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9793A - 보체 인자 d 억제제로서의 화합물, 이의 약학 조성물 및 용도 - Google Patents

보체 인자 d 억제제로서의 화합물, 이의 약학 조성물 및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9793A
KR20240069793A KR1020247013828A KR20247013828A KR20240069793A KR 20240069793 A KR20240069793 A KR 20240069793A KR 1020247013828 A KR1020247013828 A KR 1020247013828A KR 20247013828 A KR20247013828 A KR 20247013828A KR 20240069793 A KR20240069793 A KR 20240069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formula
independently
synthesis
azaspir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13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준 로우
징캉 우
리 리우
유유 순
용카이 천
이한 장
시아오친 루
펑 저우
잉 천
리치안 장
판 양
차오동 왕
Original Assignee
우한 크리에이터나 사이언스 앤드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한 크리에이터나 사이언스 앤드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우한 크리에이터나 사이언스 앤드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40069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979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2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211/00 - C07D219/00
    • C07D22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211/00 - C07D219/00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221/20Spiro-condensed r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carbazo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38The ring being spiro-condensed with carbocyclic o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kidne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one carbocyclic ring
    • C07D209/54Spiro-condensed

Abstract

보체 인자 D 억제제로서의 화합물, 이의 약학 조성물 및 용도를 개시하고, 구체적으로 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호변 이성질체, 이의 입체 이성질체, 이의 전구약물, 또는 전술한 것 중 어느 하나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전술한 것 중 어느 하나의 용매화물을 개시하며, 상기 화합물은 보체 인자 D에 대해 우수한 억제 활성을 가지고 우수한 약동학 및 약효 활성을 가진다.

Description

보체 인자 D 억제제로서의 화합물, 이의 약학 조성물 및 용도
본 출원은 출원일자가 2021년 9월 30일인 중국 특허출원 2021111658382 및 출원일자가 2022년 9월 22일인 중국 특허출원 2022111607012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상기 중국 특허출원의 전문을 인용한다.
본 발명은 약물 분야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보체 인자 D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화합물, 이의 약학 조성물 및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보체는 인간과 척추동물의 혈청, 조직액 및 세포막 표면에 널리 존재하는 단백질로서, 면역 및 염증 반응을 매개하고 대부분이 당단백질이며 간세포, 대식세포 및 장점막 상피 세포 등 다양한 세포에서 생성된다. 보체는 항체가 세포용해 효과를 구현하기 위한 필요한 보충 조건이므로 보체라고 명명하였으나 실제로는 특이적 및 비특이적 면역을 매개한다. 보체 체계의 세 가지 활성화 경로는 고전적 경로, 만난 결합 렉틴 경로(MBL) 및 대체(우회) 경로를 포함한다. 보체 인자 D는 보체 우회 경로 계단식 활성화에서 초기적 및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우회 보체 경로의 활성화는 C3 내의 티오에스테르 결합의 자발적인 가수분해에 의해 C3(H2O)을 생성하여 유도되며, C3(H2O)이 인자 B와 결합하여 C3(H2O) B 복합체를 형성한다. 보체 인자 D의 작용은 C3(H2O) B 복합체 내의 인자 B를 절단하여 Ba 및 Bb를 형성하는 것이다. Bb는 C3b와 결합하여 C3 전환효소를 형성하는 것 외에도 사전 활성화된 B 림프구의 증식에도 참여하는 반면 Ba는 이의 증식을 억제한다. D 인자는 지방에서 높은 수준으로 발현되며 포도당 수송을 자극하고 지방 세포에서 트리글리세리드의 축적을 촉진하고 지방 분해를 억제할 수 있다.
보체 체계의 조절 장애는 IgA 신장병(IgAN), 루푸스 신장염(LN) 및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PNH)의 병원성 메커니즘에 모두 중요한 역할을 하고, IgAN, LN의 신장 병리학 검출에서 보체 성분과 면역 적합 물질의 침착을 흔히 볼 수 있으며, 보체는 PNH 용혈을 유발하는 직접적인 원인이고 C5aR은 보체 체계 손상의 증폭에 관여하고 CFB 및 CFD는 보체 우회 경로의 핵심 구성 요소이며 보체 활성화의 조절에 직접 관여한다. 따라서 C5aR, CFB, CFD는 IgAN, LN 및 PNH의 발병 메커니즘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PNH)은 희귀하고 생명을 위협하는 혈액 질환으로서, 보체에 의해 유발된 용혈, 혈전 형성 및 골수 기능 손상을 특징으로 하며, 빈혈, 피로 및 다른 쇠약 증상을 유발하고 이러한 증상은 환자의 삶의 질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 현재 PNH에 대한 시판 중인 약물은 주로 단일클론 항체 약물인 솔리리스(Soliris) 및 울토미리스(Ultomiris)이다. 여기서 솔리리스는 2007년 처음 시판 승인을 받았으며,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PNH), 비정형 용혈성 요독증후군(aHUS), 전신 중증근육무력증(gMG), 시신경척수염 스펙트럼 장애(NMOSD) 등 다양한 초희귀질환에 대한 승인을 받았다. 울토미리스는 솔리리스의 업그레이드 버전 제품으로, 2018년 말에 처음 시판 승인을 받은 2세대 지속성 C5 보체 억제제이며 승인된 적응증으로는 PNH, aHUS를 포함한다. 현재의 항-C5 표준 치료법을 사용하여 치료를 수행함에도 불구하고, 많은 PNH 환자가 여전히 빈혈이 있고 수혈에 의존한다.
현재 시중에는 보체 인자 D에 대한 소분자 억제제가 없으며, 표적은 보체 대체 경로이고 보체에 의해 유발된 신장 질환(CDRD)의 주요 동인이므로 상기 질환의 치료에 대해 생물학적 활성이 좋은 소분자 억제제를 개발하는 것은 긍정적인 의미를 갖는다.
본 발명은 기존 보체 인자 D의 소분자 억제제의 종류가 적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체 인자 D의 억제제로서의 화합물, 이의 약학 조성물 및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 화합물은 보체 인자 D에 대해 우수한 억제 활성을 가지며 우수한 약동학 및 약효 활성을 가진다.
본 발명은 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호변 이성질체, 이의 입체 이성질체, 이의 전구약물, 또는 전술한 것 중 어느 하나(전술한 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호변 이성질체,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전구약물)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전술한 것 중 어느 하나(전술한 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호변 이성질체, 이의 입체 이성질체, 이의 전구약물 또는 전술한 것 중 어느 하나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용매화물을 제공하며,
(I)
상기 식에서,
R1은 H, D, C1-6알킬 또는 1, 2 또는 3개의 R1-1에 의해 치환된 C1-6알킬이고; 각 R1-1은 독립적으로 할로겐, -CN, -OH, C1-6알콕시 또는 -NH2이고;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H, D, 할로겐, C1-6알킬 또는 1, 2 또는 3개의 R2-1에 의해 치환된 C1-6알킬이고; 각 R2-1은 독립적으로 할로겐, -CN, -OH, C1-6알콕시 또는 -NH2이고;
R4는 H 또는 할로겐이고; m은 0, 1, 2 또는 3이고;
R5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CN, C1-6알킬 또는 C1-6알콕시이고;
R6은 C7-12사이클로알킬, 1, 2 또는 3개의 R6-1에 의해 치환된 C7-12사이클로알킬, "헤테로 원자가 N, O 및 S에서 선택되는 1가지, 2가지 또는 3가지이고 헤테로 원자의 수가 1, 2 또는 3개인 7원 내지 12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또는 1, 2 또는 3개의 R6-2에 의해 치환된 "헤테로 원자가 N, O 및 S에서 선택되는 1가지, 2가지 또는 3가지이고 헤테로 원자의 수가 1, 2 또는 3개인 7원 내지 12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고;
R6-1 및 R6-2는 각각 독립적으로 하이드록실, 옥소(=O), 할로겐, C1-6알킬, C1-6알콕시, C1-6할로알킬, C1-6할로알콕시, C3-6사이클로알킬 또는 -(CH2)p-C3-6사이클로알킬이고; p는 1, 2, 3 또는 4이고;
R6, R6-1 및 R6-2에서 상기 사이클로알킬은 독립적으로 단일 고리, 가교 고리 또는 스피로 고리이고;
R6에서 상기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단일 고리, 가교 고리 또는 스피로 고리이고;
R8은 H, 할로겐 또는 C1-6알킬이고;
R9는 H, 할로겐, C1-6알킬 또는 1, 2 또는 3개의 R9-1에 의해 치환된 C1-6알킬이고;
각 R9-1은 독립적으로 할로겐, -CN, -OH 또는 -NH2이고; n은 0, 1, 2, 3 또는 4이고;
L은 -(CRaRb)q-이고; q는 0, 1, 2 또는 3이고;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H, D 또는 할로겐이거나, Ra 및 Rb는 함께 연결되어 C3-6사이클로알킬렌을 형성하고, 형성된 사이클로알킬렌은 단일 고리, 가교 고리 또는 스피로 고리이며;
R10은 -COOH 또는 -C(=O)ORc이고;
Rc는 C1-6알킬 또는 1, 2 또는 3개의 Rc-1에 의해 치환된 C1-6알킬이고; 각 Rc-1은 독립적으로 할로겐, -OH 또는 -C(=O)OC(CH3)3이고;
X는 CRd 또는 N이고; Rd는 H, 할로겐 또는 C1-6알킬이다.
본 발명의 어느 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식(I-1)으로 표시되는 구조를 가지며,
(I-1)
상기 식에서, R1, R2, R3, R4, R5, R6, R7, R8, R9, R10, Rd, L, m 및 n은 본 발명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어느 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식(I-2)으로 표시되는 구조를 가지며,
(I-2)
상기 식에서, R1, R2, R3, R4, R5, R6, R7, R8, R9, R10, L, m 및 n은 본 발명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어느 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식(I-3)으로 표시되는 구조를 가지며,
(I-3)
상기 식에서, X, R1, R2, R3, R4, R5, R6, R7, R8, R9, R10, L 및 n은 본 발명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어느 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식(I-4)으로 표시되는 구조를 가지며,
(I-4)
상기 식에서, X, R1, R2, R3, R4, R5, R6, R7, R8, R9, R10, L, m 및 n은 본 발명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으며; ""로 표시된 탄소 원자가 카이랄 탄소 원자인 경우 이는 R 배열, S 배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부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호변 이성질체, 이의 입체 이성질체, 이의 전구약물, 또는 전술한 것 중 어느 하나(전술한 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호변 이성질체,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전구약물)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전술한 것 중 어느 하나(전술한 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호변 이성질체, 이의 입체 이성질체, 이의 전구약물 또는 전술한 것 중 어느 하나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용매화물 중 특정 기는 하기에 정의된 바와 같고, 언급되지 않은 기는 본 발명의 어느 한 형태에 서술한 바와 같다(이하 "본 발명의 어느 한 형태에 있어서"라고 함).
본 발명의 어느 한 형태에 있어서, R1은 H이다.
본 발명의 어느 한 형태에 있어서,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H, C1-6알킬 또는 1, 2 또는 3개의 R2-1에 의해 치환된 C1-6알킬이고; 각 R2-1은 독립적으로 할로겐 또는 -OH이고, 상기 할로겐은 바람직하게는 F이다.
본 발명의 어느 한 형태에 있어서,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H, C1-3알킬 또는 1, 2 또는 3개의 R2-1에 의해 치환된 C1-3알킬이고; 각 R2-1은 독립적으로 할로겐 또는 -OH이고, 상기 할로겐은 바람직하게는 F이다.
본 발명의 어느 한 형태에 있어서, m은 0 또는 1이다.
본 발명의 어느 한 형태에 있어서, R6은 "헤테로 원자가 N, O 및 S에서 선택되는 1가지, 2가지 또는 3가지이고 헤테로 원자의 수가 1, 2 또는 3개인 8원 내지 11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또는 1, 2 또는 3개의 R6-2에 의해 치환된 "헤테로 원자가 N, O 및 S에서 선택되는 1가지, 2가지 또는 3가지이고 헤테로 원자의 수가 1, 2 또는 3개인 8원 내지 11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고, 여기서 상기 8원 내지 11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6-아자스피로[2.5]옥틸, 5-아자스피로[2.5]옥틸, 6-아자스피로[3.4]옥틸, 2-아자스피로[3.4]옥틸, 2-옥사-6-아자스피로[3.4]옥틸, 6-옥사-2-아자스피로[3.4]옥틸, 4-옥사-7-아자스피로[2.5]옥틸, 2-아자스피로[4.4]노닐, 2-아자스피로[3.5]노닐, 2-옥사-7-아자스피로[3.5]노닐, 1-옥사-7-아자스피로[3.5]노닐, 7-아자스피로[3.5]노닐, 2,7-디아자스피로[3.5]노닐, 2-옥사-8-아자스피로[4.5]데실, 3-옥사-9-아자스피로[5.5]운데실, 2-옥사-9-아자스피로[5.5]운데실, 3,9-디아자스피로[5.5]운데실 또는 3-아자비사이클로[3.2.1]옥틸이다.
본 발명의 어느 한 형태에 있어서, R6은 "헤테로 원자가 N, O 및 S에서 선택되는 1가지, 2가지 또는 3가지이고 헤테로 원자의 수가 1, 2 또는 3개인 8원 내지 11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또는 1, 2 또는 3개의 R6-2에 의해 치환된 "헤테로 원자가 N, O 및 S에서 선택되는 1가지, 2가지 또는 3가지이고 헤테로 원자의 수가 1, 2 또는 3개인 8원 내지 11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고, 여기서 상기 8원 내지 11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6-아자스피로[2.5]옥틸, 5-아자스피로[2.5]옥틸, 6-아자스피로[3.4]옥틸, 2-아자스피로[3.4]옥틸, 2-옥사-6-아자스피로[3.4]옥틸, 6-옥사-2-아자스피로[3.4]옥틸, 4-옥사-7-아자스피로[2.5]옥틸, 2-아자스피로[4.4]노닐, 2-아자스피로[3.5]노닐, 2-옥사-7-아자스피로[3.5]노닐, 1-옥사-7-아자스피로[3.5]노닐, 7-아자스피로[3.5]노닐, 2,7-디아자스피로[3.5]노닐, 2-옥사-8-아자스피로[4.5]데실, 3-옥사-9-아자스피로[5.5]운데실, 2-옥사-9-아자스피로[5.5]운데실, 3,9-디아자스피로[5.5]운데실, 3-아자비사이클로[3.2.1]옥틸, 3-아자스피로[5,5]운데실, 8-아자스피로[4.5]데실 또는 1-옥사-6-아자스피로[3,4] 옥틸이다.
본 발명의 어느 한 형태에 있어서, R5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할로겐이고, 상기 할로겐은 바람직하게는 F이다.
본 발명의 어느 한 형태에 있어서, 각 R6-2는 독립적으로 하이드록실 또는 C1-6알킬이고, 상기 C1-6알킬은 바람직하게는 메틸이다.
본 발명의 어느 한 형태에 있어서, 각 R6-2는 독립적으로 하이드록실 또는 C1-3알킬이고, 바람직하게는, 각 R6-2는 독립적으로 하이드록실, 메틸, 에틸, n-프로필 또는 이소프로필이다.
본 발명의 어느 한 형태에 있어서, R8은 H이다.
본 발명의 어느 한 형태에 있어서, R9는 H 또는 할로겐이고, 상기 할로겐은 바람직하게는 F이다.
본 발명의 어느 한 형태에 있어서, n은 0 또는 1이다.
본 발명의 어느 한 형태에 있어서, q는 1이다.
본 발명의 어느 한 형태에 있어서,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H이다.
본 발명의 어느 한 형태에 있어서, R10은 -COOH이다.
본 발명의 어느 한 형태에 있어서, Rd는 H이다.
본 발명의 어느 한 형태에 있어서, R6은 "헤테로 원자가 N, O 및 S에서 선택되는 1가지, 2가지 또는 3가지이고 헤테로 원자의 수가 1, 2 또는 3개인 8원 내지 10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또는 1, 2 또는 3개의 R6-2에 의해 치환된 "헤테로 원자가 N, O 및 S에서 선택되는 1가지, 2가지 또는 3가지이고 헤테로 원자의 수가 1, 2 또는 3개인 8원 내지 10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고, 여기서 상기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가교 고리 또는 스피로 고리이다.
본 발명의 어느 한 형태에 있어서, R6은 "헤테로 원자가 N, O 및 S에서 선택되는 1가지, 2가지 또는 3가지이고 헤테로 원자의 수가 1, 2 또는 3개인 8원 내지 11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또는 1, 2 또는 3개의 R6-2에 의해 치환된 "헤테로 원자가 N, O 및 S에서 선택되는 1가지, 2가지 또는 3가지이고 헤테로 원자의 수가 1, 2 또는 3개인 8원 내지 11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고, 여기서 상기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가교 고리 또는 스피로 고리이다.
본 발명의 어느 한 형태에 있어서, R1은 H이고;
R2 및 R3 각각 독립적으로 H, C1-3알킬 또는 1, 2 또는 3개의 R2-1에 의해 치환된 C1-3알킬이고; 각 R2-1은 독립적으로 할로겐 또는 -OH이고;
R4는 H 또는 할로겐이고; m은 0 또는 1이고;
R5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할로겐이고;
R6은 "헤테로 원자가 N, O 및 S에서 선택되는 1가지, 2가지 또는 3가지이고 헤테로 원자의 수가 1, 2 또는 3개인 8원 내지 11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또는 1, 2 또는 3개의 R6-2에 의해 치환된 "헤테로 원자가 N, O 및 S에서 선택되는 1가지, 2가지 또는 3가지이고 헤테로 원자의 수가 1, 2 또는 3개인 8원 내지 11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고, 여기서 상기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가교 고리 또는 스피로 고리이고;
각 R6-2는 독립적으로 하이드록실 또는 C1-3알킬이고;
R8은 H이고;
R9는 H 또는 할로겐이고; n은 0 또는 1이고;
L은 -(CRaRb)q-이고, q는 1이고;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H이고;
R10은 -COOH이고;
X는 CRd 또는 N이고; Rd는 H이다.
본 발명의 어느 한 형태에 있어서, R1, R2, R3, R5, R7, R6-1, R6-2, R8, R9, Rc 및 Rd에서, 상기 각 알킬은 독립적으로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또는 tert-부틸이고, 바람직하게는 메틸 또는 에틸이다.
본 발명의 어느 한 형태에 있어서, R1-1, R2-1, R5, R7, R6-1 및 R6-2에서, 상기 각 알콕시는 독립적으로 메톡시, 에톡시, n-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n-부톡시, 이소부톡시 또는 tert-부톡시이다.
본 발명의 어느 한 형태에 있어서, R1-1, R2, R3, R2-1, R4, R5, R7, R6-1, R6-2, R8, R9, R9-1, Ra, Rb, Rc-1 및 Rd에서, 상기 각 할로겐은 독립적으로 F, Cl, Br 또는 I이고, 바람직하게는 F이다.
본 발명의 어느 한 형태에 있어서, R6에서, 상기 각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독립적으로 "헤테로 원자가 N, O 및 S에서 선택되는 1가지, 2가지 또는 3가지이고 헤테로 원자의 수가 1 또는 2개인 8원 내지 11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고, 상기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가교 고리 또는 스피로 고리이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N 원자를 통해 모체와 연결되고; 상기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바람직하게는 이다.
본 발명의 어느 한 형태에 있어서, R6이다.
본 발명의 어느 한 형태에 있어서, R2는 H이고, R3은 H, -CH3, -CH2OH, -CH2CH2OH, -CH2F 또는 -CF2H이다.
본 발명의 어느 한 형태에 있어서, R1은 H이고;
R2는 H이고, R3은 H, -CH3 또는 -CH2F이고;
R4는 H 또는 할로겐이고, m은 0 또는 1이고;
R5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F이고;
R6은 "헤테로 원자가 N, O 및 S에서 선택되는 1가지, 2가지 또는 3가지이고 헤테로 원자의 수가 1, 2 또는 3개인 8원 내지 11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또는 1, 2 또는 3개의 R6-2에 의해 치환된 "헤테로 원자가 N, O, S에서 선택되는 1가지, 2가지 또는 3가지이고 헤테로 원자의 수가 1, 2 또는 3개인 8원 내지 11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고;
각 R6-2는 독립적으로 하이드록실 또는 C1-3알킬이고;
R8은 H이고;
R9는 H 또는 F이고; n은 0 또는 1이고;
L은 -(CRaRb)q-이고; q는 1이고;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H이고;
R10은 -COOH이고;
X는 CRd 또는 N이고; Rd는 H이다.
본 발명의 어느 한 형태에 있어서, R1은 H이고;
R2는 H이고, R3은 H, -CH3 또는 -CH2F이고;
R4는 H 또는 할로겐이고, m은 0 또는 1이고;
R5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H이고;
R6은 "헤테로 원자가 N, O 및 S에서 선택되는 1가지, 2가지 또는 3가지이고 헤테로 원자의 수가 1, 2 또는 3개인 8원 내지 10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또는 1, 2 또는 3개의 R6-2에 의해 치환된 "헤테로 원자가 N, O, S에서 선택되는 1가지, 2가지 또는 3가지이고 헤테로 원자의 수가 1, 2 또는 3개인 8원 내지 10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고;
R6-2는 하이드록실이고;
R8은 H이고;
R9는 H 또는 F이고; n은 0 또는 1이고;
L은 -(CRaRb)q-이고; q는 1이고;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H이고;
R10은 -COOH이고;
X는 CRd이고; Rd는 H이다.
본 발명의 어느 한 형태에 있어서, R1은 H이고;
R2는 H이고, R3은 H, -CH3 또는 -CH2F이고;
R4는 H 또는 할로겐이고, m은 0 또는 1이고;
R5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F이고;
R6은 "헤테로 원자가 N, O 및 S에서 선택되는 1가지, 2가지 또는 3가지이고 헤테로 원자의 수가 1, 2 또는 3개인 8원 내지 10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또는 1, 2 또는 3개의 R6-2에 의해 치환된 "헤테로 원자가 N, O, S에서 선택되는 1가지, 2가지 또는 3가지이고 헤테로 원자의 수가 1, 2 또는 3개인 8원 내지 10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고;
각 R6-2는 독립적으로 C1-3알킬이고;
R8은 H이고;
R9는 H 또는 F이고; n은 0 또는 1이고;
L은 -(CRaRb)q-이고; q는 1이고;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H이고;
R10은 -COOH이고;
X는 CRd 또는 N이고; Rd는 H이다.
본 발명의 어느 한 형태에 있어서, R1은 H이고;
R2는 H이고, R3은 H, -CH3 또는 -CH2F이고;
R4는 H 또는 할로겐이고, m은 0 또는 1이고;
R5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F이고;
R6은 "헤테로 원자가 N, O 및 S에서 선택되는 1가지, 2가지 또는 3가지이고 헤테로 원자의 수가 1, 2 또는 3개인 8원 내지 10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또는 1, 2 또는 3개의 R6-2에 의해 치환된 "헤테로 원자가 N, O, S에서 선택되는 1가지, 2가지 또는 3가지이고 헤테로 원자의 수가 1, 2 또는 3개인 8원 내지 10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고;
각 R6-2는 독립적으로 하이드록실 또는 C1-3알킬이고;
R8은 H이고;
R9는 H 또는 F이고; n은 0 또는 1이고;
L은 -(CRaRb)q-이고; q는 1이고;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H이고;
R10은 -COOH이고;
X는 CRd 또는 N이고; Rd는 H이다.
본 발명의 어느 한 형태에 있어서, R1은 H이고;
R2는 H이고, R3은 H, -CH3 또는 -CH2F이고;
R4는 H 또는 할로겐이고, m은 0 또는 1이고;
R5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H이고;
R6 또는 1개의 R6-2에 의해 치환된 하기의 기: 이며;
R6-2는 하이드록실이고;
R8은 H이고;
R9는 H 또는 F이고; n은 0 또는 1이고;
L은 -(CRaRb)q-이고; q는 1이고;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H이고;
R10은 -COOH이고;
X는 CRd이고; Rd는 H이다.
본 발명의 어느 한 형태에 있어서, R1은 H이고;
R2는 H이고, R3은 H, -CH3 또는 -CH2F이고;
R4는 H 또는 할로겐이고, m은 0 또는 1이고;
R5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F이고;
R6 또는 1개의 R6-2에 의해 치환된 하기의 기: 이며;
R6-2는 메틸이고;
R8은 H이고;
R9는 H 또는 F이고; n은 0 또는 1이고;
L은 -(CRaRb)q-이고; q는 1이고;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H이고;
R10은 -COOH이고;
X는 CRd 또는 N이고; Rd는 H이다.
본 발명의 어느 한 형태에 있어서, R1은 H이고;
R2는 H이고, R3은 H, -CH3 또는 -CH2F이고;
R4는 H 또는 할로겐이고, m은 0 또는 1이고;
R5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F이고;
R6 또는 1개의 R6-2에 의해 치환된 하기의 기: 이며;
R6-2는 하이드록실 또는 메틸이고;
R8은 H이고;
R9는 H 또는 F이고; n은 0 또는 1이고;
L은 -(CRaRb)q-이고; q는 1이고;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H이고;
R10은 -COOH이고;
X는 CRd 또는 N이고; Rd는 H이다.
본 발명의 어느 한 형태에 있어서, R1은 H이고;
R2는 H이고, R3은 H, -CH3 또는 -CH2F이고;
R4는 H 또는 F이고, m은 0 또는 1이고;
R5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F이고;
R6이고;
R8은 H이고;
R9는 H 또는 F이고; n은 0 또는 1이고;
L은 -(CRaRb)q-이고; q는 1이고;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H이고;
R10은 -COOH이고;
X는 CRd 또는 N이고; Rd는 H이다.
본 발명의 어느 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합물 중 어느 하나에서 선택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또는 .
본 발명의 어느 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합물 중 어느 하나에서 선택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또는 .
본 발명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방법을 더 제공한다.
(1) 식 II-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탈보호 반응시켜 식 II-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수득하는 단계;
(2) 식 II-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가수분해하여 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식에서, R10은 -COOH,R1, R2, R3, R4, R5, R6, R7, R8, R9, Rc, X, L, m 및 n은 본 발명 중 어느 한 형태에 정의된 바와 같고, 상기 탈보호 반응 및 가수분해 반응의 조건 및 조작은 당업계에서 이러한 반응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조건 및 조작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R1은 H이다.
본 발명의 어느 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식에서, R10은 -COOH,R1, R2, R3, R4, R5, R6, R7, R8, R9, Rc, X, L, m 및 n은 본 발명 중 어느 한 형태에 정의된 바와 같고, 상기 반응의 조건 및 조작은 당업계에서 이러한 반응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조건 및 조작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R1은 H이다.
본 발명은 식 II-3 또는 식 II-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더 제공하며,
또는
상기 식에서, R1, R2, R3, R4, R5, R6, R7, R8, R9, X, L, Rc, m 및 n은 본 발명 중 어느 한 형태에 정의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어느 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식 II-3 또는 식 II-4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R1은 H이다.
본 발명은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어느 하나의 화합물을 더 제공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또는 .
본 발명은,
(1) 전술한 것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호변 이성질체, 이의 입체 이성질체, 이의 전구약물, 또는 전술한 것 중 어느 하나(전술한 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호변 이성질체,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전구약물)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전술한 것 중 어느 하나(전술한 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호변 이성질체, 이의 입체 이성질체, 이의 전구약물 또는 전술한 것 중 어느 하나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용매화물; 및
(2)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보체 인자 D에 의해 매개되는 질환을 치료 및/또는 예방하기 위한 약물의 제조에 있어서의 전술한 것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호변 이성질체, 이의 입체 이성질체, 이의 전구약물, 또는 전술한 것 중 어느 하나(전술한 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호변 이성질체,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전구약물)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전술한 것 중 어느 하나(전술한 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호변 이성질체, 이의 입체 이성질체, 이의 전구약물 또는 전술한 것 중 어느 하나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용매화물, 또는 전술한 것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용도를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필요한 개체에게 치료 유효량의 물질 X 또는 전술한 것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약학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보체 인자 D에 의해 매개되는 질환을 치료 및/또는 예방하는 방법을 더 제공하며, 상기 물질 X는 전술한 것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호변 이성질체, 이의 입체 이성질체, 이의 전구약물, 또는 전술한 것 중 어느 하나(전술한 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호변 이성질체,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전구약물)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전술한 것 중 어느 하나(전술한 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호변 이성질체, 이의 입체 이성질체, 이의 전구약물 또는 전술한 것 중 어느 하나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용매화물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체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이다.
본 발명의 어느 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보체 인자 D에 의해 매개되는 질환은 혈액 질환, 신장 질환, 심혈관 질환, 면역 질환, 중추신경계 질환, 호흡기 질환, 비뇨생식기 질환 또는 안구 질환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체 인자 D에 의해 매개되는 질환은 혈액 질환, 신장 질환, 심혈관 질환, 면역 질환, 중추신경계 질환, 안구 질환 등이다.
본 발명의 어느 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보체 인자 D에 의해 매개되는 질환은 한랭 응집소병, 치명적인 항인지질 증후군, 용혈성 빈혈, 항호중구 세포질 항체(ANCA) 관련 혈관염(AAV), 온난항체형 자가면역 용혈성 빈혈,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 IgA 신장병, 루푸스 신장염, 비정형 용혈성 요독 증후군, 막증식성 사구체신염(MPGN), 고밀도 침착병, C3 사구체신염, 국소 분절성 사구체 경화증, 당뇨병성 신장병, 전신성 루푸스 또는 홍반성 루푸스, 류마티스 관절염, 염증성 장 질환, 건선, 다발성 경화증, 장기 이식 거부 반응, 중증 근육무력증, 알츠하이머병, 호흡곤란 증후군, 천식, 만성 폐쇄성 폐질환, 폐기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예를 들어 SARS-CoV, MERS-CoV 또는 SARS-CoV-2 감염), 황반 변성, 연령관련 황반변성(AMD), 황반부종, 당뇨병성 황반부종, 맥락막 혈관신생(CNV), 포도막염, 베체트 포도막염, 증식성 당뇨망막병증, 비증식성 당뇨망막병증, 녹내장, 고혈압성 망막병증, 각막 신생혈관 질환, 각막 이식 후 거부반응, 각막 이영양증, 자가면역 안구건조증, 스티븐스-존슨 증후군(Stevens-Johnson syndrome), 쇼그렌 증후군(Sjogren syndrome), 환경성 안구건조증, 푹스(Fuchs) 각막 내피 이영양증, 망막 정맥 폐쇄 또는 수술 후 염증이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있어서, 상기 면역 질환은 루푸스, 동종이식 거부반응, 자가면역 갑상선 질환(예를 들어 그레이브스병(Graves disease) 및 하시모토 갑상선염(Hashimoto's disease)), 자가면역 포도막염, 거대 세포 동맥염, 염증성 장 질환(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국소성 장염, 육아종성 장염, 회장 말단염, 국소성 회장염 및 말단 회장염을 포함), 당뇨병, 다발성 경화증, 악성 빈혈, 건선, 류마티스 관절염, 유육종증 및 경피증 등이다.
추가로, 상기 보체 인자 D에 의해 매개되는 질환으로는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 IgA 신장병, 루푸스 신장염, 비정형 용혈성 요독 증후군, 장기 이식 거부 반응, 중증 근육무력증, 시신경척수염, 막증식성 사구체신염, 고밀도 침착병, 한랭응집소병 및 치명적인 항인지질증후군, C3 사구체신염 및 국소 분절성 사구체 경화증, 황반 변성, 연령관련 황반변성(AMD), 황반부종, 당뇨병성 황반부종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보체 인자 D 억제제 약물의 제조에 있어서의 전술한 것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호변 이성질체, 이의 입체 이성질체, 이의 전구약물, 또는 전술한 것 중 어느 하나(전술한 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호변 이성질체,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전구약물)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전술한 것 중 어느 하나(전술한 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호변 이성질체, 이의 입체 이성질체, 이의 전구약물 또는 전술한 것 중 어느 하나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용매화물, 또는 전술한 것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용도를 더 제공한다.
상기 용도에 있어서, 상기 보체 인자 D 억제제 약물은 포유동물 생체 내에 사용할 수 있고, 주로 실험적 용도로 생체 외에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비교를 제공하기 위한 표준 시료 또는 대조군 시료로 사용하거나, 보체 인자 D의 억제 효과를 신속하게 검출하기 위해 당업계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키트로 제조한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
당업자는 당업계에 사용되는 관례에 따라 본 발명에 서술된 기의 구조식에 사용된 ""는 상응하는 기가 해당 부위를 통해 화합물 중 다른 단편, 기와 연결하는 것을 지칭함을 이해할 수 있다.
본문에서 사용된 치환기 앞에는 단일 하이픈 "-"을 붙일 수 있는데 명명된 치환기가 단일 결합을 통해 모체 부분과 연결됨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나열된 연결기의 결합 방향을 명시하지 않은 경우, 이의 결합 방향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읽기 순서와 같은 방향으로 연결한다.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은 염, 용매, 보조재 등 일반적으로 독성이 없고, 안전하며, 환자가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을 지칭한다. 상기 "환자"는 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인간이다. 용어 "포유동물"은 모든 포유동물을 포함한다. 포유동물의 예로는 소, 말, 양, 돼지, 고양이, 개, 마우스, 랫트, 토끼, 기니피그, 원숭이, 인간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본 발명의 화합물이 상대적으로 독성이 없고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산 또는 염기와 제조하여 수득된 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에 상대적으로 산성인 관능기가 함유될 경우, 순수한 용액 또는 적합한 불활성 용매에서 충족한 양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기와 이러한 화합물의 중성 형식으로 접촉시키는 방식으로 염기 부가염을 수득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기 부가염은 리튬염, 나트륨염, 칼륨염, 칼슘염, 알루미늄염, 마그네슘염, 아연염, 비스무트염, 암모늄염, 디에탄올아민염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합물에 상대적으로 염기성 관능기가 함유될 경우, 순수한 용액 또는 적합한 불활성 용매에서 충족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양의 산과 이러한 화합물의 중성 형식으로 접촉시키는 방식으로 산 부가염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산은 무기산을 포함하며, 상기 무기산은 염산, 브롬화수소산, 아이오딘화수소산, 질산, 탄산, 인산, 아인산, 황산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산은 유기산을 포함하며, 상기 유기산은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옥살산, 이소부티르산, 말레산, 말론산, 벤조산, 숙신산, 수베르산, 푸마르산, 락트산, 만델산, 프탈산, 벤젠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구연산, 살리실산, 타르타르산, 메탄술폰산, 이소니코틴산, 산성 구연산, 올레산, 탄닌산, 판토텐산, 타르타르산수소, 아스코르브산, 젠티식산, 푸마르산, 글루콘산, 당산, 포름산, 에탄술폰산, 파모산(즉 4,4'-메틸렌-비스(3-하이드록시-2-나프토산)), 아미노산(예를 들어, 글루탐산, 아르기닌)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 상대적으로 산성 및 상대적으로 염기성인 관능기를 함유하는 경우, 염기 부가염 또는 산 부가염으로 전환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Berge et al., "Pharmaceutical Salts", Journal of Pharmaceutical Science 66: 1 내지 19 (1977), 또는, Handbook of Pharmaceutical Salts: Properties, Selection, and Use(P. Heinrich Stahl and Camille G. Wermuth, ed., Wiley-VCH, 2002)를 참조할 수 있다.
용어 "용매화물"은 본 발명의 화합물이 화학량론적 또는 비화학량론적 용매와 결합하여 형성되는 물질을 지칭한다. 용매화물의 용매 분자는 정렬되거나 정렬되지 않은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물, 메탄올, 에탄올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용매화물" 중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용매화물"은 본 발명의 화합물이, 1, 상대적으로 독성이 없고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산 또는 염기와 제조한 것, 2, 화학량론적 또는 비화학량론적 용매와 결합하여 형성되는 물질을 지칭한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용매화물"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염산염 일수화물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화합물의 정의에서 임의의 변량(예를 들어 R1-1)이 여러 번 나타나는 경우, 해당 변량의 각 위치에 나타나는 정의는 나머지 위치에 나타나는 정의와 무관하며 이들의 의미는 서로 독립적이고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특정 기가 1개, 2개 또는 3개의 R1-1 기에 의해 치환되는 경우, 즉 해당 기가 최대 3개의 R1-1에 의해 치환될 수 있고 해당 위치의 R1-1의 정의는 나머지 위치의 R1-1의 정의는 서로 독립적이다. 이 외에 치환기 및/또는 변량의 조합은 이러한 조합이 안정적인 화합물을 생성하는 경우에만 허용된다.
용어 "A원"에서 A는 정수이며 일반적으로 고리를 형성하는 원자의 수가 A인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피페리디닐은 6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의 예이고 사이클로프로필은 3원 사이클로알킬의 예이며 페닐은 6-원 아릴의 예 등이다.
용어 "A 내지 B원"에서 A 및 B는 정수이며 고리를 형성하는 원자의 수가 A 내지 B의 범위임을 나타낸다.
용어 "할로겐"은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아이오딘을 지칭한다.
용어 "알킬"은 지정된 탄소 원자의 수를 갖는 직쇄 또는 분지쇄의 포화 탄화수소기를 지칭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알킬은 C1-6알킬이고, 예를 들어 C1-5알킬, C1-4알킬, C1-3알킬, C1-2알킬 등이며, 다른 일부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알킬은 C1-3알킬이다. 알킬의 예로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tert-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n-펜틸, n-헥실 및 이의 유사한 알킬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용어 "알콕시"는 RX가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은 알킬인 -O-RX 기를 지칭한다.
용어 "사이클로알킬"은 지정된 고리 탄소 원자 수(예를 들어 C3-6, C7-12)를 가지며 고리 원자가 탄소 원자로만 구성된 포화된 단일 고리, 가교 고리 또는 스피로 고리의 고리형 기를 지칭한다. 모노사이클릭알킬은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헥실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용어 "사이클로알킬렌"은 지정된 고리 탄소 원자 수(예를 들어 C3-6, C7-12)를 가지며 고리 원자가 탄소 원자로만 구성된 포화된 단일 고리, 가교 고리 또는 스피로 고리의 고리형 알칸에서 두 개의 수소가 제거되어 형성된 기를 지칭하며, 제거된 두 개의 수소는 동일한 원자에 있을 수도 있고 상이한 원자에 있을 수도 있다. 모노사이클로알킬렌은 사이클로프로필렌(예를 들어 또는 ), 사이클로부틸렌(예를 들어 , 또는 ), 사이클로펜틸렌(예를 들어 , 또는 ), 사이클로헥실렌(예를 들어 , , 또는 )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용어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지정된 고리 원자 수(예를 들어 7 내지 12개의 고리 원자)를 가지고 이의 고리 원자가 독립적으로 질소, 산소 및 황에서 선택되는 최소 1개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포화 고리형 기를 지칭하며, 이는 단일 고리, 가교 고리 또는 스피로 고리계이다. 바람직하게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에서 헤테로 원자의 수는 1개, 2개 또는 3개이다.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의 탄소 원자 및 헤테로 원자는 선택적으로 산화되어 옥소 또는 황화물 기 또는 다른 산화 결합(예를 들어, C(=O), S(=O), S(=O)2 또는 N산화물 등)을 형성할 수 있거나, 질소 원자는 4차 암모늄화될 수 있다.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고리 형성 탄소 원자 또는 고리 형성 헤테로 원자를 통해 화합물의 다른 단편, 기와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헤테로 원자가 N, O 및 S에서 선택되는 1가지, 2가지 또는 3가지이고 헤테로 원자의 수가 1 또는 2개인 8원 내지 11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고; 다른 일부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헤테로 원자가 N, O 및 S에서 선택되는 1가지, 2가지 또는 3가지이고 헤테로 원자의 수가 1 또는 2개인 8원 내지 10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다.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아제티디닐, 테트라하이드로피롤릴, 테트라하이드로푸릴, 모르폴리닐, 피페리디닐, 6-아자스피로[2.5]옥틸, 5-아자스피로[2.5]옥틸, 6-아자스피로[3.4]옥틸, 2-아자스피로[3.4]옥틸, 2-옥사-6-아자스피로[3.4]옥틸, 6-옥사-2-아자스피로[3.4]옥틸, 4-옥사-7-아자스피로[2.5]옥틸, 2-아자스피로[4.4]노닐, 2-아자스피로[3.5]노닐, 2-옥사-7-아자스피로[3.5]노닐, 1-옥사-7-아자스피로[3.5]노닐, 7-아자스피로[3.5]노닐, 2,7-디아자스피로[3.5]노닐, 2-옥사-8-아자스피로[4.5]데실, 3-옥사-9-아자스피로[5.5]운데실, 2-옥사-9-아자스피로[5.5]운데실, 3,9-디아자스피로[5.5]운데실, 3-아자비사이클로[3.2.1]옥틸, 3-아자스피로[5,5]운데실, 8-아자스피로[4.5]데실, 1-옥사-6-아자스피로[3,4]옥틸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의약품의 생산 및 처방전의 조제에 사용되는 부형제 및 첨가제를 지칭하며, 유효성분을 제외한 약물 제제에 포함되어 있는 모든 물질을 지칭한다. General notice of the Chinese Pharmacopoeia(2015 Edition) Volume IV, 또는, Handbook of Pharmaceutical Excipients(Raymond C Rowe, 2009 Sixth Edition)를 참조할 수 있다.
용어 "치료"는 치료적 요법을 지칭한다. 구체적인 질환과 관련된 경우, 치료는 (1) 질환 또는 질병의 하나 또는 복수의 생물학적 표현을 완화시키는 것, (2) (a) 질환을 유발하거나 일으키는 생물학적 연쇄의 하나 또는 복수의 지점 또는 (b) 질환의 하나 또는 복수의 생물학적 표현을 방해하는 것, (3) 질환과 관련된 하나 또는 복수의 증상, 영향 또는 부작용, 또는 질환 또는 이의 치료와 관련된 하나 또는 복수의 증상, 영향 또는 부작용을 개선시키는 것, 또는 (4) 질환 또는 질환의 하나 또는 복수의 생물학적 표현의 발달을 늦추는 것을 지칭한다.
용어 "예방"은 질환 또는 장애를 얻거나 발병할 위험의 감소를 지칭한다.
용어 "치료 유효량"은 환자에게 투여할 때 본문에 서술된 질환 또는 질병을 효과적으로 치료하거나 예방하기에 충분한 화합물의 양을 지칭한다. "치료 유효량"은 화합물, 질환 및 이의 중증도, 및 치료하고자 하는 환자의 연령에 따라 달라지지만 당업자가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각 바람직한 조건은 당업계의 통상적인 지식을 위반하지 않는 기초에서 본 발명의 각각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얻기 위하여 임의로 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시약 및 원료는 모두 시판되고 있다.
본 발명의 긍정적인 진보 효과는: 본 발명의 화합물이 보체 인자 D에 대해 우수한 억제 활성(C3b에 대한 실시예 화합물의 IC50 값이 0.01 내지 100nM임)을 가지고 토끼 적혈구 용혈에 대해 우수한 억제 효과(토끼 적혈구 용혈 IC50 값이 0.1 내지 500nM임)를 가지며 우수한 약동학 및 약효 활성을 가진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추가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의 범위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하기 실시예에서 구체적인 조건을 명시하지 않은 실험 방법은 통상적인 방법 및 조건에 따르거나 제품 설명서에 따라 선택된다.
하기 구체적인 실험 설명에 사용된 명사(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는 각각 하기의 시약 또는 조작을 나타낸다.
(Boc)2O: 디-tert-부틸 디카르보네이트; B2Pin2: 비스(피나콜라토)디보론; DIAD: 디이소프로필 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 DMF: N,N-디메틸포름아미드; DCM: 디클로로메탄; DIEA: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Et3N: 트리에틸아민; EA: 에틸 아세테이트; IV: 정맥 주사; KOAc: 아세트산칼륨; MeOH: 메탄올; MeCN: 아세토니트릴; PPh3: 트리페닐포스핀; Pd2(dba)3: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 Pd(dppf)Cl2: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II); Pd(PPh3)4: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PO: 경구 투여; TEA: 트리에틸아민; TFA: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THF: 테트라하이드로푸란; X-Phos: 2-디사이클로헥실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비페닐.
<제조 실시예>
실시예 1, 2-(2-((3'-(아미노메틸)-5-(6-아자스피로[2.5]옥탄-6-일)-[1,1'-비페닐]-3-일)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001)의 합성
1.1 화합물 001-1의 합성
001-a(11.16g, 60mmol), 트리에틸아민(11.00g, 108mmol) 및 디클로로메탄(120mL)을 500mL의 반응 플라스크에 가하고, 빙욕 하에 상기 반응계에 디-tert-부틸 디카르보네이트(15.71g, 72mmol)를 가하고 반응 용액을 0℃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감압 농축한 다음 500mL의 분액 깔때기로 옮기고 150mL의 에틸 아세테이트 및 200mL의 물을 가하고 분액을 추출하고 유기상을 분리하였다. 수상을 에틸 아세테이트(50mL×2)로 추출하고 합병한 후의 유기상을 포화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고,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10/1(v/v))로 정제하여 화합물 001-1을 수득하며, 직접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1.2 화합물 001-2의 합성
단계 1.1에서 수득된 화합물 001-1(18.02g, 60mmol), 비스(피나콜라토)디보론(18.28g, 72mmol), 아세트산칼륨(11.78g, 120mmol),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II)(4.40g, 6mmol) 및 1,4-다이옥세인(120mL)을 500mL의 반응 플라스크에 순차적으로 가하고, 질소 가스로 3회 치환한 후 수득된 반응 용액을 80℃의 오일 배스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면서 반응시켰다. 반응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한 후, 150mL의 에틸 아세테이트 및 200mL의 물을 가하고 분액을 추출하고 유기상을 분리하였다. 수상을 에틸 아세테이트(50mL×2)로 추출하고 합병한 후의 유기상을 포화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고,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8/1(v/v))로 정제하여 화합물 001-2를 수득하며 직접 다음 단계에 사용할 수 있었다. LC/MS(ESI+)m/z: [M+H-t-Bu]+=278.15.
1.3 화합물 001-3의 합성
001-b(5.00g, 18.8mmol), 001-c(3.12g, 18.8mmol) 및 트리페닐포스핀(9.87g, 37.6mmol)을 디클로로메탄(70mL)에 순차적으로 용해시키고, 빙욕 하에 상기 반응계에 비스(4-클로로벤질)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13.7g, 37.6mmol)의 디클로로메탄(70mL) 용액을 적가하고, 적가가 끝난 후 0℃에서 2시간 동안 계속하여 반응시켰다. 반응 용액을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20/1 내지 10/1(v/v))로 정제하여 화합물 001-3을 수득하였다. LC/MS(ESI+) m/z: [M+H]+=414.90.
1.4 화합물 001-4의 합성
001-3(2.00g, 4.8mmol), 001-2(1.30g, 3.9mmol), 탄산칼륨(1.30g, 9.6mmol),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II)(0.35g, 0.48mmol)을 1,4-다이옥세인/물(30mL/3mL)에 순차적으로 용해시키고, 질소 가스로 3회 치환한 후 반응 용액을 80℃의 조건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여과하고 여액을 물(30mL)로 희석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30mL×2)로 추출하였다. 합병한 후의 유기상을 포화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고,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10/1 내지 5/1(v/v))로 정제하여 화합물 001-4를 수득하였다. LC/MS(ESI+) m/z: [M+H-Boc]+=439.95.
1.5 화합물 001-5의 합성
001-4(4.3g, 7.96mmol), 6-아자스피로[2.5]옥탄염산염(화합물 001-d, 1.4g, 9.55mmol), 탄산칼륨(3.3g, 23.87mmol),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400mg, 10wt%) 및 2-디사이클로헥실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비페닐(400mg, 10wt%)을 1,4-다이옥세인(50mL)에 순차적으로 용해시키고 질소 가스로 3회 치환하고 반응 용액을 90℃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용액을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며,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001-5를 수득하였다. LC/MS(ESI+) m/z: [M+H]+ =571.15.
1.6 화합물 001-6의 합성
001-5(3.5g, 6.1mmol)를 디클로로메탄(27mL)에 용해시키고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9mL)을 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용액에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가하여 pH=8로 조절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30mL×3)로 추출하고 합병한 후의 유기상을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화합물 001-6(3.2g, 조질의 생성물)을 수득하며, 직접 다음 단계에 사용할 수 있었다. LC/MS(ESI+) m/z: [M+H]+ =471.10.
1.7 화합물 001의 합성
001-6(3.1g, 6.5mmol) 및 수산화나트륨(1.05g, 26.3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10mL), 메탄올(5mL) 및 물(5mL)에 가하고 반응 용액을 60℃의 조건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용액을 분취용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 후 동결건조시켜 표적 화합물 001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8.27 (s, 0.59H), 8.10 (s, 1H), 7.67 (d, J = 7.6 Hz, 1H), 7.37-7.40 (m, 2H), 7.28 (d, J = 7.2 Hz, 1H), 7.08-7.14 (m, 3H), 7.00 (s, 1H), 6.92 (d, J = 8.0 Hz, 1H), 6.81 (t, J = 7.6 Hz, 1H), 5.13 (s, 2H), 3.97 (s, 2H), 3.43 (s, 2H), 3.30 (t, J = 5.2 Hz, 4H), 1.48 (t, J = 5.2 Hz, 4H), 0.35 (s, 4H); LC/MS(ESI+) m/z: [M+H]+ =457.10.
실시예 2, 2-(2-((3'-(아미노메틸)-5-(7-아자스피로[3.5]노난-7-일)-[1,1'-비페닐]-3-일)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002)의 합성
화합물 002의 합성은 화합물 001의 합성 방법을 참조하며 여기서 원료를 001-d에서 7-아자스피로[3.5]노난의 염산염(002-a)으로 대체하면 된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8.27 (br.s, 0.6H), 7.82-7.92 (m, 1H), 7.5 (dd, J = 7.6, 20.0 Hz, 1H), 7. 40 (br.s, 0.6H), 7.33 (t, J = 7.6 Hz, 1H), 7.22-7.27 (m, 1H), 6.99-7.12 (m, 4H), 6.87-6.92 (m, 1H), 6.72-6.79 (m, 1H), 5.11 (d, J = 5.2 Hz, 2H), 4.21 (s, 1H), 3.83 (s, 1H), 3.36 (s, 1H), 3.31 (s, 1H), 3.15 (t, J = 5.2 Hz, 4H),1.83-1.88 (m, 2H), 1.76-1.78 (m, 4H), 1.64-1.66 (m, 4H); LC/MS(ESI+) m/z: [M+H]+ =471.10.
실시예 3, 2-(2-((3'-(아미노메틸)-5-(6-아자스피로[3.4]옥탄-6-일)-[1,1'-비페닐]-3-일)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003)의 합성
화합물 003의 합성은 화합물 001의 합성 방법을 참조하며 여기서 원료를 001-d에서 6-아자스피로[3.4]옥탄의 염산염(003-a)으로 대체하면 된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9.51 (s, 1H), 7.98 (d, J = 114.8 Hz, 1H), 7.59 (dd, J = 48.4, 7.6 Hz, 1H), 7.36 (t, J = 7.6 Hz, 1H), 7.31 - 7.22 (m, 2H), 7.11 - 7.01 (m, 2H), 6.91 - 6.67 (m, 3H), 6.51 (d, J = 10.4 Hz, 1H), 5.15 (d, J = 23.2 Hz, 2H), 4.23 (s, 1H), 3.92 (s, 1H), 3.39 (s, 2H), 3.34 - 3.31 (m, 4H), 2.06 - 2.00 (m, 4H), 1.99 - 1.85 (m, 4H); LC/MS(ESI+) m/z: [M+H]+ =457.05.
실시예 4, 2-(2-((3'-(아미노메틸)-5-(5-아자스피로[2.5]옥탄-5-일)-[1,1'-비페닐]-3-일)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004)의 합성
화합물 004의 합성은 화합물 001의 합성 방법을 참조하며 여기서 원료를 001-d에서 5-아자스피로[2.5]옥탄의 염산염(004-a)으로 대체하면 된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8.33 (s, 1H), 8.04 (s, 1H), 7.67 (d, J = 8.0 Hz, 1H), 7.39 (t, J = 7.6 Hz, 1H), 7.35 - 7.27 (m, 2H), 7.12 (t, J = 7.6 Hz, 2H), 7.08 (s, 1H), 6.98 - 6.90 (m, 2H), 6.82 (t, J = 7.6 Hz, 1H), 5.12 (s, 2H), 3.98 (s, 2H), 3.45 (s, 2H), 3.30 - 3.23 (m, 2H), 3.00 (s, 2H), 1.80 - 1.74 (m, 2H), 1.45 - 1.36 (m, 2H), 0.48 (t, J = 5.6 Hz, 2H), 0.33 (t, J = 4.8 Hz, 2H);
LC/MS(ESI+) m/z: [M+H]+ =457.10.
실시예 5, 2-(2-((3'-(아미노메틸)-5-(2-아자스피로[3.5]노난-2-일)-[1,1'-비페닐]-3-일)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005)의 합성
화합물 005의 합성은 화합물 001의 합성 방법을 참조하며 여기서 원료를 001-d에서 2-아자스피로[3.5]노난의 염산염(005-a)으로 대체하면 된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9.54 (s, 0.25H), 7.98 (d, J = 104.4 Hz, 1H), 7.55 (dd, J = 44.8, 8.0 Hz, 1H), 7.39 - 7.22 (m, 3H), 7.14 - 7.00 (m, 2H), 6.90 - 6.74 (m, 2H), 6.60 (s, 1H), 6.42 (d, J = 13.2 Hz, 1H), 5.13 (d, J = 25.2 Hz, 2H), 4.07 (d, J = 134 Hz, 2H), 3.58 (d, J = 3.2 Hz, 4H), 3.38 (d, J = 4.4 Hz, 2H), 1.67 (s, 4H), 1.42 (d, J = 26.4 Hz, 6H); LC/MS(ESI+) m/z: [M+H]+ =471.10.
실시예 6, 2-(2-((3'-(아미노메틸)-5-(3-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3-일)-[1,1'-비페닐]-3-일)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006)의 합성
화합물 006의 합성은 화합물 001의 합성 방법을 참조하며 여기서 원료를 001-d에서 3-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의 염산염(006-a)으로 대체하면 된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7.76 (d, J = 54.4 Hz, 1H), 7.50 (dd, J = 14.4, 7.6 Hz, 1H), 7.39 - 7.32 (m, 1H), 7.27 (t, J = 7.2 Hz, 1H), 7.20 - 6.89 (m, 5H), 6.84 - 6.73 (m, 2H), 5.11 (d, J = 54.4 Hz, 2H), 4.00 (d, J = 184.4 Hz, 2H), 3.60 (d, J = 10.0 Hz, 2H), 3.38 (s, 2H), 3.27 (s, 2H), 2.85 - 2.75 (m, 2H), 2.37 (s, 2H), 1.59 (s, 2H), 1.55 (s, 2H); LC/MS(ESI+) m/z: [M+H]+ =457.05.
실시예 7, 2-(2-((3'-(아미노메틸)-2'-플루오로-5-(6-아자스피로[2.5]옥탄-6-일)-[1,1'-비페닐]-3-일)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007)의 합성
7.1 화합물 007-1의 합성
007-a(1.0g, 5mmol)를 테트라하이드로푸란(5mL)에 용해시키고 질소 가스의 보호 하에 1M 보란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용액(20mL, 20mmol)을 천천히 적가하고 적가가 완료된 후 반응 용액을 승온시켜 60℃의 조건에서 5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반응 용액을 메탄올(20mL)을 천천히 적가하여 퀀칭시킨 다음 1M 희염산(10mL)을 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20mL×3)로 추출하고 수상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pH=8 내지 10으로 조절하고 수상을 에틸 아세테이트(20mL×3)로 추출하고 합병한 후의 유기상을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화합물 007-1(조질의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LC/MS(ESI+) m/z: [M+H]+ =204.00.
7.2 화합물 007-2의 합성
007-1(600mg, 조질의 생성물), 디-tert-부틸 디카르보네이트(704mg, 3.23mmol) 및 트리에틸아민(594mg, 5.88mmol)을 디클로로메탄(5mL)에 용해시키고 반응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반응시켰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하고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8/1)로 정제하여 화합물 007-2를 수득하였다. LC/MS(ESI+) m/z: [M+H]+ =236.00.
7.3 화합물 007-3의 합성
007-2(600mg, 1.97mmol), 비스(피나콜라토)디보론(601mg, 2.37mmol), 아세트산칼륨(387mg, 3.95mmol) 및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II)(144mg, 0.2mmol)을 1,4-다이옥세인(5mL)에 가하고 질소 가스로 3회 치환하고 반응 용액을 100℃의 조건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하고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12/1)로 정제하여 화합물 007-3을 수득하였다. LC/MS(ESI+) m/z: [M+H-t-Bu]+ =296.05.
7.4 화합물 007-4의 합성
007-3(510mg, 1.45mmol),001-3(721mg, 1.74mmol), 탄산칼륨(401mg, 2.90mmol) 및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II)(106mg, 0.145mmol)을 1,4-다이옥세인(5mL) 및 물(1mL)에 순차적으로 가하고 반응 용액을 100℃의 조건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물(10mL)을 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15mL×3)로 추출하고 합병한 후의 유기상을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며,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10/1)로 정제하여 화합물 007-4를 수득하였다.
7.5 화합물 007의 합성
화합물 007의 합성은 화합물 001의 합성 방법을 참조하며 여기서 중간체를 001-4에서 007-4로 대체하면 된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7.49 - 7.32 (m, 2H), 7.32 - 7.15 (m, 2H), 7.15 - 7.04 (m, 2H), 7.04 - 6.96 (m, 2H), 6.93 (d, J = 7.6 Hz, 1H), 6.83 - 6.74 (m, 1H), 5.10 (d, J = 49.6 Hz, 2H), 4.16 (s, 1H), 3.79 (s, 1H), 3.29 (d, J = 4.4 Hz, 4H), 3.26 (s, 2H), 1.46 (dd, J = 13.2, 8 Hz, 4H), 0.33 (d, J = 4.8 Hz, 4H); LC/MS(ESI+) m/z: [M+H]+ =475.05.
실시예 8, 2-(2-((3'-(아미노메틸)-5'-플루오로-5-(6-아자스피로[2.5]옥탄-6-일)-[1,1'-비페닐]-3-일)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008)의 합성
화합물 008의 합성은 화합물 007의 합성 방법을 참조하며 여기서 중간체를 007-1에서 3-플루오로-5-브로모벤질아민(008-a)으로 대체하면 된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9.46 (s, 1H), 7.74 (d, J = 29.6 Hz, 1H), 7.37 (d, J = 40.4 Hz, 2H), 7.28 - 6.94 (m, 5H), 6.94 - 6.67 (m, 2H), 5.14 (d, J = 36.8 Hz, 2H), 4.24 (s, 1H), 3.86 (s, 1H), 3.40 (s, 1H), 3.35 (s, 1H), 3.31 (d, J = 4.8 Hz, 4H), 1.48 (s, 4H), 0.34 (s, 4H); LC/MS(ESI+) m/z: [M+H]+ =475.10.
실시예 9, 2-(2-((3'-(아미노메틸)-5-(6-아자스피로[2.5]옥탄-6-일)-[1,1'-비페닐]-3-일)메톡시)-4-플루오로페닐)아세트산(화합물 009)의 합성
9.1 화합물 009-1의 합성
009-a(1.0g, 5.42mmol)를 N,N-디메틸포름아미드(15mL)에 용해시키고 탄산세슘(2.6g, 8.1mmol) 및 아이오딘화메틸(1.16g, 8.1mmol)을 가하고 25℃의 조건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용액에 물(10mL)을 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10mL×3)로 추출하고 합병한 후의 유기상을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며,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3/1 내지 1/1)로 정제하여 화합물 009-1을 수득하였다. LC/MS(ESI+) m/z: [M+H]+ =199.10.
9.2 화합물 009-2의 합성
질소 가스의 보호 하에 009-1(1.0g, 5.04mmol)을 디클로로메탄(20mL)에 용해시키고 반응계의 온도를 -20℃로 낮추고 삼브롬화붕소(20mmol, 15.12mmol)를 천천히 적가하고 적가가 완료된 후 상기 온도를 유지하면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20℃에서 메탄올(6mL)을 적가하여 반응을 퀀칭시키고 물을 가하고 디클로로메탄(10mL×3)으로 추출하고 합병한 후의 유기상을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며,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3/1 내지 1/1)로 정제하여 화합물 009-2를 수득하였다.
9.3 화합물 009-3의 합성
009-b(1.45g, 4.42mmol) 및 009-2(740mg, 4.02mmol)를 N,N-디메틸포름아미드(20mL)에 용해시키고 탄산칼륨(1.12g, 8.04mmol)을 가하고 실온 조건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물을 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10mL×3)로 추출하고 합병한 후의 유기상을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며,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3/1 내지 1/1)로 정제하여 화합물 009-3을 수득하였다.
9.4 화합물 009-4의 합성
009-3(750mg, 1.74mmol) 및 001-2(578mg, 1.74mmol), 탄산칼륨(480mg, 3.48mmol) 및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II)(127mg, 0.174mmol)을 1,4-다이옥세인(20mL) 및 물(2mL)에 순차적으로 가하고 반응 용액을 100℃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물을 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10mL×3)로 추출하고 합병한 후의 유기상을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며,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3/1 내지 1/1)로 정제하여 화합물 009-4를 수득하였다.
9.5 화합물 009의 합성
화합물 009의 합성은 화합물 001의 합성 방법을 참조하며 여기서 원료를 001-4에서 009-4로 대체하면 된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9.49 (s, 1H), 7.88 (d, J = 24.0 Hz, 1H), 7.56 (t, J = 8.0 Hz, 1H), 7.39-7.34 (m, 1H), 7.32 - 7.07 (m, 4H), 7.06-6.99 (m, 1H), 6.82-6.79 (m, 1H), 6.68 - 6.56 (m, 1H), 5.17 (d, J = 44.0 Hz, 2H), 4.24 (s, 1H), 3.85 (s, 1H), 3.36 (s, 1H), 3.31 (s, 4H), 3.28 (s, 1H), 1.49 (d, J = 4.0 Hz, 4H), 0.35 (s, 4H); LC/MS(ESI+) m/z: [M+H]+ =475.05.
실시예 10, 2-(2-((3'-(아미노메틸)-5-(6-아자스피로[2.5]옥탄-6-일)-[1,1'-비페닐]-3-일)메톡시)-5-플루오로페닐)아세트산(화합물 010)의 합성
화합물 010의 합성은 화합물 009의 합성 방법을 참조하며 여기서 원료를 2-메톡시-4-플루오로페닐아세트산(009-a)에서 5-플루오로-2-메톡시페닐아세트산(010-a)으로 대체하면 된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8.13 (s, 1H), 7.82 (s, 1H), 7.66 (d, J = 8.0 Hz, 1H), 7.54 (d, J = 8.0 Hz, 1H), 7.47 - 7.30 (m, 2H), 7.30-7.25 (m, 1H), 7.14 (s, 1H), 6.98-6.92 (m, 2H), 6.89 - 6.72 (m, 2H), 5.15 (d, J = 20.0 Hz, 2H), 4.24 (s, 1H), 3.95 (s, 1H), 3.38 (s, 2H), 3.29 (d, J = 8.0 Hz, 4H), 1.49-1.48 (m, 4H), 0.35 (s, 4H); LC/MS(ESI+) m/z: [M+H]+ =475.05.
실시예 11, 2-(2-((3'-(아미노메틸)-5-(2-옥사-7-아자스피로[3.5]노난-7-일)-[1,1'-비페닐]-3-일)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011)의 합성
화합물 011의 합성은 화합물 001의 합성 방법을 참조하며 여기서 원료를 001-d에서 2-옥사-7-아자스피로[3.5]노난의 염산염(011-a)으로 대체하면 된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7.71 (s, 1H), 7.50 (d, J = 7.6 Hz, 1H), 7.35 (t, J = 7.6 Hz, 1H), 7.27 (d, J = 7.6 Hz, 1H), 7.18 (d, J = 8.8 Hz, 2H), 7.04-7.08 (m, 3H), 6.92 (d, J = 8.0 Hz, 1H), 6.80 (t, J = 7.6 Hz, 1H), 5.05 (s, 2H), 4.36 (d, J = 4.0 Hz, 4H)), 3.77 (s, 2H), 3.39 (s, 2H), 3.18 (t, J = 5.6 Hz, 4H), 1.90 (t, J = 5.6 Hz, 4H); LC/MS(ESI+) m/z: [M+H]+ =473.05.
실시예 12, 2-(2-((3'-(아미노메틸)-5-(1-옥사-7-아자스피로[3.5]노난-7-일)-[1,1'-비페닐]-3-일)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012)의 합성
화합물 012의 합성은 화합물 001의 합성 방법을 참조하며 여기서 원료를 001-d에서 1-옥사-7-아자스피로[3.5]노난의 염산염(012-a)으로 대체하면 된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9.53 (s, 1H), 7.85-8.01 (m, 1H), 7.62-7.53 (m, 1H), 7.43 (s, 1H), 7.39 - 7.32 (m, 1H), 7.30 - 7.23 (m, 1H), 7.14 - 6.96 (m, 4H), 6.91-6.74 (m, 2H), 5.15 (d, J = 32.0 Hz, 2H), 4.43 (t, J =8.0 Hz, 2H), 4.23 (s, 1H), 3.87 (s, 1H), 3.37 (d, J = 16.0 Hz, 4H), 3.20-3.14 (m, 2H), 2.39 (t, J = 8.0 Hz, 2H), 1.98 - 1.79 (m, 4H); LC/MS(ESI+) m/z: [M+H]+ =473.05.
실시예 13, 2-(2-((3'-(아미노메틸)-5-(2-하이드록시-7-아자스피로[3.5]노난-7-일)-[1,1'-비페닐]-3-일)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013)의 합성
13.1 화합물 013-1의 합성
001-4(400mg, 0.881mmol)를 취하여 반응 플라스크에 넣고 013-a(174mg, 0.940mmol), 탄산세슘(1g, 3.4mmol),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140mg, 0.088mmol), 2-디사이클로헥실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비페닐(90mg, 0.088mmol) 및 1,4-다이옥세인(5mL)을 순차적으로 가하고 질소 가스로 3회 치환하고 반응 용액을 100℃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용액을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며,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3/1)로 정제하여 화합물 013-1을 수득하였다. LC/MS(ESI+) m/z: [M+H]+ =599.15.
13.2 화합물 013-2의 합성
013-1(200mg, 340μmol)을 메탄올(3mL) 및 테트라하이드로푸란(3mL)에 용해시키고 0℃에서 수소화붕소나트륨(68mg, 680μmol)을 배치로 가하고 반응 용액을 0℃의 조건에서 0.5시간 동안 계속하여 반응시켰다. 반응 용액에 염화암모늄 수용액(5mL)을 가하여 퀀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10mL×2)로 추출하고 합병한 후의 유기상을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013-2(조질의 생성물)를 수득하며, 직접 다음 단계에 사용할 수 있었다. LC/MS(ESI+) m/z: [M+H]+ =601.10.
13.3 화합물 013의 합성
화합물 013의 합성은 화합물 001의 합성 방법을 참조하며 여기서 중간체를 001-5에서 013-2로 대체하면 된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7.77 (d, J = 20.0 Hz, 1H), 7.48 (d, J = 8.0 Hz, 1H), 7.33(m, 1H), 7.24(m, 1H), 7.18,s, 1H), 7.13(m, 1H), 7.05(m, 2H), 7.00(m, 1H) ,6.88 (d, J = 8.0 Hz, 1H), 6.74 (m, 1H), 5.14 (m, 2H), 4.20 (s, 1H), 4.12 (t, J = 16.0 Hz, 1H), 3.76 (s, 2H), 3.28 (s, 2H), 3.12(m, 4H), 2.45 (m,2H), 2.12 (m, 2H), 1.57 (d, J = 4.5 Hz,4H); LC/MS(ESI+) m/z: [M+H]+ =487.10.
실시예 14, 2-(2-((3'-(아미노메틸)-5-(2-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8-일)-[1,1'-비페닐]-3-일)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014)의 합성
화합물 014의 합성은 화합물 001의 합성 방법을 참조하며 여기서 중간체를 001-d에서 2-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의 염산염(014-a)으로 대체하면 된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7.86 (s, 1H), 7.55 (d, J = 8.0 Hz, 1H), 7.35 (t, J = 16.0 Hz, 1H), 7.26 (m, 2H), 7.15(m, 1H), 7.08(m, 3H), 6.91 (d, J = 8.0 Hz, 1H), 6.79 (t, J = 12.0Hz, 1H), 5.08 (s, 2H), 3.89 (m, 2H), 3.76(m, 4H),3.49 (m, 2H), 3.26 (m, 4H), 1.74 (t, J =12.0Hz, 2H), 1.64 (t, J = 12.0 Hz, 4H); LC/MS(ESI+) m/z: [M+H]+ =487.15.
실시예 15, 2-(2-((3'-(아미노메틸)-5-(2-옥사-6-아자스피로[3.4]옥탄-6-일)-[1,1'-비페닐]-3-일)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015)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의 합성
15.1 화합물 015-1의 합성
015-a(86mg, 0.4mmol)를 디클로로메탄(1mL)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반응계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2mL)에 가하고 반응 용액을 60℃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감압 농축하여 화합물 015-1(조질의 생성물)을 수득하며, 직접 다음 단계에 사용할 수 있었다.
15.2 화합물 015의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의 합성
화합물 001의 합성 방법을 참조하며 여기서 중간체를 001-d에서 015-1로 대체하면 되고 제조 방법은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조건에서 동결건조시켜 화합물 015의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를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DMSO-d 6 ): δ 12.20 (s, 1H), 8.17 (s, 2H), 7.78 (s, 1H), 7.69 (d, J = 7.8 Hz, 1H), 7.50 (t, J = 7.8 Hz, 1H), 7.43 (d, J = 7.8 Hz, 1H), 7.22 (t, J = 7.8 Hz, 2H), 7.03 (d, J = 7.8 Hz, 1H), 6.99 (s, 1H), 6.90 (t, J = 7.8 Hz, 1H), 6.72 (s, 1H), 6.68 (s, 1H), 5.11 (s, 2H), 4.61 (d, J = 6.0 Hz, 2H), 4.56 (d, J = 6.0 Hz, 2H), 4.12 (d, J = 4.8 Hz, 2H), 3.60 (d, J = 5.4 Hz, 2H), 3.38 (s, 2H), 2.29 (t, J = 6.6 Hz, 2H ), 2.02-1.96 (m, 2H); LC/MS(ESI+) m/z: [M+H]+ =459.05.
실시예 16, 2-(2-((3'-(아미노메틸)-5-(4-옥사-7-아자스피로[2.5]옥탄-7-일)-[1,1'-비페닐]-3-일)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016)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의 합성
화합물 016의 합성은 화합물 001의 합성 방법을 참조하며 여기서 중간체를 001-d에서 4-옥사-7-아자스피로[2.5]옥탄의 염산염(016-a)으로 대체하면 된다.
1H NMR (600 MHz, DMSO-d 6 ): δ 9.54 (s, 1H), 7.86 (s, 1H), 7.56 (d, J = 7.9 Hz, 1H), 7.48 (s, 1H), 7.28 (t, J = 7.6 Hz, 1H), 7.13 (m, 2H), 7.05 (m, 3H), 6.94 (s, 1H), 6.76 (t, J = 16.0Hz, 2H), 5.20 (s, 2H), 4.24 (s, 2H), 3.83(m, 2H), 3.39 (s, 2H), 3.29 (m, 2H), 3.21 (s, 2H), 0.77 (m, 2H), 0.69 (m, 2H);
LC/MS(ESI+) m/z: [M+H]+ =459.05.
실시예 17, 2-(2-((3'-(아미노메틸)-5-(2-아자스피로[3.4]옥탄-2-일)-[1,1'-비페닐]-3-일)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017)의 합성
화합물 017의 합성은 화합물 001의 합성 방법을 참조하며 여기서 중간체를 001-d에서 2-아자스피로[3.4]옥탄의 염산염(017-a)으로 대체하면 된다.
1H NMR (600 MHz, DMSO-d 6 ): δ 8.15 (s, 1H), 7.60 (d, J = 8.0 Hz, 1H), 7.39-7.31 (m, 2H), 7.23 (d, J = 8.0 Hz, 1H), 7.03-7.08 (m, 2H), 6.86 (d, J = 8.0 Hz, 1H), 6.77 (t, J = 7.2 Hz, 1H), 6.59 (s, 1H), 6.41 (s, 1H), 5.10 (s, 2H), 3.91 (s, 2H), 3.72 (s, 4H), 3.37 (s, 2H), 1.80 (t, J = 6.8 Hz, 4H), 1.57-1.60 (m, 4H);
LC/MS(ESI+) m/z: [M+H]+ =457.05.
실시예 18, (S)-2-(2-((3'-(1-아미노-2-하이드록시에틸)-5-(6-아자스피로[2.5]옥탄-6-일)-[1,1'-비페닐]-3-일)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018)의 합성
18.1 화합물 018-1의 합성
018-a(3.5g, 10.6mmol)를 테트라하이드로푸란(35mL)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1M 보란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용액(52.5mL, 53.1mmol)을 적가하고 적가가 완료된 후 반응 용액을 80℃의 조건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메탄올로 퀀칭시키고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하고 잔류물에 1N의 희염산(10mL)을 가하고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20mL×2)로 추출하였다. 수상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pH를 알칼리성으로 조절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20mL×2)로 추출하고 합병한 후의 유기상을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후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화합물 018-1(조질의 생성물)을 수득하며, 직접 다음 단계에 사용할 수 있었다.
18.2 화합물 018-2의 합성
018-1(1.7g, 5.4mmol), 비스(피나콜라토)디보론(2.0g, 6.5mmol), 아세트산칼륨(1.5g, 9.2mmol) 및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II)(500mg, 460μmol)을 1,4-다이옥세인(10mL)에 순차적으로 가하고 질소 가스로 3회 치환한 후 반응 용액을 80℃의 조건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용액을 물(30mL)로 희석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20mL×3)로 추출하였다. 합병한 후의 유기상을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며,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10/1)로 정제하여 화합물 018-2를 수득하였다.
18.3 화합물 018의 합성
화합물 018의 합성은 화합물 001의 합성 방법을 참조하며 여기서 중간체를 001-2에서 018-2로 대체하면 된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9.48 (s, 1H), 7.89 (d, J = 8.0 Hz, 1H), 7.54 (s, 1H), 7.43 (s, 1H), 7.29 (t, J = 4.0Hz, 2H), 7.15 (m, 3H), 7.04 (m, 2H), 6.90 (d, J =4.0 Hz, 1H), 6.79 (d, J = 4.0 Hz, 1H), 5.13 (m, 2H), 4.75 - 3.84 (m, 1H), 3.53 (m, 2H), 3.96(m, 2H), 3.29 (s, 4H), 1.49 (s, 4H), 0.35 (s, 4H); LC/MS(ESI+) m/z: [M+H]+ =487.05.
실시예 19, (S)-2-(2-((3'-(1-아미노-2-하이드록시에틸)-5'-플루오로-5-(6-아자스피로[2.5]옥탄-6-일)-[1,1'-비페닐]-3-일)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019)의 합성
19.1 화합물 019-1의 합성
019-a(3.0g, 14.8mmol)를 디클로로메탄(25mL)에 용해시키고 019-b(1.8g, 14.8mmol) 및 탄산세슘(4.8g, 14.8mmol)을 가하고 25℃의 조건에서 1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용액에 물(30mL)을 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15mL×3)로 추출하고 합병한 후의 유기상을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며,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3/1 내지 1/1)로 정제하여 화합물 019-1을 수득하였다. LC/MS(ESI+) m/z: [M+H]+ =305.90.
19.2 화합물 019-2의 합성
질소 가스의 보호 하에 비닐마그네슘브로마이드(16.7mL, 16.7mmol) 및 디메틸아연 시약(16.7mL, 16.7mmol)을 혼합하고 실온에서 0.5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반응계의 온도를 -78℃로 낮추고 019-1(3.0g, 9.81mmol)을 천천히 적가하고 적가가 완료된 후 상기 온도를 유지하면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78℃에서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26mL)을 적가하여 반응을 퀀칭시킨 후 에틸 아세테이트(30mL×3)로 추출하고 합병한 후의 유기상을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며,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3/1 내지 1/1)로 정제하여 화합물 019-2를 수득하였다. LC/MS(ESI+) m/z: [M+H]+ =333.90.
19.3 화합물 019-3의 합성
019-2(2.5g, 7.5mmol)를 메탄올(20mL)에 용해시키고 4N의 염산(5mL, 7.5mmol)을 가하고 실온 조건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하고 여기에 디클로로메탄(20mL)을 가한 다음 디-tert-부틸 디카르보네이트(3.07g, 14.08mmol)를 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하고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3/1 내지 1/1)로 정제하여 화합물 019-3을 수득하였다. LC/MS(ESI+) m/z: [M+H-t-Bu]+ =273.90.
19.4 화합물 019-4의 합성
질소 가스의 보호 하에 019-3(2.5g, 7.58mmol)을 사염화탄소(20mL), 아세토니트릴(20mL) 및 물(30mL)의 혼합 반응계에 용해시킨 다음 과아이오딘산 나트륨(3.4g, 15.9mmol) 및 삼염화루테늄(158mg, 0.758mmol)을 가하고 반응 용액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30mL×3)로 추출하고 합병한 후의 유기상을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며,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10/1 내지 2/1)로 정제하여 화합물 019-4를 수득하였다.
19.5 화합물 019-5의 합성
019-4(130mg, 0.432mmol)를 취하여 반응 플라스크에 넣고 질소 가스의 보호 하에 1M의 보란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용액(1.5mL, 0.864mmol)을 가하고 반응 용액을 25℃에서 1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메탄올(5mL)을 가하여 반응을 퀀칭시키고 여과하여 불용성 물질을 제거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며,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3/1 내지 1/1)로 정제하여 화합물 019-5를 수득하였다. LC/MS(ESI+) m/z: [M+H-t-Bu]+ =277.95.
19.6 화합물 019-6의 합성
001-3(1.0g, 2.42mmol), 001-d(320mg, 2.16mmol),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240mg, 0.24mmol), 2-디사이클로헥실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비페닐(120mg, 0.24mmol) 및 탄산세슘(1.6g, 4.84mmol)을 1,4-다이옥세인(10mL)에 순차적으로 가하고 질소 가스로 3회 치환하고 반응 용액을 100℃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용액을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며,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3/1 내지 1/1)로 정제하여 화합물 019-6을 수득하였다. LC/MS(ESI+) m/z: [M+H]+ =443.95.
19.7 화합물 019-7의 합성
019-6(170mg, 2.7mmol), 비스(피나콜라토)디보론(822mg, 3.24mmol),아세트산칼륨(540mg, 5.4mmol) 및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II)(240mg, 300μmol)을 1,4-다이옥세인(10mL)에 순차적으로 가하고 질소 가스로 3회 치환하고 반응 용액을 100℃의 조건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용액을 물(10mL)로 희석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10mL×3)로 추출하였다. 합병한 후의 유기상을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며,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10/1)로 정제하여 화합물 019-7을 수득하였다. LC/MS(ESI+) m/z: [M+H]+ =492.10.
19.8 화합물 019-8의 합성
019-7(50mg, 0.045mmol), 019-5(38mg, 0.054mmol), 탄산칼륨(30mg, 0.09mmol) 및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II)(8.5mg, 0.05mmol)을 1,4-다이옥세인(4mL) 및 물(1mL)에 가하고 질소 가스로 3회 치환하고 반응 용액을 100℃의 조건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용액에 물을 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10mL×3)로 추출하고 합병한 후의 유기상을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며,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3/1 내지 1/1)로 정제하여 화합물 019-8을 수득하였다. LC/MS(ESI+) m/z: [M+H]+ =619.10.
19.9 화합물 019-9의 합성
019-8(35mg, 0.057mmol)을 디클로로메탄(5mL) 및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1mL)에 용해시키고 실온 조건에서 0.5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용액에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6mL)을 가하여 pH=7 내지 8로 조절하고 디클로로메탄(10mL×3)으로 추출하였다. 합병한 후의 유기상을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화합물 019-9(조질의 생성물)를 수득하며, 직접 다음 단계에 사용할 수 있었다. LC/MS(ESI+) m/z: [M+H]+ =519.10.
19.10 화합물 019의 합성
019-9(22mg, 0.067mmol) 및 수산화나트륨(11mg, 0.27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1mL), 메탄올(0.5mL) 및 물(1mL)의 혼합 용액에 용해시키고 60℃의 조건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용액을 분취용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 후 동결건조시켜 표적 화합물 019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7.97 (s, 1H), 7.55 (d, J = 12.0 Hz, 1H), 7.38 (s, 1H), 7.18 - 7.09 (m, 4H), 7.05 (s, 1H), 6.94 (d, J = 8.0 Hz, 1H), 6.81 (t, J = 8.0 Hz, 1H), 5.13 (s, 2H), 4.13 (s, 1H), 3.73 - 3.61 (m, 2H), 3.48 (d, J = 16.0 Hz, 1H), 3.39 (s, 1H), 3.34 - 3.30 (m, 4H), 1.50 - 1.46 (m, 4H), 0.35 (s, 4H); LC/MS(ESI+) m/z: [M+H]+ =505.05.
실시예 20, (R)-2-(2-((3'-(1-아미노에틸)-2'-플루오로-5-(6-아자스피로[2.5]옥틸-6-일)-[1,1'-비페닐]-3-일)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020-A 또는 020-B) 및 (S)-2-(2-((3'-(1-아미노에틸)-2'-플루오로-5-(6-아자스피로[2.5]옥탄-6-일)-[1,1'-비페닐]-3-일)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020-B 또는 020-A)의 합성
20.1 화합물 020-1의 합성
020-a(2g, 5.6mmol) 및 염산하이드록실아민(4.5g, 37.6mmol)을 피리딘(10mL)에 용해시키고 반응 용액을 45℃의 조건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용액을 1N의 염산으로 pH=2로 조절하고 에틸 아세테이트(20mL×2)로 추출하였다. 합병한 후의 유기상을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화합물 020-1(조질의 생성물)을 수득하며, 직접 다음 단계에 사용할 수 있었다. LC/MS(ESI+) m/z: [M+H]+ =234.10.
20.2 화합물 020-2의 합성
020-1(1.16g, 0.22mmol) 및 아연분말(2g, 2.2mmol)을 메탄올(10mL)에 가하고 6N의 염산(10mL)을 적가하고 반응 용액을 70℃의 조건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용액을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20mL)으로 pH=8로 조절하고 반응 용액을 여과하고 케이크를 물(10mL)로 헹군 후 여액을 에틸 아세테이트(30mL×2)로 추출하였다. 합병한 후의 유기상을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화합물 020-2(조질의 생성물)를 수득하였다. LC/MS(ESI+) m/z: [M+H]+ =220.00.
20.3 화합물 020-3의 합성
화합물 020-3의 합성 방법은 실시예 1의 화합물 001-1의 합성 방법을 참조하였다.
20.4 화합물 020-4의 합성
화합물 020-4의 합성 방법은 실시예 1의 화합물 001-2의 합성 방법을 참조하였다.
20.5 화합물 020-5 내지 020-7의 합성
화합물 020-5 내지 020-7의 합성 방법은 실시예 1의 화합물 001-4 내지 001-6의 합성 방법을 참조하였다.
20.6 화합물 020-A 및 020-B의 합성
020-7(75mg, 150μmol) 및 수산화나트륨(300mg, 3.1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3mL), 메탄올(0.5mL) 및 물(1mL)의 혼합 용액에 용해시키고 반응 용액을 60℃의 조건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용액을 분취용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고 동결 건조시켜 화합물 020을 수득하며, 화합물 020을 카이랄 분할(AD-H 컬럼, n-헥산: [(에탄올:메탄올=3:1)]=6:4 등용매 용리)하여 표적 화합물 020-A(머무름 시간=7.640min) 및 020-B(머무름 시간=13.087min)를 수득하였다.
화합물 020-A:
1H NMR (400 MHz, DMSO-d 6 ): δ 7.53(m, 1H), 7.35(t, J = 4.0 Hz, 1H), 7.24(m, 3H), 7.06 (m, 2H), 6.99 (d, J = 4.0 Hz, 2H), 6.89 (m, 1H), 5.11 (s, 2H), 4.36 (s, 1H), 3.57 (s, 2H),3.29 (m 4H), 1.47 (m, 4H), 1.35 (s, 3H), 0.34 (s, 4H); LC/MS(ESI+) m/z: [M+H]+ =489.10.
화합물 020-B:
1H NMR (400 MHz, DMSO-d 6 ): δ 7.53(m, 1H), 7.35(t, J = 4.0 Hz, 1H), 7.24(m, 3H), 7.06 (m, 2H), 6.99 (d, J = 4.0 Hz, 2H), 6.89 (m, 1H), 5.11 (s, 2H), 4.36 (s, 1H), 3.57 (s, 2H),3.29 (m 4H), 1.47 (m, 4H), 1.35 (s, 3H), 0.34 (s, 4H); LC/MS(ESI+) m/z: [M+H]+ =489.10.
실시예 21, 2-(2-((3'-(아미노메틸)-2'-플루오로-5-(6-아자스피로[2.5]옥탄-6-일)-[1,1'-비페닐]-3-일)메톡시) -4-플루오로페닐)아세트산(화합물 021)의 합성
화합물 021의 합성은 화합물 007의 합성 방법을 참조하며 여기서 중간체를 001-3에서 009-3으로 대체하면 된다.
1H NMR (600 MHz, DMSO-d 6 ): δ 8.30 (s, 1H), 7.45 (q, J = 8.0 Hz, 2H), 7.25 (t, J = 8.0 Hz, 1H), 7.20 (t, J = 8.0 Hz, 1H), 7.06 (s, 1H), 7.02 (s, 1H), 6.99 (s, 1H), 6.91 (dd, J 1 = 11.6 Hz, J 2 = 2.4 Hz, 1H), 6.70 (td, J 1 = 8.4 Hz, J 2 = 2.4 Hz, 1H), 5.14 (s, 2H), 3.91 (s, 2H), 3.50 (s, 2H), 3.28 (t, J = 5.2Hz, 4H), 1.46 (t, J = 5.2Hz, 4H), 0.34 (s, 4H); LC/MS(ESI+) m/z: [M+H]+ =493.05.
실시예 22, 2-(2-((5'-(아미노메틸)-2'-플루오로-5-(6-아자스피로[2.5]옥탄-6-일)-[1,1'-비페닐]-3-일)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022)의 합성
화합물 022의 합성은 화합물 007의 합성 방법을 참조하며 여기서 원료를 007-a에서 3-브로모-4-플루오로벤조니트릴(022-a)로 대체하면 된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7.69 (d, J = 8.0 Hz, 1H), 7.27 (m, 1H), 7.09 (m, 6H), 6.83 (m, 2H), 5.20 (s, 2H), 5.08 (s, 2H), 4.19 (s, 1H), 3.79 (s, 1H), 3.37 (s, 2H), 3.28 (s, 4H), 1.48 (d, J = 4.0 Hz, 4H), 0.35 (s, 4H); LC/MS(ESI+) m/z: [M+H]+ =475.05.
실시예 23, 2-(2-((3-(2-(아미노메틸)-3-플루오로피리딘-4-일)-5-(6-아자스피로[2.5]옥탄-6-일)벤질)옥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023)의 합성
23.1 화합물 023-1의 합성
트리아세톤아민(12.9g, 91.2mmol)을 취하여 반응 플라스크에 넣고 50mL의 건조된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을 가하고 질소 가스로 보호하고 0℃에서 n-부틸리튬(57mL, 91.2mmol)을 천천히 적가하고 0℃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그 다음 온도를 -78℃로 낮추고 023-a(10g, 76mmol)를 천천히 적가하고 온도를 -65℃보다 낮게 유지하며 10분 동안 반응시킨 다음 N,N-디메틸포름아미드(16.7g, 228.1mmol)를 적가하고 온도를 -65℃보다 낮게 유지하며 10분 동안 반응시킨 다음 빙초산(6.85g, 114mmol), 아세트산 무수물(11.6g, 114mmol)을 적가한 후 0℃로 승온시키고 물(100mL)을 가하고 pH=8로 조절하며, 에틸 아세테이트(100mL×3)로 추출하고 유기상을 합병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며,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2/1 내지 1/1)로 정제하여 화합물 023-1을 수득하였다.
23.2 화합물 023-2의 합성
023-1(8.4g, 52.7mmol) 및 023-b(7.66g, 63.2mmol)를 취하여 반응 플라스크에 넣고 디클로로메탄(50mL) 및 탄산세슘(34.3g, 105.3mmol)을 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용액에 물(100mL)을 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50mL×3)로 추출하고 유기상을 합병하고 유기상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며,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2/1 내지 1/1)로 정제하여 화합물 023-2를 수득하였다. LC/MS(ESI+)m/z: [M+H]+=262.95.
23.3 화합물 023-3의 합성
023-2(8.0g, 30.45mmol)를 취하여 반응 플라스크에 넣고 메탄올(60mL)을 가하고 질소 가스로 보호하고 상기 반응계에 수소화붕소나트륨(4.61g, 121.80mmol)을 천천히 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50mL) 및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50mL)을 가하고 유기상을 분리하고 수상을 에틸 아세테이트(50mL×3)로 추출하고 유기상을 합병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며,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2/1 내지 1/1)로 정제하여 화합물 023-3을 수득하였다. LC/MS(ESI+) m/z: [M+H]+=265.05.
23.4 화합물 023-4의 합성
023-c(10g, 46.1mmol)를 취하여 반응 플라스크에 넣고 N,N-디메틸포름아미드(50mL), 탄산세슘(45g, 138.2mmol) 및 아이오딘화메틸(16.4g, 115.2mmol)을 가하고 실온에서 밤새 반응시켰다. 반응 용액에 물을 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50mL×3)로 추출하고 유기상을 합병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며,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3/1 내지 1/1)로 정제하여 화합물 023-4를 수득하였다.
23.5 화합물 023-5의 합성
023-4(5g, 20.4mmol)를 취하여 반응 플라스크에 넣고 001-d(3.68g, 23mmol), 탄산세슘(20g, 61.21mmol), 1,4-다이옥세인(30mL),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200mg, 2.04mmol) 및 2-디사이클로헥실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비페닐(100mg, 2.04mmol)을 가하고 100℃에서 1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용액을 여과하고 농축하며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3/1 내지 1/1)로 정제하여 화합물 023-5를 수득하였다. LC/MS(ESI+) m/z: [M+H]+ =276.05.
23.6 화합물 023-6의 합성
023-5(6.0g, 14.5mmol)를 취하여 반응 플라스크에 넣고 디클로로메탄(30mL)을 가하고 0℃에서 삼브롬화붕소(7.28g, 29.1mmol)를 천천히 적가하고, 적가가 완료된 후 반응 용액을 실온으로 승온시키고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메탄올(30mL)을 가하여 반응을 천천히 퀀칭시킨 후 물(30mL)을 가하고 디클로로메탄(50mL×3)으로 추출하고 유기상을 합병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며,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3/1 내지 1/1)로 정제하여 화합물 023-6을 수득하였다. LC/MS(ESI+) m/z: [M+H]+ =262.05.
23.7 화합물 023-7의 합성
023-6(2.4g, 10mmol)을 취하여 반응 플라스크에 넣고 디클로로메탄(30mL)을 가하고 피리딘(870mg, 6.26mmol)을 가하고 0℃에서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무수물(3.4g, 12mmol)을 적가하고, 적가가 완료된 후 반응 용액을 실온으로 승온시키고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용액에 물(30mL)을 가하고 디클로로메탄(50mL×3)으로 추출하고 유기상을 합병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며,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5/1 내지 1/1)로 정제하여 화합물 023-7을 수득하였다.
23.8 화합물 023-8의 합성
023-7(1.7g, 4.32mmol)을 취하여 반응 플라스크에 넣고 1,4-다이옥세인(50mL), 비스(피나콜라토)디보론(1.7g, 6.5mmol), 아세트산칼륨(1.3g, 13mmol) 및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II)(323mg, 0.44mmol)을 가하고 질소 가스로 보호하고 반응 용액을 80℃에서 12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 용액을 농축하고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5/1 내지 1/1)로 정제하여 화합물 023-8을 수득하였다. LC/MS(ESI+) m/z: [M+H]+ =372.00.
23.9 화합물 023-9의 합성
023-8(1.5g, 4.05mmol)을 취하여 반응 플라스크에 넣고 023-3(962mg, 5.3mmol), 1,4-다이옥세인(30mL) 및 물(5mL)을 가한 다음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II)(356mg, 0.405mmol) 및 탄산칼륨(1.68g, 12.12mmol)을 가하고 질소 가스로 보호하고 반응 용액을 100℃에서 2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 용액을 농축하고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5/1 내지 1/1)로 정제하여 화합물 023-9를 수득하였다. LC/MS(ESI+) m/z: [M+H]+ =474.00.
23.10 화합물 023-10의 합성
023-9(1.7g, 3.59mmol)를 취하여 반응 플라스크에 넣고 테트라하이드로푸란(15mL)을 가하고 온도를 0℃로 낮추고 수소화알루미늄리튬(408mg, 10.77mmol)을 천천히 가하고 0℃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용액에 물(20mL)을 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50mL×3)로 추출하고 유기상을 합병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며,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3/1 내지 1/1)로 정제하여 화합물 023-10을 수득하였다. LC/MS(ESI+) m/z: [M+H]+ =446.00.
23.11 화합물 023-11의 합성
023-10(700mg, 1.57mmol)을 취하여 반응 플라스크에 넣고 001-c(313mg, 1.89mmol), 트리페닐포스핀(824mg, 3.14mmol) 및 디클로로메탄(10mL)을 가하고 질소 가스로 보호하고, 0℃에서 디이소프로필 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635mg, 3.14mmol)를 천천히 적가하고, 적가가 완료된 후 실온으로 승온시키고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용액을 농축하고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3/1 내지 1/1)로 정제하여 화합물 023-11을 수득하였다. LC/MS(ESI+) m/z: [M+H]+ =594.00.
23.12 화합물 023-12의 합성
023-11(400mg, 1.674mmol)을 취하여 반응 플라스크에 넣고 디클로로메탄(2mL), 염화수소의 1,4-다이옥세인 용액(4N, 2mL)을 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용액을 농축하여 화합물 023-12(조질의 생성물)를 수득하며, 직접 다음 단계에 사용할 수 있었다.
23.13 화합물 023의 합성
023-12(300mg, 0.613mmol) 및 수산화나트륨(246mg, 1.84mmol)을 메탄올(2mL) 및 물(2mL)에 순차적으로 가하고 60℃의 조건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용액을 분취용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 후 동결건조시켜 표적 화합물 023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8.52 (d, J = 8.0 Hz, 1H), 8.43 (s, 2H), 7.69 (t, J = 4.0 Hz, 1H), 7.26 - 7.20 (m, 3H), 7.14 (d, J = 12.0 Hz, 2H), 7.04 (d, J = 8.0 Hz, 1H), 6.91 (t, J = 4.0 Hz, 1H), 5.15 (s, 2H), 4.34 (d, J = 4.0 Hz, 2H), 3.59 (s, 2H), 3.37 - 3.30 (m, 4H), 1.51 - 1.44 (m, 4H), 0.35 (s, 4H); LC/MS(ESI+) m/z: [M+H]+ =476.00.
실시예 24, 2-(2-((3'-(아미노메틸)-2'-플루오로-5-(2-옥사-7-아자스피로[3.5]노난-7-일)-[1,1'-비페닐]-3-일)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024)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의 합성
24.1 화합물 024-1의 합성
021-1(407mg, 1.51mmol), 탄산칼륨(626mg, 4.53mmol), 001-3(1.13g, 2.72mmol),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II)(110mg, 0.15mmol), 1,4-다이옥세인(9mL) 및 물(1mL)을 50mL의 반응 플라스크에 가하고 질소 가스로 3회 치환한 후 반응 용액을 110℃에서 2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반응 용액을 여과하고 여액에 물(60mL)을 가하여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20mL×3)로 추출하였다. 합병한 유기상을 포화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4/1)로 정제하여 화합물 024-1을 수득하였다. LC/MS(ESI+)m/z: [M+H-Boc]+=457.90.
24.2 화합물 024-2의 합성
024-1(303mg, 0.54mmol), 나트륨 tert-부톡사이드(156mg, 1.63mmol), 011-a(121mg, 0.705mmol),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50mg, 54.3μmol), 2-디사이클로헥실포스피노-2',6'-디메톡시비페닐(45mg, 108.5μmol) 및 톨루엔(10mL)을 50mL의 반응 플라스크에 가하고 질소 가스로 3회 치환한 후 반응 용액을 110℃에서 2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0.5M의 희염산으로 pH=2로 조절하고 여과하고 여액에 물(60mL)을 가하여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20mL×3)로 추출하였다. 합병한 유기상을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024-2를 수득하였다. LC/MS(ESI+)m/z: [M+H]+=591.05.
24.3 화합물 024의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의 합성
024-2(59mg, 0.1mmol) 및 디클로로메탄(2mL)을 플라스크에 넣고 실온에서 반응계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0.4mL)을 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하고 잔류물을 분취용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고 동결 건조시켜 화합물 024의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를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DMSO-d 6 ): δ 8.25 (s, 2H), 7.57 (dt, J1 = 7.6 Hz, J2 = 1.6 Hz, 1H), 7.51 (t, J = 7.6 Hz, 1H), 7.34 (t, J = 7.6 Hz, 1H), 7.22 (d, J = 7.2 Hz, 2H), 7.12 (s, 1H), 7.04-7.0 (m, 3H), 6.90 (t, J = 7.6 Hz, 1H), 5.11 (s, 2H), 4.35 (s, 4H), 4.15 (d, J = 6.0 Hz, 2H), 3.58 (s, 2H), 3.17 (t, J = 5.6 Hz, 3H), 1.89 (t, J = 5.6 Hz, 3H), 1.23 (s, 2H ); LC/MS(ESI+) m/z: [M+H]+ =491.05.
실시예 25, 2-(2-((3'-(아미노메틸)-2'-플루오로-5-(2-옥사-7-아자스피로[3.5]노난-7-일)-[1,1'-비페닐]-3-일)메톡시)-5-플루오로페닐)아세트산(화합물 025)의 합성
25.1 화합물 025-1의 합성
질소 가스의 보호 하에 010-3(300mg, 0.69mmol) 및 021-1(244mg, 0.69mmol), 탄산칼륨(192mg, 1.39mmol) 및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II)(52mg, 0.07mmol)을 1,4-다이옥세인(10mL) 및 물(1mL)에 용해시켜 수득된 혼합물을 100℃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물을 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10mL×3)로 추출하고 합병한 유기상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3/1 내지 1/1)로 정제하여 화합물 025-1을 수득하였다. LC/MS(ESI+)m/z: [M+H-Boc]+=475.85.
25.2 화합물 025-2의 합성
025-1(300mg, 0.52mmol)을 취하여 반응 플라스크에 넣고 011-a(110mg, 0.52mmol), 탄산세슘(680mg, 2.08mmol), 1,4-다이옥세인(10mL),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80mg, 0.06mmol) 및 2-디사이클로헥실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비페닐(150mg, 0.06mmol)을 가하고 100℃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용액을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며,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3/1 내지 1/1)로 정제하여 화합물 025-2를 수득하였다. LC/MS(ESI+)m/z: [M+H]+=623.00.
25.3 화합물 025의 합성
화합물 025의 합성은 실시예 1의 단계 1.6 및 1.7의 합성 방법을 참조하였다.
1H NMR (600 MHz, DMSO-d 6 ): δ 7.43 (t, J = 8.0 Hz, 1H), 7.41 - 7.36 (m, 1H), 7.21 (t, J = 8.0 Hz, 1H), 7.08 - 7.04 (m, 2H), 7.02 (s, 1H), 7.00 - 6.94 (m, 3H), 5.10 (s, 2H), 4.34 (s, 4H), 3.83 (s, 2H), 3.51 (s, 2H), 3.18 - 3.12 (m, 4H), 1.90 - 1.87 (m, 4H); LC/MS(ESI+) m/z: [M+H]+ =509.05.
실시예 26, 2-(2-((3'-(아미노메틸)-4-플루오로-5-(2-옥사-7-아자스피로[3.5]노난-7-일)-[1,1'-비페닐]-3-일)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026)의 합성
26.1 화합물 026-1의 합성
026-a(3.0g, 13.7mmol)를 취하여 반응 플라스크에 넣고 황산(10mL)을 가하고 0℃에서 N-요오도숙신이미드(2.5g, 14.4mmol)를 천천히 가한 후 실온으로 승온시키고 밤새 반응시켰다. 반응 용액을 얼음물에 부어 고체가 석출되며 여과하고 고체를 건조시켜 화합물 026-1을 수득하였다.
26.2 화합물 026-2의 합성
026-1(3.6g, 10.44mmol)을 취하여 반응 플라스크에 넣고 테트라하이드로푸란(20mL)을 가하고, 질소 가스로 보호하고, 0℃에서 보란 테트라하이드로푸란(31.3mL, 31.30mmol, 1M)을 천천히 적가하고 10분 동안 반응시킨 후 온도를 60℃로 승온시키고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메탄올(20mL)을 천천히 적가하여 반응을 퀀칭시켰다. 퀀칭이 완료된 후 반응 용액을 농축하고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10/1 내지 1/1)하여 화합물 026-2를 수득하였다.
26.3 화합물 026-3의 합성
026-2(1g, 3.02mmol)를 취하여 반응 플라스크에 넣고 001-c(551mg, 3.02mmol), 디클로로메탄(20mL) 및 트리페닐포스핀(1.6g, 6.04mmol)을 가하고, 질소 가스로 3회 치환하고 0℃에서 디이소프로필 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2.2g, 6.04mmol)를 천천히 적가한 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용액을 농축하고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10/1 내지 1/1)하여 화합물 026-3을 수득하였다. LC/MS(ESI+)m/z: [M+H]+=480.75.
26.4 화합물 026-4의 합성
질소 가스의 보호 하에 026-3(540mg, 1.13mmol) 및 001-2(376mg, 1.13mmol), 탄산칼륨(312mg, 2.25mmol),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II)(83mg, 0.113mmol)을 1,4-다이옥세인(10mL) 및 물(1mL)에 용해시키고 100℃의 조건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물을 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10mL×3)를 추출하고 유기상을 합병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3/1 내지 1/1)하여 화합물 026-4를 수득하였다. LC/MS(ESI+)m/z: [M+H]+=459.90.
26.5 화합물 026-5의 합성
026-4(400mg, 0.72mmol)를 취하여 반응 플라스크에 넣고 011-a(110mg, 0.72mmol), 탄산세슘(480mg, 1.4mmol), 1,4-다이옥세인(10mL),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66mg, 0.07mmol) 및 2-디사이클로헥실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비페닐(32mg, 0.07mmol)을 가하고 100℃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반응 용액에 물(20mL)을 가하여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20mL×3)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농축하고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3/1 내지 1/1)하여 화합물 026-5를 수득하였다. LC/MS(ESI+)m/z: [M+H]+=605.10.
26.6 화합물 026의 합성
화합물 026의 합성은 실시예 1의 단계 1.6 및 1.7의 합성 방법을 참조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8.14 (s, 1H), 7.66 (d, J = 4.0 Hz, 2H), 7.37 (t, J = 8.0 Hz, 1H), 7.27-7.22 (m, 2H), 7.12-7.07 (m, 2H), 6.89 (d, J = 8.0 Hz, 1H), 6.81 (t, J = 8.0 Hz, 1H), 5.25 (s, 2H), 4.37 (s, 4H), 3.93 (s, 2H), 3.39 (s, 2H), 3.00 (s, 4H), 2.07-1.86 (m, 4H); LC/MS(ESI+) m/z: [M+H]+ =491.05.
실시예 27, 2-(2-((3'-(아미노메틸)-6-플루오로-5-(2-옥사-7-아자스피로[3.5]노난-7-일)-[1,1'-비페닐]-3-일)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027)의 합성
27.1 화합물 027-1의 합성
027-a(2.0g, 7.4mmol)를 아세토니트릴(20mL)에 용해시키고 N-브로모숙신이미드(1.31g, 7.4mmol) 및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120mg, 0.74mmol)을 가하고 80℃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용액을 농축하고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027-1을 수득하였다.
27.2 화합물 027-2의 합성
027-1(1.8g, 5.19mmol)를 아세토니트릴(20mL)에 용해시키고 탄산칼륨(1.43g, 10.38mmol) 및 메틸 o-하이드록시페닐아세테이트(905.5mg, 5.45mmol)를 가하고 25℃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용액을 여과하고 여액을 농축하며,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027-2를 수득하였다. LC/MS(ESI+) m/z: [M+H]+=432.8.
27.3 화합물 027-3의 합성
027-2(1.0g, 2.3mmol)를 반응 플라스크에 넣고 탄산칼륨(640mg, 4.6mmol), 001-2(0.77g, 2.3mmol),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II)(100mg, 10wt%), 1,4-다이옥세인(10mL) 및 물(1mL)을 가하였다. 질소 가스의 보호 하에 90℃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며,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027-3을 수득하였다. LC/MS(ESI+) m/z: [M+H]+= 558.1.
27.4 화합물 027-4의 합성
027-3(120mg, 0.21mmol)을 1,4-다이옥세인(5mL)에 용해시키고 011-a(48.7mg, 0.25mmol), 탄산세슘(210mg, 0.64mmol),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12mg, 10wt%) 및 2-디사이클로헥실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비페닐(12mg, 10wt%)을 가하고 질소 가스의 보호 하에 100℃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반응 용액을 여과하고 여액을 농축하며,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027-4를 수득하였다. LC/MS(ESI+) m/z: [M+H]+=605.1.
27.5 화합물 027의 합성
화합물 027의 합성은 실시예 1의 단계 1.6 및 1.7의 합성 방법을 참조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7.98 (s, 1H), 7.61 (d, J = 7.2 Hz, 1H), 7. 43 (d, J = 5.6 Hz, 1H), 7.38 (t, J = 8.0 Hz, 1H), 7.30 (d, J = 7.6 Hz, 1H), 7.10-7.08 (m, 3H), 6.90 (d, J = 8.4 Hz, 1H), 6.80 (t, J = 7.6 Hz, 1H), 5.10 (s, 2H), 4.37 (s, 4H), 3.94 (s, 2H), 3.36 (s, 2H), 2.95 (t, J = 5.2 Hz, 4H), 1.95 (t, J = 5.6 Hz, 4H); LC/MS(ESI+) m/z: [M+H]+ =491.0.
실시예 28, 2-(2-((3'-(아미노메틸)-5-(2-옥사-7-아자스피로[3.5]노난-7-일)-[1,1'-비페닐]-3-일)메톡시)-3-플루오로페닐)아세트산(화합물 028)의 합성
28.1 화합물 028-1의 합성
아연분말(4.7g, 71.86mmol)을 취하여 반응 플라스크에 넣고 테트라하이드로푸란(10mL)을 가하고 질소 가스의 보호 하에 트리메틸클로로실란(390mg, 3.59mmol)을 가하고 50℃에서 0.5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028-a(6.0g, 35.93mmol)를 천천히 적가하였다. 70℃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켜 화합물 028-1의 용액을 수득하며 직접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28.2 화합물 028-2의 합성
028-b(2.0g, 9.75mmol)를 취하여 반응 플라스크에 넣고 테트라하이드로푸란(10mL),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1.0g, 0.98mmol) 및 2-디사이클로헥실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비페닐(500mg, 0.95mmol)을 가하고 질소 가스의 보호 하에 단계 28.1에서 수득된 화합물 028-1의 용액(12mL)을 천천히 적가하며 70℃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용액에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10mL)을 가하여 퀀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30mL×3)로 추출하였다. 합병한 유기상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10/1 내지 1/1)하여 화합물 028-2를 수득하였다. LC/MS(ESI+) m/z: [M+H]+=213.10.
28.3 화합물 028-3의 합성
028-2(1.8g, 8.5mmol)를 취하여 반응 플라스크에 넣고 디클로로메탄(20mL)을 가하고, 질소 가스로 보호하고, 0℃에서 삼브롬화붕소(18mL, 17.0mmol)를 천천히 적가하고 10분 동안 반응시킨 후 실온으로 옮기고 10분 동안 계속하여 반응시켰다. 에탄올(10mL)을 천천히 적가하여 반응을 퀀칭시키고 물(10mL)을 가하여 희석하고 디클로로메탄(30mL×3)으로 추출하고 유기상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10/1 내지 1/1)하여 화합물 028-3을 수득하였다. LC/MS(ESI+) m/z: [M+H]+=199.10.
28.4 화합물 028-4의 합성
028-3(0.75g, 3.65mmol)을 취하여 반응 플라스크에 넣고 009-b(1.2g,3.65mmol), 탄산칼륨(1.1g, 7.3mmol) 및 N,N-디메틸포름아미드(20mL)를 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용액에 물(20mL)을 가하여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30mL×3)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10/1 내지 1/1)하여 화합물 028-4를 수득하였다. LC/MS(ESI+) m/z: [M+H]+= 446.75.
28.5 화합물 028의 합성
화합물 028의 합성은 화합물 027의 합성 방법을 참조하며 이의 합성 단계에서 027-2를 028-4로 대체하면 된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8.18 (s, 1H), 7.68 (d, J = 8.0 Hz, 1H), 7.53 (s, 1H), 7.39 (t, J = 8.0 Hz, 1H), 7.28 (d, J = 8.0 Hz, 1H), 7.18 (s, 1H), 7.09-7.03 (m, 1H), 7.00 - 6.93 (m, 3H), 5.09 (s, 2H), 4.35 (s, 4H), 3.97 (s, 2H), 3.43 (s, 2H), 3.21 - 3.16 (m, 4H), 1.93 - 1.88 (m, 4H); LC/MS(ESI+) m/z: [M+H]+ =491.05.
실시예 29, 2-(2-((3'-(아미노메틸)-5-(3-옥사-9-아자스피로[5.5]운데칸-9-일)-[1,1'-비페닐]-3-일)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029)의 합성
화합물 029의 합성은 화합물 001의 합성 방법을 참조하며 이의 단계에서 원료를 001-d에서 3-옥사-9-아자스피로[5.5]운데칸(029-a)으로 대체하면 된다.
1H NMR (600 MHz, DMSO-d 6 ): δ 8.25 (s, 2H), 7.79 (s, 1H), 7.70 (d, J = 5.6 Hz, 1H), 7.50 (t, J = 5.2 Hz, 1H), 7.43 (d, J = 5.2 Hz, 1H), 7.25 - 7.18 (m, 4H), 7.15 (d, J = 2.0 Hz, 1H), 7.03 (d, J = 5.2 Hz, 1H), 6.93 - 6.87 (m, 1H), 5.13 (s, 2H), 4.12 (dd, J = 4.0 Hz, J = 7.6 Hz, 2H), 3.60 (s, 2H), 3.60 - 3.57 (m, 4H), 3.32 - 3.25 (m, 4H), 1.69 - 1.62 (m, 4H), 1.51 - 1.46 (m, 4H); LC/MS(ESI+) m/z: [M+H]+ =501.10.
실시예 30, 2-(2-((3'-(아미노메틸)-5-(2-옥사-9-아자스피로[5.5]운데칸-9-일)-[1,1'-비페닐]-3-일)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030)의 합성
화합물 030의 합성은 화합물 001의 합성 방법을 참조하며 이의 단계에서 원료를 001-d에서 2-옥사-9-아자스피로[5.5]운데칸(030-a)으로 대체하면 된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8.17 (s, 1H), 7.67 (d, J = 8.0 Hz, 1H), 7.41 (s, 1H), 7.37 (t, J = 7.6 Hz, 1H), 7.26 (d, J = 7.6 Hz, 1H), 7.14 - 7.05 (m, 3H), 6.97 (s, 1H), 6.90 (d, J = 8.0 Hz, 1H), 6.80 (t, J = 7.2 Hz, 1H), 5.14 (s, 2H), 3.94 (s, 2H), 3.55 (s, 2H), 3.40 (d, J = 2.4 Hz, 4H), 3.23 (t, J = 5.6 Hz, 4H), 1.62 - 1.51 (m, 8H); LC/MS(ESI+) m/z: [M+H]+ =501.15.
실시예 31, 2-(2-((3'-(아미노메틸)-5-(6-옥사-2-아자스피로[3.4]옥탄-2-일)-[1,1'-비페닐]-3-일)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031)의 합성
화합물 031의 합성은 화합물 001의 합성 방법을 참조하며 여기서 원료를 001-d에서 6-옥사-2-아자스피로[3.4]옥탄(031-a)으로 대체하면 된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9.47 (s, 1H), 7.92 (d, J = 59.6 Hz, 1H), 7.53 (dd, J = 30.0, 8 Hz, 1H), 7.39 - 7.33 (m, 1H), 7.30 - 7.24 (m, 2H), 7.17 - 7.00 (m, 2H), 6.92 - 6.74 (m, 2H), 6.64 (d, J = 5.6 Hz, 1H), 6.48 (d, J = 23.2 Hz, 1H), 5.14 (d, J = 32.0 Hz, 2H), 4.24 (s, 1H), 3.86 (s, 4H), 3.83 (d, J = 3.2 Hz, 2H), 3.74 (t, J = 7.2 Hz, 3H), 3.38 (d, J = 13.2 Hz, 2H), 2.18 - 2.13 (m, 2H); LC/MS(ESI+) m/z: [M+H]+ =459.05.
실시예 32, 2-(2-((3'-(아미노메틸)-5-(2-메틸-2,7-디아자스피로[3.5]노난-7-일)-[1,1'-비페닐]-3-일)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032)의 합성
화합물 032의 합성은 화합물 001의 합성 방법을 참조하며 여기서 원료를 001-d에서 2-메틸-2,7-디아자스피로[3.5]노난(032-a)으로 대체하면 된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11.67 - 11.47 (m, 1H), 10.08 (s, 1H), 8.23 (s, 2H), 7.78 (s, 1H), 7.69 (d, J = 7.6 Hz, 1H), 7.50 (t, J = 7.6 Hz, 1H), 7.43 (d, J = 7.6 Hz, 1H), 7.23 (t, J = 7.6 Hz, 2H), 7.14 (d, J = 5.8 Hz, 2H), 7.07 (s, 1H), 7.03 (d, J = 8.2 Hz, 1H), 6.90 (t, J = 7.4 Hz, 1H), 5.12 (s, 2H), 4.11 (d, J = 5.4 Hz, 4H), 3.88 - 3.75 (m, 2H), 3.60 (s, 2H), 3.23 (d, J = 36.8 Hz, 4H), 2.87 (d, J = 4.2 Hz, 3H), 1.90 (s, 4H); LC/MS(ESI+) m/z: [M+H]+ =486.05.
실시예 33, 2-(2-((3'-(아미노메틸)-5-(3,9-디아자스피로[5.5]운데칸-3-일)-[1,1'-비페닐]-3-일)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033)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의 합성
33.1 화합물 033-1의 합성
001-4(216mg, 0.4mmol), 나트륨 tert-부톡사이드(77mg, 0.8mmol), 033-a(122mg, 0.48mmol),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37mg, 40μmol), 2-디사이클로헥실포스피노-2',6'-디메톡시비페닐(33mg, 80μmol) 및 톨루엔(4mL)을 50mL의 반응 플라스크에 가하고 질소 가스로 3회 치환한 후 반응 용액을 110℃에서 2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0.5M의 희염산으로 pH=2로 조절하고 여과하고 여액에 물(60mL)을 가하여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20mL×3)로 추출하였다. 합병한 유기상을 포화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033-1을 수득하였다. LC/MS(ESI+) m/z: [M+H]+=700.10.
33.2 화합물 033의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의 합성
033-1(78mg, 0.11mmol) 및 디클로로메탄(2mL)을 플라스크에 넣고 실온에서 반응계에 4-플루오로벤젠보론산(31mg, 0.22mmol)을 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여 질소산화물을 제거한 후 반응계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0.2mL)을 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하고 잔류물을 분취용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033의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8.49 (s, 2H), 8.26 (s, 3H), 7.78 (s, 1H), 7.69 (d, J = 7.6 Hz, 1H), 7.50 (t, J = 7.6 Hz, 1H), 7.43 (d, J = 7.6 Hz, 1H), 7.22 (d, J = 7.2 Hz, 2H), 7.15 (d, J = 5.6 Hz, 2H), 7.10 (s, 1H), 7.04 (d, J = 8.0 Hz, 1H), 6.91 (t, J = 7.6 Hz, 1H), 5.13 (s, 2H), 4.12 (q, J = 5.6 Hz, 2H), 3.60 (s, 2H), 3.27 (t, J = 6.0 Hz, 4H ), 3.09 (s, 4H), 1.64 (d, J = 5.6 Hz, 8H); LC/MS(ESI+) m/z: [M+H]+ =500.10.
실시예 34, 2-(2-((3'-(아미노메틸)-5-(2-아자스피로[4.4]노난-2-일)-[1,1'-비페닐]-3-일)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034)의 합성
화합물 034의 합성은 화합물 001의 합성 방법을 참조하며 여기서 원료를 001-d에서 2-아자스피로[4.4]노난(034-a)으로 대체하면 된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8.11 (s, 1H), 7.66 (d, J = 6.0 Hz, 1H), 7.37 (t, J = 6.0 Hz, 1H), 7.30 - 7.22 (m, 2H), 7.15 - 7.05 (m, 2H), 6.90 (d, J = 12.0 Hz, 1H), 6.80 (t, J = 6.0 Hz, 1H), 6.68 (s, 1H), 6.53 (s, 1H), 5.13 (s, 2H), 3.94 (s, 2H), 3.42 (s, 2H), 3.39-3.37 (m, 2H), 3.21 (s, 2H), 1.88 (t, J = 6.0 Hz, 2H), 1.70 - 1.65 (m, 4H), 1.64 - 1.56 (m, 4H); LC/MS(ESI+) m/z: [M+H]+ =471.10.
실시예 35, (S)-2-(2-((3'-(1-아미노에틸)-5-(4-옥사-7-아자스피로[2.5]옥탄-7-일)-[1,1'-비페닐]-3-일)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035-A 또는 035-B) 및 (R)-2-(2-((3'-(1-아미노에틸)-5-(4-옥사-7-아자스피로[2.5]옥탄-7-일)-[1,1'-비페닐]-3-일)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035-B 또는 035-A)의 합성
35.1 화합물 035-1의 합성
035-a(500mg, 2.5mmol)를 취하여 반응 플라스크에 넣고 디-tert-부틸 디카르보네이트(599.95mg, 2.75mmol), 트리에틸아민(505.77mg, 5mmol) 및 디클로로메탄(5mL)을 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용액을 농축한 후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20/1~15/1)로 정제하여 화합물 035-1을 수득하며, 직접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LC/MS(ESI+) m/z: [M+H-tBu]+ =244.0.
35.2 화합물 035-2의 합성
035-1(7.50g, 24.98mmol), 비스(피나콜라토)디보론(7.61g, 29.98mmol), 아세트산칼륨(4.90g, 49.97mmol) 및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II)(0.75g, 2.50mmol)을 1,4-다이옥세인(80mL)에 용해시키고 질소 가스로 3회 치환하고 85℃에서 10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반응 용액에 물(80mL)을 가하여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100mL×3)로 추출하였다. 합병한 유기상을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10/1 내지 3/1)하여 화합물 035-2를 수득하였다. LC/MS(ESI+) m/z: [M+H-tBu]+ =292.05.
35.3 화합물 035-3의 합성
001-3(3.2g, 7.74mmol), 035-2(1.42g, 6.45mmol), 탄산칼륨(1.78g, 12.89mmol) 및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7g, 0.64mmol)을 1,4-다이옥세인 및 물의 혼합 용액(40mL, 1,4-다이옥세인/물=4/1)에 용해시키고 질소 가스로 3회 치환하고 80℃의 조건에서 16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반응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50mL×3)로 추출하였다. 합병한 유기상을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8/1 내지 3/1)하여 화합물 035-3을 수득하였다. LC/MS(ESI+) m/z: [M+H-Boc]+ =453.95.
35.4 화합물 035-4의 합성
035-3(0.2g, 0.36mmol), 016-a(65mg, 0.43mmol),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20mg, 0.04mmol),2-디사이클로헥실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비페닐(20mg, 0.04mmol) 및 탄산세슘(0.5g, 1.44mmol)을 1,4-다이옥세인(3mL)에 용해시키고 질소 가스로 3회 치환하고 100℃에서 16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반응 용액을 물(15mL)로 희석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10mL×3)로 추출하였다. 합병한 유기상을 포화 식염수(10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10/1 내지 1/1)하여 화합물 035-4를 수득하였다. LC/MS(ESI+) m/z: [M+H]+ =587.15.
35.5 화합물 035-A 및 035-B의 합성
화합물 035의 합성은 실시예 1의 단계 1.6 및 1.7의 합성 방법을 참조하였다. 035를 추가로 초임계 유체 크로마토그래피(방법: AD-3-IPA+CAN(DEA)-40-3 mL-35 T)로 카이랄 분할하여 035-A(머무름 시간 Rt=1.097min) 및 035-B(머무름 시간 Rt=1.773min)를 수득하였다.
035-A(머무름 시간 Rt=1.097min):
1H NMR (400 MHz, DMSO-d 6 ): δ 8.27 (s, 1H), 7.69 (d, J = 7.8 Hz, 1H), 7.54 (s, 1H), 7.38 (t, J = 7.6 Hz, 1H), 7.26 (d, J = 7.4 Hz, 1H), 7.13 (s, 1H), 7.09 (d, J = 4.8 Hz, 2H), 6.96 (s, 1H), 6.89 (d, J = 8.6 Hz, 1H), 6.80 (t, J = 7.4 Hz, 1H), 5.11 (s, 2H), 4.25 (d, J = 6.2 Hz, 1H), 3.83 (s, 2H), 3.43 - 3.26 (m, 4H), 3.20 (s, 2H), 1.50 (d, J = 6.4 Hz, 3H), 0.80 - 0.61 (m, 4H); LC/MS(ESI+) m/z: [M+H]+ =473.05.
035-B(머무름 시간 Rt=1.773min):
1H NMR (400 MHz, DMSO-d 6 ): δ 8.25 (s, 1H), 7.69 (d, J = 7.8 Hz, 1H), 7.53 (s, 1H), 7.39 (t, J = 7.6 Hz, 1H), 7.27 (d, J = 7.6 Hz, 1H), 7.13 (s, 1H), 7.10 (dt, J = 4.0, 3.6 Hz, 2H), 6.97 (s, 1H), 6.90 (d, J = 8.4 Hz, 1H), 6.81 (t, J = 7.4 Hz, 1H), 5.12 (s, 2H), 4.26 (d, J = 6.6 Hz, 1H), 3.87 - 3.80 (m, 2H), 3.40 (dd, J = 17.8, 12.0 Hz, 2H), 3.31 - 3.26 (m, 2H), 3.20 (s, 2H), 1.50 (d, J = 6.8 Hz, 3H), 0.77 - 0.65 (m, 4H); LC/MS(ESI+) m/z: [M+H]+ =473.05.
실시예 36, (S)-2-(2-((3'-(1-아미노에틸)-5-(2-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8-일)-[1,1'-비페닐]-3-일)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036-A 또는 036-B) 및 (R)-2-(2-((3'-(1-아미노에틸)-5-(2-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8-일)-[1,1'-비페닐]-3-일)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036-B 또는 036-A)의 합성
36.1 화합물 036-1의 합성
035-3(0.1g, 0.18mmol), 014-a(36mg, 0.19mmol),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10mg, 0.02mmol), 2-디사이클로헥실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비페닐(10mg, 0.02mmol) 및 탄산세슘(0.3g, 0.91mmol)을 1,4-다이옥세인(3mL)에 용해시키고 질소 가스로 3회 치환하고 100℃에서 16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반응 용액에 물(10mL)을 가하여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10mL×3)로 추출하고 유기상을 합병하였다. 유기상을 포화 식염수(10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10/1 내지 1/1)하여 화합물 036-1을 수득하였다. LC/MS(ESI+) m/z: [M+H]+ =615.10.
36.2 화합물 036-A 및 036-B의 합성
화합물 036의 합성은 실시예 1의 단계 1.6 및 1.7의 합성 방법을 참조하였다. 화합물 036을 추가로 초임계 유체 크로마토그래피(방법: OD-MeOH(DEA)-40-3 mL-35 T)로 카이랄 분할하여 036-A(머무름 시간 Rt=0.912min) 및 036-B(머무름 시간 Rt=1.354min)를 수득하였다.
036-A(머무름 시간 Rt=0.912min):
1H NMR (400 MHz, DMSO-d 6 ): δ 8.24 (s, 1H), 7.67 (d, J = 7.8 Hz, 1H), 7.47 (s, 1H), 7.39 (t, J = 7.8 Hz, 1H), 7.27 (d, J = 7.6 Hz, 1H), 7.11 (dd, J = 12.8, 7.0 Hz, 3H), 7.00 (s, 1H), 6.92 (d, J = 8.4 Hz, 1H), 6.81 (t, J = 7.4 Hz, 1H), 5.11 (s, 2H), 4.27 (q, J = 6.4 Hz, 1H), 3.77 (t, J = 7.2 Hz, 2H), 3.40 (dd, J = 18.2, 10.8 Hz, 2H), 3.26 (ddt, J = 18.2, 12.0, 6.0 Hz, 4H), 1.76 (t, J = 7.2 Hz, 2H), 1.71 - 1.59 (m, 4H), 1.50 (d, J = 6.8 Hz, 3H); LC/MS(ESI+) m/z: [M+H]+ =501.10.
036-B(머무름 시간 Rt=1.354min):
1H NMR (400 MHz, DMSO-d 6 ): δ 8.26 (s, 1H), 7.67 (d, J = 7.8 Hz, 1H), 7.49 (s, 1H), 7.38 (t, J = 7.6 Hz, 1H), 7.26 (d, J = 7.6 Hz, 1H), 7.11 (dd, J = 14.8, 8.4 Hz, 3H), 6.99 (s, 1H), 6.91 (d, J = 8.6 Hz, 1H), 6.81 (d, J = 7.4 Hz, 1H), 5.11 (s, 2H), 4.25 (d, J = 6.8 Hz, 1H), 3.77 (t, J = 7.0 Hz, 2H), 3.50 (s, 2H), 3.45 - 3.33 (m, 2H), 3.33 - 3.18 (m, 4H), 1.76 (t, J = 7.2 Hz, 2H), 1.65 (d, J = 5.0 Hz, 4H), 1.50 (d, J = 6.8 Hz, 3H); LC/MS(ESI+) m/z: [M+H]+ =501.10.
실시예 37, 2-(2-((3'-(1-아미노에틸)-5-(6-아자스피로[2.5]옥탄-6-일)-[1,1'-비페닐]-3-일)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037)의 합성
37.1 화합물 037-1의 합성
035-3(0.5g, 0.90mmol), 001-d(160mg, 1.08mmol),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50mg, 0.09mmol), 2-디사이클로헥실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비페닐(25mg, 0.09mmol) 및 탄산세슘(0.6g, 3.61mmol)을 1,4-다이옥세인(5mL)에 용해시키고 질소 가스로 3회 치환하고 100℃에서 16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반응 용액에 물(15mL)을 가하여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10mL×3)로 추출하였다. 합병한 유기상을 포화 식염수(10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10/1 내지 1/1)하여 화합물 037-1을 수득하였다. LC/MS(ESI+) m/z: [M+H]+ =585.15.
37.2 화합물 037의 합성
화합물 037의 합성은 실시예 1의 단계 1.6 및 1.7의 합성 방법을 참조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8.32 (s, 2H), 7.78 (s, 1H), 7.69 (d, J = 7.8 Hz, 1H), 7.52 (t, J = 7.8 Hz, 1H), 7.45 (d, J = 7.8 Hz, 1H), 7.26 (d, J = 10.0 Hz, 2H), 7.22 (dd, J = 7.6, 1.3 Hz, 2H), 7.19 (s, 1H), 7.04 (d, J = 8.0 Hz, 1H), 6.90 (dd, J = 11.6, 4.1 Hz, 1H), 5.14 (s, 2H), 4.51 - 4.45 (m, 1H), 3.60 (s, 2H), 3.40 - 3.33 (m, 4H), 1.55 (d, J = 6.8 Hz, 3H), 1.52 (d, J = 5.4 Hz, 4H), 0.37 (s, 4H); LC/MS(ESI+) m/z: [M+H]+ =471.05.
실시예 38, (S)-2-(2-((3'-(1-아미노에틸)-5-(3-옥사-9-아자스피로[5.5]운데칸-9-일)-[1,1'-비페닐]-3-일)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038-A 또는 038-B) 및 (R)-2-(2-((3'-(1-아미노에틸)-5-(3-옥사-9-아자스피로[5.5]운데칸-9-일)-[1,1'-비페닐]-3-일)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038-B 또는 038-A)의 합성
38.1 화합물 038-1의 합성
035-3(300mg, 0.54mmol)을 취하여 반응 플라스크에 넣고 029-a(93mg, 0.60mmol), 탄산세슘(705mg, 2.16mmol), 1,4-다이옥세인(3mL),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49mg, 0.05mmol) 및 2-디사이클로헥실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비페닐(25mg, 0.05mmol)을 가하였다. 질소 가스로 치환한 후 100℃에서 5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반응 용액에 물(10mL)을 가하여 희석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20mL×3)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합병하고 포화 식염수(10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후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038-1을 수득하였다. LC/MS(ESI+) m/z: [M+H]+ =629.15.
38.2 화합물 038-A 및 038-B의 합성
화합물 038의 합성은 실시예 1의 단계 1.6 및 1.7의 합성 방법을 참조하였다. 화합물 038을 추가로 초임계 유체 크로마토그래피(방법: OD-EtOH(DEA)-40-3 mL-35 T)로 카이랄 분할하여 038-A(머무름 시간 Rt=1.079min) 및 038-B(머무름 시간 Rt=1.627min)를 수득하였다.
038-A(머무름 시간 Rt=1.079min):
1H NMR (400 MHz, DMSO-d 6 ): δ 8.25 (s, 1H), 7.66 (d, J = 7.4 Hz, 1H), 7.47 (s, 1H), 7.37 (t, J = 7.4 Hz, 1H), 7.26 (d, J = 7.2 Hz, 1H), 7.16 - 7.03 (m, 3H), 6.98 (s, 1H), 6.90 (d, J = 8.8 Hz, 1H), 6.79 (d, J = 7.2 Hz, 1H), 5.10 (s, 2H), 4.24 (s, 1H), 3.59 (s, 4H), 3.35 (s, 2H), 3.25 (s, 4H), 1.64 (s, 4H), 1.49 (s, 3H), 1.49 - 1.41 (m, 4H); LC/MS(ESI+) m/z: [M+H]+ =515.05.
038-B(머무름 시간 Rt=1.627min):
1H NMR (400 MHz, DMSO-d 6 ): δ 8.32 (s, 2H), 7.79 (s, 1H), 7.67 (d, J = 7.6 Hz, 1H), 7.50 (t, J = 7.6 Hz, 1H), 7.44 (d, J = 7.8 Hz, 1H), 7.22 (d, J = 7.6 Hz, 2H), 7.08 (s, 1H), 7.07 - 6.96 (m, 3H), 6.90 (t, J = 7.4 Hz, 1H), 5.12 (s, 2H), 4.50 (s, 1H), 3.60 (s, 4H), 3.57 (s, 2H), 3.28 - 3.23 (m, 4H), 1.73 - 1.58 (m, 4H), 1.55 (d, J = 6.8 Hz, 3H), 1.51 - 1.44 (m, 4H); LC/MS(ESI+) m/z: [M+H]+ =515.05.
실시예 39, (S)-2-(2-((3'-(1-아미노에틸)-5-(2-옥사-9-아자스피로[5.5]운데칸-9-일)-[1,1'-비페닐]-3-일)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039-A 또는 039-B) 및 (R)-2-(2-((3'-(1-아미노에틸)-5-(2-옥사-9-아자스피로[5.5]운데칸-9-일)-[1,1'-비페닐]-3-일)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039-B 또는 039-A)의 합성
39.1 화합물 039-1의 합성
035-3(300mg, 0.54mmol)을 취하여 반응 플라스크에 넣은 후 030-a(93mg, 0.60mmol), 탄산세슘(705mg, 2.16mmol), 1,4-다이옥세인(3mL),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49mg, 0.05mmol) 및 2-디사이클로헥실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비페닐(25mg, 0.05mmol)을 순차적으로 가하였다. 질소 가스로 치환한 후 반응 용액을 100℃에서 5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물(10mL)을 가하여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20mL×3)로 추출하였다. 합병한 유기상을 포화 식염수(10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후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039-1을 수득하였다. LC/MS(ESI+) m/z: [M+H]+ =629.15.
39.2 화합물 039-A 및 039-B의 합성
화합물 039의 합성은 실시예 1의 단계 1.6 및 1.7의 합성 방법을 참조하였다. 화합물 039을 추가로 초임계 유체 크로마토그래피(방법: OD-MeOH(DEA)-40-3 mL-35 T)로 카이랄 분할하여 039-A(머무름 시간 Rt=0.935min) 및 039-B(머무름 시간 Rt=1.302min)를 수득하였다.
039-A(머무름 시간 Rt=0.935min):
1H NMR (400 MHz, DMSO-d 6 ): δ 8.28 (s, 2H), 7.79 (s, 1H), 7.68 (d, J = 7.6 Hz, 1H), 7.51 (t, J = 7.6 Hz, 1H), 7.45 (d, J = 8.0 Hz, 1H), 7.21 (d, J = 7.6 Hz, 2H), 7.16 (s, 2H), 7.10 (s, 1H), 7.03 (d, J = 8.0 Hz, 1H), 6.92 - 6.88 (m, 1H), 5.13 (s, 2H), 4.51 - 4.48 (m, 1H), 3.60 (s, 2H), 3.58 (s, 2H), 3.40 (s, 2H),3.27 - 3.25 (m, 4H), 1.58 - 1.54 (m, 11H); LC/MS(ESI+) m/z: [M+H]+ =515.05.
039-B(머무름 시간 Rt=1.302min):
1H NMR (400 MHz, DMSO-d 6 ): δ 8.27 (s, 1H), 7.66 (d, J = 7.8 Hz, 1H), 7.48 (s, 1H), 7.37 (t, J = 7.6 Hz, 1H), 7.26 (d, J = 7.6 Hz, 1H), 7.16 - 7.04 (m, 3H), 6.97 (s, 1H), 6.90 (d, J = 8.4 Hz, 1H), 6.80 (t, J = 7.2 Hz, 1H), 5.10 (s, 2H), 4.24 (d, J = 6.6 Hz, 1H), 3.55 (s, 2H), 3.41 (d, J = 13.0 Hz, 2H), 3.33 (d, J = 15.0 Hz, 2H), 3.24 (t, J = 5.6 Hz, 4H), 1.65 - 1.52 (m, 8H), 1.50 (d, J = 6.6 Hz, 3H); LC/MS(ESI+) m/z: [M+H]+ =515.05.
실시예 40, (S)-2-(2-((3'-(1-아미노에틸)-5-(6-옥사-2-아자스피로[3.4]옥탄-2-일)-[1,1'-비페닐]-3-일)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040-A 또는 040-B) 및 (R)-2-(2-((3'-(1-아미노에틸)-5-(6-옥사-2-아자스피로[3.4]옥탄-2-일)-[1,1'-비페닐]-3-일)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040-B 또는 040-A)의 합성
40.1 화합물 040-1의 합성
035-3(300mg, 0.54mmol)을 취하여 1,4-다이옥세인(5mL)에 용해시키고 031-a(67mg, 0.60mmol), 탄산세슘(706mg, 2.16mmol),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30mg, 10wt%) 및 2-디사이클로헥실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비페닐(30mg, 10wt%)을 가하고 반응 용액을 질소 가스의 보호 하에 100℃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여과하고 여액을 농축하며,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040-1을 수득하였다.
40.2 화합물 040-A 및 040-B의 합성
화합물 040의 합성은 실시예 1의 단계 1.6 및 1.7의 합성 방법을 참조하였다. 화합물 040을 추가로 초임계 유체 크로마토그래피(방법: Cellulose-2-3- MeOH+CAN(DEA)-50-3 mL-35 T)로 카이랄 분할하여 040-A(머무름 시간 Rt=1.272min) 및 040-B(머무름 시간 Rt=1.982min)를 수득하였다.
040-A(머무름 시간 Rt=1.272min):
1H NMR (400 MHz, DMSO-d 6 ): δ 8.24 (s, 1H), 7.62 (d, J = 7.8 Hz, 1H), 7.39 (dd, J = 18.0, 10.4 Hz, 2H), 7.26 (d, J = 7.4 Hz, 1H), 7.09 (t, J = 6.4 Hz, 2H), 6.90 (d, J = 8.6 Hz, 1H), 6.80 (t, J = 7.4 Hz, 1H), 6.64 (s, 1H), 6.48 (s, 1H), 5.09 (s, 2H), 4.24 (d, J = 6.6 Hz, 1H), 3.87 (s, 2H), 3.83 (s, 2H), 3.75 (s, 2H), 3.37 (dd, J = 28.2, 15.0 Hz, 4H), 2.16 (t, J = 6.8 Hz, 2H), 1.49 (d, J = 6.4 Hz, 3H); LC/MS(ESI+) m/z: [M+H]+ =473.10.
040-B(머무름 시간 Rt=1.982min):
1H NMR (400 MHz, DMSO-d 6 ): δ 8.21 (s, 1H), 7.60 (d, J = 7.4 Hz, 1H), 7.38 (dd, J = 16.8, 9.2 Hz, 2H), 7.25 (d, J = 6.8 Hz, 1H), 7.08 (d, J = 6.8 Hz, 2H), 6.90 (d, J = 8.2 Hz, 1H), 6.80 (t, J = 7.2 Hz, 1H), 6.64 (s, 1H), 6.48 (s, 1H), 5.09 (s, 2H), 4.22 (d, J = 5.4 Hz, 1H), 3.87 (s, 2H), 3.83 (s, 2H), 3.75 (s, 2H), 3.37 (dt, J = 24.8, 12.3 Hz, 4H), 2.16 (t, J = 6.8 Hz, 2H), 1.48 (d, J = 4.8 Hz, 3H); LC/MS(ESI+) m/z: [M+H]+ =473.10.
실시예 41, 2-(2-((3'-(1-아미노에틸)-5-(1-옥사-6-아자스피로[3.4]옥탄-6-일)-[1,1'-비페닐]-3-일)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041)의 합성
41.1 화합물 041-1의 합성
035-3(0.5g, 0.90mmol), 041-a(175mg, 0.58mmol),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50mg, 0.09mmol), 2-디사이클로헥실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비페닐(25mg, 0.09mmol) 및 탄산세슘(1.2g, 3.6mmol)을 1,4-다이옥세인(5mL)에 용해시키고 질소 가스로 3회 치환하고 100℃에서 16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용액에 물(15mL)을 가하여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10mL×3)로 추출하였다. 합병한 유기상을 포화 식염수(10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10/1 내지 1/1)하여 화합물 041-1을 수득하였다. LC/MS(ESI+) m/z: [M+H]+ =587.10.
41.2 화합물 041의 합성
화합물 041의 합성은 실시예 1의 단계 1.6 및 1.7의 합성 방법을 참조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7.95 (d, J = 42.0 Hz, 1H), 7.54 (d, J = 7.4 Hz, 1H), 7.33 (dt, J = 16.0, 7.7 Hz, 2H), 7.14 (d, J = 6.6 Hz, 2H), 7.06 (t, J = 7.2 Hz, 1H), 6.91 (d, J = 8.0 Hz, 1H), 6.79 (t, J = 7.4 Hz, 1H), 6.72 - 6.54 (m, 2H), 5.07 (s, 2H), 4.43 (t, J = 6.6 Hz, 2H), 4.11 (q, J = 6.6 Hz, 1H), 3.57 (d, J = 40.0 Hz, 2H), 3.39 - 3.28 (m, 4H), 2.80 - 2.61 (m, 2H), 2.41 - 2.12 (m, 3H), 1.37 (d, J = 6.6 Hz, 3H); LC/MS(ESI+) m/z: [M+H]+ =473.10.
실시예 42, (S)-2-(2-((3'-(1-아미노에틸)-5-(2-옥사-7-아자스피로[3.5]노난-7-일)-[1,1'-비페닐]-3-일)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042-A 또는 042-B)의 합성 및 (R)-2-(2-((3'-(1-아미노에틸)-5-(2-옥사-7-아자스피로[3.5]노난-7-일)-[1,1'-비페닐]-3-일)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042-B 또는 042-A)의 합성
42.1 화합물 042-1의 합성
035-3(500mg, 0.9mmol)을 취하여 반응 플라스크에 넣고 011-a(130mg, 0.99mmol), 탄산세슘(1.2g, 3.6mmol), 1,4-다이옥세인(5mL),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100mg, 0.056mmol) 및 2-디사이클로헥실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비페닐(60mg, 0.056mmol)을 가하고 반응 용액을 100℃에서 24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며,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1/1)로 정제하여 화합물 042-1을 수득하였다. LC/MS(ESI+) m/z: [M+H]+ =601.05.
42.2 화합물 042-A 및 042-B의 합성
화합물 042의 합성은 실시예 1의 단계 1.6 및 1.7의 합성 방법을 참조하였다. 042를 추가로 초임계 유체 크로마토그래피(방법: OD-MeOH(DEA)-40-3 mL-35 T)로 카이랄 분할하여 042-A(머무름 시간 Rt=0.913min) 및 042-B(머무름 시간 Rt=1.444min)를 수득하였다.
042-A(머무름 시간 Rt=0.913min):
1H NMR (400 MHz, DMSO-d 6 ): δ 8.26 (s, 1H), 7.67 (dd, J = 8.0, 8.0 Hz, 1H), 7.50 (s, 1H), 7.37 (t, J = 16.0 Hz, 1H), 7.27 (t, J = 16.0 Hz, 1H), 7.11( m, 2H), 7.09(s, 1H), 7.00 (s, 1H), 6.90 (d, J = 8.0 Hz, 1H), 6.80 (m, 1H), 5.11 (m, 2H), 4.36 (s, 4H), 4.23 (d, J = 12.0 Hz, 1H), 3.43 - 3.31 (m, 2H), 3.19(m, 4H), 1.91 (m, 4H), 1.49 (d, J = 4.0 Hz, 3H); LC/MS(ESI+) m/z: [M+H]+ =487.10.
042-B(머무름 시간 Rt=1.444min):
1H NMR (400 MHz, DMSO-d 6 ): δ 8.26 (s, 1H), 7.67 (dd, J = 8.0, 8.0 Hz, 1H), 7.50 (s, 1H), 7.37 (t, J = 16.0 Hz, 1H), 7.27 (8.10 (m, 1H), 7.61 (dd, J = 8.0, 8.0 Hz, 1H), 7.45 (s, 1H), 7.37 (t, J = 16.0 Hz, 1H), 7.27 (t, J = 16.0 Hz, 1H), 7.09 m, 3H), 7.00 (s, 1H), 6.90 (d, J = 8.0 Hz, 1H), 6.80 (m, 1H), 5.09 (m, 2H), 4.35 (s, 4H), 4.16 (d, J = 12.0 Hz, 1H), 3.35 - 3.32 (m, 2H), 3.20 - 3.17 (m, 4H), 1.91 (m, 4H), 1.43 (d, J = 8.0 Hz, 3H); LC/MS(ESI+) m/z: [M+H]+ =487.10.
실시예 43, (S)-2-(2-((3'-(1-아미노에틸)-5-(1-옥사-7-아자스피로[3.5]노난-7-일)-[1,1'-비페닐]-3-일)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043-A 또는 043-B)의 합성 및 (R)-2-(2-((3'-(1-아미노에틸)-5-(1-옥사-7-아자스피로[3.5]노난-7-일)-[1,1'-비페닐]-3-일)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043-B 또는 043-A)의 합성
43.1 화합물 043-1의 합성
035-3(600mg, 1.08mmol)을 취하여 반응 플라스크에 넣고 012-a(160mg, 1.2mmol), 탄산세슘(1.4g, 4.32mmol), 1,4-다이옥세인(3mL),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100mg, 0.11mmol) 및 2-디사이클로헥실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비페닐(50mg, 0.11mmol)을 가하고 질소 가스의 보호 하에 반응 용액을 100℃에서 5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반응 용액에 물(10mL)을 가하여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20mL×3)로 추출하였다. 합병한 유기상을 포화 식염수(10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후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043-1을 수득하였다. LC/MS(ESI+) m/z: [M+H]+ =601.10.
43.2 화합물 043-A 및 043-B의 합성
화합물 043의 합성은 실시예 1의 단계 1.6 및 1.7의 합성 방법을 참조하였다. 043을 추가로 초임계 유체 크로마토그래피로 카이랄 분할하여 043-A(머무름 시간 Rt=1.54min) 및 043-B(머무름 시간 Rt=2.386min)를 수득하였다.
043-A(머무름 시간 Rt=1.54min):
1H NMR (400 MHz, DMSO-d 6 ): δ 8.25 (s, 1H), 7.67 (d, J = 8.0 Hz, 1H), 7.49 (s, 1H), 7.37 (t, J = 8.0 Hz, 1H), 7.25 (d, J = 8.0 Hz, 1H), 7.13 (s, 1H), 7.08 (d, J = 4.0 Hz, 2H), 6.99 (s, 1H), 6.90 (d, J = 8.0 Hz, 1H), 6.80 (t, J = 8.0 Hz, 1H), 5.10 (s, 2H), 4.42 (s, 1H), 4.23 (d, J = 8.0 Hz, 1H), 3.38-3.35 (m, 4H), 3.18 (d, J = 4.0 Hz, 2H), 2.39 (t, J = 8.0 Hz, 2H), 1.90 (d, J = 4.0 Hz, 4H), 1.49 (d, J = 8.0 Hz, 3H); LC/MS(ESI+) m/z: [M+H]+ =487.10.
043-B(머무름 시간 Rt=2.386min):
1H NMR (400 MHz, DMSO-d 6 ): δ 8.00-7.93 (d, J = 8.0 Hz, 1H), 7.55(s, 1H), 7.43-7.29 (m, 3H), 7.16-6.97 (m, 5H), 5.10 (s, 2H), 4.42 (s, 1H), 4.23 (d, J = 8.0 Hz, 1H), 3.38-3.35 (m, 4H), 3.18 (d, J = 4.0 Hz, 2H), 2.39 (t, J = 8.0 Hz, 2H), 1.90 (d, J = 4.0 Hz, 4H), 1.49 (d, J = 8.0 Hz, 3H); LC/MS(ESI+) m/z: [M+H]+ =487.10.
실시예 44, 2-(2-((3'-(1-아미노-2-플루오로에틸)-5-(2-옥사-7-아자스피로[3.5]노난-7-일)-[1,1'-비페닐]-3-일)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044)의 합성
44.1 화합물 044-1의 합성
044-a(4g, 20.1mmol)를 디클로로메탄(25mL)에 용해시키고 0℃에서 브로민(1.2mL, 20.1mmol)을 가하고 반응 용액을 0℃의 조건에서 0.5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포화 아황산나트륨 수용액을 가하여 반응을 퀀칭시키고 여과하고 고체를 건조시켜 화합물 044-1을 수득하였다.
44.2 화합물 044-2의 합성
불화아연(1.12g, 10.8mol), 불화칼륨(315mg, 5.04mol) 및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 3수화물(2.55g, 7.2mol)을 아세토니트릴(20mL)에 용해시키고 반응 용액을 80℃에서 1시간 동안 환류시킨 후 044-1(3.0g, 10.8mol)을 5mL의 아세토니트릴에 용해시키고 상기 반응계에 천천히 적가하고 80℃의 조건에서 1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을 가하여 반응을 퀀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30mL×3)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합병하고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후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며,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044-2를 수득하였다.
44.3 화합물 044-3의 합성
질소 가스의 보호 하에 티타늄 테트라이소프로폭사이드(2.6g, 9.22mol)를 044-2(2.4g, 4.61mol)의 암모니아메탄올 용액(1N, 20mL)에 적가하고 25℃의 조건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그 다음 수소화붕소나트륨(262.3mg, 6.91mol)을 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용액에 6N의 염산을 가하여 pH=2로 조절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수상에 6N의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가하여 pH=10으로 조절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유기상을 합병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화합물 044-3의 조질의 생성물을 수득하며, 직접 다음 단계에 사용할 수 있었다. LC/MS(ESI+) m/z: [M+H]+ =218.00.
44.4 화합물 044의 합성
화합물 044의 합성은 화합물 001의 합성 방법을 참조하며 합성 단계의 001-a를 044-3으로, 001-d를 011-a로 대체하면 된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8.75 (s, 2H), 7.83 (s, 1H), 7.74 (d, J = 8.0 Hz, 1H), 7.54 (t, J = 8.0 Hz, 1H), 7.48 (d, J = 8.0 Hz, 1H), 7.25-7.21 (m, 2H), 7.16 (d, J = 8.0 Hz, 2H), 7.10 (s, 1H), 7.03 (d, J = 8.0 Hz, 1H), 6.90 (t, J = 8.0 Hz, 1H), 5.12 (s, 2H), 4.87 - 4.72 (m, 3H), 4.36 (s, 4H), 3.60 (s, 2H), 3.26 - 3.15 (m, 4H), 1.94 - 1.90 (m, 4H); LC/MS(ESI+) m/z: [M+H]+ =505.05.
실시예 45, 2-(2-((3'-(아미노메틸)-6-플루오로-5-(6-아자스피로[2.5]옥탄-6-일)-[1,1'-비페닐]-3-일)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045)의 합성
45.1 화합물 045-1의 합성
027-3(100mg, 0.17mmol)을 취하여 1,4-다이옥세인(5mL)에 용해시키고 001-d(31.7mg, 0.21mmol), 탄산세슘 (166mg, 0.51mmol),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10mg, 10wt%) 및 2-디사이클로헥실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비페닐(10mg, 10wt%)을 가하고 반응 용액을 질소 가스의 보호 하에 100℃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며,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045-1을 수득하였다. LC/MS(ESI+) m/z: [M+H]+ =589.10.
45.2 화합물 045의 합성
화합물 045의 합성은 실시예 1의 단계 1.6 및 1.7의 합성 방법을 참조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7.79 (s, 1H), 7.74 (s, 1H), 7.40-7.40(m, 2H), 7.28-7.12(m, 1H), 7.07-7.05(m, 3H),6.89 (d, J = 7.6 Hz, 1H), 6.78 (t, J = 7.6Hz, 1H), 5.10 (s, 2H), 3.93 (s, 2H), 3.34 (s, 2H), 3.15 (s, 4H), 1.50 (s, 4H), 0.31 (s, 4H); LC/MS(ESI+) m/z: [M+H]+ =475.10.
실시예 46, (S)-2-(2-((3'-(1-아미노-2-하이드록시에틸)-5-(8-아자스피로[4.5]데칸-8-일)-[1,1'-비페닐]-3-일)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046)의 합성
화합물 046의 합성은 화합물 018의 합성 방법을 참조하며 여기서 원료를 001-d에서 8-아자스피로[4.5]데칸의 염산염(046-a)으로 대체하면 된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8.05 (d, J = 63.0 Hz, 1H), 7.60 (dd, J = 46.0, 7.6 Hz, 1H), 7.38 (dd, J = 16.8, 9.6 Hz, 2H), 7.23 (dd, J = 20.4, 7.4 Hz, 1H), 7.19 - 6.89 (m, 5H), 6.88 - 6.70 (m, 1H), 5.11 (s, 2H), 4.12 (s, 1H), 3.67 (s, 2H), 3.37 (d, J = 6.8 Hz, 2H), 3.22 (dd, J = 16.8, 11.3 Hz, 4H), 1.71 - 1.48 (m, 8H), 1.46 (d, J = 6.6 Hz, 4H); LC/MS(ESI+) m/z: [M+H]+ =515.15.
실시예 47, (R)-2-(2-((3'-(1-아미노-2-하이드록시에틸)-5-(3-아자스피로[5.5]운데칸-3-일)-[1,1'-비페닐]-3-일)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047-A)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의 합성 및 (S)-2-(2-((3'-(1-아미노-2-하이드록시에틸)-5-(3-아자스피로[5.5]운데칸-3-일)-[1,1'-비페닐]-3-일)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047-B)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의 합성
47.1 화합물 047-1의 합성
047-a(1g, 3.03mmol)를 취하여 반응 플라스크에 넣고 테트라하이드로푸란(5mL)을 가하고 빙수욕으로 온도를 0℃로 낮추고 보란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착물(1M, 9.1mL, 9.1mmol)을 천천히 가하고 첨가가 완료된 후 0℃로 유지하면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메탄올(10mL)을 천천히 적가하여 반응을 퀀칭시키고 퀀칭이 완료된 후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하고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047-1을 수득하였다. LC/MS(ESI+) m/z: [M+H-tBu]+ =260.00.
47.2 화합물 047-2의 합성
047-1(700mg, 2.21mmol)을 취하여 반응 플라스크에 넣고 2,2-디메톡시프로판(461mg, 4.43mmol), p-톨루엔술폰산 일수화물(21mg, 0.11mmol) 및 톨루엔(5mL)을 가하고 50℃로 승온시키고 15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계를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pH=8로 조절하고 에틸 아세테이트(10mL×3)로 추출하였다. 합병한 유기상을 포화 식염수(10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후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며,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047-2를 수득하였다.
47.3 화합물 047-3의 합성
047-2(400mg, 1.12mmol)를 취하여 반응 플라스크에 넣고 비스(피나콜라토)디보론(314mg, 1.24mmol), 아세트산칼륨(221mg, 2.25mmol),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II)(80mg, 0.11mmol) 및 1,4-다이옥세인(5mL)을 가하였다. 질소 가스로 3회 치환한 후 반응 용액을 100℃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직접 감압 농축하며,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047-3을 수득하였다.
47.4 화합물 047-4의 합성
001-3(400mg, 0.96mmol)을 취하여 반응 플라스크에 넣고 047-3(389mg, 0.96mmol), 탄산칼륨(267mg, 1.93mmol), 1,4-다이옥세인(5mL) 및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111mg, 0.09mmol)을 가하고 질소 가스로 3회 치환한 후 100℃로 승온시키고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용액에 물(10mL)을 가하여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10mL×3)로 추출하였다. 합병한 후의 유기상을 포화 식염수(10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후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047-4를 수득하였다.
47.5 화합물 047-5의 합성
047-4(150mg, 0.25mmol)를 취하여 반응 플라스크에 넣고 047-c(51mg, 0.27mmol), 탄산세슘(320mg, 0.98mmol), 1,4-다이옥세인(2mL),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22mg, 0.02mmol) 및 2-디사이클로헥실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비페닐(12mg, 0.02mmol)을 가하고 질소 가스로 3회 치환하고 반응 용액을 100℃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반응 용액에 물(10mL)을 가하여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10mL×3)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합병하고 포화 식염수(10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후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047-5를 수득하였다.
47.6 화합물 047-A의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의 합성
화합물 047-A의 합성은 실시예 1의 단계 1.6 및 1.7의 합성 방법을 참조하였다. 제조 과정에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의 조건을 사용하며 최종적으로 화합물 047-A의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8.39 (s, 2H), 7.78 (s, 1H), 7.68 (d, J = 7.6 Hz, 1H), 7.49 (t, J = 7.6 Hz, 1H), 7.42 (d, J = 7.6 Hz, 1H), 7.21 (d, J = 7.6 Hz, 2H), 7.14 (s, 2H), 7.09 (s, 1H), 7.02 (d, J = 8.0 Hz, 1H), 6.89 (t, J = 7.6 Hz, 1H), 5.12 (s, 2H), 4.37 (s, 1H), 3.82 - 3.67 (m, 2H), 3.59 (s, 2H), 3.24 (s, 4H), 1.55 (s, 4H), 1.40 (d, J = 14.4 Hz, 10H); LC/MS(ESI+) m/z: [M+H]+ =529.10.
47.7 화합물 047-B의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의 합성
화합물 047-B의 합성은 화합물 047-A의 합성 방법을 참조하며 여기서 원료를 047-a(R 배열)에서 (S)-2-(3-브로모페닐)-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트산(S 배열)으로 대체하면 된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8.40 (s, 2H), 7.79 (s, 1H), 7.69 (d, J = 7.6 Hz, 1H), 7.50 (t, J = 7.6 Hz, 1H), 7.43 (d, J = 7.6 Hz, 1H), 7.22 (d, J = 7.6 Hz, 2H), 7.16 (s, 2H), 7.11 (s, 1H), 7.03 (d, J = 8.2 Hz, 1H), 6.90 (t, J = 7.4 Hz, 1H), 5.13 (s, 2H), 4.38 (s, 1H), 3.81 - 3.68 (m, 2H), 3.60 (s, 2H), 3.26 (s, 4H), 1.56 (s, 4H), 1.41 (d, J = 13.8 Hz, 10H); LC/MS(ESI+) m/z: [M+H]+ =529.10.
실시예 48, (R)-2-(2-((3'-(1-아미노-2-하이드록시에틸)-5-(2-아자스피로[3.4]옥탄-2-일)-[1,1'-비페닐]-3-일)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048-A)의 합성 및 (S)-2-(2-((3'-(1-아미노-2-하이드록시에틸)-5-(2-아자스피로[3.4]옥탄-2-일)-[1,1'-비페닐]-3-일)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048-B)의 합성
48.1 화합물 048-A의 합성
화합물 048-A의 합성은 실시예 47의 화합물 047-A의 합성 방법을 참조하며 여기서 원료를 047-c에서 2-아자스피로[3.4]옥탄(048-a)으로 대체하면 된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9.51 (s, 1H), 7.96 (s, 1H), 7.49 (d, J = 7.6 Hz, 1H), 7.35 (s, 1H), 7.26 (t, J = 7.6 Hz, 1H), 7.16 - 7.02 (m, 3H), 6.83 (d, J = 8.4 Hz, 1H), 6.78 (t, J = 7.2 Hz, 1H), 6.59 (s, 1H), 6.45 (s, 1H), 5.22 - 5.01 (m, 2H), 4.69 - 4.56 (m, 1H), 3.80 - 3.69 (m, 4H), 3.48 - 3.41 (m, 1H), 3.38 (s, 2H), 2.04 - 1.93 (m, 1H), 1.87 - 1.76 (m, 4H), 1.68 - 1.56 (m, 4H); LC/MS(ESI+) m/z: [M+H]+ =487.10.
48.2 화합물 048-B의 합성
화합물 048-B의 합성은 048-A의 합성 방법을 참조하며 여기서 원료를 047-4(R 배열)에서 S 배열로 대체하면 된다.
1H NMR (400 MHz, DMSO-d 6 ):9.49 (d, J = 8.8 Hz, 1H), 7.93 (d, J = 30.0 Hz, 1H), 7.51 (t, J = 8.4 Hz, 1H), 7.34 (d, J = 11.2 Hz, 1H), 7.31 - 7.03 (m, 4H), 6.95 - 6.73 (m, 2H), 6.58 (d, J = 6.8 Hz, 1H), 6.47 (d, J = 15.6 Hz, 1H), 5.21 - 5.04 (m, 2H), 4.63 (d, J = 8.0 Hz, 1H), 3.80 - 3.69 (m, 5H), 3.58 (s, 1H), 3.53 - 3.42 (m, 2H), 3.34 (d, J = 8.8 Hz, 1H), 1.82 (s, 4H), 1.66 - 1.56 (m, 4H); LC/MS(ESI+) m/z: [M+H]+ =487.10.
실시예 49, (R)-2-(2-((3'-(1-아미노-2-하이드록시에틸)-5-(2-아자스피로[4.4]노난-2-일)-[1,1'-비페닐]-3-일)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049-A)의 합성 및 (S)-2-(2-((3'-(1-아미노-2-하이드록시에틸)-5-(2-아자스피로[4.4]노난-2-일)-[1,1'-비페닐]-3-일)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049-B)의 합성
49.1 화합물 049-A의 합성
화합물 049-A의 합성은 실시예 47의 화합물 047-A의 합성 방법을 참조하며 여기서 원료를 047-c에서 2-아자스피로[4.4]노난(049-a)으로 대체하면 된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9.49 (d, J = 9.2 Hz, 1H), 8.02 (d, J = 42.4 Hz, 1H), 7.59 (dd, J = 35.2, 7.6 Hz, 1H), 7.36 (t, J = 7.6 Hz, 1H), 7.28 - 7.24 (m, 1H), 7.20 (s, 1H), 7.13 - 7.04 (m, 2H), 6.97 - 6.73 (m, 2H), 6.67 (s, 1H), 6.62 - 6.51 (m, 1H), 5.23 - 5.03 (m, 2H), 4.70 - 4.51 (m, 1H), 4.12 - 4.07 (m, 1H), 3.68 - 3.61 (m, 2H), 3.49 - 3.41 (m, 2H), 3.37 (d, J = 6.8 Hz, 2H), 3.25 - 3.18 (m, 2H), 1.88 (t, J = 6.8 Hz, 2H), 1.70 - 1.65 (m, 4H), 1.63 - 1.53 (m, 4H); LC/MS(ESI+) m/z: [M+H]+ =501.10.
49.2 화합물 049-B의 합성
화합물 049-B의 합성은 049-A의 합성 방법을 참조하며 여기서 원료를 047-4(R 배열)에서 S 배열로 대체하면 된다.
1H NMR (400 MHz, DMSO-d 6 ):9.50 (d, J = 9.2 Hz, 1H), 8.04 (d, J = 64.8 Hz, 1H), 7.60 (dd, J = 44.4, 7.8 Hz, 1H), 7.36 (t, J = 7.6 Hz, 1H), 7.28 - 7.21 (m, 2H), 7.14 - 7.06 (m, 2H), 6.94 - 6.76 (m, 2H), 6.68 (s, 1H), 6.59 - 6.53 (m, 1H), 5.11 (s, 2H), 4.15 - 4.09 (m, 1H), 3.69 - 3.66 (m, 2H), 3.47 (d, J = 15.2 Hz, 2H), 3.39 - 3.36 (m, 2H), 3.22 (s, 2H), 1.88 (t, J = 6.8 Hz, 2H), 1.70 - 1.66 (m, 4H), 1.63 - 1.56 (m, 4H); LC/MS(ESI+) m/z: [M+H]+ =501.10.
실시예 50, 2-(2-((3'-(1-아미노-2-플루오로에틸)-2'-플루오로-5-(1-옥사-6-아자스피로[3.4]옥탄-6-일)-[1,1'-비페닐]-3-일)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050)의 합성
50.1 화합물 050-1의 합성
020-a(2.0g, 9.2mmol)를 취하여 테트라하이드로푸란(20mL)에 용해시키고 -78℃에서 질소 가스 보호 하에 리튬 비스(트리메틸실릴)아미드(1M, 10.1mL, 10.1mmol)를 가하고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78℃에서 트리메틸클로로실란(1.08g, 10.1mmol)을 가하고 실온으로 천천히 승온시키고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용액을 농축하고 아세토니트릴(20mL), 1-클로로메틸-4-플루오로-1,4-디아조니아비사이클로[2.2.2]옥탄 비스(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4.7g, 11.4mmol)를 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용액을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15mL)으로 천천히 퀀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50mL×3)로 추출하였다. 합병한 유기상을 포화 식염수(50mL)로 세척한 다음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050-1을 수득하였다. LC/MS(ESI+) m/z: [M+H]+=234.1.
50.2 화합물 050-2의 합성
050-1(600mg, 5.19mmol)을 취하여 암모니아의 에탄올 용액(2M, 3.8mL)에 용해시키고 티타늄 테트라이소프로판올레이트(1.08g, 3.8mmol)를 가하고 25℃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그 다음 수소화붕소나트륨(116mg, 3.06mmol)을 가하고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용액을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5mL)으로 천천히 퀀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10mL×3)로 추출하였다. 합병한 유기상을 포화 식염수(10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며,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050-2를 수득하였다. LC/MS(ESI+) m/z: [M+H]+=236.1.
50.3 화합물 050의 합성
화합물 050의 합성은 화합물 001의 합성 방법을 참조하며 합성 단계의 001-a를 050-2로, 001-d를 041-a로 대체하면 된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7.61 (t, J = 7.2 Hz, 1H), 7.41-7.38 (m, 1H), 7.24 (t, J = 8.4 Hz, 1H), 7.17-8.15 (m, 1H), 7.05-7.01 (m, 1H), 6.90 (d, J = 8.4 Hz, 1H), 6.81-6.71 (m, 3H), 6.51 (d, J = 12.8 Hz, 1H), 5.01 (s, 2H), 4.52-4.38 (m, 5H), 3.57 (d, J = 11.2 Hz, 1H), 3.46 (d, J = 10.8 Hz, 1H),3.3 (s, 2H), 3.2 (s, 2H), 2.76-2.48 (m, 2H), 2.34-2.41 (m, 1H), 2.16-1.97 (m, 1H); LC/MS(ESI+) m/z: [M+H]+ =509.10.
실시예 51, 2-(2-((3'-(1-아미노-3-하이드록시프로필)-5-(6-아자스피로[2.5]옥탄-6-일)-[1,1'-비페닐]-3-일)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051)의 합성
51.1 화합물 051-1의 합성
051-a(5g, 2.7mmol), 051-b(2.8g,2.7mmol) 및 아세트산암모늄(4.2g, 5.4mmol)을 에탄올(100mL)에 순차적으로 용해시키고 반응 용액을 80℃의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용액을 여과하고 에탄올로 헹구고 케이크를 감압 건조시켜 화합물 051-1을 수득하였다. LC/MS(ESI+) m/z: [M+H]+=246.00.
51.2 화합물 051-2의 합성
051-1(3.7g, 15.2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70mL)에 용해시키고 질소 가스로 치환하고 0℃에서 보란 테트라하이드로푸란(10mL)을 적가하고 반응 용액을 45℃의 조건에서 5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메탄올을 천천히 적가하여 퀀칭시키고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하고 물(50mL)을 가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30mL×2)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합병한 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디클로로메탄/메탄올=5/1)하여 화합물 051-2를 수득하였다. LC/MS(ESI+) m/z: [M+H]+=230.00.
51.3 화합물 051의 합성
화합물 050의 합성은 화합물 001의 합성 방법을 참조하며 합성 단계의 001-a를 051-2로 대체하면 된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8.26 (s, 1H), 7.68 (d, J = 8.0 Hz, 1H), 7.46 (s, 1H), 7.37 (t, J = 16.0 Hz, 1H), 7.22 (d, J = 8.0 Hz, 1H), 7.15 (s, 1H), 7.09 (m, 2H), 7.01 (s, 1H), 6.91 (d, J = 12.0 Hz, 1H), 6.79 (d, J =8.0Hz, 1H), 5.11 (s, 2H), 4.19 (s, 1H), 3.40 (t, J = 8.0 Hz, 2H), 3.34 (s, 2H), 3.32 - 3.27 (m, 4H), 2.16 - 1.94 (m, 2H), 1.53 - 1.46 (m, 4H), 0.35 (s, 4H); LC/MS(ESI+) m/z: [M+H]+ =501.10.
실시예 52, 2-(2-((3'-(1-아미노-2-하이드록시에틸)-2'-플루오로-5-(6-아자스피로[2.5]옥탄-6-일)-[1,1'-비페닐]-3-일)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052)의 합성
52.1 화합물 052-1의 합성
052-a(3.0g, 18.9mmol)를 디클로로메탄(50mL)에 용해시키고 탄산세슘(12.4g, 37.8mmol) 및 023-b(2.3g, 18.9mmol)를 가하고 반응 용액을 25℃의 조건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물(50mL)을 가하여 희석하고 디클로로메탄(30mL×2)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3/1 내지 1/1)하여 화합물 052-1을 수득하였다. LC/MS(ESI+) m/z: [M+H]+ =262.00.
52.2 화합물 052-2의 합성
052-1(4.5g, 25mmol)을 톨루엔(30mL) 용액에 용해시키고 비스[(피나콜라토)보릴]메탄(10g, 37.3mmol), 1,2-비스(디페닐포스피노)벤젠(1.11g, 2.5mmol), 브롬화제일구리(360mg, 2.5mmol) 및 리튬 tert-부톡사이드(6g, 74.5mmol)를 가하고 반응 용액을 질소 가스의 보호 하에 50℃에서 밤새 반응시킨 후 물(30mL)을 가하여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30mL×3)로 추출하고 유기상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3/1 내지 1/1)하여 화합물 052-2를 수득하였다. LC/MS(ESI+) m/z: [M+H]+=404.05.
52.3 화합물 052-3의 합성
052-2(4.2g, 20mmol)를 톨루엔(20mL)에 용해시키고 과붕소산나트륨 4수화물(11.2g, 40mmol)을 가하고 반응 용액을 실온의 조건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물(50mL)을 가하여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10mL×3)로 추출하였다. 합병한 유기상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3/1 내지 1/1)하여 화합물 052-3을 수득하였다.
52.4 화합물 052-4의 합성
질소 가스의 보호 하에 052-3(2.0g, 6.8mmol) 및 비스(피나콜라토)디보론(2.6g, 10.2mmol), 아세트산칼륨(1.36g, 13.6mmol) 및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II)(460mg, 0.68mmol)을 1,4-다이옥세인(20mL)에 용해시키고 반응 용액을 100℃의 조건에서 2시간 반응시킨 후 물(20mL)을 가하여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10mL×3)로 추출하였다. 합병한 유기상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052-4를 수득하였다. LC/MS(ESI+) m/z: [M+H]+=386.05.
52.5 화합물 052의 합성
화합물 052의 합성은 화합물 001의 합성 방법을 참조하며 001-2를 052-4로 대체하면 된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8.48 (s, 2H), 7.61 - 7.51 (m, 2H), 7.37 (t, J = 8.0 Hz, 1H), 7.25 - 7.20 (m, 2H), 7.17 (s, 1H), 7.05- 7.00(m, 3H), 6.90 (t, J =8.0 Hz, 1H), 5.13 (s, 2H), 4.58 (d, J = 8.0 Hz, 1H), 3.83-3.79 (m, 1H), 3.76-3.71 (m, 1H), 3.58 (s, 2H), 3.40 - 3.22 (m, 4H), 1.56 - 1.39 (m, 4H), 0.35 (s, 4H); LC/MS(ESI+) m/z: [M+H]+ =505.10.
실시예 53, 2-(2-((3'-(1-아미노에틸)-2'-플루오로-5-(2-옥사-7-아자스피로[3.5]노난-7-일)-[1,1'-비페닐]-3-일)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053)의 합성
53.1 화합물 053-1의 합성
020-5(300mg, 0.52mmol)를 취하여 반응 플라스크에 넣고 011-a(99mg, 0.58mmol), 탄산세슘(683mg, 2.1mmol), 1,4-다이옥세인(3mL),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48mg, 0.05mmol) 및 2-디사이클로헥실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비페닐(25mg, 0.05mmol)을 가하였다. 질소 가스로 치환한 후 반응 용액을 100℃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물(10mL)을 가하여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20mL×3)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합병하고 포화 식염수(10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후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053-1을 수득하였다. LC/MS(ESI+) m/z: [M+H]+ =619.05.
53.2 화합물 053의 합성
화합물 053의 합성은 실시예 1의 단계 1.6 및 1.7의 합성 방법을 참조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8.07 (d, J = 8.0 Hz, 1H), 7.54 (t, J = 6.8 Hz, 1H), 7.38 - 7.30 (m, 1H), 7.29 - 7.17 (m, 2H), 7.16 - 7.07 (m, 2H), 7.05 - 6.91 (m, 3H), 6.85 (t, J = 7.2 Hz, 1H), 5.11 (d, J = 28.4 Hz, 2H), 4.35 (s, 1H), 4.34 - 4.27 (m, 4H), 3.44 (s, 2H), 3.20 - 3.10 (m, 4H), 1.93 - 1.84 (m, 4H), 1.32 (dd, J = 16.8, 6.8 Hz, 3H); LC/MS(ESI+) m/z: [M+H]+ =505.10.
실시예 54, 2-(2-((3'-(1-아미노에틸)-2'-플루오로-5-(1-옥사-7-아자스피로[3.5]노난-7-일)-[1,1'-비페닐]-3-일)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054)의 합성
화합물 054의 합성은 화합물 053의 합성 방법을 참조하며 여기서 원료를 011-a에서 012-a로 대체하면 된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8.12 (s, 1H), 7.55 (t, J = 6.8 Hz, 1H), 7.33 (td, J = 7.6, 1.6 Hz, 1H), 7.29 - 7.16 (m, 2H), 7.16 - 7.05 (m, 2H), 7.05 - 6.91 (m, 3H), 6.82 (t, J = 7.6 Hz, 1H), 5.10 (d, J = 40.4 Hz, 2H), 4.46 - 4.37 (m, 2H), 4.31 (q, J = 6.8 Hz, 1H), 3.36 - 3.29 (m, 4H), 3.18 - 3.11 (m, 2H), 2.37 (t, J = 7.6 Hz, 2H), 1.94 - 1.79 (m, 4H), 1.31 (dd, J = 21.4, 6.7 Hz, 3H); LC/MS(ESI+) m/z: [M+H]+ =505.10.
실시예 55, 2-(2-((3'-(1-아미노에틸)-2'-플루오로-5-(3-옥사-9-아자스피로[5.5]운데칸-9-일)-[1,1'-비페닐]-3-일)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055)의 합성
화합물 055의 합성은 화합물 053의 합성 방법을 참조하며 여기서 원료를 011-a에서 029-a로 대체하면 된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7.54 (s, 1H), 7.33 (m, 1H), 7.27 - 7.16 (m, 2H), 7.08 (m, 2H), 6.95 (m, 3H), 6.82 (t, J = 16.0 Hz, 1H), 5.05 (s, 2H), 4.31 (d, J = 8.0Hz, 1H), 3.59 - 3.54 (m, 4H), 3.31 (s, 2H), 3.24 - 3.19 (m, 4H), 1.70 - 1.55 (m, 4H), 1.49 - 1.41 (m, 4H), 1.29 (d, J = 4.0 Hz, 3H); LC/MS(ESI+) m/z: [M+H]+ =533.10.
실시예 56, 2-(2-((3'-(1-아미노에틸)-2'-플루오로-5-(2-옥사-9-아자스피로[5.5]운데칸-9-일)-[1,1'-비페닐]-3-일)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056)의 합성
화합물 056의 합성은 화합물 053의 합성 방법을 참조하며 여기서 원료를 011-a에서 030-a로 대체하면 된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8.38 (d, J = 4.0 Hz, 2H), 7.56 (t, J = 16.0 Hz, 2H), 7.38 (t, J = 12.0 Hz, 1H), 7.23 (t, J =16.0 Hz, 2H), 7.15 (s, 1H), 7.03 (d, J = 8.0 Hz, 3H), 6.90 (t, J =16.0 Hz, 1H), 5.12 (s, 2H), 4.73 - 4.69 (m, 1H), 3.56 (d, J = 12.0 Hz, 4H), 3.39 (s, 2H), 3.24 (t, J = 12.0 Hz, 4H), 1.58 (d, J = 8.0 Hz, 4H), 1.55 (s, 3H), 1.53 (s, 4H); LC/MS(ESI+) m/z: [M+H]+ =533.10.
<생물학적 활성 시험 분석>
1. 보체 인자 D 억제 활성(C3b 방법) 체외 스크리닝 실험
1.1 실험 재료 및 기기
V 바닥 플레이트(AXYGEN), DMSO(Sigma), MicroVue Bb Plus ELISA 키트(Quidel), 보체 인자 C3b(인자 C3b라고 함, Complement tech), 보체 인자 B(인자 B라고 함, Complement tech), 보체 인자 D(인자 D라고 함, Complement tech), EDTA(Macklin), GVBo(Complement tech), EGTA(Aladdin), MgCl2(Aladdin), NaOH(Sinopharm),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olecular Devices, SpectraMax i3x), 마이크로플레이트 항온진탕기(Thermo, MB100-2A), 피펫건(Gilson).
1.2 실험 전 준비
1.2.1 Mg-EGTA의 조제
0.1M의 Mg-EGTA: 3.8g의 EGTA, 0.9521g의 MgCl2, 0.7g의 NaOH를 취하여, NaOH로 pH를 7.5로 조절하고 증류수로 100mL로 보충하고, 0.2μm의 멸균 필터로 여과하고 개별포장하여 4℃에 보관하였다.
1.2.2 작업 용액의 조제
완충액(Buffer): 0.1M의 Mg-EGTA 용액을 GVBo 완충액으로 10mM로 10배 희석하고;
인자 B 작업 용액: 1mg/mL의 인자 B 용액(10.75μM)을 완충액(Buffer)으로 1.6μM로 6.7배 희석하고;
인자 C3b 작업 용액: 1mg/mL의 인자 C3b 용액(5.68μM)을 완충액(Buffer)으로 1.12μM로 5배 희석하며;
인자 D 작업 용액: 0.1mg/mL의 인자 D 용액(4.17μM)을 완충액(Buffer)으로 3.2nM로 1303배 희석하였다.
참고: a, 상기 희석 배수는 참고용일 뿐이며 시약에 표시된 실제 농도에 따라 조절하며;
b, 인자 B: 93KDa, 인자 D: 24KDa, 인자 C3b: 176KDa.
1.2.3 정지 용액의 조제
정지 용액: 적당량의 EDTA 분말을 취하여 일정량의 GVBo 완충액으로 용해시키고 NaOH로 pH를 7.5로 조절하고 투명해질 때까지 교반하고 10mM의 용액으로 조제하였다.
1.2.4 화합물의 조제
화합물 모액: 40mM의 화합물 용액을 DMSO로 1mM의 모액으로 희석하고 1mM의 모액을 DMSO로 8개의 포인트로 3배 희석하여 각 농도의 화합물 모액으로 조제하며;
화합물의 작업 용액: 완충액(Buffer)으로 250배 희석하여 각 농도의 화합물 용액을 수득하였다.
1.3 실험 단계
V 바닥 플레이트에서 실험군은 10μL의 인자 D 용액 및 10μL의 화합물 용액을 가하고, 음성 대조군은 10μL의 인자 D 용액 및 0.4%의 DMSO가 포함된 완충액(Buffer)을 가하고, 블랭크 대조군은 0.2%의 DMSO가 포함된 20μL의 완충액(Buffer)을 가하고, 37℃에서 15분 동안 배양하며; 인자 B 작업 용액 및 인자 C3b 작업 용액을 1:1로 균일하게 혼합하고 각 웰에 20μL의 혼합물을 가하고 37℃에서 30분 동안 배양하며, 40μL의 정지 용액을 가하여 반응을 중지시키고, MicroVue Bb Plus ELISA 키트를 사용하여 생성물 Bb의 생성량을 검출하였다.
1.4 ELISA 검출
1.4.1 필요한 마이크로플레이트 웰을 꺼내 실온으로 되돌리고 나머지는 다시 포장하여 4℃에 보관하고;
1.4.2 300μL의 1×세척 완충액(Wash Buffer)으로 2회 세척하고 첫 번째 세척을 위해 25℃에서 1분 동안 배양하며;
1.4.3 시료를 보체 표본 희석제(Complement Specimen Diluent)로 8배 희석하고 각 웰에 100μL의 시료를 가하고 25℃에서 30분 동안 배양하고;
1.4.4 웰의 액체를 버리고 300μL의 1×세척 완충액(Wash Buffer)으로 5회 세척하고 첫 번째 세척을 위해 실온에서 1분 동안 배양하며;
1.4.5 각 웰에 50μL의 Bb Plus Conjugate를 가하고 25℃에서 30분 동안 배양하고;
1.4.6 웰의 액체를 버리고 300μL의 1×세척 완충액(Wash Buffer)으로 5회 세척하고 첫 번째 세척을 위해 실온에서 1분 동안 배양하며;
1.4.7 각 웰에 100μL의 화합물의 작업 용액(Substrate Solution)을 가하고 25℃에서 15분 동안 배양하고;
1.4.8 각 웰에 100μL의 정지 용액(Stop Solution)을 가하고 30분 이내에 450nm에서의 흡광도를 검출하였다.
1.5 데이터 분석
1.5.1 각 약물 농도의 억제율:
PC군은 0% 억제율을 나타내고, NC군은 100% 억제율을 나타낸다.
1.5.2 신호 대 배경 비율(S/B)의 계산:
PC군의 OD 평균 값/NC군의 OD 평균 값은 신호 창의 크기를 나타낸다.
1.5.3 Z'인자:
계산 공식:
Z'인자는 0.4보다 커야 한다.
1.5.4 화합물 IC50:
IC50: 반수 최대 억제 농도이며, 화합물이 보체 인자 D의 효소 활성의 50%를 억제하는 농도를 나타내며;
데이터를 수집하여 억제율과 화합물 농도의 log 값을 계산하고 GraphPad Prism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IC50 값을 계산하였다. 보체 인자 D에 대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억제 활성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실험 결론: 본 발명의 화합물은 보체 인자 D에 대해 우수한 억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 토끼 적혈구 용혈 방법으로 우회 경로에 대한 화합물의 억제 활성 실험 평가
2.1 실험 재료 및 기기
정상 인간 혈청(Normal Human Serum), NHS(건강한 사람에게서 채취), 정상 인간 혈장(Normal Human Plasma), NHP(Shanghai Yuduo), 96웰 효소 플레이트(Jet Biofil), 일본 큰귀 흰토끼(Wuhan WQJX), 알시버 용액(Alsever's solution, Procell), 원심분리기(Thermo, PICO17), 항온진탕기(Shanghai Fuma), 탈색진탕기(Beijing Liuyi), 세포 계수기(Invitrogen, Counter Countess II)(GVBo, EGTA, MgCl2, NaOH,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 마이크로플레이트 항온진탕기, 피펫건 등은 실험 1과 동일함).
2.2 작업 용액의 조제
48%NHP: 100%NHP를 완충액(Buffer)으로 48%로 희석하고;
26.4%NPS: 100%NHS를 완충액(Buffer)으로 26.4%로 희석하고;
토끼 적혈구 현탁액: 토끼 귀의 가장자리 정맥에서 혈액을 채취하여 1:1의 비율로 알시버 용액으로 항응고하고, 개별포장되어 4℃에서 보관하며 4주 동안 보관할 수 있었다. 사용 전 500g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알시버 용액을 버리고 동일한 체적의 완충액(Buffer)으로 3회 세척한 후 500g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최종적으로 완충액(Buffer)으로 밀도를 6×108개/mL로 조절하였다.
2.3 실험 단계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서 실험군은 50μL의 48%NHP 또는 26.4%NHS 및 50μL의 화합물 용액을 가하고; 음성 대조군은 50μL의 48%NHP 또는 26.4%NHS 및 0.2%의 DMSO가 포함된 50μL의 완충액(Buffer)을 가하고; 블랭크 대조군은 48%의 비활성화된 50μL의 NHP 또는 26.4%의 비활성화된 NHS 및 0.2%의 DMSO가 포함된 완충액(Buffer)을 가하고; H2O군은 100μL의 이중 증류수를 가하며; 37℃에서 15분 동안 배양하고; 각 웰에 20μL의 토끼 적혈구 현탁액을 가하고 37℃의 진탕기에서 30분 동안 배양하며; 2000g(3380rpm)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100μL의 상청을 새로운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옮기고 415nm에서의 흡광도를 검출하였다.
2.4 데이터 분석
2.4.1 각 약물 농도의 용혈 백분율:
PC군은 100% 용혈을 나타내고, NC군은 0% 용혈을 나타내었다.
2.4.2 신호 대 배경 비율(S/B)의 계산:
PC군의 OD 평균 값/NC군의 OD 평균 값은 신호 창의 크기를 나타내었다.
2.4.3 Z'인자:
계산 공식:
2.4.4 화합물 IC50:
IC50: 반수 최대 억제 농도. 데이터를 수집하여 용혈 백분율과 화합물 농도의 log 값을 계산하고 GraphPad Prism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IC50 값을 계산하였다. 토끼 적혈구 용혈에 대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억제 활성은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실험 결론: 본 발명의 화합물은 토끼 적혈구 용혈에 대해 우수한 억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본 발명의 화합물의 체내 약동학 연구
SPF 등급 SD 랫트를 적응성 가축화 이후에 각각 단일 위내 투여 또는 꼬리 정맥 볼루스 주사하는 투여 방법을 통해 1 또는 3mg/kg의 본 발명의 화합물을 투여하였다. 투여 후 특정 시점에 혈장을 수집하고 LC-MS/MS(AB SCIEX Qtrap4500)를 통해 혈장 내 화합물 농도를 검출하였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각 화합물의 PK 매개변수를 계산하며 동물 체내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약동학적 특성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PK 매개변수는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다.
실험 결론: 본 발명의 화합물은 비교적 낮은 투여량에서 비교적 높은 체내 노출량 및 비교적 높은 경구 투여 생체이용률을 얻을 수 있으며, 전반적인 약동학적 특성이 비교적 우수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다. 다만, 본 출원의 보호범위는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요지 및 원칙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이루어진 임의의 수정, 동등 교체, 개선 등은 모두 본 출원의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 보호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20)

  1. 하기 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호변 이성질체, 이의 입체 이성질체, 이의 전구약물, 또는 전술한 것 중 어느 하나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전술한 것 중 어느 하나의 용매화물:
    (I)
    상기 식에서,
    R1은 H, D, C1-6알킬 또는 1, 2 또는 3개의 R1-1에 의해 치환된 C1-6알킬이고; 각 R1-1은 독립적으로 할로겐, -CN, -OH, C1-6알콕시 또는 -NH2이고;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H, D, 할로겐, C1-6알킬 또는 1, 2 또는 3개의 R2-1에 의해 치환된 C1-6알킬이고; 각 R2-1은 독립적으로 할로겐, -CN, -OH, C1-6알콕시 또는 -NH2이고;
    R4는 H 또는 할로겐이고; m은 0, 1, 2 또는 3이고;
    R5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CN, C1-6알킬 또는 C1-6알콕시이고;
    R6은 C7-12사이클로알킬, 1, 2 또는 3개의 R6-1에 의해 치환된 C7-12사이클로알킬, "헤테로 원자가 N, O 및 S에서 선택되는 1가지, 2가지 또는 3가지이고 헤테로 원자의 수가 1, 2 또는 3개인 7원 내지 12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또는 1, 2 또는 3개의 R6-2에 의해 치환된 "헤테로 원자가 N, O 및 S에서 선택되는 1가지, 2가지 또는 3가지이고 헤테로 원자의 수가 1, 2 또는 3개인 7원 내지 12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고;
    R6-1 및 R6-2는 각각 독립적으로 하이드록실, 옥소(=O), 할로겐, C1-6알킬, C1-6알콕시, C1-6할로알킬, C1-6할로알콕시, C3-6사이클로알킬 또는 -(CH2)p-C3-6사이클로알킬이고; p는 1, 2, 3 또는 4이고;
    R6, R6-1 및 R6-2에서 상기 사이클로알킬은 독립적으로 단일 고리, 가교 고리 또는 스피로 고리이고;
    R6에서 상기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단일 고리, 가교 고리 또는 스피로 고리이고;
    R8은 H, 할로겐 또는 C1-6알킬이고;
    R9는 H, 할로겐, C1-6알킬 또는 1, 2 또는 3개의 R9-1에 의해 치환된 C1-6알킬이고;
    각 R9-1은 독립적으로 할로겐, -CN, -OH 또는 -NH2이고; n은 0, 1, 2, 3 또는 4이고;
    L은 -(CRaRb)q-이고; q는 0, 1, 2 또는 3이고;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H, D 또는 할로겐이거나, Ra 및 Rb는 함께 연결되어 C3-6사이클로알킬렌을 형성하고, 형성된 사이클로알킬렌은 단일 고리, 가교 고리 또는 스피로 고리이며;
    R10은 -COOH 또는 -C(=O)ORc이고;
    Rc는 C1-6알킬 또는 1, 2 또는 3개의 Rc-1에 의해 치환된 C1-6알킬이고; 각 Rc-1은 독립적으로 할로겐, -OH 또는 -C(=O)OC(CH3)3이고;
    X는 CRd 또는 N이고; Rd는 H, 할로겐 또는 C1-6알킬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1) R1은 H인 조건;
    (2)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H, C1-3알킬 또는 1, 2 또는 3개의 R2-1에 의해 치환된 C1-3알킬이고; 각 R2-1은 독립적으로 할로겐 또는 -OH이고, 상기 할로겐은 바람직하게는 F인 조건;
    (3) m은 0 또는 1인 조건;
    (4) R5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할로겐이고, 상기 할로겐은 바람직하게는 F인 조건;
    (5) R6은 "헤테로 원자가 N, O 및 S에서 선택되는 1가지, 2가지 또는 3가지이고 헤테로 원자의 수가 1, 2 또는 3개인 8원 내지 11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또는 1, 2 또는 3개의 R6-2에 의해 치환된 "헤테로 원자가 N, O 및 S에서 선택되는 1가지, 2가지 또는 3가지이고 헤테로 원자의 수가 1, 2 또는 3개인 8원 내지 11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고, 여기서 상기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가교 고리 또는 스피로 고리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8원 내지 11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6-아자스피로[2.5]옥틸, 5-아자스피로[2.5]옥틸, 6-아자스피로[3.4]옥틸, 2-아자스피로[3.4]옥틸, 2-옥사-6-아자스피로[3.4]옥틸, 6-옥사-2-아자스피로[3.4]옥틸, 4-옥사-7-아자스피로[2.5]옥틸, 2-아자스피로[4.4]노닐, 2-아자스피로[3.5]노닐, 2-옥사-7-아자스피로[3.5]노닐, 1-옥사-7-아자스피로[3.5]노닐, 7-아자스피로[3.5]노닐, 2,7-디아자스피로[3.5]노닐, 2-옥사-8-아자스피로[4.5]데실, 3-옥사-9-아자스피로[5.5]운데실, 2-옥사-9-아자스피로[5.5]운데실, 3,9-디아자스피로[5.5]운데실, 3-아자비사이클로[3.2.1]옥틸, 3-아자스피로[5,5]운데실, 8-아자스피로[4.5]데실 또는 1-옥사-6-아자스피로[3,4]옥틸인 조건;
    (6) 각 R6-2는 독립적으로 하이드록실 또는 C1-3알킬이고, 바람직하게는, 각 R6-2는 독립적으로 하이드록실, 메틸, 에틸, n-프로필 또는 이소프로필인 조건;
    (7) R8은 H인 조건;
    (8) R9는 H 또는 할로겐이고, 상기 할로겐은 바람직하게는 F인 조건;
    (9) n은 0 또는 1인 조건;
    (10) q는 1인 조건;
    (11)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H인 조건;
    (12) R10은 -COOH인 조건; 및
    (13) Rd는 H인 조건
    중 하나 또는 복수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호변 이성질체, 이의 입체 이성질체, 이의 전구약물, 또는 전술한 것 중 어느 하나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전술한 것 중 어느 하나의 용매화물.
  3. 제1항에 있어서,
    R6은 "헤테로 원자가 N, O 및 S에서 선택되는 1가지, 2가지 또는 3가지이고 헤테로 원자의 수가 1, 2 또는 3개인 8원 내지 11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또는 1, 2 또는 3개의 R6-2에 의해 치환된 "헤테로 원자가 N, O 및 S에서 선택되는 1가지, 2가지 또는 3가지이고 헤테로 원자의 수가 1, 2 또는 3개인 8원 내지 11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고, 여기서 상기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가교 고리 또는 스피로 고리이고; 바람직하게는, R6은 "헤테로 원자가 N, O 및 S에서 선택되는 1가지, 2가지 또는 3가지이고 헤테로 원자의 수가 1, 2 또는 3개인 8원 내지 10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또는 1, 2 또는 3개의 R6-2에 의해 치환된 "헤테로 원자가 N, O 및 S에서 선택되는 1가지, 2가지 또는 3가지이고 헤테로 원자의 수가 1, 2 또는 3개인 8원 내지 10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호변 이성질체, 이의 입체 이성질체, 이의 전구약물, 또는 전술한 것 중 어느 하나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전술한 것 중 어느 하나의 용매화물.
  4. 제1항에 있어서,
    R1은 H이고;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H, C1-3알킬 또는 1, 2 또는 3개의 R2-1에 의해 치환된 C1-3알킬이고; 각 R2-1은 독립적으로 할로겐 또는 -OH이고;
    R4는 H 또는 할로겐이고; m은 0 또는 1이고;
    R5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할로겐이고;
    R6은 "헤테로 원자가 N, O 및 S에서 선택되는 1가지, 2가지 또는 3가지이고 헤테로 원자의 수가 1, 2 또는 3개인 8원 내지 11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또는 1, 2 또는 3개의 R6-2에 의해 치환된 "헤테로 원자가 N, O 및 S에서 선택되는 1가지, 2가지 또는 3가지이고 헤테로 원자의 수가 1, 2 또는 3개인 8원 내지 11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고, 여기서 상기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가교 고리 또는 스피로 고리이고;
    각 R6-2는 독립적으로 하이드록실 또는 C1-3알킬이고;
    R8은 H이고;
    R9는 H 또는 할로겐이고; n은 0 또는 1이고;
    L은 -(CRaRb)q-이고, q는 1이고;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H이고;
    R10은 -COOH이고;
    X는 CRd 또는 N이고; Rd는 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호변 이성질체, 이의 입체 이성질체, 이의 전구약물, 또는 전술한 것 중 어느 하나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전술한 것 중 어느 하나의 용매화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1) R1, R2, R3, R5, R7, R6-1, R6-2, R8, R9, Rc 및 Rd에서, 상기 각 알킬은 독립적으로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또는 tert-부틸이고, 바람직하게는 메틸 또는 에틸인 조건;
    (2) R1-1, R2-1, R5, R7, R6-1 및 R6-2에서, 상기 각 알콕시는 독립적으로 메톡시, 에톡시, n-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n-부톡시, 이소부톡시 또는 tert-부톡시인 조건;
    (3) R1-1, R2, R3, R2-1, R4, R5, R7, R6-1, R6-2, R8, R9, R9-1, Ra, Rb, Rc-1 및 Rd에서, 상기 각 할로겐은 독립적으로 F, Cl, Br 또는 I이고, 바람직하게는 F인 조건; 및
    (4) R6에서, 각 상기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독립적으로 "헤테로 원자가 N, O 및 S에서 선택되는 1가지, 2가지 또는 3가지이고 헤테로 원자의 수가 1 또는 2개인 8원 내지 11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고, 상기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가교 고리 또는 스피로 고리이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N 원자를 통해 모체와 연결되고; 상기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바람직하게는 인 조건
    중 하나 또는 복수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호변 이성질체, 이의 입체 이성질체, 이의 전구약물, 또는 전술한 것 중 어느 하나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전술한 것 중 어느 하나의 용매화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1) R2는 H이고, R3은 H, -CH3, -CH2OH, -CH2CH2OH, -CH2F 또는 -CF2H인 조건; 및
    (2) R6인 조건
    중 하나 또는 복수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호변 이성질체, 이의 입체 이성질체, 이의 전구약물, 또는 전술한 것 중 어느 하나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전술한 것 중 어느 하나의 용매화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1) R1은 H이고;
    R2는 H이고, R3은 H, -CH3 또는 -CH2F이고;
    R4는 H 또는 할로겐이고, m은 0 또는 1이고;
    R5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F이고;
    R6은 "헤테로 원자가 N, O 및 S에서 선택되는 1가지, 2가지 또는 3가지이고 헤테로 원자의 수가 1, 2 또는 3개인 8원 내지 11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또는 1, 2 또는 3개의 R6-2에 의해 치환된 "헤테로 원자가 N, O, S에서 선택되는 1가지, 2가지 또는 3가지이고 헤테로 원자의 수가 1, 2 또는 3개인 8원 내지 11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고;
    각 R6-2는 독립적으로 하이드록실 또는 C1-3알킬이고;
    R8은 H이고;
    R9는 H 또는 F이고; n은 0 또는 1이고;
    L은 -(CRaRb)q-이고; q는 1이고;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H이고;
    R10은 -COOH이고;
    X는 CRd 또는 N이고; Rd는 H인 조건;
    (2) R1은 H이고;
    R2는 H이고, R3은 H, -CH3 또는 -CH2F이고;
    R4는 H 또는 할로겐이고, m은 0 또는 1이고;
    R5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F이고;
    R6은 "헤테로 원자가 N, O 및 S에서 선택되는 1가지, 2가지 또는 3가지이고 헤테로 원자의 수가 1, 2 또는 3개인 8원 내지 10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또는 1, 2 또는 3개의 R6-2에 의해 치환된 "헤테로 원자가 N, O, S에서 선택되는 1가지, 2가지 또는 3가지이고 헤테로 원자의 수가 1, 2 또는 3개인 8원 내지 10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고;
    각 R6-2는 독립적으로 하이드록실 또는 C1-3알킬이고;
    R8은 H이고;
    R9는 H 또는 F이고; n은 0 또는 1이고;
    L은 -(CRaRb)q-이고; q는 1이고;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H이고;
    R10은 -COOH이고;
    X는 CRd 또는 N이고; Rd는 H인 조건;
    (3) R1은 H이고;
    R2는 H이고, R3은 H, -CH3 또는 -CH2F이고;
    R4는 H 또는 할로겐이고, m은 0 또는 1이고;
    R5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F이고;
    R6이거나, 1개의 R6-2에 의해 치환된 하기의 기: 이며;
    R6-2는 하이드록실 또는 메틸이고;
    R8은 H이고;
    R9는 H 또는 F이고; n은 0 또는 1이고;
    L은 -(CRaRb)q-이고; q는 1이고;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H이고;
    R10은 -COOH이고;
    X는 CRd 또는 N이고; Rd는 H인 조건; 및
    (4) R1은 H이고;
    R2는 H이고, R3은 H, -CH3 또는 -CH2F이고;
    R4는 H 또는 F이고, m은 0 또는 1이고;
    R5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F이고;
    R6이고;
    R8은 H이고;
    R9는 H 또는 F이고; n은 0 또는 1이고;
    L은 -(CRaRb)q-이고; q는 1이고;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H이고;
    R10은 -COOH이고;
    X는 CRd 또는 N이고; Rd는 H인 조건
    중 어느 하나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호변 이성질체, 이의 입체 이성질체, 이의 전구약물, 또는 전술한 것 중 어느 하나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전술한 것 중 어느 하나의 용매화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식(I-1)으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호변 이성질체, 이의 입체 이성질체, 이의 전구약물, 또는 전술한 것 중 어느 하나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전술한 것 중 어느 하나의 용매화물:
    (I-1)
    상기 식에서, R1, R2, R3, R4, R5, R6, R7, R8, R9, R10, Rd, L, m 및 n은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다.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식(I-2)으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호변 이성질체, 이의 입체 이성질체, 이의 전구약물, 또는 전술한 것 중 어느 하나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전술한 것 중 어느 하나의 용매화물:
    (I-2)
    상기 식에서, R1, R2, R3, R4, R5, R6, R7, R8, R9, R10, L, m 및 n은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다.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식(I-3)으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호변 이성질체, 이의 입체 이성질체, 이의 전구약물, 또는 전술한 것 중 어느 하나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전술한 것 중 어느 하나의 용매화물
    (I-3)
    상기 식에서, X, R1, R2, R3, R4, R5, R6, R7, R8, R9, R10, L 및 n은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다.
  11.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식(I-4)으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호변 이성질체, 이의 입체 이성질체, 이의 전구약물, 또는 전술한 것 중 어느 하나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전술한 것 중 어느 하나의 용매화물:
    (I-4)
    상기 식에서, X, R1, R2, R3, R4, R5, R6, R7, R8, R9, R10, L, m 및 n은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으며; ""로 표시된 탄소 원자가 카이랄 탄소 원자인 경우 이는 R 배열, S 배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나타낸다.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하기 화합물 중 어느 하나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호변 이성질체, 이의 입체 이성질체, 이의 전구약물, 또는 전술한 것 중 어느 하나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전술한 것 중 어느 하나의 용매화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또는 .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하기 화합물 중 어느 하나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호변 이성질체, 이의 입체 이성질체, 이의 전구약물, 또는 전술한 것 중 어느 하나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전술한 것 중 어느 하나의 용매화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또는 .
  14. (1) 하기 식 II-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탈보호 반응시켜 하기 식 II-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수득하는 단계:
    ; 및
    (2) 하기 식 II-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가수분해하여 하기 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수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R10은 -COOH이고,R1, R2, R3, R4, R5, R6, R7, R8, R9, Rc, X, L, m 및 n은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으며; 바람직하게는, R1은 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방법.
  15. 하기 식 II-3 또는 하기 식 II-4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상기 식에서, R1, R2, R3, R4, R5, R6, R7, R8, R9, X, L, Rc, m 및 n은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으며; 바람직하게는, R1은 H이다.
  16.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어느 하나의 화합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또는 .
  17. (1)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호변 이성질체, 이의 입체 이성질체, 이의 전구약물, 또는 전술한 것 중 어느 하나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전술한 것 중 어느 하나의 용매화물; 및
    (2)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18. 혈액 질환, 신장 질환, 심혈관 질환, 면역 질환, 중추신경계 질환, 호흡기 질환, 비뇨생식기 질환 또는 안구 질환인 보체 인자 D에 의해 매개되는 질환을 치료 및/또는 예방하기 위한 약물의 제조에 있어서의,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호변 이성질체, 이의 입체 이성질체, 이의 전구약물, 또는 전술한 것 중 어느 하나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전술한 것 중 어느 하나의 용매화물, 또는 제17항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용도.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보체 인자 D에 의해 매개되는 질환은 한랭 응집소병, 치명적인 항인지질 증후군, 용혈성 빈혈, 항호중구 세포질 항체(ANCA) 관련 혈관염(AAV), 온난항체형 자가면역 용혈성 빈혈,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 IgA 신장병, 루푸스 신장염, 비정형 용혈성 요독 증후군, 막증식성 사구체신염(MPGN), 고밀도 침착병, C3 사구체신염, 국소 분절성 사구체 경화증, 당뇨병성 신장병, 전신성 루푸스 또는 홍반성 루푸스, 류마티스 관절염, 염증성 장 질환, 건선, 다발성 경화증, 장기 이식 거부 반응, 중증 근육무력증, 알츠하이머병, 호흡곤란 증후군, 천식, 만성 폐쇄성 폐질환, 폐기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예를 들어 SARS-CoV, MERS-CoV 또는 SARS-CoV-2 감염), 황반 변성, 연령관련 황반변성(AMD), 황반부종, 당뇨병성 황반부종, 맥락막 혈관신생(CNV), 포도막염, 베체트 포도막염, 증식성 당뇨망막병증, 비증식성 당뇨망막병증, 녹내장, 고혈압성 망막병증, 각막 신생혈관 질환, 각막 이식 후 거부반응, 각막 이영양증, 자가면역 안구건조증, 스티븐스-존슨 증후군(Stevens-Johnson syndrome), 쇼그렌 증후군(Sjogren syndrome), 환경성 안구건조증, 푹스(Fuchs) 각막 내피 이영양증, 망막 정맥 폐쇄 또는 수술 후 염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20. 보체 인자 D 억제제 약물의 제조에 있어서의,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호변 이성질체, 이의 입체 이성질체, 이의 전구약물, 또는 전술한 것 중 어느 하나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전술한 것 중 어느 하나의 용매화물, 또는 제17항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용도.
KR1020247013828A 2021-09-30 2022-09-30 보체 인자 d 억제제로서의 화합물, 이의 약학 조성물 및 용도 KR202400697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1165838.2 2021-09-30
CN202211160701.2 2022-09-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9793A true KR20240069793A (ko) 2024-05-20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13809B (zh) Glp-1受體促效劑及其用途
TWI766882B (zh) 新穎化合物類
RU2632907C2 (ru) Дейтерированные диаминопиримидиновые соединения и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е композиции, содержащие такие соединения
JP5925394B2 (ja) 抗レトロウイルス剤としての(ヘテロ)アリールアセトアミド誘導体
CN114728968A (zh) 稠合吡啶酮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TW201811788A (zh) 作為抗病毒劑之多環吡啶酮化合物
KR20210121168A (ko) 복소환식 화합물인 벤조피리돈 및 그 사용
CN108516958B (zh) 稠环衍生物、其制备方法、中间体、药物组合物及应用
CN112778276A (zh) 作为shp2抑制剂的化合物及其应用
KR102059333B1 (ko) 6원 헤테로환 유도체 및 그를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
TW201841919A (zh) 作為抗病毒劑之稠合吲唑吡啶酮化合物
TW201718493A (zh) 作為magl抑制劑的胺基甲酸1,1,1-三氟-3-羥基丙烷-2-基酯衍生物及胺基甲酸1,1,1-三氟-4-羥基丁烷-2-基酯衍生物
CN112543755A (zh) 一类细胞坏死抑制剂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11434655A (zh) 溶血磷脂酸受体拮抗剂及其制备方法
KR102603729B1 (ko) Jak 억제제로서의 [1,2,4]트리아졸로[1,5-a]피리딘 화합물 및 이의 용도
CN111094288A (zh) 具有mgat-2抑制活性的稠合环衍生物
TW201643144A (zh) 9員縮合環衍生物
WO2020192652A1 (zh) 酰胺类化合物制备方法及其在医药领域的应用
CN113754654A (zh) 咪唑并吡啶类化合物及其用途
US20220372031A1 (en) Novel tricyclic aromatic heterocyclic compou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application thereof
AU2011258389A1 (en) Substituted-6-methylnicotinamides as mGluR5 positive allosteric modulators
US11471436B2 (en) Dihydronaphthalene derivative
EP3383851B1 (en) Dextrorphan-derivatives with suppressed central nervous activity
US20220370429A1 (en) Aromatic heterocyclic compound having tricyclic structur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application thereof
KR20240069793A (ko) 보체 인자 d 억제제로서의 화합물, 이의 약학 조성물 및 용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