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9161A - 철도 레일용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철도 레일용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9161A
KR20240069161A KR1020220150399A KR20220150399A KR20240069161A KR 20240069161 A KR20240069161 A KR 20240069161A KR 1020220150399 A KR1020220150399 A KR 1020220150399A KR 20220150399 A KR20220150399 A KR 20220150399A KR 20240069161 A KR20240069161 A KR 20240069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rail
body frame
wheeled vehicl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0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경원
조원주
Original Assignee
윤경원
조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경원, 조원주 filed Critical 윤경원
Priority to KR1020220150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9161A/ko
Publication of KR20240069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91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5/00Other railway vehicles, e.g. scaffold cars; Adaptations of vehicles for use on rail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18Connections between forks and handlebars or handlebar 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1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using cams, levers, eccentrics, or toggles
    • F16B2/18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using cams, levers, eccentrics, or toggles using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나 철도 레일의 보수 시 작업자나 장비를 싣고 신속한 현장출동이 가능하고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하며 보수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철도 레일용 이동장치를 제공하며,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철도 레일의 제1레일에서 제2레일 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부에는 제1레일 및 제2레일에 각각 안착되는 제1휠 및 제2휠이 구비되고, 제1레일의 반대편 상부에는 이륜차 결합부가 구비되는 본체프레임을 가지는 트롤리; 및 이륜차 결합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륜차 결합부에 결합 시 전륜 및 후륜이 제1레일에 안착되면서 트롤리와 함께 철도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이륜차를 포함하는 특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철도 레일용 이동장치{MOVING APPARATUS FOR RAILROAD RAILS}
본 발명은 철도 레일용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철도나 철도 레일의 보수 시 작업자나 장비를 싣고 신속한 현장출동이 가능하고 이동 및 보관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철도 레일용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철도 차량은 수십 톤의 중량체이여서 만일 레일에서 탈선하는 사고가 발생할 경우 탈선된 차량을 궤도 위에 얹어놓기 위해서는 유압 장비 등의 많은 보수 장치를 필요로 하게 되고, 이들 보수 장비를 신속하게 사고 지점까지 운반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보수 장비 등을 운반하기 위해 기존에 다양한 형태의 트레일러 장비들이 사용되고 있지만, 무겁고 그 크기가 커서 사고 지점까지 이동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며 종래의 트레일러 장비를 철도 레일에 설치하거나 분리하여 높고자 할 때에도 그 중량과 크기 때문에 많은 불편함이 발생된다.
그리고, 철도 차량의 사고 발생 이외에도 단순한 보수 공사 등을 위해 철도 레일로 이동할 경우에도 상기의 트레일러 장비를 사용하는데, 그 중량이나 크기 때문에 기동성이 떨어지고, 조립 및 분해의 어려움 때문에 주행 중인 다른 철도 차량과의 충돌로 인한 큰 사고에 직면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경량화 및 콤팩트화하여 보수 현장까지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고, 조립 및 분해가 간편하여 취급이 용이하며 보수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철도 레일용 이동장치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114403호 (2012.03.14.공고)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는 철도나 철도 레일의 보수 시 작업자나 장비를 싣고 신속한 현장 출동이 가능하고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하며 보수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철도 레일용 이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 레일용 이동장치는 철도 레일의 제1레일에서 제2레일 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부에는 상기 제1레일 및 상기 제2레일에 각각 안착되는 제1휠 및 제2휠이 구비되고, 상기 제1레일의 반대편 상부에는 이륜차 결합부가 구비되는 본체프레임을 가지는 트롤리; 및 상기 이륜차 결합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이륜차 결합부에 결합 시 전륜 및 후륜이 상기 제1레일에 안착되면서 상기 트롤리와 함께 철도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이륜차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이륜차 결합부는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되, 상기 이륜차의 몸체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철도 레일의 폭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1결합프레임 및 제2결합프레임과, 상기 제1결합프레임의 상부와 상기 제2결합프레임의 상부를 연결하며,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이륜차 몸체부가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잠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부는 일단부가 상기 제1결합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부에는 걸림홈이 구비되는 잠금편과, 상기 제2결합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2결합프레임 측으로 회전하는 상기 걸림홈에 결합되어 상기 잠금편의 회전이 차단되도록 하는 잠금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구는 상기 제2결합프레임의 상면에 결합되는 잠금바디와, 일단부가 상기 잠금바디에 결합되어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잠금핀과, 일단부가 상기 잠금핀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회전축을 중심으로 서로 다른 반경의 외측면을 구비하는 잠금캠을 가지는 잠금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륜차는 상기 트롤리와 함께 상기 제1레일을 따라 주행 중 상기 전륜의 조향을 차단하는 조향로킹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조향로킹부는 상기 이륜차의 조향샤프트에 구비되는 제1로킹홀과, 상기 이륜차 몸체부의 조향샤프트 마운트에 구비되는 제2로킹홀과, 상기 제1로킹홀 및 상기 제2로킹홀에 결합되는 로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프레임은 상기 제1휠을 가지는 제1본체프레임과, 상기 제2휠을 가지는 제2본체프레임과, 상기 제1본체프레임 및 상기 제2본체프레임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본체프레임은 미사용 시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1본체프레임 및 상기 제2본체프레임이 절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본체프레임은 상기 힌지부에 인접한 영역에 제1위치고정홀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본체프레임은 상기 제1위치고정홀에 상응하는 제2위치고정홀이 형성된 위치고정판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본체프레임은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1본체프레임 및 상기 제2본체프레임이 나란히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위치고정홀 및 상기 제2위치고정홀에 결합되어 상기 제1본체프레임 및 상기 제2본체프레임의 회전을 차단하는 위치고정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철도나 철도 레일의 보수 시 작업자 및 장비를 싣고 신속한 현장 출동이 가능하며, 특히 이륜차 및 트롤리의 결합과 분리를 간단히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고 보수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트롤리에 대한 이륜차의 탈부착이 매우 용이하므로, 예컨대, 철도 레일용 이동장치의 주행 방향에 따라 트롤리에 대한 이륜차의 결합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유지 보수를 필요로 하는 장소에 보다 빠른 시간에 도착하여 효율적인 유지 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철도 레일에 적합한 구조로 개선된 트롤리와 함께, 트롤리에 탈부착이 가능한 이륜차의 최소한의 설계 변경으로 철도 레일용 이동장치를 구현하므로, 제작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 레일용 이동장치를 나타낸 전체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 레일용 이동장치를 나타낸 분리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 레일용 이동장치의 잠금부를 설명하기 위한 작동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 레일용 이동장치의 트롤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 레일용 이동장치를 나타낸 전체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 레일용 이동장치를 나타낸 분리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 레일용 이동장치의 잠금부를 설명하기 위한 작동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 레일용 이동장치는 트롤리(100) 및 이륜차(2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이륜차(200)는 전동모터의 구동력으로 주행하는 전동 이륜차가 사용될 수 있다.
즉, 이륜차(200)는 이륜차의 뼈대를 이루는 이륜차 몸체부(210)와, 이륜차 몸체부(210)에 결합되는 전륜(211) 및 후륜(212)을 포함한다. 그리고, 이륜차(200)는 이륜차 몸체부(210)에 구비되며 전기에너지가 충전되는 배터리와, 배터리에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전륜(211) 혹은 후륜(212)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전동모터와, 전륜(211) 혹은 후륜(212)의 회전력을 감쇠시키는 브레이크와, 전륜(211)에 연결된 조향샤프트(220)에 마련되는 조향레버와, 이륜차(200)에 탑승한 운전자가 착석할 수 있는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이륜차(200)는 상용의 전동 스쿠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일반적인 전동 스쿠터의 추가 상세 구성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이러한 이륜차(200)는 전륜(211) 및 후륜(212)이 철도 레일 중 제1레일(11)의 두부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제1레일(11)을 따라 주행하며, 본 실시예에 따른 철도 레일용 이동장치의 구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200)는 조향로킹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향로킹부(250)는 제1레일(11)을 따라 주행 중 전륜(211)의 조향을 차단할 수 있다.
조향로킹부(250)는 제1로킹홀(251), 제2로킹홀(252), 및 로커(2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로킹홀(251)은 이륜차 몸체부(210)에 구비된 조향샤프트 마운트(215)에 구비될 수 있다.
제2로킹홀(252)은 조향샤프트(220)에 구비된 플랜지에 구비될 수 있다.
제1로킹홀(251) 및 제2로킹홀(252)은 전륜(211)이 정확히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일치될 수 있다.
로커(253)는 일치된 제1로킹홀(251) 및 제2로킹홀(25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제1로킹홀(251) 및 제2로킹홀(252)에 로커(253)가 결합된 상태에서 전륜(211)은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좌우측으로 조향이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사용자에 의한 조향레버의 좌우측 조향이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레일(11)을 따라 주행 중 사용자에 의한 부정확한 조향을 예방하고 실질적으로 직선 구조를 이루는 제1레일(11)을 따라 안정적인 주행이 보장될 수 있다.
트롤리(100)는 본체프레임(11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프레임(110)은 기본적으로 제1레일(11) 및 제2레일(12)의 사이 공간을 커버하도록 격자 형태를 이루는 프레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본체프레임(110)은 상면에 제1레일(11) 및 제2레일(12)의 사이 공간 즉, 궤간 영역에서 보수 장비를 적재하거나 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격자 형태의 프레임 구조를 이루는 본체프레임(110)의 상면에는 플레이트 형태의 작업판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본체프레임(110)은 하부에 제1휠(118) 및 제2휠(119)을 가질 수 있다.
제1휠(118)은 제1레일(11)에 안착되며, 제1레일(11) 방향을 따라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1전방휠 및 제1후방휠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휠(119)은 제2레일(12)에 안착되며, 제2레일(12) 방향을 따라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전방휠 및 제2후방휠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휠(118) 및 제2휠(119)은 각각 본체프레임(13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제1레일(11) 및 제2레일(12)에 안착되어 이륜차(200)와 연동하여 제1레일(11) 및 제2레일(12)을 따라 구름 접촉하면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제1휠(118) 및 제2휠(119) 중 하나의 휠은 철도 레일의 두부 상면에 밀착되는 상면 접촉부와, 상면 접촉부의 내측(궤간 내측)에 형성되어 철도 레일의 두부 내측면을 대향하게 배치되는 측면 접촉부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철도 레일의 곡선 구간에서 이륜차(200)와 연동하는 트롤리(100)의 자연스러운 주행이 보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1휠(118) 및 제2휠(119) 중 하나의 휠의 상면 접촉부는 외측(궤간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며 철도 레일의 두부 상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철도 레일의 곡선 구간에서 자연스러운 주행이 가능해지며, 제1레일(11) 및 제2레일(12)의 사이 간격 즉, 궤간의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철도 레일의 측면에 충돌하여 파손되거나 탈선되는 문제가 예방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진 않았지만, 본체프레임(110)은 제1휠(118) 및 제2휠(119)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부를 더 가질 수 있다.
즉, 이륜차(200)는 후술되는 이륜차 결합부(130)에 결합되는 동시에 전륜(211) 및 후륜(212)이 제1레일(11)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제1휠(118) 및 제2휠(119)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부를 부가하면, 다양한 종류의 이륜차(200)가 이륜차 결합부(130)에 결합되더라도, 제1휠(118) 및 제2휠(119)의 높낮이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이륜차(200)의 전륜(211) 및 후륜(212)을 제1레일(11)에 균일하게 안착시킬 수 있게 된다.
계속해서, 본체프레임(110)은 이륜차 결합부(130)를 더 가질 수 있다.
이륜차 결합부(130)는 제1레일(11)의 반대편 상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륜차(200)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철도 레일용 이동장치는 미사용 시 이륜차(200) 및 트롤리(100)를 분리하여 작업자의 차량에 적재하는 등의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해지도록 하고, 사용 시에는 트롤리(100)에 이륜차(200)를 용이하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륜차 결합부(130)는 제1결합프레임(131), 제2결합프레임(132), 및 잠금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프레임(131)은 본체프레임(110)의 상면 일측에 결합되어 상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프레임(131)은 이륜차 몸체부(210)의 일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제2결합프레임(132)은 본체프레임(110)의 상면 일측에 제1결합프레임(131)으로부터 철도 레일의 폭방향으로 이격하게 배치되어 상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결합프레임(132)은 이륜차 몸체부(210)의 타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결합프레임(131) 및 제2결합프레임(132) 사이에는 이륜차(200)의 이륜차 몸체부(210)가 삽입되는 수용공간(S)이 형성될 수 있고, 수용공간(S)에 삽입된 이륜차 몸체부(210)의 측면은 제1결합프레임(131) 및 제2결합프레임(132)에 의해 밀착 지지될 수 있다.
잠금부(135)는 제1결합프레임(131)의 상부와 제2결합프레임(132)의 상부를 연결하며, 수용공간(S)에 수용된 이륜차 몸체부(210)가 분리되도록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잠금부(135)는 잠금편(136) 및 잠금구(137)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편(136)은 일단부가 제1결합프레임(131)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136a)로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걸림홈(136b)이 구비될 수 있다.
잠금구(137)는 제2결합프레임(132)의 상부에 결합되고, 힌지(136a)를 중심으로 제2결합프레임(132) 측으로 회전하는 잠금편(136)의 타단부에 구비된 걸림홈(136b)에 결합되어 잠금편(136)의 회전이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수용공간(S)에 삽입된 이륜차 몸체부(210)는 잠금편(136)에 걸림 지지되어 수용공간(S)에서 상측으로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잠금구(137)는 잠금바디(1371), 잠금핀(1372), 및 잠금레버(1373)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바디(1371)는 제2결합프레임(132)의 상면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잠금핀(1372)은 일단부가 잠금바디(1371)에 결합되어 상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잠금핀(1372)은 잠금편(136)의 걸림홈(136b)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잠금레버(1373)는 일단부가 잠금핀(1372)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회전축(C)으로 결합될 수 있고, 회전축(C)을 중심으로 서로 다른 반경(r1,r2)의 외측면을 구비하는 잠금캠(1374)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잠금레버(1373)는 도 3의 (a)에서와 같이 열림 상태에서 잠금바디(1371)와 잠금캠(1374)의 외면 사이에는 잠금편(136)에 삽입되는 틈새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의 (b)에서와 같이, 잠금바디(1371)와 잠금캠(1374)의 외면 사이에 마련된 틈새 측으로 잠금편(136)이 삽입되면, 잠금편(136)의 걸림홈(136b)에 잠금핀(1372)이 삽입되면서 결합된다. 이후 잠금레버(1373)를 회전시키게 되면, 잠금캠(1374)의 상대적으로 큰 반경(r2)을 가지는 외측면이 잠금편(136)을 하부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면서 잠금편(136)이 견고히 고정될 수 있고, 잠금편(136)은 잠금구(137)에서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 레일용 이동장치의 트롤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트롤리(100)는 이륜차(200)와 분리된 미사용 시에는 작업자로 하여금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절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트롤리(100)의 본체프레임(110)은 제1본체프레임(111), 제2본체프레임(113) 및 힌지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본체프레임(111)은 본체프레임(110)의 일부를 형성하며, 하부 일측에는 제1레일(11)에 안착되는 제1휠(118)을 가질 수 있다.
제2본체프레임(113)은 본체프레임(110)의 나머지 일부를 형성하며, 하부 일측에는 제2레일(12)에 안착되는 제2휠(119)을 가질 수 있다.
힌지부(114)는 제1본체프레임(111)의 일단부와 제2본체프레임(113)의 일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이때, 힌지부(114)는 제1본체프레임(111)의 일단부 및 제2본체프레임(113)의 일단부의 하면을 연결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본체프레임(111) 및 제2본체프레임(113)는 힌지부(114)를 중심으로 하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절첩될 수 있고,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펼쳐지면 제1본체프레임(111)의 일단부 측면 및 제2본체프레임(113)의 일단부 측면이 밀착되면서 더 이상의 회전이 차단되어 수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본체프레임(111)은 힌지부(114)에 인접한 영역에 형성되는 제1위치고정홀(111a)을 가질 수 있고, 제2본체프레임(113)은 제1위치고정홀(111a)에 상응하는 제2위치고정홀(115a)이 형성된 위치고정판(115)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본체프레임(110)은 위치고정구(116)를 더 가질 수 있다.
위치고정구(116)는 제1위치고정홀(111a) 및 제2위치고정홀(115a)에 결합되어 힌지부(114)를 제1본체프레임(111) 및 제2본체프레임(113)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제1본체프레임(111) 및 제2본체프레임(113)의 안정적인 수평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레일용 이동장치는 철도나 철도 레일의 보수 시 작업자 및 장비를 싣고 신속한 현장 출동이 가능하며, 특히 이륜차(200) 및 트롤리(100)의 결합과 분리를 간단히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고 보수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트롤리(100)에 대한 이륜차(200)의 탈부착이 매우 용이하므로, 예컨대, 철도 레일용 이동장치의 주행 방향에 따라 트롤리(100)에 대한 이륜차(200)의 결합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유지 보수를 필요로 하는 장소에 보다 빠른 시간에 도착하여 효율적인 유지 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레일용 이동장치는 철도 레일에 적합한 구조로 개선된 트롤리(100)와 함께 상기 트롤리(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이륜차(200)의 최소한의 설계 변경으로 철도 레일용 이동장치를 구현하므로, 제작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0: 트롤리
110: 본체프레임
130: 이륜차 결합부
131: 제1결합프레임
132: 제2결합프레임
135: 잠금부
200: 이륜차

Claims (7)

  1. 철도 레일의 제1레일에서 제2레일 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부에는 상기 제1레일 및 상기 제2레일에 각각 안착되는 제1휠 및 제2휠이 구비되고, 상기 제1레일의 반대편 상부에는 이륜차 결합부가 구비되는 본체프레임을 가지는 트롤리; 및
    상기 이륜차 결합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이륜차 결합부에 결합 시 전륜 및 후륜이 상기 제1레일에 안착되면서 상기 트롤리와 함께 철도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이륜차;를 포함하고,
    상기 이륜차 결합부는,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되, 상기 이륜차의 몸체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철도 레일의 폭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1결합프레임 및 제2결합프레임과,
    상기 제1결합프레임의 상부와 상기 제2결합프레임의 상부를 연결하며,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이륜차 몸체부가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잠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레일용 이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일단부가 상기 제1결합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부에는 걸림홈이 구비되는 잠금편과,
    상기 제2결합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2결합프레임 측으로 회전하는 상기 걸림홈에 결합되어 상기 잠금편의 회전이 차단되도록 하는 잠금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레일용 이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구는,
    상기 제2결합프레임의 상면에 결합되는 잠금바디와,
    일단부가 상기 잠금바디에 결합되어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잠금핀과,
    일단부가 상기 잠금핀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회전축을 중심으로 서로 다른 반경의 외측면을 구비하는 잠금캠을 가지는 잠금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레일용 이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륜차는,
    상기 트롤리와 함께 상기 제1레일을 따라 주행 중 상기 전륜의 조향을 차단하는 조향로킹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레일용 이동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로킹부는,
    상기 이륜차의 조향샤프트에 구비되는 제1로킹홀과,
    상기 이륜차 몸체부의 조향샤프트 마운트에 구비되는 제2로킹홀과,
    상기 제1로킹홀 및 상기 제2로킹홀에 결합되는 로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레일용 이동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은,
    상기 제1휠을 가지는 제1본체프레임과,
    상기 제2휠을 가지는 제2본체프레임과,
    상기 제1본체프레임 및 상기 제2본체프레임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프레임은 미사용 시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1본체프레임 및 상기 제2본체프레임이 절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레일용 이동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프레임은 상기 힌지부에 인접한 영역에 제1위치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본체프레임은 상기 제1위치고정홀에 상응하는 제2위치고정홀이 형성된 위치고정판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프레임은,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1본체프레임 및 상기 제2본체프레임이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위치고정홀 및 상기 제2위치고정홀에 결합되어 상기 제1본체프레임 및 상기 제2본체프레임의 회전을 차단하는 위치고정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레일용 이동장치.
KR1020220150399A 2022-11-11 2022-11-11 철도 레일용 이동장치 KR202400691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0399A KR20240069161A (ko) 2022-11-11 2022-11-11 철도 레일용 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0399A KR20240069161A (ko) 2022-11-11 2022-11-11 철도 레일용 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9161A true KR20240069161A (ko) 2024-05-20

Family

ID=91283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0399A KR20240069161A (ko) 2022-11-11 2022-11-11 철도 레일용 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6916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4403B1 (ko) 2008-10-31 2012-03-14 주식회사 대신티앤에스 철도 레일 인명구조 트롤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4403B1 (ko) 2008-10-31 2012-03-14 주식회사 대신티앤에스 철도 레일 인명구조 트롤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33907A (ko) 능동 방향조절이 가능한 자기 주행 스틸 코일 운송차
JPS6092152A (ja) 鉄道車両及び鉄道輸送システム
TWI314529B (ko)
EP2559517B1 (en) System for and method of re-profiling locomotive and rail car wheels
WO2008059604A1 (fr) Structure de bogie de véhicule de type sur rail
US4230046A (en) Convertible railway velocipede
EP0072328A1 (fr) Bogie à essieux orientables
SK125394A3 (en) Steering system useful for four-wheeled undercarriage with adjustable distance between wheels
JP2006224797A (ja) 軌陸兼用移動車装置
KR20240069161A (ko) 철도 레일용 이동장치
JP4947927B2 (ja) 台車
CN211995603U (zh) 用于搭载轨道检测设备的模块化小车
KR101975676B1 (ko) 철도차량의 회전정렬용 대차 구조
JP3206314U (ja) 軌道走行自転車
KR20230174383A (ko) 철도 레일용 이동장치
JP6788248B2 (ja) 軌道走行車
JP2004276676A (ja) 軌道走行用バイク
JPH06183342A (ja) 鉄道軌道用ボギーと、このボギーを用いたレール研磨機
US4213397A (en) Motorcycle railway attachment
CN103978858B (zh) 一种两用四轮自行车
US11945485B2 (en) Single wheeled knuckle carrier
EP4303109A1 (en) Draisine adaptor
JP4685413B2 (ja) 鉄道用搬送台車の車輪受部材への故障車輪の搭載具
JP2013035347A (ja) 軌道用手動搬送台車
CN203902184U (zh) 一种两用四轮自行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