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2116A - 레진 토출기 - Google Patents

레진 토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72116A
KR20240072116A KR1020240062820A KR20240062820A KR20240072116A KR 20240072116 A KR20240072116 A KR 20240072116A KR 1020240062820 A KR1020240062820 A KR 1020240062820A KR 20240062820 A KR20240062820 A KR 20240062820A KR 20240072116 A KR20240072116 A KR 20240072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unit
hardener
discharge
bas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62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창근
모성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중앙목형
양창근
모성진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중앙목형, 양창근, 모성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중앙목형
Publication of KR20240072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721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3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58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58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for discharging, e.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3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34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38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 B29B7/4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single shaft
    • B29B7/42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single shaft with screw or heli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3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34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38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 B29B7/46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more than one shaft
    • B29B7/48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more than one shaft with intermeshing devices, e.g.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3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58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6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for feeding, e.g. end guides for the incom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802Constructions or methods for cleaning the mixing or knead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82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40/0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e.g. for material handling

Abstract

본 발명은 주제를 공급받아 외부로 이송 가능하게 안내하는 주제공급부; 경화제를 공급받아 외부로 이송 가능하게 안내하는 경화제공급부; 상기 주제공급부와 경화제공급부로부터 각각 주제와 경화제가 이송되어 혼합되는 믹싱부; 상기 믹싱부에서 혼합된 주제와 경화제를 교반시킨 레진을 외부로 이송 가능하게 안내하는 토출부; 및 상기 토출부로부터 이송된 레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가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레진 토출기{RESIN INJ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여 교반된 레진을 토출하여 원하는 형태의 목업(mockup)을 제작하기 위한 레진 토출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고, 교반된 레진을 토출하여 목업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높은 레진 농도에 의해 굳는 시간을 최소화하여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레진을 교반 및 토출시키기 위한 스크류의 탈부착이 가능하여 토출부의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레진 토출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목형 업계의 규모를 살펴보면, 약 90% 이상이 통상 종업원 수 3 ~ 7명 미만인 업체로 운영되고 있으며, 중공업 분야의 경쟁력 저하로 인하여 주문자로부터 단납기와 염가형 목형을 주문 받는 한편, 고생산성/고정밀 수준의 품질보증을 요구 받고 있는 실정이다.
많은 기업들이 이러한 여러 형태의 문제를 해소하고 목형의 납기 단축, 품질향상, Cost down 실현을 위한 대응책으로 보유 설비의 보완과 확충의 필요성을 갖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종래 기업들은 해외수출을 통한 수요확보, 원가절감을 통한 단가 확보, 자동화를 통한 생산력 확보 등 다양한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며, 이중에서도 CNC 기술과 3D 프린팅 기술을 접목하여 목업을 제작하기 위한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에서, 3D 프린팅 기술은 레진의 시료가 되는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여 배출하고, 배출된 레진을 CNC를 통해 목업을 형상화함으로써, 굳는 시간이 빠른 장점을 갖는 레진을 통해 원하는 형태의 목업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CNC 기술과 3D 프린팅 기술이 접목된 레진 토출기는 낮은 레진 농도에 의해 굳는데 장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레진을 토출하기 위한 스크류에 레진 잔여물이 남게 되는 경우, 그대로 굳어져 재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종래에는 레진을 토출하기 위한 스크류를 1회용으로 사용하여 왔으나, 이는 원가 상승을 초래하여 레진 토출에 따른 비용이 증대되고, 가격 경쟁력에서 뒤쳐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고, 교반된 레진을 토출하여 목업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높은 레진 농도에 의해 굳는 시간을 최소화하여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레진 토출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레진을 교반 및 토출시키기 위한 스크류의 탈부착이 가능함으로써, 고농도의 레진을 사용하더라도 스크류로부터 레진의 잔여물 제거 및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레진 토출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또 과제는 주제와 경화제의 혼합과 교반이 이루어지는 스크류가 서로 다른 형태를 갖는 인입부, 교반부 및 압출부로 구비됨에 따라, 주제와 경화제의 혼합과 레진의 교반 및 레진의 이송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굳지 않은 상태의 레진을 안정적으로 배출시켜 목업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레진 토출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또 과제는 주제와 경화제의 공급 뿐만 아니라 교반된 레진을 토출하는 과정에서 히팅 또는 냉각을 통해 온도가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제작하기 위한 목업의 형태나 규모에 따라 레진이 굳는 시간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레진 토출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진 토출기는 주제를 공급받아 외부로 이송 가능하게 안내하는 주제공급부(100); 경화제를 공급받아 외부로 이송 가능하게 안내하는 경화제공급부(200); 상기 주제공급부(100)와 경화제공급부(200)로부터 각각 주제와 경화제가 이송되어 혼합되는 믹싱부(300); 상기 믹싱부(300)에서 혼합된 주제와 경화제를 교반시킨 레진을 외부로 이송 가능하게 안내하는 토출부(400); 및 상기 토출부(400)로부터 이송된 레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가공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제공급부(100) 및 경화제공급부(200) 각각은 주제와 경화제가 각각 투입되는 투입구(110); 상기 투입구(110)의 상측에 결합되며, 주제나 경화제가 수용되는 드럼(120); 내측 공간에 구비되며,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나사산이 반대방향으로 형성되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압출스크류(130); 외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압출스크류(130)의 회전에 의해 주제나 경화제를 배출시키는 배출구(140); 및 상기 배출구(140)와 믹싱부(300)를 연결하는 이송관(150);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럼(120) 내의 온도를 조절하는 히팅부(6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히팅부(600)는 상기 드럼(120)의 외부 표면에 부착되는 제1 열교환기, 상기 드럼(12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 열교환기, 및 상기 드럼(120)의 내부 표면에 부착되는 제3 열교환기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믹싱부(300)는 타측에 설치되며, 암연결부재(311)가 구비된 모터(310);를 구비하고, 상기 토출부(400)는 상기 믹싱부(300)의 일측에 결합되는 토출관(410); 및 상기 토출관(410)의 내측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암연결부재(311)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공유하도록 하는 수연결부재(421)가 구비된 회전축(420);을 구비하고, 상기 수연결부재(421)는 상기 암연결부재(311)로부터 탈부착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부(400)는 상기 회전축(420)에 끼워져 믹싱부(300)로 이송된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되도록 하는 인입부(430); 상기 회전축(420)에 끼워져 인입부(430)의 일측에 배치되며, 혼합된 주제와 경화제를 레진으로 교반시키는 교반부(440); 상기 회전축(420)에 끼워져 압출부(450)의 일측에 배치되며, 교반된 레진을 이송시키는 압출부(450); 및 상기 토출관(410)의 끝단에 결합되어 압출부(450) 회전에 의해 레진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호퍼(46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420)은 장축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절개홈(422);을 구비하고, 상기 인입부(430), 교반부(440) 및 압출부(450) 각각은 관통된 내주면에 장축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끼움돌기(470);를 구비하고, 상기 끼움돌기(470)는 상기 절개홈(422)으로 끼워져 회전축(420) 회전시, 상기 인입부(430), 교반부(440) 및 압출부(450)가 함께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입부(430)는 외주면에 사선형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인입부(430)의 외주연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로 구비된 사선형날개(431);를 구비하고, 상기 교반부(440)는 외주면에 사선형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교반부(440)의 외주연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로 구비되되, 하나의 교반부(440) 사이사이에 절삭된 형태의 이격홈(441a)이 형성된 사선형돌기(441);를 구비하고, 상기 압출부(450)는 외주면에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교반된 레진을 일측으로 이송시키도록 나선형으로 형성된 나선형날개(451);를 구비하고, 상기 인입부(430), 교반부(440) 및 압출부(450)는 상기 회전축(420)에 순차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공부(500)는 상기 토출부(400)로부터 이송된 레진을 배출시켜 목업을 제작하기 위한 헤드(510);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510)는 측면개구홀(511); 상기 호퍼(460)와 측면개구홀(511)을 연결하는 레진이송관(512); 상기 헤드(510)의 하측 끝단에 형성되며, 측면개구홀(511)과 연통되는 통공(513); 및 상기 통공(513)에 끼워져 레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토출노즐(514);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고, 교반된 레진을 토출하여 목업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높은 레진 농도에 의해 굳는 시간을 최소화하여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진을 교반 및 토출시키기 위한 스크류의 탈부착이 가능함으로써, 고농도의 레진을 사용하더라도 스크류로부터 레진의 잔여물 제거 및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제와 경화제의 혼합과 교반이 이루어지는 스크류가 서로 다른 형태를 갖는 인입부, 교반부 및 압출부로 구비됨에 따라, 주제와 경화제의 혼합과 레진의 교반 및 레진의 이송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굳지 않은 상태의 레진을 안정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제와 경화제의 공급 뿐만 아니라 교반된 레진을 토출하는 과정에서 히팅 또는 냉각을 통해 온도가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제작하기 위한 목업의 형태나 규모에 따라 레진이 굳는 시간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레진 토출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진 토출기에서 주제공급부 및 경화제공급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진 토출기에서 주제공급부 및 경화제공급부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레진 토출기에서 믹싱부와 토출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진 토출기에서 토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레진 토출기에서 토출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레진 토출기에서 인입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레진 토출기에서 교반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레진 토출기에서 압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레진 토출기에서 가공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레진 토출기에서 가공부를 나타낸 측면측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레진 토출기에서 가공부를 나타낸 분해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방향(예를 들어 "전", "후", "좌", "우", "위", "아래", "상", "하", "횡", "종", "정면", "배면", "일측", "타측", "내측" 및 "외측")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으며, 이러한 방향의 기재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성간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레진 토출기는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고, 교반된 레진을 토출하여 목업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높은 레진 농도에 의해 굳는 시간을 최소화하여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레진을 교반 및 토출시키기 위한 스크류의 탈부착이 가능하여 토출부(400)의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레진 토출기에 관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레진 토출기에서 스크류는 이송된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되고, 교반된 레진을 이송시키기 위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토출부(400)의 인입부(430), 교반부(440) 및 압출부(450)를 포함하는 의미로 기재되었다.
또한,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되는 것은, 후술하는 믹싱부(300)의 내부 공간으로 각각 이송된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된 상태를 의미하며, 교반된 레진은 혼합된 주제와 경화제가 토출부(400)의 스크류를 통과하면서 교반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레진 토출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레진 토출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진 토출기에서 주제공급부 및 경화제공급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진 토출기에서 주제공급부 및 경화제공급부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레진 토출기에서 믹싱부와 토출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진 토출기에서 토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레진 토출기에서 토출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레진 토출기에서 인입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레진 토출기에서 교반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레진 토출기에서 압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레진 토출기는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여 교반된 레진을 토출하여 원하는 형태의 목업(mockup)을 제작하기 위한 것으로, 주제공급부(100), 경화제공급부(200), 믹싱부(300), 토출부(400), 및 가공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주제공급부(100)는 주제를 공급받아, 공급받은 주제를 외부로 이송할 수 있다. 주제공급부(100)는 공급된 주제를 믹싱부(300) 내측 공간으로 이송할 수 있다.
경화제공급부(200)는 경화제를 공급받아, 공급받은 경화제를 외부로 이송할 수 있다. 경화제공급부(200)는 공급된 경화제를 믹싱부(300) 내측 공간으로 이송할 수 있다.
주제공급부(100)와 경화제공급부(200)는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각각 구비되어 주제와 경화제가 믹싱부(300)에 공급될 수 있다. 즉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각각 공급된 후, 믹싱부(300) 및 토출부(400)로 이송시켜 혼합되도록 함으로써, 교반된 레진을 얻을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주제공급부(100)와 경화제공급부(200) 각각은 투입구(110), 드럼(120), 압출스크류(130), 배출구(140) 및 이송관(150)을 포함할 수 있다.
투입구(110)는 상측에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져 드럼(120) 내부의 주제나 경화제가 내측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드럼(120)은 주제나 경화제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드럼(120)은 하측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될 수 있다. 드럼(120) 하측의 개구된 부분은 투입구(110)에 연결될 수 있다.
드럼(120)은 상측이 개구되되, 상측으로 개구된 공간을 통해 드럼(120)에 수용된 주제나 경화제를 하측으로 눌러 투입구(110)로 주제 등이 강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주제공급부(100)와 경화제공급부(200) 각각 외측에 지지부(121)가 구비되고, 지지부(121)에 공압실린더(122)가 결합된 형태로 이루질 수 있다.
공압실린더(122)는 상, 하측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로드(122a)를 구비하고, 로드(122a)의 하단에 드럼(120)의 상측 개구된 공간으로 삽입되는 누름부(123)를 구비할 수 있다.
공압실린더(122)의 동작에 의해 로드(122a)가 하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 로드(122a) 하단에 구비된 누름부(123)가 드럼(120)의 상측 개구된 공간으로 삽입되어 드럼(120)에 수용된 주제나 경화제를 하측으로 누르게 됨으로써, 투입구(110)를 통해 내측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누름부(123) 또는 드럼(120)의 내측 공간 중 선택된 하나 이상에는 드럼(120)에 수용된 주제나 경화제를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리미트 센서나 온도 센서 등(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드럼(120)은 수용된 주제나 경화제가 누름부(123)의 동작에 의해 낙하되어 투입구(110)로 유입되도록 하되, 드럼(120)의 하측 개구된 공간을 개폐시키기 위한 별도의 출입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잡이를 회전시켜 배관이 열리는 구조를 이용하여 드럼(120)의 하측 개구된 공간을 개폐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드럼(120)에 수용된 주제나 경화제가 드럼(120)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면 어떠한 구성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 다른 도 1 및 도 2는 드럼(120)이 주제공급부(100)와 경화제공급부(200) 각각에 형성된 투입구(110) 상측에 결합된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드럼(120)이 주제공급부(100)나 경화제공급부(200)의 상측이 아닌 외측에 별도로 구비될 수 있으며, 드럼(120)에 수용된 주제나 경화제 각각은 주제공급부(100)와 경화제공급부(200)로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별도의 연결관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압출스크류(130)는 투입구(110)로부터 유입된 주제나 경화제를 일측으로 압출시켜 후술하는 믹싱부(300)로 이송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주제나 경화제를 압출시키기 위한 한 쌍의 압출스크류(130)로 구비되되, 한 쌍의 압출스크류(130)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며, 외측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회전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압출스크류(130)가 구동되도록 모터(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압출스크류(130)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주제나 경화제를 압출시킬 수 있다.
배출구(140)는 외측면에 구비되며, 압출스크류(130)의 동작에 의해 압출된 주제나 경화제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배출구(140)는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송관(150)은 배출구(140)와 후술하는 믹싱부(300)를 연결하여 배출구(140)로부터 배출되는 주제와 경화제가 상기 믹싱부(300)의 내측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한 쌍의 이송관(150)은 주제공급부(100)와 경화제공급부(200) 각각에 구비되는 배출구(140)에 일단이 연결되며, 믹싱부(300)의 양측에 타단이 각각 연결됨으로써, 주제공급부(100)로부터 배출된 주제는 하나의 이송관(150)을 통해 믹싱부(300)로 이송되고, 경화제공급부(200)로부터 배출된 경화제는 다른 하나의 이송관(150)을 통해 믹싱부(300)로 이송될 수 있다.
이송관(150)은 플렉시블한 주름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주제공급부(100)와 경화제공급부(200) 각각으로부터 배출되는 주제와 경화제의 토출량은 약 1:1의 비율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높은 농도의 레진이 재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주제공급부(100)에 설치된 리미트 센서와 경화제공급부(200)에 설치된 리미트 센서의 결과값을 비교한 후, 압출스크류(130)의 회전력(RPM)을 조절하거나 또는 공압실린더(122)의 동작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주제와 경화제의 토출량이 1:1의 비율로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 쌍의 드럼(120) 각각에 수용된 주제와 경화제의 분자량이 서로 상이하거나 또는 온도가 서로 상이한 경우, 동일한 회전력(RPM)으로 압출스크류(130)를 회전시키면 토출량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토출량의 비율을 1:1로 제어하기 위하여 압출스크류(130)의 회전력(RPM)을 서로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 결과, 주제공급부(100)의 드럼(120)에 수용된 주제의 점도가 경화제공급부(200)의 드럼(120)에 수용된 경화제의 점도보다 높게 측정이 되는 경우, 주제공급부(100)의 압출스크류(130)의 회전력(RPM)은 약 540으로 설정하고, 경화제공급부(200)의 압출스크류(130)의 회전력(RPM)은 약 490으로 설정함으로써, 주제와 경화제의 토출량이 0.55kg/min으로 동일하게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레진 토출기는 주제와 경화제 각각의 상태를 모니터링 함으로써, 공압실린더(122)의 동작 제어를 통해 주제와 경화제를 누르는 힘을 조절하거나 또는 압출스크류(130)의 회전력(RPM)을 조절하여 주제와 경화제가 토출되는 토출량의 비율이 1:1을 이루도록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레진 토출기는 드럼(120) 내의 온도를 조절하는 히팅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히팅부(600)는 드럼(120) 또는 드럼(120) 내에 열을 가하여, 드럼(120)에 수용된 주제와 경화제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히팅부(600)는 가열 이외에 열을 흡수할 수 있다.
히팅부(600)는 드럼(120)의 표면 또는 그 내부에 열을 교환할 수 있는 열교환기를 구비할 수 있다. 열교환기는 별도의 열원의 열을 공급받거나, 자체적으로 발열할 수 있는 서미스터, PTC 등일 수 있다. 열교환기는 금속성 소재의 드럼(120)의 외부에 배치되거나, 드럼(120)의 내부 표면 또는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히팅부(600)의 발열을 조절하기 위해, 드럼(120) 또는 드럼(120) 내부 재료의 열을 측정하는 온도 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열교환기는 드럼(120)의 외부 표면에 부착되는 제1 열교환기, 드럼(12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 열교환기, 및 드럼(120)의 내부 표면에 부착되는 제3 열교환기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믹싱부(300)는 주제공급부(100)와 경화제공급부(200)로부터 각각 주제와 경화제가 이송되어 혼합되도록 할 수 있다. 믹싱부(300)는 주제공급부(100)와 연결된 이송관(150)을 통해 주제가 유입되도록 하고, 경화제공급부(200)와 연결된 이송관(150)을 통해 경화제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믹싱부(300)는 토출부(400)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모터(310)를 구비할 수 있다. 모터(310)에 구비된 암연결부재(311)는 믹싱부(300) 내측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토출부(400)의 회전축(420)에 구비되는 수연결부재(421)와 암연결부재(311)가 결합되어 회전력을 공유하여, 모터(310)의 동작에 의해 회전축(420)이 회전될 수 있다.
암연결부재(311)와 수연결부재(421)는 서로 탈부착될 수 있다. 암연결부재(311)는 끝단에 내측으로 파여진 홈이 형성되고 수연결부재(421)의 끝단은 상기 홈에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암연결부재(311)에 수연결부재(421)가 끼워짐으로써, 회전력이 공유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암연결부재(311)의 끝단에 형성된 홈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사각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되는 형태로 수연결부재(42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암연결부재(311)에 형성된 홈의 단면이 사각형 형태인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삼각형 또는 오각형 등 다수의 각을 갖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다수의 각을 갖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수연결부재(421) 또한 이에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암연결부재(311)에 형성된 홈에 수연결부재(421)의 끝단이 끼워지면 상호간에 회전력이 공유되도록 할 수 있다.
토출부(400)는 믹싱부(300)에서 혼합된 주제와 경화제를 교반시킨 레진을 외부로 이송 가능하게 안내할 수 있다. 토출부(400)는 믹싱부(300)로 이송된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된 상태에서 스크류 회전 원리를 이용하여 교반시킨 레진을 압출하여 토출함에 따라, 후술하는 가공부(500)로 교반된 레진이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토출부(400)는 토출관(410), 회전축(420), 인입부(430), 교반부(440), 압출부(450), 호퍼(460), 끼움돌기(470) 및 고정수단(480)을 포함할 수 있다.
토출관(410)은 믹싱부(300)의 일측에 결합되며, 인입부(430), 교반부(440) 및 압출부(450)를 구비하는 스크류가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토출관(410)은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교반된 레진을 이송시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토출관(410)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 형태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믹싱부(30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회전축(420)은 토출관(410)의 내측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회전축(420)의 타측에 구비된 수연결부재(421)가 믹싱부(300) 내측 공간에 위치한 모터(310)의 암연결부재(311)에 끼워져 회전력을 공유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회전축(420)은 장축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절개홈(4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절개홈(422)은 회전축(420)으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한 인입부(430), 교반부(440) 및 압출부(450)가 상기 회전축(420)에 끼워지면, 인입부(430), 교반부(440) 및 압출부(450) 각각에 형성된 끼움돌기(470)가 끼워져 구성간 회전력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절개홈(422)에 끼움돌기(470)가 끼워지게 되면, 모터(310)의 동작에 의해 회전축(420) 회전시 회전력을 공유하는 인입부(430), 교반부(440) 및 압출부(450)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인입부(430)는 일측과 타측이 관통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회전축(420)에 끼워져 믹싱부(300)로 이송되는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인입부(430)는 외주면에 사선형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인입부(430)의 외주연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로 구비된 사선형날개(431)가 구비될 수 있다.
사선형날개(431)는 회전축(420) 회전시 인입부(430)가 함께 회전하면서 믹싱부(300)로 이송되어 혼합된 주제와 경화제를 일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즉 혼합된 상태의 주제와 경화제를 후술하는 교반부(440)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인입부(430)의 내주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끼움돌기(470)가 구비되어 회전축(420)에 인입부(430)가 끼워지는 과정에서 상기 끼움돌기(470)가 회전축(420)에 형성된 절개홈(422)에 끼워짐으로써, 회전축(420)과 인입부(430)는 회전력을 공유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교반부(440)는 일측과 타측이 관통된 원통형일 수 있다. 교반부(440)는 회전축(420)에 끼워져 인입부(43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교반부(440)는 인입부(430) 회전에 의해 이송되는 혼합된 주제와 경화제를 레진으로 교반시킬 수 있다.
교반부(440)는 외주면에 사선형으로 돌출된 형상일 수 있다. 교반부(440)는 교반부(440)의 외주연을 따라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사선형돌기(441)를 구비할 수 있다. 교반부(440)는 인접하는 사선형돌기(441)의 사이에 절삭된 형태의 이격홈(441a)을 구비할 수 있다.
사선형돌기(441)는 교반부(440)의 외주면에 사선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교반부(440) 회전시 레진을 압출시키는 동시에, 이격홈(441a)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으로 주제와 경화제가 교반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교반된 상태의 레진을 얻을 수 있다.
혼합된 상태의 주제와 경화제는 교반부(440)를 통과하면서 교반되어 레진으로 믹싱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레진은 후술하는 가공부(500)로 이송되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원하는 형태의 목업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사선형돌기(441)에 의해 교반된 레진은 압출부(450)로 이송시킨다.
이때, 교반부(440)의 내주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끼움돌기(470)가 구비되어 회전축(420)에 교반부(440)가 끼워지는 과정에서 상기 끼움돌기(470)가 회전축(420)에 형성된 절개홈(422)에 끼워짐으로써, 회전축(420)과 교반부(440)는 회전력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압출부(450)는 일측과 타측이 관통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회전축(420)에 끼워져 압출부(450)의 일측에 배치되고, 교반부(440)에서 교반된 레진을 후술하는 가공부(500)로 이송시킬 수 있다.
압출부(450)는 외주면에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교반된 레진을 정면측으로 이송시키도록 나선형으로 형성된 나선형날개(451)가 구비될 수 있다.
나선형날개(451)는 압출부(450)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교반부(440)에서 교반된 레진을 압출시켜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압출부(450)의 내주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끼움돌기(470)가 구비되어 회전축(420)에 압출부(450)가 끼워지는 과정에서 상기 끼움돌기(470)가 회전축(420)에 형성된 절개홈(422)에 끼워짐으로써, 회전축(420)과 압출부(450)는 회전력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회전축(420) 회전시 압출부(450)가 함께 회전됨에 따라, 나선형날개(451)를 따라 교반된 레진이 압출되어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인입부(430)에 형성된 사선형날개(431)와 압출부(450)에 형성된 나선형날개(451)는 나선형 형태로 이루어져 회전축(420) 회전시 혼합된 주제와 경화제, 교반된 레진이 이송되도록 하되, 회전축(420)을 기준으로 사선형날개(431)와 나선형날개(451)가 이루는 각도가 상이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인입부(430)에 형성된 사선형날개(431)는 회전축(420)의 장축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작은 각도를 갖도록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지며, 압출부(450)의 나선형날개(451)는 회전축(420)의 장축길이방향을 기준으로 보다 큰 각도를 갖도록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부연하면, 인입부(430)의 사선형날개(43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420)의 장축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세워진 형태를 가지며, 압출부(450)의 나선형날개(45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420)의 장축길이방향을 기준으로 뉘워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믹싱부(300)로 이송된 주제와 경화제는 혼합된 상태에서 세워진 형태의 사선형날개(431)가 구비된 인입부(430)의 회전에 의해 교반부(440)로 보다 빠른 속도로 이송, 즉 교반부(440)로 빠르게 유입되도록 하고, 교반부(440)에서 교반이 완료된 레진은 뉘워진 형태의 나선형날개(451)가 구비된 압출부(450)의 회전에 의해 나선형날개(451) 사이사이의 공간에 교반된 레진이 꽉 찬 상태가 되도록 유도하여 레진의 토출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모터(310)의 동작에 의한 회전축(420)의 회전력(RPM)은 350으로 이루어지도록 제어될 수 있으며, 이에, 인입부(430), 교반부(440) 및 압출부(450)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교반된 레진의 토출량은 약 0.9~1.1kg/min을 갖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주제와 경화제의 비율이 1:1로 교반된 레진 토출시 1kg/min의 토출량을 갖도록 제어함으로써, 후술하는 가공부(500)로 이송되어 목업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너무 빨리 굳거나 또는 너무 늦게 굳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주제와 경화제의 시료 상태 또는 온도 변화 등을 체크한 후, 모터(310)의 동작 조건을 조절함으로써, 회전축(420)의 회전력(RPM)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반된 레진의 굳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게 나타나는 경우, 회전력(RPM)을 증가하여 보다 빠른 속도로 레진이 배출되도록 하거나, 반대로, 교반된 레진의 굳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지연되는 경우, 회전력(RPM)을 감속시켜 보다 낮은 속도로 레진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인입부(430)에 형성된 사선형날개(431)와 교반부(440)에 형성된 사선형돌기(441)의 경사각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동일한 경사각을 갖는 사선형날개(431)와 사선형돌기(441)가 각각 형성된 인입부(430)와 교반부(440)는 동일한 형태와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지되, 상기 교반부(440)의 사선형돌기(441) 사이사이에 이격홈(441a)이 형성됨으로써, 인입부(430)는 혼합 상태의 주제와 경화제를 이송시키고, 교반부(440)는 인입부(430)로부터 이송된 혼합된 주제와 경화제가 교반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인입부(430), 교반부(440) 및 압출부(450)는 회전축(420)에 순차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믹싱부(300)로 이송된 주제와 경화제는 혼합된 후, 교반이 이루어진 레진으로 배출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인입부(430), 교반부(440) 및 압출부(450)는 회전축(420)으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레진 잔여물이 끼여도 분리하여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인입부(430), 교반부(440) 및 압출부(450)가 회전축(420)에 순차적으로 끼워지면, 상기 압출부(450)가 회전축(420)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수단(480)이 구비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회전축(420)과 압출부(450) 각각에 관통된 형태의 홀이 형성되고, 고정수단(480)은 상기 홀에 끼워지는 분할핀을 구비할 수 있다.
즉 회전축(420)에 인입부(430), 교반부(440) 및 압출부(450)가 순차적으로 끼워진 후 회전축(420)에 형성된 홀과 압출부(450)에 형성된 홀에 분할핀을 끼워 고정함으로써, 회전축(420)으로부터 압출부(45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인입부(430), 교반부(440) 및 압출부(450)는 무게가 가볍고 소정의 강도를 갖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호퍼(460)는 토출관(410)의 일측 끝단에 결합될 수 있다. 호퍼(460)는 외측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후술하는 가공부(500)와 레진이송관(512)으로 연결될 수 있다.
회전축(420) 회전시 교반된 레진은 압출부(450)를 따라 호퍼(460) 측으로 이송되며, 호퍼(46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때, 호퍼(460)는 나사산에 의한 결합에 의해 토출관(410)의 일측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토출관(410)의 일측 개구된 공간을 차단하여 토출관(410) 내부에 구비되는 회전축(420), 인입부(430), 교반부(440) 및 압출부(450)가 이탈되지 않도록 커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회전축(420)의 타단은 모터(310)의 암연결부재(311)에 결합되며, 일단은 호퍼(460)에 걸림되어 상기 회전축(420)이 암연결부재(31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토출부(400)는 믹싱부(300)에서 혼합된 주제와 경화제가 유입되어 이를 교반시켜 레진으로 토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토출부(400)는 레진의 교반이 이루어지며, 레진의 토출량을 조절하고, 레진 교반을 위한 스크류의 탈부착으로 인하여 청소가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경화시간이 빠른 레진의 취급에 있어 안정적이며, 유지관리가 유리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토출부(400)는 냉각부(도면에 미표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냉각부는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되고 교반되는 과정에서 토출부(400) 내의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회전축(420)과 인입부(430), 교반부(440) 및 압출부(450) 회전시 발생되는 열을 낮추어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냉각부는 토출부(400) 내의 온도가 약 25℃가 유지되도록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을 참조하면, 주제공급부(100), 경화제공급부(200), 믹싱부(300) 및 토출부(400)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부(7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이송부(700)는 전동포크리프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동포크리프트는 지게차의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대상을 들어 올린 후 이동시킨 자리에 하차하여 설치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전동포크리프트로 이루어진 이송부(700)는 주제공급부(100), 경화제공급부(200), 믹싱부(300) 및 토출부(400)를 원하는 장소로 이동시켜 레진의 교반 및 토출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레진 토출기에서 가공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레진 토출기에서 가공부를 나타낸 측면측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레진 토출기에서 가공부를 나타낸 분해 측면도이다.
가공부(500)는 토출부(400)로부터 이송된 레진을 외부로 배출시켜 목업을 제작할 수 있다. 가공부(500)는 토출부(400)와 연결되어 상기 토출부(400)로부터 레진이 이송되는 헤드(51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헤드(510)를 동작시키기 위한 가공부(500)는 종래 5축 CNC 가공기 등과 같은 목업 제작을 위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헤드(510)를 동작시키기 위한 가공부(50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서 가공부(500)는 레진을 토출시키는 헤드(510)와 토출부(400)가 연결되어 상기 토출부(400)로부터 이송된 레진이 헤드(5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원하는 형태의 목업을 용이하게 제작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헤드(510)는 5축 CNC 가공기로 구성된 가공부(500)에 구비되며, 다양한 방향 과 다양한 위치로 이동이 가능한 것으로, 토출부(400)와 레진이송관(512)으로 연결되어 상기 토출부(400)로부터 이송된 레진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헤드(510)는 측면개구홀(511), 레진이송관(512), 통공(513) 및 토출노즐(514)을 구비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헤드(510)는 5축 CNC 가공기로 구성된 가공부(50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회전축(420)으로부터 인입부(430), 교반부(440) 및 압출부(450)의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청소가 용이하도록 하고, 레진 잔여물이 토출관(410) 내에 잔존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가공부(500)로부터 헤드(510)의 탈부착이 가능하여 상기 헤드(510)의 청소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토출부(400)로부터 헤드(510)로 이송된 레진이 헤드(510)의 내측 공간 내에 잔존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측면개구홀(511)은 헤드(510)의 측면에 내측 공간과 외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레진이송관(512)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개구홀(511)은 도 10 내지 도 11에서와 같이, 헤드(510)의 측면에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져 레진이송관(512)에 끼워지도록 마련되거나 또는 레진이송관(512)에 돌출된 부분이 끼워진 후 별도의 밴딩 처리를 하여 고정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돌출된 부분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이에 맞물리도록 레진이송관(512)의 끝단에 회전이 가능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너트가 구비되어 나사산 결합 방식에 의해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측면개구홀(511)은 헤드(510) 외주면에 돌출된 형태가 아닌 헤드(510)의 측면이 관통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관통된 공간에 레진이송관(512)이 끼워진 후, 밴딩처리하여 고정될 수 있다.
레진이송관(512)은 측면개구홀(511)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토출부(400)의 호퍼(460)에 연결되어 토출부(400)로부터 배출된 레진이 헤드(510)의 측면개구홀(511)을 통해 헤드(510) 내측 공간으로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레진이송관(512)은 플렉시블한 주름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통공(513)은 헤드(510)의 하측에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헤드(510)의 내측 공간과 외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측면개구홀(511)에 연결되는 레진이송관(512)을 통해 토출부(400)로부터 이송된 레진은 상기 측면개구홀(511)과 레진의 내측 공간을 통과한 후, 통공(513)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통공(513)은 헤드(510)의 끝단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져 레진이 일정한 양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토출노즐(514)은 통공(513)에 끼워져 레진이 배출되는 형태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선택적으로 통공(513)에 결합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결합되지 않아 통공(513)으로만 레진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토출노즐(514)은 통공(513)과 연결되는 부분은 좁고, 끝단으로 갈수록 좌/우측 폭이 점점 길어지고, 전/후측 폭이 점점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통공(513)을 통과한 레진은 토출노즐(51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되, 레진의 폭이 넓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에 토출노즐(514)의 형태로 인하여 레진의 폭이 넓게 배출되도록 구성한 예를 도시하였으나,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레진이 토출되는 홀 형태가 삼각형, 사각형 등 다각으로 이루어진 형태 또는 홀이 복수로 이루어진 형태 등 다양한 형태를 갖는 토출노즐(514)이 통공(513)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다양한 형태의 토출노즐(514)을 선택적으로 활용함으로써, 배출되는 레진의 형태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목업 제작시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주제와 경화제 또는 제작이 완료된 목업을 예열시키기 위한 보관부(8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보관부(8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제와 경화제를 보관하거나 제작이 완료된 목업을 보관할 수 있도록 별도의 시설로 구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관부(800) 내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목업 제작시 주제공급부(100)로 공급되는 주제와 경화제공급부(200)로 공급되는 경화제를 선예열하여 작업 환경을 용이하도록 하고, 제작이 완료된 목업이 안정적으로 경화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제와 경화제를 예열하는 과정에서 작업전 약 40℃의 온도로 30분간 예열한 후 주제공급부(100)와 경화제공급부(200)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주제와 경화제의 보관기간이 장기화되더라도 물성치 변화를 최소화하여 레진 교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레진 토출기는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고, 교반된 레진을 토출하여 목업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높은 레진 농도에 의해 굳는 시간을 최소화하여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진을 교반 및 토출시키기 위한 스크류의 탈부착이 가능함으로써, 고농도의 레진을 사용하더라도 스크류로부터 레진의 잔여물 제거 및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제와 경화제의 혼합과 교반이 이루어지는 스크류가 서로 다른 형태를 갖는 인입부(430), 교반부(440) 및 압출부(450)로 구성됨에 따라, 주제와 경화제의 혼합과 레진의 교반 및 레진의 이송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굳지 않은 상태의 레진을 안정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제와 경화제의 공급 뿐만 아니라 교반된 레진을 토출하는 과정에서 히팅 또는 냉각을 통해 온도가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제작하기 위한 목업의 형태나 규모에 따라 레진이 굳는 시간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00 : 주제공급부 110 : 투입구
120 : 드럼 121 : 지지부
122 : 공압실린더 122a : 로드
123 : 누름부 130 : 압출스크류
140 : 배출구 150 : 이송관
200 : 경화제공급부
300 : 믹싱부 310 : 모터
311 : 암연결부재
400 : 토출부 410 : 토출관
420 : 회전축 421 : 수연결부재
422 : 절개홈 430 : 인입부
431 : 사선형날개 440 : 교반부
441 : 사선형돌기 441a : 이격홈
450 : 압출부 451 : 나선형날개
460 : 호퍼 470 : 끼움돌기
480 : 고정수단
500 : 가공부 510 : 헤드
511 : 측면개구홀 512 : 레진이송관
513 : 통공 514 : 토출노즐
600 : 히팅부
700 : 이송부
800 : 보관부

Claims (2)

  1. 주제를 공급받아 외부로 이송 가능하게 안내하는 주제공급부;
    경화제를 공급받아 외부로 이송 가능하게 안내하는 경화제공급부;
    상기 주제공급부와 경화제공급부로부터 각각 주제와 경화제가 이송되어 혼합되는 믹싱부;
    상기 믹싱부에서 혼합된 주제와 경화제를 교반시킨 레진을 외부로 이송 가능하게 안내하는 토출부; 및
    상기 토출부로부터 이송된 레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가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믹싱부는 타측에 설치되며, 암연결부재가 구비된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토출부는
    상기 믹싱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토출관; 및
    상기 토출관의 내측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암연결부재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공유하도록 하는 수연결부재가 구비된 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수연결부재는 상기 암연결부재로부터 탈부착 가능하고,
    상기 토출부는
    상기 회전축에 끼워져 믹싱부로 이송된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되도록 하는 인입부;
    상기 회전축에 끼워져 인입부의 일측에 배치되며, 혼합된 주제와 경화제를 레진으로 교반시키는 교반부;
    상기 회전축에 끼워져 압출부의 일측에 배치되며, 교반된 레진을 이송시키는 압출부; 및
    상기 토출관의 끝단에 결합되어 압출부 회전에 의해 레진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호퍼;를 구비하고,
    상기 가공부는 상기 토출부로부터 이송된 레진을 배출시켜 목업을 제작하기 위한 헤드;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는
    측면개구홀;
    상기 호퍼와 측면개구홀을 연결하는 레진이송관;
    상기 헤드의 하측 끝단에 형성되며, 측면개구홀과 연통되는 통공; 및
    상기 통공에 끼워져 레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토출노즐;을 구비하는 레진 토출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공급부 및 경화제공급부 각각은
    주제와 경화제가 각각 투입되는 투입구;
    상기 투입구의 상측에 결합되며, 주제나 경화제가 수용되는 드럼;
    내측 공간에 구비되며,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나사산이 반대방향으로 형성되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압출스크류;
    외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압출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주제나 경화제를 배출시키는 배출구; 및
    상기 배출구와 믹싱부를 연결하는 이송관;을 구비하는 레진 토출기.
KR1020240062820A 2024-05-13 레진 토출기 KR20240072116A (ko)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2237A Division KR102667012B1 (ko) 2022-01-27 레진 토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2116A true KR20240072116A (ko) 2024-05-23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2682B2 (en) Extruder screw having paths within the screw, extruder, and extrusion method
US11400633B2 (en) Extruder screw passages, extruder and extrusion method
TWI588007B (zh) 擠壓機用螺桿、螺桿元件、擠壓機及擠壓方法
TWI619590B (zh) 混煉裝置及混煉方法
KR20170130552A (ko) 압출기용 스크루 및 압출기 및 압출 방법
TW201636181A (zh) 擠壓機及揉合裝置
CN109641370B (zh) 用于生产染色和未染色的塑料熔体的装置和方法
JP2015214143A (ja) 押出機用スクリュ並びに押出機および押出方法
KR20170130553A (ko) 압출기용 스크루 및 압출기 및 압출 방법
CN110509542A (zh) 一种多色复合3d打印结构及打印方法
KR102667012B1 (ko) 레진 토출기
US3700374A (en) Continuous mixer with screw discharge control
EP1312452B1 (en) Knea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kneading rubber or rubber compositions
KR20240072116A (ko) 레진 토출기
KR20240072114A (ko) 레진 토출기
KR20240072115A (ko) 레진 토출기
CN1157774A (zh) 混合挤压成型装置
KR20230116126A (ko) 레진 토출기
KR101541268B1 (ko) 가열 및 냉각 기능을 구비한 혼련용 자동 텐덤믹서
CN215943413U (zh) 一种注塑机用辅助装置
JP5406053B2 (ja) ゴム材料の混練システム
JP3136406B2 (ja) 着色樹脂成形装置
US20220184570A1 (en) Feeding screw machine for feeding a processing screw machine
US4187961A (en) Dye metering system
BR112021015644A2 (pt) Dispositivo de mistura e agitação de pré-tratamento, aparelho de fabricação de pasta de gesso, aparelho de fabricação de placa de construção, método de fabricação de gesso calcinado de pré-tratamento, método de fabricação de pasta de gesso, método de fabricação de placa de construçã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