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7584A - 아날로그 공동 현관폰의 인터넷 연동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아날로그 공동 현관폰의 인터넷 연동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7584A
KR20240067584A KR1020220148776A KR20220148776A KR20240067584A KR 20240067584 A KR20240067584 A KR 20240067584A KR 1020220148776 A KR1020220148776 A KR 1020220148776A KR 20220148776 A KR20220148776 A KR 20220148776A KR 20240067584 A KR20240067584 A KR 202400675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all
information
user terminal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8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창하
Original Assignee
최창하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창하 filed Critical 최창하
Publication of KR20240067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75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2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bell or annunciator systems
    • H04M11/025Door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Abstract

실시예들은 아날로그 공동 현관폰의 인터넷 연동 제어 방법에 있어서, 장치가 공동 현관폰으로부터 호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호출 정보에 포함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응답을 획득하여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아날로그 공동 현관폰의 인터넷 연동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ANALOG COMMON DOOR PHONE'S INTERNET INTERLOCKING CONTROL}
실시예들은 아날로그 공동 현관폰의 인터넷 연동 제어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아파트와 같은 공동 건물에서 세대 인터폰과 공동 현관문, 경비실 등의 연결과 세대 내 각종 전자 기기나 센서들과도 통합 연결되어 설계된다. 특히,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외부 휴대폰과의 연결도 가능하다. 신규 아파트 등의 공동 건물에는 자체 서버를 구비하여 서버를 통해 각종 통합 제어가 가능하며, 외부 휴대폰과도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기존의 아파트들은 주로 아날로그 신호선의 체계로 구성되어 세대 인터폰에서만 경비실 연결과 공동 현관문 열림 제어 등이 가능할 뿐, 더 이상의 기능 확장이 불가한 실정이다. 상술한 점을 고려하면, 기존의 공동 건물에서도 이러한 원격 통합 제어가 필요할 수 있으며, 하기에서는 이를 위한 방법 및 장치에 대해 서술한다.
한국등록특허 제 10-1586831
본 명세서는 아날로그 공동 현관폰의 인터넷 연동 제어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명세서는 서버 및 그 밖의 디지털 연결을 구비하지 못한 기존의 공동 건물에 대해 인터넷 연동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홈 오토메이션 공동 현관폰과 인터넷 연동 장치를 연결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음성/영상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구별하여 인터넷 연동 장치를 통해 공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하기에서 설명하는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도출될 수 있는 다양한 사항들로 확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아날로그 공동 현관폰의 인터넷 연동 제어 방법에 있어서, 장치가 공동 현관폰으로부터 호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호출 정보에 포함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응답을 획득하여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아날로그 공동 현관폰의 인터넷 연동 제어를 수행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시스템은 공동 건물 내의 각 세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월패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월패드와 내부 망에 기초하여 연결된 공동 현관폰, 공동 현관폰과 유선망을 통해 연결되는 장치 및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되, 장치는 공동 현관폰으로부터 호출 정보를 획득하고, 장치가 호출 정보에 포함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및 장치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응답을 획득하여 공동 현관폰, 장치 및 사용자 단말의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다음의 사항들은 공동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공동 현관폰은 외부망을 구비하지 않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월패드와 내부 망을 통해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월패드 중 제1 월패드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호출 정보를 수신하면 제1 월패드로 호출 정보를 전달하되, 장치는 공동 현관폰과 유선 망으로 연결되어 호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호출 정보는 영상, 음성 데이터 및 명령 제어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되, 영상, 음성 데이터는 공동 현관폰에 부착된 마이크 및 카메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획득되는 데이터이고, 명령 제어 데이터는 통화 관련 커맨드, 통화 목적 대상 및 통화 관련 릴레이 제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되, 통화 관련 커맨드는 통화 호출, 통화 연결, 문 열림, 호출취소 및 통화종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고, 통화 목적 대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월패드 각각에 대응하는 통화 대상 정보를 포함하고, 통화 관련 릴레이 제어는 데이터 채널 관련한 릴레이 제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호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영상, 음성 데이터에 대한 전송 경로와 명령 제어 데이터에 대한 전송 경로는 상이하게 설정되되, 영상, 음성 데이터는 인터넷 통화 A/D 컨버터 제어부에 기초하여 A/D 컨버터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 전달되고, 명령 제어 데이터는 플랫폼 서버 인터넷 통신 제어부에 기초하여 플랫폼 서버 통신부를 통해 무선 프로토콜 형태로 사용자 단말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호출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월패드 각각에 대한 식별 정보 및 데이터 타입에 기초하여 암호화된 코드로 공동 현관폰에서 장치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월패드 각각에 대한 식별 정보는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고,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월패드 각각에 대한 식별 정보와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에 대한 매핑 테이블을 저장하고, 장치는 매핑 테이블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장치는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로 호출 정보에 따른 영상, 음성 데이터 및 명령 제어 데이터 모두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장치는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에 대한 우선순위 정보에 기초하여 호출 정보에 따른 영상, 음성 데이터 및 명령 제어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장치가 사용자 단말로 호출 정보에 따른 영상, 음성 데이터 및 명령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공동 현관폰은 호출 정보에 포함된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월패드로 호출 정보에 따른 영상, 음성 데이터 및 명령 제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장치가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공동 현관폰은 호출 정보에 포함된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월패드로 호출 정보에 따른 영상, 음성 데이터 및 명령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고, 장치는 호출 정보에 따른 영상, 음성 데이터 및 명령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영상, 음성 데이터만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장치가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공동 현관폰은 호출 정보에 포함된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월패드로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고, 장치만 호출 정보에 따른 영상, 음성 데이터 및 명령 제어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아날로그 공동 현관폰의 인터넷 연동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서버 및 그 밖의 디지털 연결을 구비하지 못한 기존의 공동 건물에 대해 인터넷 연동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홈 오토메이션 공동 현관폰과 인터넷 연동 장치를 연결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음성/영상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구별하여 인터넷 연동 장치를 통해 공유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하기에서 설명하는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도출될 수 있는 다양한 사항들로 확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효과는 위 기재된 사항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아래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는 다양한 내용들로 확장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동작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팅 장치(20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아날로그 공동 현관폰의 인터넷 연동 제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장치 제어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식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식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공동 현관폰의 아날로그 신호를 검출하여 연결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사용자에게 인터넷 연동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사용자에게 인터넷 연동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c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사용자에게 인터넷 연동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월패드와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연결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월패드와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연결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c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월패드와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연결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아날로그 공동 현관폰의 인터넷 연동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관계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간접적인 연결관계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구성요소들간의 순서 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범위 내에서 실시예에서의 제1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제2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고, 마찬가지로 실시예에서의 제2 구성요소를 다른 실시예에서 제1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있어서, 서로 구별되는 구성요소들은 각각의 특징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분리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즉, 복수의 구성요소가 통합되어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하나의 구성요소가 분산되어 복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이와 같이 통합된 또는 분산된 실시예도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네트워크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는 디바이스와 시스템 및 디바이스 상호 간의 데이터 교환이 수행될 수 있는 통신망을 의미할 수 있으며, 특정 네트워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는 전적으로 하드웨어이거나,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이거나, 또는 전적으로 소프트웨어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unit)", "장치" 또는 "시스템" 등은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또는 소프트웨어 등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부, 모듈, 장치 또는 시스템 등은 실행중인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object), 실행 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program), 및/또는 컴퓨터(computer)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컴퓨터에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및 컴퓨터의 양쪽이 모두 본 명세서의 부, 모듈, 장치 또는 시스템 등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HMD(Head Mounted Display)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PC나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가전처럼 고정된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디바이스는 차량 내 클러스터 또는 IoT (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일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디바이스는 어플리케이션 동작이 가능한 기기들을 지칭할 수 있으며, 특정 타입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어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기기를 디바이스로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네트워크의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각 구성요소간 연결이 동일한 네트워크 방식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 네트워크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 위성망 등)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객체와 객체가 네트워킹 할 수 있는 모든 통신 방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선 통신, 무선 통신, 3G, 4G, 5G, 혹은 그 이외의 방법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유선 및/또는 네트워크는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GSM(Global System for Mobile Network),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LTE Advanced, IEEE802.16m, WirelessMAN-Advanced, HSPA+,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Mobile WiMAX (IEEE 802.16e), UMB (formerly EV-DO Rev. C), Flash-OFDM, iBurst and MBWA (IEEE 802.20) systems, HIPERMAN, Beam-Division Multiple Access (BDMA),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및 초음파 활용 통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법에 의한 통신 네트워크를 지칭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필수적인 구성요소들은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는 선택적인 구성요소일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의 부분집합으로 구성되는 실시예도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에 추가적으로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도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된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동작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110-1, 110-2), 하나 이상의 서버(120, 130, 140)가 네트워크(1)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도 1은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례로 사용자 디바이스의 수나 서버의 수가 도 1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110-1, 110-2)는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110-1, 110-2)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내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게임 콘솔(game console),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 VR(virtual reality) 디바이스, AR(augmented reality) 디바이스 등이 있다. 일례로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디바이스(110)는 실질적으로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를 통해 다른 서버들(120 - 140)과 통신할 수 있는 다양한 물리적인 컴퓨터 시스템들 중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각 서버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110-1, 110-2)와 네트워크(1)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콘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네트워크(1)를 통해 접속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110-1, 110-2)로 각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서버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110-1, 110-2)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목적하는 서비스(일례로, 정보 제공 등)를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110-1, 110-2)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버는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구동을 위한 파일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110-1, 110-2)로 배포하고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해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팅 장치(20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러한 컴퓨팅 장치(200)는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110-1, 110-2) 또는 서버(120-140)에 적용될 수 있으며, 각 장치와 서버들은 일부 구성요소를 더 하거나 제외하여 구성됨으로써 동일하거나 유사한 내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200)는 메모리(210), 프로세서(220), 통신 모듈(230) 그리고 송수신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0)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디스크 드라이브, SSD(solid state drive),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ROM, SSD,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는 메모리(210)와는 구분되는 별도의 영구 저장 장치로서 상술한 장치나 서버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210)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일례로 사용자 디바이스(110) 등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브라우저나 특정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사용자 디바이스(110) 등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10)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230)을 통해 메모리(210)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일례로, 상술한 서버)이 네트워크(1)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일례로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메모리(210)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10) 또는 통신 모듈(230)에 의해 프로세서(220)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1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230)은 네트워크(1)를 통해 사용자 기기(110)와 서버(120 -140)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장치(110) 및/또는 서버(120 - 140) 각각이 다른 전자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송수신부(240)는 외부 입력/출력장치(미도시)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입력장치는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로폰, 카메라 등의 장치를, 그리고 외부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햅틱 피드백 디바이스(haptic feedback device) 등과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송수신부(240)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컴퓨팅 장치(200)는 적용되는 장치의 성질에 따라서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200)가 사용자 디바이스(110)에 적용되는 경우 상술한 입출력 장치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카메라,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사용자 디바이스가 스마트폰인 경우,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 포함하고 있는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 센서, 카메라 모듈, 각종 물리적인 버튼, 터치패널을 이용한 버튼, 입출력 포트, 진동을 위한 진동기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하기에서 도 1 및 도 2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컴퓨팅 장치를 기준으로 서술한다. 여기서, 일 예로, 하기에서 서술하는 아날로그 공동 현관폰의 인터넷 연동 제어 장치(이하, 장치)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장치 또는 서버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장치는 도 2의 컴퓨팅 장치(200)가 포함하는 구성들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또한, 장치는 도 2의 컴퓨팅 장치(200)에 대한 구성에 추가로 다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해서는 후술한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아날로그 공동 현관폰의 인터넷 연동 제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아날로그 공동 현관폰의 인터넷 연동 제어 장치(300, 이하 장치)는 기존의 공동건물의 공동 현관폰(400)과 연동될 수 있다. 일 예로, 공동 현관폰(400)은 아날로그 신호에 기초하여 음성 및 영상 데이터를 월패드로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동 현관폰(400)에서 사용자 입력을 디텍트하면 대응되는 세대의 월패드로 음성 및 영상 데이터가 전달될 수 있다. 즉, 공동 건물에 방문한 사람이 공동 현관폰(400)을 통해 세대를 호출하면 세대에 대응하는 월패드로 음성/영상 데이터가 전달될 수 있다. 그 후, 월패드에서 세대 정보, 문열기, 통화시작, 종료, 벨 및 그 밖의 명령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이에 기초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공동 현관폰(400)은 내부 망에 기초하여 공동 건물 내의 각 세대에 부착되어 있는 장치로서 월패드만 연결될 뿐 외부와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월패드(510, 520, 530)는 공동 건물 내의 각 세대 내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예로, 월패드(510, 520, 530)는 공동 현관폰(400)과 연결되어 공동 현관폰(400)으로부터 음성 및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기존 공동 건물로서 공동 현관폰(400) 및 각 세대별 월패드(510, 520, 530)를 구비한 건물에서 상술한 장치(300)의 동작을 고려할 수 있다. 여기서, 일 예로, 장치(300)는 공동 현관폰(400)과 연동되는 장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300)는 각 세대별 월패드(510, 520, 530)가 아닌 공동 현관폰(400)과 연동될 수 있다. 따라서, 장치(300)는 공동 건물 내에 하나만 존재할 수 있다. 일 예로, 장치(300)는 데이터 변환 모듈(310), 음성/영상 A/D 컨버터(320) 및 제어기(3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데이터 변환 모듈(310)은 RS485 데이터 변환 모듈일 수 있다.
여기서, 기존 공동 건물로서 아날로그 음성/영상 신호로 되어있는 홈오토메이션 공동 현관폰(400)의 경우, 인터넷 통화 신호와 구조가 상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동 현관폰(400)은 각 세대의 월패드(510, 520, 530)과 아날로그 신호를 전달하는 내부 망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음성 신호, 영상 신호 및 데이터(또는 RS485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각 세대의 월패드(510, 520, 530)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공동 현관폰(400)은 세대 내 월패드(510, 520, 530)를 통한 직접 제어만 가능하고 원격지에서의 통화 수신 및 제어가 불가능할 수 있다.
일 예로, 장치(300)는 공동 현관폰(400)의 아날로그 신호를 전달하는 내부 망과 연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300)는 공동 현관폰(400)으로부터 음성 신호, 영상 신호 및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해 데이터 변환 모듈(310)은 공동 현관폰(400)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획득하여 인터넷 통화가 가능한 신호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RS485 데이터로서 공동 현관폰(400)에 기초한 명령이나 그 밖의 동작에 대한 데이터가 데이터 변환 모듈(310)에 기초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 가능한 형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음성/영상 A/D 컨버터(320)는 장치(300)가 공동 현관폰(400)에서 발생한 아날로그 신호로서 음성/영상 신호를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 가능한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 이때, 장치(300)에는 인터넷 공유기(34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사용자 DB(database)에 기초하여 매칭되는 사용자 단말(610, 620)로 변환된 음성/영상 데이터 및 RS485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변환 모듈(310)에 기초하여 공동 현관폰(400)에서 음성/영상 통화 릴레이 제어 및 문열림 제어와 같은 기능들이 수행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상술한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장치(300)는 제어기(3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기(330)는 외부 네트워크로 신호를 전달하는 망과 내부 신호를 전달하는 망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후술한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장치 제어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장치(300)의 제어기는 유선 통신부(331), 유선 통신 제어부(332), 신호 분석부(333), 신호 변환부(334), 신호 저장부(335), 인터넷 통화 A/D 컨버터 제어부(336), A/D 컨버터 통신부(337), 플랫폼 서버 인터넷 통신 제어부(338) 및 플랫폼 서버 통신부(339)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유선 통신부(331)는 공동 현관폰(400)의 유선 데이터(RS485등)와 하드웨어적인 통신을 수행하는 부분일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부(331)는 공동 현관폰(400)의 음성/영상 데이터도 획득할 수 있다. 즉, 장치(300)는 공동 현관폰(400)과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 후, 유선 통신부(300)에서 획득한 데이터는 유선 통신 제어부(332)의 입출력에 기초하여 소프트웨어적인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즉, 유선 통신 제어부(332)는 변환된 데이터를 유선 데이터 제어 신호대로 입출력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 소프트웨어적인 변환 제어부일 수 있다. 그 후, 변환된 데이터는 신호 분석부(333), 신호 변환부(334) 및 신호 저장부(335)로 전달될 수 있다. 신호 분석부(333)는 공동 현관폰(400)으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일 예로, 신호 분석부(333)는 변환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통화관련 커맨드, 통화 목적 대상 및 통화 관련 릴레이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통화 관련 커맨드는 통화 호출, 통화 연결, 문 열림, 호출취소 및 통화종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화 목적 대상은 공동 현관폰(400)에서 호출하는 세대 호수(e.g.101호)와 같은 통화 대상 정보일 수 있다. 또한, 통화 관련 릴레이 제어는 공동 현관폰(400) 내부 음성/영상 채널 관련한 릴레이 제어를 수행하는 정보일 수 있다. 신호 분석부(333)는 상술한 정보들을 분석하여 신호 변환부(334)로 제공할 수 있다. 신호 변환부(334)는 신호 분석부(333)로부터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유선을 통해 획득한 데이터(e.g. RS485 데이터)를 인터넷 신호 사이의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즉, 신호 변환부(334)는 유선 데이터(e.g. RS485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하기 위한 프로토콜 형태의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예로 신호 변환부(334)는 기존 아날로그 공동현관의 다양한 프로토콜을 신호 저장부(335) 또는 다른 외부 서버로부터 자동으로 검색하여 이를 이용할 수도 있으나 이에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신호 저장부(335)는 공동 건물 내의 각 세대에 적용되는 유선 프로토콜 방식, 적용 단지 고유번호, 해당 공동 현관의 동 번호 및 그 밖의 고유 데이터를 저장하고, 신호 변환부(334)에 적용할 수 있다. 즉, 신호 저장부(335)는 공동 건물 내의 어느 세대에 호출과 통화를 수행할지 여부에 대한 기본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그 후, 신호 변환부(334)를 통해 네트워크에서 공유될 수 있는 무선 프로토콜로 전환된 신호는 인터넷 통화 A/D컨버터 제어부(336)를 통해 어느 세대의 어떤 명령어가 수행될지 여부를 확인하여 연동되는 사용자 단말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신호 변환부(334)는 공동현관에 입력된 정보를 기초로 세대를 구분하여 해당되는 세대의 사용자를 매칭할 수 있다.
그 후, 함께 연동되는 A/D 컨버터 통신부(337)에 호출세대 정보 세팅을 변경해 주고, 통화 및 통화 정보 커맨드에 대한 인터넷 통화 호출 및 호출 종료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인터넷 통화 A/D 컨버터 제어부(336)는 소프트웨어적인 구성으로 하드웨어적인 구성인 A/D 컨버터 통신부(337)를 제어하여 무선 프로토콜로 변환된 신호를 사용자 단말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서버 인터넷 통신 제어부(338)는 신호 변환부(334)와의 통신을 통해 HTTP 또는 MQTT등의 인터넷 프로토콜로 공동 현관폰(400)의 IoT(internet of things) 하드웨어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 서버 연동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플랫폼 서버 인터넷 통신 제어부(338)는 소프트웨어적인 변환 제어부일 수 있으며, 플랫폼 서버 통신부(339)는 인터넷에 연결되어 플랫폼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유무선 하드웨어 파트일 수 있다.
상술한 바에 기초하여 장치(300)는 공동 현관폰(400)으로부터 유선으로 음성/영상 및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를 각 세대별 사용자에게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음성/영상 데이터 및 RS485 데이터(이하, 명령 제어 데이터)는 상이한 경로를 통해 사용자 단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음성/영상 데이터는 인터넷 통화 A/D 컨버터 제어부(336)를 통해 A/D 컨버터 통신부(337)를 통해 사용자 단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반면, 명령 제어 데이터는 플랫폼 서버 인터넷 통신 제어부(338)를 통해 플랫폼 서버 통신부(339)를 통해 무선 프로토콜 형태로 사용자 단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즉, 음성/영상 데이터 및 RS485 데이터(이하, 명령 제어 데이터)는 상이한 경로를 통해 사용자 단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일 예로, 명령 제어 데이터는 커맨트, 통화 목적 대상 확인, 릴레이 제어, RS485 데이터 및 그 밖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정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음성/영상 데이터의 우선순위는 명령 제어 데이터의 우선순위보다 높을 수 있다. 즉, 장치(300)는 음성/영상 데이터 전송을 명령 제어 데이터 전송보다 우선할 수 있다. 상술한 바를 통해, 사용자 단말은 공동 현관폰(400)에 위치한 방문자 식별을 우선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음성/영상 데이터의 데이터 용량은 명령 제어 데이터보다 클 수 있다. 일 예로, 명령 제어 데이터는 통화 관련 커맨드 또는 공동 현관폰(400) 제어 관련 커맨드로 비교적 작은 데이터가 필요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공동 현관폰(400)은 마이크 및 카메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공동 현관폰(400)은 마이크 및 카메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음성/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를 유선을 통해 장치(30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예로, 상술한 점을 고려하여, 월패드에는 음성/영상 데이터 및 명령 제어 데이터가 모두 전달되고, 사용자 단말로는 명령 제어 데이터만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은 장치(300)와 연동되는 어플리케이션 및 그 밖의 소프트웨어에 기초하여 명령 제어 데이터를 인지할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한 응답을 제공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신호 저장부(335)에는 유선으로 획득하는 데이터에 기초한 식별 정보와 매칭되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동 현관폰(400)은 각 세대별로 장착된 월패드(510, 520, 530)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즉, 공동 현관폰(400)는 월패드 식별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공동 현관폰(400)을 통해 전달되는 음성/영상 데이터 및 명령 제어 데이터에는 월패드 식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세대 또는 월패드에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에게 음성/영상 데이터 및 명령 제어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인지할 필요성이 있다. 상술한 바를 위해 신호 저장부(335)는 월패드 식별 정보와 매핑되는 사용자 단말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 월패드 식별 정보는 각 세대별로 하나일 수 있으나, 사용자 단말 식별 정보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즉, 월패드 식별 정보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 식별 정보가 매칭될 수 있다. 여기서, 일 예로, 사용자 단말 식별 정보에 대한 등록은 공동 현관폰(400), 해당 세대에 대응되는 월패드 및 장치(300)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단말 식별 정보를 장치(300)에 초기 등록하기 위해서 공동 현관폰(400)은 해당 세대에 대응되는 월패드로 인증 신호를 전송하고, 월패드로 전달된 인증 신호를 사용자가 확인하여 사용자 단말로 확인하여 장치(30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공동 현관폰(400)는 월패드로 전달한 인증 신호를 장치(300)로 전달할 수 있다. 장치(300)는 공동 현관폰(400)으로부터 획득한 인증 신호 및 사용자 단말이 월패드를 통해 확인하여 전송한 인증 신호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 식별 정보를 등록할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등록이 완료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식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일 예로, 장치(300)는 보안을 고려하여 음성/영상 신호(또는 데이터)와 명령 제어 데이터(또는 데이터)를 구별하여 각각 고유 식별 코드를 할당할 수 있다. 즉, 데이터 신호와 음성/영상 신호가 인터넷 상에서 매칭되지 않고 로컬에서만 구분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로컬에서 매칭을 위해서 로컬에는 각 데이터의 식별자를 매칭할 수 있는 매칭 테이블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바를 통해 인터넷 또는 모바일 폰이 해킹 당해도 어느 세대의 데이터인지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인터넷상에 공유된 영상/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신호가 누출되어도 어느 세대에서의 영상 음성 신호인지 구별이 불가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도 5a를 참조하면, 특정 세대(e.g. 601호)와 공동 현관폰(400)의 음성/영상 신호(511)는 매핑 테이블(513)에 기초하여 특정 코드 AA71에 매핑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특정 세대(e.g. 601호)와 공동 현관폰(400)의 명령 제어 데이터(512)는 매핑 테이블(513)에 기초하여 특정 코드 bb13에 매핑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네트워크 해킹에 의해서도 세대 정보 및 그 밖의 정보가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도 5b를 참조하면, 음성/영상 데이터 및 명령 제어 데이터는 하나의 포맷에 기초하여 구별될 수 있다. 일 예로, 데이터 전송 포맷은 데이터 타입(514)으로 음성/영상 데이터 또는 명령 제어 데이터를 지시할 수 있다. 일 예로, 데이터 타입(514)은 1비트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세대별 ID 정보(515)는 월패드에 기초하여 특정 코드로 변환되는 ID 정보일 수 있다. 일 예로, 세대별 ID 정보(515)는 공동 건물의 세대 수를 고려한 비트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ID 정보(516)는 세대별 ID 정보(515)에 종속되어 결정되는 사용자 ID 정보일 수 있다. 여기서, 각 세대별 복수 개의 사용자 ID 정보가 존재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ID 정보(516) 비트는 세대별 ID 정보(515) 비트보다 클 수 있다. 그 후, 실제 음성/영상 데이터 또는 명령 제어 데이터는 페이로드(517)에 포함되어 사용자 단말로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에서는 상술한 전송 포맷에 기초하여 데이터 타입을 확인하고, 세대 ID 정보와 사용자 ID 정보를 확인하여 식별을 완료할 수 있다. 그 후, 페이로드에 포함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공동 현관폰의 아날로그 신호를 검출하여 연결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공동 현관폰(400)에서 사용자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은 공동 현관폰(400)에 방문한 사람의 호출일 수 있다. 일 예로, 호출은 특정 세대에 기초하여 특정 오퍼레이션일 수 있다. 일 예로, 특정 오퍼레이션은 음성/영상 통화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특정 오퍼레이션은 문 열림 요청 또는 알림 요청일 수 있다. 이때, 공동 현관폰(400)은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유선으로 데이터를 장치(300)로 전달할 수 있다. 장치(300)는 신호 저장부(335)에 저장된 매핑 정보에 기초하여 유선으로 획득한 데이터의 세대식별 정보와 사용자 식별 정보를 매핑을 시도하여 특정 세대의 사용자를 인지할 수 있다. 그 후, 장치(300)는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610)은 특정 어플리케이션 또는 소프트웨어를 통해 음성/영상 데이터 및 명령 제어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확인하여 장치(300)로 응답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 후, 장치(300)는 응답 정보를 공동 현관폰(400)으로 전달하고, 이에 기초한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 단말(610)은 공동 현관폰(400)과 장치(300)를 통해 방문자와 음성/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사용자 단말(610)은 명령 제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문열림 및 그 밖의 동작에 대한 명령을 장치(300)를 통해 공동 현관폰(400)으로 전달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사용자에게 인터넷 연동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세대별 식별 정보는 하나이지만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즉, 각 세대 내의 월패드는 하나만 장착되지만 다수의 가족 구성원을 고려하여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가 세대별 식별 정보에 매칭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장치(300)는 공동 현관폰(400)의 음성/영상 데이터 및 명령 제어 데이터를 등록된 사용자 단말 모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장치(300)는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사용자 단말로 음성/영상 데이터 및 명령 제어 데이터를 먼저 전달하고, 응답을 거절하거나 응답이 어려우면 후순위 단말로 음성/영상 데이터 및 명령 제어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공동 현관폰(400)으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한 호출이 검출되는 경우, 장치(300)는 세대별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공동 현관폰(4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그 후, 공동 현관폰(400)은 특정 사용자 식별 정보를 선택하는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공동 현관폰(400)는 해당 정보를 장치(300)로 전달하고, 장치(300)는 대응되는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 음성/영상 데이터 및 명령 제어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즉, 방문자에게 해당 세대의 사용자 정보를 제공하고, 방문자가 선택한 특정 사용자에게 음성/영상 데이터 및 명령 제어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월패드와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연결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면, 공동 현관폰(400)은 장치(300)를 통해 사용자 단말(600)로 음성/영상 데이터 및 명령 제어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동시에 공동 현관폰(400)도 월패드(500)로 음성/영상 데이터 및 명령 제어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즉, 방문자가 공동 현관폰(400)으로 호출하면 해당 정보가 월패드(500) 및 사용자 단말(600)로 모두 전달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8b를 참조하면, 음성/영상 데이터 및 명령 제어 데이터 중 음성/영상 데이터만 장치(300)를 통해 사용자 단말(600)로 전달될 수 있다. 반면, 월패드(500)는 음성/영상 데이터 및 명령 제어 데이터를 모두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단말(600)에 의해 공동 현관폰(400)이 제어되면 공동 건물에 대한 보안이 취약해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 단말(600)로는 음성/영상 데이터만 제공되어 방문자를 확인하도록 하고, 실제 문열림 및 그 밖의 동작에 대해서는 월패드(500)에서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도 8c를 참조하면, 명령 제어 데이터만 사용자 단말(600)로 전달될 수 있다. 반면, 월패드(500)는 명령 제어 데이터를 획득하지 못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외출 중이거나 세대 내에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월패드(500)로 명령 제어 데이터가 전달될 필요성이 없을 수 있다. 여기서, 월패드(500) 설정에 기초하여 도 8c와 같이 동작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월패드(500)를 설정하여 공동 현관폰(400)의 호출에 대한 명령 제어 데이터 권한을 사용자 단말(600)로만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도 8d를 참조하면, 음성/영상 데이터 및 명령 제어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600)로 전달될 수 있다. 반면, 월패드(500)는 음성/영상 데이터 및 명령 제어 데이터를 획득하지 못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외출 중이거나 세대 내에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월패드(500)로 음성/영상 데이터 및 명령 제어 데이터 전달이 불필요할 수 있다. 여기서, 월패드(500) 설정에 기초하여 도 8d와 같이 동작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월패드(500)를 설정하여 공동 현관폰(400)의 호출에 대한 음성/영상 데이터 및 명령 제어 데이터 잔달을 사용자 단말(600)로만 설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아날로그 공동 현관폰의 인터넷 연동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장치(300)는 공동 현관폰(400)으로부터 호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910) 여기서, 장치(300)는 호출 정보에 포함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600)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S920) 그 후, 장치(300)는 사용자 단말(600)로부터 응답을 획득하여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S930)
여기서, 일 예로, 공동 건물 내의 각 세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월패드(500),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월패드(500)와 내부 망에 기초하여 연결된 공동 현관폰(400), 공동 현관폰(400)과 유선망을 통해 연결되는 장치(300) 및 장치(3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600)은 하나의 시스템일 수 있다. 장치(300)는 공동 현관폰(400)으로부터 호출 정보를 획득하고, 장치(300)가 호출 정보에 포함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600)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및 장치(300)가 사용자 단말(600)로부터 응답을 획득하여 공동 현관폰(400), 장치(300) 및 사용자 단말(600)의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공동 현관폰(400)은 외부망을 구비하지 않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월패드와 내부 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월패드 중 제1 월패드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호출 정보를 수신하면 제1 월패드로 호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장치(300)는 공동 현관폰(400)과 유선 망으로 연결되어 호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호출 정보는 영상, 음성 데이터 및 명령 제어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음성 데이터는 공동 현관폰(400)에 부착된 마이크 및 카메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획득되는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명령 제어 데이터는 통화 관련 커맨드, 통화 목적 대상 및 통화 관련 릴레이 제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통화 관련 커맨드는 통화 호출, 통화 연결, 문 열림, 호출취소 및 통화종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고, 통화 목적 대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월패드 각각에 대응하는 통화 대상 정보를 포함하고, 통화 관련 릴레이 제어는 데이터 채널 관련한 릴레이 제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호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600)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영상, 음성 데이터에 대한 전송 경로와 명령 제어 데이터에 대한 전송 경로는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영상, 음성 데이터는 인터넷 통화 A/D 컨버터 제어부(336)에 기초하여 A/D 컨버터 통신부(337)를 통해 사용자 단말(600)로 전달될 수 있다. 반면, 명령 제어 데이터는 플랫폼 서버 인터넷 통신 제어부(338)에 기초하여 플랫폼 서버 통신부(339)를 통해 무선 프로토콜 형태로 사용자 단말(600)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호출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월패드 각각에 대한 식별 정보 및 데이터 타입에 기초하여 암호화된 코드로 공동 현관폰(400)에서 장치(300)로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월패드 각각에 대한 식별 정보는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600)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고, 장치(3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월패드 각각에 대한 식별 정보와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600)의 식별 정보에 대한 매핑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장치(300)는 매핑 테이블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600)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장치(300)는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600)로 호출 정보에 따른 영상, 음성 데이터 및 명령 제어 데이터 모두를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장치(300)는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600)에 대한 우선순위 정보에 기초하여 호출 정보에 따른 영상, 음성 데이터 및 명령 제어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장치(300)가 사용자 단말(600)로 호출 정보에 따른 영상, 음성 데이터 및 명령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공동 현관폰(400)은 호출 정보에 포함된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월패드로 호출 정보에 따른 영상, 음성 데이터 및 명령 제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장치(300)가 사용자 단말(600)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공동 현관폰(400)은 호출 정보에 포함된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월패드로 호출 정보에 따른 영상, 음성 데이터 및 명령 제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장치(300)는 호출 정보에 따른 영상, 음성 데이터 및 명령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영상, 음성 데이터만 사용자 단말(6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장치(300)가 사용자 단말(600)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공동 현관폰(400)은 호출 정보에 포함된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월패드로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고, 장치(300)만 호출 정보에 따른 영상, 음성 데이터 및 명령 제어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6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 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명세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포함하도록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아날로그 공동 현관폰의 인터넷 연동 제어 방법에 있어서,
    장치가 공동 현관폰으로부터 호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호출 정보에 포함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응답을 획득하여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날로그 공동 현관폰의 인터넷 연동 제어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 현관폰은 외부망을 구비하지 않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월패드와 내부 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월패드 중 제1 월패드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호출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월패드로 상기 호출 정보를 전달하되,
    상기 장치는 상기 공동 현관폰과 유선 망으로 연결되어 상기 호출 정보를 획득하는, 아날로그 공동 현관폰의 인터넷 연동 제어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 정보는 영상, 음성 데이터 및 명령 제어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영상, 음성 데이터는 상기 공동 현관폰에 부착된 마이크 및 카메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획득되는 데이터이고,
    상기 명령 제어 데이터는 통화 관련 커맨드, 통화 목적 대상 및 통화 관련 릴레이 제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통화 관련 커맨드는 통화 호출, 통화 연결, 문 열림, 호출취소 및 통화종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통화 목적 대상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월패드 각각에 대응하는 통화 대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통화 관련 릴레이 제어는 데이터 채널 관련한 릴레이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아날로그 공동 현관폰의 인터넷 연동 제어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영상, 음성 데이터에 대한 전송 경로와 상기 명령 제어 데이터에 대한 전송 경로는 상이하게 설정되되,
    상기 영상, 음성 데이터는 인터넷 통화 A/D 컨버터 제어부에 기초하여 A/D 컨버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되고,
    상기 명령 제어 데이터는 플랫폼 서버 인터넷 통신 제어부에 기초하여 플랫폼 서버 통신부를 통해 무선 프로토콜 형태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되는, 아날로그 공동 현관폰의 인터넷 연동 제어 방법.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월패드 각각에 대한 식별 정보 및 데이터 타입에 기초하여 암호화된 코드로 상기 공동 현관폰에서 상기 장치로 전달되는, 아날로그 공동 현관폰의 인터넷 연동 제어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월패드 각각에 대한 식별 정보는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고, 상기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월패드 각각에 대한 상기 식별 정보와 상기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에 대한 매핑 테이블을 저장하고,
    상기 장치는 상기 매핑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아날로그 공동 현관폰의 인터넷 연동 제어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로 상기 호출 정보에 따른 영상, 음성 데이터 및 명령 제어 데이터 모두를 전송하는, 아날로그 공동 현관폰의 인터넷 연동 제어 방법.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에 대한 우선순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호출 정보에 따른 영상, 음성 데이터 및 명령 제어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전송하는, 아날로그 공동 현관폰의 인터넷 연동 제어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호출 정보에 따른 영상, 음성 데이터 및 명령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공동 현관폰은 상기 호출 정보에 포함된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월패드로 상기 호출 정보에 따른 상기 영상, 음성 데이터 및 상기 명령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아날로그 공동 현관폰의 인터넷 연동 제어 방법.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공동 현관폰은 상기 호출 정보에 포함된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월패드로 상기 호출 정보에 따른 영상, 음성 데이터 및 명령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장치는 상기 호출 정보에 따른 상기 영상, 음성 데이터 및 상기 명령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영상, 음성 데이터만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아날로그 공동 현관폰의 인터넷 연동 제어 방법.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공동 현관폰은 상기 호출 정보에 포함된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월패드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고, 상기 장치만 상기 호출 정보에 따른 영상, 음성 데이터 및 명령 제어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아날로그 공동 현관폰의 인터넷 연동 제어 방법.
  12. 아날로그 공동 현관폰의 인터넷 연동 제어를 수행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공동 건물 내의 각 세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월패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월패드와 내부 망에 기초하여 연결된 공동 현관폰;
    상기 공동 현관폰과 유선망을 통해 연결되는 장치; 및
    상기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장치는 상기 공동 현관폰으로부터 호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장치가 상기 호출 정보에 포함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및
    상기 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응답을 획득하여 상기 공동 현관폰, 상기 장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연결을 수행하는, 아날로그 공동 현관폰의 인터넷 연동 제어를 수행하는 시스템.
KR1020220148776A 2022-11-09 아날로그 공동 현관폰의 인터넷 연동제어 방법 및 장치 KR20240067584A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7584A true KR20240067584A (ko) 2024-05-17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12662B2 (en) Indoor location server provision and discovery
US9615322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ervice based on space
US11638117B2 (en) Beacon addressing
US9009230B1 (en) Machine-to-machine instant messaging
JP5718522B2 (ja) オーバー・ジ・エア装置構成
US9755894B2 (en) Virtual serial cable
CN105684520B (zh) 用于建立无线局域网通信连接的方法及其电子设备
US10798222B2 (en) Apparatus for managing SDN-based in-vehicle network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503893B2 (en) Communication management system, relay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communication control program
US20140297806A1 (en) Machine to machine system, method and server using social network service
KR20150111557A (ko)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정보 자동 설정 방법, 장치
KR101943430B1 (ko) 사용자 장치, 사용자 장치의 구동방법, 서비스제공장치 및 서비스제공장치의 구동방법
US20220116270A1 (en) Internet of things connection system,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WO2017037327A1 (en) Remote access to an accessory device
KR20240067584A (ko) 아날로그 공동 현관폰의 인터넷 연동제어 방법 및 장치
US9485721B1 (en) Discovery of services by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using a service registry indexed by wireless beacons
CN113242550A (zh) 配网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9853691B2 (en) Near field communication technology-based terminal application control method, apparatus, and system
EP3657732B1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KR102426292B1 (ko) 스마트폰에 설치된 인공지능 모듈과 연계된 보이는 ars(vars)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24027507A1 (zh) 定位方法和相关产品
JP2015115757A (ja) 移動式無線機器、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KR102431518B1 (ko) 네트워크 제어 서버 및 방법
TW202412548A (zh) 定位方法和相關產品
KR20230024548A (ko) 수신 전화를 착신 전환시 수신자 번호를 식별함으로써 통화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