시스템 및 에너지 사용량 모니터링 방법
JP2005265739A (ja) ガスボンベ管理システム
CN117490810B (zh) 一种基于定位信息的水表远程监控方法及监控系统
US11379926B1 (en) Home device sensing
JP2003152880A (ja) メータ管理システム、メータ管理機器、メータおよびメータ管理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