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5992A - 조립식 앵글 - Google Patents

조립식 앵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5992A
KR20240055992A KR1020220136078A KR20220136078A KR20240055992A KR 20240055992 A KR20240055992 A KR 20240055992A KR 1020220136078 A KR1020220136078 A KR 1020220136078A KR 20220136078 A KR20220136078 A KR 20220136078A KR 20240055992 A KR20240055992 A KR 202400559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horizontal
vertical
portions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6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하산업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하산업개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하산업개발
Priority to KR1020220136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5992A/ko
Publication of KR20240055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599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74Mortise and tenon joints or the like including some general male and female connection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반을 구축하기 위하여 가로부와 세로부를 체결하여 구성되는 조립식 앵글에 관한 것으로, 두 세로판이 ㄱ-자 형상으로 연결되어 형성되고, 각 세로판에 세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제1 체결부가 형성된 세로부, 상기 복수개의 제1 체결부 중에 선택된 하나의 제1 체결부와 체결되는 제2 체결부가 형성된 가로부, 및 상기 가로부의 단부로부터 경사를 이루어 연장된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로부에 같은 높이로 체결되는 한 쌍의 가로부의 경사부가 서로 밀착 결합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가로부의 수평 방향의 비틀림을 방지한다. 따라서 가로바의 단부에 형성된 경사부의 존재로, 세로바에 서로 대응하는 한 쌍의 가로바가 설치되는 경우 경사부와 경사부가 밀착면에 의하여 밀착됨으로써 가로바의 비틀림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조립식 앵글{Angle Assembly}
본 발명은 조립식 앵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반을 구축하기 위하여 가로부와 세로부를 체결하여 구성되는 조립식 앵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조립식 앵글은 등록특허에 개시된 바와 같이, 수직 부재와 수평 부재가 조립될 수 있도록, 특별한 조립 구조를 제공한다.
즉, 슬롯공이 형성된 수직 부재와 슬롯공에 삽입되는 끼움편이 형성된 수평 부재를 포함하고, 수평 부재를 수직 부재의 적당한 위치에서 전후좌우로 연결 조립한 다음에 선반 플레이트를 안착하여 완성되며, 조립 구조를 구성하기 위하여, 개시와 같이 수평 부재에 엠보 돌기를 형성하고, 수직 부재의 돌기 삽입공에 삽입되면서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무볼트 조립이 가능하다.
그런데 종래의 앵글 구조는, 선반 상에 놓이는 물체의 하중에 의하여 측방향으로의 비틀림에 취약한 구조이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두 번째의 개시에서와 같은 연결부 고정장치가 개발되었다.
그런데 이 개시의 경우,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 사이에 별도의 장치로서 준비되어야 하고, 구조의 복잡성이나 제조 단가의 상승에 따른 문제가 발생된다.
등록특허 제10-1840169호 (2018. 05. 04. 공고) 등록특허 제10-2421768호 (2022. 07. 18.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반용 조립식 앵글의 가로바의 끝단에 경사부를 부가하여 세로바에 조립된 한 쌍의 경사부가 밀착되도록 앵글을 조립함으로써 선반에 놓이는 물건의 하중에 의하여 초래되는 조립식 앵글이 측방향으로의 비틀림을 최소화할 수 있는 조립식 앵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립식 앵글의 가로바의 단부에 형성된 제2 체결부에 제1 삽입부와 제2 삽입부를 상하로 형성하여 제1 삽입부는 대응하는 제1 체결부의 수용홈에 삽입되고, 제2 삽입부는 그 아래측의 수용홈에 동시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체결의 견고성을 강화시킬 수 있는 조립식 앵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기타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조립식 앵글은 두 세로판이 ㄱ-자 형상으로 연결되어 형성되고, 각 세로판에 세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제1 체결부가 형성된 세로부, 상기 복수개의 제1 체결부 중에 선택된 하나의 제1 체결부와 체결되는 제2 체결부가 형성된 가로부, 및 상기 가로부의 단부로부터 경사를 이루어 연장된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로부에 같은 높이로 체결되는 한 쌍의 가로부의 경사부가 서로 밀착 결합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가로부의 수평 방향의 비틀림을 방지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상기 가로부와 상기 경사부의 경사각은 4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앵글은 세로판에 세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두고 복수개의 제1 체결부가 형성된 세로부, 및 상기 복수개의 제1 체결부 중에 선택된 하나의 제1 체결부와 체결되는 제2 체결부가 형성된 가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부는 상방으로 수용홈이 형성된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제2 체결부와 체결되도록 선택된 제1 체결부의 수용부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체결홀, 상기 제2 체결부와 체결되도록 선택된 제1 체결부의 수용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체결홀의 상단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제1 삽입부, 상기 선택된 제1 체결부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제1 체결부의 수용홈에 삽입되도록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제2 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세로부의 세로판은 내판과 수용부가 형성된 외판의 이중 접합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로부의 일단에는 보강리브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의 하단부 방향으로 폭이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조립식 앵글에 의하면, 가로바의 단부에 형성된 경사부의 존재로, 세로바에 서로 대응하는 한 쌍의 가로바가 설치되는 경우 경사부와 경사부가 밀착면에 의하여 밀착됨으로써 가로바의 비틀림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선반에 무거운 하중의 물건도 적치할 수 있게 되며, 또한 가로바와 세로바의 체결 구조로서 가로바에 제1 삽입부와 제2 삽입부가 형성되고 이들이 이웃하는 두 개의 수용홈에 삽입되기 때문에 더욱 견고한 체결 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앵글의 조립 구성도;
도 2는 도 1의 가로부의 일측의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와 정면도;
도 3은 도 1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세로부의 제조 과정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앵글의 조립 과정을 보여주는 순차적 구성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앵글의 경사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앵글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앵글의 조립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조립식 앵글은 세로부(100)와 가로부(200) 및 가로부(200)와 일체화된 경사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가로부(200)와 세로부(100)가 상호 체결되어 조립 구조물을 형성하고, 조립 구조물 상에, 일반적으로 판상의 선반 테이블을 설치하여 조립식 선반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 1에서는 간명화를 위하여 가로부(200)와 세로부(100)의 일부만을 표현하였다.
상기 세로부(100)는 두 개의 세로판(112)이 서로 이웃하여 ㄱ-자 형상으로 연결 형성되어 이들 두 개의 세로판(112)에 각각 결합되는 가로부(200)가 서로 직교하여 배치된다. ㄱ-자 형성의 의미는 세로판과 세로판이 서로 연결되어 꺾인 형상을 말하는 것으로 반드시 정확하게 90°로 수직임을 말하지는 않으며, 90°안팎의 범위, 예로서 ±10°의 범위의 각을 이루는 정도를 포함할 수 있다.
세로부(100)의 길이는 본 발명의 조립식 앵글에 의하여 제조되는 선반의 높일 것이고, 세로부(100)의 폭은 후술하는 제1 체결부(120)가 들어갈 자리 이상으로 형성되어야 하고, 세로부(100)의 내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가로부(200)와 접하는 면적을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세로부(100)의 세로판 사이의 각도 유지는 강한 재료를 사용(재료의 두께 설정도 포함)하여 달성될 수도 있으나, 두 개의 세로판 사이의 각도를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각도 유지 수단(도시되지 않음)을 더 결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이들 두 개의 세로판(112)에는 세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제1 체결부(120)가 형성되므로 원하는 높이에 위치하는 제1 체결부(120)와 가로부(200)와의 체결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가로부(200)에 제2 체결부(220)가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제1 체결부(120) 중에 선택된 하나의 제1 체결부(120a)와 체결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가로부와 세로부 사이의 체결 구조는 일반적인 종래의 구성인데, 본 발명에서는 여기에 더하여 가로부(200)의 단부에 경사부(300)를 더 형성한다.
즉, 본 발명의 경사부(300)는 상기 가로부(200)의 단부로부터 경사를 이루어 연장되고, 따라서 상기 세로부(100)에 같은 높이로 체결되는 한 쌍의 가로부(200a, 200b)의 경사부(300)가 서로 밀착 결합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가로부(200a, 200b)의 수평 방향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경사부(300)는 가로부의 단부에서 판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세로 부에 같은 높이에서 서로 대응하여 체결되는 한 쌍의 가로부(200a, 200b)의 경사부 사이는 서로 면과 면이 대면하여 밀착됨으로써, 종전 구조에 비하여 가로부의 비틀림에 의한 왜곡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일반적으로는 경사부는 가로부의 양측 단부에 형성되어 서로 직립되어 세워진 세로부 사이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더 나아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경사부(300)에 보조 비틀림방지 형상(308)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보조 비틀림방지 형상(308)은 가로부의 일측의 경사부와 타측의 경사부에 서로 다른 형상으로 서로 대응하도록 구성하여 서로 밀착 조립될 때에 보조 비틀림방지 형상에 의하여 경사부 사이의 밀착력을 강화하여 추가적 비틀림 방지 기능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상기 가로부(200)와 상기 경사부(300) 사이의 경사각(θ)은 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정확하게 직각의 반으로서의 각도가 아니고, 대략적으로 시각적으로 직각을 반으로 나눈 정도로 보이는 각도로서 ±5°의 범위의 각을 이루는 정도를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앵글은 세로판(112)에 세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두고 복수개의 제1 체결부(120)가 형성된 세로부(100), 및 상기 복수개의 제1 체결부(120) 중에 선택된 하나의 제1 체결부(120a)와 체결되는 제2 체결부(220)가 형성된 가로부(200)를 포함하는 것에 더하여, 제1 체결부(120)는 상방으로 수용홈(122)이 형성된 수용부(124)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체결부(220)에는, 체결홀(222), 제1 삽입부(224), 및 제2 삽입부(226)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홀(222)은 상기 제2 체결부(220)와 체결되도록 선택된 제1 체결부(120a)의 수용부(124)가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하는데, 제1 체결부의 형상에 맞추어 제1 체결부가 원만하게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삽입부(224)는 상기 제2 체결부(220)와 체결되도록 선택된 제1 체결부(120a)의 수용홈(124)에 삽입되도록 상기 체결홀(222)의 상단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제1 체결부의 수용홈에 억지끼워질 정도로 형성하는 것이 체결 구조의 견고성을 높이기 위하여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삽입부(226)는 상기 선택된 제1 체결부(120a)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제1 체결부(120b)의 수용홈(124)에 삽입되도록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앵글에서는 하나의 가로부가 서로 상하로 배치된 두 개의 삽입부를 포함하여 각각 세로부의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체결부에 체결됨으로써 체결 구조의 견고성을 강화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상기 세로부(100)의 세로판(112)은 내판(112a)과 수용부(120)가 형성된 외판(112b)을 절곡하여 이중 접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원판의 양단에 2열로 수용부의 열을 형성한 후에, 가운데 부분의 1차 절곡과 내판와 외판 사이의 2차 절곡을 수행하여 도 3(b)의 세로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로부(200)의 일단에는 보강리브(230)가 가로 방향으로 더 형성될 수 있고, 따라서 가로부의 비틀림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상기 제1 삽입부(224)와 상기 제2 삽입부(226)는 하단부 방향으로 폭이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수용부의 수용홈으로 최초의 삽입이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이후 억지끼움으로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서 세로부에 가로부를 삽입하여 체결하는 과정을 순서로 표현한 도면으로서, 도 4(a)에서 가로부를 세로부의 코너 부분으로 45°방향으로 접근시켜 도 4(b)에서와 같이 경사부를 평면상에서 일치시킨다.
도 5(a)에서 가로부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세로부의 상한 두 개의 수용홈에 가로부의 제1 삽입부와 제2 삽입부를 동시에 밀어넣어 도 5(b)와 같이 체결 과정을 완성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사항은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내용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며, 다양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세로부 200: 가로부
120: 제1 체결부 220: 제2 체결부
300: 경사부

Claims (5)

  1. 두 세로판이 ㄱ-자 형상으로 연결되어 형성되고, 각 세로판에 세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제1 체결부가 형성된 세로부;
    상기 복수개의 제1 체결부 중에 선택된 하나의 제1 체결부와 체결되는 제2 체결부가 형성된 가로부; 및
    상기 가로부의 단부로부터 경사를 이루어 연장된 경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세로부에 같은 높이로 체결되는 한 쌍의 가로부의 경사부가 서로 밀착 결합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가로부의 수평 방향의 비틀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앵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부와 상기 경사부의 경사각은 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앵글.
  3. 세로판에 세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두고 복수개의 제1 체결부가 형성된 세로부; 및
    상기 복수개의 제1 체결부 중에 선택된 하나의 제1 체결부와 체결되는 제2 체결부가 형성된 가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부는 상방으로 수용홈이 형성된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제2 체결부와 체결되도록 선택된 제1 체결부의 수용부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체결홀, 상기 제2 체결부와 체결되도록 선택된 제1 체결부의 수용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체결홀의 상단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제1 삽입부, 상기 선택된 제1 체결부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제1 체결부의 수용홈에 삽입되도록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제2 삽입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앵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부의 세로판은 내판과 수용부가 형성된 외판의 이중 접합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로부의 일단에는 보강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앵글.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는 하단부 방향으로 폭이 좁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앵글.
KR1020220136078A 2022-10-21 2022-10-21 조립식 앵글 KR202400559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6078A KR20240055992A (ko) 2022-10-21 2022-10-21 조립식 앵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6078A KR20240055992A (ko) 2022-10-21 2022-10-21 조립식 앵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5992A true KR20240055992A (ko) 2024-04-30

Family

ID=90884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6078A KR20240055992A (ko) 2022-10-21 2022-10-21 조립식 앵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5992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0169B1 (ko) 2017-08-22 2018-05-04 주식회사 풍산기업 조립식 앵글 선반
KR102421768B1 (ko) 2020-10-07 2022-07-18 (주)스피드랙 조립식 선반의 연결부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0169B1 (ko) 2017-08-22 2018-05-04 주식회사 풍산기업 조립식 앵글 선반
KR102421768B1 (ko) 2020-10-07 2022-07-18 (주)스피드랙 조립식 선반의 연결부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54906B1 (en) Shelving structure
US6257426B1 (en) Shelf engagement mechanism
US20190125077A1 (en) Shelving unit with load capacity increasing tie clips
KR200473407Y1 (ko) 조립식 앵글 선반
US4295693A (en) Knocked-down cabinet
US4009665A (en) Shelf assembly
KR100300753B1 (ko) 선반 또는 수납장용 조립식 프레임 부재세트
KR20240055992A (ko) 조립식 앵글
KR100271081B1 (ko) 선반 유니트용 골조(framework for shelving unit)
KR100919672B1 (ko) 조립식 선반장치용 프레임부재
KR102565691B1 (ko) 무볼트 타입 조립식 앵글
US7165821B2 (en) Drawer assembly
US20230348129A1 (en) Interlocking structure of bottom surface portion of paper box
KR101850067B1 (ko) 조립식 트레이용 측판
CN219931407U (zh) 第一柱、第二柱及组合柱
CN216840161U (zh) 一种转向连接龙骨及龙骨组件
KR20240000768U (ko) 모듈식 책장
KR20230161181A (ko) 조립식 가구용 구조체
KR20220162937A (ko) 무볼트 앵글 조립체
KR20230000174U (ko) 조립 선반용 앵글 프레임
KR20230129852A (ko) 조립식 앵글 진열대의 수직프레임
KR20040089405A (ko) 조립식 선반틀
JPH0420411A (ja) ラック構造
JP2001187610A (ja) 流動棚
JPH0610841Y2 (ja) ラツクにおける棚板と支柱との連結装置