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8268A - 이메일 제목 자동 생성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메일 제목 자동 생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8268A
KR20240058268A KR1020220138841A KR20220138841A KR20240058268A KR 20240058268 A KR20240058268 A KR 20240058268A KR 1020220138841 A KR1020220138841 A KR 1020220138841A KR 20220138841 A KR20220138841 A KR 20220138841A KR 20240058268 A KR20240058268 A KR 202400582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l
category
information
user
su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8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순찬
Original Assignee
최순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순찬 filed Critical 최순찬
Priority to KR1020220138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8268A/ko
Publication of KR20240058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82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7Computer-aided management of electronic mailing [e-mai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21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메일 제목 자동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회사 업무 또는 메일의 성격과 관련된 키워드들을 유형별로 구분하는 복수의 카테고리들에 대한 명칭 및 우선순위에 해당하는 카테고리 정보를 저장하는 카테고리 저장부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기설정된 메일 서버에 연결된 전자 메일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메일 작성 페이지에 접속한 사용자로부터 메일 작성 요청을 수신하는 사용자 요청 수신부와, 상기 메일 작성 요청이 수신되면, 기저장된 카테고리별 명칭 정보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메일 작성 페이지의 화면상의 메일 제목 영역을 복수 개로 분할한 후 각 분할 영역을 특정 카테고리 명칭과 매칭시키는 카테고리 설정 모듈과, 복수 개의 상기 분할 영역들 각각에 대응하는 카테고리에 대한 사용자 입력값을 기저장된 우선순위에 따라 조합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메일 작성 페이지의 메일 제목 정보를 생성하는 제목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사내 인트라넷을 통해 주고받는 업무 메일의 제목에 해당 업무와 관련된 중요 정보들을 구조화된 형태로 표시함에 따라 메일 수신자가 제목만으로도 메일의 성격이나 목적을 쉽게 파악 가능하여 업무 처리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이메일 제목 자동 생성 시스템{SYSTEM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SUBJECT OF EMAIL}
본 발명은 단일 셀로 구성된 이메일의 제목 입력 영역을 복수의 셀로 세분화하고 각 셀에 대하여 정의된 카테고리별로 입력된 정보를 미리 정의된 규칙에 따라 조합하여 제목 전체를 표현하는 메일 제목 정보를 생성하는 이메일 제목 자동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 있어서 이메일(e-mail)이 중요한 통신 수단으로 자리 잡음에 따라 기업의 업무는 물론이고 개인 간의 안부 등도 이메일을 통해 주고받는 것이 일상화되고 있다.
특히, 종래에는 일반 기업의 업무에서 종이에 인쇄된 형태의 일반 문서가 주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업무에 필요한 문서의 형태도 전자화된 것이 많고, 또한, 단순히 종이에 인쇄할 수 없는 성질의 문서도 다수 존재하므로 이메일에 대한 업무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각종 주체로부터 이메일이 발송되는 상황에서, 이메일을 받는 사용자는 편리한 점도 있지만 당연히 불편한 점도 존재한다. 너무 많은 이메일을 분류하기가 힘들다는 점이 대표적인 단점이다.
위와 같이 이메일을 발송하는 주체가 다양하면 이를 분류하는 데에만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며, 그때그때 적절히 분류해 놓지 않으면 소정 기간 후 예를 들어 열흘 정도 후에는 너무 많은 이메일이 이메일함에 쌓여 있어서 분류할 엄두가 나지 않아 그대로 방치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당장은 문제가 없으나, 예컨대 한달 후에 필요한 이메일을 찾아보려면 상당한 불편을 감수해야 한다.
또한, 다양한 주체 중에서도 업무상 자신과 긴밀한 연락을 하는 소정의 그룹이 존재할 터인데, 이들 사이의 이메일에 대해서는 분류 및 공유의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그러나, 하루에도 수십, 수백 통의 이메일을 주고받는 상황에서 직접 이메일들을 하나하나 폴더에 넣어 관리하기가 번거롭고, 업무와 관련된 중요 사항들을 이전에 메일로 주고받은 기억이 있더라도 제목만으론 원하는 정보가 포함된 메일을 찾기가 쉽지 않다.
KR 10-2241885 B1 KR 10-1043975 B1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일 셀로 구성된 이메일의 제목 입력 영역을 복수의 셀로 세분화하고 각 셀에 대하여 정의된 카테고리별로 입력된 정보를 미리 정의된 규칙에 따라 조합하여 제목 전체를 표현하는 메일 제목 정보를 생성하는 이메일 제목 자동 생성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이메일 제목 자동 생성 시스템은, 회사 업무 또는 메일의 성격과 관련된 키워드들을 유형별로 구분하는 복수의 카테고리들에 대한 명칭 및 우선순위에 해당하는 카테고리 정보를 저장하는 카테고리 저장부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기설정된 메일 서버에 연결된 전자 메일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메일 작성 페이지에 접속한 사용자로부터 메일 작성 요청을 수신하는 사용자 요청 수신부와, 상기 메일 작성 요청이 수신되면, 기저장된 카테고리별 명칭 정보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메일 작성 페이지의 화면상의 메일 제목 영역을 복수 개로 분할한 후 각 분할 영역을 특정 카테고리 명칭과 매칭시키는 카테고리 설정 모듈과, 복수 개의 상기 분할 영역들 각각에 대응하는 카테고리에 대한 사용자 입력값을 기저장된 우선순위에 따라 조합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메일 작성 페이지의 메일 제목 정보를 생성하는 제목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테고리 설정 모듈은, 상기 메일 작성 요청에 응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카테고리의 개수 및 명칭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또는 선택받기 위한 설정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카테고리 설정부와, 상기 설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카테고리 개수에 따라 상기 메일 제목 영역을 복수 개의 셀 영역들로 분할하는 셀 영역 분할부와, 상기 복수 개의 셀 영역들을 상기 설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카테고리 명칭들과 기저장된 카테고리별 우선순위에 따른 순서대로 일대일 매칭시키는 카테고리 매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목 생성 모듈은, 각각의 상기 셀 영역의 위치에 해당 셀에 매칭되는 카테고리 명칭에 대한 속성을 나타내는 입력값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입력창을 카테고리별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입력창 표시부와, 상기 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복수 개의 사용자 입력값을 셀 위치 순서대로 조합한 결과값을 상기 전자 메일 프로그램에 의해 사용자가 작성하고자 하는 메일의 제목 정보로 생성하는 제목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각 카테고리별 명칭 정보에 대하여 기설정된 데이터 유형 및 자릿수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값의 오류 여부를 판단하는 오류 판단부와, 상기 사용자 입력값에 오류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입력창에 대응하는 셀 영역의 경계에 위치한 픽셀들의 픽셀값들을 상기 셀 영역이 강조 표시되도록 변경하여 오류 발생 위치를 알리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 입력값의 수정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입력창 주변에 표시하는 오류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테고리 저장부는, 회사 내외부에서 상기 메일 서버를 통해 업무 메일로 공유하는 업무 관련 정보에 포함되는 업무 프로젝트, 업무 아이템, 업무 이슈 및 업무 내용에 각각 대응하는 제1, 제2, 제3 및 제4 카테고리에 대한 명칭 정보와 미리 정의된 규칙에 따른 카테고리별 우선순위 정보를 카테고리별로 구분한 카테고리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며, 사용자가 상기 메일 제목 정보가 포함된 업무 메일을 상기 전자 메일 프로그램을 통해 특정 수신인에게 발송하는 경우, 상기 메일 제목 정보와 이에 대응하는 상기 업무 메일의 발송 시간 정보를 함께 매칭한 메일 기록 정보를 저장 및 갱신하는 메일 기록 저장부와, 상기 메일 기록 정보가 갱신되는 시점마다 상기 메일 기록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상기 메일 제목 정보들 중에서 상기 제1 및 제2 카테고리의 속성값들이 모두 일치하는 경우를 검색하여 그룹화한 리스트를 생성한 후 이를 히스토리 정보로 저장하는 히스토리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업무 메일의 제목에 해당 업무와 관련된 중요 정보들을 구조화된 형태로 표시함에 따라 메일 수신자가 제목만으로도 메일의 성격이나 목적을 쉽게 파악 가능하여 업무 처리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일 제목에 포함된 업무 관련 정보를 바탕으로 프로젝트별 아이템에 대한 히스토리 정보를 일정 주기마다 생성 및 공유할 수 있어 각 프로젝트 담당자가 업무 진행 상황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일 제목의 세분화되고 정의된 카테고리를 기준으로 메일의 분류가 쉬워지고 지정된 장소로의 자동 이동 및 자동 저장이 가능하여, 별도의 정리가 필요 없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대상에게 공유가 필요한 메일을 정의된 카테고리에서 분류하여 대상자에게 발송하거나, 제3의 기능을 이용하여 특정 장소에 표현되도록 함으로써, 인력의 투입 없이 특정 사안에 대한 현황관리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메일 제목 자동 생성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카테고리 설정 모듈 및 제목 생성 모듈의 내부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제목 생성 모듈에 의해 카테고리별로 입력받은 사용자 입력값과 이에 따른 메일 제목 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오류 알림부에 의해 오류가 발생한 입력창에 대응하는 셀 영역을 강조 표시하고 상기 셀 영역의 주변에 수정 요청 메시지를 표시하는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2의 히스토리 생성부에 의해 히스토리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려는 과제, 과제의 해결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메일 제목 자동 생성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카테고리 설정 모듈 및 제목 생성 모듈의 내부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제목 생성 모듈에 의해 카테고리별로 입력받은 사용자 입력값과 이에 따른 메일 제목 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오류 알림부에 의해 오류가 발생한 입력창에 대응하는 셀 영역을 강조 표시하고 상기 셀 영역의 주변에 수정 요청 메시지를 표시하는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2의 히스토리 생성부에 의해 히스토리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전술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메일 제목 자동 생성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메일 제목 자동 생성 시스템은 크게 카테고리 저장부(100), 작성 요청 수신부(200), 카테고리 설정 모듈(300), 제목 생성 모듈(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카테고리 저장부(100)는 회사 업무와 관련된 키워드들을 유형별로 구분하는 복수의 카테고리들에 대한 명칭 및 우선순위에 해당하는 카테고리 정보를 저장한다.
카테고리 저장부(100)는 기설정된 메일 서버(2)를 통해 회사 내외부에서 업무 메일로 공유하는 업무 관련 정보에 포함되는 업무 프로젝트, 업무 아이템, 업무 이슈 및 업무 내용에 각각 대응하는 제1, 제2, 제3 및 제4 카테고리에 대한 명칭 정보와, 미리 정의된 규칙에 따른 우선순위 정보를 카테고리별로 구분한 카테고리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일 서버(2)는 회사 내부의 인트라넷과 외부 인터넷망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망에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카테고리별 우선순위 정보는 업무 범위, 업무 대상, 업무 유형, 업무 내용의 순으로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하도록 정의된 규칙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회사에서 수행하는 업무 프로세스의 경우에 업무 범위, 업무 대상, 업무 유형, 업무 내용의 순으로 세분화하여 관리함을 고려한 것이다.
이 경우, 업무 범위를 특정하는 업무 프로젝트에 대응하는 제1 카테고리의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값을 가지고, 업무 대상을 특정하는 업무 아이템에 대응하는 제2 카테고리의 우선순위가 두번째로 높은 값을 가지고, 업무 유형을 특정하는 업무 이슈에 대응하는 제3 카테고리의 우선순위가 세번째로 높은 값을 가지고, 업무 내용에 대응하는 제4 카테고리의 우선순위가 가장 낮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카테고리 저장부(100)는 메일 서버(2)에 기등록된 관리자의 단말기를 통해 복수의 카테고리들 각각에 대한 명칭을 나타내는 텍스트값을 입력받아 입력된 텍스트값을 해당 카테고리의 명칭 정보로 저장할 수 있고, 해당 관리자의 입력에 따라 카테고리별 우선순위 정보를 설정하거나 변경할 수도 있다.
작성 요청 수신부(200)는 메일 서버(2)에 접속한 사용자로부터 소정 업무와 관련된 업무 메일에 대한 작성 요청을 수신한다.
작성 요청 수신부(200)는 사용자 단말기(20)를 통해 메일 서버(2)에 연결된 전자 메일 프로그램(4)을 실행하여 메일 작성 페이지(P)에 접속한 사용자로부터 메일 작성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카테고리 설정 모듈(300)은 사용자가 작성하고자 하는 업무 메일의 제목과 관련된 키워드에 대한 카테고리들을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카테고리 설정 모듈(300)은 작성 요청 수신부(200)에 의해 메일 작성 요청이 수신되면, 카테고리 저장부(100)에 기저장된 카테고리별 명칭 정보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메일 작성 페이지(P)의 화면상의 메일 제목 영역(A)을 복수 개로 분할한 후 각 분할 영역을 특정 카테고리 명칭과 매칭시킬 수 있다.
카테고리 설정 모듈(3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고리 설정부(310), 셀 영역 분할부(320) 및 카테고리 매칭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카테고리 설정부(310)는 작성 요청 수신부(200)에 의해 수신된 메일 작성 요청에 응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카테고리의 개수 및 명칭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또는 선택받기 위한 설정 인터페이스(IS)를 사용자 단말기(20)로 제공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한다.
여기서, 설정 인터페이스(IS)는 메일 작성 페이지(P)의 화면상의 메일 제목 영역(A)에 대한 입력 필드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사용자가 원하는 카테고리의 개수에 대한 숫자 형태의 텍스트값을 입력받기 위한 개수 입력창을 표시하여 이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텍스트값을 수신하고, 메일 제목 영역(A)의 주변 영역에 기저장된 복수의 카테고리 명칭들을 아이콘 형태로 표시하여 상기 입력된 텍스트값에 대응하는 개수의 아이콘을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것일 수 있다.
셀 영역 분할부(320)는 설정 인터페이스(IS)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카테고리 개수에 따라 메일 작성 페이지(P)의 메일 제목 영역(A)을 복수 개의 셀 영역들(S1,S2,...,Sn)로 분할한다.
카테고리 매칭부(330)는 복수 개의 셀 영역들(S1~Sn)을 설정 인터페이스(IS)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카테고리 명칭들과 기저장된 카테고리별 우선순위에 따른 순서대로 일대일 매칭시킨다.
제목 생성 모듈(400)은 카테고리 설정 모듈(300)에 의해 메일 제목 영역(A)에 대응하여 매칭된 카테고리 명칭들과 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메일 제목 정보를 생성한다.
제목 생성 모듈(400)은 셀 영역 분할부(320)에 의해 분할된 복수 개의 분할 영역들 각각에 대응하는 카테고리에 대한 사용자 입력값을 기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조합한 결과에 기초하여 메일 작성 페이지(P)의 메일 제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목 생성 모듈(4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창 표시부(410) 및 제목 정보 생성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창 표시부(410)는 각각의 셀 영역의 위치에 해당 셀에 매칭되는 카테고리 명칭에 대한 속성을 나타내는 입력값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속성 입력창(W)을 카테고리별로 구분하여 표시한다.
제목 정보 생성부(420)는 속성 입력창(W)을 통해 입력된 복수 개의 사용자 입력값을 셀 위치 순서대로 조합한 결과값을 전자 메일 프로그램(4)에 의해 사용자가 작성하고자 하는 업무 메일의 제목 정보로 생성한다.
예컨대,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만약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업무 프로젝트에 대응하는 제1 카테고리에 대한 속성 입력창(31)에 'A1234'이 입력되고, 업무 아이템에 대응하는 제2 카테고리에 대한 속성 입력창(32)에 'ABC001'이 입력되고, 업무 유형에 대응하는 제3 카테고리에 대한 속성 입력창(33)에 'A/S 요청'이 입력되고, 업무 내용에 대응하는 제4 카테고리에 대한 속성 입력창(34)에 '운송중 handle 파손 발생'이 입력된다면, 제목 정보 생성부(420)는 기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제1 내지 제4 카테고리에 대한 속성 입력값을 순서대로 조합한 결과에 대응하는 "A1234 ABC001 A/S요청 운송중 handle 파손 발생"을 메일 제목 정보(40)로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만일 사용자가 메일 작성 페이지(P)에서 작성 완료한 메일을 특정 수신인에게 발송하게 되면, 상기 수신인이 전자 메일 프로그램(4)을 실행하여 메일 확인 페이지에 접속하는 경우에 해당 메일의 제목 영역에 제목 정보 생성부(420)에 의해 생성된 메일 제목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메일 제목 자동 생성 시스템은 전술한 특징들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비록 도면상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입력창 표시부(410)에 의한 사용자 입력값을 기저장된 업무별 담당자 정보와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작성하는 메일의 수신인으로 업무 담당자의 메일 주소를 자동으로 추천하거나 참조로 추가하는 기능을 더 가질 수 있다.
이를 구체화하면, 만약 회사 내부의 ERP 시스템에 프로젝트별 담당자 정보가 사전에 등록된 상태라 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이메일 자동 생성 시스템에서는 업무 프로젝트에 대응하는 제1 카테고리에 대한 속성 입력창(W)을 통한 사용자 입력값을 기등록된 프로젝트 정보(예컨대, 프로젝트 번호)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일치하는 프로젝트 정보에 대응하는 담당자의 메일 주소를 메일 작성 페이지(P)에서 수신인 메일 주소를 입력하는 입력 필드에 자동으로 추천 표시하거나 또는 해당 메일의 발송 시 참조로 추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메일 제목 자동 생성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류 판단부(500), 오류 알림부(600), 메일 기록 저장부(700) 및 히스토리 저장부(8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오류 판단부(500)는 카테고리 설정 모듈(300)에 의해 설정된 카테고리들에 대한 사용자 입력값의 오류 여부를 판단한다.
오류 판단부(500)는 각 카테고리별 명칭 정보에 대하여 기설정된 데이터 유형 및 자릿수에 기초하여 입력창 표시부(410)의 속성 입력창(W)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값(VA)의 오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업무 프로젝트를 나타내는 제1 카테고리나 업무 아이템을 나타내는 제2 카테고리의 경우엔, 영문과 숫자를 각각 몇 글자씩 정해진 자릿수에 맞춰 조합하는 식별정보 형식의 속성값을 가지도록 해당 카테고리에 대한 데이터 유형 및 자릿수가 기설정된 상태일 수 있다.
오류 알림부(600)는 오류 판단부(500)에 의해 사용자 입력값(VA)에 오류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오류 발생 위치를 알리거나 또는 수정 요청 메시지(M)를 표시한다.
오류 알림부(600)는 사용자 입력값(VA)에 오류가 있다고 판단되면, 사용자 입력값(VA)이 입력된 속성 입력창(W)에 대응하는 셀 영역의 경계에 위치한 픽셀들의 픽셀값들을 상기 셀 영역이 강조 표시되도록 변경하여 사용자에게 오류 발생 위치를 알릴 수 있다.
오류 알림부(600)는 사용자 입력값(VA)에 오류가 있다고 판단되면, 사용자 입력값(VA)의 수정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해당 입력값(VA)이 입력된 속성 입력창(W) 주변에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를 참조하면, 제1 카테고리에 대한 데이터 형식 및 자릿수가 '영문 1글자'와 '숫자 4글자'의 조합으로 기설정된 상태일 때, 만약 제1 카테고리에 대한 속성 입력창(W)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입력값이 "A 1 2 3"라면, 오류 알림부(600)는 사용자 입력값("A 1 2 3")이 입력된 셀 영역의 경계에 위치한 픽셀들의 픽셀값들을 "#000000(검은색)"에서 "FF0000(빨간색)"으로 변경하여 강조 표시할 수 있고, 해당 셀 영역의 바로 아래 위치에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입력값을 수정해주세요."와 같은 수정 요청 메시지(M)를 표시할 수 있다.
메일 기록 저장부(700)는 제목 정보 생성부(420)에 의해 생성된 메일 제목 정보(MT)를 이용하여 메일 서버(2)를 통해 사용자가 발송 또는 수신한 업무 메일에 대한 메일 기록 정보를 저장한다.
메일 기록 저장부(700)는 사용자가 메일 제목 정보(MT)가 포함된 업무 메일을 특정 수신인에게 발송하는 경우, 메일 제목 정보(MT)와 이에 대응하는 업무 메일의 발송 시간 정보를 함께 매칭한 메일 기록 정보(ML)를 저장 및 갱신할 수 있다.
히스토리 저장부(800)는 특정 프로젝트의 특정 아이템에 대한 메일 기록에 기초하여 해당 아이템의 업무 진행 상황에 대한 히스토리 정보를 생성 및 저장한다.
히스토리 저장부(800)는 메일 기록 정보(ML)가 갱신되는 시점마다 메일 기록 정보(ML)에 포함된 복수의 메일 제목 정보들(MT) 중에서 제1 및 제2 카테고리의 속성값들이 모두 일치하는 경우를 검색하여 그룹화한 리스트를 생성한 후 이를 히스토리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를 참조하면, 메일 기록 저장부(700)에 제1 제목 정보(51), 제2 제목 정보(52) 및 제3 제목 정보(53)가 각각에 대응하는 메일의 발송 시간 정보와 함께 매칭된 메일 기록 정보(ML)가 기저장된 상태에서 제4 제목 정보(54)가 새로 추가되어 갱신되는 경우, 히스토리 저장부(800)는 메일 기록 정보(ML)에 포함된 제1 및 제2 카테고리의 속성값들이 "A1234" 및 "ABC001"로 일치하는 제1 제목 정보(51) 및 제4 제목 정보(54)에 포함된 제3 및 제4 카테고리의 속성값들을 각각의 발송 시간 정보와 함께 그룹화한 리스트를 생성하여 히스토리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만약 회사 내부의 ERP 시스템에 프로젝트별 담당자 정보가 사전에 등록된 상태라면, 본 발명에 따른 이메일 제목 자동 생성 시스템에서는 히스토리 저장부(800)에 의해 새로운 히스토리 정보가 생성될 때마다 또는 기설정된 주기마다 히스토리 저장부(800)에 저장된 상기 히스토리 정보에 대응하는 제1 카테고리(업무 프로젝트)의 속성값과 일치하는 업무 프로젝트의 담당자의 메일 주소로 해당 히스토리 정보를 자동으로 발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각 프로젝트 담당자가 해당 프로젝트에 포함된 많은 아이템들 각각에 대한 히스토리 정보를 개별적으로 관리하고 진행 상황을 체크할 수 있어 업무 처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강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으므로, 상술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형상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써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에서 기술된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이러한 다양한 수정 및 변경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전술한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이메일 제목 자동 생성시스템 20: 사용자 단말기
22: 전자메일 프로그램 100: 카테고리 저장부
200: 작성 요청 수신부 300: 카테고리 설정 모듈
310: 카테고리 설정부 320: 셀 영역 분할부
330: 카테고리 매칭부 400: 제목 생성 모듈
410: 입력창 표시부 420: 제목 정보 생성부
500: 오류 판단부 600: 오류 알림부
700: 메일 기록 저장부 800: 히스토리 저장부

Claims (5)

  1. 회사 업무 또는 메일의 성격과 관련된 키워드들을 유형별로 구분하는 복수의 카테고리들에 대한 명칭 및 우선순위에 해당하는 카테고리 정보를 저장하는 카테고리 저장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기설정된 메일 서버에 연결된 전자 메일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메일 작성 페이지에 접속한 사용자로부터 메일 작성 요청을 수신하는 작성 요청 수신부;
    상기 메일 작성 요청이 수신되면, 기저장된 카테고리별 명칭 정보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메일 작성 페이지의 화면상의 메일 제목 영역을 복수 개로 분할한 후 각 분할 영역을 특정 카테고리 명칭과 매칭시키는 카테고리 설정 모듈; 및
    복수 개의 상기 분할 영역들 각각에 대응하는 카테고리에 대한 사용자 입력값을 기저장된 우선순위에 따라 조합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메일 작성 페이지의 메일 제목 정보를 생성하는 제목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메일 제목 자동 생성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 설정 모듈은,
    상기 메일 작성 요청에 응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카테고리의 개수 및 명칭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또는 선택받기 위한 설정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카테고리 설정부;
    상기 설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카테고리 개수에 따라 상기 메일 제목 영역을 복수 개의 셀 영역들로 분할하는 셀 영역 분할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셀 영역들을 상기 설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카테고리 명칭들과 기저장된 카테고리별 우선순위에 따른 순서대로 일대일 매칭시키는 카테고리 매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메일 제목 자동 생성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목 생성 모듈은,
    각각의 상기 셀 영역의 위치에 해당 셀에 매칭되는 카테고리 명칭에 대한 속성을 나타내는 입력값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입력창을 카테고리별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입력창 표시부; 및
    상기 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복수 개의 사용자 입력값을 셀 위치 순서대로 조합한 결과값을 상기 전자 메일 프로그램에 의해 사용자가 작성하고자 하는 메일의 제목 정보로 생성하는 제목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메일 제목 자동 생성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각 카테고리별 명칭 정보에 대하여 기설정된 데이터 유형 및 자릿수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값의 오류 여부를 판단하는 오류 판단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값에 오류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입력창에 대응하는 셀 영역의 경계에 위치한 픽셀들의 픽셀값들을 상기 셀 영역이 강조 표시되도록 변경하여 오류 발생 위치를 알리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 입력값의 수정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입력창 주변에 표시하는 오류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메일 제목 자동 생성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 저장부는,
    회사 내외부에서 상기 메일 서버를 통해 업무 메일로 공유하는 업무 관련 정보에 포함되는 업무 프로젝트, 업무 아이템, 업무 이슈 및 업무 내용에 각각 대응하는 제1, 제2, 제3 및 제4 카테고리에 대한 명칭 정보와 미리 정의된 규칙에 따른 카테고리별 우선순위 정보를 카테고리별로 구분한 카테고리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며,
    사용자가 상기 메일 제목 정보가 포함된 업무 메일을 상기 전자 메일 프로그램을 통해 특정 수신인에게 발송하는 경우, 상기 메일 제목 정보와 이에 대응하는 상기 업무 메일의 발송 시간 정보를 함께 매칭한 메일 기록 정보를 저장 및 갱신하는 메일 기록 저장부; 및
    상기 메일 기록 정보가 갱신되는 시점마다 상기 메일 기록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상기 메일 제목 정보들 중에서 상기 제1 및 제2 카테고리의 속성값들이 모두 일치하는 경우를 검색하여 그룹화한 리스트를 생성한 후 이를 히스토리 정보로 저장하는 히스토리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메일 제목 자동 생성 시스템.
KR1020220138841A 2022-10-26 2022-10-26 이메일 제목 자동 생성 시스템 KR202400582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8841A KR20240058268A (ko) 2022-10-26 2022-10-26 이메일 제목 자동 생성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8841A KR20240058268A (ko) 2022-10-26 2022-10-26 이메일 제목 자동 생성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8268A true KR20240058268A (ko) 2024-05-03

Family

ID=91077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8841A KR20240058268A (ko) 2022-10-26 2022-10-26 이메일 제목 자동 생성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826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975B1 (ko) 2009-03-30 2011-06-24 (주) 엠앤와이즈 계층적 태그를 이용하여 이메일의 공유 및 분류를 행할 수 있는 이메일 시스템
KR102241885B1 (ko) 2020-10-21 2021-04-20 (주)백산씨앤씨 이메일 관리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975B1 (ko) 2009-03-30 2011-06-24 (주) 엠앤와이즈 계층적 태그를 이용하여 이메일의 공유 및 분류를 행할 수 있는 이메일 시스템
KR102241885B1 (ko) 2020-10-21 2021-04-20 (주)백산씨앤씨 이메일 관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50549B2 (en) Electronic message organization via social groups
US11811714B2 (e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s for communication systems
US10963524B2 (en) Self populating address book
AU2003204084B2 (en) Contact user interface
US7720916B2 (en) Ordering personal information using social metadata
US8099465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eparing and replying to multi-party e-mails
US8407600B2 (en) Contact picker interface
US2015008182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ve information management
US20140047353A1 (en) Email conversation management system
EP2533182A1 (en) Displaying conversations in a conversation-based email system
US9852112B2 (en) Electronic discovery insight tool
US8589786B2 (en) Trademark report with store layout diagram
TW201640372A (zh) 電子郵件處理方法、用戶端及伺服器
US20160378721A1 (en) Electronic Discovery Insight Tool
US7555534B2 (en) Phonetic name support in an electronic directory
KR20240058268A (ko) 이메일 제목 자동 생성 시스템
US11888631B2 (en) Document management in a communication platform
WO2011144384A1 (en) Indicating relative changes in recipients between messages in a message thread
JP2002197027A (ja) 電子メールの宛先管理方法及び電子メールシステム
JP2005107720A (ja) メール送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8160278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2017018596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JP2004355314A (ja) 電子メール管理システム
Bates et al. List Concepts
JP2006072620A (ja) 電子文書資料データ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