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0343A - 자동차용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0343A
KR20240060343A KR1020220141849A KR20220141849A KR20240060343A KR 20240060343 A KR20240060343 A KR 20240060343A KR 1020220141849 A KR1020220141849 A KR 1020220141849A KR 20220141849 A KR20220141849 A KR 20220141849A KR 20240060343 A KR20240060343 A KR 202400603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automobiles
weight
composit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1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찬욱
윤치원
이동성
유성환
김우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주식회사 대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주식회사 대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220141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0343A/ko
Publication of KR20240060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034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08L53/025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modifi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5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particle size in gener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08L2205/03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containing four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73중량% 이상 77중량부, 엘라스토머 18중량% 이상 20중량% 이하 및 무기 필러 2중량% 이상 4중량% 이하를 포함하여 별도로 질감을 구현하기 위한 공정을 수행하지 않아도 단일 사출공정으로 질감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 조성물{POLYPROPYLENE COMPOUNDS FOR AN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표면처리공정이 불필요하면서 질감이 향상된 자동차용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차량 내장재용 기재의 재료로 레진 펠트(Resin Felt), 유리섬유 강화 보드, 페이퍼 보드(Paper Board), 우드 화이버(Wood Fiber) 경질폴리우레탄, 우드 스탁(wood stock)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PP 폼과 천연섬유 보강층의 다층구조 기재도 사용되고 있다.
상기 레진 펠트와 페이퍼 보드는 페놀수지 등이 함침되어 제조되며 이에 사용된 경화제인 페놀수지는 페놀류와 알데히드류의 축합 반응에 의하여 생성되는 열경화성 수지의 일종으로, 페놀수지의 소각 시 미반응 또는 불완전 연소에 기인하여 방출되는 페놀 및 알데히드는 작업환경을 포함한 생활환경의 공해물질로 작용하며, 유독성 가스를 배출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차량 내장재용 기재 중에서 폴리프로필렌과 실리카(SiO2), 탈크(Talc) 등과 같은 무기물로 구성된 사출 부품이 널리 적용되고 있는데, 무기물의 비중이 높아 부품이 무겁기 때문에 장착되는 차량의 연비를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무기물은 자연에서 스스로 분해되지 않기 때문에 폐기물에 의한 환경오염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67772호(2015.11.04)
본 발명은 상기의 기존 재료들이 갖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투명성을 가지는 폴리프로필렌을 주재료로 사용하고 무기 필러를 부재료로 첨가하여 질감이 향상된 자동차용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73중량% 이상 77중량% 이하, 엘라스토머 18중량% 이상 20중량% 이하 및 무기 필러 2중량% 이상 4중량% 이하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용융지수가 20g/10분이고 굴곡탄성률이 2,000MPa를 만족하는 제1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및 용융지수가 60g/10분이고 굴곡탄성률이 2,100MPa를 만족하는 제2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과 제2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의 중량비는 6:1 내지 7:1일 수 있다.
상기 엘라스토머는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BS) 및 에틸렌-옥텐 고무탄성체(E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와 상기 에틸렌-옥텐 고무탄성체의 중량비는 4:1 내지 2:1일 수 있다.
상기 무기 필러는 마이카(MIC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 필러는 입자크기가 0.5mm 이상 4m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무기 필러는 입자크기가 0.5mm 이상 1mm 이하인 제1 입자와 입자크기가 3mm 이상 4mm 이하인 제2 입자가 혼합될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용융지수가 40g/10분(230℃, 2.16kg)이고, 굴곡탄성률이 1,890MPa를 만족하는 제3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첨가제 3 중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첨가제는 UV안정제, 산화방지제 및 내열안정제로 구성되는 군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이 선택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 조성물에 의하면, 별도로 질감을 구현하기 위한 공정을 수행하지 않아도 단일 사출공정으로 질감을 구현할 수 있어 추가공정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a)비교예 1, (b)비교예 2, (c)비교예 3 및 (d)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 조성물의 표면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73중량% 이상 77중량% 이하, 엘라스토머 18중량% 이상 20중량% 이하 및 무기 필러 2중량% 이상 4중량% 이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또는 폴리프로필렌 코폴리머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호모폴리머(homopolymer)는 반복 단위가 한 종류로 이루어진 폴리머를 의미하고, 코폴리머(copolymer)는 서로 다른 두 종류 이상의 반복 단위를 가진 폴리머를 의미한다.
이러한 코폴리머의 하나로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thylene-Propylene Rubber)와 같은 헤테로상 코폴리머(Heterophasic Copolymer)는 고무 도메인이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또는 폴리프로필렌 코폴리머로 이루어진 매트릭스에 분산된 형태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헤테로상 코폴리머는 폴리프로필렌 코폴리머로 이루어진 매트릭스 내에 에틸렌-프로필렌 고무가 화학 또는 물리적으로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는 코모노머들이 폴리머 사슬에 따라 랜덤하게 분산되는 랜덤 코폴리머(Random Copolymer)일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용융지수가 20g/10분(230℃, 2.16kg)이고, 굴곡탄성률이 2,000MPa를 만족하는 제1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와, 용융지수가 60g/10분(230℃, 2.16kg)이고, 굴곡탄성률이 2,100MPa를 만족하는 제2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융지수는 ASTM D1238 표준에 의거하여 2.16kg 하중으로 230℃에서 용융체가 규정된 오리피스(내경 2.09mm, 높이 8mm)을 이동하여 10분간 압출되는 수지의 중량(g)을 측정한 것이다.
또한,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용융지수가 40g/10분(230℃, 2.16kg)이고, 굴곡탄성률이 1,890MPa를 만족하는 제3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과 상기 제2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의 중량비는 6:1 내지 7:1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과 상기 제2 고결정성 플리프로필렌의 중량비는 6:1 이상 7:1 이하로, 해당 범위에서 폴리프로필렌의 투명도가 70% 이상으로 유지되면서 강도가 최적화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과 상기 제2 고결정성 플리프로필렌의 중량비가 6:1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대비 상기 제2 고결정성 플리프로필렌의 중량이 증가하면서 전체적인 결정도가 증가하여 투명도가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1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과 상기 제2 고결정성 플리프로필렌의 중량비가 7:1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대비 상기 제1 고결정성 플리프로필렌의 중량이 증가하면서 전체적인 강도가 감소하므로 자동차에 적용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
상기 엘라스토머는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tyrene-Ethylene-Butylene-Styrene;SEBS) 및 에틸렌-옥텐 고무탄성체(Ethylene Octene Copolymer;EOR)를 포함할 수 있다.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tyrene-Ethylene-Butylene-Styrene;SEBS)는 상온(25℃)에서 탄성력을 제공하면서 열가소성 공정을 통해 제조할 수 있으며, 에틸렌-옥텐 고무탄성체(Ethylene Octene Copolymer;EOR)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와 대비하여 충격강도 보강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와 상기 에틸렌-옥텐 고무탄성체의 중량비는 4:1 내지 2:1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와 상기 에틸렌-옥텐 고무탄성체는 4:1 이상 2:1 이하의 중량비를 유지하며, 상기 엘라스토머의 탄성이 보강되면서 외부 충격에 대한 충격강도가 증가한다.
상기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와 상기 에틸렌-옥텐 고무탄성체의 중량비가 4:1 미만인 경우, 상기 에틸렌-옥텐 고무탄성체에 의한 충격보강효과가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와 상기 에틸렌-옥텐 고무탄성체의 중량비가 2:1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이 부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기 필러는 마이카(운모, MICA)를 포함하며, 상기 마이카는 알루미나실리케이트가 주성분인 육각 플레이트 형상의 단결정을 가지는 광물이다.
상기 무기 필러의 입자크기가 0.5mm 이상 4mm 이하이다.
상기 무기 필러의 입자크기가 0.5mm 미만인 경우,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내부에 무기 필러입자가 균일하게 분산되는 장점이 있음에도 외부에서 입사된 입사광이 산란되는 광량이 감소하므로 입체감을 구현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기 필러의 입자크기가 4mm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내부에서 입자가 응집되므로, 위치에 따라 강도가 달라지면서 균일한 물성 구현이 어려울 수 있다.
상기 무기 필러는 입자크기가 0.5mm 이상 1mm 이하인 제1 입자와 입자크기가 3mm 이상 4mm 이하인 제2 입자가 혼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입자 사이의 공간에 상기 제1 입자가 채워지므로 외부 광원에 의한 산란이 증가하고 제품의 심미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첨가제 3 중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첨가제는 UV안정제, 산화방지제 및 내열안정제로 구성되는 군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이 선택될 수 있다.
산화방지제는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키스[3-(3,5-디-티-부틸-4-히드록시페닐 프로피네이트)], 1,1,3-트리스(2-메틸-4-하이드록시-5-트셔리-부틸페닐)부탄(1,1,3-tris(2-methyl-4-hydroxy-5-tertiarybutylphenyl)butane),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트셔리-부틸-4-하이드록시벤질)벤젠(1,3,5-trimethyl-2,4,6-tris(3,5-di-tertiary-butyl-4-hydroxybenzyl)benze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UV안정제는 벤조페논계(benzophenone), 페닐실리케이트계(phenyl silicate),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세바케이트(bis(2,2,6,6-tetramethyl-4-piperidinyl)sebacat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내열안정제는 인산, 아인산, 폴리인산, 트리메틸포스페이트, 트리에틸포스페이트,트리메틸포스핀, 트리페닐포스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1. 시편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용된 샘플 및 그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실시예]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75중량%, 엘라스토머 19중량% 및 무기 필러 3중량%를 포함하도록 사전혼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사전혼합물 100 중량부 대비 첨가제 3중량부를 첨가하여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 조성물을 제조한다.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용융지수가 20g/10분(230℃, 2.16kg)이고, 굴곡탄성률이 2,000MPa를 만족하는 제1 고결정성 폴리프로필과 용융지수가 60g/10분(230℃, 2.16kg)이고, 굴곡탄성률이 2,100MPa를 만족하는 제2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를 65:10의 중량비로 혼합한다.
상기 엘라스토머는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BS)와 에틸렌-옥텐 고무탄성체(EOR)를 13:6의 중량비로 혼합한다.
상기 무기 필러로는 마이카(MICA)를 사용하며 입자크기가 2mm인 입자를 교반하여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에 분산시킨다.
상기 첨가제로는 UV 안정제로서 벤조페논계(benzophenone)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6]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수지), 제1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PP1), 제2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PP2),제3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PP3), 엘라스토머(SEBS,EOR), 무기 필러 및 첨가제를 다음과 같이 달리하여 제조하였다.
구분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수지
(중량%)
PP1 40 80 0 0 59 57
PP2 40 0 80 0 30 30
PP3 0 0 0 80 0 0
엘라
스토머
(중량%)
SEBS 9 0 14 7 0 0
EOR 5 14 0 7 5 7
무기 필러
(중량%)
3 3 3 3 3 3
첨가제
(중량부)
3 3 3 3 3 3
2.물성평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평가하는 평가방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용융지수
상기 용융지수(MI, g/10min)는 ASTM D1238 표준에 의거하여 2.16kg 하중으로 230℃에서 용융체가 규정된 오리피스(내경 2.09mm, 높이 8mm)을 이동하여 10분간 압출되는 수지의 중량(g)을 측정한 것이다.
비중
상기 비중(Density, -)은 180℃, 20 MPa에서 8분 동안 압착한 다음 30분 동안 끓는 물 중에서 결정화한 2 mm 두께의 압축 성형 판으로 ISO 1183-1 표준에 따른 방법 A(침지)에 따라 측정된 밀도이다.
인장강도 및 신율
인장강도(TS, MPa), 신율(EB, %)은 ISO 527 표준에 따른 방법에 준하여 평가했으며. 측정 시 인장속도는 50mm/분으로 설정하여 인가된 인장응력/변형률연신된 길이/초기길이를 측정한다.
굴곡강도 및 굴곡탄성률
굴곡탄성률(FM, MPa)은 ISO 178 표준에 따른 방법에 준하여 평가했으며 이때의 하강속도는 10mm/min으로 설정하고, SPAN거리는 64mm로 설정했으며 초기 변형률이 0.05 내지 0.5인 구간에서의 기울기값(인가된 응력/변형률)을 결과값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굴곡강도(FS, MPa)는 ISO 178 표준에 따른 방법에 준하여 평가했으며 이때의 하강속도는 10mm/min으로 설정하고 SPAN의 거리는 64mm로 설정하고 최대항복점에서의 하중값을 굴곡강도값으로 환산하였다.
충격강도
IZOD 충격강도(Izod Impact strength, kJ/㎡)는 ISO 180 규격에 준하여 평가했으며 각각 RT(Room temperature, 23℃, -10℃)에서 측정하였고, 시험편 크기는 63.5 ×12.7 × 6.4 ㎜이고 노치(notch)된 시편을 사용하였다.
열변형온도
열변형온도(HDT,℃)는 ISO 75 규격에 준하여 측정하였으며, 시료에 0.455MPa 하중을 인가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 조성물이 적용되어 제조된 실시예와 비교예 간의 물성 평가비교 결과를 표 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용융지수
(g/10분)
18 20 13 33 25 26 25
비중 0.91 0.91 0.91 0.91 0.91 0.91 0.91
인장강도
(MPa)
33 34 33 33 36 38 38
신율
(%)
78 88 91 49 61 133 61
굴곡강도
(MPa)
38 48 54 48 44 52 50
굴곡
탄성률
(MPa)
1810 1695 1600 1580 1630 1923 1850
IZOD
충격강도
(실온
,kJ/m2)
22 19 21 17 18 8 8
IZOD
충격강도
(-10℃
,kJ/m2)
4 3 3 3 3 2 2
열변형
온도
(℃)
100 100 102 103 105 110 110
표 2를 참조하면, 자동차 부품의 내장재로 사용되기 위해서 자동차용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 조성물의 인장강도는 약 30MPa 이상, 굴곡강도는 약 30MPa 이상, 굴곡탄성율은 1600MPa 이상, IZOD 충격강도는 약 10kJ/㎡의 물성을 나타내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와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6을 살펴보면, 비교예 5 및 비교예 6을 제외하고는 자동차 부품의 내장재로 적용할 수 있다.
다만, 단일 사출공정으로 질감을 구현하기 위해서 자동차용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 조성물에서 내부에 있는 무기 필러의 입자형태가 노출되어야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a)은 비교예 1의 조합으로 사출성형한 자동차용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 조성물의 표면을 확대한 도이며, 전체적인 투명도가 저하되어 표면에 노출된 무기 필러 입자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나, 내부에 있는 무기 필러 입자는 노출되지 않아 입체감을 표현하는 데 한계가 있다.
도 1(b) 및 도 1(c)는 비교예 2 및 비교예 3의 조합으로 사출성형한 자동차용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 조성물의 표면을 확대한 도이며, 탑승자를 바라보는 전면과 반대되는 후면을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투명하므로 후면에 별도의 투과를 막기 위한 처리를 해야되기 때문에 자동차용 내장재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반면, 도 1(d)는 무기 필러 입자가 표면과 내부 모두 노출되면서 투명도가 조절되어 있어, 입체감을 극대화하면서 후면에 존재하는 내장재가 노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Claims (10)

  1.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73중량% 이상 77중량% 이하, 엘라스토머 18중량% 이상 20중량% 이하 및 무기 필러 2중량% 이상 4중량% 이하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용융지수가 20g/10분이고, 굴곡탄성률이 2,000MPa를 만족하는 제1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및
    용융지수가 60g/10분이고, 굴곡탄성률이 2,100MPa를 만족하는 제2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 조성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제1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과 제2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의 중량비는 6:1 내지 7:1인 자동차용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엘라스토머는,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BS) 및 에틸렌-옥텐 고무탄성체(EOR)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 조성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와 상기 에틸렌-옥텐 고무탄성체의 중량비는 4:1 내지 2:1인 자동차용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기 필러는,
    마이카(MICA)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기 필러는,
    입자크기가 0.5mm 이상 4mm 이하인 자동차용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 조성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기 필러는,
    입자크기가 0.5mm 이상 1mm 이하인 제1 입자와 입자크기가 3mm 이상 4mm 이하인 제2 입자가 혼합된 자동차용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 조성물.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용융지수가 40g/10분이고, 굴곡탄성률이 1,890MPa를 만족하는 제3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을 더 포함하는 자동차용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 조성물.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첨가제 3 중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첨가제는 UV안정제, 산화방지제 및 내열안정제로 구성되는 군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이 선택되는 자동차용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 조성물.
KR1020220141849A 2022-10-28 2022-10-28 자동차용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 조성물 KR202400603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1849A KR20240060343A (ko) 2022-10-28 2022-10-28 자동차용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1849A KR20240060343A (ko) 2022-10-28 2022-10-28 자동차용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0343A true KR20240060343A (ko) 2024-05-08

Family

ID=91074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1849A KR20240060343A (ko) 2022-10-28 2022-10-28 자동차용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6034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7772B1 (ko) 2014-02-07 2015-11-20 한일이화 주식회사 고강성 경량다층 차량 내장재용 기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7772B1 (ko) 2014-02-07 2015-11-20 한일이화 주식회사 고강성 경량다층 차량 내장재용 기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7185B1 (ko) 섬유강화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Unterweger et al. Effects of different fibers on the properties of short-fiber-reinforced polypropylene composites
KR101558703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Son et al. Physico-mechanical properties of paper sludge-thermoplastic polymer composites
KR101916247B1 (ko) 천연섬유를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용 컴파운드 조성물
EP2455421B1 (en) Composite resin composition
KR101483914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IE20060931A1 (en) A process for preparing a wood-polyolefin composite
KR20160087618A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2272077B1 (ko) 폴리올레핀계 탄성체 조성물
EP1357144B1 (en) Polypropylene compositions
KR102153795B1 (ko) 촉감과 내열성이 우수한 고강성 복합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526586B1 (ko) 자동차 내장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2463416B1 (ko) 유리섬유 및 탄소섬유로 강화된 폴리아미드 하이브리드 조성물
KR20240060343A (ko) 자동차용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 조성물
KR101325584B1 (ko) 열가소성 장섬유 강화 플라스틱용 열가소성 수지 복합체 조성물
KR20170043720A (ko) 경량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복합체 조성물
Tjong et al. Fracture behavior of thermoplastic polyolefin/clay nanocomposites
KR102063600B1 (ko) 섬유 강화 복합재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내·외장재
KR102298955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성형품의 사출 성형방법
JP3532767B2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製造方法
Prakash et al. Strength optimization for kaolin reinforced epoxy composite using taguchi method
KR101396039B1 (ko) 천연 충전재를 적용한 다기능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성형품
Dantas et al. Influence of the quantity of water absorption i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jute fiber and glass fiber composites
KR101830552B1 (ko) 바이오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