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1268B1 - 가열 및 냉각 기능을 구비한 혼련용 자동 텐덤믹서 - Google Patents

가열 및 냉각 기능을 구비한 혼련용 자동 텐덤믹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1268B1
KR101541268B1 KR1020150070265A KR20150070265A KR101541268B1 KR 101541268 B1 KR101541268 B1 KR 101541268B1 KR 1020150070265 A KR1020150070265 A KR 1020150070265A KR 20150070265 A KR20150070265 A KR 20150070265A KR 101541268 B1 KR101541268 B1 KR 101541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eading
cooling water
kneaded material
temperatur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0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연
Original Assignee
(주)한도기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도기공 filed Critical (주)한도기공
Priority to KR1020150070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12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1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1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82Heating or cooling
    • B29B7/826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3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34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38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02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 B29B7/06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10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 B29B7/18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more than one shaft
    • B29B7/183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more than one shaft having a casing closely surrounding the rotors, e.g. of Banbury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02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 B29B7/06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10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 B29B7/18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more than one shaft
    • B29B7/183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more than one shaft having a casing closely surrounding the rotors, e.g. of Banbury type
    • B29B7/186Roto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02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 B29B7/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28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for 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e.g. viscosity control
    • B29B7/28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for 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e.g. viscosity control measuring properties of the mixture, e.g. temperature, d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3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34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38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 B29B7/46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more than one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74Mixing; Kneading using other mixers or combinations of mixers, e.g. of dissimilar mixers ; Plant
    • B29B7/7476Systems, i.e. flow charts or diagrams; Plants
    • B29B7/7495Systems, i.e. flow charts or diagrams; Plants for mixing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82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82Heating or cooling
    • B29B7/823Temperatur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cessories For Mixers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열 및 냉각 기능을 구비한 혼련(混鍊)용 자동 텐덤믹서(Tandem Mixer)에 관한 것으로, 챔버(Chamber) 둘레에 히터(Heater)를 설치하여 혼련물을 가열하고 챔버(Chamber)의 몸체 내부에 냉각수를 순환시켜 혼련물의 열을 식혀주거나, 또는 챔버(Chamber)의 몸체 내부에 온수를 순환시켜 혼련물을 가열하고 냉수를 순환시켜 혼련물의 열을 식혀줌으로써, 혼련물을 혼련(混鍊)에 적합한 설정 온도로 자동 제어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혼련용 로우터(Rotor) 아래에 이송스크류를 설치하여 이송스크류의 정회전 및 역회전에 따라 혼련 재료가 재투입 및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대량의 혼련물을 자동화 공정에 의해 연속으로 혼련할 수 있고, 혼련 시간(Mixing time)을 줄일 수 있으며 혼련 능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가열 및 냉각 기능을 구비한 혼련용 자동 텐덤믹서{TANDEM MIXER FOR RUBBER MIXING HAVING HEATING AND COOLING FUNCTION}
본 발명은 대량의 혼련(混鍊)물을 연속으로 혼련할 수 있는 혼련(混鍊)용 자동 텐덤믹서(Tandem Mixer)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챔버(Chamber) 둘레에 히터(Heater)를 설치하여 혼련물을 가열하고 챔버(Chamber)의 몸체 내부에 냉각수를 순환시켜 혼련물의 열을 식혀줌으로써, 혼련물을 혼련(混鍊)에 적합한 설정 온도로 자동 제어할 수 있는 혼련(混鍊)용 자동 텐덤믹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챔버(Chamber) 내부에 설치된 2개의 혼련(混鍊)용 로우터(Rotor) 아래에 이송스크류를 설치하여 혼련(混鍊)된 재료가 이송 및 재투입되도록 한 혼련(混鍊)용 자동 텐덤믹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무제품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반제품들은 각종 고무와 첨가물 등을 배합한 고무배합물(이하, 혼련물이라 함)을 압출 성형하여 이루어지는데, 반제품이 요구 품질을 만족할 수 있도록 혼련물이 혼련(混鍊)되어야 한다. 혼련물을 혼련하는 방법으로, 배치식(Batch Type)의 혼련장치를 이용하는 방법과, 연속식 혼련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크게 나눌 수 있는데, 생산성 측면에서 전자의 방법은 후자의 방법에 비하여 불리하므로, 연속식 혼련장치가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다.
상기 혼련장치에서 혼련된 혼련물은 압출기로 공급되게 된다. 여기서, 압출기(extruder)는 원료를 공급 가열시켜 용융하여 연속적으로 압력을 발생시켜 일정 모양으로 압출하는 기계로서 고무, 플라스틱의 압출 성형용으로 발달되어 왔다.
종래의 텐덤믹서(Tandem Mixer)는 챔버 내부에 2개의 로우터(Rotor)가 맞물려 회전되면서 상부에서 투입된 혼련물이 회전되는 두 로우터 사이로 압송되면서 혼련되도록 되어 있고, 혼련이 완료되면 챔버 하부에 커버가 아래로 열리면서 혼련물이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텐덤믹서(Tandem Mixer)는 맞물려 회전되는 2개의 로우터(Rotor)만으로 혼련물이 혼련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혼련물의 분배 및 분산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혼련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혼련이 잘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혼련이 완료된 후에는 혼련물을 배출하기 위해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챔버 하부의 커버를 연 다음 내부의 혼련물을 꺼내서 배출시켜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힘들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작업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텐덤믹서(Tandem Mixer)는 챔버 내부에 투입된 혼련물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혼련물의 온도가 혼련에 적당한 공정 온도보다 높거나 낮을 경우 혼련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77632호(2005.02.23.)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78560호(2005.03.03.)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챔버(Chamber) 둘레에 히터(Heater)를 설치하여 혼련물을 가열하고 챔버(Chamber)의 몸체 내부에 냉각수를 순환시켜 혼련물의 열을 식혀줌으로써, 혼련물을 혼련(混鍊)에 적합한 설정 온도로 자동 제어할 수 있는 혼련(混鍊)용 자동 텐덤믹서를 제시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챔버(Chamber)의 몸체 내부에 온수를 순환시켜 혼련물을 가열하고 냉수를 순환시켜 혼련물의 열을 식혀줌으로써, 혼련물을 혼련(混鍊)에 적합한 설정 온도로 자동 제어할 수 있는 혼련(混鍊)용 자동 텐덤믹서를 제시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챔버(Chamber) 내부의 혼련물이 혼련(混鍊)에 적합한 설정 온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센서를 통해 히터와 냉각수를 자동 제어하는 혼련(混鍊)용 자동 텐덤믹서를 제시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챔버(Chamber) 내부의 혼련물이 혼련(混鍊)에 적합한 설정 온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센서를 통해 챔버의 몸체 내부에 순환되는 온수와 냉수를 자동 제어하는 혼련(混鍊)용 자동 텐덤믹서를 제시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자동화 공정에 의해 대량의 혼련물을 연속으로 혼련할 수 있는 혼련(混鍊)용 자동 텐덤믹서를 제시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2개의 혼련용 로우터(Rotor) 아래에 이송스크류를 설치하여 로우터에서 혼련된 재료가 이송스크류의 정회전 및 역회전을 통해 이송 및 재투입되도록 함으로써, 혼련 시간을 줄이고 혼련 능률을 향상시킨 혼련(混鍊)용 자동 텐덤믹서를 제시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2개의 혼련용 로우터(Rotor) 아래에 설치된 이송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혼련된 재료를 배출시키고 챔버 투입구를 통해 혼련물을 투입시킴으로써, 혼련 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고 혼련 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혼련(混鍊)용 자동 텐덤믹서를 제시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혼련(混鍊)용 자동 텐덤믹서는, 상부에 혼련물을 투입하는 투입구(38)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38)를 통해 내부로 혼련 공간부(41)가 형성되며, 자신의 내벽과 외벽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에 지그재그 형태로 격벽(40a)이 형성되며, 상기 격벽(40a)으로 구획된 공간을 따라 냉각수 순환로(40b)가 형성된 혼련 챔버(40); 상기 혼련 공간부(41)에 회전가능하게 나란히 설치되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혼련 공간부(41)로 투입된 혼련물을 혼련하는 제1 및 제2로우터(22,23); 상기 혼련 챔버(40)의 하부에 수평으로 배치되고 상기 혼련 공간부(41)와 서로 내통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며 일측 단부에 배출구(20)가 형성된 원통 형상의 실린더(18); 상기 실린더(18)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방향의 회전에 의해 혼련물을 배출구(20)의 반대쪽으로 이송시켜 재차 혼련되도록 하고, 제2방향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로우터(22,23)에서 아래로 배출되는 혼련물을 배출구(20)로 배출하는 이송스크류(10); 상기 혼련 챔버(40)의 내부에 투입된 혼련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감지센서(51); 상기 혼련 챔버(40)의 둘레를 따라 내벽과 외벽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혼련 챔버(40) 내부에 투입된 혼련물을 가열하는 복수의 히터봉(42); 상기 혼련 챔버(40)의 냉각수 순환로(40b)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수단(52); 및 상기 온도감지센서(51)에서 측정된 혼련물의 온도와 설정 온도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히터봉(42)을 동작시켜 혼련물을 가열하거나 상기 냉각수 순환로(40b)로 냉각수를 순환시켜 혼련물의 열을 식히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혼련물의 온도가 설정 온도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혼련용 자동 텐덤믹서는, 상기 혼련 챔버(40)의 냉각수 순환로(40b)로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수단(53); 상기 온수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수단(5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냉각수 순환로(40b)로 온수를 먼저 공급한 후 상기 온도감지센서(51)에서 측정된 혼련물의 온도와 설정 온도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히터봉(42)을 동작시켜 혼련물을 가열하거나 상기 냉각수 순환로(40b)로 냉각수를 순환시켜 혼련물의 열을 식히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혼련용 자동 텐덤믹서는, 상기 제1 및 제2로우터(22,23)와 동일 평면 상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로우터(22,23)를 회전시키는 제1모터(3); 상기 제1모터(3)의 회전축과 상기 제1로우터(22)의 회전축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제1모터(3)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로우터(22)를 감속 회전시키는 제1감속기(11); 상기 제1로우터(22)의 회전축과 상기 제2로우터(23)의 회전축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로우터(22,23)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전환장치부(11a); 상기 이송스크류(10)와 동일 평면 상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이송스크류(10)를 회전시키는 제2모터(6); 및 상기 제2모터(6)의 회전축과 상기 이송스크류(10)의 회전축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제2모터(6)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이송스크류(10)를 감속 회전시키는 제2감속기(1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혼련(混鍊)용 자동 텐덤믹서는, 상부에 혼련물을 투입하는 투입구(38)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38)를 통해 내부로 혼련 공간부(41)가 형성되며, 자신의 내벽과 외벽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에 지그재그 형태로 격벽(40a)이 형성되며, 상기 격벽(40a)으로 구획된 공간을 따라 냉각수 순환로(40b)가 형성된 혼련 챔버(40); 상기 혼련 공간부(41)에 회전가능하게 나란히 설치되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혼련 공간부(41)로 투입된 혼련물을 혼련하는 제1 및 제2로우터(22,23); 상기 혼련 챔버(40)의 하부에 수평으로 배치되고 상기 혼련 공간부(41)와 서로 내통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며 일측 단부에 배출구(20)가 형성된 원통 형상의 실린더(18); 상기 실린더(18)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방향의 회전에 의해 혼련물을 배출구(20)의 반대쪽으로 이송시켜 재차 혼련되도록 하고, 제2방향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로우터(22,23)에서 아래로 배출되는 혼련물을 배출구(20)로 배출하는 이송스크류(10); 상기 혼련 챔버(40)의 내부에 투입된 혼련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감지센서(51); 상기 혼련 챔버(40)의 냉각수 순환로(40b)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수단(52); 상기 혼련 챔버(40)의 냉각수 순환로(40b)로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수단(53); 상기 온수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수단(54); 및 상기 온도감지센서(51)에서 측정된 혼련물의 온도와 설정 온도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냉각수 순환로(40b)로 온수를 순환시켜 혼련물을 가열하거나 상기 냉각수 순환로(40b)로 냉각수를 순환시켜 혼련물의 열을 식히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혼련물의 온도가 설정 온도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챔버(Chamber) 둘레에 히터(Heater)를 설치하여 혼련물을 가열하고 챔버(Chamber)의 몸체 내부에 냉각수를 순환시켜 혼련물의 열을 식혀줌으로써, 혼련물을 혼련(混鍊)에 적합한 설정 온도로 자동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히터의 구성없이 챔버(Chamber)의 몸체 내부에 온수를 순환시켜 혼련물을 가열하고 냉수를 순환시켜 혼련물의 열을 식혀줌으로써, 혼련물을 혼련(混鍊)에 적합한 설정 온도로 자동 제어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혼련용 로우터(Rotor) 아래에 이송스크류를 설치하여 이송스크류의 정회전 및 역회전에 따라 혼련 재료가 재투입 및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혼련 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고 혼련 작업을 연속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혼련(混鍊)용 자동 텐덤믹서에서 배출된 혼련물을 혼련(Mixing)한 후 압출기로 배출하는 일련의 공정을 자동화 할 수 있다.
또한, 대량의 혼련물을 연속으로 혼련시킬 수 있고, 혼련 시간(Mixing time)을 줄이고 혼련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1 내지 도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의한 혼련(混鍊)용 자동 텐덤믹서의 도면으로,
도1은 혼련(混鍊)용 자동 텐덤믹서의 정면도이고,
도2는 도1의 내부 단면도이고,
도3은 혼련(混鍊)용 자동 텐덤믹서의 평면도이고,
도4는 혼련(混鍊)용 자동 텐덤믹서의 측면도이고,
도5는 도1에 도시된 A-A'선의 절취 단면도이고,
도6은 혼련(混鍊) 챔버(40)의 절취 단면도이고,
도7은 혼련(混鍊) 챔버(40)의 몸체 내부에 히터봉(42)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8은 냉각수 순환을 위해 혼련(混鍊) 챔버(40)의 몸체 내부에 격벽(40a)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9는 혼련(混鍊) 챔버(40)의 몸체 내부에 형성된 격벽(40a)을 따라 냉각수가 순환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10은 혼련(混鍊)용 자동 텐덤믹서(100)의 일부 구성도이다.
도11 내지 도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의한 혼련(混鍊)용 자동 텐덤믹서의 도면으로,
도11은 혼련(混鍊)용 자동 텐덤믹서의 절취 단면도이고,
도12는 냉각수 순환을 위해 혼련(混鍊) 챔버(40)의 몸체 내부에 격벽(40a)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13은 혼련(混鍊) 챔버(40)의 몸체 내부에 형성된 격벽(40a)을 따라 냉각수가 순환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14는 혼련(混鍊)용 자동 텐덤믹서(100)의 일부 구성도이다.
도15 내지 도16은 제1 및 제2로우터(22,23)의 동작 및 구성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 실시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기술내용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혼련(混鍊)용 자동 텐덤믹서(100)의 제1실시 예
도1 내지 도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의한 혼련(混鍊)용 자동 텐덤믹서의 도면으로, 도1은 혼련(混鍊)용 자동 텐덤믹서의 정면도이고, 도2는 도1의 내부 단면도이고, 도3은 혼련(混鍊)용 자동 텐덤믹서의 평면도이고, 도4는 혼련(混鍊)용 자동 텐덤믹서의 측면도이고, 도5는 도1에 도시된 A-A'선의 절취 단면도이고, 도6은 혼련(混鍊) 챔버(40)의 절취 단면도이고, 도7은 혼련(混鍊) 챔버(40)의 몸체 내부에 히터봉(42)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8은 냉각수 순환을 위해 혼련(混鍊) 챔버(40)의 몸체 내부에 격벽(40a)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9는 혼련(混鍊) 챔버(40)의 몸체 내부에 형성된 격벽(40a)을 따라 냉각수가 순환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10은 혼련(混鍊)용 자동 텐덤믹서(100)의 일부 구성도이다.
여기서, 혼련(混鍊)은 합성수지, 고무와 같은 고분자 재료에 화학 재료를 넣고 열과 기계를 이용하여 고르게 섞어 이기는 작업을 말한다.
상기 혼련(混鍊)용 자동 텐덤믹서(100)의 제1실시 예는 배합장치(미도시)로부터 배합된 재료(고무배합물)를 투입받아 혼련(Mixing)시킨 후 압출기(미도시)로 배출 공급하는 장치로서, 도1 내지 도5, 도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1), 제1모터(3), 제2모터(6), 이송스크류(screw)(10), 제1감속기(11), 방향전환장치부(11a), 제2감속기(12), 기어 커플링(Gear Coupling; 13), 실린더(Cylinder; 18), 제1로우터(Rotor; 22), 제2로우터(Rotor; 23), 혼련 챔버(Mixing housing; 40), 히터봉(42), 온도감지센서(51), 냉각수 공급수단(52), 제어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혼련(混鍊)용 자동 텐덤믹서(100)는 상기 베이스(1) 상부의 일측에 혼련 챔버(Mixing housing; 40), 제1 및 제2로우터(Rotor; 22,23), 이송스크류(screw)(10), 실린더(Cylinder; 18) 등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베이스(1) 상부의 타측에 기어 커플링(Gear Coupling; 13), 제1 및 제2감속기(11,12), 방향전환장치부(11a), 제1 및 제2모터(3,6)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의 하부에는 상기 혼련(混鍊)용 자동 텐덤믹서(100)를 지지 및 고정하는 러버 패드(Rubber Pad; 1a)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1)의 하부에는 이동 및 설치가 편리하도록 구동바퀴(미도시)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구동바퀴에는 구동바퀴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는 브레이크 장치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모터(3)는 상기 혼련(混鍊) 챔버(Chamber)(40)에 설치되는 상기 제1 및 제2로우터(Rotor)(22,23)를 회전시키는 구동원으로서, 메인 모터(Main Motor)에 해당한다. 상기 제1모터(3)는 상기 제1 및 제2로우터(22,23)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로우터(22,23)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1모터(3)의 회전축과 상기 제1로우터(22)의 회전축 사이에는 제1감속기(11)와 커플러(Coupler; 13)가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감속기(11)는 상기 제1모터(3)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로우터(22)를 감속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고, 상기 커플러(Coupler; 13)는 상기 제1감속기(11)의 회전축과 상기 제1로우터(22)의 회전축 사이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모터(3)의 회전축과 상기 제1감속기(11)의 회전축 사이에는 테이퍼 푸쉬 벨트 풀리(Taper Bush Belt Pulley; 4,5)를 연결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로우터(22)의 회전축과 상기 제2로우터(23)의 회전축 사이에는 방향전환장치부(11a)가 설치되게 된다. 상기 방향전환장치부(11a)는 상기 제1로우터(22)의 회전축에 연결된 기어에 상기 제2로우터(23)의 회전축에 연결된 기어가 서로 치합되어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로우터(23)는 상기 제1로우터(22)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로우터(22,23)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동일한 속도로 회전되게 된다.
상기 혼련 챔버(40)는 내부에 혼련 공간부(41)가 형성되고, 상기 혼련 공간부(41)의 상부에 혼련물을 투입하는 투입구(38)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로우터(22,23)는 상기 혼련 챔버(40)의 혼련 공간부(41)를 좌우로 관통하여 수평으로 나란히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련 챔버(40)에는 상기 제1 및 제2로우터(22,23)의 하부에 실린더(18)가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혼련 공간부(41)에는 상기 제1 및 제2로우터(22,23)가 수평으로 나란하게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 제2로우터(22,23)는 단면에서 바라다 보면, 두 개의 원을 수평으로 나란히 합쳐 놓은 형상을 하고 있다(도5 내지 도7 참조). 그리고, 상기 혼련 공간부(41)의 아래에 위치한 상기 실린더(18)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혼련 공간부(41)와 서로 연결되게 개구되어 있다.
상기 혼련 챔버(40)는 도5 내지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신의 내벽과 외벽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에 지그재그 형태로 격벽(40a)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격벽(40a)으로 구획된 공간을 따라 냉각수 순환로(40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격벽(40a)은 도8 및 도9에서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된 것을 예로 들어 나타내었지만, 반드시 이 형상에 국한된 것은 아니며 냉각수가 상기 혼련 챔버(40) 내부를 순환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형태와 모양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혼련(混鍊)용 자동 텐덤믹서(100)는 상기 혼련 챔버(40)의 냉각수 순환로(40b)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수단(52)이 추가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혼련 챔버(40)의 냉각수 순환로(40b)를 통해 순환되는 냉각수는 상기 혼련 공간부(41)에 투입된 혼련물의 열을 식히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혼련물의 온도가 혼련에 적당한 온도보다 높을 경우 혼련물이 너무 묽어져 혼련이 잘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혼련물의 온도를 낮추어 줄 필요가 있다. 기존에는 혼련물의 온도를 낮추어주는 기능이 없어 혼련물이 식어질 때까지 기다려야 하기 때문에 공정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혼련 챔버(40)의 냉각수 순환로(40b)를 통해 냉각수를 순환시킴으로서, 혼련물의 열을 원하는 설정 온도로 빠르게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혼련 챔버(40)에는 상기 혼련 챔버(40)의 둘레를 따라 내벽과 외벽 사이에 복수의 히터봉(42)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히터봉(42)은 상기 혼련 챔버(40) 내부에 투입된 혼련물의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낮을 경우 혼련물을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혼련 챔버(40)에는 상기 혼련 챔버(40)의 내부에 투입된 혼련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감지센서(51)와 제어부(50)가 추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온도감지센서(51)에서 측정된 혼련물의 온도와 설정 온도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히터봉(42)을 동작시켜 혼련물을 가열하거나 상기 냉각수 순환로(40b)로 냉각수를 순환시켜 혼련물의 열을 식히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혼련물의 온도가 설정 온도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온도감지센서(51)에서 측정된 혼련물의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낮을 경우 상기 히터봉(42)을 동작시켜 혼련물을 가열하고, 상기 온도감지센서(51)에서 측정된 혼련물의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높을 경우 상기 냉각수 순환로(40b)로 냉각수를 순환시켜 혼련물의 열을 식히도록 제어한다.
계속해서, 상기 실린더(18)에는 도1 내지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혼련 챔버(40)의 일측 및 타측 밖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일측 단부에 배출구(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18)의 내부에는 상기 이송스크류(10)가 길이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송스크류(10)는 상기 제2모터(6)에 의해 구동되게 된다. 상기 제2모터(6)는 상기 제1 및 제2로우터(Rotor)(22,23)의 하부에 설치되는 상기 이송스크류(10)를 회전시키는 구동원으로서, 시클로 리듀서 모터(Cyclo Reducer Motor)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모터(6)는 상기 이송스크류(10)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이송스크류(10)의 회전축과 동일 축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모터(6)의 회전축과 상기 이송스크류(10)의 회전축 사이에는 제2감속기(12)가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감속기(12)는 상기 제2모터(6)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이송스크류(10)를 감속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제2모터(6)의 회전축과 상기 제2감속기(12)의 회전축 사이에는 테이퍼 푸쉬 벨트 풀리(Taper Bush Belt Pulley; 5), 체인 스프로킷(Chain Sprocket; 7,8) 등을 연결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송스크류(10)는 상기 실린더(18)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로우터(22,23)의 회전시 제1방향(예를 들어, 정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 및 제2로우터(22,23)에서 아래로 배출되는 혼련물을 상기 배출구(20)의 반대쪽으로 이송시키면서 위쪽의 상기 제1 및 제2로우터(22,23)로 밀어내어 재차 혼련되도록 하고, 제2방향(예를 들어,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 및 제2로우터(22,23)에서 아래로 배출되는 혼련물을 상기 배출구(10)로 배출되게 한다.
상기 이송스크류(10)는 상기 제1 및 제2로우터(22,23)의 회전에 의해 혼련이 이루어질 때 제1방향(예를 들어, 정방향)으로 회전되어 혼련물을 상기 배출구(20)의 반대쪽으로 이송시키면서 상기 제1 및 제2로우터(22,23)로 밀어내어 재차 혼련되도록 한다.
상기 이송스크류(10)는 도1 내지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원형의 샤프트(Shaft; 10a)와, 상기 샤프트(Shaft; 10a)의 원주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나선형 블레이드(Blade; 10b)를 포함하고 있다.
도1 내지 도3에서, 미설명한 도면부호 9는 베어링 너트(Bearing Nut)/와셔(Washer), 도면부호 14는 유니트 베어링 베이스(Unit Bearing Base), 도면부호 14a는 유니트 베어링(Unit Bearing), 도면부호 15는 회전축, 도면부호 16a는 파이프 샤프트(Pipe Shaft), 도면부호 16b는 베어링 너트(Bearing Nut), 도면부호 16c는 로우터리 조인트(Rotary Joint), 도면부호 17은 사이드 플레이트(Side Plate), 도면부호 19는 다이스 헤드(Dies Head), 도면부호 19a는 베어링 너트(Bearing Nut), 도면부호 21은 공압실린더, 도면부호 24a는 베어링 너트(Bearing Nut)/와셔(Washer), 도면부호 24b는 셀프 얼라이닝 베어링(Self Aligning Bearing), 도면부호 25는 벨트 커버, 도면부호 26은 베어링 챔버(Bearing Housing), 도면부호 27은 베어링 챔버 커버(Bearing Housing Cover), 도면부호 27a는 오일 실(Oil Seal), 도면부호 28은 베어링 챔버 커버(Bearing Housing Cover), 도면부호 29는 오일 실(Oil Seal), 도면부호 30은 클로즈 커버 베이스(Close Cover Base), 도면부호 31은 유니트 베어링(Unit Bearing), 도면부호 32는 하이드롤릭 실린더(Hydraulic Cylinder), 도면부호 33은 Y 타입 너클 조인트(Y-Type Knuckle Joint), 도면부호 34는 클로즈 커버 베이스(Close Cover), 도면부호 35는 스위벌 조인트(Swivel Joint), 도면부호 36은 하이드롤릭 크램프(Hydraulic Clamp), 도면부호 37은 클로즈 커버(Close Cover)를 각각 나타낸다.
혼련(混鍊)용 자동 텐덤믹서(100)의 제2실시 예
도11 내지 도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의한 혼련(混鍊)용 자동 텐덤믹서(100)의 도면으로, 도11은 혼련(混鍊)용 자동 텐덤믹서(100)의 절취 단면도이고, 도12는 냉각수 순환을 위해 혼련(混鍊) 챔버(40)의 몸체 내부에 격벽(40a)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13은 혼련(混鍊) 챔버(40)의 몸체 내부에 형성된 격벽(40a)을 따라 냉각수가 순환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14는 혼련(混鍊)용 자동 텐덤믹서(100)의 일부 구성도이다.
상기 혼련(混鍊)용 자동 텐덤믹서(100)의 제2실시 예는 배합장치(미도시)로부터 배합된 재료(고무배합물)를 투입받아 혼련(Mixing)시킨 후 압출기(미도시)로 배출 공급하는 장치로서, 도1 내지 도3, 도11 내지 도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1), 제1모터(3), 제2모터(6), 이송스크류(screw)(10), 제1감속기(11), 방향전환장치부(11a), 제2감속기(12), 기어 커플링(Gear Coupling; 13), 실린더(Cylinder; 18), 제1로우터(Rotor; 22), 제2로우터(Rotor; 23), 혼련 챔버(Mixing housing; 40), 온도감지센서(51), 냉각수 공급수단(52), 온수공급수단(53), 가열수단(54), 제어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혼련(混鍊)용 자동 텐덤믹서(100)의 제2실시 예는 제1실시 예의 히터봉(42) 대신에 온수공급수단(53)과 가열수단(54)이 구성된 점이 다르고, 나머지의 구성은 제1실시 예와 동일하다.
상기 혼련(混鍊)용 자동 텐덤믹서(100)의 제2실시 예는 제1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베이스(1) 상부의 일측에 혼련 챔버(Mixing housing; 40), 제1 및 제2로우터(Rotor; 22,23), 이송스크류(screw)(10), 실린더(Cylinder; 18) 등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베이스(1) 상부의 타측에 기어 커플링(Gear Coupling; 13), 제1 및 제2감속기(11,12), 방향전환장치부(11a), 제1 및 제2모터(3,6)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혼련 챔버(Mixing housing; 40)는 상부에 혼련물을 투입하는 투입구(38)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38)를 통해 내부로 혼련 공간부(41)가 형성되며, 자신의 내벽과 외벽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에 지그재그 형태로 격벽(40a)이 형성되며, 상기 격벽(40a)으로 구획된 공간을 따라 냉각수 순환로(40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로우터(22,23)는 상기 혼련 공간부(41)에 회전가능하게 나란히 설치되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혼련 공간부(41)로 투입된 혼련물을 혼련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18)는 상기 혼련 챔버(40)의 하부에 수평으로 배치되고 상기 혼련 공간부(41)와 서로 내통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며 일측 단부에 배출구(20)가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스크류(10)는 상기 실린더(18)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방향의 회전에 의해 혼련물을 배출구(20)의 반대쪽으로 이송시켜 재차 혼련되도록 하고, 제2방향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로우터(22,23)에서 아래로 배출되는 혼련물을 배출구(20)로 배출하게 된다.
상기 온도감지센서(51)는 상기 혼련 챔버(40)의 내부에 투입된 혼련물의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냉각수 공급수단(52)은 상기 혼련 챔버(40)의 냉각수 순환로(40b)로 냉각수를 공급하고, 상기 온수공급수단(53)은 상기 혼련 챔버(40)의 냉각수 순환로(40b)로 온수를 공급하며, 상기 가열수단(54)은 상기 온수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온도감지센서(51)에서 측정된 혼련물의 온도와 설정 온도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냉각수 순환로(40b)로 온수를 순환시켜 혼련물을 가열하거나 상기 냉각수 순환로(40b)로 냉각수를 순환시켜 혼련물의 열을 식히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혼련물의 온도가 설정 온도로 유지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로우터(22,23)는 상기 혼련 챔버(40)의 혼련 공간부(41)에 회전가능하게 나란히 설치되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혼련 공간부(41)로 투입된 혼련물을 혼련 및 압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제2로우터(22,23)의 구성은 후술하는 도15 내지 도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제1, 제2로우터(22,23)의 실시 예
도15 내지 도16은 제1 및 제2로우터(22,23)의 동작 및 구성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제1 및 제2로우터(22,23)는 도15 내지 도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하는 축(22a,23a)과, 상기 축(22a,23a)의 원주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형상과 모양 및 크기로 형성되되 상기 제1 및 제2로우터(22,23)의 회전시 상호 맞물리게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혼련 챔버(120)의 내벽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접하게 형성된 양각의 블레이드(Blade; 22b,23b)를 각각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 및 제2로우터(22,23)는 상기 혼련 챔버(40)의 혼련 공간부(41)에 회전가능하게 나란히 설치되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혼련 공간부(41)로 투입된 혼련물을 혼련 및 압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로우터(22,23)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될 때 축(22a,23a)에 형성된 양각의 블레이드(Blade; 22b,23b)가 상호 맞물려 회전되면서 상기 혼련 공간부(41)에 투입된 혼련물을 혼련 및 압송하게 된다.
상기 투입구(38)를 통해 투입된 혼련물은 서로 맞물려 회전하는 상기 제1 및 제2로우터(22,23)의 블레이드(Blade; 22b,23b) 사이로 압송되면서 혼련되게 된다. 이때, 상기 혼련물은 회전되는 상기 제1 및 제2로우터(22,23)의 블레이드(Blade; 22b,23b)에 의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분배되면서 상기 혼련 챔버(40)의 내벽을 따라 위로 이송되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로우터(22,23)는 이러한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상기 혼련 공간부(41)에 투입된 혼련물을 혼련하게 된다.
또한, 상기 혼련용 자동 텐덤믹서(100)는 상기 제1 및 제2로우터(22,23)의 아래에 상기 이송스크류(10)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제1 및 제2로우터(22,23)에서 혼련되어 아래로 배출된 혼련물을 상기 배출구(20)의 반대 방향으로 이송시켜 상기 제1 및 제2로우터(22,23)에 재차 혼련 작업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이송스크류(10)는 상기 제1 및 제2로우터(22,23)의 회전 동작시 제1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 및 제2로우터(22,23) 아래로 배출된 혼련물을 상기 배출구(20)와 반대 방향인 안쪽으로 이송시켜 혼련물의 혼련 공정이 반복 수행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이송스크류(10)는 상기 제1 및 제2로우터(22,23)의 회전 동작 또는 정지시 제2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 및 제2로우터(22,23) 아래로 배출된 혼련물을 상기 배출구(20)를 통해 밖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혼련용 자동 텐덤믹서는, 챔버(Chamber) 둘레에 히터(Heater)를 설치하여 혼련물을 가열하고 챔버(Chamber)의 몸체 내부에 냉각수를 순환시켜 혼련물의 열을 식혀 혼련(混鍊)에 적합한 설정 온도로 제어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 수가 있다.
또한, 히터의 구성없이 챔버(Chamber)의 몸체 내부에 온수를 순환시켜 혼련물을 가열하고 냉수를 순환시켜 혼련물의 열을 식혀 혼련(混鍊)에 적합한 설정 온도로 제어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 수가 있다.
또한, 2개의 혼련용 로우터(Rotor) 아래에 이송스크류를 설치하여 이송스크류의 정회전 및 역회전에 따라 혼련 재료가 재투입 및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 베이스(Base)
1a : 러버 패드(Rubber Pad)
2 : 모터 베이스(Motor Base)
3 : 제1모터(Motor) 메인 모터(Main Motor)
4 : 테이퍼 푸쉬 벨트 풀리(Taper Bush Belt Pulley)
5 : 테이퍼 푸쉬 벨트 풀리(Taper Bush Belt Pulley)
6 : 제2모터(Motor) 시클로 리듀서 모터(Cyclo Reducer Motor)
7 : 체인 스프로킷(Chain Sprocket)
8 : 체인 스프로킷(Chain Sprocket)
9 : 베어링 너트(Bearing Nut)/와셔(Washer)
10 : 이송스크류(Screw)
10a : 샤프트(Shaft)
10b : 나선형 블레이드(Blade)
11 : 제1감속기(Reducer)
11a : 방향전환장치부
12 : 제2감속기(Reducer)
13 : 커플러(Coupler)
14 : 유니트 베어링 베이스(Unit Bearing Base)
14a : 유니트 베어링(Unit Bearing)
15 : 회전축
16a : 파이프 샤프트(Pipe Shaft)
16b : 베어링 너트(Bearing Nut)
16c : 로우터리 조인트(Rotary Joint)
17 : 사이드 플레이트(Side Plate)
18 : 실린더(Cylinder)
19 : 다이스 헤드(Dies Head)
19a : 베어링 너트(Bearing Nut)
20 : 배출구
21 : 공압실린더
22 : 제1로우터(Rotor)
22a : 축(Shaft)
22b : 블레이드(Blade)
23 : 제2로우터(Rotor)
23a : 축(Shaft)
23b : 블레이드(Blade)
24a : 베어링 너트(Bearing Nut)/와셔(Washer)
24b : 셀프 얼라이닝 베어링(Self Aligning Bearing)
25 : 벨트 커버
26 : 베어링 챔버(Bearing Housing)
27 : 베어링 챔버 커버(Bearing Housing Cover)
27a : 오일 실(Oil Seal)
28 : 베어링 챔버 커버(Bearing Housing Cover)
29 : 오일 실(Oil Seal)
30 : 클로즈 커버 베이스(Close Cover Base)
31 : 유니트 베어링(Unit Bearing)
32 : 하이드롤릭 실린더(Hydraulic Cylinder)
33 : Y 타입 너클 조인트(Y-Type Knuckle Joint)
34 : 클로즈 커버 베이스(Close Cover)
35 : 스위벌 조인트(Swivel Joint)
36 : 하이드롤릭 크램프(Hydraulic Clamp)
37 : 클로즈 커버(Close Cover)
38 : 투입구
40 : 혼련(混鍊) 챔버(Chamber)
40a : 격벽
40b : 냉각수 순환로
41 : 혼련 공간부
42 : 히터봉(Heater Pipe)
50 : 제어부
51 : 온도감지센서
52 : 냉각수 공급수단
53 : 온수 공급수단
54 : 가열 수단
100 : 혼련(混鍊)용 자동 텐덤믹서(Tandem Mixer)

Claims (4)

  1. 상부에 혼련물을 투입하는 투입구(38)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38)를 통해 내부로 혼련 공간부(41)가 형성되며, 자신의 내벽과 외벽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에 지그재그 형태로 격벽(40a)이 형성되며, 상기 격벽(40a)으로 구획된 공간을 따라 냉각수 순환로(40b)가 형성된 혼련 챔버(40);
    상기 혼련 공간부(41)에 회전가능하게 나란히 설치되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혼련 공간부(41)로 투입된 혼련물을 혼련하는 제1 및 제2로우터(22,23);
    상기 혼련 챔버(40)의 하부에 수평으로 배치되고 상기 혼련 공간부(41)와 서로 내통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며 일측 단부에 배출구(20)가 형성된 원통 형상의 실린더(18);
    상기 실린더(18)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방향의 회전에 의해 혼련물을 배출구(20)의 반대쪽으로 이송시켜 재차 혼련되도록 하고, 제2방향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로우터(22,23)에서 아래로 배출되는 혼련물을 배출구(20)로 배출하는 이송스크류(10);
    상기 혼련 챔버(40)의 내부에 투입된 혼련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감지센서(51);
    상기 혼련 챔버(40)의 둘레를 따라 내벽과 외벽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혼련 챔버(40) 내부에 투입된 혼련물을 가열하는 복수의 히터봉(42);
    상기 혼련 챔버(40)의 냉각수 순환로(40b)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수단(52); 및
    상기 온도감지센서(51)에서 측정된 혼련물의 온도와 설정 온도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히터봉(42)을 동작시켜 혼련물을 가열하거나 상기 냉각수 순환로(40b)로 냉각수를 순환시켜 혼련물의 열을 식히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혼련물의 온도가 설정 온도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하는,
    혼련용 자동 텐덤믹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련용 자동 텐덤믹서는,
    상기 혼련 챔버(40)의 냉각수 순환로(40b)로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수단(53);
    상기 온수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수단(54);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냉각수 순환로(40b)로 온수를 먼저 공급한 후 상기 온도감지센서(51)에서 측정된 혼련물의 온도와 설정 온도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히터봉(42)을 동작시켜 혼련물을 가열하거나 상기 냉각수 순환로(40b)로 냉각수를 순환시켜 혼련물의 열을 식히도록 제어하는,
    혼련용 자동 텐덤믹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련용 자동 텐덤믹서는,
    상기 제1 및 제2로우터(22,23)와 동일 평면 상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로우터(22,23)를 회전시키는 제1모터(3);
    상기 제1모터(3)의 회전축과 상기 제1로우터(22)의 회전축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제1모터(3)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로우터(22)를 감속 회전시키는 제1감속기(11);
    상기 제1로우터(22)의 회전축과 상기 제2로우터(23)의 회전축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로우터(22,23)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전환장치부(11a);
    상기 이송스크류(10)와 동일 평면 상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이송스크류(10)를 회전시키는 제2모터(6); 및
    상기 제2모터(6)의 회전축과 상기 이송스크류(10)의 회전축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제2모터(6)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이송스크류(10)를 감속 회전시키는 제2감속기(12);를 더 포함하는,
    혼련용 자동 텐덤믹서.
  4. 상부에 혼련물을 투입하는 투입구(38)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38)를 통해 내부로 혼련 공간부(41)가 형성되며, 자신의 내벽과 외벽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에 지그재그 형태로 격벽(40a)이 형성되며, 상기 격벽(40a)으로 구획된 공간을 따라 냉각수 순환로(40b)가 형성된 혼련 챔버(40);
    상기 혼련 공간부(41)에 회전가능하게 나란히 설치되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혼련 공간부(41)로 투입된 혼련물을 혼련하는 제1 및 제2로우터(22,23);
    상기 혼련 챔버(40)의 하부에 수평으로 배치되고 상기 혼련 공간부(41)와 서로 내통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며 일측 단부에 배출구(20)가 형성된 원통 형상의 실린더(18);
    상기 실린더(18)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방향의 회전에 의해 혼련물을 배출구(20)의 반대쪽으로 이송시켜 재차 혼련되도록 하고, 제2방향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로우터(22,23)에서 아래로 배출되는 혼련물을 배출구(20)로 배출하는 이송스크류(10);
    상기 혼련 챔버(40)의 내부에 투입된 혼련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감지센서(51);
    상기 혼련 챔버(40)의 냉각수 순환로(40b)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수단(52);
    상기 혼련 챔버(40)의 냉각수 순환로(40b)로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수단(53);
    상기 온수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수단(54); 및
    상기 온도감지센서(51)에서 측정된 혼련물의 온도와 설정 온도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냉각수 순환로(40b)로 온수를 순환시켜 혼련물을 가열하거나 상기 냉각수 순환로(40b)로 냉각수를 순환시켜 혼련물의 열을 식히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혼련물의 온도가 설정 온도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하는,
    혼련용 자동 텐덤믹서.
KR1020150070265A 2015-05-20 2015-05-20 가열 및 냉각 기능을 구비한 혼련용 자동 텐덤믹서 KR101541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0265A KR101541268B1 (ko) 2015-05-20 2015-05-20 가열 및 냉각 기능을 구비한 혼련용 자동 텐덤믹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0265A KR101541268B1 (ko) 2015-05-20 2015-05-20 가열 및 냉각 기능을 구비한 혼련용 자동 텐덤믹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1268B1 true KR101541268B1 (ko) 2015-08-03

Family

ID=53873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0265A KR101541268B1 (ko) 2015-05-20 2015-05-20 가열 및 냉각 기능을 구비한 혼련용 자동 텐덤믹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126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0003B1 (ko) 2016-01-26 2016-11-25 (주)한도기공 압출스크류와 압출다이의 대칭 결합 구조를 갖는 혼련용 자동 믹싱롤
KR101680005B1 (ko) * 2016-03-10 2016-11-25 (주)한도기공 압출실린더 내부에 냉각수 순환홀을 구비한 혼련용 텐덤믹서
CN111037774A (zh) * 2019-12-06 2020-04-21 联塑科技发展(武汉)有限公司 一种塑料粉料预塑化的混合控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0470A (ja) 1999-12-17 2001-06-26 Nok Corp 密閉式混練機
KR200333238Y1 (ko) 1998-12-02 2004-02-14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혼합온도 및 시간제어기능을 갖춘 혼합기
KR100763541B1 (ko) 2006-07-12 2007-10-04 구승회 혼련 압출성형기
JP2007320184A (ja) 2006-06-01 2007-12-13 Nok Corp 混練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3238Y1 (ko) 1998-12-02 2004-02-14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혼합온도 및 시간제어기능을 갖춘 혼합기
JP2001170470A (ja) 1999-12-17 2001-06-26 Nok Corp 密閉式混練機
JP2007320184A (ja) 2006-06-01 2007-12-13 Nok Corp 混練機
KR100763541B1 (ko) 2006-07-12 2007-10-04 구승회 혼련 압출성형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0003B1 (ko) 2016-01-26 2016-11-25 (주)한도기공 압출스크류와 압출다이의 대칭 결합 구조를 갖는 혼련용 자동 믹싱롤
KR101680005B1 (ko) * 2016-03-10 2016-11-25 (주)한도기공 압출실린더 내부에 냉각수 순환홀을 구비한 혼련용 텐덤믹서
CN111037774A (zh) * 2019-12-06 2020-04-21 联塑科技发展(武汉)有限公司 一种塑料粉料预塑化的混合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0003B1 (ko) 압출스크류와 압출다이의 대칭 결합 구조를 갖는 혼련용 자동 믹싱롤
KR101680006B1 (ko) 압출실린더 내부에 냉각수 순환홀을 구비한 이동식 압출기
KR101541268B1 (ko) 가열 및 냉각 기능을 구비한 혼련용 자동 텐덤믹서
US20220161457A1 (en) Temperature management of rubber mixtures discharged from a converging conical twin-screw mixer
US3700374A (en) Continuous mixer with screw discharge control
JP2781772B2 (ja) 混練押出成形装置
KR101680005B1 (ko) 압출실린더 내부에 냉각수 순환홀을 구비한 혼련용 텐덤믹서
CN210679251U (zh) 橡胶原料混炼设备
CN112423953B (zh) 混合捏合机器
CN105080384A (zh) 涂料搅拌机
CN112405996A (zh) 一种发泡材料生产用挤出发泡装置及其使用方法
US7097442B2 (en) Extruder
CN212795487U (zh) 塑料板材生产用原料混合设备
CN114368079A (zh) 一种用于制备再生胶的清洁环保型连续生产线及制备方法
KR20230139376A (ko) 회전속도를 증가시키고 소음을 줄일 수 있는 혼련용 압출 실린더 장치
KR20230139375A (ko) 토출량과 회전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혼련용 자동 믹싱롤 장치
CN220808419U (zh) 一种母粒生产挤出装置
CN110774473A (zh) 塑化胶粉强制混合机
KR102223123B1 (ko) 혼련기
CN204566641U (zh) 一种带旋转料筒的挤出机装置
CN212331760U (zh) 一种板材挤出机模唇温控装置
KR101523476B1 (ko) 고무믹싱용 텐덤믹서
CN211074305U (zh) 橡胶密炼控温试验装置
KR101559016B1 (ko) 커팅과 용융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폐수지 재생장치
CN211221529U (zh) 塑化胶粉强制混合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