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8293A - 조립식 하우스의 외벽을 조립하는데 이용되는 연결부재 - Google Patents

조립식 하우스의 외벽을 조립하는데 이용되는 연결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8293A
KR20240058293A KR1020220138897A KR20220138897A KR20240058293A KR 20240058293 A KR20240058293 A KR 20240058293A KR 1020220138897 A KR1020220138897 A KR 1020220138897A KR 20220138897 A KR20220138897 A KR 20220138897A KR 20240058293 A KR20240058293 A KR 20240058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late
connecting member
prefabricated house
panel
seg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8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흥현
Original Assignee
한흥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흥현 filed Critical 한흥현
Priority to KR1020220138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8293A/ko
Publication of KR20240058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82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2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세그먼트패널들이 서로 연결되면서 조립식 하우스의 외벽으로 조립될 수 있게 서로 인접한 두개의 세그먼트패널들 사이에 하나씩 위치하여 상기 인접한 두개의 세그먼트패널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연결부재는 상기 조립식 하우스가 조립되었을 때 상기 세그먼트패널의 외부면과 함께 제1 외면이 상기 조립식 하우스의 외부에 노출되면서 상기 조립식 하우스의 외벽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제1 고정판; 상기 제1 고정판에 평행하고 상기 조립식 하우스가 조립되었을 때 상기 세그먼트패널의 내부면과 함께 상기 조립식 하우스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제2 고정판; 및 일측 끝단이 상기 제1 고정판의 중단에 연결되고 타측 끝단이 상기 제2 고정판의 중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고정판 및 상기 제2 고정판 사이에 상기 세그먼트패널의 일 끝단이 끼워져서 고정될 수 있는 복수개의 제1 홈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제3 고정판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하우스의 외벽을 조립하는데 이용되는 연결부재{CONNECTING MEMBER USED TO ASSEMBLE EXTERIOR WALL OF PREFABRICATED HOUSE}
본 발명은 조립식 하우스의 외벽을 구성하는 패널들을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외형 숙박시설로는 목재를 이용한 방갈로나 천을 이용한 텐트가 주로 이용되어 왔다. 그런데 방갈로는 목재를 조립해 붙일 때 별도의 금속재 앵글이나 브래킷을 사용할 필요가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이 번거롭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방갈로는 이와 같이 설치가 복잡한 만큼 해체도 복잡하여 해체하지 않고 그대로 방치하게 되므로 공간활용도가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텐트는 시공이 간단하고 해체가 용이하여 공간활용도가 우수한 장점이 있으나, 외력에 의해 형태가 쉽게 변형되므로 구조적으로 견고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가 해결된 야외형 숙박시설로서, 수지재 패널이 외벽으로 구성되는 구조물이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구조물은 복수개의 수지재 패널이 나사로 체결되어 조립되는 방식이므로 시공 및 해체가 용이하고 텐트에 비해 구조적으로 견고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종래 나사를 이용한 돔 하우스 조립의 경우 패널의 체결수단이 볼트와 너트로 조합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조립하기 위한 다수의 부품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방식은 블록단위의 조립부재를 이음 조립하여 시공 작업하는데 그 구성이 복잡하고 조립 방식이 어려워서 비숙련자가 조립하기가 힘들었으며 구조물의 조립에도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뿐 아니라 별도의 장비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패널들이 서로 연결되면서 조립식 하우스의 외벽으로 조립될 수 있게 인접한 두개의 패널을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립 및 분해 방법이 편리하여 비숙련자도 쉽게 조립이 가능하고, 패널의 결합에 필요한 다수의 볼트나 너트가 별도로 필요하지 않을 수 있는 연결부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립식 하우스의 설치 및 해체에 요구되는 시간이 줄어들어 캠핑 장소 이외에도 임시로 조립식 하우스가 필요한 장소에 부담 없이 설치 가능할 수 있는 연결부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립식 하우스의 내부에서 이용 가능한 전선의 장착이 가능한 연결부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립식 하우스의 외벽을 통한 열 이동의 일부를 차단하도록 조립식 하우스의 내부면에 장착 가능한 단열패널을 장착할 수 있는 연결부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패널과 이음부의 홈이 외부의 빗물에 의한 수압을 현격히 줄여 내부로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연결부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복수개의 세그먼트패널들이 서로 연결되면서 조립식 하우스의 외벽으로 조립될 수 있게 서로 인접한 두개의 세그먼트패널들 사이에 하나씩 위치하여 상기 인접한 두개의 세그먼트패널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연결부재는, 상기 조립식 하우스가 조립되었을 때 상기 세그먼트패널의 외부면과 함께 제1 외면이 상기 조립식 하우스의 외부에 노출되면서 상기 조립식 하우스의 외벽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제1 고정판; 상기 제1 고정판에 평행하고 상기 조립식 하우스가 조립되었을 때 상기 세그먼트패널의 내부면과 함께 상기 조립식 하우스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제2 고정판; 및 일측 끝단이 상기 제1 고정판의 중단에 연결되고 타측 끝단이 상기 제2 고정판의 중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고정판 및 상기 제2 고정판 사이에 상기 세그먼트패널의 일 끝단이 끼워져서 고정될 수 있는 복수개의 제1 홈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제3 고정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 일정 곡률로 휘어진 패널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조립식 하우스의 외벽으로 조립될 때 원형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상기 세그먼트패널들이 돔 형상의 상기 조립식 하우스의 외벽을 형성할 수 있도록 일정 곡률로 휘어진 서로 인접한 두개의 세그먼트패널들 사이에 하나씩 위치하여 상기 인접한 두개의 세그먼트패널에 각각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고정판의 제1 외면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1 고정판의 제2 외면에 마련되는 제1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외면, 상기 제2 고정판의 제3 외면 및 상기 제3 고정판에 둘러싸인 상기 제1 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세그먼트패널의 외부면의 일측 측면 끝단이 상기 제2 외면에 접하여 상기 연결부재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2 외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고; 그리고 상기 제2 외면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끝단이 날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세그먼트패널의 일측 측면 끝단에 상단에서 하단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패널 홈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상기 세그먼트패널이 상기 제2 외면에 접하여 상기 연결부재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조립식 하우스의 외부에서 상기 제1 홈에 유입된 액체가 지면에 수평인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아서 상기 액체가 상기 조립식 하우스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액체가 중력에 의해 상기 제1 홈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의 하단에 위치하는 상기 제1 돌출부의 하단 끝단은, 상기 인접한 두개의 세그먼트패널의 상단 영역의 패널 홈에 끼워져 하단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돌출부의 하단 끝단이 상기 인접한 두개의 세그먼트패널의 하단 영역의 패널 홈까지 이동되면, 상기 인접한 두개의 세그먼트패널의 연결이 완료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돌출부의 하단 끝단이 상기 인접한 두개의 세그먼트패널의 하단 영역의 패널 홈까지 이동할 때,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세그먼트패널의 곡률에 맞게 휘어질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외면에 마련되는 제2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세그먼트패널의 내부면의 일측 측면 끝단이 상기 제3 외면에 접하여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3 외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고; 그리고 상기 제3 외면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끝단이 날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 돌출부가 상기 제2 외면에서 돌출된 길이보다 작은 길이만큼 상기 제3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립식 하우스의 내부를 향하는 상기 제2 고정판의 제4 외면에서 상기 제1 고정판 및 상기 제2 고정판에 수직으로 돌출되게 상기 제4 외면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조립식 하우스의 내부에 노출되는 복수개의 전선 고정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상기 전선 고정판 및 상기 제4 외면으로 둘러싸여 형성되어 상기 조립식 하우스의 내부에 노출되는 제2 홈을 형성하고, 상기 조립식 하우스의 내부에서 이용되는 전선이 두 개의 상기 전선 고정판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제2 홈에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립식 하우스의 내부를 향하는 상기 전선 고정판의 끝단에 연결되는 단열패널 고정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단열패널 고정판은: 상기 전선 고정판에 수직이고, 상기 제1 고정판 및 상기 제2 고정판에 수평으로 돌출되게 상기 전선 고정판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조립식 하우스의 내부에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열패널 고정판, 상기 전선 고정판 및 상기 제2 고정판으로 둘러싸여 형성되는 제3 홈을 형성하고, 상기 세그먼트패널을 통해 상기 조립식 하우스의 내부와 외부 사이를 이동하는 열의 일부를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단열패널의 일측 끝단이 상기 제3 홈에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고정판 및 상기 제2 고정판은, 상기 복수개의 제1 홈 각각이 서로 다른 각도를 향하도록, 일측 측면 끝단 및 타측 측면 끝단이 서로 다른 각도를 향하게 꺾여 있는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세그먼트패널 각각의 일 끝단이 향하는 각도가 다르게 복수개의 상기 제1 홈에 상기 세그먼트패널이 하나씩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고정판 및 상기 제2 고정판은, 상기 복수개의 제1 홈 각각이 서로 수직인 각도를 향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1 홈에 하나씩 끼워지는 복수개의 세그먼트패널의 일 끝단이 서로 수직이 되게 중단 영역이 수직으로 꺾여 있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립식 하우스의 내부를 향하는 상기 제2 고정판의 제4 외면에서 상기 조립식 하우스의 내부로 돌출되게 상기 제4 외면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조립식 하우스의 내부에 노출되는 복수개의 전선 고정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상기 전선 고정판 및 상기 제4 외면으로 둘러싸여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1 홈이 향하는 방향과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조립식 하우스의 내부에 노출되는 제2 홈을 형성하고, 상기 조립식 하우스의 내부에서 이용되는 전선이 두 개의 상기 전선 고정판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제2 홈에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립식 하우스의 내부를 향하는 상기 전선 고정판의 끝단에 연결되는 단열패널 고정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단열패널 고정판은: 상기 조립식 하우스의 내부에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단열패널 고정판, 상기 전선 고정판 및 상기 제2 고정판으로 둘러싸여 형성되는 제3 홈을 형성하고, 상기 세그먼트패널을 통해 상기 조립식 하우스의 내부와 외부 사이를 이동하는 열의 일부를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단열패널의 일측 끝단이 상기 제3 홈에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개의 패널들이 서로 연결되면서 조립식 하우스의 외벽으로 조립될 수 있게 인접한 두개의 패널을 연결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조립 및 분해 방법이 편리하여 비숙련자도 쉽게 조립이 가능하고, 패널의 결합에 필요한 다수의 볼트나 너트가 별도로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조립식 하우스의 설치 및 해체에 요구되는 시간이 줄어들어 캠핑 장소 이외에도 임시로 조립식 하우스가 필요한 장소에 부담 없이 설치 가능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조립식 하우스의 내부에서 이용 가능한 전선의 장착이 가능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조립식 하우스의 외벽을 통한 열 이동의 일부를 차단하도록 조립식 하우스의 내부면에 장착 가능한 단열패널을 장착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패널과 이음부의 홈이 외부의 빗물에 의한 수압을 현격히 줄여 내부로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하우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 및 세그먼트패널들의 일측 측면 끝단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하우스가 조립되는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그먼트패널이 연결부재에 고정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패널 고정판이 마련된 연결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꺾여 있는 형상의 고정부재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패널 고정판이 마련된 꺾여 있는 형상의 고정부재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개시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개시된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하우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조립이 완료된 조립식 하우스(1)는 복수개의 연결부재(100) 및 복수개의 세그먼트패널(200)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립식 하우스(1)는 야외에서 사용자가 비와 바람을 피할 수 있는 구조물일 수 있다. 조립식 하우스(1)는 캠핑이나 야영 같은 야외활동에서 이용될 수 있으나, 조립식 하우스(1)의 용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조립식 하우스(1)는 운반이나 미사용 중에는 여러 개의 부재나 부품들과 같은 구성들로 나누어져 있다가 필요할 경우 사용자가 해당 부재 및 부품들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는 구조물일 수 있다.
세그먼트패널(200)은 곡선 형태로 이루어진 패널로서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완성된 조립식 하우스(1)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세그먼트 패널들은 각각 일정 곡률로 휘어진 패널 형상으로 구성되어 조립식 하우스(1)의 외벽으로 조립될 때 원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세그먼트패널(200)의 형태와 재질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세그먼트 패널은 직선 형태로 이루어진 패널로서 합성수지 재질 또는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완성된 조립식 하우스(1)는 도시된 것과 전혀 다른 형태로 조립될 수 있다.
연결부재(100)는 복수개의 세그먼트패널(200)들이 서로 연결되면서 조립식 하우스(1)의 외벽으로 조립될 수 있게 서로 인접한 두개의 세그먼트패널(200)들 사이에 하나씩 위치하여 인접한 두개의 세그먼트패널(200)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100)는 복수개의 세그먼트패널(200)들이 돔 형상의 조립식 하우스(1)의 외벽을 형성할 수 있도록 일정 곡률로 휘어진 서로 인접한 두개의 세그먼트패널(200)들 사이에 하나씩 위치하여 인접한 두개의 세그먼트패널(200)에 각각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연결부재(100)들은 각각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막대 형상으로 구성되어, 조립식 하우스(1)의 외벽으로 조립될 때 지면에 수직인 방향을 향하도록 원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재(100)는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재(100)는 PVC와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연결부재(100)의 재질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연결부재(100)는 특정한 형상의 단면을 이루는 막대로서 휘어질 수 있는 합성수지 재질 또는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 및 세그먼트패널(200)들의 일측 측면 끝단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연결부재(100)의 단면을 확인할 수 있다. 연결부재(100)의 형상은 도시된 단면을 하고 있는 전체적으로 길쭉한 형상의 막대일 수 있다. 즉, 연결부재(100)는 여러 개의 길쭉한 형상의 판들의 측면이 서로 연결되어 도시된 것과 같은 단면의 길쭉한 형상의 막대일 수 있다.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연결부재(100)는 제1 고정판(110), 제1 돌출부(111), 제2 고정판(120), 제2 돌출부(121), 제3 고정판(130) 및 전선 고정판(1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판(110)은 조립식 하우스(1)가 조립되었을 때 세그먼트패널의 외부면(201)과 함께 제1 외면(101)이 조립식 하우스(1)의 외부에 노출되면서 조립식 하우스(1)의 외벽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외면(101)은 제1 고정판(110)의 일측 측면에 형성된 면일 수 있다.
제2 고정판(120)은 제1 고정판(110)에 평행하고 조립식 하우스(1)가 조립되었을 때 세그먼트패널의 내부면(202)과 함께 조립식 하우스(1)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고정판(130)은 측면의 일측 끝단이 제1 고정판(110)의 측면 중단에 연결되고 측면의 타측 끝단이 제2 고정판(120)의 측면 중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고정판(130)은 제1 고정판(110) 및 제2 고정판(120) 사이에 세그먼트패널(200)의 일 끝단이 끼워져서 고정될 수 있는 복수개의 제1 홈(105)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홈(105)의 개수는 2개일 수 있으나, 제1 홈(105)의 개수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홈(105)은 연결부재(100)의 측면 끝단에 상단에서 하단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홈일 수 있다. 즉, 제1 홈(105)은 연결부재(100)의 측면 끝단을 따라 연결부재(100)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쭉 이어지도록 함몰되는 형상을 할 수 있다.
제1 홈(105)은 연결부재(100)의 양 측면에 하나씩 형성된 홈일 수 있다. 제1 홈(105)은 조립식 하우스(1)의 내부면 및 외부면이 향하는 방향이 아닌 측면 방향을 향할 수 있다. 각각의 제1 홈(105)은 서로 반대측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제1 홈(105)이 향하는 방향이 서로 반대측 방향을 향하도록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연결부재(100)에 마련되는 2개의 제1 홈(105)은 서로 수직인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각각의 제1 홈(105)에 끼워지는 세그먼트패널(200)은 서로 수직인 방향을 향하도록 연결부재(10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이러한 형상의 연결부재(100)는 외벽과 외벽이 서로 수직으로 접하는 조립식 하우스(1)의 모서리를 조립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제2 외면(102)은 제1 고정판(110)의 제1 외면(101)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1 고정판(110)의 제2 외면(102)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제2 외면(102)은 제1 고정판(110)의 제1 외면(101)이 형성되는 측면의 반대측 측면에 형성된 면일 수 있다.
제1 돌출부(111)는 제1 고정판(110)의 제2 외면(102)에서 돌출되도록 제2 외면(102)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돌출부(111)는 제1 고정판(110)의 끝단에서 제2 고정판(120)의 방향을 향해서 돌출되어 있는 제1 고정판(110)의 끝단 구성일 수 있다. 제1 돌출부(111)는 제1 고정판(110)의 측면 끝단을 따라 고정부재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쭉 이어지도록 돌출되는 형상을 할 수 있다.
제3 외면(103)은 제2 고정판(120)의 일측 측면에 형성된 면일 수 있다. 제3 외면(103)은 제2 고정판(120)에서 제1 고정판(110)의 제2 외면(102)을 향하는 방향을 향하는 측면에 형성되는 면일 수 있다.
제1 홈(105)은 제1 고정판(110)의 제2 외면(102), 제2 고정판(120)의 제3 외면(103) 및 제3 고정판(130)에 둘러싸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돌출부(111)는 제2 외면(10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돌출부(111)는 제1 고정판(110)의 제2 외면(102)에서 제2 고정판(120)의 제3 외면(103)을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일 수 있다.
제1 돌출부(111)는 제2 외면(102)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끝단이 날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돌출부(111)의 끝단은 제2 고정판(120) 및 제3 고정판(130)의 결합부를 향하도록 구성되는 날 형상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돌출부(111)는 세그먼트패널의 외부면(201)의 일측 측면 끝단이 제2 외면(102)에 접하여 연결부재(1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돌출부(111)는 세그먼트패널(200)에 형성된 패널 홈(203)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세그먼트패널(200)이 제2 외면(102)에 접하여 연결부재(1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패널 홈(203)은 세그먼트패널(200)의 일측 측면 끝단에 상단에서 하단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홈일 수 있다. 즉, 패널 홈(203)은 세그먼트 패널의 측면 끝단을 따라 세그먼트패널(200)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쭉 이어지도록 함몰되는 형상을 할 수 있다.
조립식 하우스(1)는 여러 구성이 결합되어 조립되는 방식이므로 야외에서 비와 같은 액체가 각 구성들의 결합부 또는 체결부를 통해 유입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외부의 액체는 연결부재(100)와 세그먼트패널(200)이 결합되어 있는 영역의 틈에 위치한 패널 홈(203)에 및 제1 홈(105)에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제1 홈(105)에 유입된 액체가 제1 홈(105)에서 조립식 하우스(1)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돌출부(111)는 고무나 합성수지 등의 액체의 침투를 막을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돌출부(111)는 조립식 하우스(1)의 외부에서 제1 홈(105)에 유입된 액체가 지면에 수평인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아서 액체가 조립식 하우스(1)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즉, 외부의 액체가 패널 홈(203)에 유입되어 제1 홈(105)에 유입되어 지면에 수평인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패널 홈(203)에 맞물려 세그먼트패널(200)과 이격이나 틈 없이 체결되어 있는 제1 돌출부(111)에 의해 지면에 수평인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막힐 수 있다.
제1 돌출부(111)는 액체가 중력에 의해 제1 홈(105)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돌출부(111)는 제1 고정판(110)의 측면 끝단을 따라 고정부재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쭉 이어지도록 돌출되어 있으므로, 제1 돌출부(111)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이 막힌 액체는 제1 돌출부(111), 제1 홈(105) 및 패널 홈(203)을 따라 중력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처럼, 연결부재(100)는 비와 같은 조립식 하우스(1)의 외벽의 액체가 조립식 하우스(1)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형상을 할 수 있다.
제2 돌출부(121)는 제2 고정판(120)의 제3 외면(103)에서 돌출되도록 제3 외면(103)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제2 돌출부(121)는 제2 고정판(120)의 끝단에서 제1 고정판(110)의 방향을 향해서 돌출되어 있는 제2 고정판(120)의 끝단 구성일 수 있다. 제2 돌출부(121)는 제2 고정판(120)의 측면 끝단을 따라 고정부재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쭉 이어지도록 돌출되는 형상을 할 수 있다.
제2 돌출부(121)는 세그먼트패널의 내부면(202)의 일측 측면 끝단이 제3 외면(103)에 접하여 연결부재(100)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3 외면(103)에 형성된 제2 돌출부(121)는 제1 돌출부(111)가 세그먼트패널(200)에 접하는 세그먼트패널의 외부면(201) 및 패널 홈(203)의 반대측 측면인 세그먼트패널의 내부면(202)에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돌출부(121)는 제3 외면(103)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2 돌출부(121)는 제2 고정판(120)의 제3 외면(103)에서 제1 고정판(110)의 제2 외면(102)을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일 수 있다.
제2 돌출부(121)는 제3 외면(103)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끝단이 날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돌출부(121)의 끝단은 제1 고정판(110) 및 제3 고정판(130)의 결합부를 향하도록 구성되는 날 형상일 수 있다.
제2 돌출부(121)는 제1 돌출부(111)가 제2 외면(102)에서 돌출된 길이보다 작은 길이만큼 제3 외면(103)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조립식 하우스(1)의 사용자는 조립식 하우스(1)의 내부에서 전자기기를 사용하거나 조명을 이용하고자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전자기기에 연결될 수 있는 전선 또는 스스로 빛을 발광하는 LED 전선 등의 전선(300)을 이용하고자 할 수 있다. 연결부재(100)에는 이렇게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전선(300)을 조립식 하우스(1)의 내부에서 고정할 수 있는 구성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연결부재(100)는 전선 고정판(14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선 고정판(140)은 조립식 하우스(1)의 내부를 향하는 제2 고정판(120)의 제4 외면(104)에서 제1 고정판(110) 및 제2 고정판(120)에 수직으로 돌출되게 제4 외면(104)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조립식 하우스(1)의 내부에 노출될 수 있다.
하나의 연결부재(100)에는 복수개의 전선 고정판(140)이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연결부재(100)는 두 개의 전선 고정판(1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두 개의 전선 고정판(140) 및 제4 외면(104)으로 둘러싸여 형성되어 조립식 하우스(1)의 내부에 노출되는 제2 홈(106)이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연결부재(100)에 마련되는 전선 고정판(140)의 개수가 반드시 두 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홈(106)은 연결부재(100)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홈일 수 있다. 제2 홈(106)은 조립식 하우스(1)의 내부면이 향하는 방향을 향할 수 있다.
제2 홈(106)은 연결부재(100)의 일측 측면 끝단에 상단에서 하단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홈일 수 있다. 즉, 제2 홈(106)은 연결부재(100)의 측면 끝단을 따라 연결부재(100)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쭉 이어지도록 함몰되는 형상을 할 수 있다.
연결부재(100)는 조립식 하우스(1)의 내부에서 이용되는 전선(300)이 두 개의 전선 고정판(140)에 의해 고정되어 제2 홈(106)에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지면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제2 홈(106)에 장착된 전선(300)을 조립식 하우스(1)의 내부에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홈(106)에 장착된 전선(300)이 LED 전선일 경우, 사용자는 별다른 조명의 설치 없이 조립식 하우스(1)의 내부면에 장착되는 LED 전선을 이용하여 빛을 밝힐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하우스가 조립되는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우선 조립식 하우스(1)를 설치하고자 하는 지면에 하나의 세그먼트패널(200)을 세울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이미 세워진 세그먼트패널(200)의 측면에 다른 세그먼트패널(200)들을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세그먼트패널(200)이 일정 곡률로 휘어진 패널 형상인 경우, 각 세그먼트패널(200)들은 원형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세그먼트패널(200)의 형상이 반드시 일정 곡률로 휘어지거나, 각 세그먼트패널(200)들이 원형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각 세그먼트패널(200)들이 평평한 평면 형상이고, 각 세그먼트패널(200)들은 사각형을 따라 배치될 수도 있다. 즉, 동일한 연결부재(100)를 이용하더라도 세그먼트패널(200)의 형상에 따라 얼마든지 다른 형태의 조립식 하우스(1)로 조립될 수 있다.
사용자는 원형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세그먼트패널(200)들 사이에 하나씩 연결부재(100)를 끼울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인접한 두 세그먼트패널(200)의 상단에 연결부재(100)를 상단에서 하단방향으로 끼울 수 있다.
연결부재(100)는 처음부터 세그먼트패널(200)의 곡률에 맞게 휘어진 형태였을 수도 있고, 본래는 휘어지지 않은 형상이지만 세그먼트패널(200)의 곡률에 맞게 휘어질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진 것일 수도 있다.
사용자는 원형으로 배치된 모든 세그먼트패널(200)들 사이에 하나씩 연결부재(100)를 장착하여 조립식하우스를 완성할 수 있다. 이때, 세그먼트패널(200)이 반드시 서로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만 배열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예를 들어, 세그먼트패널(200)들은 2층의 구조로서 1층에 배열된 세그먼트패널(200)들 위에 세그먼트패널(200)들이 추가적으로 배열된 구조일 수도 있다. 이때, 연결부재(100)는 지면에 수평인 방향을 향하도록 1층의 세그먼트패널(200)과 2층의 세그먼트패널(2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해당 연결부재(100)는 1층의 세그먼트패널(200)과 2층의 세그먼트패널(200)을 연결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는 연결부재(100)와 세그먼트패널(200)을 이용하여 자신의 의도에 맞는 형상으로 조립식하우스를 조립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그먼트패널이 연결부재에 고정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두 개의 세그먼트패널(200)들 사이에 하나의 연결부재(100)를 끼울 때의 연결부재(100) 및 세그먼트패널(200)의 배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인접한 두 세그먼트패널(200)의 상단에 연결부재(100)를 상단에서 하단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연결부재(100)의 홈에 두 세그먼트 패널을 끼울 수 있다.
연결부재(100)의 하단에 위치하는 제1 돌출부(111)의 하단 끝단은, 인접한 두개의 세그먼트패널(200)의 상단 영역의 패널 홈(203)에 끼워져 하단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연결부재(100)는 제1 돌출부(111)의 하단 끝단이 인접한 두개의 세그먼트패널(200)의 하단 영역의 패널 홈(203)까지 이동할 때, 연결부재(100)가 세그먼트패널(200)의 곡률에 맞게 휘어질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돌출부(111)의 하단 끝단이 인접한 두개의 세그먼트패널(200)의 하단 영역의 패널 홈(203)까지 이동되면, 인접한 두개의 세그먼트패널(200)의 연결이 완료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조립식 하우스(1)는 야외에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사용자는 기온의 영향을 덜 받고자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밤이 되어 야외의 기온이 급감할 경우, 사용자는 최대한 단열을 하여 조립식 하우스(1)의 내부가 따뜻한 온도를 유지하기를 바랄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패널 고정판이 마련된 연결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단열패널 고정판(150)이 마련된 연결부재(100)는 조립식 하우스(1)의 내부에 단열부재가 세그먼트패널(200)을 따라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단열패널(400)은 세그먼트패널(200)을 통해 조립식 하우스(1)의 내부와 외부 사이를 이동하는 열의 일부를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패널일 수 있다. 단열패널(400)은 스티로폼과 같은 단열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나, 재질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열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어떠한 재질도 단열패널(400)의 재질이 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연결부재(100)는 조립식 하우스(1)의 내부를 향하는 전선 고정판(140)의 끝단에 연결되는 단열패널 고정판(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열패널 고정판(150)의 일측 끝단은 조립식 하우스(1)의 내부를 향하는 전선 고정판(140)의 끝단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재(100)는 전선 고정판(140)에 수직이고, 제1 고정판(110) 및 제2 고정판(120)에 수평으로 돌출되게 전선 고정판(140)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조립식 하우스(1)의 내부에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열패널 고정판(150)의 끝단은 제1 고정판(110)의 끝단 및 제2 고정판(120)의 끝단이 향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향할 수 있다.
연결부재(100)는 단열패널 고정판(150), 전선 고정판(140) 및 제2 고정판(120)으로 둘러싸여 형성되는 제3 홈(107)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홈(107)은 연결부재(100)의 측면 끝단에 상단에서 하단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홈일 수 있다. 즉, 제3 홈(107)은 연결부재(100)의 측면 끝단을 따라 연결부재(100)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쭉 이어지도록 함몰되는 형상을 할 수 있다.
연결부재(100)는 단열패널(400)의 일측 끝단이 제3 홈(107)에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홈(105)에 세그먼트패널(200)이 장착되고 제3 홈(107)에 단열패널(400)이 장착되는 방식으로 조립식 하우스(1)가 완성되면, 조립식 하우스(1)의 벽은 외부에 드러나는 세그먼트패널(200)과 내부에 드러나는 단열패널(400)이 층을 이루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하나의 연결부재(100)에 하나의 제3 홈(107)만 형성될 수도 있으나, 제3 홈(107)이 두개 이상의 복수개가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제3 홈(107)은 연결부재(100)의 양 측면에 하나씩 형성된 홈일 수 있다. 제3 홈(107)은 조립식 하우스(1)의 내부면 및 외부면이 향하는 방향이 아닌 측면 방향을 향할 수 있다. 각각의 제3 홈(107)은 서로 반대측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제3 홈(107)이 향하는 방향이 서로 반대측 방향을 향하도록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연결부재(100)에 마련되는 2개의 제3 홈(107)은 서로 수직인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각각의 제3 홈(107)에 끼워지는 단열패널(400)은 서로 수직인 방향을 향하도록 연결부재(10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이러한 형상의 연결부재(100)는 외벽과 외벽이 서로 수직으로 접하는 조립식 하우스(1)의 모서리를 조립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전술한 연결부재(100)는 2개의 제1 고정판(110)이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고, 2개의 제2 고정판(120)이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고, 2개의 단열패널 고정판(150)이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고, 2개의 제1 홈(105)이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고, 2개의 제3 홈(107)이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는 형상을 하였다. 하지만, 조립식 하우스(1)의 형태에 따라 각 구성이 향하는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이 아닐 수도 있고, 이러한 경우 연결부재(100)의 형상 또한 달라질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꺾여 있는 형상의 고정부재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수직으로 꺾인 형상의 고정부재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고정판(110) 및 제2 고정판(120)은 복수개의 제1 홈(105) 각각이 서로 다른 각도를 향하도록, 일측 측면 끝단 및 타측 측면 끝단이 서로 다른 각도를 향하게 꺾여 있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100)는 연결부재(100)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세그먼트패널(200) 각각의 일 끝단이 향하는 각도가 다르게 복수개의 제1 홈(105)에 세그먼트패널(200)이 하나씩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고정판(110) 및 제2 고정판(120)은, 복수개의 제1 홈(105) 각각이 서로 수직인 각도를 향하고 복수개의 제1 홈(105)에 하나씩 끼워지는 복수개의 세그먼트패널(200)의 일 끝단이 서로 수직이 되게 중단 영역이 수직으로 꺾여 있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고정판(110) 및 제2 고정판(120)이 꺾여 있는 각도가 반드시 90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꺾여 있는 형상의 연결부재(100)의 제2 고정판(120)은 인접한 제1 고정판(110)과 평행하도록 배치되고, 끝단이 제1 고정판(110)의 끝단이 향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꺾여 있는 형상의 연결부재(100) 또한 조립식 하우스(1)의 내부를 향하는 제2 고정판(120)의 제4 외면(104)에서 조립식 하우스(1)의 내부로 돌출되게 제4 외면(104)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조립식 하우스(1)의 내부에 노출되는 복수개의 전선 고정판(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100)는 두 개의 전선 고정판(140) 및 제4 외면(104)으로 둘러싸여 형성되고, 복수개의 제1 홈(105)이 향하는 방향과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조립식 하우스(1)의 내부에 노출되는 제2 홈(106)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100)는 조립식 하우스(1)의 내부에서 이용되는 전선(300)이 두 개의 전선 고정판(140)에 의해 고정되어 제2 홈(106)에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패널 고정판이 마련된 꺾여 있는 형상의 고정부재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꺾여 있는 형상의 고정부재 또한 조립식 하우스(1)의 모서리 영역에서 단열패널(400)을 고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꺾여 있는 형상의 연결부재(100)는 조립식 하우스(1)의 내부를 향하는 전선 고정판(140)의 끝단에 연결되는 단열패널 고정판(150)을 포함할 수 있다.
꺾여 있는 형상의 연결부재(100)에 마련되는 단열패널 고정판(150)은 인접한 제2 고정판(120)과 평행하도록 배치되어, 끝단이 동일한 "?항?* 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꺾여 있는 형상의 연결부재(100)에 마련되는 단열패널 고정판(150)은 조립식 하우스(1)의 내부에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단열패널 고정판(150), 전선 고정판(140) 및 제2 고정판(120)으로 둘러싸여 형성되는 제3 홈(107)을 형성할 수 있다.
꺾여 있는 형상의 연결부재(100)는 세그먼트패널(200)을 통해 조립식 하우스(1)의 내부와 외부 사이를 이동하는 열의 일부를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단열패널(400)의 일측 끝단이 제3 홈(107)에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꺾여 있는 형상의 연결부재(100)를 이용하면, 사용자는 조립식 하우스(1)의 모서리부분을 조립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모서리부분의 연결부재(100)에도 일반적인 직선 형태의 연결부재(100)와 동일하게, 전선(300)을 장착할 수 있으며, 단열패널(400)을 장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 조립식 하우스
100: 연결부재
101: 제1 외면
102: 제2 외면
103: 제3 외면
104: 제4 외면
105: 제1 홈
106: 제2 홈
107: 제3 홈
110: 제1 고정판
111: 제1 돌출부
120: 제2 고정판
121: 제2 돌출부
130: 제3 고정판
140: 전선 고정판
150: 단열패널 고정판
200: 세그먼트패널
201: 세그먼트패널의 외부면
202: 세그먼트패널의 내부면
203: 패널 홈
300: 전선
400: 단열패널

Claims (20)

  1. 복수개의 세그먼트패널들이 서로 연결되면서 조립식 하우스의 외벽으로 조립될 수 있게 서로 인접한 두개의 세그먼트패널들 사이에 하나씩 위치하여 상기 인접한 두개의 세그먼트패널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연결부재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하우스가 조립되었을 때 상기 세그먼트패널의 외부면과 함께 제1 외면이 상기 조립식 하우스의 외부에 노출되면서 상기 조립식 하우스의 외벽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제1 고정판;
    상기 제1 고정판에 평행하고 상기 조립식 하우스가 조립되었을 때 상기 세그먼트패널의 내부면과 함께 상기 조립식 하우스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제2 고정판; 및
    일측 끝단이 상기 제1 고정판의 중단에 연결되고 타측 끝단이 상기 제2 고정판의 중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고정판 및 상기 제2 고정판 사이에 상기 세그먼트패널의 일 끝단이 끼워져서 고정될 수 있는 복수개의 제1 홈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제3 고정판을 포함하는 연결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 일정 곡률로 휘어진 패널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조립식 하우스의 외벽으로 조립될 때 원형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상기 세그먼트패널들이 돔 형상의 상기 조립식 하우스의 외벽을 형성할 수 있도록 일정 곡률로 휘어진 서로 인접한 두개의 세그먼트패널들 사이에 하나씩 위치하여 상기 인접한 두개의 세그먼트패널에 각각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연결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판의 제1 외면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1 고정판의 제2 외면에 마련되는 제1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외면, 상기 제2 고정판의 제3 외면 및 상기 제3 고정판에 둘러싸인 상기 제1 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세그먼트패널의 외부면의 일측 측면 끝단이 상기 제2 외면에 접하여 상기 연결부재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연결부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2 외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고; 그리고
    상기 제2 외면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끝단이 날 형상으로 구성되는, 연결부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세그먼트패널의 일측 측면 끝단에 상단에서 하단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패널 홈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상기 세그먼트패널이 상기 제2 외면에 접하여 상기 연결부재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연결부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조립식 하우스의 외부에서 상기 제1 홈에 유입된 액체가 지면에 수평인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아서 상기 액체가 상기 조립식 하우스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액체가 중력에 의해 상기 제1 홈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연결부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하단에 위치하는 상기 제1 돌출부의 하단 끝단은, 상기 인접한 두개의 세그먼트패널의 상단 영역의 패널 홈에 끼워져 하단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돌출부의 하단 끝단이 상기 인접한 두개의 세그먼트패널의 하단 영역의 패널 홈까지 이동되면, 상기 인접한 두개의 세그먼트패널의 연결이 완료되도록 구성되는, 연결부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의 하단 끝단이 상기 인접한 두개의 세그먼트패널의 하단 영역의 패널 홈까지 이동할 때,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세그먼트패널의 곡률에 맞게 휘어질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되는, 연결부재.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외면에 마련되는 제2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세그먼트패널의 내부면의 일측 측면 끝단이 상기 제3 외면에 접하여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연결부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3 외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고; 그리고
    상기 제3 외면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끝단이 날 형상으로 구성되는, 연결부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 돌출부가 상기 제2 외면에서 돌출된 길이보다 작은 길이만큼 상기 제3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연결부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하우스의 내부를 향하는 상기 제2 고정판의 제4 외면에서 상기 제1 고정판 및 상기 제2 고정판에 수직으로 돌출되게 상기 제4 외면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조립식 하우스의 내부에 노출되는 복수개의 전선 고정판을 더 포함하는, 연결부재.
  13. 제12항에 있어서,
    두 개의 상기 전선 고정판 및 상기 제4 외면으로 둘러싸여 형성되어 상기 조립식 하우스의 내부에 노출되는 제2 홈을 형성하고,
    상기 조립식 하우스의 내부에서 이용되는 전선이 두 개의 상기 전선 고정판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제2 홈에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연결부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하우스의 내부를 향하는 상기 전선 고정판의 끝단에 연결되는 단열패널 고정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단열패널 고정판은:
    상기 전선 고정판에 수직이고, 상기 제1 고정판 및 상기 제2 고정판에 수평으로 돌출되게 상기 전선 고정판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조립식 하우스의 내부에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연결부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패널 고정판, 상기 전선 고정판 및 상기 제2 고정판으로 둘러싸여 형성되는 제3 홈을 형성하고,
    상기 세그먼트패널을 통해 상기 조립식 하우스의 내부와 외부 사이를 이동하는 열의 일부를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단열패널의 일측 끝단이 상기 제3 홈에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연결부재.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판 및 상기 제2 고정판은,
    상기 복수개의 제1 홈 각각이 서로 다른 각도를 향하도록, 일측 측면 끝단 및 타측 측면 끝단이 서로 다른 각도를 향하게 꺾여 있는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세그먼트패널 각각의 일 끝단이 향하는 각도가 다르게 복수개의 상기 제1 홈에 상기 세그먼트패널이 하나씩 끼워지도록 구성되는, 연결부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판 및 상기 제2 고정판은,
    상기 복수개의 제1 홈 각각이 서로 수직인 각도를 향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1 홈에 하나씩 끼워지는 복수개의 세그먼트패널의 일 끝단이 서로 수직이 되게 중단 영역이 수직으로 꺾여 있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연결부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하우스의 내부를 향하는 상기 제2 고정판의 제4 외면에서 상기 조립식 하우스의 내부로 돌출되게 상기 제4 외면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조립식 하우스의 내부에 노출되는 복수개의 전선 고정판을 더 포함하는, 연결부재.
  19. 제18항에 있어서,
    두 개의 상기 전선 고정판 및 상기 제4 외면으로 둘러싸여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1 홈이 향하는 방향과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조립식 하우스의 내부에 노출되는 제2 홈을 형성하고,
    상기 조립식 하우스의 내부에서 이용되는 전선이 두 개의 상기 전선 고정판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제2 홈에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연결부재.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하우스의 내부를 향하는 상기 전선 고정판의 끝단에 연결되는 단열패널 고정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단열패널 고정판은:
    상기 조립식 하우스의 내부에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단열패널 고정판, 상기 전선 고정판 및 상기 제2 고정판으로 둘러싸여 형성되는 제3 홈을 형성하고,
    상기 세그먼트패널을 통해 상기 조립식 하우스의 내부와 외부 사이를 이동하는 열의 일부를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단열패널의 일측 끝단이 상기 제3 홈에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연결부재.
KR1020220138897A 2022-10-26 2022-10-26 조립식 하우스의 외벽을 조립하는데 이용되는 연결부재 KR202400582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8897A KR20240058293A (ko) 2022-10-26 2022-10-26 조립식 하우스의 외벽을 조립하는데 이용되는 연결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8897A KR20240058293A (ko) 2022-10-26 2022-10-26 조립식 하우스의 외벽을 조립하는데 이용되는 연결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8293A true KR20240058293A (ko) 2024-05-03

Family

ID=91077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8897A KR20240058293A (ko) 2022-10-26 2022-10-26 조립식 하우스의 외벽을 조립하는데 이용되는 연결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829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16609B2 (en) Modular panel units for constructional purposes
US3623288A (en) Prefabricated building construction
US20180274254A1 (en) Container type combination hous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US20110258961A1 (en) Wall structure assembly
US10465375B2 (en) Demountable/modular structure system
KR101539324B1 (ko) 이중 지오데식 돔구조 건축물
US3286423A (en) Building wall and partition structure
KR20190016060A (ko) 견고한 연결구조로 이루어지는 커튼월.
CN108951850A (zh) 一种装配式房屋
KR20240058293A (ko) 조립식 하우스의 외벽을 조립하는데 이용되는 연결부재
KR101921633B1 (ko) 지오데식 돔 하우스 연결 구조체
JP6978807B2 (ja) 組立式ドームハウス
KR20090046140A (ko) 단위구조체로 이루어진 조립식 한옥
CN215330661U (zh) 一种装配式节能轻质复合墙板及建筑外墙
KR200386274Y1 (ko) 펜스
KR102090994B1 (ko) 창고형 건축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378514B1 (ko) 아치형 천창 어셈블리
JP5563351B2 (ja) 建物ユニット
JP2003206583A (ja) 出窓付壁面パネル体および壁面構造体
KR102656282B1 (ko) 공장 제작형 외단열 패널 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 외단열 패널 시공 방법
KR20020089951A (ko) 조립식 돔 하우스
KR101330076B1 (ko) 무볼트 방식 지붕용 채광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CN219471375U (zh) 一种金属屋面防水屋脊
JP2001303711A (ja) 上屋の構造
KR101203207B1 (ko) 비정형 지붕용 거터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