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8809A -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8809A
KR20240058809A KR1020240051442A KR20240051442A KR20240058809A KR 20240058809 A KR20240058809 A KR 20240058809A KR 1020240051442 A KR1020240051442 A KR 1020240051442A KR 20240051442 A KR20240051442 A KR 20240051442A KR 20240058809 A KR20240058809 A KR 202400588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pisode
paid
content
view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51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정은
노지훈
박지은
김준현
안희재
김승익
박성수
김행선
김주영
Original Assignee
네이버웹툰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웹툰 유한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웹툰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240051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8809A/ko
Publication of KR20240058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88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G06Q20/1235Shopping for digital content with control of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7Shopping or accessing services according to a time-limi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6User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35Tracking the activity of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4Presence management, e.g. monitoring or registration for receipt of user log-on information, or the connection status of the us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위에서 살펴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은, 전자기기로부터, 특정 콘텐츠에 대한 선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특정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에피소드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항목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전자기기를 통해, 상기 복수의 항목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이 선택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특정 에피소드의 상품 타입에 따라, 상기 특정 에피소드의 제공과 관련된 제1 및 제2 프로세스 중 어느 하나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
본 발명은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전자기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는, 전화나 문자 메시지와 같은 통신 기능은 물론, 인터넷을 활용한 웹 서핑, 음악 감상, 영상 콘텐츠의 시청과 같이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전자기기의 대중화에 힘입어, 콘텐츠에 대한 소비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러한 콘텐츠의 대표적인 예로서, 웹툰(WEBTOON)이 존재한다.
여기에서, 웹툰은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연재하고 배포하는 만화로서, 웹(web)과 카툰(cartoon)의 합성어이다.
이러한 웹툰에 대한 소비가 꾸준하게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사업자(또는 웹툰 관련 서비스 사업자)들은, 자사의 서비스를 꾸준하게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또는 소비자, 구독자)를 확보하기 위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119005호(돌려보기 기능을 이용한 웹툰 제공 방법)에서는, 온라인 상에서 웹툰을 소유한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들에게 돌려보기를 허락함으로써, 웹툰의 일부분을 읽어본 사용자가 구매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내용의 웹툰을 구매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신규 사용자를 유치하는 데에는 효과적이나, 고정적으로 자사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를 확보하는 데에 있어서는 한계가 있다.
이에, 지속적으로 콘텐츠를 소비할 수 있는 사용자를 확보하는 것과 동시에, 콘텐츠에 대한 소비를 증가시킬 수 있는 니즈가 여전히 존재한다.
본 발명은, 지속적으로 콘텐츠를 소비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가능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유료 콘텐츠에 대해 사용자가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은, 사용자가 관심있어 하는 유료 콘텐츠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경제적으로 콘텐츠를 소비할 수 있는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유료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불필요한 재화를 지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위에서 살펴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은, 전자기기로부터, 특정 콘텐츠에 대한 선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특정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에피소드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항목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전자기기를 통해, 상기 복수의 항목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이 선택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항목에 대응되는 특정 에피소드의 상품 타입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에피소드의 상품 타입에 따라, 상기 특정 에피소드의 제공과 관련된 제1 및 제2 프로세스 중 어느 하나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 프로세스는, 상기 전자기기 상에 상기 특정 에피소드를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로세스는, 상기 전자기기 상에 로그인 된 특정 사용자 계정이 상기 특정 에피소드에 대한 이용 권한을 보유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상기 특정 에피소드의 상품 타입은, 무료 상품 타입 및 유료 상품 타입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에서는, 상기 특정 에피소드의 상품 타입이 무료 상품 타입인 경우, 상기 제1 프로세스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프로세스는, 상기 특정 사용자 계정이 상기 특정 에피소드에 대한 이용 권한을 보유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지 않고, 상기 전자기기 상에 상기 특정 에피소드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에서는, 상기 특정 에피소드의 상품 타입이 유료 상품 타입인 경우, 상기 제2 프로세스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프로세스는, 판단 결과, 상기 특정 사용자 계정이 상기 특정 에피소드에 대한 이용 권한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 상기 전자기기 상에 상기 특정 에피소드를 제공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상기 제2 프로세스는, 상기 특정 에피소드의 제공에 근거하여, 상기 특정 사용자 계정에 할당된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사용가능 횟수를 차감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전자기기로부터 특정 콘텐츠에 대한 선택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특정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에피소드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선택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에피소드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항목이 상기 전자기기 상에 제공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기기를 통해, 상기 복수의 항목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이 선택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항목에 대응되는 특정 에피소드의 상품 타입을 판단하고, 상기 특정 에피소드의 상품 타입에 따라, 상기 특정 에피소드의 제공과 관련된 제1 및 제2 프로세스 중 어느 하나의 프로세스를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프로세스는, 상기 전자기기 상에 상기 특정 에피소드를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로세스는, 상기 전자기기 상에 로그인 된 특정 사용자 계정이 상기 특정 에피소드에 대한 이용 권한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전자기기 상에 출력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통해, 특정 콘텐츠가 선택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콘텐츠의 선택에 근거하여, 상기 특정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에피소드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항목이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항목이 출력되는 단계에서는, 상기 복수의 항목과 함께, 상기 복수의 에피소드 중 유료 에피소드에 대해 이용 가능한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과 관련된 알림 정보가 함께 출력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에서, 상기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전자기기에 로그인 된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상기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잔여 사용 가능 횟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사용자 계정에 대하여, 유료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열람권을 할당할 수 있다. 이러한 열람권을 할당 받은 사용자는, 열람권을 통하여 유료 콘텐츠를 이용함으로써, 유료 콘텐츠에 대해 불필요한 재화를 지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열람권이 할당된 시점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시간 동안에만 열람권을 사용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기 설정된 시간 안에, 열람권을 통하여 유료 콘텐츠를 소비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기 설정된 주기로 열람권을 재할당함으로써, 사용자가 기 설정된 시간 안에 유료 콘텐츠를 소비하도록 하는 것과 동시에, 재할당되는 열람권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유료 콘텐츠에 대한 소비를 유도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기 설정된 주기 마다 할당되며, 기 설정된 시간 동안에만 사용가능한 열람권을 통하여, 고정적으로 콘텐츠를 소비할 수 있는 사용자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열람권이 재할당되는 경우, 사용자가 열람한 이력에 있는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함께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콘텐츠 소비를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사용자가 유료 콘텐츠를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 유료 콘텐츠가 무료로 전환되는 시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콘텐츠 구매를 위하여 불필요한 재화를 소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서,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사용 가능한 컨텐츠를 특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서, 열람권에 대한 알림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a, 도 4b, 도 4c, 도 4d, 도 5a, 도 5b, 도 5c, 도 5d, 도 5e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서, 유료 에피소드에 대해 열람할 수 있는 열람권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7a, 도 7b 및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서, 유료 콘텐츠의 무료 전환 시점에 대한 정보를 안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서, 유료 콘텐츠 구매시 사용자가 보다 경제적인 소비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유료 콘텐츠에 대해 사용자가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지속적으로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다양한 종류의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콘텐츠의 종류는 매우 다양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웹툰(WEBTOON), 음악, 전자책(E-BOOK), 동영상, 이미지 등의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가 본 발명을 통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웹툰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에서, 웹툰이란, 웹(web)과 카툰(cartoon)의 합성로서,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제공되는 카툰 또는 만화를 의미한다.
이러한, 웹툰에 해당하는 콘텐츠(이하, “웹툰 콘텐츠”라 명명함)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통하여, 전자기기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자기기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웹툰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웹툰 콘텐츠는, 복수의 서브 콘텐츠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서브 콘텐츠들은, 웹툰 콘텐츠의 시리즈(series)를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시리즈는, 연속적인 기획물 또는 콘텐츠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웹툰 콘텐츠와 서브 콘텐츠 간의 용어의 혼동을 피하기 위하여, “서브 콘텐츠”를 “에피소드(episode)”라고 명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복수의 에피소드로 구성된 웹툰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통신부(110), 저장부(120) 및 제어부(1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통신부(11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웹툰 콘텐츠를, 전자기기 상에 제공(또는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자기기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전자기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통하여 제공되는 웹툰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전자기기이면 그 종류에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휴대용 컴퓨터(laptop computer),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데스크톱 컴퓨터(desk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저장부(120)는, 웹툰 콘텐츠의 제공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20)는 복수의 웹툰 콘텐츠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DB(data base)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저장부(120)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예를 들어, 웹툰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가입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계정(예를 들어, ID(identification))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계정으로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로그인(login) 함으로써, 웹툰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30)는, 전자기기 상에 웹툰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일련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제어부(130)는, 통신부(110)를 통해, 전자기기로부터 특정 콘텐츠(예를 들어, 특정 웹툰 콘텐츠)에 대한 열람 요청을 수신하면,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선택된 특정 콘텐츠(110a. 예를 들어, “Love”라는 제목을 갖는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에피소드에 해당하는 리스트 정보를 전자기기에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10)는, 제어부(130)의 제어 하에, 상기 리스트 정보를, 전자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에서는, 전자기기로부터, 특정 콘텐츠에 대한 열람 요청을 수신하는 과정(S210)이 진행될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열람 요청은, 전자기기 상에서 특정 콘텐츠가 선택되는 동작이라고 이해되어 질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에서는, 상기 열람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특정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에피소드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항목을 제공하는 과정(S220)이 진행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상기 열람 요청에 근거하여, 특정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에피소드에 대응되는 복수의 항목(131a, 132a)을 포함한 리스트(130a)를 전자기기 상에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전자기기에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에피소드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항목(131a, 132a)을 포함하는 리스트(또는 에피소드 리스트, 130a)가 출력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이러한 리스트(130a)가, 전자기기 상에 출력되도록, 저장부(120)에 저장된 정보를, 통신부(110)를 통해 전자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전자기기로부터, 복수의 항목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이 선택되면, 선택된 항목에 대응되는 에피소드(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항목에 대응되는 에피소드를, “특정 에피소드”라 명명함)를 전자기기 상에 제공하기 위한 일련의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어느 하나의 항목이 선택”되었다는 것은, 전자기기로부터, 상기 어느 하나의 항목에 대응되는 “특정 에피소드를 열람하기 위한 요청”이 수신되었다고 이해되어 질 수 있다.
제어부(130)는, 어느 하나의 항목이 선택되는 것에 응답하여, 저장부(120)에 저장된 특정 에피소드에 해당하는 정보가, 통신부(110)를 통해 전자기기로 전송되도록, 저장부(120) 및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전자기기 상에 특정 에피소드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제어부(130)는 상기 특정 에피소드의 상품 타입에 따라, 서로 다른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에서는,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항목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이 선택되는 것에 응답하여, 어느 하나의 항목에 대응되는 특정 에피소드의 상품 타입을 판단하는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S230).
여기에서, 에피소드의 상품 타입은 “무료 상품 타입” 및 “유료 상품 타입” 중 어느 하나의 상품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무료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란, 사용자가 에피소드를 열람(또는 이용)하기 위하여, 전자화폐, 쿠폰 또는 열람권(또는 이용권) 등의 지불없이 곧바로 이용할 수 있는 에피소드를 의미할 수 있다.
반대로, “유료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란, 사용자가 에피소드를 열람(또는 이용)하기 위하여, 전자화폐, 쿠폰 또는 열람권(또는 이용권) 등을 지불하는 경우에만, 이용할 수 있는 에피소드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특정 에피소드의 상품 타입이 판단되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방법에서는, 특정 에피소드의 상품 타입에 따라, 특정 에피소드의 제공과 관련된 복수의 프로세스 중 어느 하나의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S240).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특정 에피소드의 상품 타입에 따라, i)별도의 결제 프로세스 없이 에피소드를 제공하거나, 또는 ii)결제를 위한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특정 에피소드의 상품 타입이, 무료 상품 타입인 경우, 특정 에피소드에 대응되는 항목이 전자기기 상에서 선택되는 것에 근거하여, 특정 에피소드를 전자기기 상에 제공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특정 에피소드의 상품 타입이, 무료 상품 타입인 경우, 사용자 계정이 상기 특정 에피소드에 대한 열람 권한을 보유하고 있는지 판단하지 않고, 전자기기 상에 특정 에피소드를 제공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프로세스를 “제1 프로세스”라고 명명할 수 있음).
본 발명에서, “에피소드를 전자기기 상에 제공한다”고 함은, 에피소드에 해당하는 콘텐츠가 전자기기 상에 출력되도록, 에피소드와 관련된 정보를 전자기기에 전송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무료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인 경우에도, 제어부(130)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기 등록된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 된 전자기기에 한해, 특정 에피소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료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에 대한 열람 요청이 전자기기로부터 수신된 경우, 제어부(130)는, 전자기기 상에 사용자 계정이 로그인 되었는지 확인(또는 체크)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으로 전자기기 상에 로그인 된 것이 확인된 후, 무료 상품 타입을 갖는 에피소드를 전자기기 상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전자기기 상에 사용자 계정이 로그인 되지 않은 경우, 로그인을 진행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한편, 특정 에피소드의 상품 타입이, 유료 상품 타입인 경우, 제어부(130)는, 특정 에피소드에 대응되는 항목이, 전자기기 상에서 선택되는 것에 근거하여, 전자기기 상에 로그인 된 사용자 계정의 이용 권한(또는 열람 권한)을 판단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프로세스를 “제2 프로세스”라고 명명할 수 있음).
여기에서, 이용 권한 또는 열람 권한을 판단하는 것은, 전자기기에 로그인 된 특정 사용자 계정이, 상기 특정 에피소드를 이용(또는 권한)할 수 있는 권한을 보유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 질 수 있다.
한편, “사용자 계정이 에피소드에 대한 이용 권한 또는 열람 권한을 보유하고 있다”는 것은, 곧, 사용자 계정이 “에피소드를 이용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또는 지불될 수 있는), 전자화폐, 쿠폰 또는 열람권(또는 이용권)”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 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유료 상품 타입의 특정 에피소드가 선택된 경우,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i)전자화폐를 지불 처리하거나, ii)쿠폰을 사용 처리하거나 또는 iii)열람권을 사용 처리(또는 차감 처리) 하는 결제 프로세를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이러한 결제 프로세스를 통해, 유료 에피소드를 열람(또는 이용)하기 위한 대가의 지불이 완료된 사용자 계정에 대해, 유료 상품 타입의 특정 에피소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무료 또는 유료 상품 타입의 상품 타입에 따라, 에피소드를 제공하는 프로세스를 달리하여, 사용자가 열람 요청한 에피소드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유료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를 사용자가 이용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전자화폐를 지불하거나, 기 보유한 쿠폰 또는 열람권(또는 이용권)가 이용되어져야 한다.
사용자는, 유료 에피소드를 이용하기 위해 전자화폐를 지불하는 경우, 경제적 또는 심리적으로 부담을 느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유료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를 열람할 수 있는 “열람권”을 통하여, 사용자가 유료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를 자유롭게 이용하고, 나아가,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유료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를 “유료 에피소드”라고 명명하기로 한다. 나아가, 이하에서 설명되는, “유료 에피소드를 열람하기 위하여 이용되어질 수 있는 열람권”을,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이라고 명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 및 이를 이용한 유료 에피소드 제공 방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서,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사용 가능한 컨텐츠를 특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그리고,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서, 열람권에 대한 알림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유료 에피소드를 전자화폐를 이용하여 구매하지 않더라도, 유료 에피소드를 이용(또는 열람)할 수 있는,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대하여,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할당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계정에 할당된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통해, 유료 에피소드를 열람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제어부(130)는 콘텐츠에 대한 지속적인 구독자를 확보하기 위하여, 기 설정된 시간 주기마다,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할당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대하여, 기 설정된 시간 주기 마다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24시간을 주기로,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할당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24시간을 주기로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지급받을 수 있으며, 지급받은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이용하여, 유료 에피소드를 열람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이 할당되는 시간 주기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이 할당되는 시점(예를 들어, 오전 9시 마다 지급, 또는 오전 10시 마다 지급 등) 또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마다,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이 할당되는 주기 및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이 할당되는 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마다 콘텐츠를 주로 이용하는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이 할당되는 주기 및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이 할당되는 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마다 콘텐츠를 주로 이용하는 시간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된 시간 정보에 기반하여,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이 할당되는 주기 및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이 할당되는 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콘텐츠를 주로 이용하는 시간 대에,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할당함으로써,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이용률을 높일 수 있다. 이는 궁극적으로 콘텐츠에 대한 소비를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다르게, 제어부(130)는, 모든 사용자에 대하여, 동일 시간주기 및 동일 시간 대에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할당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한편, 사용자 계정에 대해 할당되는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개수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대해, 기 설정된 시간 주기마다 3개의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지급(또는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사용 빈도에 따라,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지급 개수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마다,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사용 빈도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그리고, 모니터링 결과에 기반하여,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사용 빈도가 높은 사용자 계정에 대해,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사용 빈도가 낮은 사용자 계정보다 더 많은 개수의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지급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이 할당되는 경우(또는, 재할당되는 경우),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 된 전자기기로,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이 할당(또는 재할당)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자기기에는, 알림 정보(320)가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알림 정보(320)는 다양한 방식으로 출력될 수 있다. 도시와 같이, 팝업 윈도우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푸쉬 메시지(push message)의 형식으로,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 된 전자기기로 알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알림 정보(320)는, 도시와 같이, 전자기기의 잠금 화면(310) 상에 출력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어부(130)는,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이 할당되는 기 설정된 주기로 상기 전자기기 상에 알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일 오전 10시 마다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이 할당되는 경우, 전자기기 상에는, 매일 오전 10시에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이 할당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상기 알림 정보에, 상기 사용자 계정에서,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으로 열람한 이력이 있는 에피소드를 포함하는 콘텐츠의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도시와 같이, 알림 정보에는, 콘텐츠의 정보인 콘텐츠 제목 “FREAKING LOVE”가 포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통하여 열람한 이력이 있는 콘텐츠의 정보를, 알림 정보 상에 함께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해당 콘텐츠에 대해 계속하여 이용하는 것을 유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관심있어 하는 콘텐츠 정보와 함께 알림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콘텐츠에 대한 이용률을 높일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은, 기 설정된 주기마다 사용자 계정에 대해 지급(또는 할당)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이용률을 높이기 위하여, 기 지급된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은, 기 설정된 기간(또는 시간) 내에서만 이용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기 설정된 주기마다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이 할당되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주기 동안, 미 사용된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소진 처리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 기 설정된 주기 동안에, 미 사용된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에 대해, 누적하지 않고, 기 설정된 주기 마다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재할당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4시간을 주기로 “3”개의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이 할당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24시간 동안에만, 기 할당된 3개의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이 사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상기 3개의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이 할당된 후, 24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상기 3개의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누적하지 않고, 새롭게 3개의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사용자 계정에 대해 할당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계정에는, 3개 이상의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이 보유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 계정에서, 2020년 4월 27일 오전 10시에, 3개의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할당 받은 후, 2개의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사용한 경우를 가정해보자.
제어부(130)는, 2020년 4월 28일 오전 10시에, 사용자 계정에 대해, 3개의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할당(또는 재할당)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계정에는, 3개의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 만이 존재할 수 있다. 즉, 2020년 4월 27일 오전 10시에 미사용된 2개의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은 소멸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30)는,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사용 기한(또는 유효 기간)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사용 기한을, 다음번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이 지급되는 시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기 설정된 주기마다, 직전 주기에서 할당된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소멸시키고, 새로운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할당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기 설정된 시간 주기 이내에서, 지속적으로 콘텐츠를 이용(또는 구독)하도록 유인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일정 시간 이후에 소멸되는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에 대해서는,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이 소멸되기 전에,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이용하고자 하는 심리적인 동기를 갖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기 설정된 주기동안에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콘텐츠를 소비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유료 에피소드를 대여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 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통해 열람된 유료 에피소드는, 상기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이용한 사용자 계정에서, 일정 기간(또는 기 설정된 기간, 예를 들어, 15일)동안에만, 이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 계정에서는,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통해, 대여한 유료 에피소드에 대해서는, 상기 일정 기간 동안에, 언제든지 유료 에피소드를 이용할 수 있다.
이는, 유료 에피소드에 대한 이용 기한(또는 구독 기한)이 정해져 있다고도 이해되어 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일정 기간 이후, 상기 사용자 계정에서 상기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으로 이용한 유료 에피소드를 다시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전자 화폐, 쿠폰 또는 열람권 등이 지불되도록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서는, 일정 기간 이내에, 유료 에피소드에 대한 실질적인 구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통해 대여한 유료 에피소드의 이용 기한(또는 대여 기한)에 대한 정보는, 해당 유료 에피소드에 대한 항목에 함께 표시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뒷부분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서는,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통하여, 사용자가 유료 에피소드에 대해 쉽게 접근하도록 함으로써, 콘텐츠에 대한 소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콘텐츠 DB에 보유한 다양한 콘텐츠 중 기 특정된 콘텐츠에 대해서만,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사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특정 컨텐츠에 대해서만,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사용을 허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열람 요청이 수신된 특정 콘텐츠가, 상기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사용이 허용된 기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컨텐츠인 경우, 상기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상기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잔여 사용 가능 횟수를 포함하는 알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알림 정보는, 전자기기 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알림 정보는, 특정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에피소드에 대응되는 복수의 항목과 함께, 전자기기의 일 영역에 출력될 수 있다. 즉, 알림 정보는, 상기 복수의 항목을 포함하는 리스트와 함께, 전자기기 상에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은, 기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콘텐츠에 대해서만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제어부(130)는, 상기 특정 콘텐츠가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사용이 허용된 콘텐츠인지 여부에 따라, 열람 요청된 유료 에피소드에 대한 대가 지불 방법을 달리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상기 유료 에피소드가, 상기 기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특정 콘텐츠인 경우,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차감하고, 유료 에피소드를 전자기기 상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 경우는, 사용자 계정에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이 보유된 상태임을 전제로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상기 유료 에피소드가, 상기 기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특정 콘텐츠가 아닌 경우, 전자 화폐가 지불되도록 하는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하거나, 또는 타 쿠폰 등이 사용되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사용이 허용된 특정 콘텐츠는,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콘텐츠로서,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의하여 조건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콘텐츠 마다 조건을 설정하도록 하는 조건 설정 화면(310)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조건 설정 화면(310)에서는, 콘텐츠에 대한 다양한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건 설정 화면(310)에서는, i) 콘텐츠의 유료 판매 시작 일시, ii) 유료 판매 시작 회차(또는 유료 판매 시작 에피소드), iii) 판매 가격, iv)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 사용 가능 여부, v)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 사용 가능 시작 일시, vi)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 사용 가능 종료 일시, vii)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 사용 가능 회수(또는 1일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 사용 가능 회수), viii)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 지급 시간 과 같은, 콘텐츠 및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과 관련된 다양한 조건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조건 설정 화면(320)은,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통하여, 복수의 에피소드 중 어느 에피소드에 대해 유료 에피소드를 열람권을 사용 가능하게 할지 선택받기 위한 사용자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 등에 의하여,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Ep5”번재 에피소드) 항목(321)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30)는, 5번재 에피소드 항목에 대해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이 사용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5번재 에피소드가 아닌, 다른 에피소드가 선택된 경우, 전자 화폐가 지불되도록 하는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하거나, 또는 타 쿠폰 등이 사용되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위에서 살펴본 조건 설정 화면(310)을 통해,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사용을 허용하도록 설정된 특정 콘텐츠에 대해서만,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이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콘텐츠 DB에 보유된 복수의 콘텐츠 중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콘텐츠에 대해서만,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이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위에서 살펴본, 조건 설정 화면(310, 320)에서의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과 관련된 설정은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콘텐츠에 대해서만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기 설정된 조건은, 콘텐츠의 판매량, 구독회수, 열람 회수 등과 같이, 콘텐츠의 소비와 관련된 정량적인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기 특정된 정량적인 조건을 만족하는 콘텐츠에 대해서만,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이 사용되도록 콘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는, 유료 에피소드와 관련된 다양한 옵션을 설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사용이 허용된 특정 콘텐츠에 대해,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사용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4a, 도 4b, 도 4c, 도 4d, 도 5a, 도 5b, 도 5c, 도 5d, 도 5e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서, 유료 에피소드에 대해 열람할 수 있는 열람권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고, 도 7a, 도 7b 및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서, 유료 콘텐츠의 무료 전환 시점에 대한 정보를 안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이하에서,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사용이 허용된 콘텐츠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30)는,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은 화면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특정 콘텐츠가 열람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특정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에피소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받기 위한 콘텐츠 진입 화면(또는 “화면” 이라고 명명 가능, 410)을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공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콘텐츠 진입 화면(410)은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과 관련된 알림 정보가 출력되는 제1 영역(420) 및 특정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에피소드들에 대한 리스트가 포함되는 제2 영역(430)을 포함할 수 있다.
리스트는, 복수의 에피소드들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항목(item)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콘텐츠 진입 화면(410)은 도시와 같이, 특정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제목, 줄거리 소개 등)이 포함되는 추가적인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콘텐츠 진입 화면(410)은,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또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 등을 통하여 전자기기 상에 출력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의한 일련의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위에서 살펴본,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콘텐츠 진입 화면(410)에 포함된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과 관련된 알림 정보가 출력되는 제1 영역(42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제1 영역(420)의 구성을 일 예시일 뿐,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제1 영역(420)은, 제2 영역(430)의 리스트가 스크롤 되는 것에 관계없이, 고정되어 전자기기 상에 출력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제1 영역(420)의 출력 위치를 변경하지 않고, 제2 영역(430)에 포함된 리스트를 스크롤 할 수 있다.
한편, 제1 영역(420)에는,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에 대한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여기에서,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에 대한 정보는, i) 사용자 계정이 보유하고 있는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개수(또는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사용 가능 횟수) 정보(421), ii)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속성에 대한 정보(422) 및 iii) 현재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사용 가능 상태 정보(423, 예를 들어, 사용 가능한 경우, “available” 이라고 표시됨)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속성에 대한 정보(422)는, i)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잔여 개수 정보(또는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잔여 사용 가능 횟수 정보) 및 ii) 도 4b의 422에 도시된 “free ep. every day”(매일 “n”개의 에피소드 무료)와 같이, 기 설정된 주기(예를 들어, 매일(24시간)로, 몇 개의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이 지급되는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전자기기로부터, 유료 에피소드의 열람 요청이 수신된 경우, 사용자 계정에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계정에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이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사용처리 하고, 유료 에피소드를 전자기기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유료 에피소드의 제공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 계정에 할당된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사용가능 횟수를 차감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사용가능 횟수가 차감되는 것에 근거하여, 제1 영역(420)에 출력된 알림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즉, 사용자 계정이 보유하고 있는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과 관련된 알림 정보는, 상기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사용 가능 횟수가 차감되는 것에 근거하여 업데이트될 수 있다. 그리고,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과 관련된 알림 정보가 출력되는 제1 영역 또한, 상기 알림 정보의 업데이트와 연동하여 업데이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종래 3개의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보유한 사용자 계정에서, 1개의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이 사용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한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 사용 가능 횟수를 1회 차감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 계정이 보유하고 있는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과 관련된 알림 정보는, 1회의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사용 가능 횟수가 차감되어, 종래 사용 가능횟수 “3”, 도 4b 참조)에서, “2”(441)로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이 사용되는 것에 근거하여, 잔여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개수(또는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사용 가능 횟수)를 표시할 수 있다.
나아가, 도 4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이 모두 사용된 경우, 즉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사용 가능 횟수가 “0”(451)인 경우, 다음번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할당 시점에 대한 정보(453)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현재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사용 가능 상태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현재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이 사용 가능한 경우, i) 현재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이 사용 가능함을 알리는 정보(423, 443, 도 4b, 도 4c 참고, 예를 들어, 사용 가능한 경우, “available”이라고 표시됨)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현재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이 사용 불가능한 경우, 도 4d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음번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할당 시점에 대한 정보(453)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사용으로 인하여,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사용가능 횟수가 차감되고, 상기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잔여 사용 가능 횟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이 재할당되는 시점과 관련된 시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 계정이 보유하고 있는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과 관련된 알림 정보는, 상기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사용 가능 횟수가 모두 차감되는 것에 근거하여 업데이트될 수 있다. 그리고,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과 관련된 알림 정보가 출력되는 제1 영역 또한, 상기 알림 정보의 업데이트와 연동하여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에 대한 사용 가능 상태 정보 및 다음번 사용 가능 정보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에피소드에 각각 대응되는 에피소드 항목을 통하여, 에피소드의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에피소드의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는, i) 에피소드의 상품 타입 정보(유료 상품 타입 또는 무료 상품 타입), ii)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사용한 에피소드인 경우, 유료 에피소드 이용 기한에 대한 정보, iii) 유료 에피소드의 판매 가격에 대한 정보, iv)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사용한 이력이 존재하는지에 대한 정보, v) 이미 구매한 유료 에피소드임을 알리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위에서 살펴본 다양한 에피소드의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 중, 에피소드가 갖는 현재 상태에 맞게, 각각의 에피소드에 대응되는 항목에 현재 상태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에피소드 대응되는 항목 각각에, 해당 에피소드의 현재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그래픽 객체를 출력시킬 수 있다.
제어부(130)는, 에피소드의 상품 타입에 따라, 각각의 에피소드 항목에 서로 다른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에피소드의 상품 타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어부(130)는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무료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에 대응되는 항목(511)에는 제1 정보(511a, “#”를 포함하고, 유료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이면서,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사용 가능한 항목(512)에는, 상기 제1 정보와 다른 제2 정보(513, “unlock”잠금해제)를 포함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30)는, 유료 에피소드에 대응되는 항목의 일 영역에, 상기 특정 사용자 계정에 할당된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이 사용 가능함을 알리는 그래픽 객체를 포함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유료 상품 타입의 에피소드이면서,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사용 불가능한 항목(551)에는, 상기 제1 및 제2 정보와 다른 제3 정보(552)를 포함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제3 정보는, 해당 유료 에피소드를 구매 가능한 금액정보(또는 전자 화폐 정보, 예를 들어, 5coins)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서, 과거에 구매하거나 또는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통하여, 대여한 이력이 있는 에피소드에 대해서는, 히스토리 정보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도시와 같이, 과거 구매 또는 대여한 이력이 있는 에피소드에 대응되는 항목(541)의 일 영역에는, 히스토리 정보로서, “used”(542, 이용됨)가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히스토리 정보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전자 화폐를 통해 구매한 이력이 존재하는 에피소드에는, 히스토리 정보로서, “purchased”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과거 전자 화폐를 통해 구매한 에피소드에 대해서는, 재구매 없이 언제든지 다시 열람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은, 유료 에피소드를 대여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 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통해 열람된 유료 에피소드는, 상기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이용한 사용자 계정에서, 일정 기간(또는 기 설정된 기간, 예를 들어, 15일)동안에만, 이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 계정에서는,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통해, 대여한 유료 에피소드에 대해서는, 상기 일정 기간 동안에, 언제든지 유료 에피소드를 이용할 수 있다.
이는, 유료 에피소드에 대한 이용 기한(또는 구독 기한)이 정해져 있다고도 이해되어 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일정 기간 이후, 상기 사용자 계정에서 상기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으로 이용한 유료 에피소드를 다시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전자 화폐, 쿠폰 또는 열람권 등이 지불되도록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서는, 일정 기간 이내에, 유료 에피소드에 대한 실질적인 구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통해 대여한 유료 에피소드의 이용 기한(또는 대여 기한)에 대한 정보는, 해당 유료 에피소드에 대한 항목에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d 및 도 5e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통해 대여한 유료 에피소드에 대응되는 항목(521(도 5d), 531(도 5e))에는,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통해 해당 에피소드를 이용 가능한 시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통해 대여한 유료 에피소드에 대응되는 항목(521(도 5d), 531(도 5e))에는, 그래픽 객체(522(도 5d), 532(도 5e))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그래픽 객체는, 상기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통해 유료 에피소드를 열람(또는 이용)할 수 있는 기한(또는 시점)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이용 기한이 1일 남은 경우, 해당 항목(521)에는, “1day(s) left”라는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e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이용 기한이 23시간 59분 남은 경우, 해당 항목(531)에는, “23:59 left”라는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이용 기한에 해당하는 잔여시간에 따라, 서로 다른 방식으로 시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기 설정된 시간 조건에 근거하여,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이용 기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이용 기한이 24시간 이상 남은 경우,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이용 기한에 대한 정보로서, “잔여 일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5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이용한 에피소드에 해당하는 항목(521)에는, 잔여 일수에 대한 정보로서, “1day(s) left(522, 1일 남음)”라는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이용 기한이 24시간 미만 남은 경우,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이용 기한에 대한 정보로서, “잔여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5e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이용한 에피소드에 해당하는 항목(531)에는, 잔여 시간에 대한 정보로서, “23:59 left(532, 23시간 59분 남음)”라는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이용 기한이 만료되는 경우, 해당 유료 에피소드에 대응되는 항목에는, 도 5a 내지 도 5c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i) 유료 에피소드의 판매 가격, ii)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이용 가능함을 알리는 정보, iii) 과거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이용한 이력이 있음을 알리는 히스토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해당 유료 에피소드의 현재 상태(예를 들어,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 사용 가능 여부 등)에 따라, 적절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서는, 에피소드에 대응되는 항목 각각에, 해당 에피소드에 대한 상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에피소드에 대응되는 항목에 포함된 정보 만으로도, 해당 에피소드를 이용하고자 할 때, 어떤 프로세스가 수행될지에 대해 직관적인 예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유료 에피소드에 대하여,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사용하거나, 전자화폐를 지불하려고 할 때, 해당 유료 에피소드의 무료 전환 시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사용 가능 횟수를 차감 또는 상기 전자화폐를 지불처리 하기 전에, 유료 에피소드의 상품 타입이, 무료 상품 타입으로 전환되는 시점이 기 설정된 기간 이내인 경우, 전자기기로, 상기 특정 에피소드의 상품 타입의 전환 시점에 대한 알림 정보(또는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자 유료 에피소드에 대해 불필요한 소비를 하지 않도록, 알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a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자기기로부터,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이 이용가능한 유료 에피소드 항목(711)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30)는, 도 7a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해당 유료 에피소드 항목(711)이, 일정 시간 이후(예를 들어, 14일 이후), 무료 상품 타입으로 전환됨을 알리는 알림 정보(예를 들어, “이 에피소드는, 14일 후에 무료로 전환됩니다. 그래도 지금 읽으시겠습니까?”)를 출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으로부터(또는 전자기기로부터) 유료 에피소드 열람 요청이 수신된 경우(예를 들어, 전자기기 상에서 “unlock”아이콘 선택됨), 사용자 계정에 할당된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사용 가능 횟수를 차감하고, 유료 에피소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7a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현재 상태 정보에서,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사용 가능 횟수 정보가 차감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유료 에피소드 열람권 사용 전 “3 free ep.”에서,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 사용 후, “2 free ep.”로 변경됨).
또한,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이 사용된 에피소드에 대응되는 항목(831)에는,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이용 기한 정보(732, “14 days left”(14일 남음))가 함께 출력될 수 있다.
나아가, 도 7a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알림 정보(721) 상에, 나머지 에피소드를 열람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와 같이, 제어부(130)는, “나머지 에피소드 모두는, 코인 결제로 잠금 해제가 가능합니다”와 같이, 나머지 에피소드 전체를 이용하기 위하여는, 전자 화폐를 이용한 결제가 필요함을 알리는 정보를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전자 화폐를 이용하여 유료 에피소드를 구매하는 경우에도, 제어부(130)는 위에서 살펴본 방법과 유사한 방식으로, 유료 에피소드에 대한 무료전환 시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b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자기기로부터, 전자 화폐의 지불이 필요한 유료 에피소드 항목(751)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30)는, 도 7b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해당 유료 에피소드 항목(751)이, 일정 시간 이후(예를 들어, 내일 저녁 6시 이후), 무료 상품 타입으로 전환됨을 알리는 알림 정보(예를 들어, “내일 저녁 6시에 무료 보기가 가능합니다!”)를 출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으로부터(또는 전자기기로부터) 유료 에피소드 구매 요청이 수신된 경우(예를 들어, 전자기기 상에서 “구매” 아이콘 선택됨),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전자 화폐를 차감하고, 유료 에피소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전자 화폐는, 상기 유료 에피소드의 구매를 위하여 지불될 수 있다. 한편,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전자 화폐가, 상기 유료 에피소드를 구매하기에 충분하지 않은 경우, 전자 화폐를 구매 또는 충전하기 위한 추가적인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나아가, 도 7c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 계정에서, 과거에 구매하거나 또는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을 통하여 대여한 이력이 있는 에피소드를 다시 구매 또는 열람하고자 하는 요청이 수신된 경우, 제어부(130)는, 도 7c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알림 정보(770)를 통하여, 과거 구매 또는 대여한 이력이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도 7c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자기기 상에서, 과거 구매 또는 대여한 이력이 있는 에피소드에 대응되는 항목(761)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30)는, 도 7c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알림 정보(770)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알림 정보(770)는, 상기 선택된 항목(761)에 대응되는 에피소드가, 과거 구매 또는 대여한 이력이 있음을 알리는 정보(예를 들어, “2019년 4월 11일에 이미 보셨습니다. 그래도 보시겠습니까?”)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전자기기로부터 해당 항목(761)에 대한 구매 또는 대여 요청이 수신된 경우, 해당 항목(761)에 대한 에피소드를 구매 처리 또는 대여 처리한 후, 전자기기에 상에 해당 항목(761)에 대한 에피소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사용자가 유료 콘텐츠를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 유료 콘텐츠가 무료로 전환되는 시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콘텐츠 구매를 위하여 불필요한 재화를 소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는, 유료 에피소드에 대한 구매를 유도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복수의 에피소드를 구매하는 경우, 단일 에피소드를 구매하는 경우보다 더 저렴하게 구매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판매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서, 유료 콘텐츠 구매시 사용자가 보다 경제적인 소비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복수의 유료 에피소드를 그룹화 하여, “묶음”단위로 판매하도록 하는 결제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콘텐츠에 대한 판매 조건을 설정 할 수 있는, 조건 설정 화면(810)에서는, i) 몇 개의 에피소드를 그룹화하여 판매할 건지(예를 들어, “묶음 단위” 항목에 대응), ii) 묶음 판매시 할인율을 얼마나 적용할 건지(예를 들어, “할인율”항목에 대응) 등과 같이, “묶음”판매와 관련된 다양한 옵션을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옵션의 설정은, 관리자 등에 의하여 선택되고, 제어부(130)는, 이러한 선택에 근거하여, 콘텐츠의 묶음 판매 옵션을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에피소드를 묶음 단위로 판매하는 옵션이 설정된 후, 전자기기로부터 해당 콘텐츠에 대한 구매 요청이 수신된 경우, 제어부(130)는 도 8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 설정된 판매 조건(또는 묶음 판매 조건)에 해당하는 판매 정보(822)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와 같이, 제어부(130)는 묶음 판매 옵션이 기 설정된 것에 따라, 판매 옵션을 각각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피소드 판매 정보(820)는, 각각의 옵션에 대한 판매 가격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1개의 에피소드는 5coins(821), ii) 10개의 에피소드는 30% 할인이 적용된 35coins, iii) 50개의 에피소드는 40%의 할인이 적용된 150coins의 판매 가격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제어부(130)는, 묶음 판매되는 에피소드의 개수, 가격 정보 및 할인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판매 정보에 함께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해당 콘텐츠를 계속하여 구독할 의사가 있는 경우, 묶음 구매를 통하여, 보다 경제적으로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상기 판매정보(920)를 통하여, 어느 하나의 구매 옵션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구매 옵션에 해당하는 대가가 지불될 수 있도록, 결제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단일의 에피소드에 대한 열람 요청에 근거하여, 묶음 판매 옵션에 대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b에서 유료 에피소드에 대응되는 항목(751)이 선택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판매 옵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알림 정보를 전자기기에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복수의 에피소드에 대한 묶음 판매 옵션의 선택을 통하여, 경제적으로 에피소드를 구매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살펴본 콘텐츠 제공 방법은, 전자기기 상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도 2에서 살펴본 흐름도에 개시된 일련의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 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전자기기 상에 출력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통해, 특정 콘텐츠를 선택받고, 상기 특정 콘텐츠의 선택에 근거하여, 전자기기 상에 상기 특정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에피소드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항목을 출력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상기 복수의 항목이 출력되는 단계에서는, 상기 복수의 항목과 함께, 상기 복수의 에피소드 중 유료 에피소드에 대해 열람 가능한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과 관련된 알림 정보가 함께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상기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전자기기에 로그인 된 사용자 계정에 보유된 상기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의 잔여 사용 가능 횟수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복수의 항목 중 유료 에피소드에 대응되는 특정 항목이 선택된 경우, 상기 특정 항목에 대응되는 에피소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알림 정보에 포함된 상기 잔여 사용 가능 횟수는, 상기 특정 항목에 대응되는 에피소드가 제공되는 것에 근거하여, 변경될 수 있음은 앞서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과정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은, 도 1에 살펴본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의 구성요소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 할 수 있다. 이 경우, 애플리케이션의 제어부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과의 통신을 통하여,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통하여,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의 제어부(130)의 역할을 일부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애플리케이션의 제어부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전자기기에서, 위에서 살펴본 콘텐츠 제공과 관련된 다양한 기능(예를 들어, 유료 에피소드 열람권과 관련된 기능 등)에 따른 화면이 제공되도록,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사용자 계정에 대하여, 유료 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는 열람권을 할당할 수 있다. 이러한 열람권을 할당 받은 사용자는, 열람권을 통하여 유료 콘텐츠를 열람함으로써, 유료 콘텐츠에 대해 불필요한 재화를 지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열람권이 할당된 시점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시간 동안에만 열람권을 사용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기 설정된 시간 안에, 열람권을 통하여 유료 콘텐츠를 소비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기 설정된 주기로 열람권을 재할당함으로써, 사용자가 기 설정된 시간 안에 유료 콘텐츠를 소비하도록 하는 것과 동시에, 재할당되는 열람권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유료 콘텐츠에 대한 소비를 유도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기 설정된 주기 마다 할당되며, 기 설정된 시간 동안에만 사용가능한 열람권을 통하여, 고정적으로 콘텐츠를 소비할 수 있는 사용자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열람권이 재할당되는 경우, 사용자가 열람한 이력에 있는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함께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콘텐츠 소비를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사용자가 유료 콘텐츠를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 유료 콘텐츠가 무료로 전환되는 시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콘텐츠 구매를 위하여 불필요한 재화를 소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컴퓨터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에 의하여 실행되며, 이러한 컴퓨터로 판독될 수 있는 매체에 저장 가능한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위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 또는 명령어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은 프로그램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나아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저장소를 포함하며 전자기기가 통신을 통하여 접근할 수 있는 서버 또는 클라우드 저장소일 수 있다. 이 경우, 컴퓨터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서버 또는 클라우드 저장소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컴퓨터는 프로세서, 즉 CPU(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처리장치)가 탑재된 전자기기로서, 그 종류에 대하여 특별한 한정을 두지 않는다.
한편,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

  1. 전자기기로부터, 특정 콘텐츠에 대한 열람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열람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특정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에피소드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항목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전자기기를 통해, 상기 복수의 항목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이 선택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특정 에피소드의 상품 타입에 따라, 상기 특정 에피소드의 제공과 관련된 제1 및 제2 프로세스 중 어느 하나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로세스는,
    상기 전자기기 상에 상기 특정 에피소드를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로세스는,
    상기 전자기기 상에 로그인 된 특정 사용자 계정이 상기 특정 에피소드에 대한 열람 권한을 보유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KR1020240051442A 2020-07-31 2024-04-17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400588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51442A KR20240058809A (ko) 2020-07-31 2024-04-17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643A KR20220015533A (ko) 2020-07-31 2020-07-31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0240051442A KR20240058809A (ko) 2020-07-31 2024-04-17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5643A Division KR20220015533A (ko) 2020-07-31 2020-07-31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8809A true KR20240058809A (ko) 2024-05-07

Family

ID=8000436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5643A KR20220015533A (ko) 2020-07-31 2020-07-31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0240051442A KR20240058809A (ko) 2020-07-31 2024-04-17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5643A KR20220015533A (ko) 2020-07-31 2020-07-31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748723B2 (ko)
JP (1) JP7291111B2 (ko)
KR (2) KR2022001553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1609A (ko) 2022-08-10 2024-02-19 네이버웹툰 유한회사 콘텐츠 세트상품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서버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52515B2 (ja) * 1998-02-09 2004-08-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スクランブル制御方法及び受信装置
JP2002117658A (ja) * 2000-06-15 2002-04-19 Casio Comput Co Ltd データ管理装置、データ管理方法、データ読取装置、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データ読取方法
JP2002074191A (ja) * 2000-08-29 2002-03-1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会員制課金方法
BR0210932A (pt) * 2001-06-07 2004-06-08 Contentguard Holdings Inc Método e aparelho para gerenciar a transferência de direitos
US20030135421A1 (en) * 2002-01-14 2003-07-17 Cales Shelia F. Buyer protection service
JP2003331145A (ja) * 2002-05-17 2003-11-21 Ntt Communications Kk コンテンツ販売方法及びコンテンツ販売プログラム
JP2005235170A (ja) * 2003-12-05 2005-09-02 Gretech Co Ltd 注文型マルチメディア・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WO2006006783A1 (en) * 2004-07-12 2006-01-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digital rights object
US8024762B2 (en) * 2006-06-13 2011-09-20 Time Warner Cab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irtual content over a network
EP1973292A1 (en) * 2007-03-20 2008-09-24 Alcatel Lucent An agent for retrieving a profile and associated method for profile retrieval
US20080301750A1 (en) * 2007-04-13 2008-12-04 Robert Denton Silfvast Networked antenna and transport system unit
US20090164600A1 (en) * 2007-12-19 2009-06-25 Concert Technolog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lace-shifting media items
JP5257001B2 (ja) * 2008-10-31 2013-08-0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ノード装置、ノード処理プログラム及び利用状況管理方法
EP2242258A1 (en) * 2009-04-16 2010-10-20 Panasonic Corporation Content access notification
US9172984B2 (en) * 2010-10-25 2015-10-27 Warner Bros. Entertainment Inc. Digital audio-video content mobile library
US20130085944A1 (en) * 2011-09-29 2013-04-04 Pacid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application security
US20130174035A1 (en) * 2011-12-30 2013-07-04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presenting a content dependency list
CN111782130B (zh) * 2014-06-24 2024-03-29 苹果公司 用于在用户界面中导航的列界面
KR20180119005A (ko) 2017-04-24 2018-11-01 (주)코미카엔터테인먼트 돌려보기 기능을 이용한 웹툰 제공방법
KR102138851B1 (ko) 2018-09-06 2020-07-29 주식회사 카카오페이지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5533A (ko) 2022-02-08
US11748723B2 (en) 2023-09-05
US20220036327A1 (en) 2022-02-03
JP7291111B2 (ja) 2023-06-14
JP2022027374A (ja) 2022-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40058809A (ko)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9392309B2 (en) Entitlement management for video customers
US20050119936A1 (en) Sponsored media content
US20100293218A1 (en) Distributing Content
KR102244996B1 (ko) 콘텐츠 브로커의 콘텐츠 분배 보조
US11490162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KR20230057934A (ko)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02049855A (ja) サーバシステム
JP2021520532A (ja) コンテンツの使用権限管理方法および装置
KR102460826B1 (ko) 디지털 화폐의 구매 유도 방법 및 시스템
US20230342805A1 (en) Digital currency payment method and system
KR102647566B1 (ko)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230394447A1 (en) Payment method and system for purchasing digital currency
KR102492353B1 (ko) 디지털 화폐의 구매 유도 방법 및 시스템
KR20220117753A (ko) 디지털 화폐의 구매 유도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63430A (ko)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05518735A (zh) 用于广告的促销形式
KR20230130364A (ko)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15966A (ko) 블록 체인을 이용한 광고정보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2007109196A (ja) 広告配信システム
US20130347082A1 (en) Unit-of-Use Control of a Computing Resource
US20140344001A1 (en) Market for resources based on reusable usage points and usage peri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