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7642A - 날개 없는 선풍기 - Google Patents

날개 없는 선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7642A
KR20240057642A KR1020220138056A KR20220138056A KR20240057642A KR 20240057642 A KR20240057642 A KR 20240057642A KR 1020220138056 A KR1020220138056 A KR 1020220138056A KR 20220138056 A KR20220138056 A KR 20220138056A KR 20240057642 A KR20240057642 A KR 202400576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astening
guide
diffusion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8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길업
차석진
차석재
Original Assignee
차길업
차석진
차석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길업, 차석진, 차석재 filed Critical 차길업
Priority to KR1020220138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7642A/ko
Publication of KR20240057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7642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5/0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 F04F5/14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 F04F5/16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displacing elastic fluids
    • F04F5/2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displacing elastic fluids for evacu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5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 F04D29/5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541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545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5/0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 F04F5/4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F5/02 - F04F5/42
    • F04F5/46Arrangements of nozzles
    • F04F5/466Arrangements of nozzles with a plurality of nozzles arranged in parall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하는 날개가 없어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날개 없는 선풍기에 관한 것으로,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체결되고 상기 구동부에 의해 유입된 공기를 확산시키는 확산부와, 상기 확산부에 체결되고 상기 확산부에서 확산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상기 확산부와 미세틈을 형성하며 하향 절곡된 경사면이 구비된 가이드부,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에 체결되고 상기 경사면을 따라 흐르는 공기 유동에 의해 외부 공기가 이끌려 함께 유입된 후 배출하는 노즐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공기의 유입구와 공기의 토출구가 일직선을 이루고 있어 유입된 공기의 유동 방향의 변경 없이 노즐부의 전 영역에 걸쳐 균일하게 공기를 송풍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날개 없는 선풍기{WINGLESS FAN}
본 발명은 날개 없는 선풍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하는 날개가 없어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날개 없는 선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풍기는 날씨가 더운 여름철에 주로 이용하는 제품으로써 모터의 축에 다수의 날개가 결합되어 전기를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시킴에 따라 다수의 날개가 회전하면서 바람을 일으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선풍기는 바람을 일으키는 날개가 헤드부분에 노출되어 있고, 그 헤드부분을 철망이 감싸는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어린이들이 손가락을 집어넣어 날개에 손가락을 다치는 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 제10-1293593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지칭)에 날개 없는 선풍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선풍기는 기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무블레이드 선풍기 조립체용 노즐로서, 공기 유동이 유입되기 위한 내부 통로 및 상기 공기 유동을 방출시키기 위한 마우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은 상기 마우스부로부터 방출되는 공기 유동에 의해 상기 선풍기 조립체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개구를 형성하기 위해 축을 중심으로 하여 연장되며, 상기 공기 유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마우스부가 배치되는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표면은 상기 축으로부터 테이퍼가 진 디퓨저부 및 상기 디퓨저부의 하류부에 각을 이루며 위치된 가이드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특허문헌 1의 선풍기는 날개를 구비하지 않아 안전성을 확보하였고 하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고리형의 노즐부를 통과하고, 노즐과 인접한 위치에 코안다면을 제공함으로써 송풍되는 공기의 양을 증폭시키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상기 특허문헌 1의 선풍기 환형의 노즐부에 형성된 마우스부를 통해 공기가 방출됨에 따라 노즐부의 전 영역에 걸쳐 균일하게 공기가 송풍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하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토출될 때까지 여러 번 유동 방향이 바뀌게 되므로 공기 유동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93593호(2013.07.3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유입된 공기의 유동 방향의 변경 없이 노즐부의 전 영역에 걸쳐 균일하게 공기를 송풍할 수 있는 날개 없는 선풍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날개 없는 선풍기는,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체결되고, 상기 구동부에 의해 유입된 공기를 확산시키는 확산부; 상기 확산부에 체결되고, 상기 확산부에서 확산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상기 확산부와 미세틈을 형성하며, 하향 절곡된 경사면이 구비된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에 체결되고, 상기 경사면을 따라 흐르는 공기 유동에 의해 외부 공기가 이끌려 함께 유입된 후 배출하는 노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는, 공기가 배출되는 부분의 중심에 구비되는 체결핀;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핀에 상기 확산부와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노즐부가 순차적으로 삽입 체결되게 이루어진다.
상기 확산부는, 상기 구동부에 밀착되고, 중심에 상기 체결핀이 삽입되는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홀의 둘레를 따라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홀이 형성된 체결부; 상기 체결부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확산 형성된 측면부; 및 상기 미세틈을 형성하도록 상기 측면부의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부를 지지하고,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지지리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지지리브에 밀착되고, 중심에 상기 체결핀이 삽입되는 체결홀이 형성되며, 중심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어 확산된 공기를 상기 미세틈으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단부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하향 절곡되어 외주면에 상기 경사면을 형성하는 절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노즐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경사면을 따라 흐르는 공기 유동에 의해 외부 공기가 이끌려 함께 유입된 후 배출되는 배출홀이 형성된 스포일러부; 및 상기 스포일러부에서 연장되어 중심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고, 중심에 상기 체결핀이 삽입되는 체결홀이 형성된 커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는, 일측면에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홀이 형성되고, 타측면에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홀이 형성되며, 타측면에 상기 체결핀이 체결되는 체결홀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유입홀에서 상기 배출홀로 공기의 강제 유동을 발생시키는 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날개 없는 선풍기에 따르면, 공기의 유입구와 공기의 토출구가 일직선을 이루고 있어 유입된 공기의 유동 방향의 변경 없이 노즐부의 전 영역에 걸쳐 균일하게 공기를 송풍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날개 없는 선풍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날개 없는 선풍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날개 없는 선풍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날개 없는 선풍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날개 없는 선풍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날개 없는 선풍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날개 없는 선풍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날개 없는 선풍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이며, 도 3은 상기 날개 없는 선풍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날개 없는 선풍기(101)는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구동부(200)와, 상기 구동부(200)에 체결되고 상기 구동부(200)에 의해 유입된 공기를 확산시키는 확산부(410)와, 상기 확산부(410)에 체결되고 상기 확산부(410)에서 확산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상기 확산부(410)와 미세틈(G)을 형성하며 하향 절곡된 경사면(422a)이 구비된 가이드부(420),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420)에 체결되고 상기 경사면(422a)을 따라 흐르는 공기 유동에 의해 외부 공기가 이끌려 함께 유입된 후 배출하는 노즐부(4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구동부(200)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확산부(410)에서 확산된 후 상기 가이드부(420)의 경사면(422a)을 따라 흐르면서 코안다 효과로 외부공기를 끌어들이면서 상기 노즐부(430)를 통해 배출되어 송풍을 한다.
상기 구동부(200)는 공기가 배출되는 부분의 중심에 체결핀(240)이 구비되고, 상기 체결핀(240)에 상기 확산부(410)와 상기 가이드부(420)와 상기 노즐부(430)가 순차적으로 삽입 체결된다. 이를 통하여, 상기 구동부(200)에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노즐부(430)를 통하여 배출되는 경로가 일직선을 이루므로, 공기의 유동 경로를 여러 번 바꾸지 않아 보다 효율적으로 공기를 송풍시킬 수 있다.
상기 체결핀(240)의 일측 단부는 상기 구동부(200)의 하우징(210)에 체결되고, 상기 체결핀(240)에 상기 확산부(410)를 삽입한 후에 상기 체결핀(240)에 상기 가이드부(420)를 삽입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핀(240)은 상기 가이드부(240)가 삽입되는 부분이 상기 확산부(410)가 삽입되는 부분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단턱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핀(240)에 상기 가이드부(420)를 삽입하면 단턱에 지지되고, 상기 체결핀(240)에 체결너트(250)를 나사 체결하여 상기 확산부(410)와 상기 가이드부(420)를 상기 하우징(210)에 체결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핀(240)의 타측 단부는 상기 가이드부(420)가 삽입되는 영역보다 직경이 더 작게 형성되어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에 상기 노즐부(430)가 삽입되어 단턱에 지지되고, 상기 체결핀(240)의 타측 단부에 체결너트(250)를 나사 체결하여 상기 노즐부(430)를 체결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00)는 외부의 공기를 강제로 유입한 후 상기 확산부(410)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구동부(200)는 일측면에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홀(211)이 형성되고 타측면에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홀(212)이 형성되며 타측면에 상기 체결핀(240)이 체결되는 체결홀(213)이 형성된 하우징(210)과,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 구비되고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220),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220)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유입홀(211)에서 상기 배출홀(212)로 공기의 강제 유동을 발생시키는 팬(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유입홀(211)은 상기 하우징(210)의 일측면 전면에 복수개로 형성되어 공기흡입 저항을 최소화하면서 다량의 공기를 유입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구동모터(220)가 동작하여 상기 팬(230)이 회전하면 상기 하우징(210)의 유입홀(211)로 공기가 유입된 후 상기 배출홀(212)로 배출되어 1차적으로 공기의 강제 유동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10)은 스탠드(310)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스탠드(310)는 컨트롤부(320)에 지지되게 이루어 질 수 있다. 즉, 상기 날개 없는 선풍기(101)를 스탠드 형태로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부(320)에는 상기 구동모터(22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장치와 상기 구동모터(2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조절버튼(321)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탠드(310)는 일반 선풍기와 같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조절버튼(321)은 일반 선풍기와 같이 바람 세기를 조절하는 버튼과, 좌우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조절하는 버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상기 날개 없는 선풍기(101)는 상기 스탠드(310) 없이 벽걸이 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확산부(410)는 정면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구동부(200)에 체결되고, 상기 구동부(200)에 의해 유입된 공기를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확산시켜서 상기 가이드부(420)와 함께 형성된 미세틈(G)으로 안내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확산부(410)는 상기 구동부(200)에 밀착되고 중심에 상기 체결핀(240)이 삽입되는 체결홀(411a)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홀(411a)의 둘레를 따라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홀(411b)이 형성된 체결부(411)와, 상기 체결부(411)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확산 형성된 측면부(412), 그리고 상기 미세틈(G)을 형성하도록 상기 측면부(412)의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부(420)를 지지하고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지지리브(4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체결부(411)는 상기 구동부(200)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411)의 유입홀(411b)은 상기 구동부(200)의 배출홀(212)과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부(412)는 상기 체결부(411)의 원주방향의 둘레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확장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리브(413)는 상기 측면부(412)의 내주면에서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420)를 지지하여 상기 가이드부(420)와 상기 측면부(412)의 단부 사이에 미세틈(G)을 형성하도록 지지한다.
상기 가이드부(420)는 상기 확산부(410)의 전방에 체결되고, 상기 확산부(410)에서 확산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상기 확산부(410)와 미세틈(G)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420)는 코안다 효과를 위하여 외주면이 하향 절곡된 경사면(422a)이 구비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가이드부(420)는 상기 지지리브(413)에 밀착되고 중심에 상기 체결핀(240)이 삽입되는 체결홀(421a)이 형성되며 중심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어 확산된 공기를 상기 미세틈(G)으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지지부(421)와, 상기 지지부(421)의 단부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하향 절곡되어 외주면에 상기 경사면(422a)을 형성하는 절곡부(4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421)는 상기 체결핀(240)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리브(413)에 밀착 지지되고, 상기 확산부(410)의 유입홀(411b)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지지부(421)의 외주면과 상기 측면부(412)의 내주면을 따라서 상기 미세틈(G)으로 유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절곡부(422)는 상기 지지부(421)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422a)을 따라서 상기 미세틈(G)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코안다 효과로 상기 경사면(422a)을 따라 흐르면서 외부의 공기를 끌어들인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420)는 강성 보강을 위하여 상기 지지부(421)와 상기 절곡부(422)의 내주면을 연결하여 형성되는 지지리브(423)가 방사상으로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즐부(430)는 상기 가이드부(420)의 전방에 체결되고, 상기 경사면(422a)을 따라 흐르는 공기 유동에 의해 외부 공기가 이끌려 함께 유입된 후 배출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노즐부(430)는 상기 가이드부(42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경사면(422a)을 따라 흐르는 공기 유동에 의해 외부 공기가 이끌려 함께 유입된 후 배출되는 배출홀(432a)이 형성된 스포일러부(432)와, 상기 스포일러부(432)에서 연장되어 중심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고 중심에 상기 체결핀(240)이 삽입되는 체결홀(431a)이 형성된 커버부(4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부(431)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핀(240)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돌출되어 콘(cone)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를 통하여, 상기 커버부(431)에서 와류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431)는 중심이 돌출된 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부(420)의 단부에 지지되는 지지리브(433)가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리브(433)는 상기 커버부(431)의 내주면에서 방사상으로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포일러부(432)는 상기 커버부(431)의 둘레를 따라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커버부(431)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상기 배출홀(432a)이 균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422a)을 따라 흐르는 공기 유동에 의해 외부 공기가 이끌려 함께 상기 스포일러부(432)를 거치면서 송풍된다. 여기서, 상기 스포일러부(432)의 직경을 더 크게 형성하여 상기 배출홀(432a)의 크기를 더 키울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구동부(200)를 통하여 1차적으로 공기의 강제 유동이 발생하면, 상기 확산부(410)를 통과한 후 상기 미세틈(G)을 통하여 고속의 공기가 배출되고, 고속으로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가이드부(420)의 경사면(422a)을 따라서 흐르면서 코안다 효과로 외부의 공기를 끌어들이면서 다량의 고압의 공기를 상기 노즐부(430)의 상기 스포일러부(432)를 거치면서 송풍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날개 없는 선풍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날개 없는 선풍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이며, 도 6은 상기 날개 없는 선풍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날개 없는 선풍기(102)는 상기에서 설명한 날개 없는 선풍기(101)와 외형에서 차이가 있다. 즉,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날개 없는 선풍기(101)는 외형이 원형으로 형성된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예에 의한 날개 없는 선풍기(102)는 외형이 사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즉, 확산부(510)와, 가이드부(520)와, 노즐부(530)가 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200)와, 스탠드(310)와, 컨트롤부(320)는 상기에서 설명한 날개 없는 선풍기(101)와 동일하게 마련된다.
상기 확산부(510)는 정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구동부(200)에 체결되고, 상기 구동부(200)에 의해 유입된 공기를 상하 방향의 외측으로 확산시켜서 상기 가이드부(520)와 함께 형성된 미세틈(G)으로 안내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확산부(510)는 상기 구동부(200)에 밀착되고 중심에 상기 체결핀(240)이 삽입되는 체결홀(511a)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홀(511a)의 둘레를 따라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홀(511b)이 형성된 체결부(511)와, 상기 체결부(511)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확산 형성된 측면부(512), 그리고 상기 미세틈(G)을 형성하도록 상기 측면부(512)의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부(520)를 지지하고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지지리브(5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체결부(511)는 상기 구동부(200)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511)의 유입홀(511b)은 상기 구동부(200)의 배출홀(212)과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부(512)는 상기 체결부(511)의 상하 단부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면적이 커지도록 확장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리브(513)는 상기 측면부(512)의 내주면에서 좌우 방향으로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520)를 지지하여 상기 가이드부(520)와 상기 측면부(512)의 단부 사이에 미세틈(G)을 형성하도록 지지한다.
상기 가이드부(520)는 상기 확산부(510)의 전방에 체결되고, 상기 확산부(510)에서 확산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상기 확산부(510)와 미세틈(G)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520)는 코안다 효과를 위하여 외주면이 하향 절곡된 경사면(522a)이 구비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가이드부(520)는 상기 지지리브(513)에 밀착되고 중심에 상기 체결핀(240)이 삽입되는 체결홀(521a)이 형성되며 중심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어 확산된 공기를 상기 미세틈(G)으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지지부(521)와, 상기 지지부(521)의 단부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하향 절곡되어 외주면에 상기 경사면(522a)을 형성하는 절곡부(5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521)는 상기 체결핀(240)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리브(513)에 밀착 지지되고, 상기 확산부(510)의 유입홀(511b)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지지부(521)의 외주면과 상기 측면부(512)의 내주면을 따라서 상기 미세틈(G)으로 유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절곡부(522)는 상기 지지부(521)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522a)을 따라서 상기 미세틈(G)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코안다 효과로 상기 경사면(522a)을 따라 흐르면서 외부의 공기를 끌어들인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520)는 강성 보강을 위하여 상기 지지부(521)와 상기 절곡부(522)의 내주면을 연결하여 형성되는 지지리브(523)가 좌우 방향으로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즐부(530)는 상기 가이드부(520)의 전방에 체결되고, 상기 경사면(522a)을 따라 흐르는 공기 유동에 의해 외부 공기가 이끌려 함께 유입된 후 배출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노즐부(530)는 상기 가이드부(520)의 상측 및 하측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경사면(522a)을 따라 흐르는 공기 유동에 의해 외부 공기가 이끌려 함께 유입된 후 배출되는 배출홀(532a)이 형성된 스포일러부(532)와, 상기 스포일러부(532)에서 연장되어 중심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고 중심에 상기 체결핀(240)이 삽입되는 체결홀(531a)이 형성된 커버부(5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부(531)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핀(240)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를 통하여, 상기 커버부(531)에서 와류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531)는 중심이 돌출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부(520)의 단부에 지지되는 지지리브(533)가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리브(533)는 상기 커버부(531)의 내주면에서 좌우 방향으로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포일러부(532)는 상기 커버부(531)의 상측 및 하측 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커버부(531)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기 배출홀(532a)이 균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522a)을 따라 흐르는 공기 유동에 의해 외부 공기가 이끌려 함께 상기 스포일러부(532)를 거치면서 송풍된다. 여기서, 상기 스포일러부(532)의 직경을 더 크게 형성하여 상기 배출홀(532a)의 크기를 더 키울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확산부(510)와, 상기 가이드부(520)와, 상기 노즐부(530)는 도면과 같이 양측이 개방되게 이루질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확산부(510)와, 상기 가이드부(520)와, 상기 노즐부(530)의 양측단 밀폐하도록 함께 체결되는 커버부(54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커버부(540)가 상기 확산부(510)와, 상기 가이드부(520)와, 상기 노즐부(530)의 양측단을 일체로 커버하면 양측으로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구동부(200)를 통하여 1차적으로 공기의 강제 유동이 발생하면, 상기 확산부(510)를 통과한 후 상기 미세틈(G)을 통하여 고속의 공기가 배출되고, 고속으로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가이드부(520)의 경사면(522a)을 따라서 흐르면서 코안다 효과로 외부의 공기를 끌어들이면서 다량의 고압의 공기를 상기 노즐부(530)의 상기 스포일러부(532)를 거치면서 송풍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1, 102 : 날개 없는 선풍기 200 : 구동부
210 : 하우징 211 : 유입홀
212 : 배출홀 213 : 체결홀
214 : 체결돌기 220 : 구동모터
230 : 팬 240 : 체결핀
250 : 체결너트 310 : 스탠드
320 : 컨트롤부 321 : 조절버튼
410, 510 : 확산부 411, 511 : 체결부
412, 512 : 측면부 413, 513 : 지지리브
420, 520 : 가이드부 421, 521 : 지지부
422, 522 : 절곡부 423, 523 : 지지리브
430, 530 : 노즐부 431, 531 : 커버부
432, 532 : 스포일러부 433, 533 : 지지리브
540 : 커버부

Claims (6)

  1.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체결되고, 상기 구동부에 의해 유입된 공기를 확산시키는 확산부;
    상기 확산부에 체결되고, 상기 확산부에서 확산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상기 확산부와 미세틈을 형성하며, 하향 절곡된 경사면이 구비된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에 체결되고, 상기 경사면을 따라 흐르는 공기 유동에 의해 외부 공기가 이끌려 함께 유입된 후 배출하는 노즐부;
    를 포함하는 날개 없는 선풍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공기가 배출되는 부분의 중심에 구비되는 체결핀;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핀에 상기 확산부와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노즐부가 순차적으로 삽입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 없는 선풍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부는,
    상기 구동부에 밀착되고, 중심에 상기 체결핀이 삽입되는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홀의 둘레를 따라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홀이 형성된 체결부;
    상기 체결부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확산 형성된 측면부; 및
    상기 미세틈을 형성하도록 상기 측면부의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부를 지지하고,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지지리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 없는 선풍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지지리브에 밀착되고, 중심에 상기 체결핀이 삽입되는 체결홀이 형성되며, 중심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어 확산된 공기를 상기 미세틈으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단부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하향 절곡되어 외주면에 상기 경사면을 형성하는 절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 없는 선풍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경사면을 따라 흐르는 공기 유동에 의해 외부 공기가 이끌려 함께 유입된 후 배출되는 배출홀이 형성된 스포일러부; 및
    상기 스포일러부에서 연장되어 중심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고, 중심에 상기 체결핀이 삽입되는 체결홀이 형성된 커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 없는 선풍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일측면에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홀이 형성되고, 타측면에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홀이 형성되며, 타측면에 상기 체결핀이 체결되는 체결홀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유입홀에서 상기 배출홀로 공기의 강제 유동을 발생시키는 팬;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 없는 선풍기.
KR1020220138056A 2022-10-25 2022-10-25 날개 없는 선풍기 KR202400576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8056A KR20240057642A (ko) 2022-10-25 2022-10-25 날개 없는 선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8056A KR20240057642A (ko) 2022-10-25 2022-10-25 날개 없는 선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7642A true KR20240057642A (ko) 2024-05-03

Family

ID=91077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8056A KR20240057642A (ko) 2022-10-25 2022-10-25 날개 없는 선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764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593B1 (ko) 2008-09-23 2013-08-13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선풍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593B1 (ko) 2008-09-23 2013-08-13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선풍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1357B1 (ko) 송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US6123618A (en) Air movement apparatus
CN104302927B (zh) 扩散器、具有这种扩散器的通风机以及具有这种通风机的设备
US11873838B2 (en) Blower for breathing apparatus
US2991927A (en) Apparatus for moving fluids
JP2006307830A (ja) 遠心式送風装置
KR102227374B1 (ko) 원심팬
US20220235782A1 (en) Airflow device
US637836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 wind tunnel by redirecting an air flow ninety degrees
CN106122090B (zh) 轴流风轮和轴流风机
KR20150063944A (ko) 송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240057642A (ko) 날개 없는 선풍기
CN105090114A (zh) 扩散器及应用该扩散器的风机
JP3231283U (ja) 吹出シェード及びファンライト
JP5923686B2 (ja) 涼風機
JP2010242597A (ja) 軸流送風機及び空気調和機
CN109236703B (zh) 一种可调节角度的无叶风扇结构
CN104819132B (zh) 用于无叶风扇的基座及无叶风扇
JP6510668B2 (ja) ディフューザ、遠心圧縮式動力システム及び羽根無し扇風機
CN216950967U (zh) 叶轮、风机及呼吸机
KR102658127B1 (ko) 에어클린팬
CA2212361A1 (en) An air movement apparatus
KR20180044929A (ko) 로터 회전 수평축을 가진 터널 풍력 터빈
JP6739237B2 (ja) 送風路形成部材および送風装置
JPH06502469A (ja) 放射状の気流を発生しうる羽根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扇風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