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8285A - 케이크 보관용기 - Google Patents

케이크 보관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8285A
KR20240058285A KR1020220138886A KR20220138886A KR20240058285A KR 20240058285 A KR20240058285 A KR 20240058285A KR 1020220138886 A KR1020220138886 A KR 1020220138886A KR 20220138886 A KR20220138886 A KR 20220138886A KR 20240058285 A KR20240058285 A KR 20240058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ke
storage container
lower cover
clause
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8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선주
Original Assignee
조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주 filed Critical 조선주
Priority to KR1020220138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8285A/ko
Priority to PCT/KR2023/015981 priority patent/WO2024090873A1/ko
Publication of KR20240058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828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bakery products, e.g. bis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65D25/06Partitions adapted to be fitted in two or more alternative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2802Handles fixed, i.e. non-swingable,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5/00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 B65D45/02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for applying axial pressure to engage closure with sealing surface
    • B65D45/16Clips, hooks, or clamps which are removable, or which remain connected either with the closure or with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open, e.g. C-shaped
    • B65D45/20Clips, hooks, or clamps which are removable, or which remain connected either with the closure or with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open, e.g. C-shaped pivo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25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 B65D2581/3401Cooking or heating method specially adapted to the contents of the package
    • B65D2581/3402Cooking or heating method specially adapted to the contents of the packag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to be heated or cooked
    • B65D2581/3405Cooking bakery products
    • B65D2581/3408Cakes and the like, e.g. muffins, cupca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s For Foods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측면에 지지립이 형성되고, 상측 단부에 제1 단차홈이 형성되는 하부커버와, 지지립에 거치되는 격리 플레이트와, 제1 단차홈에 삽입되는 돌출 손잡이가 형성되는 케이크 홀더와, 하부커버와 체결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상부커버를 포함하는, 케이크 보관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케이크 보관용기{Cake storage container}
본 발명은 케이크 보관 및 운반 시 케이크가 손상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케이크 보관용기에 관한 것이다.
케이크는, 밀가루, 달걀, 버터, 우유, 설탕 따위를 주원료로 하여 오븐 따위에 구운 서양음식으로, 일반적으로 생일, 결혼, 약혼 등의 각종 기념일과 이벤트에 보편적으로 사용되며, 각종 파티, 이벤트 등의 증가 추세에 따라 그 수요가 점점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케이크는, 통상 제조공장에서 생산된 이후, 케이크용 상자에 담겨져 판매점으로 배달 운송되며, 판매점에서는 케이크의 보관 및 전시 등을 위해 케이크용 상자에 담겨진 케이크를 꺼내어 보관 및 전시하게 되며, 소비자의 구매가 있을 시 보관되거나 전시된 케이크를 다시 케이크용 상자에 담아 판매하게 된다.
케이크용 상자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케이크를 보호하기 위하여 매우 큰 부피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공한이 제한된 냉장고에 케이크용 상자를 넣어 보관하기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가 있어 밀폐용기에 남은 케이크를 담아 보관하고 있지만, 밀폐용기의 경우 케이크 보관에 적합한 구조를 가지고 있지 않아, 케이크를 넣거나 빼는 과정에서 케이크가 훼손되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크가 복수개의 조각으로 이루어진 경우 조각 케이크들이 서로 뭉쳐져 외관이 망가지는 문제 또한 있었다.
그리고, 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케이크 보관용기가 개발되었지만,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보관용기의 경우 다수의 케이크 보관에 적합한 구조를 가지고 있지 못할 뿐만 아니라, 외부로 케이크를 가져갈 경우 케이크를 신선한 상태로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8124호(명칭: 기능성케이크용기, 등록일: 2015.08.25) 특허문헌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0980호(명칭: 기능성 케이크용기, 등록일: 2016.07.25)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각 케이크를 완벽한 상태로 보관 가능한 케이크 보관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케이크를 외부로 가져갈 경우에도 신선한 상태로 보관 가능한 케이크 보관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케이크 보관용기는, 내측면에 지지립(110)이 형성되고, 상측 단부에 제1 단차홈(120)이 형성되는 하부커버(100); 상기 지지립(110)에 거치되는 격리 플레이트(200); 상기 제1 단차홈(120)에 삽입되는 돌출 손잡이(310)가 형성되는 케이크 홀더(300); 및 상기 하부커버(100)와 체결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상부커버(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커버(100)는 상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1 단차형성 립(130);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커버(400)는 하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2 단차형성 립(4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단차형성 립(410)이 형성하는 단턱이 상기 제1 단차형성 립(130)과 마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단차형성 립(130)에 상기 제1 단차홈(120)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단차형성 립(410)에 상기 제1 단차홈(120)과 두께방향으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2 단차홈(4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격리 플레이트(200)는 두께방향으로 천공되는 열흡수공(2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크 홀더(300)는 평평한 형태의 베이스 플레이트(32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20)의 좌측과 우측에 형성되는 수직 플레이트(330);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20)의 단부에 상기 돌출 손잡이(3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20)는 삼각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커버(100)와 상기 상부커버(400)를 체결하는 체결수단(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20)는 이등변 삼각형 형상을 가지고, 꼭지각과 밑각을 연결하는 두 개의 변에 상기 수직 플레이트(3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단차홈(120)은 복수개 형성되고, 복수개의 제1 단차홈(120)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커버(100), 격리 플레이트(200), 상부커버(400)는 인접한 꼭지점이 서로 다른 각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커버(100), 격리 플레이트(200), 상부커버(400)는 평행사변형 단면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케이크 보관용기는, 케이크 홀더에 조각케이크를 개별보관 가능하므로, 조각 케이크가 다른 케이크 또는 커버에 부딪혀 망가지는 것을 방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케이크 홀더가 하부커버에 결합되어 흔들리지 않게 고정되므로, 커버가 흔들리커나 커버에 충격이 전달되더라도 케이크 홀더가 커버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격리 플레이트에 의해 커버 내부 공간이 하부 공간과 상부 공간으로 분리되므로, 하부공간에 아이스팩을 구비하여 케이크를 항상 신선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케이크 홀더가 위치되는 격리 플레이트(200)가 평행사변형 형상을 가지므로, 이등변 삼각형 형상을 가지는 케이크 홀더가 격리 플레이트(200) 상에 보다 많이 위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케이크 보관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케이크 보관용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케이크 보관용기의 하부커버 및 격리 플레이트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케이크 보관용기의 하부커버에 케이크 홀더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케이크 보관용기의 하부커버에 케이크 홀더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평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케이크 보관용기(1000)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케이크 보관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케이크 보관용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케이크 보관용기의 하부커버 및 격리 플레이트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케이크 보관용기의 하부커버에 케이크 홀더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케이크 보관용기의 하부커버에 케이크 홀더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케이크 보관용기(1000)는 내측면에 지지립(110)이 형성되고, 상측 단부에 제1 단차홈(120)이 형성되는 하부커버(100)와, 상기 지지립(110)에 거치되는 격리 플레이트(200)와, 상기 제1 단차홈(120)에 삽입되는 돌출 손잡이(310)가 형성되는 케이크 홀더(300)와, 상기 하부커버(100)와 체결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상부커버(400)와, 상기 상부커버(400) 상측에 형성되는 손잡이(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케이크가 들어있던 케이크용 상자의 경우 그 부피가 매우 크기 때문에, 남아있는 케이크를 케이크용 상자에 보관 시 많은 공간을 차지하고 있어 냉장고 공간 활용도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밀폐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수분이 증발되어 케이크의 신선도 및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케이크용 상자에 케이크를 보관할 경우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밀폐용기에 케이크를 보관하였으나, 밀폐용기에 케이크를 보관 시 케이크를 넣거나 빼는 과정에서 케이크가 쓰러져 망가지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조각 케이크를 동일한 밀폐용기에 보관 시 케이크가 서로 혼합되는 문제 또한 있었다.
그리고, 밀폐용기의 경우 냉장 보관에는 적합하지만 케이크를 외부로 가지고 나가는 경우 케이크를 신선하게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 또한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먹고 남은 조각 케이크를 케이크 홀더(300)가 감싸는 형태로 보호하여, 조각 케이크 외관이 훼손되지 않고 보관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케이크 홀더(300)가 밀폐 구조를 가지는 하부커버(100)와 상부커버(400) 내부에 구비되어, 수분이 증발하며 조각 케이크가 건조되지 않도록 하였다.
아울러, 하부커버(100)와 상부커버(400)가 결합되며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공간을, 격리 플레이트(200)를 이용하여 상측에 위치되며 케이크 및 케이크 홀더(300)가 구비되는 상부 수용공간과 하측에 위치되는 하부 수용공간으로 구획하여, 하부 수용공간에 아이스팩(1)을 구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케이크를 야외로 가지고 나갈 경우에도 케이크가 항상 신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하부커버(100)와 상부커버(400)는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을 외부와 격리 가능한 다양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고, 일 실시예로는 상기 하부커버(100) 상측 가장자리에 제1 단차형성 립(130)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400) 하측 가장자리에 제2 단차형성 립(410)이 형성되는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단차형성 립(410)의 내경이 상기 제1 단차형성 립(130)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제2 단차형성 립(410)이 형성하는 단턱을 제1 단차형성 립(130)이 지지하고, 제2 단차형성 립(410)이 제1 단차형성 립(130)의 가장자리를 감싸 밀폐력을 높이는 것을 권장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커버(100)의 하측 가장자리에는 하부커버(100)와 상부커버(400)를 체결하여 결합된 하부커버(100)와 상부커버(400)가 분리되는 것을 제한하는 체결수단(500)이 형성될 수 있고, 체결수단(500)은 상기 하부커버(100)에 돌출 형성되는 힌지결합돌기(510)와, 상기 힌지결합돌기(510)에 힌지 결합되고 내면에 제2 단차형성 립(410)이 형성하는 외측 단턱에 체결되는 체결돌기가 형성되는 체결몸체(5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하부커버(100)에 상부커버(400)를 씌워 제2 단차형성 립(410)이 제1 단차형성 립(130)을 감싸는 형태로 하부커버(100)와 상부커버(400)를 결합한 후, 체결몸체(520)를 회전시키면, 체결돌기(521)가 제2 단차형성 립(410)이 형성하는 외측 단턱에 걸쳐지며 하부커버(100)와 상부커버(400)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도면 상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1 단차형성 립(130)의 외면 또는 상기 제2 단차형성 립(410)의 내면에 고무 씰을 결합 시, 케이크 보관용기의 밀폐력을 한층 높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커버(100)는 내면에 지지립(110)이 형성되고, 상기 격리 플레이트(200)가 지지립(110)에 안착하는 형태로 결합되어 수용공간을 상부 수용공간과 하부 수용공간으로 분리한다.
이때, 상부 수용공간과 하부 수용공간이 완전히 격리될 경우 하부 수용공간에 구비되는 아이스팩(1)의 열흡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격리 플레이트(200)에 상하 두께방향으로 복수개의 열흡수공(210)을 천공하여 아이스팩(1)을 열 흡수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격리 플레이트(200)는 상기 케이크 홀더(300)가 결합되는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결합위치 표시부(220)가 형성될 수 있고, 결합위치 표시부(220)는 케이크 홀더(300) 외경을 따라 형성된 홈일 수 있으나, 케이크 홀더(300)의 외경을 따라 형성된 돌기일 수도 있고, 결합위치 표시부(220)가 돌출 형성될 경우 결합위치 표시부(220)가 케이크 홀더(300) 가장자리를 감싸 케이크 홀더(300)가 외부 충격에 의해 지정된 위치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열흡수공(210)은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위치 표시부(220) 내측에 형성되어 저온의 공기가 케이크 홀더(300)를 차갑게 하는 형태로 열 흡수가 이루어질 경우, 상부 수용공간의 공기 온도가 낮아지며 상부커버(400)의 내면에 물방울이 맺히고, 상부커버(400) 내면에 맺힌 물방울이 조각 케이크에 낙하하여 조각 케이크를 훼손하는 문제를 방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도면 상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서로 접촉하느 상기 격리 플레이트(200)의 하측 가장자리와, 상기 지지립(110)의 상측 가장자리를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코팅 시, 밀폐령이 향상되어 지지립(110)과 격리 플레이트(200)의 접촉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차가운 공기가 상부 수용공간으로 올라오는 것을 차단할 수도 있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케이크 홀더(300)는 평평한 형태의 베이스 플레이트(32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20)의 좌측과 우측에 형성되는 수직 플레이트(330)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20)의 후측에 상기 돌출 손잡이(3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20)는 조각 케이크의 형상에 대응되는 삼각 형상을 가져 조각 케이크의 하면을 지지하고, 상기 수직 플레이트(330)는 베이스 플레이트(320)에 지지되는 조각 케이크의 측면을 감싸 조각 케이크가 움직이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조각 케이크가 인접한 다른 조각 케이크와 부딪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제1 단차형성 립(130)에 상기 돌출 손잡이(310)가 끼워지는 제1 단차홈(120)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단차형성 립(410)에 상기 제1 단차홈(120)에 대응되는 제2 단차홈(4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 단차형성 립(130)과 제2 단차형성 립(410)에 서로 대응되는 제1 단차홈(120)과 제2 단차홈(411)이 형성되어, 하부커버(100)와 상부커버(400) 결합 시 제1 단차홈(120)과 제2 단차홈(411)이 합쳐지며 돌출 손잡이(310)가 끼워지는 돌출 손잡이 삽입공을 형성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돌출 손잡이(310)가 돌출 손잡이 삽입공에 끼워질 시 케이크 홀더(300)의 움직임이 최소화되므로 외부 충격 또는 흔들림에 의해 발생하는 케이크의 훼손을 최소화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때, 돌출 손잡이(3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320)의 후측에만 형성될 수 있으나, 돌출 손잡이(310)를 베이스 플레이트(320)의 전측과 후측에 모두 형성하여, 케이크 홀더(300)의 전/후/좌/우/상/하 전방향 움직임을 모두 제한할 수도 있다.
상기 하부커버(100), 격리 플레이트(200), 상부커버(400)는 평행사변형 단면 형상을 가지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20)가 이등변 삼각형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을 권장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원형 케이크를 자를 경우 만들어지는 조각 케이크가 이등변 삼각형 형상을 가지므로, 조각 케이크가 안착되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20) 또한 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져야 한다.
이때, 격리 플레이트(200)가 모든 꼭지점이 수직인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경우, 케이크 홀더(300)가 위치되지 못하는 영역이 발생하고, 이러한 영역은 격리 플레이트(200)에 지지될 수 있는 최대 케이크 홀더(300) 개수가 줄어드는 문제를 야기하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리 플레이트(200)를 평행사변형 형태로 만들어, 격리 플레이트(200)에 보다 많은 개수의 케이크 홀더(3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격리 플레이트(200)가 평행사변형 형태를 가질 경우, 상기 하부커버(100) 및 상기 상부커버(400) 또한 상면과 하면이 이에 대응되는 평행사변형 형상을 가져야 함은 물론이다.
아울러, 베이스 플레이트(320)가 이등변 삼각형 형상을 가질 경우, 베이스 플레이트(320)의 꼭지각(A)과 밑각(B)을 연결하는 두 개의 변에 상기 수직 플레이트(330)가 수직 결합되고, 두 개의 밑각을 연결하는 하나의 변에 상기 돌출 손잡이(31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320)가 이등변 삼각형 형상을 가지고, 격리 플레이트(200)가 평행사변형 형상을 가질 경우, 복수개의 케이크 홀더(300)는 서로 전후 방향으로 어긋나게 교차 배치되어야 공간활용도를 높여 활용되지 못하는 베이스 플레이트(320)의 영역을 최소화 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 단차형성 립(130)은 이러한 케이크 홀더(300) 배치에 대응하여 하부커버(100)의 전측과 후측에 서로 어긋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단차형성 립(410) 또한 상기 상부커버(400)에 제1 단차형성 립(130)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하부커버 110 : 지지립
120 : 제1 단차홈 130 : 제1 단차형성 립
200 : 격리 플레이트 210 : 열흡수공
300 : 케이크 홀더 310 : 돌출 손잡이
320 : 베이스 플레이트 330 : 수직 플레이트
400 : 상부커버 410 : 제2 단차형성 립
500 : 체결수단

Claims (9)

  1. 내면에 지지립(110)이 형성되고, 상측 단부에 제1 단차홈(120)이 형성되는 하부커버(100);
    상기 지지립(110)에 거치되는 격리 플레이트(200);
    상기 제1 단차홈(120)에 삽입되는 돌출 손잡이(310)가 형성되는 케이크 홀더(300); 및
    상기 하부커버(100)와 체결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상부커버(400);를 포함하는, 케이크 보관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커버(100)는 상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1 단차형성 립(130);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커버(400)는 하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2 단차형성 립(410);을 포함하는, 케이크 보관용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차형성 립(410)이 형성하는 단턱이 상기 제1 단차형성 립(130)과 마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 보관용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차형성 립(130)에 상기 제1 단차홈(120)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단차형성 립(410)에 상기 제1 단차홈(120)과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2 단차홈(4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 보관용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 플레이트(200)는 두께방향으로 천공되는 열흡수공(210);을 포함하하는, 케이크 보관용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크 홀더(300)는 평평한 형태의 베이스 플레이트(32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20)의 좌측과 우측에 형성되는 수직 플레이트(330);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20)의 후측에 상기 돌출 손잡이(3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 보관용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20)는 삼각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 보관용기.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커버(100)와 상기 상부커버(400)를 체결하는 체결수단(500);을 포함하는, 케이크 보관용기.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20)는 이등변 삼각형 형상을 가지고,
    꼭지각과 밑각을 연결하는 두 개의 변에 상기 수직 플레이트(3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 보관용기.
KR1020220138886A 2022-10-26 2022-10-26 케이크 보관용기 KR2024005828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8886A KR20240058285A (ko) 2022-10-26 2022-10-26 케이크 보관용기
PCT/KR2023/015981 WO2024090873A1 (ko) 2022-10-26 2023-10-17 케이크 보관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8886A KR20240058285A (ko) 2022-10-26 2022-10-26 케이크 보관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8285A true KR20240058285A (ko) 2024-05-03

Family

ID=90831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8886A KR20240058285A (ko) 2022-10-26 2022-10-26 케이크 보관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58285A (ko)
WO (1) WO2024090873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124Y1 (ko) 2014-08-14 2015-09-03 이정모 기능성케이크용기
KR200480980Y1 (ko) 2015-06-02 2016-08-05 이정모 기능성 케이크용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391Y1 (ko) * 2002-05-04 2002-07-26 (주)대영프라스틱 과일포장용기
KR200489957Y1 (ko) * 2018-03-08 2019-09-02 이정모 기능성 케이크 용기
CN210942825U (zh) * 2019-10-29 2020-07-07 华海(太仓)纸业有限公司 一种蛋糕盒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124Y1 (ko) 2014-08-14 2015-09-03 이정모 기능성케이크용기
KR200480980Y1 (ko) 2015-06-02 2016-08-05 이정모 기능성 케이크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90873A1 (ko) 2024-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86239A (en) Ice cube maker
US10611517B2 (en) Ventilated container apparatus
US5397097A (en) Ice cube trays with integral lids
US5287979A (en) Ovoid container for condiments
US9027780B2 (en) Egg and other product packaging
CA2069790A1 (fr) Conditionnement calorifuge pour le transport refrigere ou chaud de recipients contenant des produits alimentaires
US2618937A (en) Refrigerated package
US20160304263A1 (en) Cooling Storage Container for Perishable Items
US7763296B2 (en) Food items, systems and methods
JP2014508273A (ja) 冷凍された商品を用意し分配する装置
KR20240058285A (ko) 케이크 보관용기
KR20120002901A (ko) 냉장 보관용 포장체
JP3568342B2 (ja) 冷蔵庫
KR200478124Y1 (ko) 기능성케이크용기
JP3215166U (ja) 食物用保冷カバー
JPS601105Y2 (ja) 容器
KR100936823B1 (ko) 포장용 상자
KR20080029065A (ko) 다용도 포장박스
KR20170024746A (ko) 케익 포장 박스
JP3553905B2 (ja) 品物の鮮度保持可能な二重梱包装置
JPH0720047Y2 (ja) 容器の蓋構造
JPH0411987Y2 (ko)
JPH024916Y2 (ko)
CN217075525U (zh) 一种包装糕点用的包装盒
KR20090003935A (ko) 제과제빵류 운반용 보냉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