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6085A - 체내 결합조직을 구성하는 콜라겐의 생합성 증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체내 결합조직을 구성하는 콜라겐의 생합성 증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6085A
KR20240066085A KR1020230144165A KR20230144165A KR20240066085A KR 20240066085 A KR20240066085 A KR 20240066085A KR 1020230144165 A KR1020230144165 A KR 1020230144165A KR 20230144165 A KR20230144165 A KR 20230144165A KR 20240066085 A KR20240066085 A KR 20240066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llagen
biosynthesis
composition
connective tiss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44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포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포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포에이
Publication of KR20240066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608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1Proline; Derivatives thereof, e.g. captopr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7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and the carboxyl groups being attached to the same acyclic carbon chain, e.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beta-alanine, epsilon-aminocaproic acid or pantothenic acid
    • A61K31/198Alpha-amino acids, e.g. alanine or edetic acid [ED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61K31/375Ascorbic acid, i.e. vitamin C; Sal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9Convolvulaceae (Morning-glory family), e.g. bindwe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8/442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substituted by amido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0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1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five membered rings, e.g. pyrrolidone carboxyl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내 결합조직을 구성하는 콜라겐의 생합성 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L-라이신 0.9 내지 1.1 중량%, 글리신 0.5 내지 1.5 중량%, L-글루타민 0.5 내지 2.5 중량% 및 한약재 발효 추출물 0.01 내지 1 중량%가 함유되어 이루어진다.
상기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콜라겐의 생합성 증진용 조성물은 콜라겐의 생합성을 증진시켜 운동 중 손상으로 인한 인대나 건과 같은 결합조직 기능의 제한이나 근력의 약화 등을 예방 및 개선하며, 피부의 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체내 결합조직을 구성하는 콜라겐의 생합성 증진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PROMOTING BIOSYNTHESIS OF COLLAGEN, WHICH CONSTITUTES CONNECTIVE TISSUE IN THE BODY}
본 발명은 체내 결합조직을 구성하는 콜라겐의 생합성 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콜라겐의 생합성을 증진시켜 운동 중 손상으로 인한 인대나 건과 같은 결합조직 기능의 제한이나 근력의 약화 등을 예방 및 개선하며, 피부의 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체내 결합조직을 구성하는 콜라겐의 생합성 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콜라겐은 동물의 신체에 다양한 결합조직(Connective tissues)의 세포밖 공간을 채우는 주요 조직 형성 단백질이다. 포유동물에서는 전체 단백질의 25%에서 35%를 차지하는 가장 풍부한 단백질이기도 하다. 무기화작용(Mineralization)의 정도에 따라, 뼈에서처럼 단단하거나, 힘줄에서처럼 유연하거나, 연골에서 보이듯 단단한 부분부터 유연한 부분까지 구배되기도 한다.
콜라겐은 매우 긴 피브릴 (Fibril)의 형태로서, 힘줄이나, 인대, 피부와 같은 섬유조직(Fibrous tissues)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고, 각막, 연골, 뼈, 혈관, 소화관, 척추사이원반(Intervertevral discs), 치아의 상아질에서도 발견되며, 근육조직에서는 근내막 (endomysium)의 주요요소다.
또한, 콜라겐은 일반적인 근육조직의 1~2%를 차지하고 강하고 힘줄이 많은 근육조직에서는 6% 정도를 차지하는데, 체내에서 가장 흔한 세포인 섬유아세포 (fibroblasts)가 콜라겐을 생성 분비한다.
피부 노화 및 광노화(photoaging)는 피부 표면에 주름을 야기하며, 진피 조직의 원위 부분(망상 진피(reticular dermis))에 위치한 엘라스틴 섬유의 네트워크가 줄어들면서, 피부의 전체 탄성력의 현저한 손실을 초래하고, 결국에는 피부 결합 조직이 기계적 스트레칭에 적응하는 능력을 감소시켜, 조직처짐(tissue sagging) 및 피부탄력성의 손실을 유발한다.
타입 I 콜라겐은 인체 콜라겐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콜라겐으로서, 피부, 혈관, 장기, 뼈 등에 다양하게 분포하는 단백질로서 세포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 ECM)의 구성과 결합 조직에서의 구조적 기능적 유지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콜라겐 I 결핍증은, 특히 피부 노화 및 광노화에 전형적인 피부 변성(skin degeneration) 현상에서, 인간 피부의 영양성(trophism) 및 탄성력 상실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종래에는 특정 아미노산 및 올리고 펩티드가 국소적으로 또는 경구로 적절하게 운반되고 적용되는 경우, 진피표피 결합 조직, 특히 콜라겐 및 트로포엘라스틴의 생합성을 야기하는 유전자 발현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Lupo MP et al., Cosmeceutical peptides. Dermatol Ther 20:343, 2007), 글리신, 프롤린, 알라닌, 발린 류신 및 리신 염산염을 적절한 비율로 혼합한 아미노산 혼합물을 사용한 국부 또는 경구용 조성물이 개시된 바 있으나, 운동 중 손상으로 인한 인대나 건과 같은 결합조직 기능의 제한이나 근력의 약화 등을 예방 및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콜라겐의 생합성을 증진하는 조성물에 대한 기술개발은 미미한 실정이다.
한국특허등록 제10-1092304호(2011.12.05.) 한국특허등록 제10-1221875호(2013.01.08.)
본 발명의 목적은 콜라겐의 생합성을 증진시켜 운동 중 손상으로 인한 인대나 건과 같은 결합조직 기능의 제한이나 근력의 약화 등을 예방 및 개선하며, 피부의 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체내 결합조직을 구성하는 콜라겐의 생합성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L-프롤린 0.5 내지 1.5 중량%, L-라이신 0.5 내지 1.0 중량%, 글리신 0.5 내지 1.5 중량%, L-글루타민 0.5 내지 2.5 중량% 및 한약재 발효 추출물 0.01 내지 1 중량%가 함유되며, 상기 한약재 발효 추출물은 한약재 추출물 100 중량부에 유산균 0.01 내지 0.1 중량부를 접종하고 30 내지 45℃의 온도에서 24시간 내지 60시간 동안 발효하여 제조되며, 상기 한약재는 자리공 뿌리, 새삼 씨 및 홍삼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결합조직을 구성하는 콜라겐의 생합성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한약재 추출물은 덖음된 한약재 100 중량부에 정제수 500 내지 1000 중량부를 혼합하고 80 내지 90℃의 온도로 2 내지 4시간 동안 가열하여 제조되며, 상기 덖음된 한약재는 한약재를 60 내지 80℃의 온도에서 5 내지 10분 동안 덖음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제, 스키조사카로마이세스 일립소이드, 사카로마이세스 보울라디,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락토바실러스 컨퓨서스, 락토바실러스 퍼멘툼,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및 비피도박테리움 인판티스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체내 결합조직을 구성하는 콜라겐 생합성 증진용 조성물에는 비타민 C 0.09 내지 1.5 중량%가 더 함유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체내 결합조직을 구성하는 콜라겐 생합성 증진용 조성물에는 L-아르기닌 0.2 내지 2 중량%가 더 함유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체내 결합조직을 구성하는 콜라겐의 생합성 증진용 조성물은 운동 중 손상으로 인한 인대나 건과 같은 결합조직 기능의 제한이나 근력의 약화 등을 예방 및 개선하며, 피부의 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콜라겐의 생합성을 증진시키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체내 결합조직을 구성하는 콜라겐의 생합성 증진용 조성물은 L-프롤린, L-라이신, 글리신, L-글루타민 및 한약재 발효 추출물이 함유되며, L-프롤린 0.5 내지 1.5 중량%, L-라이신 0.5 내지 1.0 중량%, 글리신 0.5 내지 1.5 중량%, L-글루타민 0.5 내지 2.5 중량% 및 한약재 발효 추출물 0.01 내지 1 중량%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L-프롤린은 0.5 내지 1.5 중량%가 함유되며, 체내 콜라겐의 30%를 차지하는 두번째로 높은 구성 성분으로 역할을 하여 콜라겐 생성을 촉진하고, 체내 콜라겐의 25%를 차지하는 세번째로 높은 구성 성분인 하이드록시프롤린의 전구체로써 수화 작용을 거쳐 하이드록시프롤린으로 체내 합성되며 결합 조직의 완전성을 더 한다.
상기 L-라이신은 0.5 내지 1.0 중량%가 함유되며, 콜라겐의 구성 요소 역할을 하여 콜라겐 생성을 촉진하고 결합 조직의 완전성을 보장하는데, 콜라겐의 생합성을 강화함으로써 운동 중 손상으로 인한 인대나 건과 같은 결합조직 기능의 제한이나 근력의 약화 등을 예방 및 개선하는 효과를 부여할 뿐만 아니라, 피부 탄력을 개선하고 주름을 감소시키며 관절 건강을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뿐만 아니라, LDL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효능을 나타내어 동맥에 플라크가 쌓이는 것을 방지하고 심장병과 뇌졸중의 위험을 줄이는데도 도움을 준다.
상기 L-라이신의 함량이 0.5 중량%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L-라이신의 함량이 1.0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제조비용을 지나치게 증가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글리신은 0.5 내지 1.5 중량%가 함유되며, 인체에 가장 중요한 항산화제인 글루타티온을 제조하는데 필수적인 아미노산 중 하나로, 항산화제는 체내에서 발생하는 활성산소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데, 노화가 진행되면서 글루타티온을 제조하는 능력이 저하되어 암이나 피부 노화와 같은 다양한 질병이 발생하기 된다.
또한, 콜라겐을 구성하는 성분 중 35%가 글리신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콜라겐은 근육, 피부, 연골, 혈액 및 인대 등을 생성하거나 강도를 높여주는 단백질인데, 글리신을 섭취하게 되면 콜라겐의 생합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 글리신의 함량이 0.5 중량%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글리신의 함량이 1.5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제조비용을 지나치게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L-글루타민은 0.5 내지 2.5 중량%가 함유되며, 피부 재생을 담당하는 단백질인 콜라겐 합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근육 회복을 촉진하고 운동으로 인한 근육 손상을 줄여 치유 과정을 가속화하고 염증을 감소시킴으로써 부상이나 수술로부터 빠르게 회복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글리코겐 저장을 보충하고 근육 단백질 분해를 최소화함으로써 운동 능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장 내벽의 복구 및 재생을 돕고 장 누수 증후군 및 기타 소화 장애를 예방하고 장내 염증을 줄여주기 때문에 영양분의 흡수 및 소화 기능을 개선한다.
또한, 면역세포의 생성원료로 작용하여 면역 세포가 최적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하는데, 백혈구와 항체 생성을 강화함으로써 감염과 질병으로부터 면역력이 향상되도록 하며, 혈액 뇌 장벽을 통과하여 신경 전달 물질인 글루탐산으로 전환되되어 뇌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역할도 한다.
상기 L-글루타민의 함량이 0.5 중량%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L-글루타민의 함량이 2.5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제조비용을 지나치게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한약재 발효 추출물은 0.01 내지 1 중량%가 함유되며, 한약재 추출물 100 중량부에 유산균 0.01 내지 0.1 중량부를 접종하고 30 내지 45℃의 온도에서 24시간 내지 60시간 동안 발효하여 제조되며, 상기 한약재는 자리공 뿌리, 새삼 씨 및 홍삼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자리공 뿌리, 새삼 씨 및 홍삼 등으로 이루어지는 한약재를 발효하여 제조된 한약재 발효 추출물은 본 발명을 통해 제조되는 체내 결합조직을 구성하는 콜라겐의 생합성 증진용 조성물이 섬유아세포에서 매우 강력한 콜라겐 생합성 증진 효과를 나타내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처부위에 적용되면 매우 우수한 창상치유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한약재 추출물은 덖음된 한약재 100 중량부에 정제수 500 내지 1000 중량부를 혼합하고 80 내지 90℃의 온도로 2 내지 4시간 동안 가열하여 제조되며, 상기 덖음된 한약재는 한약재를 60 내지 80℃의 온도에서 5 내지 10분 동안 덖음하여 제조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덖음의 온도가 60℃ 미만이거나 덖음시간이 5분 미만이면 한약재에 함유된 유효성분의 용출량 증가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덖음의 온도가 80℃를 초과하거나 덖음시간이 10분을 초과하게 되면 한약재에 함유된 유효성분이 파괴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제조되는 한약재 추출물은 한약재에 함유된 유효성분의 용출량이 월등하게 향상되면서도, 추출과정에서 유효성분의 파괴가 최소화될 뿐만 아니라, 발효의 과정을 통해 체내 흡수율이 증가되기 때문에 콜라겐의 생합성 증진효과가 더욱 향상된다.
또한, 상기 발효온도가 30℃ 미만이거나 발효시간이 24시간 미만이면 상기 한약재 추출물의 발효가 제대로 진행되지 못하며, 상기 발효온도가 45℃를 초과하거나 발효시간이 60시간을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발효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혐기성 발효가 진행되거나 한약재 추출물이 변질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때,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Bifidobacterium bifidum),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제(Saccharomyces cerevisiae), 스키조사카로마이세스 일립소이드(Schizosaccharomyces ellipsoids), 사카로마이세스 보울라디(Saccharomyces boulardii),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 락토바실러스 컨퓨서스(Lactobacillus confusus), 락토바실러스 퍼멘툼(Lactobacillus fermentum),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Bifidobacterium breve),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및 비피도박테리움 인판티스(Bifidobacterium infantis)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체내 결합조직을 구성하는 콜라겐 생합성 증진용 조성물에는 비타민 C 0.09 내지 1.5 중량%가 더 함유될 수도 있는데, 콜라겐 합성, 항산화제로의 작용, 소장에서 철분의 흡수를 돕고 카르니틴의 생합성 및 면역기능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더욱 상세하게는 비타민 C는 진피층 내 콜라겐 생성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면서도 피부의 멜라닌색소 생성감소에 관여하여 피부잡티 예방에도 도움을 주는데, 비타민 C가 3가 철 이온을 2가 철 이온으로 변환시키고, 2가 철 이온은 다시 콜라겐 생성에 사용되는 작용을 통해 체내 콜라겐 생합성 증진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상기 비타민 C의 함량이 0.09 중량%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비타민 C의 함량이 1.5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제조비용을 지나치게 증가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체내 결합조직을 구성하는 콜라겐 생합성 증진용 조성물에는 L-아르기닌 0.2 내지 2 중량%가 더 함유될 수도 있는데, 콜라겐 합성에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L-아르기닌은 산화질소를 생성하여 혈관을 확장하고, 호르몬 분비를 총괄하는 뇌하수체에 작용하여 IGF-1 호르몬을 분시키는 역할을 하여 근육과 뼈를 성장시키고 지방의 분해를 촉진하며 암모니아 등과 같은 성분을 해독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L-아르기닌의 함량이 0.2 중량%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L-아르기닌의 함량이 2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복부팽만, 설사, 구토와 같은 위장장애 증상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콜라겐의 생합성 증진용 조성물은 경구 투여용, 건강기능식품용 및 화장료 등의 제형으로 적용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제형은 예를 들면 정제, 환제, 경질, 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유화제, 시럽제, 과립제 등이 있는데, 이들 제형은 유효성분 이외에 희석제(예: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즈 및/또는 글리신), 활택제(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및 그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염 및/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는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 페이스트, 젤라틴, 트라가칸스, 메틸셀룰로즈,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즈 및/또는 폴리비닐피롤리딘과 같은 결합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전분, 한천, 알긴산 또는 그의 나트륨 염과 같은 붕해제 또는 비등 혼합물 및/또는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및 감미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제형은 통상적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의해 제조 될 수 있다.
또한, 건강기능식품 제형은 일상식사에서 부족할 수 있는 영양소를 보충하거나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 원료를 보충할 목적으로 캡슐, 정제, 분말, 과립, 액상, 환, 편상, 페이스트상, 시럽, 겔, 젤리 및 바로 이루어진 그룹에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형에 따라 포도당, 구연산, 액상 올리고당, 옥수수 시럽(corn syrup), 대두 레시틴, 버터, 식물성 경화류, 탈지우유, 설탕, 마가린, 식염, 전분, 밀가루, 물엿, 맥아당, 중조 및 당 에스테르 등의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화장료 제형은 피부외용연고,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팩, 에멀젼, 오일젤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는데, 상기 피부외용연고는 본 발명에 따른 콜라겐 생합성 증진용 조성물 외에 바셀린 및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포스페이트를 함유하도록 제조할 수 있으며, 유연화장수는 본 발명의 약재 발효 추출물 이외에 다가알콜류(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등) 및 계면활성제(폴리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등)를 함유하도록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영양화장수 및 영양크림은 오일류(스쿠알란, 바셀린, 옥틸도데칸올 등) 및 왁스성분(세탄올, 스테아릴알콜, 밀납 등)을 함유하도록 제조할 수 있으며, 에센스는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다가알코올류를 함유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마사지 크림은 유동파라핀, 바셀린,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등의 오일을 함유하여 제조되며, 팩은 폴리비닐알콜을 함유하는 필 오프(peel off) 팩 또는 일반유화형 화장료에 카올린, 탈크, 산화아연, 이산화티탄 등의 안료가 함유된 워시오프(wash off) 팩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체내 결합조직을 구성하는 콜라겐의 생합성 증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콜라겐의 생합성 증진용 조성물의 물성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제조예 1> 한약재 발효 추출물의 제조
자리공 뿌리, 새삼 씨 및 홍삼을 1:1:1의 중량부로 혼합하여 이루어진 한약재를 70℃의 온도로 8분 동안 덖음한 후에, 덖음된 한약재 100 중량부에 정제수 800 중량부를 혼합하고 85℃의 온도로 3시간 동안 가열하여 한약재 추출물을 제조하고, 제조된 한약재 추출물 100 중량부에 유산균(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 0.05 중량부를 접종하고 37℃의 온도에서 42시간 동안 발효하여 한약재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L-프롤린 1.0 중량%, L-라이신 0.8 중량%, 글리신 1.0 중량%, L-글루타민 1.7 중량%, 상기 제조예 1을 통해 제조된 한약재 발효 추출물 0.5 중량% 및 정제수 잔량으로 하여 체내 결합조직을 구성하는 콜라겐의 생합성 증진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L-프롤린 0.5 중량%, L-라이신 0.5 중량%, 글리신 0.5 중량%, L-글루타민 0.5 중량%, 상기 제조예 1을 통해 제조된 한약재 발효 추출물 0.01 중량% 및 정제수 잔량으로 하여 체내 결합조직을 구성하는 콜라겐의 생합성 증진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L-프롤린 1.5 중량%, L-라이신 1.0 중량%, 글리신 1.5 중량%, L-글루타민 2.5 중량%, 상기 제조예 1을 통해 제조된 한약재 발효 추출물 1 중량% 및 정제수 잔량으로 하여 체내 결합조직을 구성하는 콜라겐의 생합성 증진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비타민 C 1.0 중량%를 더 혼합하여 체내 결합조직을 구성하는 콜라겐의 생합성 증진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L-아르기닌 1.1 중량%를 더 혼합하여 체내 결합조직을 구성하는 콜라겐의 생합성 증진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비타민 C 1.0 중량% 및 L-아르기닌 1.1 중량%를 더 혼합하여 체내 결합조직을 구성하는 콜라겐의 생합성 증진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6을 통해 제조된 체내 결합조직을 구성하는 콜라겐의 생합성 증진용 조성물을 인간유래의 섬유아세포 배양액에 첨가하여 세포수준에서의 콜라겐 생합성 증진 효과를 측정하여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단, 콜라겐 생합성 증진 효과는 실시예 1 내지 6을 통해 제조된 조성물의 최종농도가 0.001 중량%가 되도록 하여 콜라겐 생합성 증진효과를 측정하였으며, 생합성된 콜라겐의 측정은 Martens(Gut 1992, 33, 1664-1670)의 방법을 응용하였다.
더욱 상세하게는, 인간유래의 섬유아세포를 세포배양용 24 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분주하고, 10% FBS(fetal bovine serum)를 함유하는 배지에서 37℃, 5% CO2 조건하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PBS(phosphate buffer saline)로 2회 세척하였다. 이러한 방법에 따라 배양된 섬유아세포와 1% FBS를 함유하는 배지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을 통해 제조된 조성물을 0.001%로 처리한 후, 방사선 동위원소로 표지한 아미노산(2,3-3H proline) 2μCi, 아스콜빈산 30㎍/㎖를 첨가하고, 37℃, 5% CO2 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배양을 종료하였다. 배양 종료 후 상기 세포 및 배양액을 각각 1/2씩 나누어 한쪽 분획에만 콜라게나아제를 처리한 후 TCA(trichloroacetic acid)로 단백질을 침전시켜 두 분획의 방사활성의 차이로부터 생합성된 콜라겐의 양을 측정하였다. 각 시료의 콜라겐 생합성 촉진효과는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의 것을 100%로 하여 콜라겐 증가율로 나타내었다.}
<표 1>
또한, 상기 실시예 1 내지 6을 통해 제조된 체내 결합조직을 구성하는 콜라겐의 생합성 증진용 조성물을 피부 주름개선 효과를 측정하여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단, 피부 주름개선 효과는 6주령의 헤어리스 마우스를 이용하여 광에 의해 유발된 피부 주름에 대한 개선 효과를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제조된 체내 결합조직을 구성하는 콜라겐의 생합성 증진용 조성물을 10%로 증류수에 녹여 적용하였으며, 헤어리스 마우스에 태양광선 시뮬레이터(solar simulator)를 이용하여 2MED로 1주일에 3일씩 10주간 조사하여 주름을 형성시키고,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증류수를 처리한 대조군과 10% 농도의 조성물을 1일 2회 0.5㎖/㎠(건조추출물로 50mg/㎠)씩 6주간 처리한 군(5개)을 대상으로 주름 개선 정도를 정성 판단하였다.
주름개선 정도의 판단은 시료 처리 부위를 육안과 사진 촬영을 통하여 육안 판정하였고, 판정기준은 각각의 추출물 처리군 및 대조군을 시료 처리전과 비교하여 개선없음, 약간의 개선, 중등도의 개선, 상당한 개선의 4단계로 판정하였다.}
<표 2>
상기 표 2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6을 통해 제조된 체내 결합조직을 구성하는 콜라겐의 생합성 증진용 조성물은 우수한 피부 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5)

  1. L-프롤린 0.5 내지 1.5 중량%, L-라이신 0.5 내지 1.0 중량%, 글리신 0.5 내지 1.5 중량%, L-글루타민 0.5 내지 2.5 중량% 및 한약재 발효 추출물 0.01 내지 1 중량%가 함유되며,
    상기 한약재 발효 추출물은 한약재 추출물 100 중량부에 유산균 0.01 내지 0.1 중량부를 접종하고 30 내지 45℃의 온도에서 24시간 내지 60시간 동안 발효하여 제조되며,
    상기 한약재는 자리공 뿌리, 새삼 씨 및 홍삼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결합조직을 구성하는 콜라겐의 생합성 증진용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약재 추출물은 덖음된 한약재 100 중량부에 정제수 500 내지 1000 중량부를 혼합하고 80 내지 90℃의 온도로 2 내지 4시간 동안 가열하여 제조되며,
    상기 덖음된 한약재는 한약재를 60 내지 80℃의 온도에서 5 내지 10분 동안 덖음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결합조직을 구성하는 콜라겐의 생합성 증진용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제, 스키조사카로마이세스 일립소이드, 사카로마이세스 보울라디,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락토바실러스 컨퓨서스, 락토바실러스 퍼멘툼,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및 비피도박테리움 인판티스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결합조직을 구성하는 콜라겐의 생합성 증진용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내 결합조직을 구성하는 콜라겐 생합성 증진용 조성물에는 비타민 C 0.09 내지 1.5 중량%가 더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결합조직을 구성하는 콜라겐의 생합성 증진용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내 결합조직을 구성하는 콜라겐 생합성 증진용 조성물에는 L-아르기닌 0.2 내지 2 중량%가 더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결합조직을 구성하는 콜라겐의 생합성 증진용 조성물.
KR1020230144165A 2022-11-02 2023-10-25 체내 결합조직을 구성하는 콜라겐의 생합성 증진용 조성물 KR202400660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4099 2022-11-02
KR20220144099 2022-11-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6085A true KR20240066085A (ko) 2024-05-14

Family

ID=91076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44165A KR20240066085A (ko) 2022-11-02 2023-10-25 체내 결합조직을 구성하는 콜라겐의 생합성 증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6608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2304B1 (ko) 2004-05-21 2011-12-13 주식회사 머젠스 히아루론산, 글리코사미노글리칸 및/또는 콜라겐의생합성을 촉진하는 대두추출물
KR101221875B1 (ko) 2010-09-30 2013-01-14 (주)삼경코스텍 산겨릅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콜라겐 생합성 촉진용 화장료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2304B1 (ko) 2004-05-21 2011-12-13 주식회사 머젠스 히아루론산, 글리코사미노글리칸 및/또는 콜라겐의생합성을 촉진하는 대두추출물
KR101221875B1 (ko) 2010-09-30 2013-01-14 (주)삼경코스텍 산겨릅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콜라겐 생합성 촉진용 화장료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97735C (en) Use of a combination of hesperidin and of a microorganism for influencing the barrier function of the skin
JP5954828B2 (ja) 皮膚状態の改善用組成物
KR20180108504A (ko) 초유의 발효산물과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JP2013512946A (ja) 皮膚の色つやの明るさを向上させる活性剤としてのプロバイオチックな微生物
KR102015180B1 (ko) 유산균의 유크림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EP3564382B1 (en) Fermented product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JPWO2005077349A1 (ja) ヒトβディフェンシン産生促進剤
JP2017202990A (ja) 化粧料および飲食品組成物
KR102139472B1 (ko) 기능성 펩타이드와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노화 개선용 조성물
JP5270680B2 (ja) 葉酸が混入された大豆発酵高分子物質及びこれを含む組成物
KR20080068160A (ko)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JP2023532093A (ja) 植物性コラーゲン及び植物性ムチンを含む植物抽出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6482930B2 (ja) 皮膚化粧料および飲食品
KR102311097B1 (ko) 초유의 호기성 발효산물
JP2008074816A (ja) 生体内抗酸化剤
KR101437997B1 (ko) 생캐비어 발효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화장료
CN115025129B (zh) 含乳酸杆菌的组合物及其预防及/或改善皮肤老化的用途
JP4925692B2 (ja) 美肌用組成物
JP5048246B2 (ja) スキンケア用の内服組成物
TWI794766B (zh) 含乳酸桿菌之組成物及其預防及/或改善皮膚老化的用途
KR20240066085A (ko) 체내 결합조직을 구성하는 콜라겐의 생합성 증진용 조성물
KR20190064306A (ko) 기능성 펩타이드와 콜라겐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22269B1 (ko) Ca-콜라겐 펩타이드의 킬레이트 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2010345B1 (ko) 피부 광노화 억제 및 피부손상세포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피부 광노화 억제 및 피부손상세포 재생용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JPWO2015015815A1 (ja) 繊維芽細胞賦活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