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1478A - 차량의 콘솔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콘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1478A
KR20240061478A KR1020220143173A KR20220143173A KR20240061478A KR 20240061478 A KR20240061478 A KR 20240061478A KR 1020220143173 A KR1020220143173 A KR 1020220143173A KR 20220143173 A KR20220143173 A KR 20220143173A KR 20240061478 A KR20240061478 A KR 202400614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ole device
vehicle
partition
hinge connection
connection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3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220143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1478A/ko
Publication of KR20240061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14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1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tables or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60R11/0235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of flat type, e.g. LC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7Mid-cons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차량의 콘솔장치가 개시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콘솔장치는 시트의 측부에 마련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상하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수납홈, 상기 수납홈 상에서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는 편의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편의모듈은 상기 시트가 배치되는 공간을 구획시켜주는 파티션과, 승객의 물건을 거치할 수 있는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연결부와, 상기 파티션과 상기 힌지연결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파티션과 상기 힌지연결부 간 상대적인 승강 이동을 허용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콘솔장치{CONSOLE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콘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승객의 기호에 맞추어 다양한 편의장비를 제공함으로써 승객의 편의성과 거주 쾌적성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의 콘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콘솔은 나란히 배치되는 시트 사이에 마련되어 승객의 팔을 거치하는 암레스트로 기능하거나, 내부에 각종 물건을 수납하는 용도로 활용된다. 그러나 콘솔은 차량의 실내 공간에서 상당히 많은 부피를 차지하는 장치임에도 불구하고 해당 용도로만 활용하는 것은 공간 활용성과 용도 활용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최근에는 차량의 자율주행, 이동공유 서비스의 시장이 빠르게 성장함에 따라, 차량의 사용 목적에 초점을 둔 간결한 구조의 이동 수단인 목적 기반 차량(PBV)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자율주행 기반의 목적 기반 차량은 엔진, 변속기 등이 탑재되는 공간이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운전석이 필수적으로 요구되지 않으므로 사람과 사물을 효율적으로 운송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목적 기반 차량은 승객이 차량의 내부에서 업무, 휴식,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활동을 수행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승객에게 다양한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01416호(2021. 01. 06. 공개)
본 실시 예는 승객에게 다양한 편의장비를 제공할 수 있는 차량의 콘솔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 예는 승객의 편의성과 거주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콘솔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 예는 단순한 구조로 마련되어 제조단가를 낮추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콘솔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 예는 실내공간의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콘솔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 예는 다양한 편의장비를 용이하게 수납 및 전개시킬 수 있는 차량의 콘솔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시트의 측부에 마련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상하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수납홈; 및 상기 수납홈 상에서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는 편의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편의모듈은 상기 시트가 배치되는 공간을 구획시켜주는 파티션과, 승객의 물건을 거치할 수 있는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연결부와, 상기 파티션과 상기 힌지연결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파티션과 상기 힌지연결부 간 상대적인 승강 이동을 허용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힌지연결부의 회전축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힌지연결부의 회전축에 상하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슬라이딩홈과, 상기 파티션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에 삽입되어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는 슬라이딩돌기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힌지연결부는 상기 파티션의 전방 측 단부에 마련되되, 회전축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힌지연결부의 회전축에 상하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슬라이딩홈을 포함하며, 상기 파티션의 전방 측 단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슬라이딩홈에 삽입되어 승강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편의모듈은 상기 힌지연결부에 대해 상기 테이블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연결부를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회동연결부의 회전축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동연결부는 볼 조인트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편의모듈은 승객에게 시각 정보를 송출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테이블의 후면에 마련될 수 있다.
내부에 부품요소가 수용되고 상면에 개구를 구비하는 모듈박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듈박스는 상기 수납홈에 인입 및 탈거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편의모듈은 상기 개구를 개폐시키는 도어를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모듈박스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도어의 회전축은 전후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의 회전축은 상기 개구를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테이블은 한 쌍이 마련되고, 상기 힌지연결부는 상기 파티션에 대해 한 쌍의 상기 테이블을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한 쌍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수납홈은 상기 본체부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콘솔장치는 승객에게 다양한 편의장비를 제공하여 차량의 제품 경쟁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콘솔장치는 승객의 편의성과 거주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콘솔장치는 단순한 구조로 마련되어 제조단가를 낮추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콘솔장치는 실내공간의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콘솔장치는 다양한 편의장비를 용이하게 수납 및 전개시킬 수 있다.
도 1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콘솔장치가 차량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콘솔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편의모듈이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콘솔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편의모듈의 파티션과 테이블 및 디스플레이가 전개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콘솔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편의모듈의 파티션과 디스플레이가 전개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콘솔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편의모듈의 파티션과 테이블이 전개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4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콘솔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편의모듈의 파티션이 선택적으로 전개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8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콘솔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편의모듈의 디스플레이가 선택적으로 전개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콘솔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편의모듈의 테이블이 선택적으로 전개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편의모듈의 절개 사시도로서, 개구 및 이를 개폐하는 도어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콘솔장치(100)가 차량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2 내지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콘솔장치(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콘솔장치(100)는 시트(10)의 측부에 마련되는 본체부(110), 본체부(110)에 함몰 형성되는 수납홈(120), 수납홈(120)의 내측에서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는 편의모듈(130)을 포함한다.
본체부(110)는 나란히 마련되는 한 쌍의 시트(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체부(110)는 차량의 실내공간 바닥 상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거나, 시트(10)에 착석한 승객의 체격에 따라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본체부(110)가 한 쌍의 시트(10) 사이에 마련됨에 따라 한 쌍의 시트(10)에 착석하는 승객에게 각각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체부(110)는 박스 형상으로 마련되되, 상면에 후술하는 수납홈(120)의 입출구가 개방 형성되어 후술하는 편의모듈(130)의 인입 및 탈거를 수행할 수 있다. 수납홈(120)의 양측에는 승객의 물건을 거치하는 거치대와, 물컵 또는 병 등을 보관하는 컵홀더가 마련될 수 있으며, 수납홈(120)은 본체부(110)에 상하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되, 차체의 길이방향인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편의모듈(130)은 수납홈(120) 상에서 승강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편의모듈(130)은 수납홈(120) 상에서 하강 및 수납되어 한 쌍의 시트(10)에 착석한 승객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거나, 상승 및 전개되어 시트(10)에 착석한 승객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편의모듈(130)은 상승 및 전개 시 시트(10)가 배치되는 공간을 서로 구획시켜주는 파티션(132)과, 파티션(132)에 연결되는 테이블(133)과, 테이블(133)의 후면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134)와, 테이블(133) 및 디스플레이(134)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연결부(135)와, 테이블(133) 및 디스플레이(134)를 힌지연결부(135)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연결부(136)와, 내측에 부품요소들이 수용되는 모듈박스(131)와, 모듈박스(131)의 개구(131a)를 개폐시키는 도어(137)와, 파티션(132)과 테이블(133) 및 디스플레이(134)를 선택적으로 전개 및 수납할 수 있도록 파티션(132)과 힌지연결부(135) 사이에 마련되는 슬라이딩부(138)를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
파티션(132)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되어 양 시트(10)가 배치되는 공간을 구획하도록 마련된다. 파티션(132)이 모듈박스(131)로부터 상승 및 전개 시 양 시트(10)의 공간을 구획시킴으로써 시트(10)에 착석한 승객에게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다(도 3 참조). 파티션(132)은 후술하는 테이블(133) 및 디스플레이(134)와 함께 전개 및 수납되거나, 후술하는 슬라이딩부(138)에 의해 파티션(132)이 선별적으로 전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파티션(132)의 전방 측 단부에는 후술하는 슬라이딩돌기(138b)가 마련되거나, 파티션(132)의 전방 측 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후술하는 슬라이딩홈(138a)에 직접 삽입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모듈박스(131)와 파티션(132) 사이에는 파티션(132)의 원활하고 안정적인 승강 이동을 위해 가이드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부는 모듈박스(131)의 내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레일과, 파티션(132)의 일측에 마련되되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 또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테이블(133)은 힌지연결부(13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힌지연결부(135)와 슬라이딩부(138)를 매개로 파티션(132)의 전방 측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테이블(133)의 후면에는 시트(10)에 착석한 승객에게 시각적인 정보 또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134)가 마련될 수 있다. 테이블(133)과 디스플레이(134)는 파티션(132)의 전방 측 단부에 한 쌍이 마련되어 한 쌍의 시트(10)에 착석한 승객에게 각각 제공될 수 있다. 테이블(133)과 디스플레이(134)는 힌지연결부(13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 및 지지될 수 있으며, 힌지연결부(135)의 회전축(135a)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테이블(133)이 한 쌍이 마련되는 경우 파티션(132)에 대해 한 쌍의 테이블(133)이 개별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힌지연결부(135)도 한 쌍이 마련되어 각 테이블(133)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힌지연결부(135)에 의해 테이블(133) 및 디스플레이(134)가 회전하여 언폴딩 시, 시트(10)에 착석한 승객의 정면에 디스플레이(134)가 배치될 수 있다(도 4 참조). 또한, 테이블(133)과 디스플레이(134)는 파티션(132)과 함께 전개 및 수납되거나, 후술하는 슬라이딩부(138)에 의해 테이블(133)과 디스플레이(134)가 선별적으로 전개될 수 있다.
테이블(133)과 디스플레이(134)는 회동연결부(136)에 의해 힌지연결부(135)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 및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동연결부(136)는 테이블(133)과 힌지연결부(135) 사이에 배치되되, 회동연결부(136)의 회전축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연결부(136)가 볼 조인트(136a)를 포함하여 마련됨으로써 힌지연결부(135)에 대해 테이블(133) 및 디스플레이(134)를 다양한 방향 및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회동연결부(136)에 의해 테이블(133) 및 디스플레이(134)를 회전시키되 테이블(133)이 상면에 향하도록 배치 시, 시트(10)에 착석한 승객의 물품이 거치되는 테이블(133)로 작용할 수 있다(도 5 참조).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콘솔장치(100)는 편의모듈(130)에 장착되는 복수의 편의장비 중 승객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또는 선별적으로 전개 및 수납시킬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콘솔장치(100)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7은 편의모듈(130)의 파티션(132)이 선택적으로 전개된 상태, 도 8은 편의모듈(130)의 디스플레이(134)가 선택적으로 전개된 상태, 도 9는 편의모듈(130)의 테이블(133)이 선택적으로 전개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슬라이딩부(138)는 파티션(132)과 힌지연결부(135) 사이에 마련되어 파티션(132)과 힌지연결부(135) 간 상대적인 승강 이동을 구현하도록 마련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힌지연결부(135)에 의해 테이블(133)과 디스플레이(134)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바, 슬라이딩부(138)가 파티션(132)과 힌지연결부(135) 사이에서 상대적인 승강 이동을 허용함으로써, 승객의 필요에 따라 파티션(132)과 테이블(133) 및 디스플레이(13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전개 및 수납시킬 수 있다.
슬라이딩부(138)는 힌지연결부(135)의 회전축(135a)의 길이 방향인 상하 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는 슬라이딩홈(138a)과 파티션(132)의 전방 측 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슬라이딩홈(138a)에 삽입되고 슬라이딩홈(138a)을 따라 상승 및 하강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슬라이딩돌기(138b)를 포함한다. 슬라이딩돌기(138b)는 파티션(132)과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승객이 파티션(132) 만을 선별적으로 전개시켜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파티션(132)의 모듈박스(131)의 내부로부터 상승될 수 있다. 이 때, 파티션(132)에 형성되는 슬라이딩돌기(138a)가 힌지연결부(135)의 회전축(135a)에 형성되는 슬라이딩홈(138a)을 따라 상승하면서, 힌지연결부(135) 및 이에 지지되는 테이블(133)과 디스플레이(134)는 모듈박스(131)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하고, 파티션(132) 만이 상승하여 전개될 수 있다(도 7 참조).
승객이 디스플레이(134) 만을 선별적으로 전개시켜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힌지연결부(135)의 회전축(135a)이 모듈박스(131)의 내부로부터 상승될 수 있다. 파티션(132)에 형성되는 슬라이딩돌기(138a)가 힌지연결부(135)의 회전축(135a)에 형성되는 슬라이딩홈(138a)에 대해 상대적인 승강을 허용함에 따라, 파티션(132)은 모듈박스(131)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하고, 힌지연결부(135) 및 이에 지지되는 테이블(133)과 디스플레이(134) 만이 선별적으로 상승하여 전개될 수 있다(도 8 참조).
승객이 테이블(133) 만을 선별적으로 전개시켜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힌지연결부(135)의 회전축(135a)이 모듈박스(131)의 내부로부터 상승될 수 있다. 파티션(132)에 형성되는 슬라이딩돌기(138a)가 힌지연결부(135)의 회전축(135a)에 형성되는 슬라이딩홈(138a)에 대해 상대적인 승강을 허용함에 따라, 파티션(132)은 모듈박스(131)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하고, 힌지연결부(135) 및 이에 지지되는 테이블(133)과 디스플레이(134) 만이 선별적으로 상승하여 전개될 수 있다. 힌지연결부(135)와 테이블(133)이 모듈박스(131)로부터 전개된 후, 회동연결부(136)에 의해 테이블(133)을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켜 승객의 물품을 거치하는 테이블(133)로 작용할 수 있다(도 9 참조).
도 10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편의모듈(130)의 절개 사시도로서, 도 10을 참조하면, 모듈박스(131)의 개구(131a)는 도어(137)에 의해 개방 및 폐쇄될 수 있다. 도어(137)는 한 쌍이 마련되어 개구(131a)의 양측에 각각 마련될 수 있으며, 도어(137)의 회전축(137a)은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어 회전 동작함으로써 개구(131a)를 개방 및 폐쇄시킬 수 있다. 도어(137)의 회전축(137a)에는 스프링(미도시)이 마련되어 개구(131a)를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회전축(137a)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
100: 콘솔장치 110: 본체부
120: 수납홈 130: 편의모듈
131: 모듈박스 132: 파티션
133: 테이블 134: 디스플레이
135: 힌지연결부 136: 회동연결부
137: 도어 138: 슬라이딩부
138a: 슬라이딩홈 138b: 슬라이딩돌기

Claims (14)

  1. 시트의 측부에 마련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상하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수납홈; 및
    상기 수납홈 상에서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는 편의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편의모듈은
    상기 시트가 배치되는 공간을 구획시켜주는 파티션과,
    승객의 물건을 거치할 수 있는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연결부와,
    상기 파티션과 상기 힌지연결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파티션과 상기 힌지연결부 간 상대적인 승강 이동을 허용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콘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연결부의 회전축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힌지연결부의 회전축에 상하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슬라이딩홈과,
    상기 파티션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에 삽입되어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는 슬라이딩돌기를 포함하는 차량의 콘솔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연결부는 상기 파티션의 전방 측 단부에 마련되되, 회전축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힌지연결부의 회전축에 상하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슬라이딩홈을 포함하며,
    상기 파티션의 전방 측 단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슬라이딩홈에 삽입되어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는 차량의 콘솔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편의모듈은
    상기 힌지연결부에 대해 상기 테이블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콘솔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연결부의 회전축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차량의 콘솔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연결부는
    볼 조인트를 포함하는 차량의 콘솔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편의모듈은
    승객에게 시각 정보를 송출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콘솔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테이블의 후면에 마련되는 차량의 콘솔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편의모듈은
    내부에 부품요소가 수용되고 상면에 개구를 구비하는 모듈박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듈박스는
    상기 수납홈에 인입 및 탈거 가능하게 마련되는 차량의 콘솔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편의모듈은
    상기 개구를 개폐시키는 도어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콘솔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모듈박스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도어의 회전축은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는 차량의 콘솔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회전축은
    상기 개구를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차량의 콘솔장치.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은 한 쌍이 마련되고,
    상기 힌지연결부는
    상기 파티션에 대해 한 쌍의 상기 테이블을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한 쌍이 마련되는 차량의 콘솔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홈은
    상기 본체부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차량의 콘솔장치.
KR1020220143173A 2022-10-31 2022-10-31 차량의 콘솔장치 KR202400614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3173A KR20240061478A (ko) 2022-10-31 2022-10-31 차량의 콘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3173A KR20240061478A (ko) 2022-10-31 2022-10-31 차량의 콘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1478A true KR20240061478A (ko) 2024-05-08

Family

ID=91074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3173A KR20240061478A (ko) 2022-10-31 2022-10-31 차량의 콘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6147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416A (ko) 2019-06-28 2021-0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하프 무빙 콘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416A (ko) 2019-06-28 2021-0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하프 무빙 콘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487344B (zh) 飞机乘客套间座位布置结构
US8517443B2 (en) Vehicle floor console
US7401857B2 (en) Liftable seat in a vehicle
CN107627929B (zh) 可致动为垂直展开的车辆扶手
US7604290B1 (en) Cooler bench seat
US7520482B2 (en) Cup holder for vehicles
US20080315606A1 (en) Console Assembly for a Vehicle
US6036152A (en) Container holder for a motor vehicle
US20090096241A1 (en) Storage structure for storing a cover member of a sliding roof type vehicle and vehicle having the same
CN109760569B (zh) 汽车的座间储物箱桌板装置
CN210707177U (zh) 一种用于汽车副驾驶仪表板的置物装置及汽车
KR20240061478A (ko) 차량의 콘솔장치
KR102545363B1 (ko) 차량의 콘솔장치
KR20240060337A (ko) 차량의 콘솔장치
EP1514760A1 (en) Tip-up table for passenger compartments of railway carriages
CN209479556U (zh) 汽车车厢结构以及具有该车厢结构的汽车
JP3045275B2 (ja) テーブル装置
KR20240006114A (ko) 콘솔박스용 포터블 테이블장치
KR20240061471A (ko) 차량의 인테리어 트림
KR20240006113A (ko) 자동차용 무빙 콘솔박스
KR20230045159A (ko) 자동차용 트렁크 연장 트레이
KR20230075573A (ko) 자동차용 러기지 커버링 쉘프
KR20220125484A (ko) 확장 테이블이 구비된 캠핑 장치
KR20240050803A (ko) 자동차 무버블 콘솔
JPH0711438U (ja) 航空機用座席テー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