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0645A - 판스프링 장치 - Google Patents

판스프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70645A
KR20240070645A KR1020247014102A KR20247014102A KR20240070645A KR 20240070645 A KR20240070645 A KR 20240070645A KR 1020247014102 A KR1020247014102 A KR 1020247014102A KR 20247014102 A KR20247014102 A KR 20247014102A KR 20240070645 A KR20240070645 A KR 20240070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f spring
connecting piece
spring body
longitudinal direction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14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스케 다나카
다카노리 하야시
신지 이이노
다카미치 사노
Original Assignee
니혼 하츠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하츠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하츠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70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7064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 B60G11/04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 B60G11/1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characterised b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the spring to axle or sprung part of the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18Leaf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18Leaf springs
    • F16F1/22Leaf springs with means for modifying the spring characterist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6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 F16F15/073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using only leaf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1Leaf spring
    • B60G2202/112Leaf spring longitudinally arran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1Mounting of leaf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40Constructional features of dampers and/or springs
    • B60G2206/42Springs
    • B60G2206/428Leaf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이 판스프링 장치(1)은, 판스프링 본체(11)와, 제1 눈부(12)와, 제2 눈부(13)와, 연결편(14)을 구비하고, 제1 눈부는, 차체(B1)에, 판스프링 본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축선(O1)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눈부는, 연결편에,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축선(O2)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판스프링 본체에서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 영역이 차축을 지지하고, 판스프링 본체는, 위쪽을 향하여 휨 변형 가능하게 설치되고, 판스프링 본체가 위쪽을 향하여 휨 변형하는 과정에 있어서, 판스프링 본체에서의 제2 눈부와의 접속 부분(11a)이, 당초에는, 길이 방향으로 변위하는 방향(x1)으로, 접속 부분이, 연결편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가압되고 있다.

Description

판스프링 장치
본 발명은, 판스프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21년 11월 11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2021-183979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내용을 여기에 인용한다.
종래부터, 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판스프링 본체와, 판스프링 본체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별개로 설치된 제1 눈부(eye part) 및 제2 눈부와, 제2 눈부와 차체를 연결한 연결편을 구비하는 판스프링 장치가 알려져 있다. 제1 눈부는, 차체에, 판스프링 본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축선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눈부는, 연결편에, 판스프링 본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축선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판스프링 본체에서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 영역이 차축을 지지하고, 판스프링 본체가, 위쪽을 향령셔 휨 변형 가능하게 설치된다.
연결편은, 차체에, 판스프링 본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축선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판스프링 본체가 위쪽을 향하여 휨 변형할 때, 판스프링 본체에서의 길이 방향의 크기의 변화에 맞추어서, 연결편이 제3 축선 주위에 회전한다.
이러한 종류의 판스프링 장치에서는, 판스프링 본체가 위쪽을 향하여 휨 변형하는 과정에 있어서, 판스프링 장치가 발현되는 스프링상수를, 당초에는 낮게 억제하고, 그후, 판스프링 본체의 휨 변형이 진행되는 높게 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일본특표 2018-507809호 공보
그러나, 이와 같은 판스프링 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판스프링 본체의 형상을, 상기 특허문헌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특정한 형상으로 변경하거나, 다른 스프링 부재를 새롭게 판스프링 본체에 설치하는 등을 행할 필요가 있었다. 이 경우에, 판스프링 장치의 중량 및 비용 등을 억제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판스프링 본체가 위쪽을 향하여 휨 변형하는 과정에 있어서, 판스프링 장치가 발현하는 스프링상수를, 당초에는 낮게 억제하고, 그 후, 판스프링 본체의 휨 변형이 진행했을 때는 높게 하는 것을, 중량 및 비용 등을 억제하면서 실현할 수 있는 판스프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태양의 판스프링 장치는, 판스프링 본체와, 상기 판스프링 본체에서의 길이 방향의 제1 단부(端部)에 설치된 제1 눈부와, 상기 판스프링 본체에서의 상기 길이 방향의 제2 단부에 설치된 제2 눈부와, 상기 제2 눈부와 차체를 연결하고, 그리고 상기 길이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된 연결편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눈부는, 차체에, 상기 판스프링 본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축선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눈부는, 상기 연결편에,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축선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판스프링 본체에서의 상기 길이 방향의 중앙부 영역이 차축을 지지하고, 상기 판스프링 본체는, 위쪽을 향하여 휨 변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판스프링 본체가 위쪽을 향하여 휨 변형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 본체에서의 상기 제2 눈부와의 접속 부분이, 당초에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변위하는 방향으로, 상기 접속 부분이, 상기 연결편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가압되고 있다.
판스프링 본체가 위쪽을 향하여 휨 변형하는 과정에 있어서, 판스프링 본체에서의 제2 눈부와의 접속 부분이, 당초에는, 판스프링 본체에서의 길이 방향으로 변위하는 방향(이하, 초동 방향이라고 함)으로, 접속 부분이, 연결편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가압되고 있다.
따라서, 판스프링 본체가 위쪽을 향하여 휨 변형하고, 접속 부분이 길이 방향으로 변위하는 과정에 있어서, 연결편의 탄성 변형량이 감소하고, 연결편으로부터 접속 부분에 가해지는 초동 방향의 가압력이 소실될 때까지의 당초에는, 판스프링 본체의 휨 변형이, 연결편으로부터의 가압력에 의해 어시스트된다. 그 후, 판스프링 본체의 휨 변형이 진행하는 것에 따라, 연결편이, 판스프링 본체의 변형에 추종하여 새롭게 탄성 변형하기 시작함으로써, 접속 부분이, 길이 방향으로 변위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연결편에 의해 가압된다.
이로써, 판스프링 본체가 위쪽을 향하여 휨 변형하는 과정에 있어서, 판스프링 장치가 발현하는 스프링상수를, 당초에는 낮게 억제하고, 그후, 판스프링 본체의 휨 변형이 진행했을 때는 높게 할 수 있다.
이상의 작용 효과를, 예를 들면, 판스프링 본체의 형상을 특정한 형상으로 변경하거나, 다른 스프링 부재를 새롭게 판스프링 본체에 설치하지 않아도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판스프링 장치의 중량 및 비용 등을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판스프링 본체를 섬유강화수지 등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성형금형을 변경할 필요가 없어, 판스프링 장치의 비용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판스프링 장치는, 차체에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축선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조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편의 하단부는, 상기 제2 눈부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편의 상단부는, 상기 조정 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조정 부재에 있어서 상기 제3 축선으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부분에는, 상기 조정 부재를 상기 제3 축선 주위에 상하 이동시키는 기구부가 설치되어도 된다.
조정 부재를 기구부에 의해 제3 축선 주위에 상하 이동시키면, 이 상하 이동이 연결편의 상단부가 추종함으로써, 연결편 및 판스프링 본체가 탄성 변형하게 된다. 이로써, 연결편이, 접속 부분을 초동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연결편의 탄성 변형량이나 방향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편을 무부하의 상태에서, 판스프링 장치를 차량에 조립한 후, 기구부에 의해 조정 부재를 제3 축선 주위에 상하 이동시켜, 연결편의 탄성 변형량이나 방향을 조정하는 것 등이 가능하다.
상기 연결편의 상단부는, 환형(環形)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3 축선과 동축(同軸)으로 배설(配設)되어도 된다.
연결편의 상단부가, 제3 축선과 동축으로 배설되어 있으므로, 조정 부재의 제3 축선 주위의 상하 이동에 따라, 연결편을 탄성 변형시키기 용이해져, 연결편의 탄성 변형량이나 방향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판스프링 본체가 위쪽을 향하여 휨 변형하는 과정에 있어서, 판스프링 장치가 발현하는 스프링상수를, 당초에는 낮게 억제하고, 그후, 판스프링 본체의 휨 변형이 진행했을 때는 높게 하는 것을, 판스프링 장치의 중량 및 비용 등을 억제하면서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형태의 판스프링 장치를 차량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판스프링 장치에 있어서, 연결편을 탄성 변형시키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선을 따라 절단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IV-IV선을 따라 절단한 도면이다.
이하, 판스프링 장치의 일실시형태를, 도 1∼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판스프링 장치(1)은, 판스프링 본체(11)와, 제1 눈부(12)와, 제2 눈부(13)와, 연결편(14)을 구비하고 있다.
판스프링 장치(1)은, 차량에 조립되어 사용된다. 판스프링 본체(11)의 길이 방향(X)이 차량의 전후 방향과 일치한 상태에서, 판스프링 본체(11)에서의 길이 방향(X)의 중앙부 영역은 차축(W)을 지지한다. 제1 눈부(12)는 차체(B1)에 장착되고, 제2 눈부(13)는 연결편(14)을 통하여 차체(B1)에 장착된다.
판스프링 본체(11)에서의 길이 방향(X)의 중앙부 영역이 차축(W)을 지지하고, 판스프링 본체(11)는, 위쪽을 향하여 휨 변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판스프링 본체(11)는, 차축(W)을 차축(W)의 위쪽으로부터 지지해도 되고, 차축(W)의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해도 된다.
판스프링 본체(11)는, 예를 들면 섬유강화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섬유강화수지에 포함되는 섬유로서는, 예를 들면 유리섬유, 및 탄소섬유 등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판스프링 본체(11)는, 유리섬유를 함유한 섬유강화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섬유는, 길이 방향(X)으로 대략 연장된 상태에서, 수지 중에 함유되어 있다.
그리고, 판스프링 본체(11)는 금속 등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판스프링 본체(11)는, 차량에 장착된 상태에서, 길이 방향(X)을 따라 중앙부 영역으로부터 외측의 단부를 향함에 따라, 위쪽을 향하여 연장되고, 아래쪽을 향하여 돌출한 곡면형으로 만곡하고 있다. 이 때, 상하 방향(Z) 및 길이 방향(X)에 직교하는 폭 방향(Y)로부터 본, 판스프링 본체(11)의 곡률반경은, 판스프링 본체(11)가 차량에 장착되기 전과 비교하여 크게 되어 있다.
그리고, 판스프링 본체(11)는, 차량에 장착된 상태에서, 길이 방향(X)으로 곧게 연장되어도 된다. 판스프링 본체(11)는, 길이 방향(X)을 따라 중앙부 영역으로부터 외측의 단부에 향함에 따라, 아래쪽을 향하여 연장되고, 위쪽을 향하여 돌출한 곡면형으로 만곡되어도 된다.
제1 눈부(12)는, 판스프링 본체(11)의 길이 방향(X)의 제1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제2 눈부(13)는, 판스프링 본체(11)의 길이 방향(X)의 제2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제1 눈부(12) 및 제2 눈부(13)는, 판스프링 본체(1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눈부(12) 및 제2 눈부(13)는, 판스프링 본체(11)와 별체로 형성되어도 된다.
제1 눈부(12)에는, 제1 눈부(12)를 폭 방향(Y)으로 관통하는 제1 끼워맞춤공(15)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눈부(13)에는, 제2 눈부(13)를 폭 방향(Y)으로 관통하는 제2 끼워맞춤공(16)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끼워맞춤공(15)에, 차체(B1)에 고정된 제1 지지축(B2)이 상대회전 가능하게 끼워맞추어짐으로써, 제1 눈부(12)가, 차체(B1)에, 폭 방향(Y)으로 연장되는 제1 축선(O1)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연결편(14)은, 제2 눈부(13)와 차체(B1)를 연결한다.
연결편(14)은, 앞뒤면이 길이 방향(X)을 향하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편(14)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길이 방향(X)으로부터 볼 때, 상하 방향(Z)으로 길고, 폭 방향(Y)으로 짧은 직사각형상을 나타낸다. 연결편(14)은, 길이 방향(X)으로 탄성 변형(휨)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연결편(14)의 하단부에는, 연결편(14)을 길이 방향(X)으로 관통하고, 그리고 아래쪽을 향하여 개구된 절결부(切缺部)(14a)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편(14)의 하단부 중, 절결부(14a)를 폭 방향(Y)으로 끼우는 각 부분에는, 제3 눈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제3 눈부(18)는, 절결부(14a)의 상기 부분이, 길이 방향(X)을 따르는 제1 눈부(12) 측인, 길이 방향(X)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링형을 나타내도록 둥글게 형성된다. 제3 눈부(18)는, 제3 눈부(18)를 폭 방향(Y)으로 관통하는 제3 끼워맞춤공(17)을 가지고 있다. 제3 끼워맞춤공(17)에는, 제2 지지축(B3)이 고정된 상태에서 끼워맞추어진다.
연결편(14)의 절결부(14a)에는, 판스프링 본체(11)의 제2 눈부(13)가, 제3 눈부(18)와 동축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끼워져 있다. 제3 끼워맞춤공(17)에 고정된 제2 지지축(B3)이, 제2 끼워맞춤공(16)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끼워맞추어짐으로써, 제2 눈부(13)는, 연결편(14)에, 폭 방향(Y)으로 연장되는 제2 축선(O2)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차체(B1)에 폭 방향(Y)으로 연장되는 제3 축선(O3)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조정 부재(21)와, 조정 부재(21)를 제3 축선(O3) 주위에 상하 이동시키는 기구부(22)가 설치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정 부재(21)는, 폭 방향(Y)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그리고 앞뒤면이 폭 방향(Y)을 향하는 한 쌍의 조정판(21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조정 부재(21)는, 차체(B1)의 프레임의 내부 공간(A)에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조정판(21a)끼리의 사이에, 연결편(14)의 상단부가 끼워넣어져 있다. 연결편(14)은, 차체(B1)의 프레임의 내부 공간(A)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연결편(14)의 상단부는, 환형으로 형성되고 또한, 제3 축선(O3)과 동축으로 배설되어 있다. 연결편(14)의 상단부는, 조정 부재(21)에 고정되어 있다.
조정 부재(21), 및 연결편(14)의 상단부를, 폭 방향(Y)에 일체로 관통하는 고정축(23)이 설치되어 있다. 고정축(23)은, 제3 축선(O3)과 동축으로 배설되어 있다. 고정축(23)에서의 폭 방향(Y)의 양단부(23a)는, 원기둥형으로 형성되고, 차체(B1)의 프레임에 제3 축선(O3)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고정축(23) 중, 폭 방향(Y)의 양단부(23a)를 제외한 전체가, 폭 방향(Y)으로부터 볼 때 비원형상(도시한 예에서는 삼각형상)을 나타낸다. 조정 부재(21)에, 폭 방향(Y)으로부터 볼 때 비원형상을 나타내는 끼워맞춤공이 형성되어 있다. 조정 부재(21)의 끼워맞춤공에는, 고정축(23) 중, 폭 방향(Y)으로부터 볼 때 비원형상을 나타내는 부분이, 고정된 상태에서 끼워맞추어진다. 연결편(14)의 상단부의 내주면(內周面)은, 폭 방향(Y)으로부터 볼때 비원형상을 나타낸다. 연결편(14)의 상단부 내에, 고정축(23) 중, 폭 방향(Y)으로부터 볼 때 비원형상을 나타내는 부분이 끼워맞추어진다.
고정축(23) 중, 폭 방향(Y)에서 볼때 비원형상을 나타내는 부분이, 조정 부재(21)의 끼워맞춤공, 및연결편(14)의 상단부내에 끼워맞추어짐으로써, 조정 부재(21), 연결편(14)의 상단부, 및 고정축(23)의, 제3 축선(O3) 주위의 상대회전이 규제된다. 또한, 판스프링 본체(11)가 위쪽을 향하여 휨 변형할 때, 판스프링 본체(11)에서의 길이 방향(X)의 크기의 변화에 맞추어, 연결편(14)이 길이 방향(X)으로 탄성 변형(휨)한다.
기구부(22)는, 조정 부재(21)에 있어서 제3 축선(O3)으로부터 길이 방향(X)에 이격된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기구부(22)는, 제3 축선(O3)으로부터 길이 방향(X)의 내측에 이격되어 있다. 그리고, 기구부(22)는, 제3 축선(O3)으로부터 길이 방향(X)의 외측에 이격되어도 된다. 기구부(22)는, 볼트(25) 및 암나사 부재(26)를 구비하고 있다.
암나사 부재(26)는, 폭 방향(Y)으로 긴 직육면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암나사 부재(26)는, 폭 방향(Y)으로부터 볼 때, 상반부의 반원형상을 나타낸다. 폭 방향(Y)으로부터 볼 때, 암나사 부재(26)는, 아래쪽을 향하는 평탄한 하면과, 위쪽을 향하여 돌출한 반원호면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한 쌍의 조정판(21a)의 각각에, 폭 방향(Y)으로 관통하는 관통공(21b)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조정판(21a)의 관통공(21b)에, 암나사 부재(26)의 반원호면에서의 폭 방향(Y)의 양 단부가, 관통공(21b)의 중심축 주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맞추어져 있다. 암나사 부재(26)에는, 상하 방향(Z)으로 관통하는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이 나사구멍에 볼트(25)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볼트(25)의 헤드부는, 차체(B1)의 프레임의 하면과 맞닿아 있다.
판스프링 본체(11)에서의 제2 눈부(13)와의 접속 부분(11a)은, 연결편(1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가압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판스프링 본체(11)가 위쪽을 향하여 휨 변형하는 과정에 있어서, 접속 부분(11a)이, 당초에는, 길이 방향(X)으로 변위하는 방향(이하, 초동 방향이라고 함)(x1)으로, 접속 부분(11a)이, 연결편(1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가압되고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초동 방향(x1)은, 길이 방향(X)의 외측(우측 방향)이 되어 있다. 또한, 판스프링 본체(11)가 위쪽을 향하여 휨 변형하는 과정에 있어서, 판스프링 본체(11)가 길이 방향(X)으로 곧게 될때까지는, 접속 부분(11a)은, 초동 방향(x1)으로 이동한다. 판스프링 본체(11)가, 위쪽을 향하여 돌출된 곡면형으로 만곡되는, 즉 판스프링 본체(11)의 돌출 부분이 상하 반전하면, 접속 부분(11a)은, 길이 방향(X)을 따르는 초동 방향(x1)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접속 부분(11a)은, 연결편(1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초동 방향(x1)으로 가압된다.
그리고, 판스프링 본체(11)가, 차량에 장착된 상태에서, 당초부터, 길이 방향(X)으로 곧게 연장되어 있는 경우, 및 길이 방향(X)을 따라 중앙부 영역으로부터 외측의 단부에 향함에 따르라, 아래쪽을 향하여 연장되고, 위쪽을 향하여 돌출된 곡면형으로 만곡하고 있는 경우에는, 판스프링 본체(11)가 위쪽을 향하여 휨 변형하는 과정에 있어서, 접속 부분(11a)이, 길이 방향(X)으로 변위하는 방향은 항상 내측(좌측 방향)이 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편(14)을 무부하의 상태에서, 판스프링 장치(1)를 차량에 조립한다. 그 후에, 볼트(25)의 헤드부를 잡고, 볼트(25)를 암나사 부재(26)에 대하여 회전시켜, 암나사 부재(26)를 하강시키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정 부재(21)가, 암나사 부재(26)에 의해 제3 축선(O3) 주위에 하강된다. 이로써, 폭 방향(Y)으로부터 볼 때, 연결편(14)의 상단부를, 제3 축선(O3)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초동 방향(x1)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힘이, 연결편(14)에 가해지게 되어, 연결편(14)이, 도 1의 2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초동 방향(x1)으로 이동하려고 한다.
이 때, 연결편(14)의 제3 눈부(18)가, 제2 지지축(B3) 및 제2 눈부(13)를 통하여, 판스프링 본체(11)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도 1에 실선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편(14)의 초동 방향(x1)의 이동이 억제되게 되어, 연결편(14)이, 초동 방향(x1)의 반대 방향으로 탄성 변형한다. 이로써, 판스프링 본체(11)에서의 제2 눈부(13)와의 접속 부분(11a)이, 연결편(1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초동 방향(x1)으로 가압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판스프링 장치(1)에 의하면, 판스프링 본체(11)가 위쪽을 향하여 휨 변형하고, 접속 부분(11a)이 길이 방향(X)으로 변위하는 과정에 있어서, 연결편(14)의 탄성 변형량이 감소하고, 연결편(14)으로부터 접속 부분(11a)에 가해지는 초동 방향(x1)의 가압력이 소실될 때까지, 즉 도시한 예에서는, 연결편(14)이, 도 1의 2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변형할 때까지의 당초에는, 판스프링 본체(11)의 휨 변형이, 연결편(14)으로부터의 가압력에 의해 어시스트된다. 그 후, 판스프링 본체(11)의 휨 변형이 진행하는 것에 따라, 연결편(14)이, 판스프링 본체(11)의 변형에 추종하여 새롭게 탄성 변형하기 시작함으로써, 접속 부분(11a)이, 길이 방향(X)으로 변위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연결편(14)에 의해 가압된다. 그리고, 연결편(14)의 탄성 변형량이 감소하고, 연결편(14)으로부터 접속 부분(11a)에 가해지는 초동 방향(x1)의 가압력이 소실될 때까지의 단계를, 상기 과정에서의 제1단계라고도 칭한다. 제1단계의 후, 판스프링 본체(11)의 휨 변형이 진행하는 단계를, 상기 과정에서의 제2단계라고도 칭한다. 즉, 상기 과정에서의 제1단계에서는, 판스프링 본체(11)의 휨 변형이, 연결편(14)으로부터의 가압력에 의해 어시스트되고, 상기 과정에서의 제2단계에서는, 접속 부분(11a)이, 길이 방향(X)으로 변위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연결편(14)에 의해 가압된다.
이로써, 판스프링 본체(11)가 위쪽을 향하여 휨 변형하는 과정에 있어서, 판스프링 장치(1)가 발현하는 스프링상수를, 당초(상기 과정에서의 제1단계)에는 낮게 억제하고, 그 후, 판스프링 본체(11)의 휨 변형이 진행했을 때(상기 과정에서의 제2단계)에는 높게 할 수 있다.
이상의 작용 효과를, 예를 들면, 판스프링 본체(11)의 형상을 특정한 형상으로 변경하거나, 다른 스프링 부재를 새롭게 판스프링 본체(11)에 설치하지 않아도 효과를 발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판스프링 장치(1)의 중량 및 비용 등을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판스프링 본체(11)를 섬유강화수지 등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성형금형을 변경할 필요가 없어, 판스프링 장치(1)의 비용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조정 부재(21)를 기구부(22)에 의해 제3 축선(O3) 주위에 상하 이동시키면, 이 상하 이동에 연결편(14)의 상단부가 추종함으로써, 연결편(14) 및 판스프링 본체(11)가 탄성 변형하게 된다. 이로써, 연결편(14)이, 접속 부분(11a)을 초동 방향(x1)으로 가압하도록, 연결편(14)의 탄성 변형량이나 방향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편(14)을 무부하의 상태에서, 판스프링 장치(1)을 차량에 조립한 후, 기구부(22)에 의해 조정 부재(21)를 제3 축선(O3) 주위에 상하 이동 시켜, 연결편(14)의 탄성 변형량이나 방향을 조정하는 것 등이 가능하다.
연결편(14)의 상단부가, 제3 축선(O3)과 동축으로 배설되어 있으므로, 조정 부재(21)의 제3 축선(O3) 주위의 상하 이동에 따라, 연결편(14)을 탄성 변형시키기 용이해져, 연결편(14)의 탄성 변형량이나 방향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각종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조정 부재(21) 및 기구부(22)는 생략되어도 된다.
연결편(14)의 상단부는, 환형으로 형성하지 않아도 되고, 제3 축선(O3)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어도 된다.
여기서, 판스프링 본체(11)가 위쪽을 향하여 휨 변형하는 과정에 있어서, 접속 부분(11a)이, 길이 방향(X)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연결편(14)의 탄성 변형량이나 방향을 조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판스프링 본체(11)가 위쪽을 향하여 휨 변형하는 과정에 있어서, 접속 부분(11a)이, 길이 방향(X)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경우란, 판스프링 본체(11)가, 차량에 장착된 상태에서, 당초부터, 길이 방향(X)으로 곧게 연장되어 있는 경우, 및 길이 방향(X)을 따라 중앙부 영역으로부터 외측의 단부에 향함에 따르고, 아래쪽을 향하여 연장되고, 위쪽을 향하여 돌출된 곡면형으로 만곡하고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먼저, 암나사 부재(26)를 볼트(25)를 사용하여 상승시키고, 조정 부재(21)를, 암나사 부재(26)에 의해 제3 축선(O3) 주위에 상승시킨다. 이로써,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방향의 폭 방향(Y)으로부터 볼 때, 제3 축선(O3)을 중심으로 하는 시계방향의 힘이, 연결편(14)의 상단부에 가해지게 되어, 연결편(14)이, 길이 방향(X)의 내측(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한다.
이 때, 연결편(14)의 제3 눈부(18)가, 제2 지지축(B3) 및 제2 눈부(13)를 통하여, 판스프링 본체(11)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편(14)의, 길이 방향(X)의 내측을 향한 이동이 억제되게 되어, 연결편(14)이 길이 방향(X)의 외측으로 탄성 변형한다. 이로써, 접속 부분(11a)이, 연결편(1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길이 방향(X)의 내측으로 가압된다.
그 외,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실시형태에서의 구성 요소를 주지의 구성 요소로 치환하는 것은 적절히 가능하며,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 및 변형예를 적절하게 조합해도 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판스프링 본체가 위쪽을 향하여 휨 변형하는 과정에 있어서, 판스프링 장치가 발현하는 스프링상수를, 당초에는 낮게 억제하고, 그 후, 판스프링 본체의 휨 변형이 진행했을 때는 높게 하는 것을, 판스프링 장치의 중량 및 비용 등을 억제하면서 실현된다.
1: 판스프링 장치
11: 판스프링 본체
11a: 접속 부분
12: 제1 눈부
13: 제2 눈부
14: 연결편
21: 조정 부재
22: 기구부
B1: 차체
O1: 제1 축선
O2: 제2 축선
O3: 제3 축선
W: 차축
X: 길이 방향
Y: 폭 방향
Z: 상하 방향

Claims (3)

  1. 판스프링 본체;
    상기 판스프링 본체에서의 길이 방향의 제1 단부(端部)에 설치된 제1 눈부(eye part);
    상기 판스프링 본체에서의 상기 길이 방향의 제2 단부에 설치된 제2 눈부; 및
    상기 제2 눈부와 차체를 연결하고, 그리고 상기 길이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된 연결편(連結片);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눈부는, 차체에, 상기 판스프링 본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축선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눈부는, 상기 연결편에,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축선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판스프링 본체에서의 상기 길이 방향의 중앙부 영역이 차축(車軸)을 지지하고, 상기 판스프링 본체는, 위쪽을 향하여 휨 변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판스프링 본체가 위쪽을 향하여 휨 변형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 본체에서의 상기 제2 눈부와의 접속 부분이, 당초에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변위하는 방향으로, 상기 접속 부분이, 상기 연결편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가압되고 있는, 판스프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차체에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축선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조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편의 하단부는, 상기 제2 눈부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편의 상단부는, 상기 조정 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조정 부재에 있어서 상기 제3 축선으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부분에는, 상기 조정 부재를 상기 제3 축선 주위에 상하 이동시키는 기구부(機構部)가 설치되어 있는, 판스프링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편의 상단부는, 환형(環形)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3 축선과 동축(同軸)으로 배설(配設)되어 있는, 판스프링 장치.
KR1020247014102A 2021-11-11 2022-11-01 판스프링 장치 KR202400706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183979 2021-11-11
JP2021183979A JP2023071307A (ja) 2021-11-11 2021-11-11 板ばね装置
PCT/JP2022/040877 WO2023085174A1 (ja) 2021-11-11 2022-11-01 板ばね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0645A true KR20240070645A (ko) 2024-05-21

Family

ID=86335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14102A KR20240070645A (ko) 2021-11-11 2022-11-01 판스프링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3071307A (ko)
KR (1) KR20240070645A (ko)
CN (1) CN118202167A (ko)
WO (1) WO2023085174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07809A (ja) 2015-02-23 2018-03-22 ヘンドリクソン コマーシャル ヴィヒクル システムス ヨーロパ ゲーエムベーハ 車両用のばね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206020B4 (de) * 2017-04-07 2022-09-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lattfederanordnung für Kraftfahrzeuge
DE102018201435B4 (de) * 2018-01-31 2021-11-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chsaufhängung
DE102019209977A1 (de) * 2019-07-08 2021-01-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chsaufhängung für ein Fahrzeug
JP7120646B2 (ja) 2019-12-17 2022-08-17 株式会社ユピテル 運転支援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07809A (ja) 2015-02-23 2018-03-22 ヘンドリクソン コマーシャル ヴィヒクル システムス ヨーロパ ゲーエムベーハ 車両用のば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071307A (ja) 2023-05-23
WO2023085174A1 (ja) 2023-05-19
CN118202167A (zh) 2024-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97602B2 (en) Position adjustable steering device
KR101951518B1 (ko) 스태빌라이저 링크 및 그 제조 방법
US20180186211A1 (en) Bracket
US9931902B2 (en) Stabilizer bushing and stabilizer-bar mounting device
US10343475B2 (en) Bearing mechanism for a transverse leaf spring, mountable in the area of a vehicle axle
EP3173894A1 (en) Bearing structure for vehicle pedal device and flanged bushing
CN102256859B (zh) 用于压紧齿条的装置
KR102453592B1 (ko) Tm마운트의 스토퍼
US20150305506A1 (en) Lumbar support device
WO2007126359A1 (en) Stabiliser bar for a vehicle
EP2982883A1 (en) Suspension coil spring and strut-type suspension device
KR20190056766A (ko) Tm마운트의 스토퍼
KR20240070645A (ko) 판스프링 장치
KR20160002851A (ko) 스태빌라이저용 부시
EP3127727B1 (en) Suspension coil spring
JP5978880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2017094884A (ja)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100527730B1 (ko) 리프스프링 현가장치
KR102441668B1 (ko) 랙 가이드 및 기어 기구
CN113169533A (zh) 紧线器及紧线器的使用方法
WO2024058015A1 (ja) 操舵装置
EP2789525B1 (en) Steering device
CN209739136U (zh) 用于转向管柱的间隙补偿组件
CN209738717U (zh) 导向臂、汽车悬架和汽车
WO2021017643A1 (zh) 轴承衬套、预紧结构、传动机构壳体及蜗轮蜗杆装配结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