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4436A - 규제봉 - Google Patents

규제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4436A
KR20240064436A KR1020220146459A KR20220146459A KR20240064436A KR 20240064436 A KR20240064436 A KR 20240064436A KR 1020220146459 A KR1020220146459 A KR 1020220146459A KR 20220146459 A KR20220146459 A KR 20220146459A KR 20240064436 A KR20240064436 A KR 202400644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regulating rod
rod
main body
reg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6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재상
Original Assignee
윤재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재상 filed Critical 윤재상
Priority to KR1020220146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4436A/ko
Publication of KR20240064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44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 E01F9/675Glued to surface, e.g. roa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3Individual devices arranged in spaced relationship, e.g. buffer boll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27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self-righting after deflection or displa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규제봉본체부와 지면삽입부로 구성되는 규제봉에 있어서,
상기 지면삽입부에는 공간부를 구성하여,
상기 지면삽입부를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미리 상기 지면삽입부에 대응되는 홀을 지면에 구성하여 시멘트 또는 고정부재를 삽입하고 상기 시멘트 또는 고정부재의 상부에서 상기 지면삽입부에 압력을 주어 상기 지면삽입부를 상기 시멘트 또는 상기 고정부재에 삽입하되, 상기 공간부의 내부 및 상기 공간부의 외부에 상기 시멘트 또는 고정부재가 삽입되어 견고하게 양생되어 상기 지면삽입부를 지면에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제봉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규제봉{Control rod}
본 발명은 앵커볼트를 삽입하지 않는 규제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선규제봉을 고정하기 위한 볼트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견고하게 규제봉을 지면에 삽입할 수있는 것과 관련된 발명이다.
도시되어 있는 도5와 같이, 배경이 되는 기술에 관하여, 분리형 차선 규제봉 어셈블리는, 하단이 개구된 지주봉(30), 지주봉(30)의 개구(31)에 끼워지는 삽입부(11a)를 구비하고 삽입부(11a)의 측면을 따라 링 형상의 삽입홈(12)이 형성된 받침대(10), 및 삽입부(11a)가 지주봉(30)의 개구(31)에 끼워진 상태에서, 지주봉(30)을 삽입부(11a)에 대해 가압하도록 삽입 홈(12)에 강제 압입되는 링 형상의 결합부재(20)를 포함한다.
지주봉(30)은 하단이 개구된 원통형의 단일 몸체로 이루어지며, 복원력이 뛰어난 고탄력 연질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단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반사체(도시되지 않음)는 자동차 전조등으로부터 들어온 빛을 다시 반사시키기 위하여 고휘도의 광반사 물질이 페인팅된 필름형 반사지 또는 반사도료로 이루어진다.
지주봉(30)의 하부는, 다른 부분보다 더 두꺼운 두께를 가지며, 하부의 외측면을 따라 리세스부(recess; 35)가 형성되고, 리세스부(35) 내에 외측면을 따라 다른 부분보다 다소 튀어나온 돌기(34)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지주봉(30)의 개구(31)의 가장자리를 따라 수평으로 플랜지(32)가 연장하고, 플랜지(32)의 단부를 따라 수직으로 팁(tip; 33)이 연장한다.
받침대(10)는 내충격성이 있는 ABS 또는 나이론 재질의 단일의 몸체(11)로 이루어진다.
몸체(11)는, 가령 반구형으로 링 형상의 삽입 홈(12)을 기준으로 내측에 삽입부(11a)가 형성되고, 외측에 고정부(11b)가 형성된다. 삽입부(11a)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지주봉(30)의 개구(31)에 끼워지고 고정부(11b)는 앵커 볼트(15)에 의해 대상물, 가령 지면에 고정된다.
삽입 홈(12)의 저면에는 [0029] 요홈(1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삽입 홈(12)의 외측면에는 나사(18)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소켓 볼트(20)가 끼워져 나사 결합된다.
삽입 홈(12)의 입구 가장자리를 따라 걸림 턱(16)이 형성될 수 있으며, 소켓 볼트(20)의 삽입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부품이 많을 뿐만 아니라 도로의 넓은 부분에 앵커볼트(15)로 인하여 도로가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발명을 발명하게 된 것이다.
대한민국특허청공개번호10-2022-0050411(2022.04.25) 대한민국특허청특허등록번호10-0961607(2010.06.04) 대한민국특허청특허등록번호10-1043438(2011.06.22)
발명이 해결하고자하는 제1과제는 외력에 의하여 규제봉이 넘어져도 다시 세워져야 하는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2과제는 재시공시에도 비용이 저렴해야 하는 과제와 도로파손을 최소한으로 해야 하는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3과제는 규제봉을 철거할 경우에도 규제봉을 지면에 맞게 잘라버리고 별도의 조치를 취하지 않거나 도로파손을 최소화하여 작업에 따른 비용을 현저하게 줄이는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발명이 해결하고자하는 제4과제는 규제봉본체부를 지면에 견고하게 부착해야 하는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규제봉본체부와 지면삽입부로 구성되는 규제봉에 있어서,
상기 지면삽입부에는 공간부를 구성하여,
상기 지면삽입부를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미리 상기 지면삽입부에 대응되는 홀을 지면에 구성하여 시멘트 또는 고정부재를 삽입하고 상기 시멘트 또는 고정부재의 상부에서 상기 지면삽입부에 압력을 주어 상기 지면삽입부를 상기 시멘트 또는 상기 고정부재에 삽입하되, 상기 공간부의 내부 및 상기 공간부의 외부에 상기 시멘트 또는 고정부재가 삽입되어 견고하게 양생되어 상기 지면삽입부를 지면에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규제봉을 구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규제봉본체부의 상부에서 하부로 규제봉날개부를 삽입하여 견고하게 지면에 부착되도록 구성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2실시예로는 하기와 같다.
규제봉본체부와 지면삽입부로 구성되는 규제봉에 있어서,
상기 지면삽입부에는 관통형으로 구성하며,
관통형상의 상기 지면삽입부에는 공간부를 구성하고,
상기 규제봉본체부와 상기 지면삽입부의 경계면에 규제봉날개부를 구성하되,
상기 규제봉본체부, 상기 규제봉날개부, 상기 공간부가 구성된 관통형상의 상기 지면삽입부를 일체형으로 규제봉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실시예나 제2실시예 모두 상기 공간부는 복수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실시예나 제2실시예 모두 상기 규제봉본체부와 상기 지면삽입부를 전후하여 탄력성있는 재질을 덧대어 외력에 의한 꺽임에도 탄성력으로 상기 규제봉본체부가 다시 세워질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규제봉본체부와 지면의 경계면 주위에 규제봉날개부를 구성하여 2차적인 고정력을 발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규제봉설치방법으로는 다음과 같다.
하부에 공간부를 구성한 규제봉을 준비하는 규제봉준비단계;
지면에 상기 규제봉의 하부에 구성된 지면삽입부에 대응되는 홀을 제공하는 홀제공단계;
상기 홀에 시멘트 또는 고정부재를 삽입하는 고정부재삽입단계;
상기 고정부재삽입단계후에 상기 규제봉을 삽입하는 규제봉삽입단계;를 갖는 규제봉설치방법으로 공사를 하게 되면 매우 빠른 시공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규제봉삽입단계후에 규제봉날개부를 상기 규제봉에 삽입시켜 2차고정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규제봉날개부부착단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첫번째 효과는 외력에 의하여 규제봉이 넘어져도 탄성력이 있어 다시 세워지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발명의 두번째 효과는 재시공시에도 규제봉에 해당하는 크기의 홀을 들어내면 즉시 규제봉을 시공할 수 있게 되어 볼트로 삽입하는 기존의 구성에 비하여 좁은 면적의 공사로 인하여 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발명의 세번째 효과는 규제봉을 철거할 경우에도 규제봉을 지면에 맞게 잘라버리고 별도의 조치를 취하지 않거나 도로파손을 최소화하여 작업에 따른 비용을 현저하게 줄이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발명의 네번째 효과는 규제봉본체부를 지면에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1a는 규제봉날개부가 구비된 규제봉의 전체를 보이는 도이다.
도1b는 지면에 설치된 것을 보이는 규제봉으로 도1a를 구성하되 규제봉본체부(110)에 탄력성재질부를 구성한 것을 보이는 도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1c는 지면에 설치된 것을 보이는 규제봉으로 도1a를 구성하되 규제봉본체부(110)에 탄력성재질부가 구비되지 않은 것을 보이는 도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2a는 규제봉날개부가 구비되지 않은 규제봉을 보이는 도이다.
도2b는 지면에 설치된 것을 보이는 규제봉으로 도2a를 구성하되 규제봉본체부(110)에 탄력성재질부를 구성한 것을 보이는 도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2c는 지면에 설치된 것을 보이는 규제봉으로 도2a를 구성하되 규제봉본체부(110)에 탄력성재질부가 구비되지 않은 것을 보이는 도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3a는 규제봉날개부가 구비되고 탄력성재질부가 구비된 것으로 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의 단면도를 보이는 도이다.
도3b는 규제봉날개부가 구비되고 탄력성재질부가 구비되지 않는 것으로 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의 단면도를 보이는 도이다.
도3c는 규제봉날개부가 구비되지 않고 탄력성재질부가 구비된 것으로 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의 단면도를 보이는 도이다.
도3d는 규제봉날개부 및 탄력성재질부가 구비되지 않는 것으로 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의 단면도를 보이는 도이다.
도4는 규제봉시공방법을 보이는 도이다.
도5는 배경기술을 보이는 도이다.
도1a는 규제봉날개부가 구비된 규제봉의 전체를 보이는 도이다.
도1b는 지면에 설치된 것을 보이는 규제봉으로 도1a를 구성하되 규제봉본체부(110)에 탄력성재질부를 구성한 것을 보이는 도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1c는 지면에 설치된 것을 보이는 규제봉으로 도1a를 구성하되 규제봉본체부(110)에 탄력성재질부가 구비되지 않은 것을 보이는 도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2a는 규제봉날개부가 구비되지 않은 규제봉을 보이는 도이다.
도2b는 지면에 설치된 것을 보이는 규제봉으로 도2a를 구성하되 규제봉본체부(110)에 탄력성재질부를 구성한 것을 보이는 도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2c는 지면에 설치된 것을 보이는 규제봉으로 도2a를 구성하되 규제봉본체부(110)에 탄력성재질부가 구비되지 않은 것을 보이는 도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3a는 규제봉날개부가 구비되고 탄력성재질부가 구비된 것으로 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의 단면도를 보이는 도이다. 도3b는 규제봉날개부가 구비되고 탄력성재질부가 구비되지 않는 것으로 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의 단면도를 보이는 도이다.
도3c는 규제봉날개부가 구비되지 않고 탄력성재질부가 구비된 것으로 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의 단면도를 보이는 도이다.
도3d는 규제봉날개부 및 탄력성재질부가 구비되지 않는 것으로 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의 단면도를 보이는 도이다. 도4는 규제봉시공방법을 보이는 도이다.
도면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규제봉은 차량의 중앙선을 규제하거나 주의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규제봉을 지나쳐서 지나가는 차량에 의하여 꺽임이 발생하여도 다시회복되도록 탄력성을 구비하도록 구성하여 반복되는 꺽임에도 탄성력을 발휘할 수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규제봉의 재질은 탄성력이 있는 플라스틱 또는 강성이 있는 고무재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라스틱의 경우에는 금형구조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일자형 또는 사다리꼴형상의 봉을 사출하여 끝단에서 공간부를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규제봉본체부(110)와 지면삽입부(150)로 규제봉을 구성한다.
상기 지면삽입부(150)에는 공간부(155)를 구성한다.
관통형상의 상기 지면삽입부(150)에는 공간부(155)를 별도로 구성하되, 관통형상을 구성하는 표면에 홀을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지면삽입부(150)를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미리 상기 지면삽입부(150)에 대응되는 홀을 지면에 구성하여 시멘트 또는 고정부재를 삽입한다.
시멘트는 몰타르, 콘크리트, 도로포장에 사용하는 아스팔트 등의 결합제를 총칭하는 용어로 사용하는 것이다.
고정부재는 시멘트 외에 것을 의미한다.
상기 시멘트 또는 고정부재의 상부에서 상기 지면삽입부(150)에 압력을 주어 상기 지면삽입부(150)를 상기 시멘트 또는 상기 고정부재에 삽입하는 것이다.
얇은 원통형상이어서 시멘트등에 삽입하는 것은 손쉬운 작업에 해당하는 것이다.
상기 공간부(155)의 내부 및 상기 공간부(155)의 외부에 상기 시멘트 또는 고정부재가 삽입되어 견고하게 양생되어 상기 지면삽입부(150)를 지면에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구성하여 지면에 규제봉을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규제봉본체부(110)의 상부에서 하부로 규제봉날개부(120)를 삽입하여 견고하게 지면에 부착되도록 구성한다.
제2실시예로는 하기와 같다.
규제봉본체부(110)와 지면삽입부(150)로 규제봉(100)을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지면삽입부(150)에는 관통형으로 구성하고,
관통형상의 상기 지면삽입부(150)에는 공간부(155)를 별도로 구성하되, 관통형상을 구성하는 표면에 홀을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규제봉본체부(110)와 상기 지면삽입부(150)의 경계면에 규제봉날개부(120)를 구성한다.
규제봉날개부(120)를 구성하는 것이 2차적으로 견고하게 지면에 고정하는 효과와 함께 미관에도 기여를 하는 것이다.
상기 규제봉본체부(110), 상기 규제봉날개부(120), 상기 공간부(155)가 구성된 관통형상의 상기 지면삽입부(150)를 일체형으로 구성한다.
상기 공간부(155)는 복수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규제봉본체부(110)와 상기 지면삽입부(150)를 전후하여 탄력성재질부(115)를 덧대어 외력에 의한 꺽임에도 탄성력으로 상기 규제봉본체부(110)가 다시 세워질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하기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
외력에 의하여 규제봉이 넘어져도 탄성력이 있어 다시 세워지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재시공시에도 규제봉에 해당하는 크기의 홀을 잘라내어 들어내면 즉시 규제봉을 시공할 수 있게 되어 볼트로 삽입하는 기존의 구성에 비하여 좁은 면적의 공사로 인하여 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규제봉을 철거할 경우에도 규제봉을 지면에 맞게 잘라버리고 별도의 조치를 취하지 않아도 도로로 사용할 수 있어 별도로 도로를 보수하지 않아도 무방한 장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볼트로 구성한 규제봉의 경우에는 볼트를 뽑아낸 자리는 도로가 파손된 상태일 뿐만 아니라 볼트를 그대로 둘경우에는 도보보행자가 넘어져서 다치거나 자동차타이어가 파손되는 2차사고를 일으킬 우려가 있는 것이다.
본원발명은 이에 대한 염려가 전혀 없는 것이다.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도로파손을 최소화할 수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규제봉본체부를 지면에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3a 내지 도3d는 수평바규제봉을 지면에 삽입된 상태의 단면도를 보이는 도이다.
수평바규제봉(200)을 지면에 고정하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
지면삽입부(150) 및 이에 따른 설명은 도1a 내지 도2c의 도와 동일하여 동일한 번호를 부여한 것이다.
도3c,3d는 규제봉날개부(120)를 구성하지 않은 상태로 도시되어있으나 선택에 따라 도3a,3d와 같이 규제봉날개부(120)를 구성할 수 있다.
물론 탄력성재질부(115)도 선택에 의하여 도1b,2b,3a,3c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규제봉본체부(110)와 지면의 경계면 주위에 규제봉날개부(120)를 구성하여 2차적인 고정력을 발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규제봉(100)을 지면에 삽입하는 방법은 도5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부에 공간부(155)를 구성한 규제봉(100)을 준비하는 규제봉준비단계(S100)를 가진다.
지면에 상기 규제봉(100)의 하부에 구성된 지면삽입부(150)에 대응되는 홀을 제공하는 홀제공단계(S200)를 가진다.
상기 홀에 시멘트 또는 고정부재를 삽입하는 고정부재삽입단계(S300)를 가진다.
상기 고정부재삽입단계(S300)후에 상기 규제봉(100)을 삽입하는 규제봉삽입단계(S400)를 갖는 규제봉설치방법을 가진다.
상기 규제봉삽입단계(S400) 후에 규제봉날개부(300)를 상기 규제봉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이동시켜 2차고정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규제봉날개부부착단계(S500)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규제봉날개부(120)는 하부에서 상부로 삽입할 수있는 것이다.
또는 규제봉본체부(110)와 규제봉날개부(120)를 일체형으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작업하면 더욱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규제봉 110:규제봉본체부 115:탄력성재질부
120:규제봉날개부 150:지면삽입부
155:공간부 200:수평바규제봉

Claims (8)

  1. 규제봉본체부와 지면삽입부로 구성되는 규제봉에 있어서,
    상기 지면삽입부에는 공간부를 구성하여,
    상기 지면삽입부를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미리 상기 지면삽입부에 대응되는 홀을 지면에 구성하여 홀 내부에서 시멘트 또는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공간부의 내부 및 상기 공간부의 외부에 상기 시멘트 또는 고정부재가 삽입되어 견고하게 양생되어 상기 지면삽입부를 지면에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제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봉본체부의 상부에서 하부로 규제봉날개부를 삽입하여 견고하게 지면에 부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제봉.
  3. 규제봉본체부와 지면삽입부로 구성되는 규제봉에 있어서,
    상기 지면삽입부는 관통형으로 구성하며,
    관통형상의 상기 지면삽입부에는 공간부를 구성하고,
    상기 규제봉본체부와 상기 지면삽입부의 경계면에 규제봉날개부를 구성하되,
    상기 규제봉본체부, 상기 규제봉날개부, 상기 공간부가 구성된 관통형상의 상기 지면삽입부를 일체형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제봉.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는 복수개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제봉.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봉본체부와 상기 지면삽입부를 전후하여 탄력성재질부를 덧대어 외력에 의한 꺽임에도 탄성력으로 상기 규제봉본체부가 다시 세워질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제봉.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봉본체부와 지면의 경계면 주위에 규제봉날개부를 구성하여 2차적인 고정력을 발휘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제봉.
  7. 하부에 공간부를 구성한 규제봉을 준비하는 규제봉준비단계;
    지면에 상기 규제봉의 하부에 구성된 지면삽입부에 대응되는 홀을 제공하는 홀제공단계;
    상기 홀에 시멘트 또는 고정부재를 삽입하는 고정부재삽입단계;
    상기 고정부재삽입단계후에 상기 규제봉을 삽입하는 규제봉삽입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제봉설치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봉삽입단계후에 규제봉날개부를 지면과 닿은 부분에 위치시켜 2차고정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규제봉날개부부착단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제봉설치방법.
KR1020220146459A 2022-11-04 2022-11-04 규제봉 KR202400644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6459A KR20240064436A (ko) 2022-11-04 2022-11-04 규제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6459A KR20240064436A (ko) 2022-11-04 2022-11-04 규제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4436A true KR20240064436A (ko) 2024-05-13

Family

ID=91073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6459A KR20240064436A (ko) 2022-11-04 2022-11-04 규제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64436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1607B1 (ko) 2008-02-18 2010-06-04 박병수 조립식 차선규제봉
KR101043438B1 (ko) 2009-08-07 2011-06-22 신도산업 주식회사 분리형 차선 규제봉 어셈블리
KR20220050411A (ko) 2020-10-16 2022-04-25 한국씨엘지 주식회사 볼트 비노출형 차선규제봉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1607B1 (ko) 2008-02-18 2010-06-04 박병수 조립식 차선규제봉
KR101043438B1 (ko) 2009-08-07 2011-06-22 신도산업 주식회사 분리형 차선 규제봉 어셈블리
KR20220050411A (ko) 2020-10-16 2022-04-25 한국씨엘지 주식회사 볼트 비노출형 차선규제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3527B2 (en) Method for arranging engagement means in a concrete part
JPH09165762A (ja) 安定化された盛土構造体の表面被覆要素
US20170009446A1 (en) Prefabricated movement joint system for concrete floors
US20140096459A1 (en) Lifting and bracing system for a wall panel
US8920204B2 (en) Fin plug assembly and method of installation
EP2463440A2 (en) Separable lane-control bollard assembly
WO2006070788A1 (ja) ポール支持用支柱及び道路標識
KR20240064436A (ko) 규제봉
KR101502055B1 (ko) 목재 장식부재가 결합된 옹벽패널 및 상기 옹벽패널을 이용한 절토부 옹벽구조
KR20240064445A (ko) 규제봉
JP2007146622A (ja) 天端出し治具
WO2013040585A2 (en) Anchor bolt devices and operating methods for residential and commercial structures
KR102102118B1 (ko) 지주 분리형 차선분리대
US10577789B2 (en) Anchor system for wall panels and formwork
US20070193134A1 (en) Device for achieving an upper anchoring of a staircase
JP5227138B2 (ja) 道路用標示体の設置方法
KR100840624B1 (ko) 휀스용 포스트
DE10224305B4 (de) Anordnung eines Fertigteils an einem Brücken- oder Stützmauerbauwerk
KR200345530Y1 (ko) 차선규제봉
KR20240064432A (ko) 규제봉
JP4592605B2 (ja) 道路用標示体
KR20240064443A (ko) 도로파손을 최소화한 볼라드 및 그를 이용한 볼라드 설치방법
KR20240064440A (ko) 도로파손을 최소화한 볼라드
KR101658606B1 (ko) 장식패널 장착형 블록 제조방법과 블록
EP3418473A1 (de) Mechanische kupplungseinricht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