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6784A - Work vehicle - Google Patents

Work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6784A
KR20240056784A KR1020247013134A KR20247013134A KR20240056784A KR 20240056784 A KR20240056784 A KR 20240056784A KR 1020247013134 A KR1020247013134 A KR 1020247013134A KR 20247013134 A KR20247013134 A KR 20247013134A KR 20240056784 A KR20240056784 A KR 20240056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veling
steering
spare
vehic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131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아키라 나오모토
다카후미 모리시타
가즈키 아오타
줌페이 미야모토
유키 구보타
겐이치 이와미
요시히데 미야니시
야스히로 나가타
가즈마사 요시다
다카히로 메노
시게키 하야시
슌야 다카세
šœ야 다카세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5254613A external-priority patent/JP6576237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016002832A external-priority patent/JP6552419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016004590A external-priority patent/JP6643091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016004591A external-priority patent/JP6552420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016006431A external-priority patent/JP6643094B2/en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240056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678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3Transplanting machines for aquatic plants; for planting underwater, e.g. ri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9/00Steering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on a desired track
    • A01B69/007Steering or guiding of agricultural vehicles, e.g. steering of the tractor to keep the plough in the furrow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1/00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on various kinds of agricultural tools or apparatus
    • A01B51/02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on various kinds of agricultural tools or apparatus propelled by a mo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9/00Steering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on a desired track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1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by using measurements of speed or acceleration
    • G01C21/12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by using measurements of speed or acceleration executed aboard the object being navigated; Dead reckoning
    • G01C21/1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by using measurements of speed or acceleration executed aboard the object being navigated; Dead reckoning by integrating acceleration or speed, i.e. inertial navigation
    • G01C21/165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by using measurements of speed or acceleration executed aboard the object being navigated; Dead reckoning by integrating acceleration or speed, i.e. inertial navigation combined with non-inertial navigation instru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38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 G01S19/39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he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42Determining position
    • G01S19/45Determining position by combining measurements of signals from the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with a supplementary measurement
    • G01S19/47Determining position by combining measurements of signals from the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with a supplementary measurement the supplementary measurement being an inertial measurement, e.g. tightly coupled inertia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40Control within particular dimensions
    • G05D1/43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105/00Specific applications of the controlled vehicles
    • G05D2105/15Specific applications of the controlled vehicles for harvesting, sowing or mow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작업차는, 주행 장치(A)를 갖는 주행 기체(C)와, 포장에 대한 작업을 행하는 모 식부 장치(W)와, 주행 장치(A)를 조향 가능한 조향 유닛(U)과, 위성 측위 시스템에 의해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수신 장치(63)와, 관성 정보를 계측하는 주 관성 계측 장치(62)와, 주행 기체(C)를 주행시키는 목표 라인을 생성하는 생성부와, 위치 정보 및 관성 정보에 기초하여, 주행 기체(C)가 목표 라인을 따라 주행하도록 조향 유닛(U)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수신 장치(63)와 주 관성 계측 장치(62)는, 주행 기체(C)에 있어서의 상이한 개소에 배치되어 있다.The work vehicle includes a traveling body (C) having a traveling device (A), a model unit (W) that performs work on paving, a steering unit (U) capable of steering the traveling device (A), and a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a receiving device 63 that acquires positional information, a main inertial measurement device 62 that measures inertial information, a generator that generates a target line for driving the traveling body C, and the positional information and inertial information. Based on this, there is provide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steering unit (U) so that the traveling body (C) travels along the target line. The receiving device 63 and the main inertial measurement device 62 are arranged at different locations in the traveling body C.

Figure P1020247013134
Figure P1020247013134

Description

작업차{WORK VEHICLE}Work vehicle {WORK VEHICLE}

본 발명은, 농작업차(이하에서는 「농작업기」라고도 함), 건설 작업차 등의 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작업차에는, 승용형 이앙기, 승용형 직파기, 트랙터, 콤바인 등이 포함되지만,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work vehicles such as agricultural work vehicles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gricultural work vehicles”) and construction work vehicles. Work vehicl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a riding-type rice transplanter, a riding-type direct seeding machine, a tractor, a combine, etc.

[1] 주행 기체의 자동 조향 제어가 가능한 종래의 작업차가, 예를 들어 JP2001-161112A에 기재되어 있다. 이 작업차에는, 주행 장치(「전방 차륜」, 「후방 차륜」)를 갖는 주행 기체와, 포장에 대한 작업을 행하는 작업 장치(「모 식부 작업 장치」)와, 주행 장치를 조향 가능한 조향 유닛(「파워 스티어링 밸브」, 「파워 스티어링 실린더」, 「자동 제어 밸브」 등)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이 작업차에는, 위성 측위 시스템에 의해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수신 장치(「GPS 수신기」)와, 취득되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주행 기체가 직진 주행하도록 조향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컨트롤러」)가 구비되어 있다(괄호 내의 명칭은 JP2001-161112A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의 명칭임). 이 작업차는, 수신 장치에서 취득되는 위치 정보에만 기초하여 조향 유닛을 제어하고, 주행 기체의 자동 조향 제어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1] A conventional work vehicle capable of automatic steering control of a traveling body is described, for example, in JP2001-161112A. This work vehicle includes a traveling body having a traveling device (“front wheel”, “rear wheel”), a working device (“mother planting device”) that performs work on paving, and a steering unit capable of steering the traveling device ( “Power steering valve,” “power steering cylinder,” “automatic control valve,” etc.) are provided. Additionally, this work vehicle includes a receiving device (“GPS receiver”) that acquires positional information using a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and a control unit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steering unit so that the traveling machine travels straight based on the acquired positional information. ) is provided (the names in parentheses are the names of components in JP2001-161112A). This work vehicle is designed to control the steering unit based only on the positional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receiving device and perform automatic steering control of the traveling machine.

또한, US7346452B2에는, 위성 측위 시스템에 의해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수신 장치와 관성 정보를 계측하는 관성 계측 장치가 일체로 된 계측 유닛이 기재되어 있다.Additionally, US7346452B2 describes a measurement unit in which a receiving device that acquires positional information using a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and an inertial measurement device that measures inertial information are integrated.

[2] 종래의 승용형 이앙기 중에는, 탑승형의 운전부를 가진 주행 차체와, 상기 주행 차체의 후방부에 승강 조작 가능하게 연결된 모 식부 장치와, 상기 운전부의 횡측방에 있어서, 차체 부분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기립 설치된 난간과, 상기 난간의 전방에 설치된 예비 모 수용 장치를 구비한 것이 있다(예를 들어, JP2013-074841A를 참조).[2] Among the conventional riding-type rice transplanters, there is a traveling vehicle body with a riding-type driving unit, a model unit device connected to the rear part of the traveling vehicle so as to be capable of lifting and lowering, and a lateral side of the driving unit in an upward direction from the vehicle body portion. There is a handrail provided in an upright position and a spare hair receiving device installed in front of the handrail (for example, see JP2013-074841A).

이 승용형 이앙기는, 탑승 운전부, 횡 난간부(난간에 상당), 예비 모 적재 장치(예비 모 수용 장치에 상당)를 구비하고, 예비 모 적재 장치는, 전방 가동 프레임의 예비 모 적재대 및 후방 가동 프레임의 예비 모 적재대가 고정 프레임의 예비 모 적재대의 상방으로 절첩되는 절첩 상태와, 전방 가동 프레임의 예비 모 적재대가 고정 프레임의 전방측으로 전개되고, 후방 가동 프레임의 예비 모 적재대가 고정 프레임의 후방측으로 전개된 전개 상태로 전환 가능하다.This riding-type rice transplanter is provided with a riding operation section, a horizontal handrail section (equivalent to a handrail), and a spare seedling loading device (equivalent to a spare seedling receiving device), and the spare seedling loading device includes a spare seedling loading table of the front movable frame, and The spare hair loading table of the rear movable frame is in a folded state in which the spare hair loading table of the fixed frame is folded upward, the spare hair loading table of the front movable frame is deployed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fixed frame, and the spare hair loading table of the rear movable frame is located on the fixed frame. It can be converted to a rearward deployment state.

[3] 작업차 중에는, 차체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과, 차체의 방위를 검출하는 방위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이들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차체가 목표 이동 경로를 따라 주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있다.[3] Some work vehicles are equipped with position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vehicle body and orientation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e orientation of the vehicle body, and are configured to cause the vehicle body to travel along a target movement path based on these detection information. there is.

종래에는, 작업차의 차체에,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등의 위성 측위용 유닛과, 방위 검출 수단의 일례인 관성 항법용 유닛을 구비하고, 작업 대상이 되는 포장에 있어서, 차체가 주행해야 할 목표 이동 경로가 미리 설정되어 있고, 위성 측위 시스템에 의해 검출된 차체의 위치가 목표 이동 경로에 대응하는 목표 위치가 되도록, 또한 검출 방위가 목표 이동 경로에 대응하는 목표 방위가 되도록 조향 제어하는 것이 있고, 목표 방위는, 항시 목표 이동 경로에 대응하는 방위로 설정되어 있었다(예를 들어, JP2009-245002A 참조).Conventionally, the body of a work vehicle is equipped with a satellite positioning unit such as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and an inertial navigation unit, which is an example of a direction detection means, and in the pavement being the work target, the vehicle body must run. The target movement path is set in advance, and the steering is controlle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vehicle body detected by the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becomes the target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arget movement path, and the detection direction becomes the target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target movement path. , the target direction was always set to th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target movement path (for example, see JP2009-245002A).

설명을 추가하면, 차체를 조향 제어하는 경우, 위성 측위용 유닛에 의해 얻어진 위치 정보만으로는, 차체가 현재 어느 방향으로 진행하고 있는지 알 수 없다. 게다가, 위성 측위용 유닛에 의한 계측 처리에는 시간이 걸리는 경우가 있고, 설정 경로를 따라 차체가 이동 안내되는 작업차에 적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위치 정보만으로는 고정밀도의 작업차의 조향 제어는 어렵다. 그래서, 방위 검출 수단에 의해 차체의 현재의 방위를 검출하여, 위치 정보와 방위 정보에 기초하여 조향 제어하도록 하고 있다.To add explanation, in the case of steering control of the vehicle body, it is impossible to know in which direction the vehicle body is currently moving based only on the positional information obtained by the satellite positioning unit. Furthermore, measurement processing by a satellite positioning unit may take time, and when applied to a work vehicle whose body is guided along a set path,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steering of the work vehicle with high precision using only position information. Therefore, the current orientation of the vehicle body is detected by the orientation detection means, and steering is controlled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orientation information.

[4] 농작업기 중에는, GPS 등의 위성을 사용한 측위 시스템을 이용하여 주행 라인을 설정하여 농작업을 행하는 것이 있다. 이러한 농작업기 중에는, 수동 조타에 의한 수동 주행과, 기준 주행 라인과 평행하게 설정되는 설정 주행 라인을 따라 자동 조타에 의해 주행하는 자동 주행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고, 상기 수동 주행과 상기 자동 주행을 전환 가능한 전환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이 있다.[4] Among agricultural machines, there are some that perform agricultural work by setting a travel line using a positioning system using satellites such as GPS. Among these agricultural machines, it is possible to switch between manual travel by manual steering and automatic travel by automatic steering along a set travel line set parallel to the reference travel line, and the manual travel and the automatic travel can be switched. Some have a changeover switch.

종래, 이러한 종류의 농작업기로서는, 상기 측위 시스템을 이용하여 주행 기체의 위치를 계측하면서, 설정된 주행 라인 상을 자동 주행하여, 소정의 식부 범위에 모를 식부하도록 구성된 이앙기가 있었다(예를 들어, JP2008-092818A 참조).Conventionally, as agricultural machinery of this type, there was a rice transplanter configured to automatically travel on a set travel line and plant seedlings in a predetermined planting range while measuring the position of the traveling body using the above-described positioning system (e.g., JP2008 -092818A).

이 이앙기는, 자동 주행을 행하는 데, 미리, 주행 라인의 기준이 되는 기준 주행 라인을 설정(여기서는, 티칭(teaching)이라고 함)할 필요가 있다.In order for this rice transplanter to run automatically, it is necessary to set (herein referred to as teaching) a reference travel line that serves as a reference for the travel line in advance.

티칭의 구체예로서는, 포장에서 주행 기체를 주행시켜, 기준 주행 라인의 시점으로 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미터 패널에 구비한 지정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그 위치에서의 주행 기체의 위치 정보를 측위 시스템에서 판독하여 기록부에 시점 위치로서 입력한다.As a specific example of teaching, a traveling machine is driven on the pavement, and when it reaches a position that is considered the starting point of the standard traveling line,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raveling machine at that position is read by the positioning system by operating a designated switch provided on the meter panel. and enter it as the starting point location in the recorder.

계속해서, 주행 기체를 기준 주행 라인의 종점으로 하는 위치까지 주행시켜, 마찬가지로, 지정 스위치의 조작을 행함으로써 기준 주행 라인의 종점 위치 정보를 기록할 수 있어, 이들 시점 위치와 종점 위치를 연결함으로써 기준 주행 라인이 설정된다.Subsequently, the traveling machine is driven to the position that is the end point of the reference traveling line, and similarly, by operating the designated switch, information on the end point position of the reference traveling line can be recorded. By connecting these starting and ending positions, the reference point position can be recorded. The running line is set.

또한, 주행 기체를 자동 주행시키는 지표가 되는 설정 주행 라인의 설정은, 상기 기준 주행 라인을 기초로 하여, 주행 기체의 식부 조 수 등으로부터 산출된 일정 간격 치수를 두고, 기준 주행 라인과 평행한 복수의 선분을 상정하고, 이들 각 평행 선분이 설정 주행 라인으로서 설정된다.In addition, the setting of the set travel line, which serves as an index for automatically running the traveling body, is based on the above-mentioned reference traveling line, with a constant interval dimension calculated from the number of plantings of the traveling body, etc., and a plurality of lines parallel to the reference traveling line. Assuming line segments of , each of these parallel line segments is set as a set travel line.

그리고 주행 기체의 자동 주행을 제어하는 제어부로서는, 설정 주행 라인을 따라 종점 위치까지 주행 기체를 자동 주행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인접 설치하는 설정 주행 라인 사이는, 주행 기체를 자동 선회(180도)하도록 제어된다. 그리고 인접하는 설정 주행 라인의 시점으로부터는, 그 설정 주행 라인을 따른 자동 주행이 반복되도록 제어부는 구성되어 있다.And the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automatic travel of the traveling body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run the traveling body to the end point along the set traveling line. Additionally, between adjacent set traveling lines, the traveling body is controlled to automatically turn (180 degrees). And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so that automatic travel along the set travel line is repeated from the viewpoint of an adjacent set travel line.

[5] 포장 작업 차량 중에는, 두렁가 영역에서 방향 전환하면서 포장 내를 주행하는 주행 기체와, 상기 포장에 대해 작업을 행하는 포장 작업 장치와, 자차 위치를 나타내는 측위 데이터를 출력하는 측위 유닛을 구비한 것이 있다.[5] Among the pavement work vehicles, those equipped with a traveling body that travels within the pavement while changing direction in the edge area, a pavement work device that performs work on the pavement, and a positioning unit that outputs positioning data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vehicle are there is.

이러한 포장 작업 차량의 일례로서, GPS 장치에 의해 계측되는 위치 정보를 사용하여 목표 경로 상을 자동 주행하는 이앙기가, JP2008-092818A로부터 알려져 있다. 이 이앙기에서는, 직선 형상의 목표 경로 상을 자율 주행하면서 모 식부 작업이 행해지고, 개자리라고도 불리는 두렁가 영역에 도달한 것을 운전자가 확인하면, 원하는 방향에서의 기체 방향 전환을 행하도록 운전자가 선회 조작구를 조작함으로써, 방향 전환을 위한 선회 주행이 두렁가 영역에 있어서 자동으로 행해진다. 방향 전환이 행해지면 다시 직선 형상의 목표 경로 상을 자율 주행하면서 식부 작업이 행해진다.As an example of such a paving vehicle, a rice transplanter that automatically runs on a target route using positional information measured by a GPS device is known from JP2008-092818A. In this rice transplanter, seedling work is performed while autonomously traveling on a straight target path, and when the driver confirms that the ridge area, also called the edge, has been reached, the driver uses the turning operation tool to change the machine direction in the desired direction. By operating it, turning to change direction is automatically performed in the ridge area. When the direction change is performed, planting work is performed while autonomously traveling on a straight target path again.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61112호 공보(JP2001-161112A)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1-161112 (JP2001-161112A) 미국 특허 제7346452호 명세서(US7346452B2)US Patent No. 7346452 Specification (US7346452B2) 일본 특허 공개 제2013-074841호 공보(JP2013-074841A)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13-074841 (JP2013-074841A) 일본 특허 공개 제2009-245002호 공보(JP2009-245002A)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9-245002 (JP2009-245002A) 일본 특허 공개 제2008-092818호 공보(JP2008-092818A)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8-092818 (JP2008-092818A)

[1] 배경기술 [1]에 대응하는 과제는, 이하와 같다.[1] The problems corresponding to background technology [1] are as follows.

위성 측위 시스템에 의해 수신 장치로부터 취득되는 위치 정보는, 실제의 위치와의 어긋남이 커지는 경우도 있고, 그러한 경우, JP2001-161112A에 기재된 작업차에서는, 주행 기체의 자동 조향 제어를 사용하여 작업 장치에 의한 작업을 정확하게 행하는 것이 어렵게 되어 있었다. 또한, 전파 장해 등이 발생하기 쉬운 상황하에서는, 수신 장치에 의해 취득되는 위치 정보의 정보량이 불충분해져, 주행 기체의 자동 조향 제어를 행하는 것 자체가 어렵게 되어 있었다.The position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receiving device by the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may have a large deviation from the actual position. In such cases, in the work vehicle described in JP2001-161112A, automatic steering control of the traveling machine is used to control the work device. It was difficult to carry out the work accurately. Additionally, under situations where radio wave interference or the like is likely to occur, the amount of positional information acquired by the receiving device becomes insufficient, making it difficult to perform automatic steering control of the traveling machine.

이 때문에, JP2001-161112A에 기재된 작업차에, US7346452B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위성 측위 시스템에 의해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수신 장치와 관성 정보를 계측하는 관성 계측 장치가 일체로 된 계측 유닛을 탑재하고, 수신 장치에 의해 취득되는 위치 정보와, 관성 계측 장치에 의해 계측되는 관성 정보에 기초하여, 주행 기체의 자동 조향 제어를 행하고, 작업 장치에 의한 작업의 정확성을 더 향상시키는 것이 검토되었다.For this reason, as described in US7346452B2, the work vehicle described in JP2001-161112A is equipped with a measurement unit that integrates a receiving device for acquiring positional information by a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and an inertial measurement device for measuring inertial information. It has been studied to further improve the accuracy of work by the working device by performing automatic steering control of the traveling machine based on the positional information acquired by the device and the inertial information measured by the inertial measurement device.

그러나 수신 장치는, 주위에 전파를 차단하는 차폐물이 적고, 요동이 비교적 커지는 개소에 배치함으로써, 취득되는 위치 정보의 정밀도가 높아지는 특성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는 한편, 반대로, 관성 계측 장치는, 요동이 비교적 작아지는 개소에 배치함으로써 관성 정보의 오차가 작아지는 특성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주행 기체의 1개소에, 수신 장치와 관성 계측 장치가 일체로 된 계측 유닛을 배치하면, 수신 장치와 관성 계측 장치의 양쪽의 특성을 충분히 살릴 수 없을 우려가 있었다.However, the receiving device tends to exhibit the characteristic of increasing the accuracy of the acquired positional information by placing it in a location where there are few shielding objects surrounding it to block radio waves and where the fluctuations are relatively large. On the other hand, the inertial measurement device tends to show characteristics where the fluctuations are relatively high. By placing it in a smaller location, the error in inertial information tends to be smaller. For this reason, if a measurement unit in which the receiving device and the inertial measurement device are integrated is placed at one location of the traveling body, there is a risk that the characteristics of both the receiving device and the inertial measurement device may not be fully utilized.

상기 실정에 비추어, 주행 기체의 자동 조향 제어를 사용하여 작업 장치에 의한 작업을 정확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작업차가 요망된다.In light of the above-described circumstances, there is a demand for a work vehicle that enables accurate performance of work by a work device using automatic steering control of the traveling body.

[2] [배경기술] [2]에 대응하는 과제는, 이하와 같다.[2] [Background technology] The problems corresponding to [2] are as follows.

상기한 JP2013-074841A의 승용형 이앙기에 있어서는, 예비 모 수용 장치에 복수의 예비 모 적재대를 구비하고, 복수의 예비 모 적재대가 주행 차체의 상하 방향으로 나열되는 제1 상태와, 복수의 예비 모 적재대가 주행 차체의 전후 방향으로 나열되는 제2 상태로 예비 모 수용 장치를 전환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예비 모 수용 장치를 제1 상태로 전환하여, 복수의 예비 모 적재대를 상하 복수단으로 나열하여 격납하거나, 혹은 복수의 예비 모를 상하 복수단으로 나열하여 수용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예비 모 수용 장치를 제2 상태로 전환하여, 복수 매의 예비 모를 주행 차체의 전후 방향으로 나열하여 수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the riding-type rice transplanter of JP2013-074841A described above, the spare seedling storage devic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pare seedling loading stands, a first state in which the plurality of spare seedling loading stands ar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traveling vehicle body, and a plurality of spare seedlings. By configuring the spare hair receiving device to be switchable in the second state in which the loading table is arrang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traveling vehicle body, the spare hair receiving device is switched to the first state, and the plurality of spare hair loading tables are arranged in multiple stages up and down. It becomes possible to store or accommodate a plurality of spare bristles arranged in multiple stages up and down, and by switching the spare bristle storage device to the second state, it becomes possible to accommodate a plurality of spare bristles arrang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traveling vehicle body. .

종래의 기술을 채용함으로써, 예비 모 수용 장치의 제1 상태와 제2 상태의 전환을 가능하게 한 경우, 난간의 잡는 부분이 되는 상단부의 차체 전후 방향 길이를 길게 할수록 예비 모 수용 장치가 더 차체 전방측에 위치하게 된다. 즉, 예비 모 수용 장치를 제2 상태로 전환하였을 때, 뒤에서부터 첫 번째의 예비 모 적재대가 난간에 닿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When switching between the first state and the second state of the spare hair receiving device is made possible by adopting a conventional technology, the longer the length of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art that becomes the holding part of the handrail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the further forward the spare hair receiving device is. It is located on the side. In other words, when the spare hair receiving device is switched to the second state, it is necessary to ensure that the first spare hair loading table does not touch the handrail from the back.

그래서, 예비 모 수용 장치를 차체 전방측으로 가까이 붙이지 않아도, 혹은 그다지 가까이 붙이지 않아도, 난간의 상단부의 차체 전후 방향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는 승용형 이앙기가 요망된다.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a riding-type rice transplanter that can lengthen the length of the upper end of the handrail in the anteroposterior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without having to place the spare seedling receiving device close to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body, or not very close to it.

[3] 배경기술 [3]에 대응하는 과제는, 이하와 같다.[3] The problems corresponding to background technology [3] are as follows.

JP2009-245002A의 상기 구성에서는, 위성 측위용 유닛의 검출 정보와 방위 검출 수단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조향 제어하는 데 있어서, 목표 방위가, 항시 목표 이동 경로를 따르는 방위로 설정되므로, 다음과 같은 불리한 면이 있었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of JP2009-245002A, in steering control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satellite positioning unit and the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direction detection means, the target direction is always set to a direction that follows the target movement path, resulting in the following disadvantages: There was a side.

즉, 상기 종래 구성에서는, 제어 수단은, 차체의 검출 위치가 목표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고, 또한 검출 방위가 목표 이동 경로를 따르는 방위로 되도록 조향 조작 수단을 조작한다. 그렇게 하면, 예를 들어 차체가 목표 이동 경로로부터 횡방향으로 위치 어긋남되어 있지만, 차체의 방향이 목표 방위와 동일한 주행 상태로부터 위치의 수정을 행하는 경우, 위치의 수정을 행하기 위해 차체의 진행 방향을 변경하면, 차체의 방위는 목표 방위로부터 어긋나 가기 때문에, 목표 방위로부터의 어긋남에 대응하려고 불필요한 조작을 행하는 경우가 있다. 그 결과, 목표 이동 경로를 따르는 주행 상태로 되돌리는 데 시간이 걸릴 우려가 있었다.That is, in the above conventional configuration, the control means operates the steering operation means so that the detection position of the vehicle body is located on the target movement path and the detection direction is along the target movement path. In that way, for example, when the vehicle body is deviated laterally from the target movement path, but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is corrected from a driving state in which the direction is the same as the target directio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is adjusted in order to correct the position. When changed, the orientation of the vehicle body deviates from the target orientation, so unnecessary operations may be performed to cope with the deviation from the target orientation. As a result, there was concern that it would take time to return to a driving state following the target movement path.

그래서, 차체가 목표 이동 경로로부터 횡방향으로 위치 어긋남되고, 또한 차체의 방향이 목표 방위와 동일할 때, 신속하게 목표 이동 경로를 따르는 주행 상태로 되돌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요망된다.Therefore, when the vehicle body is laterally displaced from the target movement path and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is the same as the target direction, it is desired to quickly return to a running state following the target movement path.

[4] 배경기술 [4]에 대응하는 과제는, 이하와 같다.[4] The problems corresponding to background technology [4] are as follows.

상술한 구성을 구비한 JP2008-092818A 등의 농작업기에 의하면, 각 설정 주행 라인의 설정은, 기준 주행 라인과 평행하고, 또한 등간격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자동 주행의 경로에 있어서의 포장 컨디션(예를 들어, 포장의 기복이나 인접 식부 완료 경로에 있어서의 모의 식부 상황 등)의 차와는 관계없이, 등간격의 주행 라인 상을 주행 기체가 주행하면서 모의 식부를 행하게 된다.According to agricultural machinery such as JP2008-092818A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each set travel line is set parallel to the reference travel line and set at equal intervals. Therefore, regardless of differences in pavement conditions (e.g., ups and downs of the pavement, simulated planting conditions on adjacent planting completion routes, etc.) in the route of automatic travel, the traveling body travels on the travel lines at equal intervals. While doing this, a mock planting is performed.

단, 주행 기체가 주행하는 포장은, 표면이 반드시 평탄하다고는 할 수 없으므로, 예를 들어 포장에 다소의 기복이 있는 개소와, 그렇지 않은 개소에서는, 주행 기체의 통과 경로에 다소의 어긋남이 발생하거나, 식부된 모의 위치나 자세 등의 식부 상황에 변화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However, the surface of the pavement on which the traveling body travels is not necessarily flat, so for example, in places where the pavement has some undulations and places where it does not, some deviation may occur in the passage path of the traveling body. , there is a risk that changes may occur in the planting situation, such as the location or posture of the planted seedlings.

이러한 경우에는, 인접 식부 완료 경로의 식부 상황을 보면서, 예를 들어 그 인접 설정 주행 라인측에 근접한 코스(또는, 이격된 코스)를 주행하면서 식부를 행하도록 대처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도 있다.In such cases, it may be desirable to perform planting while, for example, driving a course close to the adjacent set travel line (or a course away from it) while looking at the planting situation of the adjacent planting completion path.

그러나 설정 주행 라인은, 기준 주행 라인과 평행하게, 또한 등간격으로 설정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대처책을 강구하기 위해서는, 전환 스위치에 의해 자동 주행으로부터 수동 주행으로 전환하여, 운전자의 수동 조타에 의해 코스를 변경하면서 수동 주행을 계속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운전자가 운전 조작으로부터 손을 뗄 수 없게 되어, 주행 기체 상에서의 다른 작업을 병행하여 행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However, the set travel line is set parallel to the reference travel line and at equal intervals, so in order to take countermeasures as described above, switch from automatic travel to manual travel with a changeover switch and use the driver's manual steering. It is necessary to continue manual driving while changing courses. Therefore, there is a risk that the driver will not be able to take his or her hands off the driving operation, making it difficult to perform other tasks simultaneously on the traveling body.

게다가, 다시 전환 스위치를 자동 주행으로 전환하면, 당초에 설정된 설정 주행 라인으로 주행 코스가 복귀되어 버려, 애써 현장 상황에 매치한 주행 라인을 주행해도, 그 이후의 주행에는 반영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switch is switched back to automatic driving, the driving course returns to the originally set driving line, and even if the driving line that matches the on-site situation is driven, it is not reflected in subsequent driving.

따라서, 자유로운 코스로 설정 주행 라인을 설정할 수 있고, 또한 운전자에의 부담을 저감할 수 있는 농작업기가 요망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n agricultural machine that can freely set a travel line and reduce the burden on the driver.

[5] 배경기술 [5]에 대응하는 과제는, 이하와 같다.[5] The problems corresponding to the background technology [5] are as follows.

이앙기 등과 같이, 인접하는 작업 영역(주행 궤적)의 위치 정렬에 정확성이 요구되는 경우, 개자리에서의 자율 주행에서의 선회에 있어서 정확한 위치 정렬을 자동으로 행하기 위해서는, 고도의 자기 위치 검출 기술 및 자동 조타 제어 기술이 요구된다. 그러나 그러한 방향 전환 주행이, 자동 조타 또는 인위 조타로 행해지는 경우, 방향 전환 주행을 개시하는 타이밍, 즉 이앙기가 두렁가 영역에 도달한 것을 정확하게 인식하는 것, 및 방향 전환 주행 후의 다음 작업 주행을 위한 개시점에서의 정확한 위치 정렬이 중요하지만, 비숙련자에게 있어서는 어려운 운전 조작이 된다.In cases where accuracy is required for positional alignment of adjacent work areas (travel traces), such as rice transplanters, advanced self-position detection technology and automatic Steering control skills are required. However, when such a direction change run is performed by automatic steering or artificial steering, the timing of starting the direction change run, that is, accurately recognizing that the rice transplanter has reached the ridge area, and the opening for the next work run after the direction change run are necessary. Accurate positioning from the viewpoint is important, but it is a difficult driving operation for unskilled people.

이러한 실정에 비추어, 적어도 주행 기체의 방향 전환이 행해지는 두렁가 영역(개자리)에 도달한 것을 적절하게 인식하여, 적정한 방향 전환 주행이 행해지는 포장 작업 차량이 요망되고 있다.In light of this situation, there is a demand for a paving vehicle that can properly recognize that at least the ridge area (edge area) where the traveling body changes direction is reached and performs an appropriate change of direction.

[1] 과제 [1]에 대응하는 해결 수단은, 이하와 같다.[1] The solution corresponding to problem [1] is as follows.

본 발명의 작업차는,The work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주행 장치를 갖는 주행 기체와,A traveling body having a traveling device,

포장에 대한 작업을 행하는 작업 장치와,A working device that performs packaging work,

상기 주행 장치를 조향 가능한 조향 유닛과,a steering unit capable of steering the traveling device;

위성 측위 시스템에 의해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수신 장치와,A receiving device that acquires location information using a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관성 정보를 계측하는 관성 계측 장치와,An inertial measurement device that measures inertial information,

상기 주행 기체를 주행시키는 목표 라인을 생성하는 생성부와,a generating unit that generates a target line for driving the traveling body;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관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행 기체가 상기 목표 라인을 따라 주행하도록 상기 조향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고,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inertia information, a control unit is provided to control the steering unit so that the traveling body travels along the target line,

상기 수신 장치와, 상기 관성 계측 장치가 상기 주행 기체에 있어서의 상이한 개소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The receiving device and the inertial measurement device are arranged at different locations in the traveling body.

본 발명에 의하면, 위성 측위 시스템에 의해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수신 장치와, 관성 정보를 계측하는 관성 계측 장치가 주행 기체에 있어서의 상이한 개소에 배치되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eceiving device that acquires positional information using a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and an inertial measurement device that measures inertial information are arranged at different locations in the traveling body.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수신 장치를 요동이 비교적 커지는 개소에 배치하여, 수신 장치의 위치 정보의 취득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관성 계측 장치를 요동이 비교적 작아지는 개소에 배치하여, 관성 계측 장치에 의해 계측되는 관성 정보의 오차를 적게 할 수 있다. 즉, 수신 장치에 의해 취득되는 위치 정보의 정밀도와 관성 계측 장치에 의해 계측되는 관성 정보의 정밀도의 양쪽이 향상되어, 수신 장치와 관성 계측 장치의 특성이 양쪽 모두 살리는 것이 가능해진다.For this reason, for example, by placing the receiving device in a location where the shaking is relatively large, the acquisition accuracy of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device can be improved, and by placing the inertial measurement device in a location where the shaking is relatively small, inertial measurement can be performed. Errors in inertial information measured by the device can be reduced. In other words, both the accuracy of the positional information acquired by the receiving device and the accuracy of the inertial information measured by the inertial measurement device are improved, making it possible to utilize the characteristics of both the receiving device and the inertial measurement device.

이에 의해, 고정밀도의 위치 정보 및 관성 정보를 사용하여 조향 유닛의 조향 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져, 주행 기체 및 작업 장치가 목표 라인을 따라 주행하도록 주행 기체를 정확하게 자동 조향 제어할 수 있는 것이 된다.As a result, it becomes possible to perform steering control of the steering unit using highly accurate positional information and inertial information, and the traveling body can be accurately automatically steered and controlled so that the traveling body and the work device travel along the target lin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주행 기체의 자동 조향 제어를 사용하여 작업 장치에 의한 작업을 정확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becomes possible to accurately perform work by the working device using automatic steering control of the traveling body.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관성 계측 장치가, 상기 주행 기체 및 상기 작업 장치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전체 길이 중 전후 방향 중심의 근방의 개소에 배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it is suitable if the inertial measurement device is disposed near the center of the anteroposterior direction among the entire length of the traveling body and the working device in the anteroposterior direction.

본 구성에 의하면, 주행 기체 및 작업 장치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전체 길이 중 전후 방향 중심의 근방의 개소는, 예를 들어 주행 기체 및 작업 장치의 전체의 선회 중심이 되는 요 축(yawing axis)의 근방에 위치하는 개소로 되어 있다. 이러한 개소에 관성 계측 장치를 배치함으로써, 관성 계측 장치에 의해 계측되는 관성 정보의 오차가 작아져, 관성 정보의 정확한 계측을 행하기 쉬워진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portion in the vicinity of the center in the front-back direction among the entire length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traveling body and the working device is, for example, the yawing axis, which is the entire turning center of the traveling body and the working device. It is located in a nearby location. By arranging the inertial measurement device at such a location, the error in the inertial information measured by the inertial measurement device decreases, making it easier to accurately measure the inertial information.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관성 계측 장치가, 상기 주행 장치의 후방 차축의 근방에 위치하는 설치 부재에 설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it is suitable if the inertial measurement device is installed on an installation member located near the rear axle of the traveling device.

본 구성에 의하면, 주행 장치의 후방 차축의 근방에 위치하는 설치 부재는, 주행 기체의 주행 중에 요동이 발생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이러한 설치 부재에 관성 계측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관성 계측 장치에 의해 계측되는 관성 정보의 오차가 작아져, 관성 정보의 정확한 계측을 행하기 쉬워진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installation member located near the rear axle of the traveling device is prevented from being shaken while the traveling body is traveling. By installing the inertial measurement device on such an installation member, the error in the inertial information measured by the inertial measurement device decreases, making it easier to accurately measure the inertial information.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작업 장치가, 포장에 대한 모의 식부가 가능한 모 식부 장치이고,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working device is a model planting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simulated planting on a package,

상기 모 식부 장치에 보급하기 위한 예비 모를 적재 가능한 복수의 예비 모 받침대와,A plurality of spare seedling stands capable of loading spare seedlings to be supplied to the seedling device,

상기 예비 모 받침대를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예비 모 프레임과,A pair of left and right spare parent frames supporting the spare parent support,

좌우의 상기 예비 모 프레임의 상부에 걸쳐 연결되는 연결 프레임이 구비되고,A connection frame is provided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left and right spare mother frames,

상기 수신 장치가, 상기 연결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It is suitable if the receiving device is installed on the connection frame.

본 구성에 의하면, 예비 모 적재대를 지지하는 좌우의 예비 모 프레임을 연결하는, 어느 정도 높은 개소에 설치되는 연결 프레임에 수신 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전파를 차단하는 차폐물이 적은 개소에 수신 장치를 배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수신 장치에 의해 취득되는 위치 정보에 단절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주행 중에 예비 모 프레임이나 연결 프레임은 요동이 비교적 발생하기 쉬우므로, 예를 들어 수신 장치에 의해 취득되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는 주행 기체가 진행되는 방향의 방위의 검출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receiving device is installed on a connection frame installed at a somewhat high location that connects the left and right spare parent frames that support the spare parent loading stand, so the receiving device is installed in a location where there are few shields that block radio waves. It can be placed. This makes it difficult for a disconnection to occur in 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red by the receiving device. In addition, since the spare parent frame and connection frame are relatively prone to shaking during travel, the detection accuracy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traveling body is traveling based on positional information acquired by, for example, a receiving device can be improved.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수신 장치가 상기 예비 모 프레임의 상단부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사용 상태와, 상기 사용 상태에 대해 상하 반전하여, 상기 수신 장치가 상기 예비 모 프레임의 상단부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격납 상태로 상태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으면 적합하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connection frame has a use state in which the receiving device is located above the upper end of the spare mother frame, and is vertically inverted with respect to the use state, so that the receiving device is positioned below the upper end of the spare mother frame. It is suitable if the state can be changed to a storage state located in .

본 구성에 의하면, 연결 프레임을 사용 상태로 함으로써, 수신 장치를 예비 모 프레임의 상단부보다 높은 개소에 위치하는 것이 되므로, 수신 장치의 사용 시의 전파의 수신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연결 프레임을 격납 상태로 함으로써, 예비 모 프레임의 상단부보다 낮은 개소에 위치하는 것이 되므로, 예를 들어 주행 기체를 헛간 등에 수용할 때, 수신 장치가 방해가 되지 않아, 예를 들어 헛간의 입구 상부 등에 수신 장치를 부딪치게 해 버리는 등의 문제를 피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by putting the connection frame in a use state, the receiving device is position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upper end of the spare parent frame, and thus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radio waves when the receiving device is used can be improved. On the other hand, by placing the connection frame in a stored state, it is locat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upper part of the spare mother frame, so that the receiving device does not get in the way when, for example, the traveling body is housed in a shed, for example, at the entrance of the shed. Problems such as bumping the receiving device against the upper part can be avoided.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프레임이, 좌우 방향을 따른 좌우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고, 또한 상기 사용 상태와 상기 격납 상태에서 위치 고정 가능하게 좌우의 상기 예비 모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으면 적합하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it is suitable if the connection frame is rotatable around the left and right axes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is supported by the left and right spare parent frames so that the position can be fixed in the use state and the storage state.

본 구성에 의하면, 연결 프레임이 좌우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연결 프레임을, 수신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 상태와, 수신 장치를 격납하는 격납 상태로 상태 변경을 하기 쉬운 것이 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connection frame can rotate around the left and right axes, it becomes easy to change the state of the connection frame between a use state in which the receiving device is used and a storage state in which the receiving device is stored.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프레임이, 좌우의 상기 예비 모 프레임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으면 적합하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it is suitable if the connecting frame is detachable from the left and right spare parent frames.

본 구성에 의하면, 연결 프레임이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수신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 상태의 연결 프레임을 예비 모 프레임으로부터 떼어내어, 연결 프레임을 격납 상태로 하여 예비 모 프레임에 설치해 둘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connection frame is detachable, so when the receiving device is not used, the connection frame in use can be removed from the spare mother frame, and the connection frame can be stored in the spare mother frame. there is.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수신 장치에, 하니스를 접속하는 커넥터부가 구비되고,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receiving device is provided with a connector portion for connecting a harness,

상기 커넥터부가, 상기 수신 장치로부터 좌우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면 적합하다.It is suitable if the connector portion extends outwar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from the receiving device.

본 구성에 의하면, 수신 장치에 있어서 하니스를 접속하는 커넥터부가, 수신 장치로부터 좌우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어 커넥터부를 수신 장치로부터 전방측으로 연장시키는 경우에 비해, 주행 중에 전방으로부터 접근하는 나뭇가지 등의 장해물에 수신 장치의 커넥터부를 부딪치기 어려워진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connector portion for connecting the harness in the receiving device extends outward from the receiving devic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for example,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connector portion extends forward from the receiving device, trees approaching from the front while driving It becomes difficult to hit the connector part of the receiving device with obstacles such as branches.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수신 장치에, 하니스를 접속하는 커넥터부가 구비되고,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receiving device is provided with a connector portion for connecting a harness,

상기 커넥터부를 보호하는 가드 부재가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It is suitable if a guard member is provided to protect the connector portion.

본 구성에 의하면, 주행 중에 나뭇가지 등의 장해물이 커넥터부에 충돌하지 않도록 가드 부재에 더 적합하게 보호되는 것이 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guard member is more appropriately protected to prevent obstacles such as tree branches from colliding with the connector portion while driving.

[2] 과제 [2]에 대응하는 해결 수단은, 이하와 같다.[2] The solution corresponding to problem [2] is as follows.

본 발명에 의한 승용형 이앙기는,The riding-type rice transpla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탑승형의 운전부를 가진 주행 차체와,A driving body with a riding-type driving unit,

상기 주행 차체의 후방부에 승강 조작 가능하게 연결된 모 식부 장치와,A mother unit device connected to the rear part of the traveling vehicle body so as to be capable of being raised and lowered,

상기 운전부의 횡측방에 있어서, 차체 부분으로부터 상부 방향을 향해 기립 설치된 난간과,On the transverse side of the driving section, a handrail provided upright from the vehicle body portion toward the upper direction;

상기 난간의 전방에 설치된 예비 모 수용 장치를 구비하고,Equipped with a spare hair receiving device installed in front of the handrail,

상기 예비 모 수용 장치는, 복수의 예비 모 적재대를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예비 모 적재대가 상기 주행 차체의 상하 방향으로 나열되는 제1 상태와, 복수의 상기 예비 모 적재대가 상기 주행 차체의 전후 방향으로 나열되는 제2 상태로 전환 가능하고,The spare hair receiving devic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pare hair loading stands, and a first state in which the plurality of the spare hair loading stands ar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traveling vehicle body, and the plurality of the spare hair loading stands are locat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traveling vehicle body. It is possible to transition to a second state listed in the direction,

상기 난간 중 상단부의 하방에 빈 공간이 마련되고,An empty space is provided below the upper part of the railing,

상기 예비 모 수용 장치의 상기 제2 상태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예비 모 적재대 중 뒤에서부터 첫 번째의 상기 예비 모 적재대의 후단 측부가 상기 빈 공간으로 들어가, 평면에서 보아, 상기 상단부와 상기 후단 측부가 중복되는 승용형 이앙기.In the second state of the spare hair receiving device, the rear end side of the first spare hair loading stand from the back among the plurality of spare hair loading stands enters the empty space, and in plan view, the upper end and the rear end side A riding-type rice transplanter with overlapping.

본 구성에 의하면, 예비 모 수용 장치를 제2 상태로 전환하면, 뒤에서부터 첫 번째의 예비 모 적재대의 후단 측부가 빈 공간으로 들어가므로, 난간의 상단부의 차체 전후 방향 길이를 길게 해도, 예비 모 수용 장치를 차체 전방측으로 가까이 붙이지 않아도, 가까이 붙였다고 해도, 종래 구조의 경우만큼 대폭 가까이 붙이지 않아도, 뒤에서부터 첫 번째의 예비 모 적재대에 있어서의 후단 측부의 빈 공간으로의 들어감에 의해, 예비 모 적재대와 난간의 접촉을 피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spare hair storage device is switched to the second state, the rear end side of the first spare hair loading stand from the back enters the empty space, so even if the length of the upper end of the handrail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car body is lengthened, the spare hair is accommodated. Even if the device is not placed close to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body, or even if it is placed close to it, it is not as close as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structure, the spare cap is loaded by entering the empty space on the rear end side of the first spare cap loading platform from the back. Avoid contact with the pole and handrail.

따라서, 예비 모 수용 장치를 차체 전방측에 가까이 붙이지 않고, 혹은 그다지 가까이 붙이지 않고, 난간의 상단부의 차체 전후 방향 길이를 길게 할 수 있어, 예비 모 수용 장치를 제2 상태로 전환해도, 예비 모 적재대가 주행 차체로부터 전방으로 그다지 길게 돌출되지 않는 등에 의해 주행 차체의 조종을 하기 쉬운 것으로 하면서, 난간을 사용하기 쉽게 할 수 있다.Therefore, the length of the upper end of the handrail in the anteroposterior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can be lengthened without attaching the spare hair storage device close to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body, or not very close to it, and even if the spare hair storage device is switched to the second state, the spare hair storage device can be loaded. The railing can be made easy to use while making it easy to control the traveling vehicle body by making it easy to control the traveling vehicle body by not protruding very far forward from the main traveling vehicle body.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첫 번째의 예비 모 적재대는, 예비 모 적재대 본체와, 상기 예비 모 적재대 본체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사용 자세와, 상기 예비 모 적재대 본체의 내측에 격납되는 격납 자세에 걸쳐 자세 변경 가능하게 상기 예비 모 적재대 본체에 지지된 연장 적재대를 구비하고, 상기 첫 번째의 예비 모 적재대의 상기 후단 측부가 상기 사용 자세의 연장 적재대에 의해 형성되면 적합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pare seedling loading stand has a spare seedling loading stand main body, a use posture protruding rearward from the spare seedling loading stand main body, and a storage posture being stored inside the spare seedling loading stand main body. It is suitable if it is provided with an extension loading table supported on the main body of the spare hair loading stand so that its posture can be changed, and the rear end side of the first spare hair loading stand is formed by the extension loading stand in the use posture.

본 구성에 의하면, 예비 모 수용 장치를 제2 상태로 전환한 경우, 연장 적재대를 사용 자세로 함으로써, 뒤에서부터 첫 번째의 예비 모 적재대의 적재 면적을 넓게 할 수 있어, 이 예비 모 적재대에 예비 모를 빼고 넣기 쉬워진다. 이와 같이, 예비 모 적재대의 적재 면적을 넓게 할 수 있는 것이면서, 예비 모 수용 장치를 주행 차체의 전방측에 가까이 붙이지 않고, 혹은 그다지 가까이 붙이지 않고, 난간의 상단부의 차체 전후 방향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spare hair storage device is switched to the second state, the loading area of the first spare hair loading table from the back can be expanded by putting the extension loading table in the use position, and this spare hair loading stand can be It becomes easier to remove and insert spare seedlings. In this way, the loading area of the spare hair loading table can be expanded, and the length of the upper end of the handrail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car body can be lengthened without placing the spare hair storage device close to or very close to the front side of the traveling car body. there is.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예비 모 수용 장치의 상기 제2 상태에 있어서, 상기 첫 번째의 예비 모 적재대의 상기 후단 측부가 상기 운전부의 승강구로 들어가면 적합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cond state of the spare hair storage device, it is suitable if the rear end side of the first spare hair loading table enters the hatch of the driving unit.

본 구성에 의하면, 예비 모 수용 장치를 제2 상태로 전환하면, 뒤에서부터 첫 번째의 예비 모 적재대의 후단 측부를 승강구의 폐쇄 부재에 활용한 간단한 구조로, 승강구를 폐쇄하거나, 좁히거나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spare hair receiving device is switched to the second state, the hatch can be closed or narrowed with a simple structure in which the rear end side of the first spare hair loading stand from the back is utilized as a closing member of the hatch. .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난간의 상기 상단부는, 차체 부분에 고정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돌출되어, 전단 측부가 상기 운전부의 승강구를 폐쇄하는 폐쇄 상태와, 상기 승강구를 개방하는 개방 상태로 전환 가능한 가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폐쇄 상태의 상기 가동부의 하방에 상기 빈 공간이 마련되면 적합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end of the handrail includes a fixed part fixed to the vehicle body part, extends forward and protrudes from the fixed part, and has a front end side in a closed state in which the hatch of the driver's hatch is closed, and in a closed state in which the hatch is opened. It is suitable if it has a movable part that can be switched to an open state, and the empty space is provided below the movable part in the closed state.

본 구성에 의하면, 가동부를 폐쇄 상태로 함으로써, 가동부를 승강구의 폐쇄 부재에 활용한 간단한 구조로, 승강구를 폐쇄하거나, 좁히거나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by placing the movable part in a closed state, the hatch can be closed or narrowed with a simple structure in which the movable part is utilized as a closing member of the hatch.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가동부는, 상기 폐쇄 상태와 상기 개방 상태에 걸쳐 요동 전환 가능하게 상기 고정부에 지지되어 있으면 적합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uitable if the movable part is supported on the fixed part so as to be able to swing and switch between the closed state and the open state.

본 구성에 의하면, 가동부를 요동 조작하는 것만으로 조작 간단하게 가동부를 폐쇄 상태와 개방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movable part can be easily switched between the closed state and the open state by simply swinging the movable part.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가동부의 상기 폐쇄 상태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의 전단 측부가 상기 예비 모 수용 장치의 지주에 지지되면 적합하다.In this invention, in the said closed state of the said movable part, it is suitable if the front end side part of the said movable part is supported by the support|pillar of the said spare hair containing device.

본 구성에 의하면, 예비 모 수용 장치의 지주를 가동부의 전단 측부를 지지하는 부재에 활용하였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support of the spare hair receiving device was utilized as a member supporting the front end side of the movable part.

간단한 구조로 가동부를 폐쇄 상태로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The simple structure allows the moving part to be reliably supported in a closed state.

[3] 과제 [3]에 대응하는 해결 수단은, 이하와 같다.[3] The solution corresponding to problem [3] is as follows.

본 발명에 관한 작업차의 특징 구성은,The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of the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차체의 진행 방향을 변경 가능한 조향 조작 수단과,A steering operation means capable of chang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vehicle body,

상기 차체가 주행해야 할 목표 이동 경로를 설정하는 경로 설정 수단과,path setting means for setting a target movement path along which the vehicle body should travel;

상기 차체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과,Position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vehicle body,

상기 차체의 방위를 검출하는 방위 검출 수단과,Orientation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e orientation of the vehicle body;

상기 위치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차체의 검출 위치가, 상기 목표 이동 경로 상의 위치가 되도록, 또한 상기 방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차체의 검출 방위가 상기 목표 이동 경로에 있어서의 목표 방위가 되도록 상기 조향 조작 수단을 조작하는 자동 조향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 수단이 구비되고,So that the detection position of the vehicle body detected by the position detection means is a position on the target movement path, and the detection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detected by the direction detection means is a target direction on the target movement path. Control means for executing automatic steering control for manipulating the steering operation means are provided,

상기 제어 수단은,The control means is,

상기 검출 위치가 상기 목표 이동 경로로부터 횡방향으로 어긋나 있고, 또한 상기 검출 방위가 상기 목표 방위와 동일할 때에는, 상기 목표 방위를 상기 목표 이동 경로측으로 경사진 경사 목표 방위로 변경하여 상기 조향 조작 수단을 조작하는 위치 어긋남 수정 처리를 실행하는 점에 있다.When the detection position is laterally deviated from the target movement path and the detection direction is the same as the target direction, the target direction is changed to an inclined target direction inclined toward the target movement path, and the steering operation means is operated. The point of operation is to perform positional misalignment correction processing.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 수단은, 자동 조향 제어를 실행하고 있을 때, 위치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차체의 검출 위치가 목표 이동 경로로부터 횡방향으로 어긋나 있지만, 방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차체의 검출 방위는 목표 이동 경로에 있어서의 목표 방위(이하, 기준 목표 방위라고 함)와 동일할 때에는, 목표 방위를 목표 이동 경로측으로 경사진 경사 목표 방위로 변경하여 조향 조작 수단을 조작한다. 즉, 제어 수단은, 차체의 검출 위치가 목표 이동 경로 상의 위치가 되도록, 또한 차체의 검출 방위가 경사 목표 방위가 되도록 조향 조작 수단을 조작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performing automatic steering control, the control means detects the vehicle body detected by the orientation detection means even though the detection position of the vehicle body detected by the position detection means is deviated laterally from the target movement path. When the direction is the same as the target direction in the target movement path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reference target direction), the target direction is changed to an inclined target direction inclined toward the target movement path, and the steering operation means is operated. That is, the control means operates the steering operation means so that the detection position of the vehicle body is a position on the target movement path and the detection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is the inclined target direction.

차체가, 횡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수정하기 위해, 목표 이동 경로측으로 경사진 방향을 향해 주행할 때, 기준 목표 방위를 따른 자세로, 또한 차체는 위치 어긋남을 작게 하도록 주행하게 된다. 즉, 차체의 방위는 경사 목표 방위로부터 어긋나는 일이 없으므로, 방위의 어긋남에 대응하려고 불필요한 조작을 행하는 일이 없다.In order to correct the lateral positional misalignment, when the car body travels in an inclined direction toward the target movement path, the car body is driven in an attitude along the reference target direction and so as to reduce the positional misalignment. In other words, since the orientation of the vehicle body does not deviate from the inclination target orientation, unnecessary operations are not performed to cope with the deviation in orientation.

그 결과, 차체가 목표 이동 경로로부터 횡방향으로 위치 어긋남되고, 또한 차체의 방향이 기준 목표 방위와 동일할 때, 불필요한 조작이 적어져, 최대한 신속하게, 목표 이동 경로를 따르는 주행 상태로 되돌리는 것이 가능해진다.As a result, when the vehicle body is displaced laterally from the target movement path and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is the same as the reference target direction, unnecessary operations are reduced and it is possible to return to the driving state following the target movement path as quickly as possible. It becomes possible.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위치 어긋남 수정 처리를 실행할 때에는, 상기 경사 목표 방위의 상기 목표 방위에 대한 경사각을 설정 상한값 이하로 설정하면 적합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performing the position misalignment correction process, the control means sets the tilt angle of the tilt target orientation with respect to the target orientation to a setting upper limit value or less.

본 구성에 의하면, 조향 제어를 실행할 때, 목표 방위가 지나치게 크게 변화되는 일이 없으므로, 차체가 급선회하여 자세가 불안정해지는 등의 우려가 적은 것이 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performing steering control, the target direction does not change too much, so there is less risk of the vehicle body making a sharp turn and the attitude becoming unstable.

본 발명에 있어서는, 차속을 검출하는 차속 검출 수단이 구비되고,In the present invention, vehicle speed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vehicle speed is provided,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위치 어긋남 수정 처리를 실행할 때에는, 상기 차속이 클수록 상기 조향 조작 수단이 상기 진행 방향을 변경할 때의 변경 조작 속도가 작으면 적합하다.When performing the position misalignment correction process, the control means is suitable if the larger the vehicle speed is, the smaller the change operation speed when the steering operation means changes the direction of travel.

위치 어긋남을 수정하는 경우, 차속이 클 때에 빠르게 조향 조작하면, 급격한 자세 변경 동작이 되어, 차체 자세가 불안정해질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구성에서는, 위치 어긋남을 수정할 때에는, 차속이 클수록 조향 조작 수단이 진행 방향을 변경할 때의 변경 조작 속도를 작게 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차체의 방향 변경의 동작이 빠르게 행해져 차체 자세가 불안정해질 우려가 적어, 원활하게 위치 어긋남 수정을 행할 수 있다.When correcting positional misalignment, if the steering operation is performed quickly when the vehicle speed is high, there is a risk that the posture will change suddenly and the vehicle body posture may become unstable. Therefore, in this configuration, when correcting the position misalignment, the change operation speed when the steering operation means changes the direction of travel is made smaller as the vehicle speed increases. As a result, the direction change operation of the vehicle body is performed quickly, there is less risk of the vehicle body posture becoming unstable, and positional misalignment correction can be performed smoothly.

본 발명에 있어서는, 차속을 검출하는 차속 검출 수단이 구비되고,In the present invention, vehicle speed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vehicle speed is provided,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위치 어긋남 수정 처리를 실행할 때에는, 상기 차속이 클수록 상기 목표 방위를 상기 목표 이동 경로측으로 경사지게 하는 경사 각도가 작으면 적합하다.When the control means performs the position misalignment correction process, it is suitable if the inclination angle for inclining the target direction toward the target movement path becomes smaller as the vehicle speed increases.

위치 어긋남을 수정하는 경우, 차속이 클 때에 빠르게 조향 조작하면, 급격한 자세 변경 동작이 되어, 차체 자세가 불안정해질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구성에서는, 차속이 클수록 목표 방위를 목표 이동 경로측으로 경사지게 하는 경사 각도가 작아진다. 그 결과, 차체의 방향 변경량이 적어져, 차체 자세가 불안정해질 우려가 적어, 원활하게 위치 어긋남 수정을 행할 수 있다.When correcting positional misalignment, if the steering operation is performed quickly when the vehicle speed is high, there is a risk that the posture will change suddenly and the vehicle body posture may become unstable. So, in this configuration, the higher the vehicle speed, the smaller the inclination angle that inclines the target direction toward the target movement path. As a result, the amount of change in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is reduced, there is less risk of the vehicle body posture becoming unstable, and positional misalignment correction can be performed smoothly.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위치 어긋남 수정 처리를 실행할 때에는, 상기 검출 위치가 상기 목표 이동 경로에 상당하는 개소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경사 목표 방위를 그대로 유지하면 적합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performing the position misalignment correction process, the control means preferably maintains the tilt target orientation until the detection position reaches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target movement path.

본 구성에 의하면, 위치 어긋남 수정 처리에 있어서는, 일단, 목표 방위를 경사 목표 방위로 변경한 후에는, 차체가 목표 이동 경로에 상당하는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경사 목표 방위가 유지된다. 그 결과, 차체의 방위가 경사 목표 방위를 따르는 상태에서 목표 이동 경로에 상당하는 위치까지 이동하므로, 불필요한 움직임이 적은 상태로 신속하게 위치 어긋남의 수정을 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n the position misalignment correction process, once the target orientation is changed to the tilt target orientation, the tilt target orientation is maintained until the vehicle body reaches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arget movement path. As a result, since the orientation of the vehicle body follows the tilt target orientation and moves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arget movement path, positional misalignment can be corrected quickly with minimal unnecessary movement.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위치 어긋남 수정 처리를 실행할 때에는, 상기 검출 위치가 상기 목표 이동 경로에 상당하는 개소에 근접할수록 상기 경사 목표 방위의 상기 목표 방위에 대한 경사가 완만해지면 적합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trol means performs the position misalignment correction processing, it is suitable if the inclination of the inclination targe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target direction becomes gentler as the detection position approaches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target movement path. .

본 구성에 의하면, 위치 어긋남 수정 처리에 있어서는, 먼저, 처음으로, 기준 목표 방위에 대한 경사가 급한 경사 목표 방위로 변경되지만, 차체가 목표 이동 경로에 상당하는 개소에 근접할수록 기준 목표 방위에 대한 경사가 완만해지는 상태에서 경사 목표 방위가 변화되게 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n the position misalignment correction process, first, the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target direction is changed to a steep inclination target direction, but as the vehicle body approaches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target movement path, the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target direction becomes steeper. In a state where it becomes gentle, the slope target direction changes.

위치 어긋남 수정 처리에 있어서, 기준 목표 방위에 대한 경사가 급한 상태에서 조향 조작이 행해지면 신속하게 차체를 목표 이동 경로에 상당하는 개소에 근접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준 목표 방위에 대한 경사가 급한 상태 그대로 주행하면, 목표 이동 경로에 상당하는 개소에 도달한 후, 차체의 방위를 목표 이동 경로를 따르는 방위로 되돌릴 때, 복귀 수정량이 커지므로, 재수정 조작에 시간이 걸리는 불리함이 있다.In positional misalignment correction processing, if a steering operation is performed while the inclination to the reference target direction is steep, the vehicle body can be quickly brought closer to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target movement path. However, if the vehicle is driven with a steep inclination to the reference target direction, the amount of return correction becomes large when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is returned to the direction along the target movement path after reaching the point corresponding to the target movement path, so the re-correction operation is difficult.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takes time.

그래서, 위치 어긋남 수정 처리를 실행할 때, 위치 어긋남량이 큰 초기의 단계에서는, 경사가 급한 경사 목표 방위로 변경함으로써, 신속하게 차체를 목표 이동 경로에 상당하는 개소에 근접시킬 수 있다. 그리고 차체가 목표 이동 경로에 상당하는 개소에 근접할수록 기준 목표 방위에 대한 경사가 완만한 경사 목표 방위로 변경된다. 그 결과, 목표 이동 경로에 상당하는 개소에 도달하였을 때에는, 경사 목표 방위와 목표 이동 경로를 따르는 방위 사이의 각도 어긋남이 작아지므로, 복귀 수정량이 작아져, 재수정 조작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Therefore, when performing positional misalignment correction processing, in the initial stage when the amount of positional misalignment is large, by changing the incline to a steep target orientation, the vehicle body can be quickly brought closer to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target movement path. And as the vehicle body approaches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target movement path, the inclination to the reference target direction changes to a gently inclined target direction. As a result, when the point corresponding to the target movement path is reached, the angular deviation between the inclined target direction and the direction along the target movement path becomes small, so the return correction amount becomes small, and the re-correction operation can be performed quickly.

따라서, 최대한 신속하게 차체를 목표 이동 경로에 상당하는 개소에 근접시킬 수 있는 것이면서, 목표 이동 경로를 따르는 방위로 되돌리는 재수정 조작을 낭비 없이 단시간에 행할 수 있는 것이 되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bring the vehicle body closer to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target movement path as quickly as possible, and a re-correction operation to return it to the direction along the target movement path can be performed in a short time without waste.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목표 이동 경로에 상당하는 개소는, 상기 목표 이동 경로에 상당하는 위치의 좌우 양측에 횡방향으로 소정 폭의 영역을 갖고 있으면 적합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uitable if the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target movement path has an area of a predetermined wid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arget movement path.

위치 어긋남 수정 처리에 있어서, 차체의 위치가 목표 이동 경로에 상당하는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위치 어긋남 수정 처리를 실행하는 구성이면, 차체의 위치가 목표 이동 경로에 상당하는 위치에 도달한 후에, 차체의 방위를 목표 이동 경로를 따르는 방위로 되돌릴 때, 복귀 조작에 지연이 발생하여 재수정 조작에 시간이 걸리는 불리함이 있다. 그래서, 본 구성에서는, 목표 이동 경로에 상당하는 개소가 소정 폭의 영역을 가지므로, 차체의 위치가 목표 이동 경로에 상당하는 위치에 도달하기 조금 전에 차체의 방위를 목표 이동 경로를 따르는 방위로 되돌릴 수 있어, 응답 지연이 적은 상태에서 재수정 조작을 행할 수 있다.In the position misalignment correction process, if the position misalignment correction process is configured to be performed until the position of the vehicle body reaches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arget movement path, after the position of the vehicle body reaches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arget movement path, the vehicle body When returning the direction to the direction following the target movement path,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a delay occurs in the return operation and the re-correction operation takes time. Therefore, in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target movement path has an area of a predetermined width, the orientation of the vehicle body is returned to the direction along the target movement path shortly before the position of the vehicle body reaches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arget movement path. Therefore, a re-edit operation can be performed with low response delay.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차체는, 상기 목표 이동 경로를 따라 주행하면서 작업을 행하는 직진 주행과, 상기 목표 이동 경로의 종단 위치에서 상기 목표 이동 경로와 평행한 차회의 목표 이동 경로를 향해 선회하는 선회 주행을 교대로 반복하여 주행하는 것이고,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body is configured to perform a straight run in which work is performed while traveling along the target movement path, and a turning run in which the vehicle body turns toward the next target movement path parallel to the target movement path at the end position of the target movement path. It is driven alternately and repeatedly,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차체가 기작업 영역측으로 위치 어긋남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위치 어긋남 수정 처리를 실행할 때에는, 상기 차체가 미작업 영역측으로 위치 어긋남되어 있는 상태에 비해, 상기 목표 이동 경로측으로 크게 경사지게 하여 상기 경사 목표 방위를 설정하면 적합하다.When performing the positional misalignment correction process in a state in which the vehicle body is misaligned toward the pre-work area, the control means tilts the vehicle body toward the target movement path side significantly compared to a state in which the vehicle body is misaligned toward the non-work area. Therefore, it is suitable to set the slope target direction.

본 구성에 의하면, 차체가 직진 주행과 선회 주행을 교대로 반복하도록 주행하고, 직진 주행 중에 작업을 행한다. 그리고 차체가 기작업 영역측으로 위치 어긋남되어 있는 상태에서, 위치 어긋남 수정 처리를 실행할 때에는, 미작업 영역측으로 위치 어긋남되어 있는 상태에 비해, 경사 목표 방위에 있어서의 목표 방위에 대한 경사를 크게 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vehicle body travels so as to alternately repeat straight travel and turning travel, and work is performed during straight travel. And, when performing positional misalignment correction processing in a state in which the vehicle body is misaligned toward the existing work area, the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target direction in the inclination target direction is increased compared to the state in which the vehicle body is misaligned toward the non-work area.

주행에 수반하여 작물 모종을 포장에 식부하는 작업을 행하는 작업차이면, 기작업 영역에는, 작물 모종이 이미 식부되어 있기 때문에, 차체는 기작업 영역 내로 침입하는 것은 피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차체가 기작업 영역측으로 위치 어긋남되어 있을 때에는, 크게 경사진 방향으로 조향 조작함으로써, 가능한 한 신속하게 위치를 수정하여, 차체가 기작업 영역 내로 침입하는 것을 피하게 할 수 있다.If it is a work vehicle that performs the task of planting crop seedlings on the field while driving, the crop seedlings have already been planted in the existing work area, so it is necessary to avoid the vehicle body from entering the existing work area. Therefore, when the vehicle body is misaligned toward the existing work area, by steering in a largely inclined direction, the position can be corrected as quickly as possible to avoid the vehicle body from entering the existing work area.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차체는, 상기 목표 이동 경로를 따라 주행하면서 작업을 행하는 직진 주행과, 상기 목표 이동 경로의 종단 위치에서 상기 목표 이동 경로와 평행한 차회의 목표 이동 경로를 향해 선회하는 선회 주행을 교대로 반복하여 주행하는 것이고,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body is configured to perform a straight run in which work is performed while traveling along the target movement path, and a turning run in which the vehicle body turns toward the next target movement path parallel to the target movement path at the end position of the target movement path. It is driven alternately and repeatedly,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차체가 미작업 영역측으로 위치 어긋남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위치 어긋남 수정 처리를 실행할 때에는, 상기 차체가 기작업 영역측으로 위치 어긋남되어 있는 상태에 비해, 상기 목표 이동 경로측으로 크게 경사지게 하여 상기 경사 목표 방위를 설정하면 적합하다.When executing the positional misalignment correction process in a state in which the vehicle body is misaligned toward the non-work area, the control means tilts the vehicle body toward the target movement path side significantly compared to a state in which the vehicle body is misaligned toward the existing work area. Therefore, it is suitable to set the slope target direction.

본 구성에 의하면, 차체가 직진 주행과 선회 주행을 교대로 반복하도록 주행하고, 직진 주행 중에 작업을 행한다. 그리고 차체가 미작업 영역측으로 위치 어긋남되어 있는 상태에서, 위치 어긋남 수정 처리를 실행할 때에는, 기작업 영역측으로 위치 어긋남되어 있는 상태에 비해, 경사 목표 방위의 기준 목표 방위에 대한 경사를 크게 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vehicle body travels so as to alternately repeat straight travel and turning travel, and work is performed during straight travel. And, when performing positional misalignment correction processing in a state in which the vehicle body is misaligned toward the unworked area, the inclination of the inclination targe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target direction is increased compared to the state in which the vehicle body is misaligned toward the existing work area.

주행에 수반하여 식립되어 있는 작물을 예취하는 작업을 행하는 작업차이면, 미작업 영역에는 식립 작물이 존재하므로, 차체는 미작업 영역 내로 침입하는 것은 피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차체가, 미작업 영역측으로 위치 어긋남되어 있을 때에는, 크게 경사진 방향으로 조향 조작함으로써, 가능한 한 신속하게 위치를 수정하여, 차체가 미작업 영역 내로 침입하는 것을 피하게 할 수 있다.If it is a work vehicle that performs the task of cutting planted crops while driving, the planted crops exist in the unworked area, so it is necessary to avoid the vehicle body from entering the unworked area. Therefore, when the car body is misaligned toward the unworked area, by steering in a largely inclined direction, the position can be corrected as quickly as possible to avoid the car body from entering the unworked area.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차체는, 상기 목표 이동 경로를 따라 주행하면서 작업을 행하는 직진 주행과, 상기 목표 이동 경로의 종단 위치에서 상기 목표 이동 경로와 평행한 차회의 목표 이동 경로를 향해 선회하는 선회 주행을 교대로 반복하여 주행하는 것이고,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body is configured to perform a straight run in which work is performed while traveling along the target movement path, and a turning run in which the vehicle body turns toward the next target movement path parallel to the target movement path at the end position of the target movement path. It is driven alternately and repeatedly,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차체가 상기 선회 주행을 행한 후에 상기 직진 주행을 개시한 직후에 있어서는, 소정의 판별 조건이 성립될 때까지의 동안은, 상기 위치 어긋남 수정 처리를 실행하지 않으면 적합하다.It is suitable if the control means does not perform the position misalignment correction process immediately after the vehicle body performs the turning travel and starts the straight travel until a predetermined determination condition is established.

선회 주행한 후에 직진 주행을 개시한 직후는, 주행 상태가 안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있고, 차체가 목표 이동 경로로부터 옆으로 어긋나 있는 경우도 있다. 그 결과, 직진 주행의 개시 직후에는, 즉시 차체가 목표 이동 경로 상을 안정된 상태에서 주행할 수 있다고는 할 수 없다.Immediately after starting straight travel after turning, the running state may not be stable, and the vehicle body may deviate laterally from the target movement path. As a result, it cannot be said that the vehicle body can travel in a stable state on the target movement path immediately after starting straight travel.

그래서 본 구성에서는, 직진 주행을 개시한 직후에 소정의 판별 조건이 성립될 때까지의 동안은, 위치 어긋남 수정 처리를 실행하지 않으므로, 불필요한 조향 조작을 피하게 할 수 있다. 소정의 판별 조건으로서는, 예를 들어 선회하고 나서 설정 시간이 경과하는 것, 설정 거리를 주행하는 것, 차체의 방위가 소정의 방위에 근접한 것 등, 다양한 조건을 생각할 수 있다. 요컨대, 주행 상태가 안정되기 위한 조건이다.Therefore, in this configuration, position misalignment correction processing is not performed immediately after starting straight travel until a predetermined determination condition is established, so unnecessary steering operation can be avoided. As predetermined discrimination conditions, various conditions can be considered, such as, for example, that a set time has elapsed since turning, that the vehicle has traveled a set distance, and that the orientation of the vehicle body is close to the predetermined orientation. In short, it is a condition for stable driving conditions.

본 발명에 있어서는,In the present invention,

수동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차체의 진행 방향의 변경을 지령하는 수동 조향 조작구와, 상기 수동 조향 조작구에 대한 수동 조작이 행해진 것을 검출하는 수동 조작 검출 수단이 구비되고,It is provided with a manual steering operation tool that commands a change in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vehicle body based on manual operation, and manual operation detection means that detects that a manual operation has been performed on the manual steering operation tool,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수동 조작 검출 수단에 의해 수동 조작이 검출되면, 상기 자동 조향 제어에 있어서 상기 조향 조작 수단을 조작할 때의 조작력을 저감시키면 적합하다.It is suitable for the control means to reduce the operating force for operating the steering operation means in the automatic steering control when manual operation is detected by the manual operation detection means.

본 구성에 의하면, 수동 조작에 의해서도 조향 조작 수단을 조작하여 차체의 진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수동 조작 검출 수단에 의해 수동 조작이 검출되면, 제어 수단은, 자동 조향 제어에 있어서 조향 조작 수단을 조작할 때의 조작력을 저감시킨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vehicle body can be changed by operating the steering operation means even through manual operation. And when manual operation is detected by the manual operation detection means, the control means reduces the operating force when operating the steering operation means in automatic steering control.

그 결과, 자동 조향 제어에 우선하여 수동 조작에 의한 조향 조작 수단을 조작하는 것이 가능해져, 예를 들어 장해물과의 접촉의 우려가 있는 경우에, 자동 조향 제어에 수반되는 조작이 아닌, 수동 조작에 의한 조향 조작에 의해, 장해물과의 접촉을 피하는 것이 가능하다.As a result, it becomes possible to operate the steering operation means by manual operation in preference to automatic steering control, and for example, when there is a risk of contact with an obstacle, manual operation is performed rather than the operation accompanying automatic steering control. By steering operation, it is possible to avoid contact with obstacles.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수동 조작 검출 수단에 의해 수동 조작이 검출되면, 상기 조작력을 저감시키고, 또한 상기 수동 조작 검출 수단에 의한 수동 조작이 검출되지 않게 되어도, 상기 조작력을 저감시키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면 적합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means reduces the operating force when manual operation is detected by the manual operation detection means, and further reduces the operating force even when manual operation is not detected by the manual operation detection means. It is suitable as long as it remains in its current state.

본 구성에 의하면, 일단 수동 조작이 검출되어, 조향 조작 수단의 조작력을 저감시킨 후에는, 수동 조작되지 않게 되어도 그 상태가 지지되므로, 수동 조작이 간헐적으로 반복하여 행해지는 경우이면, 수동에 의한 조작이 가능해, 사용 편리성이 좋은 것이 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once manual operation is detected and the operating force of the steering operation means is reduced, the state is maintained even if manual operation is no longer performed. Therefore, if manual operation is performed intermittently and repeatedly, manual operation is performed. This is possible, making it convenient to use.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수동 조작 검출 수단에 의해 수동 조작이 검출되면, 상기 조작력을 저감시키고, 또한 상기 수동 조작 검출 수단에 의한 수동 조작이 검출되지 않게 되면, 상기 조작력을 원래의 크기로 되돌리면 적합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means reduces the operating force when manual operation is detected by the manual operation detection means, and further reduces the operating force to the original when the manual operation is not detected by the manual operation detection means. It will fit if you return it to size.

본 구성에 의하면, 수동 조작이 검출되어, 조향 조작 수단의 조작력을 저감시킨 후, 수동 조작되지 않게 되면, 조향 조작 수단의 조작력을 원상태로 되돌리므로, 수동 조작이 1회만 행해지고, 그 후는 수동 조작을 행하지 않는 경우이면, 자동 조향 제어가 계속해서 행해지므로, 사용 편리성이 좋은 것이 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after manual operation is detected and the operating force of the steering operation means is reduced, when manual operation is no longer performed, the operating force of the steering operation means is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so that manual operation is performed only once, and after that, manual operation is performed only once. If not performed, automatic steering control continues to be performed, resulting in good usability.

본 발명에 있어서는, 수동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차체의 진행 방향의 변경을 지령하는 수동 조향 조작구와, 상기 수동 조향 조작구에 대한 수동 조작이 행해진 것을 검출하는 수동 조작 검출 수단이 구비되고,In the present invention, a manual steering operation tool for commanding a change in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vehicle body based on manual operation is provided, and a manual operation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at a manual operation has been performed on the manual steering operation tool,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수동 조향 조작구에 의한 변경 지령이 설정 시간 이상 계속해서 지령되면, 상기 자동 조향 제어를 정지하면 적합하다.Suitable for the control means to stop the automatic steering control when a change command from the manual steering operation tool continues to be issued for a set time or longer.

본 구성에 의하면, 설정 시간 이상의 긴 시간에 걸쳐 수동 조작이 행해지면, 수동 조작에 의한 조향 조작을 계속해서 행할 의사가 있다고 판단하여, 자동 조향 제어를 정지하는 것이다. 그 결과, 자동 조향 제어에 수반되는 수동 조작자의 의사에 반한 방향으로의 조작이 없어져, 수동 조작을 행하기 쉬운 것이 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f manual operation is performed for a longer period of time than the set time,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n intention to continue steering by manual operation, and the automatic steering control is stopped. As a result, operation in a direction against the will of the manual operator accompanying automatic steering control is eliminated, making it easier to perform manual operation.

본 발명에 있어서는, 수동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차체의 진행 방향의 변경을 지령하는 수동 조향 조작구와, 상기 수동 조향 조작구에 대한 수동 조작이 행해진 것을 검출하는 수동 조작 검출 수단이 구비되고,In the present invention, a manual steering operation tool for commanding a change in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vehicle body based on manual operation is provided, and a manual operation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at a manual operation has been performed on the manual steering operation tool,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수동 조작 검출 수단에 의해 수동 조작이 검출되면, 상기 자동 조향 제어를 정지함과 함께, 상기 수동 조향 조작구에 의한 변경 지령에 대응하는 주행 상태가 되도록 상기 조향 조작 수단을 조작하는 어시스트 제어를 실행하면 적합하다.When manual operation is detected by the manual operation detection means, the control means stops the automatic steering control and operates the steering operation means to enter a driving state corresponding to a change command by the manual steering operation tool. It is suitable for performing assist control.

본 구성에 의하면, 수동 조작에 의해서도 조향 조작 수단을 조작하여 차체의 진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수동 조작 검출 수단에 의해 수동 조작이 검출되면, 제어 수단은, 자동 조향 제어를 정지하여 어시스트 제어를 실행한다. 즉, 수동 조향 조작구에 의한 변경 지령에 대응하는 조향 상태가 되도록 조향 조작 수단을 조작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vehicle body can be changed by operating the steering operation means even through manual operation. And when manual operation is detected by the manual operation detection means, the control means stops the automatic steering control and executes assist control. That is, the steering operation means is operated so that the steering state corresponds to the change command given by the manual steering operation tool.

따라서, 수동 조작에 의한 조향 조작을 행할 때, 수동 조작자가 의도하는 방향으로 조향 조작 수단을 조작하므로, 수동 조작을 조작 부담이 적은 상태에서 편하게 행할 수 있다.Therefore, when performing a steering operation by manual operation, the manual operator operates the steering operation means in the intended direction, so the manual operation can be performed comfortably with a small operating burden.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위치 검출 수단이, 위성으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하여 상기 차체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성 측위용 유닛이면 적합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uitable if the position detection means is a satellite positioning unit that detects the position of the vehicle body by receiving radio waves from a satellite.

본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어 GPS 등의 위성 측위용 유닛에 의해, 위성으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하여 차체의 위치를 검출하므로, 지구상의 절대 위치를 계측할 수 있다. 따라서, 포장 내에 있어서의 작업차의 위치를 고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for example, a satellite positioning unit such as GPS receives radio waves from a satellite and detects the position of the vehicle body, so that the absolute position on the earth can be measured. Therefore, the position of the work vehicle within the packaging can be detected with high accuracy.

[4] 과제 [4]에 대응하는 해결 수단은, 이하와 같다.[4] The solution corresponding to problem [4] is as follows.

본 발명의 특징은, 수동 조타에 의한 수동 주행과, 기준 주행 라인과 평행하게 설정되는 설정 주행 라인을 따라 자동 조타에 의해 주행하는 자동 주행을 전환 가능한 주행 기체와, 상기 수동 주행과 상기 자동 주행을 전환 가능한 전환 스위치와, 상기 전환 스위치에 의해 상기 수동 주행으로부터 상기 자동 주행으로의 전환을 행한 시점에 있어서의 상기 주행 기체의 평면 위치를, 상기 설정 주행 라인의 시점으로서 설정하는 시점 설정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에 있다.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raveling machine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manual travel by manual steering and automatic travel by automatic steering along a set travel line set parallel to the reference travel line, and the manual travel and the automatic travel. A changeover switch that can be switched, and a starting point setting unit that sets the plane position of the traveling body at the time of switching from the manual driving to the automatic driving by the switching switch as a starting point of the set driving line. It's in the thing.

본 발명에 따르면, 전환 스위치에 의해 수동 주행으로부터 자동 주행으로 전환 조작을 행하는 것만으로, 그 지점을, 시점 설정부에 의해 설정 주행 라인의 시점으로서 설정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가, 상기 포장 컨디션을 보면서, 바람직한 위치로 자유롭게 설정 주행 라인을 설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mply by performing a switching operation from manual driving to automatic driving using a changeover switch, that point can be set as the starting point of the set driving line by the starting point setting unit, so that the driver can see the pavement condition while looking at the above-described pavement condition. You can freely set the driving line to a desired position.

게다가, 운전자가, 설정 주행 라인의 설정 조작은, 전환 스위치를 수동 주행으로부터 자동 주행으로 전환하는 조작이기 때문에, 전환 스위치의 전환 조작 후에는 자동 주행으로 되어, 운전자에의 부담을 경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Moreover, since the driver's operation to set the set travel line is an operation to switch the changeover switch from manual driving to automatic driving, automatic driving is performed after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changeover switch, thereby reducing the burden on the driver. .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전환 스위치는, 상기 주행 기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요동 조작하는 변속 조작구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전환 스위치의 조작 방향은, 상기 주행 기체의 좌우 방향을 따라 설정되어 있으면 적합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uitable if the changeover switch is installed in a shift operation tool that swings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traveling body, and the operating direction of the changeover switch is set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traveling body. .

본 구성에 의하면, 변속 조작구에 전환 스위치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변속 조작구에 손을 댄 상태인 채로, 전환 스위치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해져, 손을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다시 잡거나 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전환 스위치의 조작을 행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changeover switch is provided on the shift operation tool, it becomes possible to operate the changeover switch while keeping the hand on the speed change control tool, without moving the hand to another position or holding it again. It becomes possible to operate the changeover switch efficiently.

또한, 변속 조작구의 조작 방향(전후 방향)과 전환 스위치의 조작 방향(좌우 방향)이 상이하므로, 변속 조작구와 전환 스위치 중 어느 한쪽을 조작할 때, 다른 쪽의 오조작을 방지하기 쉬워진다.In addition, since the operating direction (front-back direction) of the shift operation tool and the operating direction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changeover switch are different, when operating one of the shift control tool and the changeover switch, it becomes easy to prevent erroneous operation of the other.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설정 주행 라인을 평행하게 변위시키는 변위 스위치를 구비하고 있으면 적합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uitable if a displacement switch is provided for displacing the set travel line in parallel.

본 구성에 의하면, 설정 주행 라인을 따라 자동 주행을 행하고 있는 도중이라도, 변위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설정 주행 라인을 평행하게 변위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even during automatic travel along the set travel line, the set travel line can be displaced in parallel by operating the displacement switch.

따라서, 자동 주행 중에, 운전자가 포장 컨디션(예를 들어, 포장의 기복이나 인접 식부 완료 경로에서의 모의 식부 상황 등)을 보면서, 예를 들어 식부를 완료한 인접 설정 주행 라인에 근접한 측(또는, 이격된 측)으로 설정 주행 라인을 평행 변위시켜, 더 바람직한 코스를 자동 주행할 수 있도록 설정 변경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during automatic driving, the driver watches the pavement conditions (for example, the undulations of the pavement or the simulated planting situation on the adjacent planting completion path, etc.), for example, on the side (or, By parallel displacing the set driving line to the (separated side), the settings can be changed to automatically drive a more desirable course.

따라서, 포장의 상황에 잘 합치한 농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carry out agricultural work that is well suited to the situation of the field.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변위 스위치는, 상기 기준 주행 라인을 설정할 때의 상기 수동 주행에 있어서, 상기 주행 기체의 평면 위치를 기록부에 입력 가능한 지시 스위치와 겸용이면 적합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cement switch is suitable if it also serves as an indication switch capable of inputting the plane position of the traveling body into a recording unit during the manual traveling when setting the reference traveling line.

본 구성에 의하면, 기준 주행 라인의 설정에 사용하는 지시 스위치를, 상기 변위 스위치로서 겸용할 수 있기 때문에, 스위치류의 수가 적어져, 예를 들어 스위치 패널 등을 보기 쉽게 구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indicating switch used for setting the reference travel line can also be used as the displacement switch, so the number of switches is reduced and, for example, the switch panel can be configured to be easy to see.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변위 스위치는, 상기 설정 주행 라인을, 우측으로 변위시키는 우측 변위용 변위 스위치와, 상기 설정 주행 라인을 좌측으로 변위시키는 좌측 변위용 변위 스위치를, 상이한 위치에 구비하고 있으면 적합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uitable if the displacement switch has a displacement switch for right displacement that displaces the set travel line to the right and a displacement switch for left displacement that displaces the set travel line to the left at different positions. do.

본 구성에 의하면, 우측 변위용 변위 스위치와 좌측 변위용 변위 스위치를 각각 설치함과 함께, 상이한 위치에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오조작하기 어려워져, 운전자가 의도한 방향으로 주행 기체를 정확하게 변위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displacement switch for right-side displacement and the displacement switch for left-side displacement are provided respectively, and since they are provided at different positions, erroneous operation becomes difficult, and the traveling body can be accurately displaced in the direction intended by the driver. .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우측 변위용 변위 스위치는, 상기 좌측 변위용 변위 스위치보다, 상기 주행 기체의 전방에 대한 우측에 구비하고 있으면 적합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uitable if the displacement switch for right displacement is provided on the right side with respect to the front of the traveling body rather than the displacement switch for left displacement.

본 구성에 의하면, 우측 변위용 변위 스위치와 좌측 변위용 변위 스위치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에 있어서, 우측에 우측 변위용 변위 스위치가 배치되고, 좌측에 좌측 변위용 변위 스위치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주행 기체를 변위시키는 방향과, 대응하는 변위 스위치의 좌우 배치가 일치하여, 오조작을 방지하기 쉬워진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n th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displacement switch for right displacement and the displacement switch for left displacement, the displacement switch for right displacement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and the displacement switch for left displacement is disposed on the left side, so that the traveling body The direction of displacement matches the left and right arrangement of the corresponding displacement switches, making it easy to prevent erroneous operation.

그 결과, 설정 주행 라인의 변위 조작을, 더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displacement operation of the set travel line can be performed more accurately.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변위 스위치에의 조작 중, 초기의 소정 횟수의 조작을, 상기 설정 주행 라인의 변위 제어에 반영시키지 않는 조작 캔슬부를 구비하고 있으면 적합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uitable if there is provided an operation cancellation unit that does not reflect an initial predetermined number of operations in the displacement control of the set travel line during the operation of the displacement switch.

본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어 잘못해서 변위 스위치에 접촉하여 온 조작되어 버린 경우라도, 그 조작 횟수가, 조작 캔슬부에서 설정되어 있는 소정 횟수 이내이면, 설정 주행 라인의 변위 제어에 반영되지 않으므로 오동작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even if an operation is performed by, for example, accidentally touching the displacement switch, if the number of operations is within the predetermined number set in the operation cancellation unit, it is not reflected in the displacement control of the set travel line, so malfunction occurs. Prevention can be achieved.

따라서, 운전자의 조작 의도를 따라, 더 정확한 주행 제어를 행할 수 있다.Therefore, more accurate driving control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driver's operating intention.

덧붙여, 변위 스위치의 조작 횟수가, 조작 캔슬부에서 설정되어 있는 소정 횟수를 초과하면, 의도하는 방향으로의 변위 조작이 반영되어, 그 지시 방향으로 설정 주행 라인을 변위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number of operations of the displacement switch exceeds the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set in the operation cancellation unit, the displacement operation in the intended direction is reflected, and the set travel line can be displaced in the indicated direction.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변위 스위치를 조작하면, 상기 변위 스위치의 조작으로부터 설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변위 스위치의 조작을, 상기 설정 주행 라인의 변위 제어에 반영시키지 않는 조작 캔슬부를 구비하고 있으면 적합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displacement switch is operated, an operation cancellation unit is provided that does not reflect the operation of the displacement switch in the displacement control of the set travel line until a set time has elapsed from the operation of the displacement switch. Suitable.

본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어 변위 스위치를 한 번만 조작할 예정이었던 것이, 잘못해서 복수 회에 걸쳐 연속적으로 온 조작되어 버린 경우라도, 1회째의 조작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이, 조작 캔슬부에서 설정되어 있는 소정 시간 이내이면, 2회째 이후의 조작은 설정 주행 라인의 변위 제어에 반영되지 않기 때문에, 오동작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for example, even if the displacement switch was intended to be operated only once but is accidentally turned on multiple times in succession, the elapsed time from the first operation is set in the operation cancellation unit. If it is within a predetermined time, operations after the second time are not reflected in the displacement control of the set travel line, so malfunction can be prevented.

따라서, 운전자의 조작 의도를 따라, 더 정확한 주행 제어를 행할 수 있다.Therefore, more accurate driving control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driver's operating intention.

덧붙여, 변위 스위치의 조작 경과 시간이, 조작 캔슬부에서 설정되어 있는 소정 시간을 초과하고 있으면, 그 다음 스위치 조작은 변위 제어에 반영되고, 그 지시 방향으로 설정 주행 라인을 변위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elapsed time of operation of the displacement switch exceeds the predetermined time set in the operation cancellation unit, the next switch operation is reflected in the displacement control, and the set travel line can be displaced in the direction indicated.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변위 스위치를 조작하면, 변위 후의 상기 설정 주행 라인을 중심으로 하여 설정되는 소정 폭의 오차 영역에, 상기 주행 기체가 도달할 때까지, 상기 변위 스위치의 조작을, 상기 설정 주행 라인의 변위 제어에 반영시키지 않는 조작 캔슬부를 구비하고 있으면 적합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isplacement switch is operated, the displacement switch is operated until the traveling body reaches an error area of a predetermined width set centering on the set travel line after displacement. It is suitable if there is an operation cancellation unit that is not reflected in the line displacement control.

본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어 복수 회에 걸쳐 연속적으로 변위 스위치를 온 조작해 버린 경우라도, 1회째의 조작에 의해 변위 설정된 목표 설정 주행 라인을 향해 주행 기체가 자동 주행 중에 있어서는, 목표 설정 주행 라인을 중심으로 하여 설정되는 소정 폭의 오차 영역에 도달할 때까지는 조작 캔슬부에 의해 변위 스위치의 조작이 변위 제어에 반영되지 않기 때문에, 오동작이나, 급격한 진로 변경 등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for example, even if the displacement switch is turned on multiple times in succession, while the traveling machine is automatically traveling toward the target setting traveling line for which the displacement was set by the first operation, the target setting traveling line Since the operation of the displacement switch is not reflected in the displacement control by the operation cancellation unit until an error area of a predetermined width set with as the center is reached, malfunction or sudden change in course can be prevented.

따라서, 운전자의 조작 의도를 따라, 더 정확한 주행 제어를 행할 수 있다.Therefore, more accurate driving control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driver's operating intention.

[5] 과제 [5]에 대응하는 해결 수단은, 이하와 같다.[5] The solution corresponding to problem [5] is as follows.

본 발명에 의한 포장 작업 차량은, 두렁가 영역에서 방향 전환하면서 포장 내를 주행하는 주행 기체와, 상기 포장에 대해 작업을 행하는 포장 작업 장치와, 자차 위치를 나타내는 측위 데이터를 출력하는 측위 유닛과, 상기 주행 기체를 인위 조작에 기초하여 조타하는 인위 조타부와, 상기 주행 기체를 자동 조타하는 자동 조타부와, 상기 자차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주행 기체가 상기 두렁가 영역에 도달한 것을 검지하는 두렁가 검지 모듈을 구비하고 있다.The pavement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veling body that travels within the pavement while changing direction in a ridge area, a pavement work device that performs work on the pavement, a positioning unit that outputs positioning data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vehicle, and An artificial steering unit that steers the traveling body based on artificial manipulation, an automatic steering unit that automatically steers the traveling body, and a headway detection module that detects that the traveling body has reached the headway area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own vehicle. It is available.

이 구성에 의하면,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등을 사용한 측위 유닛으로부터 자차 위치를 나타내는 측위 데이터가 얻어지므로, 두렁가 영역의 위치까지 미리 설정해 두면, 주행 기체가 상기 두렁가 영역에 도달한 것을, 두렁가 검지 모듈이 검지할 수 있고, 이것을 운전자나 자동 조타의 제어계에 전달할 수 있다. 그 결과, 운전자가 시각적인 확인으로 행하고 있던 주행 기체의 두렁가 영역에의 도달을, 안정적으로 또한 정확하게 검지할 수 있어, 운전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positioning data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vehicle is obtained from a positioning unit using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etc., so if the position of the ridge area is set in advance, the traveling vehicle moves to the ridge area. The edge detection module can detect that it has reached and transmit this to the driver or automatic steering control system. As a result, the driver can stably and accurately detect the arrival of the traveling body to the rim area through visual confirmation, thereby reducing the burden on the driver.

두렁가 영역의 위치를 미리 설정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는, 두렁가 영역을 포함하는 포장의 지도 데이터를 장비하고, 당해 지도 데이터에 있어서 두렁가 영역을 설정해 두는 것이다. 이 지도 데이터에 기초하는 포장 지도와 측위 유닛으로부터 얻어지는 자차 위치를 매칭함으로써, 주행하는 포장 작업 차량의 포장 내에서의 위치가 실시간으로 산정된다. 따라서, 주행 기체가 두렁가 영역에 도달하는 시점을 자동 조타의 제어계나 운전자에게 통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으로부터,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 중 하나에서는, 상기 포장의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포장 지도 저장부가 구비되고, 상기 두렁가 검지 모듈은, 상기 자차 위치와 상기 지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맵 매칭함으로써, 상기 주행 기체가 상기 두렁가 영역에 도달한 것을 검지한다.One of the methods for setting the location of the edge area in advance is to equip map data of the road including the edge area and set the edge area in the map data. By matching the pavement map based on this map data with the own vehicle position obtained from the positioning unit, the position of the running pavement work vehicle within the pavement is calculated in real time. Therefore, it becomes possible to notify the automatic steering control system or the driver of the time when the traveling body reaches the edge area. From this, in one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vement map storage unit for storing map data of the pavement is provided, and the edge detection module performs map matching using the own vehicle location and the map data to perform the driving operation. It is detected that the aircraft has reached the above-mentioned edge area.

포장 작업 차량에 의한 실제의 포장 작업에 있어서, 포장에 대한 작업을 실시하는 비두렁가 영역(작업 영역: 일반적으로는 포장의 개자리 이외의 영역)에서의 주행과, 방향 전환을 행하는 두렁가 영역에서의 주행에서는, 차량의 거동이 상이하다. 이 차량의 거동에는, 주행 기체의 거동과 포장 작업 장치의 거동이 포함된다. 특히, 비두렁가 영역으로부터 두렁가 영역으로의 진입 시에 발생하는 차량 거동과, 두렁가 영역으로부터 비두렁가 영역으로의 진입 시에 발생하는 차량 거동을 검출하고, 그 검출 시점의 자차 위치를 조합함으로써, 두렁가 영역과 비두렁가 영역의 경계점이 얻어진다. 일반적인 포장에서는, 인접하는 경계점의 간격은, 왕복 작업 주행에서의 주행 궤적의 간격, 즉 작업 폭과 거의 동등해지므로, 처음에 얻어진 경계점으로부터, 다음 경계점을 추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것으로부터,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 중 하나에서는, 상기 주행 기체 또는 상기 포장 작업 장치 혹은 그 양쪽의 거동을 상기 주행 기체의 위치와 관계시켜 차량 거동으로서 기록하는 차량 거동 기록부가 구비되고, 상기 두렁가 검지 모듈은, 상기 차량 거동에 기초하여 상기 주행 기체가 상기 두렁가 영역에 도달한 것을 검지한다.In actual paving work by a paving work vehicle, driving in a non-edge area (work area: generally an area other than the pavement area) where paving work is performed, and driving in a edge area where changes in direction are performed. In , the behavior of the vehicle is different. The behavior of this vehicle includes the behavior of the traveling body and the behavior of the paving equipment. In particular, by detecting the vehicle behavior that occurs when entering the non-durungga area from the non-duranga area and the vehicle behavior that occurs when entering the non-durunga area from the non-durungga area, and combining the position of the vehicle at the time of detection, The boundary points of the and Bidurunga regions are obtained. In general paving, the spacing between adjacent boundary points is almost equal to the spacing of the travel trajectories in round-trip work travel, that is, the work width, so it is also possible to estimate the next boundary point from the initially obtained boundary point. From this, in one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vehicle behavior recording unit is provided that records the behavior of the traveling body, the paving machine, or both as vehicle behavior in relation to the position of the traveling body, and the ridge detection is provided. The module detects that the traveling body has reached the edge area based on the vehicle behavior.

비두렁가 영역으로부터 두렁가 영역으로의 진입 시에 발생하는 차량 거동, 두렁가 영역으로부터 비두렁가 영역으로의 진입 시에 발생하는 차량 거동으로의 진입 시에 발생하는 차량 거동 및 두렁가 영역으로부터 비두렁가 영역으로의 진입 시에 발생하는 차량 거동은, 포장 작업 차량의 종류나 작업 내용에 따라 상이하다. 이앙기에 의한 식부 작업이나 파종 작업, 트랙터에 의한 경운 작업, 콤바인에 의한 예취 수확 작업에서는, 공통되는 차량 거동으로서, 포장 작업 장치의 작업 개시와 작업 정지, 포장 작업 장치의 작업 위치로의 이행과 비작업 위치로의 이행, 주행 기체의 방향 전환 주행의 개시와 정지를 들 수 있다. 이것으로부터,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 중 하나에서는, 상기 차량 거동 기록부는, 상기 포장 작업 장치의 작업 개시와 작업 정지를 상기 차량 거동으로서 기록한다. 다른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차량 거동 기록부는, 상기 포장 작업 장치의 작업 위치로의 이행과 비작업 위치로의 이행을 상기 차량 거동으로서 기록한다. 또 다른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차량 거동 기록부는, 상기 주행 기체의 방향 전환 주행의 개시와 정지를 상기 차량 거동으로서 기록한다. 물론, 이들 실시 형태를, 임의로 조합하여 적용해도 된다.Vehicle behavior that occurs when entering a non-durunga area from a non-durunga area, vehicle behavior that occurs when entering a non-durunga area from a non-durunga area, and vehicle behavior that occurs when entering a non-durunga area and entering a non-durunga area from a non-durunga area. Vehicle behavior that occurs during paving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paving vehicle or work details. Common vehicle behaviors in planting and seeding operations using a rice transplanter, plowing operations using a tractor, and harvesting operations using a combine include starting and stopping work of the paving work equipment, moving the paving work equipment to its working position, and moving the paving work equipment to its working position. Examples include transitioning to a working position, changing direction of the traveling body, and starting and stopping travel. From this, in one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behavior recording unit records work start and work stoppage of the packaging work device as the vehicle behavior. In another embodiment, the vehicle behavior recording unit records the transition of the paving work device to a working position and a transition to a non-working position as the vehicle behavior. In yet another embodiment, the vehicle behavior recording unit records the start and stop of direction change travel of the traveling machine as the vehicle behavior. Of course, these embodiments may be applied in arbitrary combination.

또한, 비두렁가 영역과 두렁가 영역의 경계점을 인위적으로 결정해도 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 중 하나에서는, 상기 두렁가 영역의 주행(두렁가 주행 모드)과 상기 두렁가 영역 이외의 주행(비두렁가 주행 모드) 사이의 이행 시에 인위 조작되는 주행 모드 전환 조작구가 구비되고, 상기 차량 거동 기록부는, 상기 주행 모드 전환 조작구의 조작을 상기 차량 거동으로서 기록한다.Additionally, the boundary point between the non-durunga area and the non-durunga area may be determined artificially. For this reason, in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riving mode switching operation tool is provided that is artificially operated when transitioning between driving in the edge area (headway driving mode) and driving outside the headway area (non-headway driving mode). The vehicle behavior recording unit records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ode switching operation tool as the vehicle behavior.

상술한 바와 같이, 한 번, 비두렁가 영역과 두렁가 영역의 경계를 차량 거동에 기초하여 결정하면, 그 이후의 비두렁가 영역과 두렁가 영역의 경계를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 중 하나에서는, 상기 두렁가 검지 모듈은, 인접하는 전회의 작업 주행 경로에 있어서의 상기 차량 거동으로부터 다음번 상기 주행 기체의 상기 두렁가 영역에의 도달 타이밍을 추정하는 두렁가 추정부를 갖는다. 이에 의해, 비두렁가 영역의 주행 중에 두렁가 영역에의 접근 상태를 산정할 수 있어, 두렁가 영역에의 도달 전 또는 도달 후에 적절하고 또한 필요한 제어를 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once the boundary between the non-durungga area and the ruddy area is determined based on vehicle behavior,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boundary between the non-durungga area and the rudder area thereafter, and thus, one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ne, the edge detection module has a edge estimation unit that estimates the arrival timing of the next traveling body to the edge area from the vehicle behavior in the previous adjacent work travel path. As a result, the state of approach to the over-the-edge area can be calculated while driving in the non-over-the-edge area, and appropriate and necessary control can be performed before or after reaching the over-the-edge area.

예를 들어, 상기 두렁가 추정부에 의해 추정된 도달 타이밍 전에 상기 두렁가 영역에의 접근을 통지하는 접근 통지 지령이 출력되면, 운전자는, 두렁가 영역에 있어서 행해야 하는 조작이나 확인을, 여유를 갖고 행할 수 있다. 또한, 주행 기체의 두렁가 영역에의 예측하지 못한 접근에 수반되는 문제를 피하기 위해, 상기 두렁가 추정부에 의해 추정된 도달 타이밍 전에 상기 주행 기체를 감속시키는 감속 지령이 출력되는 실시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두렁가 추정부에 의해 추정된 도달 타이밍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주행한 경우, 주행 기체를 정지시키는 차량 정지 지령이 출력되는 실시 형태나 상기 두렁가 추정부에 의해 추정된 도달 타이밍에 응답하여, 주행 기체를 정지시키는 차량 정지 지령이 출력되는 실시 형태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For example, if an approach notification command notifying approach to the edge area is output before the arrival timing estimated by the edge estimation unit, the driver can comfortably perform operations or confirmations that must be performed in the edge area. there is. In addition, in order to avoid problems associated with unexpected approaches of the traveling body to the edge area, an embodiment in which a deceleration command to decelerate the traveling body is output before the arrival timing estimated by the headge estimation unit can be adopted. . In addition, in an embodiment in which a vehicle stop command for stopping the traveling vehicle is output when the vehicle has travel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arrival timing estimated by the headge estimation unit, or in response to the arrival timing estimated by the headge estimation unit, the traveling vehicle It is also possible to adopt an embodiment in which a vehicle stop command is output to stop.

비두렁가 영역에서의 주행과, 방향 전환을 행하는 두렁가 영역에서의 주행에서 완전히 상이한 조타가 행해진다. 이 때문에, 이 2개의 상이한 주행을, 자동 조타로 행할지, 인위 조타로 행할지는, 포장 작업 차량의 종류, 포장 작업의 종류, 운전자의 숙련도 등에 따라서도 상이하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 중 하나에서는, 상기 인위 조타부에 의한 인위 조타가 실행되는 인위 조타 모드와 상기 자동 조타부에 의한 자동 조타가 실행되는 자동 조타 모드를 관리하는 조타 모드 관리부가 구비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미리 적절한 알고리즘을 내장해 두면, 주행 상황이나 주위 상황에 따라서 자동 조타와 인위 조타를 적절하게 할당할 수 있다.Completely different steering is performed during driving in the non-durunga area and driving in the non-durunga area where the direction is changed. For this reason, whether these two different runs are performed by automatic steering or artificial steering also differs depending on the type of paving work vehicle, type of paving work, driver's skill level, etc. For this reason, in one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eering mode management unit that manages an artificial steering mode in which artificial steering by the artificial steering unit is executed and an automatic steering mode in which automatic steering by the automatic steering unit is executed is provided. It is done. In this configuration, if an appropriate algorithm is built in in advance, automatic steering and artificial steering can be appropriately assigned according to the driving situation and surrounding conditions.

예를 들어, 방향 전환 주행의 조타를 자동으로 행하는 것이 기술적으로 부담이 되는 경우, 상기 조타 모드 관리부는, 상기 두렁가 영역에서는 인위 조타 모드를 선택하고, 상기 두렁가 영역 이외는 자동 조타 모드를 선택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it is technically burdensome to automatically steer a change of direction, the steering mode management unit selects the artificial steering mode in the edge area and selects the automatic steering mode in other than the edge area. can be employed.

또한, 자동 조타와 인위 조타를 유연하게 적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자동 조타 모드와 상기 인위 조타 모드를 인위적으로 선택하는 조타 모드 전환 조작구가 구비되어 있는 실시 형태를 채용하면 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flexibly applying automatic steering and artificial steering, an embodiment provided with a steering mode switching operation tool that artificially selects the automatic steering mode and the artificial steering mode may be adopted.

GNSS나 GPS 등, 위성으로부터의 전파를 사용한 측위 유닛에서는, 수신 상태가 악화 등으로 동작 불능이 발생하면, 측위 데이터가 얻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서는, 차륜의 회전수에 기초하여 주행 거리를 산정하는 주행 거리 산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측위 유닛의 동작 불능 시에는, 상기 두렁가 검지 모듈은, 상기 주행 거리 산정부에 의해 산정된 주행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주행 기체가 상기 두렁가 영역에 도달한 것을 검지한다. 이에 의해, 일시적으로 측위 유닛이 동작 불능으로 되어도, 주행 기체가 두렁가 영역에 도달한 것이 검지된다. 그때, 측위 유닛의 동작 불능에 의해 주행 거리 산정부에 의해 두렁가 영역에 도달한 것을 검지한 경우에는, 그 시점에서, 주행 기체를 정지시켜도 된다.In positioning units that use radio waves from satellites, such as GNSS or GPS, a problem occurs in which positioning data cannot be obtained if the unit fails to operate due to deterioration of reception conditions or the like. For this reas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ravel distance calculation unit is provided to calculate the travel distance based on the rotation speed of the wheels, and when the positioning unit is inoperable, the edge detection module includes the travel distance calculation unit. It is detected that the traveling body has reached the edge area based on the traveling distance calculated by . As a result, even if the positioning unit is temporarily inoperable, it is detected that the traveling body has reached the edge area. At that time, when the travel distance calculation unit detects that the ridge area has been reached due to the positioning unit being inoperable, the traveling body may be stopped at that point.

특히 자동 조타로 주행하는 경우, 자동 조타의 제어계가 차량의 다양한 상황을 파악하면서 주행하는 것은 어렵다. 포장에서의 주행에 있어서 중요한 차량 상황 중 하나는, 주행 기체의 자세이다. 주행 기체의 자세는, 실질적으로는 주행 기체의 지면에 대한 경사에 의해 결정된다. 특히, 소정 이상의 피칭각이나 롤링각은, 주행에 악영향을 미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 중 하나에서는, 상기 주행 기체의 자세를 판정하는 자세 판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자세가 소정 조건으로부터 벗어난 경우에, 상기 주행 기체를 감속 또는 정지시키는 제동 지령(정지 지령이나 감속 지령이 포함됨)이 출력된다.In particular, when driving with automatic steering, it is difficult for the automatic steering control system to understand various situations of the vehicle while driving. One of the important vehicle situations when driving on pavement is the attitude of the vehicle. The attitude of the traveling body is substantially determined by the inclination of the traveling body with respect to the ground. In particular, pitching angles or rolling angles above a certain level have a negative effect on driving. For this reason, in one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ttitude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the attitude of the traveling body is provided, and when the attitude deviates from a predetermined condition, a braking command (stop command) to decelerate or stop the traveling body or deceleration command) is output.

그 밖의 특징 및 앞으로 발휘될 유리한 효과에 대해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의 설명을 읽으면 명백해질 것이다.Other features and advantageous effects to be exhibited in the future will become clear by reading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제1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이하, 도 8까지 동일함), 작업차의 일례로서의 이앙기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이앙기를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도 3은 이앙기를 나타내는 전방면도이다.
도 4는 조향 유닛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5는 자동 조향 제어에 관한 제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자동 조향 제어의 동작을 설명하는 상면에서 본 설명도이다.
도 7은 목표 라인의 생성 등에 대해 설명하는 상면에서 본 설명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이하, 도 22까지 동일함), 하단의 예비 모 수용 장치가 제2 상태에 있는 승용형 이앙기의 전체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10은 하단의 예비 모 수용 장치가 제1 상태에 있는 승용형 이앙기의 전체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11은 하단의 예비 모 수용 장치가 제2 상태에 있는 승용형 이앙기의 전체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주행 차체의 전방면도이다.
도 13은 제2 상태의 좌측 하단의 예비 모 수용 장치의 후방부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14는 후방 가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5는 후방 가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모 적재대의 상단부측 부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구획 플레이트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8은 제2 실시 구조를 구비한 난간을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19는 제3 실시 구조를 구비한 난간을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20은 제1 다른 실시 구조를 구비한 후방 가드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21은 제2 다른 실시 구조를 구비한 후방 가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2는 제3 다른 실시 구조를 구비한 후방 가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3은 제3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이하, 도 32까지 동일함), 작업차의 일례로서의 이앙기의 전체 측면도이다.
도 24는 이앙기의 전체 평면도이다.
도 25는 이앙기의 정면도이다.
도 26은 조향 유닛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7은 제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8은 자동 조향 제어의 동작을 설명하는 논바닥 전체에서의 평면에서 본 설명도이다.
도 29는 자동 조향 제어의 동작을 설명하는 이앙기의 평면에서 본 설명도이다.
도 30은 자동 조향 제어의 동작을 설명하는 이앙기의 평면에서 본 설명도이다.
도 31은 자동 조향 제어의 동작을 설명하는 이앙기의 평면에서 본 설명도이다.
도 32는 자동 조향 제어의 동작을 설명하는 이앙기의 평면에서 보아 설명도이다.
도 33은 제4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이하, 도 42까지 동일함), 농작업기 또는 농작업차의 일례로서의 이앙기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4는 이앙기를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도 35는 조향 유닛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6은 자동 조향 제어에 관한 제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7은 미터 패널의 주위를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도 38은 주행 라인의 생성 등에 대해 설명하는 상면에서 본 설명도이다.
도 39는 설정 주행 라인의 평행 변위 조작을 설명하는 상면에서 본 설명도이다.
도 40은 설정 주행 라인의 평행 변위 제어의 흐름도이다.
도 41은 다른 실시 형태의 자동 조향 제어에 관한 제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2는 다른 실시 형태의 설정 주행 라인의 평행 변위 조작을 설명하는 상면에서 본 설명도이다.
도 43은 제5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이하, 도 49까지 동일함), 포장 작업 차량에 채용되어 있는 차량 제어의 기본 원리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44는 포장 작업 차량에 채용되어 있는 차량 제어의 기본 원리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45는 포장 작업 차량의 실시 형태 중 하나인 이앙기의 측면도이다.
도 46은 포장 작업 차량의 실시 형태 중 하나인 이앙기의 평면도이다.
도 47은 이앙기의 조타계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48은 이앙기의 주행 제어에 관한 기능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49는 기록된 차량 거동의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Fig. 1 is a diagram showing the first embodiment (hereinafter the same applies to Fig. 8), and is a side view showing a rice transplanter as an example of a work vehicle.
Figure 2 is a top view showing a rice transplanter.
Figure 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rice transplanter.
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eering unit.
Figure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configuration related to automatic steering control.
Figure 6 is an explanatory diagram viewed from the top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utomatic steering control.
Fig. 7 is an explanatory diagram viewed from the top illustrating the creation of a target line, etc.
Fig. 8 is a sid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FIG. 9 is a diagram showing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same applies to FIG. 22), and is a left side view showing the entire riding-type rice transplanter in which the spare seedling storage device at the lower end is in the second state.
Figure 10 is a left side view showing the entire riding-type rice transplanter with the lower preliminary seedling receiving device in the first state.
FIG. 11 is a plan view showing the entire riding-type rice transplanter with the lower spare seedling receiving device in the second state.
Figure 12 is a front view of the traveling vehicle body.
FIG. 13 is a left side view showing the rear portion of the spare hair storage device at the lower left side in the second state.
Figure 14 is a front view showing the rear guard.
Figure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ar guard.
Figure 1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pper end side of a certain loading platform.
Fig. 17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ition plate.
Fig. 18 is a left side view showing a handrail with a second embodiment structure.
Fig. 19 is a left side view showing a handrail with a third embodiment structure.
Fig. 20 is a left side view showing a rear guard with a first alternative embodiment structure.
Fig. 21 is a front view showing a rear guard with a second alternative embodiment structure.
Fig. 22 is a front view showing a rear guard with a third alternative embodiment structure.
FIG. 23 is a diagram showing the third embodiment (hereinafter, the same applies to FIG. 32), and is an overall side view of a rice transplanter as an example of a work vehicle.
Figure 24 is an overall plan view of the rice transplanter.
Figure 25 is a front view of the rice transplanter.
Figure 26 is a diagram showing a steering unit.
Fig. 2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trol configuration.
Figure 28 is a plan view of the entire rice paddy field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utomatic steering control.
Figure 29 is an explanatory diagram seen from the plane of the rice transplante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utomatic steering control.
Figure 30 is an explanatory diagram seen from the plane of the rice transplante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utomatic steering control.
31 is an explanatory diagram viewed from the plane of the rice transplanter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utomatic steering control.
Figure 32 is an explanatory diagram in plan view of the rice transplante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utomatic steering control.
Fig. 33 is a diagram showing the fourth embodiment (hereinafter the same applies to Fig. 42), and is a side view showing a rice transplanter as an example of an agricultural implement or agricultural vehicle.
Figure 34 is a top view showing a rice transplanter.
Figure 35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eering unit.
Figure 3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configuration related to automatic steering control.
Fig. 37 is a top view showing the surroundings of the meter panel.
Fig. 38 is an explanatory diagram viewed from the top illustrating the creation of a running line, etc.
Fig. 39 is an explanatory diagram viewed from the top illustrating the parallel displacement operation of the set travel line.
Figure 40 is a flowchart of parallel displacement control of a set travel line.
Fig. 4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configuration related to automatic steering control in another embodiment.
Fig. 42 is an explanatory diagram viewed from the top illustrating the parallel displacement operation of the set travel line in another embodiment.
Fig. 43 is a diagram showing the fifth embodiment (hereinafter the same applies to Fig. 49), and is a schematic diagram explaining the basic principles of vehicle control employed in paving work vehicles.
Figure 44 is a schematic diagram explaining the basic principles of vehicle control employed in paving work vehicles.
Figure 45 is a side view of a rice transplanter, which is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aving vehicle.
Figure 46 is a plan view of a rice transplanter, which is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aving vehicle.
Figure 4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teering system of the rice transplanter.
Figure 48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functions related to running control of the rice transplanter.
Fig. 49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recorded vehicle behavior.

[제1 실시 형태][First Embodiment]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농작업차 중 식파계 수전 작업차인 승용형 이앙기(「작업차」의 일례)에는, 주행 장치(A)를 갖는 주행 기체(C)와, 포장에 대한 작업을 행하는 작업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앙기의 작업 장치는, 포장에 대한 모의 식부가 가능한 모 식부 장치(W)이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화살표 F가 주행 기체(C)의 「전」, 화살표 B가 주행 기체(C)의 「후」, 화살표 L이 주행 기체(C)의 「좌」, 화살표 R이 주행 기체(C)의 「우」이다.As shown in FIGS. 1 to 3, a riding-type rice transplanter (an example of a “work vehicle”), which is a planting and transplanting work vehicle among agricultural work vehicles, includes a traveling body (C) having a traveling device (A), and a device for packaging. A working device for performing work is provided. The working device of the rice transplanter is a mother planting device (W) capable of simulated planting on the field. In addition, arrow F shown in FIG. 2 is the “front” of the traveling body C, arrow B is the “back” of the traveling body C, arrow L is the “left” of the traveling body C, and arrow R is the traveling body It is the “right” of (C).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 장치(A)로서는, 좌우 한 쌍의 전방 차륜(10)과 좌우 한 쌍의 후방 차륜(11)이 구비되어 있다. 주행 기체(C)에는, 주행 장치(A)에 있어서의 좌우의 전방 차륜(10)을 조향 가능한 조향 유닛(U)이 구비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traveling device A is provided with a pair of left and right front wheels 10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rear wheels 11. The traveling body C is equipped with a steering unit U capable of steering the left and right front wheels 10 of the traveling device A.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 기체(C)의 전방부에는, 개폐식 보닛(12)이 구비되어 있다. 보닛(12) 내에는, 엔진(13)이 구비되어 있다. 보닛(12)의 선단 위치에는, 지표 라인(LN)(도 6 참조)을 확인하기 위한 봉상의 센터 마스코트(14)가 구비되어 있다. 도 1,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 기체(C)에는,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프레임 형상의 기체 프레임(15)이 구비되어 있다. 기체 프레임(15)의 전방부에는, 지지 지주 프레임(16)이 기립 설치되어 있다.1 to 3, the front part of the traveling body C is provided with an openable bonnet 12. Within the bonnet 12, an engine 13 is provided. At the tip of the bonnet 12, a rod-shaped center mascot 14 is provided to identify the indicator line LN (see FIG. 6). As shown in FIGS. 1 and 3, the traveling body C is equipped with a frame-shaped body frame 15 extending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At the front of the fuselage frame 15, a support strut frame 16 is installed standing upright.

〔모 식부 장치에 대해〕[About mother planting device]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 식부 장치(W)는, 유압 실린더로 구성되는 승강 실린더(20)의 신축 작동에 의해 승강 작동하는 링크 기구(21)를 통해, 주행 기체(C)의 후단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mother planting device W is attached to the rear end of the traveling body C through a link mechanism 21 that moves up and down by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peration of the up and down cylinder 20 comprised of a hydraulic cylinder. It is connected so that it can be raised and lowered.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 식부 장치(W)에는, 4개의 전동 케이스(22), 각 전동 케이스(22)의 후방부의 좌측부 및 우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 케이스(23), 각 회전 케이스(23)의 양단부에 구비된 한 쌍의 로터리식 식부 암(24), 포장의 논바닥을 정지하는 복수의 정지 플로트(25), 식부용 매트 형상 모가 적재되는 모 적재대(26) 등이 구비되어 있다. 즉, 모 식부 장치(W)는, 8조 식부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1 and 2, the model device W includes four power cases 22 and a rotary case 23 rotatably suppor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ar part of each power case 22. ), a pair of rotary planting arms 24 provided at both ends of each rotation case 23, a plurality of stationary floats 25 for stopping the bottom of the field, a seedling loading stand on which mat-shaped seedlings for planting are loaded ( 26) etc. are provided. That is, the mother planting device W is configured in an 8-row planting format.

이와 같이 구성된 모 식부 장치(W)는, 모 적재대(26)를 좌우로 왕복 횡 이송 구동하면서, 전동 케이스(22)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각 회전 케이스(23)를 회전 구동하여, 모 적재대(26)의 하부로부터 각 식부 암(24)에 의해 교대로 모를 취출하여 포장의 논바닥에 식부하도록 되어 있다.The seedling device W configured in this way drives the seedling loading stand 26 to the right and left in a reciprocating lateral transfer, and rotates each rotary case 23 by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electric case 22, thereby carrying out seedling loading. Seedlings are alternately taken out from the lower part of the stand 26 by each planting arm 24 and planted on the bottom of the field.

〔예비 모 적재대에 대해〕〔About the spare mother loading stand〕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 기체(C)에 있어서의 보닛(12)의 좌우 측부에는, 모 식부 장치(W)에 보급하기 위한 예비 모를 적재 가능한 복수(예를 들어, 4개)의 통상 예비 모 적재대(28)(「예비 모 적재대」의 일례), 모 식부 장치(W)에 보급하기 위한 예비 모를 적재 가능한 하나의 레일식 예비 모 적재대(29)(「예비 모 적재대」의 일례)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주행 기체(C)에 있어서의 보닛(12)의 좌우 측부에는, 각 통상 예비 모 적재대(28)와 레일식 예비 모 적재대(29)를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예비 모 프레임(30)과, 좌우의 예비 모 프레임(30)의 상부에 걸쳐 연결되는 연결 프레임(31)이 구비되어 있다. 연결 프레임(31)은 전방면에서 보아, U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연결 프레임(31)의 좌우 단부는 각각, 연결 브래킷(32)을 통해, 좌우의 예비 모 프레임(30)의 상부에 연결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 to 3,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nnet 12 in the traveling body C, a plurality (for example, four) can be loaded with spare seedlings for supplying the seedling device W. )'s normal spare seedling loading stand 28 (an example of a "spare seedling loading stand"), a single rail-type spare seedling loading stand 29 ("spare seedling loading stand") capable of loading spare seedlings to be supplied to the seedling device W An example of a “loading platform”) is provided. In addition,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nnet 12 in the traveling body C, a pair of left and right spare mother frames 30 support each normal spare mother loading stand 28 and the rail-type spare mother loading stand 29. ) and a connection frame 31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left and right spare mother frames 30 are provided. The connection frame 31 is U-shaped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connecting frame 31 are connected to the upper parts of the left and right spare mother frames 30 through connecting brackets 32, respectively.

〔마커 장치에 대해〕〔About marker device〕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 식부 장치(W)의 좌우 측부에는, 각각 포장의 논바닥에 지표 라인(LN)(도 6, 도 7 참조)을 형성하기 위한 마커 장치(33)가 구비되어 있다. 좌우의 마커 장치(33)는 각각, 포장의 논바닥에 접지하여 주행 기체(C)의 주행에 수반하여 포장의 논바닥에 지표 라인(LN)을 형성하는 작용 자세 및 포장의 논바닥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격납 자세로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ther planting device W are each provided with a marker device 33 for forming an indicator line LN (see FIGS. 6 and 7) on the bottom of the field. there is. The left and right marker devices 33 each have an action posture of grounding the field bottom of the field and forming an indicator line LN on the bottom of the field along with the running of the traveling body C, and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field of the field. It is configured to be operated in a spaced storage position.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의 마커 장치(33)에는 각각,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모 식부 장치(W)에 지지된 마커 암(34)과, 마커 암(34)의 선단부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주위 방향으로 복수의 볼록부체를 갖는 회전체(35)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좌우의 마커 장치(33)를 작용 자세 및 격납 자세로 조작하는 마커용 전동 모터(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다. 각 마커 장치(33)는, 작용 자세로 함으로써, 주행 기체(C)의 조향에 수반하여 회전체(35)가 지면을 구름 이동하여, 상면에서 보아, 점선 형상의 지표 라인(LN)(도 6 참조)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left and right marker devices 33 each have a marker arm 34 supported on the model device W so as to be able to swing up and down, and the tip of the marker arm 34 can be freely rotated. A rotating body 35 having a plurality of convex bodi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provided. Additionally, a marker electric motor (not shown) is provided to operate the left and right marker devices 33 in the operating posture and the storage posture. Each marker device 33 is set to an operating posture, so that the rotating body 35 rolls across the ground as the traveling body C is steered, forming a dotted index line LN when viewed from the top (FIG. 6 reference).

〔운전부에 대해〕〔About the driver〕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 기체(C)의 중앙부에는, 각종 운전 조작이 행해지는 운전부(40)가 구비되어 있다. 운전부(40)에는, 운전자가 착석 가능한 운전 좌석(41), 조종 탑(42), 전방 차륜(10)의 수동의 조향 조작용 스티어링 휠에 의해 구성되는 조향 핸들(43), 전후진의 전환 조작이나 주행 속도를 변경 조작이 가능한 주 변속 레버(44), 조작 레버(45) 등이 구비되어 있다. 운전 좌석(41)은, 주행 기체(C)의 중앙부에 구비되어 있다. 조종 탑(42)에, 조향 핸들(43), 주 변속 레버(44), 조작 레버(45) 등이 조작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운전부(40)의 발밑 부위에는, 탑승 스텝(46)이 설치되어 있다. 탑승 스텝(46)의 좌우의 외측 위치에는, 보조 스텝(47)이 설치되어 있다. 보닛(12)의 좌우 양측에는, 탑승 스텝(46)에 단차 없이 이어지는 승강 통로로서의 승강 스텝(48)이 설치되어 있다. 승강 스텝(48)의 횡외측에, 좌우의 예비 모 프레임(30)이 각각 배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central portion of the traveling body C is provided with an operating unit 40 that performs various driving operations. The driving unit 40 includes a driver's seat 41 on which the driver can sit, a control tower 42, a steering wheel 43 configured by a steering wheel for manual steering operation of the front wheels 10, and a forward/backward switching operation. A main shift lever 44 and a control lever 45 that can change the driving speed are provided. The driver's seat 41 is provided in the central part of the traveling body C. The control tower 42 is provided with a steering handle 43, a main shift lever 44, an operation lever 45, etc. to be operable. A boarding step 46 is installed at the foot of the driving unit 40. Auxiliary steps 47 are installed at positions outside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arding step 46.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nnet 12, a lifting step 48 is provided as an elevating passage that continues without steps to the boarding step 46. Left and right spare mother frames 30 are disposed laterally outside the lifting step 48, respectively.

〔조작 레버에 대해〕[About the operation lever]

도 2, 도 3에 도시된 조작 레버(45)는, 조향 핸들(43)의 하측의 우측 옆에 구비되어 있다. 상세한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조작 레버(45)는 중립 위치로부터, 상방의 상승 위치, 하방의 하강 위치, 후방의 우측 마커 위치 및 전방의 좌측 마커 위치의 십자 방향으로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고, 중립 위치로 가압되고 있다.The operation lever 45 shown in FIGS. 2 and 3 is provided on the lower right side of the steering wheel 43.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the operation lever 45 is configured to be operable in the cross directions of the upper rising position, the lower falling position, the rear right marker position, and the front left marker position from the neutral position, and is moved to the neutral position. It is pressurized.

조작 레버(45)를 상승 위치로 조작하면, 식부 클러치(도시하지 않음)가 차단 상태로 조작되어, 모 식부 장치(W)가 상승하고, 좌우의 마커 장치(33)(도 1 참조)가 격납 자세로 조작된다. 조작 레버(45)를 하강 위치로 조작하면, 식부 클러치(도시하지 않음)가 차단 상태로 조작되고, 좌우의 마커 장치(33)가 격납 자세로 조작되어, 모 식부 장치(W)가 하강한다. 중앙의 정지 플로트(25)가 포장의 논바닥에 접지하면, 모 식부 장치(W)가 포장의 논바닥에 접지하여 정지한 상태로 된다.When the operation lever 45 is operated to the upward position, the planting clutch (not shown) is operated in the blocked state, the mother planting device W rises, and the marker devices 33 on the left and right (see Fig. 1) are stored. It is manipulated by posture. When the operation lever 45 is operated to the lowered position, the planting clutch (not shown) is operated in the blocked state, the marker devices 33 on either side are operated in the storage posture, and the mother planting device W is lowered. When the central stationary float 25 is grounded on the bottom of the field, the seedling device W is grounded on the bottom of the field and is stopped.

조작 레버(45)를 우측 마커 위치로 조작하면, 우측의 마커 장치(33)가 격납 자세로부터 작용 자세로 된다. 조작 레버(45)를 좌측 마커 위치로 조작하면, 좌측의 마커 장치(33)가 격납 자세로부터 작용 자세로 된다.When the operation lever 45 is operated to the right marker position, the marker device 33 on the right side changes from the storage posture to the operating posture. When the operation lever 45 is operated to the left marker position, the left marker device 33 changes from the storage posture to the operating posture.

운전부(40)의 조종 탑(42)에는, 압박 조작식 자동 조향 스위치(50)(도 5 참조)가 구비되어 있다. 자동 조향 스위치(50)는, 조향 유닛(U)의 자동 조향의 온 오프의 전환 조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주 변속 레버(44)에는, 조향 유닛(U)의 자동 조향 제어에 사용하는 티칭 방향(TA)(도 6 참조)을 등록하기 위한 등록 스위치(52)(도 5 참조)가 구비되어 있다. 등록 스위치(52)에는, 압박 조작식 제1 등록 버튼(52A)과, 압박 조작식 제2 등록 버튼(52B)이 구비되어 있다.The control tower 42 of the operation unit 40 is equipped with a press-operated automatic steering switch 50 (see FIG. 5). The automatic steering switch 50 is configured to enable switching between on and off the automatic steering of the steering unit U. In addition, the main shift lever 44 is provided with a registration switch 52 (see FIG. 5) for registering the teaching direction TA (see FIG. 6) used for automatic steering control of the steering unit U. . The registration switch 52 is provided with a press-operated first registration button 52A and a press-operated second registration button 52B.

〔조향 유닛에 대해〕[About the steering unit]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향 유닛(U)에는, 상술한 조향 핸들(43), 조향 핸들(43)에 연동 연결되는 스티어링 조작 축(54), 스티어링 조작 축(54)의 회전에 수반하여 요동하는 피트먼 암(55), 피트먼 암(55)에 연동 연결되는 좌우의 연계 기구(56), 스티어링 모터(58), 스티어링 조작 축(54)에 스티어링 모터(58)를 연동 연결하는 기어 기구(57) 등이 구비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the steering unit U includes the above-described steering handle 43, a steering operation shaft 54 linked to the steering handle 43, and rotation of the steering operation shaft 54. The oscillating pitman arm 55, the left and right linkage mechanisms 56 linked to the pitman arm 55, the steering motor 58, and the gear linking the steering motor 58 to the steering operation shaft 54. The apparatus 57 and the like are provided.

스티어링 조작 축(54)은, 피트먼 암(55), 좌우의 연계 기구(56)를 통해, 좌우의 전방 차륜(10)에 각각 연동 연결되어 있다. 스티어링 조작 축(54)의 회전량은, 스티어링 조작 축(54)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로터리 인코더로 이루어지는 조향각 센서(60)(도 5 참조)에 의해 검출되도록 되어 있다.The steering operation shaft 54 is interlocked with the left and right front wheels 10 through the Pitman arm 55 and the left and right linkage mechanisms 56, respectively. The rotation amount of the steering operation shaft 54 is detected by a steering angle sensor 60 (see FIG. 5) consisting of a rotary encoder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teering operation shaft 54.

조향 유닛(U)의 수동 조향을 행하는 경우에는, 운전자가 조향 핸들(43)을 조작하는 조작력에, 스티어링 모터(58)에 의한 조향 핸들(43)의 조작에 따른 보조력을 부여하여 스티어링 조작 축(54)을 회전 조작하여, 전방 차륜(10)의 조향 각도를 변경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조향 유닛(U)의 자동 조향을 행하는 경우에는, 스티어링 모터(58)를 구동하여, 스티어링 모터(58)의 구동력에 의해 스티어링 조작 축(54)을 회전 조작하여, 전방 차륜(10)의 조향 각도를 변경하도록 되어 있다.When performing manual steering of the steering unit (U), the steering operation axis By rotating 54, the steering angle of the front wheel 10 is changed. On the other hand, when performing automatic steering of the steering unit U, the steering motor 58 is driven, the steering operation shaft 54 is rotat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steering motor 58, and the front wheel 10 is rotated. It is designed to change the steering angle.

〔수신 장치를 갖는 계측 유닛과 관성 계측 장치에 대해〕[About measurement units and inertial measurement devices with receiving devices]

도 1 내지 도 3,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 기체(C)에는, 위성 측위 시스템에 의해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수신 장치(63) 및 주로, 주행 기체(C)의 기울기(피치각, 롤각)를 검출 가능한 부 관성 계측 장치(64)를 갖는 계측 유닛(61)과, 관성 정보를 계측하는 주 관성 계측 장치(62)(「관성 계측 장치」에 상당)가 구비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 to 3 and FIG. 5 , the traveling body C is equipped with a receiving device 63 that acquires position information by a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and mainly the inclination (pitch angle, It is provided with a measurement unit 61 having a secondary inertial measurement device 64 capable of detecting the roll angle, and a main inertial measurement device 62 (corresponding to an “inertial measurement device”) that measures inertial information.

주 관성 계측 장치(62) 및 부 관성 계측 장치(64)는 각각, IMU(Inertial Measurement Unit)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The main inertial measurement unit 62 and the sub-inertial measurement unit 64 are each comprised of an IMU (Inertial Measurement Unit).

수신 장치(63) 및 부 관성 계측 장치(64)를 갖는 계측 유닛(61)과, 주 관성 계측 장치(62)는 주행 기체(C)에 있어서의 상이한 개소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수신 장치(63) 및 부 관성 계측 장치(64)를 갖는 계측 유닛(61)과, 주 관성 계측 장치(62)는 주행 기체(C)에 있어서의 좌우 중심선(CL) 상에 배치되어 있다.The measurement unit 61 having the receiving device 63 and the sub-inertial measurement device 64, and the main inertial measurement device 62 are arranged at different locations in the traveling body C. In addition, the measurement unit 61 having the receiving device 63 and the sub-inertial measurement device 64, and the main inertial measurement device 62 are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center lines CL of the traveling body C. .

상술한 위성 측위 시스템(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에는, 그 대표적인 것으로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들 수 있다. GPS는, 지구의 상공을 주회하는 복수의 GPS 위성이나, GPS 위성의 추적과 관제를 행하는 관제국이나, 측위를 행하는 대상(주행 기체(C))이 구비하는 수신 장치(63)를 사용하여 수신 장치(63)의 위치를 계측하는 것이다. 수신 장치(63)는, 위성 측위 시스템에 의해 주행 기체(C)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 사용된다.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above-described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is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uses a receiving device 63 provided by a plurality of GPS satellites orbiting the skies of the Earth, a control station that tracks and controls GPS satellites, or an object that performs positioning (traveling aircraft C). The purpose is to measure the position of (63). The receiving device 63 is used to acquir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traveling body C by a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 장치(63)를 갖는 계측 유닛(61)은, 판상의 지지 플레이트(65)를 통해, 연결 프레임(31)에 설치되어 있다. 수신 장치(63)를 갖는 계측 유닛(61)은, 주행 기체(C)의 전방부 위치(특히, 전방 차륜(10)보다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주행 기체(C)가 진행 방위를 변경한 경우에는, 주행 기체(C)의 후단 위치와 비교하여 주행 기체(C)의 전방부 위치의 쪽이 좌우 방향으로의 변위량이 커, 수신 장치(63)에 의해 취득되는 주행 기체(C)의 자기 위치(NM)의 변화를 고감도로 검지할 수 있다.1 to 3, the measurement unit 61 including the receiving device 63 is installed on the connection frame 31 via a plate-shaped support plate 65. The measurement unit 61 having the receiving device 63 is disposed at a front position of the traveling body C (particularly ahead of the front wheels 10). For this reason, when the traveling body C changes the direction of travel, the amount of displacemen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larger at the front position of the traveling body C compared to the rear end position of the traveling body C, and the receiving device The change in self-position (NM) of the traveling body C acquired by (63) can be detected with high sensitivity.

도 3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프레임(31)은, 수신 장치(63)를 갖는 계측 유닛(61)이 예비 모 프레임(30)의 상단부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사용 상태(S1)와, 사용 상태(S1)에 대해 상하 반전하여, 수신 장치(63)가 예비 모 프레임(30)의 상단부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격납 상태(S2)로 상태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설명을 추가하면, 연결 프레임(31)은, 좌우 방향을 따르는 좌우 축심(X)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또한 연결 브래킷(32)에 의해, 사용 상태(S1)와 격납 상태(S2)의 각 상태에서 위치 고정 가능하게, 좌우의 예비 모 프레임(30)에 지지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and the like, the connection frame 31 has a use state (S1) in which the measurement unit 61 having the receiving device 63 is located above the upper end of the spare mother frame 30, and a use state.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state to a storage state (S2) in which the reception device 63 is located below the upper end of the spare mother frame 30 by inverting the state (S1). To add explanation, the connection frame 31 is rotatable around the left and right axis It is supported on the left and right spare mother frames 30 so that the position can be fixed.

도 1, 도 3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프레임(31)을 사용 상태(S1)로 함으로써, 수신 장치(63)가, 연결 프레임(31)과 예비 모 프레임(30)에 의해 높은 개소에 지지되는 것이 되므로, 주행 기체(C)의 주행에 수반하여, 예비 모 프레임(30)과 연결 프레임(31)의 휨에 의해, 수신 장치(63)가 요동하기 쉬워, 수신 장치(63)에 의해 취득되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는 주행 기체(C)의 자기 위치(NM)나 자기 방위(NA)의 검출을 고정밀도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연결 프레임(31)을 사용 상태(S1)로 함으로써, 수신 장치(63)가 주행 기체(C)에 있어서의 최상위의 개소에 위치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수신 장치(63)의 전파의 수신 감도를 높일 수 있어, 수신 장치(63)에 전파 장해가 발생하기 어려운 것이 된다.As shown in FIGS. 1, 3, etc., when the connection frame 31 is in the use state (S1), the reception device 63 is supported at a high location by the connection frame 31 and the spare mother frame 30. Therefore, as the traveling body C travels, the receiving device 63 is liable to shake due to bending of the spare mother frame 30 and the connecting frame 31, and the information is acquired by the receiving device 63. Detection of the self-position (NM) and self-azimuth (NA) of the traveling body C based on the positional information can be performed with high precision. Furthermore, by putting the connecting frame 31 in the use state (S1), the receiving device 63 is positioned at the highest position in the traveling body C, so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radio wave of the receiving device 63 can be increased, making it difficult for radio wave interference to occur in the receiving device 63.

도 2,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측 유닛(61)의 수신 장치(63)에는, 하니스(66)를 접속하는 커넥터부(67)가 구비되어 있다. 커넥터부(67)는, 계측 유닛(61)의 수신 장치(63)로부터 좌우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하니스(66)는, 연결 프레임(31), 예비 모 프레임(30)을 따르게 하여 부설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부(67)를 보호하는 가드 부재(68)가 구비되어 있다. 가드 부재(68)는, 지지 플레이트(65)에 설치되어 있다. 가드 부재(68)는 커넥터부(67)의 전방측을 보호하도록 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receiving device 63 of the measurement unit 61 is provided with a connector portion 67 for connecting the harness 66. The connector portion 67 extends outwar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from the receiving device 63 of the measurement unit 61. The harness 66 is laid along the connecting frame 31 and the spare mother frame 30. Additionally, a guard member 68 is provided to protect the connector portion 67. The guard member 68 is installed on the support plate 65. The guard member 68 is designed to protect the front side of the connector portion 67.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 관성 계측 장치(62)는, 주행 기체(C) 및 모 식부 장치(W)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전체 길이 중 전후 방향 중심의 근방의 개소에 배치되어 있다. 설명을 추가하면, 주 관성 계측 장치(62)는, 주행 기체(C)의 진행 방향의 선회 중심(주행 기체(C)의 요 축의 축심)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main inertial measurement device 62 is disposed at a location near the center in the front-back direction among the entire length of the traveling body C and the model device W in the front-back direction. To further explain, the main inertial measurement device 62 is disposed near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traveling body C (the axis center of the yaw axis of the traveling body C).

구체적으로는, 주행 기체(C)의 후방부에는, 후방 차륜(11)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후방 차축(7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후방 차축 프레임(73)(「설치 부재」에 상당)이 구비되어 있다. 후방 차축 프레임(73)은, 주행 장치(A)의 후방 차축(72)의 근방에 위치하는 강성을 갖는 부재로 되어 있다. 주 관성 계측 장치(62)는, 이 후방 차축 프레임(73)에 설치되어 있다.Specifically, at the rear of the traveling body C, there is a rear axle frame 73 (equivalent to an “installation member”) that rotatably supports the rear axle 72 that transmits the driving force to the rear wheels 11. It is provided. The rear axle frame 73 is a rigid member located near the rear axle 72 of the traveling device A. The main inertial measurement device 62 is installed on this rear axle frame 73.

설명을 추가하면,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 관성 계측 장치(62)는, 모 식부 장치(W)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주 관성 계측 장치(62)는, 운전 좌석(41)의 후방측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Adding explanation,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main inertial measurement device 62 is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mother planting device W. Additionally, the main inertial measurement device 62 is located below the rear side of the driver's seat 41.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 관성 계측 장치(62)에는, 주로, 주행 기체(C)의 요 각도(주행 기체(C)의 선회 각도)의 각속도를 검출 가능한 자이로 센서(70)와, 서로 직교하는 3축 방향의 가속도를 검출 가능한 가속도 센서(71)가 구비되어 있다. 즉, 주 관성 계측 장치(62)에 의해 계측되는 관성 정보에는, 자이로 센서(70)에 의해 검출되는 방위 변화 정보와, 가속도 센서(71)에 의해 검출되는 위치 변화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주 관성 계측 장치(62)를 주행 기체(C)의 진행 방향의 선회 중심의 근방에 배치하고 있다는 점에서, 자이로 센서(70)에 발생하는 방위 변화 정보의 적산 오차를 작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짐과 함께, 가속도 센서(71)에 의한 위치 변화 정보의 검출 정밀도가 높은 것으로 된다.As shown in FIG. 5, the main inertial measurement device 62 mainly includes a gyro sensor 70 capable of detecting the angular velocity of the yaw angle of the traveling body C (turning angle of the traveling body C), and An acceleration sensor 71 capable of detecting acceleration in three orthogonal axes directions is provided. That is, the inertial information measured by the main inertial measurement device 62 includes azimuth chang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gyro sensor 70 and position chang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71.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main inertial measurement device 62 is placed near the center of rotation in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traveling vehicle C, the integration error of the azimuth change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gyro sensor 70 is suppressed to a small level. This becomes possible, and the detection accuracy of the position change information by the acceleration sensor 71 becomes high.

〔제어 구성에 대해〕[About control configuration]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 기체(C)에는, 조향 유닛(U)의 자동 조향에 대한 제어를 행하는 제어 장치(75)가 구비되어 있다. 제어 장치(75)에는, 정보 기억부(76)와, 티칭 기억부(77)와, 선회 검출부(78)와, 개시 판정부(79)와, 정보 보정부(80)와, 주행 기체(C)를 주행시키는 목표 라인(LM)을 생성하는 생성부(81)와, 상태 검출부(82)와, 위치 정보 및 관성 정보에 기초하여, 주행 기체(C)가 목표 라인(LM)을 따라 주행하도록 조향 유닛(U)을 제어하는 제어부(83)가 구비되어 있다.As shown in FIG. 5, the traveling body C is equipped with a control device 75 that controls automatic steering of the steering unit U. The control device 75 includes an information storage unit 76, a teaching storage unit 77, a turning detection unit 78, a start determination unit 79, an information correction unit 80, and a traveling body (C ), a generating unit 81 for generating a target line LM for traveling, a state detecting unit 82, and, based on positional information and inertial information, causing the traveling body C to travel along the target line LM. A control unit 83 that controls the steering unit (U) is provided.

제어 장치(75)에는, 수신 장치(63)와, 부 관성 계측 장치(64)와, 주 관성 계측 장치(62)에 있어서의 자이로 센서(70), 가속도 센서(71), 조향각 센서(60), 자동 조향 스위치(50), 등록 스위치(52) 등의 정보가 입력되어 있다.The control device 75 includes a receiving device 63, a sub-inertial measurement device 64, and a gyro sensor 70, an acceleration sensor 71, and a steering angle sensor 60 in the main inertial measurement device 62. , information such as the automatic steering switch 50 and the registration switch 52 is input.

정보 기억부(76)는, 수신 장치(63)로부터 취득되는 위치 정보를, 시간마다 기억해 가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information storage unit 76 is configured to store the positional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receiving device 63 every time.

티칭 기억부(77)는, 등록 스위치(52)의 조작에 기초하여, 정보 기억부(76)에 기억된 위치 정보 중 2점의 위치 정보를 사용하여, 티칭 방향(TA)을 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teaching storage unit 77 is configured to calculate the teaching direction TA using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wo points among the positio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76, based on the operation of the registration switch 52. there is.

선회 검출부(78)는, 조향각 센서(60)로부터 입력되는 조향 유닛(U)의 스티어링 조작 축(54)의 조향각 정보에 기초하여, 주행 기체(C)의 선회 개시 및 주행 기체(C)의 선회 종료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turning detection unit 78 starts turning of the traveling body C and starts turning of the traveling body C based on the steering angle information of the steering operation axis 54 of the steering unit U input from the steering angle sensor 60. It is configured to detect termination.

개시 판정부(79)는, 주행 기체(C)의 자동 조향 제어를 개시하는지 여부의 판정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start determination unit 79 is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o start automatic steering control of the traveling body C.

정보 보정부(80)는, 주행 기체(C)의 자동 조향 제어의 개시마다, 주 관성 계측 장치(62)에 의해 계측되는 관성 정보 중 자이로 센서(70)에 의해 검출되는 정보의 적산 오차를, 수신 장치(63)에 의해 취득되는 위치 정보 및 부 관성 계측 장치(64)에 의해 계측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보정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information correction unit 80 calculates the integrated error of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gyro sensor 70 among the inertial information measured by the main inertial measurement device 62 every time the automatic steering control of the traveling machine C is started, It is configured to perform correction processing based on the positional information acquired by the receiving device 63 and th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ub-inertial measurement device 64.

생성부(81)는, 티칭 방향(TA)과, 주행 기체(C)의 자동 조향 제어의 개시 시의 자기 위치(NM) 및 자기 방위(NA)에 기초하여 목표 라인(LM)을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generating unit 81 is configured to generate the target line LM based on the teaching direction TA and the magnetic position NM and magnetic heading NA at the start of automatic steering control of the traveling body C. It is done.

상태 검출부(82)는, 주행 기체(C)의 자동 조향 제어 중에, 주행 기체(C)의 자기 위치(NM)와 목표 라인(LM)의 거리 편차(어긋남 거리)와, 주행 기체(C)의 자기 방위(NA)와 티칭 방향(TA)의 각도 편차(어긋남 각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During automatic steering control of the traveling body C, the state detection unit 82 determines the distance difference (deviation distance) between the self-position NM of the traveling body C and the target line LM and the It is configured to detect the angular deviation (misalignment angle) between the magnetic direction (NA) and the teaching direction (TA).

제어부(83)는, 상태 검출부(82)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조향 유닛(U)의 스티어링 모터(58)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control unit 83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steering motor 58 of the steering unit U based 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state detection unit 82.

〔자동 조향 제어에 대해〕[About automatic steering control]

일례로서, 상면에서 보아 사각형의 수전에 있어서 모의 식부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As an example, a case where a mock planting operation is performed on a rectangular faucet viewed from the top will be described.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주행 기체(C)를 포장 내의 두렁가의 어느 제1 위치(Q1)에 위치시키고, 등록 스위치(52)의 제1 등록 버튼(52A)(도 5 참조)을 조작한다. 그리고, 모 식부 장치(W)를 상승시키고, 또한 정지 플로트(25)를 접지시킨 상태에서, 제1 위치(Q1)로부터 측부측의 두렁가의 직선 형상을 따라, 주행 기체(C)를 직진 주행시켜, 반대측의 두렁가 부근의 제2 위치(Q2)까지 이동시키고 나서, 등록 스위치(52)의 제2 등록 버튼(52B)(도 5 참조)을 조작한다. 이에 의해, 제1 위치(Q1)에 있어서 수신 장치(63)에 의해 취득된 위치 정보와 제2 위치(Q2)에 있어서 수신 장치(63)에 의해 취득된 위치 정보로부터, 제1 위치(Q1)와 제2 위치(Q2)를 연결하는 방향인 티칭 방향(TA)이 생성된다.As shown in Fig. 6, first, the traveling body C is placed at a certain first position Q1 on the edge of the pavement, and the first registration button 52A of the registration switch 52 (see Fig. 5) is pressed. Manipulate. Then, in a state where the model device W is raised and the stationary float 25 is grounded, the traveling body C is driven straight along the straight line of the ridge on the side from the first position Q1. , move it to the second position Q2 near the ridge on the opposite side, and then operate the second registration button 52B (see FIG. 5) of the registration switch 52. Accordingly, from the positional information acquired by the receiving device 63 at the first position Q1 and the positional information acquired by the receiving device 63 at the second position Q2, the first position Q1 A teaching direction (TA), which is a direction connecting the and the second position (Q2), is created.

다음으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향 핸들(43)의 조작에 의해, 주행 기체(C)를 수동으로 선회시킨다. 조향각 센서(60)에 의해, 주행 기체(C)의 선회 개시가 검출되면, 모 식부 장치(W), 정지 플로트(25), 마커 장치(33)가 포장의 논바닥으로부터 자동적으로 상승된다. 주행 기체(C)의 선회가 종료되면, 주행 기체(C)의 선회 종료 위치(Q3)가, 조향각 센서(60)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검출된다.Next, as shown in FIG. 6, the traveling body C is manually turned by operating the steering handle 43. When the start of turning of the traveling body C is detected by the steering angle sensor 60, the mother planting device W, the stationary float 25, and the marker device 33 are automatically raised from the bottom of the field. When the turning of the traveling body C ends, the turning end position Q3 of the traveling body C is detected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teering angle sensor 60.

주행 기체(C)의 선회 종료 위치(Q3)가 검출되고 나서 일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또한 자기 방위(NA)와 티칭 방향(TA)의 어긋남 각도가 소정 범위 내로 될 때까지, 자동 조향 스위치(50)의 조작 입력을 받아들이지 않는 불감대가 설정되어 있다. 즉, 주행 기체(C)의 상태가 불감대에 있는 동안은, 자동 조향 스위치(50)가 조작되어도 자동 조향 제어는 개시되지 않는다. 주행 기체(C)의 상태가 불감대에 있는 동안에, 운전자는, 센터 마스코트(14)의 선단부를 보는 시선의 끝에, 지표 라인(LN)이 합치하도록 조향 유닛(U)을 수동 조향하여, 주행 기체(C)의 위치 정렬을 행할 수 있다.Automatic steering switch until a certain period of time elapses after the turning end position (Q3) of the traveling aircraft (C) is detected and until the angle of deviation between the magnetic heading (NA) and the teaching direction (TA) fall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 dead zone is set that does not accept the operation input of (50). That is, while the state of the traveling body C is in the dead zone, automatic steering control is not started even if the automatic steering switch 50 is operated. While the state of the traveling body C is in the dead zone, the driver manually steers the steering unit U so that the indicator line LN coincides with the end of the line of sight looking at the tip of the center mascot 14, Position alignment of (C) can be performed.

그리고 주행 기체(C)의 상태가 불감대를 벗어나면, 자동 조향 스위치(50)의 조작 입력이 받아들여져, 자동 조향 스위치(50)가 조작되면, 제어 개시 위치(Q4)에 있어서 수신 장치(63)에 있어서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는 주행 기체(C)의 자기 위치(NM), 자기 방위(NA)가 기억된다. 그리고 수신 장치(63)가 설치되어 있는 위치로부터, 주행 기체(C)의 자기 방위(NA)의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개소로부터, 티칭 방향(TA)과 평행한 직선 형상의 목표 라인(LM)이 생성된다. 이와 함께, 주 관성 계측 장치(62)에 의해 계측되는 정보가, 수신 장치(63)에 의해 취득된 자기 위치(NM)의 위치 정보 및 수신 장치(63)에 의해 취득된 자기 위치(NM)의 위치 정보와 직전 위치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된 자기 방위(NA)에 기초하여 보정된다.Then, when the state of the traveling body C is outside the dead zone, the operation input of the automatic steering switch 50 is accepted, and when the automatic steering switch 50 is operated, the receiving device 63 at the control start position Q4 ) The self-position (NM) and magnetic direction (NA) of the traveling body C based on the positional information in ) are stored. And a straight target line LM parallel to the teaching direction TA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osition where the receiving device 63 is installed in the direction of the self-azimuth NA of the traveling body C. This is created. At the same time, th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main inertial measurement device 62 include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elf-position (NM) acquired by the receiving device 63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elf-position (NM) acquired by the receiving device 63. Correction is made based on the magnetic heading (NA) calculated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revious position.

또한, 도 6에서는, 도시의 사정상, 마커 장치(33)에 의해 형성된 지표 라인(LN)과, 목표 라인(LM)을 조금 어긋나게 하고 있지만, 실제는, 운전자의 시선이, 센터 마스코트(14)의 선단부와 지표 라인(LN)이 일치하도록 수동의 위치 정렬이 행해지므로, 지표 라인(LN)과 대략 일치하도록 목표 라인(LM)이 생성된다.Furthermore, in FIG. 6 , due to urban conditions, the indicator line LN formed by the marker device 33 and the target line LM are slightly shifted, but in reality, the driver's gaze is directed toward the center mascot 14. Since manual position alignment is performed so that the distal end coincides with the index line LN, the target line LM is created to approximately coincide with the index line LN.

그리고 이와 함께, 주로 주 관성 계측 장치(62)에 기초하는, 주행 기체(C)의 자동 조향 제어가 개시된다. 즉, 자동 조향 제어에 있어서는, 주 관성 계측 장치(62)가 주로 사용되고, 수신 장치(63)가 주 관성 계측 장치(62)의 보정용으로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개시 위치(Q4)에 있어서의 수신 장치(63)에 의해 취득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는 자기 위치(NM)와 자기 방위(NA)와, 주 관성 계측 장치(62)의 자이로 센서(70)에 의해 계측되는 각속도를 적분 처리하여 구해지는 방위 변화 정보와, 주 관성 계측 장치(62)의 가속도 센서(71)에 의해 계측되는 가속도를 적분 처리하여 구해지는 위치 변화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의 자기 위치(NM)나 자기 방위(NA)를 구한다. 그리고 현재의 자기 위치(NM)나 자기 방위(NA)가, 목표 라인(LM), 티칭 방향(TA)과 합치하도록 조향 유닛(U)의 자동 조향이 행해지고, 주행 기체(C)의 자동 조향 제어가 행해진다.And along with this, automatic steering control of the traveling body C, mainly based on the main inertial measurement device 62, is initiated. That is, in automatic steering control, the main inertial measurement device 62 is mainly used, and the receiving device 63 is used for correction of the main inertial measurement device 62. Specifically, the magnetic position (NM) and magnetic heading (NA) based on the positional information acquired by the receiving device 63 at the control start position Q4, and the gyro sensor of the main inertial measurement device 62 Based on azimuth change information obtained by integrating the angular velocity measured by (70) and position change information obtained by integrating the acceleration measur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71 of the main inertial measurement device 62, Find the current magnetic position (NM) or magnetic heading (NA). Then, automatic steering of the steering unit U is performed so that the current magnetic position (NM) and magnetic direction (NA) coincide with the target line (LM) and teaching direction (TA), and automatic steering control of the traveling body C is performed. is done.

주행 기체(C)의 자동 조향 제어 중에, 자기 방위(NA)와 티칭 방향(TA)의 각도 편차(어긋남 각도)가 없고, 자기 위치(NM)와 목표 라인(LM)의 거리 편차(어긋남 거리)가 없는 경우, 조향 유닛(U)은 조향 제어되지 않는다.During automatic steering control of the traveling machine C, there is no angle deviation (misalignment angle) between the magnetic heading (NA) and the teaching direction (TA), and there is no distance deviation (deviation distance) between the magnetic position (NM) and the target line (LM). If there is no, the steering unit (U) is not steered.

또한, 주행 기체(C)의 자동 조향 제어 중에, 자기 방위(NA)와 티칭 방향(TA)의 각도 편차(어긋남 각도)가 있고, 자기 위치(NM)와 목표 라인(LM)의 거리 편차(어긋남 거리)가 없는 경우, 조향 유닛(U)은, 자기 방위(NA)와 티칭 방향(TA)의 각도 편차(어긋남 각도)를 없애는 방향으로 조향 제어된다.Additionally, during automatic steering control of the traveling body C, there is an angle deviation (misalignment angle) between the magnetic heading (NA) and the teaching direction (TA), and a distance deviation (deviation angle) between the magnetic position (NM) and the target line (LM). When there is no distance, the steering unit U is controlled to steer in a direction that eliminates the angle deviation (misalignment angle) between the magnetic direction NA and the teaching direction TA.

또한, 주행 기체(C)의 자동 조향 제어 중에, 자기 방위(NA)와 티칭 방향(TA)의 각도 편차(어긋남 각도)가 있고, 자기 위치(NM)와 목표 라인(LM)의 거리 편차(어긋남 거리)가 있는 경우에는, 조향 유닛(U)은, 자기 방위(NA)와 티칭 방향(TA)의 각도 편차(어긋남 각도)를 없애는 방향으로 조향 제어된다.Additionally, during automatic steering control of the traveling body C, there is an angle deviation (misalignment angle) between the magnetic heading (NA) and the teaching direction (TA), and a distance deviation (deviation angle) between the magnetic position (NM) and the target line (LM). When there is a distance, the steering unit U is controlled to steer in a direction that eliminates the angle deviation (misalignment angle) between the magnetic direction NA and the teaching direction TA.

또한, 주행 기체(C)의 자동 조향 제어 중에, 자기 방위(NA)와 티칭 방향(TA)의 각도 편차(어긋남 각도)가 없고, 자기 위치(NM)와 목표 라인(LM)의 거리 편차(어긋남 거리)가 있는 경우, 조향 유닛(U)은, 자기 위치(NM)와 목표 라인(LM)의 거리 편차(어긋남 거리)를 없애는 방향으로 조향 제어된다.Additionally, during automatic steering control of the traveling body C, there is no angle deviation (misalignment angle) between the magnetic heading (NA) and the teaching direction (TA), and there is no distance deviation (deviation angle) between the magnetic position (NM) and the target line (LM). If there is a distance), the steering unit U is controlled to steer in a direction that eliminates the distance deviation (deviation distance) between its own position NM and the target line LM.

이에 의해, 주행 기체(C)가, 목표 라인(LM)을 따라 정확하게 주행하는 것이 된다.Thereby, the traveling body C travels accurately along the target line LM.

이와 같이, 주행 기체(C)의 자동 조향 제어 중에는, 수신 장치(63)에 의해 취득되는 위치 정보가 필수는 아니므로, 가령, 주행 기체(C)의 자동 조향 제어 중에, 수신 장치(63)에 전파 장해 등이 발생한 경우라도, 주 관성 계측 장치(62)에 의해 계측되는 관성 정보에 기초하여 주행 기체(C)의 자동 조향 제어를 계속할 수 있어, 모 식부 장치(W)에 의한 모의 식부를 목표 라인(LM)을 따라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In this way, during automatic steering control of the traveling body C, the position information acquired by the receiving device 63 is not essential, so for example, during automatic steering control of the traveling body C, the positioning information acquired by the receiving device 63 is not essential. Even when radio wave interference, etc. occurs, automatic steering control of the traveling body C can be continued based on the inertial information measured by the main inertial measurement device 62, and the goal is simulated planting by the model planting device W. It can be done accurately along the line (LM).

그리고 주행 기체(C)가 두렁가에 접근하면, 운전자가 자동 조향 스위치(50)를 조작함으로써, 주행 기체(C)의 자동 조향 제어가 정지되고, 수동 조향으로 전환된다. 그리고 두렁가에서 마찬가지로 선회 조작을 행하고, 마찬가지의 조작을 반복하여, 포장에의 모의 식부를 행해 간다. 이에 의해, 운전자는, 모 식부 장치(W)에 의한 포장에의 모의 식부 중에 조향 핸들(43)의 수동 조작을 행할 필요가 없어, 모의 식부 작업을, 더 정확하게, 더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And when the traveling body C approaches the ridge, the driver operates the automatic steering switch 50, so that the automatic steering control of the traveling body C is stopped and switched to manual steering. Then, a similar turning operation is performed at the edge of the ridge, the same operation is repeated, and a mock planting is performed on the field. Thereby, the driver does not need to manually operate the steering wheel 43 during mock planting on the field by the mock planting device W, and can perform the mock planting work more accurately and more simply.

〔자기 위치의 설정에 대해〕〔About setting your own location〕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 장치(63)는, 주행 기체(C)의 전방부에 배치되어 있지만, 데이터 처리의 기준이 되는 자기 위치(NM)는, 수신 장치(63)의 실제의 설치 위치가 아니라, 주 관성 계측 장치(62)의 근방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 데이터 처리의 기준이 되는 자기 위치(NM)의 설정은, 수신 장치(63)와 자기 위치(NM)로 하는 개소까지의 거리, 및 수신 장치(63)나 주 관성 계측 장치(62)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자기 방위(NA)에 기초하여 구해지도록 되어 있다. 목표 라인(LM)을 따라 정확하게 주행시키고자 하는 것은 모 식부 장치(W)이므로, 자기 위치(NM)를, 이와 같이 모 식부 장치(W)의 근방으로 설정함으로써, 모 식부 장치(W)가 목표 라인(LM)을 따라 정확하게 주행하도록 주행 기체(C)의 자동 조향 제어를 행할 수 있는 것이 된다.As shown in FIG. 7, the receiving device 63 is disposed at the front of the traveling body C, but its own position NM, which serves as a standard for data processing, is determined by the actual installation of the receiving device 63. It is not set to a position, but to a position near the main inertial measurement device 62. The setting of the self-position (NM), which becomes the standard for data processing, is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he receiving device 63 and the point set as the self-position (NM), and the receiving device 63 and the main inertial measurement device 62. It is calculated based on the calculated magnetic heading (NA). Since it is the model device W that is to be driven accurately along the target line LM, by setting its own position NM in the vicinity of the model device W in this way, the model device W is set to the target. It becomes possible to perform automatic steering control of the traveling body C so that it travels accurately along the line LM.

〔예비 모 프레임, 통상 예비 모 적재대, 레일식 예비 모 적재대의 관계에 대해〕[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are mother frame, the normal spare mother loading stand, and the rail-type spare mother loading stand]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의 예비 모 프레임(30)에는 각각, 지지 지주 프레임(16)에 고정되는 고정부(85)와, 고정부(85)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어 좌우 내측을 향해 경사지는 경사부(86)와, 경사부(86)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세로부(87)가 구비되어 있다. 즉, 예비 모 프레임(30)의 세로부(87)는, 지지 지주 프레임(16) 및 예비 모 프레임(30)의 고정부(85)에 대해, 좌우 내측으로 소정 거리 D만큼 오프셋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the left and right spare mother frames 30 each include a fixing part 85 fixed to the support strut frame 16, and a fixing part 85 that extends upward from the fixing part 85 and slopes toward the left and right inner sides. is provided with an inclined portion 86 and a vertical portion 87 extending upward from the inclined portion 86. That is, the vertical portion 87 of the spare mother frame 30 is offset left and right in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 with respect to the support strut frame 16 and the fixing part 85 of the spare mother frame 30.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통상 예비 모 적재대(28)는 각각, 예비 모 프레임(30)의 세로부(87)에 설치되는 전후 방향을 따르면서 전방을 향함에 따라 좌우 내측으로 경사진 전후 축심(Y)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예비 모 프레임(30)에 지지되어 있다. 통상 예비 모 적재대(28)는, 가로 자세(E1)와, 세로 자세(E2)로 자세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 to 3, a plurality of normal spare mother loading stands 28 are installed on the vertical portion 87 of the spare mother frame 30, respectively, and move forward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respectively, on the left and right inner sides. It is supported on the spare mother frame 30 so as to be able to swing around the front and rear axis Y, which is inclined. Normally, the spare mother loading stand 28 is configured so that its posture can be changed between the horizontal posture (E1) and the vertical posture (E2).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 예비 모 적재대(28)를 가로 자세(E1)로 하면, 통상 예비 모 적재대(28)의 적재면이 대략 수평인 상태로 된다. 한편, 통상 예비 모 적재대(28)를 가로 자세(E1)로부터 세로 자세(E2)로 할 때에는, 각 통상 예비 모 적재대(28)를 전후 축심(Y) 주위로 요동하여 세로 방향으로 한다. 이에 의해, 세로 자세(E2)의 각 통상 예비 모 적재대(28)가, 예비 모 프레임(30)의 세로부(87)측으로 치우친 좌우 방향으로 콤팩트한 상태로 된다.As shown in FIGS. 1 to 3, when the spare seedling loading stand 28 is usually placed in the horizontal posture E1, the loading surface of the spare seedling loading stand 28 is usually in a substantially horizontal state. On the other hand, when the normal spare seedling loading stand 28 is changed from the horizontal posture E1 to the vertical posture E2, each normal spare seedling loading stand 28 is swung around the anteroposterior axis Y to be plac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by, each normal spare hair loading stand 28 in the vertical posture E2 is in a compact stat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iased toward the vertical portion 87 of the spare hair frame 30.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레일식 예비 모 적재대(29)에는, 전방 적재대(88)와, 중앙 적재대(89)와, 후방 적재대(90)가 구비되어 있다. 중앙 적재대(89)는, 한 쌍의 지지 브래킷(91)을 통해, 지지 지주 프레임(16)에 고정되어 있다. 전방 적재대(88)는, 좌우 방향을 따른 전방 횡축심(P1)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중앙 적재대(89)의 전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후방 적재대(90)는, 좌우 방향을 따른 후방 횡축심(P2)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중앙 적재대(89)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일식 예비 모 적재대(29)는, 전개 상태(F1)와, 절첩 상태(F2)로 상태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레일식 예비 모 적재대(29)를 전개 상태(F1)로 하면, 중앙 적재대(89)를 중심으로 하여, 중앙 적재대(89)의 전방측으로 전방 적재대(88)가 전개되고, 중앙 적재대(89)의 후방측으로 후방 적재대(90)가 전개된다. 즉, 레일식 예비 모 적재대(29)를 전개 상태(F1)로 하면, 전방 적재대(88)와, 중앙 적재대(89)와, 후방 적재대(90)가 전후로 차례로 나열되는 상태로 된다.The rail-type spare parent loading stand 29 shown in FIGS. 1 to 3 is provided with a front loading stand 88, a central loading stand 89, and a rear loading stand 90. The central loading table 89 is fixed to the support frame 16 through a pair of support brackets 91. The front loading stand 88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central loading stand 89 so as to be able to swing around the front transverse axis P1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rear loading stand 90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central loading stand 89 so as to be able to swing around the rear transverse axis P2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s shown in FIG. 1, the rail-type spare cap loading stand 29 is configured to be changeable between an unfolded state (F1) and a folded state (F2). When the rail-type spare mother loading platform 29 is in the deployed state (F1), the front loading platform 88 is deployed to the front side of the central loading platform 89, centering on the central loading platform 89, and the central loading platform 88 is deployed. A rear loading stand (90) is deployed to the rear of the stand (89). That is, when the rail-type spare mother loading stand 29 is placed in the deployed state (F1), the front loading stand 88, the central loading stand 89, and the rear loading stand 90 are arranged in order from front to back. .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일식 예비 모 적재대(29)를 전개 상태(F1)로부터 절첩 상태(F2)로 할 때에는, 중앙 적재대(89)의 전단부에 위치하는 전방 횡축심(P1) 주위로 전방 적재대(88)를 요동시켜, 중앙 적재대(89)의 상측에 전방 적재대(88)를 절첩하여 위치시키고, 중앙 적재대(89)의 후단부에 위치하는 후방 횡축심(P2) 주위로 후방 적재대(90)를 요동시켜, 중앙 적재대(89)의 상측에 후방 적재대(90)를 위치시킨다. 이에 의해, 레일식 예비 모 적재대(29)를 전후 방향으로 콤팩트한 절첩 상태(F2)로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when the rail-type spare mother loading platform 29 is changed from the deployed state (F1) to the folded state (F2), the front transverse axis P1 located at the front end of the central loading platform 89 ) The front loading table 88 is swung around, the front loading table 88 is folded and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central loading table 89, and the rear transverse axis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central loading table 89 ( P2) The rear loading stand 90 is swung around and the rear loading stand 90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central loading stand 89. As a result, the rail-type spare mother loading stand 29 can be placed in a compact folded state (F2) in the front-back direction.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통상 예비 모 적재대(28)는, 세로 배열로 배치되고, 레일식 예비 모 적재대(29)는 최하단의 통상 예비 모 적재대(28)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a plurality of normal spare seedling loading stands 28 are arranged in a vertical arrangement, and the rail-type spare seedling loading stand 29 is arranged below the normal spare seedling loading stand 28 at the lowest stage. It is done.

*즉, 도 1 내지 도 3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예비 모 프레임(30)의 세로부(87)를, 지지 지주 프레임(16) 및 예비 모 프레임(30)의 고정부(85)에 대해, 좌우 내측으로 소정 거리 D만큼 오프셋시키고 있는 것에 외에도, 복수의 통상 예비 모 적재대(28)를 예비 모 프레임(30)의 세로부(87)측으로 치우친 좌우 방향으로 콤팩트한 상태로 된 세로 자세(E2)로 자세 변경하여 좌우 내측으로 오프셋 가능하게 하고 있음으로써, 레일식 예비 모 적재대(29)를 예비 모 프레임(30)이나 통상 예비 모 적재대(28)에 간섭하는 일 없이, 전개 상태(F1)로부터 절첩 상태(F2)로 지장없이 상태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통상 예비 모 적재대(28)의 쪽을 좌우 내측으로 오프셋 가능하게 하고 있음으로써, 예를 들어 레일식 예비 모 적재대(29)를 좌우 외측으로 오프셋시키는 것보다, 주행 기체(C)의 전체의 좌우 폭을 작게 할 수 있다.*That is, as understood from FIGS. 1 to 3, the vertical part 87 of the spare mother frame 30 is connected to the support strut frame 16 and the fixing part 85 of the spare mother frame 30, In addition to being offset to the left and right insid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 a plurality of normal spare mother loading stands 28 are compac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iased toward the vertical portion 87 of the spare mother frame 30. Vertical posture (E2) ) by changing the posture to enable offset to the left and right inward, the rail-type spare mother loading stand 29 can be placed in the deployed state (F1)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spare mother frame 30 or the normal spare mother loading stand 28. ) to the folded state (F2) without any problems. In addition, by enabling the plurality of normal spare mother loading stands 28 to be offset to the left and right inward, for example, rather than offsetting the rail-type spare mother loading stands 29 to the left and right outward, the traveling body (C ) can be made smaller.

〔제1 실시 형태의 다른 실시 형태〕[Other embodiments of the first embodiment]

이하, 제1 실시 형태의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하기의 각 다른 실시 형태는, 모순이 발생하지 않는 한, 복수 조합하여 상기 실시 형태에 적용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는, 이들 실시 형태의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other embodiments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Each of the following different embodiments may be appli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combination, as long as there is no conflict. In addi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tent of these embodiments.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주로, 주 관성 계측 장치(62)에 의해 계측되는 관성 정보에 기초하여 주행 기체(C)의 자동 조향 제어를 행하고, 주 관성 계측 장치(62)에 의해 계측되는 관성 정보를 수신 장치(63)에 의해 취득되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보정하는 것이 예시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주로, 수신 장치(63)에 의해 취득되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주행 기체(C)의 자동 조향 제어를 행하고, 수신 장치(63)에 의해 취득되는 위치 정보를, 주 관성 계측 장치(62)에 의해 계측되는 관성 정보에 기초하여 보정하도록 해도 된다.(1) In the above embodiment, automatic steering control of the traveling body C is mainly performed based on inertial information measured by the main inertial measurement device 62, and the inertia measured by the main inertial measurement device 62 Although it is exemplified that the information is corrected based on the positional information acquired by the receiving device 63, it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automatic steering control of the traveling body C is performed mainly based on the positional information acquired by the receiving device 63, and the positional information acquired by the receiving device 63 is used by the main inertial measurement device ( 62) may be corrected based on the inertial information measured.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 프레임(31)이, 좌우 방향을 따른 좌우 축심(X)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또한 사용 상태(S1)와 격납 상태(S2)에서 위치 고정 가능하게, 좌우의 예비 모 프레임(30)에 지지되어 있는 것이 예시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좌우의 예비 모 프레임(30)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사용 상태(S1)의 연결 프레임(31)을, 예비 모 프레임(30)으로부터 떼어내고, 상하 반전시켜, 예비 모 프레임(30)에 다시 설치함으로써, 연결 프레임(31)이 격납 상태(S2)로 된다.(2) In the above embodiment, the connection frame 31 is rotatable around the left and right axis Although it is illustrated that it is supported on the spare mother frame 30, it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it may be detachable from the left and right spare mother frames 30. In this case, the connection frame 31 in the use state (S1) is removed from the spare mother frame 30, flipped upside down, and reinstalled on the spare mother frame 30, so that the connection frame 31 is in the storage state ( S2).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수신 장치(63)를 일정한 개소에 고정하고 있는 것이 예시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비 모 프레임(30)에 설치하여 고정되고, 주행 기체(C)의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레일 부재(100) 상에,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상태에서 수신 장치(63)가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수신 장치(63)를 레일 부재(100) 상의 2점 사이를 이동시킴으로써, 주행 기체(C)가 정지한 채, 주행 기체(C)의 자기 방위(NA), 수신 장치(63)에 의해 취득되는 2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구할 수 있다.(3) In the above embodiment, it is exemplified that the receiving device 63 is fixed at a certain location,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on the rail member 100 which is installed and fixed to the spare mother frame 30 and extends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traveling body C, it is movable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 The receiving device 63 may be placed in this state. Thereby, by moving the receiving device 63 between two points on the rail member 100, the magnetic orientation NA of the traveling body C and the receiving device 63 are maintained while the traveling body C is stationary. It can be obtained based on the two-point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by

(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수신 장치(63)를 하나만 구비하고 있는 것이 예시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수신 장치(63)가 2개 이상 구비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주행 기체(C)가 정지 중에 있어서도, 하나의 수신 장치(63)에 의해 취득되는 위치 정보와, 다른 수신 장치(63)에 의해 취득되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주행 기체(C)의 자기 방위(NA)를 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4) In the above embodiment, it is exemplified that only one receiving device 63 is provid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two or more receiving devices 63 may be provided. By doing this, even when the traveling body C is stopped, based on the positional information acquired by one receiving device 63 and the positioning information acquired by the other receiving device 63, the traveling body C It becomes possible to obtain the self-orientation (NA) of .

(5)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커넥터부(67)가, 수신 장치(63)의 측면부로부터 좌우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예시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커넥터부(67)가, 수신 장치(63)의 상면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거나, 수신 장치(63)의 하면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거나, 수신 장치(63)의 전방면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거나, 수신 장치(63)의 후방면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거나 해도 된다. 이 경우, 커넥터부(67)를 보호하는 가드 부재(68)도, 커넥터부(67)의 개소에 설치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5) In the above embodiment, it is exemplified that the connector portion 67 extends outwar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from the side portion of the receiving device 63,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the connector portion 67 extends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device 63, extends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iving device 63, or extends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receiving device 63. It may extend forward or may extend rearward from the rear surface portion of the receiving device 63. In this case, it is desirable if the guard member 68 that protects the connector portion 67 is also installed at a location of the connector portion 67.

(6)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가드 부재(68)가 지지 플레이트(65)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예시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가드 부재(68)가 수신 장치(63) 자체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6) In the above embodiment, it is illustrated that the guard member 68 is installed on the support plate 65,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the guard member 68 may be installed on the receiving device 63 itself.

(7)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작업 장치로서, 모 식부 장치(W)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예시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작업 장치로서, 모 식부 장치(W) 외에도, 시비 장치나 약제 살포 장치 등이 구비되어 있어도 된다.(7) In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it is illustrated that the mother planting device W is provided as a working device,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as a working device, in addition to the mother planting device W, a fertilization device, a chemical spray device, etc. may be provided.

(8) 본 발명은, 작업 장치로서 모 식부 장치를 구비하는 상기 승용형 이앙기 이외에도, 예를 들어 작업 장치로서 파종 장치를 구비하는 식파계 수전 작업차인 승용형 직파기, 작업 장치로서 플라우 등을 구비하는 트랙터, 혹은 작업 장치로서 예취부 등을 구비하는 콤바인 등의 농작업차, 또는 작업 장치로서 버킷 등을 구비하는 건설 작업차 등의 다양한 작업차에 이용할 수 있다.(8)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riding-type rice transplanter equipped with a mother planting device as a working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for example, a riding-type direct seeding machine that is a planting and seeding machine work vehicle equipped with a seeding device as a working device, and a plow as a working device. It can be used for various work vehicles, such as a tractor that works, an agricultural work vehicle such as a combine equipped with a reaping unit, etc. as a work device, or a construction work vehicle provided with a bucket, etc. as a work device.

[제2 실시 형태][Second Embodiment]

이하, 제2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내지 제3 실시 구조를, 차례로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이라고 칭한다.Hereinafter,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first to third implementation structures in this second embodiment are sequentially referred to as “Example 1”, “Example 2”, and “Example 3”.

〔실시예 1〕[Example 1]

도 9는, 하단의 예비 모 수용 장치(150)가 제2 상태에 있는 승용형 이앙기의 전체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11은, 하단의 예비 모 수용 장치(150)가 제2 상태에 있는 승용형 이앙기의 전체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9, 도 11에 도시한 [F]의 방향을 주행 차체(104)의 [전방측], [B]의 방향을 주행 차체(104)의 [후방측], [L]의 방향을 주행 차체(104)의 [좌측], [R]의 방향을 주행 차체(104)의 [우측]이라고 정의한다.FIG. 9 is a left side view showing the entire riding-type rice transplanter in which the lower stage spare seedling storage device 150 is in the second state. FIG. 11 is a plan view showing the entire riding-type rice transplanter in which the lower stage spare seedling container 150 is in the second state. 9 and 11, the [F] direction is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body 104, the [B] direction is the [rear side] of the vehicle body 104, and the [L] direction is the vehicle body. The [left] and [R] directions of (104) are defined as [right] of the traveling vehicle body (104).

도 9,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체 프레임(101)의 하부에 좌우 한 쌍의 전방 차륜(102) 및 좌우 한 쌍의 후방 차륜(103)이 장비된, 주행 차체(104)가 구비되어 있다. 주행 차체(104)의 전방부에, 엔진(105)을 가진 원동부(106)가 설치되어 있다. 주행 차체(104)는, 엔진(105)으로부터 미션(transmission device)(107)으로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전방 차륜(102)이 구동되고, 엔진(105)으로부터 미션(107) 및 회전축(108)을 통해 후륜 구동 케이스(109)에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후방 차륜(103)이 구동됨으로써 자주한다. 주행 차체(104)의 후방부에는, 운전 좌석(110)을 가진 탑승형의 운전부(111)가 설치되어 있다. 주행 차체(104)는, 운전부(111)에 탑승하여 조종하도록 승용형으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9 and 11, a traveling vehicle body 104 is provided with a pair of left and right front wheels 102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rear wheels 103 at the lower part of the vehicle body frame 101. there is. A driving unit 106 having an engine 105 is installed in the front part of the traveling vehicle body 104. In the traveling vehicle body 104, the front wheels 102 are driven by the driving force transmitted from the engine 105 to the transmission device 107, and the transmission 107 and the rotation shaft 108 are connected from the engine 105. The rear wheel 103 is driven by the driving force transmitted to the rear wheel drive case 109. At the rear of the traveling vehicle body 104, a riding-type driver unit 111 with a driver seat 110 is installed. The traveling vehicle body 104 is configured as a ride-on type to be controlled by riding on the driver unit 111.

주행 차체(104)의 후방부에는, 링크 기구(112)를 통해 모 식부 장치(120)가 연결되어 있다. 링크 기구(112)는, 차체 프레임(101)에 상하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모 식부 장치(120)는, 링크 기구(112)가 유압 실린더(113)에 의해 요동 조작됨으로써, 접지 플로트(121)가 포장면(S)에 접지한 상태의 하강 작업 상태와, 접지 플로트(121)가 포장면(S)으로부터 높게 상승한 상승 비작업 상태에 걸쳐 승강 조작된다.A model device 120 is connect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traveling vehicle body 104 via a link mechanism 112. The link mechanism 112 is supported on the vehicle body frame 101 so as to be able to swing up and down. The mother planting device 120 is operated to swing the link mechanism 112 by the hydraulic cylinder 113, so that the ground float 121 is in a lowering state in which it is in contact with the pavement surface S, and the ground float 121 ) is operated to lift and lower across the raised non-working state, which is raised high from the pavement surface (S).

도 9,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 식부 장치(120)는, 주행 차체(104)의 횡폭 방향으로 나열되는 8개의 모 식부 기구(122)와, 하나의 모 적재대(123)를 구비하고 있다. 모 적재대(123)에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트 형상 모를 주행 차체(104)의 횡폭 방향으로 나열하여 적재하는 8개의 모 적재부(123a)가 구비되어 있다. 모 적재대(123)는, 모 식부 기구(122)의 모 심기 운동에 연동하는 상태에서 주행 차체(104)의 횡폭 방향으로 왕복 이송되고, 각 모 식부 기구(122)에 모 적재부(123a)로부터 모 공급한다.As shown in FIGS. 9 and 11, the mother planting device 120 is provided with eight mother planting mechanisms 122 arranged in the transverse width direction of the traveling vehicle body 104 and one mother loading table 123. I'm doing it. As shown in FIG. 11 , the seedling loading stand 123 is provided with eight seedling portions 123a for stacking mat-shaped seedlings in a row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raveling vehicle body 104. The seedling loading stand 123 is reciprocated in the transverse width direction of the traveling vehicle body 104 in a state linked to the seedling planting movement of the seedling planting mechanism 122, and the seedling loading unit 123a is provided to each seedling planting mechanism 122. Supplied from .

승용형 이앙기는, 모 식부 장치(120)를 하강 작업 상태로 하강시킨 상태에서 주행 차체(104)를 주행시킴으로써, 모 식부 장치(120)에 의해 8조 식부가 가능한 모 심기 작업을 행한다.The riding-type rice transplanter performs a seedling operation in which 8 rows of seedlings can be planted using the seedling device 120 by driving the traveling vehicle body 104 in a state in which the seedling device 120 is lowered to the lowering operation state.

도 9,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 차체(104)의 전방부에 수신 장치(114)가 장비되어 있다. 수신 장치(114)의 지지 프레임(115)은, 도 9, 도 11,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좌우의 예비 모 수용 장치(140, 150)의 지주(141)에 연결되어 있다. 수신 장치(114)는, 위성 측위 시스템에 의해 주행 차체(104)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위치 정보를 주행 차체(104)의 자동 조향 제어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입력시키는 것이다.As shown in FIGS. 9 and 11, a receiving device 114 is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traveling vehicle body 104. As shown in FIGS. 9, 11, and 12, the support frame 115 of the receiving device 114 is connected to the struts 141 of the left and right spare hair storage devices 140 and 150 described later. The receiving device 114 acquires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raveling vehicle body 104 using a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and inputs the acquired position information to an automatic steering control device (not shown) of the traveling vehicle body 104.

도 16,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 적재대(123)의 각 모 적재부(123a)로부터 연장 모 적재대(124)가 연장 돌출되어 있다. 모 적재대(123)의 양 횡측 단부에 좌우 한 쌍의 구획 플레이트(125)가 기립 설치되어 있다. 모 적재대(123)의 양 횡측 단부에 있어서의 좌우의 구획 플레이트(125)는, 모 적재대(123)의 가장 횡측 단부의 모 적재부(123a)와, 이 모 적재부(123a)에 대응하는 연장 모 적재대(124)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좌우의 구획 플레이트(125)는, 모 적재부(123a)의 횡측에 위치하는 구획벽부(123b)로부터 모 적재대(123)의 상방을 향해 연장 돌출되고, 또한 구획벽부(123b)로부터 연장 모 적재대(124)의 상방을 향해 연장 돌출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6 and 17 , the extended mother loading stand 124 extends and protrudes from each mother loading portion 123a of the mother loading stand 123. A pair of left and right partition plates 125 are installed standing on both lateral ends of the mother loading stand 123. The left and right partition plates 125 at both lateral ends of the mother loading table 123 correspond to the mother loading section 123a at the most lateral end of the mother loading table 123 and this mother loading section 123a. It is installed across the extension loading table (124). The left and right partition plates 125 extend and protrude from the partition wall portion 123b located on the lateral side of the mother loading portion 123a toward the upper part of the mother loading stand 123, and also extend from the partition wall portion 123b. It extends and protrudes toward the upper part of the stand 124.

모 적재대(123)의 횡측 단부의 모 적재부(123a)에 매트 형상 모를 보급할 때, 모 적재대(123)가 횡 이송 중이라도, 매트 형상 모를 좌우의 구획 플레이트(125)에 의해 모 적재부(123a)로 정확하게 안내시키면서 보급할 수 있다. 즉, 모 적재대(123)의 횡 이송을 위해 매트 형상 모를 횡측 단부의 모 적재부(123a)로부터 횡 외측으로 벗어나 보급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획 플레이트(125)를 횡측 단부의 모 적재부(123a)에만 설치하고 있지만, 모든 모 적재부(123a)에 설치해도 된다.When supplying mat-shaped seedlings to the seedling loading section 123a at the lateral end of the seedling loading stand 123, even when the seedling loading stand 123 is being transported laterally, the mat-shaped seedlings are separated from the seedling loading section 125 by the partition plates 125 on the left and right. It can be disseminated with accurate guidance to (123a). That is, for the lateral transport of the seedling loading stand 123, it is possible to avoid supplying the mat-shaped seedlings laterally outward from the seedling loading portion 123a at the lateral end. In this embodiment, the partition plate 125 is installed only on the mother loading portion 123a at the lateral end, but it may be installed on all mother loading portions 123a.

도 9,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 차체(104) 중, 운전 좌석(110)의 양 횡측방과, 운전 좌석(110)의 후방에 걸치는 부위에, 작업 스텝(116)이 설치되어 있다. 운전부(111)의 양 횡측방에 난간(130)이 설치되어 있다. 좌측 옆 및 우측 옆의 난간(130)은 주행 차체(104)의 차체 부분으로서의 승강 스텝 프레임과, 주행 차체(104)의 차체 부분으로서의 작업 스텝 프레임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기립 설치되어 있다. 좌측 옆 및 우측 옆의 난간(130)의 상단부(131)는, 운전부(111)의 승강구(111a)의 후방측의 부위이며, 작업 스텝(116)의 횡측 에지부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위에 위치하고 있다. 도 9, 도 11, 도 14,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 좌석(110)의 후방에, 주행 차체(104)의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방 가드(117)가 설치되어 있다. 후방 가드(117)는, 작업 스텝(116)의 후방 에지부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후방 가드(117)는, 좌측 옆의 난간(130)과 우측 옆의 난간(130)에 걸쳐 연결되어 있다. 좌측 옆 및 우측 옆의 난간(130)은, 운전부(111)에 타거나, 운전부(111)로부터 내리거나 할 때, 또한 작업 스텝(116)에 위치할 때에 사용할 수 있다. 후방 가드(117)는, 작업 스텝(116)에 위치할 때, 난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시비 장치의 비료 탱크 및 비료 조출 기구가 운전 좌석(110)의 후방에 설치되어 있지 않지만, 비료 탱크 및 비료 조출 기구를 설치하여 실시해도 된다.As shown in FIGS. 9 and 11, work steps 116 are installed in the traveling vehicle body 104 on both lateral sides of the driver's seat 110 and in a portion spanning the rear of the driver's seat 110. . Handrails 130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operating unit 111. The handrails 130 on the left side and right side are erected upwardly from the lifting step frame as a body part of the traveling car body 104 and the work step frame as a body part of the traveling car body 104. The upper ends 131 of the handrails 130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on the rear side of the hatch 111a of the operation unit 111 and are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lateral edge of the work step 116. there is. As shown in FIGS. 9, 11, 14, and 15, a rear guard 117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traveling vehicle body 104 is installed behind the driver's seat 110. The rear guard 117 is disposed above the rear edge of the work step 116. The rear guard 117 is connected to the handrail 130 on the left side and the handrail 130 on the right side. The handrails 130 on the left side and right side can be used when getting on or off the operating section 111 or when positioned at the work step 116. The rear guard 117 can be used as a handrail when positioned on the work step 116. In this embodiment, the fertilizer tank and fertilizer dispensing mechanism of the fertilizing device are not installed behind the driver's seat 110, but the fertilizer tank and fertilizer dispensing mechanism may be installed.

도 9,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옆 및 우측 옆의 난간(130)의 상단부(131)의 하방에 빈 공간(200)이 형성되어 있다. 빈 공간(200)은, 난간(130)을 구부려 성형된 관 부재에 의해 구성함으로써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9 and 15, an empty space 200 is formed below the upper ends 131 of the left and right handrails 130. The empty space 200 is provided by forming a pipe member formed by bending the handrail 130.

도 9, 도 11,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 차체(104)의 양 횡측부에 상하 2단의 예비 모 수용 장치(140, 150)가 설치되어 있다. 좌측의 상하 2단의 예비 모 수용 장치(140, 150)는, 좌측 옆의 난간(130)의 전방에 설치되어 있다. 우측의 상하 2단의 예비 모 수용 장치(140, 150)는, 우측 옆의 난간(130)의 전방에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9, 11, and 12, upper and lower two-stage spare hair storage devices 140 and 150 are installed on both lateral sides of the traveling vehicle body 104. The spare bristle storage devices 140 and 150 of the upper and lower stages on the left are installed in front of the handrail 130 on the left side. The spare hair storage devices 140 and 150 of the upper and lower two stages on the right side are installed in front of the handrail 130 on the right side.

좌측 상단의 예비 모 수용 장치(140)에는, 도 9,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4단의 예비 모 적재대(142)가 구비되어 있다. 4단의 예비 모 적재대(142)는, 전후 한 쌍의 지주(141)에 지지되어 있다. 전방의 지주(141)는, 주행 차체(104) 중 엔진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기립 설치되어 있다. 후방의 지주(141)는, 주행 차체(104) 중 승강 스텝 프레임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기립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9 and 12, the spare hair storage device 140 on the upper left is provided with a spare hair loading stand 142 of four upper and lower stages. The four-stage spare mother loading stand 142 is supported on a pair of front and rear supports 141. The front strut 141 is erected upward from the engine support frame of the traveling vehicle body 104. The rear strut 141 is installed to stand upward from the lifting step frame in the traveling vehicle body 104.

우측 상단의 예비 모 수용 장치(140)는, 좌측 상단의 예비 모 수용 장치(140)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좌측 상단의 예비 모 수용 장치(140) 및 우측 상단의 예비 모 수용 장치(140)에는, 모 식부 장치(120)에 공급하는 예비 4매의 매트 형상 모를 주행 차체(104)의 상하 방향으로 나열하여 수용할 수 있다.The spare hair accommodating device 140 on the upper right side is provided with the same structure as the spare hair accommodating device 140 on the upper left side. In the spare hair receiving device 140 at the upper left and the spare hair receiving device 140 at the upper right, four spare sheets of mat-shaped hair to be supplied to the seedling device 120 ar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traveling vehicle body 104. It is acceptable.

좌측 하단의 예비 모 수용 장치(150)에는, 도 9, 도 10,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3개의 예비 모 적재대(151, 152, 153)가 구비되어 있다. 3개의 예비 모 적재대(151, 152, 153)는, 적재대 프레임(151a, 152a, 153a)과, 예비 모 적재대 본체(151b, 152b, 153b)를 구비하고 있다. 예비 모 적재대 본체(151b, 152b, 153b)는, 적재대 프레임(151a, 152a, 153a)에 고정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3개의 예비 모 적재대(151, 152, 153) 중 2개의 예비 모 적재대(152, 153)에는, 연장 적재대(152c, 153c)가 구비되어 있다. 연장 적재대(152c, 153c)는, 예비 모 적재대 본체(152b, 153b)와 적재대 프레임(152a, 153a)에 슬라이드 조작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9, 10, and 11, the spare hair storage device 150 at the lower left is provided with three spare hair loading stands 151, 152, and 153. The three spare mother loading stands (151, 152, 153) are equipped with loading stand frames (151a, 152a, 153a) and spare mother loading stand bodies (151b, 152b, 153b). The spare mother loading table main bodies 151b, 152b, and 153b are supported in a fixed state by the loading table frames 151a, 152a, and 153a. Among the three spare mother loading stands (151, 152, 153), two of the spare mother loading stands (152, 153) are equipped with extension loading stands (152c, 153c). The extended loading stands 152c and 153c are slidably supported by the spare mother loading stand main bodies 152b and 153b and the loading stand frames 152a and 153a.

3개의 예비 모 적재대(151, 152, 153) 중 예비 모 적재대(151)는, 적재대 프레임(151a)이 전후의 지주(141)에 고정되어 있음으로써, 모 적재면이 상향의 상태로 전후의 지주(141)에 고정되어 있다. 이하, 이 예비 모 적재대(151)를 고정 예비 모 적재대(151)라고 호칭한다.Among the three spare parent loading stands (151, 152, 153), the spare parent loading platform (151) has the loading frame (151a) fixed to the front and rear supports (141), so that the parent loading surface is in an upward state. It is fixed to the front and rear supports (141). Hereinafter, this spare seedling loading stand 151 is called the fixed spare seedling loading stand 151.

3개의 예비 모 적재대(151, 152, 153) 중 예비 모 적재대(152)에서는, 적재대 프레임(152a)의 일단부가 고정 예비 모 적재대(151)의 적재대 프레임(151a)의 전단부측에 연결 축(154)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예비 모 적재대(152)는, 연결 축(154)의 주행 차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심(154a)을 요동 중심으로 하여 고정 예비 모 적재대(151)에 대해 요동 조작할 수 있다. 이하, 이 예비 모 적재대(152)를 전방의 가동 예비 모 적재대(152)라고 호칭한다. 전방의 가동 예비 모 적재대(152)를 요동 조작함으로써, 전방의 가동 예비 모 적재대(152)의 설치 자세를, 도 10,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예비 모 적재대(151)의 모 적재면측의 위에 차례차례 겹쳐짐과 함께 전방의 가동 예비 모 적재대(152)의 모 적재면이 하향이 되는 격납 자세와, 도 9,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예비 모 적재대(151)로부터 주행 차체 전방측으로 돌출됨과 함께 모 적재면이 상향으로 되는 사용 자세로 전환된다.Among the three spare mother loading stands (151, 152, 153), in the spare mother loading stand (152), one end of the loading stand frame (152a) is fixed to the front end side of the loading frame (151a) of the spare mother loading stand (151). It is rotatably supported through a connection shaft 154. This spare parent loading stand 152 can be oscillated with respect to the fixed spare parent loading stand 151 with the axis 154a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traveling vehicle body of the connecting shaft 154 as the center of rotation. Hereinafter, this spare mother loading stand 152 is called the front movable spare mother loading stand 152. By swinging the front movable spare mother loading stand 152, the installation posture of the front movable spare mother loading stand 152 is changed to that of the fixed spare mother loading stand 151 as shown in Figs. 10 and 12. A storage posture in which the loading surface of the front movable spare loading platform 152 is directed downward while overlapping one after another on the loading surface side, and the fixed spare loading platform 151 as shown in FIGS. 9 and 11. It protrudes toward the front of the traveling vehicle body and switches to a use posture in which the loading surface is upward.

3개의 예비 모 적재대(151, 152, 153) 중 예비 모 적재대(153)에서는, 적재대 프레임(153a) 중 연장 적재대(153c)가 위치하는 측과 반대측의 단부가 고정 예비 모 적재대(151)의 적재대 프레임(151a)의 후단부측에 연결 축(155)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예비 모 적재대(153)는, 연결 축(155)의 주행 차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심(155a)을 요동 중심으로 하여 고정 예비 모 적재대(151)에 대해 요동 조작할 수 있다. 이하, 이 예비 모 적재대(153)를 후방의 가동 예비 모 적재대(153)라고 호칭한다. 후방의 가동 예비 모 적재대(153)를 요동 조작함으로써, 이후의 가동 예비 모 적재대(153)의 설치 자세를, 도 10,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예비 모 적재대(151)의 위에 차례차례 겹쳐져 있는 전방의 가동 예비 모 적재대(152)의 위에 차례차례 겹쳐짐과 함께 후방의 가동 예비 모 적재대(153)의 모 적재면이 하향이 되는 격납 자세와, 도 9,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예비 모 적재대(151)로부터 주행 차체 후방측으로 돌출됨과 함께 후방의 가동 예비 모 적재대(153)의 모 적재면이 상향이 되는 사용 자세로 전환할 수 있다.Among the three spare mother loading stands (151, 152, 153), in the spare mother loading stand (153), the end of the loading stand frame (153a) opposite to the side where the extension loading table (153c) is located is fixed to the spare mother loading stand (153). It is rotatably supported on the rear end side of the loading table frame 151a of (151) through a connecting shaft 155. This spare parent loading stand 153 can be oscillated with respect to the fixed spare parent loading platform 151 with the axis 155a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traveling vehicle body of the connecting shaft 155 as the center of rotation. Hereinafter, this spare mother loading stand 153 is called the rear movable spare mother loading stand 153. By swinging the rear movable spare seedling stand 153, the subsequent installation posture of the movable spare seedling stand 153 is changed to above the fixed spare seedling stand 151 as shown in Figs. 10 and 12. A storage posture in which the loading surface of the rear movable spare loading platform 153 is turned downward while overlapping one after another on the front movable spare loading platform 152, which is sequentially overlapped, and shown in Figures 9 and 11. As shown, it protrudes from the fixed spare parent loading stand 151 to the rear side of the traveling vehicle body and can be switched to a use posture in which the parent loading surface of the rear movable spare parent loading platform 153 is upward.

후방의 가동 예비 모 적재대(153)의 사용 자세에 있어서, 연장 적재대(153c)를 슬라이드 조작함으로써, 연장 적재대(153c)의 설치 자세를, 도 9,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의 가동 예비 모 적재대(153)로부터 후방으로, 후방의 가동 예비 모 적재대(153)의 전후 방향을 따르는 상태로 돌출된 사용 자세와, 후방의 가동 예비 모 적재대(153)의 내측에 격납된 격납 자세로 전환 조작할 수 있다.In the use posture of the rear movable spare mother loading stand 153, by sliding the extension loading stand 153c, the installation posture of the extending loading stand 153c is changed to the rear as shown in Figs. 9 and 11. A use posture protruding rearward from the movable spare mother loading stand 153 along the anteroposterior direction of the rear movable spare mother loading stand 153, and stored inside the rear movable spare mother loading stand 153. It can be switched to the stowed position.

좌측 하단의 예비 모 수용 장치(150)는, 도 10,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의 가동 예비 모 적재대(152) 및 후방의 가동 예비 모 적재대(153)를 격납 자세로 전환함으로써, 고정 예비 모 적재대(151), 전방의 가동 예비 모 적재대(152) 및 후방의 가동 예비 모 적재대(153)가 주행 차체(104)의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어 격납된 제1 상태로 된다.As shown in FIGS. 10 and 12, the spare hair storage device 150 at the lower left side switches the front movable spare hair loading stand 152 and the rear movable spare hair loading stand 153 to the storage posture. , the fixed spare mother loading stand 151, the front movable spare mother loading stand 152, and the rear movable spare mother loading stand 153 ar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traveling vehicle body 104 and are in a first state in which they are stored. .

좌측 하단의 예비 모 수용 장치(150)는, 도 9,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의 가동 예비 모 적재대(152) 및 후방의 가동 예비 모 적재대(153)를 사용 자세로 전환함으로써, 고정 예비 모 적재대(151), 전방의 가동 예비 모 적재대(152) 및 후방의 가동 예비 모 적재대(153)가 주행 차체(104)의 전후 방향으로 배열되어, 고정 예비 모 적재대(151), 전방의 가동 예비 모 적재대(152) 및 후방의 가동 예비 모 적재대(153)에 매트 형상 모를 적재할 수 있는 제2 상태로 된다.As shown in FIGS. 9 and 11, the spare hair receiving device 150 at the lower left side switches the front movable spare hair loading stand 152 and the rear movable spare hair loading stand 153 to the use posture. , the fixed spare mother loading stand 151, the front movable spare mother loading stand 152 and the rear movable spare mother loading stand 153 are arrang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traveling car body 104, and the fixed spare mother loading stand ( 151), it is in a second state in which mat-shaped seedlings can be loaded on the front movable spare seedling loading stand 152 and the rear movable spare seedling loading stand 153.

우측 하단의 예비 모 수용 장치(150)는, 도 11,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하단의 예비 모 수용 장치(150)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좌측 하단의 예비 모 수용 장치(150) 및 우측 하단의 예비 모 수용 장치(150)를 제2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좌측 하단의 예비 모 수용 장치(150) 및 우측 하단의 예비 모 수용 장치(150)에, 모 식부 장치(120)에 공급하는 예비 3매의 매트 형상 모를 주행 차체(104)의 전후 방향으로 나열하여 수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1 and 12, the spare hair storage device 150 on the lower right side is provided with the same structure as the spare hair storage device 150 on the lower left side. By switching the spare hair receiving device 150 at the lower left and the spare hair receiving device 150 at the lower right to the second state, the spare hair receiving device 150 at the lower left and the spare hair receiving device 150 at the lower right In this way, three spare sheets of mat-shaped seedlings to be supplied to the seedling device 120 can be accommodated in a row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traveling vehicle body 104.

좌측 하단의 예비 모 수용 장치(150) 및 우측 하단의 예비 모 수용 장치(150)에 있어서, 도 9, 도 11,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비 모 수용 장치(150)를 제2 상태로 전환한 경우, 연장 적재대(153c)를 사용 자세로 함으로써, 연장 적재대(153c)와, 후방의 가동 예비 모 적재대(153)의 예비 모 적재대 본체(151b)의 후방부에 의해, 후방의 가동 예비 모 적재대(153)(뒤에서부터 첫 번째의 예비 모 적재대)의 후단 측부(153r)가 형성되고, 이 후단 측부(153r)가 빈 공간(200)으로 들어가, 평면에서 보아, 후단 측부(153r)와 상단부(131)가 중복된다. 또한, 후단 측부(153r)가 승강구(111a)로 들어간다. 후단 측부(153r)를 폐쇄 부재로 활용하여 승강구(111a)를 폐쇄할 수 있다.In the spare hair receiving device 150 on the lower left and the spare hair receiving device 150 on the lower right, as shown in FIGS. 9, 11, and 13, the spare hair receiving device 150 is in the second state. In the case of switching, by putting the extension loading table 153c in the use position, the extension loading table 153c and the rear portion of the spare loading stand main body 151b of the rear movable spare loading stand 153 move to the rear. A rear end side 153r of the movable spare mother loading stand 153 (the first spare mother loading stand from the rear) is formed, and this rear end side 153r enters the empty space 200, and when viewed from the top, the rear end The side portion 153r and the top portion 131 overlap. Additionally, the rear end side portion 153r enters the hatch 111a. The hatch 111a can be closed by using the rear end side portion 153r as a closing member.

좌측 상단의 예비 모 수용 장치(140) 및 우측 상단의 예비 모 수용 장치(140)에 있어서, 도 9,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4단의 예비 모 적재대(142)의 주행 차체 횡내측의 단부가 전후의 지주(141)에 연결 축(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하 4단의 예비 모 적재대(142)는, 연결 축의 주행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심(Y)을 요동 중심으로 하여, 도 12에 도시한 우측 상단의 예비 모 적재대(142)와 같이 하강한 상태의 하강 사용 자세와, 도 12에 도시한 좌측 상단의 예비 모 적재대(142)와 같이 상승한 상태의 상승 격납 자세에 걸쳐 요동 조작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전후의 지지 기둥(141)은, 상단의 예비 모 수용 장치(140)를 지지하는 상부가 하단의 예비 모 수용 장치(150)를 지지하는 하부보다 주행 차체 횡내측에 위치하는 구부러짐 상태로 성형되어 있다. 즉, 전방의 가동 예비 모 적재대(152) 및 후방의 가동 예비 모 적재대(153)를 격납 자세와 사용 자세에 걸쳐 요동 조작할 때, 예비 모 적재대(142)를 상승 격납 자세로 전환함으로써, 전방의 가동 예비 모 적재대(152) 및 후방의 가동 예비 모 적재대(153)가 닿지 않도록, 전방의 가동 예비 모 적재대(152) 및 후방의 가동 예비 모 적재대(153)의 이동 경로로부터 주행 차체 횡내측으로 후퇴시킬 수 있다.In the spare hair receiving device 140 on the upper left and the spare hair receiving device 140 on the upper right, as shown in FIGS. 9 and 12, the running car body lateral width of the spare hair loading stand 142 in the upper and lower four stages The inner e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ront and rear struts 141 through a connecting shaft (not shown). The spare mother loading table 142 of the upper and lower four stages is lowered like the spare mother loading table 142 at the upper right shown in FIG. 12, with the axis Y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traveling vehicle body of the connecting axis as the center of rotation. It is supported so as to be able to swing in a lowered use posture and an elevated storage posture in an elevated state, such as the spare mother loading stand 142 on the upper left shown in FIG. 12 . The front and rear support pillars 141 are molded in a bent state in which the upper part supporting the spare hair receiving device 140 at the upper end is located laterally inside the traveling vehicle body than the lower part supporting the spare hair receiving device 150 at the lower end. . That is, when swinging the front movable spare mother loading stand 152 and the rear movable spare mother loading stand 153 between the storage posture and the use posture, the spare mother loading stand 142 is switched to the raised storage posture. , the movement path of the front movable spare mother loading stand 152 and the rear movable spare mother loading stand 153 so that the front movable spare mother loading stand 152 and the rear movable spare mother loading stand 153 do not contact each other. It can be retracted laterally and internally from the traveling vehicle body.

〔실시예 2〕[Example 2]

도 18은, 제2 실시 구조를 구비한 승용형 이앙기의 난간(130)이 배치된 부위를 도시한 좌측면도이다. 제2 실시 구조를 구비한 승용형 이앙기에서는, 난간(130)의 상단부(131)는 고정부(131a)와 가동부(131b)를 구비하고 있다.FIG. 18 is a left side view showing the portion where the handrail 130 of the riding-type rice transplanter provided with the second implementation structure is disposed. In the riding-type rice transplanter provided with the second implementation structure, the upper end 131 of the handrail 130 is provided with a fixed part 131a and a movable part 131b.

고정부(131a)는, 주행 차체(104)의 차체 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부(131a)의 후방부에 지지부(132)가 구비되어 있다. 가동부(131b)의 후단부가 연결 축(133)을 통해 지지부(13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가동부(131b)는, 연결 축(133)의 주행 차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심(133a)을 요동 중심으로 하여, 도 18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부(131a)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돌출된 하강 사용 상태와, 도 18에 이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부(131a)의 후방부에 격납된 상승 격납 상태로 요동 조작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The fixing portion 131a is fixed to the vehicle body portion of the traveling vehicle body 104. A support portion 132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fixing portion 131a. The rear end of the movable part 131b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 132 through a connecting shaft 133. The movable part 131b uses the axis 133a, which extend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traveling vehicle body of the connecting axis 133, as the center of rotation, and extends forward and protrudes from the fixed part 131a as shown by a solid line in FIG. 18. In this state, as shown by the two-dot chain line in FIG. 18, it is stored in the rear portion of the fixing portion 131a and is supported in a raised and stowed state so as to be capable of swinging operation.

가동부(131b)는, 하강 사용 상태로 하면, 전단 측부(131f)가 승강구(111a)로 들어가고, 전단 측부(131f)로 승강구(111a)를 폐쇄하는 폐쇄 상태가 된다. 가동부(131b)는, 하강 사용 상태로 하면, 가동부(131b) 중 전단 측부(131f)가 고정부(131a)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되어, 전단 측부(131f)의 하방에 빈 공간(200)이 형성된다. 가동부(131b)를 하강 사용 상태로 한 경우, 가동부(131b)의 연결 축(133)보다 자유 단부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지지부(134)에 의해 수용 지지되어, 가동부(131b)를 하강 사용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가동부(131b)는, 상승 격납 상태로 하면, 승강구(111a)의 후방측에 위치하고, 승강구(111a)를 개방하는 개방 상태가 된다.When the movable part 131b is in a lowered use state, the front end side portion 131f enters the hatch 111a and enters a closed state in which the front end side portion 131f closes the hatch 111a. When the movable part 131b is in a lowered use state, the front side portion 131f of the movable portion 131b protrudes forward from the fixed portion 131a, creating an empty space 200 below the front side portion 131f. This is formed. When the movable part 131b is in the lowered use state, the portion located on the free end side of the connecting shaft 133 of the movable part 131b is received and supported by the support part 134, thereby putting the movable part 131b in the lowered use state. It can be maintained. When the movable part 131b is in the raised and stored state, it is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hatch 111a and is in an open state to open the hatch 111a.

가동부(131b)를 상승 격납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가동부(131b)에 의한 승강구(111a)의 폐쇄를 해제하여, 고정부(131a)를 난간으로서 사용하면서 운전부(111)에 타거나, 운전부(111)로부터 내리거나 할 수 있다. 운전부(111)에 타거나, 운전부(111)로부터 내리거나 할 때 이외에는, 가동부(131b)를 하강 사용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가동부(131b)를 폐쇄 부재로 활용하여 승강구(111a)를 폐쇄할 수 있다.By switching the movable part 131b to the raised and stored state, the closure of the hatch 111a by the movable part 131b is released, and the driver can ride on the driving part 111 while using the fixed part 131a as a handrail, or the driving part ( You can get off from 111). Except when getting on or getting off the driving part 111, the movable part 131b can be switched to the lowering state, thereby closing the hatch 111a by using the movable part 131b as a closing member. You can.

〔실시예 3〕[Example 3]

도 19는, 제3 실시 구조를 구비한 승용형 이앙기의 난간(130)이 배치된 부위를 도시한 좌측면도이다. 제3 실시 구조를 구비한 승용형 이앙기에서는, 난간(130)의 상단부(131)는 고정부(131a)와 가동부(131b)를 구비하고 있다.FIG. 19 is a left side view showing the portion where the handrail 130 of the riding-type rice transplanter provided with the third implementation structure is disposed. In the riding-type rice transplanter provided with the third implementation structure, the upper end 131 of the handrail 130 is provided with a fixed part 131a and a movable part 131b.

예비 모 수용 장치(150)의 후방측의 지주(141)에 지지부(134)가 구비되어 있다. 가동부(131b)를 개방 상태로 전환한 경우, 가동부(131b)의 전단 측부(131f)가 지지부(134)에 수용 지지됨으로써, 후방측의 지주(141)에 수용 지지된다.The support part 134 is provided in the support post 141 on the rear side of the spare hair receiving device 150. When the movable part 131b is switched to the open state, the front end side 131f of the movable part 131b is accommodated and supported by the support part 134, and thus is received and supported by the support 141 on the rear side.

〔제2 실시 형태의 다른 실시 형태〕[Other embodiments of the second embodiment]

(1) 도 20은, 제1 다른 실시 구조를 구비한 후방 가드(117)를 도시한 좌측면도이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다른 실시 구조를 구비한 후방 가드(117)는, 좌측 옆의 난간(130) 및 우측 옆의 난간(130)의 전후의 다리부(131c) 중 전방측의 다리부(131c)에 지지되어 있다.(1) Fig. 20 is a left side view showing the rear guard 117 provided with a first alternative embodiment structure. As shown in FIG. 20, the rear guard 117 with the first alternative structure is located on the front side among the front and rear leg portions 131c of the left handrail 130 and the right handrail 130. It is supported on the leg portion 131c.

(2) 도 21은, 제2 다른 실시 구조를 구비한 후방 가드(117)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다른 실시 구조를 구비한 후방 가드(117)는, 후방 난간을 겸하는 상단의 후방 가드(117u)와, 중간 단의 후방 가드(117n)와, 하단의 후방 가드(117d)를 구비하고 있다.(2) Fig. 2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rear guard 117 provided with a second alternative embodiment structure. As shown in FIG. 21, the rear guard 117 with the second alternative structure includes an upper rear guard 117u that also serves as a rear handrail, a middle rear guard 117n, and a lower rear guard. (117d) is provided.

(3) 도 22는, 제3 다른 실시 구조를 구비한 후방 가드(117)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다른 실시 구조를 구비한 후방 가드(117)는 후방 난간을 겸하는 상단의 후방 가드(117u)와, 하단의 후방 가드(117d)와, 좌우 한 쌍의 사이드 가드 플레이트(118)를 구비하고 있다. 좌우의 사이드 가드 플레이트(118)는, 운전 좌석(110)의 양 횡측의 후방에 위치하는 개소에서 상단의 후방 가드(117u)와 하단의 후방 가드(117d)에 연결되어 있다.(3) Fig. 2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rear guard 117 provided with a third alternative embodiment structure. As shown in FIG. 22, the rear guard 117 with the third alternative structure includes an upper rear guard 117u that also serves as a rear handrail, a lower rear guard 117d,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side guards. It is provided with a plate 118. The left and right side guard plates 118 are connected to the upper rear guard 117u and the lower rear guard 117d at locations located behind both lateral sides of the driver's seat 110.

(4)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예비 모 수용 장치(150)에 3매의 예비 모 적재대(151, 152, 153)를 설치한 예를 나타냈지만, 3매에 한정되지 않고, 2매 혹은 4매 이상의 예비 모 적재대를 설치하여 실시해도 된다.(4)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 example in which three spare hair loading stands 151, 152, and 153 are installed in the spare hair receiving device 150 is shown, but the number is not limited to three, and two or four sheets are provided. It may be carried out by installing more than one spare seedling stand.

(5)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전방의 가동 예비 모 적재대(152) 및 후방의 가동 예비 모 적재대(153)가 요동에 의해 격납 자세와 사용 자세로 전환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전방의 가동 예비 모 적재대(152) 및 후방의 가동 예비 모 적재대(153)를 고정 예비 모 적재대(151)와 지주(141)로 교체함으로써, 예비 모 적재대(151, 152, 153)가 차체 상하 방향으로 나열되는 상태와 차체 전후 방향으로 나열되는 상태로 전환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또한, 지주(141)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링크 기구에 의해 복수 매의 예비 모 적재대를 지지하고, 링크 기구의 요동 조작에 의해 복수 매의 예비 모 적재대가 차체 상하 방향으로 나열되는 상태와 차체 전후 방향으로 나열되는 상태로 전환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5)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 example is shown in which the front movable spare mother loading stand 152 and the rear movable spare mother loading stand 153 are switched between the storage posture and the use posture by rocking, but in this configuration, Without limitation, by replacing the front movable spare mother loading stand 152 and the rear movable spare mother loading stand 153 with the fixed spare mother loading stand 151 and the support 141, the spare mother loading stand 151, 152, 153) may be configured to switch between a state in which they are lined up in the top and bottom direction of the car body and a state in which they are lined up in the front and back directions of the car body. In addition, a plurality of spare parent loading platforms are supported by a link mechanism swingably supported on the strut 141, and a plurality of spare parent loading platforms are alig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by the oscillating operation of the link mechanism. You may adopt a configuration that switches to a state where they are listed in the front-to-back direction.

(6)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예비 모 적재대(151, 152, 153)가 격납되는 상태를 예비 모 수용 장치(150)의 제1 상태로 한 예를 나타냈지만, 복수 매의 예비 모 적재대가 예비 모의 적재 수용이 가능한 상태에서 주행 차체의 상하 방향으로 나열되는 상태를 예비 모 수용 장치(150)의 제1 상태로 되도록 구성하여 실시해도 된다.(6) In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an example was shown in which the state in which the spare seedling loading stands 151, 152, and 153 are stored is the first state of the spare seedling storage device 150, but a plurality of spare seedling loading stands are provided. You may configure and implement the state lined up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traveling car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spare hair can be loaded and accommodated, so that it becomes the first state of the spare hair accommodating device 150.

(7)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후방의 가동 예비 모 적재대(153)에 연장 적재대(153c)가 구비된 예를 나타냈지만, 연장 적재대(153c)를 구비하지 않고, 후방의 가동 예비 모 적재대(153)의 예비 모 적재대 본체(151b)의 후단 측부가 빈 공간(200)으로 들어가도록 구성해도 된다.(7) In the above embodiment, an example is shown in which the rear movable spare mother loading table 153 is provided with an extension loading table 153c, but the extension loading table 153c is not provided, and the rear movable spare mother loading table 153 is provided with an extension loading table 153c. The rear end side of the spare loading stand main body 151b of the loading stand 153 may be configured to enter the empty space 200.

(8)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상단의 예비 모 수용 장치(140)를 설치한 예를 나타냈지만, 상단의 예비 모 수용 장치(140)를 설치하지 않고, 제1 상태와 제2 상태로 전환 가능한 예비 모 수용 장치(150)만을 설치하여 실시해도 된다.(8)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 example in which the upper spare hair receiving device 140 is installed is shown, but it is possible to switch between the first state and the second state without installing the upper spare hair receiving device 140. It may be carried out by installing only the spare hair receiving device 150.

(9) 본 발명은, 8조 식부가 가능한 모 식부 장치(120)가 연결된 승용형 이앙기에 한정되지 않고, 4조, 6조 등 8조보다 적은 조 수의 모 식부를 행하는 모 식부 장치, 혹은 8조보다 많은 조 수의 식부가 가능한 모 식부 장치가 연결된 승용형 이앙기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운전 좌석(110)의 후방에 설치한 비료 탱크 및 비료 조출 장치를 가진 시비 장치가 장비된 승용형 이앙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9)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riding-type rice transplanter connected to a mother planting device 120 capable of planting 8 plants, but a mother planting device that performs planting with fewer than 8 plants, such as 4 or 6 plants, or It can be applied to a riding-type rice transplanter connected to a mother planting device that can plant more than 8 plant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a riding-type rice transplanter equipped with a fertilizer tank installed behind the driver's seat 110 and a fertilization device with a fertilizer delivery device.

[제3 실시 형태][Third Embodiment]

이하, 제3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는, 작업차의 일례로서 승용형의 이앙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Here, a riding-type rice transplanter is used as an example of a work vehicle.

도 23 내지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용형 이앙기에는, 주행 장치로서의 방향 변경 조작 가능한 좌우 한 쌍의 전방 차륜(210)과, 방향 고정의 좌우 한 쌍의 후방 차륜(211)을 갖는 주행 차체(300)와, 포장에 대한 모의 식부가 가능한 작업 장치로서의 모 식부 장치(W)가 구비되어 있다. 모 식부 장치(W)는, 승강용 유압 실린더(220)의 신축 작동에 의해 승강 작동하는 링크 기구(221)를 통해, 주행 차체(300)의 후단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23 to 25, the riding-type rice transplanter has a traveling vehicle body having a pair of left and right front wheels 210 capable of changing direction as a traveling device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rear wheels 211 whose direction is fixed. (300) and a model planting device (W) as a working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simulated planting on a field are provided. The mother unit device W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traveling vehicle body 300 so as to be able to be raised and lowered through a link mechanism 221 that is lifted and lowered by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peration of the hydraulic cylinder 220 for raising and lowering.

이 실시 형태에서는, 도 24에 나타낸 화살표 F가 주행 차체(300)의 기체 전방부측, 화살표 B가 주행 차체(300)의 기체 후방부측, 화살표 L이 주행 차체(300)의 기체 좌측, 화살표 R이 주행 차체(300)의 기체 우측을 나타내고 있다.In this embodiment, arrow F shown in FIG. 24 is on the front side of the traveling vehicle body 300, arrow B is on the rear side of the traveling vehicle body 300, arrow L is on the left side of the traveling vehicle body 300, and arrow R is on the left side of the traveling vehicle body 300. The right side of the traveling vehicle body 300 is shown.

도 23 내지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 차체(300)의 전방부에는, 개폐식 보닛(212)이 구비되어 있다. 보닛(212) 내에는, 엔진(213)이 구비되어 있다. 보닛(212)의 선단 위치에는, 포장에 그려진 지표 라인(LN)(도 28 참조)을 따라 주행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봉상의 센터 마스코트(214)가 구비되어 있다. 주행 차체(300)에는,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프레임 형상의 기체 프레임(215)이 구비되고, 기체 프레임(215)의 전방부에는 지지 지주 프레임(216)이 기립 설치되어 있다.23 to 25, an openable bonnet 212 is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traveling vehicle body 300. Within the bonnet 212, an engine 213 is provided. At the tip of the bonnet 212, a bar-shaped center mascot 214 is provided that serves as a reference for driving along the indicator line LN (see FIG. 28) drawn on the pavement. The traveling vehicle body 300 is provided with a frame-shaped body frame 215 extending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 support strut frame 216 is installed standing on the front part of the body frame 215.

도 23 및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 식부 장치(W)에는, 4개의 전동 케이스(222), 각 전동 케이스(222)의 후방부의 좌측부 및 우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합계 8개의 회전 케이스(223), 각 회전 케이스(223)의 양단부에 구비된 한 쌍의 로터리식 식부 암(224), 포장의 논바닥을 정지하는 복수의 정지 플로트(225), 식부용 매트 형상 모가 적재되는 모 적재대(226), 포장의 논바닥에 지표 라인(LN)(도 28 참조)을 형성하기 위한 마커 장치(233) 등이 구비되어 있다.23 and 24, the model device W includes four power cases 222, a total of eight rotatable units rotatably suppor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ar portion of each power case 222. Case 223, a pair of rotary planting arms 224 provided at both ends of each rotating case 223, a plurality of stationary floats 225 for stopping the bottom of the field, and seedlings on which mat-shaped seedlings for planting are loaded. A loading table 226 and a marker device 233 for forming an indicator line (LN) (see FIG. 28) on the bottom of the field are provided.

이와 같이 구성된 모 식부 장치(W)는, 모 적재대(226)를 좌우로 왕복 횡 이송 구동하면서, 전동 케이스(222)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각 회전 케이스(223)를 회전 구동하여, 모 적재대(226)의 하부로부터 각 식부 암(224)에 의해 교대로 모를 취출하여 포장의 논바닥에 식부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모 식부 장치(W)는, 8개의 회전 케이스(223)에 구비된 식부 암(224)에 의해 모를 식부하는 8조 식부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마커 장치(233)는, 상세하게 서술하지는 않지만, 모 식부 장치(W)의 좌우 측부에 구비되고, 포장의 논바닥에 접지하여 주행 차체(300)의 주행에 수반하여, 차회의 작업 행정에 대응하는 논바닥에 지표 라인(LN)을 형성하는 작용 자세 및 포장의 논바닥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격납 자세로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마커 장치(233)의 자세 전환은 도시하지 않은 전동 모터에 의해 행해진다.The seedling unit device W configured in this way drives the seedling loading stand 226 to the left and right in a reciprocating lateral transfer, and rotates each rotary case 223 by power transmitted from the electric case 222, thereby performing seedling loading. Seedlings are alternately taken out from the lower part of the stand 226 by each planting arm 224 and planted on the bottom of the field. Therefore, the seedling planting device W is configured in an 8-tank planting format in which seedlings are planted by planting arms 224 provided in eight rotating cases 223. Although not described in detail, the marker device 233 is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ther planting device W, and is grounded on the bottom of the paddy field, and corresponds to the next work stroke as the traveling vehicle body 300 travels. It is configured to be operable in an operating posture that forms an indicator line (LN) on the bottom of the paddy field and in a containment posture spaced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field. The attitude of the marker device 233 is changed by an electric motor (not shown).

도 23 내지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 차체(300)에 있어서의 보닛(212)의 좌우 측부에는, 모 식부 장치(W)에 보급하기 위한 예비 모를 적재 가능한 복수(예를 들어, 4개)의 통상 예비 모 적재대(228), 모 식부 장치(W)에 보급하기 위한 예비 모를 적재 가능한 하나의 레일식 예비 모 적재대(229)가 구비되어 있다. 주행 차체(300)에 있어서의 보닛(212)의 좌우 측부에는, 각 통상 예비 모 적재대(228)와 레일식 예비 모 적재대(229)를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예비 모 프레임(230)이 구비되고, 좌우의 예비 모 프레임(230)의 상부끼리가 연결 프레임(231)으로 연결되어 있다.23 to 25,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nnet 212 in the traveling vehicle body 300, a plurality (for example, four) can be loaded with spare seedlings for supplying the seedling device W. )'s normal spare seedling loading stand 228, and one rail-type spare seedling loading stand 229 capable of loading spare seedlings to be supplied to the seedling device (W).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nnet 212 in the traveling vehicle body 300, a pair of left and right spare mother frames 230 are provided to support each normal spare mother loading stand 228 and the rail-type spare mother loading stand 229. It is provided, and the upper parts of the left and right spare mother frames 2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on frame 231.

도 23 내지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 차체(300)의 중앙부에는, 각종 운전 조작이 행해지는 운전부(240)가 구비되어 있다. 운전부(240)에는, 운전자가 착석 가능한 운전 좌석(241), 조종 탑(242), 전방 차륜(210)의 수동의 조향 조작용 스티어링 휠에 의해 구성되는 수동 조향 조작구로서의 조향 핸들(243), 전후진의 전환 조작이나 주행 속도를 변경 조작이 가능한 주 변속 레버(244), 조작 레버(245) 등이 구비되어 있다. 운전 좌석(241)은, 주행 차체(300)의 중앙부에 구비되어 있다. 조종 탑(242)에, 조향 핸들(243), 주 변속 레버(244), 조작 레버(245) 등이 조작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운전부(240)의 발밑 부위에는, 탑승 스텝(246)이 설치되어 있다. 탑승 스텝(246)의 좌우의 외측 위치에는, 보조 스텝(247)이 설치되어 있다. 탑승 스텝(246)은 보닛(212)의 좌우 양측으로도 연장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23 to 25, the central portion of the traveling vehicle body 300 is provided with a driving unit 240 that performs various driving operations. The driving unit 240 includes a driver's seat 241 on which the driver can sit, a control tower 242, and a steering handle 243 as a manual steering operation tool configured by a steering wheel for manual steering operation of the front wheels 210. , a main shift lever 244, an operation lever 245, etc. that can operate to switch forward and backward or change driving speed are provided. The driver's seat 241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traveling vehicle body 300. The control tower 242 is provided with a steering handle 243, a main shift lever 244, an operation lever 245, etc. to be operable. A boarding step 246 is installed at the foot of the driving unit 240. Auxiliary steps 247 are installed at positions outside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arding step 246. The boarding step 246 also extends to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nnet 212.

도 23 내지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245)는, 조향 핸들(243)의 하측의 우측 옆에 구비되어 있다. 상세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조작 레버(245)는, 중앙의 중립 위치로부터, 상승 위치, 하강 위치, 우측 마커 위치, 좌측 마커 위치 각각에 십자 방향으로 이동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고, 중립 위치에 가압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23 to 25 , the operation lever 245 is provided on the lower right side of the steering wheel 243 .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the operating lever 245 is configured to be operable to move in the cross direction from the central neutral position to the rising position, the falling position, the right marker position, and the left marker position, and is pressed at the neutral position. .

조작 레버(245)를 상승 위치로 조작하면, 모 식부 장치에 대한 전동이 차단되어, 모 식부 장치(W)가 상승하고, 좌우의 마커 장치(233)(도 23 참조)가 격납 자세로 조작된다. 조작 레버(245)를 하강 위치로 조작하면, 모 식부 장치(W)가 하강하여 논바닥에 접지하여 정지한 상태로 된다. 이 하강 상태에서 조작 레버(245)를 우측 마커 위치로 조작하면, 우측의 마커 장치(233)가 격납 자세로부터 작용 자세로 된다. 조작 레버(245)를 좌측 마커 위치로 조작하면, 좌측의 마커 장치(233)가 격납 자세로부터 작용 자세로 된다.When the operation lever 245 is operated to the raising position, the electric power to the mother planting device is cut off, the mother planting device W is raised, and the left and right marker devices 233 (see Fig. 23) are operated to the storage posture. . When the operation lever 245 is operated to the lowered position, the seedling device W is lowered, grounded on the bottom of the rice field, and stopped. When the operation lever 245 is operated to the right marker position in this lowered state, the marker device 233 on the right side changes from the storage posture to the operating posture. When the operation lever 245 is operated to the left marker position, the left marker device 233 changes from the storage posture to the operating posture.

운전자는, 모 식부 작업을 개시할 때에는, 조작 레버(245)를 조작하여 모 식부 장치(W)를 하강시킴과 함께, 모 식부 장치(W)에 대한 전동이 개시되어 모 식부 작업을 개시한다. 그리고 모 식부 작업을 정지할 때에는, 조작 레버(245)를 조작하여 모 식부 장치(W)를 상승시킴과 함께, 모 식부 장치(W)에 대한 전동이 차단된다.When starting the model planting work, the driver operates the operation lever 245 to lower the model planting device W, and starts powering the model planting device W to start the model planting work. And when stopping the model planting operation, the operation lever 245 is operated to raise the model planting apparatus W, and the electric power to the model planting apparatus W is cut off.

운전부(240)의 조종 탑(242)의 상부에는, 액정 표시기를 사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표시 가능한 표시 장치(248)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후술하는 자동 조향 제어에 사용하는 시점 설정 스위치(249A)가 표시 장치(248)의 우측에 위치하고, 종점 설정 스위치(249B)가 표시 장치(248)의 좌측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구비되어 있다.A display device 248 capable of displaying various information using a liquid crystal display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ntrol tower 242 of the operation unit 240. Additionally, a starting point setting switch 249A used for automatic steering control,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display device 248, and an end point setting switch 249B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display device 248.

주 변속 레버(244)의 파지부에는, 누름 조작식 자동 조향 스위치(250)가 구비되어 있다. 자동 조향 스위치(250)는, 자동 복귀형으로 설치되고, 누름 조작할 때마다 자동 조향 제어의 온 오프의 전환을 지령한다. 자동 조향 스위치(250)는, 주 변속 레버(244)의 파지부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예를 들어 엄지손가락으로 누를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The grip portion of the main shift lever 244 is provided with a push-operated automatic steering switch 250. The automatic steering switch 250 is installed as an automatic reset type and instructs the automatic steering control to be switched on and off each time it is pressed. The automatic steering switch 250 is disposed in a position where it can be pressed with, for example, a thumb while holding the grip portion of the main shift lever 244 with the hand.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 차체(300)에는, 좌우의 전방 차륜(210)을 조향 가능한 조향 유닛(U)이 구비되어 있다. 조향 유닛(U)에는, 조향 핸들(243)에 연동 연결되는 스티어링 조작 축(254), 스티어링 조작 축(254)의 회전에 수반하여 요동하는 피트먼 암(255), 피트먼 암(255)에 연동 연결되는 좌우의 연계 기구(256), 조향 모터(258), 스티어링 조작 축(254)에 조향 모터(258)를 연동 연결하는 기어 기구(257) 등이 구비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6, the traveling vehicle body 300 is equipped with a steering unit U capable of steering the left and right front wheels 210. The steering unit U includes a steering operation shaft 254 linked to the steering handle 243, a pitman arm 255 that oscillates with the rotation of the steering operation shaft 254, and a pitman arm 255. It is provided with a left and right linkage mechanism 256 that is interlocked, a steering motor 258, and a gear mechanism 257 that interlocks and connects the steering motor 258 to the steering operation shaft 254.

스티어링 조작 축(254)은, 피트먼 암(255) 및 좌우의 연계 기구(256)를 통해, 좌우의 전방 차륜(210)에 각각 연동 연결되어 있다. 스티어링 조작 축(254)의 하단부에, 로터리 인코더로 이루어지는 조향각 센서(260)가 구비되고, 스티어링 조작 축(254)의 회전량은 조향각 센서(260)에 의해 검출되도록 되어 있다. 스티어링 조작 축(254)의 도중부에는, 조향 핸들(243)에 걸리는 토크를 검출하는 수동 조작 검출 수단으로서의 토크 센서(261)가 구비되어 있다. 예를 들어, 조향 모터(258)가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있을 때, 그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을 향해 수동 조작으로 조향 핸들(243)이 조작되면, 토크 센서(261)에 의해 그것을 검출할 수 있다.The steering operation shaft 254 is linked to the left and right front wheels 210 through the pitman arm 255 and the left and right linkage mechanisms 256, respectively. A steering angle sensor 260 made of a rotary encoder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teering operation shaft 254, and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steering operation shaft 254 is detected by the steering angle sensor 260. A torque sensor 261 as a manual operation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e torque applied to the steering handle 243 is provided in the middle of the steering operation shaft 254. For example, when the steering motor 258 is rotating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f the steering handle 243 is manually operat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this can be detected by the torque sensor 261. You can.

조향 유닛(U)의 자동 조향을 행하는 경우에는, 조향 모터(258)를 구동하여, 조향 모터(258)의 구동력에 의해 스티어링 조작 축(254)을 회전 조작하여, 전방 차륜(210)의 조향 각도를 변경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조향 모터(258)가 조향 조작 수단에 대응한다. 자동 조향을 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조향 유닛(U)은, 조향 핸들(243)의 수동 조작에 의해 회전 조작할 수 있다.When performing automatic steering of the steering unit U, the steering motor 258 is driven, the steering operation shaft 254 is rotat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steering motor 258, and the steering angle of the front wheel 210 is adjusted. is set to change. Accordingly, the steering motor 258 corresponds to the steering operation means. When automatic steering is not performed, the steering unit U can be rotated by manual operation of the steering handle 243.

다음으로, 자동 조향 제어를 행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configuration for performing automatic steering control will be described.

주행 차체에, 위성으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하여 차체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성 측위용 시스템(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의 일례로서, 주지의 기술인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하여 차체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이 구비되어 있다.This is an example of a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that detects the position of a vehicle by receiving radio waves from satellites on a running vehicle. It detects the location of the vehicle usin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a well-known technology. A position detection means is provided.

구체적으로는, 위치 검출 수단으로서, 지구의 상공을 주회하는 복수의 GPS 위성으로부터 발신되는 전파를 수신하는 안테나(262)가 구비된 수신 장치(263)를 갖는 위치 계측 유닛(264)(위성 측위용 유닛의 일례)가, 측위를 행하는 대상(주행 차체(300))에 구비되고, 수신하는 전파의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 장치(263), 즉 위치 계측 유닛(264)의 위치를 계측할 수 있다.Specifically, as a position detection means, a position measurement unit 264 (satellite positioning unit) having a receiving device 263 provided with an antenna 262 for receiving radio waves transmitted from a plurality of GPS satellites orbiting the skies of the Earth. (an example of) is provided on the object for which positioning is performed (traveling vehicle body 300), and can measure the position of the receiving device 263, that is, the position measurement unit 264, based on information on the received radio waves.

도 23 내지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계측 유닛(264)은, 주행 차체(300)의 전방부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판상의 지지 플레이트(265)를 통해 연결 프레임(231)에 설치되어 있다.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프레임(231)은 위치 계측 유닛(264)이 예비 모 프레임(230)의 상단부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사용 상태(S1)와, 사용 상태(S1)에 대해 상하 반전하여, 수신 장치(263)가 예비 모 프레임(230)의 상단부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격납 상태(S2)로 상태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설명을 추가하면, 연결 프레임(231)은 연결 브래킷(232)을 통해, 기체 횡방향을 따르는 좌우 축심(X)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또한 사용 상태(S1)와 격납 상태(S2)의 각 상태에서 위치 고정 가능하게, 좌우의 예비 모 프레임(230)에 지지되어 있다.23 to 25, the position measurement unit 264 is installed on the connection frame 231 through a plate-shaped support plate 265 in a state located in the front part of the traveling vehicle body 300. there is. As shown in FIG. 25, the connection frame 231 is inverted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use state (S1) in which the position measurement unit 264 is located above the upper end of the spare mother frame 230 and the use state (S1). Accordingly, the receiving device 263 can change its state to a storage state (S2) located below the upper end of the spare mother frame 230. To add explanation, the connection frame 231 is rotatable about the left and right axes ( It is supported on the left and right spare mother frames 230 so that the position can be fixed.

도 23 및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프레임(231)을 사용 상태(S1)로 함으로써, 수신 장치(263)가, 연결 프레임(231)과 예비 모 프레임(230)에 의해, 높은 개소에 지지되는 것으로 된다. 수신 장치(263)에 전파 장해가 발생할 우려가 적어, 수신 장치(263)의 전파의 수신 감도를 높일 수 있다.23 and 25, by putting the connection frame 231 in the use state (S1), the reception device 263 is connected to a high location by the connection frame 231 and the spare mother frame 230. It becomes supported. There is less risk of radio wave interference occurring in the receiving device 263, and the sensitivity of the receiving device 263 for receiving radio waves can be increased.

주행 차체(300)에, 위치 계측 유닛(264) 외에, 주행 차체(300)의 방위를 검출하는 방위 검출 수단으로서, 자이로 센서(266A) 등을 갖는 관성 계측 유닛(266)이 구비되어 있다.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관성 계측 유닛(266)은, 예를 들어 운전 좌석(241)의 후방측 하방 위치이며 주행 차체(300)의 횡폭 방향 중앙이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관성 계측 유닛(266)은, 주행 차체(300)의 선회 각도 각속도를 검출 가능하고, 각속도를 적분함으로써 차체의 방위 변화각을 구할 수 있다. 따라서, 관성 계측 유닛(266)에 의해 계측되는 계측 정보에는 주행 차체(300)의 방위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상세하게 서술하지는 않았지만, 관성 계측 유닛(266)은 주행 차체(300)의 선회 각도 각속도 외에, 주행 차체(300)의 좌우 경사 각도, 주행 차체(300)의 전후 경사 각도의 각속도 등도 계측 가능하다.In addition to the position measurement unit 264, the traveling vehicle body 300 is provided with an inertial measurement unit 266 having a gyro sensor 266A or the like as an orientation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e orientation of the traveling vehicle body 300. Although not shown, the inertial measurement unit 266 is installed, for example, at a position below the rear of the driver's seat 241 and at a low position in the center of the traveling vehicle body 300 in the width direction. The inertial measurement unit 266 is capable of detecting the turning angle and angular velocity of the traveling vehicle body 300, and can obtain the azimuth change angle of the vehicle body by integrating the angular velocity. Accordingly, the measurement information measured by the inertial measurement unit 266 includes orientation information of the traveling vehicle body 300. Although not described in detail, the inertial measurement unit 266 is capable of measuring, in addition to the turning angle and angular velocity of the traveling vehicle body 300, the left and right inclination angles of the traveling vehicle body 300 and the angular velocities of the forward and backward inclination angles of the traveling vehicle body 300.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 차체(300)에는, 조향 모터(258)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 장치(267)가 구비되어 있다. 제어 장치(267)는, 주행 차체(300)가 주행해야 할 목표 이동 경로를 설정하는 경로 설정부(268)와, 위치 계측 유닛(264)에서 계측되는 주행 차체(300)의 위치 정보와, 관성 계측 유닛(266)에서 계측되는 주행 차체(300)의 방위 정보에 기초하여, 주행 차체(300)가 목표 이동 경로를 따라 주행하도록 조향 모터(258)를 제어하는 조향 제어부(269)를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267)는, 마이크로컴퓨터를 구비하고 있고, 경로 설정부(268)와 조향 제어부(269)가 제어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7, the traveling vehicle body 300 is equipped with a control device 267 that controls the steering motor 258. The control device 267 includes a path setting unit 268 that sets a target movement path along which the traveling vehicle body 300 should travel,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raveling vehicle body 300 measured by the position measurement unit 264, and inertia Based on the orientation information of the traveling vehicle body 300 measured by the measurement unit 266, a steering control unit 269 is provided to control the steering motor 258 so that the traveling vehicle body 300 travels along the target movement path. . Specifically, the control device 267 is equipped with a microcomputer, and the path setting unit 268 and the steering control unit 269 are comprised of a control program.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 조향 제어에 사용하는 목표 이동 경로를 티칭 처리에 의해 설정하기 위한 설정 스위치(249)가 구비되어 있다. 설정 스위치(249)에는, 시점 위치를 설정하는 시점 설정 스위치(249A)와, 종점 위치를 설정하는 종점 설정 스위치(249B)가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시점 설정 스위치(249A)는 표시 장치(248)의 우측에 구비되고, 종점 설정 스위치(249B)는 표시 장치(248)의 좌측에 구비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7, a setting switch 249 is provided for setting the target movement path used for automatic steering control through teaching processing. The setting switch 249 includes a starting point setting switch 249A for setting the starting point position, and an end point setting switch 249B for setting the ending point position. As described above, the starting point setting switch 249A is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248 ), and the end point setting switch 249B is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display device 248.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장치(267)에는, 위치 계측 유닛(264), 관성 계측 유닛(266), 자동 조향 스위치(250), 시점 설정 스위치(249A), 종점 설정 스위치(249B), 조향각 센서(260), 토크 센서(261), 차속 센서(270) 등의 정보가 입력되어 있다. 차속 센서(270)는, 상세하게 서술하지는 않았지만, 예를 들어 후방 차륜(211)에 대한 전동 기구 중의 전동 축의 회전 속도에 의해 차속을 검출한다.As shown in FIG. 27, the control device 267 includes a position measurement unit 264, an inertial measurement unit 266, an automatic steering switch 250, a starting point setting switch 249A, an end point setting switch 249B, Information such as the steering angle sensor 260, torque sensor 261, and vehicle speed sensor 270 is input. Although not described in detail, the vehicle speed sensor 270 detects the vehicle speed based on, for exampl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transmission shaft in the transmission mechanism for the rear wheel 211.

경로 설정부(268)는, 시점 설정 스위치(249A) 및 종점 설정 스위치(249B)의 조작에 기초하는 티칭 처리에 의해, 자동 조향해야 할 목표 경로에 대응하는 티칭 경로를 설정함과 함께, 실제 작업할 때, 티칭 경로의 시단부에서 자동 모드가 지령되면, 그 위치에 있어서의 티칭 경로와 평행한 목표 이동 경로(LK)를 설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path setting unit 268 sets a teaching path corresponding to the target path to be automatically steered through teaching processing based on the operation of the start point setting switch 249A and the end point setting switch 249B, and performs actual work. When the automatic mode is commanded at the starting end of the teaching path, a target movement path (LK) parallel to the teaching path at that position is set.

조향 제어부(269)는, 자동 온 모드가 설정되어 있을 때, 위치 계측 유닛(264)에서 검출되는 주행 차체(300)의 검출 위치(자기 위치)(NM)가, 목표 이동 경로(LK) 상의 위치로 되도록, 또한 관성 계측 유닛(266)에서 검출되는 주행 차체(300)의 검출 방위(자기 방위)가 목표 이동 경로(LK)에 있어서의 목표 방위로 되도록 조향 모터(258)를 조작하는 자동 조향 제어를 실행한다. 즉, 주행 차체(300)의 자동 조향 제어 중에, 주행 차체(300)의 자기 위치(NM)와 목표 이동 경로(LK)의 횡방향의 위치 편차(ΔP)(도 29 참조. 이하의 설명에서는 「위치 어긋남량(ΔP)」이라고도 함)와, 주행 차체(300)의 자기 방위(NA)와 목표 방위(TD)의 각도 편차를 구하고, 그것들의 편차가 작아지도록 조향 모터(258)를 제어한다.When the automatic on mode is set, the steering control unit 269 determines that the detected position (self-position) NM of the traveling vehicle body 300 detected by the position measurement unit 264 is the position on the target movement path LK. Automatic steering control that operates the steering motor 258 so that the detected orientation (magnetic orientation) of the traveling vehicle body 300 detected by the inertial measurement unit 266 is the target orientation on the target movement path LK. Run . That is, during automatic steering control of the traveling vehicle body 300, the lateral position difference ΔP between the self-position NM of the traveling vehicle body 300 and the target movement path LK (see FIG. 29.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lso referred to as “positional deviation amount (ΔP)”) and the angular deviation between the magnetic heading (NA) and the target bearing (TD) of the traveling vehicle body 300 are obtained, and the steering motor 258 is controlled so that these deviations are reduced.

조향 제어부는, 자동 조향 제어를 실행하고 있을 때, 자기 위치(NM)가 목표 이동 경로(LK)로부터 횡방향으로 어긋나 있고, 또한 자기 방위(NA)가 목표 방위(TD)와 동일할 때에는, 제어 목표가 되는 목표 방위를 목표 이동 경로측으로 경사진 경사 목표 방위(KA)로 변경하여 조향 모터(258)를 조작하는 위치 어긋남 수정 처리를 실행한다.When executing automatic steering control, the steering control unit performs control when the magnetic position (NM) is deviated laterally from the target movement path (LK) and the magnetic bearing (NA) is the same as the target bearing (TD). Position misalignment correction processing is performed by changing the desired target direction to an inclined target direction (KA) inclined toward the target movement path and operating the steering motor 258.

위치 어긋남 수정 처리를 실행할 때, 자기 위치(NM)가 목표 이동 경로(LK)에 상당하는 개소로부터 크게 이격되어 있으면, 경사 목표 방위(KA)의 목표 방위(TD)에 대한 경사를 대측으로 설정하고, 자기 위치(NM)가 목표 이동 경로(LK)에 상당하는 개소에 근접할수록 경사 목표 방위(KA)의 목표 방위에 대한 경사를 완만하게 한다. 또한, 조향 제어부(269)는, 차속이 저속이면, 경사 목표 방위(KA)의 목표 방위(TD)에 대한 경사를 대측으로 설정하고, 차속이 고속일수록 경사 목표 방위(KA)의 목표 방위(TD)에 대한 경사를 완만하게 하도록 되어 있다.When performing positional misalignment correction processing, if the own position (NM) is significantly separated from the point corresponding to the target movement path (LK), the inclination of the inclination target direction (KA) with respect to the target direction (TD) is set to the contralateral side. , As the self-position NM approaches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target movement path LK, the slope of the inclination target direction KA becomes gentler with respect to the target direction. In addition, when the vehicle speed is low, the steering control unit 269 sets the inclination of the inclination target bearing KA to the target bearing (TD) to the opposite side, and as the vehicle speed is high, the target heading (TD) of the incline target bearing KA is set to the opposite side. ) is designed to have a gentle slope.

단, 경사 목표 방위(KA)의 목표 방위에 대한 경사각 α에는 상한이 있고, 차속이 극히 저속이거나, 위치 어긋남량(ΔP)이 커지거나 하고 있어도, 경사각 α는 설정 상한값 이하의 값으로 설정된다. 경사각 α가 지나치게 크면, 주행 차체(300)가 급선회하여 주행 상태가 불안정해질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 경사각 α를 「설정 경사각 α」라고도 칭함).However, there is an upper limit to the inclination angle α of the inclination target azimuth KA with respect to the target azimuth, and even if the vehicle speed is extremely low or the positional deviation amount ΔP is large, the inclination angle α is set to a value below the set upper limit. This is because, if the inclination angle α is too large, the traveling vehicle body 300 may make a sharp turn and the running state may become unstab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is inclination angle α is also referred to as “set inclination angle α”).

또한, 조향 제어부(269)는, 위치 어긋남 수정 처리를 실행할 때에는, 차속이 클수록 조향 모터(258)가 진행 방향을 변경할 때의 변경 조작 속도를 작게 한다. 따라서, 차속이 저속이면, 변경 조작 속도가 조금 크게 설정되고, 차속이 클수록 변경 조작 속도를 작게 한다.Additionally, when performing positional misalignment correction processing, the steering control unit 269 reduces the change operation speed at which the steering motor 258 changes the direction of travel as the vehicle speed increases. Accordingly, when the vehicle speed is low, the change operation speed is set to be slightly larger, and as the vehicle speed increases, the change operation speed is set to be smaller.

다음으로, 직사각 형상의 수전에서 모의 식부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제어 장치(267)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device 267 in the case of performing a mock planting operation in a rectangular water tap will be described.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앙기는, 수전에 있어서, 목표 이동 경로(LK)를 따라 주행하면서 모 식부 작업을 행하는 직진 주행과, 목표 이동 경로(LK)의 종단 위치에서 목표 이동 경로(LK)와 평행한 차회의 목표 이동 경로(LK)를 향해 선회하는 선회 주행을 교대로 반복하여 주행한다. 그리고 조향 제어부(269)는, 원칙적으로, 모 식부 작업을 행하는 직진 주행 중에 자동 조향 제어를 실행하고, 직진 주행 이외의 이동 주행에는, 자동 조향 제어를 실행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8, the rice transplanter travels straight ahead to perform seedling work while traveling along the target movement path LK in the water transfer, and the target movement path LK at the end position of the target movement path LK. The vehicle is driven alternately and repeatedly, turning toward the next target movement path (LK) parallel to . In principle, the steering control unit 269 performs automatic steering control during straight driving while carrying out seedling work, and does not perform automatic steering control during moving driving other than straight driving.

먼저, 주행 차체(300)를 포장 내의 두렁가의 시점 위치(R1)에 위치시키고, 시점 설정 스위치(249A)를 조작한다. 이때, 제어 장치(267)는, 자동 오프 모드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운전자가 수동 조종하면서, 시점 위치(R1)로부터 측부측의 두렁가의 직선 형상을 따라 비작업 상태로 주행 차체(300)를 직진 주행시키고, 반대측의 두렁가 부근의 종점 위치(R2)까지 이동시키고 나서 종점 설정 스위치(249B)를 조작한다. 이에 의해, 티칭 처리가 실행된다. 즉, 시점 위치(R1)에 있어서 수신 장치(263)에 의해 취득된 위치 정보와, 종점 위치(R2)에 있어서 수신 장치(263)에 의해 취득된 위치 정보로부터, 시점 위치(R1)와 종점 위치(R2)를 연결하는 티칭 경로가 설정된다. 이 티칭 경로를 따르는 방향이 기준이 되는 목표 방위(TD)(이하, 티칭 방위(TD)라고도 말함)로서 설정된다.First, the traveling vehicle body 300 is positioned at the starting point position (R1) at the edge of the pavement, and the starting point setting switch 249A is operated. At this time, the control device 267 is set to automatic off mode. Then, while the driver is manually controlling, the vehicle body 300 is driven straight in a non-working state along the straight line of the ridge on the side from the starting position (R1), and then moved to the end position (R2) near the ridge on the opposite side. Operate the end point setting switch (249B). Thereby, teaching processing is executed. That is, from the positional information acquired by the receiving device 263 at the starting position R1 and the positioning information acquired by the receiving device 263 at the ending position R2, the starting point position R1 and the ending point position are determined. A teaching path connecting (R2) is set. The direction along this teaching path is set as the reference target direction (TD)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teaching direction (TD)).

다음으로, 운전자가 수동으로 조향 핸들(243)을 조작하여, 주행 차체(300)를 선회시킨다. 이때, 제어 장치(267)는, 자기 방위(NA)가 반전됨으로써, 주행 차체(300)의 선회가 행해진 것을 판별할 수 있다.Next, the driver manually operates the steering wheel 243 to turn the traveling vehicle body 300. At this time, the control device 267 can determine that the traveling vehicle body 300 has turned by inverting the magnetic heading (NA).

조향 제어부(269)는, 선회가 행해진 것을 판별하면, 주행 차체(300)의 선회가 종료된 후 소정의 판별 조건이 성립될 때까지는, 자동 조향 스위치(250)의 조작 입력을 받아들이지 않는 제어 견제 상태로 설정된다. 소정의 판별 조건은, 주행 차체(300)의 선회가 종료되고 나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는 것, 및 자기 방위(NA)와 티칭 방위(TD)의 어긋남 각도가 소정 범위 내로 되는 것이다. 제어 견제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동안은, 자동 조향 스위치(250)가 조작되어도 자동 조향 제어는 개시되지 않는다. 그때, 운전자는, 센터 마스코트(214)의 선단부를 보는 시선의 끝에, 논바닥에 형성된 지표 라인(LN)이 합치하도록 조향 핸들을 수동 조작하여 주행 차체(300)의 위치 정렬을 행할 수 있다.When the steering control unit 269 determines that a turn has been performed, the steering control unit 269 is in a control check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input from the automatic steering switch 250 is not accepted until a predetermined determination condition is established after the turning of the traveling vehicle body 300 is completed. is set to The predetermined judgment conditions are that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after the turning of the traveling vehicle body 300 is completed, and that the angle of deviation between the self-azimuth (NA) and the teaching direction (TD)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While set to the control check state, automatic steering control is not initiated even if the automatic steering switch 250 is operated. At that time, the driver can align the traveling vehicle body 300 by manually operating the steering wheel so that the indicator line LN formed on the bottom of the rice field coincides with the end of the line of sight looking at the tip of the center mascot 214.

도 27 중의 소정의 위치(R3)에서 제어 견제 상태가 해제되면, 자동 조향 스위치(250)의 조작 입력이 받아들여지므로, 운전자가 자동 조향 스위치(250)를 조작하면 자동 온 모드로 전환되고, 조향 제어부(269)는 그 지점으로부터 자동 조향 제어를 개시한다. 이때, 운전자는 조작 레버(245)를 조작하여 모 식부 장치(W)를 하강시켜 모 식부 작업을 실행한다.When the control check state is relea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R3) in FIG. 27, the operation input of the automatic steering switch 250 is accepted, so when the driver operates the automatic steering switch 250, the automatic on mode is switched, and the steering Control unit 269 initiates automatic steering control from that point. At this time, the driver operates the operation lever 245 to lower the model device (W) to perform the model device work.

자동 조향 제어가 개시되면, 위치 계측 유닛(264)에 의해 자기 위치(NM)의 정보를 구하고, 관성 계측 유닛(266)에서 자기 방위(NA)를 구한다. 이때,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처리의 기준이 되는 자기 위치(NM)는, 위치 계측 유닛(264)의 실제의 설치 위치가 아닌, 관성 계측 유닛(266)의 근방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현재의 자기 위치(NM)나 자기 방위(NA)가, 목표 이동 경로(LK), 티칭 방위(TD)와 합치하도록 조향 모터(258)를 조작하여 조향 제어된다. 이에 의해, 주행 차체(300)가 목표 이동 경로(LK)를 따라 정확하게 주행하는 것으로 된다. 운전자는 조향 핸들(243)로부터 손을 뗀 상태로 되어 있다. 단, 차속은 수동 조작으로 조절된다.When automatic steering control is started, information on the magnetic position (NM) is obtained by the position measurement unit 264, and magnetic heading (NA) is obtained by the inertial measurement unit 266.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29, the self-position (NM), which is the standard for data processing, is set to a position near the inertial measurement unit 266, not the actual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position measurement unit 264. . Then, the steering is controlled by manipulating the steering motor 258 so that the current magnetic position (NM) or magnetic direction (NA) matches the target movement path (LK) and teaching direction (TD). As a result, the traveling vehicle body 300 travels accurately along the target movement path LK. The driver has his hands removed from the steering wheel 243. However, vehicle speed is controlled manually.

조향 제어부(269)가 자동 조향 제어를 실행하면서 직진 주행하고 있을 때,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출되는 자기 위치가 목표 이동 경로로부터 횡방향으로 어긋나 있고, 또한 검출 방위가 티칭 방위(TD)와 동일할 때에는, 조향 제어부(269)는 목표 방위를 티칭 방위(TD)로부터 목표 이동 경로측으로 설정 경사각 α만큼 경사진 경사 목표 방위(KA)로 변경하여 조향 모터(258)를 조작하는 위치 어긋남 수정 처리를 실행한다.When the steering control unit 269 is driving straight while executing automatic steering control, as shown in FIG. 29, the detected magnetic position is laterally deviated from the target movement path, and the detected direction is the teaching direction (TD). When it is the same as , the steering control unit 269 changes the target direction from the teaching direction (TD) to the inclined target direction (KA) inclined by the set inclination angle α toward the target movement path side to correct the positional deviation for operating the steering motor 258. Execute processing.

즉,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어긋남 수정 처리에 있어서는, 자동 조향 제어할 때의 목표 방위로서, 티칭 방위(TD)가 아닌, 티칭 방위(TD)로부터 목표 이동 경로측으로 설정 경사각 α만큼 경사진 경사 목표 방위(KA)로 변경하여 자동 조향 제어를 실행한다. 따라서, 이 위치 어긋남 수정 처리를 실행하고 있을 때에는, 방위 편차가 작은 상태로 경사 방향으로 주행하므로 신속하게 위치 편차(ΔP)를 작게 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30, in the position misalignment correction process, as the target direction during automatic steering control, the inclination angle α is set from the teaching direction (TD) to the target movement path side, not from the teaching direction (TD). Change the photo inclination to the target heading (KA) and execute automatic steering control. Therefore, when performing this position misalignment correction process, the vehicle travels in the inclined direction with a small azimuth error, so that the position error ΔP can be quickly reduced.

이때, 자기 위치(NM)가 목표 이동 경로(LK)에 상당하는 개소로부터 이격되어 있을수록, 설정 경사각 α를 대측으로 설정하고, 자기 위치(NM)가 목표 이동 경로(LK)에 상당하는 개소에 접근할수록, 설정 경사각 α를 완만하게 한다. 또한, 차속이 저속이면, 설정 경사각 α를 대측으로 설정하고, 차속이 고속일수록 설정 경사각을 완만하게 하도록 되어 있다. 단, 설정 경사각 α에는 상한값이 설정되어 있고, 차속이 아무리 저속이거나, 위치 어긋남이 커도, 설정 경사각 α가 설정 상한값을 초과하는 일은 없다.At this time, the farther away the self-position (NM) is from the point corresponding to the target movement path (LK), the set inclination angle α is set to the contralateral side, and the more the self-position (NM) moves to the point corresponding to the target movement path (LK). As the approach approaches, the set inclination angle α becomes gentler. Additionally, when the vehicle speed is low, the set inclination angle α is set to the opposite side, and as the vehicle speed becomes higher, the set inclination angle is made gentler. However, an upper limit is set for the set inclination angle α, and no matter how low the vehicle speed is or how large the positional deviation is, the set inclination angle α never exceeds the set upper limit value.

그런데, 상술한 목표 이동 경로(LK)에 상당하는 개소라고 하는 것은, 목표 이동 경로(LK)에 상당하는 위치의 좌우 양측에 횡방향으로 소정 폭의 영역을 갖고 있다. 즉, 위치 편차에 대한 제어 불감대가 설정되어 있고, 위치 편차가 0이 아니고 불감대 내로 들어가면, 위치 어긋남 수정 처리가 종료된다. 즉, 목표 방위가, 경사 목표 방위가 아닌, 본래의 티칭 방위(TD)를 따르는 방향으로 설정된다.However, the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target movement path LK described above has an area of a predetermined wid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both the left and right of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arget movement path LK. That is, a control dead zone for the position deviation is set, and if the position error is not 0 and falls within the dead zone, the position misalignment correction process is terminated. That is, the target direction is set in a direction that follows the original teaching direction (TD), not the inclined target direction.

이와 같이 경사 목표 방위(KA)의 목표 방위에 대한 경사의 크기는, 주행 차체(300)의 위치 어긋남량(ΔP)의 크기 및 차속의 크기에 따라 변화되지만, 경사의 크기, 주행 차체(300)의 위치 어긋남량(ΔP), 차속 각각에 대한 상관 관계는, 미리 실험에 의해 구하여 맵 데이터로서 설정하거나, 연산식 등으로 정할 수 있다. 그리고 차속이 일정하면, 위치 어긋남량(ΔP)이 작아질수록, 바꾸어 말하면 주행 차체(300)의 자기 위치(NM)가 목표 이동 경로(LK)에 상당하는 개소에 접근할수록 설정 경사각 α는 작아진다.In this way, the size of the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target direction of the inclination target azimuth KA change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positional deviation amount ΔP of the traveling vehicle body 300 and the size of the vehicle speed, but the size of the inclination and the traveling vehicle body 300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ositional deviation amount (ΔP) and the vehicle speed can be obtained in advance through experimentation and set as map data, or can be determined by a calculation formula, etc. If the vehicle speed is constant, the smaller the positional deviation amount ΔP becomes, or in other words, the closer the self-position NM of the traveling vehicle body 300 approaches the point corresponding to the target movement path LK, the smaller the set inclination angle α becomes. .

자동 조향 제어를 실행하면서 직진 주행하고 있을 때,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 차체(300)가 기작업 영역(Z1)측으로 위치 어긋남되어 있는 상태에서, 위치 어긋남 수정 처리를 실행할 때에는, 조향 제어부(269)는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 차체(300)가 미작업 영역(Z2)측으로 위치 어긋남되어 있는 상태에 비해, 설정 경사각 α를 조금 크게 설정하도록 되어 있다. 즉, 주행 차체(300)가 기작업 영역(Z1)측으로 위치 어긋남되어 있으면, 티칭 방위(TD)로부터 경사지게 하는 설정 경사각 α를 조금 크게 설정하여 위치 어긋남 수정 처리를 실행한다. 즉, 기작업 영역(Z1)에서 모가 이미 심어져 있으므로, 이 이미 심어진 모를 주행 차체(300)가 짓밟지 않도록 신속하게 목표 이동 경로(LK)를 향해 위치를 수정시키도록 하고 있다.When driving straight while executing automatic steering control, as shown in FIG. 31, in a state where the traveling vehicle body 300 is misaligned toward the pre-work area Z1, when performing position misalignment correction processing, the steering control unit As shown in Fig. 32, 269 sets the set inclination angle α to be slightly larger compared to the state in which the traveling vehicle body 300 is misaligned toward the unworked area Z2. That is, if the traveling vehicle body 300 is misaligned toward the existing work area Z1, the set inclination angle α, which is tilted from the teaching direction TD, is set to be slightly larger, and position misalignment correction processing is performed. That is, since the seedlings have already been planted in the existing work area Z1, the position is quickly adjusted toward the target movement path LK so that the driving vehicle body 300 does not trample on the already planted seedlings.

조향 제어부(269)는, 자동 조향 제어를 실행하고 있을 때, 조향 모터(258)의 조작에 반하여, 운전자가 수동으로 조향 핸들(243)을 조작한 것이 토크 센서(261)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판별된 경우, 바꾸어 말하면, 조향 핸들(243)에 의한 변경 지령이 내려진 경우에는, 그 수동 조작을 허용할 정도로, 자동 조향 제어에 있어서 조향 모터(258)를 조작할 때의 조작력을 저감시킨다.When executing automatic steering control, the steering control unit 269 detects that the driver manually operates the steering wheel 243 as opposed to the operation of the steering motor 258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torque sensor 261. In the case of discrimination, in other words, when a change command is given by the steering handle 243, the operating force when operating the steering motor 258 in automatic steering control is reduced to the extent of allowing the manual operation.

이와 같이 수동 조작에 의한 조향 핸들(243)의 조작이 검출되어, 조향 모터(258)의 조작력을 저감시키면, 그 후에는 수동 조작이 행해지지 않게 된 후에도, 조향 모터(258)의 조작력을 저감시킨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 상태는, 자동 조향 스위치(250)가 조작되어, 자동 오프 모드로 전환된 후, 다시 자동 온 모드로 전환될 때까지 유지된다.In this way, when operation of the steering handle 243 by manual operation is detected and the operation force of the steering motor 258 is reduced, even after manual operation is no longer performed, the operation force of the steering motor 258 is reduced. It is designed to maintain its status. This state is maintained until the automatic steering switch 250 is operated to switch to the automatic off mode and then back to the automatic on mode.

단, 조향 핸들에 의한 변경 지령이 설정 시간(예를 들어, 십수 초 내지 수십 초간) 이상에 걸쳐 길게 계속해서 내려지면, 자동 조향 제어를 정지하여 자동 오프 모드로 전환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수동 조종을 우선함으로써, 예를 들어 장해물과의 충돌을 피하거나, 제어가 적정하게 행해지지 않을 때에 궤도 수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자동 온 모드로의 복귀는 자동 조향 스위치의 누름 조작에 의해 행할 수 있다.However, if a change command by the steering wheel continues to be issued for more than a set time (for example, tens to tens of seconds), automatic steering control is stopped and converted to automatic off mode. By giving priority to manual control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avoid collision with an obstacle, for example, or to correct the trajectory when control is not performed properly. Returning to the auto-on mode can be done by pressing the automatic steering switch.

주행 차체(300)가 직진 주행 경로의 종단 위치(R4)(도 28 참조)에 도달하면, 운전자가 자동 조향 스위치(250)를 조작하여, 조향 제어부(269)를 자동 오프 모드로 전환한다. 이때, 조작 레버(245)를 조작하여, 모 식부 장치(W)에 대한 전동을 차단시켜, 모 식부 장치(W)를 상승시킨다. 그 후, 운전자가 수동으로 조향 핸들(243)을 조작하여, 차회의 직진 주행 경로를 향해 주행 차체(300)를 선회시킨다. 이후, 전회의 직진 주행 경로와 마찬가지로, 선회 후에 판별 조건이 성립된 후에, 자동 조향 스위치(250)가 조작되면 자동 조향 제어를 개시한다. 자동 조향 제어를 실행하면서 주행 차체(300)가 직진 주행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선회 주행과 직진 주행을 반복한다.When the traveling vehicle body 300 reaches the terminal position R4 (see FIG. 28) of the straight driving path, the driver operates the automatic steering switch 250 to switch the steering control unit 269 to the automatic off mode. At this time, the operation lever 245 is operated to block the electric transmission to the mother plant device W, and the mother plant device W is raised. Thereafter, the driver manually operates the steering wheel 243 to turn the traveling vehicle body 300 toward the next straight driving path. Thereafter, as in the previous straight driving path, after the determination condition is established after the turn, when the automatic steering switch 250 is operated, automatic steering control is started. The traveling vehicle body 300 travels straight while executing automatic steering control. Then, the turning and straight driving as described above are repeated.

조향 제어부(269)는, 자동 오프 모드가 설정되어 있을 때에는, 조향 핸들(243)에 의한 변경 지령에 대응하는 주행 상태로 되도록, 조향 모터(258)를 조작하는 어시스트 제어를 실행한다. 이 어시스트 제어에서는, 토크 센서(261)와 조향각 센서(260)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조향 제어부(269)가 조향 핸들(243)이 조작된 것, 및 그 조작 방향을 검출하면, 그 조작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향해 조향 모터(258)를 작동시키는 것이다. 수동 조작이 정지되면, 조향 모터(258)의 작동도 정지한다.When the automatic off mode is set, the steering control unit 269 performs assist control to operate the steering motor 258 so as to enter a driving state corresponding to a change command from the steering handle 243. In this assist control, when the steering control unit 269 detects that the steering wheel 243 has been operated and the direction of operation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torque sensor 261 and the steering angle sensor 260, the direction of operation is The steering motor 258 is operated in the same direction as. When manual operation is stopped, operation of the steering motor 258 also stops.

〔제3 실시 형태의 다른 실시 형태〕[Other embodiments of the third embodiment]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조향 제어부(269)가, 위치 어긋남 수정 처리를 실행할 때, 자기 위치(NM)가 목표 이동 경로(LK)에 상당하는 개소로부터 크게 이격되어 있으면, 경사 목표 방위(KA)의 목표 방위(TD)에 대한 경사를 대측으로 설정하고, 자기 위치(NM)가 목표 이동 경로(LK)에 상당하는 개소에 근접할수록 경사 목표 방위(KA)의 목표 방위에 대한 경사를 완만하게 하도록 하였지만, 이 구성 대신에, 다음과 같이 구성해도 된다.(1) In the above embodiment, when the steering control unit 269 performs the position misalignment correction process, if the self-position NM is far away from the point corresponding to the target movement path LK, the tilt target bearing KA ), the inclination to the target direction (TD) is set to the contralateral side, and as the self-position (NM) approaches the point corresponding to the target movement path (LK), the inclination to the target direction of the incline target direction (KA) becomes gentler. However, instead of this configuration, you can configure it as follows.

즉, 조향 제어부가, 위치 어긋남 수정 처리를 실행할 때에는, 자기 위치(검출 위치)(NM)가 목표 이동 경로(LK)에 상당하는 개소에 도달할 때까지, 경사 목표 방위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해도 된다. 목표 이동 경로(LK)에 상당하는 개소라고 하는 것은, 목표 이동 경로에 상당하는 위치의 좌우 양측에 횡방향으로 소정 폭의 영역(불감대)을 갖고 있다. 즉, 자기 위치(검출 위치)(NM)가, 목표 이동 경로에 상당하는 위치에 대해 설정된 불감대의 단부에 도달하면, 위치 어긋남 수정 처리를 종료한다. 이것에 의해, 제어의 지연이 적고, 차체의 방위를 목표 이동 경로를 따르는 방위로 수정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steering control unit performs the position misalignment correction process, the tilt target direction may be maintained as is until the self-position (detection position) NM reaches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target movement path LK. The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target movement path LK has an area (dead zone) of a predetermined width laterally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arget movement path. That is, when the self-position (detection position) NM reaches the end of the dead zone set for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arget movement path, the position misalignment correction process ends. As a result, there is little control delay, and the orientation of the vehicle body can be corrected to an orientation that follows the target movement path.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조향 제어부(269)는, 자동 조향 제어를 실행하고 있을 때, 조향 핸들(243)에 의한 변경 지령이 내려된 경우에는, 그 수동 조작을 허용할 정도로, 자동 조향 제어에 있어서 조향 모터(258)를 조작할 때의 조작력을 저감시키도록 하였지만, 이 구성 대신에, 다음과 같이 구성해도 된다.(2) In the above embodiment, the steering control unit 269 performs automatic steering control to the extent of allowing manual operation when a change command is issued by the steering handle 243 while performing automatic steering control. Although the operating force when operating the steering motor 258 is reduced, instead of this configuration, the configuration may be as follows.

즉, 조향 제어부(269)는 자동 조향 제어를 실행하고 있을 때, 조향 핸들(243)에 의한 변경 지령이 내려진 경우에는, 즉시, 자동 조향 제어를 정지하고, 그 후에는 운전자가 조향 핸들(243)을 조작하는 조작력에, 조향 모터(258)에 의한 조향 핸들(243)의 조작에 따른 보조력을 부여하여 스티어링 조작 축(254)을 회전 조작하여, 전방 차륜(210)의 조향 각도를 변경하는 어시스트 제어를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That is, when performing automatic steering control, the steering control unit 269 immediately stops the automatic steering control when a change command is issued by the steering handle 243, and thereafter, the driver uses the steering wheel 243. Assist for changing the steering angle of the front wheel 210 by applying an assist forc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teering handle 243 by the steering motor 258 to the operating force to rotate the steering operation axis 254. You can also let the control run.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조향 제어부는, 주행 차체가 기작업 영역(Z1)측으로 위치 어긋남되어 있는 상태에서, 위치 어긋남 수정 처리를 실행할 때에는, 주행 차체가 미작업 영역(Z2)측으로 위치 어긋남되어 있는 상태에 비해, 설정 경사각 α를 큰 값으로 설정하도록 하였지만, 이 구성 대신에, 다음과 같이 구성해도 된다.(3) In the above embodiment, when the steering control unit performs positional misalignment correction processing in a state where the traveling vehicle body is misaligned toward the pre-worked area Z1, the traveling vehicle body is misaligned toward the non-worked area Z2. Compared to the existing state, the set inclination angle α is set to a large value, but instead of this configuration, the configuration may be as follows.

즉, 조향 제어부(269)는, 주행 차체(300)가 미작업 영역(Z2)측으로 위치 어긋남되어 있는 상태에서, 위치 어긋남 수정 처리를 실행할 때에는, 주행 차체(300)가 기작업 영역(Z1)측으로 위치 어긋남되어 있는 상태에 비해, 설정 경사각 α를 큰 값으로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That is, the steering control unit 269 moves the traveling vehicle body 300 toward the pre-worked area Z1 when performing positional misalignment correction processing in a state where the traveling vehicle body 300 is misaligned toward the unworked area Z2. Compared to the state in which the position is misaligned, the set inclination angle α may be set to a large value.

이 구성은, 예를 들어 콤바인 등과 같이, 주행에 수반하여 식립되어 있는 작물을 예취하는 작업을 행하는 작업차라면,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This configuration can be suitably used in any work vehicle, such as a combine, that performs the work of cutting down planted crops while traveling.

(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주행 차체가 선회 주행을 행한 후에, 위치 어긋남 수정 처리를 허용하기 위한 판별 조건이, 주행 차체(300)의 선회가 종료되고 나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는 것, 및 자기 방위(NA)와 티칭 방위(TD)의 어긋남 각도가 소정 범위 내로 되는 것이었지만, 이 구성 대신에, 판별 조건으로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해도 된다. 또한,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요컨대, 차체의 방향이 안정된 것을 판별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4) In the above embodiment, the judgment conditions for allowing positional misalignment correction processing after the traveling vehicle body performs turning travel are that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after the turning of the traveling vehicle body 300 is completed, and self-orientation Although the deviation angle between (NA) and the teaching direction (TD)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nstead of this configuration, the following conditions may be used as the discrimination conditions. In addition,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in short, it can be anything that can determine that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is stable.

(4-1) 선회가 종료되고 나서 설정 거리 주행할 것.(4-1) After the turning is completed, travel the set distance.

(4-2) 선회가 종료되고 나서 설정 시간이 경과할 것.(4-2) The set time must elapse after the turning is completed.

(4-3) 자기 방위(NA)와 티칭 방위(TD)의 어긋남 각도가 소정 범위 내로 될 것.(4-3) The angle of deviation between the magnetic direction (NA) and the teaching direction (TD) must be within the specified range.

(4-4) 상기 (4-1)과 (4-3)의 양쪽을 만족시킬 것.(4-4) Both (4-1) and (4-3) above must be satisfied.

(4-5) 상기 (4-1), (4-2), (4-3) 전부를 만족시킬 것.(4-5) All of the above (4-1), (4-2), and (4-3) must be satisfied.

(5)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작업 장치로서, 모 식부 장치(W)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예시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작업 장치로서, 모 식부 장치(W) 외에도, 시비 장치나 약제 살포 장치 등이 구비되어 있어도 된다.(5) In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although it is illustrated that the mother planting device W is provided as a working device, it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as a working device, in addition to the mother planting device W, a fertilization device, a chemical spray device, etc. may be provided.

(6)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위치 검출 수단으로서의 위성 측위용 유닛으로서 GPS를 사용하도록 하였지만, 갈릴레오 등의 다른 형식의 위성 측위용 유닛이어도 된다. 또한, 위성 측위 유닛 대신에, 예를 들어 지상측에 레이저광을 투광하여 차체의 위치를 계측하는 광학식 계측 장치를 구비하는 다른 계측 시스템을 사용해도 된다.(6) In the above embodiment, GPS is used as a satellite positioning unit as a position detection means, but other types of satellite positioning units such as Galileo may be used. In addition, instead of the satellite positioning unit, another measurement system including, for example, an optical measurement device that measures the position of the vehicle body by projecting a laser beam to the ground side may be used.

(7) 본 발명은, 작업 장치로서 모 식부 장치를 구비하는 상기 승용형 이앙기 외에도, 예를 들어 작업 장치로서 파종 장치를 구비하는 식파계 수전 작업차인 승용형 직파기, 작업 장치로서 플라우 등을 구비하는 트랙터, 혹은 작업 장치로서 예취부 등을 구비하는 콤바인 등의 농작업차, 또는 작업 장치로서 버킷 등을 구비하는 건설 작업차 등의 다양한 작업차에 이용할 수 있다.(7)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riding-type rice transplanter equipped with a mother planting device as a working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for example, a riding-type direct seeding machine, which is a sowing-type seeding work vehicle equipped with a seeding device as a working device, and a plow as a working device. It can be used for various work vehicles, such as a tractor that works, an agricultural work vehicle such as a combine equipped with a reaping unit, etc. as a work device, or a construction work vehicle provided with a bucket, etc. as a work device.

[제4 실시 형태][Fourth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일례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exampl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drawings.

도 33,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농작업기 또는 농작업차 중 식파계 수전 작업차인 승용형 이앙기(농작업기 또는 농작업차의 일례)에는, 주행 장치(A)를 갖는 주행 기체(C)와, 포장에 대한 작업을 행하는 작업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앙기의 작업 장치는, 포장에 대한 모의 식부가 가능한 모 식부 장치(W)이다. 또한, 도 34에 도시한 화살표 Hf가 주행 기체(C)의 「전」, 화살표 Hb가 주행 기체(C)의 「후」, 화살표 Hl이 주행 기체(C)의 「좌」, 화살표 Hr이 주행 기체(C)의 「우」이다.As shown in FIGS. 33 and 34, a riding-type rice transplanter (an example of an agricultural machine or agricultural work vehicle), which is a planting and transplanting work vehicle among agricultural machines or agricultural work vehicles, has a traveling body (C) having a traveling device (A). Wow, there is a working device that performs packaging work. The working device of the rice transplanter is a mother planting device (W) capable of simulated planting on the field. In addition, arrow Hf shown in FIG. 34 is "front" of the traveling body C, arrow Hb is "behind" the traveling body C, arrow Hl is "left" of the traveling body C, and arrow Hr is the running body. It is the “right” side of aircraft (C).

또한, 이앙기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s)나 IMU(Inertial Measurement Unit)에 의해 구성되는 측위 시스템이 탑재되어 있고,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장에 설정되는 기준 주행 라인(KL)에 대해, 그 시점과 종점의 위치 정보를 측위 시스템에서 취득하여 기억하고, 그 기준 주행 라인(KL)과 평행한 설정 주행 라인(SL)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설정 주행 라인(SL)을 설정한 후에는, 설정 주행 라인(SL)을 따라, 주행 기체(C)가 자동 주행(자동 조타에 의한 자동 주행에 상당)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rice transplanter is equipped with a positioning system comprised of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s) and IMU (Inertial Measurement Unit), and as shown in FIG. 38,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running line (KL) set in the paving, , it becomes possible to obtain and store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start and end points from the positioning system and set a set travel line (SL) parallel to the reference travel line (KL). In addition, after setting the set travel line SL, the travel body C is configured to perform automatic travel (corresponding to automatic travel by automatic steering) along the set travel line SL.

또한, 운전자가 조향 핸들(343)을 조작하여 주행하는 수동 주행(수동 조타에 의한 수동 주행에 상당)으로 전환하는 것도 가능하다.Additionally, it is also possible to switch to manual driving where the driver operates the steering wheel 343 (equivalent to manual driving with manual steering).

주행 기체(C)의 주행 예로서는,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당초에, 기준 주행 라인(KL)을 설정하기 위해, 수동 주행(티칭)을 행하고, 티칭을 완료시킨 후, 식부 개시 위치까지 수동 주행에 의해 선회시킨 상태에서, 자동 주행으로 전환함으로써 설정 주행 라인(SL)을 생성하여 식부 주행을 행하는 방법을 일례로 하고 있다. 또한, 설정 주행 라인(SL)의 종점에 있어서는, 식부를 일시 정지함과 함께 자동 주행으로부터 수동 조향으로 전환하여 선회를 행하여, 다시 다음 설정 주행 라인(SL)의 생성, 및 식부 자동 주행으로 이행한다고 하는 사이클을 반복하는 것이다.As a traveling example of the traveling body C, as shown in FIG. 38, manual traveling (teaching) is initially performed to set the reference traveling line KL, and after completing teaching, manual traveling is performed to the planting start position. An example is a method of generating a set travel line SL and performing planting travel by switching to automatic travel in a state in which the vehicle is turned by travel. In addition, at the end point of the set travel line SL, planting is temporarily stopped, automatic driving is switched to manual steering, a turn is made, the next set travel line SL is created again, and the planting automatic travel is performed. It is to repeat the cycle.

또한, 당해 이앙기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설정 주행 라인(SL)을 따라 자동 주행을 행하고 있는 동안에, 도 3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설정 주행 라인(SL) 자체의 위치를, 평행하게 변위시키는 기능도 구비하고 있다. 이 기능은, 주행 위치에 인접하는 식부 완료 영역(E)의 경계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위 형상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에, 운전자의 판단으로, 그 경계에 맞추어 주행 코스(G)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이며, 식부 영역이 중복되거나, 불연속으로 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s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rice transplanter, while performing automatic travel along the set travel line SL, as shown in FIG. 39, the position of the set travel line SL itself is displaced in parallel. It also has functions. This function allows, at the driver's judgment, to change the driving course (G) according to the boundary when the boundary of the completed planting area (E) adjacent to the driving position shows a displacement shape as shown in the drawing. This can prevent planting areas from overlapping or becoming discontinuous.

도 33,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 장치(A)로서는, 좌우 한 쌍의 전방 차륜(310)과 좌우 한 쌍의 후방 차륜(311)이 구비되어 있다. 주행 기체(C)에는, 주행 장치(A)에 있어서의 좌우의 전방 차륜(310)을 조향 가능한 조향 유닛(U)이 구비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33 and 34, the traveling device A is provided with a pair of left and right front wheels 310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rear wheels 311. The traveling body C is equipped with a steering unit U capable of steering the left and right front wheels 310 in the traveling device A.

주행 기체(C)의 전방부에는, 개폐식 보닛(312)이 구비되어 있다. 보닛(312) 내에는, 엔진(313)이 구비되어 있다. 보닛(312)의 선단 위치에는, 봉상의 센터 마스코트(314)가 구비되어 있다. 이 센터 마스코트(314)는, 후술하는 마커 장치(333)에 의해 포장의 논바닥에 그려진 지표선에 대해 주행 기체(C)의 위치가 맞는지의 위치 체크의 기준으로서 사용되고, 운전 좌석(341)으로부터 이 센터 마스코트(314)를 내다보았을 때에, 그 시선의 연장선 상에 상기 지표선이 위치하고 있으면, 주행 기체(C)의 위치가 맞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The front part of the traveling body C is provided with an openable bonnet 312. Within the bonnet 312, an engine 313 is provided. A rod-shaped center mascot 314 is provided at the tip of the bonnet 312. This center mascot 314 is used as a reference for position checking whether the position of the traveling body C is correct with respect to the index line drawn on the bottom of the field by the marker device 33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is When looking out at the center mascot 314, if the above-mentioned index line is located on the extension of the line of sight,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position of the traveling body C is correct.

센터 마스코트(314)를 사용한 주행 기체(C)의 위치 체크는, 자동 주행 중은 물론, 수동 주행 시에도 행할 수 있다. 특히, 설정 주행 라인(SL)의 종점 위치에서, 수동 주행으로 전환한 상태에서 선회하여 방향 전환을 도모하고, 다음 설정 주행 라인(SL)의 시점에 위치 정렬을 할 때에는 유효하다.The position check of the traveling body C using the center mascot 314 can be performed not only during automatic traveling but also during manual traveling. In particular, it is effective when turning to change direction at the end position of the set travel line SL while switching to manual travel and aligning the position at the starting point of the next set travel line SL.

주행 기체(C)에는,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프레임 형상의 기체 프레임(315)이 구비되어 있다. 기체 프레임(315)의 전방부에는, 지지 지주 프레임(316)이 기립 설치되어 있다.The traveling body C is equipped with a frame-shaped body frame 315 extending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 At the front of the fuselage frame 315, a support strut frame 316 is installed standing upright.

〔모 식부 장치에 대해〕[About mother planting device]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 식부 장치(W)는, 유압 실린더로 구성되는 승강 실린더(320)의 신축 작동에 의해 승강 작동하는 링크 기구(321)를 통해, 주행 기체(C)의 후단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3, the mother planting device W is attached to the rear end of the traveling body C through a link mechanism 321 that is lifted and lowered by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peration of the lift cylinder 320 comprised of a hydraulic cylinder. It is connected so that it can be raised and lowered.

도 33,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 식부 장치(W)에는, 4개의 전동 케이스(322), 각 전동 케이스(322)의 후방부의 좌측부 및 우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 케이스(323), 각 회전 케이스(323)의 양단부에 구비된 한 쌍의 로터리식 식부 암(324), 포장의 논바닥을 정지하는 복수의 정지 플로트(325), 식부용 매트 형상 모가 적재되는 모 적재대(326) 등이 구비되어 있다. 당해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모 식부 장치(W)는, 8조 식부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8조 이외의 복수 조 식부 형식이어도 된다.33 and 34, the model device W includes four power cases 322 and a rotary case 323 rotatably suppor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ar part of each power case 322. ), a pair of rotary planting arms 324 provided at both ends of each rotation case 323, a plurality of stationary floats 325 for stopping the bottom of the field, a seedling loading table on which mat-shaped seedlings for planting are loaded ( 326), etc. are provided. In the said embodiment, the mother planting device W is comprised in the 8-row planting format, but a multi-row planting format other than 8 sets may be sufficient.

이와 같이 구성된 모 식부 장치(W)는, 모 적재대(326)를 좌우로 왕복 횡 이송 구동하면서, 전동 케이스(322)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각 회전 케이스(323)를 회전 구동하여, 모 적재대(326)의 하부로부터 각 식부 암(324)에 의해 교대로 모를 취출하여 포장의 논바닥에 식부하도록 되어 있다.The seedling unit device W configured in this way drives the seedling loading stand 326 to the left and right in a reciprocating lateral transfer, and rotates each rotary case 323 by power transmitted from the electric case 322, thereby performing seedling loading. Seedlings are alternately taken out from the lower part of the stand 326 by each planting arm 324 and planted on the bottom of the field.

〔예비 모 적재대에 대해〕〔About the spare mother loading stand〕

도 33,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 기체(C)에 있어서의 보닛(312)의 좌우 측부에는, 모 식부 장치(W)에 보급하기 위한 예비 모를 적재 가능한 복수의 예비 모 받침대(328)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주행 기체(C)에 있어서의 보닛(312)의 좌우 측부에는, 각 예비 모 받침대(328)를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예비 모 프레임(330)과, 좌우의 예비 모 프레임(330)의 상부에 걸쳐 연결되는 연결 프레임(331)이 구비되어 있다. 연결 프레임(331)은, 전방면에서 보아, U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연결 프레임(331)의 좌우 단부는 각각, 연결 브래킷(332)을 통해, 좌우의 예비 모 프레임(330)의 상부에 연결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33 and 34,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nnet 312 in the traveling body C, a plurality of spare seedling stands 328 are provided on which spare seedlings for supplying to the seedling device W can be loaded. is provided. In addition,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nnet 312 in the traveling body C, a pair of left and right spare mother frames 330 supporting each spare mother stand 328,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spare mother frames 330 are provided. A connection frame 331 connected across the upper part is provided. The connection frame 331 is U-shaped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connection frame 331 are connected to the upper parts of the left and right spare mother frames 330 through connection brackets 332, respectively.

〔마커 장치에 대해〕〔About marker device〕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 식부 장치(W)의 좌우 측부에는 각각, 포장의 논바닥에 지표선을 형성하기 위한 마커 장치(333)가 구비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3,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edling device W are each provided with a marker device 333 for forming an indicator line on the bottom of the paddy field.

좌우의 마커 장치(333)에는 각각,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모 식부 장치(W)에 지지된 마커 암(334)과, 마커 암(334)의 선단부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주위 방향으로 복수의 볼록부체를 갖는 회전체(335)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좌우의 마커 장치(333)를 작용 자세 및 격납 자세로 조작하는 마커용 전동 모터(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다.The left and right marker devices 333 each include a marker arm 334 supported on the mother planting device W so as to be able to swing up and down, and a plurality of marker arms 334 suppor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as to be freely rotatable at the distal end of the marker arm 334. A rotating body 335 having a convex body is provided. Additionally, a marker electric motor (not shown) is provided to operate the left and right marker devices 333 in the operating posture and the stowed posture.

마커 장치(333)를 작용 자세로 조작함으로써, 회전체(335)가 논바닥에 맞닿아 궤적을 기록할 수 있고, 그 궤적이 지표선이 된다.By operating the marker device 333 in the working posture, the rotating body 335 can contact the bottom of the rice field to record a trajectory, and the trajectory becomes an index line.

〔운전부에 대해〕〔About the driver〕

도 33,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 기체(C)의 중앙부에는, 각종 운전 조작이 행해지는 운전부(340)가 구비되어 있다. 운전부(340)에는, 운전자가 착석 가능한 운전 좌석(341), 조종 탑(342), 전방 차륜(310)의 수동의 조향 조작용 스티어링 휠에 의해 구성되는 조향 핸들(343), 전후진 전환 조작이나 주행 속도를 변경 조작이 가능한 주 변속 레버(344)(변속 조작구에 상당), 모 식부 장치(W)를 조작하는 조작 레버(345) 등이 구비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33 and 34, the central portion of the traveling body C is provided with an operating unit 340 that performs various driving operations. The driving unit 340 includes a driver's seat 341 on which the driver can sit, a control tower 342, a steering wheel 343 comprised of a steering wheel for manual steering operation of the front wheels 310, and forward/backward switching operation. A main shift lever 344 (equivalent to a shift operation tool) capable of changing the driving speed, and an operating lever 345 for manipulating the model device W are provided.

운전부(340)의 발밑 부위에는, 탑승 스텝(346)이 설치되어 있다. 탑승 스텝(346)의 좌우의 외측 위치에는, 보조 스텝(347)이 설치되어 있다. 보닛(312)의 좌우 양측에는, 탑승 스텝(346)에 단차 없이 이어지는 승강 통로로서의 승강 스텝(348)이 설치되어 있다. 승강 스텝(348)의 횡외측에, 좌우의 예비 모 프레임(330)이 각각 배치되어 있다.A boarding step 346 is installed at the foot of the driving unit 340. Auxiliary steps 347 are installed at positions outside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arding step 346.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nnet 312, an elevating step 348 is provided as an elevating passage that continues without steps to the boarding step 346. Left and right spare mother frames 330 are disposed laterally outside the lifting step 348, respectively.

또한, 조종 탑(342)에는, 조향 핸들(343), 주 변속 레버(344), 조작 레버(345), 미터 패널(349) 등이 구비되어 있다.Additionally, the control tower 342 is equipped with a steering handle 343, a main shift lever 344, an operation lever 345, a meter panel 349, etc.

〔주 변속 레버에 대해〕[About the main shifting lever]

도 33, 도 34, 도 37에 도시된 주 변속 레버(344)는, 조향 핸들(343)의 좌측 옆에 구비되어 있다.The main shift lever 344 shown in FIGS. 33, 34, and 37 is provided next to the left side of the steering handle 343.

전후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중립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요동 조작함으로써, 전진의 변속 조작을 행할 수 있고, 중립 위치로부터 후방으로 요동 조작함으로써, 후진의 변속 조작을 행할 수 있다.I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rock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by swinging forward from the neutral position, a forward shift operation can be performed, and by swinging backward from the neutral position, a reverse shift operation can be performed.

또한, 주 변속 레버(344)의 상단부에 구비한 파지부(344A)에는, 조향 유닛(U)의 자동 조향의 온 오프 전환 조작을 행하는 압박 조작식 자동 조향 스위치(350)(전환 스위치의 일례)(도 37 참조)가 구비되어 있다.Additionally, the grip portion 344A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main shift lever 344 is equipped with a press-operated automatic steering switch 350 (an example of a changeover switch) that performs an on-off operation of switching the automatic steering of the steering unit U. (See Figure 37) is provided.

자동 조향 스위치(350)는, 파지부(344A)를 왼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예를 들어 왼손의 엄지손가락으로 누를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누를 때마다, 수동 조향과 자동 조향이 교대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automatic steering switch 350 is disposed in a position where it can be pressed with, for example, the thumb of the left hand while holding the grip portion 344A with the left hand, and each time it is pressed, manual steering and automatic steering are alternately switched. It is structured as such.

즉, 자동 조향 스위치(350)의 조작 방향은, 주행 기체(C)의 좌우 방향을 따르도록 설정되어 있고, 주 변속 레버(344)의 조작 방향(전후 방향)과 상이한 방향임으로써, 오조작의 방지가 도모되고, 더욱이 파지부(344A)를 잡은 채 자동 조향 스위치(350)를 조작할 수 있으므로, 다시 잡는 수고가 불필요하여, 조향 전환 조작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That is, the operating direction of the automatic steering switch 350 is set to follow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traveling body C, and is a different direction from the operating direction (forward-backward direction) of the main shift lever 344, thereby preventing erroneous operation. Prevention is achieved, and the automatic steering switch 350 can be operated while holding the grip portion 344A, so the effort of holding it again is unnecessary, and the efficiency of the steering switching operation can be improved.

〔미터 패널류에 대해〕[About meter panels]

도 34,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닛(312)의 후단 위치에서, 조향 핸들(343)의 전방에는 미터 패널(349)이 배치되어 있다. 이 미터 패널(349)에는, 좌우 중앙부에, 백라이트를 갖는 액정 표시부(349A)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액정 표시부(349A)를 사이에 둔 좌우 양 측방에는, 상기 기준 주행 라인(KL)의 시점과 종점을 설정하는 한 쌍의 지시 버튼(352)(지시 스위치에 상당)이 구비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34 and 37, a meter panel 349 is disposed in front of the steering wheel 343 at the rear end position of the bonnet 312. This meter panel 349 is provided with a liquid crystal display portion 349A with a backlight at the left and right central portions. Additionally,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with the liquid crystal display portion 349A in between, a pair of instruction buttons 352 (equivalent to an instruction switch) for setting the starting and ending points of the reference travel line KL are provided.

또한, 액정 표시부(349A)의 주위에는, 복수의 표시 램프가 구비되어, 작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Additionally, a plurality of display lamps are provided arou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portion 349A and are configured to display work information.

액정 표시부(349A)에는, 아워 미터, 자동 식부 클러치의 상태, 연료 잔량, 냉각수의 수온 등의 표시 외에도, 「센서 난기 중」, 「IMU의 리셋의 필요 여부」, 「GPS 신호의 수신 상황」, 「자동 주행 중의 수동 조타」, 「두렁의 종점의 검출 상황」, 「모 식부 장치의 접지 상황」 등의 고지나, 이들 고지 내용에 대한 「대응 방법」 등이 표시된다.The liquid crystal display unit 349A includes displays such as the hour meter, the state of the automatic planting clutch, remaining fuel, and coolant water temperature, as well as displays such as “sensor warming up,” “whether IMU reset is necessary,” “GPS signal reception status,” Notices such as “manual steering during automatic driving,” “detection status of the end point of the ridge,” and “grounding status of the mother planting device,” and “response methods” for these notices are displayed.

또한, 복수의 표시 램프로서, 오일 부족 램프, 차지 램프, 모 부족 램프, 식부 표시 램프, 두렁가 클러치 램프, 마커 램프 등이 구비되어 있다.Moreover, as a plurality of display lamps, an oil shortage lamp, a charge lamp, a seedling shortage lamp, a planting indication lamp, a stem clutch lamp, a marker lamp, etc. are provided.

상기 지시 버튼(352)은, 티칭을 위한 수동 주행 시(자동 조향 스위치(350)에 의해 수동 조향으로 전환하여 주행시키고 있을 때)에 압박함으로써, 그때의 주행 기체(C)의 위치 정보로부터 상기 기준 주행 라인(KL)의 시점과 종점을 설정할 수 있다.The instruction button 352 is pressed during manual driving for teaching (when switching to manual steering by the automatic steering switch 350 and driving), and the above reference is obtained from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raveling machine C at that time. You can set the starting and ending points of the driving line (KL).

당해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한 쌍의 지시 버튼(352) 중, 우측의 우측 지시 버튼(352A)은, 기준 주행 라인(KL)의 시점을 지시하도록 구성되고, 좌측의 좌측 지시 버튼(352B)은, 기준 주행 라인(KL)의 종점을 지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of the pair of instruction buttons 352, the right instruction button 352A on the right is configured to indicate the starting point of the reference travel line KL, and the left instruction button 352B on the left is, It is configured to indicate the end point of the reference travel line (KL).

또한, 상기 지시 버튼(352)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기준 주행 라인(KL)의 설정 조작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것 외에, 자동 주행 중에 있어서는, 설정 주행 라인(SL)을, 평행하게 변위시키는 변위 스위치(359)로서도 사용된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instruction button 352 is used as a means for setting the reference travel line KL, and is also a displacement switch that displaces the set travel line SL in parallel during automatic travel. It is also used as (359).

따라서, 지시 버튼(352)이, 변위 스위치(359)로서 기능할 때(자동 주행 중)에는, 상기 우측 지시 버튼(352A)은, 설정 주행 라인(SL)을 전진 방향에 대해 우측으로 변위시키는 우측 변위 스위치(359A)로서 기능하고, 상기 좌측 지시 버튼(352B)은, 설정 주행 라인(SL)을 전진 방향에 대해 좌측으로 변위시키는 좌측 변위 스위치(359B)로서 기능한다.Therefore, when the instruction button 352 functions as the displacement switch 359 (during automatic driving), the right instruction button 352A shifts the set travel line SL to the right with respect to the forward direction. It functions as a displacement switch 359A, and the left instruction button 352B functions as a left displacement switch 359B that shifts the set travel line SL to the left with respect to the forward direction.

설정 주행 라인(SL)의 평행 변위의 제어는, 후술하는 라인 변위부(382)에 있어서 행해지고, 주행 기체(C)는, 라인 변위부(382)에서 평행 변위된 새로운 설정 주행 라인(SL)으로 주행 경로를 자동으로 변경하여 주행한다(도 39 참조).Control of the parallel displacement of the set travel line SL is performed in the line displacement unit 38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travel body C is moved to the new set travel line SL that has been parallel displaced by the line displacement unit 382. The driving path is automatically changed and driven (see Figure 39).

이 설정 주행 라인(SL)의 평행 변위 제어는, 도 40에 나타낸 흐름도와 같이 실시된다.The parallel displacement control of this set travel line SL is performed as shown in the flowchart shown in FIG. 40.

즉, 자동 조향 스위치(350)의 온 조작에 의해 주행 기체(C)가 설정 주행 라인(SL) 상을 자동 주행하고 있는(#01) 상태에서, 변위 스위치(359)가 눌리면(#02), 설정 주행 라인(SL)이 소정량 b(도 39 참조)만큼 평행하게 변위 설정된다(#03).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traveling machine C is automatically traveling on the set traveling line SL (#01) by turning on the automatic steering switch 350, when the displacement switch 359 is pressed (#02), The set travel line SL is set to be displaced in parallel by a predetermined amount b (see FIG. 39) (#03).

또한, 이 평행 변위 제어는, 자동 조향 스위치(350)가 오프 조작될 때까지(#04) 계속된다.Additionally, this parallel displacement control continues until the automatic steering switch 350 is turned off (#04).

〔조향 유닛에 대해〕[About the steering unit]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향 유닛(U)에는, 상술한 조향 핸들(343), 조향 핸들(343)에 연동 연결되는 스티어링 조작 축(354), 스티어링 조작 축(354)의 회전에 수반하여 요동하는 피트먼 암(355), 피트먼 암(355)에 연동 연결되는 좌우의 연계 기구(356), 스티어링 모터(358), 스티어링 조작 축(354)에 스티어링 모터(358)를 연동 연결하는 기어 기구(357) 등이 구비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5, the steering unit U includes the above-described steering handle 343, a steering operation shaft 354 linked to the steering handle 343, and rotation of the steering operation shaft 354. The oscillating pitman arm 355, the left and right linkage mechanisms 356 linked to the pitman arm 355, the steering motor 358, and the gear linking the steering motor 358 to the steering operation shaft 354. Equipment 357, etc. are provided.

스티어링 조작 축(354)은, 피트먼 암(355), 좌우의 연계 기구(356)를 통해, 좌우의 전방 차륜(310)에 각각 연동 연결되어 있다. 스티어링 조작 축(354)의 회전량은, 스티어링 조작 축(354)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로터리 인코더로 이루어지는 조향각 센서(360)(도 36 참조)에 의해 검출되도록 되어 있다.The steering operation shaft 354 is interlocked with the left and right front wheels 310 through the Pitman arm 355 and the left and right linkage mechanisms 356, respectively.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steering operation shaft 354 is detected by a steering angle sensor 360 (see FIG. 36) made of a rotary encoder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teering operation shaft 354.

조향 유닛(U)의 수동 조향을 행하는 경우에는, 운전자가 조향 핸들(343)을 조작하는 조작력에, 스티어링 모터(358)에 의한 조향 핸들(343)의 조작에 따른 보조력을 부여하여 스티어링 조작 축(354)을 회전 조작하여, 전방 차륜(310)의 조향 각도를 변경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조향 유닛(U)의 자동 조향을 행하는 경우에는, 스티어링 모터(358)를 구동하여, 스티어링 모터(358)의 구동력에 의해 스티어링 조작 축(354)을 회전 조작하여, 전방 차륜(310)의 조향 각도를 변경하도록 되어 있다.When performing manual steering of the steering unit (U), the steering operation axis By rotating 354, the steering angle of the front wheel 310 is changed. On the other hand, when performing automatic steering of the steering unit U, the steering motor 358 is driven, the steering operation shaft 354 is rotat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steering motor 358, and the front wheel 310 is rotated. It is designed to change the steering angle.

〔수신 장치를 갖는 계측 유닛과 관성 계측 장치에 대해〕[About measurement units and inertial measurement devices with receiving devices]

도 33, 도 34,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 기체(C)에는, 위성 측위 시스템에 의해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수신 장치(363) 및 주행 기체(C)의 기울기(피치각, 롤각)를 검출 가능한 부 관성 계측 장치(364)를 갖는 계측 유닛(361)과, 관성 정보를 계측하는 주 관성 계측 장치(362)(「관성 계측 장치」에 상당)가 구비되어 있다.33, 34, and 36, the traveling body C is equipped with a receiving device 363 that acquires position information by a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and an inclination (pitch angle, roll angle) of the traveling body C. A measurement unit 361 having a secondary inertial measurement device 364 capable of detecting and a main inertial measurement device 362 (corresponding to an “inertial measurement device”) that measures inertial information are provided.

주 관성 계측 장치(362) 및 부 관성 계측 장치(364)는 각각, IMU(Inertial Measurement Unit)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The main inertial measurement unit 362 and the sub-inertial measurement unit 364 are each comprised of an IMU (Inertial Measurement Unit).

계측 유닛(361)과 주 관성 계측 장치(362)는, 주행 기체(C)에 있어서의 상이한 개소에, 또한 주행 기체(C)에 있어서의 좌우 중심선(CL) 상에 배치되어 있다.The measurement unit 361 and the main inertial measurement device 362 are arranged at different locations in the traveling body C and on the left and right center lines CL of the traveling body C.

상술한 위성 측위 시스템(GNSS: Global Navigation Satelite System)에는, 그 대표적인 것으로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들 수 있다. GPS는, 지구의 상공을 주회하는 복수의 GPS 위성이나, GPS 위성의 추적과 관제를 행하는 관제국이나, 측위를 행하는 대상(주행 기체(C))이 구비하는 수신 장치(363)를 사용하여 수신 장치(363)의 위치를 계측하는 것이다. 수신 장치(363)는, 위성 측위 시스템에 의해 주행 기체(C)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 사용된다.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above-described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is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uses a receiving device 363 provided by a plurality of GPS satellites orbiting the skies of the Earth, a control station that tracks and controls GPS satellites, and an object that performs positioning (traveling aircraft C). (363) is measured. The receiving device 363 is used to acquir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traveling body C by a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도 33,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측 유닛(361)은, 판상의 지지 플레이트(365)를 통해, 연결 프레임(331)에 설치되어 있다. 주 관성 계측 장치(362)는, 주행 기체(C) 및 모 식부 장치(W)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전체 길이 중 전후 방향 중심의 근방의 개소에 배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33 and 34, the measurement unit 361 is installed on the connection frame 331 via a plate-shaped support plate 365. The main inertial measurement device 362 is disposed at a location near the center in the front-back direction among the entire length of the traveling body C and the model device W in the front-back direction.

〔제어 구성에 대해〕[About control configuration]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 기체(C)에는, 조향 유닛(U)의 자동 조향에 대한 제어를 행하는 제어 장치(375)가 구비되어 있다. 제어 장치(375)에는, 정보 기억부(376)(기록부에 상당)와, 티칭 기억부(377)와, 선회 검출부(78)와, 개시 판정부(79)와, 정보 보정부(380)와, 주행 기체(C)를 주행시키는 설정 주행 라인(SL)을 생성하는 시점 설정부(381)와, 설정 주행 라인(SL)을 평행하게 변위 설정하는 라인 변위부(382)와, 상태 검출부(383)와, 위치 정보 및 관성 정보에 기초하여, 주행 기체(C)가 설정 주행 라인(SL)을 따라 주행하도록, 조향 유닛(U)을 제어하는 제어부(384)가 구비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7, the traveling body C is equipped with a control device 375 that controls automatic steering of the steering unit U. The control device 375 includes an information storage unit 376 (equivalent to a recording unit), a teaching storage unit 377, a turning detection unit 78, a start determination unit 79, an information correction unit 380, and , a starting point setting unit 381 for generating a set travel line SL for driving the traveling body C, a line displacement unit 382 for displacing the set travel line SL in parallel, and a state detection unit 383. ) and a control unit 384 that controls the steering unit U so that the traveling body C travels along the set traveling line SL based on the positional information and inertial information.

제어 장치(375)에는, 수신 장치(363)와, 부 관성 계측 장치(364)와, 주 관성 계측 장치(362)에 구비하고 있는 자이로 센서(370), 가속도 센서(371), 조향각 센서(360), 자동 조향 스위치(350), 지시 버튼(352), 변위 스위치(359) 등의 정보가 입력되어 있다.The control device 375 includes a receiving device 363, a sub-inertial measurement device 364, and a gyro sensor 370, an acceleration sensor 371, and a steering angle sensor 360 provided in the main inertial measurement device 362. ), the automatic steering switch 350, the instruction button 352, and the displacement switch 359 are input.

정보 기억부(376)는, 수신 장치(363)로부터 취득되는 위치 정보를, 시간마다 기억해 가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information storage unit 376 is configured to store the positional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receiving device 363 every time.

티칭 기억부(377)는, 지시 버튼(352)의 조작에 기초하여, 정보 기억부(376)에 기억된 위치 정보 중 상기 시점(K1), 상기 종점(K2)의 위치 정보를 사용하여, 기준 주행 라인(KL)을 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Based on the operation of the instruction button 352, the teaching storage unit 377 use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tart point K1 and the end point K2 among the posi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376 as a reference. It is configured to calculate the driving line (KL).

선회 검출부(378)는, 조향각 센서(360)로부터 입력되는 조향 유닛(U)의 스티어링 조작 축(354)의 조향각 정보에 기초하여, 주행 기체(C)의 선회 개시 및 주행 기체(C)의 선회 종료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turning detection unit 378 starts turning of the traveling body C and starts turning of the traveling body C based on the steering angle information of the steering operation axis 354 of the steering unit U input from the steering angle sensor 360. It is configured to detect termination.

개시 판정부(379)는, 주행 기체(C)의 자동 조향 제어를 개시할지 여부의 판정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start determination unit 379 is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o start automatic steering control of the traveling body C.

정보 보정부(380)는, 주행 기체(C)의 자동 조향 제어의 개시마다, 주 관성 계측 장치(362)에 의해 계측되는 관성 정보 중 자이로 센서(370)에 의해 검출되는 정보의 적산 오차를, 수신 장치(363)에 의해 취득되는 위치 정보 및 부 관성 계측 장치(364)에 의해 계측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보정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information correction unit 380 calculates the integrated error of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gyro sensor 370 among the inertial information measured by the main inertial measurement device 362 every time the automatic steering control of the traveling machine C is started, It is configured to perform correction processing based on the positional information acquired by the receiving device 363 and th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ub-inertial measurement device 364.

시점 설정부(381)는, 기준 주행 라인(KL)과, 주행 기체(C)의 자동 조향 제어의 개시 시의 자기 위치 및 자기 방위에 기초하여, 설정 주행 라인(SL)을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viewpoint setting unit 381 is configured to generate a set travel line SL based on the reference travel line KL and the self-position and self-orientation at the start of automatic steering control of the traveling body C. .

라인 변위부(382)는, 우측 변위 스위치(359A)(또는 좌측 변위 스위치(359B))의 조작에 의해 설정 주행 라인(SL)을 평행하게 우측(또는 좌측)으로 소정량 b만큼 변위 설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line displacement unit 382 is configured to displace the set travel line SL by a predetermined amount b to the right (or left) in parallel by operating the right displacement switch 359A (or left displacement switch 359B). It is done.

상태 검출부(383)는, 주행 기체(C)의 자동 조향 제어 중에, 주행 기체(C)의 자기 위치와 설정 주행 라인(SL)의 거리 편차(어긋남 거리)와, 주행 기체(C)의 자기 방위와 설정 주행 라인(SL)의 각도 편차(어긋남 각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During automatic steering control of the traveling body C, the state detection unit 383 determines the distance deviation (displacement distance) between the self-position of the traveling body C and the set traveling line SL, and the self-orientation of the traveling body C. and is configured to detect the angle deviation (misalignment angle) of the set traveling line SL.

제어부(384)는, 상태 검출부(383)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조향 유닛(U)의 스티어링 모터(358)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control unit 384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steering motor 358 of the steering unit U based 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state detection unit 383.

본 실시 형태의 이앙기의 구체적인 주행 예에 대해 설명한다.A specific running example of the rice transplanter of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1]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티칭을 위한 수동 주행을 개시한다.[1] As shown in FIG. 38, manual travel for teaching begins.

이 수동 주행은, 주 변속 레버(344)를 중립보다 전방으로 요동 조작함으로써 개시할 수 있고, 두렁에 가까운 포장 외주 부분으로부터, 두렁을 따라 직선상의 코스를 주행한다. 주행 중에, 우측 지시 버튼(352A)을 누름으로써, 그때의 주행 기체(C)의 위치 정보가 측위 시스템에서 취득되고, 기준 주행 라인(KL)의 시점(K1)의 위치 정보로서 정보 기억부(376)에 기록된다.This manual driving can be started by swinging the main shift lever 344 forward from neutral, and a straight course is driven from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pavement close to the ridge along the ridge. During driving, by pressing the right instruction button 352A,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raveling body C at that time is acquired from the positioning system, and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376 serves as position information at the starting point K1 of the reference traveling line KL. ) is recorded.

또한, 수동 주행을 계속시킨 후에, 좌측 지시 버튼(352B)을 누름으로써, 그때의 주행 기체(C)의 위치 정보가 측위 시스템에서 취득되고, 기준 주행 라인(KL)의 종점(K2)의 위치 정보로서 정보 기억부(376)에 기록된다.Additionally, after continuing manual travel, by pressing the left instruction button 352B,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raveling body C at that time is acquired from the positioning system,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end point K2 of the reference traveling line KL It is recorded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376 as .

그 결과, 티칭 기억부(377)에 의해, 시점(K1)과 종점(K2)을 연결하는 직선으로서 기준 주행 라인(KL)이 설정된다.As a result, the reference travel line KL is set as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starting point K1 and the ending point K2 by the teaching memory unit 377.

[2] 기준 주행 라인(KL)에 있어서의 직선 주행 후, 조향 핸들(343)을 선회 조작하여 주행 기체(C)의 방향 전환을 도모하고, 인접한 설정 주행 라인(SL)의 개시 위치까지 수동 주행을 행한다.[2] After driving in a straight line on the reference travel line KL, turn the steering handle 343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traveling body C, and manually drive to the starting position of the adjacent set traveling line SL. Do.

그때, 기준 주행 라인(KL)의 주행 중에 마커 장치(333)에 의해 논바닥에 그린 지표선과, 전술한 센터 마스코트(314)를 이용하여, 소정 위치로의 주행 기체(C)의 위치 정렬을 행할 수 있다.At that time, the position of the traveling body C to a predetermined position is aligned using the index line drawn on the rice field bottom by the marker device 333 and the center mascot 314 described above while traveling on the reference traveling line KL. You can.

[3] 주행 기체(C)를 자동 주행시키면서 식부를 행한다.[3] Planting is performed while the traveling body C is automatically driven.

자동 주행의 개시는, 주 변속 레버(344)를 전방으로 요동시킴과 함께, 상기 자동 조향 스위치(350)를 누름으로써 실시된다. 자동 조향 스위치(350)가 눌리면, 시점 설정부(381)에 의해, 그때의 주행 기체(C)의 위치 정보가 측위 시스템에서 취득되고, 설정 주행 라인(SL)의 시점(S0)의 위치 정보로서 정보 기억부(376)에 기록되고, 나아가 그 시점(S0)을 통해 상기 기준 주행 라인(KL)과 평행한 설정 주행 라인(SL)이 생성된다.Automatic driving is started by swinging the main shift lever 344 forward and pressing the automatic steering switch 350. When the automatic steering switch 350 is presse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raveling machine C at that time is acquired from the positioning system by the viewpoint setting unit 381, and is obtained as position information at the viewpoint S0 of the set traveling line SL. It is recorded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376, and further, a set travel line SL parallel to the reference travel line KL is generated through that point in time S0.

설정 주행 라인(SL)이 생성되면, 제어 장치(375)에 의해, 상태 검출부(383)로부터 입력되는 주행 기체(C)의 어긋남 정보에 기초하여 조향 유닛(U)이 어긋남 교정 방향으로 컨트롤되어, 주행 기체(C)가 설정 주행 라인(SL) 상을 주행하도록 제어된다.When the set traveling line SL is generated, the steering unit U is controlled in the misalignment correction direction by the control device 375 based on the misalignment information of the traveling body C input from the state detection unit 383, The traveling body C is controlled to travel on the set traveling line SL.

[4] 설정 주행 라인(SL)에 있어서의 자동 주행을 해제한다.[4] Cancel automatic driving on the set driving line (SL).

설정 주행 라인(SL)의 종단 위치까지 도달하면, 자동 조향 스위치(350)를 누름으로써, 자동 주행이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 조향 핸들(343)을 선회 조작하여 주행 기체(C)의 방향 전환을 도모하고, 인접한 다음 설정 주행 라인(SL)의 개시 위치까지 수동 조향을 행한다.When the end position of the set driving line SL is reached, automatic driving is canceled by pressing the automatic steering switch 350. In this state, the steering handle 343 is turned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traveling body C, and manual steering is performed to the starting position of the next adjacent set traveling line SL.

이후, 자동 주행에 의한 설정 주행 라인(SL)의 식부 조향과, 수동 주행에 의한 방향 전환을 교대로 반복한다.Thereafter, planting and steering of the set travel line SL by automatic travel and direction change by manual travel are alternately repeated.

또한, 설정 주행 라인(SL)을 주행 도중에 있어서, 설정 주행 라인(SL) 자체를 평행하게 변위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변위시키고자 하는 측의 변위 스위치(359)를 누름으로써, 소정량 b만큼 평행하게 변위 설정할 수 있다.Additionally, while traveling on the set travel line SL, when it is desired to displace the set travel line SL itself to be parallel, by pressing the displacement switch 359 on the side to be displaced, the set travel line SL itself becomes parallel by a predetermined amount b. You can set the displacement accordingly.

본 실시 형태의 이앙기에 의하면, 자동 조향 스위치(전환 스위치의 일례)(50)에 의해 수동 주행으로부터 자동 주행으로 전환 조작을 행하는 것만으로, 그 지점을, 설정 주행 라인(SL)의 시점(S0)으로서 설정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가, 포장의 상황을 보면서, 바람직한 위치로 자유롭게 설정 주행 라인(SL)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주행 기체(C) 상에서의 각종 작업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음과 함께, 운전자에게의 부담을 경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e rice transplanter of this embodiment, just by performing a switching operation from manual travel to automatic travel with the automatic steering switch (an example of a changeover switch) 50, the point is set to the starting point S0 of the set travel line SL. Since it can be set as , the driver can freely set the travel line SL to a desired position while watching the pavement situation. Therefore, various tasks on the traveling body C can be performed efficiently and the burden on the driver can be reduced.

나아가, 한번 설정한 설정 주행 라인(SL)을 자동 주행하고 있는 동안에, 변위 스위치(359)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설정 주행 라인(SL)을 간단하게 평행 변위시킬 수 있어, 포장의 상황에 더 합치한 농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Furthermore, while automatically traveling the set travel line SL once set, the set travel line SL can be easily displaced in parallel simply by operating the displacement switch 359, making it more suitable for the pavement situation. Agricultural work can be carried out.

또한, 변위 스위치(359)는, 스위치의 배치와, 변위 조작 방향을 정렬시키고 있으므로,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어, 양호한 취급성이 얻어진다.Additionally, since the displacement switch 359 aligns the arrangement of the switch and the direction of displacement operation, erroneous operation can be prevented and good handling properties are obtained.

〔제4 실시 형태의 다른 실시 형태〕[Other embodiments of the fourth embodiment]

<1> 농작업기는, 앞의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형식의 이앙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형식의 이앙기나, 이앙기 이외의 농작업기여도 되고, 그것들을 포함하여 농작업기라고 총칭한다.<1> Agricultural machinery is not limited to the rice transplanter of the type described in the previous embodiment, and may be a rice transplanter of other types or agricultural machinery other than a rice transplanter, and these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gricultural machinery.

<2> 전환 스위치(자동 조향 스위치(350))는, 앞의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구조의 자동 조향 스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압박 조작식 대신에, 요동 조작식이나 회전 조작식의 구조를 구비한 것이어도 된다.<2> The changeover switch (automatic steering switch 350) is not limited to the automatic steering switch of the structure described in the previous embodiment, for example, instead of the push-operated type, it has a swing-operated or rotary-operated structure. It may be provided with a.

따라서, 전환 스위치(자동 조향 스위치(350))의 조작 방향은, 주행 기체(C)의 좌우 방향을 따른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refore, the operating direction of the changeover switch (automatic steering switch 350) is not limited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traveling body C.

또한, 전환 스위치의 설치 개소는, 변속 조작구 이외의 개소에 설치되어 있거나, 나아가 다른 기능 스위치와 겸용화해도 된다.In addition,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changeover switch may be installed in a location other than the speed change operation unit, or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other function switches.

그것들을 포함하여 「전환 스위치」라고 총칭한다.Including them, they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conversion switches.”

<3> 지시 스위치는, 앞의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지시 버튼(35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스위치 구조로서는, 압박 조작식 대신에, 요동 조작식이나 회전 조작식의 구조를 구비한 것이어도 된다.<3> The instruction switch is not limited to the instruction button 352 described in the previous embodiment. For example, the switch structure may have a rocking or rotation type structure instead of a push type. It's okay.

또한, 우측 지시 버튼(352A)과 좌측 지시 버튼(352B)을, 주행 기체(C)의 좌우 방향에 대응시켜 배치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전후 방향으로 나열하여 배치하거나, 완전히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In addition, the right instruction button 352A and the left instruction button 352B are not limited to being arrang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traveling body C, but are arranged in a row in the front-back direction, for example, or at completely different positions. It may be placed.

또한, 지시 스위치로서 2개의 스위치를 설치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하나의 스위치로, 기준 주행 라인(KL)의 시점(K1)과 종점(K2)을 지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In addition, the indication switch is not limited to installing two switches, and may be configured to indicate the starting point K1 and the ending point K2 of the reference travel line KL with, for example, one switch.

또한, 지시 스위치는, 변위 스위치(359)와는 다른 스위치와 겸용화되어 있거나, 단독의 스위치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Additionally, the indicator switch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a switch other than the displacement switch 359, or may be configured as a standalone switch.

그것들을 포함하여 「지시 스위치」라고 총칭한다.Including them, they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indicator switches.”

<4> 변위 스위치(359)는, 앞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변위 스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스위치 구조로서는, 압박 조작식 대신에, 요동 조작식이나 회전 조작식의 구조를 구비한 것이어도 된다.<4> The displacement switch 359 is not limited to the displacement switch described in the previous embodiment. For example, the switch structure may be a rocking or rotation type instead of a push type. do.

또한, 변위 스위치(359)는, 지시 스위치와는 다른 스위치와 겸용화되어 있거나, 단독의 스위치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Additionally, the displacement switch 359 may be combined with a switch other than the indicating switch, or may be configured as a standalone switch.

또한, 변위 스위치(359)로서 2개의 스위치를 설치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하나의 스위치로, 설정 주행 라인(SL)의 변위 방향을 지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In addition, the displacement switch 359 is not limited to providing two switches, and may be configured to indicate the displacement direction of the set travel line SL with, for example, one switch.

그것들을 포함하여 변위 스위치(359)라고 총칭한다.Including them, they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the displacement switch 359.

<5> 변위 스위치(359)의 조작에 수반되는 조향 제어에 관해서는, 예를 들어 스위치의 연타 등에 의해, 과도한 평행 변위가 실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특정한 조건에 적용되는 경우는, 도 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위 스위치(359)의 조작을 변위 제어에 반영시키지 않도록 하는 조작 캔슬부(385)를 제어 장치(375)에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5> Regarding the steering control accompanying the operation of the displacement switch 359, for example, in order to prevent excessive parallel displacement from being performed due to repeated hitting of the switch, etc., when applied to specific conditions, as shown in Figure 41 As shown, the control device 375 may be provided with an operation cancellation unit 385 that prevents the operation of the displacement switch 359 from being reflected in the displacement control.

조작 캔슬부(385)에 의해 변위 스위치(359)의 조작을 캔슬하는 양태로서는, 이하의 것을 들 수 있다.The following can be cited as a mode of canceling the operation of the displacement switch 359 by the operation cancellation unit 385.

예를 들어, 변위 스위치(359)에의 조작 중, 초기의 소정 횟수의 조작을, 설정 주행 라인(SL)의 변위 제어에 반영시키지 않도록 한다.For example, during operation of the displacement switch 359, an initial predetermined number of operations are not reflected in the displacement control of the set travel line SL.

이 양태에 있어서는, 변위 스위치(359)의 제1회째의 조작에 의해 설정 주행 라인(SL)을 소정량 b 변위시키면, 제2회째로부터 소정 횟수(예를 들어, 4회)의 조작에 대해 변위 제어에 반영시키지 않도록 함으로써, 5회의 조작이 연타되어도, 설정 주행 라인(SL)의 변위는, 1회분의 소정량 b로 되어, 과도한 평행 변위를 방지할 수 있다.In this aspect, when the set travel line SL is displaced by a predetermined amount b by the first operation of the displacement switch 359, the displacement is perform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for example, 4 times) starting from the second operation. By not allowing it to be reflected in the control, even if five operations are performed repeatedly, the displacement of the set travel line SL becomes a predetermined amount b for one operation, and excessive parallel displacement can be prevented.

또한, 다른 양태로서는, 변위 스위치(359)를 조작하면, 변위 스위치(359)의 조작으로부터 설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변위 스위치(359)의 조작을, 설정 주행 라인(SL)의 변위 제어에 반영시키지 않도록 한다.Additionally, in another aspect, when the displacement switch 359 is operated, the operation of the displacement switch 359 is controlled to control the displacement of the set travel line SL until the set time elapses from the operation of the displacement switch 359. Make sure not to reflect it.

이 양태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상기 설정 시간을 5초로 설정하면, 변위 스위치(359)의 제1회째의 조작으로부터 5초간은, 몇 회 연타해도, 설정 주행 라인(SL)의 변위는, 1회분의 소정량 b로 되어, 과도한 평행 변위를 방지할 수 있다.In this aspect, for example, if the setting time is set to 5 seconds, no matter how many times the displacement switch 359 is repeatedly pressed for 5 seconds from the first operation, the displacement of the set travel line SL is one time. By being set to a predetermined amount b, excessive parallel displacement can be prevented.

또한, 다른 형태로서는, 도 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위 스위치(359)를 조작하면, 변위 후의 설정 주행 라인(SL)을 중심으로 하여 설정되는 소정 폭 SB의 오차 영역에, 주행 기체(C)가 도달할 때까지, 변위 스위치(359)의 조작을, 설정 주행 라인(SL)의 변위 제어에 반영시키지 않도록 한다.Additionally, in another form, as shown in FIG. 42, when the displacement switch 359 is operated, the traveling body C is placed in an error area of a predetermined width SB set with the set traveling line SL after displacement as the center. Until is reached, the operation of the displacement switch 359 is not reflected in the displacement control of the set travel line SL.

이 양태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상기 소정량 b를 10㎝, 상기 소정 폭 SB를 6㎝(편측 3㎝)로 설정한 경우, 변위 스위치(359)의 제1회째의 조작에 의해 주행 기체(C)가 주행 코스(G)를 변경하고 있는 과정에서, 평행 변위 방향에서의 (b-SB/2)=10-3=7cm의 영역을 통과하고 있는 동안은, 몇 회 연타해도, 설정 주행 라인(SL)의 변위는 캔슬되어, 과도한 평행 변위를 방지할 수 있다.In this aspect, for example, when the predetermined amount b is set to 10 cm and the predetermined width SB is set to 6 cm (3 cm on one side), the first operation of the displacement switch 359 causes the traveling body C ) is changing the running course (G), as long as it is passing through the area of (b-SB/2) = 10-3 = 7 cm in the direction of parallel displacement, no matter how many times it is struck, the set running line ( SL) displacement can be canceled, preventing excessive parallel displacement.

<6> 측위 시스템에 의해 취득되는 주행 기체(C)의 위치 정보는, 계측 유닛(361)의 평면 위치 정보이지만, 그 상방을 기초로 하여 설정하는 상기 기준 주행 라인(KL)의 시점(K1)이나 종점(K2) 및 상기 설정 주행 라인(SL)의 시점(S0)은, 반드시 주행 기체(C)에 있어서의 계측 유닛(361)의 평면 위치로서 설정하는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주행 기체(C)에 있어서의 좌우 중심선(CL)에서의 전단 위치(또는 후단 위치)나, 주행 기체(C)의 무게 중심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전방(또는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예를 들어, 센터 마스코트(314)를 통과하는 운전자의 시선과 논바닥이 교차하는 전방의 위치 등)로서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6>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traveling body C acquired by the positioning system is the planar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measurement unit 361, but the starting point K1 of the reference traveling line KL is set based on the upper direction. However, the end point K2 and the starting point S0 of the set traveling line SL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being set as the plane position of the measurement unit 361 in the traveling body C. For example, a front end position (or rear end position) on the left and right center line CL of the traveling body C, or a position spaced forward (or rear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traveling body C ( For example, it may be set as the front position where the driver's line of sight passing through the center mascot 314 intersects the rice field bed, etc.).

(7) 본 발명은, 작업 장치로서 모 식부 장치를 구비하는 상기 승용형 이앙기 이외에도, 예를 들어 작업 장치로서 파종 장치를 구비하는 식파계 수전 작업차인 승용형 직파기, 작업 장치로서 플라우 등을 구비하는 트랙터, 혹은 작업 장치로서 예취부 등을 구비하는 콤바인 등의 농작업기에 이용할 수 있다.(7)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riding-type rice transplanter equipped with a mother planting device as a working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for example, a riding-type direct seeding machine, which is a planting and seeding machine work vehicle equipped with a seeding device as a working device, and a plow as a working device. It can be used in agricultural machinery such as a tractor or a combine equipped with a reaping unit as a work device.

[제5 실시 형태][Fifth Embodiment]

본 발명에 의한 포장 작업 차량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전에, 도 43을 사용하여, 그 포장 작업 차량에 채용되어 있는 차량 제어의 기본 원리를 설명한다.Before explaining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aving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ic principles of vehicle control employed in the paving vehicle will be explained using FIG. 43.

도 43에서는, 포장 작업 차량으로서, 이앙기, 파종기, 트랙터, 콤바인이 상정되어 있다. 포장 작업 장치로서, 이앙기는 식부 장치를 구비하고, 파종기는 파종 장치를 구비하고, 트랙터는 경운 장치를 구비하고, 콤바인은 예취 장치를 구비한다. 이들 포장 작업 장치는, 각각의 주행 기체에 작업 위치와 비작업 위치 사이에서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In Figure 43, a rice transplanter, a seed drill, a tractor, and a combine are assumed as paving work vehicles. As field work equipment, a rice transplanter is equipped with a planting device, a seed drill is equipped with a seeding device, a tractor is equipped with a tillage device, and a combine is equipped with a reaping device. These packaging work devices are connected to each traveling body so that they can be raised and lowered between the working position and the non-working position.

이 포장 작업 차량(이하, 단순히 차량이라고 약칭함)은, 도 43에서는, 평행하게 되어 있는 상측 두렁과 하측 두렁으로 경계가 나뉜 포장을, 180도의 방향 전환 주행(유턴 주행)을 사이에 둔 왕복 직선상 주행을 반복하면서 주행한다. 상측 두렁의 근방에는, 상측의 두렁가 영역이 설정되고, 하측 두렁의 근방에는, 하측의 두렁가 영역이 설정되어 있다. 차량은, 두렁가 영역에서 방향 전환 주행을 행하고, 그 이외의 포장 영역에서 직선상의 작업 주행을 행한다.In Figure 43, this paving work vehicle (hereinafter simply abbreviated as "vehicle") is a two-way straight line with a 180-degree direction change run (U-turn run) between the pavements divided by parallel upper and lower ridges. Drive while repeating the upward movement. An upper ridge area is set near the upper ridge, and a lower ridge area is set near the lower ridge. The vehicle performs direction change driving in the ridge area and straight work driving in the other paved area.

차량은, 자차 위치를 나타내는 측위 데이터를 출력하는 측위 유닛을 장비하고 있다. 나아가, 주행 기체를 인위 조작에 기초하여 조타하는 인위 조타부뿐만 아니라, 주행 기체를 자동 조타하는 자동 조타부도 장비되어 있다. 또한, 측위 유닛으로부터 출력되는 측위 데이터는, 안테나의 위치가 기준이 되지만, 여기서는, 자차 위치는, 안테나의 위치가 아닌, 차량의 적절한 위치, 예를 들어 포장 작업 장치의 대지 작용점 등이 되도록 보정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The vehicle is equipped with a positioning unit that outputs positioning data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vehicle. Furthermore, not only an artificial steering unit that steers the traveling body based on artificial manipulation, but also an automatic steering unit that automatically steers the traveling body is equipped. In addition, the positioning data output from the positioning unit is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antenna, but here, the position of the own vehicle is corrected so that it is not the position of the antenna, but the appropriate position of the vehicle, such as the ground action point of the paving equipment. has been implemented.

이 포장에 있어서의 포장 주행의 일례를 이하에 나타낸다.An example of pavement running on this pavement is shown below.

먼저, 하측 두렁을 타고 넘어 포장 내로 들어간 차량은, 지점 A1에 있어서,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포장 작업 장치를 작업 위치까지 하강시키고, 직선상의 작업 주행(왕로)을 개시한다. 이 포장 작업 장치의 하강은, 작업 개시를 나타내는 차량 거동으로서, 지점 A1의 위치를 나타내는 측위 데이터와 함께 기록된다. 직선상의 작업 주행을 거쳐, 차량이 지점 B1에서 방향 전환 영역에 도달하면,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포장 작업 장치를 비작업 위치까지 상승시켜, 180도의 방향 전환 주행으로 이행한다. 이 포장 작업 장치의 상승은, 작업 정지를 나타내는 차량 거동으로서, 지점 B1의 위치를 나타내는 측위 데이터와 함께 기록된다.First, the vehicle that has climbed over the lower ridge and entered the pavement lowers the pavement work equipment to the work position through the driver's operation at point A1, and starts a straight work run (outbound). The lowering of this paving machine is recorded as a vehicle behavior indicating the start of work, along with positioning data indicating the position of point A1. When the vehicle reaches the direction change area at point B1 after working in a straight line, the paving machine is raised to the non-working position by the driver's operation, and the vehicle moves to a direction change of 180 degrees. The raising of this paving machine is recorded as vehicle behavior indicating work stoppage, together with positioning data indicating the position of point B1.

두렁가 영역에서의 방향 전환 주행이 종료되면, 지점 A2에 있어서, 다시 포장 작업 장치를 작업 위치까지 하강시켜, 직선상의 작업 주행(귀로)을 개시한다. 이 포장 작업 장치의 하강도, 작업 개시를 나타내는 차량 거동으로서, 지점 A2의 위치를 나타내는 측위 데이터와 함께 기록된다. 또한, 지점 A2의 위치는, 작업 폭(식부 폭이나 경운 폭)에 상당하는 왕복 작업 주행 간격을 고려하여, 지점 B1의 위치에서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두렁가 영역에서의 방향 전환 주행 중에, 차량이 추정된 지점 A2에 접근해 오면, 그 취지를 운전자에게 통지하여, 포장 작업 장치를 작업 위치까지 하강시킬 것을 운전자에게 촉구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이 추정된 지점 A2에 도달하였을 때, 자동적으로 포장 작업 장치를 작업 위치까지 하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차량이 다시 직선상의 작업 주행(귀로)을 개시한 위치가, 최종적인 지점 A2로서 설정된다.When the direction change run in the ridge area is finished, at point A2, the paving work device is lowered to the work position again and a straight work run (return) is started. The lowering of this paving equipment and vehicle behavior indicating the start of work are also recorded along with positioning data indicating the position of point A2. In addition, the position of point A2 can be estimated from the position of point B1 in consideration of the round-trip work travel interval corresponding to the work width (planting width or tillage width). Accordingly, when the vehicle approaches the estimated point A2 during direction change driving in the edge area, the driver can be notified to that effect and the driver can be urged to lower the paving machine to the working position. Additionally, it is also possible to automatically lower the paving device to the working position when the vehicle reaches the estimated point A2. The position where the vehicle resumes straight work driving (return) is set as the final point A2.

이 직선상의 작업 주행(귀로)의 종점인 지점 B2, 즉, 차량이 다시 두렁가 영역에 도달하는 지점도, 지점 A1의 위치로부터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이 지점 B2에 접근해 오면, 두렁가 영역에 도달하기 전에, 포장 작업 장치를 비작업 위치까지 상승시켜, 방향 전환 주행의 준비를 행하는 것을 운전자에게 통지 가능하다. 또한, 차량이 추정된 지점 B2에 도달하였을 때, 자동적으로 포장 작업 장치를 비작업 위치까지 상승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차량이 두렁가 영역에 도달하면, 자동적으로 또는 인위적으로 두렁가 영역 내에서의 방향 전환 주행으로 이행한다. 방향 전환 주행이 종료되면, 지점 A3으로부터 다시 직선상의 작업 주행(귀로)을 개시한다.Point B2, which is the end point of the work run (return) on this straight line, that is, the point where the vehicle reaches the ridge area again, can also be estimated from the position of point A1. Accordingly, when the vehicle approaches point B2, the driver can be notified that the paving work device is raised to the non-working position and preparations for direction change driving are made before reaching the edge area. It is also possible to automatically raise the packaging equipment to the non-working position when the vehicle reaches the estimated point B2. When the vehicle reaches the edge area, it automatically or artificially transitions to turning and driving within the edge area. When the direction change run ends, the straight work run (return) starts again from point A3.

이와 같이 하여, 지점 B3, 지점 A4, 지점 B4, 지점 A5···를 경유하면서, 작업 주행과 방향 전환 주행을 반복한다. 그때, 지점 A1을 설정하면, 지점 A1로부터, 왕복 작업 주행 간격을 고려하여, 지점 B2, 지점 A3···을 추정할 수 있다. 그러나 지점 A3을 추정할 때에는, 지점 A1로부터 추정할 수도 있지만, 작업 주행으로부터 방향 전환 주행으로 실제로 이행한 위치로서의 지점 B2가 검지되어 있다는 점에서, 이 지점 B2로부터 지점 A3을 추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실제의 두렁가 영역이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비스듬히나 단계적으로 연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중에 새롭게 설정된 지점으로부터 추정함으로써, 그러한 두렁가 영역의 경계점을 정확하게 검지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work run and direction change run are repeated while passing through points B3, A4, B4, and A5. At that time, if point A1 is set, point B2 and point A3... can be estimated from point A1, taking the round-trip work travel interval into consideration. However, when estimating point A3, it can be estimated from point A1, but since point B2 is detected as the position where the actual transition from work driving to change of direction driving is detected, it is also possible to estimate point A3 from this point B2. In particular, when the actual edge area does not extend linearly but extends diagonally or in steps, the boundary point of the edge area can be accurately detected by estimating it from a newly set point along the way.

예를 들어, 도 4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렁가 영역이 단차를 갖고 있는 경우, 직선상의 작업 주행이 추정된 지점 B4보다 더욱 직선상의 작업 주행을 연장할 필요가 있다. 직선상의 작업 주행이 자동 조타로 행해지고 있는 경우, 자동 조타를 해제하고, 수동 조타로 방향 전환 주행에 적합한 위치(새롭게 설정되는 지점 B4)까지 직선상의 작업 주행을 속행한다. 지점 B4가 새롭게 설정되면, 다음 지점 A5는 지점 B4로부터 추정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44, when the edge area has a step, it is necessary to extend the straight work run further than the point B4 at which the straight work run is estimated. If the work travel in a straight line is being performed with automatic steering, the automatic steering is canceled, and the work travel in a straight line is continued with manual steering to a position suitable for direction change travel (newly set point B4). If point B4 is newly established, the next point A5 is estimated from point B4.

작업 주행의 개시점인 지점 A1, A2, ···은, 특정한 차량 거동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러한 특정한 차량 거동으로서 적절한 것은, 예를 들어 포장 작업 장치에 대한 작업 개시 지령, 포장 작업 장치의 작업 위치로의 위치 변경의 검출, 포장 작업 장치를 위한 전동 클러치의 연결 검출 등이다. 또한,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구의 상태를 특정한 차량 거동으로서 이용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작업 주행의 종료점(방향 전환 주행의 개시점)인 지점 B1, B2, ···도, 특정한 차량 거동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러한 특정한 차량 거동으로서 적절한 것은, 예를 들어 포장 작업 장치에 대한 작업 정지 지령, 포장 작업 장치의 비작업 위치로의 이행 검출, 포장 작업 장치를 위한 전동 클러치의 해제 검출 등이다. 또한,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구의 상태를 특정한 차량 거동으로서 이용해도 된다.Points A1, A2, ..., which are the starting points of the work run, can be automatically set based on specific vehicle behavior. Suitable as such specific vehicle behavior are, for example, a work start command for the paving work device, detection of a change in position of the paving work device to the working position, detection of engagement of an electric clutch for the paving work device, etc. Additionally, the state of the control tool operated by the driver may be used as a specific vehicle behavior. Likewise, points B1, B2, ..., which are the end points of the work run (start point of the change-of-direction run), can be automatically set based on specific vehicle behavior. Suitable as such specific vehicle behavior are, for example, a work stop command for the paving work equipment, detection of the paving work equipment moving to a non-working position, detection of release of an electric clutch for the paving work equipment, etc. Additionally, the state of the control tool operated by the driver may be used as a specific vehicle behavior.

지점 A1과 지점 B1에 의해 정의되는 최초의 작업 주행 경로를, 기준 작업 주행 경로로 하면, 이후의 자동 조타용 목표 작업 경로를 이 기준 작업 주행 경로에 기초하여 산정할 수 있다. 작업 주행은 일반적으로 직선상의 주행이라는 점에서, 방향 전환 주행에 비해 간단한 조타가 되므로, 작업 주행을 자동 조타로 실시하고, 방향 전환 주행을 인위 조타로 실시하는 것은, 제어적으로 바람직하다. 포장 형상이 단순한 직사각형인 경우, 지점 A1과 지점 B1을 설정하면, 그 후의 작업 주행과 방향 전환 주행 사이의 이행 타이밍, 즉 두렁가 영역으로의 도달 타이밍 및 두렁가 영역으로부터의 이탈 타이밍은 지점 A1과 지점 B1로부터 추정할 수 있다.If the first working path defined by points A1 and B1 is taken as the standard working path, the target working path for subsequent automatic steering can be calculated based on this standard working path. Since work travel is generally straight travel and requires simpler steering than direction change travel, it is preferable from a control point of view to perform work travel with automatic steering and change direction with artificial steering. When the pavement shape is a simple rectangle, if point A1 and point B1 are set, the transition timing between the subsequent work run and the change of direction run, that is, the timing of arrival at the edge area and the timing of departure from the edge area, is set to point A1 and point B1. It can be estimated from

직선상의 작업 주행(귀로)으로부터 두렁가 영역으로 들어가도, 무언가의 이유로 방향 전환 주행이 행해지지 않는 경우, 차량이 두렁에 올라타 버리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 직선상의 작업 주행(귀로)의 종점인 지점 B2, B3, B4···을 추정하여, 기록해 두는 것이 중요해진다. 측위 유닛에 의해 자차 위치를 산정할 수 있으므로, 이 자차 위치와 작업 주행(귀로)의 종점(두렁가 영역으로의 진입점)의 위치를 항시 비교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차량이 두렁가 영역으로 진입하기 직전 및 차량이 두렁가 영역으로 진입한 후에서의 차량 감속, 경고의 통지, 차량의 정지 등을 실시할 수 있다.Even if the vehicle enters the ridge area from a straight work run (return), if the change of direction is not performed for some reason, a problem occurs in which the vehicle gets on the ridge. In order to avoid this problem, it becomes important to estimate and record the points B2, B3, B4..., which are the end points of the straight work run (return). Since the location of the vehicle can be calculated using the positioning unit, the location of the vehicle and the position of the end point (entry point to the edge area) of the work trip (homeward) can always be compare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decelerate the vehicle, issue a warning, stop the vehicle, etc. just before the vehicle enters the edge area and after the vehicle enters the edge area.

상술한 예에서는, 최초의 작업 주행에서 지점 A1과 지점 B1을 설정하고, 그 후의 작업 주행과 방향 전환 주행 사이의 지점(차량의 두렁가 영역으로의 도달점 및 두렁가 영역으로부터의 이탈점), A2, A3···, B2, B3···은 지점 A1과 지점 B1로부터 추정되었다. 차량이 포장의 지도 데이터를 저장한 포장 지도 저장부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는, 자차 위치와 지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맵 매칭함으로써, 차량이 두렁가 영역에 도달한 것이나 두렁가 영역으로부터 이탈한 것을 검지할 수 있으므로, 그러한 지점 A1과 지점 B1의 설정, 및 그 밖의 지점의 지점 A1과 지점 B1로부터의 추정은 불필요해진다.In the above example, points A1 and B1 are set in the first work run, and points between the subsequent work run and the change of direction run (the vehicle's arrival point and departure point from the edge area), A2, A3 ···, B2, B3··· were estimated from point A1 and point B1. If the vehicle is equipped with a pavement map storage unit that stores pavement map data, it is possible to detect that the vehicle has reached or departed from the edge area by matching the map using the own vehicle position and map data. Setting of those points A1 and B1 and estimation of other points from points A1 and B1 become unnecessary.

다음으로, 도면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의한 포장 작업 차량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 중 하나를 설명한다. 도 45는, 포장 작업 차량의 일례인 승용형 이앙기의 측면도이고, 도 46은 평면도이다. 이 이앙기는, 주행 기체(C)와, 포장에 대한 작업을 행하는 포장 작업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의 포장 작업 장치는, 포장에 대한 모의 식부가 가능한 모 식부 장치(W)이다. 또한, 도 46에 나타낸 화살표 F가 주행 기체(C)의 「전」, 화살표 B가 주행 기체(C)의 「후」, 화살표 L이 주행 기체(C)의 「좌」, 화살표 R이 주행 기체(C)의 「우」이다.Next, using the drawings, one of th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aving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gure 45 is a side view of a riding-type rice transplanter that is an example of a paving work vehicle, and Figure 46 is a top view. This rice transplanter is equipped with a traveling body C and a paving work device that performs work on paving. The pavement work device here is a model planting device W capable of simulated planting on the pavement. In addition, arrow F shown in FIG. 46 is the “front” of the traveling body C, arrow B is the “back” of the traveling body C, arrow L is the “left” of the traveling body C, and arrow R is the traveling body It is the “right” of (C).

도 4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 장치로서는, 좌우 한 쌍의 전방 차륜(410)과 좌우 한 쌍의 후방 차륜(411)이 구비되어 있다. 주행 기체(C)에는, 주행 장치에 있어서의 좌우 전방 차륜(410)을 조향 가능한 조타 유닛(U1)이 구비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5, the traveling device is provided with a pair of left and right front wheels 410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rear wheels 411. The traveling body C is equipped with a steering unit U1 capable of steering the left and right front wheels 410 in the traveling device.

도 45와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 기체(C)의 전방부에는, 개폐식 보닛(412)이 구비되어 있다. 보닛(412) 내에는, 엔진(413)이 구비되어 있다. 주행 기체(C)에는,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프레임 형상의 기체 프레임(415)이 구비되어 있다. 기체 프레임(415)의 전방부에는, 지지 지주 프레임(416)이 기립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45 and 46, the front part of the traveling body C is provided with an openable bonnet 412. Within the bonnet 412, an engine 413 is provided. The traveling body C is equipped with a frame-shaped body frame 415 extending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 At the front of the fuselage frame 415, a support strut frame 416 is installed standing upright.

도 4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 식부 장치(W)는, 유압 실린더로 구성되는 승강 실린더(420)의 신축 작동에 의해 승강 작동하는 링크 기구(421)를 통해, 주행 기체(C)의 후단부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모 식부 장치(W)에는, 4개의 전동 케이스(422), 각 전동 케이스(422)의 후방부의 좌측부 및 우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 케이스(423), 각 회전 케이스(423)의 양단부에 구비된 한 쌍의 로터리식 식부 암(424), 포장의 논바닥을 정지하는 복수의 플로트(425), 식부용 매트 형상 모가 적재되는 모 적재대(426) 등이 구비되어 있다. 즉, 모 식부 장치(W)는, 8조 식부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5, the mother planting device W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traveling body C through a link mechanism 421 that is lifted and lowered by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peration of the lift cylinder 420 comprised of a hydraulic cylinder. It is connected so that it can be lifted up and down. The model device W includes four power cases 422, a rotary case 423 rotatably suppor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ar part of each power case 422, and a rotary case 423 at both ends of each power case 423. A pair of rotary planting arms 424, a plurality of floats 425 for stopping the bottom of the field, and a seedling loading stand 426 on which mat-shaped seedlings for planting are loaded are provided. That is, the mother planting device W is configured in an 8-row planting format.

주행 기체(C)에 있어서의 보닛(412)의 좌우 측부에는, 모 식부 장치(W)에 보급하기 위한 예비 모를 적재 가능한 복수(예를 들어, 4개)의 통상 예비 모 적재대(428), 모 식부 장치(W)에 보급하기 위한 예비 모를 적재 가능한 하나의 레일식 예비 모 적재대(429)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주행 기체(C)에 있어서의 보닛(412)의 좌우 측부에는, 각 통상 예비 모 적재대(428)와 레일식 예비 모 적재대(429)를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예비 모 프레임(430)과, 좌우의 예비 모 프레임(430)의 상부에 걸쳐 연결되는 연결 프레임(431)이 구비되어 있다. 연결 프레임(431)은, 전방면에서 보아, U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연결 프레임(431)의 좌우 단부는 각각, 연결 브래킷(432)을 통해 좌우의 예비 모 프레임(430)의 상부에 연결되어 있다.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nnet 412 in the traveling body C, a plurality of (for example, four) regular spare seedling loading stands 428 on which spare seedlings for supplying to the seedling planting device W can be loaded, There is one rail-type spare seedling loading stand 429 capable of loading spare seedlings to be supplied to the seedling device (W). In addition,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nnet 412 in the traveling body C, a pair of left and right spare mother frames 430 support each normal spare mother loading stand 428 and the rail-type spare mother loading stand 429. ) and a connection frame 431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left and right spare mother frames 430 are provided. The connection frame 431 is U-shaped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connection frame 431 are connected to the upper parts of the left and right spare mother frames 430 through connection brackets 432, respectively.

주행 기체(C)의 중앙부에는, 각종 운전 조작이 행해지는 운전부(440)가 구비되어 있다. 운전부(440)에는, 운전자가 착석 가능한 운전 좌석(441), 조종 탑(442), 전방 차륜(410)의 수동의 조향 조작용 스티어링 휠에 의해 구성되는 조향 핸들(443), 전후진의 전환 조작이나 주행 속도를 변경 조작이 가능한 주 변속 레버(444), 조작 레버(445) 등이 구비되어 있다. 운전 좌석(441)은, 주행 기체(C)의 중앙부에 구비되어 있다. 조종 탑(442)에, 조향 핸들(443), 주 변속 레버(444)가 조작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운전부(440)의 발밑 부위에는, 탑승 스텝(446)이 설치되어 있다.The central portion of the traveling body C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unit 440 in which various operation operations are performed. The driving unit 440 includes a driver's seat 441 on which the driver can sit, a control tower 442, a steering wheel 443 consisting of a steering wheel for manual steering operation of the front wheels 410, and a forward/backward switching operation. A main shift lever 444 and an operation lever 445 that can change the driving speed are provided. The driver's seat 441 is provided in the central part of the traveling body C. A steering handle 443 and a main shift lever 444 are provided on the control tower 442 to be operable. A boarding step 446 is installed at the foot of the driving unit 440.

조향 핸들(443)의 하측의 우측 옆에 조작 레버(445)가 구비되어 있다. 조작 레버(445)를 상승 위치로 조작하면, 작업 클러치의 일종인 식부 클러치(도시하지 않음)가 차단 상태로 조작되어, 모 식부 장치(W)가 상승한다. 조작 레버(445)를 하강 위치로 조작하면, 식부 클러치(도시하지 않음)가 차단 상태로 조작되어, 모 식부 장치(W)가 하강한다. 중앙의 플로트(425)가 포장의 논바닥에 접지하면, 모 식부 장치(W)가 포장의 논바닥에 접지하여 정지한 상태로 된다.An operation lever 445 is provided on the lower right side of the steering handle 443. When the operation lever 445 is operated to the upward position, the planting clutch (not shown), which is a type of work clutch, is operated in the blocked state, and the mother planting device W is raised. When the operation lever 445 is operated to the lowered position, the planting clutch (not shown) is operated in a blocked state, and the mother planting device W is lowered. When the central float 425 is grounded on the bottom of the field, the seedling unit W is grounded on the bottom of the field and comes to a halt.

도 4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타 유닛(U1)에는, 상술한 조향 핸들(443), 조향 핸들(443)에 연동 연결되는 스티어링 조작 축(454), 스티어링 조작 축(454)의 회전에 수반하여 요동하는 피트먼 암(455), 피트먼 암(455)에 연동 연결되는 좌우의 연계 기구(456), 스티어링 모터(458), 스티어링 조작 축(454)에 스티어링 모터(458)를 연동 연결하는 기어 기구(457) 등이 구비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7, the steering unit U1 includes the above-described steering handle 443, a steering operation shaft 454 linked to the steering handle 443, and rotation of the steering operation shaft 454. The oscillating pitman arm 455, the left and right linkage mechanisms 456 linked to the pitman arm 455, the steering motor 458, and the gear linking the steering motor 458 to the steering operation shaft 454. Equipment 457, etc. are provided.

조타 유닛(U1)은, 자동 조타 모드 및 인위 조타 모드로 동작 가능하다. 인위 조타 모드에서는, 운전자가 조향 핸들(443)을 조작하는 조작력에, 스티어링 모터(458)에 의한 조향 핸들(443)의 조작에 따른 보조력을 부여하여 스티어링 조작 축(454)을 회전 조작하여, 전방 차륜(410)의 조향 각도를 변경한다. 한편, 자동 조타 모드에서는, 스티어링 모터(458)를 자동 제어하고, 스티어링 모터(458)의 구동력에 의해 스티어링 조작 축(454)을 회전 조작하여, 전방 차륜(410)의 조향 각도를 변경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조향 핸들(443)과 스티어링 모터(458)가, 주행 기체(C)를 인위 조타하는 인위 조타부의 구성 요소로서 기능한다. 또한, 주행 기체(C)를 자동 조타하는 자동 조타의 제어 기능은, 후술하는 제어 장치(408)(도 48 참조)에 구축되고, 제어 장치(408)로부터의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스티어링 모터(458)가 구동된다. 또한, 조향 핸들(443)의 조작 변위가 직접 스티어링 조작 축(454)에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조향 핸들(443)의 조작 변위가 센서에 의해 검출되고, 그 검출값에 기초하여 스티어링 모터(458)가 구동되는 경우, 이른바 바이와이어 방식이 채용되어 있는 경우, 인위 조타의 제어 기능도 제어 장치(408)에 구축된다.The steering unit U1 can operate in automatic steering mode and artificial steering mode. In the artificial steering mode, the driver applies an auxiliary forc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teering handle 443 by the steering motor 458 to the driver's operating force to operate the steering wheel 443 to rotate the steering operation axis 454, Change the steering angle of the front wheel 410. Meanwhile, in the automatic steering mode, the steering motor 458 is automatically controlled, and the steering operation shaft 454 is rotat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steering motor 458 to change the steering angle of the front wheel 410. In this embodiment, the steering handle 443 and the steering motor 458 function as components of an artificial steering unit that artificially steers the traveling body C. In addition, the automatic steering control function for automatically steering the traveling body C is built into the control device 408 (see FIG. 48) described later, and the steering motor 458 is controlled based on a control command from the control device 408. ) is operated. In addition, the manipulation displacement of the steering handle 443 is not directly transmitted to the steering manipulation shaft 454, but the manipulation displacement of the steering handle 443 is detected by a sensor, and the steering motor 458 is operated based on the detected value. When is driven, when the so-called by-wire method is adopted, the control function of artificial steering is also built into the control device 408.

주행 기체(C)에는, 측위 유닛(461)이 구비되고, 주행 기체(C)의 자기 위치는, 측위 유닛(461)으로부터의 측위 데이터로부터 구해진다. 측위 유닛(461)에는, GNSS 모듈로서 구성되어 있는 위성 항법용 모듈과, 자이로 가속도 센서와 자기 방위 센서를 내장한 모듈로서 구성되어 있는 관성 항법용 모듈이 포함되어 있다. 위성 항법용 모듈에는, GPS 신호나 GNSS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위성용 안테나가 접속되어 있다. 적어도 이 위성용 안테나는, 전파 수신 감도가 양호해지는 개소, 이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 프레임(431)에 설치되어 있다. 위성 항법용 모듈과 관성 항법용 모듈은 다른 장소에 설치해도 된다.The traveling body C is equipped with a positioning unit 461, and the self-position of the traveling body C is obtained from positioning data from the positioning unit 461. The positioning unit 461 includes a satellite navigation module configured as a GNSS module and an inertial navigation module configured as a module incorporating a gyro acceleration sensor and a magnetic orientation sensor. A satellite antenna for receiving GPS signals or GNSS signals is connected to the satellite navigation module. At least this satellite antenna is installed at a location where radio wave reception sensitivity is good, and in this embodiment, on the connection frame 431. The satellite navigation module and the inertial navigation module may be installed in different locations.

도 48에는, 이 이앙기에 장비되어 있는 제어 장치(408)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48에서는, 제어 장치(408)에 구축되어 있는 기능부 중, 주로 조타에 관한 기능부가 도시되어 있다. 이 제어 장치(408)는, 도 43과 도 44를 사용하여 설명된 자동 조타와 인위 조타에 관한 기본 원리를 채용하고 있다. 제어 장치(408)는, 입력 신호 처리부(408a)를 통해, 측위 유닛(461), 차량 상태 검출 센서군(409), 접촉 검출기(490), 주행 모드 전환 조작구(465), 조타 모드 전환 조작구(466)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어 장치(408)는, 출력 신호 처리부(408b)를 통해, 통지 디바이스(407), 차량 주행 기기군(471), 작업 장치 기기군(472)과 접속되어 있다. 또한, 주행 모드 전환 조작구(465)나 조타 모드 전환 조작구(466)는 스위치나 버튼으로 구성된다.In Figure 48, the control device 408 equipped with this rice transplanter is shown. Additionally, in Figure 48, among the functional units built in the control device 408, the functional units mainly related to steering are shown. This control device 408 adopts the basic principles of automatic steering and artificial steering explained using FIGS. 43 and 44. The control device 408, through the input signal processing unit 408a, operates the positioning unit 461, the vehicle state detection sensor group 409, the contact detector 490, the driving mode switching operation tool 465, and the steering mode switching operation. It is connected to the district (466). Additionally, the control device 408 is connected to the notification device 407, the vehicle traveling device group 471, and the work device device group 472 through the output signal processing unit 408b. In addition, the driving mode switching operation tool 465 and the steering mode switching operation tool 466 are composed of switches or buttons.

차량 상태 검출 센서군(409)은, 주행 기체(C)의 동작이나 자세, 포장 작업 장치로서의 모 식부 장치(W)의 동작이나 자세를 검출하기 위해 설치된 각종 센서나 스위치로 이루어진다. 접촉 검출기(490)는, 그 자체는 잘 알려져 있으므로, 도 45나 도 46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이앙기와 장해물의 접촉을 검출하는 구조를 갖는다. 접촉 검출기(490)에 의해 이앙기와 장해물의 접촉이 검출되면, 이앙기는 긴급 정지한다. 조타 모드 전환 조작구(466)는, 자동 조타로 주행하는 자동 조타 모드와 인위 조타로 주행하는 인위 조타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스위치이다. 예를 들어, 자동 조타로 주행 중에 조타 모드 전환 조작구(466)를 조작함으로써, 인위 조타로의 주행으로 전환되고, 인위 조타로 주행 중에 조타 모드 전환 조작구(466)를 조작함으로써, 자동 조타로의 주행으로 전환된다.The vehicle state detection sensor group 409 consists of various sensors and switches installed to detect the motion and posture of the traveling body C and the motion and posture of the model machine W as a paving work device. Since the contact detector 490 itself is well known, it is not shown in Figures 45 or 46, but has a structure that detects contact between the rice transplanter and an obstacle. When contact between the rice transplanter and an obstacle is detected by the contact detector 490, the rice transplanter comes to an emergency stop. The steering mode switching operation tool 466 is a switch that selects one of the automatic steering mode for traveling with automatic steering and the artificial steering mode for traveling with artificial steering. For example, by operating the steering mode switching operation tool 466 while traveling in the automatic steering, the driving is switched to artificial steering, and by operating the steering mode switching operating tool 466 while traveling in the artificial steering, the driving is switched to automatic steering. converted to driving.

주행 모드 전환 조작구(465)는, 두렁가 영역과 비두렁가 영역의 경계를 제어 장치(408)에 가르치기 위한 티칭 스위치이며, 이 실시 형태에서는, 주행 모드 전환 조작구(465)는 A 버튼과 B 버튼을 갖는다. 운전자는, 차량이 방향 전환 주행으로부터 작업 주행으로 이행할 때에 A 버튼을 누르고, 차량이 작업 주행으로부터 방향 전환 주행으로 이행할 때에 B 버튼이 눌린다.The driving mode switching operation tool 465 is a teaching switch for teaching the control device 408 the boundary between the head area and the non-head area. In this embodiment, the driving mode change control tool 465 is the A button and the B button. has The driver presses the A button when the vehicle transitions from the change-of-direction travel to the work travel, and the B button is pressed when the vehicle transitions from the work travel to the change-of-direction travel.

통지 디바이스(407)에는, 램프나 버저가 포함되어 있고, 두렁가 영역으로의 접근이나 자동 조타 주행에서의 목표 주행 경로로부터의 벗어남 등, 운전자에게 통지하고자 하는 다양한 정보를, 제어 장치(408)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여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한다. 또한, 통지 디바이스(407)에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 등이 포함되어 있으면, 문자 정보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notification device 407 includes a lamp or a buzzer and sends various information to be notified to the driver, such as approach to the edge area or deviation from the target driving path in automatic steering driving, from the control device 408. Outputs visually or audibly based on commands. Additionally, if the notification device 407 includes a flat panel display or the like,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text information.

차량 주행 기기군(471)에는, 주행 기체(C)에 탑재되어 있는 주행하기 위한 다양한 동작 기기나 제어 기기가 포함되어 있고, 예를 들어 조타 유닛(U1)을 구성하는 스티어링 모터(458) 등의 동작 기기, 엔진 회전수를 조정하는 제어 기기, 클러치나 시프터 등의 트랜스미션용 동작 기기, 브레이크 동작 기기 등이다. 작업 주행 기기군에는, 이 실시 형태에서는, 포장 작업 장치로서 탑재되어 있는 모 식부 장치(W)를 승강하는 승강 실린더(420)나 모 식부 장치(W)의 작업 클러치로서 기능하는 식부 클러치 등의 동작 기기가 포함되어 있다.The vehicle traveling device group 471 includes various operating devices and control devices for traveling mounted on the traveling body C, such as the steering motor 458 that constitutes the steering unit U1. These include operating devices, control devices that adjust engine speed, transmission operating devices such as clutches and shifters, and brake operating devices. In the work traveling machine group, in this embodiment, operations such as a lifting cylinder 420 that raises and lowers the mother planting device W mounted as a paving work device and a planting clutch that functions as a work clutch of the mother planting device W Device is included.

제어 장치(408)에는, 두렁가 검지 모듈(481), 자동 조타부(482), 차량 거동 기록부(483), 조타 모드 관리부(484), 주행 경로 산정부(485), 주행 거리 산정부(486), 자세 판정부(487) 등이, 실질적으로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축되어 있다.The control device 408 includes a headway detection module 481, an automatic steering unit 482, a vehicle behavior recorder 483, a steering mode management unit 484, a driving path calculation unit 485, and a driving distance calculation unit 486. , the posture determination unit 487, etc. are actually constructed with a computer program.

두렁가 검지 모듈(481)은, 최초의 작업 주행에 있어서 설정된 주행 경로 기준점인, 두렁가 영역에서의 주행으로부터 작업 주행으로 이행하는 지점 A1과, 작업 주행으로부터 두렁가 영역에서의 방향 전환 주행으로 이행하는 지점 B1과, 측위 유닛(461)의 측위 데이터로부터 얻어지는 자차 위치에 기초하여, 주행 기체(C)가 두렁가 영역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검지한다. 도 43과 도 44를 사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지점 A1을 모 식부 장치(작업 장치)(W)의 하강 위치(작업 위치)로의 하강에 의해 검지하고, 지점 B1을 모 식부 장치(W)의 상승 위치(비작업 위치)로의 상승에 의해 검지하여, 각각 차량 거동으로서 차량 거동 기록부(483)에 기록한다. 이 지점 A1과 지점 B1 사이의 주행 경로(일반적으로는 직선)가 기준 작업 주행 경로이며, 자동 조타나, 인위 조타라도, 이 기준 작업 주행 경로를 왕복 작업 주행 간격만큼 순차 평행 이동시킴으로써, 다음 작업 주행 경로가 얻어진다. 즉, 지점 A1에 대응하는 지점 B2, A3, B4, A5… 및 지점 B1에 대응하는 지점 A2, B3, B4, A4, B5…가 추정된다. 이 추정 알고리즘은, 두렁가 추정부(810)에 구축되어 있다. 두렁가 영역의 경계를 나타내는 지점의 추정 방법은, 포장의 형상에 따라 상이하므로, 포장의 형상마다 적절한 추정 알고리즘을 선택할 수 있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당해 각 지점과 자차 위치를 비교함으로써, 작업 주행하고 있는 주행 기체(C)가 두렁가 영역에 도달할 때까지의 거리가 검지되고, 제어 장치(408)는 예를 들어 두렁가 영역에 소정 거리만큼 접근한 경우의 접근 통지나, 두렁가 영역에 도달하였을 때의 도달 통지, 주행 기체(C)의 감속, 주행 기체(C)의 정지 등의 지령을 출력할 수 있다.The edge detection module 481 has a point A1 at which the travel in the edge area changes from the edge area to the work drive, which is the travel path reference point set in the first work run, and a point B1 at which the work drive transitions to the direction change drive in the edge area. And, based on the own vehicle position obtained from the positioning data of the positioning unit 461, it is detected whether the traveling body C has reached the ridge area. As explained using FIGS. 43 and 44, point A1 is detected by lowering the model device (working device) W to the lowering position (working position), and point B1 is detected by lowering the model device (working device) W. It is detected by rising to the position (non-working position) and recorded in the vehicle behavior recording unit 483 as each vehicle behavior. The driving path (generally a straight line) between this point A1 and point B1 is the reference work travel path, and even with automatic steering or artificial steering, this reference work travel path is sequentially moved in parallel by the round-trip work travel interval, and the next work travel is carried out. The path is obtained. That is, points B2, A3, B4, A5… corresponding to point A1. and points A2, B3, B4, A4, B5… corresponding to point B1. is estimated. This estimation algorithm is built in the headge estimation unit 810. Since the method of estimating the point indicating the boundary of the edge area varies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pavement, it is desirable to have a configuration that allows selecting an appropriate estimation algorithm for each shape of the pavement. By comparing each point and the position of the own vehicle, the distance until the vehicle C in work travel reaches the ridge area is detected, and the control device 408 approaches the ridge area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or example. Commands such as approach notification, arrival notification when reaching the edge area, deceleration of the traveling body C, and stopping of the traveling body C can be output.

주행 경로 산정부(485)는, 상술한 기준 작업 주행 경로로부터, 그 이후의 작업 주행을 자동 조타로 행하기 위해 필요해지는 주행 경로 데이터를 산정한다. 자동 조타부(482)는, 주행 경로 산정부(485)에 의해 산정된 주행 경로 데이터와, 자차 위치의 어긋남을 산정하고, 자동 조타 지령을 생성하여, 조타 유닛(U1)에 출력한다.The travel path calculation unit 485 calculates the travel path data required to perform the subsequent work travel with automatic steering from the above-described standard work travel path. The automatic steering unit 482 calculates the discrepancy between the driving path data calculated by the driving path calculation unit 485 and the own vehicle position, generates an automatic steering command, and outputs it to the steering unit U1.

조타 모드 관리부(484)는, 인위 조타에 의한 주행인 인위 조타 모드와 자동 조타에 의한 주행인 자동 조타 모드를 관리한다. 예를 들어, 두렁가 영역에서는 인위 조타 모드를 선택하고, 두렁가 영역 이외(일반적으로는 직선상의 작업 주행)는 자동 조타 모드를 선택하도록 설정 가능하다. 또한, 조타 모드 전환 조작구(466)로부터의 전환 지령에 의해, 강제적으로 인위 조타 모드와 자동 조타 모드를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조향 핸들(443)을 조작하면, 강제적으로 자동 조타 모드로부터 인위 조타 모드로 전환되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steering mode management unit 484 manages the artificial steering mode, which is driving by artificial steering, and the automatic steering mode, which is driving by automatic steering. For example, it can be set to select artificial steering mode in the edge area, and select automatic steering mode outside of the edge area (generally straight work driving). Additionally, it is also possible to forcibly select the artificial steering mode and the automatic steering mode by a switching command from the steering mode switching operation tool 466. Furthermore, it is also possible to forcibly switch from the automatic steering mode to the artificial steering mode by operating the steering wheel 443.

차량 거동 기록부(483)는, 입력 신호 처리부(408a)를 통해 입력된 각종 센서 검출 신호나 각종 조작 디바이스의 조작 신호, 출력 신호 처리부(408b)를 통해 차량 주행 기기군(471)이나 작업 장치 기기군(472)에 출력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에 발생한 상태, 특히 작업 주행의 개시와 종료에 관한 차량 거동을 기록한다. 그때, 각 차량 거동은, 당해 차량 거동이 발생하였을 때에 취득된 자차 위치와 함께 기록된다.The vehicle behavior recording unit 483 receives various sensor detection signals or operation signals from various operating devices input through the input signal processing unit 408a, and the vehicle driving device group 471 or the work device group through the output signal processing section 408b. Based on the control signal output to 472, conditions occurring in the vehicle, particularly vehicle behavior regarding the start and end of work driving, are recorded. At that time, each vehicle behavior is recorded along with the own vehicle position acquired when the vehicle behavior occurred.

도 49에는,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간략화된 포장에서의 주행에 있어서, 차량 거동 기록부(483)에 의해 시계열로 기록된 차량 거동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차량 거동 기록부(483)의 기록 항목에는, 기록 NO, 거동 시각, 자차 위치, 거동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거동 시각은, 거동 시각 차량 거동이 검출된 시각(타임 스탬프)이다. 자차 위치는 차량 거동이 검출되었을 때의 자차 위치이다. 거동 내용은, 검출된 차량 거동을 식별하는 것이며, 여기서는, 주행 모드 전환 조작구(465)의 조작 내용(A는 A 버튼의 조작, B는 B 버튼의 조작을 의미함), 모 식부 장치(W)나 플로트(425) 위치, 식부 클러치(작업 클러치)의 상태, 조타의 상태(직진으로부터 선회로의 조타, 또는 선회로부터 직진으로의 조타)가 기록되어 있다. 또한, 도 49에서는, 각 차량 거동의 자차 위치는 동일하게 되어 있지만, 모 식부 장치(W)의 승강 타이밍이나 선회 주행의 조타 타이밍 등은 상이하기 때문에 자차 위치는 상이하지만, 여기서는, 기록되는 자차 위치는, 특정한 차량의 기준 위치로 치환하는 보정을 행하여 기록되어 있다.Figure 49 shows an example of vehicle behavior recorded in time series by the vehicle behavior recording unit 483 during driving on a simplified pavement as shown in Figure 43. In this example, the record items in the vehicle behavior recording unit 483 include record NO, behavior time, own vehicle location, and behavior content. The behavior time is the time (time stamp) at which the behavior of the vehicle was detected. The own vehicle location is the location of the own vehicle when vehicle movement is detected. The behavior content identifies the detected vehicle behavior, and here, the operation content of the driving mode switching operation tool 465 (A refers to the operation of the A button, B refers to the operation of the B button), and the model device (W ), the position of the float 425, the state of the planting clutch (working clutch), and the state of steering (steering from straight to turning, or steering from turning to straight) are recorded. In addition, in Figure 49, the own vehicle position for each vehicle behavior is the same, but the raising and lowering timing of the mother planting device W and the steering timing for turning travel are different, so the own vehicle position is different. Here, the recorded own vehicle position is recorded by performing correction to replace it with the reference position of a specific vehicle.

도 43 및 도 49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차량 거동 기록부(483)의 기록으로부터, 주행 기체(C) 및 작업 장치인 모 식부 장치(W)의 각종 상태, 특히 작업 개시 및 작업 종료를 판독할 수 있다. 이 이앙기에 의한 모 식부 작업의 최초의 프로세스로서, 차량은 두렁으로부터 두렁가 영역으로 들어가고, 두렁가 영역을 나오는 타이밍에, 기록 NO 「0001」이 기록된다. 기록 NO 「0001」의 내용은, 도 43의 지점 A1의 기록이며, 그때의 거동 시각, 자차 위치, 거동 내용이 포함된다. 거동 내용으로서, 주행 조작 모드가 「A」, 모 식부 장치 위치가 「하강 위치」, 플로트 위치가 「접지」, 클러치 상태가 「연결」로 되어 있다. 실제로는, 이들 거동 내용이 검출되는 타이밍은 미묘하게 상이하지만, 여기서는, 동일한 타이밍으로 되어 있다. 즉, 기록 NO 「0001」이 기록된 타이밍에, 운전자에 의해, 주행 모드 전환 조작구(465)의 A 버튼이 눌림과 함께, 작업 주행하기 위한 설정이 행해진 것이 된다.As can be understood from FIGS. 43 and 49, various states of the traveling body C and the model machine W as a working device, especially the start and end of work, can be read from the records of the vehicle behavior recording unit 483. You can. As the first process of the seedling work by this rice transplanter, record NO "0001" is recorded at the timing when the vehicle enters the ridge area from the ridge and exits the ridge area. The content of record NO "0001" is the record of point A1 in FIG. 43, and includes the time of the action at that time, the position of the own vehicle, and the content of the action. As for the behavior content, the travel operation mode is set to “A”, the mother planting device position is set to “lower position”, the float position is set to “ground”, and the clutch state is set to “connected”. In reality, the timing at which these behavior contents are detected is slightly different, but here, the timing is the same. That is, at the timing when record NO "0001" was recorded, the driver pressed the A button of the driving mode switching operation tool 465, and settings for working driving were made.

이후, 직선상의 작업 주행을 행하여, 두렁가 영역에 도달한 타이밍에, 기록 NO 「0002」가 기록된다. 기록 NO 「0002」의 내용은, 도 43의 지점 B1의 기록이며, 그때의 거동 시각, 자차 위치, 거동 내용이 포함된다. 거동 내용으로서, 주행 조작 모드가 「B」, 모 식부 장치 위치가 「상승 위치」, 플로트 위치가 「이탈」, 클러치 상태가 「해제」, 조타가 「직진으로부터 선회」로 되어 있다. 즉, 기록 NO 「0002」가 기록된 타이밍에, 운전자에 의해, 주행 모드 전환 조작구(465)의 B 버튼이 눌림과 함께, 방향 전환 주행하기 위한 설정이 행해진 것이 된다. 이러한 주행 모드 전환 조작구(465)의 A 버튼과 B 버튼의 조작으로, 지점 A1과 지점 B1의 위치가 기록된다. 이 지점 A1과 지점 B1을 연결하는 선은, 이후의 작업 주행의 주행 경로를 추정하기 위한 기준 작업 주행 경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지점 A1과 지점 B1 이외에는, 주행 모드 전환 조작구(465)의 조작은 불필요해진다.Afterwards, the work travels in a straight line, and at the timing when the ridge area is reached, record NO "0002" is recorded. The contents of record NO "0002" are records of point B1 in FIG. 43, and include the time of movement at that time, the position of the own vehicle, and the contents of the movement. As for the behavior content, the travel operation mode is "B", the mother planting device position is "elevated position", the float position is "disengaged", the clutch state is "released", and the steering is "turning from straight ahead". In other words, at the timing when record NO "0002" was recorded, the driver pressed the B button of the driving mode switching operation tool 465, and settings for changing direction and driving were made. By operating the A and B buttons of the driving mode switching operation tool 465, the positions of point A1 and point B1 are recorded. The line connecting this point A1 and point B1 can be used as a reference work travel path for estimating the travel path of subsequent work travel. Therefore, other than points A1 and B1, operation of the travel mode switching operation tool 465 becomes unnecessary.

두렁가 영역에서의 방향 전환 주행을 종료하고, 두렁가 영역을 나와, 작업 주행을 행하는 타이밍에, 기록 NO 「0003」이 기록된다. 기록 NO 「0003」의 내용은, 도 43의 지점 A2의 기록이며, 그때의 거동 시각, 자차 위치, 거동 내용이 포함된다. 또한, 지점 A2의 위치는, 두렁가 추정부(810)에 의해, 포장이 도 43과 같은 포장이면, 왕복 작업 주행 간격을 사용하여, 지점 B1로부터 추정된다. 따라서, 이 추정된 지점 B1에, 측위 유닛(461)으로부터 취득되는 자차 위치가 접근하였을 때에, 또는 일치하였을 때에 작업 주행의 설정을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다. 혹은, 차량이 지점 B1에 접근하고 있는 것을 통지하여, 작업 주행의 설정을 운전자에게 촉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지점 B2의 위치도, 지점 A1로부터 추정된다. 따라서, 이 추정된 지점 B2에, 측위 유닛(461)으로부터 취득되는 자차 위치가 접근하였을 때에, 또는 일치하였을 때에 방향 전환 주행의 설정을 자동으로 행할 수 있다. 혹은, 차량이 지점 B2에 접근하고 있는 것을 통지하여, 방향 전환 주행의 설정을 운전자에게 촉구할 수 있다.Record NO "0003" is recorded at the timing of ending the direction change run in the edge area, exiting the edge area, and performing the work drive. The content of record NO "0003" is the record of point A2 in FIG. 43, and includes the time of the action at that time, the position of the own vehicle, and the content of the action. Additionally, the position of point A2 is estimated by the edge estimation unit 810 from point B1 using the round-trip work travel interval if the pavement is as shown in FIG. 43 . Accordingly, the work driving can be set automatically when the own vehicle position acquired from the positioning unit 461 approaches or coincides with this estimated point B1. Alternatively, it is possible to notify that the vehicle is approaching point B1 and to prompt the driver to set a work run. Similarly, the position of point B2 is also estimated from point A1. Therefore, when the host vehicle position acquired from the positioning unit 461 approaches or coincides with this estimated point B2, the direction change driving can be set automatically. Alternatively, it is possible to notify that the vehicle is approaching point B2 and urge the driver to set direction change driving.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두렁가 영역에 도달한 타이밍이나 두렁가 영역으로부터 나오는 타이밍은, 모 식부 장치(W)나 플로트(425)의 위치 변경, 작업 클러치의 전환 조작, 조타각 변화로부터 판정할 수 있으므로, 두렁가 영역의 경계를 인식시키는 티칭 조작구로서의 주행 모드 전환 조작구(465)는 필수는 아니다. 두렁가 영역의 경계는, 상술한 차량 거동 중 하나 또는 조합에 의해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 개시 시에는 포장 표면으로 하강하고, 작업 종료 시에는 포장 표면으로부터 상승한다고 하는 모 식부 장치(W)의 특성을 이용하는 경우, 모 식부 장치(W)의 상승 자세로부터 하강 자세로의 하강 동작을 나타내는 상태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의 두렁가 영역으로부터 작업 영역(비두렁가 영역)으로의 이행점을 판정하고, 모 식부 장치(W)의 하강 자세로부터 상승 자세로의 상승 동작을 나타내는 상태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의 작업 영역(비두렁가 영역)으로부터 두렁가 영역으로의 이행점을 판정할 수 있다.From the above description, the timing of reaching the ridge area or the timing of exiting from the ridge area can be determined from the change in position of the parent device W or the float 425,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work clutch, and the change in steering angle, The driving mode switching operation tool 465 as a teaching operation tool that recognizes the boundary of the area is not essential. The boundary of the edge area can be determined by one or a combination of the vehicle behavior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when using the characteristic of the model planting device W that it descends to the pavement surface at the start of work and rises from the pavement surface at the end of work, the pattern device W changes from an upward posture to a downward posture. Based on the status signal indicating the lowering operation, the transition point from the ridge area of the vehicle to the work area (non-ridge area) is determined, and the status signal indicating the upward movement of the model device W from the lowering attitude to the raising attitude. Based on this, the transition point from the vehicle's work area (non-head area) to the head area can be determined.

제어 장치(408)에는, 두렁가 영역으로의 차량의 도달에 관한 두렁가 검지 모듈(481)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다양한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각종 지령을 출력하는 알고리즘이 탑재 가능하다. 이하에 그 일부를 열거한다.The control device 408 can be equipped with an algorithm that outputs various commands to execute various operations based on the decision result of the edge detection module 481 regarding the arrival of the vehicle into the edge area. Some of them are listed below.

(1) 기록된 차량 거동이 실행될 예정인 지점에 도달해도, 당해 차량 거동이 실행되지 않는 경우, 차량의 감속, 엔진 정지 등을 행한다.(1) Even if the recorded vehicle behavior reaches the point where it is scheduled to be executed, if the vehicle behavior is not executed, the vehicle is slowed down, the engine is stopped, etc.

(2) 포장에서의 주행에 있어서, 기록해야 할 각 차량 거동이 발생하는 위치나 시간은, 특정 범위에 한정할 수 있다. 이것으로부터, 특정 범위 밖에서의, 차량 거동은 기록 대상 외로 함으로써, 기록 정밀도가 향상된다.(2) When driving on pavement, the location or time at which each vehicle behavior to be recorded occurs can be limited to a specific range. From this, vehicle behavior outside a specific range is not subject to recording, thereby improving recording accuracy.

(3) 차량이 두렁가 영역으로 들어간 것이 검지되면, 자동 조타는 금지된다.(3) If the vehicle is detected to have entered the edge area, automatic steering is prohibited.

(4) 차량이 두렁가 영역에 있어서의 조타각, 선회 반경 등의 조타 거동이, 방향 전환 주행의 것과 상이한 경우, 차량 거동 기록부(483)에의 기록은 정지된다. 예를 들어, 선회 반경이 큰 경우, 방향 전환 주행이 아니라, 포장으로부터의 이탈 주행 등, 통상의 작업 주행이 아닌 주행으로 간주된다.(4) If the steering behavior of the vehicle, such as the steering angle and turning radius, in the rim area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turning drive, recording in the vehicle behavior recording unit 483 is stopped. For example, when the turning radius is large, it is not considered a change of direction, but rather a run that is not a normal work run, such as a run away from the pavement.

(5) 특정 차량 거동의 발생 시에, 당해 차량 거동에 부적절한 차속이 검출되어 있는 경우, 차량을 강제 정지한다.(5) When a specific vehicle behavior occurs and a vehicle speed inappropriate for the vehicle behavior is detected, the vehicle is forced to stop.

주행 거리 산정부(486)는, 후방 차륜(411)의 회전수 또는 후방 차륜(411)에의 전동계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센서(차량 상태 검출 센서군(409)중 하나)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주행 기체(C)의 주행 거리를 산정한다. 그때, 포장의 상태로부터 추정되는 슬립률을 고려하면, 더 정확하게 주행 거리를 산정할 수 있다. 위성으로부터의 전파 신호에 기초하여 자차 위치를 산정하는 측위 유닛(461)의 경우, 무언가의 사정에 의해 전파 신호의 수신 감도가 저하되면, 측위 데이터를 출력할 수 없게 된다. 그 리커버리로서 이 주행 거리 산정부(486)가 이용된다. 예를 들어, 두렁가 검지 모듈(481)은, 측위 유닛(461)으로부터의 측위 데이터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주행 거리 산정부에 의해 산정된 주행 거리에 기초하여, 주행 기체(C)가 두렁가 영역에 도달한 것을 검지할 수 있다.The traveling distance calculation unit 486 receives a detection signal from a sensor (one of the vehicle condition detection sensor group 409) that detects the rotation speed of the rear wheel 411 or the rotation speed of the transmission system to the rear wheel 411. Based on this, the traveling distance of the traveling body C is calculated. At that time, considering the slip rate estimated from the state of the pavement, the driving distance can be calculated more accurately. In the case of the positioning unit 461 that calculates the position of the vehicle based on radio signals from satellites, if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radio signals decreases due to some circumstances, positioning data cannot be output. This driving distance calculation unit 486 is used as the recovery. For example, when the positioning data from the positioning unit 461 is not input, the edge detection module 481 determines whether the traveling vehicle C is in the edge area based on the driving distance calculated by the driving distance calculation unit. It can be detected that it has reached .

자세 판정부(487)는, 주행 기체(C)의 경사각(롤링각 및 피칭각)을 검출하는 경사 센서(차량 상태 검출 센서군(409) 중 하나)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주행 기체의 자세를, 소정의 경사 역치와 비교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자세 판정부(487)는, 주행 기체의 자세가 소정 조건으로부터 벗어난 경우에, 차량 주행 기기군(471) 중 하나인 제동 기기에 대해 주행 기체를 감속 또는 정지시키는 제동 지령을 부여한다.The attitude determination unit 487 determines the attitude of the traveling body C based on a detection signal from an inclination sensor (one of the vehicle state detection sensor groups 409) that detects the inclination angle (rolling angle and pitching angle) of the traveling body C. is compared with a predetermined slope threshold. In this embodiment, when the attitude of the traveling machine deviates from a predetermined condition, the attitude determination unit 487 issues a braking command to decelerate or stop the traveling machine to a braking device that is one of the vehicle traveling device group 471. do.

자세 판정부(487)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는 구체적인 제어 동작을 이하에 열거한다.Specific control operations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posture determination unit 487 are listed below.

(1) 검출된 경사각이 경사 역치를 초과하면, 통지, 감속, 정지를 실행한다.(1) If the detected tilt angle exceeds the tilt threshold, notification, deceleration, and stop are performed.

(2) 검출된 경사각이 빈번하게 경사 역치를 초과한 경우, 자동 조타를 금지한다.(2) If the detected inclination angle frequently exceeds the inclination threshold, automatic steering is prohibited.

(3) 검출된 경사각의 경사 역치 초과가 허용 시간 계속된 경우에, 통지, 감속, 정지를 실행한다. 이 허용 시간은, 차속이나 포장 깊이에 의존하여 결정된다. 또한, 포장 깊이가 소정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차체의 빠짐을 피하기 위해 완전 정차를 금지한다.(3) If the detected inclination angle exceeds the inclination threshold for the allowable time, notification, deceleration, and stopping are performed. This allowable time is determined depending on vehicle speed and pavement depth. Additionally, if the pavement depth exceeds a predetermined value, complete stopping is prohibited to avoid the vehicle body falling off.

(4) 경사의 가속도 변화를 산정하여, 급격한 경사 변동 시에는, 경사 역치 이하라도 자동 조타는 금지한다.(4) Calculate the change in slope acceleration, and in case of sudden change in slope, automatic steering is prohibited even if it is below the slope threshold.

〔제5 실시 형태의 다른 실시 형태〕[Other embodiments of the fifth embodiment]

(1)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방향 회전 주행을 행하는 두렁가 영역과, 작업 주행을 행하는 비두렁가 영역의 경계점인 지점 A1과 지점 B1은, 주행 모드 전환 조작구의 A 버튼과 B 버튼의 조작, 그 후의 지점 A2, A3…과 지점 B2, B3···은, 지점 A1과 지점 B1로부터 추정되고, 차량 거동에 기초하여 확정되었다. 제어를 간단하게 하기 위해, 차량 거동은 이용하지 않고, 지점 A2, A3…과 지점 B2, B3···은, 지점 A1과 지점 B1로부터 추정되고, 그 추정된 위치와 상이한 위치를 정식의 지점으로 하는 경우에는, 다시 주행 모드 전환 조작구의 A 버튼 또는 B 버튼을 조작하여, 당해 지점을 결정해도 된다.(1)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points A1 and B1, which are the boundary points between the ridge area where direction turning travel is performed and the non-ridge area where work travel is performed, are the operation of the A button and the B button of the travel mode switching operation tool, and the subsequent operation of the A button and B button. Points A2, A3… and points B2 and B3... were estimated from points A1 and B1 and confirmed based on vehicle behavior. To simplify control, vehicle behavior is not used, and points A2, A3... and points B2 and B3 are estimated from point A1 and point B1, and when a position different from the estimated position is set as the official point, operate the A or B button of the driving mode switch control again, You may decide on the relevant point.

(2) 도 48에 도시된 기능 블록도에 있어서의 각 기능부는, 주로 설명 목적으로 구분되어 있다. 실제로는, 도 48의 각 기능부는 다른 기능부와 통합 또는 복수의 기능부로 나눌 수 있다. 독립된 기능부끼리는, 차량 탑재 LAN 등으로 접속된다.(2) Each functional unit in the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n in FIG. 48 is divided mainly for explanation purposes. In reality, each functional unit in Figure 48 may be integrated with other functional units or divided into a plurality of functional units. Independent functional uni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vehicle-mounted LAN, etc.

(3) 차량 거동 기록부(483)에 기록하는 차량 거동은, 이앙기에서는, 상술한 것 이외에, 마커의 자세 등을 도입해도 된다. 그 이외에도, 두렁가 영역과 비두렁가 영역의 경계에서 행해지는 차량 거동은 차량 거동 기록부(483)에 기록해야 하는 차량 거동의 대상이 된다.(3) As for the vehicle behavior recorded in the vehicle behavior recording unit 483, in the rice transplanter, the posture of the marker, etc.,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may be introduced. In addition, vehicle behavior perform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Duranga area and the non-Durunga area is subject to vehicle behavior that must be recorded in the vehicle behavior recorder 483.

(4) 본 발명은, 작업 장치로서 모 식부 장치를 구비하는 상기 승용형 이앙기 이외에도, 예를 들어 작업 장치로서 파종 장치를 구비하는 식파계 수전 작업차인 승용형 직파기, 작업 장치로서 플라우 등을 구비하는 트랙터, 혹은 작업 장치로서 예취부 등을 구비하는 콤바인 등의 농작업차, 또는 작업 장치로서 버킷 등을 구비하는 건설 작업차 등의 다양한 작업차에 적용할 수 있다.(4)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riding-type rice transplanter equipped with a mother planting device as a working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for example, a riding-type direct seeding machine that is a planting and seeding machine work vehicle equipped with a seeding device as a working device, and a plow as a working device.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work vehicles, such as a tractor, an agricultural work vehicle such as a combine equipped with a reaping unit, etc. as a work device, or a construction work vehicle provided with a bucket, etc. as a work device.

〔제1 실시 형태〕
28 : 통상 예비 모 적재대(예비 모 적재대)
29 : 레일식 예비 모 적재대(예비 모 적재대)
30 : 예비 모 프레임
31 : 연결 프레임
62 : 주 관성 계측 장치(관성 계측 장치)
63 : 수신 장치
66 : 하니스
67 : 커넥터부
68 : 가드 부재
72 : 후방 차축
73 : 후방 차축 프레임(설치 부재)
81 : 생성부
83 : 제어부
A : 주행 장치
C : 주행 기체
U : 조향 유닛
W : 모 식부 장치(작업 장치)
S1 : 사용 상태
S2 : 격납 상태
LM : 목표 라인
X : 좌우 축심
〔제2 실시 형태〕
111 : 운전부
111a : 승강구
120 : 모 식부 장치
130 : 난간
131 : 상단부
131a : 고정부
131b : 가동부
131f : 전단 측부
150 : 예비 모 수용 장치
151 : 예비 모 적재대
152 : 예비 모 적재대
153 : 예비 모 적재대
153b : 예비 모 적재대 본체
153c : 연장 적재대
153r : 후단 측부
200 : 빈 공간
〔제3 실시 형태〕
243 : 수동 조향 조작구(조향 핸들)
258 : 조향 조작 수단(조향 모터)
261 : 수동 조작 검출 수단(토크 센서)
264 : 위치 검출 수단(위치 계측 유닛)
266 : 방위 검출 수단(관성 계측 유닛)
268 : 경로 설정 수단(경로 설정부)
269 : 제어 수단(조향 제어부)
270 : 차속 검출 수단(차속 센서)
300 : 주행 차체
KA : 경사 목표 방위
LK : 목표 이동 경로
NA : 검출 방위(자기 방위)
NM : 검출 위치(자기 위치)
TD : 목표 방위(티칭 방위)
Z1 : 기작업 영역
Z2 : 미작업 영역
α : 경사각(설정 경사각)
[제4 실시 형태]
344 : 주 변속 레버(변속 조작구)
350 : 자동 조향 스위치(전환 스위치)
352 : 지시 버튼(지시 스위치)
359 : 변위 스위치
359A : 우측 변위 스위치
359B : 좌측 변위 스위치
376 : 정보 기억부(기록부)
381 : 시점 설정부
385 : 조작 캔슬부
C : 주행 기체
KL : 기준 주행 라인
S0 : 설정 주행 라인의 시점
SL : 설정 주행 라인
SB : 소정 폭
[제5 실시 형태]
407 : 통지 디바이스
408 : 제어 장치
408a : 입력 신호 처리부
408b : 출력 신호 처리부
409 : 차량 상태 검출 센서군
425 : 플로트
426 : 모 적재대
443 : 조향 핸들
444 : 주 변속 레버
445 : 조작 레버
461 : 측위 유닛
465 : 주행 모드 전환 조작구
466 : 조타 모드 전환 조작구
471 : 차량 주행 기기군
472 : 작업 장치 기기군
481 : 두렁가 검지 모듈
482 : 자동 조타부
483 : 차량 거동 기록부
484 : 조타 모드 관리부
485 : 주행 경로 산정부
486 : 주행 거리 산정부
487 : 자세 판정부
490 : 접촉 검출기
810 : 두렁가 추정부
U1 : 조타 유닛
W : 모 식부 장치(포장 작업 장치)
[First Embodiment]
28: Normal spare mother loading stand (spare mother loading stand)
29: Rail-type spare mother loading stand (spare mother loading stand)
30: spare mother frame
31: connection frame
62: Main inertial measurement device (inertial measurement device)
63: Receiving device
66: Harness
67: connector part
68: Absence of guard
72: rear axle
73: Rear axle frame (installation member)
81: creation unit
83: control unit
A: Traveling device
C: Running body
U: Steering unit
W: Mother planting device (working device)
S1: Used status
S2: Containment state
LM: target line
X: left and right axis
[Second Embodiment]
111: driving department
111a: hatch
120: mother planting device
130: railing
131: upper part
131a: fixing part
131b: moving part
131f: Shear side
150: Spare hair receiving device
151: Spare seedbed loading stand
152: Spare seedbed loading stand
153: Spare seedbed loading stand
153b: Spare mother loading stand main body
153c: Extension loading stand
153r: Rear end side
200: empty space
[Third Embodiment]
243: Manual steering operation tool (steering handle)
258: Steering operation means (steering motor)
261: Manual operation detection means (torque sensor)
264: Position detection means (position measurement unit)
266: Orientation detection means (inertial measurement unit)
268: Route setting means (route setting unit)
269: Control means (steering control unit)
270: Vehicle speed detection means (vehicle speed sensor)
300: Driving body
KA: Inclined target bearing
LK: Target movement path
NA: Detection direction (magnetic direction)
NM: Detection position (self-position)
TD: Target bearing (teaching bearing)
Z1: Basic work area
Z2: Unworked area
α: Inclination angle (set inclination angle)
[Fourth Embodiment]
344: Main shift lever (shift operation tool)
350: Automatic steering switch (conversion switch)
352: Instruction button (instruction switch)
359: displacement switch
359A: Right displacement switch
359B: Left displacement switch
376: Information storage (recording book)
381: viewpoint setting unit
385: operation cancellation unit
C: Running body
KL: reference running line
S0: Starting point of the set driving line
SL: Set running line
SB: specified width
[Fifth Embodiment]
407: Notification device
408: control device
408a: input signal processing unit
408b: Output signal processing unit
409: Vehicle status detection sensor group
425: float
426: Mo loading stand
443: steering handle
444: Main shift lever
445: operating lever
461: Positioning unit
465: Driving mode switching operation tool
466: Steering mode conversion control tool
471: Vehicle driving device group
472: Working device device group
481: Durunga detection module
482: automatic steering unit
483: Vehicle behavior record book
484: Steering mode management unit
485: Driving route calculation unit
486: Driving distance calculation unit
487: Posture determination unit
490: Contact detector
810: Durunga Estimation Department
U1: Steering unit
W: Model planting device (pavement work device)

Claims (9)

수동 조타에 의한 수동 주행과, 기준 주행 라인과 평행으로 설정되는 설정 주행 라인을 따라 자동 조타에 의해 주행하는 자동 주행을 전환 가능한 주행 기체와,
상기 수동 주행과 상기 자동 주행을 전환 가능한 전환 스위치와,
상기 전환 스위치에 의해 상기 수동 주행으로부터 상기 자동 주행으로의 전환을 행한 시점에 있어서의 상기 주행 기체의 평면 위치를, 상기 설정 주행 라인의 시점으로서 설정하는 시점 설정부를 구비하고 있는, 농작업기.
A traveling machine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manual traveling by manual steering and automatic traveling by automatic steering along a set traveling line set parallel to the reference traveling line,
A changeover switch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the manual driving and the automatic driving,
An agricultural machine comprising a starting point setting unit that sets the plane position of the traveling machine at the time of switching from the manual running to the automatic running by the changeover switch as a starting point of the set running l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스위치는, 상기 주행 기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요동 조작하는 변속 조작구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전환 스위치의 조작 방향은, 상기 주행 기체의 좌우 방향을 따라 설정되어 있는, 농작업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agricultural implement wherein the changeover switch is installed on a shift operation tool that swings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traveling body, and the operating direction of the changeover switch is set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traveling body.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주행 라인을 평행하게 변위시키는 변위 스위치를 구비하고 있는, 농작업기.
According to claim 1 or 2,
An agricultural machine provided with a displacement switch that displaces the set travel line in paralle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스위치는, 상기 기준 주행 라인을 설정할 때의 상기 수동 주행에 있어서, 상기 주행 기체의 평면 위치를 기록부에 입력 가능한 지시 스위치와 겸용인, 농작업기.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displacement switch serves as an indication switch capable of inputting the plane position of the traveling machine into a recording unit during the manual traveling when setting the reference traveling lin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스위치는, 상기 설정 주행 라인을, 우측으로 변위시키는 우측 변위용 변위 스위치와, 상기 설정 주행 라인을 좌측으로 변위시키는 좌측 변위용 변위 스위치를, 상이한 위치에 구비하고 있는, 농작업기.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displacement switch is an agricultural implement provided with a displacement switch for right displacement that displaces the set travel line to the right and a displacement switch for left displacement that displaces the set travel line to the left at different position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변위용 변위 스위치는, 상기 좌측 변위용 변위 스위치보다 상기 주행 기체의 전방에 대한 우측에 구비되어 있는, 농작업기.
According to clause 5,
The agricultural implement, wherein the displacement switch for right displacement is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front of the traveling body rather than the displacement switch for left displacemen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스위치에의 조작 중, 초기의 소정 횟수의 조작을, 상기 설정 주행 라인의 변위 제어에 반영시키지 않는 조작 캔슬부를 구비하고 있는, 농작업기.
According to paragraph 3,
An agricultural implement comprising an operation canceling unit that does not reflect an initial predetermined number of operations in the displacement control of the set travel line during operations on the displacement switch.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스위치를 조작하면, 상기 변위 스위치의 조작으로부터 설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변위 스위치의 조작을, 상기 설정 주행 라인의 변위 제어에 반영시키지 않는 조작 캔슬부를 구비하고 있는, 농작업기.
According to paragraph 3,
An agricultural implement comprising an operation cancellation unit that, when the displacement switch is operated, does not reflect the operation of the displacement switch in the displacement control of the set travel line until a set time has elapsed from the operation of the displacement switch.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스위치를 조작하면, 변위 후의 상기 설정 주행 라인을 중심으로 하여 설정되는 소정 폭의 오차 영역에, 상기 주행 기체가 도달할 때까지, 상기 변위 스위치의 조작을, 상기 설정 주행 라인의 변위 제어에 반영시키지 않는 조작 캔슬부를 구비하고 있는, 농작업기.
According to paragraph 3,
When the displacement switch is operated, the operation of the displacement switch is performed to control the displacement of the set travel line until the traveling body reaches an error area of a predetermined width set around the set travel line after displacement. Agricultural equipment equipped with an operation cancellation unit that does not reflect the operation.
KR1020247013134A 2015-12-25 2016-06-16 Work vehicle KR20240056784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254613A JP6576237B2 (en) 2015-12-25 2015-12-25 Work vehicle
JPJP-P-2015-254613 2015-12-25
JPJP-P-2016-002832 2016-01-08
JP2016002832A JP6552419B2 (en) 2016-01-08 2016-01-08 Passenger model rice transplanter
JPJP-P-2016-004590 2016-01-13
JPJP-P-2016-004591 2016-01-13
JP2016004590A JP6643091B2 (en) 2016-01-13 2016-01-13 Farm work machine
JP2016004591A JP6552420B2 (en) 2016-01-13 2016-01-13 Work vehicle
JPJP-P-2016-006431 2016-01-15
JP2016006431A JP6643094B2 (en) 2016-01-15 2016-01-15 Field work vehicle
PCT/JP2016/067995 WO2017110116A1 (en) 2015-12-25 2016-06-16 Work vehicle
KR1020187012520A KR102660752B1 (en) 2015-12-25 2016-06-16 work truck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2520A Division KR102660752B1 (en) 2015-12-25 2016-06-16 work truc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6784A true KR20240056784A (en) 2024-04-30

Family

ID=59091134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13104A KR20240056781A (en) 2015-12-25 2016-06-16 Work vehicle
KR1020247013131A KR20240056783A (en) 2015-12-25 2016-06-16 Work vehicle
KR1020247013135A KR20240056785A (en) 2015-12-25 2016-06-16 Work vehicle
KR1020247013134A KR20240056784A (en) 2015-12-25 2016-06-16 Work vehicle
KR1020187012520A KR102660752B1 (en) 2015-12-25 2016-06-16 work truck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13104A KR20240056781A (en) 2015-12-25 2016-06-16 Work vehicle
KR1020247013131A KR20240056783A (en) 2015-12-25 2016-06-16 Work vehicle
KR1020247013135A KR20240056785A (en) 2015-12-25 2016-06-16 Work vehicle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2520A KR102660752B1 (en) 2015-12-25 2016-06-16 work truck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5) KR20240056781A (en)
CN (3) CN116034683A (en)
WO (1) WO2017110116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10269B2 (en) * 2017-10-26 2021-07-28 株式会社クボタ Traveling work machine
EP3729936B1 (en) * 2017-12-18 2024-01-10 Kubota Corporation Work vehicle and tractor
JP6917883B2 (en) * 2017-12-25 2021-08-11 株式会社クボタ Field work machine
CN111448120B (en) * 2018-01-23 2023-07-07 株式会社久保田 Work vehicle
JP2019201612A (en) * 2018-05-25 2019-11-28 株式会社クボタ Work vehicle
JP7089965B2 (en) * 2018-07-11 2022-06-23 株式会社クボタ Work vehicle
JP7039406B2 (en) 2018-07-11 2022-03-22 株式会社クボタ Work vehicle
US10753752B2 (en) * 2018-07-26 2020-08-25 Trimble Inc. Vehicle manual guidance systems with steering wheel angle sensors and road wheel angle sensors
CN109463084A (en) * 2018-11-07 2019-03-15 深圳春沐源控股有限公司 Setting machine and its control method
CN109496508B (en) * 2018-12-03 2021-08-31 潍坊宏图环保设备有限公司 High-efficiency pneumatic interpolation structure of new energy rice transplanter
JP7011225B2 (en) * 2018-12-04 2022-01-26 井関農機株式会社 Seedling transplanter
JP2020099222A (en) 2018-12-20 2020-07-02 株式会社クボタ Mobile vehicle
JP7236887B2 (en) * 2019-03-14 2023-03-10 ヤンマーパワ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Route generation system
JP7203654B2 (en) * 2019-03-25 2023-01-13 ヤンマーパワ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automatic driving system
JP2021007385A (en) * 2019-06-28 2021-01-28 株式会社クボタ Farm implement
JP7358163B2 (en) * 2019-09-30 2023-10-10 株式会社小松製作所 Control system, work vehicle control method, and work vehicle
CN110837252B (en) * 2019-10-23 2022-12-16 江苏大学 Full-path planning and breakpoint endurance method for unmanned rice transplanter
JP7376314B2 (en) * 2019-10-29 2023-11-08 三菱マヒンドラ農機株式会社 work vehicle
CN110683302A (en) * 2019-11-03 2020-01-14 黑龙江八一农垦大学 Intelligent rail type rice seedling transportation system
KR102125370B1 (en) 2019-11-20 2020-06-22 (주)지금강이엔지 Hydraulic control appratus of line marker for a seeder
JP7373408B2 (en) * 2020-01-10 2023-11-02 三菱マヒンドラ農機株式会社 work vehicle
JP2022011846A (en) * 2020-06-30 2022-01-17 株式会社クボタ Harvester and automatic travel method of harvester
CN115361861A (en) * 2020-06-30 2022-11-18 株式会社久保田 Harvester, automatic travel method of harvester, program, recording medium, system, agricultural machine, automatic travel method of agricultural machine, method, and automatic steering management system
FR3119508B1 (en) * 2021-02-05 2023-12-29 Kuhn S A S Process for controlled sowing of an agricultural plot and system for its implementation
US11543246B1 (en) 2021-09-29 2023-01-03 Zimeno, Inc. Rear axle center locating
JP2024062709A (en) * 2022-10-25 2024-05-10 株式会社小松製作所 Work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work machin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1112A (en) 1999-12-10 2001-06-19 Bio Oriented Technol Res Advancement Inst Steering controller for farm working machine
US7346452B2 (en) 2003-09-05 2008-03-18 Novatel, Inc. Inertial GPS navigation system using injected alignment data for the inertial system
JP2008092818A (en) 2006-10-06 2008-04-24 Yanmar Co Ltd Agricultural work vehicle
JP2009245002A (en) 2008-03-28 2009-10-22 Kubota Corp Travel controller for working vehicle
JP2013074841A (en) 2011-09-30 2013-04-25 Kubota Corp Reserve seedling placing structure of sulky rice transplanter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7717A (en) * 1995-10-24 1997-04-28 Kubota Corp Apparatus for controlling posture of working machine
JP3240116B2 (en) * 1996-06-24 2001-12-17 矢崎総業株式会社 Wire harness holding mechanism
JP4801252B2 (en) * 2000-12-19 2011-10-26 ヤンマー株式会社 Agricultural work vehicle
JP4088107B2 (en) * 2002-06-19 2008-05-21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Agricultural work vehicle
JP2005078415A (en) * 2003-09-01 2005-03-24 Fuji Heavy Ind Ltd Method, device, and computer program for generating travel path
JP4948098B2 (en) * 2006-09-12 2012-06-06 ヤンマー株式会社 Agricultural work vehicle
JP2008072933A (en) * 2006-09-20 2008-04-03 Kubota Corp Riding-type rice transplanter
JP4713610B2 (en) * 2008-03-31 2011-06-29 株式会社クボタ Work vehicle control device
JP2011062159A (en) * 2009-09-18 2011-03-31 Kubota Corp Reserve seedling holding structure of riding rice transplanter
JP5652000B2 (en) * 2010-05-28 2015-01-14 井関農機株式会社 Transplanter
CN104691615A (en) * 2013-12-06 2015-06-10 刘扬 Rice transplanter steering automatic control system
CN103749051A (en) * 2014-01-02 2014-04-30 常州亚美柯机械设备有限公司 Double-take type rice transplanter with auxiliary rice seedling storing and loading device
JP6358828B2 (en) * 2014-03-28 2018-07-18 株式会社クボタ Ride type rice transplanter
US20170135277A1 (en) * 2014-03-28 2017-05-18 Yanmar Co., Ltd. Autonomously traveling work vehicle
JP6274016B2 (en) * 2014-05-29 2018-02-07 井関農機株式会社 Spare seedling frame for seedling transplant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1112A (en) 1999-12-10 2001-06-19 Bio Oriented Technol Res Advancement Inst Steering controller for farm working machine
US7346452B2 (en) 2003-09-05 2008-03-18 Novatel, Inc. Inertial GPS navigation system using injected alignment data for the inertial system
JP2008092818A (en) 2006-10-06 2008-04-24 Yanmar Co Ltd Agricultural work vehicle
JP2009245002A (en) 2008-03-28 2009-10-22 Kubota Corp Travel controller for working vehicle
JP2013074841A (en) 2011-09-30 2013-04-25 Kubota Corp Reserve seedling placing structure of sulky rice transplan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289408B (en) 2021-09-24
KR102660752B1 (en) 2024-04-26
WO2017110116A1 (en) 2017-06-29
KR20240056785A (en) 2024-04-30
CN116034683A (en) 2023-05-02
CN113728771B (en) 2023-05-23
CN108289408A (en) 2018-07-17
KR20180098525A (en) 2018-09-04
KR20240056783A (en) 2024-04-30
KR20240056781A (en) 2024-04-30
CN113728771A (en) 2021-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0752B1 (en) work truck
JP6643094B2 (en) Field work vehicle
US8781685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automatic electrical steering with GNSS guidance
JP6576237B2 (en) Work vehicle
JP6394280B2 (en) Work vehicle
CN109863852B (en) Traveling working machine, rice transplanter, paddy field direct seeder, and spray working machine
JP2004008186A (en) Work vehicle for agriculture
JP7080101B2 (en) Work vehicle
JP6921935B2 (en) Field work vehicle
JP7006045B2 (en) Work vehicle
JP2019088259A (en) Work vehicle
JP2019097503A (en) Traveling working machine
CN108207153A (en) Working truck
JP6477812B2 (en) Work vehicle
JP6908513B2 (en) Field work machine
JP2019088272A (en) Work vehicle, and automatic straight-advancing travel supporting system of work vehicle
JP2019097504A (en) Travel implement
JP7469431B2 (en) Field work vehicle
JP6669225B2 (en) Seedling transplanter
JP7044477B2 (en) Automatic steering control device
JP6879156B2 (en) Work vehicle
JP7174495B2 (en) work vehicle
JP6669226B2 (en) Seedling transplanter
JP2024040428A (en) work vehicle
JP2018202929A (en) Automatic steering system for field work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