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7852A - 도포용 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 Google Patents

도포용 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7852A
KR20240057852A KR1020220138563A KR20220138563A KR20240057852A KR 20240057852 A KR20240057852 A KR 20240057852A KR 1020220138563 A KR1020220138563 A KR 1020220138563A KR 20220138563 A KR20220138563 A KR 20220138563A KR 20240057852 A KR20240057852 A KR 20240057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container
massage
application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8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희
Original Assignee
조용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용희 filed Critical 조용희
Priority to KR1020220138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7852A/ko
Publication of KR20240057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785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42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with pads or like contents-applying means
    • B65D47/44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with pads or like contents-applying means combined with slits opening when container is deformed or when pad is pressed against surface to which contents are to be appli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65D25/42Integral or attached nozzles or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3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brushes or rods for applying or stirring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로부터 내용물을 덜어내지 않고도 원하는 부위에 직접 도포하기 용이한 도포용 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도포용 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Application Lid, AND Containe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도포용 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마사지볼을 포함하는 도포용 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멀젼 형태의 화장품, 또는 의약품은 유리병 또는 플라스틱병에 수용되어 유통되며, 병 뚜껑을 개방하여 일정량을 덜어내어 피부에 도포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시 부득이하게 손바닥 등에 일정량을 덜어낼 수밖에 없어서 사용후에 손을 세척해야 하는 등 번거로움을 수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용기를 가압하여 토출되는 내용물을 덜어내지 않고도 원하는 부위에 직접 도포하기 용이한 도포용 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경사지게 형성된 마사지면으로 노출된 마사지볼을 통해 일정량이 토출되게 하여, 사용시 정량의 내용물을 피부에 고르게 도포하면서 마사지할 수 있는 도포용 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추가적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포용 마개는, 용기 상단에 마련된 개구에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용기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토출되는 제1 토출공이 형성된 베이스패널; 상기 베이스패널 상부에 복수개로 형성되어 각각의 상부에 마사지볼이 안착되는 복수의 볼지지대; 상기 베이스패널의 가장자리를 따라 억지끼움홈이 형성된 제1 체결부;를 포함하는 제1 커버부재와, 상기 복수의 볼지지대에 각각 대응하여 상기 마사지볼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복수의 볼노출부가 마련되고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마사지면; 상기 경사마사지면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일단의 내벽에 상기 제1 체결부의 상기 억지끼움홈에 밀착 체결되는 고정돌부가 형성된 수용벽부;를 포함하는 제2 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버부재 및 상기 제2 커버부재가 상기 억지끼움홈 및 상기 고정돌부를 통해 체결될 때, 복수의 마사지볼 각각이 상기 볼지지대 및 상기 볼노출부 사이에 끼워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용기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상기 제1 토출공을 통해 상기 베이스패널, 상기 수용벽부 및 상기 경사마사지면으로 둘러싸인 수용부 내부로 유입된 후, 상기 볼노출부와 상기 마사지볼 사이의 이격공간으로 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토출공 주변에는 내용물이 토출되는 경로를 안내하는 토출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가이드는 상기 용기에 형성된 개구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경사마사지면에는 상기 제1 토출공과 중첩되는 위치에 제2 토출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지지대는 상기 경사마사지면이 형성된 각도에 따라 상기 마사지볼이 경사진 형태로 배치될 수 있도록 높이를 달리하여 복수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포용 마개를 포함하는 용기는, 내용물이 저장되는 합성수지재 용기와, 상기 용기에 설치된 상술한 도포용 마개와, 상기 용기의 상단에 체결되고 상기 도포용 마개를 보호하는 캡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를 가압하여 토출되는 내용물을 덜어내지 않고도 원하는 부위에 직접 도포하기 용이하다. 또한, 경사지게 형성된 마사지면으로 노출된 복수의 마사지볼을 통해 일정량이 토출되게 하여, 사용시 정량의 내용물을 피부에 고르게 도포하면서 마사지할 수 있으며, 좁은 공간에서도 사용이 간편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포용 마개를 용기에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포용 마개를 용기에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포용 마개를 구성하는 제1 커버부재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포용 마개를 구성하는 제1 커버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포용 마개를 구성하는 제2 커버부재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포용 마개를 구성하는 제2 커버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포용 마개를 구성하는 각 구성품들을 조립하기 전 상태를 도시한 개요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포용 마개를 용기에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포용 마개를 용기에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포용 마개를 구성하는 제1 커버부재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포용 마개를 구성하는 제1 커버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포용 마개를 구성하는 제2 커버부재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포용 마개를 구성하는 제2 커버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포용 마개를 구성하는 각 구성품들을 조립하기 전 상태를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 1 내지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포용 마개는, 용기(500) 상단에 마련된 개구(미도시)에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용기(500)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토출되는 제1 토출공(111)이 형성된 베이스패널(110); 상기 베이스패널(110) 상부에 복수개로 형성되어 각각의 상부에 마사지볼이 안착되는 복수의 볼지지대(120); 상기 베이스패널(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억지끼움홈(131)이 형성된 제1 체결부(130);를 포함하는 제1 커버부재(100)와, 상기 복수의 볼지지대(120에 각각 대응하여 상기 마사지볼(300)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복수의 볼노출부(211)가 마련되고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마사지면(210); 상기 경사마사지면(210)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일단의 내벽에 상기 제1 체결부(130)의 상기 억지끼움홈(131)에 밀착 체결되는 고정돌부(221)가 형성된 수용벽부(220);를 포함하는 제2 커버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도포용 마개는, 상기 제1 커버부재(100) 및 상기 제2 커버부재(200)가 상기 억지끼움홈(131) 및 상기 고정돌부(221)를 통해 체결될 때, 복수의 마사지볼(300) 각각이 상기 볼지지대(120) 및 상기 볼노출부(211) 사이에 끼워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용기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상기 제1 토출공(111)을 통해 상기 베이스패널(110), 상기 수용벽부(220) 및 상기 경사마사지면(210)으로 둘러싸인 수용부 내부로 유입된 후, 상기 볼노출부(211)와 상기 마사지볼(300) 사이의 이격공간으로 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용기(500)는 합성수지재로 제조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변형된 후 복원 가능한 연성 및/또는 탄성 재질이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용기(500)에 수용되는 내용물은, 예를 들어, 액체, 겔, 크림 타입 등의 화장품이나 의약품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용기(500)에 수용된 내용물은 튜브 형태의 용기(500)를 가압함에 의해 상부에 마련된 개구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아울러, 용기(500)의 상부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데, 사용전에는 밀폐된 상태로 보관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도포용 마개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도포용 마개를 설치한 후에는 내용물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캡(400)을 설치할 수 있는데, 캡(400) 및 용기(500)에는 회동 조작에 의해 상호 체결이 가능한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410 및 510)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1 커버부재(100)는 제1 토출공(111)이 형성된 베이스패널(110)을 포함한다. 제1 토출공(111) 주변에는 내용물이 토출되는 경로를 안내하는 토출가이드(112)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토출가이드(112)는 용기(500)에 형성된 개구(미도시)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선단부가 하측 중심을 향해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개구에 삽입된 후 쉽게 탈거되지 않도록 토출가이드(112)의 측부가 개구의 가장자리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도 3 참조).
한편, 베이스패널(110)의 상부에는 복수의 볼지지대(120)가 형성된다. 여기서, 볼지지대(120)의 상단에는 마사지볼(300)이 각각 안착될 수 있다. 마사지볼(300)은 볼지지대(120)의 상단 및 볼노출부(211) 사이에 끼워지게 되는데, 가압에 의해 토출되는 내용물에 의해 자유롭게 회동 가능하도록 거치된다. 마사지볼(300)은, 예컨대 합성수지 또는 세라믹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구형의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아울러, 베이스패널(110)의 가장자리에는 제1 체결부(130)가 형성되는데, 베이스패널(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억지끼움홈(131)이 형성된다. 억지끼움홈(131)은 제1 체결부(130)의 수직방향 중앙부에 홈을 형성하여 마련될 수 있다. 제2 커버부재(200)에 형성된 고정돌부(221)가 억지끼움홈(131)에 밀착 체결되어, 수용부(미도시)에 유입된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밀폐시킨다. 수용부는, 베이스패널(110), 수용벽부(220) 및 경사마사지면(210)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의미하며, 개구 및 제1 토출공(111)을 통해 내용물이 유입되면, 가압된 압력에 의해 마사지볼(300)의 측면을 통해 외부로 유출된다.
한편, 제2 커버부재(200)에는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마사지면(210)이 형성되고, 경사마사지면(210)에는 볼지지대(120)에 대응하여 복수의 볼노출부(211)가 형성된다. 경사마사지면(210)이 형성된 각도에 따라 마사지볼(300)이 경사진 형태로 배치될 수 있도록, 볼지지대(120)는 높이를 달리하여 복수개가 형성된다. 즉, 도 3에서 보듯이, 경사마사지면(210)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높이가 큰 볼지지대(120a), 중간 높이의 볼지지대(120b) 및 낮은 높이의 볼지지대(120c)가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동일한 치수의 마사지볼을 배치하되 높이의 차이를 두어 경사마사지면(210)을 통해 마사지볼(300)이 경사지게 배치된다. 마사지볼(300)을 경사지게 배치함으로서, 내용물을 피부에 도포할 때 좁은 공간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므로 편의성의 증대될 수 있다. 아울러, 용기를 가압하여 내용물을 도포할 때 마사지볼(300)과 볼노출부(211) 사이의 이격공간으로 내용물이 유출되면서 도포되므로, 피부에 도포하면서 마사지볼(300)의 회동 및 가압에 의해 일정량이 균일하게 도포되면서 마사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도포하고자 하는 부위만 선택적으로 균일하게 도포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내용물의 소모가 적고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경사마사지면(210)에는 제1 토출공(111)과 중첩되는 위치에 제2 토출공(212)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마사지볼(300)을 통해 내용물의 도포와 함게 제2 토출공(212)을 통해서도 내용물이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제2 커버부재(200)의 내측으로 각각의 볼지지대(120)가 배치되는 격벽(213)이 형성될 수도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여기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용기 상단에 마련된 개구에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용기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토출되는 제1 토출공이 형성된 베이스패널; 상기 베이스패널 상부에 복수개로 형성되어 각각의 상부에 마사지볼이 안착되는 복수의 볼지지대; 상기 베이스패널의 가장자리를 따라 억지끼움홈이 형성된 제1 체결부;를 포함하는 제1 커버부재와,
    상기 복수의 볼지지대에 각각 대응하여 상기 마사지볼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복수의 볼노출부가 마련되고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마사지면; 상기 경사마사지면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일단의 내벽에 상기 제1 체결부의 상기 억지끼움홈에 밀착 체결되는 고정돌부가 형성된 수용벽부;를 포함하는 제2 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버부재 및 상기 제2 커버부재가 상기 억지끼움홈 및 상기 고정돌부를 통해 체결될 때, 복수의 마사지볼 각각이 상기 볼지지대 및 상기 볼노출부 사이에 끼워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용기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상기 제1 토출공을 통해 상기 베이스패널, 상기 수용벽부 및 상기 경사마사지면으로 둘러싸인 수용부 내부로 유입된 후, 상기 볼노출부와 상기 마사지볼 사이의 이격공간으로 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용 마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토출공 주변에는 내용물이 토출되는 경로를 안내하는 토출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가이드는 상기 용기에 형성된 개구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용 마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마사지면에는 상기 제1 토출공과 중첩되는 위치에 제2 토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용 마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지지대는 상기 경사마사지면이 형성된 각도에 따라 상기 마사지볼이 경사진 형태로 배치될 수 있도록 높이를 달리하여 복수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용 마개.
  5. 내용물이 저장되는 합성수지재 용기와,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도포용 마개와,
    상기 용기의 상단에 체결되고 상기 도포용 마개를 보호하는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용 마개를 포함하는 용기.
KR1020220138563A 2022-10-25 2022-10-25 도포용 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KR202400578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8563A KR20240057852A (ko) 2022-10-25 2022-10-25 도포용 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8563A KR20240057852A (ko) 2022-10-25 2022-10-25 도포용 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7852A true KR20240057852A (ko) 2024-05-03

Family

ID=91077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8563A KR20240057852A (ko) 2022-10-25 2022-10-25 도포용 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785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7966B1 (ko) 도포되어질 물질을 탑재하는 수납구에 사용시에 고정되는도포장치 요소를 포함하는 도포장치
JP3503027B2 (ja) 液体、特に化粧品組成物の塗布器アセンブリ
US7695209B2 (en) Stopper for the neck of a fluid product reservoir
US2749566A (en) Dispenser
US5018894A (en) Applicator device for a liquid comprising a dome made of a porous material
US7114871B2 (en) Packaging and application device for a product, notably a nail varnish remover
KR101571466B1 (ko) 흡수부재가 구비된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
JP2009242001A (ja) 製品、特に化粧品を包装するシステムのための保護装置
KR100702621B1 (ko) 액상 화장품 용기
US10974877B2 (en) Liquid contents discharge container
JP3126921B2 (ja) ドーム状アプリケータを備えて液状又はペースト状の物質を貯蔵し、分配するための装置
KR101893074B1 (ko) 두피 케어 용기
WO1996015694A1 (en) A roll-on applicator
KR102161468B1 (ko) 마사지 기능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101059972B1 (ko) 공기이동 조절부재가 구비된 액상 화장품용기
EP1595470B1 (en) Cosmetics dispenser container fitment
KR20240057852A (ko) 도포용 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US20040237986A1 (en) Manicure
US20040129600A1 (en) Device comprising at least two containers configured so as to be superposable
CN105819089A (zh) 带有化妆用具的瓶盖
JP6717800B2 (ja) 吐出ノズル付きキャップ
KR101876759B1 (ko) 이종 화장품을 저장함과 아울러 맛사지 기능을 가지는 튜브형 화장품용기
JPH11244770A (ja) 塗布具付容器
KR101886142B1 (ko) 탄성을 갖는 실리콘 재질의 도포구가 구비된 화장품 튜브용기
KR101647025B1 (ko) 화장품 용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