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1027A - 의료용 의자 - Google Patents

의료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71027A
KR20240071027A KR1020220152667A KR20220152667A KR20240071027A KR 20240071027 A KR20240071027 A KR 20240071027A KR 1020220152667 A KR1020220152667 A KR 1020220152667A KR 20220152667 A KR20220152667 A KR 20220152667A KR 20240071027 A KR20240071027 A KR 202400710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armrest
backrest
coupled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2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룡
임선택
김선호
이준성
문형진
강연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에스씨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에스씨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에스씨랩
Priority to KR1020220152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71027A/ko
Publication of KR20240071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710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47C1/024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by electric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arm-rests
    • A47C1/0303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arm-rests adjustable rectilinearly in vertical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arm-rests
    • A47C1/0308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arm-rests adjustable by rot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 A47C7/541Supports for the arms of adjust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02Chairs with means to adjust position of patient; Controls therefor
    • A61G15/08Chairs with means to adjust position of patient; Controls therefor associated with seats for the surgeon or denti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수술이나 진료 상황에 맞추어 의사에게 편안하고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시켜 줄 수 있는 의료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의료용 의자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하부가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게 설치되는 승강대와, 승강대의 상부에 결합되는 시트부와, 시트부의 후면에 위치하는 등받이유닛과, 시트부의 좌우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팔걸이유닛과, 승강대를 상하로 이동시켜 시트부의 높이를 전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승강조절부와, 등받이유닛의 기울기를 전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틸팅조절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의료용 의자{medical chair}
본 발명은 의료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수술이나 진료 상황에 맞추어 의사에게 편안하고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시켜 줄 수 있는 의료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병원에서 환자를 수술하거나 진료하는 의사가 사용하는 의자는 다양한 수술이나 진료 상황에 맞추어 또는 신체적인 특성에 맞추어 편안한 자세를 유지시켜 줄 수 있어야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79701호에는 의료용 의자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의료용 의자는 좌판의 높이조절이 가능할 뿐 그 외에는 기능이 거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의료용 의자는 수술하는 상태에 따라 높낮이를 지속적으로 조절할 필요가 있는데, 의사가 수술 중에는 손을 사용하기 어려워 높낮이를 조절하기 어렵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25331호에는 의료용 전동 의자 높이조절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의료용 전동 의자 높이조절장치에 의해 의자의 높이를 전동으로 편리하게 조절할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하지만, 여전히 종래의 의료용 의자는 등받이의 각도를 전동으로 조절하는 기능이 없을 뿐더러, 팔을 지지하는 팔걸이의 위치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의료용 의자의 경우 엉덩이를 지지하는 시트가 통상적인 의자의 시트와 차이가 없어서 장시간의 수술시 피곤함을 가중시킨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79701호: 의료용 의자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25331호: 의료용 전동 의자 높이조절장치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시트의 높낮이와 등받이의 기울기를 전동식으로 조절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발로 조작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의료용 의자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팔걸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팔걸이를 전후로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여 팔걸이의 위치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고, 장시간 수술시에도 피곤함을 줄일 수 있도록 시트의 구조를 독특하게 구현함으로써 다양한 수술이나 진료 상황에 맞추어 의사에게 편안하고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시켜 줄 수 있는 의료용 의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의료용 의자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하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게 설치되는 승강대와; 상기 승강대의 상부에 결합되는 시트부와; 상기 시트부의 후면에 위치하는 등받이유닛과; 상기 시트부의 좌우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팔걸이유닛과; 상기 승강대를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시트부의 높이를 전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승강조절부와; 상기 등받이유닛의 기울기를 전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틸팅조절부;를 구비한다.
상기 승강조절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대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 1액츄에이터와, 상기 제 1액츄에이터를 조작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는 제 1조작페달을 구비한다.
상기 틸팅조절부는 상기 시트부의 후면에 설치되며 상기 등받이유닛의 하부가 내부로 삽입된 박스부와, 상기 박스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박스부에 힌지결합된 상기 등받이유닛의 하부를 밀거나 당기기 위한 제 2액츄에이터와, 상기 제 2액츄에이터를 조작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는 제 2조작페달을 구비한다.
상기 시트부는 상기 승강대의 상부에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부에 결합되는 시트패드를 구비하고, 상기 시트패드는 전면 중앙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가랑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는 돌출부가 형성된다.
상기 등받이유닛은 상기 틸팅조절부에 의해 기울기가 조절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전면에 위치하는 등받이패드와, 상기 등받이패드의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대에 상기 등받이패드를 결합시키는 높이및각도조절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팔걸이유닛은 상기 시트부에 힌지결합되어 전후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스윙바와, 상기 스윙바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봉과, 상기 승강봉의 상부에 설치되는 암레스트와, 상기 승강봉을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암레스트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승강봉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부와, 상기 스크류부에 상하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홈과, 상기 스크류부의 상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암레스트와 결합되는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스윙바에 형성된 장착홀에 삽입되며 상기 스크류부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돌기와, 상기 바디부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장착홀을 통과하는 상기 스크류부가 나사결합되는 회전노브를 구비한다.
상기 암레스트는 상기 승강봉의 상부에 결합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 기울어지게 결합된 틸팅블록과, 상기 틸팅블록의 상부에 위치하는 슬라이딩레일과, 상기 슬라이딩레일의 회전 및 왕복이동을 허용 또는 차단시키기 위한 슬라이딩레일조절수단과, 상기 슬라이딩레일의 상부에 결합되는 팔지지패드를 구비한다.
상기 팔걸이유닛은 상기 승강봉의 상하 이동량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수단을 더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시트의 높낮이와 등받이의 기울기를 전동식으로 조절할 수 있고, 이러한 조절은 발로 페달을 밟아 조작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팔걸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팔걸이를 전후로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킬 수 있어서 팔걸이의 위치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시트의 구조를 의료용에 적합하게 변경함으로써 장시간 수술시에도 의사에게 피곤함을 줄여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시트의 높낮이, 등받이의 기울기, 팔걸이의 위치, 발판의 위치 등의 조절이 모두 가능하여 다양한 수술이나 진료 상황에 맞추어 의사에게 편안하고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시켜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의료용 의자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적용된 시트부를 발췌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 적용된 등받이유닛의 요부를 발췌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1에 적용된 팔걸이유닛의 요부를 발췌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1에 적용된 팔걸이유닛의 다른 요부를 발췌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정면도이고,
도 11은 도 1의 의료용 의자의 시트부의 작동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2는 도 1의 의료용 의자의 등받이유닛의 작동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3은 도 1의 의료용 의자의 팔걸이유닛의 작동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4는 도 1의 의료용 의자의 팔걸이유닛의 작동의 다른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의료용 의자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의료용 의자는 베이스부(1)와, 베이스부(1)의 상부에 설치되는 하우징(10)과, 하부가 하우징(10)의 내부에 삽입되게 설치되는 승강대(15)와, 승강대(15)의 상부에 결합되는 시트부(20)와, 시트부(20)의 후면에 위치하는 등받이유닛(30)과, 시트부(10)의 좌우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팔걸이유닛(50)과, 승강대(15)를 상하로 이동시켜 시트부(20)의 높이를 전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승강조절부와, 등받이유닛(30)의 기울기를 전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틸팅조절부를 구비한다.
베이스부(1)는 하우징(10)의 하부에 위치한다. 베이스부(1)는 넓게 형성되어 상부에 설치된 하우징(10)을 지지하다.
베이스부(1)의 하부에는 다수의 캐스터(3)가 장착된다. 캐스터(3)는 이동 및 조향이 가능하다. 4개의 캐스터 중 전면에 위치한 2개의 캐스터에는 바퀴의 회전을 차단하기 위한 잠금페달(4)이 설치된다. 잠금페달(4)의 일측을 밟아서 누르면 캐스터(3)의 바퀴의 회전이 차단되고, 잠금페달(4)의 타측을 밟아서 누르면 차단이 해제된다.
베이스부(1)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시트부(20)에 앉은 상태에서 발을 올려둘 수 있도록 발판(5)이 마련된다.
발판(5)은 베이스부(1)의 하부에 결합된 한쌍의 슬라이딩바들(6)과, 슬라이딩바들(6)의 전면에 결합되어 발을 올려둘 수 있는 발지지대(7)를 구비한다.
슬라이딩바(6)는 전후로 길게 형성된다. 베이스부(1)의 하부에 슬라이딩바(6)가 통과하는 가이드링(9)이 설치된다. 슬라이딩바(6)는 가이드링(9)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후로 슬라이딩이동 가능하다.
사용자는 발지지대(7)를 전방으로 당기거나 후방으로 밀어 발지지대(7)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발지지대(7)의 위치 조절이 용이하도록 발지지대(7)의 중앙부위에는 발로 쉽게 밀거나 당길 수 있도록 조절판(8)이 마련된다.
하우징(15)은 베이스부(1)의 상부에서 일정 높이로 형성된다. 하우징(15)은 상부가 개방되어 있어서 승강대(15)가 상부를 통해 하우징(10)의 내부로 삽입된다.
하우징(15)의 내부에는 배터리가 장착될 수 있다. 배터리는 전동식으로 작동하는 승강조절부와 틸팅조절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하우징(15)의 후면에는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단자가 설치됨은 물론이다.
승강대(15)는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승강대(15)는 단면이 사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승강대(15)는 하부가 하우징(10)의 내부로 삽입되게 설치된다. 승강대(15)의 상부는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된다. 승강대(15)는 승강조절부에 의해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다.
승강조절부는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승강대(15)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 1액츄에이터와, 제 1액츄에이터를 조작하기 위해 베이스부(1)에 설치되는 제 1조작페달(27)을 구비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 1액츄에이터로 실린더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 1액츄에이터로 모터가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모터의 회전력을 승강대의 상하 이동으로 전환하기 위해 공지의 다양한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가령, 승강대의 하부에 나사결합되는 리드스크류를 모터에 의해 회전시킴으로써 승강대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승강구조는 통상적이다.
이 외에도 승강대(15)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장치라면 제 1액츄에이터로 다양한 공지의 장치들이 이용될 수 있다.
제 1조작페달(27)은 베이스부(1)의 전면에 위치한다. 베이스부(1)에 설치된 장착브라켓(16)에 제 1조작페달(27)이 설치된다. 제 1조작페달(27)은 지지핀(28)에 힌지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제 1조작페달(27)은 지지핀(28)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제 1조작페달(27)의 일측을 발로 밟으면 제 1액츄에이터가 승강대(15)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작동되고, 제 1조작페달(27)의 타측을 발로 밟으면 제 1액츄에이터가 승강대(15)를 하강시키는 방향으로 작동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발로 제 1조작페달(27)을 밟아 도 11과 같이 승강대(15)를 자유롭게 상하로 이동시켜 시트부(2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시트부(20)는 승강대(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21)와, 지지플레이트(21)의 상부에 결합되는 시트패드(23)를 구비한다.
지지플레이트(21)는 강도가 우수한 금속판으로 형성된다. 지지플레이트(21)는 승강대(15)의 상부에 고정 설치된다.
지지플레이트(21)의 상부에 시트패드(23)가 결합된다. 시트패드(23)는 내부에 스펀지, 발포수지 등과 같은 쿠션부재가 채워져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된 시트패드(23)는 도 4에 잘 나타난 바와 같이 형태가 톡특하다. 시트패드(23)는 전면에 돌출부(24)가 형성된다. 돌출부(24)는 시트패드(23)의 전면 중앙에서 전방으로 돌출된다. 사용자가 시트패드(23)에 앉게되면 돌출부(24)는 사용자의 가랑이 사이에 위치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다리 허벅지는 돌출부(24)의 좌우 양측의 오목한 부위에 위치하여 장시간 의자에 앉아 있더라도 피곤함을 줄여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다.
등받이유닛(30)은 시트부(20)의 후면에 위치한다.
등받이유닛(30)은 틸팅조절부에 의해 기울기가 조절되는 지지대(31)와, 지지대(31)의 전면에 위치하는 등받이패드(33)와, 등받이패드(33)의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지지대(31)에 등받이패드(33)를 결합시키는 높이및각도조절수단을 구비한다.
지지대(31)는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지지대(31)의 하부는 후술할 박스부(13)의 내부로 삽입된다. 지지대(31)의 하부에는 삼각형 모양으로 이루어진 삼각부(34)가 형성된다.
지지대(31)에는 장공홀(32)이 형성된다. 장공홀(32)은 지지대(31)에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등받이패드(33)는 내부에 스펀지, 발포수지 등과 같은 쿠션부재가 채워져 있다. 등받이패드(33)는 높이및각도조절수단에 의해 지지대(31)에 결합되어 있다. 높이및각도조절수단을 통해 등받이패드는 높이와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다.
높이및각도조절수단은 등받이패드(33)의 후면에 설치되는 힌지브라켓(35)과, 힌지브라켓(35)과 힌지결합되는 지지블록(37)과, 지지블록(37)에 나사결합되는 조절볼트(39)와, 조절볼트(39)에 설치되어 지지대(31)의 후면에 접촉하는 가압플레이트(41)와, 조절볼트(39)를 회전시키기 위한 레버(42)와, 지지대(31)에 결합되어 등받이패드(33)의 일측을 밀거나 당겨서 지지대(31)에 대한 등받이패드(33)의 각도를 변화시키기 위한 각도조절부를 구비한다.
힌지브라켓(35)은 등받이패드(33)의 후면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지지블록(37)은 힌지브라켓(35)의 내측에 위치한다. 지지블록(37)의 좌우 양측은 나사(36)에 의해 힌지브라켓(35)에 힌지결합된다. 지지블록(37)의 후면에는 나사홈(49)이 형성된다.
나사홈(45)에는 조절볼트(39)가 나사결합된다. 조절볼트(39)는 지지대(31)에 형성된 장공홀(32)을 통과하여 지지블록(37)의 나사홈(38)에 결합된다.
가압플레이트(41)는 조절볼트(39)에 설치된다. 가압플레이트(41)는 원판형으로 이루어진다.
레버(42)는 조절볼트(39)의 단부에 설치된다. 레버(42)를 회전시키면 조절볼트(39)가 회전하면서 나사홈(38)에 체결된다. 이때 가압플레이트(41)와 지지블록(37)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가압플레이트(41)가 지지대(31)를 강하게 조이면서 등받이패드(33)가 고정된다.
그리고 레버(42)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가압플레이트(41)와 지지블록(37)의 간격이 넓어지면서 가압플레이트(41)가 지지대(31)로부터 분리된다. 이에 따라 등받이패드(33)를 상하로 이동시켜 등받이패드(33)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각도조절부는 지지대(31)에 결합되어 등받이패드(33)의 일측을 밀거나 당겨서 지지대(31)에 대한 등받이패드(33)의 각도를 변화시킨다.
각도조절부는 지지대(31)에 나사결합되는 푸시볼트(45)와, 푸시볼트(45)의 단부에 설치되어 등받이패드(33)의 후면에 접촉되는 접촉부재(47)를 구비한다.
지지대(31)에는 푸시볼트(45)가 나사결합되는 체결홀(33)이 형성된다. 체결홀(33)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다수가 형성될 수 있다. 푸시볼트(45)는 체결홀(33)에 나사결합된다. 푸시볼트(45)의 일측단부에는 노브(46)가 마련된다.
접촉부재(47)는 푸시볼트(45)의 타측 단부에 결합된다. 접촉부재(47)는 등받이패드(33)의 후면에 접촉된다.
노브(46)를 회전시켜 푸시볼트(45)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등받이패드(33)의 하부가 전방으로 밀리면서 등받이패드(33)의 각도가 조절된다. 그리고 노브(46)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푸시볼트(45)가 후방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등받이패드(33)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높이및각도조절수단에 의해 등받이패드(33)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음과 동시에 등받이패드(33)의 높이까지 자유롭게 조절이 가능하다.
틸팅조절부는 등받이유닛(30) 전체의 기울기를 전동으로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틸팅조절부는 시트부(20)의 후면에 설치되며 등받이유닛(30)의 하부가 내부로 삽입된 박스부(13)와, 박스부(13)의 내부에 설치되어 박스부(13)에 힌지결합된 등받이유닛(30)의 하부를 밀거나 당기기 위한 제 2액츄에이터와, 제 2액츄에이터를 조작하기 위해 베이스부(1)에 설치되는 제 2조작페달(29)을 구비한다.
박스부(13)는 시트부(20)의 후면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박스부(13)의 상부에는 개구가 형성되고, 개구를 통해 지지대(31)의 하부가 박스부(13)의 내부로 삽입된다.
박스부(13)의 내부에 제 2액츄에이터가 설치된다. 제 2액츄에이터는 지지대(31)의 하부를 밀거나 당겨 지지대(31)의 기울기를 조절한다. 지지대(31)의 하부에 형성된 삼각부(34)가 지지핀(34a)에 의해 박스부(13)의 상부에 힌지결합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 2액츄에이터로 실린더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 2액츄에이터로 모터가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모터의 회전력을 전후 왕복이동으로 전환하기 위한 공지의 다양한 구조가 추가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제 1액츄에이터로 지지대(31)의 하부를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장치라면 다양한 공지의 장치들이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 2조작페달(29)은 베이스부(1)의 전면에 위치한다. 베이스부(1)에 설치된 장착브라켓(26)에 제 2조작페달(29)이 설치된다. 제 2조작페달(29)은 제 1조작페달(27)처럼 지지핀에 힌지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제 2조작페달(29)은 지지핀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제 2조작페달의(29) 일측을 발로 밟으면 제 2액츄에이터가 지지대(31)의 하부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작동되고, 제 2조작페달(29)의 타측을 발로 밟으면 제 2액츄에이터가 지지대(31)의 하부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작동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발로 제 2조작페달(29)을 밟아 도 12와 같이 등받이유닛(30)의 기울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팔걸이유닛(50)은 시트부(20)의 좌우 양측에 각각 위치한다.
팔걸이유닛(50)은 시트부(20)에 힌지결합되어 전후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스윙바(51)와, 스윙바(51)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봉과, 승강봉의 상부에 설치되는 암레스트(70)와, 승강봉을 상하로 이동시켜 암레스트(7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수단을 구비한다.
스윙바(51)는 시트부(20)의 좌우 양측에 각각 마련된다. 스윙바(51)는 시트부(20)의 하부에 힌지결합된다. 이러한 스윙바(51)는 힌지결합 부위를 중심으로 하여 전후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따라서 2개의 스윙바(51)는 벌어지는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4와 같이 암레스트(70)의 위치를 크게 변화시킬 수 있다. 즉, 암레스트(70)를 시트부(20)의 좌우 양측에 위치시키거나, 시트부(20)의 전면에 위치시킬 수 있다.
스윙바(51)에는 장착홀(52)이 형성된다. 장착홀(52)은 상하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장착홀(52)은 상부는 직경이 크게, 하부는 작게 형성된다.
승강봉은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수직으로 설치된다. 승강봉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부(55)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연장부(57)로 이루어진다.
스크류부(55)는 장착홀(52)을 통과한다. 스크류부(55)는 봉 형상으로 길게 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스크류부(55)에는 가이드홈(56)이 형성되다. 가이드홈(56)은 스크류부(55)에 상하로 길게 직선으로 형성된다.
연장부(57)는 스크류부(55)의 상부에 결합되어 일정길이 연장된다. 연장부(57)는 봉 또는 파이프 구조일 수 있다. 연장부(57)의 외경은 스크류부(55)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연장부(57)의 상부는 암레스트(70)와 결합된다.
상술한 승강봉은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스윙바(51)에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높이조절수단은 스윙바(51)에 형성된 장착홀(52)에 삽입되며 스크류부(55)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바디부(61)와, 바디부(61)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가이드홈(56)에 삽입되는 돌기(63)와, 바디부(61)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장착홀(52)을 통과하는 스크류부(55)가 나사결합되는 회전노브(63)를 구비한다.
바디부(52)는 장착홀(52)에 삽입된다. 바디부(52)는 중앙에 원형의 관통홀이 형성된다. 관통홀은 상하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관통홀의 직경은 스크류부(55)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바디부(61)를 장착홀(52)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바디부고정볼트(65)가 마련된다. 바디부고정볼트(65)는 스윙바(51)에 형성된 나사홀(53)에 나사결합된다. 바디부고정볼트(65)를 회전시키면 바디부고정볼트(65)가 장착홀(52)의 내측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바디부(61)를 강하게 조여 바디부(61)가 장착홀(52)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바디부고정볼트(65)를 풀면 바디부(61)를 장착홀(52)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팔걸이유닛(50) 전체가 스윙바(5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팔걸이유닛(50)이 필요없는 상황에서는 팔걸이유닛을 탈거하여 의자를 사용할 수 있다.
돌기(62)는 바디부(61)의 내주면에 형성된다. 돌기(62)는 스크류부(55)의 가이드홈(56)에 삽입된다.
회전노브(63)는 바디부(61)의 상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를 위해 회전노브(63)와 바디부 사이에 슬립링(69)이 설치될 수 있다.
회전노브(63)의 중앙에는 원형의 나사홀이 형성된다. 나사홀은 회전노브의 상하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스크류부(55)는 나사홀에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회전노브(63)를 회전시키면 스크류부(55)는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다. 이때 가이드홈(56)에 돌기(62)가 끼워져 있는 상태이므로 회전노브(63)의 회전시 스크류부(55)는 회전을 할 수 없다.
이와 같이 회전노브(63)를 회전시켜 승강봉을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암레스트(70)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승강봉을 특정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 승강봉고정볼트(67)가 더 구비된다. 승강봉고정볼트(67)는 스윙바(51)에 형성된 나사홀(54)에 나사결합된다. 승강봉고정볼트(67)를 조이면 승강봉고정볼트(67)의 단부는 장착홀(52)의 내측 하부로 돌출되면서 스크류부(55)에 밀착되어 승강봉의 이동을 차단시킬 수 있다.
한편, 승강봉의 상하 이동시 승강봉의 상하 이동량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측정수단으로서 승강봉을 감싸는 케이싱(65)과, 승강봉(65)에 일정간격으로 눈금(67)이 표시된 눈금부를 구비한다.
케이싱(65)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진다. 케이싱(65)의 하부는 회전노브(63)의 상부에 안착된다. 회전노브(63)의 상부에는 케이싱(65)의 하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마련된다.
눈금부는 연장부(57)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눈금에는 숫자가 표시된다.
회전노브(63)를 회전시켜 승강봉이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 케이싱(55)의 상단부와 일치하는 눈금을 보고 승강봉의 이동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승강봉의 높이를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암레스트(70)는 승강봉의 연장부(65)의 상부에 결합된다.
암레스트(70)는 연장부(65)의 상부에 결합되는 헤드부(71)와, 헤드부(71)에 기울어지게 결합된 틸팅블록(73)과, 틸팅블록(73)의 상부에 위치하는 슬라이딩레일(75)과, 슬라이딩레일(75)의 회전 및 왕복이동을 허용 또는 차단시키기 위한 슬라이딩레일조절수단과, 슬라이딩레일(75)의 상부에 결합되는 팔지지패드(79)를 구비한다.
헤드부(71)는 연장부(65)의 상부에 결합된다. 헤드부(71)는 상부가 ㄴ자 형태로 이루어진다.
틸팅블록(73)은 헤드부(71)의 후면에 결합된다. 틸팅블록(73)은 ㄱ자 형태로 이루어진다. 틸팅블록(73)은 볼트(72)에 의해 헤드부(71)에 결합된다. 틸팅블록(73)은 시트부(20)를 향해 기울어지게 결합된다.
슬라이딩레일(75)은 틸팅블록(73)의 상부에 위치한다. 슬라이딩레일(75)은 전후로 길게 형성된다. 슬라이딩레일은 통상적인 C챤넬(c-channel) 구조이다.
슬라이딩레일(75)은 틸팅블록(73)의 상부에 결합되므로, 틸팅블록(73)과 같이 기울어져 있다.
슬라이딩레일조절수단은 슬라이딩레일(75)의 회전 및 왕복이동을 허용 또는 차단시킨다.
슬라이딩레일조절수단은 슬라이딩레일(75)의 내측에 설치되는 가압블록(81)과, 가압블록(81)과 틸팅블록(73)을 결합시키는 결합볼트(83)를 구비한다.
가압블록(81)은 슬라이딩레일(75)을 따라서 슬라이딩이동이 가능하다.
결합볼트(83)는 틸팅블록(73)을 관통하여 가압블록(81)에 나사결합된다. 이를 위해 틸팅블록(73)에는 원형의 관통홀(74)이 형성되고, 가압블록(81)의 하부에는 나사홈(미도시)이 형성된다.
결합볼트(83)를 조이면 틸팅블록(73)과 가압블록(81)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가압블록(81)이 슬라이딩레일(75)을 강하게 압박하고, 이에 따라 슬라이딩레일(75)의 이동이 차단된다. 그리고 결합볼트(83)를 풀면 가압블록(81)의 가압력이 줄어드므로 손으로 슬라이딩레일(75)을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레일(75)을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360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슬라이딩레일(75)을 움직여 도 13과 같이 팔지지패드(79)의 위치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팔지지패드(79)는 슬라이딩레일(75)의 상부에 설치된다. 슬라이딩레일(75)이 기울어져 있으므로 도 10에 잘 나타난 바와 같이 팔지지패드(79) 역시 시트부(20)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다. 팔지지패드(79)가 기울어진 각도(θ)는 수평면에 대하여 약 2 내지 5도가 적절하다. 이와 같이 팔지지패드(79)가 살짝 기울어져 있을 경우 수술도구를 쥐고 있는 양 팔이 훨씬 더 편안한 자세로 팔지지패드(79)에 지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시트의 높낮이, 등받이의 기울기, 팔걸이의 위치, 발판의 위치 등의 조절이 모두 가능하여 다양한 수술이나 진료 상황에 맞추어 의사에게 편안하고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시켜 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베이스부 10: 하우징
15: 승강대 20: 시트부
30: 등받이유닛

Claims (9)

  1.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하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게 설치되는 승강대와;
    상기 승강대의 상부에 결합되는 시트부와;
    상기 시트부의 후면에 위치하는 등받이유닛과;
    상기 시트부의 좌우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팔걸이유닛과;
    상기 승강대를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시트부의 높이를 전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승강조절부와;
    상기 등받이유닛의 기울기를 전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틸팅조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의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조절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대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 1액츄에이터와, 상기 제 1액츄에이터를 조작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는 제 1조작페달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의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조절부는 상기 시트부의 후면에 설치되며 상기 등받이유닛의 하부가 내부로 삽입된 박스부와, 상기 박스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박스부에 힌지결합된 상기 등받이유닛의 하부를 밀거나 당기기 위한 제 2액츄에이터와, 상기 제 2액츄에이터를 조작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는 제 2조작페달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의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는 상기 승강대의 상부에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부에 결합되는 시트패드를 구비하고,
    상기 시트패드는 전면 중앙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가랑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는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의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유닛은 상기 틸팅조절부에 의해 기울기가 조절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전면에 위치하는 등받이패드와, 상기 등받이패드의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대에 상기 등받이패드를 결합시키는 높이및각도조절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의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유닛은 상기 시트부에 힌지결합되어 전후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스윙바와, 상기 스윙바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봉과, 상기 승강봉의 상부에 설치되는 암레스트와, 상기 승강봉을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암레스트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의자.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봉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부와, 상기 스크류부에 상하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홈과, 상기 스크류부의 상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암레스트와 결합되는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스윙바에 형성된 장착홀에 삽입되며 상기 스크류부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돌기와, 상기 바디부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장착홀을 통과하는 상기 스크류부가 나사결합되는 회전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의자.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암레스트는 상기 승강봉의 상부에 결합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 기울어지게 결합된 틸팅블록과, 상기 틸팅블록의 상부에 위치하는 슬라이딩레일과, 상기 슬라이딩레일의 회전 및 왕복이동을 허용 또는 차단시키기 위한 슬라이딩레일조절수단과, 상기 슬라이딩레일의 상부에 결합되는 팔지지패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의자.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유닛은 상기 승강봉의 상하 이동량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의자.
KR1020220152667A 2022-11-15 2022-11-15 의료용 의자 KR202400710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2667A KR20240071027A (ko) 2022-11-15 2022-11-15 의료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2667A KR20240071027A (ko) 2022-11-15 2022-11-15 의료용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1027A true KR20240071027A (ko) 2024-05-22

Family

ID=91329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2667A KR20240071027A (ko) 2022-11-15 2022-11-15 의료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7102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5331A (ko) 2013-08-29 2015-03-10 (주)코젤 의료용 전동 의자 높이 조절 장치
KR101879701B1 (ko) 2017-04-04 2018-07-19 강혜종 의료용 의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5331A (ko) 2013-08-29 2015-03-10 (주)코젤 의료용 전동 의자 높이 조절 장치
KR101879701B1 (ko) 2017-04-04 2018-07-19 강혜종 의료용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0716A (en) Surgeon's chair
US6013882A (en) Dental patient's chair
US3596982A (en) Patient{3 s chair
US4858260A (en) Patient transport apparatus including Trendelenburg mechanism and guard rail
US4572573A (en) Dental chair operating apparatus
CA2664911C (en) Abdominal support swivel chair
US5098160A (en) Ergonomic seating system apparatus
US20070216205A1 (en) Service chair and rotatable operators seat
WO2006079256A1 (fr) Chaise avec réglages dorsal et lombaire
US4949410A (en) Guard rail for patient transport apparatus hospital beds and the like
US7585019B2 (en) Seat reclining mechanism for power wheelchair
WO2001052701A1 (en) Computer work station
US11707136B2 (en) Stools and chairs with translatable armrests
KR20240071027A (ko) 의료용 의자
KR101527459B1 (ko) 팔걸이부에 틸팅부가 구비된 의자
US3948559A (en) Adjustable chair
CN209154256U (zh) 多功能转移椅
JPH0249656A (ja) 医療用椅子
WO2005041721A2 (en) Synergistic body positioning and dynamic support system
JP2002336311A (ja) 施術用椅子
JP4170829B2 (ja) 椅子における背凭れ装置
KR20090002049U (ko) 전동 승강 의자
JP3670125B2 (ja) 座位運動装置
KR200180804Y1 (ko) 스텐드형 의자
JP2004041493A (ja) 車椅子のアームレス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