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1892A - 자외선 조사 장치 - Google Patents

자외선 조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1892A
KR20240061892A KR1020220143751A KR20220143751A KR20240061892A KR 20240061892 A KR20240061892 A KR 20240061892A KR 1020220143751 A KR1020220143751 A KR 1020220143751A KR 20220143751 A KR20220143751 A KR 20220143751A KR 20240061892 A KR20240061892 A KR 202400618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ltraviolet
reflective member
electrodes
irradiation device
electrod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3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덕해
오진목
남궁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43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1892A/ko
Priority to PCT/KR2023/006510 priority patent/WO2024096212A1/ko
Publication of KR20240061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18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025Associated optical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04Electrodes; Screens; Shields
    • H01J61/06Main electrodes
    • H01J61/073Main electrodes for high-pressure discharge lam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04Electrodes; Screens; Shields
    • H01J61/06Main electrodes
    • H01J61/073Main electrodes for high-pressure discharge lamps
    • H01J61/0735Main electrodes for high-pressure discharge lamp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electro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Abstract

자외선 조사 장치가 제공된다. 본 명세서의 일 면(aspect)에 따른 자외선 조사 장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전극과, 190nm 이상 225nm 이하의 파장의 자외선을 방출하고 상기 복수의 전극 상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자외선 램프와, 상기 자외선 램프와 상기 복수의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반사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외선 조사 장치{UV IRRADIATION DEVICE}
본 명세서는 자외선 조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UV-C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조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세균 및 진균과 같은 병원체는 문 손잡이, 전화기, 텔레비전 리모컨, 공중 화장실, 카운터 상부, 보도, 공중 등 어디에나 있다.
일반적으로 자외선 램프는 자외선을 발생시켜 세균 및 진균의 살균을 목적으로 다양한 방면에서 사용된다.
자외선 램프는 램프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필요한 시기에 간편한 조작으로 적절히 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자외선 램프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비와 유지비가 저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자외선 램프에서 발생되는 자외선은 변화가 거의 없어, 지속적으로 동일한 살균력을 가진다.
자외선 램프는 램프의 내부에 제공되는 물질에 의하여 다양한 파장의 자외선(Ultraviolet rays, UV)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UV-A(400nm~315nm 파장), UV-B(315nm~280nm 파장), UV-C(280nm~110nm 파장) 등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 중, UV-C에 해당되는 파장에서, 253.7nm 파장의 자외선이 가장 살균력이 우수하다. 세균 및 진균 등에 UV-C가 조사되면, 세균 및 진균 등의 DNA가 손상되어 사멸된다. 즉, 자외선은 생물의 DNA를 손상시킴으로써, 다양한 균들에 대하여 유효한 살균력을 가진다.
따라서, 자외선 램프를 이용한 살균은 열에 의한 살균, 약품에 의한 살균, 오존 등에 의한 살균, 방사선에 의한 살균보다 효율적이다.
한편, 253.7nm 파장의 자외선은 인체에 조사되면 악영향을 끼칠 우려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8-0010876 A (2018.01.31. 공개)
본 명세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자외선 램프에서 상부로 방출되는 광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외선 조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별도의 절단 또는 접착 등의 공정 없이 광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외선 조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반사 부재와 복수의 전극 간 접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외선 조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복수의 전극이 배치되지 않는 공간에서의 자외선 램프의 광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외선 조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명세서의 일 면(aspect)에 따른 자외선 조사 장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전극과, 190nm 이상 225nm 이하의 파장의 자외선을 방출하고 상기 복수의 전극 상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자외선 램프와, 상기 자외선 램프와 상기 복수의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반사 부재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자외선 램프에서 상부로 방출되는 광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 부재는 필름(film)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전극의 상면을 전체적으로 덮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별도의 절단 또는 접착 등의 공정 없이 자외선 조사 장치의 광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전극은 제1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제1 전극 블록과, 제2 전극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전극 블록과 상기 제2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2 전극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 부재는 상기 제1 전극 블록 상에 배치되는 제1 반사 부재와, 상기 제2 전극 블록 상에 배치되는 제2 반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 부재의 두께는 70㎛이상 130㎛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자외선 램프 각각과 상기 반사 부재가 접촉하는 폭은 190도 이상 280도 이하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자외선 램프에서 상부로 방출되는 광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전극은 각각 상기 복수의 자외선 램프와 접촉하는 테이퍼면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 부재는 상기 테이퍼면과 상기 복수의 자외선 램프가 접촉하는 영역의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 부재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각각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반사 부재를 포함하고, 위에서 보았을 때, 상기 복수의 반사 부재의 면적은 각각 상기 복수의 자외선 램프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전극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반사 부재는 PTFE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반사 부재와 복수의 전극 간 접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전극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하우징 상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자외선 램프와 마주보는 추가 반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의 전극이 배치되지 않는 공간에서의 자외선 램프의 광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자외선 램프 위에 배치되는 광학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명세서의 일 면(aspect)에 따른 자외선 조사 장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서 제1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전극과, 190nm 이상 225nm 이하의 파장의 자외선을 방출하고 상기 복수의 전극 사이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자외선 램프와, 상기 자외선 램프와 상기 복수의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반사 부재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자외선 램프에서 상부로 방출되는 광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 부재는 필름(film)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전극의 상면을 전체적으로 덮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별도의 절단 또는 접착 등의 공정 없이 자외선 조사 장치의 광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전극은 제1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제1 전극 블록과, 제2 전극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전극 블록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2 전극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 부재는 상기 제1 전극 블록과 상기 제2 전극 블록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반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 부재의 두께는 70㎛이상 130㎛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자외선 램프 각각과 상기 반사 부재가 접촉하는 폭은 190도 이상 280도 이하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자외선 램프에서 상부로 방출되는 광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전극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반사 부재는 PTFE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반사 부재와 복수의 전극 간 접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 부재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각각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반사 부재를 포함하고, 위에서 보았을 때, 상기 복수의 반사 부재의 면적은 각각 상기 복수의 자외선 램프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자외선 램프에서 상부로 방출되는 광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외선 조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를 통해 별도의 절단 또는 접착 등의 공정 없이 광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외선 조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를 통해 반사 부재와 복수의 전극 간 접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외선 조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를 통해 복수의 전극이 배치되지 않는 공간에서의 자외선 램프의 광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외선 조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조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조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조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조사 장치의 변형례이다.
도 9는 도 3에서 반사 부재를 제거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4 내지 도 8에 따른 자외선 조사 장치의 광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조사 장치의 자외선 램프와 반사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조사 장치의 반사 부재의 두께에 따른 광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조사 장치의 반사 부재의 폭에 따른 광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조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조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discloser)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명세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명세서(discloser)의 용어는 document, specification, description 등의 용어로 대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조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조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조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조사 장치(100)는 하우징(110)과, 전극(130, 140)과, 자외선 램프(150)와, 광학 필터(160)와, 반사 부재(17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 중 일부의 구성을 제외하고 실시될 수도 있고, 이외 추가적인 구성을 배제하지도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조사 장치(100)는 UV-C를 발생시키는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자외선 조사 장치(100)는 휴대용으로 들고 다니거나 일정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자외선 조사 장치(100)는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살균력 있는 파장의 자외선을 방출할 수 있다. 자외선 조사 장치(100)는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자외선 조사 장치(1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에는 전극(130, 140)과, 자외선 램프(150)와, 광학 필터(160)와, 반사 부재(170)가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상부 하우징(112)과, 하부 하우징(114)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하우징(114)에는 전극(130, 140)이 안착되는 안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하우징(112)은 하부 하우징(114)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 하우징(112)은 하부 하우징(114)에 결합되면서 자외선 램프(150)와 광학 필터(16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전극(130, 140)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전극(130, 140)은 제2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전극(130, 14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방향이란 도 4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을 의미하고, 제2 방향이란 도 4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복수의 전극(130, 140)은 제1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제1 전극 블록(130)과, 제2 전극으로 이루어지고 제1 전극 블록(130)과 제2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2 전극 블록(1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 블록(130)과 제2 전극 블록은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극(130, 140)은 자외선 램프(150)가 안착되는 테이퍼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전극(130, 140)의 테이퍼면에는 자외선 램프(150)가 접촉될 수 있다.
자외선 램프(150)는 하우징(110)에 배치될 수 있다. 자외선 램프(15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자외선 램프(150)는 튜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자외선 램프(150)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자외선 램프(150)는 전극(130, 14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자외선 램프(150)는 전극(130, 140)의 테이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자외선 램프(150)의 외주면은 전극(130, 140)의 테이퍼면과 접촉할 수 있다. 자외선 램프(150)의 중앙 영역은 전극(130, 140)의 테이퍼면에 안착되고, 자외선 램프(150)의 양단은 상부 하우징(11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자외선 램프(150)는 제1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자외선 램프(15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외선 램프(150)는 110nm 이상 180nm 이하 파장의 UV-C를 발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외선 램프(150)는 190nm 이상 225nm 이하의 파장의 자외선을 방출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자외선 램프(150)는 222nm의 파장의 자외선을 방출할 수 있다. 자외선 램프(150)는 KrCL, KrBr, ArF를 포함는 발광 가스가 봉입되어 있는 엑시머 램프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인체에는 무해하나 세균이나 진균 등의 DNA를 박멸할 수 있다.
광학 필터(160)는 하우징(110)에 결합될 수 있다. 광학 필터(160)는 자외선 램프(150)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학 필터(160)는 하부 하우징(114) 상에 안착되고 하부 하우징(11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광학 필터(160)는 240nm 이상 300nm 이하의 파장의 자외선을 투과하지 않을 수 있다. 광학 필터(160)는 190nm 이상 225nm 이하의 파장의 자외선을 실질적으로 투과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인체에 영향을 미치는 파장의 자외선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사 부재(170)는 하우징(110)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 부재(170)는 자외선 램프(150)와 복수의 전극(130, 1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 부재(170)는 얇은 필름(film)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사 부재(170)는 자외선 램프(150)에서 하부로 방출되는 광을 상부로 반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자외선 램프(150)에서 상부로 방출되는 광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반사 부재(170)는 유연성 있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반사 부재(170)는 PTFE가 90%이상 함유되고 유연성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전극(130, 140)이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자외선 램프(150)의 외경이나 직진도 등의 불균일성 산포에 기인하여 복수의 전극(130, 140)과 자외선 램프(150) 간 접촉면의 불균일성이 발생될 수 있다. 반사 부재(170)가 PTFE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복수의 전극(130, 140)과 자외선 램프(150) 간 접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반사 부재(170)는 필름(film) 형상으로 형성되어 복수의 전극(130, 140)의 상면을 전체적으로 덮을 수 있다. 반사 부재(170) 얇은 필름 형상을 가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130, 140)의 상면을 덮는 경우, 전극(130, 140)의 상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별도의 절단 또는 접착 등의 공정 없이 자외선 조사 장치(100)의 광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필름 형상의 반사 부재(170)와 복수의 전극(130, 140) 사이에 별도의 접착제가 게재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자외선 조사 장치(100)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반사 부재(170)의 반사율이 저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복수의 전극(130, 140)의 상면 상에 PTFE 파우더가 뿌려지고, 건조 및 열처리됨에 의하여 반사 부재(170)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다른 첨가물들이 많아져 반사율이 저하될 수 있다.
반사 부재(170)는 제1 전극 블록(130) 상에 배치되는 제1 반사 부재(174)와, 제2 전극 블록(140) 상에 배치되는 제2 반사 부재(17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반사 부재(174)와 제2 반사 부재(172) 각각이 얇고 유연성을 가지는 필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반사 부재(174)는 제1 전극 블록(130) 상에 배치되는 경우 제1 전극 블록(130)의 상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변형되고, 제2 반사 부재(172)는 제2 전극 블록(140) 상에 배치되는 경우 제2 전극 블록(140)의 상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조사 장치의 변형례이다. 도 9는 도 3에서 반사 부재를 제거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4 내지 도 8에 따른 자외선 조사 장치의 광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조사 장치(100)의 반사 부재(170)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방향으로 각각 이격되는 복수의 반사 부재(170)를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보았을 때, 복수의 반사 부재(170)의 면적은 각각 복수의 자외선 램프(150)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이를 통해, 자외선 램프(150)에서 하부로 향하는 자외선이 반사되어 상부로 향하므로, 자외선 램프(150)에서 상부로 향하는 광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전극(130, 140) 사이의 공간에서 하우징(110) 상에 배치되어 복수의 자외선 램프(150)와 마주보는 추가 반사 부재(176)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 반사 부재(176)는 하부 하우징(114)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추가 반사 부재(174)는 제1 전극 블록(130)과 제2 전극 블록(1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추가 반사 부재(174)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의 전극(130, 140)이 배치되지 않는 공간에서의 자외선 램프(150)에서 상부로 향하는 광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조사 장치(A)는 반사 부재(170)와 추가 반사 부재(176)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조사 장치(B)는 도 5의 자외선 조사 장치(A)에서 추가 반사 부재(176)가 구비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조사 장치(C)는 도 5의 자외선 조사 장치(A)에서 양측 반사 부재(178)가 구비될 수 있다. 양측 반사 부재(178)는 복수의 전극(150)의 양단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양측 반사 부재(178)는 하부 하우징(114)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조사 장치(D)는 도 5의 자외선 조사 장치(A)에서 추가 반사 부재(176)와 양측 반사 부재(178)가 구비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복수의 전극(130, 140)과 복수의 자외선 램프(150) 사이에 반사 부재(170)가 배치되지 않는 경우, 복수의 자외선 램프(150)에서 하부로 출사된 광이 복수의 전극(130, 140)에서 상부로 반사되므로, 광의 누설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도 3과 같이, 복수의 자외선 램프(150)와 직접 접촉하는 반사 부재(170)가 구비됨으로써, 광의 누설을 줄여 자외선 조사 장치(100)에서 상부로 방출되는 광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4에 따른 자외선 조사 장치(100)의 경우 도 5에 따른 자외선 조사 장치(A)에 비해 광량이 30% 정도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4에 따른 자외선 조사 장치(100)의 경우 도 6 내지 도 8에 따른 자외선 조사 장치(B, C, D)에 비해 광량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즉, 위에서 보았을 때, 복수의 반사 부재(170)의 면적은 각각 복수의 자외선 램프(150)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고, 추가 반사 부재(176)가 구비됨에 따라 자외선 조사 장치(100)의 광량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복수의 반사 부재(170)는 복수의 전극(130, 140)의 테이퍼면과 복수의 자외선 램프(150)가 접촉하는 영역의 아래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조 용이성을 향상시키면서도, 복수의 자외선 램프(150)에서 아래로 누설되는 광을 상부로 반사하므로, 자외선 조사 장치(100)의 광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조사 장치의 자외선 램프와 반사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조사 장치의 반사 부재의 두께에 따른 광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조사 장치의 반사 부재의 폭에 따른 광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자외선 조사 장치(100)의 자외선 램프(150)와 접촉하는 반사 부재(170)의 두께(t)와 폭(a)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반사 부재(170)의 두께(t)는 자외선 램프(150)의 반경 방향 길이를 의미하고, 반사 부재(170)의 폭(a)은 자외선 램프(150)의 원주 방향 각도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반사 부재(170)의 두께(t)는 70㎛ 이상 130㎛ 이하일 수 있다. 반사 부재(170)의 두께(t)가 70㎛ 미만이거나, 130㎛를 초과하는 경우 광량이 증가율이 현저히 감소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반사 부재(170)의 두께(t)는 70㎛ 이상 130㎛ 이하인 경우, 자외선 조사 장치(100)의 광량을 최대화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자외선 램프(150)와 반사 부재(170)가 접촉하는 폭(a)은 190도 이상 280도 이하일 수 있다. 반사 부재(170)의 폭(a)의 190도보다 작거나, 180도를 초과하는 경우에 광량의 증가율이 현저히 감소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반사 부재(170)의 폭(a)이 190도 이상 280도 이하인 경우, 자외선 조사 장치(100)의 광량을 최대화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조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조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조사 장치(200)는 하우징(210)과, 복수의 전극(230, 240)과, 복수의 자외선 램프(250)와, 반사 부재(270)와, 광학 필터(26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 중 일부의 구성을 제외하고 실시될 수도 있고, 이외 추가적인 구성을 배제하지도 않는다.
이하 설명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조사 장치(200)의 세부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조사 장치(100)의 세부 구성과 동일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복수의 전극(230, 240)은 제1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의 전극(230, 240)은 제2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조사 장치(200)의 복수의 전극(230, 240)의 연장 방향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조사 장치(100)의 복수의 전극(130, 140)의 연장 방향과 다름을 알 수 있다.
복수의 전극(230, 240)은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전극 블록(230)과,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전극(230)과 제1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2 전극 블록(24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전극(230, 240)은 제1 전극 블록(230)과 제2 전극 블록(240)이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극 블록(230)과, 제2 전극 블록(240)의 테이퍼면에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외선 램프(250)가 배치될 수 있다.
자외선 램프(250)는 복수의 전극(230, 240) 사이에서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자외선 램프(250)를 포함할 수 있다.
반사 부재(270)는 복수의 자외선 램프(250)와 복수의 전극(230, 2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자외선 램프(250)에서 상부로 방출되는 광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반사 부재(270)는 필름(film) 형상으로 형성되어 복수의 전극(230, 240)의 상면을 전체적으로 덮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별도의 절단 또는 접착 등의 공정 없이 자외선 조사 장치(200)의 광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반사 부재(270)는 제1 전극 블록(230)과 제2 전극 블록(25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반사 부재(270)를 포함할 수 있다.
반사 부재(270)와 자외선 램프(250)가 접촉하는 영역에서, 반사 부재(270)의 두께(t)는 70㎛이상 130㎛ 이하일 수 있다. 반사 부재(270)와 자외선 램프(250)가 접촉하는 영역에서, 반사 부재(270)의 폭(a)은 190도 이상 280도 이하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자외선 램프(250)에서 상부로 방출되는 광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복수의 전극(230, 240)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고, 반사 부재(270)는 PTFE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반사 부재(270)와 복수의 전극(230, 240) 간 접촉성과, 반사 부재(270)와 자외선 램프(250)와의 접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반사 부재(270)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각각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반사 부재(2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위에서 보았을 때, 복수의 반사 부재(270)의 면적은 각각 복수의 자외선 램프(250)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이를 통해, 자외선 조사 장치(100)의 상부로 향하는 광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명세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명세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명세서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명세서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자외선 조사 장치 110: 하우징
130, 140: 전극 150: 자외선 램프
160: 광학 필터 170: 반사 부재
200: 자외선 조사 장치 212, 214: 하우징
230, 240: 전극 250: 자외선 램프
260: 광학 필터 270: 반사 부재

Claims (17)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전극;
    190nm 이상 225nm 이하의 파장의 자외선을 방출하고, 상기 복수의 전극 상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자외선 램프; 및
    상기 자외선 램프와 상기 복수의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반사 부재를 포함하는 자외선 조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부재는 필름(film)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전극의 상면을 전체적으로 덮는 자외선 조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극은 제1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제1 전극 블록과, 제2 전극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전극 블록과 상기 제2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2 전극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 부재는 상기 제1 전극 블록 상에 배치되는 제1 반사 부재와, 상기 제2 전극 블록 상에 배치되는 제2 반사 부재를 포함하는 자외선 조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부재의 두께는 70㎛이상 130㎛ 이하인 자외선 조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자외선 램프 각각과 상기 반사 부재가 접촉하는 폭은 190도 이상 280도 이하인 자외선 조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극은 각각 상기 복수의 자외선 램프와 접촉하는 테이퍼면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 부재는 상기 테이퍼면과 상기 복수의 자외선 램프가 접촉하는 영역의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외선 조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부재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각각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반사 부재를 포함하고,
    위에서 보았을 때, 상기 복수의 반사 부재의 면적은 각각 상기 복수의 자외선 램프의 면적보다 큰 자외선 조사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극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반사 부재는 PTFE 재질로 형성되는 자외선 조사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극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하우징 상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자외선 램프와 마주보는 추가 반사 부재를 포함하는 자외선 조사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자외선 램프 위에 배치되는 광학 필터를 더 포함하는 자외선 조사 장치.
  11.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서 제1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전극;
    190nm 이상 225nm 이하의 파장의 자외선을 방출하고, 상기 복수의 전극 사이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자외선 램프; 및
    상기 자외선 램프와 상기 복수의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반사 부재를 포함하는 자외선 조사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부재는 필름(film)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전극의 상면을 전체적으로 덮는 자외선 조사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극은 제1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제1 전극 블록과, 제2 전극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전극 블록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2 전극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 부재는 상기 제1 전극 블록과 상기 제2 전극 블록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반사 부재를 포함하는 자외선 조사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부재의 두께는 70㎛이상 130㎛ 이하인 자외선 조사 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자외선 램프 각각과 상기 반사 부재가 접촉하는 폭은 190도 이상 280도 이하인 자외선 조사 장치.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극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반사 부재는 PTFE 재질로 형성되는 자외선 조사 장치.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부재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각각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반사 부재를 포함하고,
    위에서 보았을 때, 상기 복수의 반사 부재의 면적은 각각 상기 복수의 자외선 램프의 면적보다 큰 자외선 조사 장치.
KR1020220143751A 2022-11-01 2022-11-01 자외선 조사 장치 KR2024006189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3751A KR20240061892A (ko) 2022-11-01 2022-11-01 자외선 조사 장치
PCT/KR2023/006510 WO2024096212A1 (ko) 2022-11-01 2023-05-12 자외선 조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3751A KR20240061892A (ko) 2022-11-01 2022-11-01 자외선 조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1892A true KR20240061892A (ko) 2024-05-08

Family

ID=90930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3751A KR20240061892A (ko) 2022-11-01 2022-11-01 자외선 조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61892A (ko)
WO (1) WO202409621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0876A (ko) 2016-07-22 2018-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외선 살균 램프, 자외선 살균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6723A (ja) * 2001-07-19 2003-02-07 Harison Toshiba Lighting Corp 照明装置
US9808544B2 (en) * 2005-08-31 2017-11-07 Ultraviolet Sciences, Inc. Ultraviolet light treatment chamber
KR101509616B1 (ko) * 2014-10-23 2015-04-07 김재훈 자외선 공간 살균기
KR101883220B1 (ko) * 2017-09-27 2018-07-30 주식회사 엠디엠 자외선 램프에 대한 반사율을 향상시켜 자외선 살균력을 높이는 공기정화용 자외선 살균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정화용 자외선 살균장치
JP6940033B1 (ja) * 2019-10-07 2021-09-22 ウシオ電機株式会社 紫外線照射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0876A (ko) 2016-07-22 2018-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외선 살균 램프, 자외선 살균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96212A1 (ko) 2024-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7974B2 (en) Ultraviolet surface illumination system
US10786586B2 (en) Microbe inactivation processing device and cell activation processing device
US1037026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luid treatment with homogeneous distribution of ultraviolet light
WO2017043357A1 (ja) 殺菌装置
JP5791899B2 (ja) 紫外光処理チャンバー
CN111265680A (zh) 光源模块装置及流体杀菌装置
KR20170028472A (ko) Uv led를 이용한 유체 살균 장치
KR101918044B1 (ko) 신발 소독기
US20170166457A1 (en) Apparatus for purifying liquid by ultraviolet light irradiation
JP2017104773A (ja) 紫外線照射モジュール用セル、紫外線照射モジュール及び紫外線照射モジュールの設置方法
US20200239334A1 (en) Fluid treatment apparatus
JP7312019B2 (ja) 流体処理装置
KR20240061892A (ko) 자외선 조사 장치
US10639393B1 (en) Fluid system with integrated disinfecting optics
KR20220023105A (ko) 컨베이어가 구비된 자외선 살균장치
CN109963813A (zh) 水处理装置
JP2023014058A (ja) 波動増幅装置
US20200324003A1 (en) Uv steriliser assembly and method of constructing same
JP7071144B2 (ja) 紫外線殺菌装置および紫外線照射装置
KR20220023830A (ko) 기둥 타입 도광부를 이용하는 자외선 살균 모듈
KR102585542B1 (ko) 광 조사 장치
TW201724228A (zh) 用於將暴露於uv照射的液體介質施予在基板上的裝置
KR20240030196A (ko) 표면 개질을 위한 광 조사 장치
KR20210001543A (ko) 살균 유닛
US20230373822A1 (en) Compact ultraviolet fluid disinfection device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