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7573A - 스마트 트윈 볼라드 - Google Patents

스마트 트윈 볼라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77573A
KR20240077573A KR1020220158331A KR20220158331A KR20240077573A KR 20240077573 A KR20240077573 A KR 20240077573A KR 1020220158331 A KR1020220158331 A KR 1020220158331A KR 20220158331 A KR20220158331 A KR 20220158331A KR 20240077573 A KR20240077573 A KR 20240077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lard
notification
vehicle
data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8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보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클린스쿨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클린스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클린스쿨
Publication of KR20240077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77573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3Individual devices arranged in spaced relationship, e.g. buffer boll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E01F9/617Illuminated or wired-up posts, bollards, pillars or like upstanding bodies or structures for traffic guidance, warning or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21S9/03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the solar unit being separate from the lighting uni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1Traffic information broadcast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20Optical components
    • H02S40/22Light-reflecting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트윈 볼라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전 사각지대에 설치되어, 보행자에게는 차량을 감지하여 알려줄 수 있고, 차량 운전자에게는 보행자를 감지하여 알려줌으로써, 안전 사각지대에서 안전사고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스마트 트윈 볼라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안전 사각지대에 설치되는 것으로, 차량을 감지하는 제1 센서부, 외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 통신부, 및 데이터 수신 시 알림을 출력하는 제1 알림부를 포함하는 제1 볼라드와; 안전 사각지대에 설치되는 것으로, 보행자를 감지하는 제2 센서부, 외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 통신부, 및 데이터 수신 시 알림을 출력하는 제2 알림부를 포함하는 제2 볼라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볼라드에서 차량이 감지되면 해당 데이터를 상기 제2 볼라드로 전송하며, 상기 제2 볼라드에서 보행자가 감지되면 해당 데이터를 상기 제1 볼라드로 전송하고, 상기 제1 및 제2 볼라드 간 상호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제1 알림부는 보행자를 위한 알림을 출력하고, 상기 제2 알림부는 차량 운전자를 위한 알림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 트윈 볼라드{SMART TWIN BOLLARD}
본 발명은 스마트 트윈 볼라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전 사각지대에 설치되어, 보행자에게는 차량을 감지하여 알려줄 수 있고, 차량 운전자에게는 보행자를 감지하여 알려줌으로써, 안전 사각지대에서 안전사고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스마트 트윈 볼라드에 관한 것이다.
볼라드(bollard)는 보행자의 안전을 목적으로 보도와 차도의 경계에 설치된 인공적인 장애물로, 차량의 충돌을 막으며 보도 진입을 방지한다.
또한,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를 설치하여 보행자 흐름 조절 및 인도와 도로의 분리를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볼라드는 석재, 콘크리트, 금속 또는 플라스틱 등 다양한 소재를 봉 형태로 성형하여 이를 지면에 매설하여 시공하거나, 앵커 등과 같은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지면에 고정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볼라드는 대부분 미적인 형태로 설계되어 외관이 수려하게 꾸며지거나, 단순히 차량의 진입을 방지하기 위한 극히 제한적인 기능 밖에 사용되지 못하기 때문에 활용도가 크게 미흡하고, 그 활용도에 비해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안전 사각지대의 경우, 볼라드가 설치되어 있더라도 사람은 차량이 오는 것을 인지하지 못한 채 그냥 지나가게 되고, 차량의 경우에도 사람이 지나갈 것을 알지 못한채 그냥 지나가게 되므로,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게 되며, 볼라드가 제역할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59569호(2017.07.1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72685(2016.10.2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 배경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안전 사각지대에서 보행자가 안전하게 지나갈 수 있고, 차량도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는 스마트 트윈 볼라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안전 사각지대에서 보행자에게는 차량이 오고 있음을 알리고, 차량 운전자에게는 보행자가 오고 있음을 알림으로써,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스마트 트윈 볼라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볼라드는 차량을 감지하고, 다른 하나의 볼라드는 보행자를 감지하여, 상호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는 스마트 트윈 볼라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안전 사각지대에 설치되는 것으로, 차량을 감지하는 제1 센서부, 외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 통신부, 및 데이터 수신 시 알림을 출력하는 제1 알림부를 포함하는 제1 볼라드와; 안전 사각지대에 설치되는 것으로, 보행자를 감지하는 제2 센서부, 외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 통신부, 및 데이터 수신 시 알림을 출력하는 제2 알림부를 포함하는 제2 볼라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볼라드에서 차량이 감지되면 해당 데이터를 상기 제2 볼라드로 전송하며, 상기 제2 볼라드에서 보행자가 감지되면 해당 데이터를 상기 제1 볼라드로 전송하고, 상기 제1 및 제2 볼라드 간 상호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제1 알림부는 보행자를 위한 알림을 출력하고, 상기 제2 알림부는 차량 운전자를 위한 알림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알림부는, 상기 보행자가 오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LED 패널과, 경고음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알림부는, 상기 차량이 오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LED 패널과, 경고음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볼라드는, 상기 제1 알림부 및 제1 센서부의 구동을 위한 제1 태양광 집진모듈과 상기 제1 태양광 집진모듈을 통한 태양광 에너지를 저장하는 제1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볼라드는, 상기 제2 알림부 및 제2 센서부의 구동을 위한 제2 태양광 집진모듈과 상기 제2 태양광 집진모듈을 통한 태양광 에너지를 저장하는 제2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안전 사각지대에서 보행자가 안전하게 지나갈 수 있고, 차량도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안전 사각지대에서 하나의 볼라드에서는 차량을 감지하고, 다른 하나의 볼라드에서는 보행자를 감지하여,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보행자에게는 차량이 오고 있음을 알리고, 차량 운전자에게는 보행자가 오고 있음을 알림으로써,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트윈 볼라드의 설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트윈 볼라드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트윈 볼라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트윈 볼라드의 동작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트윈 볼라드의 동작을 간략히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및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며, 이러한 용어 중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는 것이고, 설명 상에 방향을 지칭하는 단어는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시점에 따라 변경 가능함을 주지하는 바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트윈 볼라드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트윈 볼라드의 설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트윈 볼라드는 안전 사각지대에 설치되는 것으로, 차량 운전자의 시야 또는 보행자의 시야에 들어오지 않는 영역이 존재하는 곳에 설치된다.
즉, 도 1과 같은 골목길의 경우, 차량(80)은 길 끝에서 지나가려고 보행하고 있는 보행자(90)를 볼 수 없고, 보행자(90)의 경우에도 골목길 안에서 주행하고 있는 차량(80)을 볼 수 없다.
이러한 경우, 안전사고가 발생될 가능성이 매우 높고, 볼라드가 설치되어 있더라도, 볼라드로 인해 사고가 방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는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트윈 볼라드는 이와 같은 안전 사각 지대에 설치되어, 안전 사고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트윈 볼라드는 제1 볼라드(100)는 차량(80)을 감지하고, 제2 볼라드(200)는 보행자(90)를 감지하도록 설치된다.
제1 및 제2 볼라드(100, 200)의 위치는 도 1에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각이 차량(80) 또는 보행자(90)를 감지하며, 상호 통신, 예컨대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위치에 구비되면 된다.
이하에서는 제1 및 제2 볼라드(100, 200)에 대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트윈 볼라드를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트윈 볼라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도 3a와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트윈 볼라드는 안전 사각지대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1 볼라드(100)와 제2 볼라드(200)를 포함한다.
제1 볼라드(100)는 차량을 감지하는 제1 센서부(10), 외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 통신부(50), 데이터 수신 시 알림을 출력하는 제1 알림부(20), 제1 알림부(20) 및 제1 센서부(10)의 구동을 위한 제1 태양광 집진모듈(30), 및 제1 태양광 집진모듈(30)을 통한 태양광 에너지를 저장하는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한다.
먼저, 제1 센서부(10)는 차량이 오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거리인식 센서부로서, 레이더 센서, 초음파 센서, 및 PIR(Passive Infrared) 센서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1 센서부(10)를 통해 도로 위의 객체를 인식하고, 이를 기반으로 객체가 제1 볼라드(100)와 상대적 거리를 기반으로 어느 범위에 위치해 있는가를 측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객체의 위치가 특정되면, 그 객체가 차량인지 보행자인지를 구분하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PIR 센서가 사용된다. PIR 센서는 객체의 움직임과 보행자 또는 동물이 방출하는 적외선을 통하여 이를 구분하게 되고, 이렇게 구분된 데이터, 예컨대 차량 감지 데이터를 제1 통신부(50)를 통해 제2 볼라드(200)로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제1 센서부(10)는 레이더 센서, 초음파 센서, 및 PIR 센서를 통해 차량을 감지하게 되고, 차량이 감지되면, 차량 감지 데이터를 제1 통신부(50)를 통해 제2 볼라드(200)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제1 알림부(20)는 데이터 수신 시 알림을 출력하는데, 즉 제2 볼라드(200)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즉 제2 볼라드(200)로부터 보행자 감지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알림을 출력한다.
이러한 제1 알림부(20)는 보행자가 오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LED 패널(미도시)과 경고음을 출력하는 스피커(미도시)를 포함한다.
즉, 제1 알림부(20)는 보행자를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볼라드(200)로부터 보행자 감지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보행자를 향해 설치된 LED 패널을 통해 차량이 감지되었음을 알리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알림부(20)의 LED 패널을 통해 보행자에게 차량이 감지되었음을 알리는 것이 도 3a에 도시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알림부(20)는 차량 그림을 표시하여 차량이 오고 있음을 알릴 수 있고, 또는 stop과 같은 글자를 표시하여 차량이 오고 있으니 보행자가 멈추도록 알릴 수도 있으며, 스피커를 통한 경고음을 발생시켜 보행자가 차량이 오고 있음을 인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1 알림부(20)의 LED 패널은 야간 조명 역할을 할 수 있는데, 야간에 지나가는 보행자 또는 차량 운전자의 안전과 거리의 미관을 위해 야간 조명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태양광 집진모듈(30)은 제1 알림부(20) 및 제1 센서부(10)의 구동을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볼라드(100)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제1 태양광 집진모듈(30)은 제1 볼라드(100)의 지름에 대응되는 크기로 설치되되, 해당 지름에서 최대 출력량으로 효율적인 태양광 집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제1 태양광 집진모듈(30)을 통해 집진된 태양광 에너지는 배터리(미도시), 예컨대 리튬 이온 배터리에 저장된다.
다음으로, 제1 통신부(50)는 무선통신 모듈, 예컨대 블루투스 모듈일 수 있고, 지그비(Zigbee), WiFi(Wireless Fidelity), RFID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 통신부(50)를 통해 제1 볼라드(100)와 제2 볼라드(200)는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제어부(40)는 제1 볼라드(100)의 전술한 구성들을 제어하고, 전술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즉, 제1 제어부(40)는 제1 센서부(10)로부터 감지된 데이터를 제1 통신부(50)를 통해 제2 볼라드(200)로 전송하고, 제2 볼라드(200)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면, 제1 알림부(20)를 통해 차량 진입을 알리도록 한다.
그리고 제1 제어부(40)는 제1 태양광 집진 모듈(30)을 통해 집진된 태양광 에너지를 배터리에 저장시키고, 배터리에 저장된 에너지를 상기 구성들의 구동에 사용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제2 볼라드(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볼라드(200)는 전술한 제1 볼라드(100)와 유사하고, 센서부를 통해 감지하는 객체에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 제1 볼라드(100)와 유사한 부분은 간략하게 설명한다.
제2 볼라드(200)는 보행자를 감지하는 제2 센서부(210), 외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 통신부(250), 데이터 수신 시 알림을 출력하는 제2 알림부(220), 제2 알림부(220) 및 제2 센서부(210)의 구동을 위한 제2 태양광 집진모듈(230), 및 제2 태양광 집진모듈(230)을 통한 태양광 에너지를 저장하는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한다.
먼저, 제2 센서부(210)는 보행자가 오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거리인식 센서부로서, 레이더 센서, 초음파 센서, 및 PIR 센서를 포함한다. 제2 센서부(210)는 감지된 객체가 차량인지 보행자인지를 구분하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PIR 센서가 사용된다.
이와 같이 감지된 데이터, 즉 보행자 감지 데이터는 제2 통신부(250)를 통해 제1 볼라드(100)로 전송된다.
즉, 제2 센서부(210)는 레이더 센서, 초음파 센서, 및 PIR 센서를 통해 보행자를 감지하게 되고, 보행자가 감지되면, 보행자 감지 데이터를 제2 통신부(250)를 통해 제1 볼라드(100)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제2 알림부(220)는 데이터 수신 시 알림을 출력하는데, 즉 제1 볼라드(100)로부터 차량 감지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알림을 출력한다.
이러한 제2 알림부(220)는 차량이 오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LED 패널(미도시)과 경고음을 출력하는 스피커(미도시)를 포함한다.
즉, 제2 알림부(220)는 차량 운전자를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볼라드(100)로부터 차량 감지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차량 운전자를 향해 설치된 LED 패널을 통해 보행자가 감지되었음을 알리게 된다.
이와 같이, 제2 알림부(220)의 LED 패널을 통해 차량 운전자에게 보행자가 감지되었음을 알리는 것이 도 3b에 도시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알림부(220)는 사람 그림을 표시하여 보행자가 오고 있음을 알릴 수 있고, 또는 slow과 같은 글자를 표시하여 보행자가 오고 있으니 차량 운전자가 천천히 운전할 수 있도록 알릴 수도 있으며, 스피커를 통한 경고음을 발생시켜 차량 운전자가 보호자가 오고 있음을 인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2 알림부(220)의 LED 패널은 야간 조명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2 태양광 집진모듈(230)은 제2 알림부(220) 및 제2 센서부(210)의 구동을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볼라드(200)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태양광 집진모듈(230)을 통해 집진된 태양광 에너지는 배터리(미도시), 예컨대 리튬 이온 배터리에 저장된다.
다음으로, 제2 통신부(250)는 무선통신 모듈, 예컨대 블루투스 모듈일 수 있고, 지그비, WiFi, RFID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2 통신부(250)를 통해 제1 볼라드(100)와 제2 볼라드(200)는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제어부(240)는 제2 볼라드(200)의 전술한 구성들을 제어하고, 전술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트윈 볼라드의 동작 순서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트윈 볼라드의 동작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제1 볼라드(1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센서부(10)를 통해 차량이 오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 여기서, 제1 볼라드(100)가 차량을 감지하지 못한 경우, 계속해서 S1 단계를 반복하게 된다.
S1 단계에서 제1 볼라드(100)가 차량을 감지한 경우, 제1 볼라드(100)는 제2 볼라드(200)로부터 보행자 감지 데이터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3). 여기서, 제1 볼라드(100)는 보행자 감지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S1 단계로 복귀한다.
S3 단계에서 제1 볼라드(100)가 제2 볼라드(200)로부터 보행자 감지 데이터가 수신된 것으로 확인하면, S1 단계에서 감지하였던 차량 감지 데이터를 제2 볼라드(200)로 전송한다(S5).
즉, 제1 볼라드(100)와 제2 볼라드(200)는 상호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는 어느 하나의 볼라드에서만 객체를 감지한 경우, 다른 볼라드에 그 데이터를 알릴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다시 설명하면, 제1 볼라드(100)에서 차량을 감지하였더라도, 제2 볼라드(200)로부터 보행자 감지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으면, 차량은 오고 있으나, 지나가려는 보행자가 없는 상태가 되므로, 이를 알릴 필요가 없다.
그러나, 제1 볼라드(100)에서 차량을 감지하였고, 제2 볼라드(200)로부터 보행자 감지 데이터가 수신되면, 차량이 오고 있고, 지나가려는 보행자가 있는 상태가 되므로, 이를 알리게 되는 것이다.
S5 단계를 진행한 후, 제1 볼라드(100)는 보행자가 오는 방향으로 설치된 제1 알림부(20)를 통해 차량이 진입되고 있음을 알린다(S7). 이 때, 제1 알림부(2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그림을 표시하여 차량이 오고 있음을 알리거나, stop과 같은 글자를 표시하여 차량이 오고 있으니 보행자가 멈추도록 알릴 수도 있으며, 스피커를 통한 경고음을 발생시켜 보행자가 차량이 오고 있음을 인지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제2 볼라드(2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센서부(210)를 통해 보행자가 오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21). 여기서, 제2 볼라드(200)가 보행자를 감지하지 못한 경우, 계속해서 S21 단계를 반복하게 된다.
S21 단계에서 제2 볼라드(200)가 차량을 감지한 경우, 제2 볼라드(200)는 제1 볼라드(100)로부터 차량 감지 데이터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23). 여기서, 제2 볼라드(200)는 보행자 감지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S21 단계로 복귀한다.
S23 단계에서 제2 볼라드(200)가 제1 볼라드(100)로부터 차량 감지 데이터가 수신된 것으로 확인하면, S21 단계에서 감지하였던 보행자 감지 데이터를 제1 볼라드(100)로 전송한다(S25).
이어서, 제2 볼라드(200)는 차량이 오는 방향으로 설치된 제2 알림부(220)를 통해 보행자가 오고 있음을 알린다(S27). 이 때, 제2 알림부(220)는 사람 그림을 표시하여 보행자가 오고 있음을 알리거나, 또는 slow과 같은 글자를 표시하여 보행자가 오고 있으니 차량 운전자가 천천히 운전할 수 있도록 알릴 수도 있으며, 스피커를 통한 경고음을 발생시켜 차량 운전자가 보호자가 오고 있음을 인지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트윈 볼라드에서 제1 및 제2 볼라드(100, 200)의 상호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간략히 살펴본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트윈 볼라드의 동작을 간략히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제1 볼라드(100)와 제2 볼라드(200)가 순차적으로 동작을 진행하는 것처럼 도시되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도식화에 따른 것으로, 제1 볼라드(100)와 제2 볼라드(200)는 개별적으로 동작을 진행하게 된다.
그리고 도 5는 각 볼라드(100, 200)에서 차량 및 보행자가 감지된 상태인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한 것으로, 상호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것을 설명하기 위하여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볼라드(100)가 차량을 감지하고(S101), 제2 볼라드(200)가 보행자를 감지하게 되면(S103), 각 볼라드(100, 200)는 서로에게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즉, 제1 볼라드(100)는 제2 볼라드(200)로 차량 감지 데이터를 전송하고(S105), 제2 볼라드(200)는 제1 볼라드(100)로 보행자 감지 데이터를 전송한다(S107).
이어서, 제1 볼라드(100)는 보행자에게 차량 진입을 알리게 되고(S109), 제2 볼라드(200)는 차량 운전자에게 보행자가 오고 있음을 알리게 된다(S111).
이와 같이, 제1 및 제2 볼라드(100, 200)는 상호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호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각 알림부(20, 220)를 통해 알림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200; 볼라드
10, 210; 센서부
20, 220; 알림부
30, 230; 태양광 집진 모듈
40, 240; 제어부
50, 250; 통신부

Claims (3)

  1. 안전 사각지대에 설치되는 것으로, 차량을 감지하는 제1 센서부, 외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 통신부, 및 데이터 수신 시 알림을 출력하는 제1 알림부를 포함하는 제1 볼라드와;
    안전 사각지대에 설치되는 것으로, 보행자를 감지하는 제2 센서부, 외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 통신부, 및 데이터 수신 시 알림을 출력하는 제2 알림부를 포함하는 제2 볼라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볼라드에서 차량이 감지되면 해당 데이터를 상기 제2 볼라드로 전송하며, 상기 제2 볼라드에서 보행자가 감지되면 해당 데이터를 상기 제1 볼라드로 전송하고,
    상기 제1 및 제2 볼라드 간 상호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제1 알림부는 보행자를 위한 알림을 출력하고, 상기 제2 알림부는 차량 운전자를 위한 알림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트윈 볼라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알림부는,
    상기 보행자가 오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LED 패널과, 경고음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알림부는,
    상기 차량이 오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LED 패널과, 경고음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트윈 볼라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볼라드는,
    상기 제1 알림부 및 제1 센서부의 구동을 위한 제1 태양광 집진모듈과 상기 제1 태양광 집진모듈을 통한 태양광 에너지를 저장하는 제1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볼라드는,
    상기 제2 알림부 및 제2 센서부의 구동을 위한 제2 태양광 집진모듈과 상기 제2 태양광 집진모듈을 통한 태양광 에너지를 저장하는 제2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트윈 볼라드.
KR1020220158331A 2022-11-23 스마트 트윈 볼라드 KR20240077573A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7573A true KR20240077573A (ko) 2024-06-03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3563B1 (ko) 스마트 볼라드를 이용한 교통관리 시스템
EP2141676A1 (en) Pedestrian crossing with presence detector and warning
US10176713B2 (en) Emergency alert and warning apparatus
KR101793920B1 (ko) 비상알림 경고시스템
EA039644B1 (ru) Интеллектуальное дорожное ограждение
KR101586011B1 (ko) 충돌 감지 장치를 가지는 도로 펜스 장치
CN211827590U (zh) 基于智能道钉的视觉盲区来车预警系统
KR20130067152A (ko) 센서 노드 장치,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충돌 정보 전달 방법
KR101440478B1 (ko) 지능형 교통신호 제어방법 및 시스템
Lozano Domínguez et al. Design, modelling, and implementation of a fuzzy controller for an intelligent road signaling system
KR101889972B1 (ko) 태양광을 이용한 휀스
KR102106637B1 (ko) 스마트 방지턱
KR102259940B1 (ko) 친환경 에너지를 이용한 도로 반사경장치
KR101340755B1 (ko) 속도감응형 차량 감지장치 및 방법
KR102313980B1 (ko) 볼라드형 조명 장치
KR101651836B1 (ko) 스마트 보행신호음성안내보조장치
KR200448567Y1 (ko) 매립형 보조신호등
WO2007039924A2 (en) System for surveying and signalling the presence of obstacles on the roadway
KR101192356B1 (ko) 도로 시설물 감시시스템
KR20240077573A (ko) 스마트 트윈 볼라드
CN212865713U (zh) 一种市政工程用防撞护栏
KR102398340B1 (ko) 안전을 위한 교통 안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차장 교차로에서의 차량 충돌 방지 방법
KR20100100484A (ko) 충격흡수장치의 충돌사고 감시 시스템
AU2013101243A4 (en) Improvements to Railway Crossing Alert System
JP4894472B2 (ja) 報知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