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2680A - 보안이 강화된 진료기록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보안이 강화된 진료기록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2680A
KR20240062680A KR1020220144463A KR20220144463A KR20240062680A KR 20240062680 A KR20240062680 A KR 20240062680A KR 1020220144463 A KR1020220144463 A KR 1020220144463A KR 20220144463 A KR20220144463 A KR 20220144463A KR 20240062680 A KR20240062680 A KR 20240062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edical record
kiosk
medical
ap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4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경
류세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비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비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비케어
Priority to KR1020220144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2680A/ko
Publication of KR20240062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26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3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cryptographic hash fun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보안이 강화된 진료기록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안이 강화된 진료기록 제공 방법은, 단말에 설치된 앱을 통해 진료기록 요청이 발생되면, 상기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근거해,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인증 절차가 완료되면, 전자의무기록(EMR)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단말에 연관된 진료기록을 조회하고, 상기 조회한 진료기록의 목록을 상기 앱 상에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앱 상의 상기 진료기록의 목록 중 선택되는 선택 진료기록에 대해, 환자 제공을 위한 전자문서 형태의 진료기록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와, 병의원에 설치된 복수의 키오스크 단말 중, 상기 단말과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제1 키오스크 단말을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키오스크 단말이 검색되면, 상기 제1 키오스크 단말을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해 상기 단말과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키오스크 단말을 통하여, 상기 진료기록 파일을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보안이 강화된 진료기록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ECURITY-ENHANCED MEDICAL RECORDS}
본 발명은 보안이 강화된 진료기록 제공 방법에 연관되며, 보다 특정하게는 병의원의 진료기록을 환자단말에서 키오스크를 통해 안전하게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진료기록 제공 방법에 연관된다.
최근, 자신의 다양한 개인 정보를 스스로 관리하고, 본인의 의사에 따라 개인 정보가 활용될 수 있도록 개인의 정보 주권을 보장하는 마이데이터 서비스가 이용되고 있다.
특히 의료분야에서 여러 병의원에 흩어져 있는 진료기록을 환자가 원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저장소에 보관하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고, 이는 마이데이터 서비스의 한 예로 볼 수 있다. 이 서비스에서는 클라우드 기반의 저장소와 연동하는 PHR(Personal Healthcare Record) 앱을 통해 환자 본인의 진료기록과 건강기록을 저장소에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처럼 클라우드 저장소에 진료기록이 저장되기 때문에, 환자는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본인의 진료기록과 건강기록에 간편하게 접근 가능한 장점이 있지만, PHR 앱의 가입 절차가 복잡한 편이고, 클라우드 기반의 저장소와 같은 병의원 외부의 네트워크와 서버를 이용하기 때문에 보안이 취약하여 해킹의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진료기록의 보안 유지의 민감성을 고려하여, 외부 네트워크나 서버를 이용하지 않고, 환자 본인의 진료기록을 안전하게 다운받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병의원의 네트워크망에 연결된 진료정보 전송 키오스크를 이용하여, 전자의무기록(EMR) 시스템에 유지되는 환자의 진료기록을 다이렉트로 환자단말에 제공함으로써, 병의원 외부의 서버나 클라우드 저장소에 진료기록이 저장되지 않는, 보안이 강화된 진료기록 제공을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진료기록을 요청한 환자단말이 본인 인증되면, 병의원의 네트워크망에 연결된 복수의 진료정보 전송 키오스크 중, 환자단말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의 키오스크를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환자단말과 연결하여, 병의원의 네트워크망을 통해 키오스크로 전송된 환자의 진료기록이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환자단말에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병의원 외부의 서버를 거치지 않고, 키오스크를 통한 진료기록의 안전한 다운로드를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환자단말과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연결 가능한 키오스크가 없을 경우, 환자의 진료기록을 병의원의 네트워크망에 연결된 진료기록 저장소에 설정된 유효시간 동안 저장하고, 상기 진료기록 저장소 내 환자의 진료기록에 접근 가능한 저장 경로(URL) 및 접근키를 환자단말로 전송하고, 정확한 접근키를 입력하는 환자단말에 상기 저장 경로(URL)에 의해 식별되는 환자의 진료기록이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키오스크에서 떨어져 있는 환자도 설정된 유효시간 이내에 진료기록 저장소로부터 진료기록을 다운로드받을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환자단말에 설치된 진료정보 다운로드앱을 통해 병의원에 마련된 진료정보 전송 키오스크를 검색하고, 검색한 진료정보 전송 키오스크를 통해 본인 인증을 거쳐 진료기록 목록을 확인하고, 진료기록 목록 중에서 선택되는 진료기록의 다운로드 요청을 진료정보 전송 키오스크를 통해 전자의무기록(EMR) 시스템에 전송함으로써, 환자가 직접 키오스크에서 진료기록을 요청하지 않고, 진료정보 다운로드앱을 통해 편리하게 원하는 진료기록을 선택적으로 다운로드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환자단말에 다운로드되는 진료기록을 저장시, 마이데이터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항목의 데이터를 진료기록에서 추출하여 정해진 포맷에 맞춰 변환해 저장함으로써, 다운로드된 환자의 진료기록이 환자에게 제공 중인 각종 마이데이터 서비스에 바로 적용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안이 강화된 진료기록 제공 방법은, 단말에 설치된 앱을 통해 진료기록 요청이 발생되면, 상기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근거해,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인증 절차가 완료되면, 전자의무기록(EMR)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단말에 연관된 진료기록을 조회하고, 상기 조회한 진료기록의 목록을 상기 앱 상에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앱 상의 상기 진료기록의 목록 중 선택되는 선택 진료기록에 대해, 환자 제공을 위한 전자문서 형태의 진료기록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와, 병의원에 설치된 복수의 키오스크 단말 중, 상기 단말과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제1 키오스크 단말을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키오스크 단말이 검색되면, 상기 제1 키오스크 단말을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해 상기 단말과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키오스크 단말을 통하여, 상기 진료기록 파일을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안이 강화된 진료기록 제공 시스템은, 단말에 설치된 앱을 통해 진료기록 요청이 발생되면, 상기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근거해,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인증부와, 상기 인증 절차가 완료되면, 전자의무기록(EMR)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단말에 연관된 진료기록을 조회하고, 상기 조회한 진료기록의 목록을 상기 앱 상에 출력하는 출력부와, 상기 앱 상의 상기 진료기록의 목록 중 선택되는 선택 진료기록에 대해, 환자 제공을 위한 전자문서 형태의 진료기록 파일을 생성하는 생성부와, 병의원에 설치된 복수의 키오스크 단말 중, 상기 단말과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제1 키오스크 단말을 검색하는 검색부, 및 상기 제1 키오스크 단말이 검색되면, 상기 제1 키오스크 단말을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해 상기 단말과 연결하고, 상기 제1 키오스크 단말을 통하여, 상기 진료기록 파일을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환자는 진료정보 다운로드앱과 병의원 내 키오스크를 통해서 진료기록을 쉽고 안전하게 모바일 기기에 다운로드하여, 마이데이터 서비스에 활용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병의원 내 키오스크와 환자단말 간 이격 거리에 따라, 블루투스 통신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키오스크로부터 진료기록을 직접 다운로드 받을 수 없는 원거리인 경우, 병의원의 네트워크망에 연결된 진료기록 저장소 내 진료기록의 임시 저장 경로와 접근키를 환자단말에 전송하여, 설정된 유효기간 이내에 진료기록 저장소로부터 진료기록을 직접 다운로드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이 강화된 진료기록 제공 시스템의 구성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안이 강화된 진료기록 제공 시스템의 구성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이 강화된 진료기록 제공 시스템에서, 환자단말에서의 진료기록을 다운로드하는 앱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안이 강화된 진료기록 제공 시스템에서, 진료기록 전자문서 파일이 유지되는 진료기록 저장소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보안이 강화된 진료기록 제공 시스템에서, 진료정보 전송 키오스크와 연결된 경우의 진료기록 다운로드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보안이 강화된 진료기록 제공 시스템에서, 진료정보 전송 키오스크와 미연결된 경우의 진료기록 다운로드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이 강화된 진료기록 제공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이 강화된 진료기록 제공 시스템의 구성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안이 강화된 진료기록 제공 시스템(100)은, 환자단말에서 구동하는 진료정보 다운로드앱(110)과, 진료정보 전송 키오스크(120)와, 전자의무기록(EMR) 시스템(130) 및 진료기록 저장소(14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진료정보 다운로드앱(110)은 본 발명의 보안이 강화된 진료기록 제공 시스템(100)에 의해 제작되어, 다운로드 요청하는 환자단말(예, 스마트폰, 태블릿PC 등)로 배포될 수 있다. 진료정보 다운로드앱(110)은 환자가 복잡한 가입 절차 없이 이용 가능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병의원 내에 설치되는 진료정보 전송 키오스크(120)는 병의원의 네트워크망을 통해 전자의무기록(EMR) 시스템(130) 및 진료기록 저장소(140)와 연결될 수 있다.
진료정보 전송 키오스크(120)는 환자가 다운로드 요청한 진료기록을 전자의무기록(EMR) 시스템(130)으로부터 수신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연결된 환자단말의 진료정보 다운로드앱(110)에 제공한다.
이를 위해 진료정보 전송 키오스크(120)에는 블루투스 송수신기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송수신기가 구비되며, 진료정보 전송 키오스크(120)는 일정 거리(예, 2m) 이내로 접근한 환자단말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연결하여 진료기록을 전송할 수 있다.
전자의무기록(EMR) 시스템(130)은 병의원에서 환자에게 실시한 진료, 치료, 수술, 처방 등에 관한 모든 의료정보를 전산화하여 기록하는 시스템으로, 환자의 진료기록을 유지한다.
진료정보 전송 키오스크(120)는 환자단말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연결 가능한 진료정보 전송 키오스크(120)가 없을 경우, 전자의무기록(EMR) 시스템(130)으로부터 수신되는 진료기록을 진료기록 저장소(140)에 임시 저장하고, 상기 진료기록의 저장 경로 및 접근키를 환자단말의 진료정보 다운로드앱(110)에 전송한다.
진료정보 다운로드앱(110)은, 진료정보 전송 키오스크(120)로부터 전송된 상기 저장 경로 및 접근키를 이용하여, 설정된 유효시간(예, 24시간) 내에 진료기록 저장소(140)로부터 진료기록을 환자단말에 다운로드할 수 있다.
진료기록 저장소(140)는, 전자의무기록(EMR) 시스템(130)으로부터 수신된 환자의 진료기록이 진료정보 전송 키오스크(120)를 통해 환자단말에 제공되지 못했을 경우, 설정된 유효시간 동안 환자의 진료기록을 임시 저장하는 저장소이다.
진료기록 저장소(140)에는, 환자단말에 전송된 환자의 진료기록의 저장 경로(접근 URL)와 접근키, 설정된 다운로드 유효시간, 진료기록의 파일명, 및 환자단말에 내장된 단말기 고유정보(IMEI)가 환자의 진료기록과 함께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환자가 진료정보 다운로드앱(110)을 실행하면, 진료정보 다운로드앱(110)은 환자의 진료기록을 다운로드할 때 이용할 병의원 내 진료정보 전송 키오스크(120)를 검색하여, 진료정보 전송 키오스크(120)의 블루투스 이름(예, '홍길동의원')을 앱 화면에 표시하고, 이중에서 환자가 선택하는 진료정보 전송 키오스크(120)로 연결 요청을 발생한다(① 앱에서 키오스크 검색/연결요청).
진료정보 전송 키오스크(120)는 상기 연결 요청을 발생한 환자단말의 진료정보 다운로드앱(110)에 본인인증을 요청하고, 진료정보 다운로드앱(110)은 환자로부터 입력된 본인인증에 필요한 정보(이름, 생년월일, 통신사, 휴대폰 번호, 주민번호)를 진료정보 전송 키오스크(120)로 전송하고, 진료정보 전송 키오스크(120)는 전송된 정보에 따라 예를 들어 'PASS' 등과 같은 통신사의 본인인증앱을 이용해 본인인증을 수행하고, 본인인증이 완료되면 환자단말을 등록한다(② 본인인증 및 단말 등록).
환자단말의 본인인증이 완료되면, 진료정보 전송 키오스크(120)는 환자단말과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해 구비된 송수신기를 통해 송신한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환자단말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수신세기를 측정하여, 해당 환자단말이 진료정보 전송 키오스크(120)로부터 일정 거리(예, 2m) 이내의 근거리에 위치하는지, 또는 일정 거리를 이탈한 원거리에 위치하는지 판별할 수 있다.
진료정보 전송 키오스크(120)는 신호 세기 측정을 통해 환자단말이 진료정보 전송 키오스크(120)로부터 근거리에 위치한 것으로 판별되면, 환자단말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연결하고, 환자의 진료기록 목록을 진료정보 다운로드앱(110)의 화면(또는, 진료정보 전송 키오스크(120)의 화면)에 표시하여, 다운로드 요청할 진료기록을 환자에게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앞서 진료정보 전송 키오스크(120)는 전자의무기록(EMR) 시스템(130)에 환자의 본인인증시 이용된 정보(이름, 생년월일, 성별과, 주민번호)를 전송하여, 환자의 정보에 일치하는 진료기록이 전자의무기록(EMR) 시스템(130)에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진료정보 전송 키오스크(120)는 전자의무기록(EMR) 시스템(130)으로부터 확인한 환자의 진료기록 목록을 환자의 내원일 기준으로, 외래용 진료기록과 입원용 진료기록으로 분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진료정보 다운로드앱(110)은 화면에 표시된 진료기록 목록 중에서 환자에 의해 선택되는 진료기록에 대한 다운로드 요청을 진료정보 전송 키오스크(120)에 전송한다(③ 진료기록 요청).
이때, 진료정보 다운로드앱(110)은 환자단말에 내장된 단말기 고유정보(IMEI)를 다운로드 요청에 포함하여 진료정보 전송 키오스크(120)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 고유정보(IMEI, 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는 단말기 제조시 내장된 15자리 숫자로 이루어진 고유한 일련번호로서, 이후 진료기록을 다운로드받는 단말기가 환자 본인의 단말기인지 판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진료정보 전송 키오스크(120)는 상기 다운로드 요청된 환자의 진료기록에 대한 전자문서 파일의 생성을 전자의무기록(EMR) 시스템(130)에 요청한다(④ 진료기록 생성 요청).
전자의무기록(EMR) 시스템(130)은 요청된 환자의 진료기록에 대한 전자문서 파일('진료기록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진료기록 파일을 진료정보 전송 키오스크(120)에 전송한다(⑤ 생성된 진료기록 파일 전송).
진료정보 전송 키오스크(120)는 전자의무기록(EMR) 시스템(130)으로부터 진료기록 파일이 전송되면, 환자단말의 진료정보 다운로드앱(110)에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 가능하도록 활성화하고, 환자가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하면, 진료정보 다운로드앱(110)은 환자단말과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된 진료정보 전송 키오스크(120)로부터 상기 진료기록 파일을 다운로드한다(⑥ 진료기록 다운로드(근거리, 블루투스 통신 이용)).
실시예에 따라, 상기 신호 세기 측정을 통해 환자단말이 진료정보 전송 키오스크(120)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한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에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한 진료정보 전송 키오스크(120)로부터의 진료기록 다운로드 방식(⑥)이 아니라, 진료기록 저장소(140)로부터의 진료기록 다운로드 방식으로 전환된다(⑤-1 내지 ⑦-1).
즉, 진료정보 전송 키오스크(120)는 전자의무기록(EMR) 시스템(130)으로부터 전송된 진료기록 파일을, 진료기록 저장소(140)에 전송해 진료기록 저장소(140)에 임시 저장한다(⑤-1).
이때 진료기록 저장소(140)는, 진료기록 저장소(140) 내 진료기록 파일의 저장 경로(접근 URL)와 접근키, 설정된 다운로드 유효시간(예, 24시간), 진료기록의 파일명 및 상기 다운로드 요청시 전송된 환자단말의 단말기 고유정보(IMEI)를, 환자의 진료기록 파일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진료기록 파일의 저장 경로가 되는 접근 URL은, 환자의 차트번호 및 저장일시를 조합해 생성된 후, hash함수를 적용한 해시값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접근키는 진료기록 파일의 저장 시점에 난수 생성 함수에 의해 8자리 숫자(예, 2312-9333)로 생성될 수 있다. 생성된 접근 URL 및 접근키는 생성일시로부터 설정된 다운로드 유효시간(예, 24시간) 동안 유효한 것으로 한다.
이에 따라 진료기록 저장소(140)에 임시 저장된 진료기록 파일에 대한 저장 경로(접근 URL)와 접근키 및 상기 진료기록 파일의 다운로드 유효시간에 관한 정보가, 진료정보 전송 키오스크(120)로 전달된다(⑥-1).
이후 진료정보 전송 키오스크(120)는 상기 저장 경로(접근 URL)와 접근키를 SMS 등의 메시지를 이용해 환자단말에 안내하고, 환자단말의 진료정보 다운로드앱(110)에 다운로드 유효시간을 표시하면서 다운로드 버튼을 활성화한다(⑥-2).
환자가 메시지로 수신한 접근키를 진료정보 다운로드앱(110)에 입력하면, 진료정보 다운로드앱(110)은 환자가 입력한 접근키와 환자단말에 내장된 단말기 고유정보(IMEI)를 상기 저장 경로(접근 URL)에 의해 접속되는 진료기록 저장소(140)에 전송한다.
진료기록 저장소(140)는 진료정보 다운로드앱(110)으로부터 전송받은 단말기 고유정보(IMEI)에 연관되어 진료기록 저장소(140)에 저장된 접속키 값과, 진료정보 다운로드앱(110)으로부터 전송받은 접속키 값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고,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고, 설정된 다운로드 유효시간 이내이면, 진료정보 다운로드앱(110) 내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 가능하게 활성화한다.
환자가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하면, 진료정보 다운로드앱(110)은 진료정보 전송 키오스크(120)를 통하지 않고, 진료기록 저장소(140)로부터 상기 진료기록 파일을 다운로드한다(⑦-1 진료기록 다운로드(원거리 다운로드시)).
진료기록 저장소(140)는 다운로드 유효시간(24시간)이 경과하기 이전에 다운로드 완료된 진료기록 파일을 삭제한다.
또한 설정된 다운로드 유효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진료기록 파일의 다운로드가 완료되지 않는 경우에도, 진료정보 다운로드앱(110)은 상기 다운로드 버튼을 비활성화로 하고, 진료기록 저장소(140)는 임시 저장한 진료기록 파일을 삭제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환자는 병의원 내 진료정보 전송 키오스크(120)와 근거리일 때는 진료정보 전송 키오스크(120)로부터 진료기록 파일의 다운로드를 수행하고, 진료정보 전송 키오스크(120)와 원거리일 때에는 진료기록 저장소(140)로부터 진료기록 파일을 쉽고 안전하게 모바일 기기에 다운로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진료정보 다운로드앱(110)은 다운로드된 진료기록 파일 중에서 필요한 항목의 데이터를 추출해 정해진 포맷으로 변환해 저장하여, 환자가 이용 중인 각종 마이데이터 서비스에 바로 적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안이 강화된 진료기록 제공 시스템의 구성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안이 강화된 진료기록 제공 시스템(200)은, 인증부(210), 출력부(220), 생성부(230), 검색부(240), 처리부(250) 및 진료기록 저장소(26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인증부(210)는 단말에 설치된 앱을 통해 진료기록 요청이 발생되면, 상기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근거해,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
일례로 인증부(210)는 단말에 설치된 앱(도 1의 진료정보 다운로드앱(110) 참조)을 통해 단말로부터 본인인증에 필요한 이름, 생년월일, 통신사, 휴대폰 번호, 및 주민번호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입력받고, 예를 들어 'PASS' 등과 같은 통신사의 본인인증앱을 이용해 상기 진료기록을 요청한 단말에 대해 본인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진료기록 요청에는 상기 단말에 내장된 단말기 고유정보(IMEI)가 포함되며, 이후 진료기록을 다운로드받는 단말이 환자 본인의 단말기인지 판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출력부(220)는 상기 인증 절차가 완료되면, 전자의무기록(EMR) 시스템(280)으로부터 상기 단말에 연관된 진료기록을 조회하고, 상기 조회한 진료기록의 목록을 상기 앱 상에 출력한다.
일례로 출력부(220)는 전자의무기록(EMR) 시스템(280)에 환자의 본인인증시 이용된 정보 중 환자의 이름, 생년월일, 성별과, 주민번호를 전송하여, 환자의 정보에 일치하는 진료기록을 전자의무기록(EMR) 시스템(280)에서 조회하고, 조회한 환자의 진료기록 목록을 환자의 내원일 기준으로, 해당 병의원에서의 외래용 진료기록과 입원용 진료기록으로 구분하여 상기 단말의 앱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에서 환자의 진료기록 목록을 상기 앱 외에, 상기 진료기록 요청의 발생 시 지정한 키오스크 단말의 화면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부(220)는 상기 진료기록 요청을 발생하는 상기 단말의 앱 상에, 상기 병의원에 설치된 복수의 키오스크 단말(270) 중, 정상 상태로 확인된 이용 가능한 키오스크 단말의 리스트를 출력하고, 상기 리스트에서 선택된 선택 키오스크 단말의 화면 상에 진료기록 목록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리스트에는, 단말에서 이용할 키오스크 단말을 선택하는데 도움이 되는 각종 정보가 포함되며, 일례로 각 키오스크 단말에서 사용 가능한 근거리 무선통신(블루투스 무선통신)의 송수신기명, 병의원 내 설치위치, 작동 상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생성부(230)는 상기 앱 상의 상기 진료기록의 목록 중 선택되는 선택 진료기록에 대해, 환자 제공을 위한 전자문서 형태의 진료기록 파일을 생성한다.
일례로 생성부(230)는 상기 진료기록의 목록 중 상기 단말에 의해 체크 선택되는 복수의 진료기록을 환자 제공용 전자문서에 정해진 포맷(예, PDF)으로 변환하여 상기 진료기록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생성부(230)는 상기 선택 진료기록으로서 특정 질환(예, '당뇨')과 연관된 진료기록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앱 상에 표시된 일정 기간 동안의 상기 진료기록의 목록 중, 상기 특정 질환(예, '당뇨')에 대한 질환코드(예, 임신성 당뇨, 합병증에 의한 당뇨 등)가 포함되는 환자의 입원용 진료기록 및 외래용 진료기록을 조합해 상기 진료기록 파일을 생성할 수도 있고, 특정 질환(예, '당뇨')으로 인한 환자의 입원용 진료기록과 외래용 진료기록을 구분해서 상기 진료기록 파일을 생성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생성부(230)는 상기 진료기록 요청을 발생한 상기 단말의 앱에서 상기 진료기록 파일을 활용하여 제공 중인 서비스(예, 환자보유질환별 처방약품 및 투약용량 추이 등의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확인하고, 상기 선택 진료기록으로부터 상기 확인된 서비스에 연관된 항목(예, 질환코드, 약품코드, 투약용량 등)의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항목의 데이터를 포함하여, 상기 단말의 앱에서 상기 서비스에 바로 적용 가능한 포맷으로 상기 진료기록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단말에 마이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 불필요한 항목을 배제하여 진료기록 파일을 압축해 단말에 제공 가능하므로, 단말에 다운로드되는 진료기록 파일의 저장 용량을 줄일 수 있고, 진료기록 파일의 다운로드 후 단말에서 별도로 파일 변환 작업을 할 필요가 없어 새로운 진료기록 파일의 마이데이터 서비스 적용이 용이해진다.
검색부(240)는 병의원에 설치된 복수의 키오스크 단말(270) 중, 상기 단말과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제1 키오스크 단말(271)을 검색한다.
일례로 출력부(220)는 상기 병의원 내 복수의 키오스크 단말(270) 중 이용 가능한 키오스크 단말의 리스트를 상기 단말의 앱 상에 표시하고, 검색부(240)는 상기 키오스크 단말의 리스트 중 선택되는 선택 키오스크 단말에 구비된 근거리 무선통신용 송수신기를 제어하여, 상기 선택 키오스크 단말로부터 일정 거리 범위(예, 반경 2m) 내에 무선신호를 발생하였을 때,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무선신호에 대한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선택 키오스크 단말을, 상기 단말과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이격 거리에 있는 제1 키오스크 단말(271)로서 검색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검색부(240)는 상기 병의원에 설치된 복수의 키오스크 단말 각각에 구비된 근거리 무선통신용 송수신기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키오스크 단말로부터 일정 거리 범위(예, 반경 2m) 내에 무선신호를 각각 발생하였을 때,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각 무선신호에 대한 응답신호 중 가장 큰 수신 세기의 응답신호가 수신되는 키오스크 단말을, 제1 키오스크 단말(271)로서 검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검색부(240)는 병의원에 설치된 여러 키오스크 단말 중 상기 단말의 현위치로부터 가까워서 안정적으로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는 키오스크 단말을 탐색할 수 있고, 상기 수신 세기의 비교를 이용하면 상기 단말이 상기 키오스크 단말의 화면을 볼 수 있는 위치에 있는지, 상기 키오스크 단말에서 떨어져 있는지에 대해서도 파악할 수 있다.
처리부(250)는 제1 키오스크 단말(271)이 검색되면, 제1 키오스크 단말(271)을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해 상기 단말과 연결하고, 제1 키오스크 단말(271)을 통하여, 상기 진료기록 파일을 상기 단말에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처리부(250)는 상기 생성된 진료기록 파일을 제1 키오스크 단말(271)로 전송하고, 제1 키오스크 단말(271)과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해 연결된 상기 단말로부터, 제1 키오스크 단말(271)을 통해 상기 단말에 내장된 단말기고유식별번호(IMEI)를 식별하고, 식별된 단말기고유식별번호(IMEI)가 상기 진료기록 요청에 포함된 상기 단말의 단말기고유식별번호(IMEI)와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상기 단말의 앱 상에 다운로드 버튼을 선택 가능하게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이 강화된 진료기록 제공 시스템에서, 환자단말에서의 진료기록을 다운로드하는 앱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앱 화면(310)을 참조하면, 처리부(250)는 제1 키오스크 단말(271)과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된 단말로부터 식별한 단말기고유식별번호(IMEI)가, 상기 진료기록 요청시 수신된 단말기고유식별번호(IMEI)와 일치함에 따라, 앱 화면(310) 상에 다운로드 버튼('진료기록 다운로드')을 활성 상태로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다운로드 버튼이 선택되면, 처리부(250)는 제1 키오스크 단말(271)로 전송된 진료기록 파일을, 제1 키오스크 단말(271)로부터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해 상기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식별된 단말기고유식별번호(IMEI)가 상기 진료기록 요청에 포함된 상기 단말의 단말기고유식별번호(IMEI)와 불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될 경우에는, 검색부(240)는, 복수의 키오스크 단말(270) 중, 상기 단말과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제2 키오스크 단말(272)을 재검색하고, 처리부(250)는 제2 키오스크 단말(272)이 재검색되면, 제1 키오스크 단말(271)과 상기 단말 간 상기 연결을 해제하고, 제2 키오스크 단말(272)을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해 상기 단말과 연결할 수 있다.
처리부(250)는 상기 단말과 연결된 제2 키오스크 단말(272)을 통해 상기 단말에 내장된 단말기고유식별번호(IMEI)를 식별하고, 진료기록 저장소(260)에 저장된 단말기고유식별번호(IMEI)와 일치하는지 확인하고, 일치하면 상기 앱 상의 상기 다운로드 버튼을 활성 상태로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처리부(250)는 상기 앱 상에 표시된 상기 다운로드 버튼이 상기 단말에 의해 선택되면, 제1 키오스크 단말(271)로 전송된 진료기록 파일을, 제2 키오스크 단말(272)로 전달하여, 제2 키오스크 단말(272)로부터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해 상기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에서는 병의원 외부의 서버나 저장소를 거치지 않고, 병의원 내 제1 키오스크 단말(271) 또는 제2 키오스크 단말(272)로부터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해 본인의 진료기록 파일을 안전하게 다운로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검색부(240)에 의해 제1 키오스크 단말(271)이 검색되지 않을 경우, 처리부(250)는 상기 생성된 진료기록 파일을, 전자의무기록(EMR) 시스템(280)과 네트워크 연결된 진료기록 저장소(260)에 설정된 유효시간(예, 24시간) 동안 임시 저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안이 강화된 진료기록 제공 시스템에서, 진료기록 전자문서 파일이 유지되는 진료기록 저장소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진료기록 저장소(260, 400)를 참조하면, 처리부(250)는 진료기록 파일(예, '45345-20221007132332.pdf')의 저장일시(2022-10-07 01:23:32 PM) 및 상기 진료기록 파일에 기재된 환자차트번호(예, '45345')를 조합하여, 진료기록 저장소(260) 내 진료기록 파일의 접근 경로(URL)를 생성하고, 선정된 해시함수에 의해 상기 접근 경로를 변환하여 얻어진 해시값을 상기 진료기록 파일에 연관시켜 진료기록 저장소(260, 40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처리부(250)는 상기 진료기록 파일의 저장일시(2022-10-07 01:23:32 PM)로부터 설정된 유효시간(예, 24시간) 동안 유효한 접근키(예, 2312-9333)를 난수생성 함수를 이용하여 생성하고, 상기 진료기록 파일에 연관시켜 진료기록 저장소(260, 400)에 저장할 수 있다.
즉, 처리부(250)는 상기 진료기록 요청에 포함된 상기 단말의 단말기고유식별번호(IMEI)와, 상기 생성된 접근키, 상기 설정된 유효시간, 및 상기 접근 경로를 변환하여 얻어진 해시값을, 상기 생성된 진료기록 파일에 연관시켜 진료기록 저장소(260)에 저장할 수 있다.
처리부(250)는 선정된 해시함수에 의해 상기 접근 경로를 변환하여 얻어진 해시값 및 상기 접근키를 SMS, MMS 등의 메시지를 이용해 상기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처리부(250)는 도 3의 앱 화면(320)에서와 같이, 상기 설정된 유효시간 이내에 상기 접근키('8자리 숫자로 된 인증키: 2314 2314')를 입력하는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에 내장된 단말기고유식별번호(IMEI)를 식별하고, 입력된 접근키('2314 2314')가 진료기록 저장소(260)에 저장된 접근키와 일치하면서, 상기 식별된 단말기고유식별번호(IMEI)가 진료기록 저장소(260)에 저장된 단말기고유식별번호(IMEI)와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처리부(250)는 상기 앱 상의 다운로드 버튼을 선택 가능하게 활성 상태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설정된 유효시간 이내에 상기 접근키를 입력한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앱 상의 다운로드 버튼이 선택되면, 처리부(250)는 상기 앱에 의해 상기 해시값을 역변환하여 획득되는 상기 접근 경로에 의해 진료기록 저장소(260) 내 상기 진료기록 파일을 식별하여, 상기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료기록을 요청한 단말에서는, 병의원 내 키오스크 단말(270)로부터의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한 진료기록 파일의 직접 다운로드가 어려운 경우에도, 진료기록 파일을 임시 저장하는 진료기록 저장소(260)로 우회하여, 상기 접근 경로의 해시값 및 접근키를 이용해 진료기록 저장소(260) 내 진료기록 파일을 안전하게 다운로드할 수 있다.
또한 처리부(250)는 상기 설정된 유효시간 이내에 상기 진료기록 파일이 상기 단말에 제공 완료되거나, 상기 진료기록 파일이 상기 단말에 제공되지 않았더라도, 상기 설정된 유효시간이 경과한 경우, 진료기록 저장소(260) 내 상기 진료기록 파일을, 진료기록 저장소(260)로부터 삭제할 수 있다.
상기 진료기록 파일의 삭제시, 상기 진료기록 파일에 연관시켜 진료기록 저장소(260)에 저장된 상기 단말의 단말기고유식별번호(IMEI)와, 접근키, 설정된 유효시간, 및 상기 접근 경로를 변환하여 얻어진 해시값도 함께 삭제될 수 있다.
이처럼 진료기록 저장소(260) 내 진료기록 파일에 대해 다운로드 가능한 유효시간을 마련하는 것으로, 진료기록 저장소(260)의 용량이 지나치게 커지지 않도록 적절하게 저장소용량 관리를 할 수 있고, 진료기록 저장소(260) 내 진료기록 파일의 유출 위험을 낮출 수 있다.
한편, 도 3의 앱 화면(330)에서와 같이, 상기 단말로부터 입력된 접근키가 진료기록 저장소(260)에 저장된 접근키와 불일치하거나, 상기 접근키를 입력하는 단말로부터 식별된 단말기고유식별번호(IMEI)가 진료기록 저장소(260)에 저장된 단말기고유식별번호(IMEI)와 불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처리부(250)는 상기 앱 상의 상기 다운로드 버튼을 선택 불가능한 비활성 상태로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병의원의 네트워크망에 연결된 진료정보 전송 키오스크를 이용하여, 전자의무기록(EMR) 시스템에 유지되는 환자의 진료기록을 다이렉트로 환자단말에 제공함으로써, 병의원 외부의 서버나 클라우드 저장소에 진료기록이 저장되지 않는, 보안이 강화된 진료기록 제공을 지원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보안이 강화된 진료기록 제공 시스템에서, 진료정보 전송 키오스크와 연결된 경우의 진료기록 다운로드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단계(501 내지 503)에서 환자단말에서 진료정보 다운로드앱(110)을 실행하면, 진료정보 다운로드앱(110)은 환자단말로부터 일정 거리 내의 진료정보 전송 키오스크(120)를 검색하고, 검색된 진료정보 전송 키오스크(120)에 연결 요청을 한다.
단계(504 내지 506)에서 진료정보 전송 키오스크(120)에서 상기 연결 요청에 승인하면, 진료정보 다운로드앱(110)은 환자단말에 내장된 단말기고유식별번호(IMEI)를 진료정보 전송 키오스크(120)로 전달하고, 진료기록 다운로드 요청을 발생한다.
단계(507 내지 509)에서 진료정보 전송 키오스크(120)는 진료정보 다운로드앱(110)으로 휴대폰 본인 인증을 요청하고, 진료정보 다운로드앱(110)을 통해 입력된 환자의 이름, 생년월일, 통신사,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에 의해 휴대폰 본인 인증을 수행한다.
단계(510 내지 512)에서 진료정보 전송 키오스크(120)는 환자의 주민등록번호를 이용하여 전자의무기록(EMR) 시스템(130)에 환자의 진료기록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전자의무기록(EMR) 시스템(130)으로부터 전달되는 환자의 진료기록 목록을 화면에 출력한다.
단계(513 내지 516)에서 상기 진료기록 목록 중 수신받을 진료기록이 진료정보 다운로드앱(110)에 의해 선택되면, 진료정보 전송 키오스크(120)는 전자의무기록(EMR) 시스템(130)과 연동하여 상기 선택된 진료기록의 전자문서 파일(이하, 진료기록 파일)을 생성한다.
단계(517 내지 518)에서 진료정보 전송 키오스크(120)는 휴대폰 거리 측정에 의해 파악되는 환자단말의 위치가 진료정보 전송 키오스크(120)로부터 근거리에 위치하는지 또는 원거리에 위치하는지에 따라서, 상기 진료기록 파일을 진료정보 전송 키오스크(120)를 통해 다운로드할지 또는 진료기록 저장소(140)를 이용해 원격 다운로드할지 판정한다.
환자단말의 위치가 진료정보 전송 키오스크(120)로부터 근거리에 위치하여, 진료정보 전송 키오스크(120)를 통해 상기 진료기록 파일을 다운로드하는 것으로 판정되면, 단계(519 내지 520)가 수행된다.
단계(519 내지 520)에서 진료정보 전송 키오스크(120)는 진료정보 다운로드앱(110) 상에 진료기록 파일의 다운로드 버튼을 활성화하고, 진료정보 다운로드앱(110)에서 다운로드 버튼이 선택되면, 환자단말과 진료정보 전송 키오스크(120) 간 블루투스 통신에 의해 진료기록 파일의 다운로드를 진행한다.
환자단말의 위치가 진료정보 전송 키오스크(120)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하여, 진료정보 전송 키오스크(120)를 통한 상기 진료기록 파일의 다운로드가 어려운 경우, 도 5b와 같이 진료기록 저장소(140)를 이용한 원격 다운로드가 진행된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보안이 강화된 진료기록 제공 시스템에서, 진료정보 전송 키오스크와 미연결된 경우의 진료기록 다운로드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단계(521 내지 525)에서 진료정보 전송 키오스크(120)는 상기 진료기록 파일을 진료기록 저장소(140)에 저장하고, 진료기록 저장소(140) 내 상기 진료기록 파일의 접근 경로 URL 및 접근키를 생성하고, 유효시간을 설정한다.
단계(526 내지 527)에서 진료정보 전송 키오스크(120)는 진료정보 다운로드앱(110) 상에 진료기록의 다운로드 버튼을 활성화하고, 상기 접근키를 SMS로 환자단말에 전송한다.
단계(528)에서 환자단말이 진료정보 다운로드앱(110) 상에 접근키를 입력하면서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하면, 단계(529 내지 533)에서 진료기록 저장소(140)는 환자단말로부터 확인한 단말기고유식별번호(IMEI) 및 상기 접근키에 대해 진료기록 저장소(140) 내 기저장된 값과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고, 일치하는 경우 상기 설정된 유효시간 이내이면 진료기록 저장소(140)로부터 진료정보 다운로드앱(110)으로의 상기 진료기록 파일의 다운로드를 진행하고, 다운로드 완료 후 상기 진료기록 파일을 삭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이 강화된 진료기록 제공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안이 강화된 진료기록 제공 방법은, 상술한 보안이 강화된 진료기록 제공 시스템(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610)에서 보안이 강화된 진료기록 제공 시스템(200)은 단말에 설치된 앱을 통해 진료기록 요청이 발생되면, 상기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근거해,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
단계(620)에서 보안이 강화된 진료기록 제공 시스템(200)은 상기 인증 절차가 완료되면, 전자의무기록(EMR)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단말에 연관된 진료기록을 조회하고, 상기 조회한 진료기록의 목록을 상기 앱 상에 출력한다.
단계(630)에서 보안이 강화된 진료기록 제공 시스템(200)은 상기 앱 상의 상기 진료기록의 목록 중 선택되는 선택 진료기록에 대해, 환자 제공을 위한 전자문서 형태의 진료기록 파일을 생성한다.
단계(640)에서 보안이 강화된 진료기록 제공 시스템(200)은 병의원에 설치된 복수의 키오스크 단말 중, 상기 단말과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제1 키오스크 단말(근거리 키오스크)이 검색되는지 확인한다.
제1 키오스크 단말(근거리 키오스크)이 검색되는 경우(상기 단계(640)에서 Yes), 단계(650, 660)에서 보안이 강화된 진료기록 제공 시스템(200)은 상기 제1 키오스크 단말을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해 상기 단말과 연결하고, 상기 단말과 연결된 상기 제1 키오스크 단말에 상기 진료기록 파일을 전송하고, 상기 제1 키오스크 단말로 전송된 진료기록 파일을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해 상기 단말에 제공한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진료기록을 요청한 환자단말이 본인 인증되면, 병의원의 네트워크망에 연결된 복수의 진료정보 전송 키오스크 중, 환자단말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의 키오스크를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환자단말과 연결하여, 병의원의 네트워크망을 통해 키오스크로 전송된 환자의 진료기록이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환자단말에 다이렉트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병의원 외부의 서버를 거치지 않고, 키오스크를 통한 진료기록의 안전한 다운로드를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제1 키오스크 단말(근거리 키오스크)이 검색되지 않는 경우(상기 단계(640)에서 No), 단계(670 내지 690)에서 보안이 강화된 진료기록 제공 시스템(200)은 상기 생성된 진료기록 파일을, 상기 전자의무기록(EMR) 시스템과 네트워크 연결된 진료기록 저장소에 저장하고, 상기 진료기록 파일의 접근 경로와 접근키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고, 설정된 유효시간 이내에 상기 접근키를 입력하면서, 상기 앱 상의 다운로드 버튼을 선택하는 단말에 상기 접근 경로에 의해 식별되는 진료기록 저장소 내 진료기록 파일을 제공한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환자단말과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연결 가능한 키오스크가 없을 경우, 환자의 진료기록을 병의원의 네트워크망에 연결된 진료기록 저장소에 설정된 유효시간 동안 저장하고, 진료기록 저장소(260) 내 환자의 진료기록에 접근 가능한 저장 경로(URL) 및 접근키를 환자단말로 전송하고, 정확한 접근키를 입력하는 환자단말에 상기 저장 경로(URL)에 의해 식별되는 환자의 진료기록이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키오스크에서 떨어져 있는 환자도 설정된 유효시간 이내에 진료기록 저장소로부터 진료기록을 다운로드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환자는 진료정보 다운로드앱과 병의원 내 키오스크를 통해서 진료기록을 쉽고 안전하게 모바일 기기에 다운로드하여, 마이데이터 서비스에 활용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200: 보안이 강화된 진료기록 제공 시스템
110: 진료정보 다운로드앱
120: 진료정보 전송 키오스크
130: 전자의무기록(EMR) 시스템
140: 진료기록 저장소
210: 인증부
220: 출력부
230: 생성부
240: 검색부
250: 처리부
260: 진료기록 저장소
270: 키오스크 단말
271: 제1 키오스크 단말
272: 제2 키오스크 단말
280: 전자의무기록(EMR) 시스템

Claims (16)

  1. 단말에 설치된 앱을 통해 진료기록 요청이 발생되면, 상기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근거해,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인증 절차가 완료되면, 전자의무기록(EMR)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단말에 연관된 진료기록을 조회하고, 상기 조회한 진료기록의 목록을 상기 앱 상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앱 상의 상기 진료기록의 목록 중 선택되는 선택 진료기록에 대해, 환자 제공을 위한 전자문서 형태의 진료기록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병의원에 설치된 복수의 키오스크 단말 중, 상기 단말과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제1 키오스크 단말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제1 키오스크 단말이 검색되면,
    상기 제1 키오스크 단말을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해 상기 단말과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키오스크 단말을 통하여, 상기 진료기록 파일을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보안이 강화된 진료기록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키오스크 단말이 검색되지 않을 경우,
    상기 생성된 진료기록 파일을, 상기 전자의무기록(EMR) 시스템과 네트워크 연결된 진료기록 저장소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진료기록 파일의 저장일시 및 상기 진료기록 파일에 기재된 환자차트번호를 조합하여, 상기 진료기록 저장소 내 상기 진료기록 파일의 접근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진료기록 파일의 저장일시로부터 설정된 유효시간 동안 유효한 접근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선정된 해시함수에 의해 상기 접근 경로를 변환하여 얻어진 해시값 및 상기 접근키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보안이 강화된 진료기록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설정된 유효시간 이내에 상기 접근키가 입력되고, 상기 앱 상의 다운로드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앱에 의해 상기 해시값을 역변환하여 획득되는 상기 접근 경로에 의해 상기 진료기록 저장소 내 상기 진료기록 파일을 식별하여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유효시간이 경과하거나, 또는 상기 설정된 유효시간 이내에 상기 진료기록 파일이 상기 단말에 제공 완료되면,
    상기 진료기록 저장소 내 상기 진료기록 파일을, 상기 진료기록 저장소로부터 삭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보안이 강화된 진료기록 제공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기록 요청에 포함된 상기 단말의 단말기고유식별번호(IMEI)와, 상기 생성된 접근키 및 상기 설정된 유효시간을, 상기 생성된 진료기록 파일에 연관시켜 상기 진료기록 저장소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앱을 통해 상기 설정된 유효시간 이내에 상기 접근키를 입력하는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에 내장된 단말기고유식별번호(IMEI)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접근키가 상기 진료기록 저장소에 저장된 접근키와 불일치하거나, 상기 식별된 단말기고유식별번호(IMEI)가 상기 진료기록 저장소에 저장된 단말기고유식별번호(IMEI)와 불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앱 상의 상기 다운로드 버튼을 선택 불가능한 비활성 상태로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보안이 강화된 진료기록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키오스크 단말을 통하여, 상기 진료기록 파일을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진료기록 파일을 상기 제1 키오스크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키오스크 단말과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해 연결된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에 내장된 단말기고유식별번호(IMEI)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단말기고유식별번호(IMEI)가 상기 진료기록 요청에 포함된 상기 단말의 단말기고유식별번호(IMEI)와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상기 단말의 앱 상에 다운로드 버튼을 선택 가능하게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다운로드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제1 키오스크 단말로 전송된 진료기록 파일을, 상기 제1 키오스크 단말로부터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해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보안이 강화된 진료기록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단말기고유식별번호(IMEI)가 상기 진료기록 요청에 포함된 상기 단말의 단말기고유식별번호(IMEI)와 불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상기 보안이 강화된 진료기록 제공 방법은,
    상기 복수의 키오스크 단말 중, 상기 단말과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제2 키오스크 단말을 재검색하는 단계;
    상기 제2 키오스크 단말이 재검색되면, 상기 제1 키오스크 단말과 상기 단말 간 상기 연결을 해제하고, 상기 제2 키오스크 단말을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해 상기 단말과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앱 상에 표시된 상기 다운로드 버튼이 상기 단말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제1 키오스크 단말로 전송된 진료기록 파일을, 상기 제2 키오스크 단말로 전달하여, 상기 제2 키오스크 단말로부터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해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보안이 강화된 진료기록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기록 요청을 발생하는 상기 단말의 앱 상에, 상기 병의원에 설치된 복수의 키오스크 단말 중, 이용 가능한 키오스크 단말의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키오스크 단말을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키오스크 단말의 리스트 중 선택되는 선택 키오스크 단말에 구비된 근거리 무선통신용 송수신기를 제어하여, 상기 선택 키오스크 단말로부터 일정 거리 범위 내에 무선신호를 발생하였을 때,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무선신호에 대한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선택 키오스크 단말을, 상기 제1 키오스크 단말로서 검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보안이 강화된 진료기록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키오스크 단말을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병의원에 설치된 복수의 키오스크 단말 각각에 구비된 근거리 무선통신용 송수신기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키오스크 단말로부터 일정 거리 범위 내에 무선신호를 각각 발생하였을 때,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각 무선신호에 대한 응답신호 중 가장 큰 수신 세기의 응답신호가 수신되는 키오스크 단말을, 상기 제1 키오스크 단말로서 검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보안이 강화된 진료기록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기록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 진료기록으로서 특정 질환과 연관된 진료기록이 선택되면,
    상기 앱 상에 표시된 일정 기간 동안의 상기 진료기록의 목록 중, 상기 특정 질환에 대한 질환코드가 포함되는 환자의 입원용 진료기록 및 외래용 진료기록을 조합하여, 상기 진료기록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보안이 강화된 진료기록 제공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기록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진료기록 요청을 발생한 상기 단말의 앱에서 상기 진료기록 파일을 활용하여 제공 중인 서비스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 진료기록으로부터 상기 확인된 서비스에 연관된 항목의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항목의 데이터를 포함하여, 상기 단말의 앱에서 상기 서비스에 적용 가능한 포맷의 상기 진료기록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보안이 강화된 진료기록 제공 방법.
  11. 단말에 설치된 앱을 통해 진료기록 요청이 발생되면, 상기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근거해,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인증부;
    상기 인증 절차가 완료되면, 전자의무기록(EMR)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단말에 연관된 진료기록을 조회하고, 상기 조회한 진료기록의 목록을 상기 앱 상에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앱 상의 상기 진료기록의 목록 중 선택되는 선택 진료기록에 대해, 환자 제공을 위한 전자문서 형태의 진료기록 파일을 생성하는 생성부;
    병의원에 설치된 복수의 키오스크 단말 중, 상기 단말과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제1 키오스크 단말을 검색하는 검색부; 및
    상기 제1 키오스크 단말이 검색되면, 상기 제1 키오스크 단말을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해 상기 단말과 연결하고, 상기 제1 키오스크 단말을 통하여, 상기 진료기록 파일을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처리부
    를 포함하는 보안이 강화된 진료기록 제공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부에 의해 상기 제1 키오스크 단말이 검색되지 않을 경우,
    상기 처리부는,
    상기 생성된 진료기록 파일을, 상기 전자의무기록(EMR) 시스템과 네트워크 연결된 진료기록 저장소에 저장하고,
    상기 진료기록 파일의 저장일시 및 상기 진료기록 파일에 기재된 환자차트번호를 조합하여, 상기 진료기록 저장소 내 상기 진료기록 파일의 접근 경로를 생성하고, 상기 진료기록 파일의 저장일시로부터 설정된 유효시간 동안 유효한 접근키를 생성하고,
    선정된 해시함수에 의해 상기 접근 경로를 변환하여 얻어진 해시값 및 상기 접근키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보안이 강화된 진료기록 제공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설정된 유효시간 이내에 상기 접근키가 입력되고, 상기 앱 상의 다운로드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처리부는,
    상기 앱에 의해 상기 해시값을 역변환하여 획득되는 상기 접근 경로에 의해 상기 진료기록 저장소 내 상기 진료기록 파일을 식별하여 상기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설정된 유효시간이 경과하거나, 또는 상기 설정된 유효시간 이내에 상기 진료기록 파일이 상기 단말에 제공 완료되면, 상기 진료기록 저장소 내 상기 진료기록 파일을, 상기 진료기록 저장소로부터 삭제하는
    보안이 강화된 진료기록 제공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진료기록 요청에 포함된 상기 단말의 단말기고유식별번호(IMEI)와, 상기 생성된 접근키 및 상기 설정된 유효시간을, 상기 생성된 진료기록 파일에 연관시켜 상기 진료기록 저장소에 저장하고,
    상기 앱을 통해 상기 설정된 유효시간 이내에 상기 접근키를 입력하는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에 내장된 단말기고유식별번호(IMEI)를 식별하고,
    상기 입력된 접근키가 상기 진료기록 저장소에 저장된 접근키와 불일치하거나, 상기 식별된 단말기고유식별번호(IMEI)가 상기 진료기록 저장소에 저장된 단말기고유식별번호(IMEI)와 불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앱 상의 상기 다운로드 버튼을 선택 불가능한 비활성 상태로 표시하는
    보안이 강화된 진료기록 제공 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생성된 진료기록 파일을 상기 제1 키오스크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제1 키오스크 단말과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해 연결된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에 내장된 단말기고유식별번호(IMEI)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단말기고유식별번호(IMEI)가 상기 진료기록 요청에 포함된 상기 단말의 단말기고유식별번호(IMEI)와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상기 단말의 앱 상에 다운로드 버튼을 선택 가능하게 표시하고,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다운로드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제1 키오스크 단말로 전송된 진료기록 파일을, 상기 제1 키오스크 단말로부터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해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보안이 강화된 진료기록 제공 시스템.
  16. 제1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220144463A 2022-11-02 2022-11-02 보안이 강화된 진료기록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400626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4463A KR20240062680A (ko) 2022-11-02 2022-11-02 보안이 강화된 진료기록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4463A KR20240062680A (ko) 2022-11-02 2022-11-02 보안이 강화된 진료기록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2680A true KR20240062680A (ko) 2024-05-09

Family

ID=91075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4463A KR20240062680A (ko) 2022-11-02 2022-11-02 보안이 강화된 진료기록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6268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67408B2 (ja) 情報取得端末装置および情報取得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8943556B2 (en) Secure information release
US20090249076A1 (en) Information server and mobile delivery system and method
KR102465249B1 (ko)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002650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 care service
WO2016042900A1 (ja) 生体認証システム、生体認証処理装置、生体認証方法、生体情報取得端末および情報端末
EP3264315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program
WO2020105823A1 (ko) 클라우드 기반의 전자처방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1329003B1 (ko) 전자처방전의 환자용, 약국용 전달 방법, 이를 수행하는 환자 클라이언트 장치 및 중계 장치
JP6350658B2 (ja) 薬歴情報管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7085225A (ja)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KR101727866B1 (ko) 가상 카드정보 기반의 병원 시스템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KR20180046149A (ko)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526959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Tychalas et al. Planning and development of an electronic health record client based on the android platform
KR101809674B1 (ko) 부분 카드 정보 및 하프 토큰 기반의 병원 시스템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KR20120076663A (ko) 전자 처방전 시스템과 병원 장치, 중계 장치, 약국 장치,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KR20240062680A (ko) 보안이 강화된 진료기록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75298A (ko) 위치 기반의 진료 접수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300085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정보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53947A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진료 식별정보 기반의 병원 시스템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KR20120076666A (ko) 오픈 api기반의 전자 처방전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의료 서비스 장치 및 방법과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WO2018151181A1 (ja) 医療情報管理システム、臨床情報取得サーバ、医療情報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573773B1 (ko) 개인정보 비식별 처리를 적용한 디지털 치료제 처방 데이터 교환 시스템 및 방법
US20220392647A1 (en) Store device for digital therapeutic object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