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6421A - 스크롤형 압축기 - Google Patents

스크롤형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6421A
KR20240056421A KR1020230136755A KR20230136755A KR20240056421A KR 20240056421 A KR20240056421 A KR 20240056421A KR 1020230136755 A KR1020230136755 A KR 1020230136755A KR 20230136755 A KR20230136755 A KR 20230136755A KR 20240056421 A KR20240056421 A KR 20240056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peripheral surface
outer peripheral
peripheral wall
rotatio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36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오리 야마모토
다쿠로 야마시타
겐 나미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ublication of KR20240056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64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15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where only one member is mo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46Details concerning the involute wraps or their base, e.g. geomet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46Details concerning the involute wraps or their base, e.g. geometry
    • F04C18/0269Details concerning the involute wraps
    • F04C18/0292Ports or channels located in the wra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08Hermetic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2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042Driving elements, brakes, coupling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pumps
    • F04C29/0085Prime m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12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10/00Fluid
    • F04C2210/26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10St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20R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30Casings or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40Electric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60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50/00Geometry
    • F04C2250/10Geometry of the inlet or outlet
    • F04C2250/101Geometry of the inlet or outlet of the in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4Heating; Cooling; Heat insulation
    • F04C29/045Heating; Cooling; Heat insulation of the electric motor in hermetic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 Rotary Pumps (AREA)

Abstract

스크롤형 압축기는, 유체를 압축시키는 압축실과, 모터실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는 외주 통로와, 외주 통로로부터 압축실에 유체를 흡입하는 흡입 통로를 갖고 있다. 압축실은, 고정 스크롤과 선회 스크롤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외주 통로는, 토출 하우징의 제 3 둘레벽과 고정 스크롤 (60) 의 고정 둘레벽 (63) 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흡입 통로는, 고정 둘레벽에 형성됨과 함께, 회전축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흡입 통로보다 전동 모터측에 위치하는 상류측 외주면을 갖는다. 회전축의 축선 (L) 에서 상류측 외주면까지의 거리는, 회전축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변화하고 있다.

Description

스크롤형 압축기{SCROLL COMPRESSOR}
본 개시는, 스크롤형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21-161947호의 스크롤형 압축기는, 회전축과, 전동 모터와, 하우징과, 고정 스크롤과, 선회 스크롤을 구비하고 있다. 전동 모터는, 회전축을 회전시킨다. 하우징은, 전동 모터를 수용하는 모터실을 갖고 있다. 고정 스크롤은, 하우징 내에 수용됨과 함께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 스크롤은, 고정단벽과, 고정단벽에서 선회 스크롤을 향하여 연장되는 통상 (筒狀) 의 둘레벽을 갖고 있다. 선회 스크롤은, 회전축의 회전에 수반하여 공전한다.
스크롤형 압축기는, 압축실과, 외주 통로와, 흡입 통로를 갖고 있다. 압축실은, 고정 스크롤과 선회 스크롤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압축실은, 유체를 압축시킨다. 외주 통로는, 하우징의 내주면과 고정 스크롤의 둘레벽의 외주면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외주 통로에는, 모터실로부터 유체가 유입된다. 흡입 통로는, 둘레벽에 형성되어 있다. 흡입 통로는, 외주 통로로부터 압축실에 유체를 흡입한다.
하우징의 내주면에서 고정 스크롤의 둘레벽의 외주면까지의 거리가 작은 경우, 즉 외주 통로가 좁은 경우, 유체는 외주 통로를 흐르기 어려워진다. 외주 통로를 넓히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다음의 2 개의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제 1 방법으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21-161947호와 같이, 하우징을 외주측으로 대형화하는 방법이다. 제 2 방법으로는, 고정 스크롤의 둘레벽의 두께를 작게 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제 1 방법에서는, 압축기가 대형화된다. 제 2 방법에서는, 고정 스크롤의 강도를 확보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의하면, 스크롤형 압축기가 제공된다. 스크롤형 압축기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전동 모터와, 상기 전동 모터를 수용하는 모터실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됨과 함께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 스크롤과,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수반하여 공전하는 선회 스크롤을 구비한다. 상기 고정 스크롤은, 고정단벽과, 상기 고정단벽에서 상기 선회 스크롤을 향하여 연장되는 통상의 둘레벽을 갖고 있다. 상기 스크롤형 압축기는, 추가로, 상기 고정 스크롤과 상기 선회 스크롤에 의해 구획되고, 유체를 압축시키는 압축실과,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과 상기 둘레벽의 외주면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모터실로부터 상기 유체가 유입되는 외주 통로와, 상기 둘레벽에 형성되고, 상기 외주 통로로부터 상기 압축실에 상기 유체를 흡입하는 흡입 통로를 갖고 있다. 상기 둘레벽의 외주면은, 상기 회전축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흡입 통로보다 상기 전동 모터측에 위치하는 상류측 외주면을 갖고 있다. 상기 회전축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회전축의 축선에서 상기 상류측 외주면까지의 거리는, 상기 회전축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변화하고 있다.
도 1 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크롤형 압축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토출 하우징 및 고정 스크롤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 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크롤형 압축기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크롤형 압축기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스크롤형 압축기를 구체화한 일 실시형태를 도 1 ∼ 도 4 에 따라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스크롤형 압축기는, 차량 공조 장치에 사용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크롤형 압축기 (10) 는, 하우징 (11) 과, 회전축 (12) 과, 전동 모터 (13) 와, 압축 기구 (14) 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 (11) 은, 회전축 (12), 전동 모터 (13), 및 압축 기구 (14) 를 수용하고 있다. 전동 모터 (13) 는, 회전축 (12) 을 회전시킨다. 압축 기구 (14) 는, 회전축 (12) 의 회전에 의해 구동된다.
<하우징>
하우징 (11) 은, 모터 하우징 (20) 과, 축 지지 하우징 (30) 과, 토출 하우징 (40) 을 갖고 있다. 하우징 (11) 은, 금속제이다. 본 실시형태의 하우징 (11) 은, 알루미늄제이다.
모터 하우징 (20) 은, 제 1 바닥벽 (21) 과, 제 1 바닥벽 (21) 의 외주부로부터 연장되는 통상의 제 1 둘레벽 (22) 을 갖는 바닥이 있는 통상이다. 모터 하우징 (20) 은, 원통상의 제 1 보스부 (23) 를 갖고 있다. 제 1 보스부 (23) 는, 제 1 바닥벽 (21) 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모터 하우징 (20) 은, 흡입구 (22a) 를 갖고 있다. 흡입구 (22a) 는, 제 1 둘레벽 (22) 에 있어서의 제 1 바닥벽 (21) 부근에 위치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흡입구 (22a) 는, 모터 하우징 (20) 의 내외를 연통시키고 있다. 모터 하우징 (20) 은, 복수의 암나사공 (22b) 을 갖고 있다. 도 1 에서는, 1 개의 암나사공 (22b) 만이 도시되어 있다. 각 암나사공 (22b) 은, 제 1 둘레벽 (22) 의 선단면에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암나사공 (22b) 은, 제 1 둘레벽 (22) 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축 지지 하우징 (30) 은, 제 2 바닥벽 (31) 과, 제 2 바닥벽 (31) 의 외주부로부터 연장되는 통상의 제 2 둘레벽 (32) 을 갖는 바닥이 있는 통상이다. 축 지지 하우징 (30) 은, 원공상의 축 삽입 통과공 (31a) 을 갖고 있다. 축 삽입 통과공 (31a) 은, 제 2 바닥벽 (31) 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축 삽입 통과공 (31a) 은, 제 2 바닥벽 (31) 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축 지지 하우징 (30) 은, 원환상의 플랜지부 (33) 를 갖고 있다. 플랜지부 (33) 는, 제 2 둘레벽 (32) 에 있어서의 제 2 바닥벽 (31) 과는 반대측의 단부로부터 제 2 둘레벽 (32) 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축 지지 하우징 (30) 은, 복수의 제 1 볼트 삽입 통과공 (33a) 과, 복수의 연통공 (34) 을 갖고 있다. 도 1 에서는, 1 개의 제 1 볼트 삽입 통과공 (33a) 및 1 개의 연통공 (34) 만이 도시되어 있다. 각 제 1 볼트 삽입 통과공 (33a) 및 각 연통공 (34) 은, 플랜지부 (33) 의 외주부에 형성되어 있다. 각 제 1 볼트 삽입 통과공 (33a) 및 각 연통공 (34) 은, 플랜지부 (33) 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복수의 제 1 볼트 삽입 통과공 (33a) 은, 플랜지부 (33) 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연통공 (34) 은, 플랜지부 (33) 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제 1 볼트 삽입 통과공 (33a) 과는 상이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축 지지 하우징 (30) 은, 복수의 핀 (35) 을 갖고 있다. 도 1 에서는, 1 개의 핀 (35) 만이 도시되어 있다. 핀 (35) 은, 플랜지부 (33) 로부터 제 2 바닥벽 (31) 과는 반대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핀 (35) 은, 플랜지부 (33) 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제 1 볼트 삽입 통과공 (33a) 및 연통공 (34) 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축 지지 하우징 (30) 은, 모터 하우징 (20) 의 개구를 폐색하고 있다. 모터 하우징 (20) 의 제 1 둘레벽 (22) 의 선단면은, 축 지지 하우징 (30) 의 플랜지부 (33) 와 맞닿고 있다. 축 지지 하우징 (30) 의 제 2 둘레벽 (32) 의 축 방향은, 모터 하우징 (20) 의 제 1 둘레벽 (22) 의 축 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모터 하우징 (20) 및 축 지지 하우징 (30) 에 의해 모터실 (S1) 이 구획되어 있다. 전동 모터 (13) 는, 모터실 (S1) 에 수용되어 있다. 따라서, 하우징 (11) 은, 전동 모터 (13) 가 수용되는 모터실 (S1) 을 갖고 있다. 모터실 (S1) 내에는, 도시되지 않은 외부 냉매 회로로부터 흡입구 (22a) 를 통하여 유체로서의 냉매가 흡입된다. 따라서, 모터실 (S1) 은, 흡입구 (22a) 로부터 냉매가 흡입되는 흡입실이다.
축 지지 하우징 (30) 의 제 1 볼트 삽입 통과공 (33a) 은, 모터 하우징 (20) 의 암나사공 (22b) 과 연통되어 있다. 축 지지 하우징 (30) 의 연통공 (34) 은, 모터 하우징 (20) 의 제 1 둘레벽 (22) 의 내주면보다 직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연통공 (34) 은, 모터실 (S1) 과 연통되어 있다.
토출 하우징 (40) 은, 제 3 바닥벽 (41) 과, 제 3 바닥벽 (41) 의 외주부로부터 연장되는 통상의 제 3 둘레벽 (42) 을 갖는 바닥이 있는 통상이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둘레벽 (42) 의 외경은, 제 3 둘레벽 (42) 의 둘레 방향 전체 둘레에 있어서 대략 일정하다. 한편, 제 3 둘레벽 (42) 의 내경은, 제 3 둘레벽 (42) 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상이하다. 따라서, 제 3 둘레벽 (42) 의 두께는, 제 3 둘레벽 (42) 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상이하다. 제 3 둘레벽 (42) 은, 후육부 (42a) 와 박육부 (42b) 를 갖고 있다. 후육부 (42a) 와 박육부 (42b) 는, 제 3 둘레벽 (42) 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후육부 (42a) 에 있어서의 제 3 둘레벽 (42) 의 내주면 (420) 은, 박육부 (42b) 에 있어서의 제 3 둘레벽 (42) 의 내주면 (420) 보다 직경 방향 내측으로 밀려나와 있다.
토출 하우징 (40) 은, 복수의 제 2 볼트 삽입 통과공 (40a) 을 갖고 있다. 각 제 2 볼트 삽입 통과공 (40a) 은, 토출 하우징 (40) 을 제 3 둘레벽 (42) 의 축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복수의 제 2 볼트 삽입 통과공 (40a) 은, 제 3 둘레벽 (42) 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제 2 볼트 삽입 통과공 (40a) 은, 제 3 둘레벽 (42) 의 후육부 (42a) 에 형성되어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출 하우징 (40) 은, 제 1 오목부 (43) 를 갖고 있다. 제 1 오목부 (43) 는, 제 3 바닥벽 (41) 의 내면으로부터 패여져 있다. 토출 하우징 (40) 은, 오일 분리실 (44) 을 갖고 있다. 오일 분리실 (44) 은, 제 3 바닥벽 (41) 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오일 분리실 (44) 을 구획하는 내벽에는, 통 부재 (45) 가 끼워 넣어져 있다. 토출 하우징 (40) 은, 도입 통로 (46) 를 갖고 있다. 도입 통로 (46) 는, 제 1 오목부 (43) 의 내측과 오일 분리실 (44) 내를 연통시키고 있다. 토출 하우징 (40) 은, 토출구 (47) 를 갖고 있다. 토출구 (47) 는, 통 부재 (45) 의 내측과 토출 하우징 (40) 의 외부를 연통시키고 있다.
토출 하우징 (40) 은, 축 지지 하우징 (30) 에 있어서 모터 하우징 (20) 과는 반대측의 단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축 지지 하우징 (30) 의 플랜지부 (33) 는, 모터 하우징 (20) 의 제 1 둘레벽 (22) 과 토출 하우징 (40) 의 제 3 둘레벽 (42) 에 의해 협지되어 있다. 토출 하우징 (40) 의 제 3 둘레벽 (42) 의 선단면은, 축 지지 하우징 (30) 의 플랜지부 (33) 와 맞닿고 있다. 토출 하우징 (40) 의 제 3 둘레벽 (42) 의 축 방향은, 축 지지 하우징 (30) 의 제 2 둘레벽 (32) 의 축 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토출 하우징 (40) 의 제 2 볼트 삽입 통과공 (40a) 은, 축 지지 하우징 (30) 의 제 1 볼트 삽입 통과공 (33a) 과 연통되어 있다. 축 지지 하우징 (30) 의 연통공 (34) 은, 토출 하우징 (40) 의 제 3 둘레벽 (42) 의 내주면 (420) 보다 직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모터 하우징 (20), 축 지지 하우징 (30), 및 토출 하우징 (40) 은, 복수 개의 볼트 (B) 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도 1 에서는, 1 개의 볼트 (B) 만이 도시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볼트 (B) 는, 토출 하우징 (40) 의 제 2 볼트 삽입 통과공 (40a) 및 축 지지 하우징 (30) 의 제 1 볼트 삽입 통과공 (33a) 에 삽입 통과되어 있다. 볼트 (B) 의 수나사는, 모터 하우징 (20) 의 암나사공 (22b) 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하우징 (11) 은, 모터 하우징 (20), 축 지지 하우징 (30), 및 토출 하우징 (40) 이 일체화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회전축>
회전축 (12) 은, 주축 (12a) 과 편심축 (12b) 을 갖고 있다. 주축 (12a) 의 외경은, 편심축 (12b) 의 외경보다 크다.
주축 (12a) 은, 축 지지 하우징 (30) 의 축 삽입 통과공 (31a) 에 삽입 통과되어 있다. 주축 (12a) 은, 제 1 보스부 (23) 의 내측에 삽입되는 제 1 단부를 갖고 있다. 제 1 보스부 (23) 의 내주면과 주축 (12a) 의 제 1 단부의 외주면 사이에는, 제 1 베어링 (15a) 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베어링 (15a) 은, 예를 들어, 롤링 베어링이다. 주축 (12a) 의 제 1 단부는, 제 1 베어링 (15a) 을 통하여 모터 하우징 (20) 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주축 (12a) 은, 제 1 단부와는 반대측에 제 2 단부를 갖고 있다. 주축 (12a) 의 제 2 단부는, 축 지지 하우징 (30) 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축 지지 하우징 (30) 의 제 2 둘레벽 (32) 의 내주면과 주축 (12a) 의 제 2 단부의 외주면 사이에는, 제 2 베어링 (15b) 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베어링 (15b) 은, 예를 들어, 롤링 베어링이다. 주축 (12a) 의 제 2 단부는, 제 2 베어링 (15b) 을 통하여 축 지지 하우징 (30) 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편심축 (12b) 은, 주축 (12a) 의 제 2 단부의 단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편심축 (12b) 은, 주축 (12a) 의 축선 (La) 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는 축선 (Lb) 을 갖고 있다. 편심축 (12b) 의 축선 (Lb) 은, 주축 (12a) 의 축선 (La) 에 대하여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주축 (12a) 의 축선 (La) 을 회전축 (12) 의 축선 (L) 이라고 한다. 또, 회전축 (12) 의 축선 (L) 이 연장되는 방향을 회전축 (12) 의 축선 방향이라고 한다. 회전축 (12) 의 축선 방향은, 모터 하우징 (20) 의 제 1 둘레벽 (22) 의 축 방향, 축 지지 하우징 (30) 의 제 2 둘레벽 (32) 의 축 방향, 및 토출 하우징 (40) 의 제 3 둘레벽 (42) 의 축 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전동 모터>
전동 모터 (13) 는, 로터 (51) 와 스테이터 (52) 를 갖고 있다.
로터 (51) 는, 원통상의 로터 코어 (53) 와, 로터 코어 (53) 에 형성된 도시되지 않은 영구 자석을 갖고 있다. 회전축 (12) 의 주축 (12a) 은, 로터 코어 (53) 의 내측에 삽입 통과되어 있다. 로터 코어 (53) 는, 회전축 (12) 에 고정되어 있다. 로터 (51) 는, 회전축 (12) 과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다.
스테이터 (52) 는, 로터 (51) 의 외주에 형성되어 있다. 스테이터 (52) 는, 로터 (51) 를 둘러싸고 있다. 스테이터 (52) 는, 원통상의 스테이터 코어 (54) 와, 코일 (55) 을 갖고 있다. 스테이터 코어 (54) 는, 모터 하우징 (20) 의 제 1 둘레벽 (22) 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있다. 코일 (55) 은, 스테이터 코어 (54) 에 권회되어 있다.
코일 (55) 에 전력이 공급됨으로써 스테이터 (52) 에 회전 자계가 발생하면, 로터 (51) 는 회전한다. 이로써, 회전축 (12) 은, 로터 (51) 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압축 기구>
압축 기구 (14) 는, 고정 스크롤 (60) 과 선회 스크롤 (70) 을 갖고 있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스크롤 (60) 은, 원판상의 고정단벽 (61) 과, 소용돌이 형상의 고정 소용돌이벽 (62) 과, 통상의 둘레벽으로서의 고정 둘레벽 (63) 을 갖고 있다. 고정 소용돌이벽 (62) 및 고정 둘레벽 (63) 은 각각 고정단벽 (61) 의 제 1 면 (61a) 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고정 둘레벽 (63) 은, 고정단벽 (61) 의 외주부에 위치하고 있다. 고정 둘레벽 (63) 은, 고정 소용돌이벽 (62) 을 둘러싸고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둘레벽 (63) 의 내경은, 고정 둘레벽 (63) 의 둘레 방향 전체 둘레에 있어서 대략 일정하다. 한편, 고정 둘레벽 (63) 의 외경은, 고정 둘레벽 (63) 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상이하다. 따라서, 고정 둘레벽 (63) 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고정 둘레벽 (63) 의 두께는, 고정 둘레벽 (63) 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상이하다. 고정 둘레벽 (63) 은, 후육부 (63a) 와 박육부 (63b) 를 갖고 있다. 후육부 (63a) 와 박육부 (63b) 는, 고정 둘레벽 (63) 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 스크롤 (60) 은, 토출 통로 (64) 를 갖고 있다. 토출 통로 (64) 는, 고정단벽 (61) 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토출 통로 (64) 는, 고정단벽 (61) 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스크롤 (60) 은, 제 2 오목부 (65) 를 갖고 있다. 제 2 오목부 (65) 는, 고정단벽 (61) 의 제 1 면 (61a) 과는 반대측의 면인 제 2 면 (61b) 으로부터 패여져 있다. 토출 통로 (64) 는, 제 2 오목부 (65) 의 바닥면에 있어서 개구되어 있다. 제 2 오목부 (65) 의 바닥면에는, 밸브 기구 (66) 가 장착되어 있다. 밸브 기구 (66) 는, 토출 통로 (64) 를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스크롤 (60) 은, 복수의 흡입 통로 (67) 를 갖고 있다. 각 흡입 통로 (67) 는, 고정 둘레벽 (63) 을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각 흡입 통로 (67) 는, 고정 둘레벽 (63) 의 내외를 연통시키고 있다. 복수의 흡입 통로 (67) 는, 고정 둘레벽 (63) 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흡입 통로 (67) 는, 고정 둘레벽 (63) 의 후육부 (63a) 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후육부 (63a) 는, 고정 둘레벽 (63) 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흡입 통로 (67) 주변의 부분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회 스크롤 (70) 은, 원판상의 선회단벽 (71) 과, 소용돌이 형상의 선회 소용돌이벽 (72) 을 갖고 있다. 선회 소용돌이벽 (72) 은, 선회단벽 (71) 의 제 1 면 (71a) 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선회 스크롤 (70) 은, 원통상의 제 2 보스부 (73) 를 갖고 있다. 제 2 보스부 (73) 는, 선회단벽 (71) 의 제 1 면 (71a) 과는 반대측의 면인 제 2 면 (71b) 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선회 스크롤 (70) 은, 복수의 홈부 (74) 를 갖고 있다. 도 1 에서는, 1 개의 홈부 (74) 만이 도시되어 있다. 각 홈부 (74) 는, 선회단벽 (71) 의 제 2 면 (71b) 으로부터 패여져 있다. 각 홈부 (74) 는, 선회단벽 (71) 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제 2 보스부 (73) 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각 홈부 (74) 내에는, 원환상의 링 부재 (75) 가 끼워져 장착되어 있다. 각 링 부재 (75) 내에는, 축 지지 하우징 (30) 의 핀 (35) 이 삽입되어 있다.
고정 스크롤 (60) 과 선회 스크롤 (70) 은, 고정단벽 (61) 의 제 1 면 (61a) 과 선회단벽 (71) 의 제 1 면 (71a) 이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고정 소용돌이벽 (62) 과 선회 소용돌이벽 (72) 은, 서로 맞물려져 있다. 선회 소용돌이벽 (72) 은, 고정 둘레벽 (63) 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고정 소용돌이벽 (62) 의 선단면은, 선회단벽 (71) 의 제 1 면 (71a) 에 맞닿고 있다. 선회 소용돌이벽 (72) 의 선단면은, 고정단벽 (61) 의 제 1 면 (61a) 에 맞닿고 있다.
고정 스크롤 (60) 및 선회 스크롤 (70) 은,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실 (S2) 을 구획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압축실 (S2) 은, 고정단벽 (61) 의 제 1 면 (61a) 과, 고정 소용돌이벽 (62) 과, 고정 둘레벽 (63) 의 내주면과, 선회단벽 (71) 의 제 1 면 (71a) 과, 선회 소용돌이벽 (72) 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압축 기구 (14) 는, 축 지지 하우징 (30) 과 토출 하우징 (40) 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 수용되어 있다. 고정 스크롤 (60) 은, 축 지지 하우징 (30) 의 플랜지부 (33) 와 토출 하우징 (40) 의 제 3 바닥벽 (41)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고정 스크롤 (60) 은, 축 지지 하우징 (30) 의 플랜지부 (33) 와 토출 하우징 (40) 의 제 3 바닥벽 (41) 에 의해 협지됨으로써, 하우징 (11) 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단벽 (61) 은, 토출 하우징 (40) 의 제 3 바닥벽 (41) 과 선회 스크롤 (70)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고정단벽 (61) 의 제 2 면 (61b) 과 토출 하우징 (40) 의 제 3 바닥벽 (41) 의 내면 사이에는, 개스킷 (16) 이 배치되어 있다. 개스킷 (16) 은, 고정단벽 (61) 과 제 3 바닥벽 (41) 사이를 시일하고 있다.
토출 하우징 (40) 의 제 1 오목부 (43) 와 고정단벽 (61) 의 제 2 오목부 (65) 에 의해, 토출실 (S3) 이 구획되어 있다. 냉매는, 압축실 (S2) 에 있어서 압축된 후, 토출 통로 (64) 를 통하여 토출실 (S3) 로 토출된다.
고정 소용돌이벽 (62) 및 고정 둘레벽 (63) 은 각각 고정단벽 (61) 의 제 1 면 (61a) 에서 선회 스크롤 (70) 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고정 둘레벽 (63) 의 축 방향은, 토출 하우징 (40) 의 제 3 둘레벽 (42) 의 축 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고정 둘레벽 (63) 의 선단면은, 축 지지 하우징 (30) 의 플랜지부 (33) 와 맞닿고 있다. 고정 둘레벽 (63) 의 외주면 (630) 은, 토출 하우징 (40) 의 제 3 둘레벽 (42) 의 내주면 (420) 과 이간된 상태에서 대향하고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둘레벽 (63) 의 후육부 (63a) 는, 제 3 둘레벽 (42) 의 박육부 (42b) 와 직경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다. 고정 둘레벽 (63) 의 박육부 (63b) 는, 제 3 둘레벽 (42) 의 후육부 (42a) 와 직경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회 스크롤 (70) 은, 축 지지 하우징 (30) 과 고정 스크롤 (60) 의 고정단벽 (61)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선회단벽 (71) 의 제 2 면 (71b) 은, 축 지지 하우징 (30) 의 플랜지부 (33) 와 대향하고 있다. 선회 소용돌이벽 (72) 은, 선회단벽 (71) 의 제 1 면 (71a) 으로부터, 전동 모터 (13) 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밸런스 웨이트 및 부시>
스크롤형 압축기 (10) 는, 밸런스 웨이트 (18) 및 부시 (19) 를 구비하고 있다. 밸런스 웨이트 (18) 와 부시 (19) 는, 일체 형성되어 있다. 밸런스 웨이트 (18) 및 부시 (19) 는, 압축 기구 (14) 와 함께, 축 지지 하우징 (30) 과 토출 하우징 (40) 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 수용되어 있다.
부시 (19) 는, 편심축 (12b) 의 외주면에 끼워 맞춰져 있다. 부시 (19) 는, 제 2 보스부 (73) 의 내측에 삽입되어 있다. 제 2 보스부 (73) 의 내주면과 부시 (19) 의 외주면 사이에는, 제 3 베어링 (15c) 이 배치되어 있다. 제 3 베어링 (15c) 은, 예를 들어, 롤링 베어링이다. 선회 스크롤 (70) 은, 부시 (19) 및 제 3 베어링 (15c) 을 통하여 편심축 (12b) 과 상대 회전 가능하게 편심축 (12b) 에 지지되어 있다. 밸런스 웨이트 (18) 는, 축 지지 하우징 (30) 의 플랜지부 (33) 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주축 (12a) 의 회전은, 편심축 (12b), 부시 (19), 및 제 3 베어링 (15c) 을 통하여 선회 스크롤 (70) 에 전달된다. 이 때, 각 핀 (35) 과 각 링 부재 (75) 의 내주면이 접촉함으로써, 선회 스크롤 (70) 의 자전이 저지된다. 선회 스크롤 (70) 은, 고정 스크롤 (60) 에 대한 공전 운동만이 허용된다. 요컨대, 선회 스크롤 (70) 은, 회전축 (12) 의 회전에 수반하여 공전한다. 선회 스크롤 (70) 이 공전할 때, 선회 소용돌이벽 (72) 이 고정 소용돌이벽 (62) 에 접촉하여 압축실 (S2) 의 용적이 감소함으로써, 압축실 (S2) 내의 냉매는 압축된다. 밸런스 웨이트 (18) 는, 선회 스크롤 (70) 이 공전할 때에 선회 스크롤 (70) 에 작용하는 원심력을 상쇄함으로써, 선회 스크롤 (70) 의 언밸런스량을 저감시킨다.
<외주 통로>
스크롤형 압축기 (10) 는, 외주 통로 (R) 를 갖고 있다. 외주 통로 (R) 는, 토출 하우징 (40) 의 제 3 둘레벽 (42) 의 내주면 (420) 과 고정 스크롤 (60) 의 고정 둘레벽 (63) 의 외주면 (630) 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축 지지 하우징 (30) 의 연통공 (34) 은, 토출 하우징 (40) 의 제 3 둘레벽 (42) 의 내주면 (420) 보다 직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연통공 (34) 은, 외주 통로 (R) 와 연통되어 있다. 냉매는, 연통공 (34) 을 통하여, 모터실 (S1) 로부터 외주 통로 (R) 에 유입된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둘레벽 (63) 의 외주면 (630) 은, 상류측 외주면 (631) 과 하류측 외주면 (632) 을 갖고 있다. 상류측 외주면 (631) 은, 회전축 (12) 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흡입 통로 (67) 와 전동 모터 (13)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하류측 외주면 (632) 은, 회전축 (12) 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흡입 통로 (67) 의 주변에서 상류측 외주면 (631) 과는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
회전축 (12) 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회전축 (12) 의 축선 (L) 에서 상류측 외주면 (631) 까지의 거리 (P) 는, 회전축 (12) 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변화하고 있다. 그 한편으로, 회전축 (12) 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회전축 (12) 의 축선 (L) 에서 토출 하우징 (40) 의 제 3 둘레벽 (42) 의 내주면 (420) 까지의 거리는, 회전축 (12) 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일정하다. 따라서, 회전축 (12) 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토출 하우징 (40) 의 제 3 둘레벽 (42) 의 내주면 (420) 에서 고정 둘레벽 (63) 의 외주면 (630) 까지의 거리는, 회전축 (12) 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변화하고 있다. 요컨대, 회전축 (12) 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주 통로 (R) 의 폭은, 회전축 (12) 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변화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3 둘레벽 (42) 의 선단면 및 고정 둘레벽 (63) 의 선단면에 있어서, 제 3 둘레벽 (42) 의 내주면 (420) 에서 고정 둘레벽 (63) 의 외주면 (630) 까지의 거리는, 연통공 (34) 의 공경과 일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류측 외주면 (631) 은, 회전축 (12) 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회전축 (12) 의 축선 (L) 에서 상류측 외주면 (631) 까지의 거리 (P) 가 회전축 (12) 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서서히 변화하도록, 회전축 (12) 의 축선 (L) 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회전축 (12) 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회전축 (12) 의 축선 (L) 에서 상류측 외주면 (631) 까지의 거리 (P) 는, 회전축 (12) 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모터실 (S1) 에서 흡입 통로 (67) 를 향함에 따라 커지고 있다. 고정 둘레벽 (63) 의 두께는, 회전축 (12) 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모터실 (S1) 에서 흡입 통로 (67) 를 향함에 따라 커지고 있다.
도 3 및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회전축 (12) 의 축선 (L) 에 대한 상류측 외주면 (631) 의 경사 각도는, 고정 둘레벽 (63) 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회전축 (12) 의 축선 (L) 에 대한 상류측 외주면 (631) 의 경사 각도는, 고정 둘레벽 (63) 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흡입 통로 (67) 의 위치나 고정 둘레벽 (63) 의 두께에 따라 설정되어 있다.
도 3 은, 후육부 (63a) 에 있어서의 상류측 외주면 (631) 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후육부 (63a) 는, 고정 둘레벽 (63) 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흡입 통로 (67) 주변의 부분이다. 도 4 는, 박육부 (63b) 에 있어서의 상류측 외주면 (631) 을 나타내고 있다. 후육부 (63a) 에 있어서의 회전축 (12) 의 축선 (L) 에 대한 상류측 외주면 (631) 의 경사 각도는, 박육부 (63b) 에 있어서의 회전축 (12) 의 축선 (L) 에 대한 상류측 외주면 (631) 의 경사 각도보다 크다. 요컨대, 고정 둘레벽 (63) 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흡입 통로 (67) 주변의 부분에서는, 회전축 (12) 의 축선 (L) 에 대한 상류측 외주면 (631) 의 경사 각도는, 다른 부분에 비해 크게 설정되어 있다. 한편, 고정 둘레벽 (63) 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두께가 작은 부분에서는, 회전축 (12) 의 축선 (L) 에 대한 상류측 외주면 (631) 의 경사 각도는, 다른 부분에 비해 작게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회전축 (12) 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회전축 (12) 의 축선 (L) 에서 하류측 외주면 (632) 까지의 거리 (Q) 는, 회전축 (12) 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회전축 (12) 의 축선 (L) 에서 상류측 외주면 (631) 까지의 거리 (P) 의 최대 거리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회전축 (12) 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흡입 통로 (67) 에서 고정단벽 (61) 까지의 사이의 고정 둘레벽 (63) 의 두께는, 회전축 (12) 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고정 둘레벽 (63) 의 선단면에서 흡입 통로 (67) 까지의 사이의 고정 둘레벽 (63) 의 두께 이상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회전축 (12) 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회전축 (12) 의 축선 (L) 에서 하류측 외주면 (632) 까지의 거리 (Q) 는, 회전축 (12) 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일정하다. 고정 둘레벽 (63) 의 두께는, 회전축 (12) 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흡입 통로 (67) 에서 고정단벽 (61) 까지의 사이에 있어서 일정하다.
<냉매의 흐름>
스크롤형 압축기 (10) 에 있어서의 냉매의 흐름에 대해 설명한다.
냉매는, 외부 냉매 회로로부터 흡입구 (22a) 를 통하여 모터실 (S1) 에 흡입된다. 모터실 (S1) 에 흡입된 냉매는, 연통공 (34) 을 통하여 외주 통로 (R) 에 유입된다. 외주 통로 (R) 에 유입된 냉매는, 흡입 통로 (67) 를 통하여 압축실 (S2) 에 유입된다. 따라서, 흡입 통로 (67) 는, 외주 통로 (R) 로부터 압축실 (S2) 에 냉매를 흡입한다. 압축실 (S2) 에 유입된 냉매는, 압축실 (S2) 의 용적이 감소함으로써 압축된다. 압축된 냉매는, 토출 통로 (64) 를 통하여 토출실 (S3) 로 토출된다. 토출실 (S3) 로 토출된 냉매는, 도입 통로 (46) 를 통하여 오일 분리실 (44) 내에 도입된다. 오일 분리실 (44) 에서는, 냉매에 포함되는 오일이 분리된다. 상세하게는, 오일 분리실 (44) 내에 도입된 냉매가 통 부재 (45) 의 주위를 선회할 때, 냉매에 포함되어 있는 오일에 원심력이 부여됨으로써, 오일 분리실 (44) 내에서 오일이 분리된다. 오일이 분리된 후의 냉매는, 통 부재 (45) 의 내측을 통과한 후, 토출구 (47) 를 통하여 외부 냉매 회로에 환류된다.
[본 실시형태의 작용 및 효과]
본 실시형태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1) 회전축 (12) 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회전축 (12) 의 축선 (L) 에서 고정 둘레벽 (63) 의 상류측 외주면 (631) 까지의 거리 (P) 는, 회전축 (12) 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변화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회전축 (12) 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회전축 (12) 의 축선 (L) 에서 상류측 외주면 (631) 까지의 거리 (P) 가 작은 부분에 의해, 토출 하우징 (40) 의 제 3 둘레벽 (42) 의 내주면 (420) 에서 고정 둘레벽 (63) 의 외주면 (630) 까지의 거리를 크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토출 하우징 (40) 을 외주측으로 대형화하지 않아도, 외주 통로 (R) 를 넓힐 수 있다. 또, 회전축 (12) 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회전축 (12) 의 축선 (L) 에서 상류측 외주면 (631) 까지의 거리 (P) 가 큰 부분에 의해, 고정 둘레벽 (63) 의 두께를 확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고정 스크롤 (60) 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 (11) 의 대형화 억제와 고정 스크롤 (60) 의 강도 확보를 양립시키면서 외주 통로 (R) 를 넓힐 수 있다.
(2) 상류측 외주면 (631) 은, 회전축 (12) 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회전축 (12) 의 축선 (L) 에서 상류측 외주면 (631) 까지의 거리 (P) 가 회전축 (12) 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서서히 변화하도록, 회전축 (12) 의 축선 (L) 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이 구성에 의해, 회전축 (12) 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회전축 (12) 의 축선 (L) 에서 상류측 외주면 (631) 까지의 거리 (P) 가 회전축 (12) 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단계적으로 변화하도록, 상류측 외주면 (631) 이 계단상으로 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냉매는 외주 통로 (R) 를 흐르기 쉬워진다.
(3) 회전축 (12) 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회전축 (12) 의 축선 (L) 에서 상류측 외주면 (631) 까지의 거리 (P) 는, 회전축 (12) 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모터실 (S1) 에서 흡입 통로 (67) 를 향함에 따라 커지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토출 하우징 (40) 의 제 3 둘레벽 (42) 의 내주면 (420) 에서 상류측 외주면 (631) 까지의 거리를, 회전축 (12) 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모터실 (S1) 에서 흡입 통로 (67) 를 향함에 따라 작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외주 통로 (R) 는, 회전축 (12) 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모터실 (S1) 에서 흡입 통로 (67) 를 향함에 따라 좁아진다. 따라서, 외주 통로 (R) 가 회전축 (12) 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모터실 (S1) 에서 흡입 통로 (67) 를 향함에 따라 넓어지는 경우와 비교하여, 냉매는 외주 통로 (R) 를 흡입 통로 (67) 를 향하여 흐르기 쉬워진다.
(4) 회전축 (12) 의 축선 (L) 에 대한 상류측 외주면 (631) 의 경사 각도는, 고정 둘레벽 (63) 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상이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회전축 (12) 의 축선 (L) 에 대한 상류측 외주면 (631) 의 경사 각도는, 고정 둘레벽 (63) 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흡입 통로 (67) 의 위치 및 고정 둘레벽 (63) 의 두께에 따라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고정 둘레벽 (63) 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흡입 통로 (67) 주변의 부분인 후육부 (63a) 에서는, 회전축 (12) 의 축선 (L) 에 대한 상류측 외주면 (631) 의 경사 각도를 크게 하여 외주 통로 (R) 를 넓힘으로써, 외주 통로 (R) 에서 흡입 통로 (67) 로 냉매를 흐르기 쉽게 하고 있다. 또, 고정 둘레벽 (63) 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두께가 작은 부분인 박육부 (63b) 에서는, 회전축 (12) 의 축선 (L) 에 대한 상류측 외주면 (631) 의 경사 각도를 작게 함으로써, 고정 둘레벽 (63) 의 강도를 확보하고 있다.
(5) 회전축 (12) 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회전축 (12) 의 축선 (L) 에서 하류측 외주면 (632) 까지의 거리 (Q) 는, 회전축 (12) 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회전축 (12) 의 축선 (L) 에서 상류측 외주면 (631) 까지의 거리 (P) 의 최대 거리 이상이다. 이 구성에 의해, 회전축 (12) 의 축선 (L) 에서 하류측 외주면 (632) 까지의 거리 (Q) 가 회전축 (12) 의 축선 (L) 에서 상류측 외주면 (631) 까지의 거리 (P) 의 최대 거리보다 작은 경우와 비교하여, 고정 스크롤 (60) 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6) 제 3 둘레벽 (42) 의 선단면 및 고정 둘레벽 (63) 의 선단면에 있어서, 제 3 둘레벽 (42) 의 내주면 (420) 에서 고정 둘레벽 (63) 의 외주면 (630) 까지의 거리는, 연통공 (34) 의 공경과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제 3 둘레벽 (42) 의 선단면 및 고정 둘레벽 (63) 의 선단면에 있어서, 제 3 둘레벽 (42) 의 내주면 (420) 에서 고정 둘레벽 (63) 의 외주면 (630) 까지의 거리가 연통공 (34) 의 공경보다 작은 경우와 비교하여, 냉매는 연통공 (34) 에서 외주 통로 (R) 로 흐르기 쉬워진다.
(7) 토출 하우징 (40) 의 제 3 둘레벽 (42) 에는, 제 2 볼트 삽입 통과공 (40a) 을 형성하기 위한 후육부 (42a) 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후육부 (42a) 는, 제 3 둘레벽 (42) 의 내주면 (420) 이 직경 방향 내측으로 밀려나온 부분이다. 그리고, 고정 둘레벽 (63) 에 있어서의 제 3 둘레벽 (42) 의 후육부 (42a) 와 직경 방향으로 나열되는 부분은, 박육부 (63b) 로 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예를 들어, 제 3 둘레벽 (42) 에 제 2 볼트 삽입 통과공 (40a) 을 형성하기 위해, 제 3 둘레벽 (42) 의 외주면을 직경 방향 외측으로 밀려나오게 함으로써 후육부 (42a) 를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토출 하우징 (40) 을 직경 방향으로 소형화할 수 있다.
[변경예]
상기 실시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 및 이하의 변경예는, 기술적으로 모순되지 않는 범위에서 서로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하우징 (11) 의 구성은 일례이다. 하우징 (11) 의 구성은, 적절히 변경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토출 하우징 (40) 대신에 축 지지 하우징 (30) 이 제 3 둘레벽 (42) 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제 3 둘레벽 (42) 은, 플랜지부 (33) 의 외주부로부터 모터 하우징 (20) 과는 반대측으로 연장된다. 토출 하우징 (40) 은, 제 3 바닥벽 (41) 만을 갖는다. 제 3 바닥벽 (41) 은, 제 3 둘레벽 (42) 의 선단부에 연결됨으로써, 축 지지 하우징 (30) 의 개구부를 폐색한다.
예를 들어, 토출 하우징 (40) 대신에 모터 하우징 (20) 이 제 3 둘레벽 (42) 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제 3 둘레벽 (42) 은, 제 1 둘레벽 (22) 을 축 방향으로 연장함으로써 형성된다. 토출 하우징 (40) 은, 제 3 바닥벽 (41) 만을 갖는다. 제 3 바닥벽 (41) 은, 제 3 둘레벽 (42) 의 선단부에 연결됨으로써, 모터 하우징 (20) 의 개구부를 폐색한다. 축 지지 하우징 (30) 은, 모터 하우징 (20) 내에 배치된다. 축 지지 하우징 (30) 은, 모터실 (S1) 과, 압축 기구 (14) 를 수용하는 공간을 이격시킨다.
회전축 (12) 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회전축 (12) 의 축선 (L) 에서 고정 둘레벽 (63) 의 상류측 외주면 (631) 까지의 거리 (P) 가 회전축 (12) 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변화하고 있으면, 상류측 외주면 (631) 은, 회전축 (12) 의 축선 (L) 에 대하여 경사져 있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회전축 (12) 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회전축 (12) 의 축선 (L) 에서 상류측 외주면 (631) 까지의 거리 (P) 가 회전축 (12) 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단계적으로 변화하도록, 상류측 외주면 (631) 은 계단상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회전축 (12) 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회전축 (12) 의 축선 (L) 에서 상류측 외주면 (631) 까지의 거리 (P) 는, 회전축 (12) 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변화하고 있으면, 회전축 (12) 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모터실 (S1) 에서 흡입 통로 (67) 를 향함에 따라 커지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회전축 (12) 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회전축 (12) 의 축선 (L) 에서 상류측 외주면 (631) 까지의 거리 (P) 는, 회전축 (12) 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모터실 (S1) 에서 흡입 통로 (67) 를 향함에 따라 작아지고 있어도 된다.
회전축 (12) 의 축선 (L) 에 대한 상류측 외주면 (631) 의 경사 각도는, 고정 둘레벽 (63) 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일정해도 된다.
제 3 둘레벽 (42) 의 선단면 및 고정 둘레벽 (63) 의 선단면에 있어서, 제 3 둘레벽 (42) 의 내주면 (420) 에서 고정 둘레벽 (63) 의 외주면 (630) 까지의 거리는, 연통공 (34) 의 공경과 상이해도 된다.
회전축 (12) 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회전축 (12) 의 축선 (L) 에서 하류측 외주면 (632) 까지의 거리 (Q) 는, 회전축 (12) 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회전축 (12) 의 축선 (L) 에서 상류측 외주면 (631) 까지의 거리 (P) 의 최대 거리보다 작아도 된다.
회전축 (12) 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회전축 (12) 의 축선 (L) 에서 하류측 외주면 (632) 까지의 거리 (Q) 는, 회전축 (12) 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변화하고 있어도 된다.
스크롤형 압축기 (10) 의 용도는, 차량 공조 장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스크롤형 압축기 (10) 는, 연료 전지차에 탑재되어도 된다. 스크롤형 압축기 (10) 는, 연료 전지에 공급되는 유체로서의 공기를 압축시킨다.

Claims (6)

  1. 스크롤형 압축기로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전동 모터와,
    상기 전동 모터를 수용하는 모터실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됨과 함께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 스크롤과,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수반하여 공전하는 선회 스크롤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 스크롤은, 고정단벽과, 상기 고정단벽에서 상기 선회 스크롤을 향하여 연장되는 통상의 둘레벽을 갖고,
    상기 스크롤형 압축기는, 추가로,
    상기 고정 스크롤과 상기 선회 스크롤에 의해 구획되고, 유체를 압축시키는 압축실과,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과 상기 둘레벽의 외주면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모터실로부터 상기 유체가 유입되는 외주 통로와,
    상기 둘레벽에 형성되고, 상기 외주 통로로부터 상기 압축실에 상기 유체를 흡입하는 흡입 통로를 갖고,
    상기 둘레벽의 외주면은, 상기 회전축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흡입 통로와 상기 전동 모터 사이에 위치하는 상류측 외주면을 갖고,
    상기 회전축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회전축의 축선에서 상기 상류측 외주면까지의 거리는, 상기 회전축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변화하고 있는, 스크롤형 압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류측 외주면은, 상기 회전축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회전축의 축선에서 상기 상류측 외주면까지의 거리가 상기 회전축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서서히 변화하도록, 상기 회전축의 축선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스크롤형 압축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회전축의 축선에서 상기 상류측 외주면까지의 거리는, 상기 회전축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모터실에서 상기 흡입 통로를 향함에 따라 커지고 있는, 스크롤형 압축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류측 외주면은, 상기 회전축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회전축의 축선에서 상기 상류측 외주면까지의 거리가 상기 회전축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모터실에서 상기 흡입 통로를 향함에 따라 서서히 커지도록, 상기 회전축의 축선에 대하여 경사져 있고,
    상기 회전축의 축선에 대한 상기 상류측 외주면의 경사 각도는, 상기 둘레벽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상이한, 스크롤형 압축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벽의 외주면은, 상기 회전축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흡입 통로의 주변에서 상기 상류측 외주면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하류측 외주면을 갖고,
    상기 회전축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회전축의 축선에서 상기 하류측 외주면까지의 거리는, 상기 회전축의 축선에서 상기 상류측 외주면까지의 최대 거리 이상인, 스크롤형 압축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회전축의 축선에서 상기 하류측 외주면까지의 거리는, 상기 회전축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일정한, 스크롤형 압축기.
KR1020230136755A 2022-10-21 2023-10-13 스크롤형 압축기 KR202400564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2169348A JP2024061411A (ja) 2022-10-21 2022-10-21 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JP-P-2022-169348 2022-10-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6421A true KR20240056421A (ko) 2024-04-30

Family

ID=90628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6755A KR20240056421A (ko) 2022-10-21 2023-10-13 스크롤형 압축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4061411A (ko)
KR (1) KR20240056421A (ko)
CN (1) CN117917505A (ko)
DE (1) DE102023126704A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27248B2 (ja) 2020-03-31 2023-08-1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スクロール型圧縮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23126704A1 (de) 2024-05-02
CN117917505A (zh) 2024-04-23
JP2024061411A (ja) 2024-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07336B2 (ja) 圧縮機
US6158980A (en) Compressor with motor
JP2000220585A (ja) スクロール型圧縮機
US9885359B2 (en) Motor-driven compressor
KR20190114834A (ko) 전동 압축기
KR20240056421A (ko) 스크롤형 압축기
WO2020184057A1 (ja) モータ及び電動圧縮機
JP2004052664A (ja) モータ駆動式ポンプ
US20240133379A1 (en) Scroll compressor
US20180038372A1 (en) Rotating cylinder type compressor
US11965508B2 (en) Scroll compressor
KR102566589B1 (ko) 스크롤형 압축기
JPH10252674A (ja) 気体圧縮機
KR102232427B1 (ko) 스크롤형 압축기
US20230258185A1 (en) Scroll electric compressor
WO2019022134A1 (ja) スクロール圧縮機
US20230392599A1 (en) Motor-driven scroll electric compressor
JPH0783178A (ja) スクロール型圧縮機
US11988206B2 (en) Scroll compressor with grooves and auxiliary discharge ports
CN219034987U (zh) 压缩机
US20020085937A1 (en) Scroll type compresso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WO2024062714A1 (ja) 遠心圧縮機
US20190203714A1 (en) Rotary cylinder type compressor
JP2022152796A (ja) スクロール型圧縮機
KR20210146131A (ko) 로터리 압축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