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7875A - 창문형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창문형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7875A
KR20240057875A KR1020220138623A KR20220138623A KR20240057875A KR 20240057875 A KR20240057875 A KR 20240057875A KR 1020220138623 A KR1020220138623 A KR 1020220138623A KR 20220138623 A KR20220138623 A KR 20220138623A KR 20240057875 A KR20240057875 A KR 20240057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door
indoor
module
window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8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문섭
정두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38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7875A/ko
Priority to PCT/KR2023/013106 priority patent/WO2024090771A1/ko
Publication of KR20240057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78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24F1/027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mounted in wall openings, e.g. in wind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326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refrigerant piping outside the heat exchanger within the unit ca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24F2013/242Sound-absorbing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F24F2130/20Sun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or close to a wind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형 공기 조화기는, 압축기를 포함하는 실외 모듈; 상기 실외 모듈과 분리된 실내 모듈; 상기 실내 모듈과 상기 실외 모듈 사이에서 냉매가 이동하는 유로를 제공하는 냉매 배관; 및 상기 실내 모듈과 상기 실외 모듈을 연결하며, 상기 실내 모듈과 상기 실외 모듈을 지지하는 연결 지지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 지지 모듈의 내부에는 상기 냉매 배관을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흡음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창문형 공기 조화기{Window type air-conditioner}
실시예들은 창문형 공기 조화기 및 창문형 공기 조화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공기 조화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냉매와 열교환을 유도하는 열교환기(응축기, 증발기), 팽창밸브, 냉매와의 열교환을 촉진시키기 위한 송풍기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가 별도로 분리되는 분리형 공기 조화기와, 실내기와 실외기가 하나의 장치로 형성된 상태에서 창문 프레임에 설치 가능한 창문형 공기 조화기로 구분될 수 있다.
창문형 공기 조화기는 창문 프레임에 설치 가능하기 때문에, 그 설치가 용이하다. 다만, 창문형 공기 조화기의 설치로 인해, 창문과 창문 프레임 사이에 틈새가 발생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외부 소음, 예를 들어 압축기의 소음이 실내로 유입될 수 있다. 이는 창문형 공기 조화기의 사용자에게 불편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창문 프레임에 설치 가능한 창문형 공기 조화기로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실외 공기와 냉매 사이의 열교환이 발생하는 실외 열교환기와, 상기 압축기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를 수용하는 실외 하우징을 포함하는 실외 모듈;
상기 실외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된 실내 하우징과, 상기 실내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실내 공기와 냉매 사이의 열교환이 발생하는 실내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실내 모듈;
상기 실내 모듈과 상기 실외 모듈 사이에서 냉매가 이동하는 유로를 제공하는 냉매 배관; 및
상기 실내 모듈과 상기 실외 모듈을 연결하며, 양 단부가 상기 실내 하우징과 상기 실외 하우징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연결 지지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지지 모듈의 내부에는 상기 냉매 배관을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흡음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형 공기 조화기가 창문 프레임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형 공기 조화기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형 공기 조화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형 공기 조화기를 나타낸 조립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형 공기 조화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창문형 공기 조화기의 연결 지지 모듈이 실외 하우징 에 고정된 모습을 확대한 도면이며,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창문형 공기 조화기의 연결 지지 모듈이 실내 하우징 및 실외 하우징에 고정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창문형 공기 조화기의 연결 지지 모듈이 실외 하우징 에 고정된 모습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창문형 공기 조화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창문형 공기 조화기의 연결 지지 모듈에서 상부 플레이트가 생략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형 공기 조화기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창문형 공기 조화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3는 도 5의 창문형 공기 조화기의 제1 흡음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실시예에 따른 창문형 공기 조화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실시예에 따른 창문형 공기 조화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16은 실시예에 따른 창문형 공기 조화기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은 실시예에 따른 창문형 공기 조화기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하나의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형 공기 조화기(1)가 창문 프레임(1010)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형 공기 조화기(1)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형 공기 조화기(1)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형 공기 조화기(1)는 창문 프레임(1010)에 설치 가능한 장치로서, 실내에 냉방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창문형 공기 조화기(1)가 설치되는 창문 프레임(1010)은 창문(1000)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프레임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창문형 공기 조화기(1)는 압축기(31), 실외 열교환기(32), 팽창 장치(33), 실내 열교환기(21)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31)는 냉매를 압축할 수 있다. 압축기(31)는 가스 상태의 냉매를 압축할 수 있다. 가스 상태의 냉매는 압축기(31)에 의해 압축되는 과정에서, 저온 저압에서 고온 고압 상태로 변환될 수 있다.
실외 열교환기(32)에서는 냉매와 실외 공기 사이의 열 교환이 발생할 수 있다. 실외 열교환기(32)와 압축기(31)는 냉매가 이동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실외 열교환기(32)에서는 압축기(31)로부터 전달받은 고온 고압의 냉매가 응축되며, 냉매가 응축되는 동안 냉매는 실외 공기에 열을 방출할 수 있다.
실외 열교환기(32)의 인근에는 실외 팬(34)이 마련될 수 있다. 실외 팬(34)은 냉매와 실외 공기 사이의 열 교환이 촉진되도록 실외 열교환기(32)에 실외 공기를 송풍할 수 있다.
팽창 장치(33)는 실외 열교환기(32)에서 응축된 냉매의 압력과 온도를 낮출 수 있다. 팽창 장치(33)와 실외 열교환기(32)는 냉매가 이동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예를 들어, 팽창 장치(33)는 교축 효과를 이용하여 냉매의 압력과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예를 들어, 팽창 장치(33)는 오리피스를 이용하여 냉매의 압력과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실내 열교환기(21)에서는 냉매와 실내 공기 사이의 열 교환이 발생할 수 있다. 실내 열교환기(21)와 팽창 장치(33)는 냉매가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실내 열교환기(21)에서는 저온 저압의 냉매가 증발할 수 있다. 냉매가 증발하는 동안, 냉매는 실내 공기에서 열을 흡수할 수 있다.
실내 열교환기(21)의 인근에는 실내 팬(22)이 마련될 수 있다. 실내 팬(22)은 냉매와 실내 공기 사이의 열 교환이 촉진되도록 실내 열교환기(21)에 실내 공기를 송풍할 수 있다.
실내 열교환기(21)의 아래에는 드레인 팬(23)(drain pan)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하여, 실내 열교환기(21)가 작동하는 과정에서, 실내 열교환기(21)의 표면에 발생한 응축수는 드레인 팬(23)에 저장될 수 있다.
실내 열교환기(21)를 통과한 냉매는 저온 저압 상태일 수 있다. 이러한 저온 저압의 냉매는 압축기(31)로 전달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술한 과정이 반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창문형 공기 조화기(1)가 작동하는 동안, 냉매는 냉매 배관(40)을 따라 이동하며, 실내 열교환기(21)에서 냉매가 증발되는 과정에서 실내 공기가 냉각되며, 실외 열교환기(32)에서 냉매가 응축되는 과정에서 열이 방출된다. 냉매 배관(40)은 압축기(31)와 실내 열교환기(21) 사이를 연결하는 제1 냉매 배관(41)과, 실외 열교환기(32)와 실내 열교환기(21) 사이를 연결하는 제2 냉매 배관(42)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창문형 공기 조화기(1)가 작동하는 동안, 일부 구성에서 소음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소음이 사용자에게 전달될 경우 사용자의 불편감을 야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창문형 공기 조화기(1)가 작동하는 동안, 압축기(31)가 냉매를 고압으로 압축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클 수 있다. 이러한 압축기(31)에서 발생한 소음이 사용자에게 전달될 경우 사용자에게 불편감이 야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창문형 공기 조화기(1)는, 이러한 압축기(31)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압축기(31)를 포함하는 실외 모듈(3)을 실내 모듈(2)과 분리시키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형 공기 조화기(1)를 나타낸 조립 사시도이며,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형 공기 조화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창문형 공기 조화기(1)는 실내 모듈(2), 실내 모듈(2)로부터 분리된 실외 모듈(3) 및 이러한 실내 모듈(2)과 실외 모듈(3)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지지 모듈(100)을 포함할 수 있다.
실외 모듈(3)은 압축기(31), 실외 열교환기(32) 및 이들을 수용하는 실외 하우징(35)을 포함할 수 있다. 실외 모듈(3)은 실외 하우징(35)의 내부에 배치된 실외 팬(3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팽창 장치(33)를 표시하지 않았으나, 실외 모듈(3) 또는 실내 모듈(2)에 배치될 수 있다.
실내 모듈(2)은 실외 하우징(35)으로부터 이격된 실내 하우징(24)과, 실내 하우징(24)의 내부에 배치된 실내 열교환기(21)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 모듈(2)은 실내 하우징(24)의 내부에 배치된 실내 팬(22)을 더 포함한다.
연결 지지 모듈(100)은 실내 모듈(2)과 실외 모듈(3)을 지지한다. 연결 지지 모듈(100)은 실내 하우징(24)과 실외 하우징(35)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 지지 모듈(100)의 일 단부는 실내 하우징(24)에 고정되며, 타 단부는 실외 하우징(35)에 고정될 수 있다.
연결 지지 모듈(100)의 폭은 실내 모듈(2)과 실외 모듈(3) 각각의 폭보다 좁다. 예를 들어, 연결 지지 모듈(100)의 폭은 실외 모듈(3)의 폭의 1/2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지지 모듈(100)의 폭은 실외 모듈(3)의 폭의 1/3 이하일 수 있다. 연결 지지 모듈(100)의 폭이 실내 모듈(2)과 실외 모듈(3) 각각의 폭보다 좁게 함으로써, 창문형 공기 조화기(1)가 창문 프레임(1010; 도 1 참조)에서 차지하는 폭을 좁혀, 소음 차단 및 열 차단에 유리할 수 있다.
연결 지지 모듈(100)은 서로 이격 배치된 제1, 제2 지지 플레이트(111, 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지지 플레이트(111, 112)의 적어도 일부는 평판 형상을 가지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제2 지지 플레이트(111, 112)의 형상은 대략적으로 사각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제1, 제2 지지 플레이트(111, 112)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제2 지지 플레이트(111, 112)의 형상은 대략적으로 사다리꼴, 평행사변형 또는 타원형일 수도 있다.
연결 지지 모듈(100)은 소정의 강도를 가지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지지 모듈(100)은 스틸(steel)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지지 모듈(100)은 아연도금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2 지지 플레이트(111, 112)는 스틸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2 지지 플레이트(111, 112)는 아연도금강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연결 지지 모듈(100)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소정의 강도를 가지는 재질이라면 다양할 수 있다. 연결 지지 모듈(100)이 소정의 강도를 가짐에 따라, 연결 지지 모듈(100)에 의해, 실내 모듈(2)과 실외 모듈(3)의 위치 관계가 고정될 수 있다.
연결 지지 모듈(100)의 내부에는, 실내 모듈(2)과 상기 실외 모듈(3) 사이에서 냉매가 이동하는 유로를 제공하는 냉매 배관(40)이 배치될 수 있다. 냉매 배관(40)은 압축기(31)와 실내 열교환기(21) 사이를 연결하는 제1 냉매 배관(41)과, 실외 열교환기(32)와 실내 열교환기(21) 사이를 연결하는 제2 냉매 배관(4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2 지지 플레이트(111, 112)의 사이에는 냉매 배관(40)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2 지지 플레이트(111, 112)의 사이에는 제1, 제2 냉매 배관(41, 42)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제2 지지 플레이트(111, 112)는 냉매 배관(40)과 접촉하지 않도록, 냉매 배관(40)과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2 지지 플레이트(111, 112) 사이의 간격은 냉매 배관(40)의 외경보다 클 수 있다. 그에 따라, 냉매 배관(40)과 제1, 제2 지지 플레이트(111, 112)의 접촉으로 인해 나타나는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 지지 모듈(100)의 내부에는 실내 모듈(2)과 실외 모듈(3)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전선(43)이 배치될 수 있다. 연결 모듈의 내부에는 드레인 호스(44)가 배치될 수 있다. 드레인 호스(44)는 실내 열교환기(21)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실외 모듈(3)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연결 지지 모듈(100)에 의해 실내 모듈(2)과 실외 모듈(3)이 지지된 창문형 공기 조화기(1)는, 운반 과정, 설치 과정 및 사용 과정 등에서 다양한 방향에서 외력이 작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창문형 공기 조화기(1)는, 다양한 방향에서 외력이 작용하는 점을 고려하여, 연결 지지 모듈(100)과 실내 모듈(2)의 연결 강도, 연결 지지 모듈(100)과 실외 모듈(3)의 연결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따른 창문형 공기 조화기(1)에서는, 연결 지지 모듈(100)이 실외 하우징(35) 및 실내 하우징(24) 중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2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한 예로서, 실외 하우징(35) 및 실내 하우징(24) 중 적어도 하나는 마주보는 대향 표면(501, 502)의 일부가 연결 지지 모듈(100)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돌출된 돌출 부분(51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외 하우징(35) 및 실내 하우징(24) 각각은 서로 마주보는 대향 표면(501, 502)의 일부가 연결 지지 모듈(100)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돌출된 돌출 부분(51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외 하우징(35)은 실내 하우징(24)에 대향하는 대향 표면(501)의 일부가 돌출된 돌출 부분(510)을 포함한다. 실내 하우징(24)은 실외 하우징(35)에 대향하는 대향 표면(502)의 일부가 돌출된 돌출 부분(510)을 포함한다.
실외 하우징(35)의 돌출 부분(510)의 폭은 실내 하우징(24)의 돌출 부분(510)의 폭과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실외 하우징(35)의 돌출 부분(510)의 폭과 실내 하우징(24)의 돌출 부분(510)의 폭 사이의 관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필요에 따라 실외 하우징(35)의 돌출 부분(510)의 폭은 실내 하우징(24)의 돌출 부분(510)의 폭보다 작거나 크도록 변경될 수 있다.
돌출 부분(510)의 폭은 실외 하우징(35) 및 실내 하우징(24)의 대향 표면(501, 502)의 폭보다 작다. 돌출 부분(510)의 폭은 냉매 배관(40)의 직경보다 크다. 돌출 부분(510)은 돌출 표면(520)과, 돌출 표면(520)과 대향 표면(501, 502)의 나머지 부분(550)을 연결하는 연결 표면(530)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 부분(510)의 상하 방향(Z)으로 높이는 대향 표면(501, 502)의 상하 방향(Z)으로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다만, 돌출 부분(510)의 높이와 대향 표면(501,502)의 높이 사아의 관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돌출 부분(510)의 높이가 대향 표면(501,502)의 높이보다 작을 수도 있다.
연결 표면(530)은 돌출 표면(520)으로부터 절곡되며, 나머지 부분(550)의 배향(orientation)과 다른 배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향 표면(501, 502)의 나머지 부분(550)은 전후 방향(X)과 수직인 평면(YZ평면)을 가지는 반면, 돌출 부분(510)의 연결 표면(530)은 전후 방향(X)과 평행한 평면(XZ평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돌출 부분(510)을 통해, 실외 하우징(35) 및 실내 하우징(24)은 연결 지지 모듈(100)과 고정되는 부분을 확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 지지 모듈(100)과 고정되는 방향을 늘림으로써, 연결 지지 모듈(100)과 실내 모듈(2) 및 실외 모듈(3) 사이의 연결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창문형 공기 조화기(1)의 연결 지지 모듈(100)이 실외 하우징(35) 에 고정된 모습을 확대한 도면이며,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창문형 공기 조화기(1)의 연결 지지 모듈(100)이 실내 하우징(24) 및 실외 하우징(35)에 고정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흡음 부재(61)에 대한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연결 지지 모듈(100)은 실외 하우징(35) 또는 실내 하우징(24)에 고정되도록 양 단부에 배치된 고정 부분(120)과, 고정 부분(12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부분(13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2 지지 플레이트(111, 112) 각각은 전후 방향(X)으로 양 단부에 배치된 고정 부분(120)과, 이러한 고정 부분(12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부분(130)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부분(130)은 양 단부에 배치된 고정 부분(120)으로부터 전후 방향(X)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실외 하우징(35)과 실내 하우징(24)의 돌출 부분(510)의 폭이 동일할 경우, 제1, 제2 지지 플레이트(111, 112)의 연결 부분(130)은 단차 없이 서로 평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시하지 않았으나, 실외 하우징(35)과 실내 하우징(24)의 돌출 부분(510)의 폭이 다를 경우, 제1, 제2 지지 플레이트(111, 112)의 연결 부분(130)은 단차가 있거나, 서로 평행하지 않을 수 있다.
고정 부분(120)은 대향 표면(501, 502)의 돌출 부분(510) 및 나머지 부분(550)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부분(120)은 대향 표면(501, 502)의 돌출 부분(510)에 고정되는 내측 고정부(122)와, 대향 표면(501, 502)의 나머지 부분(550)에 고정되는 플랜지 고정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 고정부(121)는 실외 하우징(35) 또는 실내 하우징(24)의 대향 표면(501, 502)의 나머지 부분(550)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랜지 고정부(121)는 전후 방향(X)과 수직인 방향(Y 또는 Z)으로 연장될 수 있다.
내측 고정부(122)는 플랜지 고정부(121)와 연결 부분(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내측 고정부(122)는 연결 부분(130)으로부터 연장되며, 돌출 부분(510)의 연결 표면(530)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내측 고정부(122)는 연결 부분(13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플랜지 고정부(121)는 내측 고정부(122)로부터 절곡된 구조일 수 있다. 플랜지 고정부(121)와 내측 고정부(122)가 이루는 각도는 직각일 수 있다. 고정 부분(120)은 L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플랜지 고정부(121)와 내측 고정부(122)가 이루는 각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예각이거나 둔각일 수도 있다.
대향 표면(501, 502)의 나머지 부분(550)은 플랜지 고정부(121)에 고정되는 제1 고정 영역을 제공한다. 제1 고정 영역은 플랜지 고정부(121)에 접촉하며, 제1 체결 부재(V1)가 삽입되는 복수의 제1 체결 구멍(H1)이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 고정부(121)에는 제1 체결 부재(V1)가 삽입 가능한 제3 체결 구멍(H3)이 형성될 수 있다.
대향 표면(501, 502)의 돌출 부분(510)은 돌출 표면(520)과 연결 표면(530)을 포함한다. 돌출 표면(520)에는 냉매 배관(40)이 관통하는 배관 홀(5201)이 형성될 수 있다. 돌출 표면(520)에는 전선(43)이 관통하는 전선 홀(5202)과, 드레인 호스(44)가 관통하는 드레인 홀(5203)이 형성될 수 있다.
대향 표면(501, 502)의 연결 표면(530)은 내측 고정부(122)에 고정되는 제2 고정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고정 영역은 내측 고정부(122)의 내면에 접촉하며, 제2 체결 부재(V2)가 삽입되는 복수의 제2 체결 구멍(H2)이 형성될 수 있다. 내측 고정부(122)에는 제2 체결 부재(V2)가 삽입 가능한 제4 체결 구멍(H4)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연결 지지 모듈(100)은, 제1, 제2 체결 부재(V1, V2)에 의해, 다른 방향으로 실내 하우징(24) 및 실외 하우징(35)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체결 부재(V1)가 제1 방향, 예를 들어, 전후 방향(X)으로 삽입되어, 플랜지 고정부(121)의 제3 체결 구멍(H3) 및 제1 고정 영역의 제1 체결 구멍(H1)에 체결됨에 따라, 연결 지지 모듈(100)은 제1 방향, 예를 들어, 전후 방향(X)으로 가압되어 실외 하우징(35) 또는 실내 하우징(24)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체결 구멍(H1) 및 제3 체결 구멍(H3)에 삽입된 제1 체결 부재(V1)에 의해, 제1 방향으로 연결 지지 모듈(10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체결 부재(V2)가 제1 방향과 다른 방향인 제2 방향, 예를 들어, 좌우 방향(Y)으로 삽입되어, 내측 고정부(122)의 제4 체결 구멍(H4) 및 제2 고정 영역의 제2 체결 구멍(H2)에 체결됨에 따라, 연결 지지 모듈(100)은 제2 방향, 예를 들어, 좌우 방향(Y)으로 가압되어 실외 하우징(35) 또는 실내 하우징(24)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체결 구멍(H2) 및 제4 체결 구멍(H4)에 삽입된 제2 체결 부재(V2)에 의해, 제2 방향으로 연결 지지 모듈(10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 지지 모듈(100)이 적어도 2방향으로 실외 하우징(35) 및 실내 하우징(24)에 고정됨으로써, 연결 지지 모듈(100)의 실외 하우징(35) 및 실내 하우징(24)에 대한 연결 강도를 개선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연결 지지 모듈(100)이 제1 체결 부재(V1)에 의해제1 방향, 예를 들어 전후 방향(X)으로 이동이 제한되며, 제2 체결 부재(V2)에 의해 제2 방향, 예를 들어 좌우 방향(Y)으로 이동이 제한되는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다만, 연결 지지 모듈(100)의 고정 구조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일부 구성이 생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결 지지 모듈(100)의 내부에 돌출 부분(510)이 삽입된 상태이기 때문에, 도 8과 같이, 연결 지지 모듈(100)의 내측 고정부(122)는 좌우 방향(Y)으로 돌출 부분(510)에 의해 지지되어, 제2 체결 부재(V2) 없이도, 좌우 방향(Y)으로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연결 지지 모듈(100)은 제1, 제2 지지 플레이트(111, 112)를 연결하는 제3 지지 플레이트(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지지 플레이트(113)는 제1, 제2 지지 플레이트(111, 112)의 상단을 연결할 수 있다. 제1 지지 플레이트(111)와 제2 지지 플레이트(112)는 제3 지지 플레이트(113)에 의해 하나의 몸체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한 예로서, 제3 지지 플레이트(113)는 제1 지지 플레이트(111)와 제2 지지 플레이트(112)로부터 절곡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3 지지 플레이트(113)는 제1 지지 플레이트(111)의 상단과 제2 지지 플레이트(112)의 상단으로부터 절곡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3 지지 플레이트(113)는 제1, 제2 지지 플레이트(111, 112)의 재질과 동일 재질일 수 있다.
다만, 제3 지지 플레이트(113)는 선택적인 구성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와 같이, 연결 지지 모듈(100A)은 제3 지지 플레이트(113) 없이, 제1 지지 플레이트(111)와 제2 지지 플레이트(112)는 서로 이격된 별도의 부재일 수도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 하부면(532), 실외 하우징(35)은 압축기(31)와 실외 열교환기(32)를 둘러싸는 제1 몸체(241)와, 제1 몸체(241)의 상부에 조립되는 제1 상부 커버(2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상부 커버(242)는 제1 몸체(241)에 조립되기 위해 끼움 결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조립을 위한 다른 결합 방식이라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실외 하우징(35)은 제1 몸체(241)의 하부에 조립되는 제1 하부 커버(2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부 커버(243)는 제1 몸체(241)에 조립되기 위해 끼움 결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조립을 위한 다른 결합 방식이라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실내 하우징(24)은 실내 열교환기(21)를 둘러싸는 제2 몸체(351)와 제2 몸체(351)의 상부에 조립되는 제2 상부 커버(3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상부 커버(352)는 제2 몸체(351)에 조립되기 위해 끼움 결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조립을 위한 다른 결합 방식이라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실내 하우징(24)은 제2 몸체(351)의 하부에 조립되는 제2 하부 커버(3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부 커버(353)는 제2 몸체(351)에 조립되기 위해 끼움 결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조립을 위한 다른 결합 방식이라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연결 지지 모듈(100)은 제1 상부 커버(242)와 제2 상부 커버(352)를 연결하는 상부 플레이트(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상부 커버(242), 제2 상부 커버(352) 및 상부 플레이트(115)가 하나의 몸체로 구성될 수 있다. 연결 지지 모듈(100)의 제1 연결 플레이트가 제1 상부 커버(242), 제2 상부 커버(352)와 하나의 몸체로 구성됨에 따라, 실외 하우징(35), 실내 하우징(24)에 대한 연결 지지 모듈(100)의 연결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연결 지지 모듈(100)은 제1 하부 커버(243)와 제2 하부 커버(353)를 연결하는 하부 플레이트(1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부 커버(243), 제2 하부 커버(353) 및 하부 플레이트(116)가 하나의 몸체로 구성될 수 있다. 연결 지지 모듈(100)의 하부 플레이트(116)가 제1 하부 커버(243), 제2 하부 커버(353)와 하나의 몸체로 구성됨에 따라, 실외 하우징(35), 실내 하우징(24)에 대한 연결 지지 모듈(100)의 연결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다만, 연결 지지 모듈(100)에서 제1, 제2 상부 커버(242, 352)를 연결하기 위한 상부 플레이트(115) 및 제1, 제2 하부 커버(243, 353)를 연결하기 위한 하부 플레이트(116)는 선택적인 구성이므로,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창문형 공기 조화기(1)의 연결 지지 모듈(100)에서 상부 플레이트(115)가 생략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창문형 공기 조화기(1)에서는 연결 지지 모듈(100B)이 상부 플레이트(115)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제2 상부 커버(242, 352)의 일부는 제1, 제2 지지 플레이트(111, 112)에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제2 상부 커버(242, 352)의 일부는 제3 지지 플레이트(113)에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연결 지지 모듈(100)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체결되는 제1, 제2 체결 부재(V2)에 의해 2방향으로 실외 하우징(35) 및 실내 하우징(24)에 고정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연결 지지 모듈(100)의 연결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연결 지지 모듈(100)이 실외 하우징(35) 및 실내 하우징(24)에 3방향 이상으로 고정되는 구조일 수도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형 공기 조화기(1A)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창문형 공기 조화기(1A)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창문형 공기 조화기(1A)는 실외 모듈(3), 실내 모듈(2), 실외 모듈(3)과 실내 모듈(2)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지지 모듈(100C)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하며,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실외 모듈(3)의 실외 하우징(35) 및 실내 모듈(2)의 실내 하우징(24)은 돌출 부분(510)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 부분(510)의 상하 방향(Z)으로 높이(h)는 대향 표면(501, 502)의 상하 방향(Z)으로 높이(h1, h2)보다 낮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 부분(510)은 대향 표면(501, 502)에서 상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았으나, 돌출 부분(510)은 대향 표면(501, 502)에서 하부 영역에 형성될 수도 있다.
연결 지지 모듈(100C)은 제1 지지 플레이트(111), 제2 지지 플레이트(112) 및 제4 지지 플레이트(1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지지 플레이트(111, 112)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별도의 부재일 수 있다.
제1, 제2 지지 플레이트(111, 112)의 높이는 돌출 부분(510)의 높이(h)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제2 지지 플레이트(111, 112)의 높이는 실내 하우징(24) 또는 실외 하우징(35)의 높이(h1, h2)보다 작을 수 있다.
제4 지지 플레이트(114)는 제1 지지 플레이트(111)와 제2 지지 플레이트(112)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지지 플레이트(114)는 제1 지지 플레이트(111)와 제2 지지 플레이트(112)의 하부에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연결 지지 모듈(100C)은 전후 방향(X)으로 양 단부에 배치된 고정 부분(120)과, 고정 부분(120)을 연결하는 연결 부분(13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부분(120)은 플랜지 고정부(121)와 내측 고정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 플레이트(111), 제2 지지 플레이트(112) 및 제4 지지 플레이트(114)의 플랜지 고정부(121)에는 제1 방향, 전후 방향(X)으로 삽입되는 제1 체결 부재(V1)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제1 지지 플레이트(111), 제2 지지 플레이트(112)의 내측 고정부(122)는 제2 방향, 좌우 방향(Y)으로 삽입되는 제2 체결 부재(V2)에 의해 고정되며, 제4 지지 플레이트(113)의 내측 고정부(122)는 제2 방향, 좌우 방향(Y)으로 삽입되는 제2 체결 부재(V2) 및 제3 방향, 예를 들어, 상하 방향(Z)으로 삽입되는 제3 체결 부재(V3)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돌출 부분(510)의 연결 표면(530)은 돌출 표면(520)의 양 측에 배치된 측부면(531)과, 돌출 표면(520)의 아래에 배치된 하부면(5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체결 부재(V2)는 연결 표면(530)의 측부면(531)에 체결되며, 제3 체결 부재(V3)는 연결 표면(530)의 하부면(532)에 체결될 수 있다. 제3 체결 부재(V3)는 제3 지지 플레이트(113)의 내측 고정부(122)의 제5 체결 구멍(H5) 및 돌출 부분(510)의 하부면(532)을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다.
서로 다른 방향으로 삽입되는 제1, 제2, 제3 체결 부재(V1, V2, V3)에 의해, 연결 지지 모듈(100C)은 실외 하우징(35) 및 실내 하우징(24)에 3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창문형 공기 조화기(1A)에 전후 방향(X), 전후 방향(X)과 수직인 상하 방향(Z) 및 좌우 방향(Y)으로 작용하는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창문형 공기 조화기(1A)의 뒤틀림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도시하지 않았으나, 연결 지지 모듈(100C)은 돌출 부분(510)에 상술한 제1, 제2, 제3 방향 외에 다른 방향, 예를 들어 대각선 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체결 부재가 제1, 제2, 제3 방향과 경사진 사선 방향으로 삽입되어, 연결 지지 모듈(100C)을 돌출 부분(5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4방향 이상에서 연결 지지 모듈(100C)이 실내 하우징(24) 및 실외 하우징(35)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형 공기 조화기(1, 1A)가 냉매 배관(40)이 돌출 부분(510)을 관통하는 구조일 경우, 실외 모듈(3)의 압축기(31)에서 발생한 소음은 돌출 부분(510), 연결 지지 모듈(100, 100A, 100C, 100C)을 통해 실내 모듈(2)로 전달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창문형 공기 조화기(1, 1A)는, 이러한 연결 지지 모듈(100, 100A, 100B, 100C)을 통한 소음 전달을 차단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흡음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흡음 부재는 연결 지지 모듈(100, 100A, 100B, 100C)의 내부에 냉매 배관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흡음 부재를 통해, 실외 모듈(3)의 압축기(31) 등에서 발생한 소음이, 연결 지지 모듈(100, 100A, 100B, 100C)을 통해, 실내 모듈(2)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3은 도 5의 창문형 공기 조화기(1)의 제1 흡음 부재(61)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1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창문형 공기 조화기(1)의 흡음부재는 연결 지지 모듈(100)의 내측으로 삽입된 돌출 부분(510)의 내부에 배치되며 냉매 배관(40)을 둘러싸는 제1 흡음 부재(6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흡음 부재(61)가 돌출 부분(510)의 내부에 채워질 수 있다. 제1 흡음 부재(61)는 냉매 배관(40)이 관통하는 제1 관통홀(6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흡음 부재(61)는 폼(foam)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흡음 부재(61)는 폴리우레탄 폼(PU foam), 폴리에틸렌 폼(PE foam)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1 흡음 부재(61)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할 수 있다.
제1 흡음 부재(61)는 실외 하우징(35)의 돌출 부분(510) 및 실내 하우징(24)의 돌출 부분(510)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흡음 부재(61)는 실외 하우징(35)의 돌출 부분(510)과 실내 하우징(24)의 돌출 부분(510)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흡음 부재(61)는 실외 하우징(35)의 돌출 부분(510) 또는 실내 하우징(24)의 돌출 부분(51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흡음 부재(61)가 돌출 부분(510)에 배치됨에 따라, 압축기(31)에서 돌출 부분(510)으로 전달된 소음은 제1 흡음 부재(61)에 의해 흡수될 수 있으며, 냉매 배관(40)을 타고 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제1 흡음 부재(61)에는 전선(43) 및 드레인 호스(44)를 둘러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흡음 부재(61)는 전선(43)이 관통하는 제2 관통홀(612)과, 드레인 호스(44)가 관통하는 제3 관통홀(61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는 실시예에 따른 창문형 공기 조화기(1B)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창문형 공기 조화기(1B)의 흡음 부재는 연결 지지 모듈(100A)의 내부에서 돌출 부분(510)의 외부에 배치되며, 냉매 배관(40)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제2 흡음 부재(62)를 포함할 수 있다. 흡음 부재는 돌출 부분(510)의 내부에 배치된 제1 흡음 부재(61)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제1 흡음 부재(61)가 생략될 수도 있다.
제2 흡음 부재(62)는 폼(foam)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흡음 부재(62)는 폴리우레탄 폼(PU foam), 폴리에틸렌 폼(PE foam)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2 흡음 부재(62)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할 수 있다.
제2 흡음 부재(62)는 제1 지지 플레이트(111)와 제2 지지 플레이트(1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흡음 부재(62)는 연결 지지 모듈(100A)의 내부에서 냉매 배관(40)의 위치를 유지하면서 냉매 배관(40)을 통해 전달되는 소음의 전달을 차단할 수 있다. 제2 흡음 부재(62)는 냉매 배관(40)이 관통하는 제1 관통홀(6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흡음 부재(62)는 전선(43)을 둘러싸는 제2 관통홀(622)과, 드레인 호스(44)를 둘러싸는 제3 관통홀(6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제3 관통홀(621, 622, 623)은 측부가 절개된 구조일 수 있다. 그에 따라, 창문형 공기 조화기(1)의 설치 과정에서 제2 흡음 부재(62)가 냉매 배관(40), 전선(43) 및 드레인 호스(44)를 둘러싸도록 배치할 수 있다.
제2 흡음 부재(62)는 연결 지지 모듈(100A)의 연결 부분(130)의 양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제2 흡음 부재(62)의 배치 및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2 흡음 부재(62)는 복수 개로써, 연결 부분(130)의 연장 방향, 예를 들어, 전후 방향(X)을 따라 배열되거나, 제2 흡음 부재(62)의 두께가 달라질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들의 창문형 공기 조화기(1, 1A, 1B)에서는, 연결 지지 모듈(100, 100A, 100B, 100C)의 연결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구조로서, 실내 하우징(24) 및 실외 하우징(35) 각각에 돌출 부분(510)이 형성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른 창문형 공기 조화기(1, 1A, 1B)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필요에 따라 실내 하우징(24) 및 실외 하우징(35) 중 어느 하나에 돌출 부분(510)이 형성되며, 다른 하나에는 돌출 부분(510)이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5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창문형 공기 조화기(1C)에서는 실외 하우징(35)의 대향 표면(501, 502)에는 돌출 부분(510)이 마련되며, 실내 하우징(24)의 대향 표면(501, 502)에는 돌출 부분(510)이 마련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돌출 부분(510)을 향하는 연결 지지 모듈(100)의 일 단부는 2 방향 이상의 고정이 가능하며, 돌출 부분(510)이 마련되지 않은 대향 표면(501, 502)을 향하는 연결 지지 모듈(100)의 타 단부는 1 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1 방향으로 고정되는 연결 지지 모듈(100)의 타 단부는 연결 지지 모듈(100)의 일 단부에 비해 체결 강도가 더 큰 체결 부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도 16은 실시예에 따른 창문형 공기 조화기(1)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은 실시예에 따른 창문형 공기 조화기(1)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창문형 공기 조화기(1)는 연결 지지 모듈(100)이 창문 프레임(1010)과 창문(1000) 사이에 배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브라켓(미도시)을 통해, 창문형 공기 조화기(1)의 연결 지지 모듈(100), 실내 하우징(24) 및 실외 하우징(35) 중 적어도 하나를 창문 프레임(10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창문 프레임(1010)과 창문(1000) 사이에는 틈새 차단 부재(200)가 배치될 수 있다. 틈새 차단 부재(200)를 통해, 창문 프레임(1010), 창문(1000) 및 연결 지지 모듈(100)에 의해 정의된 틈새로 열 또는 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다만, 창문형 공기 조화기(1)의 설치 모습은 창문형 공기 조화기(1)의 연결 지지 모듈(100)의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창문형 공기 조화기(1A)에서 연결 지지 모듈(100C)의 높이(h)가 실외 하우징(35)의 높이(h1) 또는 실내 하우징(24)의 높이(h2)보다 낮을 경우, 도 17의 창문형 공기 조화기(1A)와 같이 설치될 수 있다.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참조 부호를 기재하였으며, 상기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였으나, 상기 특정 용어에 의해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은 당업자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등의 표현은 기술의 개방형 종결부의 용어로 이해되기 위해 사용된 것이다.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기술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는 발명의 범위와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수정과 변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명확히 알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형 공기 조화기는, 다양한 방향에서 외력이 작용하는 점을 고려하여, 실내 모듈 및 실외 모듈에 대한 연결 지지 모듈의 연결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형 공기 조화기는, 창문 프레임에 설치 가능한 장치로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실외 공기와 냉매 사이의 열교환이 발생하는 실외 열교환기와, 상기 압축기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를 수용하는 실외 하우징을 포함하는 실외 모듈; 상기 실외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된 실내 하우징과, 상기 실내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실내 공기와 냉매 사이의 열교환이 발생하는 실내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실내 모듈; 상기 실내 모듈과 상기 실외 모듈 사이에서 냉매가 이동하는 유로를 제공하는 냉매 배관; 및 상기 실내 모듈과 상기 실외 모듈을 연결하며, 양 단부가 상기 실내 하우징과 상기 실외 하우징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연결 지지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지지 모듈의 내부에는 상기 냉매 배관을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흡음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실외 하우징 및 상기 실내 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마주보는 대향 표면의 일부가 상기 연결 지지 모듈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돌출된 돌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음 부재는, 상기 돌출 부분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냉매 배관을 둘러싸는 제1 흡음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지지 모듈의 단부는, 내측으로 삽입된 상기 돌출 부분에 고정되는 내측 고정부와, 상기 대향 표면에서 상기 돌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고정되는 플랜지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 고정부는 제1 방향으로 체결되는 제1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대향 표면의 상기 나머지 부분에 고정되며, 상기 내측 고정부는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체결되는 제2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대향 표면의 상기 돌출 부분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돌출 부분은, 돌출 표면과, 상기 돌출 표면과 상기 나머지 부분을 연결하며 상기 나머지 부분과 다른 배향을 가지는 연결 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체결 부재는 상기 연결 표면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돌출 부분의 높이는 상기 실외 하우징 또는 실내 하우징의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내측 고정부는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다른 제3 방향으로 체결되는 제3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대향 표면의 상기 돌출 부분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 표면은, 상기 돌출 표면의 양 측에 배치된 측부면과, 상기 돌출 표면의 아래에 배치된 하부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체결 부재는 상기 연결 표면의 상기 측부면에 체결되며, 상기 제3 체결 부재는 상기 연결 표면의 상기 하부면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돌출 부분의 높이는 상기 실외 하우징 또는 실내 하우징의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연결 지지 모듈은, 상기 냉매 배관을 사이에 두고 이격 배치된 제1, 제2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지지 모듈은, 상기 제1, 제2 지지 플레이트가 하나의 몸체가 되도록, 상기 제1, 제2 지지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3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연결 플레이트는 서로 이격된 별도의 부재일 수 있다.
상기 실외 하우징은 상기 압축기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를 둘러싸는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의 상부에 조립되는 제1 상부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실내 하우징은 상기 실내 열교환기를 둘러싸는 제2 몸체와, 상기 제2 몸체의 상부에 조립되는 제2 상부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지지 모듈은 상기 제1 상부 커버와 상기 제2 상부 커버가 하나의 몸체가 되도록 상기 제1 상부 커버와 상기 제2 상부 커버를 연결하는 상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외 하우징은 상기 압축기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를 둘러싸는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의 하부에 조립되는 제1 하부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실내 하우징은 상기 실내 열교환기를 둘러싸는 제2 몸체와, 상기 제2 몸체의 하부에 조립되는 제2 하부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지지 모듈은 상기 제1 하부 커버와 상기 제2 하부 커버가 하나의 몸체가 되도록 상기 제1 하부 커버와 상기 제2 하부 커버를 연결하는 하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음 부재는 상기 연결 지지 모듈의 내부에서 상기 돌출 부분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냉매 배관을 둘러싸는 제2 흡음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창문형 공기 조화기는, 상기 실내 모듈과 상기 실외 모듈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전선; 및 상기 실내 열교환기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상기 실외 모듈로 전달하는 드레인 호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선 및 상기 드레인 호스는 상기 연결 지지 모듈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1 : 창문형 공기 조화기 2 : 실내 모듈
21 : 실내 열교환기 22 : 실내 팬
23 : 드레인 팬 24 : 실내 하우징
241 : 제1 몸체 242 : 제1 상부 커버
243 : 제1 하부 커버 3 : 실외 모듈
31 : 압축기 32 : 실외 열교환기
33 : 팽창 장치 34 : 실외 팬
35 : 실외 하우징 351 : 제2 몸체
352 : 제2 상부 커버 353 : 제2 하부 커버
40 : 냉매 배관 41 : 제1 냉매 배관
42 : 제2 냉매 배관 43 : 전선
44 : 드레인 호스 501, 502 : 대향 표면
510 : 돌출 부분 520 : 돌출 표면
530 : 연결 표면 531 : 측부면
532 : 하부면 550 : 나머지 부분
61 : 제1 흡음 부재 62 : 제2 흡음 부재
100 : 연결 지지 모듈 111 : 제1 지지 플레이트
112 : 제2 지지 플레이트 113 : 제3 지지 플레이트
114 : 제4 지지 플레이트 115 : 상부 플레이트
116 : 하부 플레이트 120 : 고정 부분
121 : 플랜지 고정부 122 : 내측 고정부
130 : 연결 부분

Claims (15)

  1. 창문 프레임에 설치 가능한 창문형 공기 조화기(1)로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31)와, 실외 공기와 냉매 사이의 열교환이 발생하는 실외 열교환기(32)와, 상기 압축기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를 수용하는 실외 하우징(35)을 포함하는 실외 모듈(3);
    상기 실외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된 실내 하우징(24)과, 상기 실내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실내 공기와 냉매 사이의 열교환이 발생하는 실내 열교환기(21)를 포함하는 실내 모듈(2);
    상기 실내 모듈과 상기 실외 모듈 사이에서 냉매가 이동하는 유로를 제공하는 냉매 배관(40); 및
    상기 실내 모듈과 상기 실외 모듈을 연결하며, 양 단부가 상기 실내 하우징과 상기 실외 하우징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연결 지지 모듈(100);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 지지 모듈(100)의 내부에는 상기 냉매 배관을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흡음 부재(61, 62)가 배치된 , 창문형 공기 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 하우징 및 상기 실내 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마주보는 대향 표면(501, 502)의 일부가 상기 연결 지지 모듈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돌출된 돌출 부분(510)을 포함하는, 창문형 공기 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 부재는, 상기 연결 지지 모듈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기 돌출 부분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냉매 배관을 둘러싸는 제1 흡음 부재(61)를 포함하는, 창문형 공기 조화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지지 모듈의 단부는, 내측으로 삽입된 상기 돌출 부분(510)에 고정되는 내측 고정부(122)와, 상기 대향 표면(501, 502)에서 상기 돌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550)에 고정되는 플랜지 고정부(121)를 포함하는, 창문형 공기 조화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고정부는 제1 방향(X)으로 체결되는 제1 체결 부재(V1)에 의해 상기 대향 표면의 상기 나머지 부분에 고정되며,
    상기 내측 고정부는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Y)으로 체결되는 제2 체결 부재(V2)에 의해 상기 대향 표면의 상기 돌출 부분에 고정되는, 창문형 공기 조화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부분(510)은, 돌출 표면(520)과, 상기 돌출 표면과 상기 나머지 부분을 연결하며 상기 나머지 부분과 다른 배향을 가지는 연결 표면(530)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체결 부재는 상기 연결 표면에 체결되는, 창문형 공기 조화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고정부는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다른 제3 방향(Z)으로 체결되는 제3 체결 부재(V3)에 의해 상기 대향 표면의 상기 돌출 부분에 고정되는, 창문형 공기 조화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표면(530)은, 상기 돌출 표면의 양 측에 배치된 측부면(531)과, 상기 돌출 표면의 아래에 배치된 하부면(532)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체결 부재는 상기 연결 표면의 상기 측부면에 체결되며,
    상기 제3 체결 부재는 상기 연결 표면의 상기 하부면에 체결되는, 창문형 공기 조화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부분의 높이(h)는 상기 실외 하우징 또는 실내 하우징의 높이(h1, h2)보다 작은, 창문형 공기 조화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지지 모듈은, 상기 냉매 배관을 사이에 두고 이격 배치된 제1, 제2 지지 플레이트(111, 112)를 포함하는, 창문형 공기 조화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지지 모듈은,
    상기 제1, 제2 지지 플레이트가 하나의 몸체가 되도록, 상기 제1, 제2 지지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3 지지 플레이트(113)를 포함하는, 창문형 공기 조화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는 서로 이격된 별도의 부재인, 창문형 공기 조화기.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 하우징(35)은 상기 압축기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를 둘러싸는 제1 몸체(351)와, 상기 제1 몸체의 상부에 조립되는 제1 상부 커버(352)를 포함하며,
    상기 실내 하우징(24)은 상기 실내 열교환기를 둘러싸는 제2 몸체(241)와, 상기 제2 몸체의 상부에 조립되는 제2 상부 커버(242)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지지 모듈은 상기 제1 상부 커버와 상기 제2 상부 커버가 하나의 몸체가 되도록 상기 제1 상부 커버와 상기 제2 상부 커버를 연결하는 상부 플레이트(115)를 더 포함하는, 창문형 공기 조화기.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 하우징은 상기 압축기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를 둘러싸는 제1 몸체(351)와, 상기 제1 몸체의 하부에 조립되는 제1 하부 커버(353)를 포함하며,
    상기 실내 하우징은 상기 실내 열교환기를 둘러싸는 제2 몸체(241)와, 상기 제2 몸체의 하부에 조립되는 제2 하부 커버(243)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지지 모듈은 상기 제1 하부 커버와 상기 제2 하부 커버가 하나의 몸체가 되도록 상기 제1 하부 커버와 상기 제2 하부 커버를 연결하는 하부 플레이트(116)를 더 포함하는, 창문형 공기 조화기.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 부재는 상기 연결 지지 모듈의 내부에서 상기 돌출 부분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냉매 배관을 둘러싸는 제2 흡음 부재(62)를 포함하는, 창문형 공기 조화기.
KR1020220138623A 2022-10-25 2022-10-25 창문형 공기 조화기 KR2024005787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8623A KR20240057875A (ko) 2022-10-25 2022-10-25 창문형 공기 조화기
PCT/KR2023/013106 WO2024090771A1 (ko) 2022-10-25 2023-09-01 창문형 공기 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8623A KR20240057875A (ko) 2022-10-25 2022-10-25 창문형 공기 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7875A true KR20240057875A (ko) 2024-05-03

Family

ID=90831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8623A KR20240057875A (ko) 2022-10-25 2022-10-25 창문형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57875A (ko)
WO (1) WO2024090771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7089Y2 (ja) * 1992-08-04 1995-08-23 健 名倉 ハウスの空調機取付け装置
KR0109810Y1 (en) * 1993-06-15 1997-1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protecting sound of separate airconditioner
JP5496131B2 (ja) * 2011-03-14 2014-05-21 三菱電機株式会社 配管制振構造及びこの配管制振構造を備えた冷凍サイクル装置
WO2021050726A1 (en) * 2019-09-13 2021-03-18 Treau, Inc. Window installation system and method for split-architecture air conditioning unit
KR102311991B1 (ko) * 2019-12-23 2021-10-14 (주) 위니아랜드 수직방향 거치식 창문형 에어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90771A1 (ko) 2024-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25355B2 (ja) 空気調和装置
JP5447580B2 (ja) 空調機の室外機
JP6361685B2 (ja) 熱源ユニット
CN111623551A (zh) 一种制冷系统及制冷设备
US6796621B2 (en) Outdoor unit having reinforcing structure for air conditioner
KR20240057875A (ko) 창문형 공기 조화기
JP6610691B2 (ja) 熱源ユニット
US10443902B2 (en) Outdoor device for an air conditioner
KR100437023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용 지지구조
JP6787281B2 (ja) 支持装置および車両用空調装置
KR100804424B1 (ko) 공기조화장치
JP2018087698A5 (ko)
KR20240037033A (ko) 창문형 공기 조화기 및 창문형 공기 조화기의 설치 방법
KR102266827B1 (ko) 공기 조화기
US20050166623A1 (en) Pipe structure of air conditioner
KR100677887B1 (ko)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방진장치
US20240085056A1 (en) Window type air-conditioner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KR100436928B1 (ko) 적층수단을 구비한 에어컨 실외기
KR100648948B1 (ko)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방진장치
US10928079B2 (en) Heat source unit
KR100432687B1 (ko) 에어컨 실외기 설치구조
KR20150056034A (ko) 압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JP2019132448A (ja) 熱交換エレメント、輻射パネル、及び空気調和装置
KR200198161Y1 (ko) 분리형공기조화기의실외기결합구조
KR960008162B1 (ko) 에어콘 설치용 배관의 받침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