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7343A - 멜린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멜린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77343A
KR20240077343A KR1020220159818A KR20220159818A KR20240077343A KR 20240077343 A KR20240077343 A KR 20240077343A KR 1020220159818 A KR1020220159818 A KR 1020220159818A KR 20220159818 A KR20220159818 A KR 20220159818A KR 20240077343 A KR20240077343 A KR 202400773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preventing
periodontal disease
composition
tr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9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혜진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40077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7734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Abstract

본 발명은 멜린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염증을 예방하고, 조골세포의 증식 및 분화를 촉진하고, 파골세포의 형성 및 활성을 감소시켜 치조골의 파괴를 억제하며, 치주인대세포의 증식과 세포활성을 증가시키는 멜린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멜린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Melindjo EXTRACT THEREOF FOR PREVENTING AND TREATING OF PERIODONTITIS}
본 발명은 멜린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치주조직은 치조골, 치은(잇몸) 및 치주인대로 이루어져 있다. 잇몸은 우리가 입안에서 볼 수 있는 치아 지지조직의 일부분으로 여기서 질환(치은염)이 시작되는데, 질환이 심화되어 지지조직으로 점점 깊게 퍼져나가면 치아 뿌리면과 치아를 둘러싸고 있는 뼈 조직에 결합되어 있는 치주인대가 파괴되고 치아를 싸고 있는 치조골도 파괴되면서 치주질환이 발생하게 된다.
치은염 및 치주염을 포함하는 치주질환은 세균에 의해 야기되는 치아지지 조직의 염증상태로서, 출혈, 치주낭의 형성 및 치조골의 파괴 등으로 인하여 치아의 상실을 가져오는 질환이다. 이러한 치주질환은 세균의 집락형성, 세균의 치주조직 침투 및 치주조직이 파괴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구체적으로, 불량한 구강 위생상태로 인하여 구강 세균이 서식하면 세균막을 형성하여 염증이 생기고 가끔 잇몸에서 피가 나고 구취가 나며, 이러한 상태로 더 진행되면 치아와 잇몸 사이의 벌어진 틈이 더 깊어져서 치주낭이 생기고, 여기에 치주질환을 일으키는 세균들이 번식하여 치주염이 발생된다. 치주염이 진행되면 칫솔질과 같은 약한 자극에도 잇몸에서 피가 나기도 하며 붓고, 종종 급성염증으로 변화되어 통증을 유발한다. 이러한 염증은 골을 생성하는 기능은 저하시키고, 골을 흡수하는 기능은 증가시켜 치조골이 점점 소실되고 파괴되어 결국 치아를 상실하게 된다.
치주질환의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국소적 요인으로 치태가 치주낭 내에 축적되면 주변에 존재하는 혐기성그람음성 세균들의 서식처가 되어, 치주낭의 심부로 증식되게 된다. 이때 증식된 혐기성 그람음성 세균의 독소 및 모든 산물이 직접 조직을 파괴하거나 면역계를 자극하여 자극된 면역계의 여러 가지 작용에 의하여 치주조직 파괴와 더불어 염증을 유발하게 된다. 이에 대한 방어기전으로 다형핵백혈구의 기능과 면역반응이 전신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즉, 치주조직 파괴와 염증은 혐기성 그람음성 세균들의 대사 산물인 황화수소, 암모니아 및 유독한 아민과 같은 세포 독소와 혐기성 그람음성 세균들의 세포벽 구성분인 리포폴리사카라이드(Lipopolysaccharide)와 같은 내독소에 의해 직접 조직이 파괴되거나 생체 면역계를 자극하여 자극된 체액성 및 세포성 면역계의 작용으로 세포외부로 분비된 활성산소,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루코트리엔(Leukotrien), 히스타민(Histamine), 인터루킨(Interleuckin)등의 다양한 사이토카인(Cytokine)에 의해 유발된다. 또한 세균 및 백혈구로부터 분비된 콜라게네이즈와 같은 효소에 의하여 치주조직의 기질인 콜라젠이 분해되어 잇몸퇴축이 일어나고, 계속 방치하게 되면 치주질환으로 진행된다.
따라서, 치주질환의 근원적인 발병인자인 혐기성 그람음성 세균에 대한 항균작용, 정균작용 및 세균의 독성산물 제거 그리고 소실된 치주조직 원상회복이 치주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중요한 관건이다.
현재, 치주질환의 치료에는 환자의 구강위생 개선, 비외과적 치료 및 외과적 치료(치석제거술, 치근활택술, 치은소파술, 신부착을 응용한 치주조직의 재생술)가 이용되고 있다. 가장 효과적인 치료인 외과적 치료 방법은 치료를 위해 치과를 가야하는 번거로움과 병의 예방보다는 병이 어느 정도 진행되었을 때 행하는 한계성 때문에, 치주질환에 대한 치료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치주질환은 대부분 만성 질환으로 진행된다. 부가적인 치료로 전신적인 항생제의 복용과 국소 서방형 제재가 사용되어 왔으나, 불필요한 부위에도 약물이 너무 많이 전달되어 그로 인한 부작용과 최근 사용되는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나타내는 치주질환균이 분리된 예가 보고되고 있어 심각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러한 외과적 치료의 한계성과 항생제 사용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치주질환 예방 및 치료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파괴 및 소실된 치주조직을 원상 회복시키는 효능을 지닌 제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KR 10-2017-0162217 A
본 발명의 목적은 멜린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양 괴사인자-알파(TNF-α)의 유리를 억제함으로써 염증을 예방하고, 조골세포의 증식 및 분화를 촉진하고, 파골세포의 형성 및 활성을 감소시켜 치조골의 파괴를 억제하며, 치주인대세포의 증식과 세포활성을 증가시키는 멜린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주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멜린조 (melinjo)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6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되는 것이다.
상기 치주질환은 치은염 (gingivitis), 치주염 (periodontitis)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환을 포함한다.
상기 조성물은 구강건조증 예방 및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구강건조증은 산식증(acid erosion), 구강 칸디다증(oral candidiasis), 미각장애(dysgeusia), 연하곤란(dysphagia), 구강 감각장애(oral dysesthesia), 구취(intraoral halitosis)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치주질환 예방용 치약은 상기 치주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치주질환 예방용 가글액은 상기 치주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멜린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양 괴사인자-알파(TNF-α)의 유리를 억제함으로써 염증을 예방하고, 조골세포의 증식 및 분화를 촉진하고, 파골세포의 형성 및 활성을 감소시켜 치조골의 파괴를 억제하며, 치주인대세포의 증식과 세포활성을 증가시키는 멜린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특정 질환의 증상을 억제하거나 진행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특정 질환의 증상을 호전 또는 이롭게 변경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선”은 치료되는 상태와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를 적어도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주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멜린조 (Syneilesis aconitifolia (Bunge) Maxi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치주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멜린조(melinjo)는 그네툼과(Gnetaceae)의 상록 교목(Gnetum gnemon). 열매 비슷한 구과에는 2~4센티미터인 견과 같은 큰 씨가 들어 있다. 주로 인도네시아에서 어린잎은 채소로, 구과의 씨는 가루로 하여 기름에 튀겨 스낵으로 먹는다. 씨에는 폴리페놀이 풍부하다. 동남아시아가 원산지이다.
상기 멜린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6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멜린조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멜린조 잎을 세척하는 단계; 세척 후 건조시키는 단계; 건조 후 멜린조 잎을 분쇄하는 단계;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상기 분쇄물을 침출시키는 단계; 시료를 침출 후 건조시키는 단계; 물을 이용하여 침출시키는 단계; 및 침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멜린조 추출물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은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분획을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초음파 추출법, 침출법 및 환류 추출법 등 당업계의 통상적인 추출 방법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척 및 건조로 이물질이 제거된 멜린조 추출물을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으며, 상기 용매들을 순차적으로 시료에 적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환류 추출법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100 mL기준으로, 천연물의 분쇄물 10 내지 30g, 환류 시간 1 내지 3시간 및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또는 물에 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100 mL 또는 물 100 mL 기준으로, 천연물의 분쇄물 10 내지 20g, 환류 시간 1 내지 2시간 및 70 내지 90%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또는 물에 의한 것이다.
상기 침출법은 15 내지 30℃, 24 내지 72시간 동안 진행하며, 추출 용매로 물 또는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을 이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20 내지 25℃, 30 내지 54시간 동안 진행하며, 추출 용매는 물 또는 70 내지 8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상기 초음파 추출법은 30 내지 50℃, 0.5 내지 2.5시간 동안 반응을 진행하며, 추출용매는 물 또는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40 내지 50℃, 1 내지 2.5시간 동안 추출하며, 추출용매로 물 또는 70 내지 8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상기 추출 용매는 시료의 중량 기준으로 2 내지 50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2 내지 20배이다. 추출을 위해 시료는 추출 용매에서 추출을 위해 1 내지 72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24 내지 48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다.
추출 후, 추출물은 새로운 분획 용매를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분획할 수 있다. 분획 시 사용하는 분획 용매는 상기 용매는 물, 헥산, 부탄올, 에틸아세트산,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메틸렌클로라이드이다.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얻은 후에는 농축 또는 동결건조 등의 방법을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치주질환은 치은염 (gingivitis), 치주염 (periodontitis)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환을 포함한다.
치주질환은 병의 정도에 따라 치은염(gingivitis)과 치주염(periodontitis)으로 나뉜다. 비교적 가볍고 회복이 빠른 형태의 치주질환으로 잇몸 즉, 연조직에만 국한된 형태를 치은염이라고 하고, 이러한 염증이 잇몸과 잇몸뼈 주변까지 진행된 경우를 치주염이라고 한다. 치아검사와 치주검사를 통해 치아와 치은의 상태를 확인하여 치은염 및 치주염에 대한 진단을 내리고, 방사선 검사를 실시하여 치조골의 파괴 정도를 확인해 볼 수 있다.
치은염 (gingivitis)은 세균에 의한 염증반응이 표층 연조직에만 나타나는 단계이고, 이 틈(sulcus)의 잇몸 선 아래 부분을 공격하여 치주인대와 주변 골조직까지 손상되는 것이 치주염이다. 염증이 진행되어 더 많은 치주인대 조직이 손상되면 좁고 얕은 열구가 깊어져 치주낭(periodontal pocket)으로 발전한다. 치주염이 심할수록 치주낭이 깊어지면서 치아 뿌리를 감싸고 있는 치조골 소실도 일어나게 된다. 염증이 진행될수록 잇몸과 치아 사이가 더욱 벌어지고 결국에는 치아가 흔들리게 되는데 방치할 경우 저절로 치아가 탈락하기도 한다.
치주질환의 치료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세균성 플라크와 치석을 깨끗이 제거하여 세균의 번식에 유리한 환경을 만들지 않는 것이다. 먹는 잇몸 치료약은 치료에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 클로르헥시딘(chlorhexidine)이라는 양치액을 사용하거나 잇몸과 치아 사이에 특수 약제를 넣기도 하며, 잇몸에 있는 특수한 세균을 박멸하기 위한 항생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치주질환과 관련되어 나타나는 뼈의 손실, 염증 및 결체조직의 파괴와 연관된 주된 사이토카인은 인터루킨-1(IL-1)과 종양 괴사인자로 알려져 있다.
상기 조성물은 구강건조증 예방 및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건강한 성인은 하루에 1~1.5L의 침이 분비되는데, 이보다 적게 침이 나오면 입이 마른다고 느끼게 된다. 또는 입으로 숨을 쉬면서 입 안의 수분이 증발되면 주관적으로 구강 건조함을 느낄 수 있다.
구강의 건조감이 심하면, 음식을 씹어 삼키기 어려워지고, 말을 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 또한, 침이 소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소화 장애도 생길 수 있으며, 맵거나 자극적인 음식을 먹으면 입 안에 통증을 느낄 수도 있다. 치은염이나 충치 등도 더 잘 생긴다.
상기 구강건조증은 산식증(acid erosion), 구강 칸디다증(oral candidiasis), 미각장애(dysgeusia), 연하곤란(dysphagia), 구강 감각장애(oral dysesthesia), 구취(intraoral halitosis)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환을 포함한다.
구강건조증(Xerostomia)은 타액선과 관련하여 가장 흔한 임상적 증상이다. 비자극시에 분비되는 타액의 양이 분당 0.1 mL 이하인 경우 구강건조증으로 진단된다. 구강건조증의 발병원인은 주로 항우울증, 항당뇨, 항알레르기 등 다양한 약물의 부작용이다. 자연 노화에 의한 구강건조증은 타액선의 실질조직이 감소하고 지방조직으로 대체되거나 샘꽈리 용적이 감소하여 나타난다. 또한, 자가면역질환인 쇼그렌 증후군이나 방사선 치료에 의해 타액선이 파괴되거나 타액선의 혈류가 차단되어 나타나기도 한다. 구강 내 타액 양이 감소되면 충치, 산식증(acid erosion), 구강칸디다증(oral candidiasis), 미각장애(dysgeusia), 연하곤란(dysphagia), 구강 감각장애(oral dysesthesia), 구취(intraoral halitosis) 등이 동반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치주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멜린조 추출물 외에 천연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추출물은 모새나무(Vaccinium bracteatum Thunb.) 추출물, 털큰앵초(Primula PJsoana var. pubescens) 추출물, 파드득나물(Cryptotaenia japonica)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모새나무(Vaccinium bracteatum Thunb.)는 한반도 남쪽 섬에 나는 상록관목으로 높이 3m이고 가지가 많다. 잎은 어긋나며, 두껍고, 타원형이고 길이 2.5~6cm, 폭 1~2.5cm이다. 양 끝이 뾰족하고, 표면은 짙은 녹색, 뒷면은 연두색, 가장자리에 가는 톱니가 있고, 잎 밑 양쪽에 선체가 있다. 꽃은 은방울 모양, 총상꽃차례이며 길이 2~5cm, 10여 송이씩 밑으로 처져 달린다. 포는 피침형, 화관은 흰색에 통 모양이며 길이 5~7mm이다. 열매는 장과, 검은 자주색으로 익고, 흰 가루로 덮이며, 둥근 모양이다. 개화기는 6~7월이며 열매는 식용한다.상기 털큰앵초(Primula PJsoana var. pubescens)는 쌍떡잎식물 합판화군 앵초목 앵초과의 여러해살이로, 큰앵초에 비하여 잎자루와 꽃줄기에 긴 털이 많으며, 원줄기는 없이 뿌리줄기가 옆으로 뻗는다. 꽃은 통꽃으로 지름 1.5~2.5cm의 붉은 자주색 꽃이 7~8월에 핀다. 열매는 길이 7~12mm의 긴 타원형의 삭과(果)를 맺는다.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상기 파드득나물(Cryptotaenia japonica)은 반디나물이라고도 일컬어지는 우리나라 산지에서 자라는 나물이다. 높이는 약 30 내지 60cm이다. 줄기는 곧추서고 약간 갈라지며 전체에 털이 없고 향기가 있다. 줄기와 잎은 녹색이고 뿌리는 굵은 것이 특징이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5 내지 17cm로 길며 3 개의 작은 잎으로 되는데 뒷면에 윤기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끝쪽의 작은 잎은 잎자루가 없고 달걀 모양으로서 길이 3 내지 8cm이며, 나비 2 내지 6cm이다.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은 급히 좁아지며 가장 자리에 날카롭고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곁쪽의 작은 잎은 크기와 모양이 서로 같고 잎자루가 없으며 때로 불규칙한 톱니가 있는 가장자리가 2 내지 3개로 얕게 갈라진다. 꽃은 흰색 또는 연한 자주색이며 6 내지 7월에 가지 끝에 복산형꽃차례[複傘形花序]로 달린다. 작은 꽃자루는 1 내지 4개로서 길고 짧은 것이 있는데 길이 3 내지 15mm이고 곧추서는 특징을 갖는다. 작은 총포조각은 줄 모양이고 짧다. 꽃잎은 5개로서 끝부분이 안으로 굽고 꽃받침은 5개이며 수술도 5개이다. 열매는 분열과로서 길이 3 내지 4mm의 긴 타원형이며, 털이 없고 8 내지 9월에 익는 것이 특징이다. 어린 잎은 식용하고 야채로 재배하기도 한다. 여름에 채취한 것은 그늘에 말려서 갑상선종 등에 약재로 이용하기도 한다.
더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치주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멜린조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해서, 모새나무 추출물 10 내지 20 중량부, 털큰앵초 추출물 10 내지 20 중량부 및 파드득나물 10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치주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상기 멜린조 추출물에 모새나무 추출물, 털큰앵초 추출물 및 파드득나물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경우, 멜린조 추출물만을 포함하는 경우에 비해, 우수하게 종양 괴사인자-알파(TNF-α)의 유리를 억제할 수 있으며, 조골세포의 증식 및 분화를 촉진하고, 파골 세포의 형성 및 활성을 감소시켜 치조골의 파괴 억제할 수 있는 활성이 높아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치주질환 예방용 치약은 상기 치주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치주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치약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조성물을 치약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기능성 식품 또는 기능성 성분과 혼합 또는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치주질환 예방용 가글액은 상기 치주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가글액은 구강을 가글링(Gargling)할 수 있는 조성물 기타, 구강 내를 세정하기 위한 제재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상기 가글액은 오일 기반의 조성이어야 하며, 계면활성제 또는 알로올을 혼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체적인 제형은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선택하여 혼합할 수 있는 구성 및 혼합범위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제조예 1: 천연 추출물의 제조]
1. 멜린조 추출물의 제조
멜린조 잎을 세척하고 건조한 뒤 이를 분쇄하였다. 상기 분쇄물을 에탄올에 혼합하고 이를 2시간 동안 98 내지 100℃를 유지하여, 냉각시킨 뒤 와트만 여과지로 여과하여 그 여액을 수득하였다. 이를 멜린조 추출물(ME)로 제조하였다.
2. 기타 천연 추출물의 제조
상기 멜린조 추출물(ME)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EVE), 털큰앵초 추출물(EPP) 및 파드득나물 추출물(ECJ)를 제조하였다.
3. 혼합 추출물의 제조
상기 제조된 멜린조 추출물(ME),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EVE), 털큰앵초 추출물(EPP) 및 파드득나물 추출물(ECJ)를 하기 표 1과 같은 중량 범위 내로 혼합하여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JE1 JE2 JE3 JE4 JE5
ME 100 100 100 100 100
EVE - 5 10 20 25
EPP - 5 10 20 25
ECJ - 5 10 20 25
(단위: 중량부)
[실시예 1: TNF-α의 분비 억제 실험]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멜린조 추출물(ME, JE1) 및 혼합 추출물 JE2 내지 JE5가 사람단핵세포주(Human monocytic cell line)인 THP-1 세포에서 유리되는 사이토카인 TNF-α의 유리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사람에서 유래된 세포주인 THP-1 세포(ATCC No. TIB-202)를 ATCC(Rockville, USA)에서 구입하여 RPMI 1640(Gibco, BRL, USA)에 10% FBS(fetal bovine serum)를 첨가한 배지에서 배양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상기 세포주를 96-웰 플레이트에 ㎖당 5×105개가 되도록 세포를 분주하고, 리포폴리사카라이드를 첨가하여 TNF-α가 분비되도록 세포를 활성화시켰다.
LPS와 동시에 실험군에는 멜린조 추출물(ME) 및 혼합 추출물 JE2 내지 JE5을 처리하였고, 처리 후 세포 배양액 안에 TNF-α의 양을 효소면역 측정법(ELISA)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ME, JE1 JE2 JE3 JE4 JE5
TNF-α 분비량 94.16±2.32 77.97±1.34 61.79±5.63 47.92±0.82 69.49±2.07
(단위: mg/ml)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멜린조 추출물(ME, JE1) 및 혼합 추출물 JE2 내지 JE5를 처리한 결과, 멜린조 추출물(ME)만을 포함하는 JE1에 비해,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EVE), 털큰앵초 추출물(EPP) 및 파드득나물 추출물(ECJ)를 더 포함하는 JE2 내지 JE5에서 TNF-α의 분비량이 농도의존적으로 현저히 억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추출물 JE3 내지 JE4에 의하는 경우, TNF-α의 분비량이 JE2 및 JE5에 비해, 우수하게 억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TNF-α의 분비를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조골세포 증식 실험]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멜린조 추출물(ME, JE1) 및 혼합 추출물 JE2 내지 JE5가 조골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들을 실시하였다.
마우스의 조골세포로 마우스 두개관 세포주인 MC3T3-E1 세포(ATCC No. CRL-2593)를 ATCC(Rockville, USA)에서 구입하여 DMEM(Gibco, BRL, USA)에 10% FBS(Fetal bovine serum)를 첨가한 배지에서 배양한 후에 실험에 사용하였다.
상기 조골세포를 24-웰 플레이트에 각 웰 당 20000 개의 세포가 들어가도록 넣어 5% CO2 배양기에서 48 시간 배양한 후, 본 발명에 따른 멜린조 추출물(ESA, ME1) 및 혼합 추출물 ME2 내지 ME5을 다양한 배합비율로 첨가된 배양액으로 교체하고, 이를 48 시간 더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제거 후 트립신-EDTA를 첨가하고, 세포수를 세포계수계(Hemacytometer)로 계수하여 하기 표 3에 %로 나타내었다.
ME, JE1 JE2 JE3 JE4 JE5
조골세포 증식 64 77 85 95 82
(단위: %)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멜린조 추출물(ME, JE1)만을 포함하는 경우에 비해,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EVE), 털큰앵초 추출물(EPP) 및 파드득나물 추출물(ECJ)를 더 포함하는 JE4에서 최대 30%까지 세포의 증식이 촉진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파골세포의 활성 억제]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멜린조 추출물(ME, JE1) 및 혼합 추출물 JE2 내지 JE5의 파골세포 성장 및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산화 인회석으로 피막된 플레이트(OAAS, OCT Inc.)에 파골세포 전구세포를 배양하여 파골세포의 표지효소인 TRAP 활성 및 흡수(Resorption)를 관찰하였다.
먼저, 마우스 골수세포를 분리하기 위해 7 ~ 9 주된 웅성 마우스를 경부염전으로 희생시킨 후 대퇴골과 경골을 무균적으로 적출하고 연조직을 제거하며 장골의 양끝을 절단한 후, 26G 주사침을 이용하여 한쪽 끝의 골수강에 0.1% 콜라젠 분해효소(Collagenase)(Gibco), 0.05% 트립신 및 0.5 mM EDTA(Gibco)가 포함된 효소용액 1 ㎖를 주사하여 골수를 꺼낸 후 30 분간 교반하여 골수세포를 모아 10% FBS가 포함된 α-최소필수배지(α-MEM)에 24 시간 전배양한 후 미부착 세포들을 얻었다. 파골세포의 전구세포가 되는 미부착세포를 웰 당 2×105개의 세포가 되도록 분주하여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 세포 중에서 부착세포를 PBS로 세척한 다음 시트레이트-아세테이트-포름알데히드(Citrate-acetateformaldehyde)로 5분간 고정시키고 나프톨(Naphthol) AS-BI 포스페이트(Phosphate), 패스트가넷(Fast Garnet) GBC 용액과 7 mM 타르트레이트(Tartrate) 버퍼(pH 5)를 함유하는 37 ℃ 아세테이트 버퍼(pH 5.0)에 1 시간 동안 배양하여 TRAP 염색을 하였다. 이때, 3개 이상의 핵을 가지는 TRAP(+) 다핵세포들을 파골세포로 간주하였다.
파골세포의 분화를 유도하기 위하여 파골세포의 전구세포가 있다고 알려진 골수를 이용하였으며, TRAP에 양성 (+)이며 다핵인 세포를 파골세포로 간주하고, 파골세포 전구세포를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된 파골 전구세포에서 배양액을 제거하였다. 세포 배양 후 붙어있는 세포를 제거하기 위하여 OAAS 플레이트를 증류수로 세척한 후 5% 소듐 하이포클로라이트(Sodium hypochlorite) 용액을 넣어 5 분간 방치한 후 다시 증류수로 깨끗이 세척한 후 말린 다음 흡수된 부위를 이미지 프로플러스(Image pro plus)를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즉, 골조직 내에서 골 흡수를 주로 담당하는 파골세포의 활성을 검사하기 위하여 골조직의 무기질 부분과 유사하게 제작한 칼슘과 포스페이트가 피막된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파골세포의 전구세포를 배양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멜린조 추출물(ME, JE1) 및 혼합 추출물 JE2 내지 JE5를 처리하였을 때, 흡수 면적에 변화가 있는지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ME, JE1 JE2 JE3 JE4 JE5
파골세포활성 억제율 28 47 58 73 43
(단위: %)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다른 멜린조 추출물(ME, JE1) 및 혼합 추출물 JE2 내지 JE5을 처리한 경우에 파골세포 전구세포를 칼슘-포스페이트가 코팅된 플레이트상에서 배양하여 파골세포에 의한 활성 및 흡수가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추출물 JE3 내지 JE4에 의하는 경우, 파골세포활성에 대한 우수한 억제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치은섬유아세포와 치주인대세포 증식 실험]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멜린조 추출물(ME, JE1) 및 혼합 추출물 JE2 내지 JE5이 사람 치주인대세포와 치은섬유아세포의 증식과 세포 활성도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들을 실시하였다.
파골세포 성장 및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산화 인회석으로 피막된 플레이트(OAAS, OCT Inc.)에 파골세포 전구세포를 배양하여 파골세포의 표지효소인 TRAP 활성 및 흡수(Resorption)를 관찰하였다.
건강한 사람의 교정치료 목적으로 발거한 소구치(어금니)의 치주인대 부분을 큐렛(curette)을 이용하여 무균적으로 긁어서 배양접시에 올려놓은 후 DMEM(Gibco, BRL, USA)에 10% FBS(fetal bovine serum)를 첨가한 배양액을 소량 넣어 배양하였다. 치은섬유아세포는 상기 소구치에서 발거후의 치은을 일부 떼어내어 동일한 방법으로 배양하였다. 이때, 배양하면서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조직으로부터 세포가 이식편(explant)으로 나오는 것을 확인한다. 세포가 군집을 이루어 자란 후 각각의 조직표본을 제거하고 세포가 단층으로 자라도록 한 후, 계대 배양하여 실험에 이용하였다. 사람 치주인대세포와 치은섬유아세포를 24-웰 플레이트에 각 웰 당 20000 개의 세포가 들어가도록 넣어 5% CO2 배양기에서 48 시간 배양한 후, 본 발명의 멜린조 추출물(ME, JE1) 및 혼합 추출물 JE2 내지 JE5를 처리하여 48 시간 더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제거 후 트립신-EDTA를 첨가하고, 세포수를 헤마사이토미터(Hemacytometer)로 계수하여 하기 표 5에 %로 나타내었다.
ME, JE1 JE2 JE3 JE4 JE5
치은섬유아세포 증식율 88 82 78 73 80
치주인대세포 증식율 41 53 72 78 58
(단위: %)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에 의한 치은섬유아세포의 증식은 멜린조 추출물(ME, JE1)을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보다 증식이 정상 혹은 낮은 수준으로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치주인대세포에 멜린조 추출물(ME, JE1)을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보다 혼합 추출물 JE4를 처리한 경우에 최대 40%까지 세포의 증식이 촉진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사람의 치은섬유아세포의 증식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치주조직의 재생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치주인대세포는 효과적으로 증식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7)

  1. 멜린조 (melinjo)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주질환은 치은염 (gingivitis), 치주염 (periodontitis)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환을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구강건조증 예방 및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치주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건조증은 산식증(acid erosion), 구강칸디다증(oral candidiasis), 미각장애(dysgeusia), 연하곤란(dysphagia), 구강 감각장애(oral dysesthesia), 구취(intraoral halitosis)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환을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6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되는 것인
    치주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치주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용 치약.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치주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용 가글액.
KR1020220159818A 2022-11-24 멜린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40077343A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7343A true KR20240077343A (ko) 2024-05-31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46736B2 (ja) 薬草の口腔歯科治療用の組成物およびその調製方法
CN110519997B (zh) 通过辣木叶提取物和杜仲提取物的复合物的抗生、抗氧化、抗炎、抑制牙周骨损失和再生牙周骨缓解牙龈炎和牙周炎的方法
US8435499B2 (en) Toothpowder composition containing wheat flour and bamboo salt
JP2009518455A (ja) 発毛促進剤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52881B1 (ko) 숙지황, 삼칠근 또는 이들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치주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058464B1 (ko) 가글용 생약 추출액 조성물
KR102358743B1 (ko) 구취제거, 치석제거, 구내염 및 치주염 개선 효과를 갖는 동물용 구강붕해필름 조성물
JP6652244B2 (ja) 口腔用組成物
KR102574859B1 (ko) 은행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8124753A1 (ko) 치주조직 재생 촉진,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20200017912A (ko) 식물 추출물 또는 그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 항균용 조성물
KR20200012181A (ko) 생약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KR100431170B1 (ko)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주질환치료용 조성물
JP2009263332A (ja) オリーブ葉抽出物を含有する歯周組織健康維持剤
KR102611924B1 (ko) 애기우산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10731935A (zh) 一种消炎镇痛牙膏
KR20240077343A (ko) 멜린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Shekhawat et al. Aloe vera-A miracle plant for dentistry
KR100937511B1 (ko) 감초로부터 항균물질을 추출하는 방법
KR20220085035A (ko) 노각나무 추출물을 포함한 구강 건강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KR20240034326A (ko) 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및 치료용 겔 조성물
KR20240033856A (ko) 치은염과 치주질환예방효과를 갖는 치약, 가글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2177066B1 (ko) 삼지구엽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33857A (ko) 구강 세균의 증식에 의한 치아 우식증 및 치주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978355B1 (ko)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주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