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8021A - Primer sets for rapid detection of Escherichia coli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or O111 serotype and a method of detecting a serotype of Escherichia coli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rimer sets for rapid detection of Escherichia coli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or O111 serotype and a method of detecting a serotype of Escherichia coli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8021A
KR20240058021A KR1020230141394A KR20230141394A KR20240058021A KR 20240058021 A KR20240058021 A KR 20240058021A KR 1020230141394 A KR1020230141394 A KR 1020230141394A KR 20230141394 A KR20230141394 A KR 20230141394A KR 20240058021 A KR20240058021 A KR 20240058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q
nucleotide sequence
coli
probe
sero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413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주훈
신은지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40058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8021A/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8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 C12Q1/689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for bacteria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531/00Reactions of nucleic acids characterised by
    • C12Q2531/10Reactions of nucleic aci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being amplify/increase the copy number of target nucleic acid
    • C12Q2531/113PC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537/00Reactions characterised by the reaction format or use of a specific feature
    • C12Q2537/10Reactions characterised by the reaction format or use of a specific feature the purpose or use of
    • C12Q2537/143Multiplexing, i.e. use of multiple primers or probes in a single reaction, usually for simultaneously analyse of multiple ana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561/00Nucleic acid detection characterised by assay method
    • C12Q2561/101Taqma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561/00Nucleic acid detection characterised by assay method
    • C12Q2561/113Real time assa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6Primer sets for multiplex assay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장균의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또는 O111 혈청형 신속 동정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대장균의 혈청형 동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장균의 각 혈청형별로 특정 패턴을 가지는 유전자에 특이적인 6개의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대장균의 혈청형을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및 O111를 포함하는 그룹으로 그룹핑하는 방법 및 그룹핑 후 상기 21종의 혈청형에 대해 특이적인 각 프라이머 세트를 처리하여 대장균의 혈청형을 동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rapid identification of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or O111 serotype of E. coli. This relates to a primer set for E. coli and a method for identifying serotypes of E. coli us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serotypes of E. coli such as O103, O121, and O103 using six primer sets specific for genes with specific patterns for each serotype of E. coli. A method of grouping into groups including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and O111, and the above 21 after grouping A method for identifying the serotype of E. coli is provided by processing each primer set specific for the serotype of the species.

Description

대장균의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또는 O111 혈청형 신속 동정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대장균의 혈청형 동정 방법 {Primer sets for rapid detection of Escherichia coli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or O111 serotype and a method of detecting a serotype of Escherichia coli using the same}Primer set for rapid identification of E. coli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or O111 serotype and a method for identifying serotypes of Escherichia coli using the same {Primer sets for rapid detection of Escherichia coli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or O111 serotype and a method of detecting a serotype of Escherichia coli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대장균의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또는 O111 혈청형 신속 동정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대장균의 혈청형 동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장균의 각 혈청형별로 특정 패턴을 가지는 유전자에 특이적인 6개의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대장균의 혈청형을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및 O111를 포함하는 그룹으로 그룹핑하는 방법 및 그룹핑 후 상기 21종의 혈청형에 대해 특이적인 각 프라이머 세트를 처리하여 대장균의 혈청형을 동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rapid identification of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or O111 serotype of E. coli. This relates to a primer set for E. coli and a method for identifying serotypes of E. coli us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serotypes of E. coli such as O103, O121, and O103 using six primer sets specific for genes with specific patterns for each serotype of E. coli. A method of grouping into groups including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and O111, and the above 21 after grouping A method for identifying the serotype of E. coli is provided by processing each primer set specific for the serotype of the species.

대표적인 식중독균인 대장균은 혈청형에 따라 그 독성과 인체 내 기작이 다르고, 비병원성 대장균이 존재하기 때문에 대장균에 대한 단순한 검출 여부로 식품 폐기나 유통 정지는 식품산업에 막대한 비용 손실을 초래한다. 따라서, 선택 배지나 16S 동정방법으로 대장균의 검출뿐만 아니라 혈청형에 대한 동정이 필요하다. 기존의 혈청형 동정 방법은 항원-항체 반응을 활용한 항혈청(antiserum) 방법으로, 항혈청 자체가 고가일 뿐만 아니라 혈청형 동정을 위해 긴 반응 시간이 소요되며, 육안으로 결과를 판단해야하기 때문에 그 결과가 모호하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최근 활용되는 NGS(Next generation sequencing)로부터 염기서열을 확보하여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인실리코 혈청형결정 (in silico serotyping) 방법은 혈청형을 동정하기 위해 해당 균주의 게놈 서열 (genome sequence) 정보를 필요로 하며, 이를 얻기 위한 시퀀싱 (sequencing) 비용 역시 매우 고가이고, 장비의 분석 소요 시간이 최소 3일 이상이라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병원성 대장균에 의한 식중독의 발생을 감시하고 예방하기 위해 빠른 혈청형 동정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기존 혈청형 동정 방법은 이러한 한계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새로운 혈청형 동정 방법의 개발의 필요성을 절감하게 되었다.Escherichia coli, a representative food poisoning bacterium, has different toxicity and mechanisms in the human body depending on the serotype, and since non-pathogenic E. coli exists, discarding food or suspending distribution due to simple detection of E. coli causes enormous cost losses to the food industry. Therefore, not only detection of E. coli but also identification of serotype using selective media or 16S identification method is necessary. The existing serotype identification method is an antiserum method that utilizes an antigen-antibody reaction. Not only is the antiserum itself expensive, but it also requires a long reaction time for serotype identification, and the results must be judged with the naked eye. It has the limitation of being ambiguous. In addition, the recently used in silico serotyping method, which secures the base sequence from NGS (Next generation sequencing) and uses software, uses the genome sequence information of the strain to identify the serotype. It is necessary, and the cost of sequencing to obtain it is also very expensive, and it has the limitation that the analysis time for the equipment is at least 3 days. Although rapid serotype identification is necessary to monitor and prevent the occurrence of food poisoning caused by pathogenic E. coli, the existing serotype identification method has these limitations, and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 new serotype identification method has been recognized.

한편, 비특허문헌 1에서는 O-항원 유전자 클러스터 내에서 고유한 유전자 서열을 표적으로 하는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중합효소연쇄반응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을 통해 대장균의 혈청형을 동정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O-그룹의 수많은 혈청형을 개별 동정하기 위한 각 프라이머 세트를 필요로 한다.Meanwhile, Non-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method of identifying the serotype of E. coli through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using a primer set targeting a unique gene sequence within the O-antigen gene cluster. I'm doing it. However, this method requires each primer set to individually identify the numerous serotypes of the O-group.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발명자들은 대장균의 각 혈청형별로 특정 패턴을 가지는 6개의 유전자에 대한 각 프라이머 세트를 사용하여 증폭 산물의 검출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대장균의 O-그룹 혈청형을 1차적으로 그룹핑한 후, 그룹핑된 혈청형에 특이적인 각 프라이머 세트를 처리하여, 각 프라이머 세트의 비특이적 반응 및 교차 반응 없이 혈청형을 신속하게 동정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Under this background, the present inventors first grouped the O-group serotypes of E. coli by checking whether or not amplification products were detected using each primer set for six genes with specific patterns for each serotype of E. coli. ,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by developing a method that can quickly identify serotypes without non-specific reaction and cross-reaction of each primer set by processing each primer set specific to the grouped serotype.

DebRoy C, Fratamico PM, Roberts E. Molecular serogrouping of Escherichia coli. Anim Health Res Rev. 2018 Jun;19(1):1-16. DebRoy C, Fratamico PM, Roberts E. Molecular serogrouping of Escherichia coli. Anim Health Res Rev. 2018 Jun;19(1):1-16.

본 발명은 대장균의 O 혈청형을 특정 그룹으로 그룹핑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조성물, 키트 및 이를 이용한 O 혈청형 그룹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imer set, composition, and kit for grouping O serotypes of E. coli into specific groups, and a method for grouping O serotypes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장균의 개별 O 혈청형을 동정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조성물 키트 및 이를 이용한 개별 O 혈청형 동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imer set and composition kit for identifying individual O serotypes of E. coli, and a method for identifying individual O serotypes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술한 대장균의 O 혈청형 그룹핑용 프라이머 세트 및/또는 대장균의 개별 O 혈청형 동정용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 혈청형 동정을 위한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대장균의 O 혈청형 동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kit for identifying the O serotype of E. coli,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primer set for O serotype grouping of E. coli and/or a primer set for identifying individual O serotypes of E. coli, and the O serum of E. coli using the same. It provides a type identification method.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대장균의 각 혈청형별로 특정 패턴을 가지는 유전자에 각각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대장균의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및 O111 혈청형을 포함하는 그룹으로 그룹핑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 coli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which specifically binds to genes with specific patterns for each serotype of E. coli. Primer sets are provided for grouping into groups including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and O111 serotypes.

추가로, 본 발명은 전술한 프라이머 세트 및 대장균의 각 혈청형별로 특정 패턴을 가지는 유전자에 각각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로브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및 O111 혈청형을 포함하는 그룹으로 그룹핑하기 위한 조성물을 제공한다.Addition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 coli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primer set and probes that specifically bind to genes with specific patterns for each serotype of E. coli. Compositions are provided for grouping into groups comprising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and O111 serotypes.

이때, 상기 프라이머 세트는 다음의 제1 프라이머 세트 내지 제6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imer set may include the following first to sixth primer sets:

i) 서열번호 1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2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제1 프라이머 세트;i) a first primer set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

ii) 서열번호 4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5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제2 프라이머 세트;ii) a second primer set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

iii) 서열번호 7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8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제3 프라이머 세트;iii) a third primer set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8;

iv) 서열번호 10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11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제4 프라이머 세트;iv) a fourth primer set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0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1;

v) 서열번호 13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14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제5 프라이머 세트; 및v) a fifth primer set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3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4; and

vi) 서열번호 16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17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제6 프라이머 세트.vi) A sixth primer set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6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7.

이때, 상기 프로브는 다음의 제1 프로브 내지 제6 프로브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be may include the following first to sixth probes:

i) 서열번호 3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 프로브;i) a first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

ii) 서열번호 6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2 프로브;ii) a second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

iii) 서열번호 9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3 프로브;iii) a third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9;

iv) 서열번호 12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4 프로브;iv) a four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2;

v) 서열번호 15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5 프로브; 및v) a fif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5; and

vi) 서열번호 18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6 프로브.vi) A six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8.

추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대장균의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및 O111 혈청형을 포함하는 그룹으로 그룹핑하기 위한 키트를 제공한다.Addition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A kit is provided for grouping into groups including O91, O181 and O111 serotypes.

이때, 상기 키트는 반응완충액, dNTP 및 DNA 중합효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kit may additionally include reaction buffer, dNTP, and DNA polymerase.

추가로, 본 발명은 전술한 프라이머 세트, 조성물 또는 키트를 이용한 대장균의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및 O111 혈청형을 포함하는 그룹으로 그룹핑하는 방법을 제공한다.Addition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 coli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A method of grouping into groups including O88, O8, O91, O181 and O111 serotypes is provided.

이때, 상기 방법은 a) 제1 프라이머 세트와 제1 프로브, 제2 프라이머 세트와 제2 프로브 및 제3 프라이머 세트와 제3 프로브를 포함하는 제1 세트, 및 제4 프라이머 세트와 제4 프로브, 제5 프라이머 세트와 제5 프로브 및 제6 프라이머 세트와 제6 프로브를 포함하는 제2 세트를 각각 시료에 처리하여 중합효소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을 수행하는 단계; 및 b) 상기 시료에서 각 프라이머 세트와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ethod includes a) a first set including a first primer set and a first probe, a second primer set and a second probe, a third primer set and a third probe, and a fourth primer set and a fourth probe, Performing a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by treating the sample with a second set including a fifth primer set, a fifth probe, a sixth primer set, and a sixth probe, respectively; and b) confirming amplification products by each primer set and probe in the sample.

이때, 상기 방법은 c) 상기 시료에서 제2 프라이머 세트와 제2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이 검출되고, 제1 프라이머 세트와 제1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 제3 프라이머 세트와 제3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 제4 프라이머 세트와 제4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 제5 프라이머 세트와 제5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 및 제6 프라이머 세트와 제6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시료에 존재하는 대장균의 혈청형을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및 O111 혈청형을 포함하는 그룹으로 그룹핑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ethod is c) the amplification product by the second primer set and the second probe is detected in the sample, the amplification product by the first primer set and the first probe, and the amplification product by the third primer set and the third probe. If the product, the amplification product by the fourth primer set and the fourth probe, the amplification product by the fifth primer set and the fifth probe, and the amplification product by the sixth primer set and the sixth probe are not detected, they are present in the sample. The serotypes of E. coli are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and O111. An additional step of grouping into a containing group may be additionally included.

본 발명은 또한, 다음의 제7 프라이머 세트 내지 제27 프라이머 세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대장균의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또는 O111 혈청형 동정을 위한 프라이머 세트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f E. coli, comprising any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7th to 27th primer sets. Primer sets are provided for identification of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or O111 serotypes:

vii) 서열번호 19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20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03 혈청형 동정용 제7 프라이머 세트;vii) a seven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03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9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0;

viii) 서열번호 22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23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21 혈청형 동정용 제8 프라이머 세트;viii) an eigh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21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2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3;

ix) 서열번호 25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26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36 혈청형 동정용 제9 프라이머 세트;ix) a nin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36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5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6;

x) 서열번호 28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29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23 혈청형 동정용 제10 프라이머 세트;x) a ten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23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8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9;

xi) 서열번호 31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32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6 혈청형 동정용 제11 프라이머 세트;xi) an 11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6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1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2;

xii) 서열번호 34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35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56 혈청형 동정용 제12 프라이머 세트;xii) a twelf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56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4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5;

xiii) 서열번호 37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38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68 혈청형 동정용 제13 프라이머 세트;xiii) a 13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68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7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8;

xiv) 서열번호 40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41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70 혈청형 동정용 제14 프라이머 세트;xiv) a fourteen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70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0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1;

xv) 서열번호 43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44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3 혈청형 동정용 제15 프라이머 세트;xv) a 15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3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3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4;

xvi) 서열번호 46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47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40 혈청형 동정용 제16 프라이머 세트;xvi) a 16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40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6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7;

xvii) 서열번호 49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50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64 혈청형 동정용 제17 프라이머 세트;xvii) a 17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64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9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0;

xviii) 서열번호 52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53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66 혈청형 동정용 제18 프라이머 세트;xviii) an 18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66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2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3;

xix) 서열번호 55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56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78 혈청형 동정용 제19 프라이머 세트;xix) a 19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78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5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6;

xx) 서열번호 58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59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80 혈청형 동정용 제20 프라이머 세트;xx) a 20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80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8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9;

xxi) 서열번호 61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62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82 혈청형 동정용 제21 프라이머 세트;xxi) a 21st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82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1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2;

xxii) 서열번호 64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65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88 혈청형 동정용 제22 프라이머 세트;xxii) a 22nd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88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4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5;

xxiii) 서열번호 67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68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8 혈청형 동정용 제23 프라이머 세트;xxiii) a 23rd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8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7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8;

xxiv) 서열번호 70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71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91 혈청형 동정용 제24 프라이머 세트;xxiv) a 24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91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0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1;

xxv) 서열번호 73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74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81 혈청형 동정용 제25 프라이머 세트;xxv) a 25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81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3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4;

xxvi) 서열번호 76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77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11 혈청형 동정용 제26 프라이머 세트; 및xxvi) a 26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11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6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7; and

xxvii) 서열번호 79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80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74 혈청형 동정용 제27 프라이머 세트.xxvii) The 27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74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9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80.

추가로, 본 발명은 전술한 프라이머 세트 및 프로브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또는 O111 혈청형 동정을 위한 조성물,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대장균의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또는 O111 혈청형 동정 방법을 제공한다.Addition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f E. coli containing the above-described primer sets and probes. , O8, O91, O181 or O111 composition and kit for identifying serotypes and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f E. coli using the same. , O82, O88, O8, O91, O181 or O111 serotype identification method is provided.

이때, 상기 프로브는 서열번호 21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7 프로브, 서열번호 24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8 프로브, 서열번호 27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9 프로브, 서열번호 30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0 프로브, 서열번호 33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1 프로브, 서열번호 36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2 프로브, 서열번호 39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3 프로브, 서열번호 42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4 프로브, 서열번호 45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5 프로브, 서열번호 48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6 프로브, 서열번호 51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7 프로브, 서열번호 54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8 프로브, 서열번호 57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9 프로브, 서열번호 60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20 프로브, 서열번호 63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21 프로브, 서열번호 66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22 프로브, 서열번호 69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23 프로브, 서열번호 72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24 프로브, 서열번호 75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25 프로브, 서열번호 78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26 프로브 및 서열번호 81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27 프로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be is the 7th probe composed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1, the 8th probe composed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4, the 9th probe composed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7, and the 7th probe composed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0 10 probe, the 11th probe composed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3, the 12th probe composed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6, the 13th probe composed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9, the 14th probe composed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2 , the 15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5, the 16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8, the 17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1, the 18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4, sequence The 19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7, the 20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0, the 21st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3, the 22nd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6, SEQ ID NO: 69 The 23rd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2, the 24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5, the 25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8, and the 26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81 It may be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27th probe consisting of the sequence.

이때, 상기 키트는 반응완충액, dNTP 및 DNA 중합효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kit may additionally include reaction buffer, dNTP, and DNA polymerase.

본 발명은 또한, 대장균의 각 혈청형별로 특정 패턴을 가지는 유전자에 각각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라이머 세트; 및 대장균의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또는 O111 혈청형 동정을 위한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또는 O111 혈청형 동정을 위한 키트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rimer set that specifically binds to a gene having a specific pattern for each serotype of E. coli; and primers for identification of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or O111 serotypes of E. coli. Set of E. coli serotypes, including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or O111 Kits for identification are provided.

이때, 상기 대장균의 각 혈청형별로 특정 패턴을 가지는 유전자에 각각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라이머 세트는 다음의 제1 프라이머 세트 내지 제6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imer set that specifically binds to a gene having a specific pattern for each serotype of E. coli may include the following first to sixth primer sets:

i) 서열번호 1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2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제1 프라이머 세트;i) a first primer set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

ii) 서열번호 4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5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제2 프라이머 세트;ii) a second primer set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

iii) 서열번호 7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8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제3 프라이머 세트;iii) a third primer set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8;

iv) 서열번호 10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11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제4 프라이머 세트;iv) a fourth primer set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0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1;

v) 서열번호 13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14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제5 프라이머 세트; 및v) a fifth primer set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3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4; and

vi) 서열번호 16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17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제6 프라이머 세트.vi) A sixth primer set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6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7.

이때, 상기 키트는 대장균의 각 혈청형별로 특정 패턴을 가지는 유전자에 각각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다음의 제1 프로브 내지 제6 프로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kit may further include the following first to sixth probes, each specifically binding to a gene having a specific pattern for each serotype of E. coli:

i) 서열번호 3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 프로브;i) a first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

ii) 서열번호 6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2 프로브;ii) a second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

iii) 서열번호 9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3 프로브;iii) a third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9;

iv) 서열번호 12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4 프로브;iv) a four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2;

v) 서열번호 15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5 프로브; 및v) a fif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5; and

vi) 서열번호 18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6 프로브.vi) A six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8.

이때, 상기 대장균의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또는 O111 혈청형 동정을 위한 프라이머 세트는 다음의 제7 프라이머 세트 내지 제27 프라이머 세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identification of the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or O111 serotype of E. coli The primer set for may include any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7th to 27th primer sets:

vii) 서열번호 19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20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03 혈청형 동정용 제7 프라이머 세트;vii) a seven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03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9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0;

viii) 서열번호 22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23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21 혈청형 동정용 제8 프라이머 세트;viii) an eigh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21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2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3;

ix) 서열번호 25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26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36 혈청형 동정용 제9 프라이머 세트;ix) a nin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36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5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6;

x) 서열번호 28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29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23 혈청형 동정용 제10 프라이머 세트;x) a ten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23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8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9;

xi) 서열번호 31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32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6 혈청형 동정용 제11 프라이머 세트;xi) an 11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6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1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2;

xii) 서열번호 34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35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56 혈청형 동정용 제12 프라이머 세트;xii) a twelf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56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4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5;

xiii) 서열번호 37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38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68 혈청형 동정용 제13 프라이머 세트;xiii) a 13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68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7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8;

xiv) 서열번호 40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41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70 혈청형 동정용 제14 프라이머 세트;xiv) a fourteen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70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0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1;

xv) 서열번호 43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44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3 혈청형 동정용 제15 프라이머 세트;xv) a 15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3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3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4;

xvi) 서열번호 46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47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40 혈청형 동정용 제16 프라이머 세트;xvi) a 16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40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6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7;

xvii) 서열번호 49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50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64 혈청형 동정용 제17 프라이머 세트;xvii) a 17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64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9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0;

xviii) 서열번호 52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53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66 혈청형 동정용 제18 프라이머 세트;xviii) an 18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66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2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3;

xix) 서열번호 55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56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78 혈청형 동정용 제19 프라이머 세트;xix) a 19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78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5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6;

xx) 서열번호 58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59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80 혈청형 동정용 제20 프라이머 세트;xx) a 20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80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8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9;

xxi) 서열번호 61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62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82 혈청형 동정용 제21 프라이머 세트;xxi) a 21st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82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1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2;

xxii) 서열번호 64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65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88 혈청형 동정용 제22 프라이머 세트;xxii) a 22nd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88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4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5;

xxiii) 서열번호 67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68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8 혈청형 동정용 제23 프라이머 세트;xxiii) a 23rd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8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7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8;

xxiv) 서열번호 70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71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91 혈청형 동정용 제24 프라이머 세트;xxiv) a 24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91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0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1;

xxv) 서열번호 73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74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81 혈청형 동정용 제25 프라이머 세트;xxv) a 25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81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3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4;

xxvi) 서열번호 76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77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11 혈청형 동정용 제26 프라이머 세트; 및xxvi) a 26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11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6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7; and

xxvii) 서열번호 79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80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74 혈청형 동정용 제27 프라이머 세트.xxvii) The 27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74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9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80.

이때, 상기 키트는 서열번호 21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7 프로브, 서열번호 24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8 프로브, 서열번호 27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9 프로브, 서열번호 30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0 프로브, 서열번호 33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1 프로브, 서열번호 36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2 프로브, 서열번호 39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3 프로브, 서열번호 42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4 프로브, 서열번호 45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5 프로브, 서열번호 48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6 프로브, 서열번호 51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7 프로브, 서열번호 54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8 프로브, 서열번호 57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9 프로브, 서열번호 60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20 프로브, 서열번호 63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21 프로브, 서열번호 66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22 프로브, 서열번호 69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23 프로브, 서열번호 72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24 프로브, 서열번호 75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25 프로브, 서열번호 78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26 프로브 및 서열번호 81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27 프로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kit includes a seven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1, an eigh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4, a nin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7, and a first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0. 10 probe, the 11th probe composed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3, the 12th probe composed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6, the 13th probe composed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9, the 14th probe composed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2 , the 15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5, the 16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8, the 17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1, the 18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4, sequence The 19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7, the 20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0, the 21st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3, the 22nd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6, SEQ ID NO: 69 The 23rd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2, the 24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5, the 25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8, and the 26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81 It may include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27th probe consisting of the sequence.

이때, 상기 키트는 반응완충액, dNTP 및 DNA 중합효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kit may additionally include reaction buffer, dNTP, and DNA polymerase.

추가로, 본 발명은 전술한 키트를 이용한 대장균의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또는 O111 혈청형 동정 방법을 제공한다.Addition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f E. coli using the above-described kit. , provides a method for identifying O181 or O111 serotypes.

이때, 상기 방법은 다음의 a) 내지 d)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ethod may include the following steps a) to d):

a) 제1 프라이머 세트와 제1 프로브, 제2 프라이머 세트와 제2 프로브 및 제3 프라이머 세트와 제3 프로브를 포함하는 제1 세트, 및 제4 프라이머 세트와 제4 프로브, 제5 프라이머 세트와 제5 프로브 및 제6 프라이머 세트와 제6 프로브를 포함하는 제2 세트를 각각 시료에 처리하여 중합효소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을 수행하는 단계;a) a first set comprising a first primer set and a first probe, a second primer set and a second probe and a third primer set and a third probe, and a fourth primer set and a fourth probe, a fifth primer set and Performing a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by treating the sample with a fifth probe, a sixth primer set, and a second set including the sixth probe, respectively;

b) 상기 시료에서 각 프라이머 세트와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을 확인하는 단계;b) confirming amplification products by each primer set and probe in the sample;

c) 상기 시료에서 제2 프라이머 세트와 제2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이 검출되고, 제1 프라이머 세트와 제1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 제3 프라이머 세트와 제3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 제4 프라이머 세트와 제4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 제5 프라이머 세트와 제5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 및 제6 프라이머 세트와 제6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시료에 존재하는 대장균의 혈청형을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및 O111 혈청형을 포함하는 그룹으로 그룹핑하는 단계; 및c) The amplification product by the second primer set and the second probe is detected in the sample, the amplification product by the first primer set and the first probe, the amplification product by the third primer set and the third probe, and the fourth primer. If the amplification product by the set and the fourth probe, the amplification product by the fifth primer set and the fifth probe, and the amplification product by the sixth primer set and the sixth probe are not detected, the serotype of E. coli present in the sample grouped into groups containing the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and O111 serotypes. steps; and

d) 대장균의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또는 O111 혈청형을 동정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와 프로브를 상기 시료에 처리하는 단계.d) Identify the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or O111 serotype of E. coli. Processing the sample with a set of primers and probes.

이때, 상기 d) 단계에서 대장균의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또는 O111 혈청형을 동정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와 프로브는 다음의 vii) 내지 xxvii)로부터 선택되는 프라이머 세트와 프로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step d), E. coli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or O111 Primer sets and probes for identifying serotypes may include any one or more of the primer sets and probes selected from the following vii) to xxvii):

vii) 서열번호 19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20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03 혈청형 동정용 제7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21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7 프로브;vii) a seven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03 serotype of E. coli, includ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9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0, and a seven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1;

viii) 서열번호 22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23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21 혈청형 동정용 제8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24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8 프로브;viii) an eigh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21 serotype of E. coli, includ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2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3, and an eigh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4;

ix) 서열번호 25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26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36 혈청형 동정용 제9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27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9 프로브;ix) a nin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36 serotype of E. coli, includ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5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6, and a nin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7;

x) 서열번호 28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29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23 혈청형 동정용 제10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30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0 프로브;x) a ten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23 serotype of E. coli, includ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8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9, and a ten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0;

xi) 서열번호 31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32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6 혈청형 동정용 제11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33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1 프로브;xi) an 11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6 serotype of E. coli, includ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1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2, and an 11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3;

xii) 서열번호 34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35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56 혈청형 동정용 제12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36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2 프로브;xii) a twelf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56 serotype of E. coli, includ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4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5, and a twelf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6;

xiii) 서열번호 37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38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68 혈청형 동정용 제13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39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3 프로브;xiii) a 13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68 serotype of E. coli, includ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7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8, and a 13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9;

xiv) 서열번호 40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41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70 혈청형 동정용 제14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42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4 프로브;xiv) a fourteen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70 serotype of E. coli, includ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0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1, and a fourteen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2;

xv) 서열번호 43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44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3 혈청형 동정용 제15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45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5 프로브;xv) a 15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3 serotype of E. coli, includ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3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4, and a 15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5;

xvi) 서열번호 46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47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40 혈청형 동정용 제16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48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6 프로브;xvi) a 16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40 serotype of E. coli, includ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6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7, and a 16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8;

xvii) 서열번호 49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50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64 혈청형 동정용 제17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51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7 프로브;xvii) a 17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64 serotype of E. coli, includ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9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0, and a 17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1;

xviii) 서열번호 52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53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66 혈청형 동정용 제18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54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8 프로브;xviii) an 18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66 serotype of E. coli, includ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2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3, and an 18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4;

xix) 서열번호 55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56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78 혈청형 동정용 제19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57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9 프로브;xix) a 19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78 serotype of E. coli, includ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5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6, and a 19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7;

xx) 서열번호 58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59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80 혈청형 동정용 제20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60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20 프로브;xx) a 20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80 serotype of E. coli, includ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8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9, and a 20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0;

xxi) 서열번호 61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62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82 혈청형 동정용 제21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63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21 프로브;xxi) a 21st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82 serotype of E. coli, includ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1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2, and a 21st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3;

xxii) 서열번호 64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65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88 혈청형 동정용 제22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66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22 프로브;xxii) a 22nd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88 serotype of E. coli, includ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4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5, and a 22nd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6;

xxiii) 서열번호 67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68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8 혈청형 동정용 제23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69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23 프로브;xxiii) a 23rd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8 serotype of E. coli, includ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7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8, and a 23rd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9;

xxiv) 서열번호 70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71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91 혈청형 동정용 제24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72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24 프로브;xxiv) a 24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91 serotype of E. coli, includ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0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1, and a 24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2;

xxv) 서열번호 73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74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81 혈청형 동정용 제25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75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25 프로브;xxv) a 25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81 serotype of E. coli, includ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3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4, and a 25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5;

xxvi) 서열번호 76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77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11 혈청형 동정용 제26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78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26 프로브; 및xxvi) a 26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11 serotype of E. coli, includ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6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7, and a 26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8; and

xxvii) 서열번호 79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80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74 혈청형 동정용 제27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81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27 프로브.xxvii) A 27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74 serotype of E. coli, includ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9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80, and a 27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81.

본 발명에 따른 대장균 혈청형 동정 방법은 제1 프라이머 세트 내지 제6 프라이머 세트와 제1 프로브 내지 제6 프로브를 이용하여, 각 프라이머 세트와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의 검출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1차적으로 대장균의 혈청형을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및 O111 혈청형을 포함하는 그룹으로 그룹핑한 후, 상기 그룹핑된 혈청형에 특이적인 각 프라이머 세트를 처리함으로써, 각 프라이머 세트의 비특이적 반응 및 교차 반응 없이 혈청형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동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적용된 실시간 PCR 기법은 PCR이 진행됨에 따라 증폭되는 DNA를 실시간으로 검출하는 방법으로, 일반적인 PCR과 다르게 추가적인 전기영동 없이 증폭된 DNA 확인이 가능하며, Taqman probe 방식의 실시간 PCR을 적용함에 따라 정방향(forward) 및 역방향(reverse) 프라이머와 더불어 5’ 및 3’ 말단에 형광물질을 부착시켜 표적 유전자가 증폭될 때마다 신호를 나타내어 정확도가 매우 높아 검출 한계(detection limit)가 낮은 장점을 갖는다.The method for identifying E. coli serotyp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first to sixth primer sets and the first to sixth probes to determine whether or not an amplification product is detected by each primer set and probe. E. coli serotypes include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and O111. After grouping into groups and processing each primer set specific for the grouped serotypes, serotypes can be quickly and accurately identified without non-specific reaction or cross-reaction of each primer set. In addition, the real-time PCR technique applied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detecting amplified DNA in real time as PCR progresses. Unlike general PCR, amplified DNA can be confirmed without additional electrophoresis, and real-time PCR using the Taqman probe method is possible. By applying the forward and reverse primers, a fluorescent substance is attached to the 5' and 3' ends to display a signal whenever the target gene is amplified, resulting in very high accuracy and a low detection limit. It has advantages.

도 1은 대장균 혈청형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및 O111를 포함하는 그룹 9에 대한 표 1의 그룹핑용 PCR 프라이머와 프로브의 멀티플렉스 PCR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대장균 혈청형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및 O111를 포함하는 그룹 9에 대한 표 2의 개별 혈청형 동정용 PCR 프라이머와 프로브의 멀티플렉스 PCR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대장균 혈청형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및 O111를 포함하는 그룹 9에 대한 표 1의 그룹핑용 PCR 프라이머와 프로브의 멀티플렉스 실시간 PCR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대장균 혈청형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및 O111를 포함하는 그룹 9에 대한 표 2의 개별 혈청형 동정용 PCR 프라이머와 프로브의 멀티플렉스 실시간 PCR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 자연 환경으로부터 수득한 미지의 시료로부터 분리된 균주에 대한 표 1의 그룹핑용 PCR 프라이머와 프로브의 멀티플렉스 실시간 PCR 결과 및 표 2의 개별 혈청형 동정용 PCR 프라이머와 프로브의 멀티플렉스 실시간 PCR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자연 환경으로부터 수득한 미지의 시료로부터 분리된 균주에 대해 항혈청 방법으로 혈청형을 동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 shows E. coli serotypes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and O111. The results of multiplex PCR using PCR primers and probes for grouping in Table 1 for group 9 are shown.
Figure 2 shows E. coli serotypes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and O111. Table 2 shows the multiplex PCR results of PCR primers and probes for individual serotype identification for group 9.
Figure 3 shows E. coli serotypes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and O111. The results of multiplex real-time PCR using PCR primers and probes for grouping in Table 1 for group 9 are shown.
Figure 4 shows E. coli serotypes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and O111. Table 2 shows the multiplex real-time PCR results of PCR primers and probes for individual serotype identification for group 9.
Figures 5a and 5b show the results of multiplex real-time PCR of the grouping PCR primers and probes in Table 1 and the PCR primers and probes for individual serotype identification in Table 2 for strains isolated from unknown samples obtained from the natural environment, respectively. This shows the results of multiplex real-time PCR.
Figure 6 shows the results of serotype identification for strains isolated from unknown samples obtained from the natural environment using an antiserum method.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All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are used with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in the field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preferred methods and samples are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but similar or equivalent methods are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기존 혈청형 동정 방법인 항혈청 방법이나 인실리코 혈청형결정 방법은 혈청형을 동정하기 위해 긴 분석시간 및 고가의 비용이 소요된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들은 분석 시간을 단축시키면서 비용 면에서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혈청형 동정 정확도가 높은 키트를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대장균의 각 혈청형별로 특정 패턴을 가지는 6개의 유전자에 특이적인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1차적으로 특정 혈청형을 가지는 대장균을 그룹핑할 수 있고, 상기 그룹핑된 혈청형에 특이적인 각 프라이머 세트를 처리하여 각 프라이머 세트의 비특이적 반응 및 교차 반응 없이 혈청형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동정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대장균의 혈청형을 그룹핑할 수 있는 6개의 프라이머 세트 및 특정 혈청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그룹핑된 그룹의 개별 혈청형을 동정할 수 있는 프라이머 세트를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문제의 해결방안을 모색하였다.As described above, the existing serotype identification methods, such as the antiserum method or the in silico serotyping method, have limitations in that they require a long analysis time and high cost to identify the serotype.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s have made diligent efforts to develop a kit that is not only cost-effective while shortening the analysis time, but also has high serotype identification accuracy. As a result, primers specific to six genes with specific patterns for each serotype of E. coli Using the set, E. coli having a specific serotype can be primarily grouped, and each primer set specific to the grouped serotype is processed to quickly and accurately identify the serotype without non-specific reaction or cross-reaction of each primer set. By confirming that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described above by providing six primer sets that can group serotypes of E. coli and a primer set that can identify individual serotypes of the group grouped as containing a specific serotype, A solution was sought.

구체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NCBI에서 1339개의 대장균 전체 유전체 서열 (complete genome sequence)을 다운받은 후, 인실리코 혈청형 방법 (In silico serotyping; Serotypefinder tool)으로 혈청형을 동정하였다. 그런 다음, 동정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 혈청형별로 n값 (complete genome sequnce)을 1~3개씩 선택한 후, 범유전체 분석 (pan-genome analysis)을 진행하였다. 이후 각 혈청형별로 특정 패턴을 가지는 6개의 유전자를 확인하였고, 이들 각 유전자의 유무에 따라 대장균의 혈청형이 9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지는 것을 발견하였다.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ors downloaded 1339 E. coli complete genome sequences from NCBI and then identified serotypes using in silico serotyping (Serotypefinder tool). Then, based on the identified data, 1 to 3 n values (complete genome sequences) were selected for each serotype, and then pan-genome analysis was performed. Afterwards, six genes with specific patterns were identified for each serotype, and it was discovered that E. coli serotypes were divided into nine groups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each gene.

본 발명은 상기 결과에 따라, 제9 그룹 (Group 9)으로 그룹핑된 대장균의 혈청형을 동정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제9 그룹은 제2 프라이머 세트와 제2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이 검출되고, 제1 프라이머 세트와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 제3 프라이머 세트와 제3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 제4 프라이머 세트와 제4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 제5 프라이머 세트와 제5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 및 제6 프라이머 세트와 제6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이 검출되지 않는,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및 O111 혈청형을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identifying the serotype of E. coli grouped into Group 9, wherein the amplification product by the second primer set and the second probe is detected in Group 9, An amplification product using a first primer set and a probe, an amplification product using a third primer set and a third probe, an amplification product using a fourth primer set and a fourth probe, an amplification product using a fifth primer set and a fifth probe, and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for which amplification products by the sixth primer set and sixth probe were not detected. , O8, O91, O181 and O111 serotypes.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다음의 제1 프라이머 세트 내지 제6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및 O111 혈청형을 포함하는 그룹으로 그룹핑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조성물,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대장균의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및 O111 혈청형을 포함하는 그룹으로 그룹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refore,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ollowing first to sixth primer sets,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f E. coli, Primer sets, compositions, and kits for grouping into groups including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and O111 serotypes, and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Methods for grouping into groups comprising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and O111 serotypes:

i) 서열번호 1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2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제1 프라이머 세트;i) a first primer set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

ii) 서열번호 4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5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제2 프라이머 세트;ii) a second primer set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

iii) 서열번호 7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8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제3 프라이머 세트;iii) a third primer set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8;

iv) 서열번호 10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11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제4 프라이머 세트;iv) a fourth primer set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0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1;

v) 서열번호 13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14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제5 프라이머 세트; 및v) a fifth primer set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3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4; and

vi) 서열번호 16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17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제6 프라이머 세트.vi) A sixth primer set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6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7.

본 발명에서 용어 "프라이머" 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신장이 개시되는 조건 하에 놓일 때 주형-방향으로 핵산 합성의 개시점으로서 작용할 수 있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지칭한다. 프라이머는 또한 de novo RNA 합성 및 시험관내 전사-관련 공정의 개시제로서 포함되는, 다양한 기타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중재 합성 공정에서 사용될 수 있다. 프라이머는 전형적으로는, 단일-가닥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예를 들어, 올리고데옥시리보뉴클레오타이드)이다. 프라이머의 적절한 길이는 전형적으로는 6 내지 40 개의 뉴클레오타이드 범위, 보다 전형적으로는 15 내지 35 개의 뉴클레오타이드 범위에서 의도되는 사용에 따라 달라진다. 짧은 프라이머 분자는 일반적으로 주형과 충분히 안정적인 혼성화 착물을 형성하기 위해 보다 저온의 온도를 요구한다. 프라이머는 주형의 정확한 서열을 반영하는 것은 요구되지 않으나, 프라이머가 신장되기 위한 주형과 혼성화되기 위해 충분히 상보적이어야 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용어 "프라이머 세트"는 증폭되는 핵산 서열의 5'-말단에 상보적으로 혼성화되는 5'-센스 프라이머를 포함하고, 증폭되는 서열의 3' 말단에 혼성화되는 3'-안티센스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프라이머의 세트를 의미한다. 프라이머는, 필요한 경우, 분광학적, 광화학적, 생화학적, 면역화학적 또는 화학적 수단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표지를 혼입함으로써 표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용한 표지는 하기를 포함한다: 32P, 형광 염료, 전자-덴스 시약, 효소 (ELISA 분석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됨), 비오틴, 또는 합텐 및 항혈청 또는 모노클로날 항체가 이용될 수 있는 단백질.As used herein, the term “primer” refers to a polynucleotide that can act as an initiation point for nucleic acid synthesis in the template-direction when placed under conditions that initiate polynucleotide elongation. Primers can also be used in a variety of other oligonucleotide-mediated synthesis processes, including as initiators of de novo RNA synthesis and in vitro transcription-related processes. Primers are typically single-stranded oligonucleotides (e.g., oligodeoxyribonucleotides). The appropriate length of the primer depends on the intended use, typically ranging from 6 to 40 nucleotides, more typically from 15 to 35 nucleotides. Short primer molecules generally require lower temperatures to form sufficiently stable hybridization complexes with the template. Primers are not required to reflect the exact sequence of the template, but must be sufficiently complementary to hybridize to the template for the primer to be extended. In certain embodiments, the term "primer set" includes a 5'-sense primer that hybridizes complementary to the 5'-end of the nucleic acid sequence to be amplified, and a 3'-antisense primer that hybridizes to the 3' end of the sequence to be amplified. It means a set of primers containing. Primers may be labeled, if desired, by incorporating a label that can be detected by spectroscopic, photochemical, biochemical, immunochemical or chemical means. For example, useful labels include: 32 P, fluorescent dyes, electron-dense reagents, enzymes (commonly used in ELISA assays), biotin, or haptens, and proteins for which antiserum or monoclonal antibodies may be used. .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프라이머 세트의 정방향 프라이머는 'DR-F', 역방향 프라이머는 'DR-R'로 지칭되고, 제2 프라이머 세트의 정방향 프라이머는 'CD-F', 역방향 프라이머는 'CD-R'로 지칭되고, 제3 프라이머 세트의 정방향 프라이머는 'G4E-F', 역방향 프라이머는 'G4E-R'로 지칭되고, 제4 프라이머 세트의 정방향 프라이머는 'A4E-F', 역방향 프라이머는 'A4E-R'로 지칭되고, 제5 프라이머 세트의 정방향 프라이머는 'BGT-F', 역방향 프라이머는 'BGT-R'로 지칭되고, 제6 프라이머 세트의 정방향 프라이머는 'D2E-F', 역방향 프라이머는 'D2E-R'로 지칭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orward primer of the first primer set is referred to as 'DR-F' and the reverse primer is referred to as 'DR-R', the forward primer of the second primer set is referred to as 'CD-F', and the reverse primer is referred to as 'CD-F'. -R', the forward primer of the third primer set is referred to as 'G4E-F', the reverse primer is referred to as 'G4E-R', the forward primer of the fourth primer set is referred to as 'A4E-F', and the reverse primer is referred to as 'A4E-F'. It is referred to as 'A4E-R', the forward primer of the fifth primer set is referred to as 'BGT-F', the reverse primer is referred to as 'BGT-R', and the forward primer of the sixth primer set is referred to as 'D2E-F', reverse primer. The primer is referred to as 'D2E-R'.

본 발명에 따른 대장균의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및 O111 혈청형을 포함하는 그룹으로 그룹핑하기 위한 조성물은 전술한 프라이머 세트 및 대장균의 각 혈청형별로 특정 패턴을 가지는 유전자에 각각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로브를 포함할 수 있다.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and O111 serotypes of E. coli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mposition for grouping into a containing group may include the above-described primer set and a probe that specifically binds to a gene having a specific pattern for each serotype of E. coli.

본 발명에서 용어 "프로브"란 상보적인 염기서열과 특이적 결합을 이룰 수 있는 짧게는 수 염기 내지 길게는 수백 염기에 해당하는 RNA 또는 DNA 등의 핵산 단편을 의미하며 표지되어 (labeling) 있으므로 특정 염기서열의 존재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브는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oligonucleotide) 프로브, 단일가닥 DNA (single stranded DNA) 프로브, 이중가닥 DNA (double stranded DNA) 프로브, RNA 프로브 등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실시간 PCR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형광표식 프로브를 이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TaqMan 프로브를 이용하는 경우 5' 말단은 형광물질로 3' 말단은 소광물질 (quencher)로 표지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PCR 반응액에 첨가한다. 또한, 사이클링 (Cycling) 프로브를 이용한 실시간 PCR은 RNA와 DNA로 이루어지는 키메라 프로브와 RNAse H로 구성된 고감도의 검출방법이다. 이 역시 프로브의 5' 말단은 형광물질로 3' 말단은 소광물질로 표지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probe" refers to a nucleic acid fragment such as RNA or DNA that is as short as a few bases or as long as several hundreds of bases, capable of forming a specific binding to a complementary base sequence, and is labeled so that it has a specific base.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equence can be confirmed. Probes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oligonucleotide probes, single stranded DNA probes, double stranded DNA probes, RNA probes, etc. Additionally, fluorescently labeled probes can be used to perform real-time PCR. More specifically, when using a TaqMan probe, an oligonucleotide labeled with a fluorescent substance at the 5' end and a quencher at the 3' end is added to the PCR reaction solution. In addition, real-time PCR using a cycling probe is a highly sensitive detection method consisting of a chimeric probe made of RNA and DNA and RNAse H. In this case, the 5' end of the probe is labeled with a fluorescent substance and the 3' end with a quencher.

프로브는 증폭 과정 동안 정방향 및 역방향 프라이머 사이에 위치한 특정 표적 서열에 어닐링되며, PCR 사이클의 연장 단계 (extension phase) 동안 Taq 중합효소의 5' 뉴클레아제 활성에 의해 절단되어 형광물질 (리포터 염료)이 소광물질 (소광 염료)로부터 분리되어 형광 강도가 증가된다. 형광 강도는 실시간 PCR 시스템에 의해 각 PCR 사이클에서 모니터링될 수 있다.The probe anneals to a specific target sequence located between the forward and reverse primers during the amplification process and is cleaved by the 5' nuclease activity of Taq polymerase during the extension phase of the PCR cycle to produce a fluorescent substance (reporter dye). Separation from the quencher (quenching dye) increases the fluorescence intensity. Fluorescence intensity can be monitored at each PCR cycle by a real-time PCR system.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대장균의 각 혈청형별로 특정 패턴을 가지는 유전자에 각각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로브는 다음의 제1 프로브 내지 제6 프로브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bes that specifically bind to genes having a specific pattern for each serotype of E. coli may include the following first to sixth probes:

i) 서열번호 3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 프로브; ii) 서열번호 6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2 프로브; iii) 서열번호 9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3 프로브; iv) 서열번호 12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4 프로브; v) 서열번호 15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5 프로브; 및 vi) 서열번호 18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6 프로브.i) a first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 ii) a second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 iii) a third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9; iv) a four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2; v) a fif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5; and vi) a six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8.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브는 'DR-P', 제2 프로브는 'CD-P', 제3 프로브는 'G4E-P', 제4 프로브는 'A4E-P', 제5 프로브는 'BGT-P', 제6 프로브는 'D2E-P'로 지칭되며, 각각 순서대로 상기 제1 프라이머 세트 내지 제6 프라이머 세트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robe is 'DR-P', the second probe is 'CD-P', the third probe is 'G4E-P', the fourth probe is 'A4E-P', and the fifth probe is 'BGT-P' and the sixth probe are referred to as 'D2E-P' and can be used together with the first to sixth primer sets in each order.

본 발명에 따른 대장균의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및 O111 혈청형을 포함하는 그룹으로 그룹핑하기 위한 키트는 전술한 조성물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and O111 serotypes of E. coli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kit for grouping into a containing group may include the composition of the above-described composition.

본 발명의 키트는 분석 방법에 적합한 한 종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구성 성분 조성물, 용액 또는 장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키트는 멀티플렉스 PCR (multiplex PCR) 또는 멀티플렉스 실시간 PCR (multiplex real-time PCR)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필수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키트는 반응완충액, dNTP 및 DNA 중합효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키트는 버퍼, DNA 중합효소 보조인자 및 데옥시리보뉴클레오타이드-5-트리포스페이트와 같은 표적 핵산 증폭 반응(예컨대, PCR 반응)을 실시하는데 필요한 시약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키트는 또한 다양한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분자, 역전사효소, 다양한 버퍼 및 시약, 및 DNA 중합효소 활성을 억제하는 항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트는 특정 반응에서 사용되는 시약의 최적량은, 본 명세서에 개시사항을 습득한 당업자에 의해서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본 발명의 장비는 앞서 언급된 구성 성분들을 포함하는 별도의 포장 또는 컴파트먼트(compartment)로 제작될 수 있다.The k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other component compositions, solutions, or devices suitable for the analysis method. Preferably, the kit may include essential elements required to perform multiplex PCR or multiplex real-time PCR. Specifically, the kit may further include a reaction buffer, dNTPs, and DNA polymerase. For example, the k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optionally include reagents necessary to perform a target nucleic acid amplification reaction (e.g., PCR reaction), such as buffer, DNA polymerase cofactor, and deoxyribonucleotide-5-triphosphate. . Optionally, the kits of the invention may also include various polynucleotide molecules, reverse transcriptase, various buffers and reagents, and antibodies that inhibit DNA polymerase activity. In addition, the optimal amount of reagents used in the kit for a specific reaction can be easily determin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who has learned the disclosure herein. Typically, the equip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nufactured in separate packaging or compartments containing the previously mentioned components.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키트는 음성 대조군과 양성 대조군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음성 대조군 (negative control)은 DNA 혼합물이 없는 대조군으로 PCR 수행 시 오염 가능성을 제거하기 위해 필요하다. 양성 대조군 (positive control)은 PCR이 의도한대로 수행되었는지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해 필요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kit may further include a negative control and a positive control. A negative control is a control without the DNA mixture and is necessary to eliminate the possibility of contamination when performing PCR. Positive controls are necessary to validate that the PCR performed as intended.

본 발명에 따른 대장균의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및 O111 혈청형을 포함하는 그룹으로 그룹핑하는 방법은 전술한 프라이머 세트, 조성물 또는 키트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and O111 serotypes of E. coli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grouping into a containing group can be performed using the primer set, composition, or kit described above.

구체적으로, 상기 방법은 제1 프라이머 세트와 제1 프로브, 제2 프라이머 세트와 제2 프로브 및 제3 프라이머 세트와 제3 프로브를 포함하는 제1 세트, 및 제4 프라이머 세트와 제4 프로브, 제5 프라이머 세트와 제5 프로브 및 제6 프라이머 세트와 제6 프로브를 포함하는 제2 세트를 각각 시료에 처리하여 중합효소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을 수행하는 단계; 및 b) 상기 시료에서 각 프라이머 세트와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method includes a first set including a first primer set and a first probe, a second primer set and a second probe, a third primer set and a third probe, and a fourth primer set and a fourth probe, Performing a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by treating the sample with a second set including a fifth primer set, a fifth probe, a sixth primer set, and a sixth probe, respectively; and b) confirming amplification products by each primer set and probe in the sampl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 사용되는 프라이머 세트와 프로브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그 기재를 생략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of the primer set and probe used in step a)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so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본 발명의 방법은 PCR에 의해 구현되며, 이때, 프라이머는 유전자 증폭 반응 (amplification reactions)에 이용된다.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by PCR, where primers are used for gene amplification reactions.

본 발명의 그룹핑하는 방법은 상기 제1 프라이머 세트와 제1 프로브, 제2 프라이머 세트와 제2 프로브 및 제3 프라이머 세트와 제3 프로브를 포함하는 제1 세트를 처리한 시료, 및 제4 프라이머 세트와 제4 프로브, 제5 프라이머 세트와 제5 프로브 및 제6 프라이머 세트와 제6 프로브를 포함하는 제2 세트를 처리한 시료에 대해 각각 PCR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The group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ample treated with the first set including the first primer set and the first probe, the second primer set and the second probe, the third primer set and the third probe, and the fourth primer set. and a second set including a fourth probe, a fifth primer set, a fifth probe, a sixth primer set, and a sixth probe.

PCR은 가장 잘 알려진 핵산 증폭 방법으로, 그의 많은 변형과 응용들이 개발되어 있다. 예를 들어, PCR의 특이성 또는 민감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전통적인 PCR 절차를 변형시켜 터치다운 (touchdown) PCR, 핫 스타트 (hot start) PCR, 네스티드 (nested) PCR 및 부스터 (booster) PCR이 개발되었다. 또한, 멀티플렉스 PCR, 실시간 (real-time) PCR, 분별 디스플레이 PCR (differential display PCR: DD-PCR), cDNA 말단의 신속 증폭 (rapid amplification of cDNA ends: RACE), 인버스 중합효소 연쇄반응 (inverse polymerase chain reaction: IPCR), 벡토레트 (vectorette) PCR 및 TAIL-PCR (thermal asymmetric interlaced PCR)이 특정한 응용을 위해 개발되었다. PCR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McPherson, M.J., 및 Moller, S.G. PCR. BIOS Scientific Publishers, Springer-Verlag New York Berlin Heidelberg, N.Y. (2000)에 기재되어 있으며, 그의 교시사항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된다.PCR is the best-known nucleic acid amplification method, and many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have been developed. For example, touchdown PCR, hot start PCR, nested PCR, and booster PCR have been developed by modifying traditional PCR procedures to improve the specificity or sensitivity of PCR. In addition, multiplex PCR, real-time PCR, differential display PCR (DD-PCR), rapid amplification of cDNA ends (RACE), inverse polymerase chain reaction chain reaction (IPCR), vectorette PCR and TAIL-PCR (thermal asymmetric interlaced PCR) have been develop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more information about PCR, see McPherson, M.J., and Moller, S.G. PCR. BIOS Scientific Publishers, Springer-Verlag New York Berlin Heidelberg, N.Y. (2000), the teachings of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증폭 반응"은 핵산 분자를 증폭하는 반응을 의미한다. 다양한 증폭 반응들이 당업계에 보고되어 있으며, 이는 중합효소 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미국 특허 제4,683,195호, 제4,683,202호, 및 제4,800,159호), 역전사-중합효소 연쇄반응(RT-PCR; Sambrook 등,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3rd ed. Cold Spring Harbor Press(2001)), Miller, H. I.(WO 89/06700) 및 Davey, C. 등(EP 329,822)의 방법, 멀티플렉스 PCR(McPherson and Moller, 2000), 리가아제 연쇄 반응(ligase chain reaction; LCR), Gap-LCR(WO 90/01069), 복구 연쇄 반응(repair chain reaction; EP 439,182), 전사-중재 증폭 (transcription-mediated amplification, TMA; WO 88/10315), 자가 유지 염기서열 복제(self sustained sequence replication; WO 90/06995), 타깃 폴리뉴클레오타이드 염기서열의 선택적 증폭(selective amplification of target polynucleotide sequences; 미국 특허 제6,410,276호), 컨센서스 서열 프라이밍 중합 효소 연쇄 반응(consensus sequence primed polymerase chain reaction, CP-PCR; 미국 특허 제4,437,975호), 임의적 프라이밍 중합효소 연쇄 반응(arbitrarily primed polymerase chain reaction, AP-PCR; 미국 특허 제5,413,909호 및 제5,861,245호), 핵산 염기서열 기반 증폭(nucleic acid sequence based amplification, NASBA; 미국 특허 제5,130,238호, 제5,409,818호, 제5,554,517호 및 제6,063,603호), 가닥 치환 증폭(strand displacement amplification) 및 고리-중재 항온성 증폭(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LAMP)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사용 가능한 다른 증폭 방법들은 미국특허 제5,242,794호, 제5,494,810호, 제4,988,617호 및 미국 특허 제09/854,317호에 기술되어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amplification reaction” refers to a reaction that amplifies a nucleic acid molecule. A variety of amplification reactions have been reported in the art, including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US Pat. Nos. 4,683,195, 4,683,202, and 4,800,159),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Sambrook et al., A Laboratory Manual, 3rd ed. Cold Spring Harbor Press (2001)), method of Miller, H. I. (WO 89/06700) and Davey, C. et al. (EP 329,822), multiplex PCR (McPherson and Moller, 2000), ligase chain reaction (LCR), Gap-LCR (WO 90/01069), repair chain reaction (EP 439,182), transcription-mediated amplification (TMA) ; WO 88/10315), self sustained sequence replication (WO 90/06995), selective amplification of target polynucleotide sequences (US Patent No. 6,410,276), consensus sequence priming Consensus sequence primed polymerase chain reaction (CP-PCR; U.S. Patent No. 4,437,975), arbitrarily primed polymerase chain reaction (AP-PCR; U.S. Patent Nos. 5,413,909 and 5,861,245) , nucleic acid sequence based amplification (NASBA; U.S. Patent Nos. 5,130,238, 5,409,818, 5,554,517 and 6,063,603), strand displacement amplification and ring-mediated homeothermic amplification (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LAMP), but is not limited to this. Other amplification methods that can be used are described in US Pat. Nos. 5,242,794, 5,494,810, 4,988,617, and US Patent 09/854,317.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유전자 증폭 반응을 실시함으로써, 분석 대상, 예를 들어, 식품을 비롯하여 임상 검체인 객담, 혈액, 타액 또는 소변 등으로부터 분리된 DNA 시료)에서 타겟 유전자들을 동시에 검출할 수 있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gene amplification reaction using a primer set, thereby simultaneously amplifying target genes from the analysis target (e.g., DNA samples isolated from food as well as clinical specimens such as sputum, blood, saliva, or urine). It can be detected.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시료는 식품에서 유래된 시료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임상 검체에서 유래된 시료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임상 검체는 객담, 타액, 혈액 및 소변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refore, in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ple in step a) may be a sample derived from foo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sample derived from a clinical specimen may also be used. The clinical specimen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sputum, saliva, blood, and urine.

시료에서 DNA를 추출하는 것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실시될 수 있다 (참조: Sambrook, J. et al.,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3rd ed. Cold Spring Harbor Press(2001); Tesniere, C. et al., Plant Mol. Biol. Rep., 9:242(1991); Ausubel, F.M. et al., Curren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 John Willey & Sons(1987); 및 Chomczynski, P. et al., Anal. Biochem. 162:156(1987)).Extraction of DNA from a sample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known in the art (see Sambrook, J. et al.,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3rd ed. Cold Spring Harbor Press (2001); Tesniere, C. et al., Plant Mol. Rep., 9:242 (1991); Curren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 John Willey & Sons (1987); al., Biochem. 162:156 (1987).

본 발명에 이용되는 프라이머는 주형의 한 부위에 혼성화 또는 어닐링되어, 이중쇄 구조를 형성한다. 이러한 이중쇄 구조를 형성하는 데 적합한 핵산 혼성화의 조건은 Joseph Sambrook, 등,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Cold Spring Harbor, N.Y.(2001) 및 Haymes, B.D., 등, Nucleic Acid Hybridization, A Practical Approach, IRL Press, Washington, D.C. (1985)에 개시되어 있다.The prim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ybridizes or anneals to one site of the template to form a double-stranded structure. Conditions for nucleic acid hybridization suitable for forming these double-chain structures are described in Joseph Sambrook, et al.,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Cold Spring Harbor, N.Y. (2001) and Haymes, B.D., et al., Nucleic Acid Hybridization. , A Practical Approach, IRL Press, Washington, D.C. (1985).

다양한 DNA 중합효소가 본 발명의 증폭에 이용될 수 있으며, E. coli DNA 중합효소 I의 클레나우(Klenow) 단편, 열안정성 DNA 중합효소 및 박테리오파아지 T7 DNA 중합효소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중합효소는 다양한 박테리아 종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열안정성 DNA 중합효소이고, 이는 Thermus aquaticus(Taq), Thermus thermophilus(Tth), Thermus filiformis, Thermis flavus, Thermococcus literalis, 및 Pyrococcus furiosus(Pfu)를 포함한다.A variety of DNA polymerases can be used in the ampl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Klenow fragment of E. coli DNA polymerase I, thermostable DNA polymerase, and bacteriophage T7 DNA polymerase. Specifically, the polymerase is a thermostable DNA polymerase that can be obtained from various bacterial species, including Thermus aquaticus (Taq), Thermus thermophilus (Tth), Thermus filiformis, Thermis flavus, Thermococcus literalis, and Pyrococcus furiosus (Pfu). Includes.

중합 반응을 실시할 때, 반응 용기에 반응에 필요한 성분들을 과량으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폭 반응에 필요한 성분들의 과량은, 증폭반응이 성분의 농도에 실질적으로 제한되지 않는 정도의 양을 의미한다. Mg2+와 같은 보조인자, dATP, dCTP, dGTP 및 dTTP를 요구되는 증폭 정도가 달성될 수 있을 정도로 반응 혼합물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폭 반응에 이용되는 모든 효소들은 동일한 반응 조건에서 활성 상태일 수 있다. 사실, 완충액은 모든 효소들이 최적의 반응 조건에 근접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증폭 과정은 반응물의 첨가와 같은 조건의 변화 없이 단일 반응물에서 실시될 수 있다.When carrying out a polymerization reaction, it is desirable to provide an excess amount of the components necessary for the reaction in the reaction vessel. The excess amount of components required for the amplification reaction refers to an amount such that the amplification reaction is not substantially limited by the concentration of the components. It is desirable to provide cofactors such as Mg 2+ , dATP, dCTP, dGTP and dTTP to the reaction mixture in such an amount that the required degree of amplification can be achieved. All enzymes used in the amplification reaction may be active under the same reaction conditions. In fact, the buffer solution allows all enzymes to approximate optimal reaction conditions. Therefore, the amplific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in a single reactant without changing conditions such as adding reactants.

본 발명에 있어서 어닐링은 타겟 뉴클레오타이드 서열과 프라이머 사이에 특이적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엄격한 조건 하에서 실시된다. 어닐링을 위한 엄격조건은 서열-의존적이며 주위 환경적 변수에 따라 다양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annealing is performed under stringent conditions that enable specific binding between the target nucleotide sequence and the primer. The stringent conditions for annealing are sequence-dependent and vary depending on environmental variables.

본 발명의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프라이머 세트 내지 제6 프라이머 세트 및 제1 프로브 내지 제6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 검출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대장균의 혈청형을 그룹핑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group serotypes of E. coli by checking whether amplification products are detected by the first to sixth primer sets and the first to sixth probe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혼성화(hybridization)"는 2개의 단일 가닥 핵산이 상보적인 염기 서열들의 페어링(pairing)에 의하여 이합체 구조(duplex structure)를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혼성화는 단일 가닥 핵산 서열 간의 상보성이 완전할 경우(perfect match) 일어나거나 일부 미스매치(mismatch) 염기가 존재하여도 일어날 수 있다. 혼성화에 필요한 상보성의 정도는 혼성화 반응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특히 온도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어닐링"과 "혼성화"는 차이가 없으며, 본 명세서에서 혼용된다.The term “hybridization” used herein means forming a duplex structure by pairing complementary base sequences of two single-stranded nucleic acids. Hybridization may occur when the complementarity between single-stranded nucleic acid sequences is perfect (perfect match) or even when some mismatched bases exist. The degree of complementarity required for hybridization may vary depending on hybridization reaction conditions, and may be particularly controlled by temperature.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terms “annealing” and “hybridization”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y are used interchangeably in this specification.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멀티플렉스 PCR 또는 멀티플렉스 실시간 PCR로 수행될 수 있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can be performed by multiplex PCR or multiplex real-time PCR.

상기 "실시간 PCR"은 PCR을 수행할 때 실시간으로 그 과정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는 PCR이 종료되는 시점이 아니라, PCR 과정 전반에 걸쳐 수집된다. 실시간 PCR에서, 반응은 고정된 사이클 수 후에 축적된 표적 양보다는 증폭이 처음으로 검출될 때의 사이클 동안의 시점을 특징으로 한다. 주로 염료 기반 검출 및 프로브 기반 검출의 두 가지 방법이 정량적 PCR을 수행하는데 사용된다.The “real-time PCR” can monitor the process in real time when performing PCR. Therefore, data is collected throughout the PCR process, not at the end of the PCR. In real-time PCR, the reaction is characterized by the point during the cycle when amplification is first detected, rather than by the amount of target accumulated after a fixed number of cycles. Mainly two methods are used to perform quantitative PCR: dye-based detection and probe-based detection.

본 발명의 방법은 PCR에 의한 증폭 결과를 Ct (cycle threshold) 값을 측정하여 확인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itionally include the step of confirming the amplification result by PCR by measuring the Ct (cycle threshold) value.

Ct(cycle threshold) 값은 반응에서 발생된 형광이 역치(threshold)를 넘어서는 사이클 수를 의미하며, 이는 초기 카피 수의 대수에 반비례한다. 그러므로, 특정 웰에 할당된 Ct 값은 반응에서 앰플리콘의 충분한 수가 축적된 사이클의 수를 반영한다. Ct 값은 ΔRn의 증가가 처음으로 검출된 사이클이다. Rn은 각 시점에서 PCR 동안 발생된 형광 시그널의 크기를 의미하며, ΔRn은 레퍼런스 염료의 형광 방출 강도로 나뉘어진 리포터 염료의 형광방출 강도(표준화된 리포터 시그널)를 의미한다. Ct 값은 LightCycler에서는 Cp(crossing point)로도 명명된다. Ct 값은 시스템이 로그-선형 단계(log-linear phase)에서 PCR 생산물의 지수성장과 관련된 형광 시그널의 증가를 검출하기 시작하는 시점을 나타낸다. 이 시기는 반응에 대한 가장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로그-선형 단계의 기울기는 증폭 효율(amplification efficiency, Eff)을 나타낸다 (http://www.appliedbiosystems.co.kr/).The Ct (cycle threshold) value refers to the number of cycles at which the fluorescence generated in the reaction exceeds the threshold, which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logarithm of the initial copy number. Therefore, the Ct value assigned to a particular well reflects the number of cycles in which a sufficient number of amplicons have accumulated in the reaction. The Ct value is the cycle in which an increase in ΔRn was first detected. Rn refers to the size of the fluorescence signal generated during PCR at each time point, and ΔRn refers to the fluorescence emission intensity of the reporter dye divided by the fluorescence emission intensity of the reference dye (normalized reporter signal). The Ct value is also called Cp (crossing point) in LightCycler. The Ct value indicates the point at which the system begins to detect an increase in fluorescent signal associated with exponential growth of the PCR product in log-linear phase. This period provides the most useful information about the reaction. The slope of the log-linear step represents the amplification efficiency (Eff) (http://www.appliedbiosystems.co.kr/).

PCR에서는 PCR 증폭 산물을 형광을 통해 검출할 수 있다. 검출 방법은 크게 인터킬레이팅 (interchelating) 방법(SYBR 그린 I 방법), 형광 표지 프로브를 이용하는 방법 (TaqMan 프로브 방법) 등이 있다. 인터킬레이팅 방법은 이중 가닥 DNA를 모두 검출하기 때문에 유전자별 프로브를 준비할 필요가 없어 저렴한 비용으로 반응계를 구축할 수 있다. 형광 표지 프로브를 이용하는 방법은 고비용이 드는 반면에 검출 특이성이 높아 유사 서열까지도 구별해서 검출할 수 있다.In PCR, PCR amplification products can be detected through fluorescence. Detection methods largely include an interchelating method (SYBR Green I method) and a method using a fluorescently labeled probe (TaqMan probe method). Since the interchelating method detects all double-stranded DNA, there is no need to prepare probes for each gene, so a reaction system can be constructed at low cost. The method using fluorescently labeled probes is expensive, but has high detection specificity, allowing even similar sequences to be distinguished and detected.

TaqMan 프로브는 전형적으로 5'-말단에 형광물질(fluorophore) 및 3'-말단에 소광물질(quencher; 예컨대, TAMRA 또는 비-형광 소광물질(NFQ))을 포함하는 프라이머(예컨대, 20-30 뉴클레오타이드) 보다 더 긴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이다. 여기된 형광물질은 형광을 내기 보다는 근처의 소광물질에 에너지를 전달한다(FRET = Frster or fluorescence resonance energy transfer; Chen, X.,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94(20): 10756-61(1997)). 그러므로, 프로브가 정상인 경우, 어떠한 형광도 발생되지 않는다. TaqMan 프로브는 PCR 생산물의 내부 부위에 어닐링할 수 있도록 고안된다.TaqMan probes typically contain a primer (e.g., 20-30 nucleotides long) containing a fluorophore at the 5'-end and a quencher (e.g., TAMRA or non-fluorescent quencher (NFQ)) at the 3'-end. ) is a longer oligonucleotide. The excited fluorescent substance transfers energy to a nearby quencher rather than emitting fluorescence (FRET = Frster or fluorescence resonance energy transfer; Chen, X.,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94(20): 10756- 61(1997)). Therefore, if the probe is normal, no fluorescence is generated. TaqMan probes are designed to anneal to internal regions of PCR products.

TaqMan 프로브는 어닐링 단계에서 주형 DNA에 특이적으로 혼성화하지만, 프로브 상에 소광물질에 의해 형광 발색이 억제된다. 연장 반응 시에 Taq DNA 폴리머라제가 갖는 5' 내지 3' 뉴클레아제 활성에 의해 주형에 혼성화한 TaqMan 프로브가 분해되어 형광 색소가 프로브로부터 유리되면서 소광물질에 의한 억제가 해제되어 형광을 나타낸다. 이때, TaqMan 프로브의 5'-말단은 상기 연장 프라이머의 3'-말단의 다운스트림에 위치하여야 한다. 즉, 연장 프라이머의 3'-말단이 주형-의존성 핵산 중합효소에 의해 연장되는 경우, 이 중합효소의 5' 내지 3' 뉴클레아제 활성에 의해 TaqMan 프로브의 5'-말단이 절단되어 리포터 분자의 형광 시그널이 발생하게 된다.The TaqMan probe specifically hybridizes to the template DNA during the annealing step, but fluorescence is suppressed by a quencher on the probe. During the extension reaction, the TaqMan probe hybridized to the template is decomposed by the 5' to 3' nuclease activity of Taq DNA polymerase, and the fluorescent dye is released from the probe, thereby releasing the inhibition by the quencher and causing fluorescence. At this time, the 5'-end of the TaqMan probe must be located downstream of the 3'-end of the extension primer. That is, when the 3'-end of the extension primer is extended by a template-dependent nucleic acid polymerase, the 5'-end of the TaqMan probe is cleaved by the 5' to 3' nuclease activity of this polymerase to form the reporter molecule. A fluorescent signal is generated.

TaqMan 프로브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리포터 분자 및 소광물질 분자는 형광성 물질 및 비형광성 물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이용될 수 있는 형광성 리포터 분자 및 소광물질 분자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어떠한 것도 이용할 수 있으며, 그 예는 다음과 같다(괄호의 숫자는 나노미터 단위로 표시한 발광 최대 파장이다): Cy2TM (506), YOPRO TM-1 (509), YOYO TM-1 (509), Calcein (517), FITC (518), FluorX TM (519), AlexaTM (520), Rhodamine 110 (520), 5-FAM (522), Oregon Green TM 500 (522), Oregon GreenTM 488 (524), RiboGreenTM (525), Rhodamine GreenTM (527), Rhodamine 123 (529), Magnesium GreenTM (531), Calcium GreenTM (533), TO-PROTM-1 (533), TOTO1 (533), JOE (548), BODIPY530/550 (550), Dil (565), BODIPY TMR (568), BODIPY558/568 (568), BODIPY564/570 (570), Cy3TM (570), AlexaTM 546 (570), TRITC (572), Magnesium OrangeTM (575), Phycoerythrin R&B (575), Rhodamine Phalloidin (575), Calcium OrangeTM (576), Pyronin Y (580), Rhodamine B (580), TAMRA (582), Rhodamine RedTM (590), Cy3.5TM (596), ROX (608), Calcium CrimsonTM (615), AlexaTM 594 (615), Texas Red(615), Nile Red (628), YO-PROTM-3 (631), YOYOTM-3 (631), R-phycocyanin (642), CPhycocyanin(648), TO-PROTM-3 (660), TOTO3 (660), DiD DilC(5) (665), Cy5TM (670), Thiadicarbocyanine (671), Cy5.5 (694), HEX (556), TET (536), VIC (546), BHQ-1 (534), BHQ-2 (579), BHQ-3 (672), Biosearch Blue (447), CAL Fluor Gold 540 (544), CAL Fluor Orange 560 (559), CAL Fluor Red 590 (591), CAL Fluor Red 610 (610), CAL Fluor Red 635 (637), FAM (520), Fluorescein (520), Fluorescein-C3 (520), Pulsar 650 (566), Quasar 570 (667), Quasar 670 (705) 및 Quasar 705 (610). 괄호의 숫자는 나노미터 단위로 표시한 발광 최대 파장이다.The reporter molecules and quencher molecules bound to the TaqMan probe include fluorescent substances and non-fluorescent substances. Fluorescent reporter molecules and quencher molecules that can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ny known in the art, examples of which are as follows (numbers in parentheses are maximum emission wavelengths in nanometers): Cy2 TM (506), YOPRO TM -1 (509), YOYO TM -1 (509), Calcein (517), FITC (518), FluorX TM (519), Alexa TM (520), Rhodamine 110 (520), 5-FAM (522), Oregon Green TM 500 (522), Oregon Green TM 488 (524), RiboGreen TM (525), Rhodamine Green TM (527), Rhodamine 123 (529), Magnesium Green TM (531), Calcium Green TM (533), TO-PRO TM -1 (533), TOTO1 (533), JOE (548), BODIPY530/550 (550), Dil (565), BODIPY TMR (568), BODIPY558/568 (568) , BODIPY564/570 (570), Cy3 TM (570), Alexa TM 546 (570), TRITC (572), Magnesium Orange TM (575), Phycoerythrin R&B (575), Rhodamine Phalloidin (575), Calcium Orange TM (576) ), Pyronin Y (580), Rhodamine B (580), TAMRA (582), Rhodamine Red TM (590), Cy3.5 TM (596), ROX (608), Calcium Crimson TM (615), Alexa TM 594 ( 615), Texas Red (615), Nile Red (628), YO-PRO TM -3 (631), YOYO TM -3 (631), R-phycocyanin (642), CPhycocyanin (648), TO-PRO TM - 3 (660), TOTO3 (660), DiD DilC (5) (665), Cy5 TM (670), Thiadicarbocyanine (671), Cy5.5 (694), HEX (556), TET (536), VIC (546) ), BHQ-1 (534), BHQ-2 (579), BHQ-3 (672), Biosearch Blue (447), CAL Fluor Gold 540 (544), CAL Fluor Orange 560 (559), CAL Fluor Red 590 ( 591), CAL Fluor Red 610 (610), CAL Fluor Red 635 (637), FAM (520), Fluorescein (520), Fluorescein-C3 (520), Pulsar 650 (566), Quasar 570 (667), Quasar 670 (705) and Quasar 705 (610). The number in parentheses is the maximum wavelength of emission expressed in nanometers.

적합한 리포터-소광물질 쌍(pairs)은 많은 문헌에 개시되어 있다: Pesce et al., editors, FLUORESCENCE SPECTROSCOPY(Marcel Dekker, New York, 1971); White et al., FLUORESCENCE ANALYSIS: A PRACTICAL APPROACH (Marcel Dekker, New York, 1970); Berlman, HANDBOOK OF FLUORESCENCE SPECTRA OF AROMATIC MOLECULES, 2nd EDITION (Academic Press, New York, 1971); Griffiths, COLOUR AND CONSTITUTION OF ORGANIC MOLECULES(Academic Press, New York, 1976); Bishop, editor, INDICATORS(Pergamon Press, Oxford, 1972); Haugland, HANDBOOK OF FLUORESCENT PROBES AND RESEARCH CHEMICALS(Molecular Probes, Eugene, 1992); Pringsheim, FLUORESCENCE AND PHOSPHORESCENCE(Interscience Publishers, New York, 1949); Haugland, R. P., HANDBOOK OF FLUORESCENT PROBES AND RESEARCH CHEMICALS, Sixth Edition, Molecular Probes, Eugene, Oreg., 1996; U.S. Pat. Nos. 3,996,345 and 4,351,760.Suitable reporter-quencher pairs are described in many publications: Pesce et al., editors, FLUORESCENCE SPECTROSCOPY (Marcel Dekker, New York, 1971); White et al., FLUORESCENCE ANALYSIS: A PRACTICAL APPROACH (Marcel Dekker, New York, 1970); Berlman, HANDBOOK OF FLUORESCENCE SPECTRA OF AROMATIC MOLECULES, 2nd EDITION (Academic Press, New York, 1971); Griffiths, COLOUR AND CONSTITUTION OF ORGANIC MOLECULES (Academic Press, New York, 1976); Bishop, editor, INDICATORS (Pergamon Press, Oxford, 1972); Haugland, HANDBOOK OF FLUORESCENT PROBES AND RESEARCH CHEMICALS (Molecular Probes, Eugene, 1992); Pringsheim, FLUORESCENCE AND PHOSPHORESCENCE (Interscience Publishers, New York, 1949); Haugland, RP, HANDBOOK OF FLUORESCENT PROBES AND RESEARCH CHEMICALS, Sixth Edition, Molecular Probes, Eugene, Oreg., 1996; US Pat. Nos. 3,996,345 and 4,351,760.

또한, TaqMan 프로브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리포터 분자 및 소광물질 분자에 이용되는 비형광성 물질은 마이너 그루브 결합 모이어티(minor groove binding(MGB) moiety)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용어 "TaqMan MGB-컨쥬게이트 프로브(MGB-conjugate probe)"는 프로브의 3'-말단에 MGB와 컨쥬게이션된 TaqMan 프로브를 의미한다.Additionally, the non-fluorescent material used for the reporter molecule and quencher molecule bound to the TaqMan probe may include a minor groove binding (MGB) moiety. The term "TaqMan MGB-conjugate probe" herein refers to a TaqMan probe conjugated with MGB at the 3'-end of the probe.

MGB는 높은 친화도로 DNA의 마이너 그루브에 결합하는 물질로서, 네트롭신(netropsin), 디스타마이신 (distamycin), 렉시트롭신 (lexitropsin), 미트라마이신 (mithramycin), 크로모마이신 (chromomycin) A3, 올리보마이신 (olivomycin), 안트라마이신 (anthramycin), 시비로마이신 (sibiromycin), 펜타미딘 (pentamidine), 스틸바미딘 (stilbamidine), 베레닐 (berenil), CC-1065, Hoechst 33258, DAPI (4-6-diamidino-2-phenylindole), CDPI의 다이머, 트리머, 테트라머 및 펜타머, MPC (N-methylpyrrole-4-carbox-2-amide) 및 이의 다이머, 트리머, 테트라머 및 펜타머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MGB is a substance that binds to the minor groove of DNA with high affinity, including netropsin, distamycin, lexitropsin, mithramycin, chromomycin A3, and olivo. Olivomycin, anthramycin, sibiromycin, pentamidine, stilbamidine, berenil, CC-1065, Hoechst 33258, DAPI (4-6- diamidino-2-phenylindole), dimers, trimers, tetramers and pentamers of CDPI, MPC (N-methylpyrrole-4-carbox-2-amide) and its dimers, trimers, tetramers and pentamers. It doesn't work.

프로브와 MGB의 컨쥬게이션(conjugation)은 프로브와 이의 타겟 간에 형성되는 하이브리드의 안정성을 현저하게 증가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증가된 안정성(즉, 혼성화 정도의 증가)는 정상 프로브와 비교하여 MGB-컨쥬게이트 프로브에 의해 형성된 하이브리드 듀플렉스의 증가된 Tm(melting temperature)을 유발한다. 따라서, MGB는 반데르발스 힘을 안정화시켜 프로브 길이의 증가 없이 MGB-컨쥬게이트 프로브의 Tm(melting temperature)를 증가시킴으로써 보다 엄격 조건 하의 Taqman 실시간 PCR에서 더 짧은 프로브(예컨대, 21개 이하의 뉴클레오타이드)의 이용을 가능하게 해준다.Conjugation of the probe and MGB significantly increases the stability of the hybrid formed between the probe and its target. More specifically, the increased stability (i.e., increased degree of hybridization) results in an increased melting temperature (Tm) of the hybrid duplex formed by the MGB-conjugated probe compared to the normal probe. Therefore, MGB stabilizes van der Waals forces, increasing the melting temperature (Tm) of MGB-conjugated probes without increasing probe length, thereby allowing shorter probes (e.g., 21 nucleotides or less) in Taqman real-time PCR under more stringent conditions. It makes possible the use of.

또한, MGB-컨쥬게이트 프로브는 백그라운드 형광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시켜 준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프로브는 TaqMan MGB-컨쥬게이트 형태일 수도 있으며, 이때 프로브의 길이는 15-30개의 뉴클레오타이드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dditionally, the MGB-conjugated probe removes background fluorescence more efficiently. Accordingly, the prob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 the form of a TaqMan MGB-conjugate, where the length of the probe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15-30 nucleotides.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c) 상기 시료에서 제2 프라이머 세트와 제2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이 검출되고, 제1 프라이머 세트와 제1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 제3 프라이머 세트와 제3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 제4 프라이머 세트와 제4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 제5 프라이머 세트와 제5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 및 제6 프라이머 세트와 제6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시료에 존재하는 대장균의 혈청형을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및 O111 혈청형을 포함하는 그룹으로 그룹핑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c) detects the amplification product by the second primer set and the second probe in the sample, the amplification product by the first primer set and the first probe, the third primer set, and the third probe. If the amplification product by, the amplification product by the fourth primer set and the fourth probe, the amplification product by the fifth primer set and the fifth probe, and the amplification product by the sixth primer set and the sixth probe are not detected, Serotypes of E. coli present in the sample were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and O111. A step of grouping into groups containing serotypes may be additionally included.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E. coli O103, E. coli O121, E. coli O136, E. coli O123, E. coli O6, E. coli O156, E. coli O168, E. coli O170, E. coli O3, E. coli O40, E. coli O64, E. coli O66, E. coli O78, E. coli O80, E. coli O82, E. coli O88, E. coli O8, E. coli O91, E. coli O181, E. coli O111 및 E. coli O174에 대해 전술한 혈청형 그룹핑용 프라이머 세트와 프로브를 사용하여 멀티플렉스 PCR을 진행한 후, 증폭 산물을 전기영동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21종의 혈청형의 대장균은 모두 제2 프라이머 세트(CD-F 및 CD-R)와 제2 프로브(CD-P)에 의한 증폭 산물이 확인되었으나, 제1 프라이머 세트(DR-F 및 DR-R)와 제1 프로브(DR-P), 제3 프라이머 세트(G4E-F 및 G4E-R)와 제3 프로브(G4E-P), 제4 프라이머 세트(A4E-F 및 A4E-R)와 제4 프로브(A4E-P), 제5 프라이머 세트(BGT-F 및 BGT-R)와 제5 프로브(BGT-P) 및 제6 프라이머 세트(D2E-F 및 D2E-R)와 제6 프로브(D2E-P)에 의한 증폭 산물은 확인되지 않아,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및 O111 중 하나의 혈청형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러한 결과는 E. coli O103, E. coli O121, E. coli O136, E. coli O123, E. coli O6, E. coli O156, E. coli O168, E. coli O170, E. coli O3, E. coli O40, E. coli O64, E. coli O66, E. coli O78, E. coli O80, E. coli O82, E. coli O88, E. coli O8, E. coli O91, E. coli O181, E. coli O111 및 E. coli O174를 실험 균주로 사용한 것과 일치하였다.In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 coli O103, E. coli O121, E. coli O136, E. coli O123, E. coli O6, E. coli O156, E. coli O168, E. coli O170, E coli O3, E. coli O40, E. coli O64, E. coli O66, E. coli O78, E. coli O80, E. coli O82, E. coli O88, E. coli O8, E. coli O91, E. After performing multiplex PCR using the primer set and probe for serotype grouping described above for E. coli O181, E. coli O111, and E. coli O174, the amplification product was confirmed by electrophoresis. As a result, as shown in Figure 1, amplification products by the second primer set (CD-F and CD-R) and the second probe (CD-P) were confirmed for all of the 21 serotypes of E. coli. First primer set (DR-F and DR-R) and first probe (DR-P), third primer set (G4E-F and G4E-R) and third probe (G4E-P), fourth primer set (A4E-F and A4E-R) and the fourth probe (A4E-P), the fifth primer set (BGT-F and BGT-R) and the fifth probe (BGT-P) and the sixth primer set (D2E-F). and D2E-R) and the sixth probe (D2E-P) were not identified as amplification products,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 were confirmed to have one of the following serotypes: O80, O82, O88, O8, O91, O181, and O111, and these results showed that E. coli O103, E. coli O121, E. coli O136, E. coli O123, E. coli O6, E. coli O156, E. coli O168, E. coli O170, E. coli O3, E. coli O40, E. coli O64, E. coli O66, E. coli O78, E. coli O80, E. coli O82, E. coli O88, E. coli O8, E. coli O91, E. coli O181, E. coli O111, and E. coli O174 were used as test strains.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E. coli O103, E. coli O121, E. coli O136, E. coli O123, E. coli O6, E. coli O156, E. coli O168, E. coli O170, E. coli O3, E. coli O40, E. coli O64, E. coli O66, E. coli O78, E. coli O80, E. coli O82, E. coli O88, E. coli O8, E. coli O91, E. coli O181, E. coli O111 및 E. coli O174에 대해 전술한 혈청형 그룹핑용 프라이머 세트와 프로브를 사용하여 멀티플렉스 실시간 PCR을 진행하여, 형광 검출을 통해 각 프라이머 세트와 프로브에 대한 증폭 곡선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험 균주로 사용된 E. coli O103, E. coli O121, E. coli O136, E. coli O123, E. coli O6, E. coli O156, E. coli O168, E. coli O170, E. coli O3, E. coli O40, E. coli O64, E. coli O66, E. coli O78, E. coli O80, E. coli O82, E. coli O88, E. coli O8, E. coli O91, E. coli O181, E. coli O111 및 E. coli O174는 각각 제2 프라이머 세트(CD-F 및 CD-R)와 제2 프로브(CD-P)에 의한 증폭 곡선이 확인되었으나, 제1 프라이머 세트(DR-F 및 DR-R)와 제1 프로브(DR-P), 제3 프라이머 세트(G4E-F 및 G4E-R)와 제3 프로브(G4E-P), 제4 프라이머 세트(A4E-F 및 A4E-R)와 제4 프로브(A4E-P), 제5 프라이머 세트(BGT-F 및 BGT-R)와 제5 프로브(BGT-P) 및 제6 프라이머 세트(D2E-F 및 D2E-R)와 제6 프로브(D2E-P)에 의한 증폭 곡선은 확인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상기 멀티플렉스 PCR을 진행한 후 증폭 산물을 전기영동으로 확인한 결과와 일치하며, 실험에 사용한 균주가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및 O111 중 하나의 혈청형을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In another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E. coli O103, E. coli O121, E. coli O136, E. coli O123, E. coli O6, E. coli O156, E. coli O168, E. coli O170, E coli O3, E. coli O40, E. coli O64, E. coli O66, E. coli O78, E. coli O80, E. coli O82, E. coli O88, E. coli O8, E. coli O91, E. Multiplex real-time PCR was performed using the primer sets and probes for serotype grouping described above for E. coli O181, E. coli O111, and E. coli O174, and amplification curves for each primer set and probe were obtained through fluorescence detection. Confirmed. As a result, as shown in Figure 3, E. coli O103, E. coli O121, E. coli O136, E. coli O123, E. coli O6, E. coli O156, E. coli O168, E. coli O170, E. coli O3, E. coli O40, E. coli O64, E. coli O66, E. coli O78, E. coli O80, E. coli O82, E. coli O88, E. coli O8, Amplification curves for E. coli O91, E. coli O181, E. coli O111, and E. coli O174 were confirmed by the second primer set (CD-F and CD-R) and the second probe (CD-P), respectively. , first primer set (DR-F and DR-R) and first probe (DR-P), third primer set (G4E-F and G4E-R) and third probe (G4E-P), fourth primer. sets (A4E-F and A4E-R) with a fourth probe (A4E-P), a fifth primer set (BGT-F and BGT-R) with a fifth probe (BGT-P), and a sixth primer set (D2E- The amplification curves by probe F and D2E-R) and the sixth probe (D2E-P) were not confirmed.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amplification product by electrophoresis after performing the multiplex PCR, and the strains used in the experiment were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It means having one of the following serotypes: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and O111.

상기와 같은 단계를 거쳐 시료에서 검출된 대장균 혈청형이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및 O111 중 혈청형 중 하나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21종의 혈청형에 특이적인 프라이머 세트만을 처리하여 각 프라이머 세트의 비특이적 반응 및 교차 반응 없이 개별 혈청형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동정할 수 있다.E. coli serotypes detected in the sample through the above steps were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If it is determined to be one of the serotypes among O91, O181, and O111, only the primer sets specific for the above 21 serotypes are processed to quickly and accurately identify the individual serotype without non-specific reaction or cross-reaction of each primer set. there is.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대장균의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또는 O111 혈청형 동정을 위한 프라이머 세트, 조성물,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대장균의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또는 O111 혈청형 동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refore,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of E. coli. Or primer sets, compositions, and kits for identifying O111 serotypes and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f E. coli using the same. It relates to a method for identifying O88, O8, O91, O181 or O111 serotypes.

본 발명에 따른 혈청형 동정용 프라이머 세트는 다음의 제7 프라이머 세트 내지 제27 프라이머 세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imer set for serotype identif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y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7th to 27th primer sets:

vii) 서열번호 19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20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03 혈청형 동정용 제7 프라이머 세트;vii) a seven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03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9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0;

viii) 서열번호 22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23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21 혈청형 동정용 제8 프라이머 세트;viii) an eigh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21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2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3;

ix) 서열번호 25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26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36 혈청형 동정용 제9 프라이머 세트;ix) a nin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36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5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6;

x) 서열번호 28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29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23 혈청형 동정용 제10 프라이머 세트;x) a ten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23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8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9;

xi) 서열번호 31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32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6 혈청형 동정용 제11 프라이머 세트;xi) an 11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6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1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2;

xii) 서열번호 34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35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56 혈청형 동정용 제12 프라이머 세트;xii) a twelf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56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4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5;

xiii) 서열번호 37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38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68 혈청형 동정용 제13 프라이머 세트;xiii) a 13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68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7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8;

xiv) 서열번호 40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41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70 혈청형 동정용 제14 프라이머 세트;xiv) a fourteen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70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0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1;

xv) 서열번호 43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44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3 혈청형 동정용 제15 프라이머 세트;xv) a 15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3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3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4;

xvi) 서열번호 46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47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40 혈청형 동정용 제16 프라이머 세트;xvi) a 16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40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6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7;

xvii) 서열번호 49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50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64 혈청형 동정용 제17 프라이머 세트;xvii) a 17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64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9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0;

xviii) 서열번호 52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53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66 혈청형 동정용 제18 프라이머 세트;xviii) an 18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66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2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3;

xix) 서열번호 55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56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78 혈청형 동정용 제19 프라이머 세트;xix) a 19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78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5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6;

xx) 서열번호 58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59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80 혈청형 동정용 제20 프라이머 세트;xx) a 20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80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8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9;

xxi) 서열번호 61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62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82 혈청형 동정용 제21 프라이머 세트;xxi) a 21st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82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1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2;

xxii) 서열번호 64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65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88 혈청형 동정용 제22 프라이머 세트;xxii) a 22nd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88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4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5;

xxiii) 서열번호 67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68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8 혈청형 동정용 제23 프라이머 세트;xxiii) a 23rd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8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7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8;

xxiv) 서열번호 70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71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91 혈청형 동정용 제24 프라이머 세트;xxiv) a 24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91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0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1;

xxv) 서열번호 73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74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81 혈청형 동정용 제25 프라이머 세트;xxv) a 25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81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3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4;

xxvi) 서열번호 76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77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11 혈청형 동정용 제26 프라이머 세트; 및xxvi) a 26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11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6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7; and

xxvii) 서열번호 79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80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74 혈청형 동정용 제27 프라이머 세트.xxvii) The 27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74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9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80.

본 발명에 따른 혈청형 동정용 조성물은 전술한 프라이머 세트 및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또는 O111 혈청형의 고유한 유전자 영역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로브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mposition for serotype identif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above-described primer set and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 may include a probe that specifically binds to a unique genetic region of the O91, O181, or O111 serotyp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O103 혈청형의 고유한 유전자 영역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로브는 서열번호 21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7 프로브일 수 있고; 상기 O121 혈청형의 고유한 유전자 영역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로브는 서열번호 24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8 프로브일 수 있고; 상기 O136 혈청형의 고유한 유전자 영역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로브는 서열번호 27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9 프로브일 수 있고; 상기 O123 혈청형의 고유한 유전자 영역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로브는 서열번호 30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0 프로브일 수 있고; 상기 O6 혈청형의 고유한 유전자 영역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로브는 서열번호 33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1 프로브일 수 있고; 상기 O156 혈청형의 고유한 유전자 영역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로브는 서열번호 36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2 프로브일 수 있고; 상기 O168 혈청형의 고유한 유전자 영역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로브는 서열번호 39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3 프로브일 수 있고; 상기 O170 혈청형의 고유한 유전자 영역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로브는 서열번호 42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4 프로브일 수 있고; 상기 O3 혈청형의 고유한 유전자 영역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로브는 서열번호 45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5 프로브일 수 있고; 상기 O40 혈청형의 고유한 유전자 영역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로브는 서열번호 48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6 프로브일 수 있고; 상기 O64 혈청형의 고유한 유전자 영역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로브는 서열번호 51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7 프로브일 수 있고; 상기 O66 혈청형의 고유한 유전자 영역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로브는 서열번호 54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8 프로브일 수 있고; 상기 O78 혈청형의 고유한 유전자 영역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로브는 서열번호 57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9 프로브일 수 있고; 상기 O80 혈청형의 고유한 유전자 영역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로브는 서열번호 60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20 프로브일 수 있고; 상기 O82 혈청형의 고유한 유전자 영역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로브는 서열번호 63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21 프로브일 수 있고; 상기 O88 혈청형의 고유한 유전자 영역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로브는 서열번호 66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22 프로브일 수 있고; 상기 O8 혈청형의 고유한 유전자 영역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로브는 서열번호 69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23 프로브일 수 있고; 상기 O91 혈청형의 고유한 유전자 영역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로브는 서열번호 72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24 프로브일 수 있고; 상기 O181 혈청형의 고유한 유전자 영역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로브는 서열번호 75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25 프로브일 수 있고; 상기 O111 혈청형의 고유한 유전자 영역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로브는 서열번호 78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26 프로브일 수 있고; 상기 O174 혈청형의 고유한 유전자 영역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로브는 서열번호 81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27 프로브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be that specifically binds to the unique gene region of the O103 serotype may be the seven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1; The probe that specifically binds to the unique gene region of the O121 serotype may be the eigh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4; The probe that specifically binds to the unique gene region of the O136 serotype may be the nin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7; The probe that specifically binds to the unique gene region of the O123 serotype may be the 10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0; The probe that specifically binds to the unique gene region of the O6 serotype may be the 11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3; The probe that specifically binds to the unique gene region of the O156 serotype may be the twelf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6; The probe that specifically binds to the unique gene region of the O168 serotype may be the 13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9; The probe that specifically binds to the unique gene region of the O170 serotype may be the 14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2; The probe that specifically binds to the unique gene region of the O3 serotype may be the 15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5; The probe that specifically binds to the unique gene region of the O40 serotype may be the 16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8; The probe that specifically binds to the unique gene region of the O64 serotype may be the 17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1; The probe that specifically binds to the unique gene region of the O66 serotype may be the 18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4; The probe that specifically binds to the unique gene region of the O78 serotype may be the 19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7; The probe that specifically binds to the unique gene region of the O80 serotype may be the 20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0; The probe that specifically binds to the unique gene region of the O82 serotype may be the 21st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3; The probe that specifically binds to the unique gene region of the O88 serotype may be the 22nd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6; The probe that specifically binds to the unique gene region of the O8 serotype may be the 23rd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9; The probe that specifically binds to the unique gene region of the O91 serotype may be the 24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2; The probe that specifically binds to the unique gene region of the O181 serotype may be the 25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5; The probe that specifically binds to the unique gene region of the O111 serotype may be the 26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8; The probe that specifically binds to the unique gene region of the O174 serotype may be the 27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81.

본 발명에 따른 대장균의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또는 O111 혈청형 동정을 위한 키트는 상기 제2 측면에 따른 프라이머 세트 또는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의 키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제1 측면에 따른 키트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그 기재를 생략한다.Identification of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or O111 serotype of E. coli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kit for may include the primer set or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and since the description of other kit components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for the kit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본 발명에 따른 대장균의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또는 O111 혈청형 동정 방법은 상기 제2 측면에 따른 프라이머 세트, 조성물 또는 키트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Identification of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or O111 serotype of E. coli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may be performed using the primer set, composition or kit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본 발명에 따른 혈청형 동정 방법은 상기 제2 측면에 따른 프라이머 세트, 조성물 또는 키트를 처리하여 각 프라이머 세트 및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을 확인함으로써 혈청형을 동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7 프라이머 세트와 제7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이 확인되는 경우 O103 혈청형, 제8 프라이머 세트와 제8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이 확인되는 경우 O121 혈청형, 제9 프라이머 세트와 제9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이 확인되는 경우 O136 혈청형, 제10 프라이머 세트와 제10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이 확인되는 경우 O123 혈청형, 제11 프라이머 세트와 제11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이 확인되는 경우 O6 혈청형, 제12 프라이머 세트와 제12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이 확인되는 경우 O156 혈청형, 제13 프라이머 세트와 제13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이 확인되는 경우 O168 혈청형, 제14 프라이머 세트와 제14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이 확인되는 경우 O170 혈청형, 제15 프라이머 세트와 제15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이 확인되는 경우 O3 혈청형, 제16 프라이머 세트와 제16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이 확인되는 경우 O40 혈청형, 제17 프라이머 세트와 제17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이 확인되는 경우 O64 혈청형, 제18 프라이머 세트와 제18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이 확인되는 경우 O66 혈청형, 제19 프라이머 세트와 제19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이 확인되는 경우 O78 혈청형, 제20 프라이머 세트와 제20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이 확인되는 경우 O80 혈청형, 제21 프라이머 세트와 제21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이 확인되는 경우 O82 혈청형, 제22 프라이머 세트와 제22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이 확인되는 경우 O88 혈청형, 제23 프라이머 세트와 제23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이 확인되는 경우 O8 혈청형, 제24 프라이머 세트와 제24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이 확인되는 경우 O91 혈청형, 제25 프라이머 세트와 제25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이 확인되는 경우 O181 혈청형, 제26 프라이머 세트와 제26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이 확인되는 경우 O111 혈청형, 제27 프라이머 세트와 제27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이 확인되는 경우 O174 혈청형으로 각각 동정할 수 있다.The serotype ident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dentify the serotype by processing the primer set, composition, or kit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and confirming the amplification product by each primer set and probe. For example, if the amplification product by the 7th primer set and the 7th probe is confirmed, serotype O103, if the amplification product by the 8th primer set and the 8th probe is confirmed, serotype O121, if the amplification product by the 9th primer set and the 8th probe is confirmed, 9 When the amplification product by the probe is confirmed O136 serotype, when the amplification product by the 10th primer set and the 10th probe is confirmed O123 serotype, when the amplification product by the 11th primer set and the 11th probe is confirmed O6 serotype, if the amplification product by the 12th primer set and the 12th probe is confirmed O156 serotype, if the amplification product by the 13th primer set and the 13th probe is confirmed O168 serotype, the 14th primer set and the 13th probe 14 When the amplification product is confirmed by the probe O170 serotype, when the amplification product by the 15th primer set and the 15th probe is confirmed O3 serotype, when the amplification product by the 16th primer set and the 16th probe is confirmed O40 serotype, if the amplification product by the 17th primer set and the 17th probe is confirmed O64 serotype, if the amplification product by the 18th primer set and the 18th probe is confirmed O66 serotype, if the amplification product by the 19th primer set and the 18th probe is confirmed 19 When an amplification product by the probe is confirmed O78 serotype, when an amplification product by the 20th primer set and the 20th probe is confirmed O80 serotype, when an amplification product by the 21st primer set and the 21st probe is confirmed O82 serotype, if the amplification product by the 22nd primer set and the 22nd probe is confirmed O88 serotype, if the amplification product by the 23rd primer set and the 23rd probe is confirmed O8 serotype, the 24th primer set and the 23rd probe When an amplification product by the 24 probe is confirmed O91 serotype, when an amplification product by the 25th primer set and the 25th probe is confirmed O181 serotype, when an amplification product by the 26th primer set and the 26th probe is confirmed If an amplification product using the O111 serotype, the 27th primer set, and the 27th probe is confirmed, it can be identified as the O174 serotype.

본 발명에 따른 혈청형 동정 방법을 수행하는 방법은 상기 제2 측면에 따른 프라이머 세트, 조성물 또는 키트를 처리하여 각 프라이머 세트 및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을 확인하는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제1 측면에 따른 그룹핑 방법과 동일하므로, 그 기재를 생략한다.The method of carrying out the serotype ident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ccordance with the first aspect described above, except that the primer set, composition or kit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is processed to identify amplification products by each primer set and probe. Since it is the same as the following grouping method, its description is omitted.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E. coli O103, E. coli O121, E. coli O136, E. coli O123, E. coli O6, E. coli O156, E. coli O168, E. coli O170, E. coli O3, E. coli O40, E. coli O64, E. coli O66, E. coli O78, E. coli O80, E. coli O82, E. coli O88, E. coli O8, E. coli O91, E. coli O181, E. coli O111 및 E. coli O174에 대해 전술한 혈청형 동정용 프라이머 세트와 프로브를 사용하여 멀티플렉스 PCR을 진행한 후, 증폭 산물을 전기영동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21종의 혈청형에 상응하는 PCR 산물 (각각 137 bp, 112 bp, 190 bp, 153 bp, 131 bp, 187 bp, 197 bp, 77 bp, 167 bp, 139 bp, 100 bp, 197 bp, 145 bp, 196 bp, 73 bp, 192 bp, 136 bp, 101 bp, 139 bp, 90 bp 및 197 bp)이 관찰되어, 실험 균주의 혈청형과 동일한 혈청형으로 동정되었음을 확인하였다.In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 coli O103, E. coli O121, E. coli O136, E. coli O123, E. coli O6, E. coli O156, E. coli O168, E. coli O170, E coli O3, E. coli O40, E. coli O64, E. coli O66, E. coli O78, E. coli O80, E. coli O82, E. coli O88, E. coli O8, E. coli O91, E. After performing multiplex PCR using the primer set and probe for serotype identification described above for E. coli O181, E. coli O111, and E. coli O174, the amplification product was confirmed by electrophoresis. As a result, as shown in Figure 2, PCR products corresponding to the 21 serotypes (137 bp, 112 bp, 190 bp, 153 bp, 131 bp, 187 bp, 197 bp, 77 bp, 167 bp, respectively) 139 bp, 100 bp, 197 bp, 145 bp, 196 bp, 73 bp, 192 bp, 136 bp, 101 bp, 139 bp, 90 bp, and 197 bp) were observed and were identified as the same serotype as that of the test strain. It was confirmed that it had been identified.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E. coli O103, E. coli O121, E. coli O136, E. coli O123, E. coli O6, E. coli O156, E. coli O168, E. coli O170, E. coli O3, E. coli O40, E. coli O64, E. coli O66, E. coli O78, E. coli O80, E. coli O82, E. coli O88, E. coli O8, E. coli O91, E. coli O181, E. coli O111 및 E. coli O174에 대해 전술한 혈청형 동정용 프라이머 세트와 프로브를 사용하여 멀티플렉스 실시간 PCR을 진행하여, 형광 검출을 통해 각 유전자에 대한 증폭 곡선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험 균주로 사용된 E. coli O103, E. coli O121, E. coli O136, E. coli O123, E. coli O6, E. coli O156, E. coli O168, E. coli O170, E. coli O3, E. coli O40, E. coli O64, E. coli O66, E. coli O78, E. coli O80, E. coli O82, E. coli O88, E. coli O8, E. coli O91, E. coli O181, E. coli O111 및 E. coli O174는 각 혈청형에 특이적으로 표적하는 유전자가 증폭되어, 각 혈청형에 상응하는 증폭 곡선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상기 멀티플렉스 PCR을 진행한 후 증폭 산물을 전기영동으로 확인한 결과와 일치하며, 실험 균주의 혈청형과 동일한 혈청형으로 동정되었음을 의미한다.In another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 coli O103, E. coli O121, E. coli O136, E. coli O123, E. coli O6, E. coli O156, E. coli O168, E. coli O170, E. coli O3, E. coli O40, E. coli O64, E. coli O66, E. coli O78, E. coli O80, E. coli O82, E. coli O88, E. coli O8, E. coli O91, Multiplex real-time PCR was performed on E. coli O181, E. coli O111, and E. coli O174 using the primer set and probe for serotype identification described above, and the amplification curve for each gene was confirmed through fluorescence detection. . As a result, as shown in Figure 4, E. coli O103, E. coli O121, E. coli O136, E. coli O123, E. coli O6, E. coli O156, E. coli O168, E. coli O170, E. coli O3, E. coli O40, E. coli O64, E. coli O66, E. coli O78, E. coli O80, E. coli O82, E. coli O88, E. coli O8, In E. coli O91, E. coli O181, E. coli O111, and E. coli O174, genes specifically targeting each serotype were amplified, and amplification curves corresponding to each serotype were confirmed.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electrophoresis confirming the amplification product after performing the multiplex PCR, meaning that it was identified as the same serotype as that of the test strain.

본 발명의 혈청형 그룹핑용 프라이머 세트와 혈청형 동정용 프라이머 세트는 하나의 키트 형태로 제공되어, 대장균의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또는 O111 혈청형을 동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The primer set for serotype grouping and the primer set for serotype ident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in the form of one kit,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f E. coli. ,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or O111.

따라서, 본 발명의 제3 측면은 대장균의 각 혈청형별로 특정 패턴을 가지는 6개의 유전자에 각각 특이적인 프라이머 세트; 및 대장균의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또는 O111 혈청형 동정을 위한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또는 O111 혈청형 동정을 위한 키트에 관한 것이다.Accordingly,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t of primers each specific for six genes having a specific pattern for each serotype of E. coli; and primers for identification of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or O111 serotypes of E. coli. Set of E. coli serotypes, including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or O111 It's about sympathy kits.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른 키트는 전술한 제1 측면에 따른 프라이머 세트 및 제2 측면에 따른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그 기재를 생략한다.The kit according to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primer set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and the primer set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and since the description thereof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above,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른 키트는 전술한 제1 측면에 따른 프로브 및 제2 측면에 따른 프로브를 포함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그 기재를 생략한다.In addition, the kit according to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prob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first aspect and the probe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and similarly, the description thereof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so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른 키트는 반응완충액, dNTP 및 DNA 중합효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키트에 포함되는 구성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그 기재를 생략한다.The kit according to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eaction buffer, dNTPs, and DNA polymerase, and since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kit ar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their description is omitted.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른 키트는 대장균의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또는 O111 혈청형을 동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다음의 a) 내지 d)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The kit according to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kit for E. coli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It can be used to identify O181 or O111 serotypes, and can specifically be performed including the following steps a) to d):

a) 제1 프라이머 세트와 제1 프로브, 제2 프라이머 세트와 제2 프로브 및 제3 프라이머 세트와 제3 프로브를 포함하는 제1 세트, 및 제4 프라이머 세트와 제4 프로브, 제5 프라이머 세트와 제5 프로브 및 제6 프라이머 세트와 제6 프로브를 포함하는 제2 세트를 각각 시료에 처리하여 중합효소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을 수행하는 단계;a) a first set comprising a first primer set and a first probe, a second primer set and a second probe and a third primer set and a third probe, and a fourth primer set and a fourth probe, a fifth primer set and Performing a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by treating the sample with a fifth probe, a sixth primer set, and a second set including the sixth probe, respectively;

b) 상기 시료에서 각 프라이머 세트와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을 확인하는 단계;b) confirming amplification products by each primer set and probe in the sample;

c) 상기 시료에서 제2 프라이머 세트와 제2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이 검출되고, 제1 프라이머 세트와 제1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 제3 프라이머 세트와 제3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 제4 프라이머 세트와 제4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 제5 프라이머 세트와 제5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 및 제6 프라이머 세트와 제6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시료에 존재하는 대장균의 혈청형을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및 O111 혈청형을 포함하는 그룹으로 그룹핑하는 단계; 및c) The amplification product by the second primer set and the second probe is detected in the sample, the amplification product by the first primer set and the first probe, the amplification product by the third primer set and the third probe, and the fourth primer. If the amplification product by the set and the fourth probe, the amplification product by the fifth primer set and the fifth probe, and the amplification product by the sixth primer set and the sixth probe are not detected, the serotype of E. coli present in the sample grouped into groups containing the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and O111 serotypes. steps; and

d) 대장균의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또는 O111 혈청형을 동정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및 프로브를 상기 시료에 처리하는 단계.d) Identify the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or O111 serotype of E. coli. Processing the sample with a primer set and probe for.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른 혈청형 동정 방법은 전술한 제1 측면에 따른 혈청형 그룹핑 방법을 1차로 수행하고, 이후 제2 측면에 따른 혈청형 동정 방법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그 기재를 생략한다.The serotype ident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to first perform the serotype grouping metho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first aspect, and then perform the serotype ident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description of which Since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its description is omitted.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혈청형 그룹핑용 프라이머 세트와 프로브 및 혈청형 동정용 프라이머 세트와 프로브를 이용한, 대장균의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또는 O111 혈청형 동정 방법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미지의 시료에서 분리된 균주에 대해 혈청형을 동정하고, 기존의 항혈청 방법 및 인실리코 방법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도 5a, 도 5b, 도 6 및 표 5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혈청형 동정 결과와 기존의 항혈청 방법 및 인실리코 방법의 결과에서, Eco415와 STEC-084-M은 O103 혈청형으로 동정되었고, K-EC009는 O136 혈청형으로 동정되었고, Eco545와 C-EC-0005는 O121 혈청형으로 동정되었고, Eco452와 K-EC196은 O123 혈청형으로 동정되었고, Eco453과 Eco502는 O156 혈청형으로 동정되었고, Eco435와 Eco551은 O6 혈청형으로 동정되었고, Eco481과 STEC-089-M은 O168 혈청형으로 동정되었고, Eco288과 Eco464는 O3으로 동정되었고, Eco269는 O170 혈청형으로 동정되었고, A79와 A80은 O40 혈청형으로 동정되었고, K-EC271은 O78 혈청형으로 동정되었고, Eco300과 Eco548은 O82 혈청형으로 동정되었고, E77은 O80 혈청형으로 동정되었고, Eco368과 Eco 363은 O88 혈청형으로 동정되었고, K-EC324와 K-EC124는 O91 혈청형으로 동정되었고, Eco383은 O181 혈청형으로 동정되었고, Eco419와 K-EC100은 O174 혈청형으로 동정되었고, STEC-017-S와 STEC-051-M은 O111 혈청형으로 동정되어, 동정 결과가 모두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In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and O174 of E. coli using the primer set and probe for serotype grouping and the primer set and probe for serotype identif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or O111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serotype identification method, serotypes were identified for strains isolated from unknown samples. and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existing antiserum methods and in silico methods. As a result, as confirmed in Figures 5a, 5b, 6 and Table 5, in the serotype identification resul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sults of the existing antiserum method and in silico method, Eco415 and STEC-084-M were O103 K-EC009 was identified as O136 serotype, Eco545 and C-EC-0005 were identified as O121 serotype, Eco452 and K-EC196 were identified as O123 serotype, and Eco453 and Eco502 were identified as O156 serotype. Eco435 and Eco551 were identified as O6 serotypes, Eco481 and STEC-089-M were identified as O168 serotypes, Eco288 and Eco464 were identified as O3, and Eco269 was identified as O170 serotypes. A79 and A80 were identified as O40 serotype, K-EC271 was identified as O78 serotype, Eco300 and Eco548 were identified as O82 serotype, E77 was identified as O80 serotype, and Eco368 and Eco 363 were identified as O88 serotype. K-EC324 and K-EC124 were identified as O91 serotype, Eco383 was identified as O181 serotype, Eco419 and K-EC100 were identified as O174 serotype, and STEC-017-S and STEC-051 -M was identified as O111 serotype, and it was found that all identification results were consistent.

본 발명에서 사용된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에 상응하는 서열이 서열번호로 표시되었으나, 상기 프라이머 및 프로브는 기능적 동일성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일부 서열이 치환, 결실 또는 부가되는 경우 본 발명과 균등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Sequences corresponding to the primer and probe set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dicated by sequence numbers, but the primers and probes are interpreted as equivalent to the present invention if some sequences are substituted, deleted, or added within the range where functional identity is maintained. It can be.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동정"은 판별, 검출 또는 식별 등의 용어와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identification” may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terms such as discrimination, detection, or identification.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이하에서 기술하는 특정 실시예 및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 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examples. However,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take various forms, the specific embodiments and descriptions described below are only intended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That's not what I'm trying to d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실험 균주 experimental strain E. coliE. coli O103, O103, E. coliE. coli O121, O121, E. coliE. coli O136, O136, E. coliE. coli O123, O123, E. coliE. coli O6, O6, E. coliE. coli O156, O156, E. coli E. coli O168, O168, E. coliE. coli O170, O170, E. coliE. coli O3, O3, E. coliE. coli O40, O40, E. coliE. coli O64, O64, E. coli E. coli O66, O66, E. coliE. coli O78, O78, E. coliE. coli O80, O80, E. coliE. coli O82, O82, E. coliE. coli O88, O88, E. coliE. coli O8, O8, E. coliE. coli O91, O91, E. coliE. coli O181, O181, E. coliE. coli O111 및 O111 and E. coliE. coli O174에 대한 멀티플렉스 PCR의 수행 Performing multiplex PCR for O174

1-1. 실험 균주 및 배양1-1. Experimental strains and cultures

대장균 균주 E. coli O103(NCCP 15956, NCCP), E. coli O121(L-EC 012, SNU culture collection), E. coli O136(L-EC 018, SNU culture collection), E. coli O123(L-EC 013, SNU culture collection), E. coli O6(NCCP 15732, NCCP), E. coli O156(L-EC 027, SNU culture collection), E. coli O168(L-EC 030, SNU culture collection), E. coli O170(L-EC 032, SNU culture collection), E. coli O3(L-EC 048, SNU culture collection), E. coli O40(L-EC 051, SNU culture collection), E. coli O64(L-EC 055, SNU culture collection), E. coli O66(L-EC 056, SNU culture collection), E. coli O78(ATCC 35401, ATCC), E. coli O80(L-EC 062, SNU culture collection), E. coli O82(L-EC 064, SNU culture collection), E. coli O88(L-EC 066, SNU culture collection), E. coli O8(L-EC 061, SNU culture collection), E. coli O91(L-EC 067, SNU culture collection), E. coli O181(L-EC 041, SNU culture collection), E. coli O111(ATCC 43887, ATCC) 및 E. coli O174(L-EC 035, SNU culture collection)를 트립톤, 효모 추출물 및 염화나트륨을 첨가한 LB 액체배지에서 3 ℃ 교반 배양기를 이용하여 배양하였다.E. coli strains E. coli O103 (NCCP 15956, NCCP), E. coli O121 (L-EC 012, SNU culture collection), E. coli O136 (L-EC 018, SNU culture collection), E. coli O123 (L- EC 013, SNU culture collection), E. coli O6 (NCCP 15732, NCCP), E. coli O156 (L-EC 027, SNU culture collection), E. coli O168 (L-EC 030, SNU culture collection), E coli O170 (L-EC 032, SNU culture collection), E. coli O3 (L-EC 048, SNU culture collection), E. coli O40 (L-EC 051, SNU culture collection), E. coli O64 (L-EC 051, SNU culture collection). -EC 055, SNU culture collection), E. coli O66 (L-EC 056, SNU culture collection), E. coli O78 (ATCC 35401, ATCC), E. coli O80 (L-EC 062, SNU culture collection), E. coli O82 (L-EC 064, SNU culture collection), E. coli O88 (L-EC 066, SNU culture collection), E. coli O8 (L-EC 061, SNU culture collection), E. coli O91 ( L-EC 067, SNU culture collection), E. coli O181 (L-EC 041, SNU culture collection), E. coli O111 (ATCC 43887, ATCC) and E. coli O174 (L-EC 035, SNU culture collection) were cultured in LB liquid medium supplemented with tryptone, yeast extract, and sodium chloride using a stirred incubator at 3°C.

1-2. 혈청형 그룹핑 및 동정용 프라이머 세트 및 프로브의 설계1-2. Design of primer sets and probes for serotype grouping and identification

대장균 혈청형을 그룹핑하기 위한 6개의 표적 유전자에 대해 각각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라이머 세트 및 프로브를 표 1과 같이 설계하였다.Primer sets and probes that specifically bind to each of the six target genes for grouping E. coli serotypes were designed as shown in Table 1.

세트set 명칭designation 서열order 서열번호sequence number 앰플리콘 길이/bpb Amplicon length/bp b 프라이머 함량
(F, R 각각)
Primer content
(F, R respectively)
프로브 함량Probe content
세트 1set 1 DR-FDR-F CCGGACCAGCTGGGTATATGCCGGACCAGCTGGGGTATATG 1One 195195 15 pmol15 pmol 15 pmol15 pmol DR-RDR-R TGGTACAAGCCTGCGACTTCTGGTACAAGCCTGCGACTTC 22 DR-PDR-P FAM-TGCGCCAACTGGCGCAGAGTTGC-TAMRAFAM-TGCGCCAACTGGGCGAGAGTTGC-TAMRA 33 CD-FCD-F AAGACATCATCGTGACCAAAAAGACATCATCGTGACCAAA 44 158158 15 pmol15 pmol 15 pmol15 pmol CD-RCD-R TTGCTGAAAATGTCCGGTATTTGCTGAAAATGTCCGGTAT 55 CD-PCD-P CY5-GACCAGCGGGTTGGCGACAA-BHQ1CY5-GACCAGCGGGTTGGCGACAA-BHQ1 66 G4E-FG4E-F ATGCACTTGCCTTACCCACTATGCACTTGCCTTACCCACT 77 124124 15 pmol15 pmol 15 pmol15 pmol G4E-RG4E-R ACTGTGTTGTTGCGCAGAATACTGTGTTGTTGCGCAGAAT 88 G4E-PG4E-P HEX-ACGCTGTCAGCTCAGTGCGCGTGA-BHQ3HEX-ACGCTGTCAGCTCAGTGCGCGTGA-BHQ3 99 세트 2set 2 A4E-FA4E-F GCGCAAGCAGGTGTACGTTAGCGCAAGCAGGTGTACGTTA 1010 9898 10 pmol10 pmol 10 pmol10 pmol A4E-RA4E-R TTATAGCGGCATCCTTCCAGTTTATAGCGGCATCCTTCCAGT 1111 A4E-PA4E-P FAM-CCCAATGCATATGCAGATGCAAACC-TAMRAFAM-CCCAATGCATATGCAGATGCAAACC-TAMRA 1212 BGT-FBGT-F GGGGTACTTGTGGAAAATACTGGGGTACTTGTGGAAAAATACT 1313 149149 15 pmol15 pmol 15 pmol15 pmol BGT-RBGT-R AAAATAATGCTTTTATATGCTGAAGAAAATAATGCTTTTATATGCTGAAG 1414 BGT-PBGT-P CY5-CGGGAACAGGCAATTCGTGCCTCCGG-BHQ1CY5-CGGGAACAGGCAATTCGTGCCTCTCGG-BHQ1 1515 D2E-FD2E-F AAGAACTCACGAGCTGTGCTAAGAACTCACGAGCTGTGCT 1616 171171 20 pmol20 pmol 20 pmol20 pmol D2E-RD2E-R ATCCAGCGCTTGTAATACGCATCCAGCGCTTGTAATACGC 1717 D2E-PD2E-P HEX-AGCGCATGAGCGTCCGGAAGGCT-BHQ3HEX-AGCGCATGAGCGTCCGGAAGGCT-BHQ3 1818

또한,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별 혈청형으로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및 O111 혈청형을 동정하기 위한 각 프라이머 세트 및 프로브를 설계하고, 정확도와 민감도 실험을 진행하여, 표 2와 같은 프라이머 세트 및 프로브를 최종 선별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프라이머와 프로브는 ㈜바이오닉스 (http://www.bionicsro.co.kr/)에 의뢰하여 제조하였다.Additionally, as shown in Table 2, individual serotypes include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and O91. , each primer set and probe to identify O181 and O111 serotypes was designed, accuracy and sensitivity experiments were conducted, and the primer sets and probes shown in Table 2 were finally selected. The primers and probe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ere manufactured by Bionics Co., Ltd. (http://www.bionicsro.co.kr/).

그룹group 혈청형serotype 명칭designation 서열 order 서열번호sequence number 앰플리콘 길이/bpb Amplicon length/bp b 프라이머 함량
(F, R 각각)
Primer content
(F, R respectively)
프로브 함량Probe content
그룹
9-1
group
9-1
O103O103 O103-FO103-F TTGGAGCGTTAACTGGACCTTTGGAGCGTTAACTGGACCT 1919 137137 23 pmol23 pmol 23 pmol23 pmol
O103-RO103-R TGCCGTAGTAAGAACAGCCATGCCGTAGTAAGAACAGCCA 2020 O103-PO103-P HEX-ACAGCTTGCCAATATCCGGCATCC-TAMRAHEX-ACAGCTTGCCAATATCCGGCATCC-TAMRA 2121 O121O121 O121-FO121-F TGCTGGCATAAACTATCTGTTGCTGGCATAAACTATCTGT 2222 112112 11 pmol11 pmol 11 pmol11 pmol O121-RO121-R TGAGCTAAAATAACCTGCGTTGAGCTAAAATAACCTGCGT 2323 O121-PO121-P CY5-TCAACATGTCGGCCATTTAGCGTTGA-BHQ1CY5-TCAACATGTCGGCCATTTAGCGTTGA-BHQ1 2424 O136O136 O136-FO136-F TGAAGGTGGCGTAATAGCTTTGTGAAGGTGGCGTAATAGCTTTG 2525 190190 11 pmol11 pmol 11 pmol11 pmol O136-RO136-R TGCAGAAGCAACAACTTGCACTGCAGAAGCAACAACTTGCAC 2626 O136-PO136-P FAM-GGAGTGTCATTTTGGGGGCGGGCGA-BHQ1FAM-GGAGTGTCATTTTGGGGGCGGGCGA-BHQ1 2727 그룹
9-2
group
9-2
O123O123 O123-FO123-F TAGGCACCCTGTCATCCGTATAGGCACCTGTCATCCGTA 2828 153153 30 pmol30 pmol 30 pmol30 pmol
O123-RO123-R AAGCATTATACCACCCGCACAAAGCATTATACCACCCGCACA 2929 O123-PO123-P HEX-GGAGGGGAAAAACTATGTGCACTTACGTGG-TAMRAHEX-GGAGGGGAAAAACTATGTGCACTTACGTGG-TAMRA 3030 O6O6 O6-FO6-F TGAGCTTGCCGGAAATAAGCTGAGCTTGCCGGAAAATAAGC 3131 131131 7.5 pmol7.5 pmol 7.5 pmol7.5 pmol O6-RO6-R ACATCCAATCAGACCAAATGCTACATCCAATCAGACCAAATGCT 3232 O6-PO6-P FAM-TGGCCTCATACACAGCA AACCCAGA-BHQ1FAM-TGGCCTCATACACAGCA AACCCAGA-BHQ1 3333 O156O156 O156-FO156-F TGCGTATGCAGGAGGTAACGTGCGTATGCAGGAGGTAACG 3434 187187 7.5 pmol7.5 pmol 7.5 pmol7.5 pmol O156-RO156-R TCCCAAAACCTCCCTTAAAATAACGTCCCAAACCTCCCTTAAAATAACG 3535 O156-PO156-P CY5-TGATGAACCCGGGGCATTCAGTTTTGT-BHQ1CY5-TGATGAACCCGGGGCATTCAGTTTTGT-BHQ1 3636 그룹 9-3Group 9-3 O168O168 O168-FO168-F TGGGGGAGGAATATTTAGTCATGGGGGAGGAATATTTAGTCA 3737 197197 15 pmol15 pmol 15 pmol15 pmol O168-RO168-R ATTTATCGCAGCGTTTCATCATTTATCGCAGCGTTTCATC 3838 O168-PO168-P HEX-TGCTGGTGGAGGACCACGCA-TAMRAHEX-TGCTGGTGGAGGACCACGCA-TAMRA 3939 O170O170 O170-FO170-F TAGTGATACAGATGGACAGGGGTAGTGATACAGATGGACAGGGG 4040 7777 8 pmol8 pmol 8 pmol8 pmol O170-RO170-R ATCCAACACCCGCATTTTGCATCCAACACCCGCATTTTGC 4141 O170-PO170-P FAM-CGATCAGCACTTCTTCAAGCCGCAA-BHQ1FAM-CGATCAGCACTTCTTCAAGCCGCAA-BHQ1 4242 O3O3 O3-FO3-F AGTAAAACCACTAAAATATCCTGTAGTAAAACCACTAAAATATCCTGT 4343 167167 22 pmol22 pmol 22 pmol22 pmol O3-RO3-R GCACCGCTTGTTTATATTTTGTGCACCGCTTGTTTATATTTTGT 4444 O3-PO3-P CY5-TTTTTGGCAATTGAGCGCAAGCGCA-BHQ1CY5-TTTTTGGCAATTGAGCGCAAGCGCA-BHQ1 4545 그룹 9-4Group 9-4 O40O40 O40-FO40-F ATGCATTAGGCGCACTTCCTATGCATTAGGCGCACTTCCT 4646 139139 18 pmol18 pmol 18 pmol18 pmol O40-RO40-R ACTGAACGACCATTTAACATTGCACTGAACGACCATTTAACATTGC 4747 O40-PO40-P HEX-AGTGTGTTGCGGATTAGGGGTGTCA-TAMRAHEX-AGTGTGTTGCGGATTAGGGGTGTCA-TAMRA 4848 O64O64 O64-FO64-F ACAGGTTTGGATTTGCGTGAACAGGTTTGGATTTGGCGTGA 4949 100100 9 pmol9 pmol 9 pmol9 pmol O64-RO64-R ACATCCCTGAAGAAACAAGAATACATCCCTGAAGAAACAAGAAT 5050 O64-PO64-P CY5-TCGCAGTATTTCCCTGGTTGGCTTAGATT-BHQ1CY5-TCGCAGTATTTCCCTGGTTGGCTTAGATT-BHQ1 5151 O66O66 O66-FO66-F TTAGCGTTCTTTGTGCGGGGTTAGCGTTCTTTGTGCGGGG 5252 197197 18 pmol18 pmol 18 pmol18 pmol O66-RO66-R ACGGCCAAGTGCTAGTGAAAACGGCCAAGTGCTAGTGAAA 5353 O66-PO66-P FAM-GCGCCATATTCATCCT AATGCTTTTGTCGC-BHQ1FAM-GCGCCATATTCATCCT AATGCTTTTGTCGC-BHQ1 5454 그룹 9-5Group 9-5 O78O78 O78-FO78-F TGCAAGTTATTTGATGCCTACTGCAAGTTATTTGATGCCTAC 5555 145145 26 pmol26 pmol 26 pmol26 pmol O78-RO78-R CGCAACAGGAATACCTAACACGCAACAGGAATACCTAACA 5656 O78-PO78-P HEX-GCTCTCAAAGCGTTTCCATGATGGTGT-TAMRAHEX-GCTCTCAAAGCGTTTCCATGATGGTGT-TAMRA 5757 O80O80 O80-FO80-F ACTTATTGGCTTTGGGCCATACTTATTGGCTTTGGGCCAT 5858 196196 13 pmol13 pmol 13 pmol13 pmol O80-RO80-R AGCTCCTTCAAACTGGGATAAGCTCCTTCAAACTGGGATA 5959 O80-PO80-P FAM-TGCCTGCTTGGATCTTGGCTCTCAT-BHQ1FAM-TGCCTGCTTGGATCTTGGCTCTCAT-BHQ1 6060 O82O82 O82-FO82-F TGTTTTACATCGATGGTCGTTTGTTTTACATCGATGGTCGTT 6161 7373 6 pmol6 pmol 6 pmol6 pmol O82-RO82-R AACTGCGGAAAACTGTTAGAAAACTGCGGAAAACTGTTAGAA 6262 O82-PO82-P CY5-ACGGAAAAGTTCCTACGTTTGGCTTCGA-BHQ1CY5-ACGGAAAAGTTCCTACGTTTGGCTTCGA-BHQ1 6363 그룹 9-6Group 9-6 O88O88 O88-FO88-F CTGATTGCAGCTCATTTGTCCTGATTGCAGCTCATTTGTC 6464 192192 17 pmol17 pmol 17 pmol17 pmol O88-RO88-R CAATTTACGTCCAGACCAGACAATTTACGTCGACCAGA 6565 O88-PO88-P HEX-TGGGTTCCCAATTGTCAGCATCTGGCA-TAMRAHEX-TGGGTTTCCCAATTGTCAGCATCTGGCA-TAMRA 6666 O8O8 O8-FO8-F TGTCTGCCGATCATCGTGACTGTCTGCCGATCATCGTGAC 6767 136136 17 pmol17 pmol 17 pmol17 pmol O8-RO8-R GCAAAAGCAGGACCGGTATCGCAAAAGCAGGACCGGTATC 6868 O8-PO8-P FAM-GTCACCGGTAACTTCCCCGGCTGGC-BHQ1FAM-GTCACCGGTAACTTCCCCGGCTGGC-BHQ1 6969 O91O91 O91-FO91-F GAAGGCAAGTAGCGTTTTGACAGAAGGCAAGTAGCGTTTTGACA 7070 101101 11 pmol11 pmol 11 pmol11 pmol O91-RO91-R GTATCGCAGGCCACTTCCATGTATCGCAGGCCACTTCCAT 7171 O91-PO91-P CY5-TGGATTTCTGTGCTTTTTGTCACTTTGGCC-BHQ1CY5-TGGATTTCTGTGCTTTTTGTCACTTTGGCC-BHQ1 7272 그룹 9-7Group 9-7 O181O181 O181-FO181-F TTGGGCCATCTGGAATTGCTTTGGGCCATCTGGAATTGCT 7373 139139 21 pmol21 pmol 21 pmol21 pmol O181-RO181-R TCGAGATTTTCTGGTGAGTGCTTCGAGATTTTCTGGTGAGTGCT 7474 O181-PO181-P HEX-CGCAGGGAGGTATATTGTCTGGAGTAACG-TAMRAHEX-CGCAGGGAGGTATATTGTCTGGAGTAACG-TAMRA 7575 O111O111 O111-FO111-F GTCCCTTGCCTTCAACTAGGTCCCTTGCCTTCAACTAG 7676 9090 12 pmol12 pmol 12 pmol12 pmol O111-RO111-R TGCTTTCATTCTAGCAAACATTGTGCTTTCATTCTAGCAAACATTG 7777 O111-PO111-P FAM-TGATGTTCACTCTTTCTGCGTCTGCA-BHQ1FAM-TGATGTTCACTCTTTCTGCGTTCTGCA-BHQ1 7878 O174O174 O174-FO174-F TTTCGTATTCAGCAATTGTACTCATTTCGTATTCAGCAATTGTACTCA 7979 197197 12 pmol12 pmol 12 pmol12 pmol O174-RO174-R GGTTTTGCTAAGTTCTGCCCCGGTTTTGCTAAGTTTCTGCCCC 8080 O174-PO174-P CY5-TTTTAGGCCCGCTTACTGGGAAGCA-BHQ1CY5-TTTTAGGCCCGCTTACTGGGAAGCA-BHQ1 8181

1-3. 실험 균주를 이용한 그룹핑용 PCR 프라이머 세트의 정확성 평가1-3. Accuracy evaluation of PCR primer sets for grouping using experimental strains

실시예 1-1에서 수득된 배양액 또는 G-spin Genomic DNA Extraction Kit (박테리아용) (Intronbio)를 이용하여 제조사 지침에 따라 실시예 1-1의 각 균주들로부터 총 DNA 40ng을 분리하여 준비하였다. 다음으로, 대장균의 혈청형을 그룹으로 나누기 위한 그룹핑 PCR 단계를 진행하기 위해, 시약 Mix (효소, dNTP, 버퍼 등)와 표 1의 프라이머 세트와 프로브 및 분자 물(Molecular water)을 표 3의 농도로 준비하였다. 상기 준비된 총 DNA와 믹스쳐를 실시간 PCR 튜브에 첨가하고 표 4의 조건으로 PCR을 수행하였다. PCR 산물은 4% 아가로오즈 겔에 로딩하고 전기영동한 후 EtBr 염색하여 확인하였다. 음성 대조군(-)으로 DNA 혼합물이 없는 시료를 사용하였고, 양성 대조군(+)으로 각 혈청형의 게놈 DNA (genomic DNA) 혼합물을 사용하여 PCR이 정확하게 수행되었는지 판단하였다. 증폭 산물의 검출 결과는 혈청형 그룹핑용 프라이머 세트와 프로브의 명칭에 따라 각각 DR, CD, G4E, A4E, BGT 및 D2E로 도 1에 나타내었다. 40ng of total DNA was isolated and prepared from each strain in Example 1-1 using the culture medium obtained in Example 1-1 or the G-spin Genomic DNA Extraction Kit (for bacteria) (Intronbio)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instructions. Next, in order to proceed with the grouping PCR step to divide E. coli serotypes into groups, reagent mix (enzyme, dNTP, buffer, etc.), primer set in Table 1, probe, and molecular water were mixed at the concentration in Table 3. It was prepared with The total DNA and the mixture prepared above were added to a real-time PCR tube, and PCR was performed under the conditions in Table 4. PCR products were loaded on a 4% agarose gel, electrophoresed, and confirmed by EtBr staining. A sample without a DNA mixture was used as a negative control (-), and a mixture of genomic DNA of each serotype was used as a positive control (+) to determine whether PCR was performed accurately. The detection results of the amplification products are shown in Figure 1 as DR, CD, G4E, A4E, BGT, and D2E,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names of the primer sets and probes for serotype grouping.

샘플Sample 부피volume sheep 주형 DNAtemplate DNA 1One 40 ng40 ng R 프라이머(20 μM)R primer (20 μM) 0.750.75 15 pmol15 pmol F 프라이머 (20 μM)F primer (20 μM) 0.750.75 15 pmol15 pmol qPCR 믹스 (2X)qPCR mix (2X) 1010   TaqMan 프로브 (20 μM)TaqMan probe (20 μM) 0.750.75 15 pmol15 pmol 분자 물molecule water 6.756.75   gun 2020  

단계step 온도 (℃)Temperature (℃) 시간hour 사이클cycle 전-변성 (Pre-denaturation)Pre-denaturation 9595 5 분5 minutes 1One 변성 (Denaturation)Denaturation 9595 30 초30 seconds 3535 어닐링 (Annealing)Annealing 6060 1 분1 min 3535

도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제2 프라이머 세트와 제2 프로브(CD-F, CD-R 및 CD-P)에 의한 증폭 산물은 검출되었으나, 제1 프라이머 세트와 제1 프로브(DR-F, DR-R 및 DR-P)에 의한 증폭 산물, 제3 프라이머 세트와 제3 프로브(G4E-F, G4E-R 및 G4E-P), 제4 프라이머 세트와 제4 프로브(A4E-F, A4E-R 및 A4E-P), 제5 프라이머 세트와 제5 프로브(BGT-F, BGT-R 및 BGT-P) 및 제6 프라이머 세트와 제6 프로브(D2E-F, D2E-R 및 D2E-P)에 의한 증폭 산물은 검출되지 않아, 실험에 사용한 균주가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및 O111 중 하나의 혈청형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E. coli O103, E. coli O121, E. coli O136, E. coli O123, E. coli O6, E. coli O156, E. coli O168, E. coli O170, E. coli O3, E. coli O40, E. coli O64, E. coli O66, E. coli O78, E. coli O80, E. coli O82, E. coli O88, E. coli O8, E. coli O91, E. coli O181, E. coli O111 및 E. coli O174를 실험 균주로 사용한 것과 일치한다. As can be seen in Figure 1, the amplification products by the second primer set and the second probe (CD-F, CD-R, and CD-P) were detected, but the amplification products by the first primer set and the first probe (DR-F, DR-R and DR-P), a third primer set and a third probe (G4E-F, G4E-R and G4E-P), a fourth primer set and a fourth probe (A4E-F, A4E- R and A4E-P), the fifth primer set and the fifth probe (BGT-F, BGT-R, and BGT-P), and the sixth primer set and the sixth probe (D2E-F, D2E-R, and D2E-P). The amplification product was not detected, so the strains used in the experiment were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It was confirmed to have one of the serotypes O91, O181, and O111. These results show that E. coli O103, E. coli O121, E. coli O136, E. coli O123, E. coli O6, E. coli O156, E. coli O168, E. coli O170, E. coli O3, E. coli coli O40, E. coli O64, E. coli O66, E. coli O78, E. coli O80, E. coli O82, E. coli O88, E. coli O8, E. coli O91, E. coli O181, E. This is consistent with the use of E. coli O111 and E. coli O174 as test strains.

1-4. 실험 균주를 이용한 혈청형 동정용 PCR 프라이머 세트의 정확성 평가1-4. Accuracy evaluation of PCR primer sets for serotype identification using experimental strains

그룹핑 PCR과 동일한 조건으로, 표 2의 총 21개의 혈청형에 대한 프라이머 세트와 프로브를 이용하여 멀티플렉스 PCR을 수행하였다. 도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각각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및 O111 혈청형 균주에서만 특이적으로 각 혈청형에 상응하는 PCR 산물 (각각 137 bp, 112 bp, 190 bp, 153 bp, 131 bp, 187 bp, 197 bp, 77 bp, 167 bp, 139 bp, 100 bp, 197 bp, 145 bp, 196 bp, 73 bp, 192 bp, 136 bp, 101 bp, 139 bp, 90 bp 및 197 bp)이 관찰되었다.Under the same conditions as grouping PCR, multiplex PCR was performed using primer sets and probes for a total of 21 serotypes in Table 2. As seen in Figure 2,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and O111, respectively. PCR products corresponding to each serotype specifically for serotype strains (137 bp, 112 bp, 190 bp, 153 bp, 131 bp, 187 bp, 197 bp, 77 bp, 167 bp, 139 bp, 100 bp, respectively) 197 bp, 145 bp, 196 bp, 73 bp, 192 bp, 136 bp, 101 bp, 139 bp, 90 bp and 197 bp) were observed.

실험 균주 experimental strain E. coliE. coli O103, O103, E. coliE. coli O121, O121, E. coliE. coli O136, O136, E. coliE. coli O123, O123, E. coliE. coli O6, O6, E. coliE. coli O156, O156, E. coli E. coli O168, O168, E. coliE. coli O170, O170, E. coliE. coli O3, O3, E. coliE. coli O40, O40, E. coliE. coli O64, O64, E. coli E. coli O66, O66, E. coliE. coli O78, O78, E. coliE. coli O80, O80, E. coliE. coli O82, O82, E. coliE. coli O88, O88, E. coliE. coli O8, O8, E. coliE. coli O91, O91, E. coliE. coli O181, O181, E. coliE. coli O111 및 O111 and E. coliE. coli O174에 대한 멀티플렉스 실시간 PCR의 수행 Performing multiplex real-time PCR for O174

2-1. 실험 균주를 이용한 그룹핑용 PCR 프라이머 세트의 정확성 평가2-1. Accuracy evaluation of PCR primer sets for grouping using experimental strains

실시예 1-1의 실험 균주에 대해 실시예 1-3과 동일한 조건으로 멀티플렉스 실시간 PCR을 수행하였다. 이때, 실시간 PCR 중 결합 및 연장 단계에서 프로브에 의해 생성된 형광을 CFX96 Touch Deep Well Real-Time PCR Detection system (Bio-rad, 미국)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혈청형 그룹핑용 프라이머 세트와 프로브에 의한 증폭 곡선은 각 프라이머 세트와 프로브의 명칭에 따라 각각 DR, CD, G4E, A4E, BGT 및 D2E로 도 3에 나타내었다. Multiplex real-time PCR was performed on the experimental strain of Example 1-1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Example 1-3. At this time, the fluorescence generated by the probe during the binding and extension steps during real-time PCR was measured using the CFX96 Touch Deep Well Real-Time PCR Detection system (Bio-rad, USA). The amplification curves by primer sets and probes for serotype grouping are shown in Figure 3 as DR, CD, G4E, A4E, BGT, and D2E,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names of each primer set and probe.

도 3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실험 균주로 사용된 E. coli O103, E. coli O121, E. coli O136, E. coli O123, E. coli O6, E. coli O156, E. coli O168, E. coli O170, E. coli O3, E. coli O40, E. coli O64, E. coli O66, E. coli O78, E. coli O80, E. coli O82, E. coli O88, E. coli O8, E. coli O91, E. coli O181, E. coli O111 및 E. coli O174는 각각 제2 프라이머 세트와 제2 프로브(CD-F, CD-R 및 CD-P)에 의한 증폭 곡선이 확인되었으나, 제1 프라이머 세트와 제1 프로브(DR-F, DR-R 및 DR-P), 제3 프라이머 세트와 제3 프로브(G4E-F, G4E-R 및 G4E-P), 제4 프라이머 세트와 제4 프로브(A4E-F, A4E-R 및 A4E-P), 제5 프라이머 세트와 제5 프로브(BGT-F, BGT-R 및 BGT-P) 및 제6 프라이머 세트와 제6 프로브(D2E-F, D2E-R 및 D2E-P)에 의한 증폭 곡선은 확인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실시예 1-3의 멀티플렉스 PCR 결과와 일치하며, 실험에 사용한 균주가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및 O111 중 하나의 혈청형을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As shown in Figure 3, the experimental strains used were E. coli O103, E. coli O121, E. coli O136, E. coli O123, E. coli O6, E. coli O156, E. coli O168, E. coli coli O170, E. coli O3, E. coli O40, E. coli O64, E. coli O66, E. coli O78, E. coli O80, E. coli O82, E. coli O88, E. coli O8, E. coli O91, E. coli O181, E. coli O111, and E. coli O174, respectively, amplification curves were confirmed by the second primer set and the second probe (CD-F, CD-R, and CD-P), but the amplification curves by the second primer set and second probe (CD-F, CD-R, and CD-P) were confirmed, respectively. Primer set and first probe (DR-F, DR-R and DR-P), third primer set and third probe (G4E-F, G4E-R and G4E-P), fourth primer set and fourth probe (A4E-F, A4E-R and A4E-P), fifth primer set and fifth probe (BGT-F, BGT-R and BGT-P) and sixth primer set and sixth probe (D2E-F, D2E -R and D2E-P) amplification curves were not identified.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multiplex PCR results of Example 1-3, and the strains used in the experiment were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It means having one of the following serotypes: O80, O82, O88, O8, O91, O181, and O111.

2-2. 실험 균주를 이용한 혈청형 동정용 PCR 프라이머 세트의 정확성 평가2-2. Accuracy evaluation of PCR primer sets for serotype identification using experimental strains

실시예 1-1의 실험 균주에 대해 실시예 1-4와 동일한 조건으로 멀티플렉스 실시간 PCR을 수행하였다. 이때, 실시간 PCR 중 결합 및 연장 단계에서 프로브에 의해 생성된 형광을 CFX96 Touch Deep Well Real-Time PCR Detection system (Bio-rad, 미국)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Multiplex real-time PCR was performed on the experimental strain of Example 1-1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Example 1-4. At this time, the fluorescence generated by the probe during the binding and extension steps during real-time PCR was measured using the CFX96 Touch Deep Well Real-Time PCR Detection system (Bio-rad, USA).

도 4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실험 균주로 사용된 E. coli O103, E. coli O121, E. coli O136, E. coli O123, E. coli O6, E. coli O156, E. coli O168, E. coli O170, E. coli O3, E. coli O40, E. coli O64, E. coli O66, E. coli O78, E. coli O80, E. coli O82, E. coli O88, E. coli O8, E. coli O91, E. coli O181, E. coli O111 및 E. coli O174는 각 혈청형을 특이적으로 표적하는 유전자가 증폭되어, 각 혈청형에 상응하는 증폭 곡선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상기 멀티플렉스 PCR을 진행한 후 증폭 산물을 전기영동으로 확인한 결과와 일치하며, 실험 균주의 혈청형과 동일한 혈청형으로 동정되었음을 의미한다.As shown in Figure 4, the experimental strains used were E. coli O103, E. coli O121, E. coli O136, E. coli O123, E. coli O6, E. coli O156, E. coli O168, and E. coli. coli O170, E. coli O3, E. coli O40, E. coli O64, E. coli O66, E. coli O78, E. coli O80, E. coli O82, E. coli O88, E. coli O8, E. coli O91, E. coli O181, E. coli O111, and E. coli O174, genes specifically targeting each serotype were amplified, and amplification curves corresponding to each serotype were confirmed.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amplification product by electrophoresis after performing the multiplex PCR, meaning that it was identified as the same serotype as that of the test strain.

미지의 시료에 대한 멀티플렉스 실시간 PCR의 수행 및 기존 혈청형 동정 방법과의 비교 검증Performance of multiplex real-time PCR on unknown samples and comparative validation with existing serotype identification methods

표 1의 혈청형 그룹핑용 프라이머 세트와 프로브 및 표 2의 혈청형 동정용 프라이머 세트와 프로브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자연에서 수득한 미지의 시료로부터 분리된 78종의 균주에 대해 실시예 2와 동일한 조건으로 멀티플렉스 실시간 PCR을 수행하였고, 이를 기존 혈청형 동정 방법인 항혈청 (Antisera) 방법 및 인실리코 (In silico) 혈청형 방법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혈청형 그룹핑용 프라이머 세트와 프로브에 의한 증폭 곡선은 각 프라이머 세트와 프로브의 명칭에 따라 각각 DR, CD, G4E, A4E, BGT 및 D2E로 도 5a, 도 5b에 나타내었다.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imer set and probe for serotype grouping in Table 1 and the primer set and probe for serotype identification in Table 2, 78 strains isolated from unknown samples obtained from nature were tested in Example 2 and Multiplex real-time PCR was performed under the same conditions,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the existing serotype identification methods, the Antisera method and the In silico serotype method. Amplification curves by primer sets and probes for serotype grouping are shown in Figures 5a and 5b as DR, CD, G4E, A4E, BGT, and D2E,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names of each primer set and probe.

본 발명에 따른 혈청형 동정 방법을 수행한 결과, 도 5a 및 도 5b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미지의 시료로부터 분리된 Eco415, STEC-084-M, K-EC009, Eco545, C-EC-0005, Eco452, K-EC196, Eco453, Eco502, Eco435, Eco551, Eco481, STEC-089-M, Eco288, Eco464, Eco269, A79, A80, K-EC271, O78, Eco300, Eco548, E77, Eco368, Eco 363, K-EC324, K-EC124, Eco383, Eco419, K-EC100, STEC-017-S, STEC-051-M 균주는 각각 제2 프라이머 세트와 제2 프로브(CD-F, CD-R 및 CD-P)에 의한 증폭 곡선이 확인되었으나, 제1 프라이머 세트와 제1 프로브(DR-F, DR-R 및 DR-P), 제3 프라이머 세트와 제3 프로브(G4E-F, G4E-R 및 G4E-P), 제4 프라이머 세트와 제4 프로브(A4E-F, A4E-R 및 A4E-P), 제5 프라이머 세트와 제5 프로브(BGT-F, BGT-R 및 BGT-P) 및 제6 프라이머 세트와 제6 프로브(D2E-F, D2E-R 및 D2E-P)에 의한 증폭 곡선은 확인되지 않아, 1차적으로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및 O111 중 하나의 혈청형을 가지는 것으로 그룹핑되었다. 또한, 개별 혈청형 동정을 위한 멀티플렉스 실시간 PCR 단계에서 Eco415와 STEC-084-M은 O103 혈청형에 특이적인 증폭 곡선이 확인되었고, K-EC009는 O136 혈청형에 특이적인 증폭 곡선이 확인되었고, Eco545와 C-EC-0005는 O121 혈청형에 특이적인 증폭 곡선이 확인되었고, Eco452와 K-EC196은 O123 혈청형에 특이적인 증폭 곡선이 확인되었고, Eco453과 Eco502는 O156 혈청형에 특이적인 증폭 곡선이 확인되었고, Eco435와 Eco551은 O6 혈청형에 특이적인 증폭 곡선이 확인되었고, Eco481과 STEC-089-M은 O168 혈청형에 특이적인 증폭 곡선이 확인되었고, Eco288과 Eco464는 O3에 특이적인 증폭 곡선이 확인되었고, Eco269는 O170 혈청형에 특이적인 증폭 곡선이 확인되었고, A79와 A80은 O40 혈청형에 특이적인 증폭 곡선이 확인되었고, K-EC271은 O78 혈청형에 특이적인 증폭 곡선이 확인되었고, Eco300과 Eco548은 O82 혈청형에 특이적인 증폭 곡선이 확인되었고, E77은 O80 혈청형에 특이적인 증폭 곡선이 확인되었고, Eco368과 Eco 363은 O88 혈청형에 특이적인 증폭 곡선이 확인되었고, K-EC324와 K-EC124는 O91 혈청형에 특이적인 증폭 곡선이 확인되었고, Eco383은 O181 혈청형에 특이적인 증폭 곡선이 확인되었고, Eco419와 K-EC100은 O174 혈청형에 특이적인 증폭 곡선이 확인되었고, STEC-017-S와 STEC-051-M은 O111 혈청형에 특이적인 증폭 곡선이 확인되어, Eco415와 STEC-084-M은 O103 혈청형, K-EC009는 O136 혈청형, Eco545와 C-EC-0005는 O121 혈청형, Eco452와 K-EC196은 O123 혈청형, Eco453과 Eco502는 O156 혈청형, Eco435와 Eco551은 O6 혈청형, Eco481과 STEC-089-M은 O168 혈청형, Eco288과 Eco464는 O3, Eco269는 O170 혈청형, A79와 A80은 O40 혈청형, K-EC271은 O78 혈청형, Eco300과 Eco548은 O82 혈청형, E77은 O80 혈청형, Eco368과 Eco 363은 O88 혈청형, K-EC324와 K-EC124는 O91 혈청형, Eco383은 O181 혈청형, Eco419와 K-EC100은 O174 혈청형, STEC-017-S와 STEC-051-M은 O111 혈청형으로 동정되었다.As a result of performing the serotype ident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confirmed in Figures 5a and 5b, Eco415, STEC-084-M, K-EC009, Eco545, C-EC-0005, Eco452, K-EC196, Eco453, Eco502, Eco435, Eco551, Eco481, STEC-089-M, Eco288, Eco464, Eco269, A79, A80, K-EC271, O78, Eco300, Eco548, E77, Eco368, Eco 363, K -EC324, K-EC124, Eco383, Eco419, K-EC100, STEC-017-S, and STEC-051-M strains each use a second primer set and a second probe (CD-F, CD-R, and CD-P) The amplification curve was confirmed, but the first primer set and first probe (DR-F, DR-R and DR-P), the third primer set and third probe (G4E-F, G4E-R and G4E-P) ), fourth primer set and fourth probe (A4E-F, A4E-R and A4E-P), fifth primer set and fifth probe (BGT-F, BGT-R and BGT-P) and sixth primer set. and the amplification curves by the sixth probe (D2E-F, D2E-R and D2E-P) were not confirmed, primarily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 were grouped as having one of the following serotypes: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and O111. In addition, in the multiplex real-time PCR step for individual serotype identification, Eco415 and STEC-084-M had amplification curves specific to the O103 serotype, and K-EC009 had an amplification curve specific to the O136 serotype. Eco545 and C-EC-0005 had amplification curves specific to the O121 serotype, Eco452 and K-EC196 had amplification curves specific to the O123 serotype, and Eco453 and Eco502 had amplification curves specific to the O156 serotype. was confirmed, Eco435 and Eco551 had amplification curves specific to the O6 serotype, Eco481 and STEC-089-M had amplification curves specific to the O168 serotype, and Eco288 and Eco464 had O3-specific amplification curves. was confirmed, Eco269 had an amplification curve specific to the O170 serotype, A79 and A80 had an amplification curve specific to the O40 serotype, and K-EC271 had an amplification curve specific to the O78 serotype. Eco300 and Eco548 had amplification curves specific to the O82 serotype, E77 had amplification curves specific to the O80 serotype, Eco368 and Eco 363 had amplification curves specific to the O88 serotype, and K-EC324 and K-EC124 had amplification curves specific to the O91 serotype, Eco383 had amplification curves specific to the O181 serotype, Eco419 and K-EC100 had amplification curves specific to the O174 serotype, and STEC -017-S and STEC-051-M had specific amplification curves for the O111 serotype, Eco415 and STEC-084-M for the O103 serotype, K-EC009 for the O136 serotype, and Eco545 and C-EC-0005. is O121 serotype, Eco452 and K-EC196 are O123 serotype, Eco453 and Eco502 are O156 serotype, Eco435 and Eco551 are O6 serotype, Eco481 and STEC-089-M are O168 serotype, Eco288 and Eco464 are O3 and Eco269. is O170 serotype, A79 and A80 are O40 serotype, K-EC271 is O78 serotype, Eco300 and Eco548 are O82 serotype, E77 is O80 serotype, Eco368 and Eco 363 are O88 serotype, K-EC324 and K- EC124 was identified as O91 serotype, Eco383 as O181 serotype, Eco419 and K-EC100 as O174 serotype, and STEC-017-S and STEC-051-M as O111 serotype.

다음으로, Eco415, STEC-084-M, Eco545, C-EC-0005, Eco453, Eco502, Eco481, STEC-089-M, Eco288, Eco464, A79, A80, Eco435, Eco551, Eco368, Eco 363, STEC-017-S, STEC-051-M 균주에 대해 E. COLI O ANTISERA FOR USE WITH BOILED CULTURE:O116 (SSI DIAGNOSTICA)를 사용하여 항혈청 방법을 수행한 결과, 도 6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Eco415와 STEC-084-M은 O103 혈청형, Eco545와 C-EC-0005는 O121 혈청형, Eco453과 Eco502는 O156 혈청형, Eco481과 STEC-089-M은 O168 혈청형, Eco288과 Eco464는 O3 혈청형, A79와 A80은 O40 혈청형, Eco435와 Eco551은 O6 혈청형, Eco368과 Eco 363은 O88 혈청형, STEC-017-S와 STEC-051-M은 O111 혈청형으로 동정되어 본 발명에 따른 혈청형 동정 방법 결과와 일치하였다.Next, Eco415, STEC-084-M, Eco545, C-EC-0005, Eco453, Eco502, Eco481, STEC-089-M, Eco288, Eco464, A79, A80, Eco435, Eco551, Eco368, Eco 363, STEC- As a result of performing an antiserum method using E. COLI O ANTISERA FOR USE WITH BOILED CULTURE:O116 (SSI DIAGNOSTICA) against 017-S and STEC-051-M strains, Eco415 and STEC-084, as shown in Figure 6 -M is O103 serotype, Eco545 and C-EC-0005 are O121 serotype, Eco453 and Eco502 are O156 serotype, Eco481 and STEC-089-M are O168 serotype, Eco288 and Eco464 are O3 serotype, A79 and A80. were identified as O40 serotype, Eco435 and Eco551 were identified as O6 serotype, Eco368 and Eco 363 were identified as O88 serotype, and STEC-017-S and STEC-051-M were identified as O111 serotype, showing the results of the serotype ident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matched.

마지막으로, Eco415, STEC-084-M, K-EC009, Eco545, C-EC-0005, Eco452, K-EC196, Eco453, Eco502, Eco435, Eco551, Eco481, STEC-089-M, Eco288, Eco464, Eco269, A79, A80, K-EC271, O78, Eco300, Eco548, E77, Eco368, Eco 363, K-EC324, K-EC124, Eco383, Eco419, K-EC100, STEC-017-S, STEC-051-M 균주에 대해 인실리코 혈청형 방법을 수행한 결과, 표 5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Eco415와 STEC-084-M은 O103 혈청형, K-EC009는 O136 혈청형, Eco545와 C-EC-0005는 O121 혈청형, Eco452와 K-EC196은 O123 혈청형, Eco453과 Eco502는 O156 혈청형, Eco435와 Eco551은 O6 혈청형, Eco481과 STEC-089-M은 O168 혈청형, Eco288과 Eco464는 O3, Eco269는 O170 혈청형, A79와 A80은 O40 혈청형, K-EC271은 O78 혈청형, Eco300과 Eco548은 O82 혈청형, E77은 O80 혈청형, Eco368과 Eco 363은 O88 혈청형, K-EC324와 K-EC124는 O91 혈청형, Eco383은 O181 혈청형, Eco419와 K-EC100은 O174 혈청형, STEC-017-S와 STEC-051-M은 O111 혈청형으로 동정되어,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른 혈청형 동정 방법 결과와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Finally, Eco415, STEC-084-M, K-EC009, Eco545, C-EC-0005, Eco452, K-EC196, Eco453, Eco502, Eco435, Eco551, Eco481, STEC-089-M, Eco288, Eco464, Eco269 , A79, A80, K-EC271, O78, Eco300, Eco548, E77, Eco368, Eco 363, K-EC324, K-EC124, Eco383, Eco419, K-EC100, STEC-017-S, STEC-051-M strains As a result of performing the in silico serotype method, as confirmed in Table 5, Eco415 and STEC-084-M were O103 serotype, K-EC009 was O136 serotype, and Eco545 and C-EC-0005 were O121 serotype. , Eco452 and K-EC196 are O123 serotypes, Eco453 and Eco502 are O156 serotypes, Eco435 and Eco551 are O6 serotypes, Eco481 and STEC-089-M are O168 serotypes, Eco288 and Eco464 are O3, and Eco269 are O170 serotypes. , A79 and A80 are O40 serotypes, K-EC271 are O78 serotypes, Eco300 and Eco548 are O82 serotypes, E77 are O80 serotypes, Eco368 and Eco 363 are O88 serotypes, and K-EC324 and K-EC124 are O91 serotypes. Type, Eco383 was identified as O181 serotype, Eco419 and K-EC100 were identified as O174 serotype, and STEC-017-S and STEC-051-M were identified as O111 serotype, similarly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the serotype ident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was found.

PCR 혈청형
결과
PCR serotype
result
항혈청 혈청형 결과Antiserum serotyping results 인실리코 혈청형 결과In silico serotyping results
균주strain 예상된 혈청형Expected serotype 예상된 혈청형Expected serotype 유전자gene 동일성sameness 예상된 혈청형Expected serotype Eco415Eco415 O103O103 O103O103 wzywzy 100 (1149 / 1149)100 (1149 / 1149) O103O103 wzxwzx 100 (1266 / 1266)100 (1266 / 1266) STEC-084-MSTEC-084-M O103O103 O103O103 wzywzy 100 (1149 / 1149)100 (1149 / 1149) O103O103 wzxwzx 100 (1266 / 1266)100 (1266 / 1266) K-EC009K-EC009 O136O136 O136O136 O136O136 wzxwzx 100 (1239/1239)100 (1239/1239) Eco545Eco545 O121O121 O121O121 wzywzy 100 (1191/1191)100 (1191/1191) O121O121 wzxwzx 100 (1395/1395)100 (1395/1395) C-EC-0005C-EC-0005 O121O121 O121O121 wzywzy 100 (1191/1191)100 (1191/1191) O121O121 wzxwzx 100 (1395/1395)100 (1395/1395) K-EC196K-EC196 O123O123 O123O123 wzywzy 99.68 (1251/1251)99.68 (1251/1251) O123O123 wzxwzx 99.59 (1446/1446)99.59 (1446/1446) Eco452Eco452 O123O123 O123O123 wzywzy 100 (1251/1251)100 (1251/1251) O123O123 wzxwzx 100 (1446/1446)100 (1446/1446) Eco502Eco502 O156O156 O156O156 wzywzy 100 (1206/1206)100 (1206/1206) O156O156 wzxwzx 99.82 (1140/1140)99.82 (1140/1140) Eco435Eco435 O6O6 O6O6 O6O6 wzxwzx 100 (1257 / 1257)100 (1257 / 1257) Eco551Eco551 O6O6 O6O6 O6O6 wzxwzx 100 (1257 / 1257)100 (1257 / 1257) Eco481Eco481 O168O168 O168O168 wzywzy 100 (1233/1233)100 (1233/1233) O168O168 wzxwzx 100 (1272/1272)100 (1272/1272) STEC-089-MSTEC-089-M O168O168 O168O168 wzywzy 100 (1233/1233)100 (1233/1233) O168O168 wzxwzx 100 (1272/1272)100 (1272/1272) Eco288Eco288 O3O3 O3O3 wzywzy 99.91 (1083/1083)99.91 (1083/1083) O3O3 wzxwzx 99.87 (1494/1494)99.87 (1494/1494) Eco464Eco464 O3O3 O3O3 wzywzy 99.91 (1083/1083)99.91 (1083/1083) O3O3 wzxwzx 99.87 (1494/1494)99.87 (1494/1494) Eco269Eco269 O170O170 O170O170 wzywzy 99.74 (1173/1173)99.74 (1173/1173) O170O170 wzxwzx 99.76 (1248/1248)99.76 (1248/1248) A79A79 O40O40 O40O40 O40O40 wzxwzx 99.45 (1283/1281)99.45 (1283/1281) A80A80 O40O40 O40O40 wzywzy 99.83 (1207/1206)99.83 (1207/1206) O40O40 wzxwzx 99.45 (1283/1281)99.45 (1283/1281) K-EC271K-EC271 O78O78 O78O78 O78O78 wzxwzx 100 (1101/1416)100 (1101/1416) Eco300Eco300 O82O82 O82O82 wzywzy 99.82 (1083/1083)99.82 (1083/1083) O82O82 wzxwzx 99.84 (1231/1230)99.84 (1231/1230) Eco548Eco548 O82O82 O82O82 wzywzy 99.72 (1083/1083)99.72 (1083/1083) O82O82 wzxwzx 99.92 (1230/1230)99.92 (1230/1230) E77E77 O80O80 O80O80 wzywzy 100 (1227/1227)100 (1227/1227) O80O80 wzxwzx 100 (1221/1221)100 (1221/1221) Eco368Eco368 O88O88 O88O88 wzywzy 100 (1275/1275)100 (1275/1275) O88O88 wzxwzx 100 (1458/1458)100 (1458/1458) Eco 363Eco 363 O88O88 O88O88 wzywzy 100 (1275/1275)100 (1275/1275) O88O88 wzxwzx 100 (1458/1458)100 (1458/1458) K-EC324K-EC324 O91O91 O91O91 wzywzy 99.92 (1212/1212)99.92 (1212/1212) O91O91 wzxwzx 99.92 (1266/1266)99.92 (1266/1266) K-EC124K-EC124 O91O91 O91O91 wzywzy 99.92 (1212/1212)99.92 (1212/1212) O91O91 wzxwzx 99.92 (1266/1266)99.92 (1266/1266) Eco383Eco383 O181O181 O181O181 wzywzy 100 (992/1251)100 (992/1251) O181O181 wzxwzx 100 (1272/1272)100 (1272/1272) Eco419Eco419 O174O174 O174O174 wzywzy 98.25 (1140/1140)98.25 (1140/1140) O174O174 K-EC100K-EC100 O174O174 O174O174 wzywzy 98.25 (1140/1140)98.25 (1140/1140) O174O174 STEC-017-SSTEC-017-S O111O111 O111O111 O111O111 wzxwzx 100 (1266 / 1266)100 (1266 / 1266) STEC-051-MSTEC-051-M O111O111 O111O111 O111O111 wzxwzx 100 (1266 / 1266)100 (1266 / 1266)

본 실시예의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혈청형 그룹핑용 프라이머 세트 및 프로브와 개별 혈청형 동정용 프라이머 세트 및 프로브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었다.Through the results of this example, it was possible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imer set and probe for serotype grouping and the primer set and probe for individual serotype ident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As the specific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it is clea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se specific techniques are merely preferred embodiments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omething to do. Accordingly, the actu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Claims (20)

다음의 i) 내지 vi)의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및 O111 혈청형을 포함하는 그룹으로 그룹핑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i) 서열번호 1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2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제1 프라이머 세트;
ii) 서열번호 4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5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제2 프라이머 세트;
iii) 서열번호 7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8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제3 프라이머 세트;
iv) 서열번호 10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11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제4 프라이머 세트;
v) 서열번호 13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14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제5 프라이머 세트; 및
vi) 서열번호 16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17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제6 프라이머 세트.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f E. coli, comprising the following primer sets of i) to vi), Primer sets for grouping into groups containing O8, O91, O181 and O111 serotypes:
i) a first primer set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
ii) a second primer set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
iii) a third primer set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8;
iv) a fourth primer set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0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1;
v) a fifth primer set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3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4; and
vi) A sixth primer set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6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7.
다음의 i) 내지 vi)의 프라이머 세트와 프로브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및 O111 혈청형을 포함하는 그룹으로 그룹핑하기 위한 조성물:
i) 서열번호 1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2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제1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3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 프로브;
ii) 서열번호 4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5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제2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6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2 프로브;
iii) 서열번호 7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8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제3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9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3 프로브;
iv) 서열번호 10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11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제4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12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4 프로브;
v) 서열번호 13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14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제5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15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5 프로브; 및
vi) 서열번호 16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17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제6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18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6 프로브.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f E. coli, including the following primer sets and probes i) to vi), Compositions for grouping into groups comprising O88, O8, O91, O181 and O111 serotypes:
i) a first primer set includ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 and a first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
ii) a second primer set includ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 and a second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
iii) a third primer set includ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8, and a third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9;
iv) a fourth primer set includ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0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1, and a four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2;
v) a fifth primer set includ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3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4, and a fif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5; and
vi) a sixth primer set includ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6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7, and a six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8.
제2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대장균의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및 O111 혈청형을 포함하는 그룹으로 그룹핑하기 위한 키트.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and Kit for grouping into groups containing O111 serotypes. 제3항에 있어서, 반응완충액, dNTP 및 DNA 중합효소를 추가로 포함하는, 키트.The kit according to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reaction buffer, dNTPs, and DNA polymerase. 제1항의 프라이머 세트; 또는 제2항의 조성물을 이용한, 대장균의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및 O111 혈청형을 포함하는 그룹으로 그룹핑하는 방법.The primer set of claim 1; Or, using the composition of claim 2,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and How to group O111 serotypes into groups containing them.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다음의 a) 및 b)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a) 상기 제1 프라이머 세트와 제1 프로브, 상기 제2 프라이머 세트와 제2 프로브 및 상기 제3 프라이머 세트와 제3 프로브를 포함하는 제1 세트, 및 상기 제4 프라이머 세트와 제4 프로브, 상기 제5 프라이머 세트와 제5 프로브 및 상기 제6 프라이머 세트와 제6 프로브를 포함하는 제2 세트를 각각 시료에 처리하여 중합효소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을 수행하는 단계; 및
b) 상기 시료에서 각 프라이머 세트와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을 확인하는 단계.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method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a) and b):
a) a first set comprising the first primer set and the first probe, the second primer set and the second probe, and the third primer set and the third probe, and the fourth primer set and the fourth probe, Performing a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by treating a sample with a fifth primer set, a fifth probe, and a second set including the sixth primer set and the sixth probe, respectively; and
b) Confirming the amplification products by each primer set and probe in the sample.
제6항에 있어서, c) 상기 시료에서 제2 프라이머 세트와 제2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이 검출되고, 제1 프라이머 세트와 제1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 제3 프라이머 세트와 제3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 제4 프라이머 세트와 제4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 제5 프라이머 세트와 제5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 및 제6 프라이머 세트와 제6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시료에 존재하는 대장균의 혈청형을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및 O111 혈청형을 포함하는 그룹으로 그룹핑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c) an amplification product by the second primer set and the second probe is detected in the sample, an amplification product by the first primer set and the first probe, and an amplification product by the third primer set and the third probe. If the amplification product, the amplification product by the fourth primer set and the fourth probe, the amplification product by the fifth primer set and the fifth probe, and the amplification product by the sixth primer set and the sixth probe are not detected, the sample Serotypes of E. coli present include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and O111 serotypes. A method further comprising grouping into a group comprising. 다음의 vii) 내지 xxvii)의 프라이머 세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대장균의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또는 O111 혈청형 동정을 위한 프라이머 세트:
vii) 서열번호 19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20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03 혈청형 동정용 제7 프라이머 세트;
viii) 서열번호 22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23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21 혈청형 동정용 제8 프라이머 세트;
ix) 서열번호 25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26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36 혈청형 동정용 제9 프라이머 세트;
x) 서열번호 28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29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23 혈청형 동정용 제10 프라이머 세트;
xi) 서열번호 31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32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6 혈청형 동정용 제11 프라이머 세트;
xii) 서열번호 34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35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56 혈청형 동정용 제12 프라이머 세트;
xiii) 서열번호 37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38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68 혈청형 동정용 제13 프라이머 세트;
xiv) 서열번호 40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41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70 혈청형 동정용 제14 프라이머 세트;
xv) 서열번호 43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44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3 혈청형 동정용 제15 프라이머 세트;
xvi) 서열번호 46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47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40 혈청형 동정용 제16 프라이머 세트;
xvii) 서열번호 49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50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64 혈청형 동정용 제17 프라이머 세트;
xviii) 서열번호 52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53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66 혈청형 동정용 제18 프라이머 세트;
xix) 서열번호 55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56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78 혈청형 동정용 제19 프라이머 세트;
xx) 서열번호 58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59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80 혈청형 동정용 제20 프라이머 세트;
xxi) 서열번호 61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62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82 혈청형 동정용 제21 프라이머 세트;
xxii) 서열번호 64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65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88 혈청형 동정용 제22 프라이머 세트;
xxiii) 서열번호 67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68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8 혈청형 동정용 제23 프라이머 세트;
xxiv) 서열번호 70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71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91 혈청형 동정용 제24 프라이머 세트;
xxv) 서열번호 73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74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81 혈청형 동정용 제25 프라이머 세트;
xxvi) 서열번호 76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77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11 혈청형 동정용 제26 프라이머 세트; 및
xxvii) 서열번호 79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80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74 혈청형 동정용 제27 프라이머 세트.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f E. coli, comprising any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primer sets vii) to xxvii), Primer sets for identification of O82, O88, O8, O91, O181 or O111 serotypes:
vii) a seven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03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9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0;
viii) an eigh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21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2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3;
ix) a nin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36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5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6;
x) a ten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23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8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9;
xi) an 11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6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1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2;
xii) a twelf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56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4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5;
xiii) a 13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68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7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8;
xiv) a fourteen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70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0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1;
xv) a 15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3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3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4;
xvi) a 16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40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6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7;
xvii) a 17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64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9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0;
xviii) an 18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66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2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3;
xix) a 19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78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5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6;
xx) a 20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80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8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9;
xxi) A 21st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82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1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2;
xxii) a 22nd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88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4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5;
xxiii) a 23rd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8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7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8;
xxiv) a 24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91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0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1;
xxv) a 25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81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3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4;
xxvi) a 26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11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6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7; and
xxvii) The 27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74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9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80.
다음의 vii) 내지 xxvii)의 프라이머 세트와 프로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대장균의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또는 O111 혈청형 동정을 위한 조성물:
vii) 서열번호 19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20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03 혈청형 동정용 제7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21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7 프로브;
viii) 서열번호 22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23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21 혈청형 동정용 제8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24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8 프로브;
ix) 서열번호 25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26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36 혈청형 동정용 제9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27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9 프로브;
x) 서열번호 28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29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23 혈청형 동정용 제10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30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0 프로브;
xi) 서열번호 31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32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6 혈청형 동정용 제11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33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1 프로브;
xii) 서열번호 34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35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56 혈청형 동정용 제12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36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2 프로브;
xiii) 서열번호 37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38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68 혈청형 동정용 제13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39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3 프로브;
xiv) 서열번호 40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41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70 혈청형 동정용 제14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42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4 프로브;
xv) 서열번호 43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44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3 혈청형 동정용 제15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45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5 프로브;
xvi) 서열번호 46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47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40 혈청형 동정용 제16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48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6 프로브;
xvii) 서열번호 49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50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64 혈청형 동정용 제17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51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7 프로브;
xviii) 서열번호 52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53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66 혈청형 동정용 제18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54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8 프로브;
xix) 서열번호 55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56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78 혈청형 동정용 제19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57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9 프로브;
xx) 서열번호 58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59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80 혈청형 동정용 제20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60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20 프로브;
xxi) 서열번호 61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62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82 혈청형 동정용 제21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63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21 프로브;
xxii) 서열번호 64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65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88 혈청형 동정용 제22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66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22 프로브;
xxiii) 서열번호 67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68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8 혈청형 동정용 제23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69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23 프로브;
xxiv) 서열번호 70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71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91 혈청형 동정용 제24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72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24 프로브;
xxv) 서열번호 73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74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81 혈청형 동정용 제25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75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25 프로브;
xxvi) 서열번호 76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77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11 혈청형 동정용 제26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78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26 프로브; 및
xxvii) 서열번호 79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80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74 혈청형 동정용 제27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81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27 프로브.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f E. coli, comprising any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primer sets and probes vii) to xxvii) Composition for O80, O82, O88, O8, O91, O181 or O111 serotype identification:
vii) a seven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03 serotype of E. coli, includ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9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0, and a seven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1;
viii) an eigh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21 serotype of E. coli, includ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2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3, and an eigh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4;
ix) a nin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36 serotype of E. coli, includ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5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6, and a nin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7;
x) a ten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23 serotype of E. coli, includ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8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9, and a ten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0;
xi) an 11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6 serotype of E. coli, includ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1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2, and an 11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3;
xii) a twelf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56 serotype of E. coli, includ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4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5, and a twelf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6;
xiii) a 13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68 serotype of E. coli, includ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7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8, and a 13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9;
xiv) a fourteen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70 serotype of E. coli, includ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0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1, and a fourteen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2;
xv) a 15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3 serotype of E. coli, includ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3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4, and a 15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5;
xvi) a 16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40 serotype of E. coli, includ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6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7, and a 16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8;
xvii) a 17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64 serotype of E. coli, includ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9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0, and a 17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1;
xviii) an 18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66 serotype of E. coli, includ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2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3, and an 18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4;
xix) a 19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78 serotype of E. coli, includ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5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6, and a 19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7;
xx) a 20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80 serotype of E. coli, includ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8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9, and a 20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0;
xxi) a 21st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82 serotype of E. coli, includ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1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2, and a 21st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3;
xxii) a 22nd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88 serotype of E. coli, includ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4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5, and a 22nd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6;
xxiii) a 23rd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8 serotype of E. coli, includ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7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8, and a 23rd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9;
xxiv) a 24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91 serotype of E. coli, includ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0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1, and a 24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2;
xxv) a 25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81 serotype of E. coli, includ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3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4, and a 25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5;
xxvi) a 26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11 serotype of E. coli, includ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6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7, and a 26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8; and
xxvii) A 27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74 serotype of E. coli, includ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9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80, and a 27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81.
제9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대장균의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또는 O111 혈청형 동정을 위한 키트.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or Kit for O111 serotype identification. 제10항에 있어서, 반응완충액, dNTP 및 DNA 중합효소를 추가로 포함하는, 키트.The kit according to claim 10, further comprising a reaction buffer, dNTPs, and DNA polymerase. 제8항의 프라이머 세트; 또는 제9항의 조성물을 이용한, 대장균의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또는 O111 혈청형 동정 방법.The primer set of claim 8; Or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of E. coli using the composition of claim 9. O111 serotype identification method. i) 서열번호 1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2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제1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4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5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제2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7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8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제3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10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11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제4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13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14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제5 프라이머 세트, 및 서열번호 16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17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제6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및 O111 혈청형을 포함하는 그룹으로 그룹핑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및
ii) 대장균의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또는 O111 혈청형 동정을 위한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또는 O111 혈청형 동정을 위한 키트.
i) A first primer set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 and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 A second primer set containing a reverse primer,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 and a third primer set containing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8,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0, and A fourth primer set comprising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1, a fifth primer set contain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3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4, and SEQ ID NO: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f E. coli, comprising a sixth primer set includ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6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7, Primer sets for grouping into groups containing serotypes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and O111; and
ii) For identification of the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or O111 serotype of E. coli A primer set containing;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or O111 of E. coli. Kit for serotype identification.
제13항에 있어서, 서열번호 3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 프로브, 서열번호 6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2 프로브, 서열번호 9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3 프로브, 서열번호 12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4 프로브, 서열번호 15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5 프로브 및 서열번호 18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6 프로브를 추가로 포함하는, 키트.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first probe consists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 the second probe consists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 the third probe consists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9, and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2 A kit further comprising a fourth probe, a fif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5, and a six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대장균의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또는 O111 혈청형 동정을 위한 프라이머 세트는 다음의 vii) 내지 xxvii)의 프라이머 세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키트:
vii) 서열번호 19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20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03 혈청형 동정용 제7 프라이머 세트;
viii) 서열번호 22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23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21 혈청형 동정용 제8 프라이머 세트;
ix) 서열번호 25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26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36 혈청형 동정용 제9 프라이머 세트;
x) 서열번호 28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29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23 혈청형 동정용 제10 프라이머 세트;
xi) 서열번호 31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32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6 혈청형 동정용 제11 프라이머 세트;
xii) 서열번호 34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35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56 혈청형 동정용 제12 프라이머 세트;
xiii) 서열번호 37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38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68 혈청형 동정용 제13 프라이머 세트;
xiv) 서열번호 40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41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70 혈청형 동정용 제14 프라이머 세트;
xv) 서열번호 43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44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3 혈청형 동정용 제15 프라이머 세트;
xvi) 서열번호 46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47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40 혈청형 동정용 제16 프라이머 세트;
xvii) 서열번호 49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50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64 혈청형 동정용 제17 프라이머 세트;
xviii) 서열번호 52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53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66 혈청형 동정용 제18 프라이머 세트;
xix) 서열번호 55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56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78 혈청형 동정용 제19 프라이머 세트;
xx) 서열번호 58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59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80 혈청형 동정용 제20 프라이머 세트;
xxi) 서열번호 61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62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82 혈청형 동정용 제21 프라이머 세트;
xxii) 서열번호 64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65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88 혈청형 동정용 제22 프라이머 세트;
xxiii) 서열번호 67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68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8 혈청형 동정용 제23 프라이머 세트;
xxiv) 서열번호 70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71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91 혈청형 동정용 제24 프라이머 세트;
xxv) 서열번호 73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74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81 혈청형 동정용 제25 프라이머 세트;
xxvi) 서열번호 76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77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11 혈청형 동정용 제26 프라이머 세트; 및
xxvii) 서열번호 79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80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74 혈청형 동정용 제27 프라이머 세트.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E. coli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or O111 The primer set for serotype identification is a kit comprising any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primer sets vii) to xxvii):
vii) a seven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03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9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0;
viii) an eigh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21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2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3;
ix) a nin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36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5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6;
x) a ten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23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8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9;
xi) an 11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6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1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2;
xii) a twelf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56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4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5;
xiii) a 13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68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7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8;
xiv) a fourteen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70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0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1;
xv) a 15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3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3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4;
xvi) a 16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40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6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7;
xvii) a 17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64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9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0;
xviii) an 18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66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2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3;
xix) a 19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78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5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6;
xx) a 20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80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8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9;
xxi) a 21st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82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1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2;
xxii) a 22nd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88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4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5;
xxiii) a 23rd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8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7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8;
xxiv) a 24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91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0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1;
xxv) a 25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81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3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4;
xxvi) a 26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11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6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7; and
xxvii) The 27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74 serotype of E. coli, compris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9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80.
제13항에 있어서, 서열번호 21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7 프로브, 서열번호 24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8 프로브, 서열번호 27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9 프로브, 서열번호 30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0 프로브, 서열번호 33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1 프로브, 서열번호 36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2 프로브, 서열번호 39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3 프로브, 서열번호 42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4 프로브, 서열번호 45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5 프로브, 서열번호 48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6 프로브, 서열번호 51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7 프로브, 서열번호 54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8 프로브, 서열번호 57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9 프로브, 서열번호 60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20 프로브, 서열번호 63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21 프로브, 서열번호 66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22 프로브, 서열번호 69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23 프로브, 서열번호 72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24 프로브, 서열번호 75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25 프로브, 서열번호 78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26 프로브 및 서열번호 81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27 프로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프로브를 추가로 포함하는, 키트.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seventh probe consists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1, the eighth probe consists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4, the ninth probe consists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7, and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0 Probe 10, probe 11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3, probe 12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6, probe 13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9, probe 14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2 Probe, the 15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5, the 16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8, the 17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1, the 18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4, Probe 19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7, Probe 20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0, Probe 21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3, Probe 22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6, SEQ ID NO: The 23rd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9, the 24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2, the 25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5, the 26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8, and the 24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81 A kit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pro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27th probe consisting of a nucleotide sequence. 제13항에 있어서, 반응완충액, dNTP 및 DNA 중합효소를 추가로 포함하는, 키트.The kit according to claim 13, further comprising a reaction buffer, dNTPs, and DNA polymerase. 제13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의 키트를 이용한, 대장균의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또는 O111 혈청형 동정 방법.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f E. coli using the kit of any one of claims 13 to 17. , O8, O91, O181 or O111 serotype identification method.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다음의 a) 내지 d)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a) 제1 프라이머 세트와 제1 프로브, 제2 프라이머 세트와 제2 프로브 및 제3 프라이머 세트와 제3 프로브를 포함하는 제1 세트, 및 제4 프라이머 세트와 제4 프로브, 제5 프라이머 세트와 제5 프로브 및 제6 프라이머 세트와 제6 프로브를 포함하는 제2 세트를 각각 시료에 처리하여 중합효소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을 수행하는 단계;
b) 상기 시료에서 각 프라이머 세트와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을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시료에서 제2 프라이머 세트와 제2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이 검출되고, 제1 프라이머 세트와 제1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 제3 프라이머 세트와 제3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 제4 프라이머 세트와 제4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 제5 프라이머 세트와 제5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 및 제6 프라이머 세트와 제6 프로브에 의한 증폭 산물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시료에 존재하는 대장균의 혈청형을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및 O111 혈청형을 포함하는 그룹으로 그룹핑하는 단계; 및
d) 대장균의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및 O111 혈청형을 동정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와 프로브를 상기 시료에 처리하는 단계.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method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a) to d):
a) a first set comprising a first primer set and a first probe, a second primer set and a second probe and a third primer set and a third probe, and a fourth primer set and a fourth probe, a fifth primer set and Performing a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by treating the sample with a fifth probe, a sixth primer set, and a second set including the sixth probe, respectively;
b) confirming amplification products by each primer set and probe in the sample;
c) The amplification product by the second primer set and the second probe is detected in the sample, the amplification product by the first primer set and the first probe, the amplification product by the third primer set and the third probe, and the fourth primer. If the amplification product by the set and the fourth probe, the amplification product by the fifth primer set and the fifth probe, and the amplification product by the sixth primer set and the sixth probe are not detected, the serotype of E. coli present in the sample grouped into groups containing serotypes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and O111. steps; and
d) Identifying the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and O111 serotypes of E. coli. Processing the sample with a set of primers and probes.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대장균의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또는 O111 혈청형을 동정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와 프로브는 다음의 vii) 내지 xxvii)로부터 선택되는 프라이머 세트와 프로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방법:
vii) 서열번호 19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20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03 혈청형 동정용 제7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21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7 프로브;
viii) 서열번호 22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23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21 혈청형 동정용 제8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24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8 프로브;
ix) 서열번호 25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26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36 혈청형 동정용 제9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27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9 프로브;
x) 서열번호 28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29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23 혈청형 동정용 제10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30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0 프로브;
xi) 서열번호 31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32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6 혈청형 동정용 제11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33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1 프로브;
xii) 서열번호 34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35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56 혈청형 동정용 제12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36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2 프로브;
xiii) 서열번호 37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38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68 혈청형 동정용 제13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39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3 프로브;
xiv) 서열번호 40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41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70 혈청형 동정용 제14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42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4 프로브;
xv) 서열번호 43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44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3 혈청형 동정용 제15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45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5 프로브;
xvi) 서열번호 46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47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40 혈청형 동정용 제16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48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6 프로브;
xvii) 서열번호 49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50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64 혈청형 동정용 제17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51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7 프로브;
xviii) 서열번호 52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53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66 혈청형 동정용 제18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54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8 프로브;
xix) 서열번호 55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56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78 혈청형 동정용 제19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57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19 프로브;
xx) 서열번호 58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59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80 혈청형 동정용 제20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60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20 프로브;
xxi) 서열번호 61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62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82 혈청형 동정용 제21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63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21 프로브;
xxii) 서열번호 64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65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88 혈청형 동정용 제22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66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22 프로브;
xxiii) 서열번호 67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68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8 혈청형 동정용 제23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69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23 프로브;
xxiv) 서열번호 70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71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91 혈청형 동정용 제24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72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24 프로브;
xxv) 서열번호 73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74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81 혈청형 동정용 제25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75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25 프로브;
xxvi) 서열번호 76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77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11 혈청형 동정용 제26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78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26 프로브; 및
xxvii) 서열번호 79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80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대장균의 O174 혈청형 동정용 제27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81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제27 프로브.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in step d),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and , the primer set and probe for identifying the O181 or O111 serotype comprises any one or more of the primer set and probe selected from the following vii) to xxvii):
vii) a seven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03 serotype of E. coli, includ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9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0, and a seven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1;
viii) an eigh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21 serotype of E. coli, includ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2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3, and an eigh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4;
ix) a nin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36 serotype of E. coli, includ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5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6, and a nin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7;
x) a ten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23 serotype of E. coli, includ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8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9, and a ten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0;
xi) an 11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6 serotype of E. coli, includ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1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2, and an 11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3;
xii) a twelf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56 serotype of E. coli, includ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4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5, and a twelf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6;
xiii) a 13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68 serotype of E. coli, includ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7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8, and a 13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9;
xiv) a fourteen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70 serotype of E. coli, includ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0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1, and a fourteen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2;
xv) a 15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3 serotype of E. coli, includ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3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4, and a 15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5;
xvi) a 16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40 serotype of E. coli, includ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6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7, and a 16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8;
xvii) a 17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64 serotype of E. coli, includ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9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0, and a 17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1;
xviii) an 18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66 serotype of E. coli, includ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2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3, and an 18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4;
xix) a 19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78 serotype of E. coli, includ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5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6, and a 19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7;
xx) a 20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80 serotype of E. coli, includ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8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9, and a 20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0;
xxi) a 21st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82 serotype of E. coli, includ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1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2, and a 21st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3;
xxii) a 22nd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88 serotype of E. coli, includ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4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5, and a 22nd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6;
xxiii) a 23rd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8 serotype of E. coli, includ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7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8, and a 23rd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69;
xxiv) a 24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91 serotype of E. coli, includ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0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1, and a 24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2;
xxv) a 25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81 serotype of E. coli, includ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3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4, and a 25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5;
xxvi) a 26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11 serotype of E. coli, including a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6 and a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7, and a 26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8; and
xxvii) The 27th primer set for identifying the O174 serotype of E. coli, including the forward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79 and the reverse primer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80, and the 27th prob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81.
KR1020230141394A 2022-10-21 2023-10-20 Primer sets for rapid detection of Escherichia coli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or O111 serotype and a method of detecting a serotype of Escherichia coli using the same KR20240058021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6532 2022-10-21
KR20220136532 2022-10-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8021A true KR20240058021A (en) 2024-05-03

Family

ID=91077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41394A KR20240058021A (en) 2022-10-21 2023-10-20 Primer sets for rapid detection of Escherichia coli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or O111 serotype and a method of detecting a serotype of Escherichia coli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802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0414B1 (en) Methods for simultaneously detecting multiple respiratory viruses and uses thereof
KR101403507B1 (en) Methods for Selectively Detecting Mycobacterium tuberculosis complex and Nontuberculous mycobacteria and Kits Using the Same
KR102295290B1 (en) Dna amplification technology
JP5709897B2 (en) Real-time multiplexing detection of target nucleic acid sequences that eliminate false signals
JP3909010B2 (en) Quantitative multiplex PCR with high dynamic range
EP2256216A1 (en) Assay system using a nuclease activity of a nucleic acid polymerase
KR102030244B1 (en) Oligonucleotide set for detection of dengue virus and uses thereof
JP2014530011A (en) Sequences of STEC bacteria and their use for detection and characterization
KR102323375B1 (en) Multiplex Probes
KR101378920B1 (en) Methods for selectively detecting a braf mutation and kits using the same
KR101289310B1 (en) Methods and kits for detecting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KR101785687B1 (en) Method for detection of target nucleic acid sequence by multiple amplification nested signal amplification
KR102438039B1 (en) Kit and method for differential diagnosis of swine rotavirus group A, B, C
KR20240058021A (en) Primer sets for rapid detection of Escherichia coli O103, O121, O123, O136, O156, O168, O170, O174, O3, O40, O64, O66, O6, O78, O80, O82, O88, O8, O91, O181 or O111 serotype and a method of detecting a serotype of Escherichia coli using the same
KR20240058025A (en) Primer sets for rapid detection of Escherichia coli O110, O113, O167 or O116 serotype and a method of detecting a serotype of Escherichia coli using the same
KR20240058023A (en) Primer sets for rapid detection of Escherichia coli O104, O124, O55, O157, O128ab, O76, O185, O130, O81, O11 or O153 serotype and a method of detecting a serotype of Escherichia coli using the same
KR20240058019A (en) Primer sets for rapid detection of Escherichia coli O127, O128ac or O86 serotype and a method of detecting a serotype of Escherichia coli using the same
KR20240058020A (en) Primer sets for rapid detection of Escherichia coli O146 or O51 serotype and a method of detecting a serotype of Escherichia coli using the same
KR20240058022A (en) Primer sets for rapid detection of Escherichia coli O105, O10, O119, O132, O150, O35, O25, O36, O177, O26 or O2 serotype and a method of detecting a serotype of Escherichia coli using the same
KR20240058024A (en) Primer sets for rapid detection of Escherichia coli O115 serotype and a method of detecting a serotype of Escherichia coli using the same
US6841346B1 (en) Methods for detecting bacteriophage MS2
KR101614916B1 (en) Methods for Simultaneously Detecting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and Kits Using the Same
KR101443715B1 (en) Methods for Simultaneously Detecting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and Kits Using the Same
KR101606530B1 (en) Methods for Simultaneously Detecting HLA-B*27 and HLA-B*51 and Uses Thereof
KR102250629B1 (en) A composition for detecting antibiotics-resistant bacteria and a method for detecting antibiotics-resistant bacteria using the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