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0764B1 - 다용도 살균건조기 - Google Patents

다용도 살균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0764B1
KR100430764B1 KR10-2004-0010461A KR20040010461A KR100430764B1 KR 100430764 B1 KR100430764 B1 KR 100430764B1 KR 20040010461 A KR20040010461 A KR 20040010461A KR 100430764 B1 KR100430764 B1 KR 100430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ilization
frame
dryer
sterilizing
dryer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0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7615A (ko
Inventor
김욱
Original Assignee
김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욱 filed Critical 김욱
Publication of KR20040027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7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0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07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9/00Drying devic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tea-cloths
    • A47L19/04Crockery baskets; Draining-ra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085Infrared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살균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주방용품(도마 및 칼 포함)들을 종류별로 구분하여 한꺼번에 적재할 수 있고, 그 적재된 주방용품들의 전면에 복사열 및 원적외선이 조사되도록 함으로서 살균건조기의 용량에 관계없이 일정 이상의 살균/건조 효율을 가지며, 살균/건조가 완료된 주방용품들의 차후정리시 야기될 수 있는 신체의 훼손 없이 쉽게 정리할 수 있는 다용도 살균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에 소정간격으로 적층구성되는 것으로서, 양면으로 복사열 및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면상발열체(111,121,131)가 구비된 복수의 살균건조판(110,120,130)과, 상기 프레임(100)의 측부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면상발열체(210)를 기준으로 일측에는 수저수납함(220)과 복수의 칼꽃이공(230)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행주걸이구(240)가 구비된 보조살균 건조부(200), 상기 프레임(100)의 하부의 양단에 형성된 도마거치구(140)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다용도 살균건조기{Sterilization drier having a multutility}
본 발명은 살균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주방용품(도마 및 칼 포함)들을 종류별로 구분하여 한꺼번에 적재할 수 있고, 그 적재된 주방용품들의 전면에 복사열 및 원적외선이 조사되도록 함으로서 살균건조기의 용량에 관계없이 일정 이상의 살균/건조 효율을 가지며, 살균/건조가 완료된 주방용품들의 차후정리시 야기될 수 있는 신체의 훼손 없이 쉽게 정리할 수 있는 다용도 살균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살균건조기는 자외선 또는 원적외선을 이용하여 식기, 수저, 칼 및 행주 등에 서식하는 유해 세균 및 미생물을 살균하는 기능과 동시에 고온의 복사열을 이용한 건조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주방용 장비이다.
도 1은 종래의 살균과 탈취 기능을 수행하는 선등록된 살균건조기(등록번호; 20-0288373)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여닫이 문(2)을 통하여 개폐되는 박스(1) 내부의 벽면과 중간의 층에는 광촉매망(4)이 설치되어 있고, 바닥면에는 열풍구(6)가 구비되며, 상측 단부에 자외선램프(5)가 구성된다. 미설명부호 3은 유리창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살균건조기는 박스(1)의 여닫이 문(2)을 개방한상태에서 살균/건조될 주방용품류를 인입한 후, 전원을 인가하면 자외선램프(5)에서 자외선이 조사되고, 열풍구(6)에 복사열이 방출된다.
먼저, 자외선램프(5)에서 방출되는 자외선은 식기류에 조사되어 식기류에 존재하는 유해 세균 또는 미생물을 살균시킨다. 또한 조사되는 자외선의 일부는 광촉매망(4)에 조사되어 코팅된 광촉매재인 이산화티탄(TiO2)이 여기되어 전기를 가진 전자(e-)와 정공(h+)을 형성하고, 이때 형성되는 정공(h+)에 의해 강력한 산화작용을 하는 수산화물(OH Radical)을 형성하여 유해 세균 또는 미생물의 살균을 촉진시킨다.
그리고 열풍구(6)에 방출되는 고온의 복사열에 의해 식기류에 남아 있는 물기를 건조시킨다.
그러나 종래의 살균건조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 번째 문제점으로, 종래의 살균건조기에 인입되는 주방용품류에는 수저 및 식기와 더불어 행주와 칼과 같은 과도 등도 한꺼번에 인입되어지는데, 그 인입되는 다양한 종류의 주방용품들을 구분하여 인입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인입되는 식기들 사이에 수저 또는 칼 등이 놓여지게 되고, 그 인입된 식기들 위에 행주 등이 놓여지는 것이 보통이다. 이럴 경우, 살균/건조된 후의 주방용품들의 차후 정리가 어려우며 또한 칼과 같은 과도가 식기들 사이에 존재할 경우에는 살균/건조 후 정리 시, 신체의 손상도 입힐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식기 위에 행주 등을 얹혀 함께 살균/건조시킬 경우에도 그 얹혀진 행주로 인해 방출되는 자외선 및 복사열이 제대로 도달하지 못하여 완전한 살균/건조를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일환으로 행주만 따로 살균/건조하는 원적외선 행주건조기(등록번호; 20-0286969)가 제안되고 있으나, 이 또한 따로 행주건조기를 구매해야하는 비용상의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두 번째 문제점으로, 주방용품 중 도마를 살균/건조하고자 할 경우, 그 살균/건조해야할 도마의 길이가 대체적으로 길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살균건조기에 내입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도마를 살균/건조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대형화된 살균건조기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살균건조기가 대형화될 경우 그 살균건조기의 내부에는 그물(광촉매)망과 같은 것을 이용하여 여러 층으로 구분한 후 인입된 주방용품을 살균/건조하는데, 이와 같이, 여러 층에 각각의 주방용품을 적재한 상태에서 살균을 수행할 경우 조사되는 자외선이 상층에 적재된 주방용품에 부딪혀 굴절되기 때문에 중간층 또는 아래층에 적재된 주방용품의 곳곳에까지 조사되는 것이 어려워 살균기능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주방용품들인 식기류, 수저류, 과도류, 행주류 및 도마를 한번에 수납하여 살균/건조시킬 수 있고, 적재되는 다양한 주방용품들을 식기류, 수저류, 과도류, 행주류 및 도마 등의 종류별로 구분시켜 적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살균/건조가 완료된 주방용품들의 차후정리가 용이한 다용도 살균건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여기서 과도류의 경우 칼날을 사용자의 신체가 닿을 수 없는 공간 내에 수납한 상태에서 살균/건조가 진행되기 때문에 차후 정리 시에도 신체의 손상을 예방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식기류, 수저류, 과도류, 행주류 및 도마가 안치 또는 수납되는 살균건조층의 상하면(또는 양측면)에서 복사열 및 원적외선이 방출되기 때문에 적재된 대상물(주방용품들)의 전면에 균일하게 복사열 및 원적외선이 조사됨으로써, 살균건조기가 대형화될 경우에도 살균/건조 효율이 떨어지지 않는 다용도 살균건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용도 살균건조기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소정간격으로 적층구성되는 것으로서, 양면으로 복사열 및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면상발열체가 구비된 복수의 살균건조판과, 상기 프레임의 측부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면상발열체를 기준으로 일측에는 수저수납함과 복수의 칼꽃이공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행주걸이구가 구비된 보조살균 건조부, 상기 프레임의 하부의 양단에 형성된 도마거치구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에 적층구성되는 복수의 살균건조판 중 어느 하나의 살균건조판은 슬라이딩 이동된다.
상기 프레임에 적층구성되는 복수의 살균건조판 중 어느 다른 하나의 살균건조판에는 계단구조를 가지는 접시고정망이 안착되고, 그 안착되는 접시고정망을 고정하는 고정돌기가 어느 다른 하나의 살균건조판에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에 적층구성되는 복수의 살균건조판 중 어느 다른 하나의 살균건조판에는 평판구조를 가지는 탈수망이 안착되고, 그 안착되는 탈수망을 고정하는 고정돌기가 어느 다른 하나의 살균건조판에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의 하부의 양단에 형성된 도마거치구간에는 한 쌍의 보조도마거치구가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는 벽걸이공이 형성된다.
상기 각 면상발열체와 회로적으로 연결되는 콘트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면상발열체에 전원인가제어, 복사열의 온도조절제어 및 구동시간제어를 수행한다.
도 1은 종래의 살균과 탈취 기능을 수행하는 건조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용도 살균건조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구성요소 중 상층살균건조판의 요부단면도,
도 4는 도 2의 구성요소 중 중층살균건조판의 요부단면도,
도 5는 도 2의 구성요소 중 도마거치구의 요부단면도,
도 6은 도 5의 도마거치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 7은 도 2의 구성요소 중 보조살균건조부의 요부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프레임 110,120,130 : 살균건조판
111,121,131,210 : 면상발열체 112,132 : 지지부
113,133 : 고정돌기 122 : 레일안내부
123 : 손잡이 140 : 도마거치구
141 : 보조도마거치구 142 : 안내홈
150 : 벽걸이공 160a : 접시고정망
160b : 탈수망 200 : 보조살균 건조부
220 : 수저수납함 230 : 칼꽃이공
240 : 행주걸이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용도 살균건조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구성요소 중 상층살균건조판의 요부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구성요소 중 중층살균건조판의 요부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구성요소 중 도마거치구의 요부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도마거치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고, 도 7은 도 2의 구성요소 중 보조살균건조부의 요부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용도 살균건조기는 프레임(100)에 순차적으로 도마거치구(140), 하층살균건조판(110), 중층살균건조판(120),상층살균건조판(130)이 구비되고, 프레임(100)의 측부에 면상발열체(210)를 기준으로 하여 일부에는 수저수납함(220) 및 칼꽃이공(230)이 구비되고, 타부에는 행주걸이구(240)가 구비된 보조살균 건조부(200)가 부착되어진다.
여기서 상층살균건조판(130)에는 면상발열체(131)가 구비되는데, 통상적으로 면상발열체(131)란 섬유상 직포에 미세한 입자로 된 첨단소재 세라믹과 도전성 특수카본 입자를 균일하게 분산시킨 제품으로 전원의 인가에 의해 고온의 복사열 및 원적외선을 방출한다.
이와 같은 특성을 가지는 면상발열체(131)의 양면에서 복사열 및 원적외선이 방출되도록 하기 위해 면상발열체(131)의 가장자리가 끼워지는 "ㄷ"형의 끼움홈이 형성된 면상발열체 지지부(112)가 프레임(100)에 고정설치된다. 여기서 하층살균건조판(110)에 구비된 면상발열체(111)도 지지부(132)에 의해 결합되며 또한, 보조살균 건조부(200)에 구비된 면상발열체(210)도 동일한 결합구조로 고정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용도 살균건조기를 이용하여 주방용품을 살균/건조시키고자 할 경우 그 살균/건조될 주방용품들을 종류별로 구분하여 적재한다. 즉, 다양한 주방용품 중 수저류(숟갈, 젓가락, 포크, 주걱 및 국자 등)에 속하는 것은 수저수납함(220)에 수납하고, 칼과 같은 과도류는 칼꽃이공(230)에 꽃으며, 행주는 행주걸이구(240)에 걸고, 식기류는 해당 식기류의 용도에 맞는 해당 층의 살균건조판에 다음과 같이 적재한다.
형상이 평평하며 높이가 낮은 접시류는 상층살균건조판(130)에 안착된 계단구조를 가지는 접시고정망(160a)의 사이마다 세워서 적재하고, 일정한 높이를 가지는 국그릇 또는 밥그릇과 같은 그릇류는 하층살균건조판(110)에 안착된 평판구조를 가지는 탈수망(160b)에 적재한다. 여기서 접시고정망(160a)과 탈수망(160b)은 상층살균건조판(130)와 하층살균건조판(110)에 각각 형성된 고정돌기(113,133)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중층살균건조판(120)에는 젓병 또는 젓꼭지와 같은 유아용품 또는 여분의 행주 등이 적재되는데, 이는 상층살균건조판(130)과 중층살균건조판(120) 사이의 간격이 좁아 상/하면에서 방출되는 복사열 및 원적외선이 해당 대상물에 닿는 시간이 빠르기 때문에 상층살균건조판(130) 또는 하층살균건조판(110) 보다도 건조/살균 기능이 극대화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층살균건조판(130)과 중층살균건조판(120)의 사이의 간격이 좁기 때문에 중층살균건조판(120)에 적재되는 대상물을 보다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중층살균건조판(120)을 구성하는 면상발열체(131)의 하면에는 양단부를 따라 레일을 형성하고, 프레임(100)에는 면상발열체(131)의 양단을 "ㄷ"형으로 감싸되, 하면부에 레일을 안내하는 레일안내홈이 형성된 레일안내부(122)를 부착하여 슬라이딩 이동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한다. 또한, 중층살균건조판(120)의 측면부에는 손잡이(123)를 부착하여 슬라이딩 이동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프레임(100)의 하부의 양단에 형성된 도마거치구(140)는 측면이 사방으로 개구되어져 있기 때문에 도마의 길이가 길 경우에도 거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양단에 형성된 도마거치구(140) 간에는 한 쌍의 보조도마거치구(141)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부피가 작은 소형의 도마도 거치가 가능하다. 또한보조도마거치구(141)의 양단에 안내홈(142)을 형성하여 보조도마거치구(141)가 도마거치구(140)를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제작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모든 도마의 거치를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다양한 주방용품을 종류별로 적재한 상태에서 각 면상발열체(111,121,131,210)와 회로적으로 연결된 콘트롤러(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전원 인가를 제어하면 각 면상발열체(111,121,131,210)가 통전되어 복사열 및 원적외선이 방출되어 적재된 주방용품들을 살균/건조시킨다. 여기서 콘트롤러는 전원의 인가제어와 더불어 복사열의 온도조절제어 및 구동시간제어도 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지기 때문에 소망하는 온도에서 소망하는 시간동안 살균/건조를 실행할 수 있다.
살균/건조가 완료되면 적재된 주방용품의 차후정리를 수행하는데, 본 발명의 다용도 살균건조기에는 적재된 주방용품이 종류별로 구분되어 있기 때문에 차후정리가 쉽고, 차후 정리 시 칼과 같이 사용자의 신체를 훼손할 수 있는 과도류도 칼꽃이공(230)에 꽃혀 있기 때문에 안전하게 차후정리를 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00)의 상단에는 벽걸이공(150)이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의 기호 또는 주방의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다용도 살균건조기는 바닥에 비치하거나 또는 벽에 걸어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주방용품들인 식기류, 수저류, 과도류, 행주류 및 도마를 한번에 수납하여 살균/건조시킬 수 있고, 적재되는 다양한 주방용품들을 식기류, 수저류, 과도류, 행주류 및 도마 등의 종류별로 구분시켜 적재하여 살균/건조가 완료된 주방용품들의 차후정리가 쉬우며, 수납되는 주방용품들 중 과도류의 경우 칼날을 사용자의 신체가 닿을 수 없는 공간 내에 수납되어 있기 때문에 차후 정리 시 야기될 수 있는 신체의 손상을 예방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적재된 주방용품들의 전면에 균일하게 복사열 및 원적외선이 조사되게 하여 살균건조기가 대형화될 경우에도 살균/건조 효율이 떨어지지 않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변형이나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기재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9)

  1. 살균건조기에 있어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소정간격으로 적층구성되는 것으로서, 양면으로 복사열 및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면상발열체가 구비된 복수의 살균건조판과,
    상기 프레임의 측부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면상발열체를 기준으로 일측에는 수저수납함과 칼꽃이공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행주걸이구가 구비된 보조살균 건조부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의 양단에 형성된 도마거치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살균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적층구성되는 복수의 살균건조판 중 어느 하나의 살균건조판은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살균건조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적층구성되는 복수의 살균건조판 중 어느 다른 하나의 살균건조판에는 계단구조를 가지는 접시고정망이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살균건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적층구성되는 복수의 살균건조판 중 어느 다른 하나의 살균건조판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접시고정망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살균건조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적층구성되는 복수의 살균건조판 중 어느 다른 하나의 살균건조판에는 평판구조를 가지는 탈수망이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살균건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적층구성되는 복수의 살균건조판 중 어느 다른 하나의 살균건조판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탈수망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살균건조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하부의 양단에 형성된 도마거치구간에는 보조도마거치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살균건조기.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는 벽걸이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살균건조기.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면상발열체와 회로적으로 연결되는 콘트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면상발열체에 전원인가제어, 복사열의 온도조절제어 및 구동시간제어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살균건조기.
KR10-2004-0010461A 2004-01-28 2004-02-17 다용도 살균건조기 KR1004307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2292 2004-01-28
KR20040002292 2004-0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7615A KR20040027615A (ko) 2004-04-01
KR100430764B1 true KR100430764B1 (ko) 2004-05-10

Family

ID=37329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0461A KR100430764B1 (ko) 2004-01-28 2004-02-17 다용도 살균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07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6519B1 (ko) * 2013-02-01 2014-03-19 명진실업 주식회사 식기 건조대
KR101614836B1 (ko) * 2015-01-19 2016-04-29 주식회사 리노 주방용 식기 건조대
KR102033345B1 (ko) * 2018-05-24 2019-10-17 변상석 살균기능이 구비된 식기건조대
KR102249582B1 (ko) * 2019-05-14 2021-05-10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경구 투약용 주사기 살균 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7615A (ko) 2004-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8306B1 (ko) 도마 및 식칼 살균장치
CN202010291U (zh) 一种新型消毒碗柜
KR20130124094A (ko) 가정용 살균기 겸용 건조기
KR100960540B1 (ko) 주방용 칼 세척 및 살균소독기
KR20130092662A (ko) 가정용 플라즈마 멸균 건조기
KR20110064928A (ko) 살균건조기
KR100430764B1 (ko) 다용도 살균건조기
JP5153234B2 (ja) キッチン用昇降式吊戸棚
KR101337572B1 (ko) 싱크대 설치용 원적외선 및 건조장치
KR200439102Y1 (ko) 주부 습진 예방 및 노출형 살균 건조기
CN105327371A (zh) 家用消毒柜
JP5153233B2 (ja) キッチン用昇降式吊戸棚、除菌方法
KR200471377Y1 (ko) 캐비넷형 근적외선 소독장치
KR200408436Y1 (ko) 수납식 도마가 구비된 싱크대
KR200399835Y1 (ko) 칼, 도마 및 행주를 함께 건조하는 보관함
CN210493282U (zh) 一种具有智能识别功能的橱柜
KR100542153B1 (ko) 주방용구 살균 건조기
KR200299256Y1 (ko) 주방용 다기능 수납장
KR20180128153A (ko) 칼, 도마, 행주 살균 건조기
KR101025560B1 (ko) 조리도구용 세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33564A (ko) 살균 기능이 내장된 도마
KR200178709Y1 (ko) 주방용품 살균 건조기의 선반 어셈블리
KR100583764B1 (ko) 수저케이스 형상의 이동식 살균 건조기
CN212940667U (zh) 一种带刀具消毒的多功能保洁柜
CN211985333U (zh) 一种厨房烘干杀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