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3598A - IoT 융합기술 기반의 치은 압배사 고정압력 측정을 위한 교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IoT 융합기술 기반의 치은 압배사 고정압력 측정을 위한 교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3598A
KR20240063598A KR1020220145381A KR20220145381A KR20240063598A KR 20240063598 A KR20240063598 A KR 20240063598A KR 1020220145381 A KR1020220145381 A KR 1020220145381A KR 20220145381 A KR20220145381 A KR 20220145381A KR 20240063598 A KR20240063598 A KR 20240063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gingival
fixation
measuring
i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5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민정
Original Assignee
김천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천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김천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145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3598A/ko
Publication of KR20240063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359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09B23/283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for dentistry or oral hygie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61C19/063Medicament applicators for teeth or gums, e.g. treatment with fluo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33Gingival retraction applian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76Body hygiene; Dressing; Knot tying
    • G09B19/0084Dental hygien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gebra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은압배사 삽입기구 홀센서를 통해서 치은 압배사 삽입시의 고정압력 측정을 통하여 학습자의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 IoT 융합기술 기반의 치은 압배사 고정압력 측정을 위한 교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치료를 요구하는 정도가 각각 다른 상태의 치은 열구를 갖는 모형 치아들이 구비되는 교육용 치아 모형 장치;교육용 치아 모형 장치의 센서부를 통하여 수집되는 치은 열구내에 치은 압배사의 삽입 및 고정시의 압력 변화값을 분석하여 현재 치은 압배 시술 과정에서 압력 변화값 및 치은 열구 상태에 따른 적정 고정 압력값을 표시하고, 개인별 실습 교육에 따른 변화 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하고, 평가 및 진도 진행 정도를 분석하여 제공하는 치은 압배 실습 지원 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IoT 융합기술 기반의 치은 압배사 고정압력 측정을 위한 교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Training Apparatus for measuring fixed pressure of gingival retraction cord based on IoT convergence technolog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치은압배 측정 기술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치은압배사 삽입기구 홀센서를 통해서 치은 압배사 삽입시의 고정압력 측정을 통하여 학습자의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 IoT 융합기술 기반의 치은 압배사 고정압력 측정을 위한 교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 보철치료(크라운, 브릿지 등 포함) 과정 중 지대치 인상채득 시 치경부변연부의 마무리 선(finishing line)을 정확히 인기하기 위하여 인상채득 전 치은을 일시적으로 퇴축시키는 치은압배가 필요하다.
치은압배법에는 여러 가지 방법들이 있지만 가장 보편적인 방법은 기계적 방법이다.
그 방법의 일환으로 치은열구에치은압배사(gingival retraction cord) 또는 코드(cord)를 삽입하여 치은을 일시적으로 퇴축시키는 치은압배시술을 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치은 압배 시술 과정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때 치은압배사를치은열구내 삽입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의료기구로 코드패커(Cord packer)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시술은 치과의사 지도하에 치과위생사가 그 역할을 하고 있다.
치과위생사는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에 규정된 업무를 수행하게 되는데 그중 치아본뜨기 업무에 의해서 치과의사 지도하에 관련 업무를 수행한다.
그래서 치과위생사를 양성하기 위한 치위생(학)과에서는 실습교육을 통해서 학생들에게 교육하고 있다.
치은압배법은코드패커라는 기구를 통해서 치은에 치은압배사를 고정시키는 시술이다. 그래서 치은압배사를 고정시키기 위한적절한 힘 조절은 중요하다. 왜냐하면 과도한 힘을 주어 시술하게 될 경우 환자에게 통증을 줄 뿐만 아니라 치은열구에 손상을 주어 출혈이 발생될 수 있다.
하지만 현 실습교육에서는 전혀 이러한 문제점들이 반영시킬 수 없는 학습교육으로 이루어져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치은 압배사 삽입시의 고정 압력 측정을 하고, 측정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교육을 반복 수행하여 학습자의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교구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1-012471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12668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21156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치은압배사 삽입 시술 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치은압배사 삽입기구 홀센서를 통해서 치은 압배사 삽입시의 고정압력 측정을 통하여 학습자의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 IoT 융합기술 기반의 치은 압배사 고정압력 측정을 위한 교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IoT 융합기술을 활용한 센스 기반 모듈을 활용하여 교수자와 학습자와의 상호작용 및 평가 기준에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측정교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IoT 융합기술 기반의 치은 압배사 고정압력 측정을 위한 교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치은압배 측정 교구를 이용한 치은압배사를 고정시키기 위한 적절한 힘 조절 과정을 반복 교육하여 실제 의료 현장에서 통증 발생 및 치은열구 손상을 억제하여 인전한 의료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한 IoT 융합기술 기반의 치은 압배사 고정압력 측정을 위한 교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IoT 융합기술을 활용한 센스 기반 모듈을 활용하여 높은 수준의 치은 압배술 교육이 가능하도록 하여 신뢰할 수 있는 의료 인력 양성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 IoT 융합기술 기반의 치은 압배사 고정압력 측정을 위한 교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IoT 융합기술 기반의 치은 압배사 고정압력 측정을 위한 교구 장치는 치료를 요구하는 정도가 각각 다른 상태의 치은 열구를 갖는 모형 치아들이 구비되는 교육용 치아 모형 장치;교육용 치아 모형 장치의 센서부를 통하여 수집되는 치은 열구내에 치은 압배사의 삽입 및 고정시의 압력 변화값을 분석하여 현재 치은 압배 시술 과정에서 압력 변화값 및 치은 열구 상태에 따른 적정 고정 압력값을 표시하고, 개인별 실습 교육에 따른 변화 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하고, 평가 및 진도 진행 정도를 분석하여 제공하는 치은 압배 실습 지원 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치은 압배 실습 지원 관리 모듈은 압력 변화값 및 적정 고정 압력값, 평가 결과 및 진도 진행 분석 결과를, 자체에 연결 구성되는 전용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하여 표시하거나,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교수자 및 학습자의 모바일 단말을 통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평가 결과 및 진도 진행 분석 결과에는, 학습자 개인별 삽입 및 고정 소요 시간, 처치 결과 비교 이미지, 실습 횟수 정보, 표준 고정 압력값과의 비교 그래프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교육용 치아 모형 장치의 상부 또는 전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위치하여 시술 과정 종료후의 치은열구 상태를 촬영하는 이미지 촬영 수단을 더 구비하고, 촬영된 처치 결과 이미지와 최적 표준 처치 이미지를 비교하여 차이가 있는 부분을 하일라이트하여 비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교육용 치아 모형 장치의 센서부는, 치은 열구를 갖는 모형 치아들 내부 및 외부에 홀 효과를 이용하여 치은 압배사 또는 코드패커의 위치 및 깊이를 센싱하기 위한 홀 센서가 구비되는 형태이거나, 치은 열구를 갖는 모형 치아들 둘레 하부에 위치하여 코드패커를 통한 고정 시술 과정의 압력을 센싱하는압전 센서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치은 압배 실습 지원 관리 모듈은, 교육용 치아 모형 장치의 센서부로부터 코드패커를 통한 고정 시술 과정의 센싱 압력값을 수신하여 분석하는 센싱값 수신 분석부와, 센싱값 수신 분석부의 분석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이미지 촬영 수단을 통하여 쵤영된 이미지 및 최적 표준 처치 이미지를 저장하는 이미지 저장부와, 센싱값 수신 분석부의 분석 결과를 저장하는 분석결과 저장부와, 교수자 및 학습자의 모바일 단말을 통하여 분석 결과가 표시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통신부와, 교수자 및 학습자의 단말을 통하여 등록되는 교수자 및 학습자의 사용자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사용자 정보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치은 압배 실습 지원 관리 모듈은, 본체에 탑재되어 치은 압배사 삽입시의 고정압력 측정 및 분석을 수행하기 위한 치은 압배 실습 지원 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치은 압배 실습 지원 관리 프로그램 실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표시부는, 코드패커를 통한 고정 시술 과정의 압력 변화값을 표시하는 실시간 압력 변화값 표시부와, 현재 시술 대상이 되는 치은 열구의 고정에 필요한 기준값을 표시하는 표준 고정 압력값 표시부와, 촬영된 처치 결과 이미지와 저장되어 있는 최적 표준 처치 이미지를 비교 표시하는 비교 이미지 표시부와, 해당 회차의코드패커를 통한 고정 시술 과정의 소요시간을 표시하는 소요시간 표시부와, 코드패커를 통한 고정 시술의 실습 횟수 정보를 표시하는 실습 횟수 정보 표시부와, 코드패커를 통한 고정 시술 과정에서의 압력 변화 추이와 표준 고정 압력값과의 비교 그래프를 표시하는 압력 변화 비교 그래프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IoT 융합기술 기반의 치은 압배사 고정압력 측정을 위한 교구 장치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 정보가 등록된 학습자의 단말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치은 압배 실습 지원 관리 모듈에 접속하여 치은 압배 실습 지원 관리 프로그램 실행을 하는 단계;치은압배 처치가 이루어지는 시점부터 이미지 촬영 및 압력 변화값 센싱을 하는 단계;현재 치은 압배 시술 과정에서의 압력 변화값 및 치은 열구 상태에 따른 적정 고정 압력값을 표시하는 단계;개인별 실습 교육에 따른 변화 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하고, 평가 및 진도 진행 정도를 분석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압력 변화값 및 적정 고정 압력값, 평가 결과 및 진도 진행 분석 결과를, 자체에 연결 구성되는 전용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하여 표시하거나,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교수자 및 학습자의 모바일 단말을 통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평가 및 진도 진행 정도를 분석하여 제공하는 단계에서 제공되는 항목은, 학습자 개인별 삽입 및 고정 소요 시간, 처치 결과 비교 이미지, 실습 횟수 정보, 표준 고정 압력값과의 비교 그래프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IoT 융합기술 기반의 치은 압배사 고정압력 측정을 위한 교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치은압배사 삽입기구 홀센서를 통해서 치은 압배사 삽입시의 고정압력 측정을 통하여 학습자의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둘째, IoT 융합기술을 활용한 센스 기반 모듈을 활용하여 교수자와 학습자와의 상호작용 및 평가 기준에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측정교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치은압배 측정 교구를 이용한 치은압배사를 고정시키기 위한 적절한 힘 조절 과정을 반복 교육하여 실제 의료 현장에서 통증 발생 및 치은열구 손상을 억제하여 인전한 의료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한다.
넷째, IoT 융합기술을 활용한 센스 기반 모듈을 활용하여 높은 수준의 치은 압배술 교육이 가능하도록 하여 신뢰할 수 있는 의료 인력 양성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치은 압배 시술 과정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은압배 측정 교구 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은 압배 실습 지원 관리 모듈의 표시부의 상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IoT 융합기술 기반의 치은 압배사 고정압력 측정을 위한 교구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이하, 본 발명에 따른 IoT 융합기술 기반의 치은 압배사 고정압력 측정을 위한 교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IoT 융합기술 기반의 치은 압배사 고정압력 측정을 위한 교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의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의 각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은압배 측정 교구 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IoT 융합기술 기반의 치은 압배사 고정압력 측정을 위한 교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은 치은압배사 삽입기구 홀센서를 통해서 치은 압배사 삽입시의 고정압력 측정을 통하여 학습자의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IoT 융합기술을 활용한 센스 기반 모듈을 활용하여 교수자와 학습자와의 상호작용 및 평가 기준에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측정교구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치은압배 측정 교구를 이용한 치은압배사를 고정시키기 위한 적절한 힘 조절 과정을 반복 교육하여 실제 의료 현장에서 통증 발생 및 치은열구 손상을 억제하여 인전한 의료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IoT 융합기술을 활용한 센스 기반 모듈을 활용하여 높은 수준의 치은 압배술 교육이 가능하도록 하여 신뢰할 수 있는 의료 인력 양성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IoT 융합기술 기반의 치은 압배사 고정압력 측정을 위한 교구 장치는 치료를 요구하는 정도가 각각 다른 상태의 치은 열구를 갖는 모형 치아들이 구비되는 교육용 치아 모형 장치(100)와, 교육용 치아 모형 장치(100)의 센서부(10)를 통하여 수집되는 치은 열구내에 치은 압배사의 삽입 및 고정시의 압력 변화값을 분석하여 현재 치은 압배 시술 과정에서 압력 변화값 및 치은 열구 상태에 따른 적정 고정 압력값을 표시하고, 개인별 실습 교육에 따른 변화 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하고, 평가 및 진도 진행 정도를 분석하여 제공하는 치은 압배 실습 지원 관리 모듈(2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치은 압배 실습 지원 관리 모듈(200)은 자체에 연결 구성되는 전용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하여 압력 변화값 및 적정 고정 압력값, 평가 결과 및 진도 진행 분석 결과를 표시하거나,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교수자 및 학습자의 모바일 단말(400)을 통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평가 결과 및 진도 진행 분석 결과에는 개인별 삽입 및 고정 소요 시간, 처치 결과 비교 이미지, 실습 횟수 정보, 표준 고정 압력값과의 비교 그래프 항목을 포함하고, 이로 제한되지 않고 다른 항목을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교육용 치아 모형 장치(100)의 상부 또는 전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위치하여 시술 과정 종료후의 치은열구 상태를 촬영하는 이미지 촬영 수단(300)을 더 구비하고, 촬영된 처치 결과 이미지와 최적 표준 처치 이미지를 비교하여 차이가 있는 부분을 하일라이트하여 비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교육용 치아 모형 장치(100)의 센서부(10)는 치은 열구를 갖는 모형 치아들 내부 및 외부에 홀 효과를 이용하여, 치은 압배사 또는 코드패커의 위치 및 깊이를 센싱하기 위한 홀 센서가 구비되는 형태이거나, 치은 열구를 갖는 모형 치아들 둘레 하부에 위치하여 코드패커를 통한 고정 시술 과정의 압력을 센싱하는압전 센서들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치은 압배사를 고정시키기 위한 도구로 일자 형태의 코드패커를 이용하는 것을 예로 하였으나, 코드패커가 이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의 것들이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일 예로,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는 핸들, 핸들에서 연장되며, 치은 압배사를 누르는 주 팁, 주 팁과 힌지 축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치아에 삽입되는 치은 압배사를 가압하여 치은 압배사의 이탈을 방지하는 보조 팁을 구비하는 형태의 코드패커를 사용할 수 도 있다.
치은 압배 실습 지원 관리 모듈(200)의 상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치은 압배 실습 지원 관리 모듈(200)은, 본체에 탑재되어 치은 압배사 삽입시의 고정압력 측정 및 분석을 수행하기 위한 치은 압배 실습 지원 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치은 압배 실습 지원 관리 프로그램 실행부(20)와, 교육용 치아 모형 장치(100)의 센서부(10)로부터 코드패커를 통한 고정 시술 과정의 센싱 압력값을 수신하여 분석하는 센싱값 수신 분석부(30)와, 센싱값 수신 분석부(30)의 분석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40)와, 이미지 촬영 수단(300)을 통하여 쵤영된 이미지 및 최적 표준 처치 이미지를 저장하는 이미지 저장부(50)와, 센싱값 수신 분석부(30)의 분석 결과를 저장하는 분석결과 저장부(60)와, 교수자 및 학습자의 모바일 단말(400)을 통하여 분석 결과가 표시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통신부(70)와, 교수자 및 학습자의 단말을 통하여 등록되는 교수자 및 학습자의 사용자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사용자 정보 관리부(80)를 포함한다.
여기서, 표시부(40)의 상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은 압배 실습 지원 관리 모듈의 표시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표시부(40)는 도 3에서와 같이, 코드패커를 통한 고정 시술 과정의 압력 변화값을 표시하는 실시간 압력 변화값표시부(41)와, 현재 시술 대상이 되는 치은 열구의 고정에 필요한 기준값을 표시하는 표준 고정 압력값표시부(42)와, 촬영된 처치 결과 이미지와 저장되어 있는 최적 표준 처치 이미지를 비교 표시하는 비교 이미지 표시부(43)와, 해당 회차의코드패커를 통한 고정 시술 과정의 소요시간을 표시하는 소요시간 표시부(44)와, 코드패커를 통한 고정 시술의 실습 횟수 정보를 표시하는 실습 횟수 정보 표시부(45)와, 코드패커를 통한 고정 시술 과정에서의 압력 변화 추이와 표준 고정 압력값과의 비교 그래프를 표시하는 압력 변화 비교 그래프 표시부(46)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표시부(40)에 표시되는 실시간 압력 변화값, 표준 고정 압력값, 비교 이미지, 소요시간 표시, 실습 횟수 정보, 압력 변화 비교 그래프 정보들은 화면상에 전체 항목이 한번 모두 표시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산택 항목만 표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표시 방법 및 표시 항목은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IoT 융합기술 기반의 치은 압배사 고정압력 측정을 위한 교구 장치의 제어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IoT 융합기술 기반의 치은 압배사 고정압력 측정을 위한 교구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IoT 융합기술 기반의 치은 압배사 고정압력 측정을 위한 교구 장치의 제어 방법은 먼저, 사용자 정보가 등록된 학습자의 단말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치은 압배 실습 지원 관리 모듈에 접속하여 치은 압배 실습 지원 관리 프로그램 실행을 한다.(S401)
이어, 치은 압배 처치가 이루어지는 시점부터 이미지 촬영 및 압력 변화값 센싱을 한다.(S402)
그리고 현재 치은 압배 시술 과정에서의 압력 변화값 및 치은 열구 상태에 따른 적정 고정 압력값을 표시한다.(S403)
이어, 개인별 실습 교육에 따른 변화 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하고, 평가 및 진도 진행 정도를 분석하여 제공한다.(S404)
여기서, 압력 변화값 및 적정 고정 압력값, 평가 결과 및 진도 진행 분석 결과를, 자체에 연결 구성되는 전용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하여 표시하거나,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교수자 및 학습자의 모바일 단말을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평가 및 진도 진행 정도를 분석하여 제공하는 단계에서 제공되는 항목은, 학습자 개인별 삽입 및 고정 소요 시간, 처치 결과 비교 이미지, 실습 횟수 정보, 표준 고정 압력값과의 비교 그래프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IoT 융합기술 기반의 치은 압배사 고정압력 측정을 위한 교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은 치은압배사 삽입기구 홀센서를 통해서 치은 압배사 삽입시의 고정압력 측정을 통하여 학습자의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치은압배 측정 교구를 이용한 치은압배사를 고정시키기 위한 적절한 힘 조절 과정을 반복 교육하여 실제 의료 현장에서 통증 발생 및 치은열구 손상을 억제하여 인전한 의료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이 구현되어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명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 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교육용 치아 모형 장치
200. 치은 압배 실습 지원 관리 모듈
300. 이미지 촬영 수단
400. 모바일 단말

Claims (11)

  1. 치료를 요구하는 정도가 각각 다른 상태의 치은 열구를 갖는 모형 치아들이 구비되는 교육용 치아 모형 장치;
    교육용 치아 모형 장치의 센서부를 통하여 수집되는 치은 열구내에 치은 압배사의 삽입 및 고정시의 압력 변화값을 분석하여 현재 치은 압배 시술 과정에서 압력 변화값 및 치은 열구 상태에 따른 적정 고정 압력값을 표시하고, 개인별 실습 교육에 따른 변화 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하고, 평가 및 진도 진행 정도를 분석하여 제공하는 치은 압배 실습 지원 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융합기술 기반의 치은 압배사 고정압력 측정을 위한 교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치은 압배 실습 지원 관리 모듈은 압력 변화값 및 적정 고정 압력값, 평가 결과 및 진도 진행 분석 결과를,
    자체에 연결 구성되는 전용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하여 표시하거나,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교수자 및 학습자의 모바일 단말을 통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융합기술 기반의 치은 압배사 고정압력 측정을 위한 교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평가 결과 및 진도 진행 분석 결과에는,
    학습자 개인별 삽입 및 고정 소요 시간, 처치 결과 비교 이미지, 실습 횟수 정보, 표준 고정 압력값과의 비교 그래프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융합기술 기반의 치은 압배사 고정압력 측정을 위한 교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교육용 치아 모형 장치의 상부 또는 전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위치하여 시술 과정 종료후의 치은열구 상태를 촬영하는 이미지 촬영 수단을 더 구비하고,
    촬영된 처치 결과 이미지와 최적 표준 처치 이미지를 비교하여 차이가 있는 부분을 하일라이트하여 비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융합기술 기반의 치은 압배사 고정압력 측정을 위한 교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교육용 치아 모형 장치의 센서부는,
    치은 열구를 갖는 모형 치아들 내부 및 외부에 홀 효과를 이용하여 치은 압배사 또는 코드패커의 위치 및 깊이를 센싱하기 위한 홀 센서가 구비되는 형태이거나,
    치은 열구를 갖는 모형 치아들 둘레 하부에 위치하여 코드패커를 통한 고정 시술 과정의 압력을 센싱하는압전 센서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융합기술 기반의 치은 압배사 고정압력 측정을 위한 교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치은 압배 실습 지원 관리 모듈은,
    교육용 치아 모형 장치의 센서부로부터 코드패커를 통한 고정 시술 과정의 센싱 압력값을 수신하여 분석하는 센싱값 수신 분석부와,
    센싱값 수신 분석부의 분석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이미지 촬영 수단을 통하여 쵤영된 이미지 및 최적 표준 처치 이미지를 저장하는 이미지 저장부와,
    센싱값 수신 분석부의 분석 결과를 저장하는 분석결과 저장부와,
    교수자 및 학습자의 모바일 단말을 통하여 분석 결과가 표시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통신부와,
    교수자 및 학습자의 단말을 통하여 등록되는 교수자 및 학습자의 사용자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사용자 정보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융합기술 기반의 치은 압배사 고정압력 측정을 위한 교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치은 압배 실습 지원 관리 모듈은,
    본체에 탑재되어 치은 압배사 삽입시의 고정압력 측정 및 분석을 수행하기 위한 치은 압배 실습 지원 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치은 압배 실습 지원 관리 프로그램 실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융합기술 기반의 치은 압배사 고정압력 측정을 위한 교구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표시부는,
    코드패커를 통한 고정 시술 과정의 압력 변화값을 표시하는 실시간 압력 변화값 표시부와,
    현재 시술 대상이 되는 치은 열구의 고정에 필요한 기준값을 표시하는 표준 고정 압력값 표시부와,
    촬영된 처치 결과 이미지와 저장되어 있는 최적 표준 처치 이미지를 비교 표시하는 비교 이미지 표시부와,
    해당 회차의코드패커를 통한 고정 시술 과정의 소요시간을 표시하는 소요시간 표시부와,
    코드패커를 통한 고정 시술의 실습 횟수 정보를 표시하는 실습 횟수 정보 표시부와,
    코드패커를 통한 고정 시술 과정에서의 압력 변화 추이와 표준 고정 압력값과의 비교 그래프를 표시하는 압력 변화 비교 그래프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융합기술 기반의 치은 압배사 고정압력 측정을 위한 교구 장치.
  9. 사용자 정보가 등록된 학습자의 단말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치은 압배 실습 지원 관리 모듈에 접속하여 치은 압배 실습 지원 관리 프로그램 실행을 하는 단계;
    치은 압배 처치가 이루어지는 시점부터 이미지 촬영 및 압력 변화값 센싱을 하는 단계;
    현재 치은 압배 시술 과정에서의 압력 변화값 및 치은 열구 상태에 따른 적정 고정 압력값을 표시하는 단계;
    개인별 실습 교육에 따른 변화 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하고, 평가 및 진도 진행 정도를 분석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융합기술 기반의 치은 압배사 고정압력 측정을 위한 교구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압력 변화값 및 적정 고정 압력값, 평가 결과 및 진도 진행 분석 결과를,
    자체에 연결 구성되는 전용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하여 표시하거나,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교수자 및 학습자의 모바일 단말을 통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융합기술 기반의 치은 압배사 고정압력 측정을 위한 교구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평가 및 진도 진행 정도를 분석하여 제공하는 단계에서 제공되는 항목은,
    학습자 개인별 삽입 및 고정 소요 시간, 처치 결과 비교 이미지, 실습 횟수 정보, 표준 고정 압력값과의 비교 그래프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융합기술 기반의 치은 압배사 고정압력 측정을 위한 교구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220145381A 2022-11-03 2022-11-03 IoT 융합기술 기반의 치은 압배사 고정압력 측정을 위한 교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400635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5381A KR20240063598A (ko) 2022-11-03 2022-11-03 IoT 융합기술 기반의 치은 압배사 고정압력 측정을 위한 교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5381A KR20240063598A (ko) 2022-11-03 2022-11-03 IoT 융합기술 기반의 치은 압배사 고정압력 측정을 위한 교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3598A true KR20240063598A (ko) 2024-05-10

Family

ID=91072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5381A KR20240063598A (ko) 2022-11-03 2022-11-03 IoT 융합기술 기반의 치은 압배사 고정압력 측정을 위한 교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63598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6682A (ko) 2008-06-05 2009-12-09 김재성 치은 압배사 링
KR101621156B1 (ko) 2014-08-13 2016-05-13 석재승 3차원 구강 스캐너
KR20210124716A (ko) 2020-04-07 2021-10-1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은 압배사 삽입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6682A (ko) 2008-06-05 2009-12-09 김재성 치은 압배사 링
KR101621156B1 (ko) 2014-08-13 2016-05-13 석재승 3차원 구강 스캐너
KR20210124716A (ko) 2020-04-07 2021-10-1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은 압배사 삽입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30894B1 (de) Vorrichtung, Verfahren und Computerprogrammprodukt zum Messen einer körperlichen oder physiologischen Aktivität einer Testperson und zum Beurteilen des psychosomatischen Zustands der Testperson
JP6775757B1 (ja) 機能改善支援システムおよび機能改善支援装置
JP4565220B2 (ja) 医療用実習装置
Cotin et al. Metrics for laparoscopic skills trainers: The weakest link!
US20150079565A1 (en) Automated intelligent mentoring system (aims)
CA2980684C (en) System and method for training dentists in endodontic treatment techniques
US5368043A (en) Measuring system for vital muscle activity
AT515976A1 (de) Vorrichtung zum Erfassen von Tremor
Joseph et al. Relative contribution of haptic technology to assessment and training in implantology
EP1642692A3 (en) Robot program generating device and robot program analyzing device
KR20240063598A (ko) IoT 융합기술 기반의 치은 압배사 고정압력 측정을 위한 교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5506024B2 (ja) 疼痛検出器を備える顎関節症診断支援システムおよび装置
JP6332733B2 (ja) コンピュータ、コンピュータで実行される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並びにフェイスボウ
EP1222942A3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ng capture verification assessment and pacing threshold assessment using a programmer
CN110060536A (zh) 口腔局部麻醉注射操作模拟教学检测系统
JP5811550B2 (ja) 歯科医療用実習装置及び歯科医療用実習模型
CN115120375A (zh) 智能牙刷、口腔护理系统以及口腔清洁方法
JPH0698865A (ja) 生体の筋活動計測装置
Koneczny et al. Instruments for the evaluation of ergonomics in surgery
El-Kishawi et al. Determining the impact of stressors on students’ clinical performance in endodontics
JP2909816B2 (ja) 歯科用検査装置
CN212570085U (zh) 一种背部针刺技能实训仿真系统
TWI705798B (zh) 牙齒雕刻外觀辨識系統及其使用方法
JP2006000361A (ja) 学習用歯ブラシ及び歯磨き学習装置
CN117524488B (zh) 一种口腔健康管理系统及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