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6138A - 세탁기 구동 시스템 - Google Patents

세탁기 구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6138A
KR20240056138A KR1020220136367A KR20220136367A KR20240056138A KR 20240056138 A KR20240056138 A KR 20240056138A KR 1020220136367 A KR1020220136367 A KR 1020220136367A KR 20220136367 A KR20220136367 A KR 20220136367A KR 20240056138 A KR20240056138 A KR 20240056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washing machine
stator
driving system
machine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6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주항
하현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36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6138A/ko
Priority to EP23179127.8A priority patent/EP4357509A1/en
Publication of KR20240056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61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7Rotor cores with permanent magnets
    • H02K1/2786Outer r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1/00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 H02K21/02Details
    • H02K21/021Means for mechanical adjustment of the excitation flux
    • H02K21/022Means for mechanical adjustment of the excitation flux by modifying the relative position between field and armature, e.g. between rotor and stator
    • H02K21/023Means for mechanical adjustment of the excitation flux by modifying the relative position between field and armature, e.g. between rotor and stator by varying the amount of superposition, i.e. the overlap, of field and armature
    • H02K21/024Radial air gap mach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4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loads, e.g. with hand-held machine tools or f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6Driving arrangements  for rotating the receptacle at more than one spe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1/00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 H02K21/12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 H02K21/24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with magnets axially facing the armatures, e.g. hub-type cycle dynamo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3/00Specific 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nd not covered by codes H02K2201/00 - H02K2211/00
    • H02K2213/09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elements which are subject to variation, e.g. adjustable bearings, reconfigurable windings, variable pitch ventil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세탁기 구동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명세서의 일 면(aspect)에 따른 세탁기 구동 시스템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지지대와, 상기 복수의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고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서포터와, 상기 복수의 지지대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자와, 상기 고정자와 마주보는 로터와, 상기 로터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에 베어링 결합되는 출력 축과, 상기 고정자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캠 가이드와, 상기 복수의 캠 가이드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고정자와 상기 로터가 마주보는 면적을 조절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세탁기 구동 시스템{DRIVE SYSTEM OF A WASHING MACHINE}
본 명세서는 세탁기 구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계적으로 작동하는 가동자를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세탁기 구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서로 다른 운전 조건을 갖는 2개의 두 개의 주요 작동 모드(세탁 모드, 탈수 모드)로 구동된다.
상기 두 개의 주요 작동 모드를 모두 충족하기 위해, 세탁기는 유성 기어 세트와 클러치를 구비하고, n:1의 기어비를 가지고 저속 고토크로 출력 축을 작동하거나(세탁 모드), 1:1의 기어비를 가지고 고속 저토크로 출력 축을 작동한다(탈수 모드).
여기에서, 출력 축은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드럼에 결합된 축을 말한다. 드럼은 "이너 터브(inner tub)"로 호칭될 수 있다.
즉, 통상의 세탁기에서는, 세탁 모드 또는 헹굼 모드를 종료한 후, 모터는 일시적으로 정지되며, 배수 작업이 실시된다. 그리고, 배수 작업이 종료한 후에는 탈수 초기 모드가 시작된다.
그런데, 탈수 초기 모드에서는 젖은 세탁물을 초기 기동하기 위해 높은 토크가 필요하므로, 출력 축을 저속 고토크로 작동시켜야 한다.
그리고, 탈수 초기 모드가 완료된 후에 탈수 모드를 시작하기 위해서는 출력 축을 고속 저토크로 작동시켜야 한다.
따라서, 세탁기 구동 시스템은 탈수 초기 모드와 탈수 모드 사이에서 출력 축에 전달되는 로터 축의 회전력을 변속하기 위한 부품들, 예를 들어 유성 기어 세트와 클러치를 구비하고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선행 특허(related art)의 한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KR10-2020-0089604호(이하, "선행특허 1"이라 한다)는, 캐리어, 선 기어, 복수의 위성 기어, 인터널 기어 등을 포함하는 유성 기어 세트를 로터 케이스 내에 설치하고, 인터널 기어의 위치를 솔레노이드 클러치에 의해 변경함으로써 기어비를 변경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즉, 선행특허 1의 경우, 탈수 초기 모드에서는 인터널 기어가 솔레노이드 클러치의 슬라이더를 통해 스테이터에 지지되도록 하여, 로터 축 및 썬기어의 회전이 유성 기어 세트를 통해 출력 축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세탁기를 저속 고토크로 작동시킨다.
그리고, 탈수 모드에서는 인터널 기어가 솔레노이드 클러치의 슬라이더를 통해 로터 축에 지지되도록 하여, 로터 축 및 선 기어의 회전이 유성 기어 세트를 통하지 않고 출력 축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세탁기를 고속 저토크로 작동시킨다.
그런데, 상기 선행특허 1에 개시된 구동 시스템에 따르면, 솔레노이드 클러치를 이동시키는 데 충분한 전자기력을 얻기 위해서는 더 큰 코일이 필요하므로 솔레노이드 클러치의 무게 및 부피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솔레노이드 클러치가 로터와 스테이터의 후방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세탁기의 용적을 확보하는 데 불리하고, 솔레노이드 클러치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해 별도의 회로를 구성하여 로터와 스테이터 사이에 배선해야 하므로 배선 작업이 어려운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선행 특허의 다른 예로,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KR10-1920812호(이하, "선행특허 2"라 한다)는, 유성 기어 세트를 포함하는 감속 커플링 유닛의 위치를 레버를 이용하여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기어비를 변경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즉, 선행특허 2의 경우, 탈수 초기 모드에서는 레버 유닛의 레버의 작동에 따라 감속 커플링 유닛이 전방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감속 커플링 유닛의 커플링 캡에 형성된 톱니가 드럼에 형성된 톱니와 맞물리게 되어 세탁기가 저속 고토크로 작동된다.
그리고 탈수 모드에서는 레버 유닛의 레버의 작동에 따라 감속 커플링 유닛이 후방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감속 커플링 유닛의 커플링 하우징에 형성된 톱니가 로터 하우징에 형성된 톱니와 맞물리게 되어 세탁기가 고속 저토크로 작동된다.
그런데, 상기 선행특허 2에 개시된 구동 시스템에 따르면, 감속 커플링 유닛의 캐리어에 구비된 피니언 기어가 선 기어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을 해야 하므로, 피니언 기어와 선 기어로는 헬리컬 기어가 아닌 평 기어만 사용이 가능하며, 이로 인해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감속 커플링 유닛의 전후방 이동이 모터의 정지 중에만 가능하므로, 모드 변환을 위해서는 모터를 정지시켜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유성 기어 세트에 구비된 선 기어가 출력 축 상의 베어링에 얹혀 있고, 출력 축은 1개의 베어링에 의해서만 지지되고 있다.
따라서, 탈수 초기 모드에서는 유성 기어 세트가 지지점 역할을 하게 되어 출력 축이 유성 기어 세트와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지만, 탈수 모드에서는 로터와 유성 기어 세트 및 출력 축이 하나로 작동하여 출력 축이 1개의 베어링에 의해서만 지지되므로, 고속 저토크로 작동하는 탈수 모드 시의 내구성이 낮은 문제가 있다.
선행특허 1: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KR10-2020-0089604호 선행특허 2: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KR10-1920812호
본 명세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세탁 종료와 탈수 시작 사이의 정지 동작 없이 고정자를 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세탁 모드와 탈수 모드를 구현할 수 있는 세탁기 구동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클러치 등의 별도의 구성 없이도, 출력 축을 저속 고토크 또는 고속 저토크로 구동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크기를 줄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세탁기 구동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추가 전류를 인가하지 않고도 고정자의 위치를 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세탁기 구동 시스템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세탁기 구동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계적인 구성만으로 고정자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복귀시킬 수 있는 세탁기 구동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고정자의 틸팅 현상을 방지하고, 고정자를 수직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세탁기 구동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회전 캠과 서포터의 간섭을 방지하여 제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세탁기 구동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회전 캠의 반경 방향과 수직 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세탁기 구동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세탁기 구동 시스템의 공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세탁기 구동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캠 가이드와 회전 부재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을 줄여 제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세탁기 구동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명세서의 일 면(aspect)에 따른 세탁기 구동 시스템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지지대와, 상기 복수의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고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서포터와, 상기 복수의 지지대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자와, 상기 고정자와 마주보는 로터와, 상기 로터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에 베어링 결합되는 출력 축과, 상기 고정자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캠 가이드와, 상기 복수의 캠 가이드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고정자와 상기 로터가 마주보는 면적을 조절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클러치 등의 별도의 구성 없이도, 출력 축을 저속 고토크 또는 고속 저토크로 구동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크기를 줄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과 상기 서포터 사이에 배치되고,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 캠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캠은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해 회전하고, 상기 회전 캠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캠 가이드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추가 전류를 인가하지 않고도 고정자의 위치를 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세탁기 구동 시스템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캠은 상기 복수의 캠 가이드 각각과 접촉하는 복수의 경사부와, 상기 복수의 경사부 중 이웃하는 경사부를 각각 연결하는 복수의 수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고정자는 상기 복수의 지지대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이동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이동 가이드와 상기 서포터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가 구동하여 상기 회전 캠이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캠 가이드는 상기 경사부를 따라 아래로 이동하고, 상기 액츄에이터가 정지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탄성 부재에 의해 상기 고정자는 초기 위치로 복귀하고, 상기 캠 가이드는 상기 수직부와 접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계적인 구성만으로 고정자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복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이동 가이드는 상기 복수의 캠 가이드와 원주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정자의 틸팅 현상을 방지하고, 고정자를 수직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경사부의 하단과 상기 서포터 사이의 수직 방향 거리는 상기 고정자의 수직 방향 이동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이를 통해, 회전 캠과 서포터의 간섭을 방지하여 제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캠 가이드는 상면에 형성되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캠은 상기 복수의 캠 가이드의 상기 상면과 접촉하고, 상기 돌기의 반경 방향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회전 캠은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회전 캠의 반경 방향과 수직 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자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코어와, 상기 코어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티쓰와, 상기 복수의 티쓰에 권선되는 복수의 코일과, 상기 코어를 둘러싸고 상기 복수의 캠 가이드와 연결되는 인슐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로터는, 상기 출력 축과 결합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코일과 마주보는 복수의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서포터와 수직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세탁기 구동 시스템의 공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캠 가이드와 접촉하는 복수의 회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액츄에이터와 연결되는 부분과 일측의 길이와, 상기 액츄에이터와 연결되는 부분과 타측의 길이가 다를 수 있다.
이를 통해, 클러치 등의 별도의 구성 없이도, 출력 축을 저속 고토크 또는 고속 저토크로 구동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크기를 줄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캠 가이드는 상기 회전 부재와 마주하는 면에 형성되고 곡률을 가지는 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캠 가이드와 회전 부재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을 줄여 제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부재는 제1 곡률을 가지는 제1 원호부와, 제1 원호부의 양측에서 연장되는 한 쌍의 직선부와, 상기 한 쌍의 직선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1 곡률보다 작은 곡률 반경을 가지는 제2 곡률을 가지는 제2 원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정자가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를 확보하면서도 공간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명세서의 일 면(aspect)에 따른 세탁기 구동 시스템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지지대와, 상기 복수의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고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서포터와, 상기 복수의 지지대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자와, 상기 고정자와 마주보는 로터와, 상기 로터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에 베어링 결합되는 출력 축과, 상기 고정자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캠 가이드와, 상기 캠 가이드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고정자와 상기 로터가 마주보는 면적을 조절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클러치 등의 별도의 구성 없이도, 출력 축을 저속 고토크 또는 고속 저토크로 구동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크기를 줄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세탁 종료와 탈수 시작 사이의 정지 동작 없이 고정자를 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세탁 모드와 탈수 모드를 구현할 수 있는 세탁기 구동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를 통해 클러치 등의 별도의 구성 없이도, 출력 축을 저속 고토크 또는 고속 저토크로 구동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크기를 줄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세탁기 구동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를 통해 추가 전류를 인가하지 않고도 고정자의 위치를 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세탁기 구동 시스템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세탁기 구동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를 통해 기계적인 구성만으로 고정자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복귀시킬 수 있는 세탁기 구동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를 통해 고정자의 틸팅 현상을 방지하고, 고정자를 수직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세탁기 구동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를 통해 회전 캠과 서포터의 간섭을 방지하여 제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세탁기 구동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를 통해 회전 캠의 반경 방향과 수직 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세탁기 구동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를 통해 세탁기 구동 시스템의 공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세탁기 구동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를 통해 캠 가이드와 회전 부재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을 줄여 제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세탁기 구동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터브와 세탁기 구동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구동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구동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구동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서 하우징과, 복수의 지지대를 제거한 세탁기 구동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로터를 제거한 세탁기 구동 시스템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은 도 3에서 하우징과, 복수의 지지대를 제거한 세탁기 구동 시스템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6은 도 3에서 하우징과, 복수의 지지대를 제거한 세탁기 구동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구동 시스템의 동작도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구동 시스템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일부 구성의 확대도이다.
도 13은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구동 시스템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종래 기술에 따른 로터의 회전 속도에 대한 기계적 토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5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로터의 회전 속도에 대한 기계적 토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discloser)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명세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명세서(discloser)의 용어는 document, specification, description 등의 용어로 대체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터브와 세탁기 구동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구동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구동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구동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서 하우징과, 복수의 지지대를 제거한 세탁기 구동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로터를 제거한 세탁기 구동 시스템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은 도 3에서 하우징과, 복수의 지지대를 제거한 세탁기 구동 시스템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6은 도 3에서 하우징과, 복수의 지지대를 제거한 세탁기 구동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구동 시스템의 동작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이너 터브(inner tub)(10)와, 펄세이터(pulsator)(20)와, 세탁기 구동 시스템(100)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 중 일부의 구성을 제외하고 실시될 수도 있고, 이외 추가적인 구성을 배제하지도 않는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이너 터브의 회전 중심이 바닥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세탁포를 상측에서 투입 가능하게 설계된 탑 로딩 방식(top loading type)과, 이너 터브의 회전 중심이 바닥에 수평한 방향으로 또는 후단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세탁포를 전방에서 투입 가능하게 설계된 프론트 로딩 방식(front loading type)일 수 있다.
이너 터브(10)는 상부 또는 전방에 개방된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이너 터브(10)의 바닥면에는 펄세이터(2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너 터브(10)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펄세이터(20)는 세탁기 구동 시스템(100)의 출력 축(110)에 연결될 수 있다. 세탁기 구동 시스템(100)은 이너 터브(10)에 결합되어 펄세이터(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구동 시스템(100)은 하우징(120)과, 출력 축(110)과, 제1 베어링(140)과, 제2 베어링(150)과, 제3 베어링(130)과, 고정자(160)와, 로터(170, 200)와, 회전 캠(180)과, 캠 가이드(194)와, 서포터(210)와, 지지대(220)와, 탄성 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 중 일부의 구성을 제외하고 실시될 수도 있고, 이외 추가적인 구성을 배제하지도 않는다.
하우징(120)에는 출력 축(110)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20)의 상부에는 펄세이터(20)가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20)은 이너 터브(10)에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120)의 하부에는 고정자(160)와 로터(170, 200)가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20)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20)은 이너 터브(10)에 이중 사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출력 축(110)은 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출력 축(110)은 펄세이터(20)와 결합될 수 있다. 출력 축(110)은 하우징(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출력 축(110)은 하우징(120)에 베어링 결합될 수 있다. 출력 축(110)은 로터(170, 200)에 결합될 수 있다. 출력 축(110)은 로터(170, 200)와 같은 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축 방향이란 도 4 및 도 5를 기준으로 수직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출력 축(110)의 상부 영역에는 펄세이터(20)가 결합될 수 있다. 출력 축(110)의 중앙 영역은 하우징(120)에 베어링 결합될 수 있다. 출력 축(110)의 중앙 영역과 하우징(120) 사이에는 제1 베어링(140)과, 제2 베어링(150)이 배치될 수 있다.
출력 축(110)의 하부 영역은 로터(170, 200)의 안에 배치될 수 있다. 출력 축(110)의 하부 영역은 로터(170, 200)에 결합될 수 있다. 출력 축(110)의 하부 영역의 직경은 중앙 영역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출력 축(110)의 하부 영역의 축 방향 길이는 출력 축(110)의 중앙 영역의 축 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베어링(140)은 하우징(120)과 출력 축(1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베어링(140)은 출력 축(110)을 하우징(120)에 베어링 결합시킬 수 있다. 제1 베어링(140)은 출력 축(110)을 하우징(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제1 베어링(140)은 원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베어링(140)은 제3 베어링(13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베어링(140)은 제2 베어링(150)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베어링(150)은 하우징(120)과 출력 축(1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베어링(150)은 출력 축(110)을 하우징(120)에 베어링 결합시킬 수 있다. 제2 베어링(150)은 출력 축(110)을 하우징(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제2 베어링(150)은 원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베어링(150)은 제1 베어링(14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베어링(130)은 출력 축(110)과 하우징(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베어링(130)은 출력 축(110)을 하우징(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제3 베어링(130)은 제1 베어링(140)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자(160)는 복수의 지지대(220)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자(160)는 복수의 지지대(220)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고정자(160)는 로터(170, 200)와 마주볼 수 있다. 고정자(160)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고정자(160)의 내측에는 복수의 캠 가이드(194)가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자(160)는 코어(162)와, 복수의 티쓰(164)와, 복수의 코일(166)과, 커넥터(169)와, 인슐레이터(168)와, 원주부(190)와, 복수의 이동 가이드(196)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외 추가적인 구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코어(162)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티쓰(164)는 코어(162)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티쓰(164)는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의 코일(166) 각각은 복수의 티쓰(164) 각각에 권선될 수 있다. 복수의 코일(166)은 로터(170, 200)와 마주볼 수 있다. 복수의 코일(166)은 마그네트(170)와 마주볼 수 있다. 복수의 코일(166)은 커넥터(169)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코일(166)은 커넥터(169)에 연결되는 전원으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마그네트(170)와 전자기적 상호 작용을 할 수 있다.
인슐레이터(168)는 코어(162)를 둘러쌀 수 있다. 인슐레이터(168)는 복수의 캠 가이드(194)와 연결될 수 있다. 인슐레이터(168)는 원주부(190)를 통해 복수의 캠 가이드(194)와 연결될 수 있다. 인슐레이터(168)는 비자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원주부(190)는 인슐레이터(168)의 반경 방향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원주부(190)는 인슐레이터(168)에 결합될 수 있다. 원주부(190)는 인슐레이터(168)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원주부(190)는 인슐레이터(168)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원주부(190)는 인슐레이터(168)와 별도로 형성되어 인슐레이터(168)의 내측에 결합될 수도 있다. 원주부(190)의 반경 방향 내측에는 복수의 이동 가이드(196)가 형성될 수 있다. 원주부(190)의 반경 방향 내측에는 복수의 캠 가이드(194)가 형성될 수 있다.
원주부(190)는 상부 원주부(192)와, 하부 원주부(197)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원주부(192)와 하부 원주부(197)는 수직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부 원주부(192)는 상부 원주부(192) 및/또는 하부 원주부(197)의 내측에는 복수의 이동 가이드(196)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이동 가이드(196)는 원주부(190)의 반경 방향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이동 가이드(196)는 복수의 지지대(220)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이동 가이드(196)는 복수의 지지대(220)에 의해 관통되는 관통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이동 가이드(196)의 개수는 복수의 지지대(220)의 개수에 대응될 수 있다. 복수의 이동 가이드(196)의 아래에는 탄성 부재(230)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이동 가이드(196)는 복수의 캠 가이드(194)와 원주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정자(160)의 틸팅 현상을 방지하고, 고정자(160)를 수직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로터(170, 200)는 고정자(160)와 마주볼 수 있다. 로터(170, 200)에는 출력 축(110)이 결합될 수 있다. 로터(170, 200)는 고정자(160)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출력 축(110)을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로터(170, 200)는 마그네트(170)와, 프레임(200)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외 추가적인 구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프레임(200)은 출력 축(110)과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200)은 서포터(210)와 수직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프레임(200)의 바닥면은 서포터(210)와 수직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프레임(200)의 측벽은 바닥면의 반경 방향 외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프레임(200)에는 마그네트(170)가 배치될 수 있다.
마그네트(170)는 프레임(200)의 측벽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마그네트(170)는 복수의 코일(166)과 마주볼 수 있다. 마그네트(170)는 복수의 코일(166) 과 마주보는 복수의 마그네트(17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마그네트(170)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회전 캠(180)은 하우징(120)과 서포터(2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전 캠(180)은 원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회전 캠(180)의 직경은 서포터(21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회전 캠(180)은 액츄에이터에 의해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회전 캠(180)은 복수의 캠 가이드(194)의 상면과 접촉할 수 있다. 회전 캠(180)은 회전에 의해 복수의 캠 가이드(194)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추가 전류를 인가하지 않고도 고정자(160)의 위치를 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세탁기 구동 시스템(100)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회전 캠(180)은 복수의 캠 가이드(194)의 상면에 형성되는 돌기의 반경 방향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전 캠(180)은 하우징(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회전 캠(180)의 반경 방향과 수직 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회전 캠(180)은 경사부(182)와 수직부(184)를 포함할 수 있다. 경사부(182)는 복수의 캠 가이드(194) 각각과 접촉하는 복수의 경사부(18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경사부(182)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수직부(184)는 복수의 경사부(182) 중 이웃하는 경사부를 각각 연결하는 복수의 수직부(18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경사부(182)의 하단과 서포터(210) 사이의 수직 방향 거리는 고정자(160)의 수직 방향 이동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이를 통해, 회전 캠(180)과 서포터(210)의 간섭을 방지하여 제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경사부(182)는 제1 경사부(1821)와, 제1 경사부(1821)와 연결되고 제1 경사부(1821)보다 낮은 경사를 가지는 제2 경사부(1822)를 포함할 수 있다.
캠 가이드(194)는 고정자(160)에 결합될 수 있다. 캠 가이드(194)는 고정자(160)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캠 가이드(194)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캠 가이드(194)를 포함할 수 있다. 캠 가이드(194)는 회전 캠(180)의 하면과 접촉할 수 있다. 캠 가이드(194)는 회전 캠(180)의 회전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캠 가이드(194)가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정자(160)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캠 가이드(194)는 고정자(16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캠 가이드(194)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고정자(160)에 결합될 수도 있다. 복수의 캠 가이드(194)는 복수의 이동 가이드(196)와 원주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서포터(210)는 복수의 지지대(2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서포터(210)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서포터(210)는 프레임(200)과 수직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서포터(210)는 원형 띠 형상 또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서포터(210)는 로터(170, 200)와 이격될 수 있다. 서포터(210)는 프레임(200)의 바닥면보다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대(220)는 하우징(120)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대(220)는 하우징(120)에서 수직 방향 또는 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지지대(220)는 원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대(220)의 하부에는 서포터(210)가 결합될 수 있다. 지지대(220)에는 탄성 부재(230)가 결합될 수 있다.
지지대(220)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지지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지지대(220)의 개수는 5개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복수의 지지대(220)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탄성 부재(230)는 복수의 이동 가이드(196)와 서포터(2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 부재(230)는 복수의 지지대(220)를 감쌀 수 있다. 탄성 부재(230)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230)는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탄성 부재(230)는 복수의 이동 가이드(196)가 아래로 이동하는 경우, 복수의 이동 가이드(196)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복수의 이동 가이드(196)에 힘을 제공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미도시)는 캠 가이드(194)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액츄에이터는 회전 캠(180)과 연결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는 회전 캠(180)을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액츄에이터는 회전 캠(180)을 회전시켜 캠 가이드(194)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정자(160)와 로터(170, 200)가 서로 마주보는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액츄에이터가 구동하여 회전 캠(180)이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캠 가이드(194)는 회전 캠(180)의 경사부(182)를 따라 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자(160)는 아래로 이동하게 되고, 코일(166)과 마그네트(170)가 마주보는 면적이 줄어들게 된다. 이를 통해, 로터(170, 200)의 회전 속도가 줄어들어 출력 축(110)을 저속 고토크로 구동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가 정지하는 경우, 복수의 탄성 부재(230)에 의해 고정자(160)는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이 경우, 캠 가이드(194)는 경사부(182)를 밀어 회전시키고, 수직부(184)와 접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계적인 구성만으로 고정자(160)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복귀시킬 수 있다.
초기 모드의 경우, 로터(170, 200)는 고속 저토크로 구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클러치 등의 별도의 구성 없이도, 출력 축(110)을 저속 고토크 또는 고속 저토크로 구동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크기를 줄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캠 가이드(194)가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하나의 캠 가이드(194)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구동 시스템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일부 구성의 확대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구동 시스템(100)은 회전 부재(510)를 통해 고정자(160)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구동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구동 시스템(100)에서 회전 캠(180)이 삭제되고 회전 부재(510)가 추가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회전 부재(510)는 액츄에이터(5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회전 부재(510)는 캠 가이드(194)와 접촉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500)의 회전에 따라 회전 부재(510)가 회전하여 캠 가이드(194)와 연결되는 고정자(160)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회전 부재(510)는 액츄에이터(500)와 연결되는 부분(512)과 일측의 길이와, 액츄에이터(500)와 연결되는 부분(512)과 타측의 길이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부재(510)는 타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회전 부재(510)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클러치 등의 별도의 구성 없이도, 출력 축(110)을 저속 고토크 또는 고속 저토크로 구동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크기를 줄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회전 부재(510)는 제1 곡률을 가지는 제1 원호부(514)와, 제1 원호부(514)의 양측에서 연장되는 한 쌍의 직선부(516)와, 한 쌍의 직선부(516)를 연결하고 제1 곡률보다 작은 곡률 반경을 가지는 제2 곡률을 가지는 제2 원호부(518)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회전 부재(510)의 제조를 용이하게 하고, 고정자(160)의 수직 방향 이동 거리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
캠 가이드(194)는 회전 부재(510)와 마주하는 면에 형성되고 곡률을 가지는 곡면부(194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캠 가이드(194)와 회전 부재(510)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을 줄여 제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서는 하나의 회전 부재(510)와 하나의 캠 가이드(194)가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복수의 회전 부재(510)와 복수의 캠 가이드(194)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구동 시스템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액츄에이터(600)가 직접 캠 가이드(194)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구동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구동 시스템(100)에서 회전 캠(180)이 삭제되고 액츄에이터(600)가 직접 캠 가이드(194)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4는 종래 기술에 따른 로터의 회전 속도에 대한 기계적 토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5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로터의 회전 속도에 대한 기계적 토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탈수 운전점(A)에서의 기계적 효율은 80%임을 알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탈수 운전점(B)에서의 기계적 효율은 90%로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세탁기 구동 시스템(100)을 통해 고속 저토크의 탈수 운전시 효율이 향상되므로 전기 에너지 절감 효과가 있고, 탈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명세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명세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명세서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명세서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이너 터브 20: 펄세이터
100: 세탁기 구동 시스템 110: 출력 축
120: 하우징 130: 제3 베어링
140: 제1 베어링 150: 제2 베어링
160: 고정자 170: 마그네트
180: 회전 캠 190: 캠 가이드
200: 프레임 210: 서포터
220: 지지대 230: 탄성 부재

Claims (15)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지지대;
    상기 복수의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고,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서포터;
    상기 복수의 지지대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자;
    상기 고정자와 마주보는 로터;
    상기 로터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에 베어링 결합되는 출력 축; 및
    상기 고정자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캠 가이드;
    상기 복수의 캠 가이드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고정자와 상기 로터가 마주보는 면적을 조절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세탁기 구동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서포터 사이에 배치되고,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 캠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캠은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해 회전하고,
    상기 회전 캠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캠 가이드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세탁기 구동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캠은 상기 복수의 캠 가이드 각각과 접촉하는 복수의 경사부와, 상기 복수의 경사부 중 이웃하는 경사부를 각각 연결하는 복수의 수직부를 포함하는 세탁기 구동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는 상기 복수의 지지대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이동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이동 가이드와 상기 서포터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세탁기 구동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가 구동하여 상기 회전 캠이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캠 가이드는 상기 경사부를 따라 아래로 이동하고,
    상기 액츄에이터가 정지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탄성 부재에 의해 상기 고정자는 초기 위치로 복귀하고, 상기 캠 가이드는 상기 수직부와 접촉하는 세탁기 구동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동 가이드는 상기 복수의 캠 가이드와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는 세탁기 구동 시스템.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경사부의 하단과 상기 서포터 사이의 수직 방향 거리는 상기 고정자의 수직 방향 이동 거리보다 짧은 세탁기 구동 시스템.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캠 가이드는 상면에 형성되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캠은 상기 복수의 캠 가이드의 상기 상면과 접촉하고, 상기 돌기의 반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세탁기 구동 시스템.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캠은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세탁기 구동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코어와,
    상기 코어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티쓰와,
    상기 복수의 티쓰에 권선되는 복수의 코일과,
    상기 코어를 둘러싸고 상기 복수의 캠 가이드와 연결되는 인슐레이터를 포함하는 세탁기 구동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는,
    상기 출력 축과 결합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코일과 마주보는 복수의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서포터와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는 세탁기 구동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캠 가이드와 접촉하는 복수의 회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액츄에이터와 연결되는 부분과 일측의 길이와, 상기 액츄에이터와 연결되는 부분과 타측의 길이가 다른 세탁기 구동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캠 가이드는 상기 회전 부재와 마주하는 면에 형성되고 곡률을 가지는 곡면부를 포함하는 세탁기 구동 시스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는 제1 곡률을 가지는 제1 원호부와, 제1 원호부의 양측에서 연장되는 한 쌍의 직선부와, 상기 한 쌍의 직선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1 곡률보다 작은 곡률 반경을 가지는 제2 곡률을 가지는 제2 원호부를 포함하는 세탁기 구동 시스템.
  15.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지지대;
    상기 복수의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고,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서포터;
    상기 복수의 지지대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자;
    상기 고정자와 마주보는 로터;
    상기 로터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에 베어링 결합되는 출력 축; 및
    상기 고정자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캠 가이드;
    상기 캠 가이드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고정자와 상기 로터가 마주보는 면적을 조절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세탁기 구동 시스템.
KR1020220136367A 2022-10-21 2022-10-21 세탁기 구동 시스템 KR2024005613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6367A KR20240056138A (ko) 2022-10-21 2022-10-21 세탁기 구동 시스템
EP23179127.8A EP4357509A1 (en) 2022-10-21 2023-06-14 Drive system of a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6367A KR20240056138A (ko) 2022-10-21 2022-10-21 세탁기 구동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6138A true KR20240056138A (ko) 2024-04-30

Family

ID=86776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6367A KR20240056138A (ko) 2022-10-21 2022-10-21 세탁기 구동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4357509A1 (ko)
KR (1) KR2024005613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0812B1 (ko) 2017-05-12 2018-11-21 뉴모텍(주) 직결식 세탁기용 구동 장치의 감속 커플링 유닛
KR20200089604A (ko) 2019-01-17 2020-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48751B1 (en) * 1997-12-12 2002-02-19 New Generation Motors Corporation Electric motor with active hysteresis-based control of winding currents and/or having an efficient stator winding arrangement and/or adjustable air gap
US8288982B2 (en) * 2010-12-10 2012-10-16 Current Motor Company, Inc. Permanent magnet motor with field weakening
US8847460B2 (en) * 2011-05-09 2014-09-3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symmetric stator teeth in an electric motor
DE102020114856B3 (de) * 2020-06-04 2021-09-23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Elektrische Radialflussmaschine und Antriebsstra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0812B1 (ko) 2017-05-12 2018-11-21 뉴모텍(주) 직결식 세탁기용 구동 장치의 감속 커플링 유닛
KR20200089604A (ko) 2019-01-17 2020-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57509A1 (en) 2024-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4867B1 (ko) 인덕션모터를 구비한 드럼 세탁기
US10214846B2 (en) Washing machine driving device, washing machine having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2004513721A (ja) ドラム洗濯機
KR101885203B1 (ko) 감속 구동이 가능한 직결식 세탁기용 구동 장치
KR101920812B1 (ko) 직결식 세탁기용 구동 장치의 감속 커플링 유닛
US5873269A (en) Power system of washing machine
KR101639022B1 (ko) 드럼 구동장치, 이를 구비한 드럼 세탁기 및 구동방법
KR20240056138A (ko) 세탁기 구동 시스템
KR100606830B1 (ko) 세탁기의 구동부
GB2322636A (en) Improvements in washing machine clutches
US20240136901A1 (en) Drive system of a washing machine
JP7338979B2 (ja) 洗濯機向けの駆動ユニット
CN113005723A (zh) 洗衣机用驱动装置
US11624425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20210029814A (ko) 세탁기의 구동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드럼 세탁기
KR101895377B1 (ko) 직결식 세탁기용 구동 장치의 로터 어셈블리
KR20240056168A (ko) 드럼 세탁기
KR20240056148A (ko) 세탁기 구동 시스템
KR20200131120A (ko) 세탁기의 구동장치
KR102047879B1 (ko) 마그네틱 기어가 적용된 구동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탑 로더 세탁기
KR102480297B1 (ko) 의류처리장치
JP7444540B2 (ja) 洗濯機向けの駆動ユニットおよび洗濯機
KR20180124623A (ko) 직결식 세탁기용 구동 장치
US20240125034A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102022963B1 (ko) 세탁기의 기어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