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8259A -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8259A
KR20240068259A KR1020220149467A KR20220149467A KR20240068259A KR 20240068259 A KR20240068259 A KR 20240068259A KR 1020220149467 A KR1020220149467 A KR 1020220149467A KR 20220149467 A KR20220149467 A KR 20220149467A KR 20240068259 A KR20240068259 A KR 202400682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oligopeptide
weight
polypeptide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9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주이
Original Assignee
문주이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주이 filed Critical 문주이
Priority to PCT/KR2023/01104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4101587A1/ko
Publication of KR20240068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825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61K8/46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containing sulfonic acid derivatives; Sa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6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8Preparations for oil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타민나무열매 추출물; 병풀 추출물; 다이메틸설폰(Dimethyl Sulfone); 글리세린; 펩타이드류; 하이드롤라이즈드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Hydrolyzed Sodium Hyaluronate); 및 아데노신(Adenosi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되, 상기 펩타이드류는,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sh-Oligopeptide-1),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2(sh-Oligopeptide-2),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sh-Oligopeptide-1),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3(sh-Oligopeptide-3), 에스에이치-폴펩타이드-7(sh-Oligopeptide-7),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9(sh-Oligopeptide-9),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6(sh-Oligopeptide-16),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60(sh-Oligopeptide-60), 트라이펩타이드-1(Tripeptide-1), 카퍼트라이펩타이드-1(Copper Tripeptide-1), 아세틸테트라펩타이드-2(Acetyl Tetrapeptide-2), 아세틸테트라펩타이드-5(Acetyl Tetrapeptide-5), 팔미토일트라이펩타이드-1(Palmitoyl Tripeptide-1), 팔미토일트라이펩타이드-5(Palmitoyl Tripeptide-5),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4(Palmitoyl Pentapeptide-4), 헥사펩타이드-9(Hexapeptide-9) 및 헥사펩타이드-11(Hexapeptide-1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의하면, 피부 보습, 피부톤 개선, 탄력 개선, 주름 개선, 각질 개선, 여드름 및 트러블 개선 등의 피부 개선 효과가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FUNCTIONAL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타민나무열매 추출물, 병풀 추출물, 펩타이드류 등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보습, 피부톤, 탄력, 트러블, 주름개선, 각질 등의 개선 효과가 우수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에서부터 순서대로 표피, 진피, 피하지방 조직의 3개 층으로 크게 구분되며, 인체를 외부 환경의 물리적, 화학적인 자극으로부터 보호해 주는 기능을 하는데, 특히 피부는 인체가 갖고 있는 약 65~70%의 수분이 체외로 증발되는 것을 조절해 준다.
그 중에서도 표피는 외부로부터 각질층, 과립층, 유극층, 기저층의 순서로 구분되고, 표피의 각질층은 약 10~20%의 수분을 함유하며 인체의 최외각에 존재하여 체내로부터의 수분 증발을 억제하는 한편 외부로부터의 물질 과잉 침투를 차단한다.
이러한 각질층을 구성하고 있는 세포에는 수용성 성분인 고농도의 자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NMF)가 존재하여 피부가 유연성을 나타내도록 작용함은 물론 적절한 수분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다.
그러나 환경의 변화 혹은 생활 패턴의 변화, 사회생활에서 발생하는 각종 스트레스와 환경오염, 화장 습관에 따른 잦은 세안 및 연령 증가에 따른 자연적인 피부 노화 등의 원인으로 각질층의 수분이 감소하여 피부가 건조해지고 표면이 거칠게 되며, 피부가 윤기를 잃어 칙칙하게 보이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여 피부 보습에 관한 문제는 그 중요성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
이에, 최근에는 피부 보습을 개선하고자 하는 의미에서 다양한 화장품 원료들이 개발되고 있는데, 근래의 외부환경을 살펴 보면 동물성 원료들에 대한 소비자들의 선호도 하락과 광우병 등의 파문으로 동물성 원료에 대한 사용이 급격히 줄어들고 천연 식물 유래의 원료들이 각광 받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인체 친화적인 원료들을 사용하여 피부 상태를 개선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KR 10-1463943 B1 KR 10-2145113 B1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보습, 피부톤, 탄력, 주름 등의 피부 상태 개선 효과가 우수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질 제거, 여드름 완화 및 트러블 완화의 효과가 우수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은, 비타민나무열매 추출물; 병풀 추출물; 다이메틸설폰(Dimethyl Sulfone); 글리세린; 펩타이드류; 하이드롤라이즈드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Hydrolyzed Sodium Hyaluronate); 및 아데노신(Adenosi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되, 상기 펩타이드류는,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sh-Oligopeptide-1),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2(sh-Oligopeptide-2),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sh-Oligopeptide-1),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3(sh-Oligopeptide-3), 에스에이치-폴펩타이드-7(sh-Oligopeptide-7),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9(sh-Oligopeptide-9),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6(sh-Oligopeptide-16),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60(sh-Oligopeptide-60), 트라이펩타이드-1(Tripeptide-1), 카퍼트라이펩타이드-1(Copper Tripeptide-1), 아세틸테트라펩타이드-2(Acetyl Tetrapeptide-2), 아세틸테트라펩타이드-5(Acetyl Tetrapeptide-5), 팔미토일트라이펩타이드-1(Palmitoyl Tripeptide-1), 팔미토일트라이펩타이드-5(Palmitoyl Tripeptide-5),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4(Palmitoyl Pentapeptide-4), 헥사펩타이드-9(Hexapeptide-9) 및 헥사펩타이드-11(Hexapeptide-1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효성분으로 천연 추출물을 더 포함하되, 상기 천연 추출물은, 개똥쑥 추출물, 브루셀스트라우트 추출물, 참당귀뿌리 추출물, 시호뿌리 추출물, 소엽맥문동뿌리 추출물, 당근 추출물, 인삼 추출물, 녹차 추출물, 다시마 추출물, 복분자딸기열매 추출물, 산수유열매 추출물, 오미자 추출물, 뽕나무열매 추출물, 쇠비름 추출물, 뽕나무뿌리 추출물, 감나무잎 추출물, 알로에베라잎 추출물, 노티드랙 추출물, 야생딸기잎 추출물, 바질씨 추출물 및 비비추 추출물 중 1종 이상의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전체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를 기준으로, 상기 비타민나무열매 추출물 40~55중량%; 병풀 추출물 20~30중량%; 다이메틸설폰(Dimethyl Sulfone) 1~3중량%; 글리세린 3~6중량%; 펩타이드류 0.0000002~0.0005중량%; 하이드롤라이즈드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Hydrolyzed Sodium Hyaluronate) 0.01~0.02중량%; 및 아데노신(Adenosine) 0.01~0.04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갈화의 발효추출물 0.1~1중량% 및 분홍애기풀의 발효추출물 0.1~1중량%를 유효성분으로 더 포함하되, 상기 갈화의 발효추출물은 갈화의 추출물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을 접종하고 발효시켜서 되는 것이고, 상기 분홍애기풀의 발효추출물은, 분홍애기풀의 추출물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을 접종하고 발효시켜서 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Castanopsis echinocarpa) 추출물 0.1~1중량%를 유효성분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의하면, 피부 보습, 피부톤 개선, 탄력 개선, 주름 개선, 각질 개선, 여드름 및 트러블 개선 등의 피부 개선 효과가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의 기능성이란, 피부 보습, 피부톤 개선, 탄력 개선, 주름 개선, 각질 개선, 여드름 및 트러블 개선 중 1종 이상의 효과를 의미하는 것임을 밝혀둔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비타민나무열매 추출물; 병풀 추출물; 다이메틸설폰(Dimethyl Sulfone); 글리세린; 펩타이드류; 하이드롤라이즈드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Hydrolyzed Sodium Hyaluronate); 및 아데노신(Adenosi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되, 상기 펩타이드류는,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sh-Oligopeptide-1),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2(sh-Oligopeptide-2),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sh-Oligopeptide-1),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3(sh-Oligopeptide-3), 에스에이치-폴펩타이드-7(sh-Oligopeptide-7),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9(sh-Oligopeptide-9),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6(sh-Oligopeptide-16),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60(sh-Oligopeptide-60), 트라이펩타이드-1(Tripeptide-1), 카퍼트라이펩타이드-1(Copper Tripeptide-1), 아세틸테트라펩타이드-2(Acetyl Tetrapeptide-2), 아세틸테트라펩타이드-5(Acetyl Tetrapeptide-5), 팔미토일트라이펩타이드-1(Palmitoyl Tripeptide-1), 팔미토일트라이펩타이드-5(Palmitoyl Tripeptide-5),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4(Palmitoyl Pentapeptide-4), 헥사펩타이드-9(Hexapeptide-9) 및 헥사펩타이드-11(Hexapeptide-1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타민나무열매 추출물은 각종 비타민이 풍부함은 물론, 플라보노이드, 베타카로틴, 루테인 등의 다양한 영양성분이 풍부하고, 민감한 피부에 진정 효과를 부여하여 트러블을 완화하는 것은 물론, 피부톤 개선, 보습, 주름 개선 등의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비타민나무열매 추출물은 상업적으로 구입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으로 비타민나무열매로부터 직접 추출물을 추출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비타민나무열매 추출물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를 기준으로, 40~55중량%만큼 포함됨이 바람직한바, 그 함량이 너무 적으면 그 효과가 충분히 발휘될 수 없고, 55중량%를 초과하면 다른 유효성분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부족해지기 때문이다.
상기 병풀 추출물은 수렴 및 피부 진정, 항균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병풀 추출물 역시 상업적으로 구입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으로 병풀잎으로부터 직접 추출물을 추출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병풀 추출물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를 기준으로, 20~30중량%만큼 포함됨이 바람직한바, 그 함량이 너무 적으면 그 효과가 충분히 발휘될 수 없고, 30중량%를 초과하더라도 더 이상의 증진된 작용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므로 경제적이지 못하기 때문이다.
상기 다이메틸설폰(Dimethyl Sulfone)은 피부의 탄력성을 유지시켜주고, 트러블 및 각질을 개선해주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다이메틸설폰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를 기준으로, 1~3중량%만큼 포함됨이 바람직한바, 그 함량이 1중량% 미만이면 트러블 개선의 효과가 미미하고, 3중량%를 초과하면 오히려 피부 자극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글리세린(Glycerin)은 대표적인 보습제 성분으로, 피부에 보습 효과를 부여한다.
상기 글리세린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를 기준으로, 3~6중량%만큼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펩타이드류는 피부의 탄력 및 주름을 개선하고, 피부톤을 개선하여 미백 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sh-Oligopeptide-1),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2(sh-Oligopeptide-2),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sh-Oligopeptide-1),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3(sh-Oligopeptide-3), 에스에이치-폴펩타이드-7(sh-Oligopeptide-7),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9(sh-Oligopeptide-9),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6(sh-Oligopeptide-16),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60(sh-Oligopeptide-60), 트라이펩타이드-1(Tripeptide-1), 카퍼트라이펩타이드-1(Copper Tripeptide-1), 아세틸테트라펩타이드-2(Acetyl Tetrapeptide-2), 아세틸테트라펩타이드-5(Acetyl Tetrapeptide-5), 팔미토일트라이펩타이드-1(Palmitoyl Tripeptide-1), 팔미토일트라이펩타이드-5(Palmitoyl Tripeptide-5),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4(Palmitoyl Pentapeptide-4), 헥사펩타이드-9(Hexapeptide-9) 및 헥사펩타이드-11(Hexapeptide-11)을 사용한다.
이러한 펩타이드류는 단독 사용시보다 상기 나열된 펩타이드를 함께 사용함이 가장 바람직한데, 이는 그 피부 개선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함이다.
상기 펩타이드류는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를 기준으로, 0.0000002~0.0005중량%만큼 포함됨이 바람직한바, 그 함량이 너무 적으면 그 효과가 미미하고, 과량이되면 피부 자극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상기 하이드롤라이즈드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Hydrolyzed Sodium Hyaluronate)는 자연보습인자 중 하나로서, 피부 보습, 탄력 개선의 효과를 부여하고, 피부 컨디션을 유지해준다.
상기 하이드롤라이즈드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는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를 기준으로, 0.01~0.02중량%만큼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데노신은 (Adenosine)은 피부 진피층 내 세포 재생력을 향상시켜 피부 탄력을 개선해주고, 주름 개선에 도움을 주는 성분이다. 또한, 항염 기능 역시 우수하다.
상기 아데노신은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를 기준으로, 0.01~0.04중량%;만큼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각 성분의 상호작용을 통해 피부 보습, 피부톤 개선, 탄력 개선, 주름 개선, 각질 개선, 여드름 및 트러블 개선 등의 효과를 부여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개똥쑥 추출물, 브루셀스트라우트 추출물, 참당귀뿌리 추출물, 시호뿌리 추출물, 소엽맥문동뿌리 추출물, 당근 추출물, 인삼 추출물, 녹차 추출물, 다시마 추출물, 복분자딸기열매 추출물, 산수유열매 추출물, 오미자 추출물, 뽕나무열매 추출물, 쇠비름 추출물, 뽕나무뿌리 추출물, 감나무잎 추출물, 알로에베라잎 추출물, 노티드랙 추출물, 야생딸기잎 추출물, 바질씨 추출물 및 비비추 추출물 중 1종 이상의 천연 추출물 0.01~3중량%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천연 추출물들은 상기 비타민나무열매 추출물; 병풀 추출물; 다이메틸설폰(Dimethyl Sulfone); 글리세린; 펩타이드류; 하이드롤라이즈드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Hydrolyzed Sodium Hyaluronate); 및 아데노신(Adenosine)이 갖는 보습, 탄력, 미백, 주름 개선, 항염, 각질 개선 등의 효과를 배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천연 추출물은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으로 추출된 것이면 족한바, 이러한 추출방법을 제한하지 않으며,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보습제인 카프릴릴글라이콜(Caprylyl Glycol)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피부컨디셔닝제인 부틸렌글라이콜, 다이펩타이드다이아미노부티로일벤질아마이드다이아세테이트(dipeptide diaminobutyroyl benzylamide diacetate), 폴리글리세릴-10라우레이트(Polyglyceryl-10 Laurate), 에틸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성분들인 일반적인 보습제, 피부컨디셔닝제로서 화장품학 또는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또한, 솔벤트로서 에틸헥산다이올(Ethyl Hexanediol), 프로판다이올(Propanediol), 1,2-헥산다이올(1,2-Hexanediol), 정제수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솔벤트 역시 일반적인 것으로, 화장품학 또는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다른 피부컨디셔닝제인,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글라이신(Glycine), 세린(serine), 글루타믹애씨드(Glutamic Acid), 아스파틱애씨드(Aspartic Acid), 류신(Leucine),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Hydrolyzed Collagen), 알라닌(Alanine), 라이신(Lysine), 알지닌(Arginine), 타이로신(Tyrosine),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트레오닌(Threonine), 프롤린(Proline), 발린(Valine), 아이오류신(Isoleucine), 하이드롤라이즈드완두콩단백질(Hydrolyzed Pea Protein), 피토스테롤(Phytosterols), 히스티딘(Histidine), 레시틴(Lecithin), 올리브오일, 스쿠알란(Squalane), 메티오닌(Methionine), 시스테인(Cysteine), 시어버터, 세라마이드엔피(Ceramide NP) 및 알부틴(Arbutin)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유효성분은 보습, 탄력개선, 미백 등에 도움이 되는 성분으로, 화장품학 또는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갈화의 발효추출물 0.1~1중량% 및 분홍애기풀의 발효추출물 0.1~1중량%을 유효성분으로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갈화의 발효추출물 및 분홍애기풀의 발효추출물 피부 보습, 피부톤 개선, 탄력, 각질 개선 등의 효과를 배가시킨다. 특히 이러한 발효추출물은 트러블 개선 및 보습 개선에 효과적이다.
상기 갈화의 발효추출물 및 분홍애기풀의 발효추출물은 갈화의 추출물 또는 분홍애기풀의 추출물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균주를 1~10(v/v)%로 접종한 후, 35~38℃의 혐기적 조건에서 60~80시간 발효하고, 여과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이를 농축 또는 건조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여과, 농축 및 건조방법은 당업계에서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이용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의 추출물 0.1~1중량%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추출물은 피부 보습, 피부톤 개선, 여드름 및 트러블 개선, 각질 개선의 효과를 부여한다.
상기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Castanopsis echinocarpa)는 메밀잣밤나무속(카스타놉시스, Castanopsis)에 속한 종으로써 상록 활엽 교목으로, 그 잎을 시료로 하여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추출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상기한 유효성분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그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피부 흡수촉진물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스프레이 및 미용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제형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미용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샤워젤, 입욕제, 바디클렌저, 바디로션, 바디스프레이 등의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하기 표 1과 같은 배합비로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4 배합비(중량%)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타민나무열매 추출물 51.8028 51.8028 51.8028 51.8028 -
병풀 추출물 28.57 28.57 28.57 28.57 28.57
다이메틸설폰 3 3 3 3 3
글리세린 5.506 5.506 5.506 5.506 5.506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 0.0000002 0.0000002 0.0000002 0.0000002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2 0.0000002 0.0000002 0.0000002 0.0000002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 0.0000002 0.0000002 0.0000002 0.0000002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3 0.0000002 0.0000002 0.0000002 0.0000002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7 0.0000002 0.0000002 0.0000002 0.0000002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9 0.0000002 0.0000002 0.0000002 0.0000002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6 0.0000002 0.0000002 0.0000002 0.0000002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60 0.0000002 0.0000002 0.0000002 0.0000002
트라이펩타이드-1 0.00014 0.00014 0.00014 0.00014
카퍼트라이펩타이드-1 0.00001 0.00001 0.00001 0.00001
아세틸테트라펩타이드-2 0.00001 0.00001 0.00001 0.00001
아세틸테트라펩타이드-5 0.00001 0.00001 0.00001 0.00001
팔미토일트라이펩타이드-1 0.00001 0.00001 0.00001 0.00001
팔미토일트라이펩타이드-5 0.000002 0.000002 0.000002 0.000002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4 0.00001 0.00001 0.00001 0.00001
헥사펩타이드-9 0.00001 0.00001 0.00001 0.00001
헥사펩타이드-11 0.00001 0.00001 0.00001 0.00001
하이드롤라이즈드소듐
하이알루로네이트
0.1 0.1 0.1 0.1 0.1
아데노신 0.04 0.4 0.4 0.4
1,2-헥산다이올 1.7182 1.7182 1.7182 1.7182 1.7182
폴리글리세릴라우레이트 0.002 0.002 0.002 0.002 0.002
에틸헥실글리세린 0.0524 0.0524 0.0524 0.0524 0.0524
부틸렌글라이콜 0.941 0.941 0.941 0.941 0.941
카프릴릴글라이콜 0.15 0.15 0.15 0.15 0.15
프로판다이올 0.8 0.8 0.8 0.8 0.8
천연 추출물 - 2.444 - - -
피부 컨디셔닝제 - 1.2784 - - -
갈화 발효추출물 - - 0.5 0.5 -
분홍애기풀 발효추출물 - - 0.5 0.5 -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 추출물 - - - 0.5 -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이때, 실시예 2의 천연 추출물은 개똥쑥 추출물 1.958중량%, 브루셀스프라우트 추출물 0.066중량%, 참당귀뿌리 추출물 0.07중량%, 시호뿌리 추출물 0.07중량%, 소엽맥분동뿌리 추출물 0.07중량%, 당근 추출물 0.07중량%, 인삼 추출물 0.07중량%, 녹차 추출물 0.07중량%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2의 피부 컨디셔닝제로는 나이아신아마이드 1중량%, 글라이신 0.006125중량%, 세린 0.0034중량%, 글루타믹애씨드 0.00315중량%, 아스파틱애씨드 0.001975중량%, 류신 0.001725중량%,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 0.0015중량%, 알라닌 0.0011중량%, 라이신 0.00105중량%, 알지닌 0.00095중량%, 타이로신 0.00085중량%, 페닐알라닌 0.0008중량%, 트레오닌 0.00075중량%, 프롤린 0.00075중량%, 발린 0.00075중량%, 아이오류신 0.000675중량%, 하이드롤라이즈드완두콩단백질 0.0005중량%, 피토스테롤 0.0004중량%, 히스티딘 0.000375중량%, 레시틴 0.0003중량%, 올리브오일 0.0003중량%, 스쿠알란 0.0003중량%, 메티오닌 0.0002875중량%, 시스테인 0.0002875중량%, 시어버터 0.00005중량%, 세라마이드엔피 0.00005중량% 및 알부틴 0.25중량%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3의 갈화의 발효추출물은 갈화에 10중량배의 물을 가하고, 환류 냉각기가 부착된 추출기에서 100℃에서 2시간 3회 반복 추출한 후 여과하고, 이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균주를 3(v/v)%로 접종하고, 37℃의 혐기적 조건에서 72시간 발효시켰다. 그리고 이 발효물을 100℃에서 30초간 가열한 후, 여과, 농축 및 건조하여 제조하였다. 또한, 분홍애기풀의 발효추출물은 분홍애기풀에 10중량배의 물을 가하고, 환류 냉각기가 부착된 추출기에서 100℃에서 2시간 3회 반복 추출한 후 여과하고, 이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균주를 3(v/v)%로 접종하고, 37℃의 혐기적 조건에서 72시간 발효시켰다. 그리고 이 발효물을 100℃에서 30초간 가열한 후, 여과, 농축 및 건조하여 제조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2 내지 4에서의 천연 추출물 및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 추출물은 모두 시료에 10중량배의 물을 가하고, 환류 냉각기가 부착된 추출기에서 100℃에서 2시간 3회 반복 추출한 후 여과하고, 이를 농축 및 건조하여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 비타민나무열매 추출물 또는 병풀 추출물은, 비타민나무의 열매 또는 병풀의 잎에 10중량배의 물을 가하고, 환류 냉각기가 부착된 추출기에서 100℃에서 2시간 3회 반복 추출한 후 여과하고, 이를 농축하여 제조하였다.
(시험예 1)_보습 시험
Cutometer MPA 580 기기를 이용하여 임의로 정한 실험자의 피부 수분 함량을 측정하고, 시료를 파이펫(pipet)을 이용하여 정확히 10㎕로 취한 뒤, 이를 임의로 선정한 실험자의 피부에 떨어뜨리고 면봉으로 가볍게 발라주었다. 그리고 상기한 조성물을 도포한 120분 후 상기 시료가 도포된 부위의 수분 함량 변화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단, 상기 보습 테스트는 온도 22~23℃, 습도 17~18%의 조건에서 수행되었고, 양성대조군으로는 보습제로 흔히 사용되는 화학 성분인 1,3-부틸렌 글리콜을 사용하였다.
시험예 1 결과
구분 수분 함량(%)
실시예 1 31.2
실시예 2 33.5
실시예 3 36.7
실시예 4 37.6
비교예 1 25.8
양성대조군 28.0
상기 표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는 비교예 1 및 양성대조군과 대비하였을 때, 높은 수분 함량이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_여드름 유발균에 대한 항균효능
액체 배지 희석법을 이용하여 균의 성장 저해 정도를 확인하였는바, 실험에 사용된 균은 표피 상재균인 Staphylococcus epidermidis(KCTC 1917)와 여드름 유발 균인Cutibacterium acnes(KCTC 3314)였다
그 시험방법으로는, 호기성 균인 Staphylococcus epidermidis를 멸균된 브레인 하트 인퓨전(BHI, BrainHeart Infusion) 배지에 접종하여 36℃의 진탕 배양기에서 16시간 배양 후, 시료를 연속적으로 희석하여 동량씩 배지에 첨가 후 균을 접종하였다. 균 접종 후 16시간 배양하고, 성장 저해 정도를 확인하였다.
여드름균인 Cutibacterium acnes는 멸균된 브레인 하트 인퓨전(BHI, Brain Heart Infusion) 배지에 접종하여 혐기 환경을 만들어주는 가스팩을 이용한 혐기 조건에서 36℃의 정온 배양기에서 48시간 배양 후, 시료를 연속적으로 희석하여 동량씩 배지에 첨가 후 균을 접종하였다. 균 접종 후 혐기 조건에서 48시간 배양하고, 성장 저해 정도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2 결과
구분 Staphylococcus epidermidis
억제 효능
Cutibacterium acnes
억제 효능
실시예 1 + +
실시예 2 + +
실시예 3 ++ ++
실시예 4 +++ ++
비교예 1 - -
억제 효능 평가 기준: - 효과 없음,
+ 1/2 희석액에서 효과 있음,
++ 1/10 희석액에서 효과 있음,
+++ 1/20 희석액에서 효과 있음.
상기 표 3에서와 같이, 항균 효능 평가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는 모두 표피 상재균인 Staphylococcus epidermidis(KCTC 1917)와 여드름 유발균인Cutibacterium acnes(KCTC 3314)에 대한 항균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3)_피부톤 개선 시험
피부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20~40대의 건강한 여성 50명을 대상으로 10명씩 5개 군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각 군에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을 주고 안면 전체에 고르게 하루 2회씩 4주간 도포하게 한 후, 4주 후 크로마미터(Minolta CM-3500d)를 이용하여 색의 밝기변화(△L)를 측정하여 피부톤 개선 정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으며, 피부톤 개선 정도는 각 군의 평균치를 기재하였다.
시험예 3 결과
구분 피부톤 개선 정도(△L)
제조예 1 2.7
제조예 2 3.0
제조예 3 3.2
제조예 4 3.3
비교제조예 1 1.1
상기 표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는 비교예 1에 비해 현저히 우수한 피부톤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시험예 4)_피부 개선 시험
피부노화가 진행 중인 성인 여드름을 갖는 30대 여성 50명(그룹당 10명)을 대상으로, 상기한 실시예 1 내지 4, 비교예 1을 8주간 얼굴에 사용토록 한 후, 보습, 탄력, 주름, 피부톤, 각질, 트러블의 개선 정도와 전체적인 만족도를 9점 척도로 평가토록 하여 그 평균치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1점은 매우 악화됨, 9점은 매우 개선됨으로 평가)
시험예 4 결과
구분 보습 탄력 주름 피부톤 트러블 각질 전체적 만족도
실시예 1 6.5 6.1 6.0 6.5 6.2 6.0 6.2
실시예 2 7.0 6.3 6.8 7.0 6.9 6.5 6.9
실시예 3 7.2 6.4 7.1 7.3 7.5 6.9 7.2
실시예 4 7.5 6.7 7.3 7.5 7.7 7.2 7.5
비교예 1 5.9 4.5 4.4 4.0 4.0 4.5 4.5
상기 표 5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들 모두 보습, 탄력, 주름, 피부톤, 트러블 및 각질의 개선 정도와 전체적인 만족도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6)

  1. 비타민나무열매 추출물; 병풀 추출물; 다이메틸설폰(Dimethyl Sulfone); 글리세린; 펩타이드류; 하이드롤라이즈드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Hydrolyzed Sodium Hyaluronate); 및 아데노신(Adenosi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되,
    상기 펩타이드류는,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sh-Oligopeptide-1),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2(sh-Oligopeptide-2),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sh-Oligopeptide-1),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3(sh-Oligopeptide-3), 에스에이치-폴펩타이드-7(sh-Oligopeptide-7),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9(sh-Oligopeptide-9),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6(sh-Oligopeptide-16),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60(sh-Oligopeptide-60), 트라이펩타이드-1(Tripeptide-1), 카퍼트라이펩타이드-1(Copper Tripeptide-1), 아세틸테트라펩타이드-2(Acetyl Tetrapeptide-2), 아세틸테트라펩타이드-5(Acetyl Tetrapeptide-5), 팔미토일트라이펩타이드-1(Palmitoyl Tripeptide-1), 팔미토일트라이펩타이드-5(Palmitoyl Tripeptide-5),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4(Palmitoyl Pentapeptide-4), 헥사펩타이드-9(Hexapeptide-9) 및 헥사펩타이드-11(Hexapeptide-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으로 천연 추출물을 더 포함하되,
    상기 천연 추출물은,
    개똥쑥 추출물, 브루셀스트라우트 추출물, 참당귀뿌리 추출물, 시호뿌리 추출물, 소엽맥문동뿌리 추출물, 당근 추출물, 인삼 추출물, 녹차 추출물, 다시마 추출물, 복분자딸기열매 추출물, 산수유열매 추출물, 오미자 추출물, 뽕나무열매 추출물, 쇠비름 추출물, 뽕나무뿌리 추출물, 감나무잎 추출물, 알로에베라잎 추출물, 노티드랙 추출물, 야생딸기잎 추출물, 바질씨 추출물 및 비비추 추출물 중 1종 이상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나이아신아마이드, 글라이신, 세린, 글루타믹애씨드, 아스파틱애씨드, 류신,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 알라닌, 라이신, 알지닌, 타이로신, 페닐알라닌, 트레오닌, 프롤린, 발린, 아이오류신, 하이드롤라이즈드완두콩단백질, 피토스테롤, 히스티딘, 레시틴, 올리브오일, 스쿠알란, 메티오닌, 시스테인, 시어버터, 세라마이드엔피 및 알부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전체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를 기준으로,
    상기 비타민나무열매 추출물 40~55중량%; 병풀 추출물 20~30중량%; 다이메틸설폰(Dimethyl Sulfone) 1~3중량%; 글리세린 3~6중량%; 펩타이드류 0.0000002~0.0005중량%; 하이드롤라이즈드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Hydrolyzed Sodium Hyaluronate) 0.01~0.02중량%; 및 아데노신(Adenosine) 0.01~0.04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갈화의 발효추출물 0.1~1중량% 및 분홍애기풀의 발효추출물 0.1~1중량%를 유효성분으로 더 포함하되,
    상기 갈화의 발효추출물은
    갈화의 추출물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을 접종하고 발효시켜서 되는 것이고,
    상기 분홍애기풀의 발효추출물은,
    분홍애기풀의 추출물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을 접종하고 발효시켜서 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Castanopsis echinocarpa) 추출물 0.1~1중량%를 유효성분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0220149467A 2022-11-10 2022-11-10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2400682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3/011046 WO2024101587A1 (ko) 2022-11-10 2023-07-28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8259A true KR20240068259A (ko) 2024-05-17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1214B2 (en) Composition for skin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complex of herbal extracts
US8808761B2 (en) Composition of skin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rose extract and epigallocatechin gallate(EGCG)
JPH0761915A (ja) 皮膚外用剤
KR20140105976A (ko) 유산균 발효액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CN110393689A (zh) 一种具有抗衰功效的精华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749690B1 (ko) 배초향을 함유하는 피지관리 및 모공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2054793B1 (ko) 천연물추출물과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탄력개선 및 다크서클완화용 항산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29453A (ko) 마태반 발효물 및 마유를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1985381B1 (ko) 포도, 오렌지, 사과, 레몬 및 라임을 발효하여 만든 과일 발효액 콤플렉스를 함유하는 피부 각질 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95056B1 (ko)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3081942A (zh) 一种含有苹果干细胞的多维水合霜
KR101307969B1 (ko) 과일 및 흑초의 혼합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9077971B (zh) 一种发酵豆乳的制备方法及其在化妆品中的应用
KR101587077B1 (ko) 피부 생리활성을 가지는 백년초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70141564A (ko) 프로폴리스 및 천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03451B1 (ko) 펩타이드 복합체 및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다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353995B1 (ko) 온양온천수를 이용한 행채 및 병풀의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43976B1 (ko) 흑효모 발효 발아녹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105222A (ko)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54100B1 (ko) 뿌리식물 혼합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40068259A (ko)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JP2023505597A (ja) ザクロおよびシャクヤクの抽出物を含む化粧品組成物
CN110721102A (zh) 一种具有保湿抗皱抗氧化作用的眼膜
WO2024101587A1 (ko)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662972B1 (ko) 목주름 및 입술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