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3331A - 용기 분류 수거 장치 - Google Patents
용기 분류 수거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73331A KR20240073331A KR1020220155033A KR20220155033A KR20240073331A KR 20240073331 A KR20240073331 A KR 20240073331A KR 1020220155033 A KR1020220155033 A KR 1020220155033A KR 20220155033 A KR20220155033 A KR 20220155033A KR 20240073331 A KR20240073331 A KR 2024007333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rting
- container
- unit
- delivery
- rai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5000021190 leftove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41000607479 Yersinia pesti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5473 Communicabl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16 pherom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4—Sorting according to siz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1—Processing or control devices therefor, e.g. escort memory
- B07C5/362—Separating or distributor mechanis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8—Collecting or arranging articles in grou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 분류 수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투입구와 연결된 설치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하우징, 상기 설치공간에서 상기 투입구와 이웃하며 배달용기가 놓일 수 있고 직선 운동할 수 있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에 놓인 배달용기의 잔반을 감지할 수 있는 센싱부, 상기 설치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투입부와 연결되어 상기 투입부로부터 배달용기를 공급 받을 수 있으며 분류공간을 가지는 분류부 및 상기 센싱부의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투입부와 상기 분류부의 구동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분류공간은 상기 투입부에서 점진적으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여 상기 배달용기를 크기 별로 분류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에서 상기 잔반이 감지되면 알림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분류공간은 상기 투입부에서 점진적으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여 상기 배달용기를 크기 별로 분류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에서 상기 잔반이 감지되면 알림을 발생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용기 분류 수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인가구의 증가 또는 전염병의 확산 등과 같은 사회적 현상으로 인해 식당에 방문하여 취식하는 전통 적인 외식방식에서 배달을 통해 집에서 취식하는 배달방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식음료업체들은 별도의 배달직원 또는 배달을 전문적으로 대행하는 배달주문 대행업체들을 이용하여 고객들에게 음식물을 배달하고 있다. 배달의 편리성을 위해 플라스틱 등과 같은 재질의 일회용 용기에 음식물을 담아 배달하고 있다.
고객들의 분리수거의 번거로움 등으로 인해 배달용기가 별도로 수거되지 않고 일반 쓰레기와 함께 종량제 쓰레기봉투로 배출되고 있다. 이로 인해, 배달용기가 일반 쓰레기와 함께 소각되어 환경오염을 발생시키고 있다.
이에 배달용기의 재사용과 배달용기의 회수에 따른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용기 분류 수거 장치에 투입된 배달용기를 크기별로 분류하여 보관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용기 분류 수거 장치를 통하여 소비자로 하여금 재사용 배달용기 사용이 경제적이며, 환경을 생각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용기 분류 수거 장치는 투입구와 연결된 설치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하우징, 상기 설치공간에서 상기 투입구와 이웃하며 배달용기가 놓일 수 있고 직선 운동할 수 있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에 놓인 배달용기의 잔반을 감지할 수 있는 센싱부, 상기 설치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투입부와 연결되어 상기 투입부로부터 배달용기를 공급 받을 수 있으며 분류공간을 가지는 분류부 및 상기 센싱부의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투입부와 상기 분류부의 구동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분류공간은 상기 투입부에서 점진적으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여 상기 배달용기를 크기 별로 분류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에서 상기 잔반이 감지되면 알림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분류부는 서로 간격을 두고 마주하며 상기 투입부에서 멀어질수록 간격이 벌어지며 분류공간을 형성하는 제1 레일 플레이트와 제2 레일 플레이트, 상기 분류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레일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레일 플레이트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투입부에서 공급된 상기 배달용기를 이송할 수 있는 제1 레일과 제2 레일 및 상기 분류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레일과 상기 제2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고 이송되는 상기 배달용기를 지지할 수 있는 슬라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의 상면은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상기 제1 레일과 상기 제2 레일은 각각 상기 제1 레일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레일 플레이트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풀리, 상기 복수의 풀리에 감아걸기되어 있고 상기 배달용기를 이송하는 벨트 및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고 복수의 풀리 중 어느 한 풀리와 연결된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는 상기 분류공간의 바닥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있는 지지대, 그리고 상기 지지대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고 이송되는 상기 배달용기의 바닥면이 접하여 미끄러질 수 있는 경사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류공간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기 경사 플레이트의 상면 높이는 상기 제1 레일과 상기 제2 레일의 상면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상기 투입부는 벨트 컨베이어(belt conveyor)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달용기가 투입부에 놓이면 센서부를 통해 잔반 여부를 확인하며, 잔반이 없으면 분류부로 유입되어 배달용기의 지름 치수와 벨트 사이 간격 치수에 의해 벨트 사이로 떨어지면서 크기별로 분류된다. 배달용기가 이송 되면서 크기별로 자동으로 분류되어 회수자의 회수 작업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잔반이 제거된 배달용기만이 투입부에서 분류부로 이송되어 분류되므로 잔반에 의한 악취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용기 분류 수거 장치를 나타낸 사진.
도 2는 도 1의 평면 사진.
도 3은 도 1의 투입부에 배달용기가 놓인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4는 도 3의 분류부에 의해 배달용기가 이송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5는 도 4의 분류부에 의해 배달용기가 분류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분류 수거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도 6의 수거 배출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도 7의 수거 배출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도 1의 평면 사진.
도 3은 도 1의 투입부에 배달용기가 놓인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4는 도 3의 분류부에 의해 배달용기가 이송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5는 도 4의 분류부에 의해 배달용기가 분류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분류 수거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도 6의 수거 배출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도 7의 수거 배출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용기 분류 수거 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용기 분류 수거 장치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 사진이며, 도 3은 도 1의 투입부에 배달용기가 놓인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4는 도 3의 분류부에 의해 배달용기가 이송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며, 도 5는 도 4의 분류부에 의해 배달용기가 분류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 분류 수거 장치(1)은 하우징(도시하지 않음), 투입부(20), 센싱부(30), 제어부(40) 및 분류부(50)를 포함하며 투입된 배달용기를 크기별로 분류하여 보관한다.
하우징은 용기 분류 수거 장치(1)의 외형을 형성하며 내부에 설치된 구성요소를 이물질, 충격 등의 외부요건으로부터 보호한다. 하우징의 길이 방향(Y) 일측에는 분류할 배달용기(B)가 투입되는 투입구(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의 타측에는 분류된 배달용기를 인출하기 위한 인출구(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투입구와 인출구의 사이에는 투입부(20), 분류부(50)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공간(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의 하부에는 베이스(11)가 배치되어 있다. 베이스(11)는 설치공간의 바닥을 형성하며 투입부(20)와 분류부(50)를 지지한다.
하우징의 상면에는 도어(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도어 개방으로 설치공간에 배치된 구성요소를 점검, 관리할 수 있다.
하우징의 상면 또는 도어의 일부분은 투명창(도시하지 않음)으로 형성되어 분류된 배달용기를 하우징의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설치공간에 카메라(도시하지 않음)를 배치하고 하우징의 외부에 모니터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카메라를 촬영된 영상이 모니터를 통해 출력되어 분류된 배달용기를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설치공간에는 해충을 퇴치하기 위한 트랩(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될 수 있다. 트랩은 페로몬을 포함하는 접착시트일 수 있다. 이에 분류된 배달용기에서 해충이 서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배달용기를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에는 환풍구가 형성될 수 있다. 환풍구에는 악취 제거를 위한 공기조화장치(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장치의 세부적인 구성은 공지된 구성의 공기조화장치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투입부(20)는 설치공간에서 투입구와 이웃하게 배치되어 있다. 투입부(20)는 베이스(11)에서 상부로 수직하게 돌출된 설치대(21)에 배치되어 베이스(11)에서 상부로 이격되어 있다. 투입부(20)가 베이스(11)로부터 이격된 거리에 따라 분류되어 적층되는 배달용기의 수량이 달라질 수 있다. 투입부(20)는 벨트 컨베이어(belt conveyor)를 포함한다.
투입부(20)는 설치대(21)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롤러(22), 양단이 연결된 띠 형태로 형성되어 롤러(22)에 감아걸기되어 있고 배달용기가 놓일 수 있는 벨트(23), 복수의 롤러(22)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구동시키는 구동모터(24)로 이루어져 있다. 롤러(22)는 종동롤러, 장력롤러 및 구동모터(24)가 연결된 원동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투입구를 통해 벨트(23)에 놓인 배달용기(B)는 구동모터(24)의 구동으로 벨트(23)가 움직이면서 인출구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그러나 배달용기(B)에 잔반이 존재하는 경우 구동모터(24)는 구동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배달용기(B)는 이송되지 않는다.
센싱부(30)는 서포트(31), 그리고 센서(32)를 포함하며 벨트(23)에 놓인 배달용기의 잔반을 감지한다.
서포트(31)는 투입부(20)와 이웃하여 설치대(21)에 결합되어 있다. 서포트(31)는 상부로 연장된 수직대(311), 그리고 수직대(311)에서 직각으로 구부러져 벨트(23)에 놓인 배달용기와 마주하는 수평대(312)를 포함한다.
센서(32)는 수평대(312)의 하면에 배치되어 있다. 센서(32)는 배달용기의 잔반 여부를 감지한다. 센서(32)는 레이저 센서일 수 있다.
제어부(40)는 센서(32), 투입부(20), 분류부(50)의 구동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회로부(41), 회로부(41)와 연결된 작동 스위치(42) 및 전원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전원부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는 콘센트에 결합되는 플러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용자는 투입부(20)의 벨트(23)에 배달용기를 놓고 작동 스위치(42)를 온(on) 상태로 전환한다. 제어부(40)는 센서(32)로부터 신호를 받는다. 제어부(40)는 센서(32)에서 잔반이 감지되면 알림을 발생시킨다. 알림은 음향, 조명 등일 수 있다. 이 경우 이용자는 벨트(23)에서 배달용기를 인출하여 잔반을 제거한 후 벨트(23)에 다시 놓을 수 있다. 제어부(40)는 센서(32)에서 잔반이 감지되지 않으면 투입부(20)의 구동모터(24)가 구동할 수 있도록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잔반이 제거된 배달용기만이 투입부(20)에서 분류부(50)로 이송되어 분류되므로 잔반에 의한 악취, 오염, 해충 유입 등을 예방할 수 있다.
분류부(50)는 제1 레일 플레이트(51a), 제2 레일 플레이트(51b), 제1 레일(52a), 제2 레일(52b) 및 슬라이드(53)를 포함하며 투입부(20)에서 공급된 배달용기를 크기별로 분류한다.
제1 레일 플레이트(51a)와 제2 레일 플레이트(51b)는 설치공간에 위치하여 베이스(11)의 길이 방향(Y)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제1 레일 플레이트(51a)와 제2 레일 플레이트(51b)는 서로 간격을 두고 마주하며 그 사이에 분류공간(60)이 형성된다. 제1 레일 플레이트(51a)와 제2 레일 플레이트(51b)의 일단은 투입부(20)와 이웃하며 타단은 하우징의 인출구와 이웃하다. 제1 레일 플레이트(51a)와 제2 레일 플레이트(51b)는 투입부(20)에서 멀어질수록 그 사이 간격(L)이 점진적으로 벌어지면서 멀어진다.
제1 레일(52a)은 제1 레일 플레이트(51a)의 내측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2 레일(52b)은 제2 레일 플레이트(51b)의 내측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레일(52a)과 제2 레일(52b)은 대응되며 풀리(521a, 521b), 벨트(522a, 522b) 및 구동모터(523a, 523b)를 각각 포함한다.
풀리(521a, 521b)는 제1 레일 플레이트(51a)와 제2 레일 플레이트(51b)의 내측면에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되어 있다. 풀리(521a, 521b)는 원동풀리, 종동풀리 및 장력풀리를 포함할 수 있다. 풀리(521a, 521b)는 외부 둘레에 홈이 형성된 타이밍 풀리일 수 있다.
벨트(522a, 522b)는 풀리(521a, 521b)들에 감아걸기되어 있다. 벨트(522a, 522b)의 폭은 투입부(20)의 벨트(23) 폭 보다 좁다. 베이스(11)의 상면을 기준으로 벨트(522a, 522b)의 상면 위치는 투입부(20)의 벨트(23)의 상면 위치 보다 낮다. 벨트(522a, 522b)는 내부면에 돌기가 형성된 타이밍 벨트일 수 있다.
제1 레일 플레이트(51a)와 제2 레일 플레이트(51b)에 의해 벨트(522a, 522b)는 투입부(20)에서 멀어질수록 그 간격(L)이 점진적으로 벌어질 수 있다. 벨트(522a, 522b)는 투입부(20)에서 공급된 배달용기를 이송할 수 있다. 배달용기가 이송되는 과정 중에 벨트(522a, 522b)의 간격(L) 치수가 배달용기의 지름 치수보다 크면 배달용기는 분류공간(60)의 바닥으로 떨어질 수 있다.
구동모터(523a, 523b)는 원동풀리와 결합되어 있다. 구동모터(523a, 523b)는 제어부(40)와 연결되어 제어부(40)의 신호에 따라 구동할 수 있다.
슬라이드(53)는 투입부(20)와 분류부(50)의 사이에 배치된 유입 슬라이드(53a), 유입 슬라이드(53a)와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제1 분류 슬라이드(53b), 제1 분류 슬라이드(53b)와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제2 분류 슬라이드(53c)를 포함한다. 유입 슬라이드(53a), 제1 분류 슬라이드(53b), 제2 분류 슬라이드(53c)는 벨트(522a, 522b)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유입 슬라이드(53a)와 제1 분류 슬라이드(53b)의 사이에는 제1 크기의 배달용기(B1)가 분류되어 적층되는 첫 번째 분류공간(61)이 형성되며, 제1 분류 슬라이드(53b)와 제2 분류 슬라이드(53c)의 사이에는 제2 크기의 배달용기(B2)가 분류되어 적층되는 두 번째 분류공간(62)이 형성되고, 제2 분류 슬라이드(53c)와 인출구의 사이에는 제3 크기의 배달용기(B3)가 분류되어 적층되는 셋 번째 분류공간(63)이 형성된다. 분류공간을 3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용기 분류 수거 장치(1)의 설계에 따라 분류공간의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유입 슬라이드(53a)와 제1 분류 슬라이드(53b)는 각각 지지대(531a, 531b), 그리고 경사 플레이트(532a, 532b)를 포함한다.
지지대(531a, 531b)는 한 쌍으로 형성되어 베이스(11)에서 상부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있다. 베이스(11)를 기준으로 일측 지지대의 길이는 타측 지지대의 길이보다 길다.
경사 플레이트(532a, 532b)는 한 쌍의 지지대(531a, 531b)에 지지되어 있으며 한 쌍의 지지대(531a, 531b) 길이 차이로 경사 플레이트(532a, 532b)는 분류공간(61, 62)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경사 플레이트(532a, 532b)의 상면 높이는 분류공간(60)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벨트(522a, 522b)의 상면 높이보다 낮다.
제2 분류 슬라이드(53c)는 지지대(531c)를 포함하며 경사 플레이트는 생략되어 있다. 지지대(531c)는 베이스(11)에서 상부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있다. 베이스(11)를 기준으로 지지대(531c)의 상면 높이는 벨트(522a, 522b)의 상면 높이보다 낮다. 지지대(531c)는 이송되는 배달용기(B3)의 하면을 지지한다.
다음은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위에서 설명한 용기 분류 수거 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용자는 크기가 다른 배달용기(B1, B2 ,B3)를 무작위로 투입구를 통하여 투입부(20)의 벨트(23)에 놓을 수 있다. 작동 스위치(42)를 온(on) 상태로 전환하면 센서(32)는 배달용기(B)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32)를 통해 잔반이 감지되면 제어부(40)는 알림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이용자는 투입한 배달용기(B)를 꺼내어 잔반을 비운 후 다시 투입구를 통해 벨트(23)에 올려 놓을 수 있다.
센서(32)를 통해 배달용기(B; B1, B2 ,B3)에 잔반이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40)는 투입부(20)의 구동모터(24)를 구동시켜 벨트(23)를 이동시킨다. 벨트(23)에 의해 배달용기(B)는 분류부(50)의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벨트(23)에서 유입 슬라이드(53a)의 경사 플레이트(532a)로 이송된 배달용기(B)는 바닥면이 경사면을 타고 미끄러질 수 있다. 이때 배달용기(B)의 지름 치수가 유입 슬라이드(53a)가 위치한 벨트(522a, 522b) 사이 간격 치수보다 작으면 경사 플레이트(532a)를 따라 미끄러져 첫 번째 분류공간(61a)의 바닥으로 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배달용기(B)의 지름 치수가 유입 슬라이드(53a)가 위치한 벨트(522a, 522b)의 사이 간격 치수보다 크면 경사 플레이트(532a)를 타고 미끄러지면서 외부 둘레가 벨트(522a, 522b)에 올려질 수 있다. 벨트(522a, 522b)의 이동으로 배달용기(B)는 이송될 수 있다. 배달용기(B)는 유입 슬라이드(53a)를 통과하여 제1 분류 슬라이드(53b)에 진입하며 바닥면은 제1 분류 슬라이드(53b)의 경사 플레이트(532b)와 접하면서 이송될 수 있다. 이때 배달용기(B)의 지름 치수가 제1 분류 슬라이드(53b)가 위치한 벨트(522a, 522b) 사이 간격 치수보다 작으면 경사 플레이트(532b)를 따라 미끄러져 두 번째 분류공간(62)의 바닥으로 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배달용기(B)의 지름 치수가 제1 분류 슬라이드(53b)가 위치한 벨트(522a, 522b)의 사이 간격 치수보다 크면 벨트(522a, 522b)의 이동으로 계속 이송될 수 있다. 배달용기(B)는 제1 분류 슬라이드(53b)를 통과하여 제2 분류 슬라이드(53c)에 진입한다. 배달용기(B)는 제2 분류 슬라이드(53c)의 지지대(531c)에 지지된 후 세 번째 분류공간(63)의 바닥으로 떨어질 수 있다.
이에 잔반이 제거된 배달용기(B)가 투입부(20)에 놓이면 분류부(50)로 유입되어 배달용기(B)의 지름 치수와 벨트(522a, 522b) 사이 간격 치수에 의해 벨트(522a, 522b) 사이로 떨어지면서 크기별로 분류된다. 배달용기(B)가 이송 되면서 크기별로 자동으로 분류되어 회수자의 회수 작업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을 더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분류 수거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7은 도 6의 수거 배출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 분류 수거 장치(2)은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대부분 가지면서, 수거 배출부(70a)를 더 포함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인출구는 하우징의 측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수거 배출부(70a)는 수거 배출 컨베이어(71a), 플레이트(72a), 승강부(73a) 및 승강 센서(74a)를 포함하며, 분류부(5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일단이 슬라이드(53)에서 떨어지는 상기 배달용기(B)를 받을 수 있다. 수거 배출부(70a)는 분류부(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각 분류공간(61, 62, 63) 마다 일단이 위치하고 있다.
수거 배출 컨베이어(71a)는 벨트 컨베이어를 포함한다. 수거 배출 컨베이어(71a)의 일단은 각 분류공간(61, 62, 63)에 위치하며 타단은 인출구와 이웃하게 위치하고 있다. 제2 레일 플레이트(52b)에서 각 분류공간(61, 62, 63)과 이웃한 부분에는 수거 배출 컨베이어(71a)가 통과하는 관통홀(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수거 배출 컨베이어(71a)는 제어부(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수거 배출 컨베이어(71a)는 단계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승강부(73a)는 탄성 스프링을 포함한다. 그러나 승강부(73a)는 힌지로 연결된 경첩들일 수 있다. 힌지에는 비틀림 스프링이 배치될 수 있다. 승강부의 일단은 수거 배출 컨베이어(71a)와 연결되어 있다.
플레이트(72a)는 승강부(73a)의 타단에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드(53)에서 떨어지는 배달용기(B)는 플레이트(72a)로 떨어져 놓일 수 있다. 배달용기(B)가 플레이트(72a)에 놓일 때 배달용기(B)의 무게에 의해 승강부(73a)는 단계적으로 하강할 수 있다. 이에 배달용기(B)가 분류되어 쌓일수록 승강부(73a)는 하강하게 된다.
한편 플레이트(72a)가 승강 시 흔들리지 않고 반듯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플레이트(72a)에는 제1, 2 레일 플레이트(51a, 51b)와 연결된 가이드(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승강부(73a)와 플레이트(72a)서로 연결되어 수거 배출 컨베이어(71a)의 벨트를 따라 배열되어 있다.
단계적으로 하강하는 승강부(73a)에 의해 쌓인 배달용기(B)와 슬라이드(53)의 사이 간격은 항상 같은 간격을 유지한다. 이에 떨어지는 배달용기(B)가 쌓여 있는 배달용기와 접하면서 발생하는 충격, 소리 등이 최소화되어 배달용기(B)를 손상 없이 수거할 수 있다.
승강 센서(74a)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가지며 발광부는 분류공간(61)에서 수거 배출 컨베이어(71a)의 일단과 이웃하게 배치되어 있다. 플레이트(72a)에는 수광부가 배치되어 있다. 승강 센서(74a)는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발광부의 신호를 수광부가 수신하면 제어부는 수거 배출 컨베이어(71a)가 구동할 수 있도록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이에 분류공간에서 쌓인 배달용기는 수거 배출부(70a)를 구동으로 인출구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이동하여 인출구와 제2 레일 플레이트(51b)의 사이 공간에서 보관될 수 있다.
한편, 수거 배출 컨베이어(71a)에는 승강부(73a)와 이웃하게 하강한 승강부(73a)를 고정하는 클램프(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다. 승강부(73)가 수거 배출 컨베이어(71a)를 따라 이동한 후 슬라이드(53)의 하부에 위치하였 때 클램프의 고정력은 해제되며 승강부(73a)는 슬라이드(53)와 근접하게 상승할 수 있다. 클램프에 의해 승강부가 고정된 상태로 움직이므로 승강부는 하우징 및 주변 구성요소와 간섭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살펴본 많은 특징들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을 참고하여 도 7의 수거 배출부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도 7의 수거 배출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 분류 수거 장치(3)은 도 6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대부분 가지면서, 수거 배출부(70b)는 다른 구조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 다른 수거 배출부(70b)는 수거 배출 컨베이어(71b), 엑추에이터(73b), 플레이트(72b) 및 용기 센서(74b)를 포함한다.
수거 배출 컨베이어(71b)는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그대로 갖는다.
엑추에이터(73b)는 분류공간에 위치하여 수거 배출 컨베이어(71b)의 일단과 이웃하게 배치되어 있다. 엑추에이터(73b)는 구동모터(731b)와 리드 볼 스크류(732b)를 포함한다. 구동모터(731b)와 리드 볼 스크류(732b)는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다. 리드 볼 스크류(732b)에는 볼 너트(733b)가 결합되어 있다. 리드 볼 스크류(732b) 회전 시 볼 너트(733b)가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레일 플레이트(51a)에는 볼 너트(733b)와 연결된 가이드(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다. 구동모터(731b)는 제어부(40)와 연결되어 있다.
플레이트(72b)는 일단이 볼 너트(733b)와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은 수거 배출 컨베이어(71b)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다. 플레이트(72b)에는 타측으로 개방된 거치홀(721b)이 상하 관통되어 있다. 슬라이드(53)에서 미끄러진 배달용기(B)는 거치홀(721b)에 하부가 걸리면서 플레이트(72b)에 놓일 수 있다. 배달용기(B)의 하부측 일부분은 거치홀(721b)을 관통하여 플레이트(72b)의 하부로 노출될 수 있다. 거치홀(721b)의 지름은 분류되는 배달용기의 지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용기 센서(74b)는 분류공간에 위치하여 슬라이드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용기 센서(74b)는 슬라이드에서 떨어지는 배달용기(B)를 감지하며 카운트 한다. 용기 센서(74b)가 배달용기(B)를 감지하면 제어부는 엑추에이터(73b)가 구동할 수 있도록 신호를 인가한다. 엑추에이터(73b)는 단계적으로 구동하여 플레이트(72b) 또한 단계적으로 하강할 수 있다.
한편, 용기 센서(74b)의 카운트 값이 설정된 값에 도달하면 제어부는 수거 배출 컨베이어(71b)가 구동하도록 한다. 카운트 값이 설정된 값에 도달할 때 플레이트(72b)의 하부로 노출된 배달용기(B) 부분은 수거 배출 컨베이어(71b)와 접할 수 있다. 이에 수거 배출 컨베이어(71b)가 구동하면서 적층된 배달용기(B)는 인출구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수거 배출부의 수거 배출 컨베이어에 의해 분류공간에 적층된 배달용기는 제1 레일 플레이트와 제2 레일 플레이트의 사이에서 제1 레일 플레이트와 인출구 사이로 배출되어 보관되므로 배달용기 보관공간의 증가로 배달용기 수거 효율이 증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살펴본 많은 특징들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B, B1, B2, B3: 배달용기 1, 2, 3: 용기 분류 수거 장치
11: 베이스 20: 투입부
21: 설치대 22: 롤러
23, 522a, 522b: 벨트 24, 523a, 523b: 구동모터
30: 센싱부 31: 서포트
311: 수직대 312: 수평대
32: 센서 40: 제어부
41: 회로부 42: 작동 스위치
50: 분류부 51a: 제1 레일 플레이트
51b: 제2 레일 플레이트 52a: 제1 레일
52b: 제2 레일 521a, 521b: 풀리
53: 슬라이드 53a: 유입 슬라이드
53b: 제1 분류 슬라이드 53c: 제2 분류 슬라이드
531a, 531b, 531c: 지지대 532a, 532b: 경사 플레이트
60: 분류공간 61: 첫 번째 분류공간
62: 두 번째 분류공간 63: 세 번째 분류공간
70a, 70b: 수거 배출부 71a, 71b: 수거 배출 컨베이어
72a, 72b: 플레이트 721b: 거치홀
73a: 승강부 73b: 엑추에이터
731b: 구동모터 732b: 리드 볼 스크류
733b: 볼 너트 74a: 승강 센서
74b: 용기 센서 L: 사이 간격
11: 베이스 20: 투입부
21: 설치대 22: 롤러
23, 522a, 522b: 벨트 24, 523a, 523b: 구동모터
30: 센싱부 31: 서포트
311: 수직대 312: 수평대
32: 센서 40: 제어부
41: 회로부 42: 작동 스위치
50: 분류부 51a: 제1 레일 플레이트
51b: 제2 레일 플레이트 52a: 제1 레일
52b: 제2 레일 521a, 521b: 풀리
53: 슬라이드 53a: 유입 슬라이드
53b: 제1 분류 슬라이드 53c: 제2 분류 슬라이드
531a, 531b, 531c: 지지대 532a, 532b: 경사 플레이트
60: 분류공간 61: 첫 번째 분류공간
62: 두 번째 분류공간 63: 세 번째 분류공간
70a, 70b: 수거 배출부 71a, 71b: 수거 배출 컨베이어
72a, 72b: 플레이트 721b: 거치홀
73a: 승강부 73b: 엑추에이터
731b: 구동모터 732b: 리드 볼 스크류
733b: 볼 너트 74a: 승강 센서
74b: 용기 센서 L: 사이 간격
Claims (8)
- 투입구와 연결된 설치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하우징,
상기 설치공간에서 상기 투입구와 이웃하며 배달용기가 놓일 수 있고 직선 운동할 수 있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에 놓인 배달용기의 잔반을 감지할 수 있는 센싱부,
상기 설치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투입부와 연결되어 상기 투입부로부터 배달용기를 공급 받을 수 있으며 분류공간을 가지는 분류부 및
상기 센싱부의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투입부와 상기 분류부의 구동을 설정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분류공간은 상기 투입부에서 점진적으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여 상기 배달용기를 크기 별로 분류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에서 상기 잔반이 감지되면 알림을 발생시키는
용기 분류 수거 장치. - 제1항에서,
상기 분류부는
서로 간격을 두고 마주하며 상기 투입부에서 멀어질수록 간격이 벌어지며 분류공간을 형성하는 제1 레일 플레이트와 제2 레일 플레이트,
상기 분류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레일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레일 플레이트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투입부에서 공급된 상기 배달용기를 이송할 수 있는 제1 레일과 제2 레일 및
상기 분류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레일과 상기 제2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고 이송되는 상기 배달용기를 지지할 수 있는 복수의 슬라이드
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슬라이드의 상면은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져 있는
용기 분류 수거 장치. - 제2항에서,
상기 제1 레일과 상기 제2 레일은 각각
상기 제1 레일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레일 플레이트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풀리,
상기 복수의 풀리에 감아걸기되어 있고 상기 배달용기를 이송하는 벨트 및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고 복수의 풀리 중 어느 한 풀리와 연결된 구동모터
를 포함하는
용기 분류 수거 장치. - 제2항에서,
상기 복수의 슬라이드는 각각
상기 분류공간의 바닥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있는 지지대, 그리고
상기 지지대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고 이송되는 상기 배달용기의 바닥면이 접하여 미끄러질 수 있는 경사 플레이트
를 포함하며,
상기 분류공간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기 경사 플레이트의 상면 높이는 상기 제1 레일과 상기 제2 레일의 상면 높이보다 낮으며, 상기 경사 플레이트의 상면은 상기 분류공간의 바닥면을 향하여 경사져 있는
용기 분류 수거 장치. - 제2항에서,
상기 분류부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일단이 상기 분류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슬라이드에서 떨어지는 상기 배달용기를 받을 수 있는 수거 배출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거 배출부는 상기 분류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용기 분류 수거 장치. - 제5항에서,
상기 수거 배출부는
수거 배출 컨베이어,
상기 수거 배출 컨베이어의 벨트이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에서 떨어지는 배달용기를 받는 플레이트,
상기 수거 컨베이어와 상기 플레이트를 연결하며 상기 플레이트에 상기 배달용기가 떨어져 쌓일 때 단계적으로 하강하는 승강부 및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플레이트의 위치를 감지하는 승강 센서
를 포함하는
용기 분류 수거 장치. - 제1항에서,
상기 수거 배출부는
수거 배출 컨베이어,
상기 분류 공간에 배치되어 있고 단계적으로 하강할 수 있는 엑추에이터,
상기 엑추에이터의 로드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에서 떨어지는 배달용기를 받는 플레이트 및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플레이트에 떨어지는 상기 배달용기를 카운트하는 용기 센서
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에는 상기 배달용기가 걸리는 거치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용기 센서에 의해 상기 배달용기가 감지되면 상기 엑추에이터는 단계적으로 하강하고, 상기 승강 센서의 카운트가 설정된 값에 도달하면 상기 수거 배출 컨베이어는 구동하는
용기 분류 수거 장치. - 제1항에서,
상기 투입부는 벨트 컨베이어(belt conveyor)를 포함하는 용기 분류 수거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55033A KR20240073331A (ko) | 2022-11-18 | 2022-11-18 | 용기 분류 수거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55033A KR20240073331A (ko) | 2022-11-18 | 2022-11-18 | 용기 분류 수거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73331A true KR20240073331A (ko) | 2024-05-27 |
Family
ID=91332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55033A KR20240073331A (ko) | 2022-11-18 | 2022-11-18 | 용기 분류 수거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73331A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11960Y1 (ko) | 2003-02-12 | 2003-05-09 | 유영구 | 도시락 및 배달 용기 회수 시스템 |
KR20220115039A (ko) | 2021-02-09 | 2022-08-17 | 주식회사 뉴코애드윈드 | 배달음식용 그릇 회수시스템 |
-
2022
- 2022-11-18 KR KR1020220155033A patent/KR2024007333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11960Y1 (ko) | 2003-02-12 | 2003-05-09 | 유영구 | 도시락 및 배달 용기 회수 시스템 |
KR20220115039A (ko) | 2021-02-09 | 2022-08-17 | 주식회사 뉴코애드윈드 | 배달음식용 그릇 회수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504067B2 (en) | Automatic tube-type specimen container supply apparatus | |
KR102162265B1 (ko) |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 |
CN106097562B (zh) | 一种智能化钱币分拣装置 | |
KR101718144B1 (ko) | 콘택트렌즈 비젼 검사장치 | |
KR20240073331A (ko) | 용기 분류 수거 장치 | |
CN110116098B (zh) | 一种纸餐盘视觉检测设备 | |
CN113247606B (zh) | 一种薄膜色差检测装置及其使用方法 | |
CN209784366U (zh) | 化学发光免疫分析仪排杯系统 | |
CN113781713A (zh) | 一种智能快递取货方法及取货装置 | |
CN112718584A (zh) | 一种废品剔除方法 | |
JPH0886757A (ja) | 粉末圧縮成型品の外観観察装置 | |
KR102318620B1 (ko) |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 |
CN208647769U (zh) | 一种智能拆垛出库装车系统 | |
US20040161328A1 (en) | Stacking tray for flat mail items | |
CN206464258U (zh) | 简易筷子分头机 | |
KR200203552Y1 (ko) |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수거장치 | |
CN111717506A (zh) | 一种触摸屏加工转运用吸塑盘及清洗设备及清洗方法 | |
WO2014155445A1 (ja) | ゴミ収容体の投入装置 | |
CN210677610U (zh) | 一种外置罗圈垫片组装机 | |
KR102299092B1 (ko) | 재활용 유리병 포장장치 및 이를 갖는 재활용 유리병 수거장치 | |
JP2003192131A (ja) | 自動食器積重装置 | |
CN217393051U (zh) | 一种片料检测分拣机 | |
KR102393031B1 (ko) |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 |
CN212558345U (zh) | 塑料杯盖下料收集装置 | |
KR102458872B1 (ko) | 젓가락 공급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