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7290A - 지침서 생성 유닛 - Google Patents

지침서 생성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7290A
KR20070007290A KR1020067017430A KR20067017430A KR20070007290A KR 20070007290 A KR20070007290 A KR 20070007290A KR 1020067017430 A KR1020067017430 A KR 1020067017430A KR 20067017430 A KR20067017430 A KR 20067017430A KR 20070007290 A KR20070007290 A KR 200700072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w
user
multimedia
mmr1
mm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7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르텐 피. 보들라엔데르
마이클 에이. 반 하르트스캠프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70007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72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703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 G06F11/0706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the processing taking place on a specific hardware platform or in a specific software environment
    • G06F11/0736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the processing taking place on a specific hardware platform or in a specific software environment in functional embedded systems, i.e. in a data processing system designed as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dedicated to performing a certain function
    • G06F11/0742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the processing taking place on a specific hardware platform or in a specific software environment in functional embedded systems, i.e. in a data processing system designed as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dedicated to performing a certain function in a data processing system embedded in a mobile device, e.g. mobile phones, handheld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지침서 생성 유닛(100)은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관리 법칙(MMR)에 의해 사용자 선호 설정에 따라 멀티미디어 항목(164,166,168,169)을 관리하기 위해 배열된 멀티미디어 항목 관리 시스템의 멀티미디어 관리 행동을 사용자에게 설명하기 위해 도입된다. 지침서 생성 유닛(10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관리 법칙(MMR)이 설명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법칙(MMR1)을 선택하기 위해 배열된, 처리 유닛(151)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법칙(MMR1)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법칙(MMR1)의 사용자에 대한 관련성을 나타내는 미리 결정된 관련성 값(R)에 따라 선택되는, 처리 유닛(151); 그리고 - 설명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법칙(MMRI)에 기초한 적어도 하나의 시청각 정보 제공 신호(108,110,112)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설명 주제(104)를 생성하기 위해 배열되고, 사용자 관찰을 위해 의도된 지침서(102)를 생성하기 위해 배열된, 렌더링 유닛(178)으로서, 상기 지침서(102)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명 주제(104)를 포함하는 렌더링 유닛(178)을 포함한다. 이러한 지침서 유닛은 예를 들면, 사용자 선호 설정에 따라 노래 재생-목록을 생성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지침서 생성 유닛{TUTORIAL GENERATION UNIT}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항목 관리 시스템의 기술 분야로부터 시스템의 멀티미디어 항목 관리 행동을 설명하기 위한 새로운 유닛, 시스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람들은 당황할만한 분량의 정보에 직면해 있으며 경향은 이러한 정보에 직면하는 것은 증가할 것 같이 보인다. 특히, 예를 들어, 노래 같이 어떤 사람이 흥미를 갖는 멀티미디어 항목에 대해, 최신 기술에서 이 사람에게는 다음과 같은 옵션이 있다.
1) 예를 들어 라디오를 들을 때 발생하는, 주어진 대로 모두를 수동적으로 받아들인다.
2) 예를 들어 인터넷과 같은 개별 멀티미디어 항목; 또는 이들 두 가지 사이의 중간을 농동적으로 브라우징한다.
3) 이러한 시스템의 사용자의 선호 설정에 대응하는 법칙들을 고려함으로써, 사용자가 특히 흥미를 갖는 항목의 집합을 미리 선택할 수 있는, 자동 멀티미디어 항목 관리 시스템에 의존하는 한편, 모든 흥미없는 항목들을 거부한다.
사용자 선호 설정에 정확히 적응되기 위해, 많은 법칙들이 요구되며, 멀티미 디어 항목 관리 시스템을 복잡하게 만든다. 법칙들 간의 비-선형적 상호작용, 법칙들의 부적절성 등으로 인해, 이러한 복잡한 시스템을 훈련시키는 것은 일반적으로 어렵다.
사용자가 일반적으로 멀티미디어 항목 단위로 전체 관리/미리 선택 프로세스를 연구함으로써 시스템을 훈련해야만 하는 것은 종래 기술의 멀티미디어 항목 관리 시스템의 단점이다. 이것은 매우 시간 소비적일 수 있으며, 당혹스러울 수 있고, 시스템이 사용자-선호 관리 행동에 상대적으로 쉽게 집중하지 않는 경우, 시스템을 최적화하는데 손실된 시간은 자동 관리에서 얻어진 시간보다 훨씬 더 클 수 있다. 더욱이, 관리 행동을 분석하는데 필요한 이러한 상당한 노력으로 인해, 사용자는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가, 예를 들어, 데이터 캐리어 상에서 구매하는, 특정 미리 결정된 사용자 선호 설정 에 따라 최적화된 개인 재생-목록 생성기 소프트웨어와 같은, 법칙의 세트가 정말로 그에게 적절한지, 또는 제시된 다른 개인 재생-목록 생성기보다 더 적절한지를 신속히 점검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멀티미디어 항목 관리 시스템의 개선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관리 법칙에 의해 사용자 선호 설정에 따라 멀티미디어 항목을 관리하기 위해 배열된 멀티미디어 항목 관리 시스템의 멀티미디어 관리 행동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실현되며, 상기 지침서 생성 유닛은:
-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관리 법칙이 설명될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법칙을 선택하기 위해 배열된 처리 유닛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법칙의 사용자에 대한 관련성을 나타내는 미리 결정된 관련성 값에 따라 선택되는, 처리 유닛; 및
- 설명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법칙에 기초한 적어도 하나의 시청각 정보 제공 신호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설명 주제를 생성하기 위해 배열되고, 사용자 관찰을 위한 지침서를 생성하기 위해 배열된, 렌더링 유닛으로서, 상기 지침서는 하나 이상의 설명 주제를 포함하는, 렌더링 유닛을 포함한다.
처리 유닛은, 살사 음악의 선택을 규제하는 법칙의 서브셋과 같은, 특정 설명 주제에 속하는 멀티미디어 항목 관리 시스템의 법칙의 전체 세트로부터 하나 이상의 법칙을, 설명을 위해 선택한다. 각각의 가능한 설명 주제는 관련성 값을 지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선택된 법칙 결합의 제 1 법칙의 관련성 값, 상기 법칙 결합의 가장 중요한 법칙의 관련성 또는 상기 법칙 결합 내의 모든 법칙의 관련성으로부터 계산된 법칙 결합의 전체 관련성이 있다. 오직 하나의 법칙만이 그 관련성에 따라 설명 주제에 대해 설명되었다고 해도, 추가적으로 관련된 법칙들은 동일한 주제로 설명될 수 있다. 가장 높은 관련성을 가진, 설명 주제, 즉, 법칙의 결합은 사용자에게 설명하기 위해 가장 관련성이 있는데, 즉, 일반적으로 우선 설명되어야 한다. 렌더링 유닛은 이후 제공 신호를(예, 디스플레이 영역 상의 그래프 상징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비디오 신호) 법칙과 연관시킨다. 이러한 제공은 일반적으로 연속적인 시간 순간동안 발생하며, 예를 들어 정적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에 대해, 이것은 사용자가 이를 클릭하여 없앨 때까지 행해질 수 있으며, 또는 비-상호작용적 지침성의 경우 미리 결정된 양의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행해질 수 있다. 단일 신호는 단일 법칙(예, 법칙의 문자 표시를 포함하는 텍스트박스)과 연관될 수 있으며, 또는 신호는 여러 법칙(예, 세 가지 법칙의 결합 작용 하에서 선택된 곡의 제목 리스트)에 대응할 수 있으며, 또는 마지막으로, 여러 신호들은 특정 법칙 또는 법칙 (하위)결합(예, 문자 및 그래프 표시)에 대해 생성될 수 있다.
지침서의 단순한 예는 단지 무한한 시간동안 제공된 단일한 설명 주제로서 하나 이상의 법칙을 설명하며, 예를 들어, 텍스트 박스에 설명된 선택된 법칙 및 문자 식별자의 목록에서 제공된 결과 멀티미디어 항목 선택을 포함한다. 다소 더 진보된 지침서는 각각 순차적으로, 관련된 시간 간격동안 제공된 다수의 설명 주제를 포함한다.
지침서 생성 유닛의 실시예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해 적어도 하나의 설명 주제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하나의 정보 제공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대체하기 위해 배열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자신의 속도로 지침서를 따를 수 있으면 유리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예를 들어 특정 설명 주제 내의 단일 신호를 변경할 수 있거나, 예를 들어 스크롤 바 도구(widget)의 슬라이더를 슬라이딩할 수 있거나, 다음 또는 이전 설명 주제 또는 임의의 다른 설명 주제로 스위칭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현재 설명 주제의 모든 신호들은 다른 설명 주제의 신호로 대체된다. 대체된 신호들은 특정 멀티미디어 관리 양상을 사용자가 현재 원하는 것으로 나타낸다.
렌더링 유닛이 다음과 같은 다른 유형의 설명 주제를 제공할 수 있도록 배열하는 것이 유리하다.
a)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동안 제공될 화상의 영화로서, 상기 화상은 적어도 하나의 하위-화상 이미지 신호를 포함하며, 각각의 적어도 하나의 하위-화상 이미지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법칙에 대응하는 그래프 표시를 포함하는, 화상의 영화.
b) 클릭가능한 하이퍼링크 영역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법칙에 대응하는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 제공 이미지로서, 상기 하이퍼링크 영역은 클릭될 때 다른 설명 주제에 대응하는 다른 정보 제공 이미지의 디스플레이를 개시하는, 정보 제공 이미지.
c) 각 단편(snippet)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법칙에 대응하는, 순차적으로 오디오 재생된 단편의 컬렉션; 및
d)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법칙에 따라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항목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스크롤링 텍스트.
상기 영화-유형은 짧은 시간 간격동안 멀티미디어 항목 관리 시스템의 가장 중요한 멀티미디어 관리 행동을 가용 시간이 거의 없는 사용자에게 설명하기에 흥미로운 반면, 오디오 제공은 디스플레이없이 장치 내에서 또는 장치 상에서 사용되기에 유용하다.
지침서 생성 유닛의 일 실시예에서, 치리 유닛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멀티미디어 항목 관리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관리 법칙 중 적어도 하나의 법칙을 적응시키기 위해 더 배열된다.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항목 관리 시스템의 멀티미디어 관리 행동을 자세히 설명하려고 하는 경우, 이 시스템을 연구하는 동시에 또한 이 법칙을 적응시킬 수 있는 것이 유리하다.
처리 유닛이 적어도 하나의 설명 주제와 제공 시간 간격(Dt)을 연관시키기 위해 더 배열되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명 주제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 제공 신호의 집합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시간 간격을 나타내면 유리하다. 이렇게 하여 사용자는 신속한 방법으로, 상호작용적인지 비-상호작용적인 지침서인지와 무관하게, 행동을 설명받을 수 있다.
게다가, 처리 유닛은
- 미리 결정된 전체 제공 시간 간격(Ttot)을 포함하며;
-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법칙 중 적어도 하나의 관련성값(R)에 기초하여 설명 주제 및 연관된 제공 시간 간격 및 전체 제공 시간 간격을 할당하여, 사용자의 주의가 상기 사용자에게 가장 흥미로운 법칙들에 대부분 집중되도록
하기 위해 더 배열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처리 유닛은 다음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단일 선택된 법칙 또는 선택된 법칙의 결합의 관련성값(R)을 결정하기 위해 더 배열될 수 있다.
- 선택된 법칙 또는 법칙들에 따라 선택되거나 거부된 곡의 비율;
- 선택된 법칙(MMR1) 또는 법칙들과 사용자 선호 설정 법칙 사이의 대응 정도;
- 선택된 법칙 또는 법칙들의 수동으로 배정된 관련성;
- 선택된 법칙 또는 법칙들의 도입 또는 변경 일자;
- 선택된 법칙(MMR1) 또는 법칙들의 이전 설명 일자;
- 선택된 법칙 또는 법칙들이 현저하게 기여하는 관리 작용의 미리 결정된 유형; 및
- 법칙의 기원(예, 더 많은 음악을 홍보하기 위해 Sony와 계약한 후 MTV에 의해 도입됨. 사용자 측은 이를 알고자 하며 그의 명시적 합의를 제공하는 것을 원할 수 있음).
처리 유닛은 선택된 법칙의 서브셋을 설명하고/하거나 선택된 법칙의 서브셋의 파라미터를 변경하기 위해 유리하게 더 배열된다. 즉, 이것은, 예를 들어, 우선 제 1 법칙, 이후에는 제 2 법칙 등의 선택 행동에 대한 영향을 도시할 수 있으며, 제 2 법칙의 영향을 설명하는 동안, 이러한 법칙의 파라미터의 다양한 값에 따라 그렇게 할 수 있다.
지침서 생성 유닛의 추가적 실시예에서, 처리 유닛은 선택된 법칙의 세트의 결합된 작용을 나타내는 등식에 대한 수학적 분석을 행하기 위해 더 배열된다. 이렇게 하여 수학적으로 경험이 없는 사용자조차도 멀티미디어 관리의 복잡한 행동을 이해할 수 있다.
지침서 생성 유닛이 다음 중 적어도 하나의 유형의 외부 정보원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거나 검색하기 위해 배열된 인터페이스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
- 멀티미디어 항목을 설명하는 사람 생성된 정보;
- 멀티미디어 관리 법칙 또는 멀티미디어 관리 법칙의 결합을 설명하는 사람 생성된 정보; 및
- 멀티미디어 관리 법칙과 관련된 특정 제공 신호를 나타내는 사람 생성된 정보.
이렇게 하여 매우 사용자-이용가능한 지침서는 지침서 생성 유닛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지침서 생성 유닛의 실시예들은 사용자 선호 설정 결정 유닛으로부터 사용자 선호 설정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배열되며, 이러한 방법으로 지침서는 예컨대, 살사를 선호하는 것 같은, 특정 사용자 선호 설정으로 보다 낫게 최적화될 수 있다. 사용자는 그의 선호 설정을 이러한 사용자 선호 설정 결정 유닛에 수동으로 입력할 수 있거나 능동적으로 다른 사용자 행동 양상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항목 관리 시스템 및 지침서 생성 유닛은 멀티미디어 관리 시스템 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들 부분 모두는 가능하게 다른 국가 내의 분리된 인터넷-연결된 장치 내에 또는 단일 장치 내에 위치한다.
게다가,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관리 법칙에 의해 사용자 선호 설정에 따른 멀티미디어 항목을 관리하기 위해 배열된 멀티미디어 항목 관리 시스템의 멀티미디어 관리 행동의 설명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관리 법칙이 설명될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법칙을 선택하는 단계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법칙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법칙의 사용자에 대한 관련성을 나타내는 미리 결정된 관련성 값(R)에 따라 선택되는, 선택된 법칙의 선택 단계; 및
- 설명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법칙들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비디오 정보 제공 신호를 포함하는 연속적인 시간 순간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설명 주제를 생성하고, 이것으로부터 사용자 관찰을 위해 의도된 상호작용 지침서를 생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상호작용적 지침서는 지침서 생성 유닛의 방법 또는 임의의 실시예에 대응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또는 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관리 시스템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설명 주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닛 및 시스템의 이들 및 다른 양상들은 이하 설명될 구현예 및 실시예를 참조로, 그리고 단지 비-제한적인 설명을 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명백하게 되고 설명될 것이다. 선택적 구성요소는 점선으로 도시된다.
도 1은 일반적인 구성 내의 상호작용적 지침서 생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설명 주제의 비교적 단순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설명 주제의 더욱 진보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영화-유형 설명 주제의 세 가지 제공 간격을 도시하는 타임라인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하이퍼링크 이미지" 설명 주제를 디스플레이하는 휴대용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에는, 지침서 생성 유닛(100)이 도시된다. 이러한 지침서 생성 유닛(100)의 목적은 멀티미디어 항목 관리 시스템(130)의 멀티미디어 관리 행동을 설명하는 지침서(102)를 생성하는 것이며, 이것은 지침서 생성 유닛(100)과 동일한 장치 내에 또는 다른 장치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서버 상의 데이터 캐리어 또는 저장 위치가 멀티미디어 항목 관리 소프트웨어 또는 예를 들면 단지 가정용 PC의 일반 프로세서인, 일반 멀티미디어 항목 관리 시스템 내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법칙을 포함하는 경우, 지침서 생성 유닛(100)은 "가상" 멀티미디어 항목 관리 시스템과 같은 행동을 설명할 수 있다.
간략함을 위해, 설명은 애플리케이션에서 지침서 생성 유닛(100)을 개시할 것인데, 이 애플리케이션에서 멀티미디어 항목은 멀티미디어 항목 관리 시스템(130)에 의해 선택되고, 예를 들어 MP3 플레이어의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진 것과 같은 소위 재생-목록(172) 내에 있는 노래(166){또는 영화(164)}이며, 이러한 경우 멀티미디어 항목 관리 시스템(130)은 개인 재생-목록 생성기라고 부를 수 있다. 재생-목록은 고정된 길이를 갖도록 제한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오직 적은 양이 사용자(예, 시계 안)에 의해 포함되는 경우, 그들의 관련성은 매우 높아야 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임의의 부적절한 곡이 이용가능한 곡의 실제 양을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이들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개시된 기술적 구성요소를 사용하여, 노래(166)에 추가하여, 다음과 같은, 추가적인 멀티미디어 항목 유형이 선택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다른 폴더 내에 분류된 것처럼 관리되거나, 순서가 재지정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 영화(164)[움직임(motion)의 환영을 생성하는 이미지의 시퀀스], 이러한 경우 재생-목록은 예를 들어 저녁의 엔터테인먼트를 위해 구성될 수 있으며, 새로운 영화 클립의 세트에 의해 분리된 2개의 영화[예컨대, 공상 과학 영화와 같은, 특정 영화의 대사]를 포함한다.
- 예컨대, 적응성 백과사전 또는 최적화된 학습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에서, 특정 사용자를 위해 최적화된 방법으로 "코알라"와 같은 특정 화제(topic)를 설명하는 구조에서, 문자 문단(168). 예를 들어, 코알라는 스포츠 팀일 수 있으며, 사용자는 지침서에서 멀티미디어 항목 관리 시스템(130)이 동물 코알라에 관한 많은 생물학적 문단을 잘못 제공하는데, 그 이유는 단일한 이전의 경우에 대한 이러한 정보의 액세스로부터 생물학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 설정이 잘못 추정되기 때문이라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 정지 화상(169), 예컨대 휴일 슬라이드(holiday slide)는 할머니 또는 고등학교 친구들이 방문하는지 여부에 기초해 다르게 제공될 수 있다(이러한 경우의 사용자 선호 설정은 가능한 방문자에 대응하는 세트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됨).
- 사용자에게 선호 사항에 최적화된 게임을 제공하는, 작용, 요소 또는 게임의 스토리 라인(예, 사용자가 액션 게임을 좋아하면, 바람직한 특성을 가진 더 많은 싸움 장면들이 포함될 수 있거나, 다른 사용자를 위해 더 많은 퍼즐 또는 다른 게임 환경이 제공될 수 있다).
- 예를 들어, 현재 위치의 부근에서 선호하는 사용자 식당을 제안하는 것과 같은, 개인적 지원 정보(범주는 가격, 다양성,..).
- 사용자에게 적응성 광고 또는 적응성 검색을 제공하는, 예컨대 휴일 가능성 또는 컴퓨터 부품의 시각/청각적 제안.
이들 멀티미디어 항목은 멀티미디어 항목 컬렉션으로 제시되며, 이것은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가정용 PC, 가정용 저장 서버, 친구의 저장 서버, 인터넷 등 상에 현재 저장된 컬렉션이다.
상기 사항 모두에서, 선택은 사용자의 선호에 따라 일어나며, 이것은 멀티미디어 항목과 연관될 수 있다. 종래 기술은 예를 들어:
- 메타데이터(예, 태그)를 항목에 첨부(예, 라디오 데이터 시스템 필드 또는 MP3 ID3 태그);
- 항목 식별(예, 지문 추출에 의해) 및 예를 들어 사용자 커뮤니티 또는 특수 목적 그룹의 웹 페이지와 같은, 데이터베이스에서 이에 관한 정보 검색.
- 예를 들어, 노래의 템포 또는 크기, 영화 세그먼트 내의 액션/움직임의 양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항목의 물리적 속성 측정.
이러한 설명 정보는 멀티미디어 관리 법칙(MMR) 및 이들의 결합을 형성하기 위해 특정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로써 멀티미디어 항목 관리 시스템(130)을 최적으로 다음과 같은 컨텐츠를 선택하거나 일반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공포 영화 선택 법칙:
- 법칙 1: 영화는 1990년 이후의 최근의 것이어야 한다.
RL 1; TAG-AG > 1990 [숫자 태그는 그 값을 위해 확인됨]
- 법칙 2: 영화에서 여러 번의 고함(scream)이 존재해야 한다.
RL 2:# {ALGO_SCR[I] > 0.8} >=6 [알고리즘 ALGO_SCR은 고성, 스펙트럼 컨텐츠 등에 기초해 사운드 트랙을 분석하며, 시간 간격에서 고함이 났던 모습을 식별하며, 0.8 이상의 값들은 아마도 고함을 나타내며, 더 낮은 값들은 다른 사운드를 나타내며; 적어도 6개의 고함이 사용자에 따라서 좋은 공포 영화가 되도록 하기 위해 일어나야 한다 ]
- 법칙 3: 선택은 예를 들어 일반적인 영화 배우(actor)에 기초하여, 공포 영화가 선택된 것을 매우 가능성 높게 나타내는 태그를 점검함으로써 더 필터링된다.
RL 3: (TAG_TYPE==HORROR) OR (TAG_ACTOR==BELA LUGOSI)
전술한 이 예의, 법칙 3에서 "오류"가 만들어지며- 이것은 법칙이 다른 곳에서 얻어진 경우 사용자로 인한 것이 아닐 수 있다. Bela Lugosi는 실제로 공포 영화 배우이지만 90년대 배우는 아니다. 법칙 3이 AND 조건을 포함한 경우, 사용자 선호 설정에 따라 매우 적은 항목들이 선택될 것이며, 사용자는 "이유"를 모를 것이다. 이것은 멀티미디어 항목 관리 시스템(130)의 선택 행동의 비선형성을 설명한다. 예를 들어 AND 구조에서 유효한 법칙의 큰 집합의 선택 가능성은 "Bela Lugosi" 예와 같은, 단일한 부적절한 법칙에 의해 무효로 될 수 있다. 그리고 까다로운 점은 이러한 법칙이, 예를 들어 사용자가 더 오래된 공포 영화에 흥미가 있는 경우 이전 선택물로부터의 두드러지지 않는 잔여물이거나, 더 넓은 범위의 공포물을 좋아하는 공포 영화 애호가에 의해 공유될 수 있다. 매우 가변적 항목 종류를 가진 큰 데이터베이스 상에서의 특정 쿼리에서 요구된 법칙의 큰 세트에 대해, 이러한 최적 법칙은 비교적 발생하기 쉽다.
멀티미디어 관리 행동을 분석하는 간단한 방법은 이들 법칙(또는 대표적인 경우에는 서브셋)에 따라 선택된 무수한 멀티미디어 항목을 점검하는 것이다. 사용자는 이후 법칙을 변경하고 새로운 법칙에 따라 잇따른 선택된 멀티미디어 항목 모두를 다시 점검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 전략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아마도 어떤 법칙(들) 또는 법칙들의 결합에 문제가 있는지에 대해 훨씬 더 현명해지지 않을 것이다. 덜 관련된 법칙을 조사하느라 많은 시간을 소요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특히 법칙 사이의 난해한 상호작용을 이해하지 못할 것이다. 모든 가능성 내에서 단지 많은 시간을 낭비할 것이다.
종래의 시스템이 단일의 잇따른 항목을 점검하는데 초점을 둘 뿐만 아니라, 이들은 또한 사용자-중심적이다. 사용자는 정보의 종류와 이것에 액세스하기 위해, 즉,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항목 관리 시스템(130)의 행동을 능동적으로 브라우징하는 방법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종래 기술의 데이터베이스 인터페이스 생성기에서, 사용자는 그의 선호 설정에 따라 관련 필드에 액세스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설계할 수 있지만, 이러한 인터페이스의 적절성은 반환된 항목을 점검함으로써 확인된다. 데이터베이스 선택의 내부 작업, 특히, 거부된 항목, 및 거부의 사유는 이러한 확인 전략에서 사용자에 의해 인지되지 않는다. 지침서 생성 유닛(100)은 응 미있는 법칙의 지침서를 자동적으로 생성하고(즉, 행동의 법칙 자체를 선택하고 설명), 이들 법칙들이 정확히 어떻게 멀티미디어 항목 관리, 즉 사용자가 지침서 제공과 상호작용하고자 할 수 있다고 해도, 사용자 상호작용의 필요성없이, 멀티미디어 항목을 조정하는지를 자동적으로 생성하기 위해 배열된다.
게다가, 사용자는 멀티미디어 항목 관리 시스템(130)의 행동을 확인하기 위해 제한된 시간 예산만을 가질 수 있다. 디버거(debuggers)와 같은 종래 기술 시스템 또는 Khoros 환경과 같은 비주얼 프로그래밍 환경[상세한 내용은 Khoral 주식회사의 웹페이지 http://www.khoral.com에 제공됨]으로 가능한, 기본 소프트웨어 코드의 모든 법칙을 순차적으로 상세히 논하는 대신, 지침서 생성 유닛(100)은, 예를 들어, 어떤 법칙 또는 어떤 법칙의 집합이 대부분의 노래들을 생성했는지 또는 시스템이 사용자가 현재(예, 저녁) 흥미를 갖는 노래들을 우선 설명하는 것과 같이, 우선 순위가 매겨진 방법으로 설명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소모할 시간의 양이 정확히 고정되지 않았다고 해도, 즉, 지침서의 전체 제공 시간이 제한되지 않았다고 해도, 사용자는 여전히 가장 관련된 멀티미디어 항목 관리 행동을 우선 제공받는다.
지침서(102)는 다수의(하나 이상의) 설명 주제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 1은 영화-유형의 설명 주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두 가지 주제 시각 신호(104,106)는 개략적으로 도시되며, 이들의 시각적 제공 순서는 화살표로 그려져 있다. 제 1 설명 주제(104)는 예를 들어, "댄스 음악" 또는 "서부 영화"이며, 여기서 멀티미디어 관리 법칙은 어떤 것이 이 주제에 기여하는지를 설명하는, 한편, 제 2 설명 주제(106)는 "무서운 음악" 또는 "공포 영화"일 수 있다. 주제는 또한 더 구체적으로 선택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다음 예는 사용자가 흥미를 가진 종류의 살사 댄스 음악을 선택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현재 설명에서, 단일 법칙(그 자체로 스크림 검출기와 같은 복잡한 알고리즘의 결과일 수 있음)과 법칙 결합 사이에 구별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항목 관리 시스템(130)은 살사 음악
'SAL=FSAL(RL 1, RL 2, ..., RL n1)을 검출하기 위한 법칙의 결합을 가질 수 있으며, 이것은 예를 들어, 별도의 법칙의 수치 출력의 가중된 선형 합계와 같은, 수학적 공식이다,
예를 들어, 법칙 1(RL 1)은 3-단계 댄스 리듬을 검출하고, 법칙 2는 전형적 살사 드럼 도입의 존재를 검출하며, 법칙 3은 제목 또는 노래가 주로 스페인어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점검한다. 결과 SAL의 높은 값은 노래가 살사 노래일 것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후속적으로, 사용자는 법칙의 이러한 결합과 다른 법칙을 결합하고자 할 수 있으며, 이미 선택된 살사 노래 상에 사후-필터로서 작동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빠르게 춤추길 원하기 때문에, 빠른 템포의 살사를 찾는다":
RL 4: BPM>180, BPM은 분당 비트를 말한다.
선택 법칙들이 임계에 기초하는 경우, 예를 들어, 해당 값 이상이면 노래가 살사의 특징을 갖는 임계값(Ts)을 이용하며, 부울 값(Boolean)을 생성하며, 전술한 사후-필터링은 AND 결합으로 쉽게 실현된다.
FAST SALSA = (SAL>Ts) AND (BPM>180)
수학식 1이 TRUE(1)와 같은 부울 결과를 얻는 노래는 이 선택에 보유되는 한편, 다른 노래들은 거부된다.
당업자에게는 다른 법칙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퍼지 로직(fuzzy logic)을 이용하는 것과 같이,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진다는 것이 명백해야 한다.
처리 유닛(151)은 법칙(MMR1) 또는 법칙들의 결합을 선택하고 분석하기 위해 배열된다. 일반적으로 법칙 선택을 가능케하기 위해, 멀티미디어 항목 관리 시스템(130)의 멀티미디어 관리 법칙(MMR)은 메모리(179)로의 연결(190)과 함께, 멀티미디어 항목 관리 시스템(130)으로부터 첫째로 가능한 경우{예, 지침서 생성 유닛(100)에 대한 첫 번째 연결}에 대해 복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처리 유닛(151)은 일반적으로 메모리(173)에 저장된, 현재 생성된 재생-목록(172)에 존재하는 멀티미디어 항목{예, 노래(170)}을 분석하기 위한 용량을 가지며, 이 선택은 메모리(179)에 복제된 멀티미디어 관리 규칙(MMR)에 매핑한다. 이것은 재생 목록(172){또는 멀티미디어 항목 관리 시스템(130)의 현재 멀티미디어 관리 행동에 따른 노래의 다른 선택} 내에 노래(170)를 분류함으로써, 다음에{예, 이들의 서브셋이 템포와 같은 신호 속성을 특성화하기 위해 메모리(179)에 대한 연결(191)을 통해 다운로딩된 후} 다수의 양상에 따라 처리 유닛(151)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들 양상들은 사용자에 의해 공급될 수 있고(춤추고자 하는 이전 경우에 대한 시스템에 입력함), 또는 음악 텔레비전 방송국 MTV 등에 의해 업데이트된 데이터베이 스와 같은 외부 정보원(154)에 의해 공급될 수 있다.
처리 유닛(151)은, 현재 시간에 노래가 댄스곡인지를 설명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처리 유닛이, 사용자가 종종 저녁에 춤을 추고자하는 것을 설명하는, 사용자 선호 설정 법칙(UPR)을 갖기 때문이다. 멀티미디어 관리 법칙(MMR)에 의해 코드화된 것처럼 현재 멀티미디어 항목 관리 시스템(130)에 의해 생성될 현재 재생-목록, 또는 일반 재생-목록을 분석하여, 연결(193)을 통해 멀티미디어 항목 집합(160)으로부터 멀티미디어 항목(164,166,168,169)의 서브셋을 취하면, 예를 들어, 설명 정보에 대한 수학적 클러스터링 기법을 이용하는, 처리 유닛(151)은, 재생-목록이 2개의 하위범주, 즉 "살사" 및 "맘보"와 같은 눈에 띄는 댄스곡을 포함한다는 결론을 도출해 낸다. 내부 법칙에 따라, 처리 유닛은 하위범주를 별도로 설명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더 관련있다는 것을 알고 있는데, 그 이유는 사용자는 이후 멀티미디어 항목 관리 시스템(130) 행동을 판단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미세-조정할 수 있는 더욱 상세한 정보를 얻기 때문이다. 따라서 처리 유닛은 제 1 설명 주제(104), 즉 살사 댄스곡의 생성을 위한 법칙(MMR1)(위의 예 참조)을 선택한다.
이것은 재생-목록(172)(또는 선택 행동과 일치하는 노래의 임의의 목록) 내의 노래의 수 및 분배의 분석뿐만 아니라, 사용자에 대한 멀티미디어 항목의 특정 등급의 관련성을 나타내는 사용자 선호 설정 법칙에 기초하는, 멀티미디어 관리 법칙(MMR)에 대한 관련성(R)에 기인하는 일례이다.
법칙(MMR)의 관련성(R)은 선택된 법칙(MMR1) 또는 법칙들에 따라 선택되거나 거부된 노래의 비율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래의 선택에 대부분 기여하는 법칙(즉, 노래의 대부분이 이 법칙(MMR)의 영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선택됨)은 관련성 할당 전략의 한 유형에 따라 높은 관련성으로 할당될 수 있다. 역으로, 약간의 노래, 또는 특정 속성을 가진 작은 하위-클러스터만을 생성하는 법칙들은 이러한 전략에 따라 "특정" 법칙들이 설명할 가치가 있으므로 높은 관련성 값으로 할당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법칙(MMR)의 관련성(R){따라서 또한 높은 관련성 값(R)으로 인해 설명이 유보된 선택된 법칙(MMR1,MMR2)}은 법칙(MMR) 또는 법칙들 그리고 사용자 선호 설정 법칙(UPR; User Preference Rule) 사이의 대응성의 정도에 의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선호 설정 결정 유닛(182)은 어떤 노래(즉, 어떤 속성을 가진 노래)가 사용자에 의해 실제적으로 청취되며, 또는 처음부터 끝까지 청취되거나, 심지어 여러 번 청취되는지를 분석할 수 있다. 따라서 처리 유닛(151)은 살사가 테크노보다 사용자에게 더 중요하다고 결정하여,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진 살사 관리를 설명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처리 유닛(151)은 부적절하게 많은 재미없는 테크노 노래들이 현재 재생-목록(172)에 대해 선택되고 있으며, 우선 순위를 가지고 사용자에게 그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을 순행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행동은 하루 중 시간, 날짜, 현재 상황(예, 사용자는 친구들이 오늘이 "그의 생일"이기 때문에 방문한다는 것을 지시함) 등에 따라 더 하위-분류될 수 있으며, 처리 유닛(151)은 그 관련성 할당을 이에 따라 적응시킬 수 있다.
관련성(R)은 또한 무엇이 이미 설명되었고, 언제 그리고 어떻게{예, 선택된 법칙(MMR1) 또는 법칙들의 도입일 또는 변경일 또는 선택된 법칙(MMR1) 또는 법칙들의 이전 설명일}에 기초해 할당될 수 있다. 관련성(R)은 또한 예를 들어, 살사 애호가의 커뮤니티에서 사용자 또는 다른 사람에 의해 수동으로 할당될 수 있다.
관련성(R)은 또한 법칙이 현저하게 기여한 관리 작용의 종류에 의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는 "2주 후 휴지통에 버림", "1주 동안 보유" 등과 같은 흥미로운 관리 작용을 미리 결정한 다음 많은 흥미로운 노래들이 휴지통에 버려지는 이유를 관찰할 수 있다.
전술한 예와는 별도로, 당업자는 다른 흥미로운 전략들을 프로그래밍할 수 있는 것이 명백해야 한다.
법칙 결합에 대한 전체 관련성(R)은 수학적으로 계산될 수 있다. 설명을 위해 관련 법칙 결합을 유도하기 위한 처리 유닛(151)에 의해 사용된 수학은 예를 들어 언덕-등반(hill-climbing) 또는 유전자(genetic) 알고리즘, 또는 시뮬레이팅된 가열 냉각(simulated annealing)의 종래 기술의 최적화에서 발견될 수 있다. 언덕-등반 최적화에 대한 이웃하는 설명은 법칙들 중 하나를 교체함으로써 쉽게 얻어질 수 있다.
렌더링 유닛(178)은 선택된 멀티미디어 관리 법칙(MMR1)에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배열된다. 렌더링 유닛(178)은 컴퓨터 그래픽 프로세서(1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것은 다음과 같은 유형의, 각각 교환가능한 부품에서 사용가능한 신호(예, 종래 기술의 공통적인 일반 지식과 같이, 텔레비전 표준 비디오 신호로 변환된 비디오 메모리 내의 초기 픽셀)를 생성하기 위해 배열된다:
- 예를 들어, 현재 설명된 특정 법칙에 의해 선택된 재생-목록 내의 노래/항목의 서브셋을 도시하는 목록 표시(108,120);
- 예를 들어, 추가적 설명(문자 정보 텍스트 박스(122)) 또는 법칙(제 1 법칙 텍스트박스(202)-도 2 참조)을 포함하는 텍스트박스;
- 하나 이상의 선택된 노래/항목의 그래프 표시(110);
- 하나 이상의 선택된 법칙(MMR1)의 그래프 표시(354, 도 3); 및
- 선택된 법칙(MMR1) 또는 법칙들의 결합의 위짓(widget) 표시(322, 도 3) [위짓은 한편으로는 그래프 표시 및 다른 한편으로는 특정 함수를 수행하기 위한 대응 프로그램 코드의 결합; (주의, 어떠한 사용자 상호작용도 가능하지 않은 경우 오직 그래픽 부분만이 처리 유닛(151)에 의해 조작된다)].
컴퓨터 그래픽 프로세서(140)는, 주제 식별자(112,118)와 같은, 제시 주제의 다른 그래프 요소에 대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더 배열된다.
지침서 생성 유닛의 가장 단순한 실시예는 사용자 상호작용을 허용하지 않으며, 즉 이들은, 가능하게 지침서를 미리 결정된 종료 이전에 지침서의 중단을 제외하고는 지침서와 상호작용할 수 없는 수동적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예를 들어, 영화-유형 설명 주제(104,106) 지침서(102) 제공은 도 1에 도시된, 렌더링 유닛(178)에 의해 생성된다. 처리 유닛(151)은, 사용자에 대한 주제의 관련성을 나타내는 발견적인(henristic) 법칙의 집합을 평가함으로써, 제공 시간을 각 설명 주제(104,106,402)에 할당한다. 예를 들어(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제 1 시간 간격(Dt1) 동안, 재생-목록에 대한 "서부 영화"(104)의 기여도가 설명되며, 제 2 시 간 간격(Dt2) 동안, "공포 영화"(106)의 선택 행동의 설명에 의해 이 시간 간격(Dt1)의 만료 이후에 후속되며, 마지막으로 "과학 다큐멘터리"(402)의 선택의 설명이 후속된다. 이러한 영화-유형 주제는 디스플레이(180)(비디오 신호 연결(185)과 연결됨) 상에 보여진 비디오 화상 (서브) 신호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에는 적어도 일부의 (서브)신호가 변화하며, 동작의 환영(illusion)을 제공하며, 이 동작은 설명에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법칙 텍스트박스(202) 내의 멀티미디어 항목 관리 법칙이 강조될 수 있으며, 법칙의 작용은 예를 들어 목록 표시(206) 내의 노래 제목을 통해 교차함으로써 동적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이것은 법칙의 작동 하에 재생-목록으로부터 거부되거나 이에 기여하지 않는다. 유사하게,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처리 유닛은, 이 법칙의 충격을 설명하기 위해, 법칙의 수치값의 범위 스캐닝 변경에 대응하는, 스크롤 바 위짓(322)의 슬라이더를 동적으로 적응시킬 것을 렌더링 유닛에 지시할 수 있다. 어떠한 유형의 노래가 재생-목록 내에서 이에 따라 선택되는가는 예를 들어, 노래 파라미터 상태 공간과 같은 그래픽 표시(110,330) 내에서 동적 그래프 방법으로 도시될 수 있다. 이러한 영화를 재생함으로써, 특정 주제에 관한 멀티미디어 항목 관리 시스템(130)의 행동의 많은 양상이 설명된다.
값싸거나 휴대용 디바이스들은 심지어 더 작은 렌더링 용량을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소형 MP3 플레이어 또는 귀중한(jewel) 전자 장치는 소형 디스플레이를 갖거나 아예 디스플레이를 갖지 않을 수 있다. 소형 디스플레이용 처리 유닛(151) 및 렌더링 유닛(178)의 변형은 오직 법칙 및 다수의 제목의 문자 표시 또 는 이에 따라 선택된 노래의 다른 문자 표시를 스크린을 따라 스크롤한다. 디스플레이가 없는 디바이스를 위한, 오디오 프로세서(142)를 이러한 목적으로 포함하는 처리 유닛(151)과 렌더링 유닛(178)의 변형은, 처리 유닛(151)이 예컨대, 반복적인 패턴 검출을 이용하는, 억제 검출기를 구비한 경우, 법칙에 대응하는 오디오 단편 및 예컨대 5초 도입부 또는 후렴부와 같은, 선택된 노래의 오디오 단편을 재생한다. 단편을 설명하는 법칙은 고급 지침서 생성 시스템(오디오 제공은 또한 디스플레이가 샘플 비디오 디스플레이 기능을 가진 경우 유용함) 내의 문자-음성 생성으로부터 또는 데이터원으로부터 유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침서 생성 유닛(100)은 외부 정보원(154)에 액세스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유닛(15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외부 정보원(154)은 예를 들어, 전화 연결 또는 방송의 채널과 같은, 외부 소스 연결(192)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외부 정보원(154)은 예를 들어, MTV 인터넷 데이터베이스 서버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설명 단편은 예를 들어 DJ의 비평일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MTV 분류에 따른 다른 유형의 정보(예, 특정 멀티미디어 관리 법칙), 그들의 행동에 대한 추가적 정보(예, "비교적 편안한 맘보를 얻기 위해 설정된 맘보-법칙 사용"), 법칙의 행동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픽 방법(예, 템포 및 "무드"과 같이 미리 한정된 2개의 축을 가진 2차원 상태 공간 도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데이터 소스(154)가 디스크 또는 메모리 스틱과 같은 데이터 운반체(155)인 경우, 인터페이스 유닛(152)은 디스크 드라이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더 진보된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키보드, 음성 제어 입력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76)로부터 입력(In)을 수신하고 파싱(parse)하기 위해 배열된 사 용자 인터페이스 유닛(150)에 의해 지침서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 주제(104)의 제공을 위한 시간 간격(Dt1)이 너무 짧은 경우, 사용자는 이를 반환할 수 있으며, 여분의 시간을 제공 등에 할당할 수 있다. 지침서 생성 유닛이 미리 결정된 유한한 전체 제공 시간 간격(Ttot) 내에서 영화-유형 지침서(102)를 의도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배열된 경우, 사용자가 제공 시간을 제 1 설명 주제(104) 제공에 추가하면, 동일한 양의 시간이 후속 주제로부터 공제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전체 제공 시간 간격(Ttot)은 미리 결정된 초과시간 양(DTtot)까지 연장될 수 있다.
처리 유닛(151)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크롤 바 위짓(322)의 슬라이더를 좋아하는 것(likings)으로 스크롤을 허용하는 것과 같이, 더욱 세부적인 사용자 상호작용을 허용하기 위해 더 배열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영화 시작"-버튼(114)을 클릭할 수 있으며, 이것은 선택된 노래들이 선택된 법칙(의 변화)에 따르는 방법의 그래프 표시(110)의 팝업을 개시한다.
마지막으로, 지침서 생성 유닛(100)의 매우 유용한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멀티미디어 항목 관리 시스템(130)의 행동을 자세히 연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멀티미디어 항목 관리 시스템(130)의 행동을 변경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처리 유닛(151)은 멀티미디어 항목 관리 시스템(130)의 법칙을 변경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증명하기 위해 배열되며, 이것은 제어 연결(188)을 통해 연결가능하다.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이를 위해 설계될 수 있으며, 예컨대, 사용자는 그가 좋아하는 노래 선택 행동을 얻는 위치로 스크롤바 위짓(322) 슬라이더를 설정할 수 있으며, 이후 이들 멀티미디어 항목 관리 법칙 설정을 멀티미디어 항목 관리 시스템(130)으로 전송하기 위해 "다운로드" 버튼(370)을 누를 수 있다.
사용자 선호 설정 결정 유닛(182)은 지침서 생성 유닛(10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 사용자 선호 설정 결정 유닛(182)은 사용자 행동을 모니터하고 연결(197)을 통해 메모리(179)에 저장될 수 있는 사용자 선호 설정 법칙(UPR)을 공식화하기 위해 배열된다. 사용자 선호 설정 결정 유닛(182)의 실시예들은:
- 재생-목록으로부터의 항목이 실제로 사용자에 의해 완전히 재생되는지를 분석하기 위한 통계 유닛:
- 사용자가 특정 멀티미디어 항목을 재생하는 시간을 기록하는 클록;
- 카메라 및 사용자로부터의 활동을 모니터링하는 카메라와 비디오 처리 유닛과 같은, 더 복잡한 사용자 모니터링 장치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사용자 선호 설정 결정 유닛(182)은 다양한 장치(예, 사용자의 PC) 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 장치들은 행동들을 중앙 유닛 또는 메모리(179)로 직접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모니터링으로부터 사용자 선호 설정 법칙은 "저녁에 사용자는 편안한 음악을 좋아함"과 같이 나타나며, 편안함은 "느린 템포, 시끄러운 부분 없음, 강한 비트 없음, 바람직하게는 클래식 또는 자연의 소리"로서 이 사용자에 대해 별도의 법칙의 결합 내에 한정된다. 이들 법칙들은 예를 들어, 파라미터 공간 내의 클러스터링과 같은, 고전적인 수학적 데이터 분석에 의해 얻어진다.
도 2에서, 단순한 설명 주제(200)는 사용자가 사용할 시간이 적은 경우 이용 될, 빠른 행동 확인 또는 정정을 위해 도시된다.
텍스트박스(202 및 204) 내에 다수의 선택된 법칙이 도시되며, 각각 노래의 년도 및 국적이 각각 표시된다.
처리 유닛은 번역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배열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문자 "RL 1:AG >1960<1970"이 나타나는 대신, 더 판독가능한 형태로 내부 법칙 설명의 번역을 위해, 다음의 문자가 제시될 수 있다:
"노래들은 1960년보다 더 최근의 것이며 그리고 1970년보다 오래된 것으로 선택됨". 이러한 문자의 생성 방법은 인공 지능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다.
제 3 목록(206) 표시(206)는 특정 설명 주제의 순간적 제시에서 자세한 검사 하의 법칙을 제외하고(예에서는 국적) 특정 설명 주제에 대응하는 모든 선택된 법칙(예에서는 "훌륭한 60년대 노래")에 의해 선택된 일반적으로 선택된 노래를 도시한다. 제 4 목록(208)은 어떤 노래들이 자세한 검사 하의 법칙의 적용에 의해 거부될지를 보여준다. 사용자는 그의 "60년대" 주제에 완벽하게 들어맞는 그의 선호 설정에 따른 비틀즈의 노래가 영국이 법칙에 포함되지 않았으므로 모두 거부된다는 것을 쉽게 감지할 수 있다. 더욱 앞선 설명 주제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는, 예를 들어 선택기 목록으로부터, 국가 코드를 법칙에 추가함으로써 이를 신속히 정정할 기회를 가질 것이다. 하지만, 이렇게 간단한 인터페이스에서 빠른 확인을 위해, 사용자는 자세한 검사 하에 법칙을 유지하거나 집행하는(예, 법칙이 확률을 기초로 선택되거나, 임계값이 선택에 대한 법칙의 기여도를 결정하는 경우), "동의" 버튼(210), 법칙 결합으로부터 법칙을 제거하거나(일반적으로 이러한 간단한 설명 주 제 인터페이스의 경우 AND) 이러한 주제 전체를 무시하는, "거부" 버튼(212)을 클릭함으로써, "다음 주제" 버튼(214)을 클릭함으로써 오직 법칙에 동의할 수 있다. 소수의 "확장기" 버튼(216)이 예를 들어 텍스트박스(218)를 팝업하며, 존재할 수 있고, 문자 정보(예, MTV로부터 수신)는 다음과 같은 법칙을 더 설명할 수 있다: "이 법칙은 아티스트가 목록 내에서 국가들 중 하나의 국적을 갖는 경우에만 노래를 선택한다. 국가 코드는 ...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주의, 이 법칙은 강한 선택력을 지니며, 좋은 사운드의 노래는 ....로 인해 거부될 수 있다". 더욱이, 예를 들어 이러한 법칙을 추가하는 법칙 결합을 변경한 경우, 설명 텍스트가 첨부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관리 중에 어떤 일이 발생했는지 그리고 텍스트박스(218) 안인지를 더 설명하는 텍스트는 또한 영구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도 3에서, 더 복잡한 설명 주제 인터페이스가 도시되며, 이것은 일반적으로 지침서 생성 유닛(100)에 의해 사용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항목 관리 시스템(130)의 멀티미디어 관리 법칙과의 광범위한 사용자 상호작용을 가능케한다. 다시 텍스트박스(202)는 텍스트로 선택된 멀티미디어 관리 법칙(MMR1)을 디스플레이 하지만, 이제 이 법칙은 멀티미디어 항목 관리 시스템(130)의 멀티미디어 항목 선택 행동에 대한 영향을 점검하기 위해 적응될 수 있으며, 예컨대, "종료 연도"는 텍스트 판독 위짓(304)에서 변경될 수 있다. 1970년과 다른 "종료 연도"가 더 나은 노래를 선택한 경우, 사용자는 멀티미디어 관리 법칙(MMR1) 또는 멀티미디어 항목 관리 시스템(130) 내의 법칙의 결합을 실제로 변경하기 위해 "다운로드" 버튼을 누를 수 있다. 유사하게 텍스트박스(320) 내의 제 2 법칙(예, 재생-목록 내의 살사- 메타태그 노래의 비율)은 스크롤바 위짓(322)으로 적응될 수 있다. 도 2와 함께 설명된 "국적" 법칙과 같은 특정 법칙을 가능케 하는 효과를 설명하는 대신, 스크롤바 위짓(322)은 살사송의 비율 기여 또는 선택된 노래의 평균 템포와 같은, 법칙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처리 유닛(151)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관리 법칙의 사용자-개시된 또는 자동 적응은 또한 예를 들어, 상태 공간도와 같은, 그래프 표시로 제시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법칙을 변경함으로써, 현재 변경된 법칙을 가진 멀티미디어 항목 관리 시스템(130)의 현재(모델링된) 멀티미디어 관리 행동에 따른 일반적으로 선택된 노래는 "선택된 노래" 표시자(331)로 표시될 수 있으며(이것은 예컨대 현재 선택된 일반적인 노래의 수학적 평균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언제 노래가 클러스터 "맘보"를 떠나고 클러스터 "살사"로 들어갈지 알 수 있으며, 이 영역은 예컨대, 클러스터 변화로부터 수학적으로 도출된, 그래프 표시(333)로 표시된다. 사용자는 또한 커서(332)를 가진 상태 공간을 발견할 수 있으며, 이것은 선택적으로 멀티미디어 관리 법칙을 적응시킬 수 있으며, 메모리(179)는 상태 공간 내의 위치를 예를 들어, 파라미터, 발생 또는 멀티미디어 관리 법칙(MMR1)의 수학적 결합 공식과 연결시키는 법칙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거리 계량을 측정함으로써, 그래프 표시(333)로 현재 선택되고/되거나 표시된 것들에 밀접히 대응하는 노래(의 일부)를 실제로 듣기 위해 "재생" 버튼(340)을 클릭할 수 있다.
이 예에서 목록(206)은 클릭가능한 목록 위짓이다. 사용자가 노래 제목을 클릭할 때, 설명된 법칙과 관련한 노래에 관한 보다 특별한 정보가 팝업창(미도시)에 제공된다. 예를 들어, "노래 3은 1961년 노래이므로 따라서 법칙 1에 의해 보유되므로 선택되며" 그리고 "법칙 5는 최대 3개의 노래를 각 개별 년도로부터 허용하며, 이 노래는 세 번째로 선택된다". 또는 사용자가 현재 재생-목록으로부터 거부된 노래의 설명을 원하는 경우(예, 가로줄로 지운 것으로 도시): "노래는 비트(beat) 및 국적으로 인해 선택가능했지만, 마지막으로 이번 주에 두 번 들었으므로 거부된다". 동의가능한 사람이 판독가능한 형태로 이러한 문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알고리즘은 예를 들어 MTV 사이트로부터 법칙과 함께 공급될 수 있다.
법칙 결합은 단순한 AND 결합보다 더 복잡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들의 수학적 형식은 사용자에 의해 분석하기가 더 어려울 수 있다. 처리 유닛은 선택된 법칙(MMR1)의 세트가 결합되어 작용하는 방법을 지정하는 공식(350)에 대해 수학적 분석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배열될 수 있다. 예컨대 결합은 덧셈 공식일 수 있다:
RES_1 = a*RL_1 + b*RL_2;
이 식에서 a와 b는 가중 상수이며, 법칙은 예를 들어, 하한과 상한 사이의 수치 값을 산출한다(확률, 및/또는 퍼지 로직, 측정 이론 등의 원리를 이용하여 수학적으로 지정됨). 수치 값은 예를 들어, 그 함수가 모노(monotonic), 가우스(Gaussian) 등일 수 있는 노래 템포와 같은, 파라미터에 대한 함수의 평가의 결과일 수 있다. 사용자는 RL_2의 값의 범위가 RL_1의 그것보다 훨씬 더 크며, 측정 계수(scaling factor)가 이를 최적으로 고려하지 않아서, RL_1은 거의 결과에 기여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기회를 가져야 한다.
원하는 멀티미디어 항목 관리 행동을 산출하는 법칙의 결합에서, 다수의 수학적 공식은 순차적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한 중간 조건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지정된다:
S=MAX(a*RL_1;b*RL_2)
함수 선택기 상자(351)는 사용자가 다른 수학적 등식(예, MAX 함수보다 더 적절하게 작용하는 것)을 선택하도록 허용하는 한편, 파라미터 조정 위짓(355)은 파라미터의 수정을 허용한다.
사용자가 이 수정을 현명하게 하도록 하기 위해, 처리 유닛(151)과 렌더링 유닛(178)이 예를 들어, 함수 분석 그래프(354)를 가진 이들 등식의 행동의 그래프 개요를 제공하도록 적응되는 것이 유리하다. 등식(1)의 행동을 조명할 때, 함수 분석 그래프(354)는 범위 바(range bar)일 수 있으며, 이것은 법칙 2의 멀티미디어 항목 집합(160) 값에서 가능하거나 실제로 발생하는 범위를 표시한다. 그래프 속성(예, 컬러)은 대부분의 범위(358)에 대해 일반적으로 법칙 2가 법칙 1을 지배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범위(356)의 하단부에서만, 제 1 법칙은 기여할 수 있는 임의의 기회를 갖는다. 통계적 그래프(352) 또한, 제시될 수 있으며, 예컨대 파라미터 범위에 대한 노래의 선택 가능성과 어느 법칙 또는 법칙 양상이 기여하는 지를 가리킨다. 예를 들어, 파라미터가 템포이며, 법칙이 "국적"인 경우, 통계 그래프(352)는 아르헨티나 살사는 멕시코 살사보다 빠르다는 것이 사용자에게 즉시 명백하도록 만들 수 있다. 빠른 살사를 원하는 사용자는 아르헨티나를 브라질로 교체 함으로써 작동할 수 있으며 그래프를 다시 점검할 수 있다.
버튼의 다른 변수들이 도시되며 사용자가 지침서 생성 유닛(100)에 의해 원래 의도된 것으로부터 시간의 제시 흐름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시간 추가(more time)" 버튼은 미리 결정된 양의 초를 현재 설명 주제(104)의 제시 시간 간격(Dt1)에 추가한다. "정지(freeze)" 버튼은 지침서(102)의 다음 설명 주제(106)로의 전환을 중단시킨다.
도 5는, 클릭가능한 하이퍼링크 영역을 가진 웹페이지 포맷과 같은, "정적 이미지"-유형의 설명 주제(504)의 일례를 도시한다. 이 지침서의 생성은, 잠재적 구매자에게 구매가능한 멀티미디어 항목 관리 법칙 세트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 원격 인터넷 서버 상에서 실제로 실행될 수 있으며(예컨대, 멀티미디어 항목 관리 시스템(130), 지침서 생성 유닛(100) 및 사용자 선호 설정 결정 유닛(182)과 같이, 이러한 설명에서 설명된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그들의 모듈의 일부조차 예컨대, 인터넷 서버와 같은, 다른 장차 상에서 실행될 수 있다는 것에 주의), 또는 이것은 일반적으로 휴대폰 또는 포켓 PC 또는 사용자의 가정용 PC와 같은 휴대용 디바이스와 같은, 사용자 장치 내부에서 생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502)를 구비한 이러한 휴대용 장치(500)가 도시된다. 현재 이미지는 제목(530)으로 표시된, 특정 법칙 또는 법칙의 결합을 설명한다. 전술한 것처럼 설명된 현재 법칙 및/또는 다른 법칙 및/또는 전체 세트의 법칙으로 선택되고/거부된 노래들은 목록(505)에 도시된다. 더욱이 법칙들은 하이퍼링크로 표시되며, 예를 들어 제 2 하이퍼링크(532)가 클릭된 경우, 제 2 법칙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즉 설명되는데, 제 3(534) 및 제 4 하이퍼링크(536)의 경우에도 유사하다. "종료" 하이퍼링크는 지침서에서 나가기 위해 클릭될 수 있다.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처럼 법칙의 결합을 설명하는 계층적 변형(hierarchical variants)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처리 유닛(151)은 법칙의 결합의 법칙의 관련성(R)에 기초한 최적화된 하이퍼링크 연결 구조를 생성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가장 관련있는 법칙은 먼저 도시된 이미지에 해당하고 제 2 하이퍼링크(532)는 두 번째로 가장 관련있는 법칙에 해당한다.
"수락" 버튼(510)과 "거부" 버튼은 또한 하이퍼링크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를 다음 법칙 설명 주제로 이동시킨다. 장치(500)는 예컨대, 가정용 PC보다 더 적은 계산 기능을 가진 소형 디바이스일 수 있으므로, 유선(540) 또는 무선 연결(541)은 외부 처리 유닛(151)으로부터 법칙 (파라미터) 선택에 대응하는 설명 주제 또는 순서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존재할 수 있는데, 이 때 렌더링 유닛(178)은 장치(500)에 결합되며 렌더링은 이들 순서를 적절한 신호를 변환하기 위해 배열된다. 503은 랩톱으로부터 알려진 것과 같은 마우스 버튼/조이스틱이다.
소형 스크린 상에서 이미지 데이터는 하이퍼링크 버튼의 기능을 하는 단일 문자(<A>=수락, <R>=거부, <N>=다음 법칙, 및 <E>=종료이며 단일 인터페이스를 구성함)를 가진 스크린의 일부 상에서 스크롤할 수 있다.
유닛 또는 소프트웨어를 설명하는 멀티미디어 항목 관리 행동은, 전용 서비스 제도에 의해 산업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예, 인터넷 상에서) 판매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방법은 예컨대 DJ와 같은 전문 사용자에 의해 방송 스튜디오와 같은 산업에서 사용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하에서, 명령을 프로세서로 들어오도록 하기 위한 일련의 로딩 단계 이후에, 발명의 임의의 특징적인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프로세서를 인에이블하는 명령(일반 또는 특수 목적)의 집합의 임의의 물리적 실현(예, 제조 품목)이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예를 들어 메모리 내에 존재하고, 네트워크 연결(유선 또는 무선) 상에 임시로 존재하는 디스크 또는 기타 플러긴 구성요소와 같이, 운반체 상의, 이러한 프로그램 코드의 임의의 중간 변환 또는 이러한 프로그램 코드로부터 유도된 프로세서 적응된 코드인 프로그램 코드, 또는 문서 상의 프로그램 코드로서 실현될 수 있다. 프로그램 코드와는 별도로, 프로그램에 필요한 발명 특징적인 데이터는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한정하기보다는 설명하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지침서 생성 유닛의 구성요소의 다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아야 하며, 각 결합은 다른 장치 또는 시스템에서 유용하다. 특히:
- 각 관련성(R) 속성 전략은 다른 전략에 대한 대안으로서 또는 다른 전략과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 처리 유닛(151)은 멀티미디어 관리 법칙(MMR)의 선택의 우선 순위화 단계에 대한 다른 절차상 전략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 전략은 선택된 법칙(MMR1)들이 설명에서 (예, 그들의 파라미터를 변경시킴으로써) 순차적으로 분석되는 방법 및 이들이 적절한 신호를 관련시키기 위해 렌더링 유닛(178)에 제공되는 방법을 말한다;
- 신호를 법칙들 또는 법칙의 결합과 연결시키는 다수의 방법들은 설명 주제의 룩-앤-필(look-and-feel), 특히 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에서 잘 알려진 위짓에 도달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 추가적인 사람에 의해 생성된 법칙 설명 정보는 다른 소스로부터 공급될 수 있고 처리 유닛(151)에 의해 지침서 내에 도입될 수 있다; 그리고
- 지침서 생성 유닛(100), 멀티미디어 항목 관리 시스템(130), 사용자 선호 설정 결정 유닛(182)(존재하는 경우) 및 재생-목록 메모리(173)는 동일한 디바이스 또는 다른 디바이스(예, 사용자 PC에 구현된 첫 번째 세 가지 디바이스) 내에 있을 수 있는 반면, 재생-목록 메모리(173)는 휴대용 MP3 플레이어에 포함될 수 있으며, 노래, 재생 순서 및 필요한 경우 일부 추가적 설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요소의 임의적 결합은 단일 전용 요소에서 실현될 수 있다.
청구항 내의 괄호 사이의 임의의 참조 표시는 청구항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포함하다"라는 용어는 청구항에 열거되지 않은 요소 또는 양상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단수 요소는 복수 요소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하드웨어에 의해(예, 각 유닛 또는 서브유닛을 위한 전용 ASICs 또는 인쇄회로 기판) 또는 일반 또는 특수 목적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항목 관리 시스템의 기술 분야로부터 시스템의 멀티미디어 항목 관리 행동을 설명하기 위한 새로운 유닛, 시스템, 장치, 방법 및 컴퓨 터 프로그램 제품에 관한 것으로서, 지침서 생성 유닛 등에 이용가능하다.

Claims (15)

  1.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관리 법칙(MMR; Multimedia Management Rule)에 의한 사용자 선호 설정에 따라 멀티미디어 항목(164,166,168,169)을 관리하기 위해 배열된 멀티미디어 항목 관리 시스템(130)의 멀티미디어 관리 행동을 사용자에게 설명하기 위한 지침서 생성 유닛(100)으로서,
    -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관리 법칙(MMR)이 설명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법칙(MMR1)을 선택하기 위해 배열된, 처리 유닛(151)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법칙(MMR1)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법칙(MMR 1)의 사용자와의 관련성을 나타내는 미리 결정된 관련성 값(R)에 따라 선택되는, 처리 유닛(151); 및
    - 설명될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법칙(MMR 1)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시청각 정보 제공 신호(108,110,112)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설명 주제(104)를 생성하기 위해 배열되며, 사용자 관찰을 위해 의도된 지침서(102)를 생성하기 위해 배열된, 렌더링 유닛(178)으로서, 상기 지침서(102)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명 주제(104)를 포함하는, 렌더링 유닛(178)
    을 포함하는, 지침서 생성 유닛.
  2.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150)이 포함되며, 사용자 입 력(in)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명 주제(104)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 제공 신호(108,110,112)를 대체하기 위해 배열된, 지침서 생성 유닛.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렌더링 유닛(178)은 하기 유형:
    a)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Dt1)동안 제공될 화상의 영화로서, 상기 화상은 적어도 하나의 하위-화상 이미지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위-화상 이미지 신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법칙(MMR 1)에 대응하는 그래프 표시를 포함하는, 화상의 영화;
    b) 클릭가능한 하이퍼링크 영역(532,534,536,538)과 함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법칙(MMR 1)에 대응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이미지로서, 상기 하이퍼링크 영역은 클릭될 때 다른 설명 주제(106)에 대응하는 다른 정보 제공 이미지의 디스플레이를 개시하는, 정보 제공 이미지
    c) 순차적으로 재생된 오디오 단편(snippet)의 집합으로서, 각 단편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법칙(MMR 1)에 대응하는, 순차적으로 재생된 오디오 단편의 집합;
    d)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법칙(MMR 1)에 따라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항목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스크롤링 텍스트의
    설명 주제(104)를 제공하기 위해 배열된, 지침서 생성 유닛.
  4. 제 2항에 있어서, 처리 유닛(151)은 상기 사용자 입력(in)에 기초해 상기 멀 티미디어 항목 관리 시스템(130)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관리 법칙(MMR)을 적응시키기 위해 더 배열된, 지침서 생성 유닛.
  5. 제 1항에 있어서, 처리 유닛(151)은 제공 시간 간격(Dt)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명 주제(104)와 연관시키기 위해 더 배열되며, 상기 제공 시간 간격(Dt)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명 주제(104)의 정보 제공 신호(108,110,112)의 집합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시간 기간을 나타내는, 지침서 생성 유닛.
  6. 제 5항에 있어서, 처리 유닛(151)은
    - 미리 결정된 전체 제공 시간 간격(Ttot)을 포함하고;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법칙(MMR1)의 관련성 값(R)과 전체 제공 시간 간격(Ttot)에 기초해 설명 주제(104)와 관련 제공 시간 간격(Dt)을 할당하기 위해
    더 배열된, 지침서 생성 유닛.
  7. 제 1항에 있어서, 치리 유닛(151)은
    - 상기 선택된 법칙(MMR1) 또는 법칙들에 따라 선택되거나 거부된 노래의 비율;
    - 상기 선택된 법칙(MMR1) 또는 법칙들과 사용자 선호 설정 법칙(UPR) 사이의 대응 정도;
    - 상기 선택된 법칙(MMR1) 또는 법칙들의 수동으로 배정된 관련성;
    - 상기 선택된 법칙(MMR1) 또는 법칙들의 도입 또는 변형의 일자;
    - 상기 선택된 법칙(MMR1) 또는 법칙들의 이전 설명의 일자;
    - 상기 선택된 법칙(MMR1) 또는 법칙들이 현저하게 기여하는 미리 결정된 종류의 관리 작용; 및
    - 법칙의 근원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에 기초해 단일 선택된 법칙(MMR1) 또는 선택된 법칙들의 결합의 관련성 값(R)을 결정하기 위해 더 배열된, 지침서 생성 유닛.
  8. 제 1항에 있어서, 처리 유닛(151)은 상기 선택된 법칙(MMR1)의 서브셋을 설명하고/하거나 상기 선택된 법칙(MMR1)의 서브셋의 파라미터를 변경하기 위해 더 배열된, 지침서 생성 유닛.
  9. 제 1항에 있어서, 처리 유닛(151)은 등식의 동작의 양상을 사용자에게 설명하기 위해, 선택된 법칙(MMR1)의 세트의 결합된 작용을 나타내는 등식(350)에 대한 수학적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더 배열된, 지침서 생성 유닛.
  10. 제 1항에 있어서,
    - 멀티미디어 항목을 설명하는 인간 생성된 정보;
    - 멀티미디어 관리 법칙(MMR) 또는 멀티미디어 관리 법칙의 결합을 설명하는 인간 생성된 정보; 및
    - 멀티미디어 관리 법칙(MMR)과 연관된 특정 제공 신호를 지시하는 인간 생성된 정보
    유형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정보원(154)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거나 검색하기 위해 배열된 인터페이스 유닛(152)을 더 포함하는, 지침서 생성 유닛.
  11.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 선호 설정 결정 유닛(182)으로부터 사용자 선호 설정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배열된, 지침서 생성 유닛.
  12. 멀티미디어 관리 시스템으로서,
    -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관리 법칙(MMR)에 의해 사용자 선호 설정에 따라 멀티미디어 항목(164,166,168,169)을 관리하기 위해 배열된 멀티미디어 항목 관리 시스템(130); 및
    - 사용자에게 멀티미디어 항목 관리 시스템(130)의 행동을 설명하기 위해 배열된, 지침서 생성 유닛(100)
    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관리 시스템.
  13. 휴대용 장치(500)로서,
    -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관리 법칙(MMR)에 의해 사용자 선호 설정에 따라 멀티미디어 항목(164,166,168,169)을 관리하기 위해 배열된 멀티미디어 항목 관리 시스템(130); 및
    - 사용자에게 멀티미디어 항목 관리 시스템(130)의 행동을 설명하기 위해 배열된, 제 1항에 청구된 지침서 생성 유닛(100)
    을 포함하는, 휴대용 장치.
  14.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관리 법칙(MMR)에 의한 사용자 선호 설정에 따른 멀티미디어 항목(164,166,168,169)을 관리하기 위해 배열된 멀티미디어 항목 관리 시스템(130)의 멀티미디어 관리 행동을 설명하는 방법으로서,
    -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관리 법칙(MMR)이 설명될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법칙(MMR1)을 선택하는 단계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법칙(MMR1)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법칙(MMR1)의 사용자에 대한 관련성을 나타내는 미리 결정된 관련성값(R)에 따라 선택된, 선택하는 단계; 및
    - 설명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법칙(MMR1)에 기초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비디오 정보 제공 신호(108,110,112)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설명 주제(104)를 생성하고, 이 설명 주제로부터 사용자 관찰을 위해 의도된 지침서(102)를 생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지침서(102)는 하나 이상의 설명 주제(104,106)를 포함하는, 지침서(102)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관리 행동을 설명하는 방법.
  15. 프로세서가 제 14항에 청구된 방법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프로세서가 제 1항 내지 제 11항에 따른 실체들 중 하나의 신호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방 법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0067017430A 2004-03-01 2005-02-24 지침서 생성 유닛 KR200700072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4100810.3 2004-03-01
EP04100810 2004-03-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7290A true KR20070007290A (ko) 2007-01-15

Family

ID=34976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7430A KR20070007290A (ko) 2004-03-01 2005-02-24 지침서 생성 유닛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80096174A1 (ko)
EP (1) EP1723623A2 (ko)
JP (1) JP2007528063A (ko)
KR (1) KR20070007290A (ko)
CN (1) CN100578566C (ko)
WO (1) WO2005088579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83160A3 (en) * 2009-01-15 2010-10-21 Sony Corporation Tv tutorial widge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39845B2 (en) * 2004-02-13 2014-01-28 France Telecom Method for editing multimedia pages on a terminal using pre-stored parameters of objects appearing in scenes
US7701082B2 (en) * 2006-10-30 2010-04-2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erospace electrical power DC subsystem configuration using multi-functional DC/DC converter
US20100146388A1 (en) * 2008-12-05 2010-06-10 Nokia Corporation Method for defining content download parameters with simple gesture
US8635584B2 (en) * 2009-10-13 2014-01-21 Yahoo! Inc. Tutorial systems for code creation and provenance tracking
WO2015116189A1 (en) * 2014-01-31 2015-08-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User interface level tutorials
CN105280204B (zh) * 2014-06-25 2019-04-02 腾讯科技(北京)有限公司 多媒体文件播放方法、装置及系统
US10007414B1 (en) 2014-12-31 2018-06-26 Servicenow, Inc. Tutorial timeline chooser
US10769826B2 (en) 2014-12-31 2020-09-08 Servicenow, Inc. Visual task board visualization
US20170076629A1 (en) * 2015-09-14 2017-03-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choreography
CN106056401A (zh) * 2016-05-23 2016-10-26 于扬 演唱会现场互动方法及系统
US11468786B2 (en) * 2019-10-16 2022-10-11 Adobe Inc. Generating tool-based smart-tutorials
CN115965507B (zh) * 2023-02-15 2023-05-30 成都掌声如雷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教学和管理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3498A (en) * 1990-08-02 1992-04-07 Tandy Corporation Intelligent help system
US5577186A (en) * 1994-08-01 1996-11-19 Mann, Ii; S. Edwar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generic computerized multimedia tutorial interface for training a user on multiple applications
US6021403A (en) * 1996-07-19 2000-02-01 Microsoft Corporation Intelligent user assistance facility
US20040091232A1 (en) * 2002-05-31 2004-05-13 Appling Thomas C. Method and apparatus for effecting a present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83160A3 (en) * 2009-01-15 2010-10-21 Sony Corporation Tv tutorial widg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78566C (zh) 2010-01-06
WO2005088579A3 (en) 2006-03-09
JP2007528063A (ja) 2007-10-04
CN1926593A (zh) 2007-03-07
WO2005088579A2 (en) 2005-09-22
EP1723623A2 (en) 2006-11-22
US20080096174A1 (en) 2008-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07290A (ko) 지침서 생성 유닛
JP4662724B2 (ja) 電子番組ガイド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116373B1 (ko) 감정데이터 공유시스템 및 그 공유시스템을 이용한 감정데이터 공유방법
JP2009508379A (ja) ビデオのナビゲーション方法及び装置
CN107592574A (zh) 用于控制推荐器系统的装置、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929158A (zh) 一种内容推荐方法、系统及存储介质和终端设备
US2012012447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laying music using music visualization technique
JP2015022550A (ja) 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00257030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ducting a contest
JP5882262B2 (ja) 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EP272015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5805134B2 (ja) 端末装置および装置のプログラム
CN112052315A (zh) 一种信息的处理方法和装置
JP7158902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N115866339A (zh) 电视节目推荐方法、装置、智能设备及可读存储介质
JP4104569B2 (ja) 情報サービスシステムおよび放送受信システム
KR101624172B1 (ko) 컨텐츠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JP3622711B2 (ja) 映像コンテンツ視聴者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方法と、視聴者情報提供装置、プログラム及びプログラムの記録媒体
JP3901973B2 (ja) リモコン、番組選択方法および放送受信システム
Prata et al. Personalized content access in interactive TV-based cross media environments
JP5813026B2 (ja) 端末装置および装置のプログラム
JP3902145B2 (ja) 放送受信方法および放送受信システム
JP4961760B2 (ja) コンテンツ出力装置、及びコンテンツ出力方法
JP3946017B2 (ja) 放送受信方法および放送受信システム
JP4195671B2 (ja) 情報サービスシステムおよび放送受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