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0876A - 사용자 정보 기반의 복약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 정보 기반의 복약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70876A
KR20240070876A KR1020220152323A KR20220152323A KR20240070876A KR 20240070876 A KR20240070876 A KR 20240070876A KR 1020220152323 A KR1020220152323 A KR 1020220152323A KR 20220152323 A KR20220152323 A KR 20220152323A KR 20240070876 A KR20240070876 A KR 202400708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agement device
user information
medicine box
preset
medication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2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섭
고병욱
이태우
이안국
김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오테드
주식회사 제로웨이브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오테드, 주식회사 제로웨이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오테드
Publication of KR20240070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7087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76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3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pills or tab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81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orking on a schedule bas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003Dolls specially adapted for a particular function not connected with d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B65G47/1407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 B65G47/144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by means of movement of the bottom or a part of the wall of the container
    • B65G47/1457Rotating movement in the plane of the rotating par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16H20/1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delivered from dispens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70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200/00Computerized interactive toys, e.g. d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7Tablets, capsules, pills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된 요일에 대해 기설정된 약상자가 회전되고, 입력된 시간에 대해 기설정된 약상자가 배출되는 사용자 정보 기반의 복약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요일에 대해 기설정된 약상자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결합되어, 360도 회전되고, 하부면에 연장 설치되어, 기설정된 요일과, 시간이 입력된 센서바를 구비하는 복수개의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과 회전판 사이에 위치되는 레일에 결합되고, 기설정된 시간에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레일을 따라 전 후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부에는 상기 약상자가 설치되는 운반부 및 상기 구동부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에 구동에 따라 회전되되, 상기 센서바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 기반의 복약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용자 정보 기반의 복약 관리 장치{Medication management device based on user information}
본 발명은 사용자 스스로 복약 관리를 할 수 있도록 복약 요일, 시간 등의 설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복용 시간에 맞춰 약이 자동 배출될 수 있는 사용자 정보 기반의 복약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 치료시 치료수단으로서 약을 제때 복용하여 약제의 지속성을 유지하는 것은 치료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일이다. 특히, 암, 류마티스 관절염, 당뇨병, 갑상선 장애, 만성 간염, 만성 신부전증, 위십이지장궤양, 고혈압, 고지혈증 등 만성질환자의 경우 중간에 자주 약 복용을 거르거나 중복하여 약을 복용하게 되면 점점 병세가 악화되어 위험하게 된다.
물론 약국에서 약 조제시 날짜에 따른 구분과 복용 시간 및 횟수를 약봉지에 표시하여 제공하고 있지만, 환자가 기억에만 의존하여 약을 복용하는 경우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없다.
특히, 노년층에서의 만성질환은 적절히 약을 복용하는 복용 순응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한데, 독거 노인이나 노부부만 사는 가족형태가 늘어남에 따라 노인들이 가족의 도움 없이 혼자 약물을 복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약물 오남용 예방 및 관리가 절실히 요구되는 상황이다.
또한, 노인성 치매질환이 늘어남에 따라 약을 복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이중 복용하거나 복용하지 않아 위험에 처하는 상황 역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제품 혹은 기술이 소개되기에 이르렀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84541호에는 '알림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약통'이 게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스마트 약통에는 복용시간을 알리도록 알림 기능이 지원되며, 모바일 기기와 연동하도록 하기 위해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있다.
또 하나의 예시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99921호에 게시된 '복용 시간 알람 기능을 구비한 약통'이 있다. 이러한 약통 역시 복용 시간을 환자에게 음성으로 알려 복용의 편의성과 정시성을 보장하는 한편, 조명 기능을 통해 시각적으로 즉시 복용해야 하는 약이 보관된 수납함을 인지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러나 예시한 약통들은 약의 복용시간에 맞춰 알림 기능을 제공하는 편의성을 제공하기는 하지만, LED가 장착된 단순 약통의 수준으로 매 설정된 시간마다 알리거나, 모바일 앱으로 시간 설정, 복용여부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는 노인환자들은 설정이 불가하여 보다 사용이 편리한 스마트 약통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상황이다.
특허문헌1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84541호 특허문헌2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99921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 스스로 복약 관리를 할 수 있도록 복약 요일, 시간 등의 설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복용 시간에 맞춰 약이 자동 배출될 수 있는 사용자 정보 기반의 복약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입력된 요일에 대해 기설정된 약상자가 회전되고, 입력된 시간에 대해 기설정된 약상자가 배출되는 사용자 정보 기반의 복약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요일에 대해 기설정된 약상자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결합되어, 360도 회전되고, 하부면에 연장 설치되어, 기설정된 요일과, 시간이 입력된 센서바를 구비하는 복수개의 회전판; 상기 회전판과 회전판 사이에 위치되는 레일에 결합되고, 기설정된 시간에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레일을 따라 전 후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부에는 상기 약상자가 설치되는 운반부; 및 상기 구동부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에 구동에 따라 회전되되, 상기 센서바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판은, 상기 운반부를 전 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스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스틱부의 일측은 자성체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운반부는, 상기 레일에 끼움 결합되는 돌출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결합부는, 일측에 자성체가 설치되어, 상기 이동스틱부의 자성체에 의해 상기 약상자의 반입이 유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 스스로 복약 관리를 할 수 있도록 복약 시간 등의 설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복용 시간에 맞춰 약이 자동 배출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즉, 약의 복용시간에 맞춰 알람기능과 약 자동 배출기능이 가능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약통에 보관 혹은 수납된 약이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기반의 복약 관리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기반의 복약 관리 장치의 구동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기반의 복약 관리 장치의 회전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기반의 복약 관리 장치의 운반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기반의 복약 관리 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기반의 복약 관리 장치의 구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기반의 복약 관리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기반의 복약 관리 장치의 구동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기반의 복약 관리 장치의 회전판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기반의 복약 관리 장치의 운반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입력된 요일에 대해 기설정된 약상자(301)가 회전되고, 입력된 시간에 대해 기설정된 약상자(301)가 배출되는 사용자 정보 기반의 복약 관리 장치(10)는, 구동부(100)와, 회전판(200)과, 운반부(300) 및 센서부(400)로 구성된다.
또한 사용자 정보 기반의 복약 관리 장치는, 일주일 단위로 관리 되도록 7개로 약상자(301)가 구획되어, 일주일의 각 요일마다 복약 관리할 수 있다.
이는 7개의 약상자(301)가 독립적으로 전 후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제작된다.
구동부(100)는 입력된 요일에 대해 기설정된 약상자(301)를 회전시킨다. 이를 위해 구동부(100)는 중심축(110)을 360도 회전시키는 모터(120)를 구비할 수 있다.
회전판(200)은 복수개로, 구동부(100)의 중심축(110)에 결합되어, 360도 회전되고, 하부면에 연장 설치되어, 기설정된 요일과, 시간이 입력된 센서바(220)를 구비한다.
회전판(200)은 운반부(300)를 전 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스틱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스틱부(230)의 일측은 자성체가 결합될 수 있다.
운반부(300)는 회전판(200)과 회전판(200) 사이에 위치되는 레일(210)에 결합되고, 기설정된 시간에 구동부(100)에 의해 레일(210)을 따라 전 후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부에는 약상자(301)가 설치된다.
운반부(300)는 레일(210)에 끼움 결합되는 돌출결합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돌출결합부(310)는 일측에 자성체가 설치되어, 이동스틱부(230)의 자성체에 의해 약상자(301)의 반입이 유도될 수 있다.
또한 돌출결합부(310)의 일측에 설치된 자성체는 운반부(300)와 탈착이 편리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센서부(400)는 구동부(100) 일측에 결합되어, 구동부(100)에 구동에 따라 회전되되, 센서바(220)를 감지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기반의 복약 관리 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 및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기반의 복약 관리 장치의 구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9는, 회전판(200)에 결합된 운반부(300)는 이동스틱부(230)의 전 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구동부(100)의 모터(120)가 반시계방향으로 동작하면 운반부(300)가 회전판(200)의 레일(210)에서 전진(배출)되고, 모터(120)가 시계방향으로 동작하면 후진(반입)될 수 있다.
더불어, 기설정된 요일에 대해, 센서바(220)에 센서부(400)가 감지되었을 때, 모터(120)가 정지된다.
다음으로, 기설정된 시간에 대해, 센서바(220)가 복수개로, 다른 센서바(220)에 감지될 때, 모타가 정지하게 되고, 이때 약상부가 운반부(300)에서 배출되어 사용자가 약을 꺼낼 수 있다.
더불어, 회전판(200)은 원점상태와 회전상태가 있다.
회전판(200)이 360도 회전하기 때문에 약상자(301)가 어떤 요일의 약상자(301)인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원점이 필요로 하다.
이를 위해, 회전판(200) 일측에는 원점센서바(221)가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시되지 않았지만, 구동부(100)를 작동시키는 컨트롤 박스가 구비되어, 컨트롤 박스에 의해 전원을 켜거나 리셋을 하면, 초기에는 원점센서바(221)가 센서부(400)에 감지될 때까지 회전판(200)이 회전되고, 센서부(400)에 원점센서바(221)가 감지 시, 회전판(200)은 멈춘다.
즉, 원점이 설정된 후, 원하는 요일로 셋팅되기 위해서는 회전판(200)이 회전되고, 각 센서바(221)를 통과하면 기설정된 요일에 멈추고 기설정된 시간까지 회전판(200)은 대기 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회전판(200)이 360도 회전을 위해서, 운반부(300)와 이동스틱부(230)가 완전히 분리가 되어야 한다. 이로 인해 센서바(221)의 다른 센서바(221)가 센서부(400)에 감지될 때 모터(120)가 정지하여 회전판(200)이 회전될 때, 회전이 원활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스스로 복약 관리를 할 수 있도록 복약 시간 등의 설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복용 시간에 맞춰 약이 자동 배출될 수 있다.
즉, 약의 복용시간에 맞춰 알람기능과 약 자동 배출기능이 가능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약통에 보관 혹은 수납된 약이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사용자 정보 기반의 복약 관리 장치
100 : 구동부
110 : 중심축
120 : 모터
200 : 회전판
210 : 레일
220 : 센서바
221 : 원점센서바
230 : 이동스틱부
300 : 운반부
301 : 약상자
310 : 돌출결합부
400 : 센서부

Claims (3)

  1. 입력된 요일에 대해 기설정된 약상자가 회전되고, 입력된 시간에 대해 기설정된 약상자가 배출되는 사용자 정보 기반의 복약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요일에 대해 기설정된 약상자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결합되어, 360도 회전되고, 하부면에 연장 설치되어, 기설정된 요일과, 시간이 입력된 센서바를 구비하는 복수개의 회전판;
    상기 회전판과 회전판 사이에 위치되는 레일에 결합되고, 기설정된 시간에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레일을 따라 전 후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부에는 상기 약상자가 설치되는 운반부; 및
    상기 구동부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에 구동에 따라 회전되되, 상기 센서바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 기반의 복약 관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상기 운반부를 전 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스틱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스틱부의 일측은 자성체가 결합되는 것인 사용자 정보 기반의 복약 관리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운반부는,
    상기 레일에 끼움 결합되는 돌출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결합부는,
    일측에 자성체가 설치되어, 상기 이동스틱부의 자성체에 의해 상기 약상자의 반입이 유도되는 것인 사용자 정보 기반의 복약 관리 장치.
KR1020220152323A 2022-11-15 사용자 정보 기반의 복약 관리 장치 KR20240070876A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0876A true KR20240070876A (ko) 2024-05-22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1022B2 (en) Storage containers for pharmaceutical dispenser
EP3429547B1 (en) Automated medication adherence system
US10032005B2 (en) Methods and systems to secure control and enhance medication adherence
CA3031195C (en) System and method for loading a dispensing cassette useful in a system for dispensing pre-packaged pharmaceuticals
US7178688B2 (en) Portable medication dispenser
JP5200062B2 (ja) 小分け装置
US10022304B2 (en) As-needed, time controlled medication dispenser and methods
KR20230135693A (ko) 약품 불출 장치, 약품 불출 방법, 약품 불출 프로그램, 기록 매체
US9073692B2 (en) Medicine issuing device and container identifying device
US20190228852A1 (en) Automated Medication Adherence System
CN102114961B (zh) 旋转式自动上药机
JP2003010288A (ja) 薬剤服用管理装置
JP2022172375A (ja) 薬剤手撒き装置、薬剤手撒き装置の支援プログラム、および支援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240070876A (ko) 사용자 정보 기반의 복약 관리 장치
JP2006206090A (ja) 薬剤供給装置
WO2018057565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liably dispensing pre-packaged pharmaceuticals
JP7469693B2 (ja) 調剤支援システム、調剤支援方法、及び調剤支援プログラム
US11357705B2 (en) Portable, reusable dispensing assembly having multiple operating modes
US11485568B2 (en) Portable, reusable medication dispensing assembly which has communication capability to improve medication adherence
JP2006204486A (ja) 薬剤供給装置
EP2757537A1 (en) Medication dispenser
JP2006204495A (ja) 薬剤供給装置
JP4459073B2 (ja) 薬剤供給装置
JP2006204487A (ja) 薬剤供給装置
JP6418045B2 (ja) Ptp包装シート払出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