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8171A - structure of concrete wall support form for construction with easy assembling and dissembling - Google Patents

structure of concrete wall support form for construction with easy assembling and dissembl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8171A
KR20240068171A KR1020220149300A KR20220149300A KR20240068171A KR 20240068171 A KR20240068171 A KR 20240068171A KR 1020220149300 A KR1020220149300 A KR 1020220149300A KR 20220149300 A KR20220149300 A KR 20220149300A KR 20240068171 A KR20240068171 A KR 202400681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
unit block
easy
civil engineering
side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93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영식
Original Assignee
서영식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영식 filed Critical 서영식
Publication of KR20240068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8171A/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08Forms, which are completely dismantled after setting of the concrete and re-built for next pou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Abstract

본 발명은 토목 또는 건축용 벽체를 시공하는 거푸집의 조립 설치와 분리 해체가 조립 레저용 레고 블록과 유사하게 용이하며 간편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거푸집을 평편하게 펼쳐서 적재 보관하며 사용하는 경우에는 속빈 단위블록 형상으로 조립하므로 관리를 위한 소요공간과 인력소모가 적고 재사용과 이동이 쉬워 건축을 위한 건설 시간과 비용을 줄이며, 폐기하여야 하는 산업부산물 또는 폐자재를 토목공사 및 건설현장에 활용하므로 매우 친환경적인 조립 해체가 간편한 토목과 건축물 벽체시공용 속빈 단위블록 거푸집 장치에 관한 것이며 소정 두께의 평판으로 이루어지고 부분적으로 절곡되면서 전체적으로 상면과 하면이 개방된 직사각 통 형상을 하며 섬유류와 폐프라스틱류가 포함되는 산업부산물을 혼합하여 압축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되어 단위블록을 성형하는 조립 해체가 간편한 토목과 건축물 벽체시공용 속빈 단위블록 거푸집 장치에 있어서, 단위블록의 일측 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하고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의 사각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측면부; 제 1 측면부와 같은 두께를 하며 제 1 측면부의 일측 끝단면에 일측 끝단면이 힌지부에 연결되어 힌지 결합하고 단위블록의 정면 또는 배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하며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의 사각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 2 측면부; 제 2 측면부(200)와 같은 두께를 하며 제 2 측면부의 타측 끝단면에 일측 끝단면이 힌지부에 연결되어 힌지 결합하고 단위블록의 타측 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하며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의 사각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 1 측면부와 마주보며 대응되는 형상을 하는 제 3 측면부; 제 3 측면부와 같은 두께를 하며 제 3 측면부의 타측 끝단면에 일측 끝단면이 힌지부에 연결되어 힌지 결합하고 단위블록의 정면 또는 배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하며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의 사각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 2 측면부와 마주보며 상호 대응되는 형상을 하는 제 4 측면부; 제 1 측면부와 같은 두께를 하며 제 1 측면부의 타측 끝단면에 일측 끝단면이 힌지부에 연결되어 힌지 결합하고 제 4 측면부의 타측끝단면 부분과 결합하여 전체적으로 사각통 형상을 구성하되 사각통 형상의 안쪽면에 결합하고 단위블록의 측면에서 연결되는 메지 형상이 음각 표현되도록 하며 전체적으로 수직 직사각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측면메지형상연결부를 포함하는 특징에 의하여 레고블록과 유사한 구조이면서 시공과 해체를 비숙련공이 쉽고 간편하게 작업하며 보관에 적은 면적이 점유되고 이동이 간편하여 건축물 벽체 건설 비용이 절약되며 건설 시간이 단축되고 규격화에 의하여 설치와 유지보수와 생산 및 관리가 간편하고 쉬우며 폐자재 또는 산업부산물을 활용하므로 친환경적이고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토목공사와 건축공사를 진행하는 효과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ssembly, installation, separation and disassembly of the form for constructing civil engineering or building walls is easy and simple, similar to assembled leisure Lego blocks. When not in use, the form is spread out flat and stored, and when used, it is a hollow unit block. Because it is assembled in a shape, it requires less space and manpower for management, and is easy to reuse and move, reducing construction time and costs. Industrial by-products or waste materials that should be disposed of are used in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sites, making assembly very eco-friendly. It relates to a hollow unit block formwork device for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wall construction that is easy to dismantle. It is made of a flat plate of a certain thickness, is partially bent, has the overall shape of a rectangular cylinder wit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pen, and is an industrial by-product containing textiles and waste plastics. In the hollow unit block formwork device for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wall construction, which is made of mixed and compressed material and is easy to assemble and dismantle to form unit blocks by curing the concrete poured inside, a shape corresponding to one side of the unit block is provided. and a first side portion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late with an overall uniform thickness; It has the same thickness as the first side part, one end surface of the first side part is connected to the hinge part and is hinged,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ront or back surface of the unit block, and is made in the shape of a square plate of uniform thickness overall. second side portion; It has the same thickness as the second side part 200,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hinge part of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ide,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ther side of the unit block, and has a square plate shape with an overall uniform thickness. a third side portion that faces the first side portion and has a corresponding shape; It has the same thickness as the third side part, and one end end of the third side part is connected to the hinge part to connect and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ront or back side of the unit block, and is made up of a square plate shape with uniform thickness overall. a fourth side portion facing the second side portion and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second side portion; It has the same thickness as the first side part, and one end end of the first side part is connected to a hinge part a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part of the fourth side part to form an overall rectangular cylinder shape. It has a structure similar to a Lego block and is easy for unskilled workers to construct and dismantle due to its feature of having a side mesh shape connection part that is joined to the inner surface and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unit block to be expressed in engraving, and is entirely in the shape of a vertical rectangular plate. It is easy to work with, occupies a small area for storage, and is easy to move, saving building wall construction costs and shortening construction time. Installation, maintenance, production and management are simple and easy due to standardization, and waste materials or industrial by-products are used. It is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has the effect of carrying out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construction at a relatively low cost.

Description

조립 해체가 간편한 토목과 건축물 벽체시공용 속빈 단위블록 거푸집 장치{structure of concrete wall support form for construction with easy assembling and dissembling} Hollow unit block formwork device for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wall construction that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structure of concrete wall support form for construction with easy assembling and dissembling}

본 발명은 조립용 블록인 레고와 유사한 형태로 조립과 해체가 간편하고 평편하게 펼쳐서 보관하는 건축물 콘크리트 벽체시공용 속빈 단위블록 형상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토목 또는 건축용 벽체를 시공하는 거푸집의 조립 설치와 분리 해체가 조립 레저용 레고 블록과 유사하게 용이하며 간편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거푸집을 평편하게 펼쳐서 적재 보관하며 사용하는 경우에는 속빈 단위블록 형상으로 조립하므로 관리를 위한 소요공간과 인력소모가 적고 재사용과 이동이 쉬워 건축을 위한 건설 시간과 비용을 줄이며, 폐기하여야 하는 산업부산물 또는 폐자재를 토목공사 및 건설현장에 활용하므로 매우 친환경적인 조립 해체가 간편한 토목과 건축물 벽체시공용 속빈 단위블록 거푸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low unit block-shaped form for building concrete walls that is similar to Lego, an assembly block, and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and can be spread out and stored flat.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the assembly of forms for constructing civil engineering or architectural walls. Installation, separation and disassembly are easy and simple to assemble, similar to Lego blocks for leisure. When not in use, the form is spread out flat for stacking and storage. When in use, it is assembled in the shape of a hollow unit block, so space required and manpower for management are reduced. It is easy to reuse and move, reducing construction time and costs, and is very eco-friendly because industrial by-products or waste materials that must be disposed of are used in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sites. A hollow unit block form for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wall construction that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It's about devices.

현재 대부분의 일반적인 건축과 토목 공사에는 콘크리트 구조물이 사용되고, 토목과 건축물의 설계도면에 상응하는 거푸집을 설치한 후 유동성이 있는 액상의 콘크리트를 거푸집 사이에에 타설(붓고)하며 양생(건조)하는 과정을 통하여 고체화된 구조의 콘크리트 시설물(구조물)을 건설하며, 콘트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거푸집을 제거 또는 탈형하여 콘크리트 외관이 노출되도록 한다. Currently, concrete structures are used in most general architectural and civil engineering works, and the process of installing molds that correspond to the design drawings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s, then pouring (pouring) fluid liquid concrete between the molds and curing (drying) them. A concrete facility (structure) with a solidified structure is constructed, and when the curing of the concrete is completed, the formwork is removed or demolded to expose the concrete exterior.

종래의 콘트리트 구조물(시설물)을 위한 거푸집은 합판 등을 사용하였으며, 이러한 합판 거푸집은 한번 사용한 후 탈형하는 과정에서 많이 부서지므로 재사용이 어려워 건축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고, 이러한 문제 개선을 위하여 많은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The formwork for conventional concrete structures (facilities) used plywood, etc., and these plywood formworks were often broken during the demolding process after one use, making them difficult to reuse, resulting in high construction costs and time. This problem was to be improved. A lot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s underway for this purpose.

거푸집은 타설되고 양생된 콘크리트가 설계된 구조적 형상을 이루도록 하기 위하여 숙련된 전문기술자가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여 거푸집을 조립 설치하고,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해당 거푸집을 탈형 또는 분리하는데 다시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었으며 또한, 규격화되지 아니한 거푸집 재료의 보관과 이동과 관리에도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In order for the poured and cured concrete to achieve the designed structural shape, skilled technicians spend a lot of time and money to assemble and install the form, and once the curing of the poured concrete is completed, it takes a lot of time to demold or separate the form. It was expensive and there were many difficulties in storing, moving, and managing the non-standardized form materials.

이러한 문제를 일부 해소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662018호(2006년 12월 20일)에 의한 것으로 ‘기둥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이 있다. A conventional technology that partially solves these problems is ‘Prefabricated formwork for column construction’, which is provided by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662018 (December 20, 2006).

도 1 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건축물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의 구조도 이다. Figure 1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prefabricated form for building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ior ar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을 상세히 설명하면 거푸집은 다수의 철근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철근 콘트리트 블록판(12, 12')이 서로 끼워져 폐쇄형 통 형상의 거푸집을 이루게 되고 각 철근 콘트리트 블록판(12, 12')은 밴드로 결착(결속)되며 탈형 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밴드의 결착을 해제한다. Hereinafter, the prior ar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the form, reinforced concrete block plates 12 and 12', which include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are inserted into each other to form a closed cylindrical form, and each reinforced concrete block plate (12, 12') is tied (bound) with a band, and if you want to demold it, release the band.

철근 콘트리트 블록판(12, 12')은 양쪽 측면에 각각 제 1 걸림부(14)를 형성하고, 좌우로 인접한 철근 콘트리트 블록판(12, 12')과는 제 1 걸림부(14)에 의하여 결합되며, 상하로 인접한 철근 콘트리트 블록판(12, 12')과는 제 2 걸림부(16, 16‘)에 의하여 적층 결합된다. 요철부(22)는 타설된 콘크리트와의 접합력을 높여주어 기능을 한다. The reinforced concrete block plates (12, 12') form first locking portions (14) on both sides, and are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adjacent reinforced concrete block plates (12, 12') by the first locking portion (14). It is coupled to the vertically adjacent reinforced concrete block plates (12, 12') by means of second locking portions (16, 16'). The uneven portion 22 functions by increasing bonding strength with the poured concrete.

종래기술에 의한 거푸집은 반복 재사용을 할 수 없는 구조이며, 철근 콘트리트로 만들어 지므로, 크기와 부피가 커지고 무게가 크게 되어 이동과 관리에 전용장비를 사용하여야 되며, 거푸집 설치에도 비교적 많은 노동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를 여전히 해소하지 못하고 있다. The formwork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structure that cannot be repeatedly reused, and is made of reinforced concrete, so it increases in size and volume and becomes heavy, so dedicated equipment must be used for movement and management, and installation of the formwork requires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labor and time. Problems such as this are still not resolved.

따라서 거푸집을 규격화하여 건설 비숙련공(비전문가)의 경우에도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며 적은 면적에 보관과 관리하며 이동이 간편하여 건축 비용과 시간을 줄이는 거푸집 구조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standardize the formwork and develop a formwork structure that is easy to install and dismantle even for unskilled construction workers (non-experts), can be stored and managed in a small area, and is easy to move, thereby reducing construction costs and time.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662018호(2006년 12월 20일) ‘기둥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662018 (December 20, 2006) ‘Prefabricated formwork for column construction’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2017494호(2019년 08월 28일) ‘외부 공간의 소모가 적은 트러스 벽체 거푸집 지지대’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2017494 (August 28, 2019) ‘Truss wall form support with minimal consumption of external space’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과 필요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토목 또는 건축물 벽체시공용 거푸집의 시공과 해체를 레저(leisure)용 레고 블록과 같은 구조이며 재 사용시에 조립하고 사용하지 않는 경우는 펼쳐서 보관하므로 비숙련공 또는 일반인이 쉽게 작업하고 거푸집 보관에 적은 면적이 점유되어 이동이 간편하며 건축물 벽체의 건설 비용이 절약되고 건설 시간이 단축되며 다수 크기로 규격화에 의하여 설치와 유지보수 및 관리가 간편하고 쉬운 조립 해체가 간편한 토목과 건축물 벽체시공용 속빈 단위블록 거푸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추구하는 목적 중에 하나이다.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as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and necessitie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has a structure similar to Lego blocks for leisure in the construction and dismantling of forms for civil engineering or building wall construction, and is not assembled and used when reused. Because it is unfolded and stored, it is easy for unskilled workers or the general public to work on. It occupies a small area for form storage, so it is easy to move. The construction cost of building walls is saved, construction time is shortened, and standardization in multiple sizes makes installation, maintenance, and management easier. One of the purposes pursued is to provide a hollow unit block formwork device for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wall construction that is simple and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한편, 본 발명은 토목공사 또는 건설공사 현장에서 폐자재 또는 산업부산물을 활용하여 거푸집을 구성하고 필요에 의하여 채움재로도 콘크리트에 대체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하므로 친환경적이며 또한, 끼움돌기메지형상부에 의하여 비숙련공이 매우 쉽고 간편하게 적층하고 메지를 별도 공사하지 않아도 되므로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토목공사와 건축공사를 진행하는 조립 해체가 간편한 토목과 건축물 벽체시공용 속빈 단위블록 거푸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추구하는 목적 중에 하나이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environmentally friendly because it constructs a form using waste materials or industrial by-products at civil engineering or construction sites and selectively uses it as a filler instead of concrete when necessary. In addition, it is environmentally friendly due to the shape of the fitting protrusion. One of the purposes pursued is to provide a hollow unit block formwork device for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wall construction that is easy to assemble and dismantle to perform civil engineering and architectural work at a relatively low cost, as skilled workers can lay it down very easily and conveniently and do not need to construct a separate mortar. .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조립 해체가 간편한 토목과 건축물 벽체시공용 속빈 단위블록 거푸집 장치는 전체적으로 상면과 하면이 개방된 직사각 통 형상을 하며 섬유류와 폐프라스틱류가 포함되는 산업부산물을 혼합하여 균일한 두께의 평판으로 압축한 소재이고 다수 크기로 이루어지는 각 단위블록은 각각 규격화되어 토목과 건축물 벽체시공에 사용되는 거푸집이며 각 거푸집을 구성하는 각 단위블록은 적층 사용되고 조립과 해체와 분리가 쉬워 반복 재사용되며 조립 해체가 간편한 토목과 건축물 벽체시공용 속빈 단위블록 거푸집 장치에 있어서, 건축물 벽체시공용 각 단위블록의 일측 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하고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의 사각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측면부(100); 상기 제 1 측면부(100)와 같은 두께를 하며 상기 제 1 측면부(100)의 일측 끝단면에 일측 끝단면이 힌지부(800)에 연결되어 힌지 결합하고 상기 단위블록의 정면 또는 배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하며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의 사각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 2 측면부(200); 상기 제 2 측면부(200)와 같은 두께를 하며 상기 제 2 측면부(200)의 타측 끝단면에 일측 끝단면이 힌지부(800)에 연결되어 힌지 결합하고 상기 단위블록의 타측 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하며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의 사각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 1 측면부(100)와 마주보며 대응되는 형상을 하는 제 3 측면부(300); 상기 제 3 측면부(300)와 같은 두께를 하며 상기 제 3 측면부(300)의 타측 끝단면에 일측 끝단면이 힌지부(800)에 연결되어 힌지 결합하고 상기 단위블록의 정면 또는 배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하며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의 사각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 2 측면부(200)와 마주보며 상호 대응되는 형상을 하는 제 4 측면부(400); 상기 제 1 측면부(100)와 같은 두께를 하며 상기 제 1 측면부(100)의 타측 끝단면에 일측 끝단면이 힌지부(800)에 연결되어 힌지 결합하고 상기 제 4 측면부(400)의 타측끝단면 부분과 결합하여 전체적으로 사각통 형상을 구성하되 상기 사각통 형상의 안쪽면에 결합하고 상기 단위블록의 측면에서 연결되는 메지 형상이 음각 표현되도록 하며 전체적으로 수직 직사각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측면메지형상연결부(500); 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ollow unit block formwork device for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wall construction, which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igned to achieve the above object, has an overall rectangular cylinder shape wit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pen, and is used in industries that include textiles and waste plastics. It is a material made by mixing by-products and compressing them into a flat plate of uniform thickness. Each unit block of multiple sizes is standardized and is a form used in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wall construction. Each unit block that makes up each form is used in stacking and is used for assembly and disassembly. In the hollow unit block formwork device for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wall construction that is easy to separate, reused repeatedly, and is easy to assemble and dismantle, it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one side of each unit block for building wall construction and is made of a square plate shape with an overall uniform thickness. First side portion 100; It has the same thickness as the first side part 100, and one end surface of the first side part 100 is connected to the hinge part 800 to be hinged and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ront or back surface of the unit block. a second side portion 200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late with an overall uniform thickness; It has the same thickness as the second side part 200, and one end surface of the second side part 200 is connected to the hinge part 800 to be hinged and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ther side of the unit block. and a third side portion (300)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late with an overall uniform thickness and facing the first side portion (100) and having a corresponding shape; It has the same thickness as the third side part 300, and one end surface of the third side part 300 is connected to the hinge part 800 to be hinged and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ront or back surface of the unit block. A fourth side portion 40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late with an overall uniform thickness and has a shape that faces and corresponds to the second side portion 200; It has the same thickness as the first side part 100, one end of the first side part 100 is connected to the hinge part 800, and the other end of the fourth side part 400 is hinged. It is combined with the parts to form an overall square cylinder shape, but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quare cylinder shape, and the mesh shape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unit block is expressed as an intaglio, and the side mesh shape connection portion (500) is entirely in the shape of a vertical rectangular plate. ; may include.

상기 제 1 측면부(100)와 제 3 측면부(300)의 하측 끝단면 부분에 각각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 1 측면부(100)와 같은 두께를 하며 상기 사각통 형상의 안쪽 면에 설치되고 상기 단위블록의 하측 끝단면 부분에 메지 형상이 음각 표현되도록 하며 수평 직사각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하측단부에 적층 배치되는 상기 사각통 형상의 상측단부 측면 안쪽으로 삽입되어 상하연결 상태로 설치되는 제 1 하단끼움돌기메지형상부(600); 상기 제 2 측면부(200)와 제 4 측면부(400)의 하측 끝단면 부분에 각각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 1 측면부(100)와 같은 두께를 하며 상기 사각통 형상의 안쪽 면에 설치되고 상기 단위블록의 하측 끝단면 부분에 메지 형상이 음각 표현되도록 하며 수평 직사각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하측단부에 적층 배치되는 상기 사각통 형상의 상측단부의 정면 또는 배면 안쪽으로 삽입되어 상하연결 상태로 설치되는 제 2 하단끼움돌기메지형상부(700);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lower end surfaces of the first side part 100 and the third side part 300, respectively, has the same thickness as the first side part 100,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quare cylinder shape, and is attached to the unit block. The first lower engagement protrusion type is made up of a horizontal rectangular plate shape so that the mesh shape is engraved on the lower end, and is inserted into th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square cylinder shape stacked at the lower end and installed in a vertical connection state. upper part (600); I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lower end surfaces of the second side part 200 and the fourth side part 400, respectively, has the same thickness as the first side part 100,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quare cylinder shape, and is attached to the unit block. The second bottom fitting is made up of a horizontal rectangular plate shape so that the mesh shape is engraved on the lower end, and is inserted into the front or back of the upper end of the square cylinder shape, which is stacked at the lower end, and installed in a vertical connection state. Protrusion-shaped portion (700); It may further include.

상기 제 1 하단끼움돌기메지형상부(600) 또는 상기 제 2 하단메지형상부(700)는 하나 또는 균일한 길이의 두 개 이상 다수로 이루어지되 두 개 이상 다수로 이루어지면 그 폭(W1) 값으로 이격(W1)되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The first lower engagement protrusion 600 or the second lower engagement protrusion 700 is composed of one or two or more pieces of uniform length. If it is composed of two or more pieces, the width (W1) value It can be fixedly installed and spaced apart (W1).

상기 힌지부(800)는 상기 제 1 측면부(100) 두께(D1) 값의 1/6 내지 1/5 값의 두께와 폭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 1 측면부(100) 높이 값의 길이로 이루어지는 힌지연결부(810); 상기 힌지연결부(810)의 길이방향 일측 끝단면에 일측 끝단면이 연결되고 43 내지 47 도 범위 경사각의 단면을 형성하는 제 1 힌지경사부(820); 상기 힌지연결부(810)의 길이방향 타측 끝단면에 일측 끝단면이 연결되고 43 내지 47 도 범위 경사각의 단면을 형성하는 제 2 힌지경사부(830); 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inge portion 800 is a hinge connection portion made of a thickness and width of 1/6 to 1/5 of the thickness D1 of the first side portion 100 and a length of the height of the first side portion 100. (810); a first hinge inclined portion 820,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one longitudinal end of the hinge connecting portion 810 and forming a cross-section with an inclination angle in the range of 43 to 47 degrees; a second hinge inclined portion 830,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other longitudinal end of the hinge connection portion 810 and forming a cross-section with an inclination angle in the range of 43 to 47 degrees; may include.

상기 제 1 측면부(100)와 제 3 측면부(300)는 각각 관통공(900)을 하나 또는 하나 이상 다수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rst side portion 100 and the third side portion 300 may each have one or more through holes 900.

상기 관통공(900)은 원형 관통공(910) 또는 장형 관통공(920) 또는 방형 관통공(930)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through hole 900 may be formed of one selected from a circular through hole 910, an elongated through hole 920, or a square through hole 930, or a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of them.

상기 측면메지형상연결부(500)와 제 1 하단끼움돌기메지형상부(600)와 제 2 하단끼움돌기메지형상부(700)는 각각 직사각 형상을 하되 짧은 쪽 측변 길이 값을 같은 값으로 형성할 수 있다. The side engagement portion 500, the first lower engagement protrusion engagement portion 600, and the second lower engagement projection engagement portion 700 each have a rectangular shape, and the short side length values may be formed to be the same. there is.

상기 제 1 하단끼움돌기메지형상부(600)와 제 2 하단끼움돌기메지형상부(700)는 상기 힌지연결부(810) 또는 상기 제 2 힌지경사부(830)의 타측 끝단면으로부터 상기 제 1 측면부(100) 두께(D1)의 1 내지 2 배수 값으로 이격된 간격(L1)을 두고 인접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rst lower engaging protrusion 600 and the second lower engaging protrusion 700 are connected to the first side portion from the other end surface of the hinge connecting part 810 or the second hinge inclined part 830. (100) It may be configured to be installed adjacently at a distance (L1) spaced apart by a value that is 1 to 2 multiples of the thickness (D1).

상기 단위블록은 토사와 콘크리드와 건축용으로 재활용되는 폐자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이 혼합된 채움재로 속빈 내부를 채우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unit block may be configured to fill its hollow interior with a filler material selected from soil, concrete, and waste materials recycled for construction, or a mixture of one or more of them.

상기 단위블록은 속빈 내부를 채우는 채움재의 종류에 의하여 완성된 벽체로부터 분리 해체할 수 있다. The unit block can be separated and dismantled from the completed wall depending on the type of filler that fills the hollow interior.

상기 단위블록은 채움재로 속빈 내부를 채우지 않는 상태로 적층될 수 있다. The unit blocks may be stacked without filling the hollow interior with filler.

상기 제 1 측면부(100)와 제 3 측면부(300) 또는 제 2 측면부(200)와 제 4 측면부(400)는 각각 임의 설정된 해당 길이 값의 배수 또는 역배수 값 중 어느 하나의 값으로 확장되거나 축소되어 규격화될 수 있다. The first side part 100 and the third side part 300 or the second side part 200 and the fourth side part 400 are each expanded or reduced by any one of the arbitrarily set multiples or inverse multiples of the corresponding length value. can be standardized.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토목 또는 건축물 벽체시공용 거푸집의 시공과 해체를 레저(leisure)용 레고 블록과 같은 구조이며 재 사용시에 조립하고 사용하지 않는 경우는 펼쳐서 보관하므로 비숙련공 또는 일반인이 쉽게 작업하고 거푸집 보관에 적은 면적이 점유되어 이동이 간편하며 건축물 벽체의 건설 비용이 절약되고 건설 시간이 단축되며 다수 크기로 규격화에 의하여 설치와 유지보수 및 관리가 간편하고 쉬운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s structured like a Lego block for leisure in the construction and dismantling of formwork for civil engineering or building wall construction. It is assembled when reused and unfolded and stored when not in use, so it can be easily used by unskilled workers or the general public. It occupies a small area for work and form storage, making it easy to move, saving construction costs for building walls, shortening construction time, and standardizing in multiple sizes, making installation, maintenance, and management simple and easy.

한편, 본 발명은 토목공사 또는 건설공사 현장에서 폐자재 또는 산업부산물을 활용하여 거푸집을 구성하고 필요에 의하여 채움재로도 콘크리트에 대체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하므로 친환경적이며 또한, 끼움돌기메지형상부에 의하여 비숙련공이 매우 쉽고 간편하게 적층하고 메지를 별도 공사하지 않아도 되므로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토목공사와 건축공사를 진행하는 장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environmentally friendly because it constructs a form using waste materials or industrial by-products at civil engineering or construction sites and selectively uses it as a filler instead of concrete when necessary. In addition, it is environmentally friendly due to the shape of the fitting protrusion.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arry out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work at a relatively low cost because skilled workers can lay it down very easily and conveniently and do not need to construct a separate mortar.

도 1 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건축물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의 구조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조립 해체가 간편한 토목과 건축물 벽체시공용 속빈 단위블록 거푸집 장치의 펼쳐진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조립 해체가 간편한 토목과 건축물 벽체시공용 속빈 단위블록 거푸집 장치의 펼쳐진 평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조립 해체가 간편한 토목과 건축물 벽체시공용 속빈 단위블록 거푸집 장치의 펼쳐진 평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힌지부의 단면 상세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의 조립 해체가 간편한 토목과 건축물 벽체시공용 속빈 단위블록 거푸집 장치의 조립상태 역상 도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에에 의한 제 1 측면부 또는 제 3 측면부의 역상 도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에에 의한 제 1 측면부 또는 제 3 측면부의 역상 도시도,
도 9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에에 의한 제 1 측면부 또는 제 3 측면부의 역상 도시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2 측면부 또는 제 4 측면부 역상 도시도,
그리고
도 11 은 본 발명의 조립 해체가 간편한 토목과 건축물 벽체시공용 속빈 단위블록 거푸집 장치의 모형 사진도 이다.
Figure 1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prefabricated form for building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ior art;
Figure 2 is an expanded plan view of a hollow unit block formwork device for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wall construction that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anded plan view of a hollow unit block formwork device for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wall construction that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anded plan view of a hollow unit block formwork device for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wall construction that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hinge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reverse diagram showing the assembled state of the hollow unit block formwork device for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wall construction that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reverse view of the first side or the third sid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reverse view of the first or third side por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reverse view of the first side portion or the third side portio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reverse view of the second or fourth side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1 is a model photograph of the hollow unit block formwork device for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wall construction that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하에서 같다는 것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이해하기로 하며, 도면은 기술적 사상을 도시한 것이므로 치수나 형상이 동일하지 않을 수 있음을 이해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same will be explained and understood to mean the same or similar, and since the drawings illustrate technical idea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dimensions or shapes may not be the same.

또한, 비숙련공이 작업한다는 것은 누구나 작업할 수 있다는 의미로 기재하고 이해하기로 한다. 그리고 블록과 블록(block)은 같은 의미이며 문맥에 따라 선택적으로 기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ork done by unskilled workers shall be described and understood as meaning that anyone can do the work. Also, block and block have the same meaning and can be optionally written depending on the context.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조립 해체가 간편한 토목과 건축물 벽체시공용 속빈 단위블록 거푸집 장치의 펼쳐진 평면도 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조립 해체가 간편한 토목과 건축물 벽체시공용 속빈 단위블록 거푸집 장치의 펼쳐진 평면도 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조립 해체가 간편한 토목과 건축물 벽체시공용 속빈 단위블록 거푸집 장치의 펼쳐진 평면도 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힌지부의 단면 상세 구성도 이며, 도 6 은 본 발명의 조립 해체가 간편한 토목과 건축물 벽체시공용 속빈 단위블록 거푸집 장치의 조립상태 역상 도시도 이고, 도 7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에에 의한 제 1 측면부 또는 제 3 측면부의 역상 도시도 이며, 도 8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에에 의한 제 1 측면부 또는 제 3 측면부의 역상 도시도 이고, 도 9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에에 의한 제 1 측면부 또는 제 3 측면부의 역상 도시도 이며,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2 측면부 또는 제 4 측면부 역상 도시도 이고, 도 11 은 본 발명의 조립 해체가 간편한 토목과 건축물 벽체시공용 속빈 단위블록 거푸집 장치의 모형 사진도 이다. Figure 2 is an expanded plan view of a hollow unit block formwork device for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wall construction that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 plan view of a hollow unit block formwork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It is an expanded plan view of a hollow unit block formwork device for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wall construction, and Figure 4 is an expanded plan view of a hollow unit block formwork device for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wall construction that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hinge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reverse view of the assembled state of the hollow unit block formwork device for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wall construction that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7 is Figure 8 is a reverse diagram of the first side or third sid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9 is a reverse diagram of the first or third sid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reverse diagram of the first side or third sid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reverse diagram of the second or fourth sid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1 is a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hat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lso a model photo of the hollow unit block formwork device for wall construction.

이하, 첨부된 모든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전체적으로 상면과 하면이 개방된 직사각 통 형상을 하며 섬유류와 폐프라스틱류가 포함되는 산업부산물을 혼합하여 균일한 두께의 평판으로 압축한 소재이고 다수 크기로 이루어지는 각 단위블록은 각각 규격화되어 토목과 건축물 벽체시공에 사용되는 거푸집이며 각 거푸집을 구성하는 각 단위블록은 적층 사용되고 조립과 해체와 분리가 쉬워 반복 재사용되며 조립 해체가 간편한 토목과 건축물 벽체시공용 속빈 단위블록 거푸집 장치(90)는 제 1 측면부(100)와 제 2 측면부(200)와 제 3 측면부(300)와 제 4 측면부(400)와 측면메지형상연결부(500)와 제 1 하단끼움돌기메지형상부(600)와 제 2 하단끼움돌기메지형상부(700)와 힌지부(800)와 관통공(900)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Hereinafter, a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all attached drawings, it has the overall shape of a rectangular cylinder wit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pen. It is a material made by mixing industrial by-products, including fibers and waste plastics, and compressing them into a flat plate of uniform thickness, and is available in multiple sizes. Each unit block is standardized and is used in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wall construction. Each unit block that makes up each form is stacked and reused repeatedly for easy assembly, disassembly, and separation. It is a hollow hollow space for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wall construction that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The unit block formwork device 90 includes a first side part 100, a second side part 200, a third side part 300, a fourth side part 400, a side engagement shape connection part 500, and a first lower fitting protrusion. It is composed of an upper top 600, a second lower fitting protrusion 700, a hinge 800, and a through hole 900.

레고(lego)는 레저(ㅣeisure, 여가)용으로 잘 알려진 블록 완구와 같은 구조로 조립과 분리 해체 및 재사용이 매우 쉬운 형태를 의미하며 내부 또는 속이 관통된 상태로 비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고 이해하기로 하며, 비숙련공 또는 일반인은 같은 의미이며 문맥에 적합하게 선택적으로 기재하기로 한다. Lego is a block toy-like structure well known for leisure purposes, meaning it is very easy to assemble, disassemble, and reuse. It is explained and understood as being hollow or hollow inside. In addition, unskilled workers or ordinary people have the same meaning and will be described selectively as appropriate to the context.

본 발명의 레고형 거푸집 블록은 레저용 또는 어린이들이 많이 사용하는 장난감 형태와 유사한 형태 및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하측단부 또는 상측단부에 형성된 끼움돌기를 이용하여 1 단, 2 단, 3 단 등과 같이 계속 이어서 끼우는 방식으로 접합시켜 적층하므로 필요한 높이로 다단 적재(적층)를 하고, 비어있는 내부에 다양한 종류의 고형물을 채움재로 사용하여 채워 견고하게 유지시키므로 건축용 벽체를 형성한다. 또는 필요에 의하여 속빈 내부를 비워둘 수도 있다. The Lego-type formwork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hape and configuration similar to that of toys commonly used by children or for leisure purposes, and can be formed into the first, second, third stages, etc. using insertion protrusions formed on the lower or upper end. Next, they are joined and stacked using a fitting method, so they are stacked in multiple stages to the required height, and various types of solid materials are used as fillers to fill the empty interior to keep it strong, forming a building wall. Alternatively, the hollow interior may be left empty if necessary.

채움재로는 폐자재 또는 산업부산물 또는 콘크리트 또는 토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필요에 의하여 철근을 더 추가 사용할 수 있음은 매우 당연하다. It is quite natural that any one or more than one selected from waste materials, industrial by-products, concrete, or soil can be used as the filler, and additional reinforcing bars can be used as needed.

한편, 산업부산물 또는 폐자재는 폐 PVC가 포함되는 폐 플라스틱류, 폐 섬유류, 폐 목재류 등이 포함된다. Meanwhile, industrial by-products or waste materials include waste plastics, waste fibers, waste wood, etc., including waste PVC.

제 1 측면부(100)는 건축물 벽체시공용 각 단위블록의 일측 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하고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의 사각평판 형상을 한다. The first side portion 100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one side of each unit block for building wall construction and has the shape of a square plate with an overall uniform thickness.

대응되는 형상은 단위블록이 거푸집이므로 유동성의 콘크리트 또는 토사 또는 건축용으로 재활용이 가능한 폐자재 또는 산업부산물 또는 기타 종류의 채움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속빈 내부에 부어지거나 채워지고, 다져지거나 양생되어 표출되는 형상에서 음각과 양각이 반대 또는 대응되어 표출되는 것을 의미하며 이하에서 동일 유사하게 적용되므로 반복 설명을 생략한다. The corresponding shape is that the unit block is a formwork, so any one or more than one selected among fluid concrete or soil, waste materials or industrial by-products that can be recycled for construction, or other types of fillers is poured, filled, compacted, or filled inside the hollow. It means that in the shape expressed after curing, the intaglio and the embossing are expressed in opposition or correspondence, and since they are applied in the same manner below, repeated explanations will be omitted.

이때 필요에 의하여 철근을 선택적으로 삽입 설치할 수 있으며, 채움재를 단위블록의 속빈 내부에 채워지지 않을 수 있다. 즉, 다양한 방식으로 토목과 건축용의 벽체 공간을 창출할 수 있다. At this time, rebar can be selectively inserted and installed as needed, and the filler may not be filled into the hollow interior of the unit block. In other words, wall space for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can be created in various ways.

제 2 측면부(200)는 제 1 측면부(100)와 같은 두께를 하며 제 1 측면부(100)의 일측 끝단면에 그 일측 끝단면이 힌지부(800)에 연결되어 힌지 결합하고 단위블록의 정면 또는 배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하며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의 사각평판 형상을 한다. The second side part 200 has the same thickness as the first side part 100, and one end of the first side part 100 is connected to the hinge part 800 and hinged to the front or end of the unit block. It has a shape that corresponds to the back, and is in the shape of a square plate with uniform thickness overall.

힌지부(800)는 절곡되거나 절곡된 상태로부터 펼쳐질 수 있는 구조이며 이하에서 상세하게 다시 설명한다. The hinge portion 800 has a structure that can be bent or unfolded from a bent state,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gain below.

제 3 측면부(300)는 제 1 측면부(100) 또는 제 2 측면부(200)와 같은 두께를 하며 제 2 측면부(200)의 타측 끝단면에 그 일측 끝단면이 힌지부(800)에 연결되어 힌지 결합하고 단위블록의 타측 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하며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의 사각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 1 측면부(100)와 마주보며 대응 또는 상응하는 형상을 한다. The third side part 300 has the same thickness as the first side part 100 or the second side part 200, and one end of the second side part 200 is connected to the hinge part 800 to form a hinge. It is combined and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ther side of the unit block, and is made up of a square plate shape with an overall uniform thickness, but has a corresponding or corresponding shape facing the first side portion 100.

이하의 설명에서 대응과 상응은 같은 의미이고 문맥에 적합하게 선택적으로 기재하기로 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correspondence and correspondence have the same meaning and will be described selectively to suit the context.

제 4 측면부(400)는 제 1 측면부(100) 또는 제 2 측면부(200) 또는 제 3 측면부(300)와 같은 두께를 하며 제 3 측면부(300)의 타측 끝단면에 그 일측 끝단면이 힌지부(800)에 연결되어 힌지 결합하고 단위블록의 정면 또는 배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하며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의 사각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 2 측면부(200)와 마주보며 상호 대응 또는 상응하는 형상을 한다. The fourth side portion 400 has the same thickness as the first side portion 100, the second side portion 200, or the third side portion 300, and one end of the third side portion 300 has a hinge portion on the other end surface. It is connected to (800) and hinged,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ront or back of the unit block, and is made of a square plate shape with an overall uniform thickness, but faces the second side portion 200 and has a mutually corresponding or corresponding shape.

제 1 측면부(100)와 제 3 측면부(300) 및 제 2 측면부(200)와 제 4 측면부(400)는 각각 동일 유사한 크기와 형상을 하고, 각각 임의 설정된 해당 수치 값의 크기로 규격화되며 이와 같이 규격화된 각 수치값의 배수 또는 역배수 값 중 어느 하나의 값으로 확장(확대)되거나 축소되어 역시 규격화된다. 규격화되는 것은 생산과 소비 및 유지보수에 매우 편리하고 제조 생산 비용을 낮추며 다양한 응용이 가능한 것을 의미한다. The first side portion 100, the third side portion 300, the second side portion 200, and the fourth side portion 400 each have the same and similar size and shape, and are each standardized to a size of a corresponding numerical value set arbitrarily, and as such. Each standardized numerical value is expanded (enlarged) or reduced to either a multiple or inverse multiple value and is also standardized. Standardization means that it is very convenient for production, consumption and maintenance, lowers manufacturing costs, and allows for a variety of applications.

측면메지형상연결부(500)는 제 1 측면부(100) 또는 제 2 측면부(200) 또는 제 3 측면부(300) 또는 제 4 측면부(400)와 같은 두께를 하며 제 1 측면부(100)의 타측 끝단면에 그 일측 끝단면이 힌지부(800)에 연결되어 힌지 결합하고 제 4 측면부(400)의 타측끝단면 부분과 결합하여 전체적으로 사각통 형상을 구성하되 사각통 형상의 안쪽면에 결합하고 단위블록의 측면에서 연결되는 메지 형상이 음각 표현되도록 하며 전체적으로 수직 직사각 평판 형상을 한다. 결합에 의한 상태가 체결된 상태와 같이 유지되는 구성은 일반적으로 알 수 있는 구성 및 방법이 모두 적용되므로 더 이상의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The side engagement-shaped connection part 500 has the same thickness as the first side part 100, the second side part 200, the third side part 300, or the fourth side part 400, and has the other end surface of the first side part 100. One end of it is connected to the hinge part 800 and hinged and combined with the other end of the fourth side part 400 to form an overall rectangular cylinder shape, and is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rectangular cylinder shape and is connected to the unit block. The shape of the mesh connected from the side is expressed in engraving, and the overall shape is a vertical rectangular plate. Since all generally known configurations and methods are applied to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combined state is maintained as the fastened state, further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제 1 하단끼움돌기메지형상부(600)는 제 1 측면부(100)와 제 3 측면부(300)의 하측 끝단면 부분에 각각 고정 설치되며 사각통 형상의 안쪽 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측면부(100)와 같은 두께를 하며 상기 사각통 형상의 안쪽 면에 설치되고 단위블록의 하측 끝단면 부분에 메지 형상이 음각 표현되도록 하며 수평 직사각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하측단부에 적층 배치되는 사각통 형상의 상측단부 측면 안쪽으로 삽입되어 상하연결 상태로 설치된다. The first lower engaging protrusion 600 is fixedly installed on the lower end surfaces of the first side part 100 and the third side part 300, respectively, and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ctangular cylinder shape, and is attached to the first side part 100. ),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quare cylinder shape, and has a mesh shape engraved on the lower end of the unit block. It is formed in the shape of a horizontal rectangular plate, and the upper end of the square cylinder shape is stacked at the lower end. It is inserted into the side and installed in a vertical connection.

제 2 하단끼움돌기메지형상부(700)는 제 2 측면부(200)와 제 4 측면부(400)의 하측 끝단면 부분에 각각 고정 설치되고 제 1 측면부(100)와 같은 두께를 하며 사각통 형상의 안쪽 면에 설치되고 단위블록의 하측 끝단면 부분에 메지 형상이 음각 표현되도록 하며 수평 직사각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하측단부에 적층 배치되는 사각통 형상의 상측단부의 정면 또는 배면 안쪽으로 삽입되어 상하연결 상태로 설치된다. The second lower engaging projection portion 700 is fixedly installed on the lower end surfaces of the second side portion 200 and the fourth side portion 400, respectively, has the same thickness as the first side portion 100, and has a square cylinder shape. It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and the mesh shape is engraved on the lower end of the unit block. It is made in the shape of a horizontal rectangular plate, but is inserted into the front or back of the upper end of the square cylinder shape, which is stacked at the lower end, so that it is connected vertically. It is installed as

측면메지형상연결부(500)와 제 1 하단끼움돌기메지형상부(600)와 제 2 하단끼움돌기메지형상부(700)는 각각 직사각 형상을 하되 짧은 쪽 측변 길이(W1) 값을 같은 값으로 형성하고, 제 1 하단끼움돌기메지형상부(600) 또는 제 2 하단메지형상부(700)는 하나 또는 균일한 길이의 두 개 이상 다수로 이루어지며, 두 개 이상 다수로 이루어지는 경우 그 폭(W1) 값으로 이격(W1)되어 고정 설치된다. The side engagement portion 500, the first lower engagement protrusion engagement portion 600, and the second lower engagement projection engagement portion 700 each have a rectangular shape, and the short side length (W1) is formed to the same value. And, the first lower engagement protrusion 600 or the second lower engagement protrusion 700 is made up of one or two or more pieces of uniform length, and when made up of two or more pieces, the width (W1) It is fixedly installed and spaced apart by a value (W1).

제 1 하단끼움돌기메지형상부(600)와 제 2 하단끼움돌기메지형상부(700)는 힌지연결부(810) 또는 제 2 힌지경사부(830)의 타측 끝단면으로부터 제 1 측면부(100) 두께(D1)의 1 내지 2 배수 값으로 이격된 간격(L1)을 두고 인접 설치되는 구성이다. The first lower fitting protrusion 600 and the second lower fitting protrusion 700 have a thickness of the first side part 100 from the other end surface of the hinge connection part 810 or the second hinge inclined part 830. It is configured to be installed adjacent to each other at a distance (L1) spaced apart by 1 to 2 multiples of (D1).

제 1 하단끼움돌기메지형상부(600) 또는 제 2 하단메지형상부(700)는 두 개 이상 다수로 이루어지는 경우 폭(W1) 값으로 이격(W1)되어 고정 설치된다. When the first lower engaging projection 600 or the second lower engaging protrusion 700 is composed of two or more pieces, they are fixedly installed and spaced apart (W1) by the width (W1) value.

제 1 하단끼움돌기메지형상부(600) 또는 제 2 하단메지형상부(700) 구성에 의하여 비숙련된 누구나 단위블록의 적재가 매우 간편하며 쉽게 작업하므로 토목과 건축용 벽체의 건설 또는 축조를 위한 해당 비용이 매우 적게 소요되고, 해당 시간이 적게 소요되는 장점이 있으며 이러한 장점을 추구하는 것이 기술적 사상 중에 하나 이다. Due to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lower engagement projection (600) or the second lower engagement portion (700), the loading of unit blocks is very simple and easy for even an unskilled person to do, making it suitable for the construction or construction of civil engineering and architectural walls. It has the advantage of requiring very little cost and time, and pursuing these advantages is one of the technical ideas.

힌지부(800)는 제 1 측면부(100)와 제 2 측면부(200)와 제 3 측면부(300)와 제 4 측면부(400)와 측면메지형상연결부(500)가 각각 연결되는 측단면 위치에 구비되어 각각이 결합된 상태로 절곡되거나 절곡된 상태가 펼쳐지도록하는 힌지(hinge) 결합 한다. The hinge portion 800 is provided at a side cross-sectional position where the first side portion 100, the second side portion 200, the third side portion 300, the fourth side portion 400, and the side hinge-shaped connecting portion 500 are connected, respectively. Each is bent in a combined state or combined with a hinge that allows the bent state to unfold.

힌지부(800)는 힌지연결부(810)와 제 1 힌지경사부(820)와 제 2 힌지경사부(830)를 포함한다. The hinge portion 800 includes a hinge connection portion 810, a first hinge inclined portion 820, and a second hinge inclined portion 830.

힌지연결부(810)는 제 1 측면부(100) 두께(D1) 값의 1/6 내지 1/5 값의 두께와 폭으로 이루어지되 제 1 측면부(100) 높이 값을 그 길이 값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The hinge connection portion 810 has a thickness and width of 1/6 to 1/5 of the thickness D1 of the first side portion 100, with the height of the first side portion 100 being its length.

제 1 힌지경사부(820)는 힌지연결부(810)의 길이방향 일측 끝단면에 일측 끝단면이 연결되고 43 내지 47 도 범위 경사각에 의한 단면을 형성한다. The first hinge inclined portion 820 is connected to one end f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inge connecting portion 810 and forms a cross section with an inclination angle in the range of 43 to 47 degrees.

제 2 힌지경사부(830)는 힌지연결부(810)의 길이방향 타측 끝단면에 일측 끝단면이 연결되고 43 내지 47 도 범위 경사각에 의한 단면을 형성한다. The second hinge inclined portion 830 has one end face connected to the other end f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inge connection portion 810 and forms a cross section with an inclination angle in the range of 43 to 47 degrees.

제 1 힌지경사부(820)와 제 2 힌지경사부(830)의 단면이 형성하는 경사각 값을 43 내지 47 도 범위 중에서 어느 하나의 값으로 하므로 오차를 감안하여 약간의 여유를 준비하는 것이며, 이상적인 것으로는 45 도 범위로 하는 것이지만 45 도로 일괄 형성하는 경우 오차 값이 허용범위를 넘어서게 큰 경우에 각 단위블록의 조립이 매우 불편하고 건설된 벽체 형상이 왜곡되거나 변형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 1 힌지경사부(820)와 제 2 힌지경사부(830)의 단면이 형성하는 경사각 값은 43 내지 47 도 범위 중에서 어느 하나의 값을 형성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ince the inclination angle value formed by the cross sections of the first hinge inclined portion 820 and the second hinge inclined portion 830 is set to any value in the range of 43 to 47 degrees, some margin is prepared to take the error into account, and the ideal It is supposed to be in the range of 45 degrees, but if the error value is larger than the allowable range when forming at 45 degrees, assembly of each unit block is very inconvenient and the shape of the constructed wall may be distorted or deforme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clination angle formed by the cross sections of the first hinge inclined portion 820 and the second hinge inclined portion 830 is configured to form a value in the range of 43 to 47 degrees.

관통공(900)은 제 1 측면부(100)와 제 3 측면부(30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각각 구비된다. 관통공(900)은 상측면과 하측면이 개방된 사각통 형상의 일측면으로 유입된 유동성 콘트리트가 상호 유동되어 연결되고 양생된 각 단위블록의 연결 상태에 의한 결합력을 높인다. The through hole 900 is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side portion 100 and the third side portion 300, respectively. The through hole 900 is formed by flowing concrete flowing into one side of a rectangular cylinder with open upper and lower sides, thereby increasing the bonding force due to the connection state of each cured unit block.

제 1 측면부(100)와 제 3 측면부(300)는 각각 관통공(900)을 하나 또는 하나 이상 다수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제 1 측면부(100)와 제 3 측면부(300)는 필요에 의하여 관통공을 구성하지 않을 수 있다. The first side portion 100 and the third side portion 300 are each provided with one or more through holes 900. Meanwhile, the first side portion 100 and the third side portion 300 may not form a through hole if necessary.

관통공(900)은 원형 관통공(910) 또는 장형 관통공(920) 또는 방형 관통공(930)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The through hole 900 is formed of one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a circular through hole 910, a long through hole 920, or a square through hole 930.

관통공(900)에는 필요에 의하여 철근이 좌우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삽입되고 필요에 의하여 사각통 형상의 개방된 상측면 또는 하측면으로부터 철근이 상하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삽입되어 유입된 콘크리트 또는 토사 또는 기타종류의 채움재와 결합되므로 철근 콘트리트 또는 다양한 종류의 토목 또는 건축용 벽체를 형성한다. 철근은 동일 유사한 기능을 하는 재료로 대체될 수 있음은 매우 당연하며 이러한 대체 재료는 향후에 개발될 수도 있다. In the through hole 900, reinforcing bars are inserted in the left-right or horizontal direction as needed, and when necessary, reinforcing bars are inserted in the up-down or vertical direction from the open upper or lower side of the square barrel shape to fill the inflow concrete, soil, or Because it is combined with other types of fillers, it forms reinforced concrete or various types of civil engineering or architectural walls. It is quite natural that rebar can be replaced with materials that perform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and such replacement materials may be developed in the future.

이러한 구성의 단위블록은 토사와 콘크리드와 건축용으로 재활용되는 폐자재와 산업부산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이 혼합된 채움재로 속빈 내부를 채우며, 필요에 의하여 속빈 내부를 이러한 채움재로 채우지 않을 수도 있다. The unit block of this configuration is filled with a filler material selected from soil, concrete, waste materials recycled for construction, and industrial by-products, or a mixture of one or more of them. If necessary, the hollow inside may not be filled with such filler material. there is.

한편, 필요에 의하여 단위블록은 속빈 내부에 채움되는 채움재의 종류에 의하여 완성된 벽체로부터 분리 해체하거나 또는 분리해체 하지 않을 수 있다. Meanwhile, if necessary, the unit block may or may not be separated and dismantled from the completed wall depending on the type of filling material filled inside the hollow.

일반적인 건축용 또는 토목용 벽체 또는 옹벽 축조에는 완성된 기존 단위블록의 상단에 시멘트 몰탈(mortar)을 바르고 그 상단에 다시 완성된 기존 단위블록을 적층 또는 조적하는 방식으로 시공하며 다시 시멘트 몰탈을 이용하여 마감 또는 미장처리 한다. 완성된 기존 단위블록으로 조적 또는 적층하는 경우 일정한 숫자의 단수로 조적(적재)하고 일정한 시간 동안 양생한 후 다시 조적 하여야 하므로 건설시간과 인건비 등의 비용이 많이 소요되었다. In the construction of a general architectural or civil engineering wall or retaining wall, cement mortar is applied to the top of the existing completed unit block, and then the completed existing unit block is stacked or masonry on top of the existing unit block, and then finished using cement mortar again. Or plaster it. In the case of masonry or stacking with completed existing unit blocks, a certain number of blocks had to be laid (stacked) and cur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before masonry was laid again, which required a lot of costs such as construction time and labor costs.

즉, 완성된 기존 단위블록을 조적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벽체를 축조하고 조적 숙련공이 숙달된 기술과 작업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완성된 기존 단위블록 상단에 몰탈을 바르고 조적을 반복하는 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동력을 필요로 함으로 공사 기간이 길어지고, 시공비가 증대되는 등 비효율적이었다. 또한 조적되는 완성된 기존 단위블록들 사이에 메지 작업이 필요 하였다. In other words, in order to masonry the completed existing unit blocks, a wall is built perpendicular to the floor of the building, and this is done using skilled masonry workers' skilled techniques and work. Mortar is applied on top of the completed existing unit blocks and masonry is repeated. It was inefficient as the work required a lot of time and labor, lengthening the construction period and increasing construction costs. Additionally, bridging work was required between the existing completed unit blocks.

본 발명은 건축용 벽체를 시공하는데 있어서 어린이용 또는 레저(leisure)용 블록 완구인 레고(lego)와 같은 구조로 거푸집으로 사용되는 단위블록과 하단끼움돌기메지형상부를 구성하여 비숙련자 또는 누구나 쉽게 적층(적재, 조적)하므로 벽체 시공이 빠르고 용이하되 거푸집으로 사용되는 단위블록을 쉽게 해체하여 평판 상태로 분리하며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고, 또한, 건축물 벽체를 시공하는데 있어서 하단끼움돌기메지형상부 구성에 의하여 비숙련공이 쉽고 빠르게 벽체용 거푸집의 단위블록을 적재 설치하고 단위블록들 사이에 별도의 메지 작업이 필요하지 않으면서도 메지와 같은 효과의 무늬가 표현되며, 또한, 분리된 거푸집인 단위블록의 보관 면적이 작으면서도 이동이 용이하여 건설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줄이는 것이 추구하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similar to Lego, a block toy for children or leisure, in constructing a building wall, and consists of a unit block used as a formwork and a bottom insertion protrusion shaped part, so that an unskilled person or anyone can easily stack ( stacking, masonry), so wall construction is quick and easy, but the unit blocks used as formwork can be easily dismantled and separated into flat plates for easy storage. Additionally, in constructing building walls, the construction of the bottom fitting protrusion and mesh shape makes it easy to store. Skilled workers can easily and quickly load and install unit blocks of wall formwork, and a pattern with the same effect as blockwork is expressed without the need for separate cementing work between unit blocks. In addition, the storage area of the unit blocks, which are separate formwork, is small. The technical idea pursued is to reduce the time and cost of construction by being small and easy to move.

산업부산물 또는 폐자재는 폐기용 섬유류와 PVC류와 합판류와 목재류와 종이류와 피혁류와 플라스틱류와 합성목재류와 철재류와 건축용으로 재활용가능한 모든 종류의 폐자재와 기타 종류를 모두 포함하되 이러한 산업부산물 또는 폐자재를 활용하여 친환경적으로 거푸집을 생산하는 것이 본 발명에서 추구하는 기술적 사상 중에 하나이다. 한편, 산업부산물 또는 폐자재는 볏짚과 같은 식물성 재료도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이해한다. Industrial by-products or waste materials include waste fibers, PVC, plywood, wood, paper, leather, plastics, synthetic wood, steel, and all types of waste materials and other types that can be recycled for construction purposes, but these industrial by-products Alternatively, producing molds in an environmentally friendly manner using waste materials is one of the technical ideas pursued by the present invention. Meanwhile, industrial by-products or waste materials are explained and understood to include plant materials such as rice straw.

한편, 레고형 거푸집의 단위블록은 내부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필요에 의하여 일반 흙, 점토, 와목점토, 석기점토, 규조토, 고령토, 화장토, 벤토나이트, 도석, 백토, 풍화토, 황토, 모르타르, 폼 에폭시, 우레탄, 폐휴지 등 채울 수 있는 모든 자재를 채움재로 이용 또는 활영하고, 장소와 용도와 목적에 따라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을 채움재로 할용하여 채울 수 있으며, 토목기초와 벽체로 활용시에 구조체로서 구조가 필요한 경우에는 상하좌우 및 선택된 방향으로 철근 또는 철근과 동일유사한 기능을 하는 재료가 포함되는 보강제를 부가(추가) 설치하여 강도를 증진할 수 있다. Meanwhile, the unit block of the Lego-type formwork is in principle poured and cured with concrete in the internal space, but if necessary, general soil, clay, wamok clay, stoneware clay, diatomaceous earth, kaolin, cosmetic clay, bentonite, pottery stone, white clay, weathered clay, and red clay are used. , all materials that can be filled, such as mortar, foam epoxy, urethane, and waste paper, can be used or used as fillers, and any one or more than one selected depending on the location, use, and purpose can be used as fillers, and civil engineering foundations and When using as a wall, if a structural structure is required, strength can be increased by additionally installing reinforcing bars or reinforcing agents containing materials that perform the same function as reinforcing bars in the up, down, left, right, and selected directions.

거푸집의 단위블록 몸체의 하부에 하단에서 적층되는 단위블록의 몸체와 일체가 되도록 설치된 하단끼움돌기메지형상부(600, 70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하단에 위치하는 단위블록 내부에 삽입되어 적층되는 단위블록이 상하로 틈새 없이 일체화 결속되어 별도의 접착시공 없이도 견고하게 접합되면서, 비숙련공이 포함되는 누구나 간편하며 쉽고 빠르게 작업한다. 한편, 단위블록의 좌우 측면에는 필요에 의하여 1 개 이상 다수 또는 2 내지 4 개의 개구부(관통공, 900, 관통홀)을 형성하여 좌우측 블록의 속채움재가 견고하게 상호 접착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산업부산물 또는 폐자재의 폐 플라스틱류, 폐 섬유류, 폐 목재류, 폐 PVC류, 폐 종이류, 폐 피혁류 기타 자재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활용하여 친환경적으로 토목 및 건축 벽체를 건설하는 기술이다. Bottom fitting protrusions (600, 700) ar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unit block body of the formwork so as to be integrated with the body of the unit blocks stacked at the bottom, so the unit blocks are inserted and stacked inside the unit blocks located at the bottom. The top and bottom are integrated and bonded together without any gaps, so they are firmly joined without any additional adhesive construction, so anyone, including unskilled workers, can work simply, easily, and quickly. Meanwhile,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nit block, one or more or 2 to 4 openings (through holes, 900, through holes) are formed as needed so that the filling materials of the left and right blocks can be firmly bonded to each other, and industrial by-products Alternatively, it is a technology to construct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walls in an environmentally friendly manner using any one or more than one selected among waste plastics, waste fibers, waste wood, waste PVC, waste paper, waste leather, and other materials. .

일반적으로 직육면체로 제조되고 생산되는 기존 단위블록은 건축용 칸막이 등 간이공사에 사용되거나 토목 및 건축용 옹벽 축조에 사용된다. 이러한 일반적인 벽체 또는 옹벽 축조의 종래 시공방식은 기존 단위블록의 상단에 시멘트 몰탈(mortar) 또는 모르타르를 도포하고 그 상단에 기존 단위블록을 다시 조적(적층)하는 방법으로 벽체를 원하는 높이가 되도록 시공하며 완성된 벽체 측면에 시멘트 몰탈로 미장처리한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일정 단수로 조적(적층, 적재)한 후 일정시간 동안 양생한 후에 다시 조적을 반복하여야 되므로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인건비 등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 이와 같이 기존 단위블록을 조적(적층, 적재)함에 있어서 건물의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벽체를 축조하기 위하여는 숙련된 작업자 또는 조적공이 작업하여야 하며 조적된 기존 단위블록의 상단에 시멘트 몰탈을 도포하여 조적 작업에 많은 작업시간과 노동력을 필요로 하며, 공사시간이 길어지고 시공비가 증대되는 등 비효율적인 문제가 남아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속이 비어 있는 레고(lego)형 거푸집의 단위블록으로, 단위블록 몸체의 내부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끼움돌기를 형성시켜 하부에 형성된 하단끼움돌기메지형상부가 하측에 위치한 속빈 레고형 단위블록의 상단 내부에 삽입(끼움)되어 틈새 없이 일체화 결속되어 몰탈과 같은 접착제 시공 없이도 상하로 견고하게 적층되며, 좌우로는 속빈 레고형 거푸집의 단위블록 내부에 투입되는 물질에 따라 접착이 이루어지는 공법이다. 산업부산물 또는 폐자재를 이용한 토목 및 건축용 벽체 건설을 위한 속빈 레고형 거푸집의 단위블록이며, 속이 비어 있는 내부에 여러 가지 물질을 채움재로 사용하여 채울 수 있고, 여러 가지 각 채움재의 종류에 따라 시장성 및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 산업부산물 또는 폐자재의 폐 섬유류 등은 산업부산물로 발생되어 자원으로 활용되지 못하였고 별도 비용을 소모하여 폐기하여야 되었으나, 이와 같은 폐 섬유류가 포함되는 산업폐기물을 거푸집 재료 또는 채움재로 활용하여 제조생산 비용을 절감하고 자원 재활용에 의하여 친환경성을 높이면서 거푸집 단위블록이 적층되면서 고강도로 결합하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속이 비어 있는 레고형 거푸집의 단위블록 내부를 채우는 채움재(성형재)는 몰탈(압축강도 18 MPa 이상) 일반 흙, 점토. 와목점토, 석기점토, 규조토, 고령토, 회장토, 벤토나이트, 도석, 백토, 풍화토, 황토, 콘크리트, 몰탈, 폼 에폭시, 우레탄 등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된다. Conventional unit blocks, which are generally manufactured and produced as rectangular parallelepipeds, are used for simple construction such as building partitions or for the construction of retaining walls for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The conventional construction method for constructing such a general wall or retaining wall is to apply cement mortar or mortar on the top of the existing unit block and re-build the existing unit block on top to build the wall to the desired height. The side of the completed wall is plastered with cement mortar. In this prior art, masonry must be laid (laminated, stacked) in a certain number of steps, then cur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en masonry must be repeated, so there still remains the problem that it takes a lot of time and requires a lot of labor costs. In this way, when masonry (stacking, stacking) existing unit blocks, a skilled worker or masonry must work in order to construct a wall perpendicular to the floor surface of the building, and cement mortar must be applied to the top of the existing unit block. Masonry work required a lot of work time and labor, and inefficiencies such as longer construction times and increased construction costs remain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a unit block of a hollow Lego-type formwork, and is a hollow Lego-type unit block where one or two or more fitting protrusions are formed inside the unit block body, and the bottom fitting protrusion mesh shape is located at the lower side. It is inserted (fitted) inside the top of the , integrated and bonded without any gaps, and is firmly stacked up and down without the use of adhesives such as mortar. It is a method in which adhesion is performed on the left and right depending on the materials put into the unit block of the hollow Lego-type formwork. It is a unit block of hollow Lego-type formwork for the construction of civil engineering and architectural walls using industrial by-products or waste materials. The hollow interior can be filled with various materials as fillers, and the marketability and marketabilit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each filler. Economic feasibility can be secured. Waste fibers, etc. from industrial by-products or waste materials were generated as industrial by-products and could not be utilized as resources and had to be disposed of at separate costs. However, industrial wastes including such waste fibers had to be used as formwork materials or fillers to reduce manufacturing production costs. It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waste and increasing eco-friendliness through resource recycling, and combining form unit blocks with high strength as they are stacked. The filling material (molding material) that fills the inside of the unit block of the hollow Lego-type mold is mortar (compressive strength of 18 MPa or more), general soil, and clay. Any one or more than one selected from wamok clay, stoneware clay, diatomaceous earth, kaolin, ileum clay, bentonite, pottery stone, white clay, weathered clay, red clay, concrete, mortar, foam epoxy, urethane, etc. is used.

이러한 거푸집의 단위블록 구조는 건축물 콘크리트 벽체시공용 거푸집의 시공과 해체를 레고 단위블록과 같은 기술적 사상의 개념 또는 구조에 의하여 비숙련공 또는 누구나 쉽고 빠르게 작업하며 거푸집 보관에 적은 면적이 점유되어 이동이 간편하고 토목 또는 건축용 벽체 시공의 건설비용이 절약되며 건설 시간이 단축되고 단위블록의 규격화에 의하여 설치와 유지보수 및 관리가 간편하며 쉬운 조립 해체가 간편한 토목과 건축물 벽체시공용 속빈 단위블록 거푸집 장치를 제공하고, 토목공사 또는 건설공사 현장에서 발생되는 폐자재 또는 산업부산물을 활용하므로 친환경적으로 토목 또는 건축공사를 진행하여 벽체를 시공하는 장점이 있다. The unit block structure of this form allows unskilled workers or anyone to work quickly and easily for the construction and disassembly of formwork for building concrete wall construction using the concept or structure of technological ideas such as Lego unit blocks, and it occupies a small area for form storage, making it easy to move. The construction cost of civil engineering or building wall construction is reduced, construction time is shortened, installation, maintenance and management are easy due to the standardization of unit blocks, and a hollow unit block formwork device for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wall construction is provided that is easy to assemble and dismantle. In addition, since waste materials or industrial by-products generated at civil engineering or construction sites are used, there is an advantage in constructing walls by carrying out civil engineering or building construction in an environmentally friendly manner.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above, it is clea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natural that such changes and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patent claims.

90 : 조립 해체가 간편한 건축물 콘크리트 벽체시공용 블록 거푸집
100 : 제 1 측면부 200 : 제 2 측면부
300 : 제 3 측면부 400 : 제 4 측면부
500 : 측면메지형상연결부 600 : 제 1 하단끼움돌기메지형상부
700 : 제 2 하단끼움돌기메지형상부
800 : 힌지부 810 : 힌지연결부
820 : 제 1 힌지경사부 830 : 제 2 힌지경사부
900 : 관통공 910 : 원형 관통공
920 : 장형 관통공 930 : 방형 관통공
90: Block form for building concrete wall construction that is easy to assemble and dismantle
100: first side portion 200: second side portion
300: third side portion 400: fourth side portion
500: Side wedge-shaped connection portion 600: First lower engagement protrusion-shaped portion
700: Second lower fitting protrusion meji shape part
800: Hinge portion 810: Hinge connection portion
820: first hinge inclined portion 830: second hinge inclined portion
900: Through hole 910: Circular through hole
920: long through hole 930: square through hole

Claims (10)

전체적으로 상면과 하면이 개방된 직사각 통 형상을 하며 섬유류와 폐프라스틱류가 포함되는 산업부산물을 혼합하여 균일한 두께의 평판으로 압축한 소재이고 다수 크기로 이루어지는 각 단위블록은 각각 규격화되어 토목과 건축물 벽체시공에 사용되는 거푸집이며 각 단위블록은 적층 사용되고 조립과 해체와 분리가 쉬워 반복 재사용되며 조립 해체가 간편한 토목과 건축물 벽체시공용 속빈 단위블록 거푸집 장치에 있어서,
건축물 벽체시공용 각 단위블록의 일측 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하고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의 사각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측면부(100);
상기 제 1 측면부(100)와 같은 두께를 하며 상기 제 1 측면부(100)의 일측 끝단면에 일측 끝단면이 힌지부(800)에 연결되어 힌지 결합하고 상기 단위블록의 정면 또는 배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하며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의 사각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 2 측면부(200);
상기 제 2 측면부(200)와 같은 두께를 하며 상기 제 2 측면부(200)의 타측 끝단면에 일측 끝단면이 힌지부(800)에 연결되어 힌지 결합하고 상기 단위블록의 타측 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하며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의 사각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 1 측면부(100)와 마주보며 대응되는 형상을 하는 제 3 측면부(300);
상기 제 3 측면부(300)와 같은 두께를 하며 상기 제 3 측면부(300)의 타측 끝단면에 일측 끝단면이 힌지부(800)에 연결되어 힌지 결합하고 상기 단위블록의 정면 또는 배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하며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의 사각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 2 측면부(200)와 마주보며 상호 대응되는 형상을 하는 제 4 측면부(400);
상기 제 1 측면부(100)와 같은 두께를 하며 상기 제 1 측면부(100)의 타측 끝단면에 일측 끝단면이 힌지부(800)에 연결되어 힌지 결합하고 상기 제 4 측면부(400)의 타측끝단면 부분과 결합하여 전체적으로 사각통 형상을 구성하되 상기 사각통 형상의 안쪽면에 결합하고 상기 단위블록의 측면에서 연결되는 메지 형상이 음각 표현되도록 하며 전체적으로 수직 직사각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측면메지형상연결부(500); 를 포함하는 조립 해체가 간편한 토목과 건축물 벽체시공용 속빈 단위블록 거푸집 장치.
Overall, it has the shape of a rectangular cylinder wit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pen. It is a material made by mixing industrial by-products, including fibers and waste plastics, and compressing them into flat plates of uniform thickness. Each unit block, which consists of multiple sizes, is individually standardized and used for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walls. It is a form used in construction, and each unit block is stacked and reused repeatedly for easy assembly, disassembly, and separation. In the hollow unit block formwork device for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wall construction that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A first side portion 100 that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one side of each unit block for building wall construction and is made in the shape of a square plate with an overall uniform thickness;
It has the same thickness as the first side part 100, and one end surface of the first side part 100 is connected and hinged to the hinge part 800, and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ront or back surface of the unit block. a second side portion 200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late with an overall uniform thickness;
It has the same thickness as the second side part 200, and one end surface of the second side part 200 is connected to the hinge part 800 to be hinged and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ther side of the unit block. and a third side portion (300)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late with an overall uniform thickness and facing the first side portion (100) and having a corresponding shape;
It has the same thickness as the third side part 300, and one end surface of the third side part 300 is connected to the hinge part 800 to be hinged and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ront or back surface of the unit block. A fourth side portion 40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late with an overall uniform thickness and has a shape that faces and corresponds to the second side portion 200;
It has the same thickness as the first side portion 100, one end of the first side portion 100 is connected to the hinge portion 800, and the other end of the fourth side portion 400 is hinged. It is combined with the parts to form an overall square cylinder shape, but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quare cylinder shape, and the mesh shape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unit block is expressed in intaglio, and the side mesh shape connection portion (500) is entirely in the shape of a vertical rectangular plate. ; A hollow unit block formwork device for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wall construction that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면부(100)와 제 3 측면부(300)의 하측 끝단면 부분에 각각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 1 측면부(100)와 같은 두께를 하며 상기 사각통 형상의 안쪽 면에 설치되고 상기 단위블록의 하측 끝단면 부분에 메지 형상이 음각 표현되도록 하며 수평 직사각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하측단부에 적층 배치되는 상기 사각통 형상의 상측단부 측면 안쪽으로 삽입되어 상하연결 상태로 설치되는 제 1 하단끼움돌기메지형상부(600);
상기 제 2 측면부(200)와 제 4 측면부(400)의 하측 끝단면 부분에 각각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 1 측면부(100)와 같은 두께를 하며 상기 사각통 형상의 안쪽 면에 설치되고 상기 단위블록의 하측 끝단면 부분에 메지 형상이 음각 표현되도록 하며 수평 직사각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하측단부에 적층 배치되는 상기 사각통 형상의 상측단부의 정면 또는 배면 안쪽으로 삽입되어 상하연결 상태로 설치되는 제 2 하단끼움돌기메지형상부(700); 를 더 포함하는 조립 해체가 간편한 토목과 건축물 벽체시공용 속빈 단위블록 거푸집 장치.
According to claim 1,
I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lower end surfaces of the first side part 100 and the third side part 300, respectively, has the same thickness as the first side part 100,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quare cylinder shape, and is attached to the unit block. The first lower engagement protrusion type is made up of a horizontal rectangular plate shape so that the mesh shape is engraved on the lower end, and is inserted into th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square cylinder shape stacked at the lower end and installed in a vertical connection state. upper part (600);
I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lower end surfaces of the second side part 200 and the fourth side part 400, respectively, has the same thickness as the first side part 100,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quare cylinder shape, and is attached to the unit block. The second bottom fitting is made up of a horizontal rectangular plate shape so that the mesh shape is engraved on the lower end, and is inserted into the front or back of the upper end of the square cylinder shape, which is stacked at the lower end, and installed in a vertical connection state. Protrusion-shaped portion (700); A hollow unit block formwork device for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wall construction that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further comprising: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단끼움돌기메지형상부(600) 또는 상기 제 2 하단메지형상부(700)는 하나 또는 균일한 길이의 두 개 이상 다수로 이루어지되 두 개 이상 다수로 이루어지면 그 폭(W1) 값으로 이격(W1)되어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해체가 간편한 토목과 건축물 벽체시공용 속빈 단위블록 거푸집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first lower engagement protrusion 600 or the second lower engagement protrusion 700 is composed of one or two or more pieces of uniform length. If it is composed of two or more pieces, the width (W1) value A hollow unit block formwork device for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wall construction that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characterized by being fixedly installed and spaced apart (W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800)는
상기 제 1 측면부(100) 두께(D1) 값의 1/6 내지 1/5 값의 두께와 폭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 1 측면부(100) 높이 값의 길이로 이루어지는 힌지연결부(810);
상기 힌지연결부(810)의 길이방향 일측 끝단면에 일측 끝단면이 연결되고 43 내지 47 도 범위 경사각의 단면을 형성하는 제 1 힌지경사부(820);
상기 힌지연결부(810)의 길이방향 타측 끝단면에 일측 끝단면이 연결되고 43 내지 47 도 범위 경사각의 단면을 형성하는 제 2 힌지경사부(830); 를 포함하는 조립 해체가 간편한 토목과 건축물 벽체시공용 속빈 단위블록 거푸집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hinge portion 800 is
A hinge connection portion 810 having a thickness and width of 1/6 to 1/5 of the thickness D1 of the first side portion 100 and a length equal to the height of the first side portion 100;
a first hinge inclined portion 820,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one longitudinal end of the hinge connecting portion 810 and forming a cross-section with an inclination angle in the range of 43 to 47 degrees;
a second hinge inclined portion 830,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other longitudinal end of the hinge connection portion 810 and forming a cross-section with an inclination angle in the range of 43 to 47 degrees; A hollow unit block formwork device for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wall construction that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면부(100)와 제 3 측면부(300)는 각각 관통공(900)을 하나 또는 하나 이상 다수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조립 해체가 간편한 토목과 건축물 벽체시공용 속빈 단위블록 거푸집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or 2,
The first side part 100 and the third side part 300 are each provided with one or more through holes 900. A hollow unit block formwork device for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wall construction that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900)은 원형 관통공(910) 또는 장형 관통공(920) 또는 방형 관통공(930)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조립 해체가 간편한 토목과 건축물 벽체시공용 속빈 단위블록 거푸집 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through hole 900 is a hollow unit for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wall construction that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consisting of one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circular through hole 910, the long through hole 920, or the square through hole 930. Block formwork devi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메지형상연결부(500)와 제 1 하단끼움돌기메지형상부(600)와 제 2 하단끼움돌기메지형상부(700)는 각각 직사각 형상을 하되 짧은 쪽 측변(W1) 길이 값을 같은 값으로 형성하는 조립 해체가 간편한 토목과 건축물 벽체시공용 속빈 단위블록 거푸집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side engagement portion 500, the first lower engagement protrusion engagement portion 600, and the second lower engagement projection engagement portion 700 each have a rectangular shape, and the length of the short side (W1) is set to the same value. A hollow unit block formwork device for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wall construction that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단끼움돌기메지형상부(600)와 제 2 하단끼움돌기메지형상부(700)는 상기 힌지연결부(810) 또는 상기 제 2 힌지경사부(830)의 타측 끝단면으로부터 상기 제 1 측면부(100) 두께(D1)의 1 내지 2 배수 값으로 이격된 간격(L1)을 두고 인접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조립 해체가 간편한 토목과 건축물 벽체시공용 속빈 단위블록 거푸집 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first lower engaging protrusion 600 and the second lower engaging protrusion 700 are connected to the first side portion from the other end surface of the hinge connecting part 810 or the second hinge inclined part 830. (100) A hollow unit block formwork device for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wall construction that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consisting of being installed adjacently at a distance (L1) spaced apart by 1 to 2 multiples of the thickness (D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블록은 토사와 콘크리드와 건축용으로 재활용되는 폐자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이 혼합된 채움재로 속빈 내부를 채우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조립 해체가 간편한 토목과 건축물 벽체시공용 속빈 단위블록 거푸집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unit block is a hollow unit block formwork device for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wall construction that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consisting of filling the hollow interior with a filler selected from soil, concrete, and waste materials recycled for construction, or a mixture of one or more of them.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면부(100)와 제 3 측면부(300) 또는 제 2 측면부(200)와 제 4 측면부(400)는 각각 임의 설정된 해당 길이 값의 배수 또는 역배수 값 중 어느 하나의 값으로 확장되거나 축소되어 규격화되는 조립 해체가 간편한 토목과 건축물 벽체시공용 속빈 단위블록 거푸집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first side part 100 and the third side part 300 or the second side part 200 and the fourth side part 400 are each expanded or reduced by any one of the arbitrarily set multiples or inverse multiples of the corresponding length value. A standardized hollow unit block formwork device for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wall construction that is easy to assemble and dismantle.
KR1020220149300A 2022-11-10 structure of concrete wall support form for construction with easy assembling and dissembling KR20240068171A (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8171A true KR20240068171A (en) 2024-05-17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0552A (en) Universal wall forming system
KR102040229B1 (en) Architectural modular uni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985676B1 (en) Concrete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ing 3d printer
CN101280597A (en) Cast-in-situ rib laminated floor slab
CN112922346A (en) 3D printing house building system with steel bar reinforced structure and method
US8827235B1 (en) Concrete form for building foundation construction with form insert creating recessed sections
CN112262245B (en) Void former
US20120167516A1 (en) method of forming protrusions on a masonry block
KR100900155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double-sided natural stone block
KR102621195B1 (en) The Integrated PC double wall structure with improved productivit
KR20240072529A (en) structure of concrete wall support form for construction with easy assembling and dissembling
KR20240068171A (en) structure of concrete wall support form for construction with easy assembling and dissembling
JPH0419137Y2 (en)
JP2016156248A (en) Concrete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and concrete structure
KR102195671B1 (en) 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 column using flexible sheet concrete form
CN217710828U (en) Combined type template and wall system for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cast-in-place wall surface
CN113482042B (en) Combined template for reinforced retaining wall cast-in-place wall surface, wall surface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of wall surface system
CN211523255U (en) Manufacturing tool for foundation bearing platform template
KR20020037637A (en) a method manufacture loess panel and block concrete assembly
CN112900235B (en) Assembled support trestle and filling core bar concrete bracing beam
JP7412249B2 (en) Construction method of building entrance structure
KR102026755B1 (en) Wall structure for rainwater storage tank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101280607B (en) Cast-in-situ rib laminated floor slab
JPH0419135Y2 (en)
RU73363U1 (en) REINFORCED CONCRETE PLATE WITH EMPT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