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6842A - 측벽프레임의 밀림을 방지하는 지지프레임 - Google Patents

측벽프레임의 밀림을 방지하는 지지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6842A
KR20240066842A KR1020220148138A KR20220148138A KR20240066842A KR 20240066842 A KR20240066842 A KR 20240066842A KR 1020220148138 A KR1020220148138 A KR 1020220148138A KR 20220148138 A KR20220148138 A KR 20220148138A KR 20240066842 A KR20240066842 A KR 202400668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frame
support frame
wall frame
pus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8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환
김현덕
안홍연
Original Assignee
삼목에스폼 주식회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목에스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목에스폼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066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68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6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or other parts corbelled out of the wall
    • E04G13/062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or other parts corbelled out of the wall for stairs or steps

Abstract

본 발명은 측벽프레임의 밀림을 방지하는 지지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계단실의 측벽을 형성하는 측벽프레임이 안착되는 상면부; 상기 상면부의 일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며,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해 측벽을 형성하도록 마련된 측벽부; 상기 측벽부의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상면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하측으로 또 다른 측벽프레임의 상부와 결합되는 하면부; 및 상기 상면부에 마련되며, 상기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상기 측벽을 형성할 때 상기 콘크리트의 측압에 의해 상기 측벽프레임이 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상면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상면부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측벽프레임의 밀림을 방지하는 지지프레임{Support frame for preventing side wall frame from being pushed during placing concrete}
본 발명은 계단프레임의 밀림을 방지하는 계단거푸집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측벽과 계단을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구조에서 측벽을 형성하는 측벽프레임이 콘크리트 타설 중 측압에 의해 밀리지 않도록 한 측벽프레임의 밀림을 방지하는 지지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건물은 시공 중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벽체, 기둥, 계단 등을 형성한다. 상기 벽체, 기둥, 또는 계단 등을 형성하기 위해서 그 외곽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거푸집을 마련하고, 상기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를 주입 및 양생하여 원하는 구조물을 완성한다.
도1은 콘크리트에 의해 측벽 및 상기 측벽에 연결되는 계단을 형성하는 거푸집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측벽을 형성하기 위한 측벽프레임(10)을 수직으로 세워서 설치하고, 상기 측벽프레임(10)의 하단에 계단을 형성하기 위한 계단프레임(20)을 연결한다.
도2를 참조하면, 상기 계단프레임(20)은 상기 측벽프레임(10)의 하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측벽의 일부를 형성하는 부분(21과 상기 측벽에 수직한 방향으로 수평으로 연장되어 계단을 형성하는 부분(22)으로 구성된다. 상기 측벽프레임(10)과 계단프레임(20)은 서로 핀 결합 방식으로 체결된다.
도1 및 도2를 기준으로 상기 측벽프레임(10)의 뒷편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프레임(10)의 뒷편으로 외벽부(30)가 배치되고, 상기 측벽프레임(10)과 외벽부(30) 사이 공간(s)이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그런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벽프레임(1)은 각 층의 경계에서 서로 적층되는 구조로 설치되므로, 그 경계 부위에는 상기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상기 콘크리트의 압력이 집중된다. 결과적으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벽프레임(10)이 콘크리트의 압력에 의해 밀려서, 상기 측벽프레임(10)에 의해 형성되는 측벽의 표면이 평탄하게 일직선으로 유지되지 못하고, 그 경계 부위에서 상기 측벽프레임(10)이 밀려서 돌출된 부위에 콘크리트가 채워저 버리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돌출된 측벽은 그라인딩 등의 추가적인 작업을 해야하는 불편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요구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측벽과 계단을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구조에서 측벽을 형성하는 측벽프레임이 콘크리트 타설 중 측압에 의해 밀리지 않도록 한 측벽프레임의 밀림을 방지하는 지지프레임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측벽프레임의 밀림을 방지하는 지지프레임는, 계단실의 측벽을 형성하는 측벽프레임이 안착되는 상면부; 상기 상면부의 일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며,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해 측벽을 형성하도록 마련된 측벽부; 상기 측벽부의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상면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하측으로 또 다른 측벽프레임의 상부와 결합되는 하면부; 및 상기 상면부에 마련되며, 상기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상기 측벽을 형성할 때 상기 콘크리트의 측압에 의해 상기 측벽프레임이 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상면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상면부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면부의 일단부에는 상기 상면부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의 보강부가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강부는, 그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측벽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수직리브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면부에는 상기 측벽프레임이 결합되는 결합공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측벽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절개된 장공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면부, 상기 측벽부, 및 상기 하면부에 의해 형성되는 프레임은 일측면이 개방된 '[ ' 형상을 이루며, 상기 프레임의 양단부에는 보강프레임이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측벽프레임은 상기 상면부에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일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측벽을 형성되는 수직부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의 돌출 높이는 상기 안착부의 두께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강부의 두께는 상기 상면부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면부는 중심측에서 길이방향으로 함몰된 제1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면부에는 중심측에서 길이방향으로 함몰된 제2 함몰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리브에는 중심측에서 길이방향의 함몰된 제3 함몰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측벽프레임의 밀림을 방지하는 지지프레임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측벽과 계단을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구조에서 측벽프레임이 콘크리트 타설 중 측압에 의해 밀리지 않도록 하여 측벽의 표면 상태를 양호하게 형성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프레임은, 상면부의 폭 방향으로 결합되는 보강부에 의해 상기 지지프레임이 콘크리트 측압에 저항하여 구조적 변형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프레임은, 보강부에 수직리브를 결합하여 작업자의 공간 확보를 위한 작업대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지지프레임은, 상면부, 하면부, 수직리브에 각각 제1,2,3 함몰부를 형성하여 콘크리트의 양생 후 지지프레임의 해체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1은 측벽 및 계단을 형성하는 거푸집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2는 계단프레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3은 계단실의 거푸집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4는 측벽프레임이 콘크리트 측압에 의해 돌출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프레임의 사시도,
도6은 도5의 평면도,
도7은 도5의 우측면도,
도8은 도5의 단면도,
도9는 보강프레임을 도시한 도면,
도10은 측벽프레임을 도시한 도면,
도11은 지지프레임에 측벽프레임이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과 연관되어 기재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발명(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측벽프레임의 밀림을 방지하는 지지프레임은, 도1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측벽과 계단을 형성하는 거푸집 구조와 관련된다. 특히,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을 형성하는 계단실에 있어서, 콘크리트 타설 중 측벽프레임이 콘크리트 압력에 의해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측벽프레임의 밀림을 방지하는 지지프레임은, 거푸집 구조에서 층의 경계에 마련되어 측벽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도1을 참조하면, 1층의 바닥면에 측벽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해서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지지프레임이 위치한다.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측으로 측벽프레임이 올려진다. 그리고, 1층을 형성하는 상기 측벽프레임의 상측에는 다시 지지프레임에 의해 고정된다. 1층에 콘크리트 타설이 완료되면, 상기 1층의 상부에 마련된 지지프레임의 상측으로 2층을 형성하기 위한 측벽프레임이 적층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복수의 층의 계단실을 완성한다.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프레임의 사시도이고, 도6은 도5의 평면도이다. 도7은 도5의 우측면도이고, 도8은 도5의 단면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측벽프레임의 밀림을 방지하는 지지프레임(100)은, 상면부(40), 측벽부(50), 하면부(60), 및 걸림부(70)을 포함한다.
상기 상면부(40)는, 계단실의 측벽을 형성하는 측벽프레임(10)이 안착된다. 상기 측벽프레임(10)은 측벽을 형성하기 위해서 마련되는 프레임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벽프레임(10)은 소정의 폭을 갖는다. 상기 측벽프레임(10)이 서로 옆으로 복수개 인접 배치되어 측벽을 형성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를 완성한다. 상기 상면부(40)에는 복수의 측벽프레임(10)이 올려질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100)은 서로 수평 방향으로 복수개 연결되어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측벽프레임(10)을 지지한다.
한편, 계단실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측벽프레임(10)과 수직한 방향으로 계단프레임(20)이 결합된다. 상기 계단프레임(20)은, 상기 측벽프레임(10)의 하부에 결합되어 계단을 형성하기 위한 프레임으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계단프레임(20)은 상기 측벽프레임(10)의 하단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하단측벽형성부(21)와, 상기 하단측벽형성부(21)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계단을 형성하는 계단형성부(22)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계단프레임(20)은 측벽의 일부를 형성하면서 계단을 함께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계단형성부(22)는 건축물의 구조, 형상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측벽프레임(10)과 상기 하단측벽형성부(21)를 하나의 프레임으로 형성하면 계단형성부(22)의 구조 및 형태에 따라 상기 하나의 프레임의 형태를 변경하여야 하는 불편이 따를 수 있다. 이에 상기 계단프레임(20)은 상기 하단측벽형성부(21)와 상기 계단형성부(22)로 구성하여, 상기 측벽프레임(10)에 신속하고 간편하게 착탈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계단프레임(20)이 상기 측벽의 일부를 형성하기 위한 하단측벽형성부(21)를 구비하여 계단 형성을 위한 시공을 신속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프레임(100)은, 측벽프레임(10)의 밀림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계단프레임(10)이 하단측벽형성부(21)부와 계단형성부(22)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하단측벽형성부(21) 역시 측벽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하단측벽형성부(21)의 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상면부(40)는, 제1,2 지지부(41,43) 및 제1 함몰부(4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함몰부(42)는 상기 상면부(40)의 중심측에서 길이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2 지지부(41,43)는 상기 제1 함몰부(42)의 양측 가장자리에 상기 제1 함몰부(42)보다 높게 마련되어 상기 측벽프레임(10)이 안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제1 홈몰부(42)가 상기 상면부(40)의 표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몰입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상면부(40)는 구조적으로 절곡된 형태를 취하게 되어 강성이 증가하고, 상기 제1,2 지지부(41,43)에 상기 측벽프레임(10)이 안착된 상태로 콘크리트의 타설이 진행된 후, 상기 콘크리트의 경화가 완료되어 상기 측벽프레임(10)을 상기 지지프레임(100)으로부터 해체할 때 접촉 면적이 상대적으로 감소되어 해체를 용이하게 한다.
상기 상면부(40)에는 상기 측벽프레임(10)과의 결합을 위해 결합공(44)이 형성될 수 있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벽프레임(10)은 안착부(11), 수직부(12), 상벽부(13)를 포함한다.
상기 안착부(11)는 상기 상면부(40)에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안착부(11)의 하면은 상기 제1,2 지지부(41,43)에 안착되어 접촉된다. 상기 수직부(12)는 상기 안착부(11)의 일단부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고, 콘크리트가 타설되면 상기 콘크리트와 접촉하여 측벽을 형성한다. 상기 상벽부(13)는 상기 수직부(12)의 상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안착부(11)와 평행하게 연장된다. 상기 상벽부(13)는 또 다른 지지프레임(100)의 하면부(60)와 볼트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다른 지지프레임(100)의 하면부(60)는 상기 상벽부(13)의 위에 올려져 적층된다.
또한, 상기 측벽프레임(10)에는 상하 방향으로 상기 상벽부(13)와 안착부(11)를 연결하는 형상유지부(130)가 결합된다. 상기 형상유지부(130)는 상기 측벽프레임(10)의 상벽부(13) 및 안착부(11) 사이의 거리를 유지하여 형상을 유지하고, 콘크리트 측압에 저항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측벽프레임(10)의 양측 단부에는 마감부(120)가 결합되며, 상기 마감부(120)에는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다른 측벽프레임(10)과의 연결을 위한 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부(11)에는 상기 상면부(40)와의 체결을 위해 체결공(14)이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11)와 상기 상면부(40)는 볼트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벽부(13) 및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하면부(60)에는 볼트 체결을 위한 볼트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벽부(50)는 상기 상면부(40)의 일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며,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해 측벽을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즉,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지지프레임(100)은 상기 측벽프레임(10)을 지지하는 것과 아울러 상기 측벽프레임(10)과 함께 측벽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벽부(50)에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절개된 장공(5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장공(51)의 좌우측에는 상기 상면부(40)와 하면부(60)을 연결하는 보강리브(52)가 형성된다. 상기 보강리브(52)는 상기 장공(51)의 좌우측에 한 쌍이 마련되고, 상부가 상기 상면부(40)에 결합되고, 하부가 하면부(60)에 고정되며, 일측이 상기 측벽부(50)에 고정된다.
상기 장공(51)은 측벽부(50)를 외벽부(30)에 고정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도3을 참조하면, 계단의 거푸집 구조에서 상기 측벽부(50)의 외측으로 콘크리트가 채워지는 공간(S)을 형성하기 위해서 외벽부(30)가 배치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0)이 복수의 측벽프레임(10)을 지지할 때, 앵커를 이용하여 상기 측벽부(50)는 상기 외벽부(3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앵커가 상기 측벽부(50)에 형성된 장공(51)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지지프레임(100)과 상기 외벽부(30)를 연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보강리브(52)에 일측면이 접촉되는 지지판(미도시)을 설치하고, 상기 앵커가 상기 지지판과 상기 장공(51)을 관통하여 외벽부(3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보강리브(52)는 지지프레임(100)의 강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앵커의 설치를 위한 지지판이 밀착되어 지지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공(51)은 측벽부(50)의 상하 높이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지지프레임(100)을 수평하게 설치하기 위해서 상기 장공(51)을 통해 체결되는 앵커의 높이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상기 하면부(60)는 상기 측벽부(50)의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상면부(40)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하측으로 또 다른 측벽프레임(10)의 상부와 결합된다. 예컨대, 다시 도1을 참조하면, 1층과 2층의 경계에 마련된 지지프레임(100)은 상측으로 측벽프레임(10)이 고정되고, 그 하측으로 다른 지지프임(100)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프레임(100)은 층의 경계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면부(60)의 중심측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함몰된 제2 함몰부(61)가 형성된다. 상기 하면부(6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면부(60)의 하측으로 다른 측벽프레임(10)이 결합되며, 상기 제2 함몰부(61)는 콘크리트 양생 후 상기 측벽프레임(10)이 상기 지지프레임(10)으로부터 용이하게 해체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콘크리트의 타설 공정에서 상기 측벽프레임(10)은 상기 지지프레임(100)에 지지되어 상하 방향으로 기밀하게 적층되어 고정되어, 상당한 압력을 가하여 상기 지지프레임(10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측벽프레임(10)을 상기 지지프레임(100)으로부터 분리시키는 힘을 가할 때, 상기 제2 함몰부(61)는 상기 측벽프레임(10)이 상기 지지프레임(100)과 접촉하는 면적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상기 지지프레임(1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상면부(40), 상기 측벽부(50), 및 상기 하면부(60)에 의해 형성되는 프레임은 일측면이 개방된 '[ ' 형상을 이룬다. 지지프레임(100)의 상면 및 하면은 평탄하게 형성하여 측벽프레임(10)을 지지하고, 수직 방향으로 놓인 측벽부(50)는 측벽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걸림부(70)는, 상기 상면부(50)에 마련되며, 상기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상기 측벽을 형성할 때 상기 콘크리트의 측압에 의해 상기 측벽프레임(10)이 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상면부(50)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상면부(50)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도8 및 도11을 기준으로, 상기 걸림부(70)는 상기 상면부(50)의 우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상기 측벽프레임(10)이 상기 상면부(50)에 안착된 상태에서 콘크리트 압력에 의해 우측 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걸림부(70)는 상기 상면부(5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상면부(40)의 강성이 보강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부(70)의 연장 방향은 콘크리트의 측압 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되므로, 지지프레임(100)의 강성이 향상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걸림부(70)의 돌출 높이는 측벽프레임(10)의 안착부(11)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70)는 상기 측벽프레임(10)의 안착부(11)가 상기 걸림부(70)를 넘어서 밀리지 않도록 하는 작용 외에, 상기와 같이 걸림부(70)의 돌출 높이를 안착부(11)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하여, 상기 측벽프레임(10)을 상기 상면부(40)로부터 분리시켜 해체할 때 상기 측벽프레임(10)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도11을 기준으로, 측벽프레임(10)을 우측으로 당기는 힘을 가하면, 상기 걸림부(70)의 높이가 상기 안착부(11)의 두께보다 낮으므로, 상기 측벽프레임(10)이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벽프레임의 밀림을 방지하는 지지프레임(100)은, 보강부(80), 수직리브(90), 및 보강프레임(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부(80)는 상기 상면부(40)의 일단부에 상기 상면부(4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보강부(80)의 상면은 실질적으로 상기 상면부(40)와 평행하게 판상으로 마련된다. 상기 보강부(80)는 소정의 폭을 가지면서 상기 상면부(40)의 일단부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된다. 상기 보강부(80)의 폭은 상기 상면부(40)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보강부(80)는, 도11을 기준으로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콘크리트의 측압이 작용할 때, 상기 상면부(40)가 우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보강부(80)는 수평 방향의 판상으로 마련되므로, 측압에 대한 저항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부(80)의 두께(W1)는 상기 상면부(40)의 두께(W2)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상기 보강부(80)의 두께(W1)가 상기 상면부(40)의 두께(W2)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70)와 함께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강성을 증가시켜, 콘크리트 측압에 의해 휘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수직리브(90)는 상기 보강부(80)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측벽부(50)와 평행하게 형성된다. 상기 수직리브(90)는 상기 걸림부(70)가 형성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므로, 지지프레임(10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7을 참조하면, 상기 수직리브(90)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장착공(91)이 형성된다. 상기 수직리브(90)의 장착공(91)을 통해 작업자를 위한 작업대를 설치할 수 있다. 예컨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태로 계단실을 형성할 때, 서로 마주하는 측벽을 형성하기 위해서 측벽프레임(10)이 서로 마주하고, 상기 측벽프레임(10)을 지지하기 위해서 지지프레임(100)이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서로 마주하는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수직리브(90)를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연결하는 작업대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수직리브(90)에는 중심측에서 길이방향의 함몰된 제3 함몰부(92)가 형성된다. 상기 제3 함몰부(92)에 의해 상기 수직리브(90)가 절곡된 형태로 제작되므로 지지프레임(100)의 강성이 증대되고, 상기 작업대가 상기 수직리브(90)에 접촉하여 설치되는 경우 상기 제3 함몰부(92)에 의해 상기 작업대와의 접촉 면적이 줄어들어 상기 작업대를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상기 보강프레임(110)은, 상기 상면부(40), 상기 측벽부(50), 및 상기 하면부(60)에 의해 형성되는 프레임의 양단부에 결합된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프레임(110)은 대략적으로 'ㄱ"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보강프레임(110)에는 관통공(111)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111)은 상기 지지프레임(100)을 수평 방향으로 복수개 연결할 때, 지지프레임(100)을 서로 연결할 수 있게 한다. 예컨대, 볼트가 상기 관통공(111)을 관통하여 양측의 지지프레임(100)을 체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른 측벽프레임의 밀림을 방지하는 지지프레임(100)의 작용 내지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층 및 2층의 계단실을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1층의 계단실은 하측에 지지프레임(100)이 배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상측으로 측벽프레임(10)이 배치된다. 상기 측벽프레임(10)의 안착부(11)가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상면부(40)에 고정되어 수직으로 세워진다. 그리고, 상기 측벽프레임(10)의 상부에 또 다른 지지프레임(100)이 결합된다.
이어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의 타설이 수행된다. 상기 콘크리트가 측벽프레임(10)와 외벽부(30)의 사이 공간에 투입되어 채워지고, 상기 콘크리트는 1층의 상면을 이루는 타설면까지 타설된다. 상기 1층 상면의 타설면은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측벽부(50)의 중간 정도에 위치한다. 1층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지지프레임(100)에는 2층 형성을 위한 측벽프레임(10)이 설치되고, 상기 1층의 양생이 완료되면 상기 1층 상면의 타설면 위로 다시 콘크리트를 투입하여 2층의 측벽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100)은 상기 측벽프레임(10)을 지지하면서 측벽의 일부를 상기 측벽프레임(10)과 함께 형성한다.
이때, 1층의 측벽을 형성하기 위해서 콘크리트가 타설되면, 상기 콘크리트의 측압에 의해 상기 측벽프레임(10)에는 도3을 기준으로 계단실의 중심측으로 밀리는 힘이 작용한다. 이때, 상기 걸림부(70)는 상기 측벽프레임(10)이 내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걸림부(70), 보강부(80), 및 수직리브(90)는 지지프레임(100)의 강성을 증대시켜, 상기 콘크리트의 측압에 대한 지지프레임(100)의 저항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반복적으로 각 층의 측벽을 완성하면, 상기 측벽프레임(10)과 상기 지지프레임(100)은 해체되어 제거되며, 이때, 상기 걸림부(70)의 높이가 상기 안착부(11)의 높이 보다 낮으므로 상기 측벽프레임(10)을 쉽게 분리 해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2 함몰부(42,61)에 의해 측벽프레임(10)이 용이하게 지지프레임(10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10... 측벽프레임 11... 안착부
12... 수직부 13... 상벽부
14... 체결공 20... 계단프레임
21... 하단측벽형성부 22... 계단형성부
30... 외벽부 40... 상면부
41,43... 제1,2 지지부 42... 제2 함몰부
44... 결합공 50... 측벽부
51... 장공 52... 보강리브
60... 하면부 61... 제2 함몰부
70... 걸림부 80... 보강부
90... 수직리브 91... 장착공
100... 지지프레임 110.. 보강프레임
111... 관통공 120... 마감부
130... 형상유지부

Claims (9)

  1. 계단실의 측벽을 형성하는 측벽프레임이 안착되는 상면부;
    상기 상면부의 일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며,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해 측벽을 형성하도록 마련된 측벽부;
    상기 측벽부의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상면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하측으로 또 다른 측벽프레임의 상부와 결합되는 하면부; 및
    상기 상면부에 마련되며, 상기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상기 측벽을 형성할 때 상기 콘크리트의 측압에 의해 상기 측벽프레임이 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상면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상면부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벽프레임의 밀림을 방지하는 지지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의 일단부에는 상기 상면부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의 보강부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벽프레임의 밀림을 방지하는 지지프레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그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측벽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수직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벽프레임의 밀림을 방지하는 지지프레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에는 상기 측벽프레임이 결합되는 결합공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벽프레임의 밀림을 방지하는 지지프레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절개된 장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벽프레임의 밀림을 방지하는 지지프레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 상기 측벽부, 및 상기 하면부에 의해 형성되는 프레임은 일측면이 개방된 '[ ' 형상을 이루며, 상기 프레임의 양단부에는 보강프레임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벽프레임의 밀림을 방지하는 지지프레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프레임은 상기 상면부에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일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측벽을 형성되는 수직부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의 돌출 높이는 상기 안착부의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벽프레임의 밀림을 방지하는 지지프레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의 두께는 상기 상면부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벽프레임의 밀림을 방지하는 지지프레임.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는 중심측에서 길이방향으로 함몰된 제1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면부에는 중심측에서 길이방향으로 함몰된 제2 함몰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리브에는 중심측에서 길이방향의 함몰된 제3 함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벽프레임의 밀림을 방지하는 지지프레임.








KR1020220148138A 2022-11-08 측벽프레임의 밀림을 방지하는 지지프레임 KR20240066842A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6842A true KR20240066842A (ko) 2024-05-16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3875B1 (en) Formwork support system and formwork support prop
US3385557A (en) Multi-purpose building member
KR100695275B1 (ko) 계단구조 및 계단의 구축방법
KR101668521B1 (ko) 다층 건축물의 지하층 콘크리트의 시공방법
KR100860064B1 (ko) 조립식 거푸집의 슬래브패널구조
KR20240066842A (ko) 측벽프레임의 밀림을 방지하는 지지프레임
CN113015833B (zh) Alphadeck-大面积平板模板系统
KR20130059010A (ko) 저모멘트존을 이용한 pc기둥 접합구조
KR20090085204A (ko) 리프팅 보조장치가 구비된 교량용 프리캐스트 바닥판
KR20160064745A (ko) 법면에 시공된 조립식 다기능 안전계단
KR102477121B1 (ko) 유로폼용 데크패널
KR101728161B1 (ko)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 가설용 평탄패드 및 이를 이용한 천장거푸집 시공구조
KR200418073Y1 (ko) 거푸집용 패널
US20020020135A1 (en) Device for the removal of squeaks in floors and in stairs
US20180171650A1 (en) Wall assembly for bearing a concrete slab and method for adding a concrete slab to a building structure
KR20130083876A (ko) 저모멘트존을 이용한 pc기둥 접합구조
KR101046020B1 (ko) 탈형과 재조립이 용이한 거푸집의 쐐기 결합구조
KR101221837B1 (ko) 플랫폼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KR100668457B1 (ko) 건축물의 슬래브 거푸집 지지체
KR100459011B1 (ko) 다층콘크리트 건축물의 연결부재 및 그 설치방법
KR100706306B1 (ko) 계단 시공용 덮개판
KR200306755Y1 (ko) 유로폼 패널 받침대
KR101803487B1 (ko) 거푸집 연결용 보강재
JP2002194844A (ja) 鉄筋コンクリート床版のpc板及びpc板製造型枠
JP3048986U (ja) 足場用組立敷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