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2018A - 비대면 가상현실을 이용한 미술 치료 방법 - Google Patents

비대면 가상현실을 이용한 미술 치료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2018A
KR20240062018A KR1020220144022A KR20220144022A KR20240062018A KR 20240062018 A KR20240062018 A KR 20240062018A KR 1020220144022 A KR1020220144022 A KR 1020220144022A KR 20220144022 A KR20220144022 A KR 20220144022A KR 20240062018 A KR20240062018 A KR 20240062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iagnosis
art therapy
psychological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4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민
Original Assignee
박경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민 filed Critical 박경민
Priority to KR1020220144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2018A/ko
Publication of KR20240062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201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실시예는 비대면의 가상현실 콘텐츠를 이용한 미술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방법은 먼저 내담자와 치료자가 각기 메타버스 가상현실을 위한 HMD와 같은 단말기를 통해 관리 정보처리장치에 접속하여 미술을 통해 심리 진단과 치료를 할 경우, 관리 정보처리장치의 제어부에서 치료자에게 심리 진단정보를 제공하고, 내담자를 통한 진단결과를 분석하여 미술치료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실시예에 따라 미술치료를 할 경우, 내담자와 치료자가 특정한 도구를 통해 같이 접속하여 직접 편리하게 내담자에게 적합한 상황에서 진단유형별로 각기 맞추어서 그림을 그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미술 치료를 보다 원활하고 손쉽게 진행한다.
참고로, 이렇게 저작을 한 다음에는, 저작한 정보 내의 사용자 입력에 따른 특성정보를 분석하여 예를 들어, 저작방식과 색상, 모양 등을 분석하여 진단 결과정보를 검출하고, 이에 따른 훈련 정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내담자가 그린 그림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로 저장을 해서 이후 분석과 서비스 제공을 위해 예를 들어, 심리성향을 인식하는 데에 활용한다.

Description

비대면 가상현실을 이용한 미술 치료 방법{Method for psychotheraphy employing art of virtual reality based in contact-free}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미술치료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술을 통해 심리 진단과 치료를 할 경우, 진단 결과에 대하여 각기 훈련 프로그램을 맞추어 제공하여 치료 등을 원활하게 도와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최근에 알려진 바에 따르면, 현대사회에서 유. 아동들의 주의력에 관한 상황을 보면, 가정이나 유치원, 학교 등에서 부모와 교사의 적절한 지도방안과 교육태도 인식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기도 하다. 이에 주의력 훈련과 정서지능 향상을 보다 직감적이고 흥미롭게 접근하며 올바른 지도방안과 이해를 인식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치료 프로그램 등이 있다.
예를 들어, 미술을 이용하여 심리를 치료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등이 있는데, 이러한 방법은 진단부터 훈련까지 도와주며, 부모와 교사가 함께 참여하여 더 이해하고 적절한 교육을 전해준다.
그리고, 이러한 배경을 알려주는 선행기술은 아래의 문헌 정도이다.
(특허문헌 0001) KR101524753 B1
참고적으로, 위의 문헌 1은 미술 심리 상담을 통해 심리적인 상황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경우에 이 방법 즉, 훈련 프로그램으로부터 보다 직관적이고 흥미롭게 접근을 함으로써, 긍정적인 상호관계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하여 준다.
그런데, 이렇게 기존에 미술을 통해 진단과 심리 치료를 할 경우, 단순하게 훈련 프로그램에서 예를 들어, 특정한 미술 작품이나, 음악 등을 이용하기도 하여 진단에 따른 치료를 하므로, 여러 상황에서 조금 더 편안하고 안정적인 치료를 도울 수 있을 여지가 있다.
개시된 내용은, 미술치료를 할 경우, 내담자와 치료자가 특정 도구를 통해 같이 접속하여 직접 편리하게 내담자에게 적합한 상황에서 진단용의 그림을 그릴 수 있도록 하여 미술치료를 진행하는 비대면 가상현실을 이용한 미술 치료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가상현실을 이용한 미술 치료 방법은,
먼저, 기존과 같이 내담자와 치료자가 각기 단말기를 통해 관리 정보처리장치에 접속하여 미술을 통해 심리 진단과 치료를 할 경우, 관리 정보처리장치의 제어부에서 치료자에게 심리 진단정보를 제공하고, 내담자를 통한 진단결과를 분석하여 미술치료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실시예에 따라 미술치료를 할 경우, 내담자와 치료자가 특정한 도구를 통해 같이 접속하여 직접 편리하게 내담자에게 적합한 상황에서 진단유형별로 각기 맞추어서 그림을 그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미술 치료를 보다 원활하고 손쉽게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한 도구는,
먼저, 등록 정보처리장치에서 다수의 상이한 심리 진단유형별로 각기 미술치료 콘텐츠 기본 저작도구의 패치를 일괄적으로 만드는 설정 제 1 포맷을 통해 각 심리 진단유형별로의 미술치료 콘텐츠 기본 저작도구를 제공받는다.
그래서, 상기 심리 진단유형별로의 미술치료 콘텐츠 기본 저작도구 중에서 사용자의 진단 유형에 대응하는 도구를 진단 정보로서 회신함으로써, 미술치료 콘텐츠를 사용자 진단 정보별로 맞게 맞춤저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참고로, 이렇게 저작을 한 다음에는, 저작한 정보 내의 사용자 입력에 따른 특성정보를 분석하여 예를 들어, 저작방식과 색상, 모양 등을 분석하여 진단 결과정보를 검출하고, 이에 따른 훈련 정보를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미술치료 콘텐츠를 저작한 경우마다, 해당 미술치료 콘텐츠로부터 색상, 모양, 위치, 붓의 두께, 그리고 저작방식 등을 포함한 특성정보를 각기 추출하여 설정 제 2 포맷에 적용함으로써, 사용자 심리성향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설정 제 2 포맷은,
다수의 상이한 심리 진단유형별로 각기 저작한 미술치료 콘텐츠의 정보를 색상, 모양, 위치, 붓의 두께, 그리고 저작방식 등을 포함한 특성정보로 각기 나누어서, 설정 개수보다 이상의 정보만큼 수집하여 사용자 심리성향을 상이한 특성정보에 따라 인식하는 포맷을 정의하는 제 1 과정;
상기 설정 개수보다 이상의 미술치료 콘텐츠의 정보별로 각기 색상, 모양, 위치, 붓의 두께, 그리고 저작방식 등을 포함한 특성정보의 데이터셋을 추출하는 제 2 과정;
다수의 상이한 심리 진단유형별로 각기 미술치료 콘텐츠마다의 특성정보에 대한 속성을 결정하는 제 3 과정;
상기 결정한 정보로부터 정규화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 4 과정;
다수의 상이한 심리 진단유형별로 각기 미술치료 콘텐츠의 정보마다의 특성정보로 사용자의 심리성향을 인식하기 위한 독립 및 종속 변수를 설정하는 제 5 과정; 및
상기 설정한 정보에 대해 학습 및 훈련 정보로서 추출함으로써, 사용자 심리성향을 인식하는 제 6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들에 의하면, 미술치료를 할 경우, 내담자와 치료자가 전술한 도구를 통해 같이 접속하여 직접 편리하게 내담자에게 적합한 상황에서 진단유형별로 각기 맞추어서 그림을 그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미술 치료를 보다 원활하고 손쉽게 진행한다.
그리고, 내담자가 그린 그림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로 저장을 해서 이후 분석과 서비스 제공을 위해 예를 들어, 심리성향을 인식하는 데에 활용한다.
부가적으로, 이러한 미술 심리진단과 치료를 할 경우, 다양한 심리 진단유형별로 각기 맞는 그림을 그릴 도구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바에 따라 맞춤 저작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비대면의 가상현실 콘텐츠를 이용한 미술 치료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방법에 적용한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방법에 적용한 사용자 단말기와 관리 정보처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방법에 적용한 미술 작품을 보여주는 도면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비대면의 가상현실 콘텐츠를 이용한 미술 치료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는 먼저, 기존대로 내담자와 치료자가 각기 단말기를 통해 관리 정보처리장치에 접속하여 미술을 통해 심리 진단과 치료를 할 경우, 관리 정보처리장치의 제어부에서 치료자에게 심리 진단정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내담자를 통한 진단결과를 분석함으로써, 미술 치료를 도와주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일실시예에 따라 미술치료를 할 경우, 내담자와 치료자가 특정 도구를 통해 같이 접속하여 직접 편리하게 내담자에게 적합한 상황에서 진단유형별로 각기 맞추어서 그림을 그리도록 함으로써, 미술 치료를 보다 원활하고 손쉽게 진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한 특정 도구는 아래의 동작을 수행한다.
먼저, 등록 정보처리장치에서 다수의 상이한 심리 진단유형별로 각기 미술치료 콘텐츠 기본 저작도구의 패치를 일괄적으로 만드는 설정 제 1 포맷을 통해 각 심리 진단유형별로의 미술치료 콘텐츠 기본 저작도구를 제공받는다.
그래서, 상기 심리 진단유형별로의 미술치료 콘텐츠 기본 저작도구 중에서 사용자의 진단 유형에 대응하는 도구를 진단 정보로서 회신함으로써, 미술치료 콘텐츠를 사용자 진단 정보별로 맞게 맞춤저작한다.
예를 들어, 주의력에 관한 점일 경우에, 여러 주의력에 관한 심리 진단유형에 따라 맞춰서(예: 주의력 등급별) 그림을 그릴 도구를 맞춤 제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바에 따라 저작함으로써, 사용자와 심리 진단정보별로 각기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한다.
부가적으로, 이러한 미술 작품 이외에 음악 등으로 치료할 경우에도 해당 도구에 대응하여 설정등록한 음악 정보를 함께 제공하므로, 더 편안하고 안정적인 상황을 조성해 주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 음악 정보는 예를 들어, 다수의 상이한 심리 진단유형별로 각기 도구마다 대응하여 설정등록한다. 예컨대, 주의력에 대한 것일 경우에 차분한 유형의 음악을 들려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렇게 그림을 그린 다음에는, 저작한 정보 내의 사용자 입력에 따른 특성정보를 분석하여 예를 들어, 저작방식과 색상, 모양 등을 분석하여 진단 결과정보를 검출하고, 이에 따른 훈련 정보를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일실시예에 따라 미술치료 콘텐츠를 저작한 경우마다, 해당 미술치료 콘텐츠로부터 색상, 모양, 위치, 붓의 두께, 그리고 저작방식 등을 포함한 특성정보를 각기 추출하여 설정 제 2 포맷에 적용함으로써, 사용자 심리성향을 인식한다.
예를 들어, 색상이 어둡거나 모양이 선과 같은 것이 많은 경우에 비교적 세심한 것으로 여기고, 색상이 밝거나 모양이 원과 같은 둥근 모습일 경우에는 원만하고 융통성이 있는 것으로 여기기도 한다.
한편, 저작방식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주변의 가까이에 있는 사람과 나무 등을 비교적 밝게 많이 그릴 경우에는 친화감이 느껴지는 것으로 여기고, 동물 등을 많이 그릴 경우에는 보호와 다정한 것으로 느껴지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정 제 2 포맷은 아래와 같이 동작한다.
먼저, 다수의 상이한 심리 진단유형별로 각기 저작한 미술치료 콘텐츠를 색상과 모양, 위치, 붓의 두께, 그리고 저작방식 등을 포함한 특성정보로 각기 나누어서, 설정 개수보다 이상의 정보만큼 수집하여 사용자 심리성향을 상이한 특성정보에 따라 인식하는 포맷을 정의한다.
그리고, 상기 설정 개수보다 이상의 미술치료 콘텐츠별로 각기 색상과 모양, 위치, 붓의 두께, 그리고 저작방식 등을 포함한 특성정보의 데이터셋을 추출한다.
다음, 다수의 상이한 심리 진단유형별로 각기 미술치료 콘텐츠마다의 특성정보에 대한 속성을 결정한다.
상기 결정한 정보로부터 정규화 데이터를 획득한다.
그래서, 다수의 상이한 심리 진단유형별로 각기 미술치료 콘텐츠마다의 특성정보로 사용자의 심리성향을 인식하기 위한 독립 및 종속 변수를 설정한다.
이를 통해, 상기 설정한 정보에 대해 학습 및 훈련 정보로서 추출함으로써, 사용자 심리성향을 인식한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방법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방법은 크게, 다수의 상이한 장소에서 각기 사용자별로 지닌 사용자 단말기(100)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자가망 등을 통해 연동하는 원격지 상의 관리 정보처리장치(200)를 포함한다.
이외에도 이러한 경우, 외부 연계처로서 상기 관리 정보처리장치(200)와 연동하여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술치료사 단말기와 미술인과 미술치료사, 관리자, 사용자를 연결하는 중계 단말기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기도 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다양한 장소에서 심리 진단과 치료정보를 받는 것으로, 예를 들어, 전술한 도구를 통해 치료자와 같이 동시에 접속하여 내담자에게 적합한 상황에서 진단받을 상황에 맞추어서 그림을 그릴 수 있는 저작도구를 제공받는다. 그래서, 이러한 저작도구를 통해 그림을 그려서 미술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관리 정보처리장치(200)는 이러한 미술치료를 할 경우, 내담자와 특정 도구를 통해 동시에 접속하여 내담자 측에서 적합한 상황 하에 사용자의 진단유형별로 각기 맞추어서 저작도구를 제공한다. 그리고, 이러한 저작도구로 내담자가 그린 그림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로 저장을 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이후 분석과 서비스 제공을 위해 예를 들어, 심리성향을 인식하는 데에 활용한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방법에 적용한 사용자 단말기와 관리 정보처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는 크게, 키신호 입력부(101)와 인터페이스부(102), 제어부(103), 저장부(104) 및 표시부(105)를 포함한다.
그리고, 관리 정보처리장치(200)는 키신호 입력부(201)와 인터페이스부(202), 메인 처리부(203), 저장부(204) 및 표시부(205)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상기 키신호 입력부(101)는 일실시예에 따른 미술치료를 할 경우, 사용자 키 조작에 따라 각종 설정정보를 예를 들어, 관리자 등록정보와 서지정보 등의 설정정보 등을 입력받아 처리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02)는 원격지 상에 있는 관리 정보처리장치(200) 등과 연결하여, 미술치료 등을 할 경우, 관리 정보처리장치 등에서 전술한 도구를 통해 저작도구를 제공받거나 각종 서지정보 등을 외부에 전달하기도 한다.
상기 제어부(103)는 상기 각 부를 제어하는 것으로, 미술 치료를 위한 진단과 훈련을 수행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부(102)를 통해 전술한 도구로 치료자와 같이 동시에 접속하여 내담자에게 적합한 상황에서 진단받을 상황에 맞추어서 저작도구를 제공받는다. 그리고, 이러한 저작도구를 통해 사용자 키 조작에 따라 그림을 그려서 회신하여 준다.
상기 저장부(104)는 상기 제어부(103)의 제어에 의해 전술한 미술치료 콘텐츠와 각종 등록정보 및 설정정보를 저장 등록한다.
상기 표시부(105)는 상기 제어부(104)의 제어에 의해 미술치료에 관한 진단과 훈련을 할 경우, 해당 진단과 훈련 프로그램에 맞추어서 각종 영상을 같이 표시하여, 훈련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관리 정보처리장치(200)에서 상기 키신호 입력부(201)는 영상을 통한 미술치료를 할 경우, 관리자 키 조작에 따라 각종 설정정보를 예를 들어, 전술한 패치와 서지정보 등을 입력받아 처리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201)는 사용자 단말기(100) 등과 연결하여, 미술치료를 할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 등에 각종 저작도구를 제공하거나 또는, 등록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저작도구 패치를 일괄 제공받는다. 부가적으로, 미술인으로부터 직접 미술 작품을 전달받기도 한다.
상기 메인 처리부(202)는 상기 각 부를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인터페이스부(201)를 통해 내담자와 특정 도구를 통해 동시에 접속하여 내담자 측에서 적합한 상황 하에 사용자의 진단유형별로 각기 맞추어서 저작도구를 제공한다. 그리고, 내담자가 그린 그림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로 저장을 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이후 분석과 서비스 제공을 위해 예를 들어, 심리성향을 인식하는 데에 활용한다.
상기 저장부(203)는 상기 메인 처리부(202)의 제어에 의해 상기 패치에 관한 정보와 각종 등록 및 설정 정보를 저장 등록한다.
상기 표시부(204)는 상기 메인 처리부(202)의 제어에 의해 예를 들어, 패치를 제공받을 경우와 저작도구를 제공할 경우, 관리자에게 패치에 관한 정보와 저작도구 및 사용자 정보를 표시하여 알려주기도 한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는 먼저 기존대로, 내담자와 치료자가 각기 단말기를 통해 관리 정보처리장치에 접속하여 미술을 통해 심리 진단과 치료를 할 경우, 관리 정보처리장치의 제어부에서 치료자에게 심리 진단정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내담자를 통한 진단결과를 분석하여, 미술 치료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내담자와 치료자가 각기 접속하여 미술 치료를 할 경우, 전술한 설정 도구를 통해 접속하여 미술치료를 진행하도록 한다.
즉, 등록 정보처리장치에서 다수의 상이한 심리 진단유형별로 각기 미술치료 콘텐츠 기본 저작도구의 패치를 일괄적으로 만드는 설정 제 1 포맷을 통해 각 심리 진단유형별로의 미술치료 콘텐츠 기본 저작도구를 제공받는다.
그리고 나서, 상기 심리 진단유형별로의 미술치료 콘텐츠 기본 저작도구 중에서 사용자의 진단 유형에 대응하는 도구를 심리 진단 정보로서 회신함으로써, 미술치료 콘텐츠를 사용자 진단 정보별로 맞게 맞춤 저작하도록 한다(S401-S402).
다음, 상기 저작한 미술치료 콘텐츠를 회신받을 경우, 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른 특성정보를 분석하여 진단 결과정보를 검출한다(S403).
그래서, 상기 진단 결과정보에 기초하여 훈련 프로그램을 추출하여 진단 상황에 따라 각기 제공한다(S404). 이를 위해, 다수의 상이한 연령별 구간 및 분야에 따라 심리 진단정보와, 심리 진단유형별로 각기 진단 결과정보에 따른 훈련 프로그램을 설정 등록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미술치료 콘텐츠를 저작한 경우마다, 해당 미술치료 콘텐츠로부터 색상과 모양, 위치, 붓의 두께, 그리고 저작방식 등을 포함한 사용자 입력에 따른 특성정보를 각기 추출하여 전술한 설정 제 2 포맷에 적용함으로써, 사용자 심리성향을 인식한다.
즉, 내담자가 그린 정보를 저장하여 이후 분석과 서비스 제공을 위해 즉, 심리성향을 인식하는 데에 활용하는 데에 활용한다.
이상과 같이, 일실시예는 미술치료를 할 경우, 내담자와 치료자가 특정한 도구를 통해 같이 접속하여 직접 편리하게 내담자에게 적합한 상황에서 진단유형별로 각기 맞추어서 그림을 그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미술 치료를 보다 원활하고 손쉽게 진행한다.
그리고, 내담자가 그린 그림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로 저장을 해서 이후 분석과 서비스 제공을 위해 예를 들어, 심리성향을 인식하는 데에 활용한다.
한편, 다른 실시예는 이러한 심리 진단유형에 맞추어서 진단 정보(즉, 그림을 그릴 도구)를 제공할 경우, 아래의 방식을 통해서 도구를 상세하게 상이하게 제공하므로, 더욱 더 편안한 분위기 등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아래와 같다.
즉, 상기 제 1 포맷에 따라 미술치료 콘텐츠 기본 저작도구의 패치를 만들 경우, 상이한 심리 진단유형별로 각기 기본 프레임을 만들 패브릭 도구인 도화지 부재와 서포트 도구인 채색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패치를 만든다.
그리고, 미술치료 콘텐츠를 저작할 경우, 각각의 진단 유형별로 각기 대응하는 도구를 사용하여 해당 정보를 맞춤 저작한다.
부가적으로, 전술한 채색 부재 등은 예를 들어, 팔레트와 브러쉬 부재는 틸트브러쉬 오픈소스를 바탕으로 구성하며, 틸트브러쉬의 기능에 제작한 오브젝트를 웹에 저장 및 공유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그리고 또한, 이러한 콘텐츠를 메타버스 공간 및 증강현실에서 구현하는 기능을 구비하기도 한다. 그리고 사용자간 협업 및 쌍방향 소통을 통한 콘텐츠 제작 및 공유가 가능하도록 한다.
먼저, 이러한 팔레트 부재는 먼저 팔레트 컨트롤러로서 구성하고, 여기에는 세 개의 팔레트 면이 있으며, 엄지손가락을 사용하여 썸패드 또는 썸스틱을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스와이프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또한 페인트 컨트롤러를 팔레트쪽으로 기울이고 포인터에 초점을 맞춘 후 방아쇠를 당기면 팔레트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페인팅 컨트롤러의 그립을 사용하여 기존 팔레트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월드에 생성된 패널을 잡아 팔레트에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실행 취소(썸패드 왼쪽, X 혹은 A 버튼) 또는, 다시 실행(썸패드 오른쪽, Y 또는 B)단축키를 클릭하면 실행취소와 다시실행 단축키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빠르게 실행취소/다시실행하려면 지정된 컨트롤러 버튼을 누른다.
한편, 브러쉬 부재는 다양한 브러쉬들을 선택할 수 있는 파레트를 구비하며, 브러쉬 파레트는 각각 특징이 있는 브러쉬들이 모여있고, 한 스트로크는 하나의 개체임으로 상황에 맞게 한번에 그리거나 끊어서 그리기도 한다.
그리고, 또한 이러한 브러쉬 종류로는 유화/페인트 질감 형과 물감질감, 점도있는(또는, 점도적은) 페인트 단색, 일반적인 선, 뾰족한 선 등이 있다.
다른 한편, 또 다른 실시예는 이러한 저작도구를 통해 진단할 경우, 아래의 방식으로부터 진단을 보다 더 원활하게 함으로써, 진단정보를 더 상세하게 얻고 정확한 진단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미술치료 콘텐츠를 통해 사용자의 진단에 따른 영상정보를 획득한 경우, 등록 관리 정보처리장치에 해당 정보를 사용 결과에 대한 패치 형식으로 만들어서 회신한다.
그래서, 상기 등록 관리 정보처리장치를 통해 도화지 부재와 채색 부재별로 각기 정상 사용상태를 설정하여 비교 분석함으로써, 진단 정보를 상세 등록한다. 예를 들어, 다수의 상이한 심리 진단유형별로 각기 대응하는 패치 내의 도화지 부재와 채색 부재마다 정상 사용상태를 상이하게 설정등록한다.
예컨대, 도화지 부재와 채색 부재는 심리 진단유형별로 각기 정상 사용상태를 설정하는데, 주의력 향상을 위한 진단인 경우에 정상 상태의 채색정보를 설정하여 사용자 채색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진단을 조금 더 상세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경우, 주의력 향상과 관련한 채색을 비교적 약간 어두운 면을 정상 상태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점은 사용자의 성향과 취향, 상황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래서, 이러한 상태에서 채색정보를 사용자 키 조작에 따라 입력받아 비교하며, 이러한 경우에도 정상 상태의 채색정보와 사용자 채색정보의 차이가 비교적 많더라도 정상일 경우로 보여질 수 있으므로, 정상비교 정보에 대한 설정을 조금 높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화지 부재와 채색 부재별로 각기 정상 사용상태를 설정하여 비교 분석함으로써, 진단 정보를 상세 등록하므로 조금 더 나은 진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예를 들어, 주의력에 관한 점일 경우에, 여러 주의력에 관한 심리 진단유형에 따라 맞춰서(예: 주의력 등급별) 도화지 부재와 채색 부재별로 각기 정상사용상태를 전술한 바대로 설정 비교함으로써, 사용자와 심리 진단정보별로 각기 맞춤 분석을 제공한다.
부가적으로, 이러한 미술 도구 이외에 음악 등으로 조금 더 분석할 경우에도 해당 도구에 대응하여 설정등록한 음악 정보를 함께 사용하여 분석하므로, 더 편안하고 안정적인 상황에서 분석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경우, 음악 정보는 예를 들어, 다수의 상이한 심리 진단유형별로 각기 도구마다 대응하여 설정등록한다. 예컨대, 주의력에 대한 것일 경우에 차분한 유형의 음악을 들려줄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인 예로는, 서로 다른 다수개의 진단유형과 장소, 상황에 맞는 음악의 특성과 장르 정보를 선정하고, 이에 대응하여 미술도구 또는, 저작도구를 설정등록한 정보를 예컨대, 라이브러리를 구축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진단을 할 경우, 해당 진단유형과 장소, 상황에 맞는 음악정보를 신속하게 분석하여, 이러한 정보에 맞추어서 미술도구(저작도구 포함)를 쉽게 찾아낸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음악 또는 음악 유형별로 각기 소리의 크기나, 빠르기 등의 간략 정보에 따라 이러한 미술도구를 상이하게 선정함으로써, 이에 따른 정보를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라이브러리는, 임의의 음악의 전곡을 라이브러리로 구축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노래의 한 소절 또는, 일부 등에 대한 라이브러리를 구축하여 간단한 방식으로 만들기도 한다.
즉, 상이한 유형별로 각기 A타입, B타입, C타입, 등등으로 복수의 라이브러리고 구축한다. 아울러, 각 타입의 라이브러리는, 각기 한소절씩 또는 일부소절 등의 컨텐츠에 대해 복수의 장면정보를 저장하여 두고, 해당 복수의 장면들을 서로 이어지는 연속된 컨텐츠로 동작할 수 있도록 랜덤하게 병합하여 이어질 수 있도록 라이브러리를 만든다.
그리고, 음악 분석과 같은 경우에는, 주파수 스펙트럼 분석과 신호처리에 의해 분석하여 박자와 리듬 등등으로 음악인지와, 해당 음악의 유형을 분석하고, 연속적으로 박자와 리듬 및 소리의 크기 등등의 장면 선정에 필요로 하는 파라메터들을 분석한다.
예를 들어, 주파수 스펙트럼 분석에 의해 진폭을 분석하고 반복되는 대역에 의해 음악인지를 판단하며, 음악인 경우 분석을 실시한다.
분석은 유형을 파악하기 위하여 각 유형별 특징 정보를 설정하여 두고, 음악을 분석하여 유형별 특징정보를 추출하여 어떤 유형인지를 구별한다. 그리고, 박자 리듬과 소리의 크기와 남성, 여성 등도 필요에 따라 분석항목으로 부여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외부에서 음원 등을 제공받으며, 제공받은 음원 리스트는 저장한 음원과 공통으로 존재하는 음원을 확인한다.
그리고, 이렇게 사용자 색칠정보를 얻은 다음에는, 해당 정보 내의 사용자 입력에 따른 특성정보를 분석하여 예를 들어, 저작방식과 색상, 모양 등을 분석하여 진단 결과정보를 검출하고, 이에 따른 훈련 정보를 제공한다.
다른 방법으로, 이렇게 특성정보를 분석한 경우마다, 해당 정보부터 색상과 모양, 위치, 붓의 두께, 그리고 저작방식을 포함한 사용자 입력에 따른 특성정보를 각기 추출하여 사용자 심리성향을 인식함으로써, 진단 결과를 보다 원활하게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색상과 모양, 위치, 붓의 두께, 그리고 저작방식은 심리 진단유형별로 각기 대응하여 상이하게 설정한다.
이상과 같이, 다른 실시예는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저작도구를 통해 진단할 경우, 전술한 방식으로부터 진단을 보다 더 원활하게 함으로써, 진단정보를 조금 더 상세하게 얻고 진단을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미술치료 콘텐츠를 통해 사용자의 진단에 따른 영상정보를 획득한 경우, 등록 관리 정보처리장치에 해당 정보를 사용 결과에 대한 패치 형식으로 만들어서 회신한다.
그래서, 상기 등록 관리 정보처리장치를 통해 도화지 부재와 채색 부재별로 각기 정상 사용상태를 설정하여 비교 분석함으로써, 진단 정보를 상세 등록한다. 예를 들어, 다수의 상이한 심리 진단유형별로 각기 대응하는 패치 내의 도화지 부재와 채색 부재마다 정상 사용상태를 상이하게 설정등록한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방법에 적용한 미술 작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그림은 사용자에게 제공할 경우, 상이한 진단 유형별로 각기 맞추어서 그림을 그릴 도구를 제공하므로, 각각의 상황에 따라 적절한 도구를 상이하게 맞춤 제공한다.
이를 통해, 전술한 바대로 미술 심리진단과 치료를 할 경우, 다양한 심리 진단유형별로 각기 맞는 도구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바에 따라 맞춤 저작함으로써, 사용자와 심리 진단정보별로 각기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치료하기도 한다.
다른 한편, 이렇게 그림을 그리도록 할 경우에 음악을 들려주어 이에 어울리는 분위기를 만들어 줄 수 있기도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진단유형과 장소, 상황에 맞는 음악의 특성과 장르 정보를 선정하고, 이에 대응하여 저작도구를 설정등록한 정보를 예컨대, 라이브러리를 구축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진단을 할 경우, 해당 진단유형과 장소, 상황에 맞는 음악정보를 신속하게 분석하여, 이러한 정보에 맞추어서 저작도구를 쉽게 찾아낸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음악 또는 음악 유형별로 각기 소리의 크기나, 빠르기 등의 간략 정보에 따라 이러한 저작도구를 상이하게 선정하기도 하고, 이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한다.
한편, 이러한 구성은 단순한 음악 분석과 선정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저가형으로 구성하고, 음악에 대한 정밀 분석 및 라이브러리 구축은 관리 정보처리장치에서 수행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도록 하기도 한다.
그리고, 실시예를 더 확장하여 외부의 서버와 연결하고, 서버에서 각종 컨텐츠를 받아 라이브러리를 만들어서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음악 분석과 라이브러리를 서버에서 처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음악 파일 등을 사용자 단말기 등에 복수의 곡으로 저장하여 두고, 진단을 할 경우, 해당 진단유형과 장소, 상황에 맞는 곡을 선택하여 재생시키면서 아울러, 저작도구도 제공함으로써, 음악 재생과 함께 화면을 통해 실감나는 분위기를 제공한다.
그리고 또한, 이러한 경우, 이러한 라이브러리는, 임의의 음악의 전곡을 라이브러리로 구축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노래의 한 소절 또는, 일부 등에 대한 라이브러리를 구축하여 간단한 방식으로 저장한다.
또한, 해당 장면과 연속적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는 다음의 장면에 대해서는 또 다른 라이브러리로 저장하여 두기도 한다. 즉, 상이한 유형별로 각기 A타입, B타입, C타입, 등등으로 복수의 라이브러리고 구축한다. 아울러, 각 타입의 라이브러리는, 각기 한소절씩 또는 일부소절 등의 컨텐츠에 대해 복수의 장면정보를 저장하여 두고, 해당 복수의 장면들을 서로 이어지는 연속된 컨텐츠로 동작할 수 있도록 랜덤하게 병합하여 이어질 수 있도록 라이브러리를 만든다.
그리고, 음악 분석과 같은 경우에는, 주파수 스펙트럼 분석과 신호처리에 의해 분석하여 박자와 리듬 등등으로 음악인지와, 해당 음악의 유형을 분석하고, 연속적으로 박자와 리듬 및 소리의 크기 등등의 장면 선정에 필요로 하는 파라메터들을 분석한다.
예를 들어, 주파수 스펙트럼 분석에 의해 진폭을 분석하고 반복되는 대역에 의해 음악인지를 판단하며, 음악인 경우 분석을 실시한다.
분석은 유형을 파악하기 위하여 각 유형별 특징 정보를 설정하여 두고, 음악을 분석하여 유형별 특징정보를 추출하여 어떤 유형인지를 구별한다. 그리고, 박자 리듬과 소리의 크기와 남성, 여성 등도 필요에 따라 분석항목으로 부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음악분석이 이루어지면 해당 분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라이브러리에서 해당하는 유형의 라이브러리 중, 가장 적합한 정보를 찾아내고, 이 정보를 불러들인다.
또한, 마이크 및 오디오 입력부와 음악 또는 이의 기본적인 특징 정보만을 추출하여 기본 분석정보를 제공하고, 이 음악의 기본정보에 의거하여 장면 등을 선정한다. 그리고 나서, 분석된 음악의 특징 정보들에 따라 장면 등을 함께 제공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외부에서 음원 등을 제공받으며, 제공받은 음원 리스트는 저장한 음원과 공통으로 존재하는 음원을 확인하고, 확인을 완료한 음원에는 식별표시를 부여한다.
예를 들어, 식별표시가 없는 음원을 사용자가 선택하는 경우를 위해 외부 서버는 해당 구성에 해당 음원에 대한 제공을 할 수 있는 옵션을 주기도 한다.
또한, 음원 리스트는 복수의 음원을 설정 기준에 따라 정렬되어 표시되도록 제공하고, 음원의 제목이나 썸네일 이미지를 통해 음원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또한, 음원 리스트는 음원이 포함하는 제목과 가수(혹은 제작자), 장르, 재생시간 등을 같이 제공할 수 있다.
그래서, 이렇게 선택한 음원을 반영하여 장면 등에 맞추어 제공하여, 재미와 긴장감 등을 높일 수 있다.
100 : 사용자 단말기
200 : 관리 정보처리장치

Claims (3)

  1. 내담자와 치료자가 각기 단말기를 통해 관리 정보처리장치에 접속하여 미술을 통해 심리 진단과 치료를 할 경우, 관리 정보처리장치의 제어부에서 치료자에게 심리 진단정보를 제공하고, 내담자를 통한 진단결과를 분석하여, 미술 치료를 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내담자와 치료자가 각기 메타버스 가상현실에 접속하여 미술 치료를 할 경우, 설정 도구를 통해 접속하여 미술치료를 진행하도록 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상기 설정 도구는,
    등록 정보처리장치에서 다수의 상이한 심리 진단유형별로 각기 미술치료 콘텐츠 기본 저작도구의 패치를 일괄적으로 만드는 설정 제 1 포맷을 통해 각 심리 진단유형별로의 미술치료 콘텐츠 기본 저작도구를 제공받는 제 1 과정; 및
    상기 심리 진단유형별로의 미술치료 콘텐츠 기본 저작도구 중에서 사용자의 진단 유형에 대응하는 도구를 진단 정보로서 회신함으로써, 미술치료 콘텐츠를 사용자 진단 정보별로 맞게 맞춤 저작하도록 하는 제 2 과정; 을 포함하고,

    상기 저작한 미술치료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른 특성정보를 분석하여 진단 결과정보를 검출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진단 결과정보에 기초하여 훈련 프로그램을 추출하여 진단 상황에 따라 각기 제공하고, 다수의 상이한 연령별 구간 및 분야에 따라 심리 진단정보와, 심리 진단유형별로 각기 진단 결과정보에 따른 훈련 프로그램을 설정 등록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단계 후에,
    상기 미술치료 콘텐츠를 저작한 경우마다, 해당 미술치료 콘텐츠로부터 색상, 모양, 위치, 붓의 두께, 그리고 저작방식을 포함한 사용자 입력에 따른 특성정보를 각기 추출하여 설정 제 2 포맷에 적용함으로써, 사용자 심리성향을 인식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 4 단계에서, 상기 설정 제 2 포맷은,
    다수의 상이한 심리 진단유형별로 각기 저작한 미술치료 콘텐츠를 색상과 모양, 위치, 붓의 두께, 그리고 저작방식을 포함한 특성정보로 각기 나누어서, 설정 개수보다 이상의 정보만큼 수집하여 사용자 심리성향을 상이한 특성정보에 따라 인식하는 포맷을 정의하는 제 1 과정;
    상기 설정 개수보다 이상의 미술치료 콘텐츠별로 각기 색상과 모양, 위치, 붓의 두께, 그리고 저작방식을 포함한 특성정보의 데이터셋을 추출하는 제 2 과정;
    다수의 상이한 심리 진단유형별로 각기 미술치료 콘텐츠마다의 특성정보에 대한 속성을 결정하는 제 3 과정;
    상기 결정한 정보로부터 정규화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 4 과정;
    다수의 상이한 심리 진단유형별로 각기 미술치료 콘텐츠마다의 특성정보로 사용자의 심리성향을 인식하기 위한 독립 및 종속 변수를 설정하는 제 5 과정; 및
    상기 설정한 정보를 학습 및 훈련 정보로서 추출하여 심리성향을 인식하는 제 6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의 가상현실 콘텐츠를 이용한 미술 치료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설정 도구에 의한 제 1 과정은,
    상기 설정 제 1 포맷에 따라 미술치료 콘텐츠 기본 저작도구의 패치를 만들 경우, 상이한 심리 진단유형별로 각기 기본 프레임을 만들 패브릭 도구인 도화지 부재와 서포트 도구인 채색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패치를 만들고,

    상기 설정 도구에 의한 제 2 과정은,
    미술치료 콘텐츠를 저작할 경우, 상이한 진단 유형별로 각기 대응하는 도구를 사용하여 해당 정보를 맞춤 저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의 가상현실 콘텐츠를 이용한 미술 치료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설정 도구에 의한 제 2 과정 후에,
    상기 미술치료 콘텐츠를 통해 사용자의 진단에 따른 정보를 획득한 경우, 등록 관리 정보처리장치에 해당 정보를 사용 결과에 대한 패치 형식으로 만들어서 회신하며,
    상기 등록 관리 정보처리장치를 통해 도화지 부재와 채색 부재별로 각기 정상 사용상태를 설정하여 비교 분석함으로써, 진단 정보를 상세 등록하는 제 3 과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의 가상현실 콘텐츠를 이용한 미술 치료 방법.















KR1020220144022A 2022-11-01 2022-11-01 비대면 가상현실을 이용한 미술 치료 방법 KR202400620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4022A KR20240062018A (ko) 2022-11-01 2022-11-01 비대면 가상현실을 이용한 미술 치료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4022A KR20240062018A (ko) 2022-11-01 2022-11-01 비대면 가상현실을 이용한 미술 치료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2018A true KR20240062018A (ko) 2024-05-08

Family

ID=91074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4022A KR20240062018A (ko) 2022-11-01 2022-11-01 비대면 가상현실을 이용한 미술 치료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6201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chado et al. Computerized measures of visual complexity
Denzin Problems in analyzing elements of mass culture: Notes on the popular song and other artistic productions
US201201237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mmending sensitive make-up based on skin tone of user
Nasir et al. What if social robots look for productive engagement? Automated assessment of goal-centric engagement in learning applications
KR20070007290A (ko) 지침서 생성 유닛
Rahmat et al. An interactive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of hijaiyah alphabet for children education
KR100877583B1 (ko) 학습 스타일 진단 시스템 및 그 진단 방법
CN111046852A (zh) 个人学习路径生成方法、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100841066B1 (ko) 멀티미디어 프리젠테이션 문서 작성 방법
Konstantakis et al. Cultural heritage, serious games and user personas based on gardner’s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The Stolen Painting” game
Feng Design and research of music teaching system based on virtual reality system in the context of education informatization
KR100874289B1 (ko) 전자 펜-컴퓨터 멀티미디어 대화형 시스템
CN109062654A (zh) 一种交互式学习方法及系统
CN110019862B (zh) 一种课件推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240062018A (ko) 비대면 가상현실을 이용한 미술 치료 방법
CN111930971A (zh) 在线教学交互方法、装置、存储介质以及电子设备
CN111744197A (zh)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20210019362A (ko) Ar, vr 디자인 시뮬레이션 콘텐츠
Harel Niépce–Bell or Turing: how to test odour reproduction
KR102684054B1 (ko) 가상현실을 사용한 아트 갤러리 종합 구현 솔루션
Kerdvibulvech An innovative real-time mobile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 in arts
Lindström et al. Affect, attitude and evaluation of multisensory performances
Weinel et al. Practice-led and Interdisciplinary Research: Investigating Affective Sound Design
KR20240044931A (ko) 가상현실을 사용한 아트 갤러리 종합 구현 솔루션
KR102154859B1 (ko) 치매 예방을 위한 인지 강화 학습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