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2730A - 습식 수처리방식의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습식 수처리방식의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72730A
KR20240072730A KR1020220154660A KR20220154660A KR20240072730A KR 20240072730 A KR20240072730 A KR 20240072730A KR 1020220154660 A KR1020220154660 A KR 1020220154660A KR 20220154660 A KR20220154660 A KR 20220154660A KR 20240072730 A KR20240072730 A KR 20240072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rganic waste
unit
tank
condens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4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세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로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로원
Priority to KR1020220154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72730A/ko
Publication of KR20240072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7273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70Chemical treatment, e.g. pH adjustment or oxid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 B01D5/0078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characterised by auxiliary systems or arrangements
    • B01D5/009Collecting, removing and/or treatment of the condens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30Mixing gases with solids
    • B01F23/34Mixing gases with solids by introducing gases in solid materials, e.g. in masses of powder or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80After-treatment of the mixture
    • B01F23/803Venting, degassing or ventilating of gases, fumes or toxic vapours from the 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80After-treatment of the mixture
    • B01F23/81Grinding the 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80After-treatment of the mixture
    • B01F23/811Heating the 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3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mechanical treatment
    • B09B3/38Stirring or kne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습식 수처리방식의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 및 내통에서 발생된 수증기가 회로 내부를 순환하며 악취 및 오염된 공기를 그대로 배출하지 않고 마이크로 버블이 발생하는 응축부와 탈취부를 통해 정화한 뒤 배출함으로써, 응축에 필요한 냉각기를 사용하지 않으며 탈취기도 최소 개수 사용이 가능하여 전기 사용량을 줄일 수 있어 실용성 증가 및 환경 오염을 저감시키며,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켜 물이 담겨있는 버블 응축 탱크로 내통에서 발생된 수증기를 공급하고, 상기 버블 응축 탱크에서 수증기를 아주 작은 크기의 기포로 만들어 응축이 일어나는 표면적을 최대로 넓히고 수증기보다 차가운 물에 공급이 되면서 버블 내표면에서 개별 응축 반응이 일어남으로써, 버블 표면이 응축부의 열교환 라디에이터 역할을 하고 버블 응축 탱크에 있는 물이 공냉 혹은 냉각기 역할을 하기에 응축에 필요한 냉각장치(공냉 장치, 실외기 등의 냉각기, 라디에이터, 응축기) 등이 불필요하게 되고, 감량기 처리용량의 스케일업에 따른 무분별한 장치의 크기 및 개수 증가를 피할 수 있으며, 마이크로 버블이 소멸되면서 발생되는 순간적인 고온 고압은 살균과 동시에 내통에서 발생된 수증기에 섞인 악취를 열분해시켜 악취가 감소함으로써, 버블 응축 탱크 내부에 발생할 수 있는 악취 농도 증가 및 세균 번식을 방지함과 동시에 응축 효율이 증가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습식 수처리방식의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Wet water treatment type organic waste treatment device}
본 발명은 습식 수처리방식의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 및 내통에서 발생된 수증기가 회로 내부를 순환하며 악취 및 오염된 공기를 그대로 배출하지 않고 마이크로 버블이 발생하는 응축부와 탈취부를 통해 정화한 뒤 배출함으로써, 응축에 필요한 냉각기를 사용하지 않으며 탈취기도 최소 개수 사용이 가능하여 전기 사용량을 줄일 수 있어 실용성 증가 및 환경 오염을 저감시키는 습식 수처리방식의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2005년 음식물류 폐기물의 매립이 금지된 이후, 나날이 늘어가는 음식물류 폐기물의 처리가 문제되고 있다. 국내의 음식물류 폐기물 양은 해마다 증가하여 2006년을 기준으로 하루에 13만여톤에 달하고 있으며, 음식물류 폐기물의 무게에 따라 음식물류 폐기물 비용을 부담하는 종량제가 실시되어, 음식물류 폐기물의 중량 감소 및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가 이슈화되고 있다.
음식물류 폐기물은 일반적으로 50~85%의 높은 수분 함량과 유기성 물질의 특성으로 인해 수거, 운반 시에 오수 및 악취를 발생시킨다. 종래에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음식물류 폐기물을 분해시키는 방법으로 음식물류 폐기물을 처리하였으나, 이러한 방법은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완전 처리가 불가능해 유해가스가 발생함에 따른 악취의 문제가 남아 있었다.
최근에는 음식물류 폐기물을 파쇄한 후 건조하여 처리함으로써 수분 함량을 줄이는 방법이 보편화되고 있다. 이와 같은 분쇄 건조 장치는 음식물류 폐기물을 건조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배출가스를 열교환을 통해 응축하여 액체 상태로 배출하는데, 응축되지 않고 기체 상태로 남아 있는 배출가스는 외부로 나가지 않게 다시 건조 교반통으로 보낸다.
그러나, 종래의 음식물류폐기물 감량기 혹은 유기성 폐기물 감량기 중 보편화된 건조 감량 방식은 현재 150kg/일 처리용량까지 개발되었으나 그 이상의 스케일업은 하루 24시간 안에 처리가 완료되지 않는 가장 큰 문제점이 있다.
또한, 모든 부품의 스케일업이 필요하지만, 응축기 또는 탈취기의 크기를 키우거나 개수를 늘리는 방법 이외에는 해결책이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러개의 탈취기 장착, 용량이 큰 응축기와 냉각장치로 스케일업을 하게되면 제작 비용 증가에 따른 감량기의 판매 비용, 장치의 용량 확대 및 추가 구성에 따른 전기 효율 저하 등의 문제가 동반되기 때문에 시장에서 환영받지 못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26464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체 및 내통에서 발생된 수증기가 회로 내부를 순환하며 악취 및 오염된 공기를 그대로 배출하지 않고 마이크로 버블이 발생하는 응축부와 탈취부를 통해 정화한 뒤 배출함으로써, 응축에 필요한 냉각기를 사용하지 않으며 탈취기도 최소 개수 사용이 가능하여 전기 사용량을 줄일 수 있어 실용성 증가 및 환경 오염을 저감시키는 습식 수처리방식의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켜 물이 담겨있는 버블 응축 탱크로 내통에서 발생된 수증기를 공급하고, 상기 버블 응축 탱크에서 수증기를 아주 작은 크기의 기포로 만들어 응축이 일어나는 표면적을 최대로 넓히고 수증기보다 차가운 물에 공급이 되면서 버블 내표면에서 개별 응축 반응이 일어남으로써, 버블 표면이 응축부의 열교환 라디에이터 역할을 하고 버블 응축 탱크에 있는 물이 공냉 혹은 냉각기 역할을 하기에 응축에 필요한 냉각장치(공냉 장치, 실외기 등의 냉각기, 라디에이터, 응축기) 등이 불필요하게 되고, 감량기 처리용량의 스케일업에 따른 무분별한 장치의 크기 및 개수 증가를 피할 수 있는 습식 수처리방식의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마이크로 버블이 소멸되면서 발생되는 순간적인 고온 고압은 살균과 동시에 내통에서 발생된 수증기에 섞인 악취를 열분해시켜 악취가 감소함으로써, 버블 응축 탱크 내부에 발생할 수 있는 악취 농도 증가 및 세균 번식을 방지함과 동시에 응축 효율이 증가하는 습식 수처리방식의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투입구를 통해 유기성 폐기물이 내부에 투입되고, 상기 투입된 유기성 폐기물과 상기 유기성 폐기물을 분해하는 유기물 분해 촉매가 내통에서 교반기에 의해 서로 균일하게 교반하여 유기성 폐기물을 분해시키는 교반조와;
상기 교반조에 연결되어 유기성 폐기물의 가열에 의해 발생한 수증기를 흡입하여 이송시키는 흡입부와;
상기 흡입부를 통해 이송한 수증기를 마이크로 버블에 의해 응축시키는 응축부와;
상기 응축부에서 발생되는 공기를 교반조의 내부 또는 탈취부로 분리하여 순환시키는 내부 순환부와;
상기 내부 순환부와 연결되어 순환 이송된 공기를 탈취시킨 뒤, 외부로 배출하는 탈취부와;
상기 응축부에서 전달된 응축수를 필터링과 살균을 통해 정수 처리하는 수처리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수처리방식의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교반조는, 상부에는 유기성 폐기물이 내부에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처리가 완료된 유기성 폐기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측 일단부에는 내부에서 발생된 수증기가 흡입부로 흡입되는 흡입구와 상기 내부 순환부에서 이송된 공기가 내부에 공급되는 공급구가 각각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측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되,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투입구를 통해 본체에 투입된 유기성 폐기물이 내부에서 교반, 가열, 파쇄, 건조가 이루어지는 내통과;
상기 본체 또는 내통의 내부에 설치되어 투입된 유기성 폐기물과 유기물 분해 촉매를 교반시켜 혼합 및 파쇄시키는 교반기와;
상기 본체의 투입구 측에 설치되어 투입구 도어의 열림을 측정하는 도어 열림 센서와, 상기 내통 내에 설치되어 유기성 폐기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내통 내에 설치되어 유기성 폐기물의 수분을 측정하는 수분센서로 이루어지는 센서부와;
상기 내통의 외면에 구비되어 내통의 내부를 가열하여 유기성 폐기물을 가열하는 가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수처리방식의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흡입부는, 상기 본체의 흡입구에 연결되어 본체에서 흡입한 수증기를 응축부까지 이송시키는 순환관과;
상기 본체의 흡입구 측에 순환관에 설치되어 흡입되는 수증기 내의 이물질을 1차 필터링하는 먼지필터와;
상기 먼지필터의 후방에 연결되는 순환관에 설치되어 관통되는 수증기 내의 이물질을 2차 필터링하는 분리막필터와;
상기 순환관에 연결 설치되어 본체 내의 수증기를 흡입시켜서 순환관을 통해 응축부에 이송시키는 송풍기;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수처리방식의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응축부는, 상기 순환관과 연결되어 순환관으로 이송된 수증기와 버블 응축 탱크에서 이송된 물로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키는 마이크로 버블 펌프와;
상기 마이크로 버블 펌프와 연결되어 마이크로 버블 펌프에서 이송된 마이크로 버블이 내부에 저장된 물 속을 상측으로 통과하면서 버블 내의 수증기가 응축 반응하는 버블 응축 탱크와;
상기 버블 응축 탱크의 상측부에 연결되어 버블 응축 탱크 내에 넘치는 버블 및 일부 물이 이송되어 물로 전환시키고, 내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체크하는 다수개의 레벨 센서가 설치되는 디버블 리시버 탱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수처리방식의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수처리부는, 상기 디버블 리시버 탱크와 연결되어 디버블 리시버 탱크의 레벨 센서의 물 수위 체크에 따라 작동하여 디버블 리시버 탱크에 저장된 물을 이송시키는 수처리 펌프와;
상기 수처리 펌프를 통해 이송된 물이 관통되면서 정수시키는 수처리 필터부와;
상기 수처리 필터부에서 정수된 물을 UV로 살균시키는 UV살균기와;
상기 UV살균기에서 살균된 물을 내부에 임시 저장한 뒤, 외부에 배출하는 정수탱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수처리방식의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수처리 필터부는, 상기 수처리 펌프를 통해 이송된 물에 섞여있는 대형 입자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세디멘트 필터장치와;
상기 세디멘트 필터장치에서 필터링된 물에 섞여있는 소형 입자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UF 멤브레인 필터장치와;
상기 UF 멤브레인 필터장치에서 필터링된 물의 세균번식을 방지하고 물의 냄새를 잡아주는 카본 필터장치;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수처리방식의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탈취부는, 상기 버블 응축 탱크에서 발생된 공기가 내부 순환부를 통해 내부에 이송되고, 상기 내부에 유입된 공기가 탈취되면 외부로 배출하는 탈취 탱크와;
상기 탈취 탱크 내에 설치되어 탈취 탱크에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탈취 히터와;
상기 탈취 탱크 내에 설치되되, 상기 탈취 히터의 후방에 형성되어 가열된 공기가 관통하면서 탈취가 이루어지는 백금 촉매 필터와;
상기 탈취 탱크 내에 설치되되, 탈취 히터와 백금 촉매 필터 사이에 형성되어 가열된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탈취 온도센서;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수처리방식의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습식 수처리방식의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는 본체 및 내통에서 발생된 수증기가 회로 내부를 순환하며 악취 및 오염된 공기를 그대로 배출하지 않고 마이크로 버블이 발생하는 응축부와 탈취부를 통해 정화한 뒤 배출함으로써, 응축에 필요한 냉각기를 사용하지 않으며 탈취기도 최소 개수 사용이 가능하여 전기 사용량을 줄일 수 있어 실용성 증가 및 환경 오염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켜 물이 담겨있는 버블 응축 탱크로 내통에서 발생된 수증기를 공급하고, 상기 버블 응축 탱크에서 수증기를 아주 작은 크기의 기포로 만들어 응축이 일어나는 표면적을 최대로 넓히고 수증기보다 차가운 물에 공급이 되면서 버블 내표면에서 개별 응축 반응이 일어남으로써, 버블 표면이 응축부의 열교환 라디에이터 역할을 하고 버블 응축 탱크에 있는 물이 공냉 혹은 냉각기 역할을 하기에 응축에 필요한 냉각장치(공냉 장치, 실외기 등의 냉각기, 라디에이터, 응축기) 등이 불필요하게 되고, 감량기 처리용량의 스케일업에 따른 무분별한 장치의 크기 및 개수 증가를 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마이크로 버블이 소멸되면서 발생되는 순간적인 고온 고압은 살균과 동시에 내통에서 발생된 수증기에 섞인 악취를 열분해시켜 악취가 감소함으로써, 버블 응축 탱크 내부에 발생할 수 있는 악취 농도 증가 및 세균 번식을 방지함과 동시에 응축 효율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습식 수처리방식의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를 나타낸 계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반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습식 수처리방식의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습식 수처리방식의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습식 수처리방식의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를 나타낸 후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습식 수처리방식의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반기를 나타낸 전개도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습식 수처리방식의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를 나타낸 계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반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습식 수처리방식의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습식 수처리방식의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습식 수처리방식의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를 나타낸 후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습식 수처리방식의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반기를 나타낸 전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습식 수처리방식의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는 투입구(13)를 통해 유기성 폐기물이 내부에 투입되고, 상기 투입된 유기성 폐기물과 상기 유기성 폐기물을 분해하는 유기물 분해 촉매가 내통(12)에서 교반기에 의해 서로 균일하게 교반하여 유기성 폐기물을 분해시키는 교반조(10)와; 상기 교반조(10)에 연결되어 유기성 폐기물의 가열에 의해 발생한 수증기를 흡입하여 이송시키는 흡입부(200)와; 상기 흡입부(200)를 통해 이송한 수증기를 마이크로 버블에 의해 응축시키는 응축부(300)와; 상기 응축부(300)에서 발생되는 공기를 교반조(10)의 내부 또는 탈취부(500)로 분리하여 순환시키는 내부 순환부(400)와; 상기 내부 순환부(400)와 연결되어 순환 이송된 공기를 탈취시킨 뒤, 외부로 배출하는 탈취부(500)와; 상기 응축부에서 전달된 응축수를 필터링과 살균을 통해 정수 처리하는 수처리부(60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교반조(10), 가열부(40), 흡입부(200), 응축부(300), 내부 순환부(400), 탈취부(500), 수처리부(600)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자동제어된다.
상기 교반조(1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에는 유기성 폐기물이 내부에 투입되는 투입구(13)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처리가 완료된 유기성 폐기물이 배출되는 배출구(14)가 형성되며, 상기 교반조(10)의 일단부에는 내부에서 발생된 수증기가 흡입부(200)로 흡입되는 흡입구(15)와 상기 내부 순환부(400)에서 처리된 공기가 내부에 공급되는 공급구(16)가 각각 형성되는 본체(11)와; 상기 본체(11)의 하측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되,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투입구(13)를 통해 본체에 투입된 유기성 폐기물이 내부에서 교반, 가열, 파쇄, 건조가 이루어지는 내통(12)과; 상기 본체(11) 또는 내통(12)의 내부에 설치되어 투입된 유기성 폐기물과 유기물 분해 촉매를 교반시켜 혼합 및 파쇄시키는 교반기(20)와; 상기 본체(11)의 투입구(13) 측에 설치되어 투입구 도어(17)의 열림을 측정하는 도어 열림 센서(31)와, 상기 내통(12) 내에 설치되어 유기성 폐기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32)와, 상기 내통(12) 내에 설치되어 유기성 폐기물의 수분을 측정하는 수분센서(33)로 이루어지는 센서부(30)와; 상기 내통(12)의 외면에 구비되어 내통(12)의 내부를 가열하여 유기성 폐기물을 가열하는 가열부(4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1)와 내통(12)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프레임(1) 위에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1)은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부에 다수개의 바퀴(2)가 설치되어 원하는 곳으로 이동되어 사용이 가능하며, 상기 본체(11)와 내통(12)은 1회 최대 처리용량이 200kg ~ 1톤 정도되는 용량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본체(11)와 내통(12)은 SUS304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져서 부식을 방지하면서 내구성을 확보한다. 상기 프레임(1)의 상부에 교반조(10) 이외에도 가열부(40), 흡입부(200), 응축부(300), 내부 순환부(400), 탈취부(500), 수처리부(600), 제어부가 설치되어 하나의 모듈화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1)의 투입구(13)에는 개폐하는 투입구 도어(17)가 더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 도어(17)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가 가능하며, 상기 투입구(13)에 설치된 도어 열림 센서(31)에 의해 투입구 도어(17)가 열리면 처리장치의 작동이 일시에 중단된다.
또한, 상기 본체(11)의 배출구(14)에는 배출구(14)의 커버(미도시)를 개폐시키는 전동장치(미도시)가 더 설치되고, 상기 전동장치는 전동 엑츄에이터 등으로 이루어져 자동으로 커버를 개폐하여 본체(11) 및 내통(12) 내에서 처리된 잔재물(유기성 폐기물이 파쇄되고 건조가 완료된 물질)이 배출된다. 이때, 상기 배출구(14)를 통해 잔재물의 배출은 교반기(20)의 교반날개(22)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잔재물을 퍼올려서 배출구(14) 측으로 이송시킨다.
상기 내통(12)은 본체(11)의 하측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되,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투입구(13)를 통해 본체에 투입된 유기성 폐기물이 내부에서 교반, 가열, 파쇄,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본체(11)와 동일한 두께,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교반기(20)는 도 1 및 도 7에서처럼, 상기 본체(11) 또는 내통(12)의 내부를 수평으로 관통 형성되어 회전되고, 양끝단부가 상기 본체(11) 또는 내통(12)의 외부로 돌출 형성되어 지지되는 교반 샤프트(21)와; 상기 본체(11) 또는 내통(12)의 내부에 구비된 교반 샤프트(21)의 몸통에 다수개가 부착되어 교반 샤프트(21)의 회전에 의해 유기성 폐기물을 교반 및 파쇄시키는 교반날개(22)와; 상기 본체(11) 또는 내통(12)의 외부로 돌출 형성된 교반 샤프트(21)의 일측과 체인으로 연결되어 회전 동력을 공급하는 교반모터(2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교반모터(23)는 정회전시 교반, 역회전시 잔재물 배출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교반날개(22)가 정회전시에는 유기성 폐기물을 교반시키고, 역회전시에는 잔재물을 배출구(14) 측로 들어올려 배출시킨다.
여기서, 상기 교반 샤프트(21)는 교반모터(23)에서 체인을 통해 전달받은 동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며 외주연에 다수개의 교반날개(22)가 부착되는데, 상기 교반날개(22)는 교반 샤프트(21)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다수개가 부착되며 상기 교반 샤프트(21)의 외주연 원주방향으로 다수개가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교반날개(22)는 도 7에서처럼, 직선형이 아닌 곡률을 가지고 곡선지게 형성되는데, 그 이유는 재질의 특성 때문이다. 내통(12)의 환경은 하부가열로 인해 유기성 폐기물에서 액체가 나오는 고온다습한 환경이므로 부식에 강한 STS 재질(스테인레스 재질)의 교반날개(22)를 사용한다. STS재질의 특성상 일반 STEEL보다 강도와 강성은 강하지만 비틀림에 대한 저항이 낮다. 교반 샤프트(21)가 교반날개(22)와 함께 회전하면서 내용물을 지나가기 때문에 지속적인 비틀림응력을 받게 된다.
이때, 기존의 직선형 날개의 경우 교반과정에서 한번에 큰 하중을 견뎌야하는 반면, 곡률형 날개(본 발명의 교반날개(22))는 순차적으로 약한 하중부터 먼저 받고 곡률로 하중을 흘려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적은 비틀림 응력을 받고 샤프트(21)의 비틀림에 대한 데미지를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음식물류폐기물이 감량되면서 변화되는 상태(음식물 -> 곤죽 -> 덩어리 -> 작은입자)중 곤죽인 상태에서는 날개(22)에 곡률로 인해 상하좌우의 미세한 대류를 유도하여 가열이 골고루 되도록 하며 건조가 진행된다. 덩어리, 작은입자로 가는 과정에서는 날개(22)의 회전방향에 따라 샤프트(21)와 가까운 부분부터 드러나기 시작하면서 내용물이 머금고 있는 수분의 증발 시간 및 증발량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교반날개(22)의 곡률 각도는 샤프트의 회전 속도에 따라 15° ~ 20°로 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교반날개(22)의 끝단부에는 교반날(24)이 직교로 형성되는데, 상기 교반날(24)은 교반날개(22)에서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교반날(24)은 일단면이 절곡되어 교반날개(22)의 역회전시, 유기성 폐기물을 퍼올릴 수 있는데, 상기 교반날(24)의 절곡된 각도는 내통 R305를 고려하여 날개 끝단의 여유공간 약 700 ㎟을 두어 설계하였다. 빈 공간의 역할은 반 고체 상태로 교반하는 내용물이 잘 섞이도록 도움을 준다.
또한, 교반 중 음식물을 파쇄시키고 배출 시 교반날개(22)가 역회전하면 절곡된 교반날(24)이 부산물을 퍼올리는 역할을 하여 배출시간 단축에 효과적이다. 날개 각도가 너무 크면 빈 공간의 용량이 너무 작아지고, 각도가 작아지면 빈 공간이 커지는 만큼 회전축이 받는 하중이 늘어나기 때문에 상기 교반날(24)의 절곡 각도는 145° ~ 165° 범위를 가지도록 설계하였다.
상기 센서부(30)는 도 1 내지 도 6에서처럼, 본체(11)의 투입구(13) 측에 설치되어 투입구 도어(17)의 열림을 측정하는 도어 열림 센서(31)와, 상기 내통(12) 내에 설치되어 유기성 폐기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32)와, 상기 내통(12) 내에 설치되어 유기성 폐기물의 수분을 측정하는 수분센서(33)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어 열림 센서(31), 온도센서(32), 수분센서(33)에서 측정된 신호는 제어부에 전달되며, 상기 제어부는 전달된 신호에 따라 교반조(10), 가열부(40), 흡입부, 응축부, 내부 순환부(400), 탈취부, 수처리부를 선택적으로 제어한다.
상기 가열부(4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통(12)의 외면에 구비되어 상기 내통(12)의 내부를 가열하여 유기성 폐기물을 가열하도록 히팅자켓(41)과, 히터(42)와, 열매체 순환펌프(4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히팅자켓(41)은 내통(12)의 외면 전체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내부에 열매체유가 채워진 상태이고, 상기 열매체유는 히터(42)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가열됨과 동시에 내통(12)으로 열을 전달하는 매개체이다.
그리고, 상기 히터(42)는 히팅자켓(41) 내에 일부가 구비된 상태에서 외부의 전기에 의해 가열되어 히팅자켓(41) 내의 열매체유를 가열해준다.
또한, 상기 열매체 순환펌프(44)는 히팅자켓(41) 내에 연결 설치되어 히팅자켓(41) 내에 구비된 열매체유를 순환시켜 히터(42)에 의해 가열을 원활하게 하면서 가열된 열매체유가 히팅자켓(41) 내를 순환하면서 내통(12)으로 열을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흡입부(20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반조(10)의 흡입구(15)에 연결되어 유기성 폐기물의 가열에 의해 발생한 수증기를 흡입하여 이송시키도록 순환관(210)과, 먼지필터(220)와, 분리막필터(230)와, 송풍기(240)로 구성된다.
상기 순환관(210)은 본체(11)의 흡입구(15)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응축부의 마이크로 버블 펌프(310)와 연결되어 본체(11)에서 흡입한 수증기를 마이크로 버블 펌프(310)까지 이송시킨다. 이때, 상기 순환관(210)에는 먼지필터(220), 분리막필터(230), 송풍기(240)가 순차적으로 연결 설치된다.
상기 먼지필터(220)는 본체(11)의 흡입구(15) 측에 순환관(210)에 설치되어 흡입되는 수증기 내의 분진같은 이물질을 1차 필터링하는 필터장치이고, 상기 분리막필터(230)는 먼지필터(220)의 후방에 연결되는 순환관(210)에 설치되어 관통되는 수증기 내의 분진같은 이물질을 2차 필터링하는 필터장치이다.
상기 송풍기(240)는 링블러워(Ring Blower)로써, 본체(11) 내의 수증기를 흡입시켜 순환관(210)을 통해 순환시키고, 그로 인해 본체(11) 내의 압력이 떨어트려 내부 순환부(400)를 통해 공기를 흡입받게 할 수 있다. 그리하여 순환되는 것이다.
상기 응축부(300)는 도 1 및 도 3 및 도 5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부(200)를 통해 이송한 수증기를 마이크로 버블에 의해 응축시키도록 마이크로 버블 펌프(310)와, 버블 응축 탱크(320)와, 디버블 리시버 탱크(330)로 구성된다.
상기 마이크로 버블 펌프(310)는 순환관과 연결되어 순환관(210)으로 이송된 수증기와 버블 응축 탱크(320)에서 이송된 물로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키는데, 상기 마이크로 버블 펌프(310)는 유입구가 2개이고 배출구가 1개로 형성되며, 상기 2개의 유입구 중 하나는 순환관(210)과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버블 응축 탱크(320)에서 물이 이송되는 이송관과 연결됨으로써, 수증기와 물이 마이크로 버블 펌프(310) 내에 유입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마이크로 버블 펌프(310)의 배출구는 버블 응축 탱크(320)와 연결되는 연결관과 연결되어 마이크로 버블 펌프(310) 내에서 발생된 마이크로 버블이 연결관을 통해 버블 응축 탱크(320)에 전달된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 버블은 100만분의 1의 크기의 버블로써, 버블 내에 수증기가 포함된 상태이다.
상기 버블 응축 탱크(320)는 내부에 물이 채워진 상태에서 마이크로 버블 펌프(310)에서 이송된 마이크로 버블이 내부에 전달되고, 상기 전달된 마이크로 버블은 버블 응축 탱크(320)의 내부에 저장된 물 속을 상측으로 통과하면서 버블 내의 수증기가 응축 반응하여 응축된다. 즉, 상기 버블 표면이 응축부의 열교환 라디에이터 역할을 하고 버블 응축 탱크에 있는 물이 공냉 혹은 냉각기 역할을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버블 응축 탱크(320)의 상측부에는 마이크로 버블 펌프(310)에 물을 전달하는 연결구, 상기 내부 순환부(400)와 연결되는 연결구, 상기 디버블 리시버 탱크(330)와 연결되는 연결구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디버블 리시버 탱크(330)는 버블 응축 탱크(320)의 상측부에 형성된 연결구와 관으로 연결되어 버블 응축 탱크(320) 내에 넘치는 버블 및 일부 물이 내부에 이송되어 저장되고, 상기 버블을 물로 전환시켜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디버블 리시버 탱크(330)의 내부면에는 저장된 물의 수위를 체크하는 다수개의 레벨 센서(331)가 설치되고, 상기 레벨 센서(331)는 상호 높이차를 두고 설치되어 저장되는 물의 수위를 체크하며, 상기 레벨 센서(331)에서 측정된 신호는 수처리부(600)의 수처리 펌프(610)에 전달되어 수처리 펌프(610)의 작동을 제어한다. 즉, 상기 저층의 레벨 센서(331)에 물이 체크되면 수처리 펌프(610)의 작동이 멈추고, 상기 고층의 레벨 센서(331)에 물이 체크되면 수처리 펌프(610)를 작동시켜 디버블 리시버 탱크(330) 내의 물을 수처리부(600)로 이송시키는 것이다.
한편, 상기 마이크로 버블은 기포 직경이 50㎛ 이하의 기포를 말하며, 일반 기포는 수중에서 급속으로 상승하지만, 마이크로 버블은 부력이 적어 1분에 약 3mm 정도 상승하여 장기간 수중에 체류하고 축소되어 소멸될 때 완전 용해가 된다,
여기서, 수중 마이크로 버블은 높은 장력으로 인해, 내부의 압력이 현저하게 증가하게 되고 상승과정에서 더욱 축소되면서 내부 압력이 커져 나노 사이즈의 나노 버블 형태로 축소 전환되고, 소멸하면서 오존 대비 2000배의 산화력을 갖는 프리라디칼(free-radical)을 발생한다, 프리라디칼은 전하를 띄게 되면서 살균력 및 난분해성 화학물질 분해 능력이 뛰어나므로 다양한 산업분야의 수질개선 및 정화기술로 응용되고 있다.
또한, 마이크로 버블이 소멸되면서 발생되는 순간적인 고온 고압은 살균과 동시에 내통에서 발생된 수증기에 섞인 악취를 열분해시켜 감소시키고, 이러한 마이크로 버블의 효과로 버블 응축 탱크 내부에 발생할 수 있는 악취 농도 증가 및 세균 번식을 방지함과 동시에 높은 응축효율을 보여준다,
상기 내부 순환부(400)는 도 1 및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응축부(300)의 버블 응축 탱크(320)에서 발생된 건조 공기를 교반조(10)의 내부 또는 탈취부(500)로 분리하여 순환시키도록 하나의 내부순환관에서 두개의 내부순환관이 분기되어 각각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내부순환관은 버블 응축 탱크(320)의 연결구에 연결된 상태에서 양측으로 분기되어 하나는 교반조(10)의 공급구(16)와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탈취부(500)의 탈취탱크(510)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양측으로 분기된 내부순환관에는 공기흡입 조절 밸브(410)가 각각 설치되어 버블 응축 탱크(320) 내의 공기를 선택적으로 또는 유량을 조절하여 교반조(10) 또는 탈취부(500)에 전달하는 것이다.
상기 탈취부(500)는 도 1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순환부(400)의 내부순환관과 연결되어 이송된 공기를 탈취시킨 뒤, 외부로 배출하도록 탈취탱크(510)와, 탈취 히터(520)와, 백금 촉매 필터(530)와, 탈취 온도센서(540)로 구성된다.
상기 탈취탱크(510)는 버블 응축 탱크(320)에서 발생된 건조공기가 내부 순환부(400)를 통해 내부에 이송되고, 상기 내부에 유입된 공기가 탈취 히터(520)와, 백금 촉매 필터(530)에 의해 탈취되면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탈취 히터(520)는 탈취탱크(510) 내에 일부가 설치되어 외부의 전기에 의해 열이 발생되고, 상기 탈취 히터(520)는 탈취탱크(510)의 유입구 측에 설치되어 탈취탱크(510)에 유입된 공기를 촉매 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 온도까지 가열한다. 이때, 상기 공기는 250 ~ 350℃까지 탈취 히터(520)에 의해 가열된다.
상기 백금 촉매 필터(530)는 내부에 백금 촉매가 처리된 상태로 탈취탱크(510) 내에 설치되는데, 상기 탈취 히터(520)의 후방에 형성되어 가열된 공기가 관통하면서 백금 촉매와 반응하여 공기 내에 냄새 및 악취를 흡착하여 탈취가 이루어진다.
상기 탈취 온도센서(540)는 탈취탱크(510) 내에 설치되는데, 탈취 히터(520)와 백금 촉매 필터(530) 사이에 형성되어 가열된 공기의 온도를 측정한 뒤, 공기의 온도가 250 ~ 350℃에 도달하면 탈취 히터(520)의 작동이 멈추도록 제어부에 신호를 전달한다.
상기 수처리부(600)는 도 1 및 도 5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응축부(300)에서 전달된 응축수를 필터링과 살균을 통해 정수 처리하도록 수처리 펌프(610)와, 수처리 필터부와, UV살균기(650)와, 정수탱크(660)로 구성된다.
상기 수처리 펌프(610)는 디버블 리시버 탱크(330)와 관으로 연결되어 디버블 리시버 탱크(330)의 레벨 센서(331)의 물 수위 체크에 따라 제어부에 의해 작동하여 디버블 리시버 탱크(330)에 저장된 물을 정수탱크(660)까지 이송시킨다.
상기 수처리 필터부는 수처리 펌프(610)를 통해 이송된 물이 관통되면서 정수시키도록 3개의 필터장치가 설치되는데, 수처리 펌프(610)를 통해 이송된 물에 섞여있는 대형 입자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세디멘트 필터장치(620)와; 상기 세디멘트 필터장치(620)에서 필터링된 물에 섞여있는 소형 입자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UF 멤브레인 필터장치(630)와; 상기 UF 멤브레인 필터장치(630)에서 필터링된 물의 세균번식을 방지하고 물의 냄새를 잡아주는 카본 필터장치(64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세디멘트 필터장치(620), UF 멤브레인 필터장치(630), 카본 필터장치(640)가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순차적으로 필터링된다.
상기 UV살균기(650)는 수처리 필터부에서 정수된 물을 UV로 살균하고, 상기 정수탱크(660)는 UV살균기(650)에서 살균된 물을 내부에 임시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정수탱크(660)는 수처리 과정을 모두 거친 정수된 물을 저장하고, 상기 정수탱크(660)의 일단면에는 정수탱크(660)의 수위가 일정부분에 도달하면 밖으로 배출시키는 OVER FLOW 배출구(661)가 형성된다.
10 : 교반조 11 : 본체
12 : 내통 13 : 투입구
14 : 배출구 15 : 흡입구
16 : 공급구 17 : 투입구 도어
20 : 교반기 21 : 교반샤프트
22 : 교반날개 23 : 교반모터
24 : 교반날
30 : 센서부 31 : 도어 열림 센서
32,43 : 온도센서 33 : 수분센서
40 : 가열부 41 : 히팅자켓
42 : 히터 44 : 열매체 순환펌프
200 : 흡입부 210 : 순환관
220 : 먼지필터 230 : 분리막필터
240 : 송풍기
300 : 응축부 310 : 마이크로 버블 펌프
320 : 버블 응축 탱크 330 : 디버블 리시버 탱크
331 : 레벨 센서
400 : 내부 순환부 410 : 공기 흡입 조절 밸브
500 : 탈취부 510 : 탈취 탱크
520 : 탈취 히터 530 : 백금 촉매 필터
540 : 탈취 온도센서
600 : 수처리부 610 : 수처리 펌프
620 : 세디멘트 필터장치 630 : UF 멤브레인 필터장치
640 : 카본 필터장치 650 : UV 살균기
660 : 정수 탱크 661 : OVER FLOW 배출구

Claims (7)

  1. 투입구(13)를 통해 유기성 폐기물이 내부에 투입되고, 상기 투입된 유기성 폐기물과 상기 유기성 폐기물을 분해하는 유기물 분해 촉매가 내통(12)에서 교반기에 의해 서로 균일하게 교반하여 유기성 폐기물을 분해시키는 교반조(10)와;
    상기 교반조(10)에 연결되어 유기성 폐기물의 가열에 의해 발생한 수증기를 흡입하여 이송시키는 흡입부(200)와;
    상기 흡입부(200)를 통해 이송한 수증기를 마이크로 버블에 의해 응축시키는 응축부(300)와;
    상기 응축부(300)에서 발생되는 공기를 교반조(10)의 내부 또는 탈취부(500)로 분리하여 순환시키는 내부 순환부(400)와;
    상기 내부 순환부(400)와 연결되어 순환 이송된 공기를 탈취시킨 뒤, 외부로 배출하는 탈취부(500)와;
    상기 응축부(300)에서 전달된 응축수를 필터링과 살균을 통해 정수 처리하는 수처리부(6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수처리방식의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조(10)는,
    상부에는 유기성 폐기물이 내부에 투입되는 투입구(13)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처리가 완료된 유기성 폐기물이 배출되는 배출구(14)가 형성되며, 상측 일단부에는 내부에서 발생된 수증기가 흡입부(200)로 흡입되는 흡입구(15)와 상기 내부 순환부에서 이송된 공기가 내부에 공급되는 공급구(16)가 각각 형성되는 본체(11)와;
    상기 본체(11)의 하측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되,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투입구(13)를 통해 본체(11)에 투입된 유기성 폐기물이 내부에서 교반, 가열, 파쇄, 건조가 이루어지는 내통(12)과;
    상기 본체(11) 또는 내통(12)의 내부에 설치되어 투입된 유기성 폐기물과 유기물 분해 촉매를 교반시켜 혼합 및 파쇄시키는 교반기(20)와;
    상기 본체(11)의 투입구(13) 측에 설치되어 투입구 도어(17)의 열림을 측정하는 도어 열림 센서(31)와, 상기 내통(12) 내에 설치되어 유기성 폐기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32)와, 상기 내통(12) 내에 설치되어 유기성 폐기물의 수분을 측정하는 수분센서(33)로 이루어지는 센서부(30)와;
    상기 내통(12)의 외면에 구비되어 내통(12)의 내부를 가열하여 유기성 폐기물을 가열하는 가열부(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수처리방식의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200)는,
    상기 본체(11)의 흡입구(15)에 연결되어 본체(11)에서 흡입한 수증기를 응축부까지 이송시키는 순환관(210)과;
    상기 본체(11)의 흡입구(15) 측에 순환관(210)에 설치되어 흡입되는 수증기 내의 이물질을 1차 필터링하는 먼지필터(220)와;
    상기 먼지필터(220)의 후방에 연결되는 순환관(210)에 설치되어 관통되는 수증기 내의 이물질을 2차 필터링하는 분리막필터(230)와;
    상기 순환관(210)에 연결 설치되어 본체(11) 내의 수증기를 흡입시켜서 순환관(210)을 통해 응축부에 이송시키는 송풍기(2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수처리방식의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부(300)는,
    상기 순환관(210)과 연결되어 순환관(210)으로 이송된 수증기와 버블 응축 탱크(320)에서 이송된 물로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키는 마이크로 버블 펌프(310)와;
    상기 마이크로 버블 펌프(310)와 연결되어 마이크로 버블 펌프(310)에서 이송된 마이크로 버블이 내부에 저장된 물 속을 상측으로 통과하면서 버블 내의 수증기가 응축 반응하는 버블 응축 탱크(320)와;
    상기 버블 응축 탱크(320)의 상측부에 연결되어 버블 응축 탱크(320) 내에 넘치는 버블 및 일부 물이 이송되어 물로 전환시키고, 내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체크하는 다수개의 레벨 센서(331)가 설치되는 디버블 리시버 탱크(3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수처리방식의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부(600)는,
    상기 디버블 리시버 탱크(330)와 연결되어 디버블 리시버 탱크(330)의 레벨 센서(331)의 물 수위 체크에 따라 작동하여 디버블 리시버 탱크(330)에 저장된 물을 이송시키는 수처리 펌프(610)와;
    상기 수처리 펌프(610)를 통해 이송된 물이 관통되면서 정수시키는 수처리 필터부와;
    상기 수처리 필터부에서 정수된 물을 UV로 살균시키는 UV살균기(650)와;
    상기 UV살균기(650)에서 살균된 물을 내부에 임시 저장한 뒤, 외부에 배출하는 정수탱크(66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수처리방식의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 필터부는,
    상기 수처리 펌프(610)를 통해 이송된 물에 섞여있는 대형 입자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세디멘트 필터장치(620)와;
    상기 세디멘트 필터장치(620)에서 필터링된 물에 섞여있는 소형 입자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UF 멤브레인 필터장치(630)와;
    상기 UF 멤브레인 필터장치(630)에서 필터링된 물의 세균번식을 방지하고 물의 냄새를 잡아주는 카본 필터장치(64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수처리방식의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부(500)는,
    상기 버블 응축 탱크(320)에서 발생된 공기가 내부 순환부(400)를 통해 내부에 이송되고, 상기 내부에 유입된 공기가 탈취되면 외부로 배출하는 탈취탱크(510)와;
    상기 탈취탱크(510) 내에 설치되어 탈취탱크(510)에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탈취 히터(520)와;
    상기 탈취탱크(510) 내에 설치되되, 상기 탈취 히터(520)의 후방에 형성되어 가열된 공기가 관통하면서 탈취가 이루어지는 백금 촉매 필터(530)와;
    상기 탈취탱크(510) 내에 설치되되, 탈취 히터(520)와 백금 촉매 필터(530) 사이에 형성되어 가열된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탈취 온도센서(5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수처리방식의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1020220154660A 2022-11-17 2022-11-17 습식 수처리방식의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202400727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4660A KR20240072730A (ko) 2022-11-17 2022-11-17 습식 수처리방식의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4660A KR20240072730A (ko) 2022-11-17 2022-11-17 습식 수처리방식의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2730A true KR20240072730A (ko) 2024-05-24

Family

ID=91321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4660A KR20240072730A (ko) 2022-11-17 2022-11-17 습식 수처리방식의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7273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464B1 (ko) 2010-10-29 2011-04-01 주식회사 코리아환경스마트 폐열을 이용하여 배출가스를 응축, 재가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464B1 (ko) 2010-10-29 2011-04-01 주식회사 코리아환경스마트 폐열을 이용하여 배출가스를 응축, 재가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8398B1 (ko) 유기성 폐기물의 감량 및 소멸화 장치
KR101634741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CN212143890U (zh) 医疗废物微波灭菌设备
KR20130107101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409230B1 (ko) 음식물쓰레기 초고속 유동 건조 및 발효장치
KR20240072730A (ko) 습식 수처리방식의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CN107043198A (zh) 一种采用超声波灭活的生物制药废水处理装置
KR20180002399A (ko) 탈취수단이 구비된 음식물쓰레기 발효 처리기
CN212864589U (zh) 一种餐厨垃圾降解设备
KR20180130833A (ko) 음식물처리기용 탈취장치
CN101405229A (zh) 废水处理装置
CN208814813U (zh) 一种新型双塔臭氧消毒塔
KR200408020Y1 (ko) 유기질 폐기물의 고온 살균 건조 처리장치
KR200216319Y1 (ko) 음식 쓰레기 발효장치
KR100882750B1 (ko) 탈취 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KR20110108585A (ko) 슬러지 건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슬러지 건조 시스템
KR200393891Y1 (ko) 유기질 폐기물의 고온 살균 건조 처리장치
KR20240057474A (ko) 내부 순환 방식의 유기성 폐기물 감량 및 처리장치
KR102303974B1 (ko) 발효·분해작용을 활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211035604U (zh) 一种立式低能耗内循环一体化污水处理设备
KR102359864B1 (ko) 하수, 가축분뇨, 음식물류폐기물 처리시설 협잡물 처리장치
CN211595236U (zh) 一种无害化医院污水处理一体化设备
CN220334900U (zh) 小型一体化医疗废水消杀系统
JP2002186943A (ja) 有機廃棄物処理設備及びコンポスト化方法
KR101251555B1 (ko) 음식물쓰레기 소멸 장치 및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