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6910A - 전선관의 다 방향 및 다 각도 연결 기능과 전선의 다 방향 분배 기능을 발휘하는 전선관 연결체 - Google Patents

전선관의 다 방향 및 다 각도 연결 기능과 전선의 다 방향 분배 기능을 발휘하는 전선관 연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6910A
KR20240056910A KR1020220136976A KR20220136976A KR20240056910A KR 20240056910 A KR20240056910 A KR 20240056910A KR 1020220136976 A KR1020220136976 A KR 1020220136976A KR 20220136976 A KR20220136976 A KR 20220136976A KR 20240056910 A KR20240056910 A KR 202400569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conduit
pipe
pipes
rubber corrug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6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순철
Original Assignee
권순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순철 filed Critical 권순철
Priority to KR1020220136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6910A/ko
Publication of KR20240056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691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08Joints for connecting non cylindrical conduits, e.g. chann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 H01F7/0231Magnetic circuits with PM for power or force generation
    • H01F7/0242Magnetic drives, magnetic 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 H01F7/0231Magnetic circuits with PM for power or force generation
    • H01F7/0252PM hold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기술분야는 건물이나 실내/외 행사장에서 전선배설공사를 할 때 전선을 감싸서 보화는 전선관들을 연결하는 전선관 연결체이다.
현재 나와 있는 전선관 연결체들은 단순히 특정 모양으로 고정되어서 만들어졌기 때문에 설치 지점의 구조에 따라서 사용되는 종류가 다른 반면에,
이 기술은 전선관들을 연결함에 있어서 설치 지점의 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와 각도로 전환될 수가 있기 때문에, 하나의 전선관 연결체로 전선관들을 다양한 방향과 형태로 연결할 수 있어서 전기배선공사가 그 전보다 쉽게 가능하고 공사비용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전선관의 다 방향 및 다 각도 연결 기능과 전선의 다 방향 분배 기능을 발휘하는 전선관 연결체{Multi-function connector for wire ducts}
기술분야는 건물이나 실내/외 행사장에서 전선배설공사를 할 때 전선을 감싸서 보화는 전선관들을 연결하는 전선관 연결체이다.
현재 나와 있는 전선관 연결체들은 단순히 특정 모양으로 고정되어서 만들어졌기 때문에 설치 지점의 구조에 따라서 사용되는 종류가 다른 반면에,
이 기술은 전선관들을 연결함에 있어서 설치 지점의 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와 각도로 전환될 수가 있기 때문에, 하나의 전선관 연결체로 전선관들을 다양한 방향과 형태로 연결할 수 있어서 전기배선공사가 그 전보다 쉽게 가능하고 공사비용도 줄일 수 있다.
-현재의 전선관과 연결관의 사용 설명-
산업체 건물이나 각종 실내/외 행사장에는 기본적으로 전기배선공사가 이루어진다.
전기배선공사는 외부전원과 연결된 전선들을 천장이나 벽면을 따라 배설시키면서 여러방향으로 분배하는 형태로 진행된다.
전기배선공사를 할 때 사용되는 전선은 배설 과정에서 외부노출을 막기 위해 전선관 안에 넣은 상태로 배설된다.
즉 전선관을 전선의 배설경로를 따라 설치한 다음에 전선관 안에 전선을 넣어 전선관의 경로대로 전선을 배설하면 천장이나 벽체에 배설된 전선들은 전체가 전선관 안에 들어가서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때 사용하는 전선관들은 앞뒤 끝부분이 뚤려 있고 한쪽은 덮개로 덮여 있는 사각 파이프 구조이다.
이런 전선관들을 전기배선 설계도면에 그려진 전기배선경로를 따라서 연결하는데, 직선구간에서는 전선관들을 일렬로 배치시키고 전선관들의 끝부분과 끝부분 사이에는 별도의 소켓관을 사용해서 전선관들을 서로 연결시킨다.
[도 1]처럼 천정이나 벽면 중 모서리나 경사진 곳에서는 각 전선관들의 끝부분을 연결할 때 특정 각도로 꺽여지게 만들어진 '엘보우'라고 부르는 소켓관을 별도로 사용한다.
-현재의 전선관과 연결관의 문제점 설명-
모서리 지점이 정확히 90도일 경우에는 괜찮겠지만 그렇지 않은 곳에서는 엘보우 소켓관을 사용하기 어려워서, 현장에서는 그냥 꺽여진 부분에서는 전선관들의 끝부분 연결을 하지 않고 그냥 둔다.
따라서 모서리 지점에서는 [도 2]처럼 전선관과 전선관의 끝부분 사이가 벌여져서 전선 중 그 부분을 지나는 부분은 외부에 보이게 되고, 전선의 이부분은 꺽인 부분이기 때문에 직선부분에 비해 피복이 쉽게 까지기 쉽다.
그런데 이렇게 꺽인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 있기 때문에 더 쉽게 피복이 훼손될 가능성이 크다.
최근에는 엘보우 소켓관이 90도 각도 외에 여러 각도로 제작되어서 팔리고 있기는 하지만, 작업현장의 모서리나 경사지점의 각도가 워낙 다양하기 때문에, 그 모든 종류의 엘보우 소켓관을 가지고 다니는 것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작업할 때 일일이 여러 종류 중에서 맞는 엘보우 소켓관을 찾아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느려지고 힘들어진다.
그래서 어중간한 각도의 경우 그냥 엘보우 소켓관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현장에서는 이렇게 모서리나 경사면에서 사용하는 엘보우 소켓관 말고도 전선을 여러방향으로 분배해야하는 지점에서는 'ㅜ' 모양이나 '+' 모양처럼 전선관의 연결지점이 3방향이나 4방향으로 만들어진 다방향 소켓관을 사용한다.
이런 경우에는 전선관과 소켓관의 설치지점과 그 주변이 평면 상태이면 상관없는데 모서리나 그 주변일 경우에는 엘보우 소켓관과 다방향 소켓관을 함께 조합해서 사용해야 하는데, 이런 경우에는 소켓관 끼리 연결할 수 있는 구조가 없기 때문에 일하는 작업자가 임의대로 테이핑 작업 등으로 연결해서 사용하는 방법밖에 없다.
지금까지 나와 있고 사용하고 있는 각종 소켓관은 전기 배선공사 과정에서 전선관을 연결할 때 필요한 기능을 어느정도 하고 있는 것은 분명하지만,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아직 불편한 점도 분명이 있고 현장에서는 이 불편함을 그대로 느끼면서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과제1 : 전기 배선공사 현장에서 작업근로자가 전선관을 설치할 때 직선구간이든 곡선, 코너 구간이든 상관없이 쉽게 연결작업을 할 수 있게 해야 한다.
과제2 : 어떤 구간이든 상관없이 하나의 연결체로 전선관들의 끝부분을 항상 완벽하게 연결할 수 있게 해서 전선의 꺽임 부분이 밖으로 보이지 않아 피복이 벗겨지지 않게 해야 한다.
과제3 : 코너나 경사지점에서 전선의 사방 분배가 필요한 지점에서도 하나의 연결체로 전선관의 경사 연결과 다 방향 연결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해결 수단1 : 전체 구조를 양쪽 끝부분에 전선관의 끝부분이 끼워질 소켓을 만들고 소켓과 소켓은 주름관으로 만들기 때문에 평면이나 모서리나 경사지점에서 똑같이 양쪽에 전선관들을 연결한 상태에서 주름관을 구부리거나 피는 것 만으로 쉽게 연결하고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 수단2 : 양쪽 소켓 사이가 항상 주름관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모서리나 경사진 지점에서도 언제나 전선의 꺽임지점이 주름관 속에 있게 한다.
해결 수단3 : 주름관으로 연결된 양쪽의 소켓들이 기본적으로 4방향 연결구조를 갖고 있도록 한다.
효과 1 : 전체 구조를 양쪽 끝부분에 전선관의 끝부분이 끼워질 소켓을 만들고 소켓과 소켓은 주름관으로 만들기 때문에 평면이나 모서리나 경사지점에서 똑같이 양쪽에 전선관들을 연결한 상태에서 주름관을 구부리거나 피는 것 만으로 쉽게 연결하고 설치할 수 있으므로 작업근로자가 어디에서나 쉽게 전선관을 연결할 수 있다.
효과 2 : 양쪽 소켓 사이가 항상 주름관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모서리나 경사진 지점에서도 언제나 전선의 꺽임지점이 주름관 속에 있기 때문에 피복이 벗겨기 어렵다.
효과 3 : 주름관으로 연결된 양쪽의 소켓들이 기본적으로 4방향 연결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모서리나 경사진 지점에서 전선관의 다 방향 연결이 필요한 경우에도 하나의 연결체만으로 가능하다.
[도 1] : 현재 사용 중인 엘보우 소켓관 사용 예
[도 2] : 엘보우 소켓관 사용하지 않은 예
[도 3] : 발명 제품의 분리 입체도
[도 4] : 발명 제품의 결합 입체도
[도 5] : 발명 제품의 평면 단면도
[도 6] : 발명 제품이 모서리에 사용된 경우
[도 7] : 발명 제품이 모서리에 설치되고 전선관과 다 방향 연결된 경우
-소켓관의 구체적 내용-
소켓관()은 상부소켓()과 하부소켓()의 결합으로 만들어지고 전선관()의 한쪽 끝부분과 다른 전선관의 한쪽 끝부분을 연결함과 동시에 내부에서 전선()이 통과되도록 하는 부품이다.
하부소켓()은 플라스틱 재질이고 옆면과 바닥면이 막혀 있으며 윗면과 전후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두개가 앞뒤에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 있으며 양쪽면 바닥에는 볼트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소켓()도 플라스틱 재질이고 옆면과 윗면이 막혀 있으며 바닥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각 하부소켓()의 윗면을 덮고 있는 상태에서 양쪽 옆면이 하부소켓()의 양 옆면에 힌지축()으로 연결되어서 힌지축()으로 들어올려졌다 내려지면서 하부소켓() 윗부분을 열고 닫을 수 있다.
이렇게 소켓관()은 상부소켓()과 하부소켓()의 결합으로 만들어지고 앞뒤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어서 양쪽 끝에 전선관의 한쪽 끝부분이 끼워져 전선관과 전선관()을 서로 연결한다.
-닫힘 자석의 구체적 내용-
상부소켓의 양 옆면과 하부소켓의 양 옆면에 박혀 있어서 상부소켓이 아래로 닫힐 때 자력으로 서로 당겨서 상부소켓이 잘 닫힘과 동시에 닫힌 상태가 잘 유지되도록 하는 닫힘 자석,
양쪽 소켓관 사이에 있고 전체가 주름져 있으며 양쪽 끝이 양쪽 소켓관의 하부소켓에 끼워지는 고무 주름호스,
고무 주름호스의 양쪽 끝부분에 둔턱 모양으로 돌출되있는 돌기,
양쪽 소켓관 중 고무 주름호스가 끼워지는 입구에 홈 모양으로 파여 있어서 고무 주름호스가 소켓관에 끼워질 때 돌기가 들어가 끼워져서 고무 주름호스가 소켓관에서 잘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결합홈
이 있는 전선관의 다 방향 및 다 각도 연결 기능과 전선의 다 방향 분배 기능을 발휘하는 전선관 연결체.
소켓관은 상부소켓과 하부소켓이 앞쪽과 좌측과 우측을 향해 배치되어 있고 고무 주름호스는 소켓관의 뒤쪽에 끼워지며, 각 상부소켓과 하부소켓 사이로 전선관이 끼워짐으로써 하나의 소켓관에 4개의 전선관이 연결되고,
고무 주름관은 중간부분이 연결되서 2개로 나뉘어져 있고 소켓관과 연결되는 쪽과 반대쪽 끝에는 슬라이딩홈과 단턱이 있어서 양쪽 고무 주름관의 한쪽 끝부분이 서로 연결되서 길이가 늘어날 수 있는 전선관의 다 방향 및 다 각도 연결 기능과 전선의 다 방향 분배 기능을 발휘하는 전선관 연결체.
10--하부소*

Claims (1)

  1. 하부소켓은 옆면과 바닥면이 있고 윗면과 전후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두개가 앞뒤에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됨.
    상부소켓은 윗면과 옆면이 있고 바닥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각 하부소켓의 윗면을 덮고 있는 상태에서 양쪽 옆면이 하부소켓의 양 옆면에 힌지축으로 연결되어서 힌지축으로 들어올려졌다 내려지면서 하부소켓 윗부분을 열고 닫을 수 있음.
    소켓관은 이런 상부소켓과 하부소켓의 결합으로 만들어지고 앞뒤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서 양쪽 끝에 전선관의 한쪽 끝부분이 끼워짐.
    닫힘자석은 상부소켓의 양 옆면과 하부소켓의 양 옆면에 박혀 있어서 상부소켓이 아래로 닫힐 때 자력으로 서로 당겨서 상부소켓이 잘 닫힘과 동시에 닫힌 상태가 잘 유지되도록 함.
    고무 주름호스는 양쪽 소켓관 사이에 있고 전체가 주름져 있으며 양쪽 끝이 양쪽 소켓관의 하부소켓에 끼워짐.
    돌기는 고무 주름호스의 양쪽 끝부분에 둔턱 모양으로 돌출되있음.
    결합홈은 양쪽 소켓관 중 고무 주름호스가 끼워지는 입구에 홈 모양으로 파여 있어서 고무 주름호스가 소켓관에 끼워질 때 돌기가 들어가 끼워져서 고무 주름호스가 소켓관에서 잘 빠지지 않도록 함.
    이런 구조가 결합된 전선관의 다 방향 및 다 각도 연결 기능과 전선의 다 방향 분배 기능을 발휘하는 전선관 연결체.
    소켓관은 상부소켓과 하부소켓이 앞쪽과 좌측과 우측을 향해 배치되어 있고 고무 주름호스는 소켓관의 뒤쪽에 끼워지며, 각 상부소켓과 하부소켓 사이로 전선관이 끼워짐으로써 하나의 소켓관에 4개의 전선관이 연결되고,
    고무 주름관은 중간부분이 연결되서 2개로 나뉘어져 있고 소켓관과 연결되는 쪽과 반대쪽 끝에는 슬라이딩홈과 단턱이 있어서 양쪽 고무 주름관의 한쪽 끝부분이 서로 연결되서 길이가 늘어날 수 있는 전선관의 다 방향 및 다 각도 연결 기능과 전선의 다 방향 분배 기능을 발휘하는 전선관 연결체.
KR1020220136976A 2022-10-24 2022-10-24 전선관의 다 방향 및 다 각도 연결 기능과 전선의 다 방향 분배 기능을 발휘하는 전선관 연결체 KR202400569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6976A KR20240056910A (ko) 2022-10-24 2022-10-24 전선관의 다 방향 및 다 각도 연결 기능과 전선의 다 방향 분배 기능을 발휘하는 전선관 연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6976A KR20240056910A (ko) 2022-10-24 2022-10-24 전선관의 다 방향 및 다 각도 연결 기능과 전선의 다 방향 분배 기능을 발휘하는 전선관 연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6910A true KR20240056910A (ko) 2024-05-02

Family

ID=91071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6976A KR20240056910A (ko) 2022-10-24 2022-10-24 전선관의 다 방향 및 다 각도 연결 기능과 전선의 다 방향 분배 기능을 발휘하는 전선관 연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691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96095A (en) Underfloor cable tray assembly
US7154040B1 (en) Support bracket for electrical junction box
KR101872412B1 (ko) 가요 전선관 연결용 이종커플링
US9948078B2 (en) Electrical conduit body with wiring chamber
KR20240056910A (ko) 전선관의 다 방향 및 다 각도 연결 기능과 전선의 다 방향 분배 기능을 발휘하는 전선관 연결체
KR100863265B1 (ko) 배선 덕트의 연결구
US20230216285A1 (en) T-Shaped Junction Box
KR100805074B1 (ko)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0717889B1 (ko) 천정배선 분기장치
KR20090081903A (ko) 수평 분기형 버스바 및 이를 구비한 버스덕트
KR100379752B1 (ko) 건물의 천정내부 배선구조
JP2021132475A (ja) 保護カバー接続体、接続用カバー部材、及びケーブル配線構造
EP0760175B1 (en) Electric installation system for a building
KR100675521B1 (ko) 건축물 바닥 매설용 전선보호 분기체
KR101110760B1 (ko) 벽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전선 보호덕트
KR100842794B1 (ko) 건축물의 바닥에 설치되는 전기선 매설구조
RU170492U1 (ru) Бетонный блок
CN212063305U (zh) 踢脚式电气布线装置
US20230275413A1 (en) Structured cabling for intelligent buildings
CN111355196B (zh) 过路盒及建筑顶板安装过路盒的方法
CN212518253U (zh) 一种方便安装与维修的电梯机房线槽接头
JP2815745B2 (ja) 配線一体型床仕上げ材及びその敷設方法
CN205791327U (zh) 电气电缆安装结构
KR102667071B1 (ko) 콘센트 시스템
KR100909577B1 (ko) 바닥용배선덕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