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8102A - 금속박용 코어 - Google Patents

금속박용 코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8102A
KR20240068102A KR1020220149161A KR20220149161A KR20240068102A KR 20240068102 A KR20240068102 A KR 20240068102A KR 1020220149161 A KR1020220149161 A KR 1020220149161A KR 20220149161 A KR20220149161 A KR 20220149161A KR 20240068102 A KR20240068102 A KR 20240068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groove
metal foil
protruding member
core
axis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9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인철
정인수
정재훈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넥실리스 주식회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넥실리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넥실리스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2310268240.9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8004839A/zh
Priority to EP23169726.9A priority patent/EP4368551A1/en
Priority to JP2023072283A priority patent/JP2024070204A/ja
Priority to CA3197907A priority patent/CA3197907A1/en
Priority to US18/216,296 priority patent/US20240158157A1/en
Publication of KR20240068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81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04Kinds or types
    • B65H75/08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 B65H75/10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without flanges, e.g. cop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3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50Storage means for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53Adaptations of cores or reels for special purposes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박이 권취되는 권취부재; 제1축방향 중에서 제1방향 쪽으로 상기 권취부재로부터 돌출된 제1돌출부재; 상기 제1축방향 중에서 상기 제1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제2방향 쪽으로 상기 권취부재로부터 돌출된 제2돌출부재; 및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돌출부재의 양단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돌출부재에 형성된 제1유도홈을 포함하는 금속박용 코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금속박용 코어{Core for Metal Foil}
본 발명은 이차전지용 음극, 연성인쇄회로기판 등을 제조하는데 이용되는 금속박을 지지하기 위한 금속박용 코어에 관한 것이다.
금속박(Metal Foil)은 이차전지용 음극, 연성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등 다양한 제품을 제조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예컨대, 금속박의 하나인 동박(Copper Foil)은 양극과 음극 사이에 전해액을 공급한 뒤 전류를 흐르게 하는 전기도금(電氣鍍金) 방식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금속박은 코어(Core)에 권취된 상태로 고객에게 운송된다. 예컨대, 코어에 권취된 금속박은 자동차, 선박, 철도차량, 비행기 등과 같은 운송수단에 실려서 운송될 수 있다. 상기 코어는 권취된 금속박의 양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분이 수납장치에 지지된 상태로 운송된다.
여기서, 금속박이 권취된 상기 코어의 권취부분에는 금속박의 하중이 운송과정에서 지속적으로 가해지므로, 상기 코어의 권취부분에 처짐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운송과정에서 발생되는 진동, 흔들림, 충격 등이 상기 코어에 전달됨에 따라 상기 코어의 권취부분에 변형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코어에 발생되는 처짐, 변형 등으로 인해 상기 코어에 권취된 금속박에 MD 버클(Machine Direction Buckle), 비틀림(Fusilli) 등과 같은 불량을 야기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금속박의 하중,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흔들림, 충격 등으로 인해 코어에 발생되는 처짐, 변형 등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금속박용 코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박용 코어는 금속박이 권취되는 권취부재; 제1축방향 중에서 제1방향 쪽으로 상기 권취부재로부터 돌출된 제1돌출부재; 상기 제1축방향 중에서 상기 제1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제2방향 쪽으로 상기 권취부재로부터 돌출된 제2돌출부재; 및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돌출부재의 양단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돌출부재에 형성된 제1유도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금속박의 하중, 운송과정에서 발생되는 진동, 흔들림, 충격 등에 의한 처침, 변형 등이 제1유도홈이 형성된 제1돌출부재의 부분에서 집중적으로 발생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권취부재에 발생되는 처짐, 변형 등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권취부재에 권취된 금속박에 발생되는 MD 버클(Machine Direction Buckle), 비틀림(Fusilli) 등과 같은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취급과 운송이 완료된 금속박의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금속박에 대한 취급작업과 운송작업의 안정성와 용이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박용 코어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박용 코어를 도 1의 I-I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박용 코어에 대한 실시예들과 비교예들에 대한 실험결과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박용 코어의 제1유도홈에 대한 실시예들을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1은 도 3을 기준으로 하여 제1유도홈이 복수개 형성된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2는 도 2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박용 코어의 제2유도홈에 대한 실시예들을 도 3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박용 코어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 1과 도 2에서 서로 평행하게 표시된 두 줄의 일점쇄선은 생략선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금속박용 코어(1)는 이차전지용 음극, 연성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등 다양한 제품을 제조하는데 이용되는 금속박(Metal Foil)(100)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금속박용 코어(1)는 금속박(100)에 속하는 동박(Copper Foil)을 지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금속박(100)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박용 코어(1)에 권취되고, 본 발명에 따른 금속박용 코어(1)에 권취된 상태로 운송수단에 실려서 운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금속박(100)이 권취된 본 발명에 따른 금속박용 코어(1)는, 수납장치(미도시)에 수납된 상태로 운송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박용 코어(1)는 권취부재(2), 제1돌출부재(3), 및 제2돌출부재(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권취부재(2)는 상기 금속박(100)을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권취부재(2)에는 상기 금속박(100)이 권취될 수 있다. 상기 권취부재(2)는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권취부재(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중공의 원통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권취부재(2)에는 철(Fe), 알루미늄(Al), 구리(Cu), 은(Ag), 금(Au), 니켈(Ni), 타이타늄(Ti), 아연(Zn), 백금(Pt), 망간(Mg), 주석(Sn), 규소(Si), 스테인레스강(SUS)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금속박(100)이 권취될 수 있다. 상기 금속박(100)은 5mm 이하의 두께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권취부재(2)는 상기 제1돌출부재(3)와 상기 제2돌출부재(4)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권취부재(2)에 상기 금속박(100)이 권취되면, 상기 제1돌출부재(3)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 중에서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권취부재(2)에 상기 금속박(100)이 권취되면, 상기 제2돌출부재(4)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 중에서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과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은 서로 반대되는 방향일 수 있다.
상기 권취부재(2), 상기 제1돌출부재(3), 및 상기 제2돌출부재(4)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금속박용 코어(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중공의 원통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권취부재(2), 상기 제1돌출부재(3), 및 상기 제2돌출부재(4)는 서로 동일한 외경(External Diameter)과 서로 동일한 내경(Internal Diameter)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권취부재(2), 상기 제1돌출부재(3), 및 상기 제2돌출부재(4)는 금속, 유리섬유, 레진, 플라스틱, 목재, 폴리머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제1돌출부재(3)는 상기 권취부재(2)로부터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돌출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권취부재(2)에 상기 금속박(100)이 권취되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돌출부재(3)는 상기 금속박(100)으로부터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금속박(100)이 권취된 본 발명에 따른 금속박용 코어(1)가 상기 수납장치에 수납되면, 상기 제1돌출부재(3)는 상기 수납장치가 갖는 제1지지부(미도시)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제1돌출부재(3)의 일단(3a)과 상기 제1돌출부재(3)의 타단(3b) 사이에 배치된 상기 제1돌출부재(3)의 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재(3)의 일단(3a)은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을 향하는 상기 제1돌출부재(3)의 끝단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재(3)의 타단(3b)은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 쪽을 향하는 상기 제1돌출부재(3)의 끝단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재(3)의 타단(3b)은 상기 권취부재(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재(3)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돌출부재(3)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중공의 원통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제2돌출부재(4)는 상기 권취부재(2)로부터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돌출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권취부재(2)에 상기 금속박(100)이 권취되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돌출부재(4)는 상기 금속박(100)으로부터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금속박(100)이 권취된 본 발명에 따른 금속박용 코어(1)가 상기 수납장치에 수납되면, 상기 제2돌출부재(4)는 상기 수납장치가 갖는 제2지지부(미도시)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제2돌출부재(4)의 일단(4a)과 상기 제2돌출부재(4)의 타단(4b) 사이에 배치된 상기 제2돌출부재(4)의 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돌출부재(4)의 일단(4a)은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 쪽을 향하는 상기 제2돌출부재(4)의 끝단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2돌출부재(4)의 타단(4b)은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을 향하는 상기 제2돌출부재(4)의 끝단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2돌출부재(4)의 타단(4b)은 상기 권취부재(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돌출부재(4)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돌출부재(4)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중공의 원통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금속박(100)이 권취된 상기 권취부재(2)에는 상기 금속박(100)의 하중이 운송과정에서 지속적으로 가해질 수 있다. 또한, 운송과정에서 발생되는 진동, 흔들림, 충격 등이 본 발명에 따른 금속박용 코어(1)에 전달됨에 따라 상기 권취부재(2)에 변형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권취부재(2)에 발생되는 처짐, 변형 등을 감소시키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금속박용 코어(1)는 제1유도홈(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제1유도홈(5)은 상기 제1돌출부재(3)에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유도홈(5)은 상기 제1돌출부재(3)의 양단(3a, 3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금속박용 코어(1)는 상기 금속박(100)의 하중, 운송과정에서 발생되는 진동, 흔들림, 충격 등에 의한 처침, 변형 등이 상기 제1유도홈(5)이 형성된 상기 제1돌출부재(3)의 부분에서 집중적으로 발생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유도홈(5)에 대해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된 상기 제1돌출부재(3)의 부분이 처짐, 변형 등에 의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기울어지는 각도가 증가되고, 상기 제1유도홈(5)에 대해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된 상기 제1돌출부재(3)의 부분이 처짐, 변형 등에 의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기울어지는 각도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금속박용 코어(1)는 상기 권취부재(2)에 발생되는 처짐, 변형 등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권취부재(2)에 권취된 금속박(100)에 발생되는 MD 버클(Machine Direction Buckle), 비틀림(Fusilli) 등과 같은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금속박용 코어(1)는 취급과 운송이 완료된 금속박(100)의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금속박(100)에 대한 취급작업과 운송작업의 안정성와 용이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제1유도홈(5)은 상기 제1돌출부재(3)에 소정 깊이로 형성된 홈(Groove)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도홈(5)이 형성된 상기 제1돌출부재(3)의 부분은, 상기 제1돌출부재(3)의 다른 부분보다 더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금속박용 코어(1)는 상기 제1유도홈(5)이 형성된 상기 제1돌출부재(3)의 부분에서 처짐, 변형 등이 집중적으로 발생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상기 권취부재(2)에 권취된 금속박(100)에 대한 불량률을 낮출 수 있다.
상기 제1유도홈(5)은 상기 제1돌출부재(3)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금속박용 코어(1)는 상기 제1유도홈(5)이 형성된 상기 제1돌출부재(3)의 부분에서 처짐, 변형 등이 더 집중적으로 발생하도록 유도할 수 있으므로, 상기 권취부재(2)에 권취된 금속박(100)에 대한 불량률을 더 낮출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재(3)의 원주방향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중심으로 하는 둘레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1유도홈(5)은 상기 제1돌출부재(3)의 원주방향을 따라 원형 고리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1돌출부재(3)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제1유도홈(5)이 복수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유도홈(5)들은 상기 제1돌출부재(3)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제1유도홈(5)은 0.1 이상 0.3 이하의 위치비율(PLLR)에 해당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위치비율(PLLR)은 아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상기 수학식 1에 있어서, AD는 상기 제1돌출부재(3)의 일단(3a)과 상기 제1유도홈(5)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이격된 거리[이하, '제1이격거리(51)'라 함]이다. 이 경우,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유도홈(5)이 너비를 갖는 형태이면, AD는 상기 제1돌출부재(3)의 일단(3a)과 상기 제1유도홈(5)의 너비의 가운데 지점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이격된 거리이다. PL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제1돌출부재(3)의 길이(31)[이하, '제1돌출부재(3)의 길이(31)'라 함]이다. 이러한 수학식 1에 따른 상기 위치비율(PLLR)은 상기 제1돌출부재(3)의 길이(31) 대비 상기 제1이격거리(51)의 비율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위치비율(PLLR)은 상기 제1유도홈(5)이 상기 제1돌출부재(3)의 길이(31)에 대비하여 상기 권취부재(2)에 권취된 금속박(100)에 얼마나 가깝게 배치되었는지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위치비율(PLLR)이 작을수록, 상기 제1유도홈(5)은 상기 금속박(100)으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1돌출부재(3)의 일단(3a)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됨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위치비율(PLLR)이 클수록, 상기 제1유도홈(5)은 상기 금속박(100)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1돌출부재(3)의 일단(3a)으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됨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1유도홈(5)이 0.1 이상 0.3 이하의 위치비율(PLLR)에 해당하는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금속박용 코어(1)는 자체적인 파손 내지 변형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상기 권취부재(2)에 권취된 금속박(100)에 대한 불량률을 낮출 수 있다. 이는 도 4의 실험결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도 4의 실험결과는 실시예들과 비교예들 각각의 금속박용 코어에 금속박(100)을 권취하여 상기 수납장치에 수납시킨 상태로 동일한 운송수단을 이용하여 동일한 운송시간 동인 운송한 이후에, 금속박용 코어와 금속박(100) 각각에 발생된 불량을 평가하여 도출된 것이다. 도 4에 있어서 비교예 1을 제외한 실시예들과 비교예들 각각은 상기 제1유도홈(5)과 제2유도홈(6)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제2유도홈(6)은 상기 제1유도홈(5)과 동일한 형태와 크기로 상기 제2돌출부재(4)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돌출부재(4)에서의 상기 제2유도홈(6)의 위치 및 상기 제1돌출부재(3)에서의 상기 제1유도홈(5)의 위치는 서로 대칭될 수 있다.
우선, 비교예 1은 상기 제1유도홈(5)이 없는 것으로, 실험을 수행한 결과 자체적인 상태가 양호하지만 상기 금속박(100)에 비틀림 불량과 MD 버클 불량이 발생되었다.
다음,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 각각은 상기 제1유도홈(5)이 0.1 이상 0.3 이하의 위치비율(PLLR)에 해당하는 위치에 배치된 것으로, 실험을 수행한 결과 자체적인 상태가 양호할 뿐만 아니라, 상기 금속박(100)의 상태도 양호하였다. 따라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 그리고 비교예 1에 대한 실험결과로부터, 상기 제1유도홈(5)이 0.1 이상 0.3 이하의 위치비율(PLLR)에 해당하는 위치에 배치된 것이 본 발명에 따른 금속박 코어(1) 자체에 대한 파손 내지 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금속박(10)에 대한 불량률도 낮출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 비교예 2는 상기 제1유도홈(5)이 0.05의 위치비율(PLLR)에 해당하는 위치에 배치된 것으로, 실험을 수행한 결과 자체적인 상태가 양호하지만 상기 금속박(100)에 비틀림 불량과 MD 버클 불량이 발생되었다. 비교예 2의 경우, 상기 제1유도홈(5)이 상기 제1돌출부재(3)의 일단(3a)에 너무 가깝게 배치됨에 따라 처짐, 변형 등이 상기 제1유도홈(5)이 형성된 상기 제1돌출부재(3)의 부분에 집중되지 못하고 상기 권취부재(2) 쪽으로 전달되었기 때문에 상기 금속박(100)에 불량이 발생된 것이다. 따라서, 비교예 2와 실시예 1, 2의 실험결과로부터, 상기 제1유도홈(5)이 0.1 미만의 위치비율(PLLR)에 해당하는 위치에 배치되면 상기 금속박(10)에 대한 불량률을 낮추기 어렵고, 상기 제1유도홈(5)이 0.1 이상의 위치비율(PLLR)에 해당하는 위치에 배치되어야 상기 금속박(10)에 대한 불량률을 낮출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 비교예 3은 상기 제1유도홈(5)이 0.4의 위치비율(PLLR)에 해당하는 위치에 배치된 것으로, 실험을 수행한 결과 자체적인 상태가 양호하지만 상기 금속박(100)이 이탈되었다. 비교예 3의 경우, 상기 제1유도홈(5)이 상기 금속박(100)에 너무 가깝게 배치됨에 따라 처짐, 변형 등이 집중된 상기 제1돌출부재(3)의 부분이 상기 금속박(100)에 너무 가깝게 배치되므로, 상기 금속박(100)이 상기 권취부재(2)로부터 이탈된 것이다. 따라서, 비교예 3과 실시예 3, 4의 실험결과로부터, 상기 제1유도홈(5)이 0.3 초과의 위치비율(PLLR)에 해당하는 위치에 배치되면 상기 금속박(10)이 이탈됨에 따라 불량이 발생될 수 있고, 상기 제1유도홈(5)이 0.3 이하의 위치비율(PLLR)에 해당하는 위치에 배치되어야 상기 금속박(10)에 대한 이탈을 방지하면서 불량률을 낮출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에 대한 실험결과,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에 대한 실험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금속박용 코어(1)는 상기 제1유도홈(5)이 0.1 이상 0.3 이하의 위치비율(PLLR)에 해당하는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자체적인 파손 내지 변형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상기 권취부재(2)에 권취된 금속박(100)에 대한 불량률을 낮출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금속박용 코어(1)는 상기 제1유도홈(5)을 이용하여 취급과 운송이 완료된 금속박(100)의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금속박(100)에 대한 취급작업과 운송작업의 안정성와 용이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학식 1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재(3)의 길이(31)는 아래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상기 수학식 2에 있어서, TL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박용 코어(1)의 전체 길이(11)이다(이하, '전체 길이(11)'라 함). 상기 전체 길이(1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제1돌출부재(3)의 길이(31), 상기 권취부재(2)의 길이(21), 및 상기 제2돌출부재(4)의 길이(41)를 모두 합산한 것과 동일할 수 있다. WL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권취부재(2)의 길이(21)[이하, '권취부재(2)의 길이(21)'라 함]이다. 상기 수학식 2에 따르면, 상기 위치비율(PLLR)은 상기 제1돌출부재(3)의 길이(31)와 상기 제2돌출부재(4)의 길이(41)가 서로 동일한 것을 전제로 하여 산출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재(3)의 길이(31)는 측정도구 내지 측정장비를 이용한 측정을 통해 획득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권취부재(2)의 길이(21)는 상기 권취부재(2)에 권취되는 금속박(100)의 폭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권취부재(2)의 길이(21)는 상기 전체 길이(11)에서 상기 제1돌출부재(3)의 길이(31)와 상기 제2돌출부재(4)의 길이(41)를 감산함으로써 산출될 수 있다. 상기 권취부재(2)의 길이(21)는 측정도구 내지 측정장비를 이용한 측정을 통해 획득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전체 길이(11)는 상기 제1돌출부재(3)의 길이(31), 상기 권취부재(2)의 길이(21), 및 상기 제2돌출부재(4)의 길이(41)를 모두 합산함으로써 산출될 수 있다. 상기 전체 길이(11)는 측정도구 내지 측정장비를 이용한 측정을 통해 획득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박용 코어(1)는 상기 전체 길이(11)가 300mm 이상 2,000mm 이하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도홈(5)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돌출부재(3)의 일단(3a)으로부터 20mm 이상 150mm 이하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이격거리(51)가 20mm 이상 150m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1이격거리(51)가 20mm 미만인 경우, 상기 제1유도홈(5)이 상기 제1돌출부재(3)의 일단(3a)에 너무 가깝게 배치됨에 따라 처짐, 변형 등이 상기 제1유도홈(5)이 형성된 상기 제1돌출부재(3)의 부분에 집중되지 못하고 상기 권취부재(2) 쪽으로 전달됨으로써, 상기 금속박(100)에 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제1이격거리(51)가 150mm 초과인 경우, 상기 제1유도홈(5)이 상기 금속박(100)에 너무 가깝게 배치됨에 따라 처짐, 변형 등이 집중된 상기 제1돌출부재(3)의 부분이 상기 금속박(100)에 너무 가깝게 배치되므로, 상기 금속박(100)이 상기 권취부재(2)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금속박용 코어(1)는 상기 제1이격거리(51)가 20mm 이상 150mm 이하로 구현됨으로써, 상기 금속박(100)에 대한 이탈을 방지하면서 불량률을 낮출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제1유도홈(5)은 0.1 이상 0.5 이하의 깊이비율(PDTR)에 해당하는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깊이비율(PDTR)은 아래 수학식 3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상기 수학식 3에 있어서, PD는 상기 제1돌출부재(3)의 두께(32)이다. 상기 제1돌출부재(3)가 중공의 원통형태로 형성된 경우, 상기 제1돌출부재(3)의 두께(32)는 중공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두께를 의미할 수 있다. GD는 상기 제1유도홈(5)의 깊이(52)이다. 상기 제1유도홈(5)의 깊이(5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수직한 단면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수학식 3에 따른 상기 깊이비율(PDTR)은 상기 제1돌출부재(3)의 두께(32) 대비 상기 제1유도홈(5)의 깊이(52)의 비율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깊이비율(PDTR)은 상기 제1유도홈(5)이 상기 제1돌출부재(3)의 두께(32)에 대비하여 얼마나 깊게 형성되었는지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깊이비율(PDTR)이 작을수록, 상기 제1유도홈(5)은 상기 제1돌출부재(3)의 두께(32)에 대비하여 더 얕은 깊이로 형성됨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깊이비율(PDRT)이 클수록, 상기 제1유도홈(5)은 상기 제1돌출부재(3)의 두께(32)에 대비하여 더 깊은 깊이로 형성됨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1유도홈(5)이 0.1 이상 0.5 이하의 깊이비율(PDTR)에 해당하는 깊이로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금속박용 코어(1)는 자체적인 파손 내지 변형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상기 권취부재(2)에 권취된 금속박(100)에 대한 불량률을 낮출 수 있다. 이는 도 4의 실험결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우선, 비교예 1은 상기 제1유도홈(5)이 없는 것으로, 실험을 수행한 결과 자체적인 상태가 양호하지만 상기 금속박(100)에 비틀림 불량과 MD 버클 불량이 발생되었다.
다음,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 각각은 상기 제1유도홈(5)이 0.1 이상 0.5 이하의 깊이비율(PDTR)에 해당하는 깊이로 형성된 것으로, 실험을 수행한 결과 자체적인 상태가 양호할 뿐만 아니라, 상기 금속박(100)의 상태도 양호하였다. 따라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 그리고 비교예 1에 대한 실험결과로부터, 상기 제1유도홈(5)이 0.1 이상 0.5 이하의 깊이비율(PDTR)에 해당하는 깊이로 형성된 것이 본 발명에 따른 금속박 코어(1) 자체에 대한 파손 내지 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금속박(10)에 대한 불량률도 낮출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 비교예 4는 상기 제1유도홈(5)이 0.05의 깊이비율(PDTR)에 해당하는 깊이로 형성된 것으로, 실험을 수행한 결과 자체적인 상태가 양호하지만 상기 금속박(100)에 비틀림 불량과 MD 버클 불량이 발생되었다. 비교예 4의 경우, 상기 제1유도홈(5)이 상기 제1돌출부재(3)의 두께(32)에 대비하여 너무 얕은 깊이로 형성됨에 따라 처짐, 변형 등이 상기 제1유도홈(5)이 형성된 상기 제1돌출부재(3)의 부분에 집중되지 못하고 상기 권취부재(2) 쪽으로 전달되었기 때문에 상기 금속박(100)에 불량이 발생된 것이다. 따라서, 비교예 4와 실시예 1의 실험결과로부터, 상기 제1유도홈(5)이 0.1 미만의 깊이비율(PDTR)에 해당하는 깊이로 형성되면 상기 금속박(10)에 대한 불량률을 낮추기 어렵고, 상기 제1유도홈(5)이 0.1 이상의 깊이비율(PDTR)에 해당하는 깊이로 형성되어야 상기 금속박(10)에 대한 불량률을 낮출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 비교예 5는 상기 제1유도홈(5)이 0.7의 깊이비율(PDTR)에 해당하는 깊이로 형성된 것으로, 실험을 수행한 결과 금속박용 코어가 파손되었다. 비교예 5의 경우, 상기 제1유도홈(5)이 상기 제1돌출부재(3)의 두께(32)에 대비하여 너무 깊은 깊이로 형성됨에 따라 금속박용 코어의 강성이 너무 약해지므로, 금속박용 코어가 파손된 것이다. 금속박용 코어가 파손됨에 따라 금속박(100)은 비틀림 불량과 MD 버클 불량을 평가할 수 없는 정도로 불량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비교예 5와 실시예 4의 실험결과로부터, 상기 제1유도홈(5)이 0.5 초과의 깊이비율(PDTR)에 해당하는 깊이로 형성되면 금속박용 코어가 파손될 수 있고, 상기 제1유도홈(5)이 0.5 이하의 깊이비율(PDTR)에 해당하는 깊이로 형성되어야 금속박용 코어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금속박(100)에 대한 불량률을 낮출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에 대한 실험결과, 및 비교예 1, 비교예 4와 비교예 5에 대한 실험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금속박용 코어(1)는 상기 제1유도홈(5)이 0.1 이상 0.5 이하의 깊이비율(PDTR)에 해당하는 깊이로 형성됨으로써, 자체적인 파손 내지 변형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상기 권취부재(2)에 권취된 금속박(100)에 대한 불량률을 낮출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금속박용 코어(1)는 상기 제1유도홈(5)을 이용하여 취급과 운송이 완료된 금속박(100)의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금속박(100)에 대한 취급작업과 운송작업의 안정성와 용이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재(3)의 두께(32)는 3mm 이상 100mm 이하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체 길이(11)는 300mm 이상 2,000mm 이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수학식 3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재(3)의 두께(32)는 아래 수학식 4를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상기 수학식 4에 있어서, OD는 상기 제1돌출부재(3)의 외경(321)이고, ID는 상기 제1돌출부재(3)의 내경(322)이다. 상기 수학식 4에 따르면, 상기 깊이비율(PDTR)은 상기 제1돌출부재(3)가 원주방향을 따라 동일한 두께(32)로 형성된 것을 전제로 하여 산출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재(3)의 두께(32)는 측정도구 내지 측정장비를 이용한 측정을 통해 획득될 수도 있다. 상기 제1돌출부재(3)의 내경(322)은 24mm 이상 200mm 이하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돌출부재(3)의 두께(32)가 3mm 이상 100mm 이하이고, 상기 전체 길이(11)가 300mm 이상 2,000m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1유도홈(5)은 3mm 이상 15mm 이하의 깊이(52)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유도홈(5)의 깊이(52)가 3mm 미만인 경우, 상기 제1유도홈(5)이 너무 얕은 깊이로 형성됨에 따라 처짐, 변형 등이 상기 제1유도홈(5)이 형성된 상기 제1돌출부재(3)의 부분에 집중되지 못하고 상기 권취부재(2) 쪽으로 전달됨으로써, 상기 금속박(100)에 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도홈(5)의 깊이(52)가 15mm 초과인 경우, 상기 제1유도홈(5)이 너무 깊은 깊이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1돌출부재(3)의 강도가 너무 약해지므로, 본 발명에 따른 금속박용 코어(1)가 파손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금속박용 코어(1)는 상기 제1유도홈(5)의 깊이(52)가 3mm 이상 15mm 이하로 구현됨으로써, 자체적인 파손을 방지하면서 상기 금속박(100)에 대한 이탈을 방지하면서 불량률을 낮출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유도홈(5)의 깊이(52)는 상기 권취부재(2)에 권취되는 상기 금속박(100)의 두께보다 더 크게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금속박(100)의 두께가 0.2㎛ 이상 5mm 이하인 경우, 상기 제1유도홈(5)의 깊이(52)는 5mm 초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제1유도홈(5)은 너비(53)가 깊이(52)보다 더 작게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유도홈(5)의 너비(53)는 상기 제1유도홈(5)의 깊이(52)보다 더 작다. 상기 제1유도홈(5)의 너비(53)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제1유도홈(5)의 너비(53)가 상기 제1유도홈(5)의 깊이(52)보다 더 큰 경우, 상기 제1유도홈(5)이 형성된 상기 제1돌출부재(3)의 부분의 강도가 너무 약해지므로, 상기 제1돌출부재(3)에 파손 내지 변형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금속박용 코어(1)는 상기 제1유도홈(5)의 너비(53)가 상기 제1유도홈(5)의 깊이(52)보다 더 작게 구현됨으로써, 상기 제1돌출부재(3)에 파손 내지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금속박(100)에 대한 불량률을 낮출 수 있다.
상기 제1유도홈(5)의 깊이(52)는 상기 제1유도홈(5)의 너비(53)의 2배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유도홈(5)은 가공깊이 대비 너비의 비율[이하, '제1너비비율'이라 함]이 0.5일 수 있다. 상기 제1너비비율은 상기 제1유도홈(5)의 너비(53)를 상기 제1유도홈(5)의 깊이(52)로 나누는 연산을 통해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너비비율은 상기 제1유도홈(5)이 깊이(52)에 대비하여 얼마나 넓은 너비(53)로 형성되었는지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1너비비율이 작을수록, 상기 제1유도홈(5)은 깊이(52)에 대비하여 더 좁은 너비로 형성됨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1너비비율이 클수록, 상기 제1유도홈(5)은 깊이(52)에 대비하여 더 넓은 너비로 형성됨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1유도홈(5)이 0.5의 제1너비비율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금속박용 코어(1)는 자체적인 파손 내지 변형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상기 권취부재(2)에 권취된 금속박(100)에 대한 불량률을 낮출 수 있다. 이는 도 4의 실험결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우선, 비교예 1은 상기 제1유도홈(5)이 없는 것으로, 실험을 수행한 결과 자체적인 상태가 양호하지만 상기 금속박(100)에 비틀림 불량과 MD 버클 불량이 발생되었다.
다음,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 각각은 상기 제1유도홈(5)이 0.5의 제1너비비율을 갖도록 형성된 것으로, 실험을 수행한 결과 자체적인 상태가 양호할 뿐만 아니라, 상기 금속박(100)의 상태도 양호하였다. 따라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 그리고 비교예 1에 대한 실험결과로부터, 상기 제1유도홈(5)이 0.5의 제1너비비율을 갖도록 형성된 것이 본 발명에 따른 금속박 코어(1) 자체에 대한 파손 내지 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금속박(10)에 대한 불량률도 낮출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 비교예 6은 상기 제1유도홈(5)이 0.3의 제1너비비율을 갖도록 형성된 것으로, 실험을 수행한 결과 자체적인 상태가 양호하지만 상기 금속박(100)에 비틀림 불량과 MD 버클 불량이 발생되었다. 비교예 6의 경우, 상기 제1유도홈(5)이 깊이(52)에 대비하여 너무 좁은 너비(53)로 형성됨에 따라 처짐, 변형 등이 상기 제1유도홈(5)이 형성된 상기 제1돌출부재(3)의 부분에 집중되지 못하고 상기 권취부재(2) 쪽으로 전달되었기 때문에 상기 금속박(100)에 불량이 발생된 것이다. 따라서, 비교예 6과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실험결과로부터, 상기 제1유도홈(5)이 0.5 미만의 제1너비비율을 갖도록 형성되면 상기 금속박(10)에 대한 불량률을 낮추기 어렵고, 상기 제1유도홈(5)이 0.5의 제1너비비율을 갖도록 형성되어야 상기 금속박(10)에 대한 불량률을 낮출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 비교예 7은 상기 제1유도홈(5)이 0.7의 제1너비비율을 갖도록 형성된 것으로, 실험을 수행한 결과 금속박용 코어가 변형되었다. 비교예 7의 경우, 상기 제1유도홈(5)이 깊이(52)에 대비하여 너무 넓은 너비로 형성됨에 따라 금속박용 코어의 강성이 너무 약해지므로, 금속박용 코어가 변형된 것이다. 금속박용 코어가 변형됨에 따라 금속박(100)에도 비틀림 불량과 MD 버클 불량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비교예 7과 실시예 4의 실험결과로부터, 상기 제1유도홈(5)이 0.5 초과의 제1너비비율을 갖도록 형성되면 금속박용 코어가 변형될 수 있고, 상기 제1유도홈(5)이 0.5의 제1너비비율을 갖도록 형성되어야 금속박용 코어의 변형을 방지하면서 금속박(100)에 대한 불량률을 낮출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에 대한 실험결과, 및 비교예 1, 비교예 6과 비교예 7에 대한 실험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금속박용 코어(1)는 상기 제1유도홈(5)이 0.5의 제1너비비율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자체적인 파손 내지 변형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상기 권취부재(2)에 권취된 금속박(100)에 대한 불량률을 낮출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금속박용 코어(1)는 상기 제1유도홈(5)을 이용하여 취급과 운송이 완료된 금속박(100)의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금속박(100)에 대한 취급작업과 운송작업의 안정성와 용이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3, 도 5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금속박용 코어(1)는 상기 제1유도홈(5)에 관해 여러 가지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상기 위치비율(PLLR), 상기 깊이비율(PDTR), 상기 제1너비비율 등을 만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유도홈(5)의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을 참고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제1유도홈(5)은 깊이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균일한 크기를 유지하면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실시예에 따른 제1유도홈(5)은 상기 깊이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균일한 너비를 유지하면서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실시예에 따른 제1유도홈(5)은 상기 단면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직사각형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제1유도홈(5)이 상기 제1돌출부재(3)의 외면(33)에 형성된 경우, 상기 깊이방향(DD 화살표 방향)은 상기 제1돌출부재(3)의 외면(33)에서 상기 제1돌출부재(3)의 내면(34)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재(3)의 외면(33)은 상기 제1돌출부재(3)의 외경(321)의 기준이 되는 면(面)이다. 상기 제1돌출부재(3)의 내면(34)은 상기 제1돌출부재(3)의 내경(322)의 기준이 되는 면(面)이다.
도 5와 도 6을 참고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제1유도홈(5)은 상기 깊이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크기가 감소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실시예에 따른 제1유도홈(5)은 상기 깊이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너비가 감소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제1유도홈(5)은 상기 깊이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크기가 감소되면서 끝단이 뾰족한 첨단(尖端)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실시예에 따른 제1유도홈(5)은 상기 단면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깊이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크기가 감소되는 삼각형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제1유도홈(5)은 상기 깊이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크기가 감소되면서 끝단이 뾰족한 평면(平面)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제2실시예에 따른 제1유도홈(5)은 상기 단면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깊이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크기가 감소되는 사다리꼴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돌출부재(3)의 외면(33)에서 상기 깊이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크기가 감소되게 형성된 제2실시예에 따른 제1유도홈(5)에 있어서, 상기 너비(53)는 상기 제1돌출부재(3)의 외면(33)에 접하는 부분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실시예에 따른 제1유도홈(5)의 최대 너비가 상기 너비(53)에 해당할 수 있다.
도 7과 도 8을 참고하면, 제3실시예에 따른 제1유도홈(5)은 제1모서리홈(54)을 포함할 수 있다. 제3실시예에 따른 제1유도홈(5)이 상기 제1돌출부재(3)의 외면(33)에 형성된 경우, 상기 제1모서리홈(54)은 상기 제1돌출부재(3)의 외면(33)에 연결되는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모서리홈(54)은 상기 깊이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크기가 감소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3실시예에 따른 제1유도홈(5)에 있어서 상기 제1모서리홈(54)이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상기 깊이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균일한 크기를 유지하면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실시예에 따른 제1유도홈(5)에 있어서, 상기 제1모서리홈(54)이 형성된 부분은 상기 깊이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너비가 감소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모서리홈(54)이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상기 깊이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균일한 너비를 유지하면서 연장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에 따른 제1유도홈(5)은 상기 제1모서리홈(54)이 형성된 부분이 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모서리홈(54)이 형성된 상기 제1돌출부재(3)의 부분은 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3실시예에 따른 제1유도홈(5)은 상기 단면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모서리홈(54)이 형성된 부분이 상기 깊이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크기가 감소되는 사다리꼴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모서리홈(54)이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사각형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모서리홈(54)은 상기 제1돌출부재(3)의 외면(32) 또는 내면(34)에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에 따른 제1유도홈(5)은 상기 제1모서리홈(54)이 형성된 부분이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모서리홈(54)이 형성된 상기 제1돌출부재(3)의 부분은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모서리홈(54)이 형성된 상기 제1돌출부재(3)의 부분은 상기 제1모서리홈(54) 쪽으로 볼록한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3실시예에 따른 제1유도홈(5)은 상기 단면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모서리홈(54)이 형성된 부분이 상기 깊이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크기가 감소되면서 오목한 곡면의 사다리꼴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모서리홈(54)이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사각형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제4실시예에 따른 제1유도홈(5)에는 제1완충부재(55)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완충부재(55)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완충부재(55)는 고무, 우레탄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완충부재(55)는 제4실시예에 따른 제1유도홈(5)이 형성된 상기 제1돌출부재(3)의 부분들에 발생되는 처짐, 변형 등을 완충 내지 흡수함으로써, 해당 처짐, 변형 등으로 인한 충격 등이 상기 금속박(100)에 전달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완충부재(55)는 제4실시예에 따른 제1유도홈(5)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에는 제4실시예에 따른 제1유도홈(5)과 상기 제1완충부재(55)가 상기 단면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직사각형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4실시예에 따른 제1유도홈(5)과 상기 제1완충부재(55)는 상기 단면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 형태의 단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꼴 형태의 단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꼴 형태와 사각형 형태가 조합된 단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면이 오목한 사다리꼴 형태와 사각형 형태가 조합된 단면 등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 도 3,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유도홈(5)은 상기 제1돌출부재(3)의 외면(33)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유도홈(5)은 상기 제1돌출부재(3)의 외면(33)에서 상기 제1돌출부재(3)의 내면(34)을 향하는 깊이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제1유도홈(5)은 상기 제1돌출부재(3)의 내면(34)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유도홈(5)은 상기 제1돌출부재(3)의 내면(34)에서 상기 제1돌출부재(3)의 외면(33)을 향하는 깊이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도홈(5)이 상기 제1돌출부재(3)의 외면(33)에 형성된 경우보다, 상기 제1유도홈(5)이 상기 제1돌출부재(3)의 내면(34)에 형성된 경우에 더 큰 단면 2차 모멘트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금속박용 코어(1)는 더 높은 강성을 갖출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돌출부재(3)의 내면(34)에 형성된 제1유도홈(5)에 대해서도, 상술한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금속박용 코어(1)는 상기 제1유도홈(5)을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유도홈들(5, 5')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금속박용 코어(1)는 상기 제1유도홈들(5, 5')이 형성된 상기 제1돌출부재(3)의 부분들로 처짐, 변형 등을 분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금속박용 코어(1)는 상기 금속박(100)에 대한 불량률을 낮출 수 있으면서도 상기 제1돌출부재(3)가 손상 내지 파손될 위험을 더 낮출 수 있다. 상기 제1유도홈들(5, 5')은 상기 제1돌출부재(3)의 외면(33) 또는 상기 제1돌출부재(3)의 내면(34)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도홈들(5, 5')은 상기 제1돌출부재(3)의 외면(33) 및 상기 제1돌출부재(3)의 내면(34)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금속박용 코어(1)는 상기 제2유도홈(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유도홈(6)은 상기 제2돌출부재(4)에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유도홈(6)은 상기 제2돌출부재(4)의 양단(4a, 4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금속박용 코어(1)는 상기 제2유도홈(6)과 상기 제1유도홈(5)을 이용하여 상기 금속박(100)의 하중, 운송과정에서 발생되는 진동, 흔들림, 충격 등에 의한 처침, 변형 등이 상기 제2유도홈(6)이 형성된 상기 제2돌출부재(4)의 부분과 상기 제1유도홈(5)이 형성된 상기 제2돌출부재(4)의 부분에서 집중적으로 발생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유도홈(6)이 형성된 상기 제2돌출부재(4)의 부분과 상기 제1유도홈(5)이 형성된 상기 제1돌출부재(3)의 부분에서 상호 간에 대략 일치하는 처짐, 변형 등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금속박용 코어(1)는 처짐, 변형 등으로 인해 상기 권취부재(2)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각도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금속박(100)에 대한 불량률을 낮출 수 있다.
상기 제2유도홈(6)은 상기 제2돌출부재(4)에 소정 깊이로 형성된 홈(Groove)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유도홈(6)이 형성된 상기 제2돌출부재(4)의 부분은, 상기 제2돌출부재(4)의 다른 부분보다 더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금속박용 코어(1)는 상기 제2유도홈(6)이 형성된 상기 제2돌출부재(4)의 부분에서 처짐, 변형 등이 집중적으로 발생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제2유도홈(6)은 상기 제2돌출부재(4)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금속박용 코어(1)는 상기 제2유도홈(6)이 형성된 상기 제2돌출부재(4)의 부분에서 처짐, 변형 등이 더 집중적으로 발생하도록 유도할 수 있으므로, 상기 권취부재(2)에 권취된 금속박(100)에 대한 불량률을 더 낮출 수 있다. 상기 제2돌출부재(4)의 원주방향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중심으로 하는 둘레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2유도홈(6)은 상기 제2돌출부재(4)의 원주방향을 따라 원형 고리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2돌출부재(4)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제2유도홈(6)이 복수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유도홈(6)들은 상기 제2돌출부재(4)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유도홈(6)이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 쪽을 향하는 상기 제2돌출부재(4)의 일단(4a)으로부터 이격된 거리(61, 도 2에 도시됨)[이하, '제2이격거리(61)'라 함] 및 상기 제1이격거리(51)는 서로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금속박용 코어(1)는 상기 권취부재(2)의 양측 쪽에서 대략 일치하는 처짐, 변형 등이 발생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금속박용 코어(1)는 상기 권취부재(2)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각도를 더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금속박(100)에 대한 불량률을 더 낮출 수 있다.
상기 제2유도홈(6)은 0.1 이상 0.3 이하의 위치비율에 해당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유도홈(6)의 위치비율은 상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학식 1에서, AD는 상기 제2이격거리(61)이고, PL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제2돌출부재(4)의 길이(41)[이하, '제2돌출부재(4)의 길이(41)'라 함]이다. 이러한 수학식 1에 따른 상기 위치비율(PLLR)은 상기 제2돌출부재(4)의 길이(41) 대비 상기 제2이격거리(61)의 비율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2유도홈(6)의 위치비율과 상기 제1유도홈(5)의 위치비율은 서로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유도홈(6)의 위치비율에 있어서, 상기 제2돌출부재(4)의 길이(41)는 상기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상기 제2돌출부재(4)의 길이(41)와 상기 제1돌출부재(3)의 길이(31)는 서로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유도홈(6)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돌출부재(4)의 일단(4a)으로부터 20mm 이상 150mm 이하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2이격거리(61)가 20mm 이상 150mm 이하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제2유도홈(6)의 깊이(62)와 상기 제1유도홈(5)의 깊이(52)는 서로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유도홈(6)과 상기 제1유도홈(5)은 서로 동일한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금속박용 코어(1)는 상기 권취부재(2)의 양측 쪽에서 대략 일치하는 처짐, 변형 등이 발생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제2유도홈(6)은 0.1 이상 0.5 이하의 깊이비율에 해당하는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유도홈(6)의 깊이비율은 상기 수학식 3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학식 3에 있어서, PD는 상기 제2돌출부재(4)의 두께(42)이고, GD는 상기 제2유도홈(6)의 깊이(62)이다. 이러한 수학식 3에 따른 상기 제2유도홈(6)의 깊이비율은 상기 제2돌출부재(4)의 두께(42) 대비 상기 제2유도홈(6)의 깊이(62)의 비율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2유도홈(6)의 깊이비율과 상기 제1유도홈(5)의 깊이비율은 서로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유도홈(6)의 위치비율에 있어서, 상기 제2돌출부재(4)의 길이(41)는 상기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상기 제2돌출부재(4)의 길이(41)와 상기 제1돌출부재(3)의 길이(31)는 서로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학식 3에 있어서, 상기 제2돌출부재(4)의 두께(42)는 상기 수학식 4를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학식 4에 있어서, OD는 상기 제2돌출부재(4)의 외경(421)이고, ID는 상기 제2돌출부재(4)의 내경(422)이다. 상기 제2돌출부재(4)의 두께(42)와 상기 제1돌출부재(3)의 두께(32)는 서로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제2유도홈(6)은 너비(63)가 깊이(62)보다 더 작게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유도홈(6)의 너비(63)는 상기 제2유도홈(6)의 깊이(62)보다 더 작다. 상기 제2유도홈(6)의 너비(63)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제2유도홈(6)의 깊이(62)는 상기 제2유도홈(6)의 너비(63)의 2배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유도홈(6)은 가공깊이 대비 너비의 비율[이하, '제2너비비율'이라 함]이 0.5일 수 있다. 상기 제2너비비율은 상기 제2유도홈(6)의 너비(63)를 상기 제2유도홈(6)의 깊이(62)로 나누는 연산을 통해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너비비율은 상기 제2유도홈(6)이 깊이(62)에 대비하여 얼마나 넓은 너비(63)로 형성되었는지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2유도홈(6)이 0.5의 제2너비비율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금속박용 코어(1)는 자체적인 파손 내지 변형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상기 권취부재(2)에 권취된 금속박(100)에 대한 불량률을 낮출 수 있다.
상기 제2유도홈(6)의 너비(63)와 상기 제1유도홈(5)의 너비(53)는 서로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유도홈(6)과 상기 제1유도홈(5)은 서로 동일한 너비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금속박용 코어(1)는 상기 권취부재(2)의 양측 쪽에서 대략 일치하는 처짐, 변형 등이 발생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제2유도홈(6)과 상기 제1유도홈(5)은 서로 동일한 깊이로 형성됨과 아울러 서로 동일한 너비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유도홈(6)은 상술한 제1유도홈(5)의 실시예들과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유도홈(6)은 상기 단면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 형태의 단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꼴 형태의 단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꼴 형태와 사각형 형태가 조합된 단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면이 오목한 사다리꼴 형태와 사각형 형태가 조합된 단면 등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을 참고하면, 제2유도홈(6)에는 제2완충부재(64)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완충부재(64)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완충부재(64)는 고무, 우레탄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완충부재(64)는 제2유도홈(6)이 형성된 상기 제2돌출부재(4)의 부분들에 발생되는 처짐, 변형 등을 완충 내지 흡수함으로써, 해당 처짐, 변형 등으로 인한 충격 등이 상기 금속박(100)에 전달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완충부재(64)는 상기 제2유도홈(6)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3에는 상기 제2유도홈(6)과 상기 제2완충부재(64)가 상기 단면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직사각형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2유도홈(6)과 상기 제2완충부재(64)는 상기 단면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 형태의 단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꼴 형태의 단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꼴 형태와 사각형 형태가 조합된 단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면이 오목한 사다리꼴 형태와 사각형 형태가 조합된 단면 등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꼴 형태와 사각형 형태가 조합된 단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면이 오목한 사다리꼴 형태와 사각형 형태가 조합된 단면 등을 갖도록 형성된 경우, 상기 제2유도홈(6)은 제2모서리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모서리홈은 상기 제1모서리홈(54)과 대략 일치하게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유도홈(6)은 상기 제2돌출부재(4)의 외면(43)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돌출부재(4)의 외면(43)은 상기 제2돌출부재(4)의 외경(421, 도 2에 도시됨)의 기준이 되는 면(面)이다. 이 경우, 상기 제2유도홈(6)은 상기 제2돌출부재(4)의 외면(43)에서 상기 제2돌출부재(4)의 내면(44)을 향하는 깊이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돌출부재(4)의 내면(44)은 상기 제2돌출부재(4)의 내경(422, 도 2에 도시됨)의 기준이 되는 면(面)이다.
도 14를 참고하면, 상기 제2유도홈(6)은 상기 제2돌출부재(4)의 내면(44)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유도홈(6)은 상기 제2돌출부재(4)의 내면(44)에서 상기 제2돌출부재(4)의 외면(43)을 향하는 깊이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유도홈(6)이 상기 제2돌출부재(4)의 외면(43)에 형성된 경우보다, 상기 제2유도홈(6)이 상기 제2돌출부재(4)의 내면(44)에 형성된 경우에 더 큰 단면 2차 모멘트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금속박용 코어(1)는 더 높은 강성을 갖출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돌출부재(4)의 내면(44)에 형성된 제2유도홈(6)은 상기 단면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태의 단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 형태의 단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꼴 형태의 단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꼴 형태와 사각형 형태가 조합된 단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면이 오목한 사다리꼴 형태와 사각형 형태가 조합된 단면 등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돌출부재(4)의 내면(44)에 형성된 제2유도홈(6)에는 상기 제2완충부재(64)가 삽입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금속박용 코어(1)는 상기 제2유도홈(6)을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2유도홈(6)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금속박용 코어(1)는 상기 제2유도홈(6)이 형성된 상기 제2돌출부재(4)의 부분들로 처짐, 변형 등을 분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금속박용 코어(1)는 상기 금속박(100)에 대한 불량률을 낮출 수 있으면서도 상기 제2돌출부재(4)가 손상 내지 파손될 위험을 더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박용 코어(1)는 상기 제2유도홈(6)들의 개수와 상기 제1유도홈(5)들의 개수가 서로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유도홈(6)들은 상기 제2돌출부재(4)의 외면(43) 또는 상기 제2돌출부재(4)의 내면(44)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유도홈(6)들은 상기 제2돌출부재(3)의 외면(43) 및 상기 제2돌출부재(4)의 내면(44)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금속박용 코어 2 : 권취부재
21 : 권취부재의 길이 3 : 제1돌출부재
3a : 제1돌출부재의 일단 3b : 제1돌출부재의 타단
31 : 제1돌출부재의 길이 32 : 제1돌출부재의 두께
321 : 제1돌출부재의 외경 322 : 제1돌출부재의 내경
33 : 제1돌출부재의 외면 34 : 제1돌출부재의 내면
4 : 제2돌출부재 4a : 제2돌출부재의 일단
4b : 제2돌출부재의 타단 41 : 제2돌출부재의 길이
42 : 제2돌출부재의 두께 421 : 제2돌출부재의 외경
422 : 제2돌출부재의 내경 43 : 제2돌출부재의 외면
44 : 제2돌출부재의 내면 5 : 제1유도홈
51 : 제1이격거리 52 : 제1유도홈의 깊이
53 : 제1유도홈의 너비 54 : 제1모서리홈
55 : 제1 완충부재 6 : 제2유도홈
61 : 제2이격거리 62 : 제2유도홈의 깊이
63 : 제2유도홈의 너비 64 : 제2완충부재
100 : 금속박

Claims (20)

  1. 금속박(100)이 권취되는 권취부재(2);
    제1축방향(X축 방향) 중에서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상기 권취부재(2)로부터 돌출된 제1돌출부재(3);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 중에서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상기 권취부재(2)로부터 돌출된 제2돌출부재(4); 및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돌출부재(3)의 양단(3a, 3b)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돌출부재(3)에 형성된 제1유도홈(5)을 포함하는 금속박용 코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도홈(5)은 0.1 이상 0.3 이하의 위치비율에 해당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위치비율은,

    을 이용하여 산출되되,
    PLLR은 위치비율이고, AD는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을 향하는 상기 제1돌출부재(3)의 일단(3a)과 상기 제1유도홈(5)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이격된 제1이격거리(51)이며, PL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제1돌출부재(3)의 길이(3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박용 코어.
  3. 제2항에 있어서,
    PL은,

    을 이용하여 산출되되,
    TL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금속박용 코어의 전체 길이(11)이고, WL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권취부재(2)의 길이(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박용 코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도홈(5)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을 향하는 상기 제1돌출부재(3)의 일단(3a)으로부터 20mm 이상 150mm 이하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박용 코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도홈(5)은 0.1 이상 0.5 이하의 깊이비율에 해당하는 깊이(52)로 형성되고,
    상기 깊이비율은,

    을 이용하여 산출되되,
    PDTR은 깊이비율이고, PD는 상기 제1돌출부재(3)의 두께(32)이며, GD는 상기 제1유도홈(5)의 깊이(5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박용 코어.
  6. 제5항에 있어서,
    PD는,

    를 이용하여 산출되되,
    OD는 상기 제1돌출부재(3)의 외경(321)(External Diameter)이고, ID는 상기 제2돌출부재(4)의 내경(322)(Internal Diamet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박용 코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제1유도홈(5)의 너비(53)는, 상기 제1유도홈(5)의 깊이(52)보다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박용 코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도홈(5)의 깊이(5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제1유도홈(5)의 너비(53)의 2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박용 코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도홈(5)의 깊이(52)는 상기 권취부재(2)에 권취되는 금속박(100)의 두께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박용 코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도홈(5)은 상기 제1돌출부재(3)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박용 코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재(3)에는 상기 제1유도홈(5)이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제1유도홈(5)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박용 코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도홈(5)은 깊이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크기가 감소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박용 코어.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도홈(5)은 상기 제1돌출부재(3)의 외면(33) 또는 상기 제1돌출부재(3)의 내면(34)에 연결되는 모서리에 형성된 제1모서리홈(54)을 포함하고,
    상기 제1모서리홈(54)은 깊이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크기가 감소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박용 코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서리홈(54)이 형성된 상기 제1돌출부재(3)의 부분은 경사면 또는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박용 코어.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도홈(5)에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제1완충부재(55)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박용 코어.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도홈(5)은 상기 제1돌출부재(3)의 외면(33)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박용 코어.
  17.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도홈(5)은 상기 제1돌출부재(3)의 내면(34)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박용 코어.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돌출부재(4)의 양단(4a, 4b)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2돌출부재(4)에 형성된 제2유도홈(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박용 코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을 향하는 상기 제1돌출부재(3)의 일단(3a)으로부터 상기 제1유도홈(5)이 이격된 제1이격거리(51), 및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 쪽을 향하는 상기 제2돌출부재(4)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2유도홈(6)이 이격된 제2이격거리(61)는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박용 코어.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도홈(6)과 상기 제1유도홈(5)은 서로 동일한 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동일한 너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박용 코어.
KR1020220149161A 2022-11-10 2022-11-10 금속박용 코어 KR20240068102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310268240.9A CN118004839A (zh) 2022-11-10 2023-03-15 金属箔用卷芯
EP23169726.9A EP4368551A1 (en) 2022-11-10 2023-04-25 Metal foil core
JP2023072283A JP2024070204A (ja) 2022-11-10 2023-04-26 金属箔用コア
CA3197907A CA3197907A1 (en) 2022-11-10 2023-04-26 Metal foil core
US18/216,296 US20240158157A1 (en) 2022-11-10 2023-06-29 Metal foil co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8102A true KR20240068102A (ko) 2024-05-17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2468B2 (en) Antenna connection device
JP5424002B2 (ja) ガラス板用梱包装置
US20190393456A1 (en) Battery module housing to which electromagnetic pulse bonding technology is applie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104465034A (zh) 线圈装置
KR20210049115A (ko) 증착 마스크 중간체, 증착 마스크, 및 증착 마스크의 제조 방법
JP2017122284A (ja) 連続メッキ装置
KR20240068102A (ko) 금속박용 코어
US20240158157A1 (en) Metal foil core
US11017956B2 (en) Capaci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210122278U (zh) 保持体、保持体单元以及保持体单元的集合体
US20220010450A1 (en) Ni-COAT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AFTER WORK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Ni-COATED STEEL SHEET
KR20210001105U (ko) 동박용 수납장치
WO2014112444A1 (ja) ガラス板収納体及び化学強化ガラスの製造方法
JP2009166991A (ja) 精密平角線巻取り用ボビン及び太陽電池の製造方法
JP2019057728A (ja) 電解コンデンサ用のリード線端子、及び電解コンデンサ
KR100418548B1 (ko) 칼라음극선관과 마스크프레임
US20210090783A1 (en) Coil structure
CN113071900B (zh) 基板传送装置
JP4681029B2 (ja) 枚葉基板の移載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ハンド
JP4320235B2 (ja) 極細金属線巻取用リール
CN214237135U (zh) 一种定位支座
CN220999816U (zh) 水平石墨舟
CN211646960U (zh) 一种承压方钢
US20240047697A1 (en) Lead Foil And Bipolar Lead Acid Storage Battery
CN216213300U (zh) 一种石墨舟片及石墨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