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0085B1 -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정보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정보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0085B1
KR102300085B1 KR1020190018667A KR20190018667A KR102300085B1 KR 102300085 B1 KR102300085 B1 KR 102300085B1 KR 1020190018667 A KR1020190018667 A KR 1020190018667A KR 20190018667 A KR20190018667 A KR 20190018667A KR 102300085 B1 KR102300085 B1 KR 102300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information
user
medical
user terminal
information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8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0412A (ko
Inventor
김태성
심수연
오수환
김용
조경윤
권해욱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18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0085B1/ko
Publication of KR20200100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0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0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0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8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e-cash details, e.g. blinded, divisible or detecting double spen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61Peer-to-peer [P2P] networks using node-based peer discovery mechanisms
    • H04L67/1065Discovery involving distributed pre-established resource-based relationships among peers, e.g. based on distributed hash tables [DHT]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여 환자가 자신의 의료정보를 안전하게 관리하며 자신의 의료 정보를 쉽게 확인하고 진료를 받기전에 병원 측에 의료 정보를 간편하게 전달함으로써 환자와 병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정보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정보관리 시스템은 사용자의 의료 정보를 입력 받아 블록화 해서 저장하고 저장된 사용자 의료 정보 블록을 출력 및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된 사용자 단말; 환자의 정형화된 진료 내용을 저장하고 특정 환자에 대한 상기 진료 내용 요청시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병원 서버; 및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병원 서버와 연결된 의료 정보 관리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의료 정보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의료 정보 블록을 전달받아 기존 사용자 의료 정보 블록과 비교하여 문제가 있는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검증부; 상기 검증부에 의한 검증결과 문제가 없을 경우 상기 사용자 의료 정보 블록의 사용자 정보를 상기 병원 서버에 전달하며, 상기 병원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에 해당하는 환자의 상기 진료 내용을 전달받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고 승인 요청하는 송수신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승인이 이루어졌을 경우 승인된 상기 진료 내용을 블록화하고, 블록화 된 상기 진료 내용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는 블록화부; 및 상기 진료 내용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정보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MEDICAL INFORMATION USING BLOCK CHAIN}
본 발명은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정보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여 환자가 자신의 의료정보를 안전하게 관리하며 자신의 의료 정보를 쉽게 확인하고 진료를 받기전에 병원 측에 의료 정보를 간편하게 전달함으로써 환자와 병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정보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IT 산업이 급격히 발전하면서 대부분의 병원에서 환자의 의료정보를 전산화하여 관리하는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다. 이는 의료정보관리를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지만 동시에 개인 정보를 위협하는 해커들의 표적이 될 수 있다.
한국 특허 공개 2011-0084429호는 영상시스템 서비스에 접속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사용자가 본인이나 가족의 의무기록을 조회하기 위해서 병원용 앱서버(application server)를 웹통신(인터넷통신)으로 접속하여 환자의 의료정보를 다운로드하고 조회하는 의무기록 관리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의무기록 관리 시스템은 병원중심적인 시스템이기 때문에, 의료진에게만 접속이 용이하도록 개방되어 있고, 환자 측에서 접속하여 조회하는 시스템으로 활용되기 까지는 기술적, 통신적, 보안적 문제점이 많이 존재한다.
한편, 의료 정보는 환자와 병원 양측 모두에게 있어서 유출되거나 유실되어서 안 되는 중요한 자료이므로 이를 안전하게 관리하는 시스템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국 특허 공개 2011-0084429호(공개일: 2011.07.22)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의료 정보를 안전하게 비영리적으로 환자와 병원 간에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정보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정보관리 시스템은 사용자의 의료 정보를 입력 받아 블록화 해서 저장하고 저장된 사용자 의료 정보 블록을 출력 및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된 사용자 단말; 환자의 정형화된 진료 내용을 저장하고 특정 환자에 대한 상기 진료 내용 요청시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병원 서버; 및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병원 서버와 연결된 의료 정보 관리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의료 정보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의료 정보 블록을 전달받아 기존 사용자 의료 정보 블록과 비교하여 문제가 있는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검증부; 상기 검증부에 의한 검증결과 문제가 없을 경우 상기 사용자 의료 정보 블록의 사용자 정보를 상기 병원 서버에 전달하며, 상기 병원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에 해당하는 환자의 상기 진료 내용을 전달받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고 승인 요청하는 송수신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승인이 이루어졌을 경우 승인된 상기 진료 내용을 블록화하고, 블록화 된 상기 진료 내용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는 블록화부; 및 상기 진료 내용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정보관리 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어플리케이션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 후 의료 정보 관리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요청을 받아 상기 의료 정보 관리 서버가 병원 서버에 연결을 요청하여 연결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 개인 의료 정보가 담긴 사용자 의료 정보 블록을 상기 의료 정보 관리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의료 정보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사용자 의료 정보 블록을 저장된 기존 사용자 의료 정보 블록과 비교하여 문제가 있는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의료 정보 관리 서버가 상기 문제 데이터 여부 판단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의료 정보 블록에 문제가 없을 경우 상기 사용자 의료 정보 블록의 사용자 정보를 상기 병원 서버에 전달하는 단계; 상기 병원 서버에서 자체에 저장된 환자 진료 내용 중 상기 사용자 정보에 해당하는 진료 내용을 작성하고 상기 의료 정보 관리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의료 정보 관리 서버가 전달된 상기 진료 내용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고 승인요청 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전달된 상기 진료 내용의 승인 여부가 결정되는 단계; 상기 승인 여부 결정 단계에서 승인이 이루어지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의료 정보 관리 서버에 요청하여 상기 의료 정보 관리 서버가 승인된 상기 진료 내용을 블록화하는 단계; 상기 의료 정보 관리 서버가 블록화 된 상기 진료 내용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는 단계; 상기 의료 정보 관리 서버가 상기 블록화 된 진료 내용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전달받은 상기 블록화 된 진료 내용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정보관리 방법은 상기 문제 데이터 여부 판단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의료 정보 블록에 문제가 있을 경우, 문제가 있는 상기 사용자 의료 정보 블록의 데이터를 상기 의료 정보 관리 서버의 로그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으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의료 정보 관리 서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문제가 있는 상기 사용자 의료 정보 블록의 데이터를 작성한 후 상기 병원 서버에 전달하는 단계로 진행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정보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한 후 인증 받은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암호화 모듈을 사용해서 블록화하고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정보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의료 정보 관리 서버가 상기 병원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진료 내용을 암호화 모듈을 사용해서 블록화 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정보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의료 정보가 담긴 사용자 의료 정보 블록을 전달받아 기존 사용자 의료 정보 블록과 비교하여 문제가 있는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문제가 없을 경우 사용자 의료 정보 블록의 사용자 정보를 병원 서버에 전달하고, 병원 서버에서 진료 내용을 전달받아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고, 승인 요청을 하여 승인이 이루어졌을 경우 승인된 진료 내용을 블록화하고, 블록화 된 진료 내용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달함과 아울러 해당 진료 내용을 저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의료 정보를 안전하게 비영리적으로 환자와 병원 간에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정보관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사용자 단말과 의료 정보 관리 서버에서 정보를 블록화하여 저장하는 과정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정보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4는 도 1의 사용자 단말의 메인 화면에 대한 UI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정보관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블록체인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블록체인은 분산 컴퓨팅 저장 방법으로서, 데이터를 일정한 형식(이하 블록)에 맞춰 중앙서버에 저장하는 것이 아닌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서버에게 분산 저장을 하는 구조이다. 블록에는 입력한 데이터를 SHA-256 암호화 알고리즘(이하 HASH)을 사용하여 블록에 대한 이름과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데이터가 추가될 때에는 블록이 하나 새로 생성되며, 이전 블록의 HASH값을 새로 생성된 데이터에 추가함으로써 서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를 만들어 체인형태로 만든다. 데이터가 추가될 때에는 병원내에 있는 비콘 통신망을 이용한다. 비콘은 블루투스4.0(BLE) 프로토콜 기반의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이다. 5~10cm 거리가 정확성이 높으며 최대 70m까지 통신이 가능하다. 이러한 비콘통신으로 인해 외부의 접속을 차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정보관리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 의료 정보 관리 서버(200) 및 병원 서버(30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의 의료 정보를 입력 받아 블록화 해서 저장하고, 저장된 사용자 의료 정보 블록을 의료 정보 관리 서버(200)에 전달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되어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의료 정보 관리 서버(200)로부터 진료 내용을 전달받고 승인 요청을 받으면 승인 여부를 결정하고, 승인이 이루어질 경우 의료 정보 관리 서버(200)로부터 블록화 된 진료 내용을 전달받아 저장한다.
사용자 단말(100)은 어플리케이션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받은 사용자의 의료 정보를 암호화 모듈을 사용해서 블록화해서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저장된 사용자 의료 정보 블록을 상기 의료 정보 관리 서버(200)에 전달하고 사용자가 필요로 할 때 사용자 의료 정보 블록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사용자 단말의 메인 화면에 대한 UI를 나타낸다.
좌측 최 상단의 Lego Health는 사용자 단말(100)의 어플리케이션 이름이다. Lego Health를 클릭하면 사용자 단말(100)의 어플리케이션 메인 화면으로 이동한다
최초 사용자는 사용자 인증 버튼(103)을 클릭하여 휴대폰 인증을 통한 본인 인증 과정을 거쳐야 한다.
사용자 등록(102)은 본인 인증이 끝난 후에 개인만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버튼이다.
로그인(101)은 사용자 등록이 끝난 후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다른 기능들을 사용하기 위한 버튼이다.
병원 연결(104)은 사용자 의료 정보 블록의 사용자 정보를 병원 서버(300)에 전달하기 위해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버튼이다.
내 진료기록(105)은 이전까지 사용자의 진료 내용 블록들을 확인 할 수 있게 하는 버튼이다.
진료기록 전송(106)은 병원 서버(300)에 연결 후에 사용자의 진료 내용 블록을 전달하는 버튼이다.
내 진료 기록물 확인 및 전송(107)은 사용자가 진료받은 텍스트 형식의 데이터가 아닌, 영상물이나 사진 정보를 담고 이를 병원 서버(300)에 전달하여 최종적으로 병원 소프트웨어로 확인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버튼이다.
병원 서버(300)는 환자에 대한 진료가 이루어질 경우 환자의 정형화된 진료 내용을 작성하여 저장하고, 의료 정보 관리 서버(200)에 의한 특정 환자에 대한 진료 내용 요청시 상기 진료 내용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의료 정보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용자 개인 의료 정보가 담긴 사용자 의료 정보 블록을 전달받아 기존 사용자 의료 정보 블록과 비교하여 문제가 있는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문제가 없을 경우 해당 사용자 의료 정보 블록의 사용자 정보를 병원 서버(300)에 전달하고, 병원 서버(300)에서 해당 사용자 정보에 해당하는 진료 내용을 전달받아 사용자 단말(100)에 전달하고, 승인 요청을 하여 승인이 이루어졌을 경우 승인된 진료 내용을 블록화하고, 블록화 된 진료 내용을 사용자 단말(100)에 전달함과 아울러 해당 진료 내용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의료 정보 관리 서버(200)는 병원 서버(300)로부터 환자의 진료 내용을 전달받으면 암호화 모듈을 사용해서 블록화 하여 저장하여 사용자 단말(100) 및 병원 서버(300)와 공유한다.
도 2는 도 1의 사용자 단말과 의료 정보 관리 서버에서 정보를 블록화 하여 저장하는 과정에 대한 상세도이다.
사용자 단말(100)에서 사용자에 대한 인증 작업까지 마친 후에 제네시스 블록(111)이 자동으로 생성된다. 이 제네시스 블록(111) 뒤에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담긴 오브젝트(object)가 오면 SHA-256 암호화 모듈(112)을 사용하여 암호화하고 블록화(110)하여 이를 사용자 단말(100)의 자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120)한다.
의료 정보 관리 서버(200)를 통해 전달되는 진료 내용에 대한 블록은 사용자 단말(100)의 암호화 과정을 거치지 않고, 바로 저장한다.
의료 정보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승인한 진료 내용을 받아서 SHA-256암호화 모듈(211)을 통해 암호화하고 블록화(210)해서 이를 자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220)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정보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의료정보 관리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정보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로서, 여기서 S는 스텝(step)을 나타낸다.
먼저, 사용자 단말(100)이 어플리케이션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 후 의료 정보 관리 서버(200)에 접속한다(S10).
이어서, 의료 정보 관리 서버(200)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요청받아 병원 서버(300)에 연결을 요청하여 연결한다(S20).
이후, 사용자 단말(100)이 사용자 개인 의료 정보가 담긴 사용자 의료 정보 블록을 의료 정보 관리 서버(200)로 전달하고(S30), 의료 정보 관리 서버(200)가 스텝(S30)에서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전달받은 사용자 의료 정보 블록을 저장된 기존 사용자 의료 정보 블록과 비교하여 문제가 있는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40).
만약, 상기 스텝(S40)에서 사용자 의료 정보 블록에 문제가 없을 경우(Yes), 의료 정보 관리 서버(200)가 사용자 의료 정보 블록의 사용자 정보를 병원 서버(300)에 전달한다(S50).
이어서, 병원 서버(300)가 자체에 저장된 환자 진료 내용 중 스텝(S50)에서 전달된 사용자 정보에 해당하는 정형화된 진료 내용을 작성하고(S60), 작성된 진료 내용을 의료 정보 관리 서버(200)로 전달한다(S70).
이때, 의료 정보 관리 서버(200)는 전달된 진료 내용을 사용자 단말(100)에 전달하고 승인요청을 한다(S80).
이어서,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스텝(S80)에서 전달된 진료 내용의 승인 여부를 결정한다(S90).
상기 스텝(S90)에서 진료 내용에 대한 승인이 이루어지면(Yes), 사용자 단말(100)이 의료 정보 관리 서버(200)에 요청하여, 의료 정보 관리 서버(200)는 승인된 진료 내용을 블록화하고(S100), 블록화 된 진료 내용을 사용자 단말(100)에 전달함과 아울러(S110), 그 블록화 된 진료 내용을 저장한다(S120).
이어서, 사용자 단말(100)이 상기 스텝(S110)에서 전달받은 블록화 된 진료 내용을 자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130).
한편, 상기 스텝(S40)에서 사용자 의료 정보 블록에 문제가 있을 경우(No), 문제가 있는 사용자 의료 정보 블록의 데이터가 의료 정보 관리 서버(200)의 로그에 저장됨과 아울러 사용자 단말(100)의 화면으로 출력된 후(S140), 의료 정보 관리 서버(200) 및 사용자 단말(100)은 문제가 있는 사용자 의료 정보 블록의 데이터를 작성한 후(S150), 상기 스텝(S50)으로 진행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정보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의료 정보가 담긴 사용자 의료 정보 블록을 전달받아 기존 사용자 의료 정보 블록과 비교하여 문제가 있는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문제가 없을 경우 사용자 의료 정보 블록의 사용자 정보를 병원 서버에 전달하고, 병원 서버에서 진료 내용을 전달받아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고, 승인 요청을 하여 승인이 이루어졌을 경우 승인된 진료 내용을 블록화하고, 블록화 된 진료 내용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달함과 아울러 해당 진료 내용을 저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의료 정보를 안전하게 비영리적으로 환자와 병원 간에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도면과 명세서에는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으며,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 것이지 의미를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사용자 단말
200: 의료 정보 관리 서버
300: 병원 서버

Claims (5)

  1. 사용자의 의료 정보를 입력 받아 블록화 해서 저장하고 저장된 사용자 의료 정보 블록을 출력 및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된 사용자 단말;
    환자의 정형화된 진료 내용을 저장하고 특정 환자에 대한 상기 진료 내용 요청시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병원 서버; 및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병원 서버와 연결된 의료 정보 관리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의료 정보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의료 정보 블록을 전달받아 기존 사용자 의료 정보 블록과 비교하여 문제가 있는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검증부;
    상기 검증부에 의한 검증결과 문제가 없을 경우 상기 사용자 의료 정보 블록의 사용자 정보를 상기 병원 서버에 전달하며, 상기 병원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에 해당하는 환자의 상기 진료 내용을 전달받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고 승인 요청하는 송수신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승인이 이루어졌을 경우 승인된 상기 진료 내용을 블록화하고, 블록화 된 상기 진료 내용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는 블록화부; 및
    상기 진료 내용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어플리케이션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받은 사용자의 의료 정보를 암호화 모듈을 사용해서 블록화하여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저장된 사용자 의료 정보 블록을 상기 의료 정보 관리 서버에 전달하면, 상기 의료 정보 관리 서버는 이 전달된 사용자 의료 정보 블록을 기존 사용자 의료 정보 블록과 비교하여 검증하여서 검증된 사용자 의료 정보 블록의 사용자 정보를 상기 병원 서버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정보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기재된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정보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의료정보 관리 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이 어플리케이션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 후 의료 정보 관리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요청을 받아 상기 의료 정보 관리 서버가 병원 서버에 연결을 요청하여 연결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 개인 의료 정보가 담긴 사용자 의료 정보 블록을 상기 의료 정보 관리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의료 정보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사용자 의료 정보 블록을 저장된 기존 사용자 의료 정보 블록과 비교하여 문제가 있는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의료 정보 관리 서버가 상기 문제 데이터 여부 판단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의료 정보 블록에 문제가 없을 경우 상기 사용자 의료 정보 블록의 사용자 정보를 상기 병원 서버에 전달하는 단계;
    상기 병원 서버에서 자체에 저장된 환자 진료 내용 중 상기 사용자 정보에 해당하는 진료 내용을 작성하고 상기 의료 정보 관리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의료 정보 관리 서버가 전달된 상기 진료 내용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고 승인요청 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전달된 상기 진료 내용의 승인 여부가 결정되는 단계;
    상기 승인 여부 결정 단계에서 승인이 이루어지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의료 정보 관리 서버에 요청하여 상기 의료 정보 관리 서버가 승인된 상기 진료 내용을 블록화하는 단계;
    상기 의료 정보 관리 서버가 블록화 된 상기 진료 내용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는 단계;
    상기 의료 정보 관리 서버가 상기 블록화 된 진료 내용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전달받은 상기 블록화 된 진료 내용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정보 관리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 데이터 여부 판단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의료 정보 블록에 문제가 있을 경우
    문제가 있는 상기 사용자 의료 정보 블록의 데이터를 상기 의료 정보 관리 서버의 로그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으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의료 정보 관리 서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문제가 있는 상기 사용자 의료 정보 블록의 데이터를 작성한 후 상기 병원 서버에 전달하는 단계로 진행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정보 관리 방법.
  4. 삭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 정보 관리 서버가 상기 병원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진료 내용을 암호화 모듈을 사용해서 블록화 하여 저장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정보 관리 방법.
KR1020190018667A 2019-02-18 2019-02-18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정보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300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667A KR102300085B1 (ko) 2019-02-18 2019-02-18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정보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667A KR102300085B1 (ko) 2019-02-18 2019-02-18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정보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0412A KR20200100412A (ko) 2020-08-26
KR102300085B1 true KR102300085B1 (ko) 2021-09-08

Family

ID=72242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8667A KR102300085B1 (ko) 2019-02-18 2019-02-18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정보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00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2513B1 (ko) * 2020-08-31 2022-04-05 이병걸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 및 환자 인터페이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3827B1 (ko) * 2016-04-07 2017-08-02 주식회사 라이프시맨틱스 블록체인 기반 의료데이터전송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101881045B1 (ko) * 2017-11-15 2018-07-23 주식회사 가온시스템 블록체인에 기반한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894661B1 (ko) * 2017-04-11 2018-09-04 서경록 진료 정보 교류 시스템 및 진료 정보 교류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69356A1 (de) 2001-02-23 2002-09-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erbindungen mit riesenmagnetwiderstand und spinpolarisiertem tunneln, ihre herstellung und verwendu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3827B1 (ko) * 2016-04-07 2017-08-02 주식회사 라이프시맨틱스 블록체인 기반 의료데이터전송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101894661B1 (ko) * 2017-04-11 2018-09-04 서경록 진료 정보 교류 시스템 및 진료 정보 교류 방법
KR101881045B1 (ko) * 2017-11-15 2018-07-23 주식회사 가온시스템 블록체인에 기반한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0412A (ko) 2020-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89555B2 (en) Mobile device-based system for automated, real time health record exchange
US10642452B2 (en) Strong authentication via distributed stations
CN106134143B (zh) 用于动态网络接入管理的方法、设备和系统
US8782424B2 (e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data
US20170068785A1 (en) Secure real-time health record exchange
US9323915B2 (en) Extended security for wireless device handset authentication
CN106341234B (zh) 一种授权方法及装置
JP6150129B2 (ja) 薬歴管理装置および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200035339A1 (en) Blockchain security system for secure record access across multiple computer systems
JP5090425B2 (ja) 情報アクセス制御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884776B1 (ko) 환자 정보 전달 시스템 및 방법
US8751673B2 (en) Authentication apparatus, authentication method, and data using method
KR102300085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정보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6032396B2 (ja) 非公開情報閲覧方法及び非公開情報閲覧システム
US10819711B2 (en) Data access method, user equipment and server
KR101093050B1 (ko) 의료 영상 데이터 공유 장치, 의료 영상 데이터 공유 시스템 및 의료 영상 데이터 공유 방법
US20240104181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hentication
JP2009230625A (ja) 端末認証システム
KR102241021B1 (ko) 의료용 차트 소프트웨어와 웹사이트 사이의 sso 인증 서비스 시스템
KR101833472B1 (ko) 생체정보를 이용한 의료정보의 관리 방법
US20240098503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er access using mobile identification credential
JP6566990B2 (ja) 薬歴管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240062680A (ko) 보안이 강화된 진료기록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09271570A (ja) 携帯端末装置におけるコンテンツ配布システム、コンテンツ配布方法及びサーバ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