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0222A - 한약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한약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70222A
KR20240070222A KR1020220151790A KR20220151790A KR20240070222A KR 20240070222 A KR20240070222 A KR 20240070222A KR 1020220151790 A KR1020220151790 A KR 1020220151790A KR 20220151790 A KR20220151790 A KR 20220151790A KR 20240070222 A KR20240070222 A KR 202400702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herbal medicine
herbal
trigeminal neuralg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1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쉬에허 후앙
Original Assignee
쉬에허 후앙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쉬에허 후앙 filed Critical 쉬에허 후앙
Publication of KR20240070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7022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6Prunella or Brunella (selfhe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5Paeoniaceae (Peony family), e.g. Chinese peon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8Plantaginaceae (Plantain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2Rhamnaceae (Buckthorn family), e.g. buckthorn, chewstick or umbrella-tree
    • A61K36/725Ziziphus, e.g. juju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5Verbenaceae (Verbena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8Araceae (Arum family), e.g. caladium, calla lily or skunk cabbage
    • A61K36/8888Pinel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61K36/8967Lilium, e.g. tiger lily or Easter l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4Centrally acting analgesics, e.g. opi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Abstract

본 발명은 의약 분야에 속하며, 특히 혀인두 신경통이 복합된 삼차신경통 치료용 한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 성분을 포함하는 삼차신경통 치료 또는 예방용 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10-15중량부의 하고초(spica prunellae), 10-15중량부 차전초(plantain herb), 6-10중량부의 반하(Pinellia ternata), 10-15중량부의 감초(licorice), 10-15중량부의 작약(red peony). 한약 조성물은 삼차신경통의 치료 또는 예방에 좋은 치료효과가 있고 약물 부작용이 적고 임상적 대중화 가치가 크다.

Description

한약재 및 그 제조방법{A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and a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의약 분야에 속하며, 특히 혀인두 신경통이 복합된 삼차신경통 치료용 한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삼차신경통은 가장 흔한 뇌질환이다. 삼차신경통은 원발성(증상이 있는) 삼차신경통과 이차성 삼차신경통으로 나눌 수 있으며, 그 중 원발성(primary) 삼차신경통이 더 흔하다. 원발성 삼차신경통은 임상증상이 있는 기질적 질환이지만, 다양한 검사에서 발병과 관련된 기질적 질환(organic disease)은 발견되지 않는다. 이차성 삼차신경통에는 임상증상 외에 종양, 염증, 혈관기형 등의 기질적 질환이 있다. 이차성 삼차신경통은 중년 및 40세 미만의 젊은 사람들에게 흔하다. 일반적으로 통증유발점이 없고 유발인자가 명확하지 않으며 통증이 지속되는 경우가 많다. 일부 환자에서는 원발성 질환과 관련된 다른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삼차신경통의 원인과 발병기전에 대해서는 명확한 결론이 없으며 모든 이론으로 임상증상을 설명할 수 없다. 현재 우리는 신경 탈수초화 이론과 삼차 미세혈관 압박에 의한 간질성 신경통 이론을 지지한다. 현재 혀인두신경통을 동반한 삼차신경통의 임상치료를 위한 서양의약은 대부분 향정신성의약품이다. 카바마제핀(Carbamazepine)은 환자의 70%에서 통증 완화에 효과가 있지만 환자의 약 1/3은 졸음, 현기증 및 위장 불편함과 같은 부작용을 견딜 수 없다. 나트륨 페니토인의 치료 효과는 카바마제핀만큼 좋지 않지만 이러한 약물은 중독되기 쉬울 뿐만 아니라 장기간 사용하면 신체의 간과 신장에 큰 손상을 일으키며 독성과 부작용이 크다. 기존의 임상적 복약 경험에 따르면 혀인두 신경통이 복합된 삼차신경통의 치료에 효과적인 약물을 개발하는 것은 환자의 통증을 줄이고 노동 효율을 향상시키는 데 있어 매우 실질적인 의의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삼차신경통에 대한 현재 임상 치료제의 부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혀인두 신경통이 복합된 삼차신경통 치료용 한약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약 조성물은 혀인두신경통이 복합된 삼차신경통의 치료에 현저한 치료효과, 적은 부작용, 우수한 장기간 사용효과가 있으며 의학적 응용전망이 좋다. 성분의 중량에 따라, 상기 한약 조성물은 주로 다음과 같은 원료로 제조된다: 10-15중량부의 하고초(spica prunellae), 10-15중량부 차전초(plantain herb), 6-10중량부의 반하(Pinellia ternata), 10-15중량부의 감초(licorice), 10-15중량부의 작약(red peony).
본 발명에서 상기 한약은 공통 부분에서 약으로 사용되며, 서로 양립하고 보완하여 심장에 영양을 공급하고 심신을 안정시키며 진통 효과가 있고, 혀인두 신경통이 복합된 삼차신경통에 우수한 치료효과가 있다. 상기 한약 조성물은 6중량부의 백합(lily), 12중량부의 산조인(semen ziziphi spinosae) 및 8중량부의 버베나(verben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백합, 산조인 및 버베나 조합은 신체의 면역 능력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혀인두 신경통이 복합된 삼차신경통에 대한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과 조합된 3가지 약재의 치료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한약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각 약재를 상기 중량의 성분으로 취하여 약재 총중량의 5~15배의 물을 첨가하고, 10~60분간 침지하고(soaking), 매회 1~3시간씩 1~4회 달이고(decocting), 여과하고, 여과액을 합하고, 감압하고 여과액을 농축하여 60℃에서 시험한 결과인 상대밀도 1.05-1.25로 농축하고, 알코올 도수 60~90%(v/v)로 에탄올을 첨가하고, 24시간 방치 후 상등액을 취하고 에탄올을 회수하여 농축한다. 한약 조성물은 임상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약제학적 제제, 바람직하게는 혼합물, 정제 및 캡슐제로 추가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약 조성물은, 각 성분이 서로 양립하고 보완하여 심장에 영양을 공급하고 심신을 안정시키며 진통 효과가 있고, 혀인두 신경통이 복합된 삼차신경통에 우수한 치료효과가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또는 본 발명의 내용,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의 한약 조성물을 적절하게 개선하고 동일한 효과를 갖는 구성요소를 교체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첫 번째 부분은 본 발명의 한약 조성물의 제조이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혼합물로서의 한약 조성물
제형: 15중량부의 하고초(spica prunellae), 15중량부 차전초(plantain herb), 6중량부의 반하(Pinellia ternata), 10중량부의 감초(licorice), 10중량부의 작약(red peony).
조제방법 : 각 약재를 상기 각 성분의 중량으로 취하여 약재 총중량의 5배의 물을 첨가하여 30분간 침지 후 매회 2시간씩 2회 달여 여과하고 여과액을 합하고 여과액을 60℃에서 시험한 결과인 상대밀도 1.1의 농축액으로 감압농축하고 알코올 도수 75%(v/v)로 에탄올을 첨가하고 24시간 방치 후 상등액을 취하고 에탄올을 회수하여 농축하고 물 1000ml를 가하여 잘 섞은 후 재포장하고, 후 멸균을 위해 35분간 증기를 순환시켜 혼합물을 얻는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혼합물로서의 한약 조성물
제형: 10중량부의 하고초(spica prunellae), 10중량부 차전초(plantain herb), 6중량부의 반하(Pinellia ternata), 10중량부의 감초(licorice), 10중량부의 작약(red peony).
조제방법 : 각 약재를 상기 각 성분의 중량으로 취하여 약재 총중량의 5배의 물을 첨가하여 30분간 침지 후 매회 2시간씩 2회 달여 여과하고 여과액을 합하고 여과액을 60℃에서 시험한 결과인 상대밀도 1.1의 농축액으로 감압농축하고 알코올 도수 75%(v/v)로 에탄올을 첨가하고 24시간 방치 후 상등액을 취하고 에탄올을 회수하여 농축하고 물 1000ml를 가하여 잘 섞은 후 재포장하고, 후 멸균을 위해 35분간 증기를 순환시켜 혼합물을 얻는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정제로서의 한약 조성물
제형: 12중량부의 하고초(spica prunellae), 15중량부 차전초(plantain herb), 8중량부의 반하(Pinellia ternata), 10중량부의 감초(licorice), 10중량부의 작약(red peony).
조제방법 : 각 약재를 상기 각 성분의 중량으로 취하여 약재 총중량의 10배의 물을 첨가하여 60분간 침지하여 매회 1시간씩 1회 달여 여과하고 여과액을 합하고 여과액을 60℃에서 시험한 결과인 상대밀도 1.25의 농축액으로 감압농축하고 알코올 도수 80%(v/v)로 에탄올을 첨가하고 24시간 방치 후 상등액을 취하고 에탄올을 회수하여 농축하고, 진공 건조하고, 과립화하고, 압착하여 정제를 수득한다.
실시예 4 본 발명의 정제로서의 한약 조성물
제형: 15중량부의 하고초(spica prunellae), 10중량부 차전초(plantain herb), 8중량부의 반하(Pinellia ternata), 12중량부의 감초(licorice), 10중량부의 작약(red peony).
조제방법 : 각 약재를 상기 각 성분의 중량으로 취하여 약재 총중량의 10배의 물을 첨가하여 60분간 침지하여 매회 1시간씩 1회 달여 여과하고 여과액을 합하고 여과액을 60℃에서 시험한 결과인 상대밀도 1.25의 농축액으로 감압농축하고 알코올 도수 80%(v/v)로 에탄올을 첨가하고 24시간 방치 후 상등액을 취하고 에탄올을 회수하여 농축하고, 진공 건조하고, 과립화하고, 압착하여 정제를 수득한다.
실시예 5 본 발명의 캡슐로서의 한약 조성물
제형: 11중량부의 하고초(spica prunellae), 13중량부 차전초(plantain herb), 8중량부의 반하(Pinellia ternata), 12중량부의 감초(licorice), 12중량부의 작약(red peony).
조제방법 : 각 약재를 상기 각 성분의 중량으로 취하여 약재 총중량의 8배의 물을 첨가하여 45분간 침지하여 매회 1.5시간씩 4회 달여 여과하고 여과액을 합하고 여과액을 60℃에서 시험한 결과인 상대밀도 1.2의 농축액으로 감압농축하고 알코올 도수 90%(v/v)로 에탄올을 첨가하고 24시간 방치 후 상등액을 취하고 에탄올을 회수하여 농축하고, 진공 건조하고, 과립화하고, 포장하여 캡슐을 수득한다.
실시예 6 본 발명의 캡슐로서의 한약 조성물
제형: 11중량부의 하고초(spica prunellae), 15중량부 차전초(plantain herb), 7중량부의 반하(Pinellia ternata), 10중량부의 감초(licorice), 15중량부의 작약(red peony).
조제방법 : 각 약재를 상기 각 성분의 중량으로 취하여 약재 총중량의 8배의 물을 첨가하여 45분간 침지하여 매회 1.5시간씩 4회 달여 여과하고 여과액을 합하고 여과액을 60℃에서 시험한 결과인 상대밀도 1.2의 농축액으로 감압농축하고 알코올 도수 90%(v/v)로 에탄올을 첨가하고 24시간 방치 후 상등액을 취하고 에탄올을 회수하여 농축하고, 진공 건조하고, 과립화하고, 포장하여 캡슐을 수득한다.
두 번째 부분은 본 발명의 한약 조성물의 약동학적 조사이다.
실시예 7 본 발명의 한약 조성물이 아세트산으로 인한 쥐의 몸부림(writhing) 횟수에 미치는 영향
1. 동물 그룹화 및 투여
70마리의 수컷 ICR 생쥐(20 ± 2)g를 체중에 따라 각 그룹에 10마리의 생쥐로 무작위로 7개의 그룹으로 나누었다. 구체적인 그룹화는 다음과 같다:
모델 그룹(model group): 동일한 양의 생리 식염수를 위관영양법으로 투여;
카바마제핀 그룹(carbamazepine group): 20.0mg/kg 카바마제핀을 위관영양법으로 투여;
높은 한약 그룹(high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group):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한약 조성물 0.5g/kg을 위관영양법으로 투여;
중간 한약 그룹(medium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group):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한약 조성물 2mg/kg을 위관영양법으로 투여;
낮은 한약 그룹(low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group):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한약 조성물 8mg/kg을 위관영양법으로 투여.
2. 실험 방법 및 데이터 처리
생쥐에 아세트산을 복강내 주사하면 복강 깊숙한 부분에 크고 지속적인 통증 자극이 발생하여 생쥐에서 몸부림 반응이 나타났다. 각 투여 그룹에 대해 투여 1시간 후, 0.7% 아세트산 생리식염수 0.1ml/10g을 복강내 주사하였다. 아세트산 주사로 인한 통증 후 20분 이내에 각 생쥐의 몸부림 반응 횟수를 기록하고, 각 투여 그룹의 몸부림 억제율을 계산하였다.
몸부림 억제율 = [(대조 그룹의 몸부림 횟수 - 한약 그룹의 몸부림 횟수) / 대조 그룹의 몸부림 횟수] × 100%
실험 데이터는 분산 분석을 위해 SPSS15.0 소프트웨어로 표시된다.
3. 실험 결과
모델 그룹과 비교하여 P < 0.05, P < 0.01;
카바마제핀 그룹과 비교하여 P < 0.05, P < 0.01;
카르바마제핀 그룹과 각 한약 조성물 치료 그룹의 몸부림 횟수는 모델 그룹보다 유의하게 낮았는데, 이는 아세트산으로 인한 통증에 대한 치료효과를 의미한다. 그 중 한약 각 용량군과 모델 그룹 간에는 매우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카바마제핀 그룹과 일반 삼차신경통 치료제 간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한약 조성물은 용량 의존적으로 아세트산으로 인한 통증에 우수한 치료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8 삼차신경통의 쥐 모델에 대한 본 발명의 한약 조성물의 치료 효과
1. 실험동물모델 구축
성인 수컷 SD 쥐, 200~250g/rat. 수술 전 통증역치(기본 통증역치)를 측정한 후, 좌측 안와하신경(ion) 원형결찰(cerclage)을 시행하였다. 2주 후 동물이 통증 과민 반응을 보이는지 관찰하였다. 50마리의 동물이 선택되었다.
일측성(왼쪽) ion-cci 삼차신경통 모델은 Ding Lihua(Ding Lihua, Yu Shengyuan. Establishment of animal model of experimental trigeminal neuralgia chronic constriction ring, Chinese Journal of pain Medicine, 2004, 10:15~18)가 제공한 방법에 따라 설정되었다. 세부사항은 다음과 같다: 실험 동물에게 10% 클로랄 수화물(chloral hydrate)(0.4ml/100g)을 복강내 주사하였다. 만족스러운 마취 후 등을 고정하였다. 좌측 치은 협측연을 따라 제1대구치 높이에서 약 1cm 길이의 절개를 입과 코 방향으로 세로로 절개하고 ION을 노출시키고 주변 조직을 분리하여 2개의 4.0 크롬 와이어로 느슨하게 결찰하였으며 두 와이어 사이의 거리는 2mm이었다. 결찰의 견고함은 신경 전도를 지연시키기 위해 신경 직경을 줄이는 것(눈이나 현미경으로)만 필요하지만 전도를 완전히 차단할 수 없으며 혈액 순환이 방해받지 않아야 한다. 절개는 4.0 실크 실로 봉합하였다. 모든 수술은 수술 전후에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은 무균 상태에서 시행되었다.
2. 그룹화 및 관리
완전 무작위 그룹화의 원칙에 따라 실험을 위해 5개 그룹(n = 10)으로 나누었다. 각 그룹에는 다음과 같은 치료제가 제공되었다:
모델 그룹: 동일한 양의 생리 식염수를 위관영양법으로 투여;
카바마제핀 그룹: 20.0mg/kg 카바마제핀을 위관영양법으로 투여;
높은 한약 그룹: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한약 조성물 0.5g/kg을 위관영양법으로 투여;
중간 한약 그룹: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한약 조성물 2mg/kg을 위관영양법으로 투여;
낮은 한약 그룹: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한약 조성물 8mg/kg을 위관영양법으로 투여.
14일 동안 연속 투여 후 쥐의 행동 반응 및 통증 역치를 기록하였다.
4. 관찰 항목
쥐의 왼쪽 수염 패드를 기계적 역치 테스터로 자극했다. 수술 전 기본 통증 역치, 수술 2주 후 쥐의 행동 반응 및 통증 역치(PT) 및 치료 후 시간에 따른 Pt의 변화 경향을 기록하였다. 기계적 자극의 강도는 작은 것에서 큰 것이어야 한다. 다음 행동 변화 중 하나가 발생하면 통증 역치인 사용 강도를 기록한다(juhana et al.이 공식화한 표준에 따르면 다음 행동은 Vos의 행동 반응 점수 시스템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며, 이는 가장 해로운 거동을 나타낸다).
(1) 철수 반응(withdrawal reaction), 동물은 머리의 빠른 후퇴를 보였다; (2) 도주 또는 공격적 행동, 예를 들어 도주, 몸을 웅크리고 머리를 숨기거나 자극물을 물어뜯거나 잡는 행동 (3) 비대칭 얼굴 긁는 행동, 즉 자극받은 부위를 묻지 않고 얼굴을 3회 이상 씻거나 긁는 행동; (4) 자극 강도가 26g일 때 위의 반응 중 어느 것도 일어나지 않으면 통증 역치는 26g이다. 쥐의 행동 반응이 자극 강도가 n일 때 일정하지 않고 자극 강도가 n+1일 때 일정하다면, 통증 역치는 2n+1/2이다.
5. 실험결과 및 분석
두 그룹의 기계적 자극 후 측정된 통증 역치는 평균±표준편차로 표현하였으며, 분산분석과 t-검정을 반복하여 SPSS11.0 소프트웨어를 적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으며, P<0.05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한약 조성물이 쥐의 삼차신경통 모델에 치료 효과가 있다.
카바마제핀 그룹과 각 한약 조성물 치료 그룹의 서로 다른 시간대의 통증역치는 모델 그룹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이는 삼차신경통에 대한 치료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이 중 한약 그룹과 모델 그룹 사이에 각 용량의 차이가 매우 유의하게 나타났고(P<0.01), 카바마제핀 그룹과 일반 삼차신경통치료제 그룹 간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한약 조성물은 혀인두 신경통과 복합된 삼차신경통에 용량 의존적으로 우수한 치료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한약 조성물은 삼차신경통에 대한 장기적인 치료 효과가 더 우수하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므로, 어떠한 등가의 치환도 본 발명에 자명하며 본 발명에 포함된다.

Claims (5)

  1. 하기 원료를 중량부로 하여 제조되는 삼차신경통 치료용 한약 조성물:
    10-15중량부의 하고초(spica prunellae), 10-15중량부 차전초(plantain herb), 6-10중량부의 반하(Pinellia ternata), 10-15중량부의 감초(licorice), 10-15중량부의 작약(red peony).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약 조성물은 6중량부의 백합(lily), 12중량부의 산조인(semen ziziphi spinosae) 및 8중량부의 버베나(verbena)를 더 포함하는,
    한약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약 조성물은 혼합물, 정제 또는 캡슐로 제공되는,
    한약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의 한약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각 약재를 상기 중량으로 취하고, 약재 총중량의 5~15배의 물을 첨가하고, 10~60분간 침지하고(soaking), 매회 1~3시간씩 1~4회 달이고(decocting), 여과하고, 여과액을 합하고, 60℃에서 시험한 결과인 상대밀도 1.05-1.25로 상기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고, 알코올 도수 60~90%(v/v)로 에탄올을 첨가하고, 24시간 방치 후 상등액을 취하고, 상기 에탄올을 회수하여 농축함을 포함하는,
    방법.
  5. 혀인두 신경통이 복합된 삼차신경통 치료용 또는 예방용 약제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제1항 또는 제2항의 한약 조성물.

KR1020220151790A 2022-11-14 한약재 및 그 제조방법 KR20240070222A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0222A true KR20240070222A (ko) 2024-05-21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7138B1 (ko) 섬유근통증 치료제
WO2014180239A1 (zh) 一种治疗重症高原病的药物组合物
CN104983844A (zh) 具有粘膜修复功能的组合物配方及其制剂的制备过程
CN101780227B (zh) 一种治疗中风急性期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0090207A (zh) 丙戊酸钠在制备抑制胶质瘢痕形成的药物中的应用及其药物组合物
CN103664936A (zh) 一类治疗创伤性脑损伤疾病的化合物及其用途
CN103505612A (zh) 一种含有沙棘总黄酮的中药组合物及制备方法
KR20240070222A (ko) 한약재 및 그 제조방법
KR20230132098A (ko) 한약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548020B (zh) 一种药物组合物在制备治疗老年痴呆症药物中的用途
CN106310179A (zh) 一种中药组合物在制备治疗急慢性胃肠炎的药物中的应用
CN102204956B (zh) 一种用于中风恢复期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2319330B (zh) 一种治疗骨质增生的中药巴布膏及其制备方法
CN101342208B (zh) 一种治疗冠心病、心绞痛、心律失常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4800551A (zh) 一种用于脑血栓发作后恢复期治疗的中药组合物
CN104435437B (zh) 一种治疗三叉神经痛并发舌咽神经痛的中药及其制备方法
CN104666874A (zh) 一种治疗快速性心律失常的中药胶囊
KR20020078850A (ko) 신경보호작용을 갖는 당귀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적제제
CN103585460B (zh) 一种用于牙龈止血的填塞剂
CN106581468A (zh) 一种能够治疗胃溃疡的中药制备方法
CN107095977A (zh) 一种具有祛火排毒功效的药剂及其药物配方和制备方法
CN100431532C (zh) 一种由灯盏花素和冰片组成的复方注射制剂及其制备方法
CN105343454A (zh) 一种治疗血栓的中药胶囊及其制备方法
CN1543969A (zh) 茅莓总皂苷在制备治疗脑缺血等疾病药物中的应用
CN104547111B (zh) 治疗三叉神经痛合并睡眠障碍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