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8700A - 레일 슬라이딩 시스템 - Google Patents

레일 슬라이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8700A
KR20240058700A KR1020220139709A KR20220139709A KR20240058700A KR 20240058700 A KR20240058700 A KR 20240058700A KR 1020220139709 A KR1020220139709 A KR 1020220139709A KR 20220139709 A KR20220139709 A KR 20220139709A KR 20240058700 A KR20240058700 A KR 20240058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rail
ratchet
lever
slid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9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220139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8700A/ko
Publication of KR20240058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870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1Mounting arrangements for mounting lighting devices onto vehicle interior, e.g. onto ceiling or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36Luggag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4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linear movement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일 슬라이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테일게이트에 설치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레일홀을 구비하는 레일부와 레일부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체결된 후크부를 구비하여 러기지룸의 공간을 더 실용적으로 활용하면서도, 레일 구조를 통하여 왕복운동 가능한 슬라이딩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레일 슬라이딩 시스템 {Rail sliding system}
본 발명은 레일 슬라이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에 연결되어 휴대용 램프 등의 물건을 거치할 수 있는 레일 슬라이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량 후방에는 화물 등의 적재를 위한 러기지룸이 구비될 수 있다. 러기지룸에는 매우 다양한 종류, 크기 등의 화물이 적재될 수 있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이와 같이 적재된 화물이 운행 중 소음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는 SUV, 왜건 등과 같이 러기지룸이 객실과 연결되어 있는 차량에서 보다 문제될 수 있다. 또한 러기지룸은 대체로 하나의 공간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작은 화물은 차량 운행 중 이동되어 파손되거나 사용자가 이를 쉽게 찾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된다. 특히, 야간에 러기지룸에서 물건을 찾을 시, 시인성 부족으로 불편이 발생한다. 또한, 최근 캠핑을 즐기는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러기지룸의 공간 활용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러기지룸의 공간을 더 실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테일게이트에 물건을 거치할 수 있는 구조물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가지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러기지룸의 공간을 더 실용적으로 활용하면서도, 레일 구조를 통하여 왕복운동 가능한 슬라이딩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레일 슬라이딩 시스템은, 테일게이트에 설치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레일홀을 구비하는 레일부; 및 상기 레일부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체결된 후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부는, 상기 레일부의 외측 둘레를 감싸는 후크바디; 러기지룸 내측을 향하는 후크내측면에 형성된 걸이부; 및 상기 후크바디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고, 회동 위치에 따라 상기 레일홀과 체결되어 상기 후크부의 왕복 이동을 구속하며, 내부에 자석이 배치되는 레버부;를 포함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레버부는, 사용자의 조작력이 인가되는 당김부; 상기 후크내측면에 상기 후크바디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레버부를 회동 가능하게 체결시키는 레버핀; 상기 후크내측면을 향해 상기 레버부를 탄성 지지하여 조작력 인가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레버스프링; 및 상기 후크내측면을 향한 상기 레버부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레버부의 회동 위치에 따라 상기 레일홀로 삽입 체결되어, 상기 후크부의 왕복 이동을 구속하는 래칫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자석은, 상기 래칫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레일 슬라이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레일홀은,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레일홀의 전방 측벽과 상기 레일홀의 후방 측벽의 간격은 상기 레일부의 내측으로 갈수록 좁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래칫부와 결합되고, 상기 래칫부의 전면, 상기 래칫부의 후면, 상기 래칫부의 전면과 상기 래칫부의 후면을 연결하는 벤딩면을 감싸는 클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이부는, 상기 평행부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점차 상기 후크내측면과 가까워지도록 형성된 이탈방지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슬라이딩 시스템에 의하면, 러기지룸의 공간을 더 실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레일 구조를 통하여 왕복운동 가능한 슬라이딩 시스템을 제공하여, 물건이 거치되는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테일게이트에 레일 슬라이딩 시스템이 결합되고, 걸이부에 물건이 거치된 형상을 상부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레일부를 상부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레버부와, 레버부 내부에 배치되는 자석, 래칫부와 결합되는 클립이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래칫부에 클립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후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레일 경사면이 형성된 레일부의 레일홀에 래칫부가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후크바디의 걸이부에 걸림턱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레일 슬라이딩 시스템에 있어서, 레일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레버부의 래칫부를 기준으로 당김부가 위치하는 일방을 전방, 타방을 후방이라 할 수 있고, 후크 내측면을 기준으로 걸이부가 위치하는 일방을 상방, 타방을 하방이라고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슬라이딩 시스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슬라이딩 시스템(100)은 테일게이트(10)에 설치되고, 테일게이트(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레일홀(111)을 구비하는 레일부(110), 레일부(110)에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된 후크부(120)를 포함한다.
레일부(110)는 레버부(123)의 래칫부(123d)가 삽입되어 후크부(120)를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레일홀(111), 레일부(110)의 양 단부에 결합되어 후크부(120)가 레일부에서 이탈하지 못하도록 하는 레일마개(112)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홀(111)은 레일부의 상단에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레일부(110)의 일단부에서 소정 간격 이격 형성되어, 타단부에서 소정 간격 이격한 지점까지 동일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레일마개(112)는 나사홀이 형성되는 경우, 레일 슬라이딩 시스템(100)과 테일게이트(10)를 나사체결 할 수 있고, 접착제 등을 도포하여 나사체결 없이도 테일게이트(10)와 융착될 수 있다.
또한, 레일부(110)에는 래칫부(123d)가 레일홀(111)에 삽입될 때, 래칫부(123d)의 회전반경을 고려하여 레일홀(111)에 삽입이 잘 되도록 하기 위하여 레일홀(111)의 전방 측벽과 레일홀(111)의 후방 측벽의 간격이 레일부(110)의 내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레일 경사면(113)을 형성할 수 있으며, 레일홀(111)의 전방 측벽과 레일홀(111)의 후방 측벽 중 적어도 하나는 레일 경사면(113)을 형성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후크부(120)는 레일부(110)의 외측 둘레를 감싸는 후크바디(121), 러기지룸 내측을 향하는 후크내측면에 형성된 걸이부(122), 후크바디(121)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고, 회동 위치에 따라 레일홀(111)과 체결되어 후크부(120)의 이동을 구속하며, 내부에 자석이 배치되는 레버부(123)를 포함 할 수 있다.
후크바디(121)는 후크내측면(120a)에 레버부(123)의 래칫부(123d)가 레일홀(111)에 삽입될 수 있도록 래칫부(123d)가 통과할 수 있는 래칫홀(121a)과, 레버핀(123b)이 인가되어 레버부(123)가 회동할 수 있도록 하는 힌지를 포함한다.
래칫홀(121a)은 후크내측면(120a) 전방 중앙에 형성되고,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레버부(123) 회동 시, 래칫부(123d)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걸이부(122)는 후크내측면(120a)에서 돌출 형성된 후, 절곡된 절곡부(122a) 및 절곡부(122a)에서 후크내측면(120a)과 평행하도록 연장 형성된 평행부(122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걸이부(122)는 평행부(122b)에서 후크바디(121)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고, 절곡부(122a)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점차 후크내측면(120a)과 가까워지도록 형성된 걸림턱(122c)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걸이부(122)는 절곡부(122a)와 후크내측면(120a) 및 후크하단면(120d)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지지재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걸이부(122)에 거치되는 물건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레버부(123)는 사용자의 조작력이 인가되는 당김부(123a), 후크내측면(120a)에 후크바디(121)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힌지축(123e)을 중심으로 레버부(123)를 회동 가능하게 체결시키는 레버핀(123b), 후크내측면(120a)을 향해 레버부(123)를 탄성 지지하여 조작력 인가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레버스프링(123c) 및 후크내측면(120a)을 향한 레버부(123)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고, 레버부(123)의 회동 위치에 따라 레일홀(111)로 삽입 체결되어, 후크부(120)의 왕복 이동을 구속하는 래칫부(123d)를 포함할 수 있다.
당김부(123a)는 조작력 인가시,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당김부(123a)의 상하면에 레버부(123)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복수 개의 미끄럼방지부가 동일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당김부(123a)는 당김부(123a)의 하부면과, 스토퍼(123f)의 전면을 사선으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지지재를 포함 할 수 있다.
자석(123g)은 레버부(123)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자석(123g)은 래칫부(123d)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자석(123g)이 레버부(123)의 다른 부분에 배치되는 것 보다 레일과 가까워서 더 큰 인력이 발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자석(123g)은 스토퍼(123f)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자석(123g)이 래칫부(123d)보다 부피가 큰 스토퍼(123f)에 배치되어 레버부(123)에서 더욱 이탈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자석(123g)은 납작하게 형성되어 최소한의 부피를 가져 레버부(123)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석(123g)은 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래칫부(123d)가 레일홀(111)에 삽입되면, 자석(123g)은 자석(123g)을 둘러싼 레일부(110)와의 사이에서 인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자동차 주행시, 진동이나 충격으로 인하여 래칫부(123d)가 레일홀(111)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레버부(123)에는 래칫부(123d)와 결합되고, 래칫부(123d)의 전면, 래칫부(123d)의 후면, 래칫부(123d)의 전면과 래칫부(123d)의 후면을 연결하는 벤딩면을 감싸는 클립(123h)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립(123h)은 'U'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클립(123h)은 래칫부(123d)가 레일홀(111)에 삽입될 때, 레일홀(111)의 전후방 면의 레일부(110)와 접촉하여 래칫부(123d)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테일게이트 100: 레일 슬라이딩 시스템
110: 레일부 111: 레일홀
112: 레일마개 113: 레일 경사면
120: 후크부 120a: 후크내측면
120b: 후크외측면 120c: 후크상단면
120d: 후크하단면 121: 후크바디
121a: 래칫홀 122: 걸이부
122a : 절곡부 122b : 평행부
122c : 걸림턱 123: 레버부
123a: 당김부 123b: 레버핀
123c: 레버스프링 123d: 래칫부
123e: 힌지축 123f: 스토퍼
123g: 자석 123h: 클립

Claims (6)

  1. 테일게이트에 설치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레일홀을 구비하는 레일부; 및
    상기 레일부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체결된 후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부는,
    상기 레일부의 외측 둘레를 감싸는 후크바디;
    러기지룸 내측을 향하는 후크내측면에 형성된 걸이부; 및
    상기 후크바디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고, 회동 위치에 따라 상기 레일홀과 체결되어 상기 후크부의 왕복 이동을 구속하며, 내부에 자석이 배치되는 레버부;
    를 포함하는 레일 슬라이딩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는,
    사용자의 조작력이 인가되는 당김부;
    상기 후크내측면에 상기 후크바디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레버부를 회동 가능하게 체결시키는 레버핀;
    상기 후크내측면을 향해 상기 레버부를 탄성 지지하여 조작력 인가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레버스프링; 및
    상기 후크내측면을 향한 상기 레버부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레버부의 회동 위치에 따라 상기 레일홀로 삽입 체결되어, 상기 후크부의 왕복 이동을 구속하는 래칫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석은,
    상기 래칫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슬라이딩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홀은,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레일홀의 전방 측벽과 상기 레일홀의 후방 측벽의 간격은 상기 레일부의 내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슬라이딩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부와 결합되고, 상기 래칫부의 전면, 상기 래칫부의 후면, 상기 래칫부의 전면과 상기 래칫부의 후면을 연결하는 벤딩면을 감싸는 클립;
    을 더 포함하는 레일 슬라이딩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는,
    상기 후크내측면에서 돌출 형성된 후, 절곡된 절곡부; 및
    상기 절곡부에서 상기 후크내측면과 평행하도록 연장 형성된 평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슬라이딩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는,
    상기 평행부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점차 상기 후크내측면과 가까워지도록 형성된 걸림턱;
    을 더 포함하는 레일 슬라이딩 시스템.
KR1020220139709A 2022-10-26 2022-10-26 레일 슬라이딩 시스템 KR202400587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9709A KR20240058700A (ko) 2022-10-26 2022-10-26 레일 슬라이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9709A KR20240058700A (ko) 2022-10-26 2022-10-26 레일 슬라이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8700A true KR20240058700A (ko) 2024-05-03

Family

ID=91077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9709A KR20240058700A (ko) 2022-10-26 2022-10-26 레일 슬라이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870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24302A (en) Extensible twist to lock load or cargo bracing device
US5823596A (en) Truck tailgate fence mechanism
CN100523420C (zh) 卡锁组件
US6749241B1 (en) Vehicle cargo panel having retractable belt
US10351067B2 (en) Mobility device storage apparatus for vehicle
US11306520B2 (en) Handle device
US6202261B1 (en) Swivelling anchor for storage net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
US9278718B1 (en) Anti-theft device for tailgates
EP3072745B1 (en) Vehicle storage assembly
KR20240058700A (ko) 레일 슬라이딩 시스템
US6276737B1 (en) Storage assembly for an overhead console
US8910988B2 (en) Adaptable bin with folding secondary bin
RU2693507C2 (ru) Узел облицовочной панел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арианты)
DE50113021D1 (de) Verzurrein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en Kraftfahrzeug-Laderaum
US7413230B1 (en) Cargo barricade for a truck bed
US11097663B2 (en) Smartpacking tray
KR102318978B1 (ko) 차량용 러기지룸 수납시스템
US20060027517A1 (en) Self-positioning space organizer and holder
KR100401659B1 (ko) 자동차의 도어포켓
KR0157809B1 (ko) 차량용 트렁크리드 고정구
JP2002145125A (ja) リヤゲートチェーンの抜け防止構造
KR100568712B1 (ko) 스토퍼 구조
KR100471562B1 (ko) 자동차 러기지룸의 네트 장착장치
KR200248499Y1 (ko) 멀티박스트래이장치
TR2021013437U5 (tr) Modüler Katlanır Basamak İyileştirmes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