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9075A - Block for vehicle - Google Patents
Block for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69075A KR20240069075A KR1020220150209A KR20220150209A KR20240069075A KR 20240069075 A KR20240069075 A KR 20240069075A KR 1020220150209 A KR1020220150209 A KR 1020220150209A KR 20220150209 A KR20220150209 A KR 20220150209A KR 20240069075 A KR20240069075 A KR 2024006907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se
- bus bar
- connector
- component
- automobil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11324 bea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51 engineering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8—Electrical distribution cen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12—End pieces terminating in an eye, hook, or fork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블럭이다. 베이스(10)에 다수개의 부품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에 신호버스바(28)가 일체로 사출성형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신호버스바(28)에 의해 상기 부품 중 하나인 릴레이(30)에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릴레이(30)에는 커넥터부(36)가 있고, 상기 베이스(10)에는 상기 신호버스바(28)의 일단이 위치되는 커넥터대(22)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커넥터대(22)에는 상기 신호버스바(28)의 부품연결단자부(284)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릴레이(30)의 커넥터부(306)와 커넥터대(22)는 상기 릴레이(30)가 베이스(10)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결합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block for automobiles. Multiple components may be installed on the base 10. The signal bus bar 28 may be integrally injection molded and installed on the base 10. A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the relay 30, one of the components, by the signal bus bar 28. The relay 30 may have a connector portion 36, and the base 10 may have a connector stand 22 where one end of the signal bus bar 28 is located. The component connection terminal portion 284 of the signal bus bar 28 may be located on the connector stand 22. The connector portion 306 and the connector base 22 of the relay 30 may be coupled during the process of mounting the relay 30 to the base 10.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에서 사용될 수 있는 자동차용 블럭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obile block that can be used in automobiles.
자동차에는 부하와 전원 사이를 연결하는 다양한 블럭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블럭 들에는 릴레이, 전류센서, 프리차지 릴레이 등의 부품들이 있어서 와이어나 버스바에 의해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Various blocks can be used in automobiles to connect between the load and the power source. These blocks contain components such as relays, current sensors, and precharge relays, so circuits can be constructed using wires or bus bars.
자동차용 블럭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부품들 사이의 회로 연결은 와이어, 버스바 등에 의해 이루어 질 수 있다. 따라서, 블럭의 내부에는 와이어, 버스바 등이 복잡하게 얽혀 있어서 공간을 많이 차지게 된다. 상기 와이어와 버스바 등의 절연거리를 확보를 위해서는 많은 공간이 필요하게 되고, 이에 의해 전체 자동차용 블럭의 크기가 커질 수 있다.Circuit connections between various parts used in automotive blocks can be made by wires, bus bars, etc. Therefore, inside the block, wires, bus bars, etc. are intricately intertwined, taking up a lot of space. In order to secure the insulation distance between the wires and bus bars, a lot of space is required, which can increase the size of the entire automobile block.
이와 같은 문제점에 의해 주어진 공간에 설치되어야 하는 자동차용 블럭의 설계에 있어서, 와이어와 버스바 등의 절연거리를 확보하는 것은 블럭의 설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 된다.Due to this problem, when designing a block for an automobile that must be installed in a given space, securing the insulation distance between wires and bus bars becomes a very important part of the design of the block.
자동차용 블럭에서 사용되는 릴레이, 전류센서와 같은 부품들은 외부와의 신호연결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신호연결을 위해서는 별도의 커넥터와 와이어가 사용된다. 따라서, 부품들에 신호연결용 커넥터를 결합하고, 이 부품을 다시 블럭의 베이스에 장착하는 과정을 진행하는 것은 전체 블럭의 조립시간이 많이 소요되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Components such as relays and current sensors used in automobile blocks require external signal connections. For this signal connection, separate connectors and wires are used.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rocess of combining signal connection connectors to components and mounting these components back on the base of the block takes a long time to assemble the entire block.
그리고, 이와 같이 커넥터와 부품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숙련되지 않은 경우에는 오조립에 의해 블럭이 동작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In addition, if the operator is not skilled in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connector and the parts, problems such as the block not operating due to incorrect assembly may occur.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동차용 블럭의 내부에 위치되는 와이어와 버스바를 최소화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to minimize the number of wires and bus bars located inside the automobile block.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용 블럭에서 사용되는 부품을 장착하는 과정을 간소화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implify the process of installing parts used in automobile blocks.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용 블럭 내부에 다른 부품과 인접하여 위치되는 와이어와 버스바를 최소화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the number of wires and bus bars located adjacent to other parts inside the automobile block.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용 블럭에서 사용되는 부품들의 오조립을 방지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incorrect assembly of parts used in automobile blocks.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자동차용 블럭은 부품이 안착되는 부품안착부가 있는 베이스와, 상기 부품안착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부품과의 신호연결을 위한 커넥터대와, 상기 베이스 내에 일체가 되게 설치되어 외부와 상기 부품과의 사이에서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버스바와,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부품 들 사이의 회로를 구성하는 전원버스바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automobile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base having a component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component is mounted, and the component seating portion for signal connection with the component. It may include a connector base, a signal bus bar integrally installed within the base to transmit signals between the outside and the components, and a power bus bar mounted on the base and forming a circuit between the components.
상기 커넥터대는 상기 베이스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외관을 구성하는 커넥터대하우징과, 상기 커넥터대하우징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신호버스바의 일측을 구성하는 부품연결단자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or stand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base and may include a connector housing constituting the exterior, and a component connection terminal portion located inside the connector housing and constituting one side of the signal bus bar.
상기 커넥터대하우징의 입구에는 상기 부품의 신호단자가 삽입되는 단자슬릿이 구비될 수 있다.The inlet of the connector housing may be provided with a terminal slit into which the signal terminal of the component is inserted.
상기 단자슬릿은 십자형상으로 될 수 있다.The terminal slit may be cross-shaped.
상기 단자슬릿에서 상대적으로 짧은 부분을 통해 상기 부품의 신호단자가 삽입될 수 있다.The signal terminal of the component may be inserted through a relatively short portion of the terminal slit.
상기 신호버스바는 상기 베이스 내에 일체로 위치되는 버스바몸체부와, 상기 버스바몸체부의 일단에 있고 상기 커넥터대 내에 위치되어 상기 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품연결단자부와, 상기 버스바몸체부의 타단에 위치되어 상기 베이스의 일측 가장자리에 노출되며 블럭의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외부연결단자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ignal bus bar includes a bus bar body portion integrally located within the base, a component connection terminal portion located at one end of the bus bar body portion and located within the connector tabl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mponent, and the other end of the bus bar body portion. It is located at and exposed to one edge of the base and may include an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block.
상기 부품연결단자부는 포크단자일 수 있다.The component connection terminal may be a fork terminal.
상기 외부연결단자부는 상기 베이스의 외부연결부에 설치되는 커넥터의 단자가 될 수 있다.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may be a terminal of a connector installed on the external connection part of the base.
상기 버스바몸체부는 상기 베이스에 형성된 버스바비드 내에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에 인서트사출에 의해 일체로 될 수 있다.The bus bar body part is located within the bus bar bead formed on the base and can be integrated with the base by insert injection molding.
상기 버스바몸체부는 상기 커넥터대에서 상기 베이스의 가장자리에 있는 외부연결부까지 다수개 꺽어지면서 연장될 수 있다.The bus bar body portion may extend from the connector stand to an external connection portion at the edge of the base while being bent in multiple numbers.
상기 부품은 릴레이로서, 연결전극이 있는 릴레이몸체와, 상기 릴레이몸체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에의 장착을 위한 장착편과, 상기 릴레이몸체의 일측 외면에 구비되어 상기 커넥터대와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커넥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mponent is a relay, including a relay body with connection electrodes, a mounting piece provided on the lower part of the relay body for mounting on the base, and a mounting piece provided on one outer surface of the relay body and combined with the connector base to electrically connect. It may include a connector unit that performs.
상기 커넥터부는 외관을 구성하고 상기 베이스의 표면을 향해 내부공간이 개방되는 커넥터부하우징과, 상기 커넥터부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부품연결단자부와 결합되는 신호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or portion may include a connector housing that forms an exterior and whose interior space is open toward the surface of the base, and a signal terminal provided inside the connector housing and coupled to the component connection terminal portion.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부품들을 차폐하는 커버가 더 구비될 수 있다.A cover may be further provided to shield the components installed on the base.
상기 커버는 커버판의 가장자리를 둘러 커버측벽이 구비되어 구성되는데, 상기 커버측벽에는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는 체결턱에 걸어지는 체결편이 탄성변형가능하게 연장될 수 있다.The cover is comprised of a cover side wall surrounding an edge of the cover plate, and on the cover side wall, a fastening piece hooked on a fastening jaw provided on the base can be extended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블럭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The automobil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에서는 블럭 내에서 사용되는 부품을 외부와 신호연결하는 구성을 베이스 내에 일체로 두었다. 즉, 베이스에 일부의 버스바가 일체가 되도록 사출성형하였다. 따라서, 신호연결을 위한 버스바와 와이어가 노출되지 않게 되어 자동차용 블럭의 제작 시에 별도로 조립을 해야 하는 버스바와 와이어가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nents used in the block are integrated into the base to connect signals to the outside. In other words, some of the bus bars were injection molded so that they were integrated into the base. Therefore, the bus bars and wires for signal connections are not exposed, which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number of bus bars and wires that must be separately assembled when manufacturing automobile blocks.
본 발명에서는 블럭 내부의 부품과 외부와의 신호연결을 위한 부품 사이의 연결이 해당 부품을 베이스에 설치함에 의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될 수 있다. 따라서, 자동차용 블럭을 조립하는 과정이 상대적으로 간소화되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mponents inside the block and the components for signal connection to the outside can be made automatically by installing the corresponding components on the base. Therefore, the process of assembling automobile blocks has the effect of being relatively simplified.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어 블럭의 내부에 설치되는 부품인 릴레이, 그리고 외부와의 신호 연결을 위한 커넥터가 베이스에 일체로 설치된 다수개의 버스바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이들 다수개의 버스바는 베이스 내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어, 이들 사이의 절연거리 및 주변의 다른 부품들과의 절연거리 확보가 필요없거나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블럭 내부에 설치되는 부품 들 사이의 절연거리 확보가 상대적으로 쉽게 되어 설계자유도가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relay, which is a component installed inside the block, and a connector for signal connection to the outside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by a plurality of bus bars integrally installed on the base. Here, these multiple bus bars are installed integrally in the base, so securing the insulation distance between them and from other surrounding components can be eliminated or minimized. Therefore, it is relatively easy to secure the insulation distance between components installed inside the block, which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design freedom.
본 발명에서는 일부의 버스바가 이미 베이스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고, 이에 부품을 장착하기만 하면, 신호연결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부품을 특정 위치에 장착할 때, 부품의 커넥터부와 베이스의 커넥터대가 바로 결합되도록 되어 있어 작업자가 쉽게 장착위치를 확인할 수 있어서 부품의 오조립이 방지되는 효과도 있을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some of the bus bars are already integrally fixed to the base, and signal connections can be made accurately by simply mounting the components. In particular, when mounting a part at a specific location, the connector part of the part and the connector stand of the base are directly connected, so the operator can easily check the mounting position, which can also have the effect of preventing misassembly of the part.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블럭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베이스와 베이스에 장착된 부품 들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3-3'선 단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베이스의 중요부 구성을 보인 부분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베이스의 중요부 구성을 보인 부분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베이스에 일체로 설치되는 신호버스바들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사용되는 부품 중 하나인 릴레이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부품 중 하나인 릴레이가 베이스에 장착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n automobil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se and parts mounted on the bas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taken along line 3-3' of Figure 2.
Figure 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important parts of the bas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artial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important parts of the bas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signal bus bars integrally installed on the bas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lay, one of the components us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that a relay, one of the component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base.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illustrative drawings. Whe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identical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Additionally, whe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are judged to imped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dditionally, whe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sequence,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ere is no need for another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mbined,” or “connected.”
도 1에는 본 발명 실시례의 자동차용 블럭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례의 자동차용 블럭은 베이스(10)에 여러가지 부품들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는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는 절연성 합성수지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는 베이스판(12)과 상기 베이스판(12)의 가장자리를 둘러 구비된 베이스측벽(14)을 포함할 수 있다.1 shows a block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mobile block of this embodiment may have various parts mounted on the
상기 베이스판(12)은 평면도로 볼 때 대략 직사각형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12)이 반드시 직사각형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베이스판(12)은 평면도로 볼 때,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직사각형이다. 상기 베이스판(12)은 영역에 따라 높이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12) 상에는 구획벽(16)에 의해 구획된 영역들이 있고, 이 영역들은 그 높이나 형상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판(12)의 저면으로 개방된 공간이 있을 수 있는데, 이 공간의 형성에 의해 상기 베이스판(12)의 해당되는 영역의 상면은 주변보다 상대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영역의 예로서,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아래에서 설명될 저항(34)이 위치되는 부분이 있을 수 있다.The
상기 베이스측벽(14)은 상기 베이스판(12)의 가장자리를 둘러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베이스판(12)의 가장자리 전체에 베이스측벽(14)이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베이스측벽(14)은 그 위치에 따라 높이가 달리 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측벽(14)의 외면에는 다수 곳에 체결턱(14')들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체결턱(14')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커버(40)의 체결편(46)이 걸어질 수 있다.The
상기 베이스판(12) 상에는 다수개의 구획벽(16)이 있을 수 있다. 상기 구획벽(16)은 그 위치와 기능에 따라 높이가 달리될 수 있다.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판(12) 상에는 다수 곳에 구획벽(16)이 있을 수 있다. 상기 구획벽(16)은 부품들이 놓여지는 영역을 주변과 구획하면서 절연거리를 확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re may be a plurality of
상기 베이스판(12)의 네 모서리에는 장착편(18)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장착편(18)은 상기 베이스(10)를 고정부에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장착편(18)이 반드시 베이스판(12)의 모서리에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모서리에 인접한 위치에 있을 수 있다.There may be mounting
상기 베이스판(12) 상에는 다수 곳에 부품안착부(20)가 있을 수 있다. 도 4에서 표시된 부품안착부(2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릴레이(30)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부품안착부(20)는 상기 구획벽(16)에 의해 주변과 구획될 수 있다. 상기 구획벽(16)은 상기 부품안착부(20)를 주변과 구획하는데, 전체 영역을 완전히 구획하는 것은 아니며, 특정 부품이 위치되는 영역의 일부를 구획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부품안착부(20)는 특히 릴레이(30)가 장착되는 부분을 말한다. 상기 부품안착부(20)에는 체결구공(20')이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구공(20')에는 예를 들면 체결너트(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고, 아래에서 설명될 릴레이(30)의 장착편(302)에 형성된 장착공(304)을 관통하여 체결볼트(도시되지 않음)가 상기 체결너트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체결구공(20')은 본 실시례에서는 하나의 부품안착부(20)에 2개 씩 형성되어 있다.There may be
본 실시례에서 도 4에 표시된 부품안착부(20)의 일측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상기 부품안착부(20)의 외측에는 커넥터대(22)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커넥터대(22)는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 중 하나인 릴레이(30)의 커넥터부(36)와의 결합을 위한 것이다. 상기 커넥터대(22)의 외관을 커넥터대하우징(24)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대하우징(24)의 일측으로는 단자슬릿(2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자슬릿(26)의 내측에는 신호버스바(28)의 일측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단자슬릿(26)은 도 4 및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십자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단자슬릿(26)에서 상대적으로 짧게 연장된 부분을 통해 아래에서 설명될 릴레이(30)의 신호단자(308)가 삽입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re may be a
상기 베이스(10)의 가장자리에는 다수 곳에 외부연결부(27)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외부연결부(27)는 블럭의 내부에 있는 부품들과 블럭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외부연결부(27)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전원버스바(36)의 일측 끝부분이 위치되거나 신호버스바(28)의 외부연결단자부(282)와 커넥터(38)가 위치될 수 있다. There may be
신호버스바(28)는 블럭의 내부와 외부 사이에서 신호를 전달하는 것이다. 신호버스바(28)의 구성은 도 6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신호버스바(28)는 다수개가 사용된다. 하나의 커넥터대(22)에 2개의 신호버스바(28)가 위치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커넥터대(22)가 2곳의 부품안착부(20)에 있어서, 총 4개의 신호버스바(28)가 있을 수 있다. 도 6에는 본 실시례에서 사용되는 4개의 신호버스바(28)를 모두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2개의 커넥터대(22)가 있는데, 각각 2개의 신호버스바(28)가 사용될 수 있다. The
상기 신호버스바(28)에는 버스바몸체부(280)가 있고, 상기 버스바몸체부(280)의 양측 단부에는 외부연결단자부(282)와 부품연결단자부(284)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버스바몸체부(280)는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가지는 것으로 띠모양으로 될 수 있다. 상기 버스바몸체부(280)는 다수 회 꺽여 있을 수 있다. 상기 버스바몸체부(280)는 상기 커넥터대(22)가 있는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10)의 일측 가장자리까지의 거리에 따라 그 길이와 꺽임 횟수가 달라질 수 있다.The
본 실시례에서 상기 외부연결단자부(282)는 단순하게 핀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가지는 띠모양으로 사각형의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외부연결단자부(282)에는 외부의 커넥터(도시되지 않음)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external
본 실시례에서 상기 부품연결단자부(284)는 포크단자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기 부품연결단자부(284)는 아래에서 설명될 릴레이(30)의 신호단자(308)와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신호단자(308)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상기 부품연결단자부(284)가 포크단자의 형상 이외의 다른 형상으로 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omponent
상기 신호버스바(28)에서 상기 버스바몸체부(280)는 도 4에서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신호버스바(28)의 버스바몸체부(280)가 위치되는 베이스(10)의 부분을 버스바비드(29)로 명명한다. 상기 버스바비드(29)는 상기 베이스(10)의 표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버스바비드(29)의 내부에 상기 신호버스바(28)의 버스바몸체부(280)가 인서트사출에 의해 일체로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버스바몸체부(280)가 상기 버스바비드(29), 즉 실질적으로 베이스(10) 내에 위치됨에 의해 신호버스바(28) 사이 및 신호버스바(28)에 인접한 부품들과의 절연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In the
다음으로, 상기 베이스(10)에 설치되는 부품들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베이스(10)의 부품안착부(20)에는 릴레이(3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릴레이(30)는 스위칭 동작을 하는 것이다. 상기 릴레이(30)의 스위칭 동작을 위한 신호는 상기 신호버스바(28)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달될 수 있다. Next, the parts installed on the
상기 릴레이(30)의 외관과 골격을 릴레이몸체(300)가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릴레이몸체(300)는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릴레이몸체(30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전원버스바(36)와 연결되는 연결전극(301)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연결전극(301)은 2개가 있고, 이들 연결전극(301)의 사이를 가로질러 구획편(301')이 있을 수 있다. 상기 구획편(301')은 연결전극(301) 사이의 절연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The
상기 릴레이몸체(300)에는 장착편(302)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장착편(302)은 릴레이(30)를 상기 베이스(10)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장착편(302)은 릴레이몸체(300)를 평면도로 볼 때, 서로 대각으로 마주보는 모서리에 해당되는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장착편(302)에는 장착공(30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공(304)을 관통하여 체결구가 상기 베이스(10)에 체결될 수 있다. The
상기 릴레이몸체(300)의 일측 외면에는 커넥터부(306)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커넥터부(306)의 외관을 커넥터부하우징(307)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부하우징(307)의 입구는 상기 릴레이(30)가 베이스(10)에 안착되는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즉, 상기 베이스(10)의 표면을 향하도록 상기 커넥터부하우징(307)의 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부하우징(307)의 내부에는 신호단자(308)가 상기 입구를 향해 연장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신호단자(308)가 상기 신호버스바(28)의 부품연결단자부(284)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부(306)의 신호단자(308)는 상기 커넥터대(22)의 단자슬릿(26)을 통해 상기 커넥터대하우징(24)의 내부로 들어가서 상기 신호버스바(28)의 부품연결단자부(284)와 결합될 수 있다.There may be a
상기 베이스(10)의 일측에는 부품의 하나인 전류센서(32)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전류센서(32)는 전원버스바(36)를 통해 흐르는 전류값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전류센서(32)의 측정값을 블럭 외부로 전달하기 위해서 커넥터(38)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38)는 일측 외부연결부(27)에 고정되어 위치될 수 있다. On one side of the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0)의 저면에 형성된 공간에는 부품의 하나인 저항(34)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저항(34)은 상기 베이스(10)의 상면 쪽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저항(34)이 상기 베이스(10)의 저면에 형성된 공간에 설치되어 있음으로 해서 아래에서 설명될 커버(40)를 개방하지 않고도, 저항(34)의 교체가 가능하게 된다.As can be seen in FIG. 3, a
상기 베이스(10)에서 각종 부품 들의 회로 연결을 위해서 전원버스바(36)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원버스바(36)는 제공되는 전원이 고전압임을 감안해서 그 치수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전원버스바(36)는 외부의 전원 및 부하와 상기 릴레이(30) 등의 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전원버스바(36) 들은 상기 릴레이(30)의 연결전극(301)에 일측 끝부분이 연결될 수 있고, 타측 끝부분은 상기 베이스(10)에 있는 외부연결부(27)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전원버스바(36)에는 상기 외부연결부(27)에서 외부의 버스바 또는 외부의 링단자 등이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이 수행될 수 있다.A
상기 베이스(10)에는 다수개의 커넥터(38)가 설치될 수 있다.상기 커넥터(38)는 블럭과 외부와의 신호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38)는 상기 외부연결부(27)에 위치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커넥터(38) 중에서 일부는 상기 외부연결부(27)가 아닌 베이스(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커버(40)의 일측을 통해 외부로 입구가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38) 중 하나에는 상기 신호버스바(28)의 외부연결단자부(282)가 위치되어 단자역할을 할 수 있다.A plurality of
한편, 상기 베이스(10)의 모서리에 있는 상기 장착편(18)에는 방진구(39)와 부싱(39')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방진구(39)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만들어지고, 상기 부싱(39')은 전동공구의 구동력에 의해 장착편(18)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소정의 강도를 가지는 재질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에를 들면, 금속이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부싱(39')은 상기 방진구(39)의 내부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방진구(39)는 상기 장착편(18)에 형성된 관통공 내에 위치되어 고정부와 자동차용 블럭 사이에서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Meanwhile, a
상기와 같이 각종 부품이 설치된 베이스(10)에 커버(4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40)는 상기 베이스(10)에 설치된 부품 들을 외부와 차폐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커버(40)가 상기 베이스(10)의 상측과 하측 모두를 덮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베이스(10)의 상면에 해당되는 부분을 차폐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상기 커버(40)는 커버판(42)과 상기 커버판(42)의 가장자리를 둘러 구비되는 커버측벽(4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판(42)을 평면도로 보면, 상기 베이스(10)의 평면도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판(42)이 상기 베이스(10)의 상면 상부를 차폐할 수 있다.The
상기 커버측벽(44)은 상기 커버판(42)의 가장자리를 둘러서 있을 수 있다.상기 커버측벽(44)은 상기 커버판(42)과 일체로 될 수 있다. 상기 커버측벽(44)은 상기 커버(40)가 상기 베이스(10)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베이스측벽(14)의 외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커버측벽(44)에서 연장되어 체결편(46)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체결편(46)은 소정의 탄성변형이 가능한 것으로, 상기 베이스(10)의 체결턱(14')에 걸어질 수 있다. 상기 체결편(46)에는 체결공(48)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48)에 상기 체결턱(14')이 안착되어 상기 체결편(46)과 상기 체결턱(14')이 결합될 수 있다.The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자동차용 블럭이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use of an automobile block in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서 상기 베이스(10)를 예를 들어 사출성형할 때, 상기 신호버스바(28)가 금형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베이스(10)에 신호버스바(28)가 일체로 되어서, 상기 커넥터대(22)의 커넥터대하우징(24) 내에 상기 신호버스바(28)의 부품연결단자부(284)가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신호버스바(28)의 외부연결단자부(282)는 상기 베이스(10)의 외부연결부(27)에 위치하는 커넥터(38)의 단자가 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이와 같이 상기 신호버스바(28)가 상기 베이스(10) 또는 상기 베이스(10)의 버스바비드(29) 내에 일체로 된 상태에서는 상기 커넥터대(22)의 커넥터대하우징(24) 내에 상기 부품연결단자부(284)가 위치한다. 상기 부품연결단자부(284)는 포크단자 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상기 커넥터대하우징(24)의 단자슬릿(26)을 통해 삽입되는 상기 신호단자(308)와 결합될 수 있다.In this way, in a state where the
즉, 상기 부품안착부(20)에 부품 중의 하나인 릴레이(30)가 안착되는데, 상기 릴레이(30)의 커넥터부(36)가 상기 베이스(10)의 커넥터대(22)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0)의 부품안착부(20)에 상기 릴레이(30)를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상기 체결구공(20')에 있는 체결너트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장착편(302)이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장착편(302)의 장착공(304)을 관통하여 체결볼트가 상기 체결구공(20')을 관통해서 있는 체결너트에 체결됨에 의해 릴레이(30)가 베이스(10)에 체결될 수 있다.That is, the
이 과정에서 상기 릴레이(30)에 있는 상기 커넥터부(306)가 상기 베이스(10)의 커넥터대(22)와 결합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릴레이(30)의 신호단자(308)는 상기 커넥터대(22)의 단자슬릿(26)을 통해 커넥터대하우징(24)의 내부로 들어가서 상기 신호버스바(28)의 부품연결단자부(284)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합에 의해 상기 신호버스바(28)와 릴레이(3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신호버스바(28)의 외부연결단자부(282)에 외부 커넥터의 단자가 전기적으로 결합되면 신호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외부 커넥터를 통해서 상기 릴레이(30)의 동작을 위한 신호가 전달되어 상기 신호버스바(28)를 통해서 상기 릴레이(30)로 전달되어 릴레이(30)를 구동시킬 수 있다.In this process, the
상기 베이스(10)에 상기 릴레이(30)가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릴레이(30)의 커넥터부(306)가 상기 베이스(10)의 커넥터대(22)에 장착되어야 하므로 작업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상기 릴레이(30)의 장착방향이 정방향에서 180도 회전된 상태가 되면, 상기 커넥터대(22)에 상기 커넥터부(306)가 결합될 수 없기 때문이다. 물론, 이 경우에 상기 릴레이(30)의 장착편(302)이 베이스(10)에 있는 체결너트와 대응되는 위치에 있기는 하지만, 커넥터대(22)에 릴레이(30)의 커넥터부(306)가 결합되지 않는 것을 통해 작업자가 릴레이(30)의 장착방향이 틀렸음을 인식할 수 있다.In the process of mounting the
그리고, 본 발명 실시례에서 상기 릴레이(30)를 정위치에서 90도 회전된 상태로 장착시키려고 하면, 상기 릴레이(30)의 장착편(302)이 체결너트와 서로 대응되지 않는 위치에 있게 되어 작업자가 릴레이(30)를 베이스(10)에 체결할 수 없다. 따라서, 작업자는 릴레이(30)의 장착방향이 틀렸음을 쉽게 인식할 수 있다.Also,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ttempting to mount the
상기 베이스(10)의 부품안착부(20)에 부품인 상기 릴레이(30)를 장착하고, 그 외의 부품들, 즉, 전류센서(32), 저항(34), 전원버스바(36), 커넥터(38) 등을 장착하고, 상기 커버(40)를 덮으면, 자동차용 블럭의 조립이 완성된다.The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the above, even though all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ed in combin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at is, as long as i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operated by selectively combining one or more of them. In addition, terms such as “include,” “comprise,” or “have”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present,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and therefore do not exclude other components. Rather, it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able to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unless otherwise defined,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ommonly used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ized or overly formal sens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explana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참고로, 본 발명에서 상기 커버(40)가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10)에 장착되는 부품 들의 외부 환경과의 차폐가 필요없는 경우에는 상기 커버(40)를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For referenc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10: 베이스
12: 베이스판
14: 베이스측벽
14': 체결턱
16: 구획벽
18: 장착편
20: 부품안착부
22: 커넥터대
24: 커넥터대하우징
26: 단자슬릿
27: 외부연결부
28: 신호버스바
280: 버스바몸체부
282: 외부연결단자부
284: 부품연결단자부
29: 버스바비드
30: 릴레이
300: 릴레이몸체
301: 연결전극
301': 구획편
302: 장착편
304: 장착공
306: 커넥터부
307: 커넥터부하우징
308: 신호단자
32: 전류센서
34: 저항
36: 전원버스바
38: 커넥터
39: 방진구
39': 부싱
40: 커버
42: 커버판
44: 커버측벽
46: 체결편
48: 체결공10: base 12: base plate
14: Base side wall 14': Fastening jaw
16: partition wall 18: mounting piece
20: Part seating portion 22: Connector stand
24: Connector housing 26: Terminal slit
27: external connection
28: signal bus bar 280: bus bar body
282: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284: Component connection terminal
29: Busbabid
30: Relay 300: Relay body
301: Connection electrode 301': Partition piece
302: Installation 304: Installation hole
306: Connector portion 307: Connector housing
308: signal terminal
32: current sensor 34: resistance
36: Power bus bar 38: Connector
39: Anti-vibration hole 39': Bushing
40: cover 42: cover plate
44: Cover side wall 46: Fastening piece
48: fastener
Claims (14)
상기 부품안착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부품과의 신호연결을 위한 커넥터대와,
상기 베이스 내에 일체가 되게 설치되어 외부와 상기 부품과의 사이에서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버스바와,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부품 들 사이의 회로를 구성하는 전원버스바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블럭.
A base with a component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components are seated,
A connector base provided at the component seating portion for signal connection with the component,
A signal bus bar installed integrally within the base to transmit signals between the outside and the component,
A block for an automobile including a power bus bar mounted on the base and constituting a circuit between the components.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nector base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base and includes a connector base housing constituting the exterior, and a component connection terminal portion located inside the connector housing and constituting one side of the signal bus bar. Blocks for cars.
The automobile block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a terminal slit through which a signal terminal of the component is inserted is provided at an entrance of the connector housing.
The automobile block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terminal slit is cross-shaped.
The automobile block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signal terminal of the component is inserted through a relatively short portion of the terminal slit.
The signal bus bar of claim 1, wherein the signal bus bar includes a bus bar body portion integrally located within the base, a component connection terminal portion located at one end of the bus bar body portion and located within the connector bas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mponent, and A block for an automobile including an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portion located at the other end of the bus bar body portion, exposed to one edge of the bas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block.
The automobile block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component connection terminal portion is a fork terminal.
The automobile block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portion serves as a terminal of a connector installed in the external connection portion of the base.
The automobile block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bus bar body portion is located within a bus bar bead formed on the base and is integrated with the base by insert injection molding.
The automobile block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bus bar body portion extends from the connector base to an external connection portion at an edge of the base with a plurality of bends.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10, wherein the component is a relay, including a relay body with a connection electrode, a mounting piece provided at a lower part of the relay body and for mounting on the base, and the relay body. A block for an automobile including a connector portion provided on one outer surface and coupled to the connector base to perform an electrical connection.
The vehicle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connector portion includes a connector housing that forms an exterior and has an interior space open toward the surface of the base, and a signal terminal provided inside the connector housing and coupled to the component connection terminal portion. dragon block.
The block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further comprising a cover to shield the components installed on the bas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50209A KR20240069075A (en) | 2022-11-11 | 2022-11-11 | Block for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50209A KR20240069075A (en) | 2022-11-11 | 2022-11-11 | Block for vehic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69075A true KR20240069075A (en) | 2024-05-20 |
Family
ID=91282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50209A KR20240069075A (en) | 2022-11-11 | 2022-11-11 | Block for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69075A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19066A (en) | 2010-08-24 | 2012-03-0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Structure for preventing misassembling of relay |
KR20140118601A (en) | 2013-03-29 | 2014-10-08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Power relay assembly for electric vehiccle |
KR20180069747A (en) | 2016-12-15 | 2018-06-25 |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 Power relay assembly |
-
2022
- 2022-11-11 KR KR1020220150209A patent/KR20240069075A/en unknow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19066A (en) | 2010-08-24 | 2012-03-0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Structure for preventing misassembling of relay |
KR20140118601A (en) | 2013-03-29 | 2014-10-08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Power relay assembly for electric vehiccle |
KR20180069747A (en) | 2016-12-15 | 2018-06-25 |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 Power relay assembly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346844B2 (en) | electronic module | |
US20160242303A1 (en) | Locking structure, electronic component unit and wire harness | |
US20190067923A1 (en) | Electrical connection box | |
US20010028293A1 (en) | Fuse | |
KR102477401B1 (en) | Solid state relay | |
JP2003272754A (en) | Control circuit module for automobile, automobile built- in control device of electric load, and control circuit module of control device for automatic transmission applying it | |
US4647141A (en) | Zener barrier | |
KR20240069075A (en) | Block for vehicle | |
JP5974971B2 (en) | Relay unit | |
KR102542323B1 (en) | Block for vehicle | |
JP7151360B2 (en) | electric junction box | |
JP2011117853A (en) | Current detector | |
JP4677286B2 (en) | Electrical junction box | |
CN107851985B (en) | Electrical connection box | |
KR101846199B1 (en) | Elctronic control device having configurable connector | |
JP2023001851A (en) | Busbar cover and busbar routing structure | |
CN110912050B (en) | Electrical connection box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ical connection box | |
JP2014232752A (en) | Electronic apparatus | |
KR101514410B1 (en) | Speed Sensor Assembly For Vehicle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 |
JP6871230B2 (en) | Electrical junction box | |
CN108886242B (en) | Electric connection structure | |
CN113131423B (en) | Electric connection box | |
JP2002010445A (en) | Mounting block for electrical component | |
JP2020087694A (en) | Assembling structure of cover and housing, and fusible link unit | |
KR20220134275A (en) | Power relay assembl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