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9488A - 열차단 특성을 갖는 복층형 칼라 접합유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열차단 특성을 갖는 복층형 칼라 접합유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9488A
KR20240059488A KR1020220140788A KR20220140788A KR20240059488A KR 20240059488 A KR20240059488 A KR 20240059488A KR 1020220140788 A KR1020220140788 A KR 1020220140788A KR 20220140788 A KR20220140788 A KR 20220140788A KR 20240059488 A KR20240059488 A KR 20240059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inated glass
glass
layer
colored laminated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0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창환
Original Assignee
리그마글라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그마글라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리그마글라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40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9488A/ko
Publication of KR20240059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948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807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 B32B17/10816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by pressing
    • B32B17/10871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by pressing in combination with particular heat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32B17/1004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with at least one intermediate layer consisting of a glass sheet
    • B32B17/10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with at least one intermediate layer consisting of a glass sheet with at least one intermediate air sp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807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 B32B17/10981Pre-treatment of th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34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4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12Photovoltaic modu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노 무기소재 코팅으로 자정작용 특성을 갖는 마이크로 도트 패턴을 이용하여 칼라(색상)의 투과율 제어가 실현되는 칼라 접합유리를 이용하여 복층형 칼라 접합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양한 색상으로 조색이 가능하며, 내후성과 내화학성,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적외선 차단능력을 부가하여 외장재로 사용이 가능할뿐 만 아니라 고효율과 단열특성을 갖는 칼라 접합유리의 제조가 가능하고 태양광 모듈을 이용하여 칼라접합유리를 제조함으로서 태양광 발전이 가능하면서도 산업용 외장재로 사용가능한 다용도의 복층형 칼라접합유리를 제조할 수 있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열차단 특성을 갖는 복층형 칼라 접합유리 제조방법{Building-integrated multi-layer color laminated glass manufacturing method with thermal barrier properties}
본 발명은 나노 무기소재 코팅으로 자정작용 특성을 갖는 마이크로 도트 패턴을 이용하여 칼라(색상)의 투과율 제어가 실현되는 고단열 복층형 칼라 접합유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높은 열차단 효율을 나타내면서도 부착력, 표면강도, 및 내구성이 뛰어나 기존 열차단 필름의 단점을 보완할 뿐만 아니라 복층형으로 구성함으로 고단열 특성을 추가하여 태양광 발전용뿐만 아니라 방음벽 및 아파트의 발코니 외벽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최근 들어 유리가 가지는 고급스러운 이미지에 색상을 부여한 유색 투명유리가 건축용 내외장재뿐만 아니라 산업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건축물의 외장창유리는 건물 중에서 열 손실이 가장 많은 부분으로 건물의 냉난방 부하에 큰 영향을 미치며, 제품 선택 시 건물용도 및 기후조건이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현재 건축용 창호용 판유리 시장은 주거용과 상업용, 고층빌딩용 창호시장으로 구성되며, 창호용 판유리 제품 선택 시 건축물 종류별로 Key Buying Factor는 차이가 있고, 일반적으로 주거용 창호의 경우 단열에 대한 수요가, 상업용과 고층빌딩용 판유리의 경우 일사차단에 대한 수요가 상대적으로 크게 작용하고 있다.
이에, 열차단 필름을 유리에 부착함으로써 태양열이 창호를 통해 건물로 유입되는 것을 흡수 또는 반사하여 냉방 부하저감을 통해 에너지 효율을 증대시키는 방식이 개발되어 있으나, 이는 부착력, 표면강도, 내구성, 시공성 등에 있어 크나큰 단점을 가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의 유색 투명유리를 태양광에 사용되는 태양전지 모듈에 이용하려는 시도도 많고 특히 최근 지구 환경 문제와 화석 에너지의 고갈, 원자력 발전의 폐기물 처리 및 신규 발전소 건설에 따른 위치 선정 등의 문제로 인하여 신·재생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무공해·무진장의 에너지원인 태양 전지에 대한 연구 개발이 국내외적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복층유리는 두장의 유리사이에 공기층 또는 가스층을 형성하여 단열을 하고 있으며 최근 로이층을 상기 유리 내부에 코팅하여 단열성능을 높이고 있으나 단순한 단열만을 목적으로 복층유리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대도시의 모든 빌딩과 건물들은 대부분이 유리를 이용하여 건물의 내부와 외부를 구분하고 있지만 겨울철에는 내부의 온도가 외부로 유출되거나 여름철에 외부의 온도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과 내부에서 외부를 볼 수 있는 조망을 위해 투명한 유리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의 투명한 유리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태양광 에너지를 활용하지 못하고 색상을 이용한 심미적인 면을 간과하는 문제가 발생하여 결국은 에너지를 낭비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44252호 한국등록특허 제10-1735383호 한국등록특허 제10-0989285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기존의 복층유리보다 열차단 효율을 높여 단열성능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색상을 통하여 건물이 외관을 아름답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태양전지와의 결합으로 전력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원자재인 일반 유리의 일면에 이온플라즈마 코팅과 함께 패턴을 이용한 칼라 습식 코팅을 통하여 칼라유리를 제조하고 다른 일면에 나노무기소재를 코팅한 칼라유리에 에틸렌옥사이드(EO) 및 프로필렌옥사이드(PO)가 반응하여 합성된 폴리올, 광접착수지, 광개시제 및 적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접착층을 형성하여 태양전지 모듈과 합착시킴으로서 최상부에 나노무기소재에 따른 자정작용 기능과 높은 열차단 효율을 나타내면서도, 부착력, 표면강도, 및 내구성이 뛰어날뿐만 아니라 시공이 간편하고 제품의 하자 발생이 낮은 칼라 접합 유리를 제조할 수 있으며 제조된 칼라접합 태양전지 모듈과 내부면에 로이코팅된 유리를 복층으로 구성하고 내부공간에는 진공 또는 아르곤가스를 주입함으로서 칼라접합유리와 태양전지 모듈 및 복층유리로 구성된 건물일체형 고단열 복층형 접합유리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투과도 제어가 가능하고 효과적으로 적외선을 차단할 수 있으면서도 다양한 두께와 규격으로 제품 생산이 가능한 칼라 접합유리를 활용하여 고효율의 칼라 태양 전지 등의 제조가 가능하고 본 발명에 따르면 투과율을 제어하면서 다양한 칼라를 제어할 수 있어 선택가능한 색상으로 건물의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전력생산이 가능하고 칼라에 의하여 모든 건물 또는 빌딩등의 벽에 시공할 수 있어 미려한 공간 창조가 가능하며 공정설비가 복잡하지 않고 일반적인 습식 코팅방법으로 상대적으로 저비용 코팅이 가능하다. 또한 대면적의 유리 소재에도 쉽게 코팅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 효과가 있으며 나노 무기소재를 이용하여 최외각층에 코팅함으로서 자정작용 특성과 높은 열차단 효율을 나타내면서도, 부착력, 표면강도, 및 내구성이 뛰어나며, 시공이 간편하고 제품의 하자 발생이 낮은 칼라 접합 유리를 이용하여 로이 코팅된 유리와 복층으로 구성함으로서 고단열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투과도 제어가 가능한 칼라 유리 제조 공정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자재 상부에 칼라코팅층이 위치한 칼라접합유리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자재 하부에 칼라코팅층이 위치환 칼라접합유리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복층형 칼라접합유리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복복층(3복층)형 칼라접합유리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복층형 고단열 칼라접합 BIPV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복복층형 고단열 칼라접합 BIPV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복층형 고단열 칼라접합 BIPV 제작공정도
도 9는 본 발명의 칼라접합유리를 활용한 다양한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패턴을 이용하여 투과율 제어가 가능한 나노칼라 접합유리 제조와 이를 활용하여 고단열 복층 유리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투과율을 제어할 수 있는 유리를 코팅하는 공정으로 원자재인 일반유리가 코팅 자동화 공정에 투입되면 가장 먼저 원자재인 유리 양표면의 이물질 제거를 위한 세척공정을 진행하며, 세척 후 표면을 건조시킨 후 이온 플라즈마 코팅을 통하여 부착력을 높이기 위한 공정이 진행되며 상기 플라즈마 코팅층 상부에 광확산을 기능을 포함한 다양한 칼라를 제어하는 칼라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패턴을 이용한 칼라 습식 코팅(스크린 프린팅)을 진행하며 칼라 안료가 부착된 코팅층을 경화시키기 위하여 건조 또는 소성을 550℃ 미만으로 1차 건조를 수행하며 상기 코팅층의 상부에 광확산과 눈부심 방지 및 자정작용 기능을 갖는 나노 무기소재를 이용한 코팅층을 형성한다.
상기의 나노 무기코팅층을 형성한 후 나노무기 코팅층의 경화와 원자재인 유리의 강화를 위하여 2차로 800℃이하의 온도에서 열처리를 진행한다. 이후 유리의 강도와 표면 경도를 높이기 위해 냉각단계를 거친 후 상기 코팅된 원자재인 유리의 다른 면인 하부에 에틸렌옥사이드(EO) 및 프로필렌옥사이드(PO)가 반응하여 합성된 폴리올, 광접착수지, 광개시제 및 적외선차단제를 포함된 접착층을 형성시켜 기재층(투명플라스틱, 유리 또는 태양전지 모듈 등) 합착시킨 후 합착된 기재층에 대해 가열 또는 자외선을 이용한 경화를 통하여 도2에 나타난 바와 같은 칼라 접합 유리를 제조한다.
또 다른 칼라 접합유리 제조공정으로 원자재인 유리가 코팅 자동화 공정에 투입되면 가장 먼저 원자재인 유리의 양 표면의 이물질 제거를 위한 세척공정 진행 후 원자재의 양 표면을 건조시키고 원자재 하부면에 광확산 기능을 포함한 다양한 칼라를 제어하는 칼라 코팅층 형성을 위한 패턴을 이용한 칼라 습식 코팅을 진행하며 칼라 코팅증을 경화시키기 위하여 1차로 건조 또는 소성을 550℃ 미만으로 수행하며 이후 원자재의 상부면에 광확산 및 눈부심 방지와 자정작용 기능을 갖는 나노 무기소재를 이용한 코팅층을 형성한 후 나노무기 코팅층 경화와 원자재인 유리의 강화를 위하여 2차로 800℃이하의 온도에서 열처리를 진행한다. 이후 유리의 강도와 표면 경도를 높이기 위해 냉각단계를 거친 후 상기 원자재의 칼라 코팅층에 에틸렌옥사이드(EO) 및 프로필렌옥사이드(PO)가 반응하여 합성된 폴리올, 광접착수지, 광개시제 및 적외선 차단제를 포함된 접착층을 형성시켜 기재층(유리 또는 태양전지 모듈 등)과 합착시킨 후 합착된 기재층에 대해 가열 또는 자외선을 이용한 경화를 통하여 도3과 같은 칼라 접합 유리를 제조한다.
본 발명의 칼라 접합유리는 도 3과 같이 기재층으로 유리가 아닌 태양전지 모듈 등을 활용하여 태양전지용 칼라 접합유리를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칼라 접합유리와 태양전지 등을 결합하여 건축용 및 방음벽용을 포함한 산업용으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의 칼라 접합유리의 제조가 완료되면 도 4와 같이 스페이서(단열간봉)으로 또 다른 유리와 공간을 형성시켜 복층유리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의 또 다른 유리의 내면은 로이코팅층을 형성시켜 단열성능을 높일 수 있으며 공간에는 공기(Air), 진공, 가스(예 : 아르곤 가스 등)를 채워 단열성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복층유리에 도 5와 같이 스페이서(단열간봉)으로 또 다른 유리와 공간을 형성시켜 복복층유리(3복층유리)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의 공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세척공정의 경우 세척시 또는 세척 후 정전기를 방지하고 원자재의 표면 친수를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DI(증류수) 또는 시수를 사용한다.
상기 세척공정이 마무리 되면 코팅층 형성을 위하여 세척시 사용된 DI를 완전하게 제거하기 위한 건조단계를 거쳐 컨베이어 등의 자동화 장비에 따라 눈부심 방지 및 광확산과 자정작용 기능을 위한 나노무기 코팅층 형성 공정으로 원자재(유리)가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원자재는 유리가 일반적이지만 투명한 플라스틱과 같은 고분자 소재의 판형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한 모든 투명한 자재들이 원자재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의 나노 무기 코팅층이 원자재의 상부에 형성되면 원자재의 하부에 칼라 코팅층 형성을 위한 패턴을 이용한 칼라 습식 코팅공정으로 이동되지만 나노 무기코팅층 및 칼라 습식코팅층 형성 전에 원자재 표면의 코팅층 부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이온플라즈마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패턴을 이용한 습식 코팅공정에서는 무연(Pb free) 저 융점 후릿트에 5-30% 정도의 칼라 안료가 혼합된 칼라의 원료인 잉크원료를 준비하고 준비된 잉크원료는 작업성을 높이기 위하여 잉크의 점도(PaS)는 낮을수록 유리하지만 투과도와 두께 등을 제어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잉크점도(PaS)를 100~200으로 범위를 설정하여 사용하고 최적화된 실시예로서는 150과 180을 사용하였다.
상기의 무연(Pb free) 저 융점 후릿트에 5-30% 정도의 칼라 안료를 혼합한 잉크에는 20~35%의 B2O3, 9.5~24.5%의 ZnO, 5~15%의 BaO, 0.01~5%의 CaO, 5~10%의 SrO, 0.01~20%의 SiO2, 0.01~10%의 Al2O3, 5~10%의 Na2O, 0.01~5%의 K2O, 0.01~5%의 Li2O, 그리고 0.01~10%의 ZrO를 함유하며, 그 크기는 4μm 이하의 그래뉼에 칼라원료를 5-30% 정도로 혼합한 것으로 잉크의 평균입도(μm)는 작을수록 투과율에 미치는 영향이 우수하기 때문에 0.5~4μm로 제어하여 사용하며 본 발명에서는 중간값인 2μm의 평균입도를 갖는 원료를 사용하였다.
상기 칼라 습식 코팅공정에는 칼라의 색상과 조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마이크로 도트를 형성하기 위한 마스크를 이용하여 프린팅을 진행하는데 상기 마스크의 메쉬(Mesh)수는 칼라의 색상과 투과율을 제어하는 중요한 요소로서 본 발명에서는 200~300μm/in로 제어하여 사용하였지만 칼라의 조도와 색상 등을 고려하여 200μm/in이하 또는 300μm/in이상으로 제어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칼라 습식 코팅 시에는 다양한 기능성을 높이기 위하여 스퀴즈가 사용되는데 스퀴즈의 경도(Squeegee Hardness)는 70~90(Shore 또는 Sh)을 사용하였고 70(Sh)이하의 경우 인쇄 번짐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반대로 90(Sh) 이상의 경우 제판 손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본 발명에서는 최적화된 80(Sh)을 사용하였고 스퀴즈 각도(Squeegee angle)는 45’이하의 경우 스퀴즈 자욱이나 잉크 번짐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있고 72’ 이상의 경우 도막두께 저하로 칼라 습식코팅에 의한 품질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본 발명에서는 68’을 사용하였다.
또한, 칼라 습식코팅 시 원자재(유리 등) 또는 스퀴지의 속도는 빠를수록 균일성(Uniformity)이 떨어지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프린팅 스피드(Printing Speed)를 15~35mm/sec로 제어하여 프린팅을 하였으며 최적회된 프린팅 스피드는 중간값인 25mm/sec를 이용함으로서 최적화된 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Off-contact(mm)의 경우 4~6mm를 활용하지만 6보다 높을시 번짐현상 발생할 수 있어 5mm을 기준으로 번짐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어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최적화의 의미는 다양하고 많은 실험을 통하여 경험치로 확보한 것으로 환경과 조건에 따라 수치화된 범위는 일정부분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상기의 칼라 습식코팅 공정이 마무리되면 다음단계로 건조 또는 소성과정으로 진행하며 일반적으로 칼라 잉크는 520℃ 이상에서 결정화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원료의 종류에 따라 550℃ 이하에서 건조를 위한 열처리를 진행하며 본 발명에서는 550℃이하에서 1분이내의 건조를 위한 열처리를 진행하였다.
상기의 1차 건조 이후 원자재인 유리의 강화를 위해 800℃ 이하에서 5분 이내의 열처리를 통하여 2차 열처리를 진행하며 냉각과정을 통하여 칼라 유리의 제조가 완료되며 또 다른 예로서 원자재의 세정과 건조공정 후 칼라 습식코팅 공정을 진행하여 550℃ 이하에서 1차 열처리(건조)가 마무리되면 칼라 코팅면 상에 나노무기코팅을 실시하고 유리의 강화와 나노 무기소재의 경화를 위해 별도의 유리의 강화를 위한 열처리 없이 연이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공정의 단순화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의 건조 후 나노 무기소재 코팅을 위해서 냉각단계를 추가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의 열처리과정은 1차로 550℃미만에서 칼라 잉크의 건조를 위해 1분 이내의 열처리에 의해 원자재에 융착 후 건조시키며 이후 나노 무기소재를 건조된 표면위에 코팅하게 되지만 표면의 온도가 100℃ 이상 될 경우 냉각단계를 추가할 수 있고 이어 2차로 680~800 ℃ 소부온도에 이르게 하여 유리의 열적 강화와 동시에 나노 무기소재의 경화를 위한 소성을 진행하게 된다.
물론 상기의 1차의 열처리 공정 전에 나노 무기소재를 코팅한 후 원자재의 상부면에 나노무기소재가 코팅되고 하부면에 칼라 습식 코팅이 완료된 후 상기의 1차 열처리를 진행할 수 있으며 이때는 별도의 표면의 온도가 100℃ 이상 될 경우 냉각하는 공정은 생략된다.
상기의 소성 또는 건조공정이 진행된 후 표면 경도를 높이고 유리의 강화를 위하여 급냉과정을 진행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팬(Fan)을 이용하는 공냉 방식을 채택하여 급냉시킴으로서 경도를 높이는 과정을 진행하였지만 공냉방식과 다른 다양한 냉각방식을 사용할 수 있음을 물론이다.
상기의 모든 과정이 진행한 후 코팅된 원자재의 색상 등에 문제점이 없는지 검사를 진행하고 특별한 문제점이 발견되지 않을 경우 코팅된 원자재를 적재하여 포장/출하함으로서 칼라 유리의 제조 공정을 마무리 할 수 있다.
상기의 칼라 유리가 제조되면 원자재의 하부면에 에틸렌옥사이드(EO) 및 프로필렌옥사이드(PO)가 반응하여 합성된 폴리올, 광접착수지, 광개시제 및 적외선차단제를 포함된 접착층을 형성하여 기재층(유리 또는 태양전지 모듈 등)을 합착하고 상기 합착된 칼라 접합유리(칼라유리와 유리 또는 태양전지모듈이 합착된 것)에 대해 가열 또는 자외선 경화공정을 거쳐 칼라 접합유리가 완성된다.
특히 상기의 칼라 습식코팅 공정에 있어서 색상과 조도 및 투과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단위면적(inch)당 색상이 표현된 마이크로 도트(dot)를 활용한 패턴으로 도트의 크기를 제어하여 색상과 투과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도트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을 갖게 되는데 4각형 이상의 다각형을 본 발명에서 사용되었다. 도 3은 투과율과 커버리지 비율에 따른 다양한 패턴형상을 수치와 함께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0.5mm 직경을 갖는 도트 패턴의 경우 수평 및 수직거리는 0.63mm이고 도트패턴의 원점과 원점의 거리는 1.13mm이며 패턴과 패턴의 45°의 경사 거리는 1.09mm를 유지할 경우 커버리지 비율(C/R)은 15%, 유리 가시광선 투과율는 90%로 제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5는 상기에 나타난 실시예와 함께 커버리지 비율(C/R)이 40%, 유리의 가시광선 투과율을 60%로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0.5mm 직경을 갖는 도트 패턴의 경우 수평 및 패턴과 패턴의 45°의 경사 거리는 0.75mm를 유지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커버리지 비율(C/R)은 40%, 유리의 가시광선 투과율은 45%를 제어하기 위하여 수평거리 0.5mm와 패턴과 패턴의 45°의 경사 거리는 0.71mm를 유지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칼라 접합유리에 사용되는 접착층은 칼라 코팅층이 형성된 원자재와 기재층(유리 또는 태양광 모듈)과의 접합을 위하여 에틸렌옥사이드(EO) 및 프로필렌옥사이드(PO)를 2 내지 10 : 1의 몰 비로 반응하고 상기 에틸렌옥사이드(EO) 및 프로필렌옥사이드(PO)가 반응하여 합성된 폴리올은, 분자량이 5,000 내지 10,000 g/mol 범위로서 광접착수지, 광개시제 및 적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의 접착층으로 인하여 열 차단 필름이 부착된 종래의 유리에 비해 제품의 하자 발생율이 적고, 부착력과 표면강도, 및 내구성이 향상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적외선 투과율이 낮아 효과적으로 가시광선 영역대(380~780nm)와 1200nm 미만의 적외선 영역대의 에너지는 흡수하면서도 열을 발생하는 적외선 영역중 1200nm이상의 태양열을 차단할 수 있으면서도, 다양한 두께와 규격으로 제품 생산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원자재인 유리 또는 폴리카보네이트로 형성된 판상층의 조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투명 또는 반투명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원자재는 상기 접착층과 결합하는 일면에 플라즈마 처리를 통해 친수성 표면층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원자재는 접착층과 결합하는 일면에 플라즈마 처리를 통해 친수성 표면층을 형성함으로써, 원자재와 접착층과의 접착력을 향상시켜 높은 균일도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플라즈마 처리는 대기압 플라즈마 처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대기압 저온 플라즈마 또는 대기압 고온 플라즈마 처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폴리올; 광접착수지; 광개시제; 및 적외선 차단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칼라 접합 유리는 칼라 코팅된 원자재인 유리층과 기재층(유리 또는 태양전지 모듈) 사이에 상기 폴리올, 광접착수지, 광개시제 및 자외선 차단제를 혼합하여 제조된 접착층을 포함함에 따라, 선택적으로 자외선, 가시광선 및 일부의 적외선 영역은 흡수하고 1200nm이상의 적외선은 차단함으로서 우수한 열 차단 효율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착층은 폴리올, 광접착수지, 광개시제 및 적외선 차단제를 혼합한 뒤 자외선 조사하여 상기 광개시제에 의한 광반응으로 중합과 동시에 가교결합이 일어나 수 초안에 경화됨으로써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사되는 자외선은 약 220 nm 내지 약 450 nm의 파장 범위인 것일 수 있다. 만약, 상기 조사되는 자외선의 파장이 약 220 nm 미만 또는 450 nm를 초과할 경우, 자외선에 의한 경화가 충분히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에틸렌옥사이드 및 프로필렌옥사이드가 반응하여 합성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옥사이드 및 프로필렌옥사이드는 약 2 내지 10 : 1의 몰 비로 반응하는 것일 수 있다. 만약, 상기 에틸렌옥사이드가 상기 프로필렌옥사이드에 대해 약 2 몰 비 미만으로 반응하거나 약 10 몰 비를 초과하여 반응할 경우 제조되는 접착층의 접착성이 하락하거나 열 차단 효율이 감소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의 분자량은 약 5,000 내지 약 10,000 g/mol 범위일 수 있다. 만약, 상기 폴리올의 분자량이 약 5,000 g/mol 미만이거나 10,000 g/mol을 초과할 경우, 접착층의 접착력이 하락하거나 다른 성분과의 혼합성이 저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약 15 내지 3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만약, 상기 폴리올이 상기 접착층 전체 100 중량%에 대해 약 1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제조되는 접합 유리의 내구성, 접착성, 및 열 차단 효율 특성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을 수 있고, 약 35 중량%를 초과할 경우 접합 유리의 제조 공정이 어려워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접착수지는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어 점착 및 접착 성능을 나타내는 수지로서, 예를 들어, 2-EHAM(2-Ethylhexyl Acrylate), 2-HEA(2-Hydroxyethyl Acrylate), IOA(isooctyl acrylate), BA(n-butyl acrylate), EA(ethyl acrylate), MA(methyl acrylate) VA(vinyl acrylate),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접착수지는 약 10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만약, 상기 광접착수지가 상기 접착층 전체 100 중량%에 대해 약 1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제조되는 접합 유리의 열 차단 효율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을 수 있고, 약 30 중량%를 초과할 경우 제조 공정에 어려움이 생기거나 다른 성분과의 혼합성이 저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개시제는 자외선에 대한 활성을 갖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벤조페논계, 벤조인, 벤조 인에테르계, 벤질케탈계, 아세토페논계, 안트라퀴논계, 티옥소잔톤계 등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업적으로 시판되고 광개시제의 예로서는 Irgacure 184™, Omnirad TPO L G, 754™, 819™, Darocur 1173™, TPO™ (CIBA GEIGY 社), Micure CP-4™, MP-8™, BP™, TPO™,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개시제는 약 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만약, 상기 광개시제가 상기 접착층 전체 100 중량%에 대해 약 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경화가 충분히 발생하지 않아 접착성이 하락할 수 있고, 약 10 중량%를 초과할 경우 다른 성분과의 혼합성이 저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를 추가 포함함으로써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어 높은 접착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는 각각 상기 접착층 전체 100 중량%에 대해 약 5 내지 2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상기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가 각각 약 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를 추가 포함함에 따라 나타나는 접착성 증가 효능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을 수 있고, 각각 약 25 중량%를 초과할 경우 작업성이 하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칼라 코팅된 원자재인 유리층과 접착층 사이의 접착력 향상을 위해 해조류 추출물을 추가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착층은 폴리올, 광접착수지, 광개시제와 함께, 해조류 추출물을 추가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해조류 추출물은 친환경성을 나타내어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높은 점착력을 나타내어 상기 유리층과 접착층 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도록 도와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해조류 추출물은 접착성을 나타내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우뭇가사리 추출물, 톳 추출물, 감태 추출물, 모자반 추출물, 미역 추출물,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해조류 추출물은 모자반을 준비하여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모자반을 분쇄하여 분쇄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분쇄물을 추출용기에 넣고 알코올 등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추출하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수득되는 모자반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해조류 추출물은 약 0.1 내지 3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만약, 상기 해조류 추출물이 상기 접착층 전체 100 중량%에 대해 약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경화가 충분히 발생하지 않아 접착성이 하락할 수 있고, 약 3 중량%를 초과할 경우 작업성이 하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이산화세륨 분말을 추가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착층은 폴리올, 광접착수지, 광개시제와 함께, 이산화세륨 분말을 추가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이산화세륨은 높은 자외선 차단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상기 접착층의 구성성분에 포함되어 접착층을 포함하는 접합 유리가 우수한 열 차단 효능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세륨 분말은 약 1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만약, 상기 이산화세륨 분말이 상기 접착층 전체 100 중량%에 대해 약 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이산화세륨 분말을 포함함에 따른 열 차단 효능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을 수 있고, 약 5 중량%를 초과할 경우 접착층의 접착성이 하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변성 전분을 추가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착층은 폴리올, 광접착수지, 광개시제와 함께, 변성 전분을 추가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변성 전분은 옥수수 전분, 타피오카 전분, 감자 전분, 고구마 전분 및 밀 전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전분이 에스테르화, 에테르화 또는 그라프트화된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작업자의 안전에 영향을 끼치지 않은 식물성 성분이면서도 높은 접착성을 나타내어 상기 유리층과 접착층이 균일하게 접착되도록 할 수 있고, 용이하게 접착됨에 따라 균일한 두께 균일성을 나타내어 햇빛이 한곳에 투과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변성 전분은 약 0.1 내지 3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만약, 상기 변성 전분이 상기 접착층 전체 100 중량%에 대해 약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상기 변성 전분을 포함함에 따라 나타나는 접착성 향상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을 수 있고, 약 3 중량%를 초과할 경우 다른 성분과의 혼합성이 저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색상을 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한국 공업표준 규격인 CMYK 조색시스템에 의해 다양한 색상으로 조색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마이크로 도트를 활용하여 투과율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면서도 색상을 표현할 수 있는 태양전지 모듈을 제조함으로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노 무기소재의 코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나노 무기소재는 하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 10 ~ 85 중량부; 인산(H3PO4) 0.1 ~ 1 중량부; 무기안료분산액 5 ~ 10 중량부; 강염기 0.5 ~ 5 중량부; 및 물(H2O) 4 ~ 84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무기소재을 제공한다:
[화학식 1] xNa2OySiO2nH2O
[화학식 2] xK2OySiO2nH2O
[화학식 3] xLi2OySiO2nH2O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에서, x 및 y는 각각 0.01 ~ 500이며, n은 1 ~ 20의 자연수이다.
또한, 상기 나노 무기소재는, 무기 도료 조성물 100 중량부 기준으로,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 10 ~ 85 중량부; 인산(H3PO4) 0.1 ~ 1 중량부; 무기안료분산액 5 ~ 10 중량부; 강염기 0.5 ~ 5 중량부; 및 물(H2O) 4 ~ 84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는, 나노 무기소재 100 중량부 기준으로, 각각 12 ~ 40 중량부, 1 ~ 30 중량부, 및 12 ~ 4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는, 각각 고형분의 함량이 25% ~ 50%, 15% ~ 40%, 10% ~ 35%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나노 무기소재는 pH가 8 ~ 14가 되도록 제조함으로써 바람직한 반응효율을 얻을 수 있으며, 조성물이 용액상태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무기 안료 분산액은 무기안료 5 내지 60 중량%와; 상기 무기 안료를 분산시키기 위한 분산제 1 내지 15 중량%와; 무기안료가 분산되는 분산매가 되는 용제 25 내지 94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기안료는 산화아연, 산화타이타늄, 실버화이트, 벵갈라, 버밀리온, 카드뮴레드, 크롬옐로, 황토, 카드뮴옐로, 에메랄드녹, 산화크로뮴녹, 프러시안블루, 코발트청, 카본블랙, 철흑, 실리카백, 알루미나백, 백토, 탄산칼슘, 오레올린, 코발트 바이올렛, 세룰리안 청, 비리디안, 울트라마린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기 안료는 5 내지 250nm의 평균 입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나노 무기소재로부터 형성된 코팅막은, ASTM D3363의 기준에 따라 측정한 연필경도가 9H, ASTM D3359의 기준에 따라 측정한 부착력이 5B, 코팅막에 물 한 방울을 떨어뜨린 후의 코팅막과 물 간의 접촉각이 20도 이하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나노 무기소재의 코팅막이 형성된 유리 표면은 염산을 포함한 강산 10% 용액으로 12시간 이상(바람직하게는, 48시간 이상) 처리한 후에도 부식이 일어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나노 무기소재 코팅층은 자정작용 특성을 활용하여 자가세정이 가능하고 기계적 특성이 표면경도와 마모 특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화학적으로 안정되어 내구성이 오래 지속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더불어 가시광선 투과도를 1~3%정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성이 있어 태양전지 모듈의 에너지 변환효율을 향상시키는 특징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기 도막 코팅방법은, 유리의 표면에 무기질 코팅소재를 견고하게 코팅하고 소성하는 방법으로 고분자 재료와 복합재료의 단점인 경도를 매우 높게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초친수성 및 내부식성, 불연성, 내화학성, 항균성 등 무기재료가 갖는 일반적인 특징을 모두 포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공정을 통하여 제조된 칼라접합유리는 로이유리와의 사이에 스페이서(간봉)을 부착하여 공간을 형성하고 칼라접합유리와 로이유리를 조립한 후 가스를 주입하여 복층유리를 제조하며 상기에 사용되는 태양전지 모듈은 양면형 BIPV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복층유리에 또 다른 로이유리를 상기의 복층유리를 제작하는 공정과 동일한 공정으로 부착하여 복복층(삼복층) 칼라접합 유리를 제작할 수 있다.
상기 복층유리 제작에 사용되는 원자재인 유리는 도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두께 3~6mm를 사용하며 원자재와 로이유리 사이의 공간은 12~16mm로서 진공, Air, 아르곤 등의 가스를 주입하여 제작하며 복층 또는 복복층유리는 무게를 줄이기 위해 5mm이하를 사용하게 되며 유리의 두께 감소분은 가스가 주입되는 공간을 증가시켜 두께는 비슷하지만 무게는 줄이고 단열 성능은 높이는 구조로 제작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스페이서(간봉)는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에 합성수지와 결합하거나 단열간봉으로 사용되는 슈퍼스페이서는 발포 실리콘 재질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복층형 칼라접합유리의 경우 열관류율(W/m2·K)은 1.10~0.80의 범위로서 일반적인 접합유리보다 단열성능이 우수하고 단위 중량은 10kg/m2 미만이 되도록 제작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기재층 : 일반유리 또는 태양전지모듈

Claims (6)

  1. 복층형 칼라 접합유리의 제조에 있어서,
    원자재(유리) 투입 단계;
    원자재 세척 및 건조단계;
    상기 세척 후 이온플라즈마 코팅층 형성단계;
    패턴을 이용한 칼라 습식 코팅 단계;
    1차 건조단계;
    나노 무기소재 코팅단계;
    유리의 강화 및 나노무기소재 경화를 위한 2차 소성단계;
    냉각단계;
    상기 코팅된 유리층을 에틸렌옥사이드(EO) 및 프로필렌옥사이드(PO)가 반응하여 합성된 폴리올, 광접착수지, 광개시제 및 적외선차단제를 포함된 접착층을 활용한 기재층과 합착단계;
    상기 합착된 칼라 접합유리에 대해 가열 또는 자외선 경화단계;
    상기 칼라접합유리와 유리를 스페이서를 매개로 조립하고 가스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일체형 고단열 복층형 칼라 접합유리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층형 칼라접합유리와 또 다른 유리를 스페이서를 매개로 조립하고 가스를 주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복복층형인 것을 특징으로 건물일체형 고단열 복층형 칼라 접합유리 제조방법.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주입단계는,
    Air, 진공 또는 아르곤 가스인 것을 특징으로 건물일체형 고단열 복층형 칼라 접합유리 제조방법.
  4.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접합유리는 태양광 모듈과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건물일체형 고단열 복층형 칼라 접합유리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모듈은 양면형 BIPV인 것을 특징으로 건물일체형 고단열 복층형 칼라 접합유리 제조방법.
  6.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접합유리는 1200nm이상의 적외선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건물일체형 고단열 복층형 칼라 접합유리 제조방법.

KR1020220140788A 2022-10-27 2022-10-27 열차단 특성을 갖는 복층형 칼라 접합유리 제조방법 KR202400594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0788A KR20240059488A (ko) 2022-10-27 2022-10-27 열차단 특성을 갖는 복층형 칼라 접합유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0788A KR20240059488A (ko) 2022-10-27 2022-10-27 열차단 특성을 갖는 복층형 칼라 접합유리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9488A true KR20240059488A (ko) 2024-05-07

Family

ID=91078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0788A KR20240059488A (ko) 2022-10-27 2022-10-27 열차단 특성을 갖는 복층형 칼라 접합유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9488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285B1 (ko) 2010-05-24 2010-10-22 (주) 비제이파워 칼라 태양 전지를 이용한 형상화된 태양 전지 모듈
KR20140044252A (ko) 2012-10-04 2014-04-14 박범규 건축물 내외장재의 다기능 칼라 코팅방법 및 이에 따른 다목적 방음벽용 칼라코팅 강화유리 및 이를 이용한 강화유리 조립체
KR101735383B1 (ko) 2012-11-16 2017-05-29 김효원 무기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무기 도막의 형성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285B1 (ko) 2010-05-24 2010-10-22 (주) 비제이파워 칼라 태양 전지를 이용한 형상화된 태양 전지 모듈
KR20140044252A (ko) 2012-10-04 2014-04-14 박범규 건축물 내외장재의 다기능 칼라 코팅방법 및 이에 따른 다목적 방음벽용 칼라코팅 강화유리 및 이를 이용한 강화유리 조립체
KR101735383B1 (ko) 2012-11-16 2017-05-29 김효원 무기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무기 도막의 형성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02580B (zh) 一种设有纳米隔热涂层的夹胶玻璃及其制品
KR101814012B1 (ko) 친환경 열차단 도료 조성물 및 그의 도포 방법
CN107267011A (zh) 一种具有隔热反射功能的涂料及其制备方法
KR20190090957A (ko) 옥상 또는 지붕용 2-코트형 수성 차열성 방수 도료, 이를 사용한 2층 구조의 차열성 방수 도장 방법, 및 그에 따른 2층 구조의 차열성 방수 도막
CN102826810B (zh) 一种反射隔热粉末涂料及其制备方法
CN112143312A (zh) 建筑用质感仿石隔热反射复合涂料及其制备方法
CN103589254A (zh) 一种环保反射隔热保温涂料
CN101724333A (zh) 隔热涂料
CN105219146A (zh) 一种水性多彩仿石涂层体系
KR102205984B1 (ko) 자정작용 특성을 갖는 칼라 태양광 모듈 제조방법
CN208200811U (zh) 一种聚酰亚胺窗膜
CN108517181A (zh) 一种水性聚氨酯建筑防水隔热涂料
KR101801857B1 (ko) 열차단성과 자발 세정력이 우수한 건축용 패널
CN108659657A (zh) 一种建筑外墙涂料及其应用
CN103739210A (zh) 一种二氧化钛薄膜及其制备方法
CN107674569A (zh) 一种耐黄变环保水性聚氨酯类隔热涂料的制备方法
KR20240059488A (ko) 열차단 특성을 갖는 복층형 칼라 접합유리 제조방법
CN113502100A (zh) 一种自清洁高耐候温感变色涂料及其制备方法
JP4959128B2 (ja) 建築物外壁の塗装方法
US20210109263A1 (en) Heat-insulating and energy-saving film
KR20240059489A (ko) 열차단 특성을 갖는 칼라 접합유리 제조방법
KR102581929B1 (ko) 무반사 컬러유리 일체형 고분자액정(pdlc) 기반 스마트 윈도우
CN212293391U (zh) 一种疏水自洁、隔热保温的油漆涂层
CN201439511U (zh) 一种设有隔热涂层的夹胶玻璃及其制品
CN209836074U (zh) 一种家居玻璃窗户用隔热防爆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