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2467A - 탈기장치가 포함된 유리섬유 다발을 개섬하는 개섬장치 - Google Patents

탈기장치가 포함된 유리섬유 다발을 개섬하는 개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2467A
KR20240062467A KR1020220143735A KR20220143735A KR20240062467A KR 20240062467 A KR20240062467 A KR 20240062467A KR 1020220143735 A KR1020220143735 A KR 1020220143735A KR 20220143735 A KR20220143735 A KR 20220143735A KR 20240062467 A KR20240062467 A KR 202400624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vibrator
glass fiber
water
fiber bu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3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웅재
최근윤
소현민
강종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지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지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지에프
Priority to KR1020220143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2467A/ko
Publication of KR20240062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24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9/00Opening or cleaning fibres, e.g. scutching cotton
    • D01G9/14Details of machines or apparatus
    • D01G9/22Driv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101/00Inorganic fibres
    • D10B2101/02Inorganic fibres based on oxides or oxide ceramics, e.g. silicates
    • D10B2101/06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기장치가 포함된 유리섬유 다발을 개섬하는 개섬장치 및 탈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탈기장치를 이용하여 탈기수를 공급하며 진동자의 진동을 이용하여 유리섬유 다발을 개섬하는 개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탈기장치가 포함된 유리섬유 다발 개섬장치는 탈기수가 담긴 제1 수조; 상기 제1 수조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인입되며, 탈기수가 담긴 제2 수조; 상기 제2 수조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인입되며, 탈기수가 담긴 제3 수조; 제1 수조 내지 제3 수조에 담긴 수계액을 공급받아 공기를 제거한 탈기수를 공급하는 탈기장치; 탈기수가 담긴 상기 제1 수조의 내부 저면에 마련되는 제1 진동자; 상기 탈기수가 담긴 제3 수조의 내부 저면에 마련되는 제2 진동자; 및 제2 수조 내부로 인입된 유리섬유 다발을 제2 수조 외부로 인출되도록 유리섬유 다발의 방향을 변경하는 반송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탈기장치가 포함된 유리섬유 다발을 개섬하는 개섬장치{Cardboard opening device for opening glass fiber bundles with degassing device}
본 발명은 탈기장치가 포함된 유리섬유 다발을 개섬하는 개섬장치 및 탈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탈기장치를 이용하여 탈기수를 공급하며 진동자의 진동을 이용하여 유리섬유 다발을 개섬하는 개섬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리프레그는 섬유에 열가소성 수지를 함침시킨 후 반경화시킨 섬유강화 열가소성 수지복합체를 의미한다. 이는 경량이면서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갖기 때문에, 항공기나 자동차 부품, 스포츠, 레저와 같은 각종 산업분야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프리프레그 제조 시 보통 탄소 섬유, 유리 섬유 또는 아로마틱 폴리아미드 섬유 등이 사용되는데, 탄소섬유나 유리섬유로 된 강화섬유의 단사를 복수 개 나란히 하여 이루어진 강화섬유 속 복수 개를 서로 평행하게 나란하게 놓은 후, 에폭시수지나 불포화폴리에스테르 등의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켜서 시트화한다.
이 경우 강화섬유에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하기 전 강화섬유에 대한 개섬(Opening) 공정이 거치게 되는데 강화섬유 속을 개섬하는 것에 의해 그 두께를 얇게 하여, 강화섬유 속의 단사 사이까지 열경화성 수지를 충분하게 함침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일본 공개특허 제2017-203235호(발명의 명칭: 탄소 섬유다발의 개섬 장치) 한국등록특허 제10-1901778호(발명의 명칭: 복합소재 섬유다발 개섬 가이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수조를 담긴 수계액에 용존한 산소를 포함한 기체를 제거하는 탈기장치를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수조를 이용하여 유리섬유 다발의 개섬 효율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진동을 이용하여 유리섬유 다발의 개섬 효율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유리섬유 다발에 이물질이 혼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탈기장치가 포함된 유리섬유 다발 개섬장치는 탈기수가 담긴 제1 수조; 상기 제1 수조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인입되며, 탈기수가 담긴 제2 수조; 상기 제2 수조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인입되며, 탈기수가 담긴 제3 수조; 제1 수조 내지 제3 수조에 담긴 수계액을 공급받아 공기를 제거한 탈기수를 공급하는 탈기장치; 탈기수가 담긴 상기 제1 수조의 내부 저면에 마련되는 제1 진동자; 상기 탈기수가 담긴 제3 수조의 내부 저면에 마련되는 제2 진동자; 및 제2 수조 내부로 인입된 유리섬유 다발을 제2 수조 외부로 인출되도록 유리섬유 다발의 방향을 변경하는 반송롤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섬유 다발 탈기장치는 수계액에 용존된 산소를 포함한 기체를 제거하여 유리섬유 다발의 개섬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유리섬유 다발 개섬장치는 탈기수가 담긴 수조 및 진동 주파수를 발산하는 진동자를 이용하여 유리섬유 다발에 진동을 가함으로써 유리다발의 개섬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수조와 구별되는 제2 수조 내에서 유리섬유 다발을 이동하는 방안을 제안함으로써 진동자의 진동에 의해 제1 수조에서 발생된 미립자가 유리섬유 다발에 혼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유리섬유 다발에 상하 양 방향에서 진동을 가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방향에서 진동을 가하는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개섬 효율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유리섬유 다발을 개섬하는 개섬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유리섬유 다발을 개섬하는 수조로 탈기수를 공급하는 탈기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탈기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1 수조에 마련된 제1 진동자의 위치와 제3 수조에 마련된 제2 진동자의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리섬유 다발을 개섬하는 개섬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리섬유 다발을 개섬하는 개섬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유리섬유 다발을 개섬하는 개섬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유리섬유 다발을 개섬하는 개섬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1에 의하면, 유리섬유 다발 개섬장치(100)는 제1 수조(102), 제2 수조(104), 제3 수조(106), 제1 진동자(108), 제2 진동자(110) 및 반송롤러(112)를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유리섬유 다발 개섬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제1 수조(102)는 공기가 제거된 탈기수가 수용되며, 내부에 제1 진동 주파수를 갖는 제1 진동자(108)가 마련된다. 제1 수조(102)에 수용되는 탈기수의 높이는 제2 수조(104)에 수용되어 개섬되는 유리섬유 다발의 위치와 관련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제1 진동자(108)는 제1 수조(102)에 마련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에 의해 제1 진동 주파수를 갖는 진동을 발산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제1 진동자(108)의 위치는 제1 수조(102)의 저면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진동자(108)는 제1 수조(102)의 저면뿐만 아니라 제1 수조(102)의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제1 진동자(108)가 제1 수조(102)의 측면에 마련되는 경우에는 제1 수조(102)의 일측에만 마련되는 것보다 양 측면에 각각 하나씩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탈기수는 제1 수조(102)에 담긴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제1 수조(102)에 담기는 탈기수는 물속에 포함된 산소 등 공기가 제거된 상태이다. 제1 수조(102)에 담기는 물로 탈기수를 사용하는 이유는 물에 산소 등을 포함하는 기체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제1 진동자(108)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이 효과적으로 전달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물속에 포함된 기체가 제거된 탈기수를 사용함으로써 제1 진동자(108)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유리섬유 다발에 전달하여 유리섬유 다발의 개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물에 포함된 공기를 제거하는 탈기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제2 수조(104)는 제1 수조(102)의 내부에 인입되며, 내부에 공기가 제거된 탈기수가 담긴다.
반송롤러(112)는 제2 수조(104) 내부에 마련되며, 제2 수조(104) 내부로 인입되는 유리섬유 다발의 진행 방향을 변경한다. 반송롤러(112)는 제2 수조(104) 내부에 2개가 마련되며, 제2 수조(104) 내부로 인입된 유리섬유 다발은 두 개의 반송롤러(112)에 의해 이동 경로가 변경되어 제2 수조(104) 외부로 인출된다. 반송롤러(112) 역시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반송롤러(112)는 나사선 롤러, 히팅 롤러 또는 요철 롤러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제1 수조(102) 내부에 제2 수조(104)를 인입한 상태에서 유리섬유 다발을 개섬하는 이유는 제1 진동자(108)의 진동에 의해 제1 수조(102) 역시 진동되며, 이에 따라 제1 수조(102)를 구성하는 재질의 일부가 미립자 형태로 제1 수조(10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에 제1 수조(102) 내부에 제2 수조(104)를 인입한 상태에서 제1 진동자(108)에서 진동을 발산하도록 하여, 제1 수조(102)에서 발생된 미립자가 유리섬유 다발에 혼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제1 진동자(108)가 마련되는 제1 수조(102)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반면, 제2 수조(104)는 제1 진동자(108)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이 유리섬유 다발에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유연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수조(106)는 제2 수조(104) 내부에 인입되며, 내부에 공기가 제거된 탈기수가 담긴다.
제2 진동자(110)는 제3 수조(106) 내부에 마련되며, 제2 진동 주파수를 갖는 진동을 발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진동자(110)의 위치는 제3 수조(106)의 저면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진동자(110)는 제3 수조(106)의 저면뿐만 아니라 제3 수조(106)의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제2 진동자(110)가 제3 수조(106)의 측면에 마련될 경우에는 제3 수조(106)의 일측에만 마련되는 것이 아니라, 양 측면에 각각 하나씩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유리섬유 다발을 개섬하는 개섬장치는 3개의 수조로 구성되며, 3개의 수조 중 하단에 위치한 수조 및 상단에 위치한 수조에는 진동자를 마련되는 반면, 중앙에 위치한 수조는 개섬이 요구되는 유리섬유 다발이 수용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제1 진동자(108) 또는 제2 진동자(110)에서 발산되는 진동이 유리섬유 다발에 효과적으로 전달되기 위해 제2 수조(104)의 저면 또는 제3 수저(106)의 저면은 다른 부분과 달리 유연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수조(102)는 딱딱한 재질로 구성되는 반면, 제2 수조(104)는 딱딱한 재질과 유연한 재질로 구성되며, 제3 수조(106) 역시 딱딱한 재질과 유연한 재질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진동자(108)에서 발산되는 진동 주파수와 제2 진동자(110)에서 발산되는 진동 주파수를 달리한다. 즉, 제1 수조(102)에 마련된 제1 진동자(108)에 의해 발산되는 진동에 의해 제1 수조(102)에서 분리된 미립자가 발생되나, 제1 수조(102)에서 발생된 미립자는 유리섬유 다발이 인입되는 제2 수조(104)로 인해 유리섬유 다발에 혼입되지 않는다. 이에 비해 제3 수조(106)에 마련된 제2 진동자(110)에 의해 발산되는 진동에 의해 제2 수조(104)에 미립자가 발생될 수 있으며, 제2 수조(104)에 발생된 미립자는 유리섬유 다발에 혼입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본 발명은 유리섬유 다발의 개섬 효율과 미립자가 유리섬유 다발에 혼합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제1 수조(102)에 마련된 제1 진동자(108)는 제2 진동자(110)에 비해 높은 진동 주파수를 갖는 진동을 발산하며, 제3 수조(106)에 마련된 제2 진동자(110)는 제1 진동자(108)에 비해 낮은 진동 주파수를 갖는 진동을 발산한다. 이와 같이 제1 수조(102)에 마련된 제1 진동자(108)와 제3 수조(106)에 마련된 제2 진동자(110)의 진동 주파수를 달리함으로써 유리섬유 다발의 개섬 효율과 유리섬유 다발에 미립자가 혼합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유리섬유 다발 개섬장치는 유리섬유 다발을 제2 수조(104) 내부로 인입하는 인입롤러(114a)와 제2 수조(104)에서 유리섬유 다발을 인출하는 인출롤러(114b)를 포함한다. 물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입롤러(114a)와 인출롤러(114b)는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유리섬유 다발을 개섬하는 수조로 탈기수를 공급하는 탈기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유리섬유 다발을 개섬하는 수조로 탈기수를 공급하는 탈기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1과 비교하면 도 2는 탈기장치(120)가 추가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탈기장치는 수조로부터 수계액을 제공받아 수계액에 포함된 기체를 제거한 탈기수를 수조로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탈기장치는 수조에 연결되어 있으며, 수조로부터 수계액을 공급받는 제1 배관(122)과 수조로 탈기수를 공급하는 제2 배관(124)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제1 수조에만 탈기장치가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탈기장치는 제1 수조뿐만 아니라 제2 수조 및 제3 수조에도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탈기장치는 수계액에 용존해 있는 기체(특히 산소)를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수계액에 용존해 있는 기체를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진공방식, 질소 블로우 방식 및 컴비네이션 방식이 있다. 진공방식은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공기를 감압하여 수계약에 용존해 있는 기체를 제거한다.
질소 블로우방식은 질소를 블로우하여 수계액에 용존해 있는 산소를 제거하는 방식이며, 컴비네이션 방식은 진공방식과 질소 블로우 방식을 결합한 방식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탈기장치를 이용하여 수계액에 용존해 기체를 제거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특히 본 발명은 수계액의 용존기체량이 3ppm 이하가 되도록 하여 초음파에 의한 공기발생량을 줄여 공기가 초음파 전달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탈기수에 콜로이달 실리카를 함유하는 방안을 제안하며, 콜로이달 실리카의 질량 비율은 0.01 질량% 내지 5 질량%가 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탈기수의 수온을 관리할 수 있다. 수조에 수온 조졸 장치를 추가하여 탈기수의 온도가 60 내지 90℃가 되도록 한다. 이외에도 탈기장치에서 수조로 배관에 필터를 장착하여 탈기수에 이물질이 포함되지 않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탈기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3(a)는 진공방식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3(b)는 질소 브로우방식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3(c)는 컴비네이션 방식을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1 수조에 마련된 제1 진동자의 위치와 제3 수조에 마련된 제2 진동자의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1 수조에 마련된 제1 진동자의 위치와 제3 수조에 마련된 제2 진동자의 위치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도 3에 의하면, 제1 수조에 마련되는 제1 진동자는 제1 수조에 하나만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 간격으로 적어도 2개가 배치된다. 즉, 제1 수조는 적어도 2개의 제1 진동자가 마련된다.
제3 수조에 마련되는 제2 진동자는 제3 수조에 하나만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 간격으로 적어도 2개가 배치된다. 즉, 제3 수조는 적어도 2개의 제2 진동자가 마련된다. 다만, 제2 진동자가 제1 진동자가 마련된 위치를 고려하여 마련된다. 상방에서 하방으로 바라볼 때 제1 진동자가 마련되지 않은 부분 즉, 인접한 제1 진동자 사이에 제2 진동자가 마련된다. 이와 같이 제1 진동자가 마련되는 위치를 고려하여 제2 진동자가 마련되는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유리섬유 다발의 개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리섬유 다발을 개섬하는 개섬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5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리섬유 다발을 개섬하는 개섬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5에 의하면, 유리섬유 다발 개섬장치(100)는 제1 수조(102), 제2 수조(104), 제3 수조(106), 제1 진동자(108), 제2 진동자(110), 제3 진동자(114) 및 반송롤러(112)를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유리섬유 다발 개섬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과 비교해서 추가된 구성인 제3 진동자(114)를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제3 진동자(114)는 제2 수조(104)에 마련된다. 제3 진동자(114)는 제1 진동자(108) 및 제2 진동자(110)와 달리 제2 수조(104)의 외부면에 마련된다. 즉, 제1 진동자(108)는 제1 수조(102)의 내부면에 마련되며, 제2 진동자(110)는 제3 수조(106)의 내부면에 마련된다. 이에 비해 제3 진동자(114)는 제2 수조(104)의 외부면에 마련된다. 특히, 제3 진동자(114)는 제2 수조(104)의 측면 외부면에 마련되어, 제2 수조(104)로 인입된 유리섬유 다발이 반송롤러(112)에 경유하기 이전에 유리섬유 다발에 대한 개섬을 진행한다. 즉, 제3 진동자(114)에 의해 1차로 개섬 작업이 진행된 유리섬유 다발은 반송롤러(112), 제1 진동자(108) 및 제2 진동자(110)에 의해 추가로 개섬 작업이 진행된다. 이외에도 제3 진동자(114)는 제1 수조(102)에 담긴 탈기수에 잠긴 상태에서 진동할 수 있도록 하며, 제3 진동자(114)의 진동 주파수는 제2 진동자(110)의 진동 주파수와 동일하게 유지한다. 즉, 제3 진동자(114)의 진동 주파수는 제1 진동자(108)의 진동 주파수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진동자를 수조의 다양한 지점에 배치함으로써 유리섬유 다발에 대한 개섬 효율을 향상시킨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리섬유 다발을 개섬하는 개섬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6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리섬유 다발을 개섬하는 개섬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6에 의하면, 유리섬유 다발 개섬장치(100)는 제1 수조(102), 제2 수조(104), 제3 수조(106), 제1 진동자(108), 제2 진동자(110) 및 반송롤러(112)를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유리섬유 다발 개섬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제1 수조 내부 양측에 각각 반송롤러가 배치되는 반면, 도 6은 제1 수조 내부에 제1 반송롤러 내지 제3 반송롤러로 구성되는 3개의 반송롤러가 배치된다. 특히, 제1 반송롤러(112a)와 제3 반송롤러(112c)는 제1 수조(102) 내에서 제2 반송롤러(112b)보다 상대적으로 하단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1 수조(102) 내부에 3개의 반송롤러(112)를 배치함으로써 제1 수조(102) 내에서 유리섬유 다발이 이동하는 거리가 증가되며, 이로 인해 유리섬유 다발의 개섬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진동자(108)의 진동 주파수가 제2 진동자(110)의 진동 주파수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함으로써, 유리섬유 다발에는 제1 진동자(108)에 의한 진동이 제2 진동자(110)에 의한 진동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진동이 가해된다. 본 발명은 유리섬유 다발의 상하에 가해지는 진동이 동일하거나 최소한의 오차를 갖도록 하기 위해 제2 반송롤러(112b)를 제1 반송롤러(112a) 및 제3 반송롤러(112c)보다 상대적으로 제3 수조(106)에 가깝게 배치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진동자에서 발산되는 진동 주파수의 크기에 따라 유리섬유 다발이 이동하는 경로를 달리 설정한다. 본 발명은 진동 주파수의 크기가 큰 진동자로부터의 거리에 비해 진동 주파수의 크기가 작은 진동자로부터의 거리가 가깝게 제2 반송롤러(122b)를 배치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유리섬유 다발 개섬장치
102: 제1 수조 104: 제2 수조
106: 제3 수조 108: 제1 진동자
110: 제2 진동자 112: 반송롤러
114: 제3 진동자 112a: 제1 반송롤러
112b: 제2 반송롤러 112c: 제3 반송롤러
120: 탈기장치 122: 제1 배관
124: 제2 배관

Claims (7)

  1. 탈기수가 담긴 제1 수조;
    상기 제1 수조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인입되며, 탈기수가 담긴 제2 수조;
    상기 제2 수조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인입되며, 탈기수가 담긴 제3 수조;
    제1 수조 내지 제3 수조에 담긴 수계액을 공급받아 공기를 제거한 탈기수를 공급하는 탈기장치;
    탈기수가 담긴 상기 제1 수조의 내부 저면에 마련되는 제1 진동자;
    상기 탈기수가 담긴 제3 수조의 내부 저면에 마련되는 제2 진동자; 및
    제2 수조 내부로 인입된 유리섬유 다발을 제2 수조 외부로 인출되도록 유리섬유 다발의 방향을 변경하는 반송롤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탈기장치가 포함된 유리섬유 다발 개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기장치는,
    수조로부터 수계액을 공급받는 제1 배관 및 탈기수를 공급하는 제2 배관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탈기장치가 포함된 유리섬유 다발 개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탈기장치는,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수계액에 용존해 있는 기체를 제거하거나, 질소를 블로우하여 수계액에 용존해 있는 산소를 제거함을 특징으로 하는 탈기장치가 포함된 유리섬유 다발 개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조는 하나의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제2 수조 및 제3 수조는 연성 재질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재질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탈기장치가 포함된 유리섬유 다발 개섬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진동자는 일정 간격으로 적어도 두 개가 제1 수조의 저면에 마련되며,
    상기 제2 진동자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볼 때, 상기 제1 진동자의 마련되지 않은 지점에 일정 간격으로 적어도 2개가 제3 수조의 저면에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탈기장치가 포함된 유리섬유 다발 개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조에 담긴 탈기수에 잠긴 상태에서 상기 제2 수조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제3 진동자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탈기장치가 포함된 유리섬유 다발 개섬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진동자의 진동 주파수는 상기 제2 진동자의 진동 주파수 및 제3 진동자의 진동 주파수보다 상대적으로 높으며,
    상기 제2 진동자의 진동 주파수와 상기 제3 진동자의 진동 주파수는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탈기장치가 포함된 유리섬유 다발 개섬장치.
KR1020220143735A 2022-11-01 2022-11-01 탈기장치가 포함된 유리섬유 다발을 개섬하는 개섬장치 KR202400624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3735A KR20240062467A (ko) 2022-11-01 2022-11-01 탈기장치가 포함된 유리섬유 다발을 개섬하는 개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3735A KR20240062467A (ko) 2022-11-01 2022-11-01 탈기장치가 포함된 유리섬유 다발을 개섬하는 개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2467A true KR20240062467A (ko) 2024-05-09

Family

ID=91075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3735A KR20240062467A (ko) 2022-11-01 2022-11-01 탈기장치가 포함된 유리섬유 다발을 개섬하는 개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6246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203235A (ja) 2016-05-12 2017-11-16 ジャパンコンポジット株式会社 炭素繊維束の開繊装置
KR101901778B1 (ko) 2017-09-20 2018-09-28 (주)유디엠 복합소재 섬유다발 개섬 가이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203235A (ja) 2016-05-12 2017-11-16 ジャパンコンポジット株式会社 炭素繊維束の開繊装置
KR101901778B1 (ko) 2017-09-20 2018-09-28 (주)유디엠 복합소재 섬유다발 개섬 가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04273A (ko) 고압 가스 용기
KR20240062467A (ko) 탈기장치가 포함된 유리섬유 다발을 개섬하는 개섬장치
JP2014513638A (ja) ポリマー含浸繊維帯材の形態をした複合繊維材料の製造方法及び装置
CA244743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in molding a composite structure
EP1321198B1 (en) Ultrasonic cleaner and wet treatment nozzle comprising the same
US7954450B2 (en) Optical fiber coating apparatus for preventing generation of bubble in coating layer of optical fiber and method of coating optical fiber using the same
JP5423581B2 (ja) ガラス繊維織物の開繊装置及び開繊方法
KR102580284B1 (ko) 유리섬유 다발을 개섬하는 개섬장치
JP4833656B2 (ja) 包装材料回収方法及び包装材料回収装置
US5846602A (en) Process and device for the production of a tube for lining pipe conduits and sewer systems
US20180243947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fiber-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CN108943719A (zh) 一种用于打印碳纤维的3d打印机
JP2010084236A (ja) ガラス繊維織物の製造方法
US11421092B2 (en) Method for preparing unidirectionally aligned discontinuous fiber reinforcement composite material, unidirectionally aligned discontinuous fiber reinforcement composite material, and sandwich structure
KR101415893B1 (ko) 단열보드 및 그 제조 방법, 이것을 이용한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EP3453524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pultruded material
JPS5882719A (ja) 繊維強化プラスチツク用成形材料の製法
KR20220134226A (ko) 탄소섬유 재단장치
KR102664950B1 (ko) 유리 섬유 직물의 개섬 장치 및 방법
US20220111412A1 (en) Ultrasonic atomization apparatus
JP3767510B2 (ja) Frp板の連続成形方法
KR20240077864A (ko) 초음파를 적용한 개섬 장치 및 방법
US7785446B2 (en) Flow sheet for paper machin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12585309A (zh) 混合增强织物
JP4465622B2 (ja) 成形ボード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