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4776B1 - 환자 정보 전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환자 정보 전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4776B1
KR101884776B1 KR1020160110501A KR20160110501A KR101884776B1 KR 101884776 B1 KR101884776 B1 KR 101884776B1 KR 1020160110501 A KR1020160110501 A KR 1020160110501A KR 20160110501 A KR20160110501 A KR 20160110501A KR 101884776 B1 KR101884776 B1 KR 101884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pital
server
terminal
part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0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4390A (ko
Inventor
정수환
정승욱
박정수
제설아
Original Assignee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10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4776B1/ko
Publication of KR20180024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4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4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4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4Tools and structures for managing or administering access contro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1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 H04L9/3213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using tickets or tokens, e.g. Kerbero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eth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 정보 전달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제 1 병원의 서버에 저장된 환자 정보를 사전에 환자로부터 정보 전달 권한을 위임받은 제 3자가 자신의 단말을 통해 제 2 병원의 서버로 대신 전달하는 환자 정보 전달 시스템에서의 환자 정보 전달 방법은, 상기 제 1 병원의 서버가, 환자 단말로부터 환자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정보 전달 권한을 위임받은 사람의 단말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환자 정보로의 접근 유효성을 인증하기 위한 액세스 토큰을 발급하여 토큰,키 저장소로 전송하는 환자 정보 전달 권한 등록 단계; 상기 제 1 병원의 서버가, 제 3 자의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환자 정보 전달 권한 인증 단계; 상기 제 1 병원의 서버가, 상기 액세스 토큰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는 액세스 토큰 검증 단계; 및 상기 제 1 병원의 서버가, 상기 제 3 자의 단말을 통해 제 2 병원의 서버로 상기 환자 정보를 전송하는 환자 정보 전달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환자 정보 전달 시스템 및 방법{METHOD AND SYSTEM FOR TRANSPORTING PATIENT INFORMATION}
본 발명은 환자 정보 전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자로부터 정보 전달 권한을 위임받은 제 3 자가 자신의 단말을 통해 환자 정보를 대신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환자 정보 전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환자 정보는 자신이 진료를 받은 의료 센터에 저장되고, 환자가 응급 상황으로 타 병원에 있는 경우 환자 정보를 획득할 수 없다. 종래에는 환자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신뢰할 수 있는 서버를 이용하여 의료 스텝(예컨대, 의사 또는 간호사)이 환자 정보가 존재하는 의료 센터에 접속하여 환자 정보를 가져올 수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기술은 응급 상황이 아님에도 악의적인 목적을 가진 병원의 의료 스텝이 다수의 환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어,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환자 정보가 쉽게 유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16649호(2007.05.10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환자에게 위급상황이 발생하여 환자 정보를 타 병원으로 전달할 수 없을 경우, 환자로부터 정보 전달 권한을 위임받은 제3자가 자신의 단말을 통해 환자 정보를 전달하는 환자 정보 전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제 1 병원의 서버에 저장된 환자 정보를 사전에 환자로부터 정보 전달 권한을 위임받은 제 3자가 자신의 단말을 통해 제 2 병원의 서버로 대신 전달하는 환자 정보 전달 시스템에서의 환자 정보 전달 방법은, 상기 제 1 병원의 서버가, 환자 단말로부터 환자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정보 전달 권한을 위임받은 사람의 단말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환자 정보로의 접근 유효성을 인증하기 위한 액세스 토큰을 발급하여 토큰,키 저장소로 전송하는 환자 정보 전달 권한 등록 단계; 상기 제 1 병원의 서버가, 제 3 자의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환자 정보 전달 권한 인증 단계; 상기 제 1 병원의 서버가, 상기 액세스 토큰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는 액세스 토큰 검증 단계; 및 상기 제 1 병원의 서버가, 상기 제 3 자의 단말을 통해 제 2 병원의 서버로 상기 환자 정보를 전송하는 환자 정보 전달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환자 정보 전달 권한 인증 단계에서는, 상기 제 1 병원의 서버가, 제 3 자의 단말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한 경우, 인증 서버로 상기 제 3 자의 단말에 대한 인증 요청을 하고, 상기 인증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인증 결과 정보를 수신하며, 저장된 상기 정보 전달 권한을 위임받은 사람의 단말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제 3 자의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액세스 토큰 검증 단계에서는, 상기 제 1 병원의 서버가, 상기 제 3 자의 단말에 대한 인증에 성공한 경우, 토큰,키 저장소로 액세스 토큰을 요청하고, 상기 액세스 토큰을 수신한 제 3 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액세스 토큰 및 상기 제 3 자의 단말이 선택한 제 2 병원의 서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액세스 토큰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액세스 토큰 검증 단계에서는, 상기 제 1 병원의 서버가, 상기 제 3 자의 단말에 대한 인증에 성공한 경우, 상기 제 3 자의 단말로 인증 성공에 대한 메시지를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제 3 자의 단말이 토큰,키 저장소에 접근할 수 있도록 상기 토큰,키 저장소의 URL 주소를 상기 제 3 자의 단말로 리다이렉트하며, 상기 제 1 병원의 서버가, 토큰,키 저장소로 제 3자의 단말에 대한 주소를 리다이렉트하고, 상기 액세스 토큰을 요청하여, 상기 제 3 자의 단말이 상기 토큰,키 저장소로부터 상기 액세스 토큰을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환자 정보 전달 단계에서는, 상기 제 1 병원의 서버가, 상기 액세스 토큰에 대한 검증에 성공한 경우, 토큰,키 저장소로 상기 제 3 자의 단말이 선택한 상기 제 2 병원의 서버에 대한 공개키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상기 공개키를 이용해 상기 환자 정보를 암호화하여, 상기 제 3 자의 단말을 통해 제 2 병원의 서버로 상기 환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환자 정보 전달 단계에서는, 상기 제 1 병원의 서버가, 토큰,키 저장소로 제 2 병원의 서버에 대한 공개키를 요청하면, 상기 토큰,키 저장소가 상기 제 2 병원의 서버로 공개키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저장하며, 상기 토큰,키 저장소가 수신한 상기 공개키를 상기 제 1 병원의 서버로 전송하되, 상기 토큰,키 저장소는, 상기 제 1 병원의 서버로부터 제 2 병원의 서버에 대한 공개키 요청 수신시, 자신의 저장공간에 상기 제 2 병원의 서버에 대한 공개키가 저장되어 있을 경우, 상기 공개키를 바로 상기 제 1 병원의 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토큰,키 저장소는, 상기 제 1 병원의 서버로부터 제 2 병원의 서버에 대한 공개키 요청 수신시, 자신의 저장공간에 상기 제 2 병원의 서버에 대한 공개키가 저장되어 있을 않을 경우, 상기 제 2 병원의 서버로 공개키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저장한 후, 상기 공개키를 상기 제 1 병원의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환자 정보 전달 시스템은, 환자 단말; 상기 환자 단말을 소유한 사람으로부터 사전에 정보 전달 권한을 위임받은 제 3 자의 단말; 및 상기 환자 단말로부터 환자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정보 전달 권한을 위임받은 사람의 단말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환자 정보로의 접근 유효성을 인증하기 위한 액세스 토큰을 발급하여 토큰,키 저장소로 전송하는 환자 정보 전달 권한 등록부; 상기 제 3 자의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환자 정보 전달 권한 인증부; 상기 액세스 토큰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는 액세스 토큰 검증부; 및 상기 제 3 자의 단말을 통해 제 2 병원의 서버로 상기 환자 정보를 전송하는 환자 정보 전달부;를 포함하는 제 1 병원의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환자 정보 전달 권한 인증부는, 제 3 자의 단말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한 경우, 인증 서버로 상기 제 3 자의 단말에 대한 인증 요청을 하고, 상기 인증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인증 결과 정보를 수신하며, 저장된 상기 정보 전달 권한을 위임받은 사람의 단말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제 3 자의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액세스 토큰 검증부는, 상기 제 3 자의 단말에 대한 인증에 성공한 경우, 토큰,키 저장소로 액세스 토큰을 요청하고, 상기 액세스 토큰을 수신한 제 3 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액세스 토큰 및 상기 제 3 자의 단말이 선택한 제 2 병원의 서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액세스 토큰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액세스 토큰 검증부는, 상기 제 3 자의 단말에 대한 인증에 성공한 경우, 상기 제 3 자의 단말로 인증 성공에 대한 메시지를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제 3 자의 단말이 토큰,키 저장소에 접근할 수 있도록 상기 토큰,키 저장소의 URL 주소를 상기 제 3 자의 단말로 리다이렉트하며, 토큰,키 저장소로 제 3자의 단말에 대한 주소를 리다이렉트하고, 상기 액세스 토큰을 요청하여, 상기 제 3 자의 단말이 상기 토큰,키 저장소로부터 상기 액세스 토큰을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환자 정보 전달부는, 상기 액세스 토큰에 대한 검증에 성공한 경우, 토큰,키 저장소로 상기 제 3 자의 단말이 선택한 상기 제 2 병원의 서버에 대한 공개키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상기 공개키를 이용해 상기 환자 정보를 암호화하여, 상기 제 3 자의 단말을 통해 제 2 병원의 서버로 상기 환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환자 정보 전달부는, 토큰,키 저장소로 제 2 병원의 서버에 대한 공개키를 요청하면, 상기 토큰,키 저장소가 상기 제 2 병원의 서버로 공개키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저장하며, 상기 토큰,키 저장소가 수신한 상기 공개키를 상기 제 1 병원의 서버로 전송하되, 상기 토큰,키 저장소는, 상기 제 1 병원의 서버로부터 제 2 병원의 서버에 대한 공개키 요청 수신시, 자신의 저장공간에 상기 제 2 병원의 서버에 대한 공개키가 저장되어 있을 경우, 상기 공개키를 바로 상기 제 1 병원의 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토큰,키 저장소는, 상기 제 1 병원의 서버로부터 제 2 병원의 서버에 대한 공개키 요청 수신시, 자신의 저장공간에 상기 제 2 병원의 서버에 대한 공개키가 저장되어 있을 않을 경우, 상기 제 2 병원의 서버로 공개키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저장한 후, 상기 공개키를 상기 제 1 병원의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정보 전달 권한을 위임받은 사람이 자신의 단말을 이용해서만 환자 정보를 전달할 수 있어, 악의적인 사람에 의해 환자 정보가 수집 및 판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환자 정보는 정보를 수신할 병원의 공개키로 암호화되어 전달됨에 따라, 중간에서 전달자가 환자 정보를 확인할 수 없어 민감한 환자의 정보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들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 정보 전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제 1 병원의 서버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 정보 전달 방법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 정보 전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제 1 병원의 서버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환자의 정보는 제 1 병원의 서버(200)에 저장된 것으로 가정하며, 환자는 위급 상황 발생시, 자신의 정보를 타 병원으로 대신 전달하기 위한 권한, 즉 정보 전달 권한을 사전에 제 3 자에게 위임한 것으로 가정한다. 이때, 환자로부터 정보 전달 권한을 위임받은 제 3 자는, 자신의 단말을 통해 타 병원 즉, 환자가 위급 상황에 처하여 입원하게 된 제 2 병원의 서버(300)로 환자 정보를 대신 전달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환자 정보 전달 시스템은 환자 단말(100), 제 1 병원의 서버(200), 제 2 병원의 서버(300) 및 제 3 자의 단말(400)을 포함한다.
환자 단말(100)은 환자가 소유한 단말일 수 있다. 이때, 환자 단말(100)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일 수 있다. 환자는 환자 단말(100)을 통해 자신의 정보를 제 1 병원의 서버(200)에 기록하고 저장할 수 있다. 이때, 환자가 제 1 병원의 서버(200)에 저장하는 정보는, 자신의 개인 신상 정보 및 의료 정보 등일 수 있다. 의료 정보는, 환자가 병원에서 진료 받은 결과에 대한 진료 정보 및 신체와 관련한 건강 정보 등일 수 있다. 한편, 환자는 제 3 자에게 정보 전달 권한을 사전에 위임할 수 있다. 예컨대, 환자는 제 3 자에게 자신의 정보를 대신 전달할 수 있는 전달 권한을 위임할 수 있으며, 제 3 자는 자신의 단말(400)을 통해 환자 정보를 타 병원으로 대신 전달할 수 있다. 이때, 환자 단말(100)은 정보 전달 권한을 위임한 단말 즉, 제 3 자의 단말(400)에 대한 정보를 제 1 병원의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정보 전달 권한을 위임한 단말 즉, 제 3 자의 단말(400)에 대한 정보는, 단말 소유자의 이름, 생년월일, 전화번호 정보 등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에게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여 환자 정보를 타 병원으로 전달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 환자로부터 정보 전달 권한을 위임받은 제 3 자가 자신의 단말(400)을 이용하여 환자 정보를 제 1 병원의 서버(200)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타 병원으로 대신 전달할 수 있다.
제 1 병원의 서버(200)는 환자가 소유한 환자 단말(100)을 통해 환자 정보를 수신하고 저장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환자가 제 1 병원의 서버(200)에 저장하는 정보는, 자신의 개인 신상 정보 및 의료 정보 등일 수 있다. 의료 정보는, 환자가 병원에서 진료 받은 결과에 대한 진료 정보 및 신체와 관련한 건강 정보 등일 수 있다. 제 1 병원의 서버(200)는 환자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제 1 병원의 서버(200)는 환자 정보에 대한 접근의 유효성을 인증하기 위한 액세스 토큰을 발급하여 토큰,키 저장소(500)에 전달할 수 있다. 제 1 병원의 서버(200)는 환자로부터 정보 전달 권한을 위임 받은 제 3 자의 단말(400)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하면, 제 3 자의 단말(400)에 대한 인증을 수행 후, 액세스 토큰을 검증하고, 환자 정보를 암호화하여 제 2 병원의 서버(30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 1 병원의 서버(200)는 환자 정보 전달 권한 등록부(210), 환자 정보 전달 권한 인증부(230), 액세스 토큰 검증부(250) 및 환자 정보 전달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환자 정보 전달 권한 등록부(210)는, 환자 단말(100)로부터 환자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환자 정보 전달 권한 등록부(210)는, 정보 전달 권한을 위임받은 사람의 단말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정보 전달 권한을 위임받은 사람의 단말은 제 3 자의 단말(400)일 수 있다. 환자 정보 전달 권한 등록부(210)는, 액세스 토큰을 발급하여 토큰,키 저장소(500)로 전송할 수 있다. 액세스 토큰은, 환자 정보로의 접근 유효성을 인증하기 위한 전자 서명된 인증서일 수 있다. 즉, 환자 정보에 접근하기 위한 사용자는, 네트워크의 리소스(환자 정보)에 액세스하기 위해서는 액세스 토큰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액세스 토큰은 제 1 병원의 서버(200)에서 발급될 수 있다. 액세스 토큰은 사용자의 권한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권한 목록은 읽기, 쓰기 등일 수 있다.
환자 정보 전달 권한 인증부(230)는, 제 3 자의 단말(40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환자 정보 전달 권한 인증부(230)는, 제 3 자의 단말(400)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한 경우, 인증 서버(600)로 제 3 자의 단말(400)에 대한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환자 정보 전달 권한 인증부(230)는, 인증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인증 결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환자 정보 전달 권한 인증부(230)는, 수신한 인증 결과 정보를 정보 전달 권한을 위임받은 사람의 단말 정보와 비교하여 제 3 자의 단말(40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인증 결과 정보는, 제 3 자의 단말(400)이 이동 통신사에 등록한 제 3 자의 단말(400) 소유자에 대한 개인 정보일 수 있으며, 개인 정보는, 제 3 자의 단말(400) 소유자의 이름, 생년월일, 전화번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환자 정보 전달 권한 인증부(230)는, 수신한 인증 결과 정보 중 전화번호 정보 및 단말 소유자의 이름 정보가, 저장된 정보 전달 권한 위임 단말의 정보 중 전화번호 정보 및 단말 소유자의 이름 정보와 일치하면 제 3 자의 단말(400)이 환자로부터 권한을 위임받은 사람이 소유한 단말로 인증할 수 있다. 한편, 제 3 자의 단말(400)에 대한 인증 수행에 있어서, 인증 관련 조건은 상술한 바에 한하지 않으며, 사전에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조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인증 서버(600)는 이동 통신사가 구비한 인증 서버일 수 있으며, 제 3 자의 단말(400)에 대한 인증은 일반적인 모바일 인증일 수 있다.
액세스 토큰 검증부(250)는, 액세스 토큰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액세스 토큰은, 환자 정보로의 접근 유효성을 인증하기 위한 전자 서명된 인증서일 수 있다. 액세스 토큰 검증부(250)는, 환자 정보 전달 권한 인증부(230)가 제 3 자의 단말(400)에 대한 인증에 성공한 경우, 토큰,키 저장소(500)로 액세스 토큰을 요청할 수 있다. 액세스 토큰 검증부(250)가 토큰,키 저장소(500)로 액세스 토큰을 요청하는 이유는, 제 3 자의 단말(400)을 소유한 사람에게 정보 전달 권한을 위임한 환자의 환자 정보로의 접근 권한을 인증하기 위함이다. 액세스 토큰 검증부(250)는, 액세스 토큰을 수신한 제 3 자의 단말(400)로부터 액세스 토큰 및 제 3 자의 단말(400)이 선택한 제 2 병원의 서버(300) 정보를 수신하고, 액세스 토큰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액세스 토큰 검증부(250)는, 환자 정보 전달 권한 인증부(230)가 제 3 자의 단말(400)에 대한 인증에 성공한 경우, 제 3 자의 단말(400)로 인증 성공에 대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액세스 토큰 검증부(250)는, 제 3 자의 단말(400)이 토큰,키 저장소(500)에 접근할 수 있도록 토큰,키 저장소(500)의 URL 주소를 제 3 자의 단말(400)로 리다이렉트할 수 있으며, 토큰,키 저장소(500)로 제 3 자의 단말(400)에 대한 주소를 리다이렉트하고, 액세스 토큰을 요청하여 제 3 자의 단말(400)이 토큰,키 저장소(500)로부터 액세스 토큰을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액세스 토큰 검증부(250)는, 제 3 자의 단말(400)로부터 액세스 토큰 및 제 3 자의 단말(400)이 선택한 제 2 병원의 서버(300) 정보를 수신하고 액세스 토큰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환자 정보 전달부(270)는, 환자로부터 정보 전달 권한을 위임받은 제 3 자의 단말(400)을 통해 제 1 병원의 서버(200)에 저장된 환자 정보를 제 2 병원의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환자 정보 전달부(270)는, 환자 정보를 암호화하여 제 2 병원의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환자 정보 전달부(270)는, 액세스 토큰 검증부(250)가 액세스 토큰에 대한 검증에 성공한 경우, 토큰,키 저장소(500)로 제 3 자의 단말(400)이 선택한 제 2 병원의 서버(300)에 대한 공개키를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다. 환자 정보 전달부(270)는, 수신한 공개키를 이용해 환자 정보를 암호화하여 제 3 자의 단말(400)을 통해 제 2 병원의 서버(300)로 환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환자 정보 전달부(270)는, 토큰,키 저장소(500)로 제 2 병원의 서버(300)에 대한 공개키를 요청하면, 토큰,키 저장소(500)가 제 2 병원의 서버(300)로 공개키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저장할 수 있다. 이때, 토큰,키 저장소(500)는 수신한 공개키를 제 1 병원의 서버(200)로 전송하되, 제 1 병원의 서버(200)로부터 제 2 병원의 서버(300)에 대한 공개키 요청 수신시, 자신의 저장공간에 제 2 병원의 서버(300)에 대한 공개키가 저장되어 있을 경우, 공개키를 곧바로 제 1 병원의 서버(200)로 전달할 수 있다. 반면, 토큰,키 저장소(500)는 제 1 병원의 서버(200)로부터 제 2 병원의 서버(300)에 대한 공개키 요청 수신시, 자신의 저장공간에 제 2 병원의 서버(300)에 대한 공개키가 저장되어 있지 않을 경우, 제 2 병원의 서버(300)로 공개키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저장한 후, 공개키를 제 1 병원의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 2 병원의 서버(300)는 제 1 병원의 서버(200)에 환자 정보를 저장하여 둔 환자가, 자신에게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여 입원하게 된 타 병원의 서버일 수 있다. 제 2 병원의 서버(300)는 제 3 자의 단말(400)(예컨대, 환자로부터 정보 전달 권한을 위임받은 사람이 소유한 단말)을 통해 제 1 병원의 서버(200)로부터 전달받은 암호화된 환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제 2 병원의 서버(300)는, 암호화된 환자 정보를 자신의 개인키로 복호화하여 확인할 수 있다.
제 3 자의 단말(400)은, 환자로부터 정보 전달 권한을 위임받은 사람이 소유한 단말일 수 있다. 제 3 자의 단말(400)은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일 수 있다. 제 3 자의 단말(400)은 제 1 병원의 서버(200)에 저장된 환자 정보를 환자를 대신하여 제 2 병원의 서버(3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본 실시 예에 따른 환자 정보 전달 시스템에서의 환자 정보 전달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 정보 전달 방법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환자의 정보는 제 1 병원의 서버(200)에 저장된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환자는 위급 상황 발생시, 자신의 정보를 타 병원으로 대신 전달하기 위한 권한 즉, 정보 전달 권한을 사전에 제 3 자에게 위임한 것으로 가정한다. 이때, 환자로부터 정보 전달 권한을 위임받은 제 3 자는, 자신의 단말을 통해 타 병원 즉, 환자가 위급 상황에 처하여 입원하게 된 제 2 병원의 서버(300)로 환자 정보를 대신 전달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환자 정보 전달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환자 정보 전달 방법은, 환자 정보 전달 권한 등록 단계, 환자 정보 전달 권한 인증 단계, 액세스 토큰 검증 단계 및 환자 정보 전달 단계를 포함한다.
환자 정보 전달 권한 등록 단계에서는, 제 1 병원의 서버(200)가 환자 단말(100)로부터 환자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정보 전달 권한을 위임받은 사람의 단말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311)(313). 제 1 병원의 서버(200)는, 환자 정보로의 접근 유효성을 인증하기 위한 액세스 토큰을 발급하여 토큰,키 저장소(500)로 전송할 수 있다(315).
환자 정보 전달 권한 인증 단계에서는, 제 1 병원의 서버(200)가 제 3 자의 단말(40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 병원의 서버(200)는 제 3 자의 단말(400)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317). 제 3 자의 단말(400)은 접속 요청시, 자신의 단말 식별 정보를 포함한 메시지를 송신하여 접속 요청을 할 수 있다. 제 1 병원의 서버(200)는, 인증 서버로 제 3 자의 단말(400)에 대한 인증 요청을 하고, 인증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인증 결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319)(325). 이때, 제 1 병원의 서버(200)로부터 접속 요청한 제 3 자의 단말(400)에 대한 인증 요청을 수신한 인증 서버는, 제 3 자의 단말(400) 식별 정보를 기초로, 제 3 자의 단말(400)로 인증을 위한 페이지를 리다이렉트할 수 있다(319)(321). 이후, 제 3 자의 단말(400)은 리다이렉트된 페이지에 인증을 위한 정보를 입력하여 인증 서버(600)로 전송할 수 있다(323). 이때, 인증을 위한 정보는 아이디 및 비밀번호 정보일 수 있다. 인증 서버는 수신한 인증 정보가 올바를 경우, 제 1 병원의 서버(200)로 인증 결과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325). 이때, 인증 결과 정보는, 제 3 자의 단말(400)이 이동 통신사에 등록한 제 3 자의 단말(400) 소유자에 대한 개인 정보일 수 있으며, 개인 정보는, 제 3 자의 단말(400) 소유자의 이름, 생년월일, 전화번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병원의 서버(200)는 수신한 인증 결과 정보를 저장된 정보 전달 권한을 위임받은 사람의 단말 정보와 비교하여 제 3 자의 단말(40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327). 예컨대, 제 1 병원의 서버(200)는, 수신한 인증 결과 정보 중 전화번호 정보 및 단말 소유자의 이름 정보가, 저장된 정보 전달 권한 위임 단말의 정보 중 전화번호 정보 및 단말 소유자의 이름 정보와 일치하면 제 3 자의 단말(400)이 환자로부터 권한을 위임받은 사람이 소유한 단말로 인증할 수 있다. 한편, 제 3 자의 단말(400)에 대한 인증 수행에 있어서, 인증 관련 조건은 상술한 바에 한하지 않으며, 사전에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조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액세스 토큰 검증 단계에서는, 제 1 병원의 서버(200)가 액세스 토큰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제 1 병원의 서버(200)는 제 3 자의 단말(400)에 대한 인증에 성공한 경우, 토큰,키 저장소(500)로 액세스 토큰을 요청할 수 있다(329). 제 1 병원의 서버(200)는 액세스 토큰을 수신한 제 3 자의 단말(400)로부터 액세스 토큰 및 제 2 병원의 서버(300)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335). 이때, 제 2 병원의 서버(300) 정보는, 제 3 자의 단말(400)이 토큰,키 저장소(500)로부터 액세스 토큰을 수신한 경우 선택한, 정보를 전송할 타 병원 즉, 제 2 병원의 서버(300)에 대한 정보 일 수 있다(333).
제 1 병원의 서버(200)는, 액세스 토큰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337). 액세스 토큰은, 환자 정보로의 접근 유효성을 인증하기 위한 전자 서명된 인증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병원의 서버(200)는 제 3 자의 단말(400)에 대한 인증에 성공한 경우, 제 3 자의 단말(400)로 인증 성공에 대한 메시지를 전송함과 동시에 제 3 자의 단말(400)이 토큰,키 저장소(500)로 접근할 수 있도록 토큰,키 저장소(500)의 URL 주소를 제 3 자의 단말(400)로 리다이렉트할 수 있다. 이때, 제 1 병원의 서버(200)는, 토큰,키 저장소(500)로 제 3 자의 단말(400)에 대한 주소를 리다이렉트하고, 액세스 토큰을 요청하여, 제 3 자의 단말(400)이 토큰,키 저장소(500)로부터 액세스 토큰을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환자 정보 전달 단계에서는, 제 1 병원의 서버(200)가 제 3 자의 단말(400)을 통해 제 2 병원의 서버(300)로 환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병원의 서버(200)는, 액세스 토큰에 대한 검증에 성공한 경우, 토큰,키 저장소(500)로 제 3 자의 단말(400)이 선택한 제 2 병원의 서버(300)에 대한 공개키를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다(339). 제 1 병원의 서버(200)는, 수신한 공개키를 이용해 환자 정보를 암호화하고, 제 3 자의 단말(400)을 통해 제 2 병원의 서버(300)로 환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345)(347). 한편, 제 1 병원의 서버(200)가, 토큰,키 저장소(500)로 제 2 병원의 서버(300)에 대한 공개키를 요청하면, 토큰,키 저장소(500)는 제 2 병원의 서버(300)로 공개키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저장할 수 있다(341)(343). 이때, 토큰,키 저장소(500)는 수신한 공개키를 제 1 병원의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345). 이때, 토큰,키 저장소(500)는 제 1 병원의 서버(200)로부터 제 2 병원의 서버(300)에 대한 공개키 요청 수신시, 자신의 저장공간에 제 2 병원의 서버(300)에 대한 공개키가 저장되어 있을 경우, 공개키를 곧바로 제 1 병원의 서버(200)로 전달할 수 있다. 반면, 토큰,키 저장소(500)는 제 1 병원의 서버(200)로부터 제 2 병원의 서버(300)에 대한 공개키 요청 수신시, 자신의 저장공간에 제 2 병원의 서버(300)에 대한 공개키가 저장되어 있지 않을 경우, 제 2 병원의 서버(300)로 공개키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저장한 후, 공개키를 제 1 병원의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정보 전달 권한을 위임받은 제 3 자가 소유한 단말을 통해 제 1 병원의 서버(200)로부터 암호화된 환자 정보를 수신한 제 2 병원의 서버(300)는, 자신의 개인키를 이용해 암호화된 환자 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정보 전달 권한을 위임받은 사람이 자신의 단말을 이용해서만 환자 정보를 전달할 수 있어, 악의적인 사람에 의해 환자 정보가 수집 및 판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환자 정보는 정보를 수신할 병원의 공개키로 암호화되어 전달됨에 따라, 중간에서 전달자가 환자 정보를 확인할 수 없어 민감한 환자의 정보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한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개별적인 실시 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 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의 단일 실시 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 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히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설명되었으나,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한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또는 일련의 연속된 순서, 또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모든 설명된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환경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 예에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의 구분은 모든 실시 예에서 그러한 구분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앱 구성요소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 또는 멀티플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0 : 환자 단말
200 : 제 1 병원의 서버
210 : 환자 정보 전달 권한 등록부
230 : 환자 정보 전달 권한 인증부
250 : 액세스 토큰 검증부
270 : 환자 정보 전달부
300 : 제 2 병원의 서버
400 : 제 3 자의 단말
500 : 토큰,키 저장소
600 : 인증 서버

Claims (12)

  1. 제 1 병원의 서버에 저장된 환자 정보를 사전에 환자로부터 정보 전달 권한을 위임받은 제 3자가 자신의 단말을 통해 제 2 병원의 서버로 대신 전달하는 환자 정보 전달 시스템에서의 환자 정보 전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병원의 서버가, 환자 단말로부터 환자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정보 전달 권한을 위임받은 사람의 단말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환자 정보로의 접근 유효성을 인증하기 위한 액세스 토큰을 발급하여 토큰,키 저장소로 전송하는 환자 정보 전달 권한 등록 단계;
    상기 제 1 병원의 서버가, 제 3 자의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환자 정보 전달 권한 인증 단계;
    상기 제 1 병원의 서버가, 상기 액세스 토큰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는 액세스 토큰 검증 단계; 및
    상기 제 1 병원의 서버가, 상기 제 3 자의 단말을 통해 제 2 병원의 서버로 상기 환자 정보를 전송하는 환자 정보 전달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환자 정보 전달 권한 인증 단계에서는,
    상기 제 1 병원의 서버가, 제 3 자의 단말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한 경우, 인증 서버로 상기 제 3 자의 단말에 대한 인증 요청을 하고, 상기 인증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인증 결과 정보를 수신하며, 사전에 저장된 상기 정보 전달 권한을 위임받은 사람의 단말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제 3 자의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환자 정보 전달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토큰 검증 단계에서는,
    상기 제 1 병원의 서버가, 상기 제 3 자의 단말에 대한 인증에 성공한 경우, 토큰,키 저장소로 액세스 토큰을 요청하고, 상기 액세스 토큰을 수신한 제 3 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액세스 토큰 및 상기 제 3 자의 단말이 선택한 제 2 병원의 서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액세스 토큰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는 환자 정보 전달 방법.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토큰 검증 단계에서는,
    상기 제 1 병원의 서버가, 상기 제 3 자의 단말에 대한 인증에 성공한 경우, 상기 제 3 자의 단말로 인증 성공에 대한 메시지를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제 3 자의 단말이 토큰,키 저장소에 접근할 수 있도록 상기 토큰,키 저장소의 URL 주소를 상기 제 3 자의 단말로 리다이렉트하며,
    상기 제 1 병원의 서버가, 토큰,키 저장소로 제 3자의 단말에 대한 주소를 리다이렉트하고, 상기 액세스 토큰을 요청하여, 상기 제 3 자의 단말이 상기 토큰,키 저장소로부터 상기 액세스 토큰을 수신하도록 하는 환자 정보 전달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정보 전달 단계에서는,
    상기 제 1 병원의 서버가, 상기 액세스 토큰에 대한 검증에 성공한 경우, 토큰,키 저장소로 상기 제 3 자의 단말이 선택한 상기 제 2 병원의 서버에 대한 공개키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상기 공개키를 이용해 상기 환자 정보를 암호화하여, 상기 제 3 자의 단말을 통해 제 2 병원의 서버로 상기 환자 정보를 전송하는 환자 정보 전달 방법.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정보 전달 단계에서는,
    상기 제 1 병원의 서버가, 토큰,키 저장소로 제 2 병원의 서버에 대한 공개키를 요청하면, 상기 토큰,키 저장소가 상기 제 2 병원의 서버로 공개키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저장하며, 상기 토큰,키 저장소가 수신한 상기 공개키를 상기 제 1 병원의 서버로 전송하되,
    상기 토큰,키 저장소는, 상기 제 1 병원의 서버로부터 제 2 병원의 서버에 대한 공개키 요청 수신시, 자신의 저장공간에 상기 제 2 병원의 서버에 대한 공개키가 저장되어 있을 경우, 상기 공개키를 바로 상기 제 1 병원의 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토큰,키 저장소는, 상기 제 1 병원의 서버로부터 제 2 병원의 서버에 대한 공개키 요청 수신시, 자신의 저장공간에 상기 제 2 병원의 서버에 대한 공개키가 저장되어 있을 않을 경우, 상기 제 2 병원의 서버로 공개키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저장한 후, 상기 공개키를 상기 제 1 병원의 서버로 전송하는 환자 정보 전달 방법.
  7. 환자 단말;
    상기 환자 단말을 소유한 사람으로부터 사전에 정보 전달 권한을 위임받은 제 3 자의 단말; 및
    상기 환자 단말로부터 환자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정보 전달 권한을 위임받은 사람의 단말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환자 정보로의 접근 유효성을 인증하기 위한 액세스 토큰을 발급하여 토큰,키 저장소로 전송하는 환자 정보 전달 권한 등록부; 상기 제 3 자의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환자 정보 전달 권한 인증부; 상기 액세스 토큰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는 액세스 토큰 검증부; 및 상기 제 3 자의 단말을 통해 제 2 병원의 서버로 상기 환자 정보를 전송하는 환자 정보 전달부;를 포함하는 제 1 병원의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환자 정보 전달 권한 인증부는,
    제 3 자의 단말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한 경우, 인증 서버로 상기 제 3 자의 단말에 대한 인증 요청을 하고, 상기 인증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인증 결과 정보를 수신하며, 사전에 저장된 상기 정보 전달 권한을 위임받은 사람의 단말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제 3 자의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환자 정보 전달 시스템.
  8. 삭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토큰 검증부는,
    상기 제 3 자의 단말에 대한 인증에 성공한 경우, 토큰,키 저장소로 액세스 토큰을 요청하고, 상기 액세스 토큰을 수신한 제 3 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액세스 토큰 및 상기 제 3 자의 단말이 선택한 제 2 병원의 서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액세스 토큰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는 환자 정보 전달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토큰 검증부는,
    상기 제 3 자의 단말에 대한 인증에 성공한 경우, 상기 제 3 자의 단말로 인증 성공에 대한 메시지를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제 3 자의 단말이 토큰,키 저장소에 접근할 수 있도록 상기 토큰,키 저장소의 URL 주소를 상기 제 3 자의 단말로 리다이렉트하며,
    토큰,키 저장소로 제 3자의 단말에 대한 주소를 리다이렉트하고, 상기 액세스 토큰을 요청하여, 상기 제 3 자의 단말이 상기 토큰,키 저장소로부터 상기 액세스 토큰을 수신하도록 하는 환자 정보 전달 시스템.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정보 전달부는,
    상기 액세스 토큰에 대한 검증에 성공한 경우, 토큰,키 저장소로 상기 제 3 자의 단말이 선택한 상기 제 2 병원의 서버에 대한 공개키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상기 공개키를 이용해 상기 환자 정보를 암호화하여, 상기 제 3 자의 단말을 통해 제 2 병원의 서버로 상기 환자 정보를 전송하는 환자 정보 전달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정보 전달부는,
    토큰,키 저장소로 제 2 병원의 서버에 대한 공개키를 요청하면, 상기 토큰,키 저장소가 상기 제 2 병원의 서버로 공개키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저장하며, 상기 토큰,키 저장소가 수신한 상기 공개키를 상기 제 1 병원의 서버로 전송하되,
    상기 토큰,키 저장소는, 상기 제 1 병원의 서버로부터 제 2 병원의 서버에 대한 공개키 요청 수신시, 자신의 저장공간에 상기 제 2 병원의 서버에 대한 공개키가 저장되어 있을 경우, 상기 공개키를 바로 상기 제 1 병원의 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토큰,키 저장소는, 상기 제 1 병원의 서버로부터 제 2 병원의 서버에 대한 공개키 요청 수신시, 자신의 저장공간에 상기 제 2 병원의 서버에 대한 공개키가 저장되어 있을 않을 경우, 상기 제 2 병원의 서버로 공개키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저장한 후, 상기 공개키를 상기 제 1 병원의 서버로 전송하는 환자 정보 전달 시스템.
KR1020160110501A 2016-08-30 2016-08-30 환자 정보 전달 시스템 및 방법 KR101884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501A KR101884776B1 (ko) 2016-08-30 2016-08-30 환자 정보 전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501A KR101884776B1 (ko) 2016-08-30 2016-08-30 환자 정보 전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390A KR20180024390A (ko) 2018-03-08
KR101884776B1 true KR101884776B1 (ko) 2018-08-02

Family

ID=61725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0501A KR101884776B1 (ko) 2016-08-30 2016-08-30 환자 정보 전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47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1546A (ko) * 2018-10-12 2020-04-22 주식회사 바이오크 바이오메디컬 데이터의 전송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0156A (ko) * 2019-04-11 2020-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의료 정보 공유 방법
KR102674313B1 (ko) * 2021-08-11 2024-06-12 주식회사 유비케어 진료기록 사본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401485B1 (ko) * 2021-12-30 2022-05-24 주식회사 디사일로 동형 암호화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시스템
WO2024019534A1 (ko) * 2022-07-22 2024-01-25 주식회사 메디컬에이아이 의료 서비스의 개인정보 비식별화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213B1 (ko) * 2010-01-29 2011-03-17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멀티 프록시 재암호화 기반 의료데이터 공유 방법 및 장치
JP2013145505A (ja) * 2012-01-16 2013-07-25 Canon Inc 権限委譲システム、およびその権限委譲システムにおけるサーバーシステム、および権限委譲システムを制御する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649B1 (ko) 2006-02-01 2007-05-10 (주)유비파트너아이엔씨 권한관리 구조 기반의 의료 정보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213B1 (ko) * 2010-01-29 2011-03-17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멀티 프록시 재암호화 기반 의료데이터 공유 방법 및 장치
JP2013145505A (ja) * 2012-01-16 2013-07-25 Canon Inc 権限委譲システム、およびその権限委譲システムにおけるサーバーシステム、および権限委譲システムを制御する制御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1546A (ko) * 2018-10-12 2020-04-22 주식회사 바이오크 바이오메디컬 데이터의 전송 방법
KR102201684B1 (ko) 2018-10-12 2021-01-12 주식회사 바이오크 바이오메디컬 데이터의 전송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390A (ko) 2018-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02790C2 (ru) Безопасный доступ к персональным записям о состоянии здоровья в экстренных ситуациях
US2021024682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ng communications using multiple encryption keys
KR101884776B1 (ko) 환자 정보 전달 시스템 및 방법
CN106537403B (zh) 用于从多个装置访问数据的系统
TWI274500B (en) User authentication system
US9397980B1 (en) Credential management
KR101584510B1 (ko) 아이디 토큰에서 속성을 판독하는 방법
JP6054457B2 (ja) 制御された情報開示によるプライベート解析
KR20190081299A (ko) 블록체인 기반 데이터 접근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20140136840A1 (en) Computer system for storing and retrieval of encrypted data items using a tablet computer and computer-implemented method
US11521720B2 (en) User medical record transport using mobile identification credential
US11182774B1 (en) Use of mobile identification credential in merchant and personal transactions
US20090199303A1 (en) Ce device management server, method of issuing drm key by using ce device management server,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US20120311331A1 (en) Logon verific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logon verification
JPH05333775A (ja) ユーザ認証システム
JP2011012511A (ja) 電気錠制御システム
JP2005197912A (ja) 情報開示制御方法、情報開示制御プログラム、ならびに、耐タンパ装置
KR102605087B1 (ko) 의료 클라우드 환경에서 환자의 의료 데이터 공유 시스템 및 방법
JP7367692B2 (ja) 装置、リクエスト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2081991B2 (en) System and method for user access using mobile identification credential
RU2805668C1 (ru) Предоставление и получение одного или более наборов данных через сеть цифровой связи
US11863980B1 (en) Authentication and authorization for access to soft and hard assets
KR20170009555A (ko) 인증매체를 이용한 권한인증 방법 및 시스템
JP2003324430A (ja) ユーザ情報登録・配送方法,ユーザ情報登録・配送装置,ユーザ情報登録・配送用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の記録媒体
JP2008097110A (ja) クライアントpc登録装置および情報授受システム並びにクライアントpc登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