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9389A - 생산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생산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9389A
KR20240059389A KR1020220140591A KR20220140591A KR20240059389A KR 20240059389 A KR20240059389 A KR 20240059389A KR 1020220140591 A KR1020220140591 A KR 1020220140591A KR 20220140591 A KR20220140591 A KR 20220140591A KR 20240059389 A KR20240059389 A KR 202400593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ing
production
user terminal
management
data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0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석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정푸드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정푸드코리아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정푸드코리아
Priority to KR1020220140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9389A/ko
Publication of KR20240059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938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06Q10/0875Itemisation or classification of parts, supplies or services, e.g. bill of mater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산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단순히 생산을 위한 자재의 관리나, 또는, 생산현장이나 공장 내의 각종 장치 및 인력을 관리하기 위한 기술내용만이 제시되어 있을 뿐, 제품의 입고부터 생산 및 출고에 이르는 전 과정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은 제시된 바 없는 한계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생산관리 시스템 및 방법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품의 입고에서부터 생산 및 출고에 이르는 전체적인 과정을 단일의 플랫폼을 통하여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동시에, 비용처리나 개인 또는 부서간 커뮤니케이션 기능 및 각종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제공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기업의 전반적인 업무관리에 폭넓게 활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생산관리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생산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duction management}
본 발명은 생산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단순히 생산을 위한 자재의 관리나, 또는, 생산현장이나 공장 내의 각종 장치 및 인력을 관리하기 위한 기술내용만이 제시되어 있을 뿐, 제품의 입고부터 생산 및 출고에 이르는 전 과정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은 제시된 바 없는 한계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생산관리 시스템 및 방법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품의 입고에서부터 생산 및 출고에 이르는 전체적인 과정을 단일의 플랫폼을 통하여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생산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품의 생산관리 기능에 더하여, 비용처리나 개인 또는 부서간 커뮤니케이션 기능 및 각종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제공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기업의 전반적인 업무관리에 폭넓게 활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생산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품의 생산을 위하여는, 원자재의 입고, 재료의 가공 및 제품 생산, 생산된 제품의 출고 등을 포함하는 각각의 공정 및 처리과정이 서로 원활하게 연동되어야 하며, 이를 위하여는 각각의 과정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가 요구된다.
이를 위해, 종래, 예를 들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425156호의 "자동 적재창고 연동 생산관리 시스템" 및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043094호의 "스마트 공장에 적용가능한 스마트 밴드를 이용한 생산관리장치" 등에 제시된 바와 같이, 각종 제품의 생산 및 관리를 위하여 다양한 장치 및 방법이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내용들에는 단지 생산을 위한 자재의 관리나, 또는, 생산현장이나 공장 내의 각종 장치 및 인력을 관리하기 위한 기술내용만이 제시되어 있을 뿐, 제품의 입고부터 생산 및 출고에 이르는 전 과정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은 제시된 바 없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생산관리 장치 및 방법들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하여는, 제품의 입고에서부터 생산 및 출고에 이르는 전체적인 과정을 단일의 플랫폼을 통하여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새로운 구성의 생산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아직까지 그러한 요구를 모두 만족시키는 장치나 방법은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425156호 (2022.07.28.)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043094호 (2022.04.05.)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히 생산을 위한 자재의 관리나, 또는, 생산현장이나 공장 내의 각종 장치 및 인력을 관리하기 위한 기술내용만이 제시되어 있을 뿐, 제품의 입고부터 생산 및 출고에 이르는 전 과정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은 제시된 바 없는 한계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생산관리 시스템 및 방법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품의 입고에서부터 생산 및 출고에 이르는 전체적인 과정을 단일의 플랫폼을 통하여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생산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품의 생산관리 기능에 더하여, 비용처리나 개인 또는 부서간 커뮤니케이션 기능 및 각종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제공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기업의 전반적인 업무관리에 폭넓게 활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생산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생산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각각의 사용자가 상기 시스템에 접속하여 원하는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사용자 단말기; 및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기업의 업무 전반에 관련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의 업무요청에 따라 입출고 관리, 생산관리, 재고관리, 회계관리, 업무지시 및 정보조회를 포함하는 각종 업무처리 기능을 제공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관리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를 포함하는 개인 휴대용 정보통신 단말기, 또는, PC나 노트북을 포함하는 정보처리장치에 상기 관리서버와 연동되는 전용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는, 각각의 제품별로 품목, LOT 번호, 수량, 단가, 생산일자, 유통기한, 파레트번호, QR 코드, 입출고 내역, 비용처리 내역, 업무처리 내역을 포함하는 생산현장 및 업무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각종 데이터를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하는 것에 의해 해당 기업의 업무 전반에 관련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자재 입출고 관리, 제품 생산일정 관리, 완제품 재고 및 출하관리, 비용처리 및 회계관리를 포함하는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업무요청에 대응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생산관리 처리부;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각 개인이나 부서간의 소통을 위해 문자나 음성 또는 영상 메시지의 송수신과 함께 사진이나 문서를 포함하는 각종 파일 전송이 가능하도록 메신저 기능을 제공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커뮤니케이션 처리부; 및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수신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표나 그래프를 포함하는 시각화 데이터로 가공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출력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시각화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관리서버는,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통신을 행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통신부; 및 상기 관리서버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관리서버는, 각각의 입출고 현황과 작업내역 및 비용처리 내역을 입력시 해당 내용을 확인 가능한 자료를 함께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생산관리 처리부는,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입고 담당자 및 생산 담당자로부터 입고현황 및 생산현황 데이터가 사진자료와 함께 입력되면 해당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현황정보 입력단계;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관리자로부터 특정 정보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에서 요청된 정보를 검색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표시하고 업무지시를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업무지시 처리단계; 업무지시가 입력되면 지시내용에 지정된 담당자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해당 업무지시 내용 및 현황정보를 표시하고, 각각의 담당자가 지시된 작업을 수행한 후 작업결과 및 해당 내용에 대한 사진자료를 각각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업무결과 처리단계;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회계 담당자로부터 각종 물품의 입출고 내역에 따른 비용처리 내역과 해당 내역에 대한 영수증 및 거래명세표를 각각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회계정보 입력단계; 및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정보조회 요청이 수신되면 해당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달력이 포함된 정보조회 화면을 표시하고, 특정 일자를 선택하면 해당 일자에 대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업무내역이 표시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정보조회 처리단계를 포함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시스템은, PowerApps를 포함하는 로우코드(Low-Code) 개발 플랫폼 또는 노코드(No-Code) 개발 플랫폼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시스템은, Microsoft Office를 포함하는 기존의 업무관리 프로그램이나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시스템과 연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에 기재된 생산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생산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의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생산현장 및 업무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각종 데이터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하는 것에 의해 업무 전반에 관련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처리가 상기 시스템의 관리서버를 통해수행되는 데이터베이스 구축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수신되는 업무요청에 따라 입출고관리, 생산관리, 재고 및 출하관리, 비용처리 및 회계관리를 포함하는 각종 업무처리 기능을 제공하는 처리가 상기 관리서버를 통해 수행되는 업무처리단계;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메신저 기능을 제공하는 처리가 상기 관리서버를 통해 수행되는 커뮤니케이션 처리단계; 및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수신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표나 그래프를 포함하는 시각화 데이터로 가공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출력하는 처리가 상기 관리서버를 통해 수행되는 시각화 처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방법이 제공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품의 입고에서부터 생산 및 출고에 이르는 전체적인 과정을 단일의 플랫폼을 통하여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생산관리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됨으로써, 단순히 생산을 위한 자재의 관리나, 또는, 생산현장이나 공장 내의 각종 장치 및 인력을 관리하기 위한 기술내용만이 제시되어 있을 뿐, 제품의 입고부터 생산 및 출고에 이르는 전 과정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은 제시된 바 없는 한계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생산관리 시스템 및 방법들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제품의 입고에서부터 생산 및 출고에 이르는 전체적인 과정을 단일의 플랫폼을 통하여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데 더하여, 비용처리나 개인 또는 부서간 커뮤니케이션 기능 및 각종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제공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생산관리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됨으로써, 기업의 전반적인 업무관리에 폭넓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산관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산관리 시스템의 관리서버의 구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산관리 시스템의 메인메뉴 화면에 대한 실제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제품에 대한 생산정보를 입력하는 화면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입력된 생산정보에 따라 출력되는 제품전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종 생산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자료조회 화면의 구성예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영수증 및 거래명세표를 조회하는 조회화면의 구성예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작업자가 제품에 대한 재고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조회화면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관리자가 작업내역을 입력하여 작업자에게 작업지시를 전달하기 위한 입력화면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작업자가 작업내역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화면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작업자가 작업내역에 대한 사진자료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화면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각각의 사용자들이 서로 업무연락을 주고받기 위한 메신저 화면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시각화하여 제공하는 시각화 화면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산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이용하여 구현된 생산관리 시스템의 구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생산관리 시스템 및 방법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이하에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의 내용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에 유념해야 한다.
또한, 이하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종래기술의 내용과 동일 또는 유사하거나 당업자의 수준에서 용이하게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부분에 대하여는, 설명을 간략히 하기 위해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념해야 한다.
계속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생산관리 시스템 및 방법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더 상세하게는,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산관리 시스템(10)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산관리 시스템(10)은, 크게 나누어, 각각의 사용자가 시스템에 접속하여 원하는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11)와,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및 업무에 대한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여 업무 전반에 관련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해당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관리서버(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사용자 단말기(11)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과 같은 개인 휴대용 정보통신 단말기, 또는, PC나 노트북 등과 같은 정보처리장치에 상기한 관리서버(12)와 연동되는 전용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산관리 시스템(10)의 관리서버(12)의 구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관리서버(12)는, 생산현장 및 처리과정에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21)와, 데이터베이스부(21)에 저장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11)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업무요청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생산관리 처리부(22)와,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11)를 통하여 메신저 기능을 제공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커뮤니케이션 처리부(23) 및 데이터베이스부(21)에 저장된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제공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시각화 처리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관리서버(12)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11)와 유선 또는 무선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통신을 행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통신부와, 상기한 각 부 및 관리서버(12)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한 데이터베이스부(21)는, 예를 들면, 제품의 품목, 수량, 단가, 생산일자, 유통기한, 입출고 내역, 비용처리 내역, 업무처리 내역 등과 같이, 생산현장 및 업무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각종 데이터를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11)를 통해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하는 것에 의해 해당 기업의 업무 전반에 관련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11)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는, 단순한 숫자나 텍스트 위주의 데이터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바람직하게는, 입출고 현황이나 작업내역과 함께 해당 내용을 확인 가능한 사진자료 등을 함께 첨부하여 저장함으로써, 데이터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한 생산관리 처리부(22)는, 데이터베이스부(21)에 저장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예를 들면, 원자재 입출고 관리, 제품 생산일정 관리, 완제품 재고 및 출하 관리, 비용처리 및 회계관리 등과 같이,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11)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업무요청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한 생산관리 처리부(22)는,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기(11)를 통하여 특정 품목에 대한 자재관리 요청이 수신되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내용을 검색하여 해당 품목에 대한 자재 현황을 해당 사용자 단말기(11)를 통해 표시하고, 제품 생산일정 관리 요청이 수신되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내용을 검색하여 해당 제품의 생산일정을 표시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각각의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11)를 통하여 언제 어디서나 용이하게 원하는 업무를 확인하고 처리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생산현장의 입고 담당자 및 생산 담당자가 각자 사용자 단말기(11)(예를 들면, 자신의 모바일 디바이스나 태블릿 PC 또는 현장에 설치된 PC나 노트북 등)를 통하여 당일의 입고현황 및 생산현황 데이터를 사진자료와 함께 입력하면 해당 내용이 관리서버에(12) 실시간으로 저장되고, 관리자(예를 들면, 생산관리 팀장이나 본사 관리부서 등)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11)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해당 내용을 확인하고 지시를 전달하며, 완제품 재고/출하 관리담당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11)를 통해 지시내용 및 실시간 재고 데이터를 조회하고 지시된 작업(예를 들면, 재고실사, 재고이동, 제품출하 등)을 수행한 후 작업결과 및 해당 내용에 대한 사진을 입력하고, 회계 담당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11)를 통하여 각종 물품의 입출고 내역에 따른 비용처리 내역과 해당내역에 대한 영수증 및 거래명세표(사진이나 스캔본)를 입력하는 것에 의해, 조회화면에 표시되는 달력에서 특정 일자를 선택하면 해당 일자의 업무내역이 바로 확인 가능하도록 표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진자료에 기반한 일정지향적(Schedule-Oriented)이며 증거중심적(Evidence-Based)인 생산관리 시스템의 구축이 가능해진다.
더욱이, 상기한 커뮤니케이션 처리부(23)는,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11)를 통하여 각 개인이나 부서간의 소통을 위한 메신저 기능을 제공하여 문자나 음성 또는 영상 메시지의 송수신과 함께 사진이나 문서 등의 각종 파일 전송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시각화 처리부(24)는,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11)를 통하여 수신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부(21)에 저장된 데이터를 표나 그래프 등으로 시각화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기(11)를 통해 출력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르면, 사진정보를 중심으로 다른 담당자나 부서와 관련 업무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및 업무협력의 효율성 개선하고, 데이터 서버(SharePoint)에 저장된 해당 기업의 전반적인 업무에 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특정 데이터를 그래픽 기반으로 시각화하여 제공하는 것에 의해 보다 효율적인 의사결정과 향후 사업계획 수립 등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 가능한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산관리 시스템(10)은, 예를 들면, 마이크로소프트사(Microsoft)의 파워앱스(PowerApps) 등과 같이, 로우코드(Low-Code) 개발 플랫폼 또는 노코드(No-Code) 개발 플랫폼을 이용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기능을 구현하는 것에 의해 제조현장의 데이터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구성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즉, 본 발명은 상기한 PowerApps 이외에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나 개발도구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도 있는 등,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취지 및 본질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하여 구성 가능한 것임에 유념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르면, 사건기반(Event-Driven)의 데이터수집(Real Time)과 증거중심(Evidence-Based)의 데이터저장(Images) 및 일정지향적(Schedule-Oriented) 관리(Calendar)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기존의 엑셀(Excel) 등과 같은 상용프로그램 위주의 데이터 관리가 지닌 한계를 극복하여 보다 진보된 데이터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순도높은 데이터에 근거한 빅데이터를 구축하여 기업의 업무 전반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산관리 시스템(10) 및 이를 이용한 생산관리 방법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즉, 도 3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도 3 내지 도 13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산관리 시스템(10)을 실제로 구현하여 실행시킨 실행화면을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도 3 내지 도 13에 나타낸 구성은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산관리 시스템(10)의 생산관리 처리부(22)를 통해 제공되는 세부적인 기능에 대한 하나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며, 본 발명은 도 3 내지 도 13에 나타낸 구성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것임에 유념해야 한다.
더 상세하게는,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산관리 시스템(10)의 메인메뉴 화면에 대한 실제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산관리 시스템(10)은,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11)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관리서버(12)에 접속하여 로그인을 행하면, 예를 들면, "제품", "제품확인", "출고증확인", 제품이동", 출고증출력", 파레트전표출력" 및 "기타재고" 메뉴를 각각 포함하여 구성되는 메인화면이 표시되고, 각 메뉴를 선택하면 해당하는 업무처리 화면이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도 4는 제품에 대한 생산정보를 입력하는 화면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입력된 생산정보에 따라 출력되는 제품전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종 생산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자료조회 화면의 구성예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영수증 및 거래명세표를 조회하는 조회화면의 구성예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제품별로 LOT 번호, 품목, 생산일자, 유통기한, 수량, 파레트번호, QR 코드 등과 같은 정보를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11)를 통해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부(21)에 저장하여 두고, 자료조회 화면에 표시되는 캘린더를 통해 날짜별로 실시간 입출고 및 재고 현황 등을 검색하고 출고증이나 전표 또는 영수증 및 거래명세표 등과 같은 업무서류를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도 8은 작업자가 제품에 대한 재고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조회화면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관리자가 작업내역을 입력하여 작업자에게 작업지시를 전달하기 위한 입력화면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0은 작업자가 작업내역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화면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작업자가 작업내역에 대한 사진자료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화면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작업자 및 관리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품에 대한 재고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관리자는 작업지시 화면에서 필요한 내용을 입력하는 것만으로 각각의 작업자에게 용이하게 작업지시를 전달할 수 있고, 각각의 작업자는 알림을 통해 지시내용 및 재고현황을 확인하여 제품 출고 등의 업무를 수행한 후 해당 업무내역 및 수행 결과를 입력하여 시간 및 장소에 관계없이 즉각적이고 원활한 업무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의 입출고 등과 같은 작업내역의 입력시 텍스트 정보에 더하여 해당 내역에 대한 사진 등의 자료를 추가하여 입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데이터의 신빙성 및 신뢰성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2를 참조하면, 도 12는 각각의 사용자들이 서로 업무연락을 주고받기 위한 메신저 화면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산관리 시스템(10)은, 상기한 커뮤니케이션 처리부(23)를 통하여 각각의 사용자들이 서로 메시지나 파일을 송수신하여 소통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업무연락뿐만 아니라 사원을 대상으로 하는 안전교육이나 지시사항 전달 등과 같이 다양한 용도로 사용 가능하여 업무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13을 참조하면, 도 13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시각화하여 제공하는 시각화 화면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산관리 시스템(10)은, 상기한 시각화 처리부(24)를 통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표나 그래프 등으로 시각화하여 출력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부터, 기업의 업무 전반에 대한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필요에 따라 원하는 데이터를 선택하여 분석을 행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업무계획 수립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예를 들면,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Microsoft Office)를 포함하는 기존의 업무관리 프로그램이나 또는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시스템 등의 관리 시스템들과 연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종합적인 제품생산 및 재고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도 14를 참조하면, 도 14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산관리 시스템(10)및 방법을 이용하여 구현된 생산관리 시스템의 구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생산관리 시스템 및 방법의 상세한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설계상의 필요 및 기타 다양한 요인에 따라 여러 가지 수정, 변경, 결합 및 대체 등이 가능한 것임은 당연한 일이라 하겠다.
10. 생산관리 시스템
11. 사용자 단말기
12. 서버
21. 데이터베이스부
22. 생산관리 처리부
23. 커뮤니케이션 처리부
24. 시각화 처리부

Claims (9)

  1. 생산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각각의 사용자가 상기 시스템에 접속하여 원하는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사용자 단말기; 및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기업의 업무 전반에 관련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의 업무요청에 따라 입출고 관리, 생산관리, 재고관리, 회계관리, 업무지시 및 정보조회를 포함하는 각종 업무처리 기능을 제공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관리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를 포함하는 개인 휴대용 정보통신 단말기, 또는, PC나 노트북을 포함하는 정보처리장치에 상기 관리서버와 연동되는 전용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각각의 제품별로 품목, LOT 번호, 수량, 단가, 생산일자, 유통기한, 파레트번호, QR 코드, 입출고 내역, 비용처리 내역, 업무처리 내역을 포함하는 생산현장 및 업무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각종 데이터를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하는 것에 의해 해당 기업의 업무 전반에 관련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자재 입출고 관리, 제품 생산일정 관리, 완제품 재고 및 출하관리, 비용처리 및 회계관리를 포함하는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업무요청에 대응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생산관리 처리부;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각 개인이나 부서간의 소통을 위해 문자나 음성 또는 영상 메시지의 송수신과 함께 사진이나 문서를 포함하는 각종 파일 전송이 가능하도록 메신저 기능을 제공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커뮤니케이션 처리부; 및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수신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표나 그래프를 포함하는 시각화 데이터로 가공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출력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시각화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통신을 행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통신부; 및
    상기 관리서버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 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각각의 입출고 현황과 작업내역 및 비용처리 내역을 입력시 해당 내용을 확인 가능한 자료를 함께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 시스템.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관리 처리부는,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입고 담당자 및 생산 담당자로부터 입고현황 및 생산현황 데이터가 사진자료와 함께 입력되면 해당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현황정보 입력단계;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관리자로부터 특정 정보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에서 요청된 정보를 검색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표시하고 업무지시를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업무지시 처리단계;
    업무지시가 입력되면 지시내용에 지정된 담당자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해당 업무지시 내용 및 현황정보를 표시하고, 각각의 담당자가 지시된 작업을 수행한 후 작업결과 및 해당 내용에 대한 사진자료를 각각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업무결과 처리단계;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회계 담당자로부터 각종 물품의 입출고 내역에 따른 비용처리 내역과 해당 내역에 대한 영수증 및 거래명세표를 각각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회계정보 입력단계; 및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정보조회 요청이 수신되면 해당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달력이 포함된 정보조회 화면을 표시하고, 특정 일자를 선택하면 해당 일자에 대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업무내역이 표시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정보조회 처리단계를 포함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PowerApps를 포함하는 로우코드(Low-Code) 개발 플랫폼 또는 노코드(No-Code) 개발 플랫폼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Microsoft Office)를 포함하는 기존의 업무관리 프로그램이나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시스템과 연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 시스템.
  9. 청구항 1항 내지 청구항 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생산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생산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의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생산현장 및 업무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각종 데이터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하는 것에 의해 업무 전반에 관련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처리가 상기 시스템의 관리서버를 통해수행되는 데이터베이스 구축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수신되는 업무요청에 따라 입출고관리, 생산관리, 재고 및 출하관리, 비용처리 및 회계관리를 포함하는 각종 업무처리 기능을 제공하는 처리가 상기 관리서버를 통해 수행되는 업무처리단계;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메신저 기능을 제공하는 처리가 상기 관리서버를 통해 수행되는 커뮤니케이션 처리단계; 및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수신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표나 그래프를 포함하는 시각화 데이터로 가공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출력하는 처리가 상기 관리서버를 통해 수행되는 시각화 처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방법.
KR1020220140591A 2022-10-27 2022-10-27 생산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593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0591A KR20240059389A (ko) 2022-10-27 2022-10-27 생산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0591A KR20240059389A (ko) 2022-10-27 2022-10-27 생산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9389A true KR20240059389A (ko) 2024-05-07

Family

ID=91078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0591A KR20240059389A (ko) 2022-10-27 2022-10-27 생산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938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3094A (ko) 2019-08-02 2022-04-05 (주)메디코넥스 스마트 공장에 적용가능한 스마트 밴드를 이용한 생산관리장치
KR102425156B1 (ko) 2019-05-28 2022-07-28 주식회사 인스턴 자동 적재창고 연동 생산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5156B1 (ko) 2019-05-28 2022-07-28 주식회사 인스턴 자동 적재창고 연동 생산관리 시스템
KR20220043094A (ko) 2019-08-02 2022-04-05 (주)메디코넥스 스마트 공장에 적용가능한 스마트 밴드를 이용한 생산관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83656B2 (en) Informed mobility platform for an item processing supervisor or user within a distribution facility
US8700414B2 (en) System supported optimization of event resolution
US9621621B2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activity guidance and monitoring
KR102410341B1 (ko) 중앙 집중식 물류 모니터링을 위한 컴퓨터 구현 시스템 및 방법
US8126924B1 (en) Method of representing and processing complex branching logic for mobile applications
WO2022241897A1 (zh) 智慧供应链数字DaaS跨境电商服务平台
KR20170014336A (ko) 대화형 데이터 구조를 갖는 이알피 시스템
WO2013114442A1 (ja) 携帯端末管理サーバ、および携帯端末管理プログラム
US201801897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Assigning Employees to Cash Registers
KR20200028818A (ko) 고객사, 거래처 및 파견근로자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통합 플랫폼 제공 방법
US20140180749A1 (en) Scheduling management environment for cordinating allocation of external resources to a plurality of competing company activities
KR20210071912A (ko) 자동화된 모바일-디바이스 기반의 작업 주기 트레이딩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CN111950964A (zh) 煤矿物资综合管理平台
KR102205214B1 (ko) 이원화 관리 유저 인터페이스 및 이를 이용한 상품 정보 관리 시스템
JP2015095011A (ja) 帳票データ管理サーバ、帳票データ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帳票データ管理装置
KR20240059389A (ko) 생산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212628B1 (ko) 회사 전체의 자산 관리의 개선을 위해 구축된 유형자산관리시스템 및 방법
Safieddine et al. Mobile instant messaging (MIM) in improving SME in manufacturing: case study
TWI813928B (zh) 實行用於提供要求資訊的網路瀏覽器外掛程式的系統以及經由網路瀏覽器外掛程式提供要求資訊的方法
WO2013114449A1 (ja) 携帯端末管理サーバ、および携帯端末管理プログラム
US20150120355A1 (en) Mobile terminal management server and mobile terminal management program
TW202133105A (zh) 用於稽查遞送完成的電腦實行系統以及用於遞送完成稽查工具的電腦實行系統與方法
WO2013114447A1 (ja) 携帯端末管理サーバ、および携帯端末管理プログラム
Oertel et al. Assessing the potential of ubiquitous computing for improving business process performance
van Zyl Supply chain knowledge management adoption increases overall efficiency and competitive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