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3942A - 복합 연장체 - Google Patents

복합 연장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3942A
KR20240063942A KR1020247011495A KR20247011495A KR20240063942A KR 20240063942 A KR20240063942 A KR 20240063942A KR 1020247011495 A KR1020247011495 A KR 1020247011495A KR 20247011495 A KR20247011495 A KR 20247011495A KR 20240063942 A KR20240063942 A KR 20240063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e
rope
ethylene copolymer
extension
thermoplastic eth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11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스 슈나이더스
페터르 로제몬트
Original Assignee
아비엔트 프로텍티브 머티리얼스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비엔트 프로텍티브 머티리얼스 비.브이. filed Critical 아비엔트 프로텍티브 머티리얼스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240063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3942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02Ropes built-up from fibrou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f vegetable origin, of animal origin, regenerated cellulose, plastics
    • D07B1/025Ropes built-up from fibrou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f vegetable origin, of animal origin, regenerated cellulose, plastics comprising high modulus, or high tenacity, polymer filaments or fibres, e.g. liquid-crystal polymer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40Yarns in which fibres are united by adhesives; Impregnated yarns or threads
    • D02G3/404Yarns or threads coated with polymeric 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34Shaped forms, e.g. sheets, not provided for in any other sub-group of this main group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PBIOCIDAL, PEST REPELLANT, PEST ATTRACTANT OR PLANT GROWTH REGULATORY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PREPARATIONS
    • A01P15/00Biocide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01P1/00 - A01P13/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B66C1/125Chain-type s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B66C1/18Band-type sling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0Open-work fabrics
    • D04B21/12Open-work fabric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CBRAIDING OR MANUFACTURE OF LACE, INCLUDING BOBBIN-NET OR CARBONISED LACE; BRAIDING MACHINES; BRAID; LACE
    • D04C1/00Braid or lace, e.g. pillow-lace;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 D04C1/02Braid or lace, e.g. pillow-lace;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made from particular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CBRAIDING OR MANUFACTURE OF LACE, INCLUDING BOBBIN-NET OR CARBONISED LACE; BRAIDING MACHINES; BRAID; LACE
    • D04C1/00Braid or lace, e.g. pillow-lace;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 D04C1/06Braid or lace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D04C1/08Tul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3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6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with oxides, hydroxides or mixed oxides; with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8Oxides or hydroxides of elements of Groups 1 or 11 of the Periodic Tab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5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organometallic compounds; with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boron, silicon, selenium or tellurium atom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2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hydrocarbon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afterhalogenated or sulfochlorinat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64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silicon in the main chai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64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silicon in the main chain
    • D06M15/65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silicon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fluorin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6/00Biochem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enzymatic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02Ropes built-up from fibrou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f vegetable origin, of animal origin, regenerated cellulose, plastic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14Ropes or cables with incorporated auxiliary elements, e.g. for marking, extending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rope or cable
    • D07B1/141Ropes or cables with incorporated auxiliary elements, e.g. for marking, extending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rope or cable comprising liquid, pasty or powder agents, e.g. lubricants or anti-corrosive oils or greases
    • D07B1/142Ropes or cables with incorporated auxiliary elements, e.g. for marking, extending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rope or cable comprising liquid, pasty or powder agents, e.g. lubricants or anti-corrosive oils or greases for ropes or rope components built-up from fibrous or filamentary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5/00Making ropes or cables from special materials or of particular form
    • D07B5/005Making ropes or cables from special materials or of particular form characterised by their outer shape or surface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5/00Making ropes or cables from special materials or of particular form
    • D07B5/005Making ropes or cables from special materials or of particular form characterised by their outer shape or surface properties
    • D07B5/006Making ropes or cables from special materials or of particular form characterised by their outer shape or surface properties by the properties of an outer surface polymeric co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12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5/00Chain couplings, Shackles; Chain joints; Chain links; Chain bushes
    • F16G15/12Chain link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101/00Chemical constitution of the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to be treated
    • D06M2101/16Synthetic fibres, other than mineral fibres
    • D06M2101/18Synthetic fibres consisting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2101/20Polyalkenes, 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with alkenyl groups bonded to aromatic group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10Rope or cable structures
    • D07B2201/1004General structure or appearance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10Rope or cable structures
    • D07B2201/1096Rope or cable structures braided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01Wires or filaments
    • D07B2201/2009Wires or fila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01Wires or filaments
    • D07B2201/201Wires or filaments characterised by a coating
    • D07B2201/2012Wires or filaments characterised by a coating comprising polymer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15Strands
    • D07B2201/2042Strands characterised by a coating
    • D07B2201/2044Strands characterised by a coating comprising polymer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75Fillers
    • D07B2201/2076Fillers having a lubricant function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5/00Rope or cable materials
    • D07B2205/20Organic high polymers
    • D07B2205/201Polyolefin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5/00Rope or cable materials
    • D07B2205/20Organic high polymers
    • D07B2205/201Polyolefins
    • D07B2205/2014High performance polyolefins, e.g. Dyneema or Spectra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5/00Rope or cable materials
    • D07B2205/30Inorganic materials
    • D07B2205/3017Silicon carbide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401/00Aspects related to the 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 D07B2401/20Aspects related to the 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related to ropes or cables
    • D07B2401/206Improving radial flexibility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401/00Aspects related to the 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 D07B2401/20Aspects related to the 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related to ropes or cables
    • D07B2401/2065Reducing wear
    • D07B2401/207Reducing wear internally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401/00Aspects related to the 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 D07B2401/20Aspects related to the 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related to ropes or cables
    • D07B2401/2065Reducing wear
    • D07B2401/2075Reducing wear externally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501/00Application field
    • D07B2501/20Application field related to ropes or cables
    • D07B2501/2015Construction industri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 D10B2321/021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polyethylene
    • D10B2321/0211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polyethylene high-strength or high-molecular-weight polyethylene, e.g. 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UHMW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ntistry (AREA)
  • Toxic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0.6 N/tex 이상의 강인도(tenacity)를 갖는 고성능 폴리에틸렌(HPPE) 필라멘트(2), 및 복합 연장체 전체에 걸쳐 존재하는 중합체 조성물(10)을 포함하는 복합 연장체(3)에 관한 것이며, 상기 중합체 조성물은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 및 폴리실록산을 포함하고,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는 에틸렌의 공중합체이고, 상기 중합체 조성물은 40 내지 140℃ 범위의 피크 용융 온도를 가진다.

Description

복합 연장체
본 발명은 복합 연장체(composite elongated body)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연장체를 포함하는 긴 물체(lengthy body)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복합 연장체의 제조 방법 및 긴 물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연장체 및/또는 긴 물체를 포함하는 물품 및 상기 물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복합 연장체를 포함하는 로프 및 시브(sheave)를 포함하는 크레인도 본 발명의 일부이다. 본 발명은 또한, 물체를 들어올리고/거나 놓는 방법 및 상기 중합체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용도에서, 로프와 벨트는 상대 표면(counter surface)과 접촉할 때 반복적으로 마찰과 변형을 겪는다. 사용 동안, 상기 로프는 페어리드(fairlead), 볼라드(bollard), 드럼, 플랜지(flange), 도르래(pulley), 시브(sheave) 등의 위로 빈번하게 당겨져, 특히, 로프의 마모 또는 굽힘을 제공한다. 이러한 빈번한 마모 및 굽힘에 노출되면, 로프, 스트랜드(strand) 및/또는 필라멘트 손상으로 인해 로프가 파손될 수 있으며, 피로 파괴(fatigue failure)는 흔히 연마 마모(abrasive wear) 또는 굽힘 피로(bend fatigue)로 지칭된다.
개선된 굽힘 피로를 갖는 HPPE(고성능 폴리에틸렌) 섬유 로프는, 예를 들어 WO2007/062803 및 WO2011/015485에 기술되어 있다. WO2007/062803은, 고성능 폴리에틸렌 섬유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섬유로 구성된 로프를 기재하고 있다. 상기 로프는 3 내지 18 질량%의 액체 폴리유기실록산을 함유할 수 있다. WO2011/015485는, 가교결합된 실리콘 고무로 코팅된 HPPE 섬유를 포함하는 로프를 기재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는, 굽힘 적용 동안 HPPE 섬유의 마찰 거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실리콘 조성물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저마찰 섬유(예컨대, PTFE)와 조합으로 사용하는 것이 제안하였다. 특히 WO2011/015485는, 고급(high end) 굽힘 적용에서 확립된 기술을 기재하고 있다. WO 2017/060461은 고성능 폴리에틸렌 섬유와 중합체 수지를 포함하는 긴 물체 및 이러한 복합 연장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US 2007/202329는, 해양 용도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로프, 특히 고 강인도 합성 로프에서의 고강도 합성 로프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GB 1 405 551은, 사이즈 조성물, 특히, 유리 섬유-강화된 탄성중합체 제품의 제조 및 유리 섬유-강화된 플라스틱의 제조에서 유리 섬유 직물 중 유리 섬유의 가공 및 성능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유리 섬유에 적용하기 위한 사이즈 조성물에 관한 것임에 주목한다. US 7,858,180 B2는, 로프의 개선, 특히 다양한 용도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고 강인도 합성 로프에 관한 것임에 주목한다. JP 2003 261765 A는, 내마모성을 개선하기 위한 가공제에 관한 것임에 주목한다.
본 발명은, 개선된 긴 물체, 예컨대 개선된 합성 로프, 특히, HPPE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개선된 긴 물체, 예컨대 HPPE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개선된 로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긴 물체,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로프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연장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0.6 N/tex 이상의 강인도를 갖는 고성능 폴리에틸렌(HPPE) 필라멘트 및 복합 연장체 전체에 걸쳐 존재하는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복합 연장체를 제공하며, 상기 중합체 조성물은,
a) 본원에 기재된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 및
b) 본원에 기재된 폴리실록산
을 포함하며, 상기 공중합체는 에틸렌의 공중합체이고, 상기 중합체 조성물은 ASTM E794-06에 따라 측정시 40 내지 140℃ 범위의 피크 용융 온도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연장체를 포함하는 로프는 개선된 마모 성능을 나타낸다. 하나의 양태에서, 이는, 정적 대향-표면(contra-surface)(예컨대, 페어리드)에 대한 개선된 내마모성에 의해 입증된다.
정적 대향-표면에 대한 이러한 개선된 내마모성은 개선된 외부 마모성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 "외부"란, 로프의 바깥 표면, 즉, 사람의 눈에 보이는 부분, 또는 로프를 손에 쥐거나 손으로 만졌을 때 손에 닿는 부분을 지칭한다. 본원에서 이러한 개선은, 로프의 외부 표면 주위에 커버를 사용하지 않고 로프 자체에 대해 제시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마모 특성이 다른 개선된 기계적 특성과 조합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상기 개선은, 예를 들어 반복 굽힘 성능 개선, 특히 CBOS(Continuous Bending Over Sheave) 성능 개선에서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연장체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로프는, 시브 성능에 대해 개선된 반복 굽힘을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연장체는 복합재(composite material)이다. 복합재는, 상당히 상이한 물리적 및/또는 화학적 특성을 갖는 2개 이상의 구성성분(이들은, 조합시, 개별 성분과 상이한 특성을 갖는 재료를 생성함)으로 제조된 재료이다. 상기 개별 성분은 최종 구조 내에서 분리되어 별개로 유지된다.
가장 단순한 형태의 복합 연장체는, 서로 꼬이지 않고 나란히 놓인 2개 이상의 필라멘트를 포함한다. 상기 필라멘트는 실질적으로 단일 방향(즉, 복합 연장체의 길이 방향)으로 배향될 것이다.
본원에서 "섬유"는, 길이 치수가 폭과 두께의 가로(transverse) 치수보다 훨씬 큰 긴 물체로 이해된다. 본원에서 용어 "섬유"는 필라멘트를 포함하며, 이러한 필라멘트는 규칙적이거나 불규칙한 단면을 가질 수 있다.
"필라멘트"는, 길이 치수가 폭와 두께의 가로 치수보다 훨씬 큰 긴 물체이다. 섬유는 연속 길이(당분야에서 필라멘트 또는 연속 필라멘트로 공지됨) 또는 불연속 길이(당분야에서 스테이플 섬유로 공지됨)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한 "얀(yarn)"은, 2개 이상의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긴 물체이다. 얀은 전형적으로 10,000개 이하의 필라멘트를 포함한다. 하나의 양태에서, 얀은 5000개 이하의 필라멘트를 포함한다. 얀의 필라멘트는 꼬이거나(twisted) 꼬이지 않을(untwisted)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얀의 필라멘트는 꼬이지 않는다. 코팅 동안, 얀의 필라멘트를 꼬이지 않게 하여 필라멘트 표면 상의 코팅 침투/습윤을 개선하는 것이 유익하다.
본원에서 "연장(elongated)"은, 길이 치수가 폭과 두께의 가로 치수보다 훨씬 더 큰 것으로 이해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길이 치수는 폭 또는 두께 치수 중 더 큰 것보다 10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배 이상,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50배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배 이상 더 크다. 하나의 양태에서, 길이 치수는 폭 또는 두께 치수 중 더 큰 것보다 20배 내지 1×1010배 더 크다.
본원에서 "긴 물체(lengthy body)"는, 길이 치수가 폭과 두께 또는 직경의 가로 치수보다 훨씬 더 큰 연장체로 이해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길이 치수는 폭 또는 두께 치수 중 더 큰 것보다 10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배 이상,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50배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배 이상 더 크다. 하나의 양태에서, 긴 물체의 길이 치수는, 폭 또는 두께 치수 중 더 큰 것보다 20 내지 1×1010배 더 크다.
본 발명은 또한, 0.6 N/tex 이상의 강인도를 갖는 고성능 폴리에틸렌(HPPE) 필라멘트 및 복합 연장체 전체에 걸쳐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복합 연장체를 제공하며, 상기 중합체 조성물은,
a)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 및
b) 윤활제
를 포함하고,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는 에틸렌의 공중합체이고, 상기 중합체 조성물은 ASTM E794-06에 따라 측정시 40 내지 140℃ 범위의 피크 용융 온도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연장체의 실시양태에서, 윤활제는 폴리실록산, 예컨대 폴리다이메틸실록산(반응성 또는 비반응성); 플루오로실리콘 및 기타 플루오로중합체, 예컨대 PTFE; 왁스, 예를 들면 합성 왁스, 예컨대 PE, PP 왁스, 실리콘 왁스, 동물성 왁스, 예컨대 밀랍, 식물성 왁스, 예컨대 카나우바 왁스; 합성 그리스 또는 오일; 미네랄 그리스 및 오일; 무기 고체, 예컨대 흑연 또는 몰리브덴 다이설파이드; 세라믹, 예컨대 세라믹 윤활제 또는 세라믹 코팅; PUR; 아크릴; PUR과 아크릴의 하이브리드;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연장체의 실시양태에서, 윤활제는 폴리실록산이다. 실리콘으로도 불리는 폴리실록산은, 실록산 단위로 구성된 올리고머 또는 중합체이다. 이는 구조식 [R2SiO] n 을 갖는 혼합된 무기-유기 중합체이다. 이는, 실리콘 원자에 부착된 유기 측부 기를 갖는 무기 실리콘-산소 골격(…-Si-O-Si-O-Si-O-…)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전형적으로 무색 오일이거나 고무-유사 성분이다. 몇몇 통상적인 형태는 실리콘 오일, 실리콘 그리스, 실리콘 고무, 실리콘 수지 및 실리콘 코크(caulk)를 포함한다. 폴리실록산은, 적합하게 치환된 실란의 축합에 의해 제조된 중합체 물질이다. 실시양태들에서, 폴리실록산은 가교결합되지 않은 것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폴리실록산은 가교결합된 것이며, 예를 들어, 폴리실록산에 존재하는 작용기(예컨대, 비닐, 하이드록실, 아민, 에폭시, 아크릴아마이드 또는 이소시아네이트 기)(이는, 중합체 조성물을 연장체의 필라멘트에 적용하는 동안 및/또는 적용한 후에 반응할 수 있음)로부터 생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연장체의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폴리실록산은 폴리다이메틸실록산(PDMS)이다. PDMS는 상이한 공급처로부터 수성 분산액으로서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에 폴리실록산의 분산액 또는 에멀젼을 사용하는 이점은, 이러한 분산액이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의 분산액과 다른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는 점이다. 적합한 폴리다이메틸실록산 분산액의 예는 왁커(Wacker)(등록상표) 에멀젼 C800 또는 E22(왁커 케미 아게(Wacker Chemie AG), 독일 뮌헨 소재) 및 자이아미터(Xiameter)(상표명) PMX-200 실리콘 유체(다우 인코포레이티드(Dow Inc.), 미국)를 포함한다. 폴리실록산은 또한 실록산 왁스, 예컨대 왁커(등록상표) E 32 실리콘 왁스 에멀젼일 수 있으며, 이는, 실온에서 고체(융점 39 내지 45℃)이지만 교반에 의해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성 분산액에 쉽게 혼입될 수 있는 실리콘 왁스의 비이온성 수성 에멀젼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되는 폴리실록산은 비반응성 폴리실록산일 수 있지만, 예를 들어 가교결합 반응에서 또 다른 화합물과 반응할 수 있는 작용기를 포함하는 반응성 폴리실록산일 수도 있다. 전형적으로, 반응성 폴리실록산은 적어도 반응성 펜던트 기 또는 반응성 말단 기를 갖고; 이는 비닐, 하이드라이드, 실란올, 알콕시, 에폭시, 카르비놀, (메트)아크릴레이트, 머캅토, 아세톡시/염소/다이메틸아민, 알콕사이드, 실세스퀴옥산, 폴리실란 또는 폴리실라잔 기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반응성 기는 비닐; 하이드록시; 아민; 에폭시; (메트)아크릴아마이드; 헥센일; 플루오르(fluor); 또는 이소시아네이트 기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본 방법에 사용되는 폴리실록산은, 플루오르 반응성 기를 갖는 반응성 폴리실록산이다. 적합한 반응성 폴리실록산 조성물의 예는 왁커 실리콘스(왁커 Silicones)로부터의 데헤시브(Dehesive)(등록상표)(가교결합제) 430 및 데헤시브(등록상표) 440(촉매); 블루스타 실리콘스(Bluestar Silicones)로부터의 실콜리스(Silcolease)(등록상표) 에멀젼 912 및 실콜리스(등록상표) 촉매 913; 및 다우 코닝(Dow Corning)으로부터의 실-오프(Syl-off)(등록상표) 7950 에멀젼 코팅 및 실-오프(등록상표) 7922 촉매 에멀젼이다. 실시양태들에서, 본 방법에 사용되는 폴리실록산은 반응성 폴리실록산, 예를 들러 실-오프(등록상표) 7950 에멀젼 코팅과 실-오프(등록상표) 7922 촉매 에멀젼(다우 코닝)의 조합물이다.
상기 수성 코팅 조성물은 전체 코팅 조성물을 기준으로 0 내지 50 질량%의 폴리실록산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수성 코팅 조성물은 전체 코팅 조성물을 기준으로 0 내지 80 질량%의 폴리실록산을 함유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본원의 코팅 조성물은 수성 코팅 조성물이다. 상기 수성 코팅 조성물은 전체 코팅 조성물을 기준으로 0.5 내지 20 질량%의 폴리실록산을 함유할 수 있다. 실시양태들에서, 폴리실록산은 0.5 질량% 이상, 1.0 질량% 이상, 1.5 질량% 이상, 또는 2.0 질량% 이상 15 질량% 이하, 12 질량% 이하, 10 질량% 이하, 8 질량% 이하, 6 질량% 또는 4 질량% 이하의 농도로 존재한다. 하나의 양태에서, 폴리실록산은 1 이하:3의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에 대한 질량비로 존재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 대 폴리실록산의 질량비는 1 이하:4, 1 이하:5 또는 1 이하:6이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 대 폴리실록산의 질량비는 적어도 1:1, 적어도 2:1, 적어도 3:1, 적어도 4:1 또는 적어도 5:1이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코폴리에틸렌:실리콘의 질량비는 1:1 내지 20:1 범위이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코폴리에틸렌:실리콘의 질량비는 1:1 내지 10:1 범위이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코폴리에틸렌:실리콘의 질량비는 2:1 내지 5:1 범위이다.
적합한 폴리다이메틸실록산은 욀에멀젼(Olemulsion) C 800(왁커 케미 아게, 독일 뮌헨 소재)을 포함한다. 하나의 양태에서,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되는 폴리실록산은, 본원의 방법 섹션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결정시 10 Pa·s 내지 100 Pa·s 범위의 점도를 가진다. 하나의 양태에서, 본원의 폴리실록산은, 본원의 방법 섹션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결정시 10 Pa·s 내지 100 Pa·s 범위의 점도를 가진다. 이러한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에멀젼의 예는 욀에멀젼 C 800(왁커 케미 아게, 독일 뮌헨 소재)을 포함한다. C 800의 비반응성 폴리다이메틸실록산의 점도는, 본원의 방법 섹션에 기재된 방법으로 결정시 16.5 Pa·s 이다. 본원의 방법 섹션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결정시 10 Pa·s 내지 100 Pa·s 범위의 점도를 갖는 폴리실록산의 또 다른 예는 왁커 E22(왁커 케미 아게, 독일 뮌헨 소재)를 포함한다. 이는 물 중의 고점도 폴리다이메틸실록산의 미세 분산된 음이온 제형이고, 41 내지 44%의 고형분 함량, 및 7.5 내지 8.5의 pH 값을 가진다.
본원의 방법 섹션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결정시 10.0 Pa·s 내지 100.0 Pa·s 범위의 점도를 갖는 폴리실록산, 특히 폴리다이메틸실록산을 사용하는 이점은, 수중 환경에서 사용시 로프(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연장체 포함)의 개선된 장기간 사용을 포함한다. 이러한 로프의 예는 선박 및/또는 해양 플랫폼을 계류(mooring)하기 위한 로프를 포함한다. 이론에 얽매이고자 하지 않고, 상기 이점은, 로프의 필라멘트, 얀, 서브 스트랜드 및 스트랜드에 추가 윤활을 제공하여 결과적으로 로프 내부 및 외부 부분의 마찰 마모를 감소시키는 상기 실록산 화합물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되는 폴리실록산은, 본원의 방법 섹션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결정시 12 Pa·s 내지 50 Pa·s 범위의 점도를 가지며, 본원의 방법 섹션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결정시 바람직하게는 15 Pa·s 내지 30 Pa·s 범위의 점도를 가진다.
하나의 양태에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실록산은, 본원의 방법 섹션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결정시 10 Pa·s 미만, 예를 들어 0.01 Pa·s 내지 9.5 Pa·s 범위의 점도를 가진다. 이러한 폴리실록산 에멀젼의 예는 다우 티아미터(상표명) PMX-200 실리콘 유체이며, 이는 무색 투명한 폴리다이메틸실록산 유체이다.
하나의 양태에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실록산은, 본원의 방법 섹션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결정시 100 Pa·s 초과, 예를 들어 101 내지 300 Pa·s 범위, 바람직하게는, 가공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101 내지 200 Pa·s 범위의 점도를 가진다.
하나의 양태에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실록산은 비반응성 폴리실록산이다. 비반응성 폴리실록산은, 예를 들어 가교결합 반응에서 또 다른 화합물과 반응할 가능성이 없다.
하나의 양태에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실록산은 반응성 폴리실록산이다. 반응성 폴리실록산은, 예를 들어 가교결합 반응에서 또 다른 화합물과 반응할 가능성이 있는 반응 기를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반응성 폴리실록산은 적어도 하나의 반응성 펜던트 기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반응성 말단 기를 가진다. 반응성 기는 비닐, 하이드라이드, 실란올, 알콕시/중합체성 알콕사이드, 에폭시, 카르비놀, 메타크릴레이트/아크릴레이트, 머캅토, 아세톡시/염소/다이메틸아민, 중합체성 알콕사이드, 실세스퀴옥산, 폴리실란, 폴리실라잔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반응성 기는 비닐; 하이드록시; 아민; 에폭시; 아크릴아마이드; 헥센일; 플루오르; 및 이소시아네이트 기를 포함한다. 하나의 양태에서, 반응성 기는 부텐일 기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사용된 폴리실록산은 반응성 폴리실록산이다. 여기서 반응성 기는 플루오르를 포함한다. 반응성 폴리실록산 코팅의 예는 왁커 실리콘스로부터의 데헤시브(등록상표)(가교결합제) 430 및 데헤시브(등록상표) 440(촉매); 블루스타 실리콘스로부터의 실콜리스(등록상표) 에멀젼 912 및 실콜리스(등록상표) 촉매 913; 및 다우 코닝으로부터의 실-오프(등록상표) 7950 에멀젼 코팅 및 실-오프(등록상표) 7922 촉매 에멀젼이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본 방법에 사용되는 폴리실록산은 반응성 폴리실록산, 예를 들러 다우 코닝으로부터의 실-오프(등록상표) 7950 에멀젼 코팅과 실-오프(등록상표) 7922 촉매 에멀젼의 조합물이다. 하나의 양태에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실록산은 작용화된 폴리실록산이다. 작용화된 폴리실록산의 예는 왁커 W23 실리콘 왁스를 포함하며, 이는 왁스-작용화된 폴리실록산의 예이다. 왁커(등록상표) W 23은 백색의 왁스질 폴리메틸실록산이며 가수분해에 내성이고 다양한 기질에 대해 매우 높은 친화성을 나타낸다. 이는 39 내지 45.0℃의 융점 및 300 mPa·s의 동적 점도(브룩필드(Brookfield), 50℃)을 가진다. 이러한 융점 범위는 윤활 특성을 개선하고 사용 동안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 및 상기 윤활제, 예컨대 폴리실록산은 분취용 분별 방법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이는 몰 질량(예컨대,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용해도 또는 결정화도(예컨대, 온도 상승 용리 분별 사용)에 기초한 성분들의 분리일 수 있다. 이렇게 수득된 분획들은, 예를 들어 IR 및/또는 NMR 기술(들)을 사용하여 분석될 수 있다. 성분의 첫 번째 지표(indication)는, 예를 들어, 실리콘(Si)이 내부에 있는지 확인하는 원소 분석을 사용하여 수득될 수 있다. 윤활제의 유형은, 예를 들어, GC-MS를 사용하여 체류 시간과 몰 질량을 비교하고 핑거프린트(fingerprint)를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당업자는, 시험할 샘플에 따라, 적합한 샘플 제조 기술 및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당업자는 최종 제품을 접하게 되면 밀도 측정을 수행하기 전에 중합체 조성물을 수득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최종 제품이 무엇처럼 생겼는지에 따라,, 상기 중합체 조성물의 샘플을 수득하고 제조하는 방법을 결정한 후, 샘플이 무엇처럼 생겼는지에 따라, 밀도 측정의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는 것은 당업자의 기술의 일부이다. 예를 들어, 상기 복합 연장체로부터 상기 중합체 조성물을 긁어내어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긴 물체로부터 상기 중합체 조성물을 긁어내어 분석될 수 있다.
본원의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는, 건조 샘플에 대해 10 K/분의 가열 속도에서 2차 가열 곡선을 고려하여, ASTM E794-06에 따라 측정시 40 내지 140℃ 범위의 피크 용융 온도를 갖는 반결정질 중합체이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의 피크 용융 온도는 50 또는 60℃ 이상 130 또는 120℃ 이하이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의 피크 용융 온도는 50℃ 이상 130℃ 이하이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의 피크 용융 온도는 60℃ 이상 130℃ 이하이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의 피크 용융 온도는 60℃ 이상 120℃ 이하이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의 피크 용융 온도는 50 내지 120℃ 범위이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의 피크 용융 온도는 50℃ 내지 120℃ 범위이다. 이러한 피크 용융 온도는, 고성능 폴리에틸렌 필라멘트의 기계적 특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고도 상기 중합체 조성물을 갖는 복합 연장체가 용융되고 필라멘트를 함침하게 만든다.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는 하나 초과의 피크 용융 온도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적어도 상기 용융 온도의 최고 용융 피크는 상기 범위 이내이다. 상기 공중합체의 제2 및/또는 추가 피크 용융 온도는 상기 온도 범위 이내이거나, 또는 벗어나거나, 바람직하게는 미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가 상이한 중합체들의 블렌드인 경우, 다중 용융 피크가 관찰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는 다양한 형태의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공단량체(예컨대, 1-부텐, 이소부틸렌) 뿐만 아니라 헤테로원자-함유 단량체(예컨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비닐 아세테이트, 말레산 무수물, 에틸 아크릴레이트, 메틸 아크릴레이트)를 갖는 다른 에틸렌 공중합체; 일반적으로 α-올레핀 및 환형 올레핀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블렌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는, 2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하나 이상의 올레핀, 특히 프로필렌, 이소부텐, 1-부텐, 1-헥센, 4-메틸-1-펜텐, 1-옥텐,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및 비닐아세테이트를 공단량체로서 함유할 수 있는 에틸렌 공중합체이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는 작용화된 폴리에틸렌일 수 있거나, 다르게는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는 작용화된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작용화된 중합체는 흔히 작용성 공중합체 또는 그래프트된 중합체로 지칭되며, 여기서 "그래프트"는,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를 주로 갖는 중합체 골격의 화학적 개질을 의미하고, "작용성 공중합체"는, 에틸렌과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의 공중합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는 산소 및/또는 질소 원자를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는 카복실산 기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여, 아실화된 중합체, 특히 아세틸화된 폴리에틸렌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카복실산 반응물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신남산, 크로톤산, 말레산, 푸마르산 및 이타콘산 반응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작용화된 중합체는 전형적으로 1 내지 10 질량% 이상의 카복실 반응물을 포함한다.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에 이러한 작용화(functionalization)가 존재하면,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의 분산성을 실질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고/있거나, 해당 목적을 위해 존재하는 추가 첨가제(예컨대, 계면활성제)의 감소를 허용할 수 있다. 본원에서 "용매"는, 실온에서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가 1 질량% 초과의 양으로 용해되는 액체로 이해되고, "비용매"는, 실온에서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가 0.1 질량% 미만의 양으로 용해되는 액체로 이해된다.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는, ISO1183-04에 따라 측정시 860 내지 970 kg/m3, 바람직하게는 870 내지 930 kg/m3, 더욱 바람직하게는 870 내지 920 kg/m3, 가장 바람직하게는 875 내지 910 kg/m3 범위의 밀도를 가진다. 하나의 양태에서,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의 밀도는, ISO1183-04에 따라 측정시 875 내지 900 kg/m3 범위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바람직한 범위 내의 밀도를 갖는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가, 본 발명의 방법 동안, 복합 연장체의 기계적 특성과 코팅 조성물, 특히 건조된 코팅 조성물의 가공성 사이의 개선된 균형을 제공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는, 건조 샘플에 대해 10 K/분의 가열 속도에서 2차 가열 곡선을 고려하여, 각각 ASTM E794-06 및 ASTM E793-85에 따라 측정시, 40℃ 내지 140℃ 범위의 피크 용융 온도 및 전형적으로 5 J/g 이상의 융해열(heat of fusion)을 갖는 반결정질 중합체이다.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는, 건조 샘플에 대해 10 K/분의 가열 속도에서 2차 가열 곡선을 고려하여, 각각 ASTM E794-06 및 ASTM E793-85에 따라 측정시, 40 내지 140℃ 범위의 피크 용융 온도 및 전형적으로 5 J/g 이상의 융해열을 갖는 반결정질 폴리올레핀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는 10 J/g 이상, 바람직하게는 15 J/g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J/g 이상, 더욱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J/g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J/g 이상의 융해열을 가진다. 놀랍게도, 본 발명자들은 융해열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복합 연장체가 개선된 모노필라멘트-유사 특성을 나타냄을 발견하였다.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의 융해열은, 완전 결정질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에 대한 이론적인 최대 융해열(약 300 J/g)과 달리, 상한값에 의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는 지정된 범위 내의 피크 용융 온도를 갖는 반결정질 생성물이다. 따라서,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에 대한 합리적인 상한은 200 J/g 이하, 바람직하게는 150 J/g 이하의 융해열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는, 건조 샘플에 대해 10 K/분의 가열 속도에서 2차 가열 곡선을 고려하여, ASTM E794-06에 따라 측정시 50 내지 130℃ 범위,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20℃ 범위의 피크 용융 온도를 가진다. 이러한 바람직한 피크 용융 온도는, 복합 연장체의 건조 조건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적으면서도 우수한 특성을 갖는 복합 연장체를 생성한다는 점에서, 더 강건한 복합 연장체 가공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는 하나 초과의 피크 용융 온도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적어도, 상기 용융 온도의 최고 용융 피크는 상기 범위 이내이다.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의 제2 및/또는 추가 피크 용융 온도는 상기 온도 범위 이내이거나 이를 벗어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가 중합체들의 블렌드인 경우일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는 넓은 범위 내에서 변할 수 있는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약 50 MPa의 모듈러스를 갖는 저 모듈러스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는 우수한 강도 특성을 갖는 매우 가요성의 복합 연장체를 제공할 것이다. 예를 들어 약 500 MPa의 모듈러스를 갖는 고 모듈러스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는, 개선된 구조적 외관을 갖는 복합 연장체, 예컨대 모노필라멘트를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용도는, 해당 용도의 사용 동안 특정 요구 사항과 관련하여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에 대한 최적의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다. 모듈러스는 본원의 방법에 설명된 대로 결정될 것이다.
상기 복합 연장체에 존재하는 중합체 조성물의 양(코팅%)은, 복합 연장체의 용도에 따라 광범위하게 달라질 수 있으며, 사용되는 적용 방법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연장체 중의 중합체 조성물의 양은 본원의 방법 섹션에 기재된 바와 같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복합 연장체에서, HPPE 필라멘트의 표면은 상기 중합체 조성물로 실질적으로(하나의 양태에서, 50% 이상, 60% 이상, 70% 이상, 90% 이상, 95% 이상, 또는 98% 이상) 코팅된다(즉, 피복된다). 상기 복합 연장체의 하나의 양태에서, HPPE 필라멘트의 표면은 상기 중합체 조성물로 70% 내지 100% 코팅된다(즉, 피복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복합 연장체 중의 중합체 조성물은, HPPE 필라멘트의 실질적으로 전체 표면 상에 사이저(sizer)로서 존재한다고 말할 수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연장체는,
(a) 60 내지 95 질량%의 고성능 폴리에틸렌 필라멘트;
(b) 5.0 내지 25 질량%의, ASTM E794-06에 따라 측정시 40 내지 140℃의 피크 용융 온도를 갖는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
(c) 0.1 내지 10 질량%의 폴리실록산; 및
(d) 0 내지 5.0 질량%의 기타 첨가제
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성분 (a) 내지 (d)의 총합은 100 질량%이다.
하나의 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연장체는,
(a) 75 내지 92 질량%의 고성능 폴리에틸렌 필라멘트;
(b) 7.5 내지 15 질량%의, ASTM E794-06에 따라 측정시 40 내지 140℃의 피크 용융 온도를 갖는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
(c) 0.5 내지 10 질량%의 폴리실록산; 및
(d) 0 내지 5.0 질량%의 기타 첨가제
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성분 (a) 내지 (d)의 총합은 100 질량%이다.
하나의 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연장체는,
(a) 80 내지 92 질량%의 고성능 폴리에틸렌 필라멘트;
(b) 8 내지 12 질량%의, ASTM E794-06에 따라 측정시 40 내지 140℃의 피크 용융 온도를 갖는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
(c) 0.75 내지 8 질량%의 폴리실록산; 및
(d) 0 내지 5.0 질량%의 기타 첨가제
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성분 (a) 내지 (d)의 총합은 100 질량%이다.
하나의 양태에서, 상기 중합체 조성물은 HPPE 필라멘트의 표면 상에 균일한 필름을 형성한다. 이는, 필라멘트 직경의 3배 이상의 SEM 측정 창을 사용하면서, 시각적 분석을 통해, 예를 들어, 복합 연장체의 단면에 대한 SEM을 사용하여 표면의 몇 %가 코팅 조성물로 덮여 있는지를 결정함으로써, 다르게는, 10개 위치(단면에 걸쳐 고르게 분포됨)에서 SEM을 수행하여 표면의 몇 %가 코팅 조성물로 덮여 있는지를 결정함으로써 관찰될 수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상기 중합체 조성물은 HPPE 필라멘트의 표면 상에 균일한 필름을 형성한다. 이는 또한, 시각적 분석을 통해, 예를 들어 복합 연장체의 외부 표면에 대한 SEM을 사용함으로써 관찰할 수 있다(이는 도 11에 도시됨).
상기 중합체 조성물은 ISO1183-04에 따라 측정시 860 내지 970 kg/m3, 바람직하게는 870 내지 930 kg/m3, 더욱 바람직하게는 870 내지 920 kg/m3, 가장 바람직하게는 875 내지 910 kg/m3 범위의 밀도를 가진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중합체 조성물의 밀도는 ISO1183-04에 따라 측정시 875 내지 900 kg/m3 범위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범위 내의 밀도를 갖는 중합체 조성물이 본 발명의 복합 연장체의 제조 동안 복합 연장체의 기계적 특성과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 및 윤활제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의 가공성 사이의 우수한 균형을 제공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연장체의 실시양태에서, 윤활제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폴리실록산이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HPPE 필라멘트"는, 개선된 기계적 특성(예컨대, 강인도)을 갖는 폴리에틸렌 필라멘트인 것으로 이해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고성능 폴리에틸렌 필라멘트는 0.6 N/tex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N/tex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N/tex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8 N/tex 이상,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2.5 N/tex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3.5 N/tex 이상의 강인도를 갖는 폴리에틸렌 필라멘트이다. 바람직한 폴리에틸렌은 고분자량 폴리에틸렌(HMWPE) 또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이다. 상기 고성능 폴리에틸렌 필라멘트가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을 포함하고 2.0 N/tex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N/tex 이상의 강인도를 가질 때 최상의 결과가 수득되었다. 하나의 양태에서, 상기 고성능 폴리에틸렌 필라멘트는 2.0 내지 5.0 N/tex 범위의 강인도를 갖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 필라멘트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복합 연장체는, 고분자량 폴리에틸렌(HMWPE),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HPPE 필라멘트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HPPE 필라멘트는 HMWPE 및/또는 UHMWPE로 실질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실질적으로 이루어진다'라는 표현은 '소량의 추가 화학종을 포함할 수 있다'는 의미를 가지며, 이때 소량은 5 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2 질량% 이하의 상기 추가 화학종이거나, 또는 달리 말하면, 상기 필라멘트를 기준으로 '95 질량% 이상의 HMWPE 및/또는 UHMWPE를 포함한다' 또는 바람직하게는 '98 질량% 이상의 HMWPE 및/또는 UHMWPE를 포함한다'.
하나의 양태에서, 본 발명의 복합 연장체는 0.6 N/tex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N/tex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N/tex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8 N/tex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N/tex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3.5 N/tex 이상의 강인도를 갖는 고분자량 폴리에틸렌(HMWPE) 필라멘트를 포함한다. 상기 고성능 폴리에틸렌 필라멘트가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을 포함하고 2.0 N/tex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N/tex 이상의 강인도를 가질 때 최상의 결과가 수득되었다. 하나의 양태에서, 본 발명의 복합 연장체는 2.0 내지 5.5 N/tex 범위의 강인도를 갖는 고분자량 폴리에틸렌(HMWPE) 필라멘트를 포함한다. 하나의 양태에서, 본 발명의 복합 연장체는 2.0 내지 5.0 N/tex 범위의 강인도를 갖는 고분자량 폴리에틸렌(HMWPE) 필라멘트를 포함한다.
하나의 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연장체는, 2.0 내지 5.0 N/tex 범위의 강인도를 갖는 (UHMWPE) 필라멘트를 2 내지 1×109개 포함한다.
하나의 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연장체는 2.0 내지 5.0 N/tex 범위의 강인도를 갖는 (UHMWPE) 필라멘트를 2 내지 1×107개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상기 필라멘트의 폴리에틸렌(PE)은 선형 또는 분지형일 수 있으며, 선형 폴리에틸렌이 바람직하다. 본원에서 "선형 폴리에틸렌"은, 탄소 원자 100개당 1개 미만의 측쇄를 갖는 폴리에틸렌,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 300개당 1개 미만의 측쇄를 갖는 폴리에틸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며, 이때 측쇄 또는 분지는 일반적으로 10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함유한다. 측쇄는 FTIR에 의해 적합하게 측정될 수 있다.
상기 필라멘트의 PE는 바람직하게는 2 dl/g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 dl/g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8 dl/g 이상의 고유 점도(intrinsic viscosity, IV)를 갖는 고분자량이다. 4 dl/g 초과의 IV를 폴리에틸렌은 또한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으로도 지칭된다. "고유 점도"는, 실제 몰 질량 매개변수(예컨대, 수 평균 분자량(Mn) 및 중량 평균 분자량(Mw))보다 더 쉽게 결정될 수 있는 분자량 측정치이다. 전형적으로, 상기 필라멘트 PE의 IV는 50 dl/g 이하이다.
본 발명의 HPPE 필라멘트는 다양한 공정, 예를 들어 용융 방사 공정, 겔 방사 공정 또는 고체 상태 분말 압축 공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필라멘트의 바람직한 제조 방법은, 폴리에틸렌을 압출기에 공급하는 단계, 성형된 물품을 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압출하는 단계, 및 압출된 필라멘트를 융점 미만에서 연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용융 방사를 포함한다. 필요한 경우, 상기 중합체를 압출기에 공급하기 전에, 상기 중합체를 적합한 액체 화합물과 혼합하여, 예를 들어 겔을 형성할 수 있는데, 이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을 사용하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필라멘트의 제조 방법에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필라멘트는 겔 방사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적합한 겔 방사 공정은, 예를 들어 GB-A-2042414, GB-A-2051667, EP 0205960 A 및 WO 01/73173 A1에 기술되어 있다. 간단히 말해서, 겔 방사 공정은, 높은 고유 점도의 폴리에틸렌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용액을 용해 온도 초과의 온도에서 용액-필라멘트로 압출하는 단계, 상기 용액-필라멘트를 겔화 온도 미만으로 냉각시켜 상기 필라멘트의 폴리에틸렌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겔화하는 단계, 및 용매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하기 이전, 동안 및/또는 이후에 상기 필라멘트를 연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크리프(creep)"는, 당분야에 공지된 매개변수이며, 전형적으로 재료에 가해지는 장력과 온도에 따라 달라진다. 일정한 하중(loading) 하에, HPPE 필라멘트는 하중과 온도에 크게 의존하는 비가역적 변형(크리프) 거동을 나타낸다. 고 장력과 고온 값은 전형적으로 빠른 크리프 거동을 촉진한다. 크리프는 하중에 대해 (부분적으로) 가역적이거나 비가역적일 수 있다. 시간 의존적 변형율은 크리프율(creep rate)로 불리며, 필라멘트가 상기 변형을 얼마나 빨리 겪는지의 측정치이다. 초기 크리프율은 높을 수 있지만, 일정한 하중을 받는 동안 크리프 변형은 무시할 수 있는 최종 크리프율(예컨대, 0 값에 가까움)까지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연장체의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HPPE 필라멘트는, 4 dL/g 이상의 고유 점도(IV)를 갖고 총 탄소 원자 1000개당 0.3개 이상의 단쇄 분지를 포함하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연장체의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HPPE 필라멘트는 4 dL/g 내지 50 dL/g 범위의 고유 점도(IV)를 갖고 총 탄소 원자 1000개당 0.3 내지 10개의 단쇄 분지를 포함하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복합 연장체는, 0.6 N/tex 이상의 강인도를 갖는 고성능 폴리에틸렌(HPPE)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얀을 포함하고, 상기 얀은, 본원의 방법 섹션에 기재된 바와 같이, 900 MPa의 장력 및 30℃의 온도에서 측정시, 1×10-5 %/초의 최소 크리프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연장체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얀은, 본원의 방법 섹션에 기재된 바와 같이, 900 MPa의 장력 및 30℃의 온도에서 측정시, 900 MPa의 장력에서 측정하여 4×10-6 %/초 이하, 바람직하게는 2×10-6 %/초 이하의 최소 크리프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연장체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얀은, 본원의 방법 섹션에 기재된 바와 같이, 900 MPa의 장력 및 30℃의 온도에서 측정시, 약 1×10-10 %/초 이상의 최소 크리프율을 가진다.
본 발명은 또한,
a)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 물; 및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b) 0.6 N/tex 이상의 강인도를 갖는 HPPE 필라멘트를 2개 이상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코팅 조성물을 필라멘트에 적용하여, 코팅된 필라멘트를 수득하는 단계; 및
d) 상기 코팅된 필라멘트의 온도를 상승시켜, 복합 연장체를 수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복합 연장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며, 이때 상기 고분자량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는 에틸렌의 공중합체이고,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는 ASTM E794-06에 따라 측정시 40 내지 140℃ 범위의 피크 용융 온도를 가진다.
본 발명은 또한,
a)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 및 윤활제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b) 0.6 N/tex 이상의 강인도를 갖는 HPPE 필라멘트를 2개 이상 포함하는 얀을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코팅 조성물을 상기 얀에 적용하여, 코팅된 얀을 수득하는 단계; 및
d) 상기 코팅된 얀의 온도를 상승시켜, 복합 연장체를 수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복합 연장체의 제조 방법을 추가로 제공하며, 이때 상기 고분자량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는 에틸렌의 공중합체이고,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는 ASTM E794-06에 따라 측정시 40 내지 140℃ 범위의 피크 용융 온도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연장체를 제조하는 방법의 실시양태에서, 윤활제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폴리실록산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a)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 및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b) 0.6 N/tex 이상의 강인도를 갖는 HPPE 필라멘트를 2개 이상 포함하는 얀을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코팅 조성물을 상기 얀에 적용하여, 코팅된 얀을 수득하는 단계; 및
d) 상기 코팅된 얀의 온도를 상승시켜, 복합 연장체를 수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복합 연장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며, 이때 상기 고분자량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는 에틸렌의 공중합체이고,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는 ASTM E794-06에 따라 측정시 40 내지 140℃ 범위의 피크 용융 온도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연장체의 제조 방법의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윤활제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폴리실록산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a)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 및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b) 0.6 N/tex 이상의 강인도를 갖는 HPPE 필라멘트를 2개 이상 포함하는 얀을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코팅 조성물을 상기 얀에 적용하여, 코팅된 얀을 수득하는 단계; 및
d) 상기 코팅된 얀의 온도를 상승시켜, 복합 연장체를 수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복합 연장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며, 이때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는 에틸렌의 공중합체이고,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는 ASTM E794-06에 따라 측정시 40 내지 140℃ 범위의 피크 용융 온도를 가진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본원의 코팅 조성물은 수성 중합체성 분산액이다. "수성 분산액"은, 중합체 조성물의 입자들이 물에 분산되어 있고 물이 비용매로서 작용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적용된 코팅 조성물(예컨대, 수성 분산액)에 존재하며 수득된 본 발명의 복합 연장체에 궁극적으로 존재하는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에틸렌의 공중합체이다.
상기 코팅 조성물 중의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의 농도는 폭넓게 다를 수 있으며, 물 중의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의 안정한 분산액을 배합하는 능력에 의해 주로 제한된다. 전형적인 농도 범위는 물 중의 2 내지 80 질량%의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이며, 여기서 중량%는 수성 분산액의 총 중량 중의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의 중량이다. 바람직한 농도는 4 내지 60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 질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6 내지 40 질량%이다. 상기 분산액 중의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의 또 다른 바람직한 농도는 15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8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상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코팅 조성물 중의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의 농도는 10 내지 50 질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0 질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8 질량% 내지 30 질량%이다. 이러한 바람직한 고농도의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는 물 제거에 필요한 시간과 에너지를 줄이면서 고농도의 복합 연장체를 제공하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몇몇 용도의 경우, 분산액 중의 2 내지 10 질량%의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를 갖는 저농도 코팅 조성물은, 예를 들어 저점도 현탁액의 습윤 및 함침 속도를 증가시키는 데 유리할 수 있다. 마지막이지만 중요한 것으로, 상기 코팅 조성물의 농도 및 양은, 상기 복합 연장체에 존재하는 필요량의 중합체 조성물을 갖는 복합 연장체를 제공하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첨가제, 예를 들어 이온성 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점착 수지, 안정화제, 산화방지제, 착색제, 또는 중합체 조성물 또는 제조된 복합 연장체의 특성을 변형시키는 기타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들)는 본원에서 "기타 첨가제(들)" 또는 "추가 첨가제(들)"로도 지칭된다.
HPPE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얀에 상기 코팅 조성물을 적용하는 것은 당분야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조성물을 얀에 첨가시, 필라멘트의 성질 및 코팅 조성물의 농도 및 점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예를 들어, 특히 본 발명의 복합 연장체에 존재하는 코팅 중합체 조성물의 의도된 양에 따라, 분무, 침지, 브러싱, 전사 롤링 등에 의해 얀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코팅 조성물이, 2개 이상의 HPPE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얀에 적용되면, 코팅된 얀은 승온, 예를 들어 열풍 오븐에 노출된다. 하나의 양태에서, 코팅된 얀은 승온, 예를 들어 열풍 오븐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건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연장체를 제조하는 방법의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단계 (d) 동안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는 용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연장체 제조 방법의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코팅된 얀을 승온에 노출시키는 것은 상기 코팅 조성물을 건조시키고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를 용융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연장체의 제조 방법의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단계 (d) 동안 상기 코팅 조성물은 건조되고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는 용융된다. 건조는, 상기 코팅된 얀에 존재하는 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예컨대, 증발)하는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대부분의 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질적으로 모든 물이, 임의적으로 다른 성분과 함께, 건조 동안제거된다. 건조, 즉 물 제거는 당분야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물의 증발은, 코팅된 얀의 온도를 물의 비점 이상으로 상승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온도 상승은 압력 감소에 의해 보조되거나 대체될 수 있으며, 주위 대기의 지속적인 리프레쉬(refreshment)와 조합될 수 있다. 전형적인 건조 조건은 40 내지 13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20℃의 온도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상기 코팅된 얀을 승온에 노출시키는 단계 (d)는, 상기 코팅 조성물을 포함하는 필라멘트를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의 피크 용융 온도 내지 153℃ 범위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가열은 상기 코팅 조성물의 부분 건조 이전, 동안 및/또는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상기 코팅 조성물을 포함하는 필라멘트를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의 피크 용융 온도 내지 153℃ 범위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은, 상기 코팅 조성물의 적어도 부분적 건조 동안 및/또는 이후에 수행된다. 하나의 양태에서, 이러한 가열은, 상기 코팅 조성물의 적어도 부분적 건조 이후에 수행된다. 가열은, 코팅된 얀을 승온으로 설정된 오븐에 체류 시간 동안 유지하거나, 함침된 필라멘트에 열 복사선을 가하거나 또는 상기 물체를 가열 매질(예컨대, 가열 유체, 가열된 기체 스트림 또는 가열된 표면)과 접촉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가열은 열풍 오븐에서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승온은,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의 피크 용융 온도보다 2℃ 이상, 바람직하게는 5℃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더 높다. 하나의 양태에서, 승온은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의 피크 용융 온도보다 2℃ 내지 100℃ 더 높다. 이러한 온도에서,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는 용융되어 상기 필라멘트에 부착될 수 있고, 상기 필라멘트들을 모노필라멘트-유사 구조로 함께 융합시켜, 복합 연장체를 제공될 수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승온은 153℃ 이하, 바람직하게는 15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45℃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140℃ 이하이다. 이러한 상한은 본원에서 최대 온도로도 지칭된다. 하나의 양태에서, 유지 시간(dwell time)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0초,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0초, 가장 바람직하게는 4 내지 30초이다.
복합 연장체 제조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코팅된 얀의 가열은 상기 코팅 조성물의 건조 단계와 겹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와 조합된다. 상기 단계 (d)에서 온도 구배를 코팅된 얀에 적용하여, 코팅된 얀이 상기 코팅 조성물의 건조로부터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의 적어도 부분적 용융까지 겪는 기간 동안에 걸쳐, 온도를 실온으로부터 상기 가열 단계의 최대 온도까지 올리는 것이 실용적인 것으로 입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의 하나의 양태에서, 상기 단계 (d)에서 승온은 20℃로부터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의 피크 용융 온도보다 내지 2℃ 이상, 바람직하게는 5℃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더 높은 온도 범위에 속하는 온도로 증가시키는 온도 구배이다. 본 발명의 방법의 하나의 양태에서, 상기 단계 (d)에서 승온은, 20℃ 내지 153℃ 범위의 출발 온도로부터 20℃ 내지 153℃ 범위의 더 높은 최종 온도까지 증가하는 온도를 갖는 온도 구배이다.
하나의 양태에서, 상기 복합 연장체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UHMWPE를 50 질량% 초과로 함유한다. 하나의 양태에서, 상기 복합 연장체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UHMWPE를 55 내지 95 질량%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UHMWPE를 70 질량% 초과,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초과로 함유하는 복합 연장체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질량%는 복합 연장체의 총 질량에 대한 UHMWPE의 질량으로 표현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복합 연장체에 존재하는 UHMWPE는 상기 복합 연장체의 HPPE 필라멘트에 포함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복합 연장체는 HPPE 필라멘트 형태의 UHMWPE를 55 내지 95 질량%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연장체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복합 연장체는 HPPE 필라멘트의 형태로 존재하는 UHMWPE를 80 질량% 이상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연장체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복합 연장체는 HPPE 필라멘트의 형태로 존재하는 UHMWPE를 85 질량% 이상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연장체의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복합 연장체는 HPPE 필라멘트의 형태로 존재하는 UHMWPE를 85 질량% 내지 95 질량%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연장체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복합 연장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복합 연장체는, 본원에 정의된 HPPE 필라멘트; 및 본원에 정의된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와 윤활제를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는 본원에 정의된 에틸렌의 공중합체이다. 하나의 양태에서, 상기 복합 연장체는 본원에 정의된 HPPE 필라멘트; 및 본원에 정의된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와 본원에 정의된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본원에 정의된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한다. 상기 복합 연장체는, 본 발명의 방법과 관련하여 상기 또는 하기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은 바람직한 실시양태 및 잠재적 이점에 적용되고, 상기 복합 연장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상기 복합 연장체를 제조하는 본 발명의 방법에 대해 그 반대로 잠재적으로 적용된다.
본 발명은 또한,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연장체를 포함하는 긴 물체에 관한 것이다. 용어 "긴 물체"는, 비제한적으로, 스트랜드, 케이블, 코드, 로프, 벨트, 스트립, 호스 및 튜브를 포함한다. 하나의 양태에서, 상기 긴 물체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연장체를 2 내지 100,000개 포함한다. 하나의 양태에서, 상기 긴 물체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연장체를 3 내지 10,000개 포함한다. 하나의 양태에서, 상기 긴 물체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연장체를 5 내지 5000개 포함한다. 본원에서 "긴 물체"는, 길이 치수가 폭, 두께 또는 직경의 가로 치수보다 훨씬 더 큰 연장체로 이해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길이 치수는 긴 물체의 폭 또는 두께 치수 중 더 큰 것보다 10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배 이상,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50배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배 이상 더 크다. 긴 물체의 단면 형상은 원형 또는 거의 원형, 장방형(oblong) 또는 직사각형(rectangular)일 수 있다.
가장 단순한 형태의 긴 물체는, 서로 꼬이지 않고 나란히 놓인 2개 이상의 복합 연장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꼬이지 않은 복합 연장체의 실은 다발(bundle)로도 불릴 수 있으며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발 형태의 복합 연장체는 실질적으로 단일 방향(즉, 긴 물체의 길이 방향)으로 배향될 것이다. 또한, 실은 2개 이상의 꼬인 복합 연장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긴 물체는 전형적으로 개선된 내마모성을 나타낸다. 개선된 내마모성은 페어리드 마모 시험, 예를 들어 본원의 방법 섹션에 기재된 페어리드 시험에서 입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긴 물체는 전형적으로 개선된 굽힘 성능을 나타낸다. 개선된 굽힘 성능은 Continuous Bending Over Sheave(CBOS) 시험, 예를 들어 본원이 방법 섹션에 기재된 CBOS 시험에서 입증될 수 있다. CBOS는 당업자에게 Cyclic Bending Over Sheave로도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연장체를 3개 이상 포함하는 로프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양태에서, 상기 로프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연장체를 3 내지 1000개 포함한다. 하나의 양태에서, 상기 로프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연장체를 3 내지 10,000개 포함한다. 하나의 양태에서, 상기 로프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연장체를 3 내지 15,000개 포함한다. 하나의 양태에서, 상기 로프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연장체를 3 내지 100,000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로프는 개선된 내마모성을 나타낸다. 개선된 내마모성은, 페어리드 마모 시험, 예를 들어 본원의 방법 섹션에 기재된 페어리드 시험에서 입증될 수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로프는 기준 로프에 비해 개선된 내마모성을 나타내며, 바람직하게는 기준 로프는, 본원에 정의된 중합체 조성물을 갖지 않는 로프이다. 하나의 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로프는 기준 로프에 비해 개선된 내마모성을 나타내며, 여기서 기준 로프는, 임의의 이전 실시양태에서 정의된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본원에 정의된 윤활제는 없는(특히, 본원에 정의된 폴리실록산이 없는) 로프이다. 하나의 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로프는, 동일한 조건 하에 측정되는 경우, 기준 로프에 비해 개선된 내마모성을 나타내며, 여기서 기준 로프는 0.6 N/L 이상의 강인도를 갖는 고성능 폴리에틸렌(HPPE) 필라멘트(즉, 본원에 정의된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본원에 정의된 폴리실록산은 없는 로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로프는 전형적으로 개선된 굽힘 성능을 나타낸다. 개선된 굽힘 성능은, CBOS, 예를 들어 본원의 방법 섹션에 기재된 CBOS 시험에서 입증될 수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로프는 기준 로프에 비해 개선된 굽힘 성능을 나타내며, 바람직하게는 기준 로프는, 본원에 정의된 중합체 조성물이 없는 로프이다. 하나의 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로프는 기준 로프에 비해 개선된 굽힘 성능을 나타내며, 여기서 기준 로프는, 임의의 이전 실시양태에서 정의된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본원에 정의된 윤활제(특히, 본원에 정의된 폴리실록산)는 없는 로프이다. 하나의 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로프는, 동일한 조건 하에 측정되는 경우, 기준 로프에 비해 개선된 굽힘 성능을 나타내며, 여기서 기준 로프는, 0.6 N/tex 이상의 강인도를 갖는 고성능 폴리에틸렌(HPPE) 필라멘트(즉, 본원에 정의된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본원에 정의된 폴리실록산은 없는 로프이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로프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연장체를, 로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80 질량% 내지 100 질량%, 바람직한 양태에서, 로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90 질량% 내지 100 질량% 범위의 양으로 포함한다. 여기서 로프의 총 중량은 덮개가 없는 경우의 로프의 중량을 지칭한다. 하나의 양태에서, 상기 로프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된 복합 연장체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로프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로프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 필라멘트, 더욱 바람직하게는 겔 방사 UHMWPE 필라멘트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로프에 존재하는 고성능 폴리에틸렌 필라멘트의 50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이상,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전부가 UHMWPE 필라멘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로프는 다양한 구조, 예를 들어 레이드(laid), 브레이디드(braided), 평행 및 와이어 로프-유사 구조의 로프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로프는 스트랜드, 전형적으로 레이드 또는 브레이디드 스트랜드로 구성된다. 로프의 스트랜드 개수는 폭넓게 다를 수 있지만, 우수한 성능과 제조 용이성의 조합에 도달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3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16개 이하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디드 로프의 스트랜드 개수는 바람직하게는 3개 이상이다. 실제로, 로프는 일반적으로 32개 이하의 스트랜드을 가질 것이지만, 스트랜드 개수에 상한은 없다. 특히 8-스트랜드 또는 12-스트랜드 브레이디드 구성의 로프가 적합하다. 이러한 로프는 굽힘 피로에 대한 내성과 강인도의 유리한 조합을 제공하며, 비교적 간단한 기계로 경제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로프는 대략 원형 또는 둥근 단면을 갖지만, 장방형 단면(이는, 장력이 가해진(tensioned) 로프의 단면이 편평하거나 또는 타원형이거나 또는 심지어 (기본 스트랜드의 개수에 따라) 거의 직사각형 형태를 나타냄을 의미함)을 갖는 로프도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장방형 단면은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4.0 범위의 종횡비(즉, 작은 직경에 대한 큰 직경의 비, 또는 폭 대 두께 비)를 가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연장체를 포함하고 본원에 기재된 UHMWPE를 70 질량% 초과,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초과로 함유하는 긴 물체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질량%는 긴 물체의 총 질량에 대한 UHMWPE의 질량으로 표현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긴 물체에 존재하는 UHMWPE는 상기 복합 연장체의 HPPE 필라멘트에 포함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긴 물체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연장체로부터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연장체는 길 물체(예컨대, 로프)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연장체는 물품(예를 들어, 네트, 예컨대 어망 또는 양식용(aquaculture) 네트(전형적으로, 물고기를 키우기 위한 것); 슬링(sling), 예컨대 라운드 슬링, 웨빙(webbing) 슬링 또는 로프 슬링; 합성 체인 링크; 합성 체인 또는 텐돈(tendon)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양태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연장체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물품,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연장체를 포함하는 네트(예컨대, 상기 복합 연장체를 포함하는 어망 또는 양식용 네트), 슬링, 합성 네트 또는 텐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은 전형적으로 개선된 내마모성 및/또는 개선된 총 내구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연장체를 2 내지 100,000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물품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연장체를 포함하고, 70 질량% 초과의 UHMWPE, 바람직하게는 80 질량%의 UHMWPE,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초과의 UHMWPE를 함유하며, 여기서 질량%는 물품의 총 질량에 대한 UHMWPE의 질량으로 표현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물품에 존재하는 UHMWPE는 상기 물품의 HPPE 필라멘트에 포함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물품은 상기 복합 연장체로부터 구성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합성 체인 링크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연장체를 2 내지 10,000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합성 체인 링크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 이상의 복합 연장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합성 체인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연장체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합성 체인은 2개 이상의 상호연결된(interconnected) 본 발명에 따른 합성 체인 링크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합성 체인은 2 내지 10,000개의 상호연결된 본 발명에 따른 합성 체인 링크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합성 체인은 2 내지 2000개의 상호연결된 본 발명에 따른 합성 체인 링크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합성 체인은 2 내지 1000개의 상호연결된 본 발명에 따른 합성 체인 링크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합성 체인은 2개 이상의 상호연결된 합성 체인 링크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링크의 적어도 일부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연장체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합성 체인은 복수의 상호연결된 체인 링크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링크의 적어도 일부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연장체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합성 체인은 복수의 상호연결된 체인 링크를 포함하며, 여기서 각각의 링크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연장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체인은 전형적으로, 보트를 계류 또는 정박시키고 도로, 철도, 해상 및 항공 운송에서 화물을 묶는 데 적합하며, 운반, 호이스팅(hoisting), 현수(suspending) 및 들어올리는(lifting) 용도에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합성 체인은 입자 유입에 대한 개선된 저항성, 내마모성 및/또는 개선된 총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물품은,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복합 연장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개인 보호 품목(예컨대, 헬멧, 바디 패널) 또는 장갑이다. 하나의 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물품은,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복합 연장체를 1 내지 5,000개 포함하는 개인 보호 품목(예컨대, 헬멧, 바디 패널) 또는 장갑이다. 하나의 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물품은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복합 연장체를 1 내지 10,000개 포함하는 개인 보호 품목(예컨대, 헬멧, 바디 패널) 또는 장갑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연장체를 3개 이상 포함하는 벨트에 관한 것이다. 벨트는, 일반적으로 2개 이상의 회전 축(rotating shaft)을 기계적으로(가장 흔히는 평행하게)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가요성 물질의 루프이다. 벨트는, 동력을 효율적으로 전달하거나 상대적인 움직임을 추적하기 위한 운동의 공급원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벨트는 기준 벨트에 비해 개선된 굽힘 성능을 나타내며, 바람직하게는 기준 벨트는 본원에 정의된 중합체 조성물이 없는 벨트이다. 하나의 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벨트는 기준 벨트에 비해 개선된 굽힘 성능을 나타내며, 여기서 기준 벨트는, 임의의 이전 실시양태에서 정의된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본원에 정의된 윤활제가 없는(특히, 본원에 정의된 폴리실록산이 없는) 벨트이다. 하나의 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벨트는, 동일한 조건 하에 측정시 기준 벨트에 비해 개선된 굽힘 성능을 나타내며, 여기서 기준 벨트는 0.6 N/tex 이상의 강인도를 갖는 고성능 폴리에틸렌(HPPE) 필라멘트(즉, 본원에 정의된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본원에 정의된 폴리실록산은 없는 벨트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원에 기재된 복합 연장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네트, 예를 들어 낚시 또는 양어(fish farming)용 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연장체를 3개 이상 포함하는 네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네트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연장체를 1000개 이하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의 복합 연장체의 개수의 실질적인 상한은 8개, 바람직하게는 7개, 6개 또는 5개이다. 본원에서 네트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연장체를 1, 2, 3, 4, 5, 6, 7 또는 8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합체 조성물 중 폴리다이메틸실록산의 이점은, 수중 환경에서 사용시, 복합 연장체를 포함하는 네트의 장기 사용에서의 개선을 포함할 수 있다. 임의의 이론에 얽매이고자 하지 않으면서, 개선된 내구성은, 적어도 하나의 코드 내에서 또는 네트의 코드들 사이에서 필라멘트와 복합 연장체 간의 마모 감소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네트는 양어에 적용되며, 양식용 네트로도 불린다. 이러한 네트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으며, 치수, 질량, 구성, 및 코드의 개수 및 유형이 매우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네트의 코드들은 매듭(knot) 또는 클램프와 같은 기술로 연결될 수 있지만, 코드로부터 네트를 제조하는 과정의 필수적인 부분으로서 연결부(joint)가 또한 제조될 수도 있다. 전형적으로, 네트는 8 mm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mm 이상, 12 mm 이상, 14 mm 이상 또는 16 mm 이상의 메쉬(mesh) 크기를 가질 것이다. 본 발명의 네트의 최대 메쉬 크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물고기의 종류와 사용 조건에 따라, 500 mm 이하, 바람직하게는 400 mm 이하, 300 mm 이하, 200 mm 이하, 100 mm 이하, 90 mm 이하, 80 mm 이하, 70 mm 이하, 또는 60 mm 이하일 수 있다. 매듭이 있는 네트의 메쉬 크기는 일반적으로 전체 메쉬의 매듭 간 거리(즉, 메쉬의 인접한 2개의 매듭의 중심에서 중심까지의 거리)로 결정된다. 예를 들어, 인터브레이딩(interbraiding)을 이용하여 제조된 무매듭 네트의 경우, 메쉬 크기는, 본원의 방법 섹션에서 추가로 기술되는 바와 같이, 2개의 대향(ooposite) 연결부 사이의 거리를 취하여 메쉬 공간을 가로질러 측정된 두 연결부 사이의 거리이다.
본 발명의 네트의 코드 구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특히, 단일 또는 다중 복합 연장체의 브레이디드, 레이드 또는 평행 배열일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네트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연장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편직(knitted) 무매듭 네트(흔히, 라셸(Raschel) 네트로 지칭됨)이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네트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연장체를 1 내지 1000개 포함하는 편직 무매듭 네트(흔히, 라셸 네트로 지칭됨)이다. 상기 실시양태에서, 무매듭 네트는 편직 기술, 예를 들어 라셸 프레임을 사용한 경편직(warp knitting)에 의해 제조된다. 도 8a는, 섞인(intermingled) 코드에 의해 형성된 연결부와 육각형 메쉬를 갖는 상기 편직 무매듭 네트의 일부를 예로서 도시한다. 하나의 양태에서, 상기 네트는 네트 메쉬 내에서 연결된 코드를 포함하며, 여기서 각각의 코드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연장체를 하나 이상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네트는 하나 이상 코드를 포함하는 라셸(Raschel) 네트이고, 상기 코드는 하나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연장체, 바람직하게는 1, 2 또는 3개의 상기 복합 연장체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네트는 2개 이상의 코드(여기서 각각의 코드는 1개, 2개 또는 3개의 상기 복합 연장체를 포함함), 예를 들어 날실(warp yarn)로서의 하나 이상의 및 씨실(weft yarn)로서 하나 이상의 코드를 포함하는 라셸 네트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네트는 3개의 복합 연장체로 제조된 편직 무매듭 네트이다. 코드당 복합 연장체의 개수의 실제적인 상한은 3개이다. 라셸 네트의 코드가 하나 초과의 복합 연장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코드는 일반적으로 평행한 복합 연장체들을 포함한다.
실시양태들에서, 상기 네트는 브레이디드 네트, 바람직하게는 브레이디드 모매듭 네트이며, 상기 코드는 하나 이상의 복합 연장체, 예를 들어 하나의 본원에 기재된 복합 연장체 또는 2 또는 3개의 상기 복합 연장체를 포함한다. 실시양태들에서, 상기 네트는 브레이디드 네트, 바람직하게는 브레이디드 무매듭 네트이고, 여기서 상기 코드는 4개의 상기 복합 연장체, 또는 8, 12, 16, 20 또는 24개의 상기 복합 연장체를 가진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네트 구성은, 3개의 이상의 상기 복합 연장체를 포함하는 브레이드(braid)인 코드를 포함한다. 브레이드 및 브레이딩 공정은 널리 공지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브레이드는, 각각의 연장체가 하나 이상의 다른 연장체 위 및 아래를 교대로 통과하여 응집성(coherent) 코드를 형성하도록 복수의 연장체를 대각선으로 교차함으로써 형성된다.
대안이면서도 유익한 네트 구성인 상기 구성은 브레이디드 코드 대신 꼬인 코드를 포함하며, 여기서는 두 개의 복합 연장체가 함께 꼬여 코드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네트의 코드는 표준 기술(예컨대, 매듭, 족쇄(shackle) 또는 인터브레이딩(nterbraiding))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네트가 무매듭 네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무매듭 네트 구성은 전형적으로, 다른 수단(예컨대, 매듭 또는 족쇄)에 의해 코드가 연결되는 구성에 비해, 압력 세척에 대한 네트 강건성의 추가의 개선 및 특히 메쉬 파괴 강도의 유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크레인은, 자재를 들어올리고 낮추며 수평으로 이동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일반적으로 로프 또는 체인 및 시브가 장착된 기계 유형이다. 이는 주로 무거운 물건을 들어올려 다른 곳으로 운반하는 데 사용된다. 크레인은 화물의 적재 및 하역을 위한 운송 산업, 자재 이동을 위한 건설 산업, 및 중장비 조립을 위한 제조 산업에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은 시브; 및 본 발명에 따른 긴 물체(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로프)를 포함한다. 하나의 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은 시브 및 로프를 포함하고, 상기 로프는 3개 이상의 본원에 기재된 복합 연장체를 포함한다. 하나의 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은 시브; 및 본 발명에 따른 벨트를 포함한다. 하나의 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은 시브; 및 본 발명에 따른 체인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은 윈치(winch); 및 본 발명에 따른 긴 물체(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로프)를 포함한다.
"페어리드(fairlead)"는, 물체 주위로 이를 비켜서 줄, 로프 또는 케이블을 안내하거나 물체가 측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막는 장치이다. 전형적으로, 페어리드는 링 또는 후크이다. 페어리드는 별도의 하드웨어일 수도 있거나, 또는 이는 구조에 구멍이 있을 수 있다. 보트에서의 추가 용도는, 느슨한 라인 말단이 데크 주위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페어리드는 해상 용도에서 가장 흔히 발견되지만, 리깅(rigging)이 사용되는 어느 곳에서든지 발견될 수 있다. 오프로드 주행에서는 페어리드을 사용하여 윈치 케이블을 안내하고 윈치의 측방향 변형을 제거한다.
본 발명은 또한, 페어리드와 본 발명에 따른 로프를 포함하는, 해양 선박(marine vessel), 범선(sailing vessel), 보트, 배(ship) 또는 해양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페어리드와 본 발명에 따른 로프를 포함하는 차량, 예를 들어 자동차, 트럭, 항공기, 기차 또는 트램에 관한 것이다. 보트는, 다양한 유형과 크기의 선박이지만 일반적으로 배(이는 이의 더 큰 크기, 형상, 화물 또는 승객 수용 능력, 또는 이의 보트 운반 능력으로 구별됨)보다 작다. 배는 세계의 바다와 기타 충분히 깊은 수로를 여행하며 물품 또는 승객을 운반하거나 특수 임무(예컨대, 국방, 연구, 어업)를 지원하는 대형 선박이다. 본원에서 해양 플랫폼(marine platform)은, 비제한적으로, 석유 플랫폼, 연안 플랫폼(offshore platform) 및 연안 시추 리그(offshore drilling rig)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긴 물체 및/또는 상기 복합 연장체로부터 물품을 생성/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물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물품은 네트, 합성 체인, 개인 보호 품목 또는 장갑이다.
본 발명은, 본원에 정의된 중합체 조성물의, 이러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로프, 합성 체인 또는 벨트의 굽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용도를 제공한다.
하나의 양태에서, 본 발명은,
a)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 및
b) 폴리실록산
을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의, 동일한 조건 하에 측정 시 이러한 중합체 조성물이 없는(즉, 이를 포함하지 않는) 로프 또는 벨트에 비해 이러한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로프, 합성 체인 또는 벨트의 굽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용도를 제공하며, 이때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는 에틸렌의 공중합체이고, 상기 중합체 조성물은 ASTM E794-06에 따라 측정시 40 내지 140℃ 범위의 피크 용융 온도를 가지며, 상기 로프, 합성 체인 또는 벨트는 0.6 N/tex 이상의 강인도를 갖는 고성능 폴리에틸렌(HPPE) 필라멘트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은, 동일한 조건에서 측정시, 해당 HPPE 필라멘트와 해당 열가소성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폴리실록산은 없는 로프, 합성 체인 또는 벨트에 비해, 로프, 합성 체인 또는 벨트의 굽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a)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 및
b) 폴리실록산
을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하며, 이때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는 에틸렌의 공중합체이고, 상기 중합체 조성물은 ASTM E794-06에 따라 측정시 40 내지 140℃ 범위의 피크 용융 온도를 갖고,
상기 로프, 합성 체인 또는 벨트는
- 0.6 N/tex 이상의 강인도를 갖는 고성능 폴리에틸렌(HPPE) 필라멘트; 및
- 중합체 조성물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긴 물체의 굽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본원에 정의된 코팅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로프의 굽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본원에 정의된 코팅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로프, 합성 체인 또는 벨트의 굽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은 코팅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하며, 여기서 상기 코팅 조성물은 로프, 합성 체인 또는 벨트를 수득하기 위한 공정에 사용되었다.
하나의 양태에서, 본 발명은,
a)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
b) 폴리실록산; 및
c) 물
을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의, 동일한 조건에서 측정시 해당 HPPE 필라멘트와 해당 열가소성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폴리실록산은 없는 로프, 합성 체인 또는 벨트에 비해, 로프, 합성 체인 또는 벨트의 굽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용도를 제공하며,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는 에틸렌의 공중합체이고, 상기 중합체 조성물은 ASTM E794-06에 따라 측정시 40 내지 140℃ 범위의 피크 용융 온도를 갖고, 상기 로프, 합성 체인 또는 벨트는
- 0.6 N/tex 이상의 강인도를 갖는 고성능 폴리에틸렌(HPPE) 필라멘트; 및
-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와 상기 폴리실록산
을 포함한다.
굽힘 성능은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측정될 수 있다. 적합한 방법은, CBOS 시험, 예를 들어, 본원에 기재된 CBOS 5 mm 시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본원에 정의된 중합체 조성물의, 이러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로프, 합성 체인 또는 벨트의 마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용도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본원에 정의된 조성물의, 이러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로프, 합성 체인 또는 벨트의 마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용도를 제공하며, 여기서 상기 로프, 합성 체인 또는 벨트는 0.6 N/tex 이상의 강인도를 갖는 고성능 폴리에틸렌(HPPE) 필라멘트를 포함한다.
하나의 양태에서, 본 발명은,
a)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 및
b) 폴리실록산
을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의, 동일한 조건 하에 측정시 이러한 중합체 조성물이 없는(즉, 이를 포함하지 않는) 로프 또는 벨트에 비해 이러한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로프 또는 벨트의 마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용도를 제공하며, 이때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는 에틸렌의 공중합체이고, 상기 중합체 조성물은 ASTM E794-06에 따라 측정시 40 내지 140℃ 범위의 피크 용융 온도를 갖고, 0.6 N/tex 이상의 강인도를 갖는 고성능 폴리에틸렌(HPPE) 필라멘트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은,
a)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 및
b) 폴리실록산
을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의, 동일한 조건에서 측정시 해당 HPPE 필라멘트와 해당 열가소성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폴리실록산은 없는 로프 또는 벨트에 비해 로프 또는 벨트의 마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용도를 제공하며,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는 에틸렌의 공중합체이고, 상기 중합체 조성물은 ASTM E794-06에 따라 측정시 40 내지 140℃ 범위의 피크 용융 온도를 갖고, 상기 로프 또는 벨트는
- 0.6 N/tex 이상의 강인도를 갖는 고성능 폴리에틸렌(HPPE) 필라멘트; 및
- 상기 중합체 조성물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긴 물체의 마모 성능 개선, 특히 외부 마모 피로 개선을 위한,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은 코팅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로프의 마모 성능 개선, 특히 외부 마모 피로 개선을 위한, 본원에 정의된 코팅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원에 정의된 코팅 조성물의, 이러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로프, 합성 체인 또는 벨트의 마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용도를 제공하며, 여기서 상기 로프, 합성 체인 또는 벨트는 0.6 N/tex 이상의 강인도를 갖는 고성능 폴리에틸렌(HPPE) 필라멘트를 포함한다.
하나의 양태에서, 본 발명은,
a)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
b) 폴리실록산; 및
c) 물
을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의, 동일한 조건에서 측정시 해당 HPPE 필라멘트와 해당 열가소성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폴리실록산은 없는 로프 또는 벨트에 비해 로프 또는 벨트의 마모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용도를 제공하며,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는 에틸렌의 공중합체이고, 상기 중합체 조성물은 ASTM E794-06에 따라 측정시 40 내지 140℃ 범위의 피크 용융 온도를 갖고, 상기 로프 또는 벨트는,
- 0.6 N/tex 이상의 강인도를 갖는 고성능 폴리에틸렌(HPPE) 필라멘트; 및
-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와 상기 폴리실록산
을 포함한다.
마모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측정될 수 있다. 전형적인 방법은 페어리드 마모 성능 시험, 예를 들어 10 mm 로프 페어리드 마모 성능 시험이다. 본원에서 "마모 저항성 개선", "마모 감소" 및 "마모 성능 개선"이라는 용어는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은 또한, 물체를 들어올리고/거나 놓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방법은,
a) 본 발명에 따른 로프, 체인 또는 벨트를 제공하는 단계;
b) 들어올릴 물체에 상기 로프, 체인 또는 벨트를 연결하는 단계; 및
c) 상기 로프, 체인 또는 벨트를 사용하여 상기 물체를 들어올리고/거나 놓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들어올리고/거나 놓는 방법은,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리고 해저에 계류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들어올리고/거나 놓는 방법은, 물체를 들어올려 배에, 선박에, 육지에 또는 육지 위에 놓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용도는 연안 석유 및 가스 탐사, 해양학, 지진 및 기타 산업 용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양태, 실시예 및 비교 실험에 의해 추가로 설명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정의하는데 유용한 다양한 매개변수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이 이후로 제시된다.
본 발명은, 비제한적으로, 하기 실시양태를 포함한다. 임의의 실시양태의 특징은 또 다른 실시양태의 특징과 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복합 연장체의 특징은 긴 물체 실시양태, 방법 실시양태 및/또는 용도 실시양태의 임의의 특징과 조합될 수 있으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실시양태
1. 0.6 N/tex 이상의 강인도를 갖는 고성능 폴리에틸렌(HPPE) 필라멘트(2), 및 복합 연장체 전체에 걸쳐 중합체 조성물(10)을 포함하는 복합 연장체(3)로서, 상기 중합체 조성물은, (i)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 및 (ii) 윤활제를 포함하며,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는 에틸렌의 공중합체이고, 상기 중합체 조성물은, 건조 샘플에 대해 10 K/분의 가열 속도에서 2차 가열 곡선을 고려하여, ASTM E794-06에 따라 측정시 40 내지 140℃ 범위의 피크 용융 온도를 갖는, 조성물.
2. 0.6 N/tex 이상의 강인도를 갖는 고성능 폴리에틸렌(HPPE) 필라멘트(2)를 2개 이상 포함하는 얀(1); 및 복합 연장체 전체에 걸쳐 중합체 조성물(10)을 포함하는 복합 연장체(3)로서, 상기 중합체 조성물은, (i)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 및 (ii) 윤활제를 포함하고,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는 에틸렌의 공중합체이고, 상기 중합체 조성물은 40 내지 140℃ 범위의 피크 용융 온도를 갖는, 조성물.
3. 실시양태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조성물이, ISO1183-04에 따라 측정시 860 내지 970 kg/m3 범위의 밀도를 갖는, 복합 연장체.
4. 실시양태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조성물이 5 J/g 이상의 융해열을 갖는, 복합 연장체.
5. 실시양태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조성물이 50 내지 120℃ 범위의 피크 용융 온도를 갖는, 복합 연장체.
6. 실시양태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피크 용융 온도는 최고 용융 피크의 용융 온도인, 복합 연장체.
7. 실시양태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복합 연장체.
8. 실시양태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가, 공단량체(예컨대, 1-부텐, 이소부틸렌)를 갖는 에틸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복합 연장체.
9. 실시양태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가, 하나 이상의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는 공단량체(예컨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비닐 아세테이트, 말레산 무수물, 에틸 아크릴레이트, 메틸 아크릴레이트)를 갖는 에틸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복합 연장체.
10. 실시양태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가 α-올레핀 공중합체, 환형 올레핀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블렌드를 포함하는, 복합 연장체.
11. 실시양태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가 에틸렌의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2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하나 이상의 올레핀,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프로필렌, 이소부텐, 1-부텐, 1-헥센, 4-메틸-1-펜텐, 1-옥텐,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또는 비닐 아세테이트를 공단량체로서 함유하는, 복합 연장체.
12. 실시양태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인, 복합 연장체.
13. 실시양태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가, 공단량체(예컨대, 1-부텐, 이소부틸렌)를 갖는 에틸렌 공중합체인, 복합 연장체.
14. 실시양태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가, 하나 이상의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는 공단량체(예컨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비닐 아세테이트, 말레산 무수물, 에틸 아크릴레이트, 메틸 아크릴레이트)를 갖는 에틸렌 공중합체인, 복합 연장체.
15. 실시양태 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가 α-올레핀 공중합체, 환형 올레핀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블렌드인, 복합 연장체.
16. 실시양태 1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가 에틸렌의 공중합체이고, 2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하나 이상의 올레핀,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프로필렌, 이소부텐, 1-부텐, 1-헥센, 4-메틸-1-펜텐, 1-옥텐,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또는 비닐 아세테이트를 공단량체로서 함유하는, 복합 연장체.
17. 실시양태 1 내지 1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가, 에틸렌과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의 공중합을 통해 제조된 것인, 복합 연장체.
18. 실시양태 1 내지 1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가 산소 및/또는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복합 연장체.
19. 실시양태 1 내지 1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가, 아실화된 중합체를 제공하는 카복실산 기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복합 연장체.
20. 실시양태 1 내지 1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의 밀도가, ISO1183-04에 따라 측정시 860 내지 970 kg/m3 범위인, 복합 연장체.
21. 실시양태 1 내지 2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의 밀도가, ISO1183-04에 따라 측정시 870 내지 930 kg/m3 범위인, 복합 연장체.
22. 실시양태 1 내지 2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의 밀도가, ISO1183-04에 따라 측정시 870 내지 920 kg/m3 범위인, 복합 연장체.
23. 실시양태 1 내지 2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의 밀도가, ISO1183-04에 따라 측정시 875 내지 910 kg/m3 범위인, 복합 연장체.
24. 실시양태 1 내지 2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의 밀도가, ISO1183-04에 따라 측정시 875 내지 900 kg/m3 범위인, 복합 연장체.
25. 실시양태 1 내지 2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조성물의 밀도가, ISO1183-04에 따라 측정시 870 내지 930 kg/m3 범위인, 복합 연장체.
26. 실시양태 1 내지 2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조성물의 밀도가, ISO1183-04에 따라 측정시 870 내지 920 kg/m3 범위인, 복합 연장체.
27. 실시양태 1 내지 2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조성물의 밀도가, ISO1183-04에 따라 측정시 875 내지 910 kg/m3 범위인, 복합 연장체.
28. 실시양태 1 내지 2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조성물의 밀도가 ISO1183-04에 따라 측정시 875 내지 900 kg/m3 범위인, 복합 연장체.
29. 실시양태 1 내지 2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가 폴리실록산, 예컨대 폴리다이메틸실록산(반응성 또는 비반응성); 플루오로실리콘 및 기타 플루오로중합체, 예컨대 PTFE; 왁스, 예를 들어 합성 왁스, 예컨대 PE 및 PP 왁스; 실리콘 왁스; 동물성 왁스, 예컨대 밀랍; 식물성 왁스, 예컨대 카나우바 왁스; 합성 그리스 또는 오일; 미네랄 그리스 및 오일; 무기 고체, 예컨대 흑연, 몰리브덴 다이설파이드; 세라믹, 예컨대 세라믹 윤활제 또는 세라믹 코팅; PUR; 아크릴; PUR과 아크릴의 하이브리드;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복합 연장체.
30. 실시양태 1 내지 2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가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복합 연장체.
31. 실시양태 1 내지 3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가 폴리실록산, 바람직하게는 폴리다이메틸실록산인, 복합 연장체.
32. 실시양태 1 내지 3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실록산이 폴리다이메틸실록산(반응성 또는 비반응성); 플루오로실리콘, 실리콘 왁스,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복합 연장체.
33. 실시양태 1 내지 3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가 비반응성 폴리실록산 또는 반응성 폴리실록산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윤활제가 비반응성 폴리실록산과 반응성 폴리실록산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복합 연장체.
34. 실시양태 1 내지 3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실록산이 폴리실란, 폴리실록산, 바람직하게는 폴리다이알킬실록산,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다이메틸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복합 연장체.
35. 실시양태 1 내지 3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실록산이 실록산 왁스를 포함하는, 복합 연장체.
36. 실시양태 1 내지 3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실록산이 폴리다이메틸실록산을 포함하는, 복합 연장체.
37. 실시양태 1 내지 3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다이메틸실록산이 비반응성 폴리다이메틸실록산 또는 반응성 폴리다이메틸실록산인, 복합 연장체.
38. 실시양태 1 내지 3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다이메틸실록산이 비반응성 폴리다이메틸실록산인, 복합 연장체.
39. 실시양태 1 내지 3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실록산이 플루오로실리콘을 포함하는, 복합 연장체.
40. 실시양태 1 내지 3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실록산이, 본원의 방법 섹션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결정시 10 내지 100 Pa·s 범위의 점도를 갖는, 복합 연장체.
41. 실시양태 1 내지 4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실록산이, 본원의 방법 섹션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결정시 12 Pa·s 내지 50 Pa·s 범위의 점도를 갖는, 복합 연장체.
42. 실시양태 1 내지 4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실록산이, 비닐, 하이드라이드, 실란올, 알콕시/중합체성 알콕사이드, 에폭시, 카비놀, 메타크릴레이트/아크릴레이트, 머캅토, 아세톡시/염소/다이메틸아민, 중합체성 알콕사이드, 실세스퀴옥산, 폴리실란, 폴리실라잔, 하이드록시, 아민, 아크릴아마이드, 헥센일, 불소 및 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반응기를 포함하는 폴리실록산인, 복합 연장체.
43. 실시양태 1 내지 4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실록산이 실록산 왁스인, 복합 연장체.
44. 실시양태 1 내지 4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가 규소-함유 중합체인, 복합 연장체.
45. 실시양태 1 내지 4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규소-함유 중합체가 폴리실란, 폴리실록산, 바람직하게는 폴리다이알킬실록산,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다이메틸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복합 연장체.
46. 실시양태 1 내지 4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실록산이 폴리다이메틸실록산인, 복합 연장체.
47. 실시양태 1 내지 4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다이메틸실록산이 비반응성 폴리다이메틸실록산 또는 반응성 폴리다이메틸실록산인, 복합 연장체.
48. 실시양태 1 내지 4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다이메틸실록산이 비반응성 폴리다이메틸실록산인, 복합 연장체.
49. 실시양태 1 내지 4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실록산이 플루오로실리콘인, 복합 연장체.
50. 실시양태 1 내지 4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복합 연장체가, (a) 60 내지 95 질량%의 고성능 폴리에틸렌 필라멘트; (b) 5.0 내지 25 질량%의, ASTM E794-06에 따라 측정시 40 내지 140℃의 피크 용융 온도를 갖는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 (c) 0.1 내지 10 질량%의 폴리실록산; 및 (d) 0 내지 5.0 질량%의 기타 첨가제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성분 (a) 내지 (d)의 총합은 100 질량%인, 복합 연장체.
51. 실시양태 1 내지 5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복합 연장체가, (a) 75 내지 92 질량%의 고성능 폴리에틸렌 필라멘트; (b) 7.5 내지 15 질량%의, ASTM E794-06에 따라 측정시 40 내지 140℃의 피크 용융 온도를 갖는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 (c) 0.5 내지 10 질량%의 폴리실록산; 및 (d) 0 내지 5.0 질량%의 기타 첨가제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성분 (a) 내지 (d)의 총합은 100 질량%인, 복합 연장체.
52. 실시양태 1 내지 5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복합 연장체가, (a) 80 내지 92 질량%의 고성능 폴리에틸렌 필라멘트; (b) 8 내지 12 질량%의, ASTM E794-06에 따라 측정시 40 내지 140℃의 피크 용융 온도를 갖는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 (c) 0.75 내지 8 질량%의 폴리실록산; 및 (d) 0 내지 5.0 질량%의 기타 첨가제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성분 (a) 내지 (d)의 총합은 100 질량%인, 복합 연장체.
53. 실시양태 1 내지 5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복합 연장체가, ICP-EAS를 사용하여 측정시, 중합체 조성물의 총 고형분을 기준으로 0.5 질량% 내지 10 질량% 범위의 양으로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복합 연장체.
54. 실시양태 1 내지 5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복합 연장체가, ICP-EAS를 사용하여 측정시, 중합체 조성물의 총 고형분을 기준으로 1 질량% 내지 5 질량% 범위의 양으로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복합 연장체.
55. 실시양태 1 내지 5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조성물의 피크 용융 온도는 50 내지 130℃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크 용융 온도는 60 내지 120℃ 범위인, 복합 연장체.
56. 실시양태 1 내지 5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조성물의 융해열이 10 J/g 이상인, 복합 연장체.
57. 실시양태 1 내지 5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조성물의 융해열이 15 J/g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융해열이 20 J/g 이상인, 복합 연장체.
58. 실시양태 1 내지 5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합체 조성물의 융해열이 30 J/g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J/g 이상인, 복합 연장체.
59. 실시양태 1 내지 5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조성물의 융해열이 280 J/g 이하, 바람직하게는 200 J/g 이하인, 복합 연장체.
60. 실시양태 1 내지 5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가, 건조 샘플에 대해 10 K/분의 가열 속도에서 2차 가열 곡선을 고려하여, 각각 ASTM E794-06 및 ASTM E793-85에 따라 측정시 40 내지 140℃ 범위의 피크 용융 온도 및 5 J/g 이상의 융해열을 갖는 반결정질 폴리올레핀인, 복합 연장체.
61. 실시양태 1 내지 6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의 분자량이, SEC-MALS를 사용하여 측정시 6000 달톤 이상, 바람직하게는 8000 달톤 이상인, 복합 연장체.
62. 실시양태 1 내지 6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복합 연장체가, (a) 75 내지 92 질량%의 고성능 폴리에틸렌 필라멘트; (b) 8 내지 25 질량%의 중합체 조성물; 및 (c) 0 내지 5.0 질량%의 기타 첨가제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성분 (a) 내지 (c)의 총합이 100 질량%인, 복합 연장체.
63. 실시양태 1 내지 6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복합 연장체가, (a) 80 내지 90 질량%의 고성능 폴리에틸렌 필라멘트; (b) 12 내지 20 질량%의 중합체 조성물; 및 (c) 0 내지 5.0 질량%의 기타 첨가제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성분 (a) 내지 (c)의 총합이 100 질량%인, 복합 연장체.
64. 실시양태 1 내지 6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복합 연장체가 상기 복합 연장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질량% 내지 50 질량% 매트릭스 범위의 양으로 상기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복합 연장체.
65. 실시양태 1 내지 6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복합 연장체가 상기 복합 연장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8 질량% 내지 25 질량% 범위의 상기 중합체 조성물의 양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합 연장체가 상기 복합 연장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2 질량% 내지 20 질량% 범위의 상기 중합체 조성물의 양을 포함하는, 복합 연장체.
66. 실시양태 1 내지 6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복합 연장체가 2개 이상의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복합 연장체.
67. 실시양태 1 내지 6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복합 연장체가 20개 이상의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복합 연장체.
68. 실시양태 1 내지 6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복합 연장체가 100개 이상의 필라멘트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합 연장체가 200개 이상의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복합 연장체.
69. 실시양태 1 내지 6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복합 연장체가 400개 이상의 필라멘트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합 연장체가 800개 이상의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복합 연장체.
70. 실시양태 1 내지 6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복합 연장체가 1500개 이하의 필라멘트, 바람직하게는 1200개 이하의 필라멘트,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0개 이하의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복합 연장체.
71. 실시양태 1 내지 7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얀이 2개 이상의 HPPE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복합 연장체.
72. 실시양태 1 내지 7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얀이 20개 이상의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복합 연장체.
73. 실시양태 1 내지 7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얀이 100개 이상의 필라멘트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얀이 200개 이상의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복합 연장체.
74. 실시양태 1 내지 7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얀이 적어도 400개의 필라멘트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합 연장체가 800개 이상의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복합 연장체.
75. 실시양태 1 내지 7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얀이 1500개 이하의 필라멘트, 바람직하게는 1200개 이하의 필라멘트,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0개 이하의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복합 연장체.
76. 실시양태 1 내지 7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HPPE 필라멘트의 강인도가 1.0 N/tex 이상인, 복합 연장체.
77. 실시양태 1 내지 7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HPPE 필라멘트의 강인도가 1.5 N/tex 이상, 바람직하게는 1.8 N/tex 이상인, 복합 연장체.
78. 실시양태 1 내지 7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HPPE 필라멘트의 강인도가 2.0 N/tex 이상, 바람직하게는 3.0 N/tex 이상인, 복합 연장체.
79. 실시양태 1 내지 7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HPPE 필라멘트의 강인도가 3.5 N/tex 이상, 바람직하게는 4.0 N/tex 이상인, 복합 연장체.
80. 실시양태 1 내지 7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HPPE 필라멘트의 강인도가 7.0 N/tex 이하, 바람직하게는 6.0 N/tex 이하인, 복합 연장체.
81. 실시양태 1 내지 8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HPPE 필라멘트의 강인도가 2.8 N/tex 이상, 바람직하게는 3.2 N/tex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N/tex 이상인, 복합 연장체.
82. 실시양태 1 내지 8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HPPE 필라멘트의 강인도가 6.0 N/tex 이하, 바람직하게는 5.5 N/tex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N/tex 이하인, 복합 연장체.
83. 실시양태 1 내지 8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HPPE 필라멘트의 강인도가 28 cN/dtex 이상, 바람직하게는 32 cN/dtex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cN/dtex 이상인, 복합 연장체.
84. 실시양태 1 내지 8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HPPE 필라멘트의 강인도가 70 cN/dtex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cN/dtex 이하인, 복합 연장체.
85. 실시양태 1 내지 8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HPPE 필라멘트가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을 포함하는, 복합 연장체.
86. 실시양태 1 내지 8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HPPE 필라멘트가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 필라멘트인, 복합 연장체.
87. 실시양태 1 내지 8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UHMWPE가 4 내지 40 dL/g, 바람직하게는 6 내지 30 dL/g, 가장 바람직하게는 8 내지 25 dL/g의 IV를 갖는, 복합 연장체.
88. 실시양태 1 내지 8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UHMWPE가 4 dL/g 이상의 고유 점도(IV)를 갖고, 총 탄소 원자 1000개당 0.3 이상의 단쇄 분지(SCB)를 포함하는, 복합 연장체.
89. 실시양태 1 내지 8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단쇄 분지(SCB)가 UHMWPE의 공단량체로부터 유래하고, 상기 공단량체가, 3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파-올레핀, 5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환형 올레핀 및 4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 다이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복합 연장체.
90. 실시양태 1 내지 8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SCB가 C1-C20-하이드로카빌 기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C1-C20-하이드로카빌 기가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펜틸, 헥실, 옥틸, 사이클로헥실, 및 이들의 이성질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복합 연장체.
91. 실시양태 1 내지 9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복합 연장체가 상기 복합 연장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70 질량% 이상의 UHMWPE를 포함하는, 복합 연장체.
92. 실시양태 1 내지 9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복합 연장체가 상기 복합 연장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75 질량% 이상의 UHMWPE,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합 연장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80 질량% 이상의 UHMWPE를 포함하는, 복합 연장체.
93. 실시양태 1 내지 9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복합 연장체가 상기 복합 연장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85 질량% 이상의 UHMWPE,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합 연장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90 질량% 이상의 UHMWPE를 포함하는, 복합 연장체.
94. 실시양태 1 내지 9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본원의 방법 섹션에 기재된 바와 같이 결정시 0.6 N/tex 이상의 고성능 폴리에틸렌(HPPE)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멀티필라멘트 HPPE 얀의 최소 크리프율이 900 MPa의 장력 및 30℃의 온도에서 측정시 1×10-5 %/초 이하인, 복합 연장체.
95. 실시양태 1 내지 9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본원의 방법 섹션에 기재된 바와 같이 결정시 0.6 N/tex 이상의 고성능 폴리에틸렌(HPPE)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멀티필라멘트 HPPE 얀의 최소 크리프율이 900 MPa의 장력 및 30℃의 온도에서 측정시 2×10-6 %/초 이하인, 복합 연장체.
96. 실시양태 1 내지 9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최소 크리프율이 약 900 MPa의 장력 및 30℃의 온도에서 측정 시 1×10-10 %/초 이상인, 복합 연장체.
97. 실시양태 1 내지 9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조성물이, 바람직하게는 전자 현미경(예컨대, SEM(주사 전자 현미경)을 사용하여 상기 복합 연장체의 표면 및/또는 단면을 분석시, 상기 복합 연장체의 HPPE 필라멘트의 전체 표면의 50% 이상을 덮는, 복합 연장체.
98. 실시양태 1 내지 9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조성물이 상기 복합 연장체의 HPPE 필라멘트의 전체 표면의 70% 이상을 덮는, 복합 연장체.
99. 실시양태 1 내지 9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조성물이 상기 복합 연장체의 HPPE 필라멘트 전체 표면의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합 연장체의 HPPE 필라멘트 전체 표면의 90% 이상을 덮는, 복합 연장체.
100. 실시양태 1 내지 9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연장체가, 폭 및 두께의 가로 치수(Td)보다 훨씬 더 큰 길이 치수(Ld)를 갖는, 복합 연장체.
101. 실시양태 1 내지 10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길이 치수가 상기 복합 연장체의 폭 또는 두께 치수보다 10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배 이상,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50배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500배 이상 더 큰, 복합 연장체.
102. 실시양태 1 내지 10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복합 연장체가 직사각형, 타원형, 원형, 육각형 또는 팔각형 형상의 단면을 갖는, 복합 연장체.
103. 실시양태 1 내지 102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복합 연장체를 포함하는 긴 물체.
104. 실시양태 103에 있어서, 상기 긴 물체가 스트랜드, 케이블, 코드, 로프, 벨트, 스트립, 호스 및 튜브로부터 선택되는, 긴 물체.
105. 실시양태 1 내지 102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복합 연장체를 3개 이상 포함하는 로프.
106. 실시양태 105에 있어서, 상기 로프가 기준 로프에 비해 개선된 굽힘 성능을 나타내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준 로프가, 실시양태 1 내지 102 중 어느 하나에서 정의된 중합체 조성물이 없는 로프인, 로프.
107. 실시양태 105 또는 106에 있어서, 상기 로프가 기준 로프에 비해 개선된 굽힘 성능을 나타내고, 상기 기준 로프가, 실시양태 1 내지 102 중 어느 하나에서 정의된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실시양태 1 내지 102 중 어느 하나에서 정의된 윤활제는 없는 로프인, 로프.
108. 실시양태 1 내지 102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복합 연장체를 3개 이상 포함하는 벨트.
109. 실시양태 108에 있어서, 상기 벨트가 기준 벨트에 비해 개선된 굽힘 성능을 나타내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준 벨트가, 실시양태 1 내지 102 중 어느 하나에서 정의된 중합체 조성물이 없는 벨트인, 벨트.
110. 실시양태 108 또는 109에 있어서, 상기 벨트가 기준 벨트에 비해 개선된 굽힘 성능을 나타내며, 상기 기준 벨트가, 실시양태 1 내지 102 중 어느 하나에서 정의된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실시양태 1 내지 102 중 어느 하나에서 정의된 윤활제는 없는 벨트인, 벨트.
111. 실시양태 103 또는 104에 따른 긴 물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물품.
112. 실시양태 1 내지 102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복합 연장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물품.
113. 실시양태 111 또는 112에서, 상기 물품이 네트, 예컨대 어망 또는 양식용 네트(전형적으로, 물고기를 키우기 위한 것); 슬링; 합성 체인 링크; 합성 체인 또는 텐돈인, 물품.
114. 실시양태 111 내지 1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물품이, 본원에 기재된 복합 연장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개인 보호 품목(예컨대 헬멧 또는 바디 패널) 또는 편직 장갑인 물품.
115. 시브; 및 실시양태 103 또는 104에 따른 긴 물체를 포함하는 리프트 시스템 또는 크레인.
116. 윈치; 및 실시양태 103 또는 104에 따른 긴 물체를 포함하는 리프트 시스템 또는 크레인.
117. 시브; 및 실시양태 108 내지 110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벨트를 포함하는 리프트 시스템 또는 크레인.
118. 윈치; 및 실시양태 108 내지 110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벨트를 포함하는 리프트 시스템 또는 크레인.
119. 시브; 및 실시양태 105 내지 10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로프를 포함하는 리프트 시스템 또는 크레인.
120. 윈치; 실시양태 105 내지 10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로프를 포함하는 리프트 시스템 또는 크레인.
121. 복합 연장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a) i. 임의의 이전 실시양태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 및 ii. 임의의 이전 실시양태에서 정의된 윤활제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b) 실시양태 1 내지 102 중 어느 하나에서 정의된 HPPE 필라멘트를 2개 이상 포함하는 얀을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코팅 조성물을 상기 얀에 적용하여, 코팅된 얀을 수득하는 단계; 및 (d) 상기 코팅된 얀을 승온에 노출시켜 복합 연장체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고분자량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는 에틸렌의 공중합체이고,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는 40 내지 140℃ 범위의 피크 용융 온도를 갖는, 복합 연장체의 제조 방법.
122. 실시양태 121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코팅 조성물이 건조되고,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가 용융되는, 복합 연장체의 제조 방법.
123. 실시양태 121 또는 122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의 온도가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의 용융 온도 내지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용융시키기 위한 153℃ 범위인, 복합 연장체의 제조 방법.
124. 실시양태 121 내지 12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단계 (a), (b), (c) 및 (d)의 완료 시, 상기 중합체 조성물이 상기 복합 연장체 전체에 걸쳐 존재하는, 복합 연장체의 제조 방법.
125. 실시양태 121 내지 12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단계 (a), (b), (c) 및 (d)의 완료 시,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 및 상기 윤활제가 상기 복합 연장체 전체에 걸쳐 존재하는, 복합 연장체의 제조 방법.
126. 실시양태 121 내지 12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e) 상기 복합 연장체를 오븐의 끝에서 소정의 형상을 갖는 다이를 통해 이송함으로써 상기 복합 연장체를 형상화하여, 상기 다이의 형상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갖는 복합 연장체를 수득하는 추가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 연장체의 제조 방법.
127. 실시양태 121 내지 12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상기 단계 (d) 전에 건조 단계를 포함하고, 이 단계의 건조 조건은 40 내지 13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20℃의 온도를 포함하는, 복합 연장체의 제조 방법.
128. 실시양태 121 내지 12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의 온도가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의 피크 용융 온도보다 2℃ 이상 더 높은, 복합 연장체의 제조 방법.
129. 실시양태 121 내지 12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의 온도가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의 피크 용융 온도보다 5℃ 이상 더 높은, 복합 연장체의 제조 방법.
130. 실시양태 121 내지 12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의 온도가 150℃ 이하인, 복합 연장체의 제조 방법.
131. 실시양태 121 내지 13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의 온도가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의 피크 용융 온도보다 5℃ 이상 더 높고 145℃ 이하인, 복합 연장체의 제조 방법.
132. 실시양태 121 내지 13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의 온도가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의 피크 용융 온도보다 10℃ 이상 더 높고 140℃ 이하인, 복합 연장체의 제조 방법.
133. 실시양태 121 내지 13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단계 (d)가 상기 건조 단계와 조합되는, 복합 연장체의 제조 방법.
134. 실시양태 121 내지 13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코팅된 얀에 온도 구배가 적용되어, 이 단계에서 온도가 대략 실온에서 최대 온도까지 상승되는, 복합 연장체의 제조 방법.
135. 실시양태 121 내지 13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얀이 오븐에서 2 내지 100초,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0초, 더욱 바람직하게는 4 내지 30초 동안 유지되는, 복합 연장체의 제조 방법.
136. 실시양태 121 내지 13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코팅된 얀이 상기 코팅 조성물의 건조로부터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의 적어도 부분적 용융까지 연속 공정을 겪는, 복합 연장체의 제조 방법.
137. 실시양태 121 내지 13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HPPE 필라멘트가 용융 방사 공정 또는 겔 방사 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복합 연장체의 제조 방법.
138. 실시양태 121 내지 13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코팅 조성물 중의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의 농도가 5 내지 50 질량%이고, 여기서 중량%는, 상기 코팅 조성물의 총 중량 중의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의 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팅 조성물 중의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의 농도가 6 내지 40 질량%이고, 여기서 중량%는 상기 코팅 조성물의 총 중량 중의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의 중량인, 복합 연장체의 제조 방법.
139. 실시양태 121 내지 13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고성능 폴리에틸렌(HPPE) 필라멘트가 1.0 N/tex 이상의 강인도를 갖는, 복합 연장체의 제조 방법.
140. 실시양태 121 내지 13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HPPE 필라멘트가 1.5 N/tex의 강인도를 갖고, 바람직하게는 1.8 N/tex 이상, 바람직하게는 2.5 N/tex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N/tex 이상의 강인도를 갖는, 복합 연장체의 제조 방법.
141. 실시양태 121 내지 14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복합 연장체 중의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의 양이 1 내지 25 질량%이고, 여기서 중량%는 상기 복합 연장체 총 중량에 대한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의 중량인, 복합 연장체의 제조 방법.
142. 실시양태 121 내지 14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복합 연장체 중의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의 양이 2 내지 20 질량%,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8 질량%이고, 여기서 중량%는 상기 복합 연장체의 총 중량 중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의 중량인, 복합 연장체의 제조 방법.
143. 실시양태 121 내지 14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의 밀도가 870 내지 930 kg/m3 범위인, 복합 연장체의 제조 방법.
144. 실시양태 121 내지 14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의 밀도가 875 내지 900 kg/m3 범위인, 복합 연장체의 제조 방법.
145. 실시양태 121 내지 14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가 5 J/g 이상의 융해열을 갖는, 복합 연장체의 제조 방법.
146. 실시양태 121 내지 14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의 피크 용융 온도가 50 내지 130℃ 범위,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20℃ 범위인, 복합 연장체의 제조 방법.
147. 실시양태 121 내지 14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피크 용융 온도는 최고 용융 피크의 용융 온도인, 복합 연장체의 제조 방법.
148. 실시양태 121 내지 14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의 융해열이 10 J/g 이상인, 복합 연장체의 제조 방법.
149. 실시양태 121 내지 14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의 융해열이 15 J/g 이상, 바람직하게는 20 J/g 이상인, 복합 연장체의 제조 방법.
150. 실시양태 121 내지 14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의 융해열이 최대 280 J/g, 바람직하게는 최대 200 J/g인, 복합 연장체의 제조 방법.
151. 실시양태 121 내지 15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가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복합 연장체의 제조 방법.
152. 실시양태 121 내지 15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실록산이 폴리다이메틸실록산(반응성 또는 비반응성); 플루오로실리콘, 실리콘 왁스,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복합 연장체의 제조 방법.
153. 실시양태 121 내지 15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가 비반응성 폴리실록산 또는 반응성 폴리실록산을 포함하거나, 상기 윤활제가 비반응성 폴리실록산과 반응성 폴리실록산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복합 연장체의 제조 방법.
154. 실시양태 121 내지 15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실록산이 폴리실란, 폴리실록산, 바람직하게는 폴리다이알킬실록산,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다이메틸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복합 연장체의 제조 방법.
155. 실시양태 121 내지 15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코팅 조성물이 분무, 침지, 브러싱 또는 전사 롤링에 의해 상기 필라멘트에 적용되는, 복합 연장체의 제조 방법.
156. 실시양태 121 내지 15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코팅 조성물이, 40 질량% 이상의 물을 포함하는 수성 조성물인, 복합 연장체의 제조 방법.
157. 실시양태 121 내지 15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코팅 조성물이, 50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60 질량% 이상의 물을 포함하는 수성 조성물인, 복합 연장체의 제조 방법.
158. 실시양태 121 내지 15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코팅 조성물이, 70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이상의 물을 포함하는 수성 조성물인, 복합 연장체의 제조 방법.
159. 실시양태 121 내지 15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코팅 조성물이, (a) 40 내지 95 질량% 물; (b) 7.5 내지 25 질량%의, ASTM E794-06에 따라 측정시 40 내지 140℃의 피크 용융 온도를 갖는 본원에 정의된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 (c) 0.5 내지 10 질량%의 본원에 정의된 폴리실록산; 및 (d) 0 내지 5.0 질량%의 기타 첨가제를 포함하는 수성 조성물이고, 이때 상기 성분 (a) 내지 (d)의 총합은 100 질량%인, 복합 연장체의 제조 방법.
160. 실시양태 121 내지 15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코팅 조성물이, (a) 40 내지 95 질량%의 물; (b) 10 내지 20 질량%의, ASTM E794-06에 따라 측정시 40 내지 140℃의 피크 용융 온도를 갖는 본원에 정의된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 (c) 0.5 내지 8 질량%의 본원에 정의된 폴리실록산; 및 (d) 0 내지 5.0 질량%의 기타 첨가제를 포함하는 수성 조성물이고, 이때 상기 성분 (a) 내지 (d)의 총합은 100 질량%인, 복합 연장체의 제조 방법.
161. 실시양태 121 내지 16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코팅 조성물이 수성 현탁액 또는 수성 분산액인, 복합 연장체의 제조 방법.
162. 실시양태 121 내지 161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에 의해 수득가능한 복합 연장체로서, 상기 복합 연장체는, 실시양태 1 내지 102 중 어느 하나에서 정의된 HPPE 필라멘트, 및 상기 복합 연장체 전체에 걸쳐 존재하는 실시양태 1 내지 102 중 어느 하나에서 정의된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복합 연장체.
163. 2개 이상의 실시양태 1 내지 102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복합 연장체를 조립하여 긴 물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긴 물체의 제조 방법.
164. 실시양태 163에 있어서, 상기 긴 물체가 스트랜드, 케이블, 코드, 로프, 벨트, 스트립, 호스 또는 튜브인, 긴 물체의 제조 방법.
165. 실시양태 103 또는 104에 따른 긴 물체를 제공하여 물품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물품의 제조 방법.
166. 실시양태 1 내지 102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복합 연장체를 제공하여 물품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물품의 제조 방법.
167. 실시양태 165 또는 166에 있어서, 상기 물품이 네트, 예를 들어 어망 또는 양식용 네트(전형적으로 물고기를 키우기 위한 것); 라운드 슬링; 합성 체인 링크; 합성 체인; 또는 텐돈인, 물품의 제조 방법.
168. 실시양태 165 내지 16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물품이 개인 보호 품목(예컨대, 헬멧 또는 바디 패널) 또는 장갑인, 물품의 제조 방법.
169. 물체를 들어올리고/거나 놓는 방법으로서, (a) 실시양태 1 내지 102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로프를 제공하는 단계; (b) 들어올릴 물체에 상기 로프를 연결하는 단계; 및 (c) 상기 로프를 사용하여 상기 물건을 들어올리거나 놓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0. 물체를 들어올리고/거나 놓는 방법으로서, (a) 실시양태 113 또는 167에 정의된 바와 같은 슬링을 제공하는 단계; (b) 들어올릴 물체에 상기 슬링을 연결하는 단계; 및 (c) 상기 슬링을 사용하여 물체를 들어올리거나 놓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1. 물체를 들어올리고/거나 놓는 방법으로서, (a) 실시양태 113 또는 167에 정의된 바와 같은 체인을 제공하는 단계; (b) 들어올릴 물체에 상기 체인을 연결하는 단계; 및 (c) 상기 체인을 사용하여 물체를 들어올리거나 놓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2. 로프 또는 벨트의 굽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실시양태 1 내지 102 중 어느 하나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코팅 조성물의 용도.
173. 실시양태 1 내지 102 중 어느 하나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코팅 조성물의, 이러한 중합체 조성물이 없는 로프 또는 벨트에 비해 로프 또는 벨트의 굽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용도.
174. 로프 또는 벨트의 페어리드 마모를 개선하기 위한, 실시양태 1 내지 102 중 어느 하나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코팅 조성물의 용도.
175. 로프 또는 벨트의 마모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실시양태 1 내지 102 중 어느 하나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코팅 조성물의 용도.
176. 실시양태 1 내지 102 중 어느 하나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코팅 조성물의, 이러한 중합체 조성물이 없는 로프 또는 벨트에 비해 로프 또는 벨트의 마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용도.
도 1a는, 0.6 N/tex 이상의 강인도를 갖는 고성능 폴리에틸렌(HPPE) 필라멘트(2)를 포함하는 얀(1)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b는, 폭과 두께의 가로 치수(Td)보다 훨씬 큰 길이 치수(Ld)를 갖고 0.6 N/tex 이상의 강인도를 갖는 고성능 폴리에틸렌(HPPE) 필라멘트(2)를 포함하는 얀(1)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c는, 0.6 N/tex 이상의 강인도를 갖는 고성능 폴리에틸렌(HPPE) 필라멘트(2) 및 복합 연장체 전체에 걸쳐 존재하는 중합체 조성물(10)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연장체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중합체 조성물(10)은 상기 복합 연장체 전체에 걸쳐 존재한다. 상기 복합 연장체는 상기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고,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중합체 조성물은 상기 복합 연장체의 필라멘트들 사이에 존재한다.
상기 중합체 조성물은 상기 복합 연장체의 단면 전체에 걸쳐 존재하며, 하나 이상의 필라멘트(즉, 개별 필라멘트)와 친밀 접촉한다. 더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중합체 조성물은 상기 필라멘트를 함침시킨다(즉, 상기 중합체 조성물은 상기 복합 연장체의 단면 전반에 걸쳐 존재함). 이로써, 상기 중합체 조성물이 상기은 복합 연장체의 실질적으로 모든 필라멘트들 사이에 존재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합 연장체의 필라멘트 표면의 50% 이상이 상기 중합체 조성물과 접촉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라멘트 표면의 7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90%가 상기 중합체 조성물과 접촉한다. 이를 관찰하는 방법은, 상기 복합 연장체 단면의 현미경 이미지를 통해 필라멘트 표면의 몇 %가 상기 중합체 조성물과 접촉되어 있는지 확인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도 2는, 5 mm 로프에 대한 CBOS 시험 설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자세한 내용은 하기 방법 섹션에 제시된다. 도 2의 b는, 도 2의 a의 개략적인 프레임(24) 내부의 개략적인 "투시도"를 도시한다. F는 장력(MPa)의 방향을 나타낸다.
도 3은, 21 mm 로프에 대한 CBOS 시험 설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자세한 내용은 하기 방법 섹션에 제시된다.
도 4는, 페어리드 마모 시험 설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자세한 내용은 하기 방법 섹션에 제시된다.
도 5는, 0.6 N/tex 이상의 강인도를 갖는 고성능 폴리에틸렌(HPPE) 필라멘트(52) 및 복합 연장체(50) 전체에 걸쳐 존재하는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연장체(53)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복합 연장체는, 직사각형 형상(54), 타원형 형상(52), 원형 형상(55), 육각형(56) 또는 팔각형 형상을 갖는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체인의 실시양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체인(60)은, 2개 이상의 상호연결된 체인 링크(61)를 포함한다. 상기 체인 링크는 스트립(62)을 포함한다. 상기 스트립은 전형적으로, 2개 이상의 복합 연장체(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음)를 포함하는 좁은 웨빙이다.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재료의 스트립은 상기 스트립의 복수의 콘볼루션(convolution)을 형성하며, 상기 스트립은 종축(longitudinal axis)을 갖고, 상기 스트립의 각각의 콘볼루션은 상기 스트립의 종축을 따르는 꼬임을 포함하며, 상기 꼬임은 180°의 홀수 배이다. 이러한 체인 링크는 WO2013186206에 기술되어 있으며, 상기 출원을 본원에 참조로 인용한다. 본원에서 스트립의 "콘볼루션"은, 스트립의 루프(권선(winding) 또는 코일링(coiling)으로도 불림)로 이해된다(즉, 스트립의 길이는, 스트립의 종축에 수직인 임의의 평면에서 시작하여 동일 평면에서 무한(endless) 방식으로 끝남으로써, 상기 스트립의 루프를 한정함). 본원에서 용어 "복수의 콘볼루션"은, "복수의 중첩 층으로 코일링된"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스트립의 상기 중첩층은 바람직하게는 서로 상에 실질적으로 중첩되지만 측방향 오프셋을 제공할 수도 있다. 콘볼루션은 서로 직접 접촉할 수도 있지만 분리될 수도 있다. 콘볼루션들 간의 분리는, 예를 들어 재료의 추가 스트립, 접착층 또는 코팅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체인의 체인 링크는 재료 스트립의 2개 이상의 콘볼루션, 바람직하게는 3개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개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8개 이상의 콘볼루션을 포함한다. 최대 콘볼루션 개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실용적인 이유로, 1000개의 콘볼루션이 상한으로 간주될 수 있다. 재료의 스트립의 각각의 콘볼루션은 이의 종축을 따라 180°의 홀수 배의 꼬임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홀수 배는 1이다. 상기 180°의 홀수 배의 꼬임은 이의 종축을 따라 180°의 홀수 배의 꼬임을 포함하는 체인 링크를 제공할 것이다. 재료의 스트립의 각각의 콘볼루션에 상기 꼬임이 존재하면 단일 외부 표면을 갖는 체인 링크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의 또 다른 특징은, 재료의 스트립의 제1 단부의 측방향 표면이 재료의 콘볼루션화된 스트립에 의해 양쪽에서 중첩된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꼬임은 콘볼루션이 상대적인 이동에 대해 스스로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바람직하게는, 재료의 스트립의 2개 이상의 콘볼루션이 하나 이상의 고정 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체인의 실시양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체인(70)은 2개 이상의 상호연결된 체인 링크(71)를 포함한다. 상기 체인 링크는 2개 이상의 복합 연장체(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음)를 포함한다.
도 8a는, 코드(81)를 포함하는 무매듭 경편 네트(라셸 무매듭 네트)(80)의 예를 도시하며, 각각의 코드는 단일 복합 연장체(81)를 포함하고, 상기 코드는 메쉬 레그(mesh leg)(타원형(85)로 표시됨) 및 연결부를 형성한다. 상기 연결부는 섞인 코드로부터 형성된다(타원형 82 및 83 내에 표시됨: 두 개의 메쉬 레그가 연결부를 형성함). 메쉬 크기(길이)는 화살표(84)로 표시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코드는 2개 이상의 복합 연장체, 전형적으로 2 내지 3개의 복합 연장체를 포함한다.
도 8b는, 무매듭 네트의 메쉬 크기(84)가, 연신된 메쉬의 반대쪽 2개의 연결부 사이의 길이로서 측정된다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는, 레이드 스트랜드(91)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로프(9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상기 스트랜드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연장체(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음)를 3개 이상 포함한다. 상기 로프의 외부 표면은 92로 표시된다.
도 10은, 12개의 브레이디드 스트랜드(101)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로프(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상기 스트랜드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연장체(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음)를 포함한다. 상기 로프의 외부 표면은 102로 표시된다.
도 11은, 복합 연장체 표면의 SEM 사진을 도시한다.
도 12는, 하기 방법 섹션에서 HPPE 필라멘트의 인장 특성 하에 기술된다.
방법
· 타이터(titer)는, 임의의 길이의 얀 또는 필라멘트 각각을 칭량함으로써 측정되었다. 얀 또는 필라멘트의 타이터는 중량을 길이로 나눔으로써 계산되고, 각각 100,000 m 또는 10,000 m당 중량을 g 단위로 표현하는 tex 또는 dtex로 보고된다. 측정된 얀 또는 필라멘트의 길이는 일반적으로 50미터이다.
· 융해열 및 피크 용융 온도는, 10 K/분의 가열 속도에서 2차 가열 곡선을 고려하여, 각각 표준 DSC 방법 ASTM E 793-85 및 ASTM E 794-06에 따라, 탈수된 샘플에 대해 질소 하에 측정하였다. 이러한 DSC 측정에서는, 전체 복합 연장체 조성물(HPPE 필라멘트 포함)의 일부를 측정할 수 있다. HPPE와 코팅으로부터의 피크는 충분히 잘 분리되어, 코팅의 Tm과 융해열을 직접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 코팅%: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연장체 중 중합체 조성물의 양(코팅%)은 다음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1.0 g의 복합 연장체 샘플을 취한다. 따뜻한 속슬레(Soxhlet) 추출(5% 아세트산(150 mL)을 함유하는 톨루엔으로 16시간 동안 환류시킴)을 통해, 상기 복합 연장체로부터 상기 샘플 중의 중합체 조성물을 추출한다. 추출 후, 상기 샘플의 나머지 부분을 진공 중에서 80℃에서 2.5시간 동안 건조시킨다. 상기 추출 공정 전후의 샘플을 칭량함으로서, 하기 수학식 A를 이용하여 코팅율을 계산할 수 있다:
[수학식 A]
코팅% = (1-(M추출 후/M추출 전))×100%
상기 식에서,
M추출 후는, 전술된 바와 같은 추출 및 건조 후의 샘플의 질량이고,
M추출 전은, 전술된 바와 같은 추출 및 건조 전의 샘플의 질량이고,
×100%는 ×(곱셈) 100%를 의미한다.
· 밀도: 상기 중합체 조성물의 밀도는 ISO 1183-04에 따라 측정된다.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의 밀도는 ISO 1183-04에 따라 측정된다. 침지 방법(A)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밀도 구배 칼럼 방법(B)이 본 발명의 생성물에 적합하다. ISO 1183-1:2004가 세 가지 방법을 커버하며, 숙련자는 시험할 샘플에 따라 적합한 샘플 제조 기술 및 방법을 선택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 유의한다. 당업자는 최종 제품을 접하게 되면 밀도 측정을 수행하기 전에 중합체 조성물을 수득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최종 제품이 무엇처럼 생겼는지에 따라, 중합체 조성물의 샘플을 수득하고 제조하는 방법을 결정한 후, 샘플이 무엇처럼 생겼는지에 따라, 밀도를 측정하는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는 것은 당업자의 기술의 일부이다. 예를 들어, 상기 복합 연장체로부터 중합체 조성물을 긁어내어 측정할 수 있다. 긁어낸 제품이 무엇처럼 생겼는지에 따라, ISO 1183-2004에 열거된 임의의 대응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의 밀도는 전형적으로 공급처에 의해 제공될 것이며, 예를 들어 제품 사양에 이러한 정보가 제공된다는 점에 유의한다.
· 점도 : 폴리실록산의 점도는 다음과 같이 결정하였다.
폴리실록산 에멀젼(에컨대, 왁커(등록상표) 욀에멀젼 C 800)의 샘플 제조:
알루미늄 접시(직경 약 8 cm)에 약 15 내지 20 g의 왁커(등록상표) 욀에멀젼 C 800을 채웠다. 흄후드 내에서, 왁커(등록상표) 욀에멀젼 C 800 샘플로부터 밤새 물을 증발시켰다. 상기 샘플이 담긴 알루미늄 접시를 오븐으로 옮기고, 나머지 물을 약 200 mbar의 질소 분위기의 실온에서 증발시켰다. 상기 샘플의 중량 손실을 정기적으로 확인하였다. 더 이상 중량 손실이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과정을 중지한다. 상기 샘플은 2개의 별개의 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들의 분리 과정을 쉽게 하기 위해 상기 샘플을 유리 반응 튜브로 옮겼다. 상부 층은 '실리콘' 상인 것으로 결정되었다(FT-IR 사용, 하기 참조).
점도 측정(폴리실록산):
점도 측정은, P-PTD200 + H-PTD200 온도 제어 장치와 50 mm 평행판 측정 시스템이 장착된 안톤 파 피지카(Anton Paar Physica) MCR501 레오미터에서 수행하였다. 측정 간격은 0.90 mm로 설정하였다. 단리된 상부 '실리콘 상'의 샘플 재료에 대해 측정을 수행하였다(점도 측정을 수행하는 데 사용된 단리된 상이 실제로 "실리콘" 상(폴리다이메틸실록산)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단리된 '실리콘' 상의 샘플에 대해 FT-IR을 사용한 신속 확인을 수행하였으며, 이는 실제로 그 경우였다: FT-IR 결과는, '실리콘 상'(오일 분획) 스펙트럼이 데이터 라이브러리로부터의 폴리다이메틸실록산 스펙트럼과 일치함을 보여준다. 측정된 샘플('실리콘 상) 중의 물 및/또는 폴리글리콜에터의 존재에 대한 분명한 신호가 없었으며, 물은, 존재하는 경우, 3200 내지 3500 cm-1의 넓은 피크로 나타날 것이다).
20℃에서 100 내지 0.01 rad/s의 동적 주파수 스윕 및 5% 변형(strain).
20℃에서, 0.01에서 100 s-1까지 일정한 전단 속도 램프(ramp)(증가), 및 이어서 100에서 0.01 s-1까지 일정한 전단 속도 램프(감소).
· IV: 고유 점도는, ASTM D1601(2004) 방법에 따라, 135℃에서 데칼린 중에서(이때, 용해 시간은 16시간임), 산화방지제로서 BHT(부틸화된 하이드록시 톨루엔)를 2 g/용액 L의 양으로 사용하고, 상이한 농도에서 측정된 점도를 제로 농도(zero concentration)로 외삽함으로써 결정한다.
· HPPE 필라멘트의 인장 특성: 필라멘트 강인도 및 필라멘트 인장 모듈러스: 필라멘트의 선형 밀도 및 기계적 특성의 결정을, 일정한 신장율(rate of extension) 원리(DIN 51 221, DIN 53 816, ISO 5079)에 따라 작동하는 반자동의 마이크로프로세서-제어된 인장 시험기(파비마트(Favimat), 시험기 번호 37074, 텍스테크노 헤르베르트 스타인 게엠베하 운트 캄파니 카게(Textechno Herbert Stein GmbH & Co. KG)(독일 묀헨글라트바흐 소재)) 상에서, 일정한 인장력(tensile force)과 게이지 길이 및 가변적인 가진 주파수(exciting frequency)를 사용하는 진동계 시험(vibroscopic test) 원리(ASTM D 1577)에 따라 선형 밀도 측정용 통합 측정 헤드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상기 파비마트 시험기에는 1200 cN 저울(번호 14408989)이 장착되어 있다. 파미바트 소프트웨어의 버전 번호는 3.2.0이다. 도 12에 따른 파비마트의 파비마트 클램프를 적용하여, 필라멘트 인장 시험 동안 필라멘트의 파단을 방지하는 클램프 미끄러짐(Clamp slippage)을 제거하였다.
상부 클램프(121)는 로드 셀(도시되지 않음)에 부착된다. 하부 클램프(122)는, 인장 시험 동안, 선택된 인장 시험 속도로 아래쪽 방향(D)으로 이동한다. 각각의 이들 두 클램프에서, 시험할 필라멘트(125)를 플렉시글래스(Plexiglass)(등록상표)에서 제조된 2개의 조 페이스(jaw face)(123)(4×4×2 mm) 사이에 고정하고, 세라믹 핀(124) 위에 3회 감쌌다. 인장 시험 전에, 세라믹 필들 사이의 필라멘트 길이의 선형 밀도를 진동계로 결정하였다. 필라멘트의 선형 밀도 결정은, 50 mm의 필라멘트 게이지 길이(F)(도 12 참조), 및 2.50 cN/tex의 초기 장력(pretension)에서 수행한다(얀 선형 밀도와 필라멘트 개수로부터 계산된 예상 필라멘트 선형 밀도 사용). 후속적으로, 25 mm/분의 하부 클램프 시험 속도, 및 0.50 cN/tex의 초기 장력에서 인장 시험을 수행하고, 측정된 파단력과 진동계로 결정된 필라멘트 선밀도로부터 필라멘트 강인도를 계산하였다. 신장 변형율(elongational strain)은, 0.50 cN/tex의 정의된 초기 장력에서 상부 플렉시글라스의 조 페이스와 하부 플렉시글라스의 조 페이스 사이의 전체 필라멘트 길이를 사용하여 결정한다. 응력-변형률 곡선의 시작 부분은 일반적으로 약간의 느슨함(slackness)을 나타내므로, 따라서 모듈러스는, 2개의 응력 수준 간의 코드 모듈러스로서 계산된다. 예를 들어, 10 cN/dtex에서 15 cN/dtex까지의 코드 모듈러스는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제공된다:
[수학식 1]
상기 식에서,
ε10 = 10 cN/dtex의 응력에서의 신장 변형률(%),
ε15 = 15 cN/dtex의 응력에서의 신장 변형률(%).
측정된 파단 신율은,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제시되는 바와 같이, 느슨함에 대해 보정된다:
[수학식 2]
상기 식에서,
EAB = 보정된 파단 신율(%),
EAB(측정치) = 측정된 파단 신율(%),
ε5 = 5 cN/dtex의 응력에서의 신장 변형률(%),
CM(5:10) = 5 cN/dtex(N/tex)에서 10 cN/dtex(N/tex)까지의 코드 모듈러스.
· HPPE 얀의 인장 특성: 얀의 인장 강도(또는 강인도) 및 인장 모듈러스(또는 모듈러스)를, ASTM D885M(1995)에 명시된 바와 같이, 얀의 공칭 게이지 길이 500 mm, 50 %/분의 크로스헤드 속도 및 "섬유 그립(Fibre Grip) D5618C" 유형의 인스트론(Instron) 2714 클램프를 사용하여 멀티필라멘트 얀에 대해 정의하고 결정하였다. 측정된 응력-변형률 곡선을 기반으로, 모듈러스는, 0.2 cN/tex의 초기 장력을 사용하여 0.3 내지 1% 변형률 사이의 기울기로서 결정하였다. 모듈러스 및 강도 계산을 위해, 측정된 인장력을, 상기 결정된 바와 같은 타이터로 나누었으며, HPPE에 대해 0.97 g/cm3의 밀도를 가정하여 GPa 단위의 값을 계산하였다.
·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의 파단시 인장 모듈러스 및 인장 강도는 ISO 527-2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 총 탄소 1000개당 단쇄 분지(SCB/1000TC)는 NMR 기술 및 이에 대해 보정된 IR 방법에 의해 결정한다. 예로서, 메틸, 에틸 또는 부틸 짧은 측쇄의 양은, 하기와 같이 양성자 1H 액체-NMR(이후로, 단순함을 위해 NMR)로 측정시, UHMWPE에 포함된 탄소 원자 1000개당 메틸 측쇄의 양과 동일하다:
- 3 내지 5 mg의 UHMWPE를, g TCE당 0.04 mg의 2,6-다이-3급-부틸-파라크레졸(DBPC)을 함유하는 800 mg의 1,1',2,2'-테트라클로로에탄-d2(TCE) 용액에 첨가하였다. TCE의 순도는 99.5% 초과였고, DBPC의 순도는 99% 초과였다.
- 상기 UHMWPE 용액을 표준 5 mm NMR 튜브에 넣고, 이어서 UHMWPE가 용해될 때까지, 교반 하에 140℃ 내지 150℃ 온도의 오븐에서 가열하였다.
- NMR 스펙트럼을, 예를 들어, 5 mm 역 프로브헤드 및 다음과 같은 설정을 사용하는 고 자장 400 MHz NMR 분광계로 130℃에서 기록하였다: 샘플 스핀 속도 10 내지 15 Hz, 관찰된 핵 - 1H, 잠금 핵(lock nucleus) - 2H, 펄스 각도 90℃, 이완 지연(relaxation delay) 30초, 스캔 수 설정 1000, 스윕 폭 20 ppm, NMR 스펙트럼의 디지털 분해능 0.5 미만, 획득된 스펙트럼에서 총 포인트 수 64k, 선폭 증가(line broadening) 0.3 Hz.
- 화학적 이동( ppm)에 대한 기록된 신호 강도(임의 단위)(이후로, 스펙트럼 1)를, TCE에 해당하는 피크를 5.91 ppm으로 설정함으로써 보정하였다.
- 보정 후, 거의 동일한 강도의 두 피크(이중선)를 사용하여, 메틸 측부 기의 양이 0.8 내지 0.9 ppm 범위에서 가장 높은지 확인하였다. 첫 번째 피크는 약 0.85 ppm에 위치해야 하고, 두 번째 피크는 약 0.86 ppm에 위치해야 한다.
- 피크의 디콘볼루션은, ACD/Labs에서 제작한 표준 ACD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 면적 A1메틸 측부 기(이후로, 메틸 측부 기의 양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디콘볼루션된 피크의 A1)(즉, A1 = A1첫 번째 피크 + A1두 번째 피크)의 정확한 결정을 동일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 탄소 원자 1000개당 메틸 측부 기의 양은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상기 식에서,
A2는, 메틸 말단 기의 3개의 피크(이는 0.8 내지 0.9 ppm 범위에서 두 번째로 높고, 증가하는 ppm 범위 쪽으로 메틸 측부 기의 두 번째 피크 이후에 위치함)의 면적이고,
A3은, UHMWPE 주쇄의 CH2 기에 의해 제공되는 피크(이는 전체 스펙트럼에서 가장 높은 피크이며, 1.2 내지 1.4의 ppm 범위에 위치함)의 면적이다.
· 최소 크리프율은 WO2016001158에 기술된 바와 같이, 특히 WO2016001158의 "섬유의 크리프 및 최소 크리프율 안정화" 섹션에 기술된 바와 같이 결정할 수 있다. 얀의 최소 크리프율은, 900 MPa의 일정한 하중 하에, 30℃의 온도에서, ASTM D885M(1995) 표준 방법을 적용하고 이어서 시간의 함수로서의 크리프 반응(즉, 변형 신율(strain elongation)(%))을 측정함으로써, 멀티필라멘트 얀에 적용된 크리프 측정으로부터 도출하였다. 최소 크리프율은, 시간의 함수로서의 크리프의 1차 도함수에 의해 결정되며, 이때 상기 1차 도함수는 최저 값을 가진다(예를 들어, 얀의 크리프율[1/s]은 소위 공지된 셔비(Sherby) 및 다운(Down) 도표에서 얀의 변형 신율[%]의 함수로 플롯팅됨).
· CBOS 5 mm 시험(시험 설정은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됨) : 기계 사이클당 6회 굽힘, 로프 직경 5 mm, D/d 10, 장력 510 MPa(하중: 30% 최소 파괴 하중), 습윤 환경(수냉: 상단 시브(21)의 굽힘 대역 영역에서 주위 온도의 물을 분사함(도 2의 a - 항목 25).
CBOS 성능을 시험하였다. 이 시험에서는, 각각 50 mm의 직경을 갖는 3개의 롤링 시브(21, 22, 23) 위에서 로프(20)를 굽혔다. 상기 3개의 시브를 프레임(24) 위에 거꾸로 된 V자 형태로 배치하였다. 상기 로프가 각각의 시브에서 굽힘 대역을 갖는 방식으로, 상기 로프를 상기 시브 위에 배치하였다. 상기 로프를 특정 하중(30% MBL) 하에 놓였다. 상기 시브를 갖는 프레임을 앞뒤로 사이클링(←→ 화살표(G)로 표시됨)하였으며, 그 동안, 상기 로프가 파괴(= 파단)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로프를 상기 시브 위에서 연속 굽힘에 노출시켰다. 하나의 기계 사이클은, 시브가 앞뒤로 한 번 움직이는 프레임을 나타낸다. 이는, 하나의 기계 사이클이 6회의 굽힘(한 번에 3회의 굽힘)을 나타냄을 의미한다. 로프의 스트로크 길이(L, 도 2의 c 참조, 이는 로프의 시작(S)으로부터 말단(E)까지의 거리임)은 45 cm 길이였다. 사이클 기간은 기계 사이클당 5초였다.
하나의 기계 사이클은, A에서의 직선 굽힘(90℃), B에서의 역방향 굽힘(180℃) 및 이어서 C에서의 직선 굽힘(90℃)을 포함한다. 상기 로프를 반대 방향으로 교대로 굽히며, 하나의 전체 사이클에는 4회의 (90℃) 직선 굽힘 및 2회의 (180℃) 역 굽힘이 존재하였다. 하나의 전체 사이클은 2개의 스트로크 길이(stroke length)이다.
· CBOS 21 mm-A 시험(시험 설정은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됨): 로프 직경 21 mm, D/d 20. CBOS 시험: 로프의 굽힘 피로를 시브 위의 로프의 굽힘에 의해 시험하였다. 이는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시험 로프(30)는 무한 루프 구성으로 구성되었으며, 이는, 로프의 양 말단이 스플라이스 종단(splice termination)을 사용하여 연결되었음을 의미한다. 상기 루프의 둘레는 약 6.5 m였다. 상기 스플라이스 종단(흔히, 턱트 스플라이스(tucked splice)로도 지칭됨)은 로프 측면당 9개의 턱(tuck) 양을 가졌다. 양쪽 스플라이스 말단은 테이퍼링되지 않았다(not tapered). 상기 루프를 기계 상단의 큰 시브(견인 시브(31)) 및 기계 바닥의 작은 굽힘 시브(32) 위에 위치시켰다.
상기 로프를 하중(280 MPa 장력(MBL의 18%)) 하에 놓고, 상기 로프가 파괴에 도달할 때까지, 210 m/분의 스트로크 속도로 상기 시브 위에서 앞뒤로 사이클링하였다. 각각의 기계 사이클은, 노출된 로프 섹션(이중 굽힘 대역)의 2회의 직선-굽힘-직선-굽힘 사이클을 생성하였다. 상기 이중 굽힘 대역은 상기 로프의 직경의 약 14배였다. 굽힘 사이클 시간은 건조 환경(수냉 없음)에서 기계 사이클당 12초였다(1 사이클은 앞뒤 이동). 각각의 사이클 반전 사이에 1초의 일시 중지가 있었다. 상기 로프의 깔개(bedding)에 대한 예비-하중(pre-load)은 14.5 미터톤의 5배였다.
· CBOS 21 mm-B 시험: CBOS 21 mm-A와 동일하지만 370 MPa 장력을 사용하였다.
· 페어리드 10 mm 시험: 로프 직경 10 mm, 기계 사이클당 2회의 마모 사이클, 기계 사이클당 36초 - C2 페어리드(DIN 81915) D/d 20, 장력 380 MPa(하중: 25% MBL), 건조 환경(수냉 없음). 페어리드 마모 성능을 시험하였다. 이는 도 4에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이 시험에서는, 로프(40)를 명시된 하중(1800 kg) 하에 페어리드(41) 위로 움직인다. 하나의 기계 사이클은, 로프가 표면 위에서 앞뒤로 한 번 당겨지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로프를 파손될 때까지 앞뒤로 사이클링하였다. 사이클링 기간은 기계 사이클당 36초였다. 로프의 스트로크 길이는 56 cm였다.
· 또한, 일정 기간 사용 또는 처리 후 네트의 수축을 결정하기 위한 네트의 메쉬 크기를 ISO 16663을 기반으로 측정하였다. 상기 표준을 지침으로 사용하였으며, 그 이유는, 상기 표준이 능동 및 수동 어망에 적용 가능하지만 라셸 무매듭 네트 크기를 직접 측정하는 데는 적용되지 않기 때문이다. 메쉬 크기는 전체 메쉬/내부 메쉬(FMG-전체 메쉬 게이지, 연신된 메쉬의 2개의 반대쪽 연결부 사이에서 측정된 내부 최대)(무매듭 네팅(netting)의 경우, 가능한 가장 긴 축을 따라 완전히 연장되었을 때 동일한 메쉬의 2개의 반대쪽 연결부 사이의 내부 거리)로 측정되었다. 이는 도 8b에서 84번으로 도시된다. 측정할 메쉬의 대각선에 2개의 조(jaw)를 삽입하여, 디지털 캘리퍼를 사용하여 측정을 수행하였다. 이어서, 메쉬가 늘어날 때까지 및 연신된 메쉬가 핸들에 대해 약간의 저항이 있을 때까지, 핸들을 사용하여, 슬라이딩 힌지 조(sliding hinged jaw)를 고정된 조로부터 꾸준히 당겼다. 게이지를 이 위치에 유지하면서, 화면으로부터 메쉬 크기를 판독하였다. 보고된 값은 5회 측정의 평균이다. 약간의 저항의 장력 수준을 재현하는 데 약간의 주관성이 있을 수 있으므로, 모든 시험을 동일한 작업자가 수행하였다.
· 네트(예컨대, 무매듭 라셸 네트)의 메쉬 파괴 강도를, 즈윅(Zwick) 1484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ISO 1806에 따라 결정하였다.
실험
하기 실시예는 단지 비제한적인 참조로서 제공된다.
재료
파라멜트(Paramelt)(상표명) 아쿠아씰(Aquaseal) X2050(본원에서, X2050으로도 지칭됨)은, 완전 무용매인 비가소화된 고분자량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와 배합된 수계 분산액이다(고형분 함량 44%, pH 11, 유백색 액체, 점도(20C에서 동적) 150 mPas).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는 76.7℃에서의 용융 피크 및 21.9 J/g의 융해열을 갖다. 이는 네덜란드 페인담 소재의 파라멜트 페인담 비브이(Paramelt Veendam BV)에서 구입하였다. 파라멜트(상표명) 아쿠아씰 X2050은 본원에서 파라멜트 X2050 또는 아쿠아씰 X2050으로도 지칭된다.
왁커(등록상표) 욀에멀젼 C 800(본원에서는 C800으로도 지칭됨, 상품명 오엘엠(OELEM) C 800)은 비반응성 폴리다이메틸실록산의 비이온성 마이크로에멀젼이다. 이는 물 중의 폴리다이메틸실록산 에멀젼이다(pH 5 내지 7, 고체 함량 약 80 질량%). 이는 독일 뮌헨 소재의 왁커 케미 아게(Wacker Chemie AG)에서 구입하였다. 본원의 방법 섹션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결정된 C800의 비반응성 폴리다이메틸실록산의 점도는 16.5 Pa·s이다.
다우 코닝(Dow Corning)으로부터의 실-오프(Syl-off)(등록상표) 7950 에멀젼 코팅과 실-오프(등록상표) 7922 촉매 에멀젼의 조합물(하기 표 5 및 6에서는 반응성 폴리실록산으로도 지칭됨).
가교제와 함께 사전-배합된 반응성 실리콘 중합체를 포함하는 제1 에멀젼, 및 실리콘 중합체 및 금속 촉매를 포함하는 제2 에멀젼으로부터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1 에멀젼은, 30.0 내지 60.0 중량%의 다이메틸비닐-말단화된 다이메틸 실록산 및 1.0 내지 5.0 중량%의 다이메틸, 메틸수소 실록산을 함유하는 에멀젼(다우 코닝(Dow Corning)으로부터의 실-오프(등록상표) 7950 에멀젼 코팅, 활성 성분 함량 40%)이었다. 상기 제2 에멀젼은, 다음을 포함하는 Dow Corning에서 구입 가능한 에멀젼이었다. 30.0 내지 60.0 중량%의 다이메틸비닐-말단화된 다이메틸 실록산 및 백금 촉매를 함유하는 에멀젼(다우 코닝으로부터의 실-오프(등록상표) 촉매 에멀젼, 활성 성분 함량 40%)이었다. 상기 제1 에멀젼과 상기 제2 에멀젼을 8.3:1의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은 40% 고형분을 가졌다.
왁커(등록상표) W23(본원에서, 왁커 W23으로도 지칭됨)은, 가수분해에 대해 내성이고 다양한 기재에 대해 매우 높은 친화성을 나타내는 백색의 왁스질 폴리메틸실록산이다(융점 39 내지 45.0℃, 동적 점도(브룩필드, 50℃) 300 mPa·s). 폴리실록산이 왁커 23인 실시예에서는, 왁커 W23을 먼저 다음과 같이 물과 혼합하였다: 중량 기준으로, 20% 왁커 W23(고체)과 80% 물을 합치고, 전단 혼합기를 사용하여 약 1시간 동안 8000 tpm으로 교반하였다. 이어서, 이 혼합물을 사용하여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다우 자이아미터(상표명) PMX-200 실리콘 유체(본원에서 자이아미터(Xiameter) 200으로도 지칭됨)는 무색 투명한 폴리다이메틸실록산 유체이다.
코팅 조성물의 제조
실온에서 X2050에 C800을 첨가하고 15분 동안 교반함으로써, 파라멜트 X2050(공중합체 포함) 및 왁커(등록상표) 욀에멀젼 C 800(PDMS 포함)을 혼합하였다.
비교용 코팅 조성물 1C, 2C, 3C의 제조
아쿠아씰 X2050을 물에 1:1로 희석함으로써, 비교용 코팅 조성물(폴리올레핀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하기 중합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복합 연장체(CEB)의 제조
HPPE 얀(다이니마(Dyneema)(등록상표) 1760 SK78, 얀 강인도 34.5 cN/dtex, 필라멘트 강인도 37 cN/dtex, 모듈러스 1190 cN/dtex, 디에스엠 프로텍티브 머티리얼즈 비브이(DSM Protective materials BV)(네덜란드)로부터)을 코팅 조성물 샘플 x에 침지함으로써 함침시켰다(상기 표 1 참조). 먼저, 습윤된 얀을 다이를 통해 공급하고, 이어서, 50 m/분의 입구 속도 및 50 m/분의 출구 속도를 갖는 6 m 길이의 열풍 오븐에 7회 통과시켰다. 오븐 온도는 120℃로 설정하였다. 수득된 건조 모노필라멘트-유사 생성물(복합 연장체 Sx = CEB-Sx)은 약 15 질량%의 중합체 조성물을 함유하였고, 85 질량%는 섬유상 물질(필라멘트)이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표 1에 열거된 모든 복합 연장체를, 상기 표 1에 열거된 코팅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이들 모두 15 질량%의 중합체 조성물을 함유하였으며, 85 질량%가 섬유질 물질(필라멘트)이었다.
로프 실시예 1(5 mm)
CEB-S1을, 복합 연장체(CEB)의 제조에 대해 전술된 바와 같이, 코팅 조성물 샘플 1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CEB-S1을 사용하여, 12개의 스트랜드로 나뉘어진 48개의 단일 얀을 각각 갖는 5 mm 로프(5 mm 직경을 갖는 로프 실시예 1)를 제조하였다. 상기 로프는, 시계 방향-배향된 스트랜드 6개와 반시계 방향-배향된 스트랜드 6개로 (둥글게) 브레이딩된 12개의 스트랜드를 포함하였고, 각각의 스트랜드는 4개의 CEB-S1 모노필라멘트-유사 생성물의 꼬인 조립체(twisted assembly) 미터당 20회의 회전(turn)을 포함하였으며, 브레이딩 피치(braiding pitch)는 상기 로프의 직경의 7배였다.
비교용 로프 실시예 1C: (5 mm)
CEB-S1C를 사용하여, 상기 로프 실시예 1(5 mm)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5 mm 비교용 로프(비교용 로프 실시예 1C)를 제조하였다.
로프 실시예 2(21 mm)
코팅 조성물 샘플 2를 사용하여, 복합 연장체(CEB)의 제조에 대해 전술된 바와 같이 CEB-S2를 제조하였다.
상기 CEB-S2를 사용하여, 21 mm 로프(직경이 21 mm인 로프 실시예 2)를 제조하였으며, 각각의 로프는, 시계 방향-배향된 스트랜드 6개와 반시계 방향-배향된 스트랜드 6개로 (둥글게) 브레이딩된 12개의 스트랜드를 포함하였고, 각각의 스트랜드는, 스트랜딩(미터당 13.3회의 회전)에 의해 조립된 7개의 로프 얀을 포함하였고, 각각의 로프 얀은 15개의 CEB-S2 모노필라멘트-유사 생성물의 꼬인 조립체 미터당 15회전의 회전을 가졌으며, 브레이딩 피치는 상기 로프의 직경의 7배였다.
비교용 로프 실시예 2C: (21 mm)
CEB-S2C를 사용하여, 상기 로프 실시예 2(21 mm)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21 mm 비교용 로프(비교용 로프 실시예 2C)를 제조하였다.
로프 실시예 3(10 mm): 3-1, 3-5, 3-10 및 3-25
코팅 조성물 샘플 3-1, 3-5, 3-10 및 3-25를 각각 사용하여, 복합 연장체(CEB)의 제조에 대해 전술된 바와 같이 CEB-S3-1, CEB-S3-5, CEB-S3-10 및 CEB-S3-25를 제조하였다.
로프 실시예 3-1
CEB-S3-1을 사용하여 10 mm 로프(10 mm 직경)를 제조하였다. 각각의 로프는, 시계 방향-배향된 스트랜드 6개와 반시계 방향-배향된 스트랜드 6개로 (둥글게) 브레이딩된 12개의 스트랜드를 포함하였고, 각각의 스트랜드는 20개의 CEB-S3-x 모노필라멘트-유사 생성물의 꼬인 조립체 미터당 18회의 회전을 포함하였고, 브레이딩 피치는 상기 로프의 직경의 7배였다. 이러한 방식으로 로프 실시예 3-1을 제조하였다.
로프 실시예 3-5, 3-10 및 3-25
CEB-S3-5, CEB-S3-10 및 CEB-S3-25를 각각 사용하여, 로프 실시예 3-1에 대해 기재된 것과 동일하게 로프 실시예 3-5, 3-10 및 3-25를 제조하였다.
비교용 로프 실시예 3C: (10 mm)
CEB-S3C를 사용하여, 로프 실시예 3-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10 mm 비교용 로프(비교용 로프 실시예 3C)를 제조하였다.
CBOS 시험
로프 실시예 1 및 비교용 로프 실시예 1C로부터의 로프를 전술된 바와 같이 CBOS 5 mm 시험에 적용하였다.
로프 실시예 2 및 비교용 로프 실시예 2C로부터의 로프를 전술된 바와 같이 CBOS 21 mm 시험에 적용하였다.
하기 표 2는 CBOS 시험 결과를 보고한다.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로프 실시예 1의 굽힘 사이클 횟수는 비교용 로프 실시예 1C보다 훨씬 많으며, 로프 실시예 1은 개선된 굽힘 성능을 입증한다.
하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로프 실시예 2의 굽힘 사이클 횟수는 비교용 로프 실시예 2C보다 훨씬 많으며, 로프 실시예 2는 개선된 굽힘 성능을 입증한다.
페어리드 시험
로프 실시예 3-1, 3-5, 3-10, 3-25 및 비교용 로프 실시예 3C로부터의 로프를 전술된 바와 같이 페어리드 10 mm 시험에 적용하였다. 하기 표 3은, 페어리드 시험 결과를 보고한다. 하기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3의 굽힘 사이클 횟수는 비교예 3C보다 더 많다. 비교예 3C에 비해 실시예 3의 정적 대향-표면(즉, 페어리드)에 대한 더 많은 굽힘 사이클 횟수는 개선된 마모 성능을 입증한다.
추가 코팅 조성물의 제조
실온에서 X2050에 폴리실록산을 첨가하고 15분 동안 교반함으로써, 파라멜트 X2050(공중합체 포함)과 폴리실록산을 혼합하였다. 모든 코팅 혼합물은 20% 고형분 농도를 함유하였다. 이러한 20% 고형분 비율 내에서, 제형은 하기 표 4에 제시되는 바와 같이 달랐다. 아쿠아씰 X2050을 물과 1:1의 양으로 희석하여 20% 고형분을 수득함으로써, 비교용 코팅 조성물(폴리올레핀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이들 혼합물에 대한 시험 결과를 하기 표 5 및 6에 열거한다.
로프 제조 및 시험
HPPE 얀(다이니마(등록상표) 1760 SK78, 얀 강인도 34.5 cN/dtex, 필라멘트 강인도 37 cN/dtex, 모듈러스 1190 cN/dtex, 디에스엠 프로텍티브 머티리얼즈 비브이(네덜란드)로부터)을 사용하여 5 mm 로프를 생산했으며, 각각의 로프는, 12개의 스트랜드로 나뉘어진 48개의 단일 얀을 가졌다. 상기 로프는, 시계 방향-배향된 스트랜드 6개와 반시계 방향-배향된 스트랜드 6개로 (둥글게) 브레이딩된 12개의 스트랜드를 포함하였고, 각각의 스트랜드는 4개의 얀의 꼬인 조립체 미터당 20회의 회전을 포함하였고, 브레이딩 피치는 상기 로프의 직경의 7배였다. 이 후, 상기 로프를 상기 코팅 조성물에 침지하였다. 코팅된 로프를 오븐에서 110℃로 20분 동안 건조시켰다.
이 후, 상기 로프를 전술된 바와 같이 "CBOS 5 mm 시험"에 적용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5에 열거한다.
하기 표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실시예의 굽힘 사이클 횟수는 비교예보다 더 많았다. 이러한 방식으로, 개선된 굽힘 성능이 입증된다.
10 mm 로프(표 6)
HPPE 얀(다이니마(등록상표) 1760 SK78, 얀 강인도 34.5 cN/dtex, 필라멘트 강인도 37 cN/dtex, 모듈러스 1190 cN/dtex, 디에스엠 프로텍티브 머티리얼즈 비브이(네덜란드)로부터)를 사용하여 10 mm 로프를 제조하였다. 각각의 로프는, 시계 방향-배향된 스트랜드 6개와 반시계 방향-배향된 스트랜드 6개로 (둥글게) 브레이딩된 12개의 스트랜드를 포함하였고, 각각의 스트랜드는 20개의 얀의 꼬인 조립체 미터당 20회의 회전을 포함하였고, 브레이딩 피치는 상기 로프의 직경의 7배였다. 이 후, 상기 로프를 상기 코팅 조성물에 침지하였다. 코팅된 로프를 오븐에서 110℃로 20분 동안 건조시켰다. 이 후, 상기 로프를 전술된 바와 같이 "페어리드 10 mm 시험"에 적용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6에 열거한다. 하기 표 6에서 알 수 있듯이,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실시예의 굽힘 사이클 횟수는 비교예보다 더 많았다. 이러한 방식으로, 개선된 내마모성이 입증된다.
정적 대향-표면(즉, 페어리드)에 대한 더 많은 사이클 횟수는 개선된 마모 성능을 입증한다.

Claims (15)

  1. 0.6 N/tex 이상의 강인도(tenacity)를 갖는 고성능 폴리에틸렌(HPPE) 필라멘트(2), 및
    복합 연장체(composite elongated body) 전체에 걸쳐 존재하는 중합체 조성물(10)
    을 포함하는 복합 연장체(3, 53)로서,
    상기 중합체 조성물은
    a)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 및
    b) 폴리실록산
    을 포함하고,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는 에틸렌의 공중합체이고,
    상기 중합체 조성물은 ASTM E794-06에 따라 측정시 40 내지 140℃ 범위의 피크 용융 온도를 갖는, 복합 연장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성능 폴리에틸렌(HPPE) 필라멘트(2)가 얀(yarn)(1)으로서 제공되고,
    상기 얀이, 0.6 N/tex 이상의 강인도를 갖는 HPPE 필라멘트를 2개 이상 포함하는, 복합 연장체(3, 53).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실록산이 폴리다이메틸실록산인, 복합 연장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다이메틸실록산이 비반응성 폴리다이메틸실록산인, 복합 연장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합 연장체를 포함하는 긴 물체(lengthy body)(90, 100).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긴 물체가 스트랜드(strand), 케이블, 코드, 로프(90,100), 벨트, 스트립(strip), 호스 또는 튜브인, 긴 물체.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복합 연장체를 포함하고/하거나 제6항에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긴 물체를 포함하는 물품(60, 70, 80)으로서,
    상기 물품은 합성 체인(synthetic chain)(60, 70), 슬링(sling), 네트(net)(80) 또는 개인 보호 품목(personal protection item)인, 물품(60, 70, 80).
  8. 시브(sheave), 및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합 연장체를 3개 이상 포함하는 로프(90, 100)
    를 포함하는 크레인(crane).
  9. 복합 연장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a) 코팅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코팅 조성물은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 물; 및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단계;
    (b) 2개 이상의 HPPE 필라멘트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필라멘트는 0.6 N/tex 이상의 강인도를 갖는, 단계;
    (c) 상기 코팅 조성물을 상기 필라멘트에 적용하여, 코팅된 필라멘트를 수득하는 단계; 및
    (d) 상기 코팅된 필라멘트의 온도를 상승시켜, 복합 연장체를 수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는 에틸렌의 공중합체이고,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는 ASTM E794-06에 따라 측정시 40 내지 140℃ 범위의 피크 용융 온도를 갖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 온도를 상승시키는 것이, 상기 코팅 조성물의 건조 및 상기 열가소성 에틸렌 공중합체의 용융을 야기하는, 방법.
  11. 긴 물체(90, 100)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복합 연장체(3, 53)를 2개 이상 조립하여 긴 물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긴 물체는 로프, 예컨대 레이드(laid) 로프 또는 브레이디드(braided) 로프인, 방법.
  12. 물품(60, 70, 80)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제5항 또는 제6항에 정의된 긴 물체(90, 100) 및/또는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복합 연장체(3, 53)로부터 물품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물품은 네트(80), 합성 체인(60, 70) 또는 개인 보호 품목인, 방법.
  13. 물체를 들어올리고/거나 놓는(lifting and/or placement) 방법으로서,
    a)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합 연장체를 3개 이상 포함하는 로프(90, 100)를 제공하는 단계
    b) 들어올릴 물체에 상기 로프를 연결하는 단계; 및
    c) 상기 로프를 사용하여 물체를 들어올리고/거나 놓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중합체 조성물(10)의, 이러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로프, 합성 체인 또는 벨트의 마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용도.
  1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중합체 조성물(10)의, 이러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로프, 합성 체인 또는 벨트의 굽힘(bending)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용도.
KR1020247011495A 2021-09-07 2022-08-30 복합 연장체 KR202400639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PCT/EP2021/074621 2021-09-07
EP2021074623 2021-09-07
EP2021074621 2021-09-07
EP2021074622 2021-09-07
EPPCT/EP2021/074623 2021-09-07
EPPCT/EP2021/074622 2021-09-07
PCT/EP2022/068794 WO2023036492A1 (en) 2021-09-07 2022-07-06 Composite elongated body
EPPCT/EP2022/068793 2022-07-06
PCT/EP2022/068793 WO2023036491A1 (en) 2021-09-07 2022-07-06 Net for fish farming, method of making and use thereof
EPPCT/EP2022/068794 2022-07-06
PCT/EP2022/074132 WO2023036656A1 (en) 2021-09-07 2022-08-30 Composite elongated bod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3942A true KR20240063942A (ko) 2024-05-10

Family

ID=8550721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11509A KR20240053640A (ko) 2021-09-07 2022-07-06 복합 연장체
KR1020247011495A KR20240063942A (ko) 2021-09-07 2022-08-30 복합 연장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11509A KR20240053640A (ko) 2021-09-07 2022-07-06 복합 연장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KR (2) KR20240053640A (ko)
CN (1) CN117956899A (ko)
AU (1) AU2022344466A1 (ko)
CA (1) CA3230328A1 (ko)
DK (1) DK202470070A1 (ko)
WO (3) WO2023036491A1 (ko)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16235A (en) 1972-08-18 1974-06-11 Owens Corning Fiberglass Corp Glass fiber size composition
JPS53114920A (en) 1977-03-18 1978-10-06 Hakodate Seimo Sengu Kk Composite synthetic filament yarns for fishing nets and ropes
NL177840C (nl) 1979-02-08 1989-10-16 Stamicarbo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polyetheendraad.
NL177759B (nl) 1979-06-27 1985-06-17 Stamicarbon Werkwijze ter vervaardiging van een polyetheendraad, en de aldus verkregen polyetheendraad.
JPS6127509A (ja) 1984-07-19 1986-02-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減衰フイルタ付レンズ
DE3675079D1 (de) 1985-06-17 1990-11-29 Allied Signal Inc Polyolefinfaser mit hoher festigkeit, niedrigem schrumpfen, ultrahohem modul, sehr niedrigem kriechen und mit guter festigkeitserhaltung bei hoher temperatur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IN170335B (ko) 1986-10-31 1992-03-14 Dyneema Vof
US6448359B1 (en) 2000-03-27 2002-09-1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High tenacity, high modulus filament
JP2003261765A (ja) * 2002-03-08 2003-09-19 Teijin Ltd 耐摩耗性向上処理剤
JP4613176B2 (ja) 2004-01-01 2011-01-12 ディーエスエム アイピー アセッツ ビー.ブイ. 高性能ポリエチレン・マルチフィラメント糸の製造方法
WO2007062803A1 (en) 2005-12-02 2007-06-07 Dsm Ip Assets B.V. Rope containing high-performance polyethylene fibres
US20070202329A1 (en) 2006-02-24 2007-08-30 Davis Gregory A Ropes having improved cyclic bend over sheave performance
US7858180B2 (en) * 2008-04-28 2010-12-2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High tenacity polyolefin ropes having improved strength
WO2010052153A1 (en) 2008-11-04 2010-05-14 Basf Se Treated textile material for use in aquatic environments
US8378042B2 (en) * 2009-04-28 2013-02-19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Finishing process for amorphous polymers
JP5664982B2 (ja) 2009-08-04 2015-02-04 ディーエスエム アイピー アセッツ ビー.ブイ. 被覆高強度繊維
WO2011154383A1 (en) * 2010-06-08 2011-12-15 Dsm Ip Assets B.V. Protected hmpe rope
AU2012277803A1 (en) 2011-06-28 2014-01-16 Dsm Ip Assets B.V. Aquatic-predator resistant net
BR122020008965B1 (pt) 2012-06-11 2021-08-17 Dsm Ip Assets B.V. Corrente sintética compreendendo um elemento de corrente, método de obtenção e uso da mesma
KR101459009B1 (ko) 2013-12-26 2014-11-10 윤일금 방오 기능을 갖는 어망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어망
WO2016001158A1 (en) 2014-07-01 2016-01-07 Dsm Ip Assets B.V. Structures comprising polymeric fibers
WO2017060469A1 (en) * 2015-10-09 2017-04-13 Dsm Ip Assets B.V. High performance fibres composite sheet
JP2018529853A (ja) 2015-10-09 2018-10-11 ディーエスエム アイピー アセッツ ビー.ブイ.Dsm Ip Assets B.V. 複合長尺体
WO2018178256A1 (en) 2017-03-31 2018-10-04 Dsm Ip Assets B.V. Net for aquacul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3640A (ko) 2024-04-24
AU2022344466A1 (en) 2024-02-29
WO2023036492A1 (en) 2023-03-16
CN117956899A (zh) 2024-04-30
WO2023036656A1 (en) 2023-03-16
CA3230328A1 (en) 2023-03-16
DK202470070A1 (en) 2024-03-11
WO2023036491A1 (en) 2023-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62275B1 (en) Coated high strength fibers, strands and rop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A2630426C (en) Rope containing high-performance polyethylene fibres
EP1893798B1 (en) Braided rope construction
US20240125018A1 (en) Composite lengthy body
KR20240063942A (ko) 복합 연장체
CA3230493A1 (en) Composite elongated body
CN117916415A (zh) 复合拉长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