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1640A - 살균 건조 기능을 겸비한 식기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살균 건조 기능을 겸비한 식기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71640A
KR20240071640A KR1020220153379A KR20220153379A KR20240071640A KR 20240071640 A KR20240071640 A KR 20240071640A KR 1020220153379 A KR1020220153379 A KR 1020220153379A KR 20220153379 A KR20220153379 A KR 20220153379A KR 20240071640 A KR20240071640 A KR 20240071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rm air
tray
housing
drying
steril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3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동원
Original Assignee
황동원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동원 filed Critical 황동원
Publication of KR20240071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7164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9/00Drying devic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tea-cloths
    • A47L19/04Crockery baskets; Draining-ra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0Temperatur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26B25/18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mainly open, e.g. dish, tray, pan, rack

Abstract

살균 건조 기능을 겸비한 식기 건조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건조 기능을 겸비한 식기 건조장치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면은 오픈된 개구부를 형성한 하우징,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되, 개구부를 통해 이동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트레이, 내부 트레이와 연결되고, 내부 트레이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될 때 상기 개구부를 막는 형태로 형성되는 커버,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온풍을 발생시키는 온풍 발생기,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UV 램프, 하우징의 일 측부에 연결되는 외부 트레이, 및 하우징의 일 측부에서 외부 트레이가 연결되는 지점에 형성되는 제1 온풍 유출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살균 건조 기능을 겸비한 식기 건조장치 {TABLEWARE DRYING DEVICE WITH STERILIZATIONG AND DRYING FUCTION}
본 발명은 살균 건조 기능을 겸비한 식기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살균 건조 기능이 구비되되,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온풍 건조 동작이 가능한 살균 건조 기능을 겸비한 식기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정 및 요식업소 등의 주방에서는 청결이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식재료 및 식기 등을 수시로 세척하는 주방의 특성상, 여러 식기들이 물에 젖은 상태로 장시간 방치되게 되면, 청결 관리상 여러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전통적으로는, 식기들을 세척한 후 자연 건조하는 방식을 사용하였지만, 자연 건조 방식은 건조 시간이 오래 걸리고, 건조 시간이 오래 걸리는 만큼 식기가 각종 세균에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식기를 빠르게 건조시키기 위한 식기 건조기가 등장하였다. 식기 건조기의 형태를 살펴보면, 식기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내부에 온풍을 공급하여 온풍에 의해 식기를 건조하는 구조이다.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식기 건조기를 살펴보면, 대부분이 특정 식기를 건조시키기 위한 목적 혹은 특정 장소에 사용되는 목적으로 제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면, 유아를 양육하는 가정에서는 젖병 건조기를 많이 구비한다. 젖병 건조기의 사용 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젖병을 세척한 후, 세척한 젖병을 젖병 건조기에 넣어 건조시킨다. 젖병 건조기에서 젖병의 건조가 완료되면, 이를 다른 장소에 옮겨 보관하는 것이 일반적인 패턴이다. 그런데, 젖병 건조기는 건조의 기능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일부 가정에서는 젖병 살균기, 및 보관함을 별도로 사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 각각의 장치를 구비하기 위한 비용이 지출됨은 물론, 공간적인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유아를 양육하는 가정이 아니더라도, 보다 청결한 환경을 위해 식기의 살균 소독을 위해, 별도의 살균기를 더 구비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 각각의 장치를 구비하기 위한 비용이 지출되고, 각 장치를 위한 별도의 공간이 구비되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1089279호(2011. 11. 28. 공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식기의 살균, 온풍 건조, 및 자연 건조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살균 건조 기능을 겸비한 식기 건조장치를 제시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건조 기능을 겸비한 식기 건조장치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면은 오픈된 개구부를 형성한 하우징,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되, 개구부를 통해 이동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트레이, 내부 트레이와 연결되고, 내부 트레이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될 때 상기 개구부를 막는 형태로 형성되는 커버,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온풍을 발생시키는 온풍 발생기,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UV 램프, 하우징의 일 측부에 연결되는 외부 트레이, 및 하우징의 일 측부에서 외부 트레이가 연결되는 지점에 형성되는 제1 온풍 유출구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 트레이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가 형성되고, 커버에는 복수개의 내부 트레이의 일측이 모두 연결되어 동시에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부에는 상기 제1 온풍 유출구와 연결되는 제2 온풍 유출구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복수개의 온풍 토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외부 트레이의 하부에 연결되는 트레이 받침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받침대는, 하면이 외측에서 중앙부위로 갈수록 아래로 기울어지는 형상이고, 상기 중앙부위에는 물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 배출구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물받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온풍 유출구를 개폐하는 온풍 덮개, 내부 트레이에만 온풍 건조 개시 신호, 내부 트레이 및 외부 트레이 모두 온풍 건조 개시 신호를 입력하는 조작 패널, 및 조작 패널을 통해 상기 내부 트레이에만 온풍 건조 개시 신호가 입력되면 온풍 덮개가 상기 제1 온풍 유출구를 폐쇄하도록 제어하고, 내부 트레이 및 외부 트레이 모두 온풍 건조 개시 신호가 입력되면 온풍 덮개가 제1 온풍 유출구를 오픈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결합돌기, 및 결합돌기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수납 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 트레이 및 외부 트레이가 구비되고, 내부 트레이 및 내외부 트레이로의 온풍 전달을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건조 상황 및 식기류의 크기와 재질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곳에서 선택적으로 식기류를 건조시킬 수 있는 살균 건조 기능을 겸비한 식기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부 트레이 및 외부 트레이에도 온풍 전달이 가능한 구조에 의해, 큰 식기류도 보다 빠르게 건조할 수 있으며, UV 램프에 의해 식기류를 살균할 수도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살균 건조 기능을 겸비한 식기 건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살균 건조 기능을 겸비한 식기 건조장치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 동작부의 블록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살균 건조 기능을 겸비한 식기 건조장치를 전면에서 본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살균 건조 기능을 겸비한 식기 건조장치의 내부에 설치된 온풍 덮개의 동작을 예시한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살균 건조 기능을 겸비한 식기 건조장치의 트레이 받침대의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살균 건조 기능을 겸비한 식기 건조장치의 변형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된 경우,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또한, 제1 엘리먼트 (또는 구성요소)가 제2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 상(ON)에서 동작 또는 실행된다고 언급될 때, 제1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는 제2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가 동작 또는 실행되는 환경에서 동작 또는 실행되거나 또는 제2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상호 작용을 통해서 동작 또는 실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가 구현됨에 있어서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그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어떤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살균 건조 기능을 겸비한 식기 건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살균 건조 기능을 겸비한 식기 건조장치(이하, '식기 건조장치'라 한다)(100)의 외형을 살펴본다. 식기 건조장치(100)는 하우징(110), 내부 트레이(120), 커버(130), 및 외부 트레이(15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기설정된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부에는 식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면은 오픈되어 개구부를 형성한다. 하우징(110)이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된다면, 직육면체의 전면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 트레이(120)는 하우징(110)의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개구부를 통해 이동이 가능하게 장착된다. 내부 트레이(120)가 하우징(110)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기 위해, 내부 트레이(120)는 하우징(110)에 이동 레일(미도시)을 개재하여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 트레이(120)는 놓여진 식기의 물기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철망 형태로 형성되고, 식기를 올려두기 용이하도록 상면은 오픈되고, 식기가 떨어지지 않도록 측면은 소정 높이만큼 형성될 수 있다. 내부 트레이(120)는 내식성을 갖는 스테인레스 강(Stainless Steel)으로 제조될 수 있고, 특히 스테인레스 304 계열로 제조될 수 있다.
내부 트레이(120)는 하우징(110)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그 내부 수용공간에 수용 가능한 크기로 형성된다. 내부 트레이(120)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는데, 복수 개의 내부 트레이(120)가 형성된 경우에는 복수 개의 내부 트레이(120)의 일측이 모두 커버(130)에 연결되어 커버(130)와 함께 이동되도록 한다.
커버(130)는 내부 트레이(120)와 연결되고, 내부 트레이(120)가 하우징(110)의 수용공간에 수용될 때 개구부를 막는 형태로 형성된다. 커버(130)는 하우징(110)의 전면 개구부와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커버(130)가 하우징(110)에 장착되면, 하우징(110)은 온전한 직육면체의 형상이 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커버(130)에는 사용자가 커버(130)를 열기 쉽도록 하기 위한 부재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커버(130)의 전면에 커버(130)를 잡아당기기 용이하도록 손잡이를 형성하거나, 커버(130)의 측부에 소정 길이의 홈을 형성해 사용자가 홈에 손가락을 넣어 커버(130)를 잡아당길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커버(130)에 하우징 쪽으로 미는 힘을 가하면, 커버(130)가 자동으로 열리는 구성, 및 별도의 열림 버튼을 통해 커버(130)가 자동으로 열리는 구성을 채택할 수도 있다. 다만, 커버(130)가 자동으로 열리는 구성을 채택할 경우에는, 안전상의 문제로 커버(130)에 연결될 내부 트레이(120) 전체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내부 트레이(120)의 일부만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 트레이(150)는 하우징(110)의 외부 일 측부에 연결되는 것으로, 하우징(110)의 내부에 수용되는 내부 트레이(120)와는 다른 구조이다. 외부 트레이(150)는 식기의 크기가 커서 하우징(110) 내부에 수용이 되지 않거나 혹은 자연 건조를 원하는 경우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상면이 오픈된 구조로 부피가 큰 냄비 등을 건조시키기 위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외부 트레이(150)도 내부 트레이(120)와 마찬가지로 내식성을 갖는 스테인레스 강으로 제조될 수 있고, 특히 스테인레스 304 계열로 제조될 수 있다.
외부 트레이(150)는 외부 트레이(150)와 동일한 크기 혹은 그 이상의 크기로 형성된 트레이 받침대(160) 위에 놓여 진다. 트레이 받침대(160)는 하면에 두 쌍의 다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트레이 받침대(160)가 단순히 납작한 패널 형태로 형성되어 외부 트레이(150)를 받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트레이 받침대(160)의 형상은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 트레이(150)가 트레이 받침대(16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트레이 받침대(160)의 가장자리를 따라 틀이 형성되고, 그 틀 안에 외부 트레이(150)가 끼워지는 형태가 될 수도 있다.
하우징(110)의 일 측부에서 외부 트레이(150)가 연결되는 지점에는 제1 온풍 유출구(11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온풍 유출구(112)를 통해서 하우징(110) 내부의 온풍이 외부 트레이(150) 쪽으로도 일부 공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하우징(110)의 내부에 발생하는 온풍에 의해 외부 트레이(150)에 놓여진 식기류에 온풍을 공급하여 식기의 빠른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살균 건조 기능을 겸비한 식기 건조장치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 동작부의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식기 건조장치(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어 외부에서는 육안으로 볼 수 없는 내부 동작부(170)의 구성을 살펴본다.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동작부(170)는 온풍 발생기(172), UV 램프(174), 조작패널 연결부(176), 및 컨트롤러(178)를 포함한다.
온풍 발생기(172)는 하우징(110)의 수용공간에 온풍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내부 트레이(120)에 놓여진 식기들이 온풍에 의해 건조되도록 한다. 온풍 발생기(172)의 하우징(110)의 내부에 고정형으로 장착되는데, 내부 트레이(120) 전체에 온풍이 골고루 전달될 수 있는 위치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UV 램프(174)는 하우징(110)의 수용공간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내부 트레이(120)에 놓여진 식기들이 자외선에 의해 살균 소독된다. 일반적으로, UV 램프(174)는 20초 이내에 99.9%의 살균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피부에 직접 닿거나 눈으로 보는 것은 좋지 않다. 그러므로, UV 램프(174)는 하우징(110)의 내부에서도 내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작패널 연결부(176)는 후술하는 조작 패널과 연결되어, 조작 패널에 의해 입력되는 사용자 조작신호를 컨트롤러(178)로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컨트롤러(178)는 조작 패널 및 내부 동작부(17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즉, 조작 패널을 통해 조작패널 연결부(176)를 통해 사용자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사용자 조작신호가 어떤 기능의 조작을 위한 것인지를 판단하여 각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살균 건조 기능을 겸비한 식기 건조장치를 전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3에서는 식기 건조장치(100)의 전면에서 본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도 상에서는 직사각형 형상의 하우징(110)이 있고, 하우징(110)의 우측부에는 외부 트레이(150) 및 트레이 받침대(160)가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 트레이(150) 및 트레이 받침대(160)가 하우징(110)의 우측부에 형성된 상태를 예시하였지만, 이는 여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외부 트레이(150) 및 트레이 받침대(160)는 하우징(110)의 좌측우에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외부 트레이(150) 및 트레이 받침대(160)가 하우징(110)의 우측부 혹은 좌측부 중 어느 한 위치에 고정형으로 연결된 구조로 제작될 수 있으나, 상황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그 위치를 우측부 혹은 좌측부로 변경하여 설치할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는, 도 1에서는 도시하지 않았던 조작 패널(180)을 도시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패널(180)은 커버(130)의 위측 및 하우징(110)의 전면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위치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목적으로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조작 패널(180)에는 전원 버튼(181), 온풍 발생기 동작 버튼(182), UV 램프 동작 버튼(183), 내부 온?V 동작 버튼(184), 및 내외부 온풍 동작 버튼(185)이 구비될 수 있다.
전원 버튼(181)은 식기 건조장치(100)의 전체 전원의 온/오프를 위한 버튼이고, 온풍 발생기 동작 버튼(182)은 온풍 발생기(172)를 동작시키기 위한 버튼이며, UV 램프 동작 버튼(183)은 UV 램프(174)를 동작시키기 위한 버튼이다.
내부 온?V 동작 버튼(184)은 내부 트레이(120)에만 온풍이 공급되도록 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버튼으로, 이 버튼에 의해 '내부 트레이에만 온풍 건조 개시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내외부 온풍 동작 버튼(185)은 내부 트레이(120)와 외부 트레이(150) 모두에 온풍이 공급되도록 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버튼으로, 이 버튼에 의해 '내부 트레이 및 외부 트레이 모두 온풍 건조 개시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10)에 제1 온풍 유출구(112)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온풍은 제1 온풍 유출구(112)로 유출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구조에서, 온풍이 내부 트레이(120)에만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1 온풍 유출구(112)를 막는 구성이 필요하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하는 도 4에서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살균 건조 기능을 겸비한 식기 건조장치의 내부에 설치된 온풍 덮개의 동작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의 식기 건조장치(100)의 사시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일 측부에서 외부 트레이(150)가 연결되는 지점에는 제1 온풍 유출구(112)를 형성하였다. 이러한 경우, 하우징(110)의 내부에 온풍이 발생하면, 제1 온풍 유출구(112)를 통해 온풍이 외부로 유출되어 외부 트레이(150) 쪽으로 공급되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상황에 따라서, 외부 트레이(150)에 놓여진 식기에는 온풍이 공급되지 않고자 하거나 혹은 외부 트레이(150)에 놓여진 식기가 전혀 없을 경우 등의 상황에서는 내부 트레이(120)에만 온풍이 공급되도록 하고자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내부 트레이(120)에만 온풍이 공급되도록 하거나 혹은 내부 트레이(120)와 외부 트레이(150) 모두에 온풍이 공급되도록 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온풍 유출구(112)를 개폐하는 온풍 덮개(114)를 더 구비할 수 있음을 도시하였다.
하우징(110)의 제1 온풍 유출구(112)가 형성된 부위의 내측에는 온풍 덮개(114)가 형성된다. (a)는 온풍 덮개(114)가 닫혀 있어 제1 온풍 유출구(112)가 덮인 상태를 예시한 것이고, (b)는 온풍 덮개(114)가 상하 방향으로 오픈되어 제1 온풍 유출구(112)도 오픈된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온풍 덮개(114)가 가로 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한 쌍이 배치되고, 한 쌍이 각각 상하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제1 온풍 유출구(112)를 개폐하는 형태를 예시하였다. 하지만, 온풍 덮개(114)는 제1 온풍 유출구(112)를 개폐할 수 있는 형태라면 그 형태 및 동작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즉, 하나의 덮개 구조물이 제1 온풍 유출구(112)의 상측 혹은 하측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1 온풍 유출구(112)를 덮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 온풍 유출구(112)를 개폐하는 형태로 변경될 수도 있다.
온풍 덮개(114)는 '내부 트레이에만 온풍 건조 개시 신호'가 입력되면, 현재의 상태에서 제1 온풍 유출구(112)를 덮는 상태가 되도록 동작될 수 있다. 또한, 온풍 덮개(114)는 '내부 트레이 및 외부 트레이 모두 온풍 건조 개시 신호'가 입력되면, 현재의 상태에서 제1 온풍 유출구(112)를 오픈시킨 상태가 되도록 동작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살균 건조 기능을 겸비한 식기 건조장치의 트레이 받침대의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전 실시예에서는 패널 형태로 평평한 트레이 받침대(160)를 예시하였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패널 형태가 아닌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형태의 트레이 받침대(160a, 160b)를 보인다.
트레이 받침대(160a, 160b)는 상면, 하면, 및 양 측면이 형성되어 있고, 하면은 외측에서 중앙부위로 갈수록 아래로 기울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부위에는 물 배출구(163a, 163b)가 형성된다. 물 배출구(163a, 163b)에는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물받이(164a, 164b)가 형성된다.
또한, 트레이 받침대(160a, 160b)의 일 측면에는 제2 온풍 유출구(161a, 161b)가 형성된다. 제2 온풍 유출구(161a, 161b)는 하우징(110)에 형성된 제1 온풍 유출구(112)와 연결됨으로써, 하우징(110) 내부에서 발생한 온풍이 제1 온풍 유출구(112) 및 제2 온풍 유출구(161a, 161b)를 통해 트레이 받침대(160a, 160b)의 내부에 공급된다.
트레이 받침대(160a, 160b)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온풍 토출구(162a, 162b)가 형성된다. 복수개의 온풍 토출구(162a, 162b)에 의해, 제1 온풍 유출구(112) 및 제2 온풍 유출구(161a, 161b)를 통해 트레이 받침대(160a, 160b)의 내부에 공급된 온풍이 외부 트레이(150)로 효율적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서로 다른 형태로 변형된 온풍 토출구(162a, 162b)를 예시하였다. (a)는 트레이 받침대(160a)에 단순한 형태의 홀을 형성한 복수의 온풍 토출구(162a)를 형성한 예이다.
(b)는 트레이 받침대(160b)에 상부로 돌출된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인 구조를 형성하고, 사다리꼴 형상의 중앙에 홀이 형성된 온풍 토출구(162b)를 형성한 예이다. (b)와 같은 구조에 의해, 트레이 받침대(160b)의 내부에 유입된 온풍이 온풍 토출구(162b)를 통해 외부 트레이(150)로 보다 효율적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살균 건조 기능을 겸비한 식기 건조장치의 변형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한 식기 건조장치(100)의 변형 예를 도시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상면에서 테두리를 따라 결합돌기(116)를 형성한다.
하우징(110)의 상면에는 철망 구조의 보조 트레이(192)가 놓여지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수납 덮개(190)가 결합돌기(116)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하우징(11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결합돌기(116)에 의해 하우징(110)의 상면에 물건의 수납이 가능한 수납함에 형성된다. 또한, 수납 덮개(190)에 의해 하우징(110)의 상면에 수납한 물건에 먼지가 쌓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외부 트레이(150)는 도시하지 않았다. 즉, 본 실시예에서 도시한 하우징(110)의 구조에 이전 실시예에서의 외부 트레이(150)가 동일하게 연결되는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식기 건조장치
110 : 하우징
120 : 내부 트레이
130 : 커버
150 : 외부 트레이
160 : 트레이 받침대

Claims (7)

  1.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면은 오픈된 개구부를 형성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되, 상기 개구부를 통해 이동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트레이;
    상기 내부 트레이와 연결되고, 상기 내부 트레이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될 때 상기 개구부를 막는 형태로 형성되는 커버;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온풍을 발생시키는 온풍 발생기;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UV 램프;
    상기 하우징의 일 측부에 연결되는 외부 트레이; 및
    상기 하우징의 일 측부에서 상기 외부 트레이가 연결되는 지점에 형성되는 제1 온풍 유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건조 기능을 겸비한 식기 건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트레이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복수개의 내부 트레이의 일측이 모두 연결되어 동시에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건조 기능을 겸비한 식기 건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부에는 상기 제1 온풍 유출구와 연결되는 제2 온풍 유출구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복수개의 온풍 토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외부 트레이의 하부에 연결되는 트레이 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건조 기능을 겸비한 식기 건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받침대는, 하면이 외측에서 중앙부위로 갈수록 아래로 기울어지는 형상이고, 상기 중앙부위에는 물 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건조 기능을 겸비한 식기 건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물 배출구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물받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건조 기능을 겸비한 식기 건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온풍 유출구를 개폐하는 온풍 덮개;
    내부 트레이에만 온풍 건조 개시 신호, 내부 트레이 및 외부 트레이 모두 온풍 건조 개시 신호를 입력하는 조작 패널; 및
    상기 조작 패널을 통해 상기 내부 트레이에만 온풍 건조 개시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온풍 덮개가 상기 제1 온풍 유출구를 폐쇄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내부 트레이 및 외부 트레이 모두 온풍 건조 개시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온풍 덮개가 상기 제1 온풍 유출구를 오픈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건조 기능을 겸비한 식기 건조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결합돌기; 및
    상기 결합돌기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수납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건조 기능을 겸비한 식기 건조장치.
KR1020220153379A 2022-11-16 살균 건조 기능을 겸비한 식기 건조장치 KR20240071640A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1640A true KR20240071640A (ko) 2024-05-23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6439B1 (ko) 도마 살균기
KR101750101B1 (ko) 자동 도마세척살균장치
KR20170108242A (ko) 살균건조장치
KR102245579B1 (ko) 주방용품 살균 건조기
KR101337572B1 (ko) 싱크대 설치용 원적외선 및 건조장치
KR102051654B1 (ko) 살균 건조 서랍장
JP2009095621A (ja) 調理器具等の殺菌装置
KR20130092662A (ko) 가정용 플라즈마 멸균 건조기
JP5153234B2 (ja) キッチン用昇降式吊戸棚
KR20240071640A (ko) 살균 건조 기능을 겸비한 식기 건조장치
KR20110004195U (ko) 빌트-인 손 소독기
KR20070053050A (ko) 자외선 살균 식기세척방법
JP5153233B2 (ja) キッチン用昇降式吊戸棚、除菌方法
KR20170069459A (ko) 살균건조기 겸용 식품건조기
KR101904640B1 (ko) 인덕션 가열장치를 이용한 소독 및 세척장치
KR101169305B1 (ko) 싱크대
KR200270666Y1 (ko) 도마 보관장치
KR101025560B1 (ko) 조리도구용 세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30094161A (ko) 주방용품 살균소독 건조기
KR100430764B1 (ko) 다용도 살균건조기
CN210812709U (zh) 环保消毒柜
KR200178709Y1 (ko) 주방용품 살균 건조기의 선반 어셈블리
KR20110001230U (ko) 주방용 살균 건조기
CN218458358U (zh) 一种嵌入式多功能消毒装置
CN218501015U (zh) 一种热风循环消毒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